[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17721A -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7721A
KR20240117721A KR1020230009868A KR20230009868A KR20240117721A KR 20240117721 A KR20240117721 A KR 20240117721A KR 1020230009868 A KR1020230009868 A KR 1020230009868A KR 20230009868 A KR20230009868 A KR 20230009868A KR 20240117721 A KR20240117721 A KR 2024011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containing natural
feminine
active ingredi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85007B1 (ko
Inventor
안유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3000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5007B1/ko
Publication of KR2024011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50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극이 없고,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EMININE CLEANSER CONTAINING NATUR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 비뇨생식기관은 난소, 난관, 자궁, 자궁경부, 질, 외음부로 구성되며,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에는 골반염, 자궁내막증, 난소낭종, 다낭성 난소 증후군, 난소암, 자궁근종, 자궁폴립, 후굴자궁, 자궁 및 질 탈출 증, 자궁암, 융모상피암, 자궁경부 미란, 자궁경부 이형성증, 자궁경부암, 외음부 질염, 질 진균증, 세균성 질 염, 바톨린염, 외음부와 질의 암, 성병(임질, 클라미디아 골반염, 매독, 트리코모나스증, 음부 포진, 외음부사 마귀, 음부 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비교적 흔하고 여성 대부분이 일생 동안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질환을 경험한다고 보고된다.
여성 비뇨생식기계에는 비뇨생식기계 pH를 4.5~6.5의 약산성으로 유지하여 주는 유산간균이 상재하여 유해한 세 균의 번식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지만 물리적 손상, 호르몬 불균형 외에도 청결하지 않은 비뇨생식기계 환경, 성관계에 따른 세균성 질환 혹은 성병 등에 의해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환이 발생되기 쉽다. 즉 질과 외음 부는 여성 비뇨생식기계 구조의 기능적 특성상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으며, 양도, 온도, 습도 등 여러 가지의 세균집단이 배양되는 조건적 환경을 제공하여 세균성 감염 및 세균성 질증을 야기시킨다.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질 세균총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범에 대항하는 보호를 도와주는 약한 산성 환경을 제공한다. 정상적인 질의 pH는 4.5 내지 5.1이다. 질의 내부가 산성인 이유는 질내 서식균과 질 상피세포가 glycogen 및 glucose를 이용하여 유산(lactic acid)을 생산해 내기 때문이다. 질내에 서식하는 유산균은 젖산(lactic acid)을 생산하여 pH를 유지하여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유용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질 세균총 즉, 질 평형은 궁극적으로 질 감염을 유도하는 다양한 외부 인자에 의해서 쉽게 전복될 수 있다. 질 감염은 임상적 증후군이며 주로 세균성 질증, 칸디다 질염 및 트리 코모나스 질염 등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 중 가장 흔한 질염은 세균성 질염이다.
상기 세균성 질증은 주로 질 내에서 유산균의 감소를 수반하는 혐기성 유기체 수의 증가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이 외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항생제 복용이나 피임약 복용, 과다한 질 세정제 사용 등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질 내에서 유산균의 수가 감소하는 것은 영양소에 대한 경쟁을 감소시키고, 존재하는 락트산의 양을 감소시켜 pH를 상승시키게 되며, 질 내에서 그의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감염성 병원체(opportunistic pathogen)의 증식이 일어나게 돼서 발병된다.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고 저자극성이며 사용이 용이한 여성청결제 혹은 질 세정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누 및 바디클렌져에 비하여 저자극성이며, 천연성분이 기능성으로 포함되어 사용 시 보다 건강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여성 청결제에 대한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KR 10-1922657 B1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자극이 없고,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사용 편의성을 높인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정제수; 쑥 추출물; 및 고로쇠 나무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구절초 추출물, 귤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쑥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고로쇠 나무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구절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귤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포 후 질 내 pH를 4.5 내지 5.5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질 관련 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자극이 없고,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온도 및 습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질염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및 곰팡이를 포함한 유해 균주들의 증식하기 용이하며, 그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며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 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따라서 질은 항상 청결히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세균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성생식기관은 성생활 중에 점막을 통해 병균에 쉽게 감염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자궁 내에 피임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만성염증이 유발되며, 의료기구를 체내에 도입하거나 포유동물의 출산 시 해당 신체 부위의 점막이 손상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데, 이러한 상처는 병원균의 감염의 기회를 높이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월경을 전, 후로 다량의 출혈이 동반될 때에는 위생적으로 매우 불편한 느낌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감염의 기회가 더 높아진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예방, 진단과 치료로 치명적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성의 경우, 비뇨생식기계 염증은 부인과를 찾아오는 환자들의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염증은 세균성에서부터 기생충,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들 환자들은 소양감 및 심한 염증과 악취를 동반하게 되는데, 특히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은 자궁경부암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하다.
이와 같은 여성질환을 예방하고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질세정제(청결제), 외음부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세정제는 제조 과정 및 사용 중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보존 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보존제를 사용한다.
종래 질 세정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던 방부제는 화학 물질을 주된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항균력이 높아 각종 세균, 곰팡이 및 박테리아 등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여 보존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종종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독성, 피부 자극, 알러지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질 세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쑥 추출물; 및 고로쇠 나무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쑥(Artemisia Linne)은 북반구에 200여종이 있고 국내에는 38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비쑥, 물쑥, 산쑥, 사철쑥, 황해쑥, 인진쑥, 뺑쑥, 덤불쑥 등을 포함하며, 줄기와 잎자루는 약용이며, 어린 잎은 식용, 보통 잎은 뜸쑥을 만들 때 사용한다. 흰털은 긁어서 인주를 만드는데 사용하기도 하고, 백호(白蒿), 봉애(蓬艾), 애초(艾草) 또는 봉호(蓬蒿)라고도 불린다. 쑥은 한 방에서 코피, 자궁출혈 등의 지혈약으로 쓰이고, 소화, 하복부 진통, 구충 및 악취제거 등에 효과가 있으며, 위장병, 변비, 신경통, 냉병, 부인병 및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쑥차로 음용되어 왔다.
상기 고로쇠 나무는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표고 100 내지 1,800m에 자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만주에까지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고로쇠 나무는 내한성이 강하여 지리산, 백운산, 조계산 및 강원도 일대에서 주로 자생하고, 고로쇠 나무(Acer pictum subsp. mono), 붉은 고로쇠 나무(A. mono for. rubrieps), 우산고로쇠 나무(A. okamotoanum), 만주고로쇠(A.truncatum), 긴고로쇠 나무 (A. mono for. dissectum), 왕고로쇠 나무(A. mono var. savatieri), 산 고로쇠 나무(A.mono var. horizontale), 집게고로쇠 나무(A. mono for. connivens), 털고로쇠 나무(A. mono var. ambiguum) 등 9종의 품종과 변종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로쇠라는 이름은 뼈에 이롭다는 듯의 한자어 골리수에서 유래하였다. 한방에서는 나무에 상처를 내어 흘러내린 즙을 풍당이라 하여 위장병, 폐병, 신경통, 관절염 환자들에게 약수로 마시게 하였다. 이처럼 고로쇠 나무의 수액에 대한 음용의 역사가 깊고, 최근에는 수액 소비량도 증가하여 수액에 대한 연구만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본 발명에서는 고로쇠 나무 추출물은 고로쇠 잎을 이용한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로쇠 나무 수액 또는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된 적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사용한 예시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쑥 추출물 및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쑥 추출물 및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복합 추출물로 혼합하여 사용할 때, 질 세정제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쑥 추출물 또는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은 천연 추출물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후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 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추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 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구절초 추출물, 귤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추출물은 구절초 추출물 및 귤피 추출물로, 상기 쑥 추출물 및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여성 청결제로 사용 시, 천연 추출물들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구절초(Siberian chrysanthemum)는 국화과 산국속에 속하는 식물. 일본, 중국, 한국의 산과 들에 널리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구절초는 땅속의 뿌리줄기를 주변으로 뻗어나간다. 줄기는 50cm 정도 높이로 곧게 자라며, 뿌리잎과 줄기 밑 부분의 잎은 달걀형으로 밑 부분이 반듯하며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보통 4개로, 가장자리에 미세한 톱니가 있다. 9~10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 꽃이 한송이씩 하늘을 향해 핀다. 처음 개화할 때는 약간 어두운 분홍색이지만 점점 흰색으로 변한다. 국화과 꽃들이 그러하듯 향기가 좋고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며 한약재로도 쓴다. 소화불량을 해결하는데 효과가 있고, 월경불순, 자궁냉증, 불임증, 위냉, 소화불량을 치료하는데 쓰인다고 한다. 유사 종인 산구절초는 각처의 깊은 산 꼭대기에 자라나고, 바위구절초는 북부의 고산 지대에 자라나는데 용도는 모두 비슷하다.
상기 귤피는 운향과에 속하는 식물인 귤(橘; Citrus reticulata Blanco), 귤나무(Citrus unshiu Markor.), 당귤나무(Citrus sinensis (L.) Osbeck) 또는 그 변종(變種)의 성숙한 열매의 껍질이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 및 귤피 추출물은 다른 천연 추출물에 비해 소량 포함되지만,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이용 시, 피부 보습, pH 조절 및 항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쑥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고로쇠 나무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구절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귤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이용 시, 피부 보습, pH 조절 및 항균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포 후 질 내 pH를 4.5 내지 5.5로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질의 pH는 4.5 내지 5.1로, 상기 pH를 유지하여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간단히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pH를 정상 범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질 관련 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 관련 질환은 질 분비물, 냄새, 작열감, 소양감, 성교통, 배뇨통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감염 또는 염증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질 이완증은 질 주위의 근육과 질 입구 근육이 처지고 질 점막이 감속하여 근막이 이완되는 증상으로 질의 탄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성감이 약해져 성관계 시 불감증이 있을 수가 있으며, 심할 경우 여성으로서의 자신감의 결여되는 상황에 이른다.
질 건조증은 애액이 부족한 체질이거나 자궁과 질 주변의 혈류량과 혈액순환 감소로 정상적으로 나와야 할 질 분비액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 탄력성과 유연성을 잃은 질과 요도계의 상피세포가 얇아지면서 주로 발생한다. 질 건조가 오래 지속되면 면역력이 떨어져 여러 가지 질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수축력 감퇴로 인한 요실금, 자궁이탈 등의 위험이 뒤따른다.
질 진균증은 칸디다균에 의해 유발된 질염으로 칸디다균이 습한 음부에 서식하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염 중 하나이다. 주증상은 냉이 많아지고 피부에 염증 반응이 생겨 가려움을 느낀다. 또한 병의 종류와 정도, 2차 세균 감염 등에 따라 피부가 벗겨지거나 고름이 나오는 등 차이가 있다.
냉대하증은 몸 전체나 신체 일부분의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일종의 순환 장애 같은 것으로 여성의 성기에는 분비되는 분비물인 냉의 양이 많아지는 증상이다. 이 분비물이 생기는 이유는 각종 유해세균으로부터 생식기를 보호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그 분비물의 양이 많아지면 속옷에 심하게 묻고 양이 많아 늘 습하고 눅눅한 상태로 이어져서 냄새가 나며, 질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노출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것으로, 질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는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제조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쑥를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 80g을 300mL의 에탄올에 넣고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 자석 막대를 이용하여 고루 혼합하였다.
10,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과정을 거친 후 상등 액을 취하고 300ML의 에탄올을 추가로 첨가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혼합하였다. 또 다시 상등액을 취합한 후 여과 필터를 통해 부분 정제하였다.
농축기를 이용하여 45℃로 내부 온도를 설정한 오븐에 진공을 걸어 원추출물을 완전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귤피 추출물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쑥 추출물,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귤피 추출물은 정제수에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Hn1 Hn2 Hn3 Hn4 Hn5 Hn6 Hn7 Hn8 Hn9
정제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0 - 10 30 50 30 30 30 30
고로쇠 나무 잎 - 30 10 30 50 30 30 30 30
구절초 - - - - - 1 3 5 10
귤피 - - - - - 1 3 5 10
(단위 : 중량부)
실험예 1
피부 보습 효과 실험
상기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에 의한 보습 효과 평가를 위하여 Epsilon E100(Biox Systems Ltd., UK)을 적용하여 조성물의 사용 전과 1주, 2주, 3주 및 4주 사용 후의 보습 개선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매일 10ml씩 손등에 도포하게 한 후, Epsilon E100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고, 수분 계산율을 계산하였다.
수분 개선율(%)= [(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100
Epsilon E100은 피부 수분량이 높을수록 이미지 결과물의 명도가 증가한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Hn1 Hn2 Hn3 Hn4 Hn5 Hn6 Hn7 Hn8 Hn9
사용 전 0 0 0 0 0 0 0 0 0
1주 10.22 10.85 11.48 14.58 12.46 13.46 17.48 18.56 12.64
2주 11.24 11.54 12.43 22.48 13.12 18.88 25.46 27.64 15.46
3주 10.21 11.48 12.41 36.64 12.89 19.49 40.42 41.58 17.48
4주 10.14 11.24 13.58 48.47 12.88 19.88 50.24 52.21 20.21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Hn1 내지 Hn 9 모두 보습 효과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쑥 추출물, 고로쇠 나무 잎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귤피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 작용으로 보다 우수한 수분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pH 조절 효과 실험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에 감염된 질염 환자인 20 내지 40세의 여성 80 명을 선정하여 상기 T1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2주 동안 사용하게 하여 질 내부의 pH 변화를 실험하였다.
Hn 3을 2주 동안 꾸준히 사용한 경우, pH가 8.1에서, 1주 경과 후 7.24, 2주 경과 후 5.5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Hn 8를 2주 동안 꾸준히 사용한 경우, pH가 7.57에서, 1주 경과 후 6.24, 2주 경과 후 5.1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Hn 3 및 Hn 8을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2주 동안 사용한 결과 질 내부의 pH를 낮추어 약산성으로 조절하고 질 내 유익균을 증식시킴으로써, 질염 등을 야기하는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균 효과 실험
전 배양된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를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Difco.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상기 Hn1 내지 Hn9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항진균제인 이트라코나졸 (Itraconazol)을 페이퍼 디스크에 100㎍/disk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28℃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후 생성된 세균의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생육저지환 크기(mm)
Hn1 32
Hn2 30
Hn3 26
Hn4 21
Hn5 31
Hn6 32
Hn7 17
Hn8 15
Hn9 30
대조군 35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이 대조군인 이트라코나졸(항진균제)에 비하여 강한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피부 자극 발생 실험
20 내지 40 세의 여성 45명을 선정하여, 5명씩 9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Hn1 내지 Hn9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10일 동안 사용하게 한 이후, 피부 자극 발생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평가 기준]
◎: 전혀 자극이 없음
○: 거의 자극이 없음
△: 약간의 자극이 있어, 민감한 점막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Х: 자극이 심해 사용이 불가함
Hn1 Hn2 Hn3 Hn4 Hn5 Hn6 Hn7 Hn8 Hn9
1
상기 표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대다수 심한 자극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부 피부가 예민한 여성들에게서 약간의 자극이 있다는 평이 있었다.
반면, Hn 7 및 Hn 8은 사용한 모든 여성이 자극이 전혀 없다고 우수한 평가를 해 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정제수;
    쑥 추출물; 및
    고로쇠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구절초 추출물, 귤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쑥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고로쇠 나무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구절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귤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포 후 질 내 pH를 4.5 내지 5.5로 유지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질 관련 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KR1020230009868A 2023-01-26 2023-01-26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Active KR10278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868A KR102785007B1 (ko) 2023-01-26 2023-01-26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868A KR102785007B1 (ko) 2023-01-26 2023-01-26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7721A true KR20240117721A (ko) 2024-08-02
KR102785007B1 KR102785007B1 (ko) 2025-03-25

Family

ID=9241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868A Active KR102785007B1 (ko) 2023-01-26 2023-01-26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5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5140B1 (ko) 2024-12-04 2025-03-05 (주)네오팜 노니, 대추, 크랜베리 및 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질염 또는 외음부염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57B1 (ko) 2017-08-30 2018-11-27 엔앤씨 메디메틱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101B1 (ko) * 2018-11-27 2020-07-10 소현미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248786B1 (ko) * 2019-11-05 2021-05-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57B1 (ko) 2017-08-30 2018-11-27 엔앤씨 메디메틱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101B1 (ko) * 2018-11-27 2020-07-10 소현미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248786B1 (ko) * 2019-11-05 2021-05-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5140B1 (ko) 2024-12-04 2025-03-05 (주)네오팜 노니, 대추, 크랜베리 및 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질염 또는 외음부염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5007B1 (ko) 202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N111202822A (zh) 一种妇科外用抗菌喷剂及其制备方法
CN110464811A (zh) 一种妇科用泡沫抑菌液及其制备方法
CN110478477A (zh) 一种促进女性生殖健康的中药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103021B1 (ko) 편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및 항질염용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78463B2 (en) External-use medicament for cleaning and care of the ovaries, vagina, and vulva
KR20200062598A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CN106581360A (zh) 改善母猪乳汁质量的益生菌发酵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793881B (zh) 一种治疗阴道炎的中药凝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853287B (zh) 一种抗人乳头瘤病毒及抗妇科炎症的药物组合物、凝胶制剂及应用
CN107158449A (zh) 一种含杀菌止痒添加剂的卫生巾
KR102785007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CN109602696A (zh) 一种醋酸氯己定抑菌凝胶剂及其制备方法
CN109602813A (zh) 一种抑菌凝胶剂及其制备方法
CN105770682A (zh) 一种孕妇使用的治疗霉菌性阴道炎的栓剂
KR101168225B1 (ko) 복합 생약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0903827B1 (ko) 수제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6924657A (zh) 一种用于治疗老年性阴道炎的植物精油组合物及制备方法、应用
KR101125758B1 (ko) 여성 국부 청결용 세정제 조성물
KR101917644B1 (ko)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240117720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KR102413425B1 (ko)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CN108606994A (zh) 一种洁阴液及其制备方法
KR102248786B1 (ko)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CN113662998A (zh) 一种用于治疗阴道炎和妇科炎症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