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15722A - Head rest module - Google Patents

Head rest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5722A
KR20240115722A KR1020230161270A KR20230161270A KR20240115722A KR 20240115722 A KR20240115722 A KR 20240115722A KR 1020230161270 A KR1020230161270 A KR 1020230161270A KR 20230161270 A KR20230161270 A KR 20230161270A KR 20240115722 A KR20240115722 A KR 2024011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rack
mounting base
headrest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1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24011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5722A/en
Priority to EP24203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4556307A1/en
Priority to US18/903,578 priority patent/US20250162481A1/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팅 베이스; 랙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상기 랙 기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병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브라켓; 상기 랙 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부의 병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일 방향으로 병진운동함에 따라 상기 무빙 기어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되는 스톱핑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base; a rack bracket having a rack gear unit and mounted on the mounting base to enable translational movement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rack gear unit; a moving gear having a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being installed to enable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a stopping unit configured to stop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as the pinion gear unit, which rotates due to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rack gear unit, rotates in one direction.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모듈{HEAD REST MODULE}Headrest module{HEAD REST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의 일부를 이루는 헤드레스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module that forms part of a car seat.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Head rest)는 시트(Seat)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되어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Generally, a head rest for an automobil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seat, and is raised and rotated to suit the height of the occupant's head and is also used as a headrest. The headrest also supports the occupants' heads in the event of a rear-end collision to prevent neck injuries.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받침대로서 사용되는 것 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헤드레스트는 후방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Recently, headrests are not only used to prevent neck injuries or as headrests, but they are also used as objects on the back of which a monitor for viewing video is attached. In this case, the headrest is manufactured so that rear passengers can move it linearly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to watch video content in the vehicle.

그런데, 헤드레스트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은 부품수가 많아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공정도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슬라이드 모듈을 채용함에 의해 슬림화에도 한계가 있다. 이는 자율주행차 시대에 실내 공간을 극대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다.However, the slide module for linear movement of the headrest has a large number of parts, so its structure is complex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lso difficult. In addition, this headrest has limitations in slimming by employing a slide module. This can also be an obstacle to maximizing interior space in the era of self-driving cars.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은 단순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module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required parts and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기존보다 슬림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module that can be slimmer than before while providing a fun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마운팅 베이스; 랙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상기 랙 기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병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브라켓; 상기 랙 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부의 병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일 방향으로 병진운동함에 따라 상기 무빙 기어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되는 스톱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 headrest modu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mounting base; a rack bracket having a rack gear unit and mounted on the mounting base to enable translational movement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rack gear unit; a moving gear having a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being installed to enable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it may include a stopping unit formed to stop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as the pinion gear unit, which rotates due to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rack gear unit, moves in one direction.

여기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무빙 기어의 병진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홈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기어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심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base includes a base plate having a first guide groove that guides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and the moving gea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You can.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진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guide groove may include an advance/retract guide portion extending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stopping unit.

여기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함께 상기 무빙 기어의 병진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홈을 갖고, 상기 랙 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ounting base has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groove and guides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together with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base plate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rack bracket.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여기서,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병진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Here,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translate the central shaft toward the stopp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도록 형성되는 첵킹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checking spring formed to elastically bias the central shaft toward the stopping unit.

여기서, 상기 스톱핑 유닛은, 제1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기어는, 상기 무빙 기어가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계합부에 계합하도록 배치되는 제2 계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opping unit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moving gear may include a second engaging portion arranged to engage the first engaging portion as the moving gear approaches the stopping unit. there is.

여기서,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다른 레벨에 위치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engaging part may include a first gear part formed on the mounting base,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gear part located at a different level from the pinion gear part.

여기서, 상기 랙 브라켓은, 상기 랙 기어부의 일 단부 측에 위치하여, 상기 무빙 기어를 상기 랙 기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ack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ing member located at one end of the rack gear unit and guiding the moving gea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ck gear unit.

여기서, 상기 제1 유도 부재는, 상기 랙 기어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유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guidance member may include a guidance surface form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ack gear unit.

여기서, 상기 랙 브라켓은, 상기 랙 기어부의 타 단부 측에 위치하여, 상기 무빙 기어를 상기 랙 기어부를 향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ack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ing member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rack gear unit and guiding the moving gear in a direction toward the rack gear unit.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진퇴 가이드부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유도 부재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무빙 기어를 안내하도록 상기 진퇴 가이드부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이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guide groove is a spaced guide por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advance and retreat guide portion and extends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vance and retreat guide portion to guide the moving gear guided by the first guiding member. More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중심 샤프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한 방향 및 상기 랙 기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병진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유닛이 더 포함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하나의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도록 형성되는 첵킹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translate the central shaft in one of a direction toward the stopping unit and a direction away from the rack gear portion is further includ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entral shaft.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checking spring configured to elastically bias the central shaft toward the one direction.

여기서, 상기 무빙 기어가 상기 랙 기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된 상태에서, 상기 랙 브라켓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형성되는 복귀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Here, a return unit configured to restore the rack bracket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he moving gear is guided away from the rack gear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복귀 유닛은, 상기 랙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연결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turn unit may include a return spring connecting the rack bracket and the mounting base.

여기서, 시트 백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장착되는 스테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Here, i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eat back and may be further included in a stay mounted on the mounting bas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의하면, 마운팅 베이스에 장착되는 랙 브라켓의 병진운동(translational motion)에 의해 무빙 기어가 회전운동(rotational motion) 및 병진운동하게 형성되고 무빙 기어의 회전운동은 스톱핑 유닛에 의해 정지되게 형성되기에, 헤드레스트 모듈의 위치 조정을 위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공정 역시 단순화할 수 있다. 나아가, 헤드레스트 모듈은 기존 보다 슬림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eadres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gear is formed to rotate and translate by the translational motion of the rack bracket mounted on the mounting base, and the rotation of the moving gear Since the movement is made to stop by the stopping unit, the number of par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module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also be simplified. Furthermore, the headrest module can be slimmer than bef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운팅 베이스(110), 무빙 기어(130), 및 구동 유닛(170)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도 1에서 랙 브라켓(120)과 무빙 기어(130){및 스톱핑 유닛(140)} 간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Figure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base 110, moving gear 130, and drive unit 170 of FIG. 1.
FIGS. 3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ack bracket 120 and the moving gear 130 (and the stopping unit 140) in FIG.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xample is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substitutes or adds to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s well as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ubstitutes.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ttached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small in size or thicknes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due to thi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s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etc.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hat is,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etc. should be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연통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연통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연통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the middle. It must be understood that i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top" or "below"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t only is it placed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헤드레스트의 기구적 구성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쿠션이 더해진 후에, 최종적으로 외피가 씌워진다면, 그것이 헤드레스트가 된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에 연결되어,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게 된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headrest module 100 forms most of the mechanical structure of the headrest. After the cushion is added to the headrest module 100, when the outer shell is finally covered, it becomes a headrest. The headrest is connected to the seat back of the car (not shown) and supports the head of the seated person.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마운팅 베이스(110), 랙 브라켓(120), 무빙 기어(130), 스톱핑 유닛(140), 복귀 유닛(150), 그리고 스테이(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drest module 100 may include a mounting base 110, a rack bracket 120, a moving gear 130, a stopping unit 140, a return unit 150, and a stay 160.

마운팅 베이스(110)는 후술할 스테이(160)에 장착될 수 있다. 마운팅 베이스(110)는 구체적으로 스테이(160)의 상면에 얹혀질 수 있다. The mounting base 110 may be mounted on a stay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unting base 110 may be specifical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y 160.

랙 브라켓(120)은 마운팅 베이스(110)에 대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병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후 방향(F 및 B)은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시트에 앉은 사람의 머리에 가까워지는 전진 방향(F)(도면상 좌측 방향)과, 그로부터 멀어지는 후진 방향(F)(도면상 우측 방향)을 통합적으로 이르는 것이다. 랙 브라켓(120)은 랙 기어부(121)를 가진다. 랙 기어부(121)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랙 브라켓(120)에는 상기 쿠션이 결합될 수 있다.The rack bracket 120 is mounted to enable translational movement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s (F and B)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110.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 and B) are the forward direction (F) in which the headrest module 100 approaches the head of the person sitting on the seat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backward direction (F) in which the headrest module 100 moves away from it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It is an integrated approach. The rack bracket 120 has a rack gear portion 121. The rack gear unit 121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s (F and B). The cushion may be coupled to the rack bracket 120.

무빙 기어(130)는 랙 기어부(121)와 치합되는 기어부{피니언 기어부(131), 도 2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무빙 기어(130)는 마운팅 베이스(110)에 대해 회전운동뿐만 아니라 병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moving gear 130 may have a gear unit (pinion gear unit 131, see FIG. 2) engaged with the rack gear unit 121. The moving gear 130 is installed to enable not only rotational movement but also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110.

스톱핑 유닛(140)은 무빙 기어(130)의 회전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스톱핑 유닛(140)은 무빙 기어(130)가 스톱핑 유닛(140)을 향한 방향으로 병진운동함에 따라 무빙 기어(1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무빙 기어(130)는, 스톱핑 유닛(140)에 맞물림에 따라, 그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무빙 기어(130)는 스톱핑 유닛(1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병진운동하여 스톱핑 유닛(140)와 이격된 경우에는 제한 없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스톱핑 유닛(140)은 마운팅 베이스(110)에 일체화될 수 있다. The stopping unit 140 is a component that selectively stop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130. Specifically, the stopping unit 140 stops the rotation of the moving gear 130 as the moving gear 130 moves in transla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topping unit 140. The moving gear 130 may stop rotating as it engages the stopping unit 140. In contrast, the moving gear 130 transl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opping unit 140 and can rotate without limitation when spaced apart from the stopping unit 140. The stopping unit 140 may be integrated into the mounting base 110.

복귀 유닛(150)은 랙 브라켓(120)을 후진 방향(B)으로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이다. 복귀 유닛(150)은 피니언 기어부(131)가 랙 기어부(121)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랙 브라켓(120)을 복귀시킬 수 있다. 복귀 유닛(150)은, 예를 들어, 랙 브라켓(120)과 마운팅 베이스(110)를 연결하는 복귀 스프링일 수 있다. The return unit 150 moves the rack bracket 120 in the backward direction (B) and returns it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return unit 150 may return the rack bracket 120 while the pinion gear unit 131 is spaced apart from the rack gear unit 121. The return unit 150 may be, for example, a return spring that connects the rack bracket 120 and the mounting base 110.

스테이(160)는 상기 시트 백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스테이(16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마운팅 베이스(110)가 결합될 수 있다. 마운팅 베이스(110)는 구체적으로 스테이(160)에 대해 용접될 수 있다. The stay 160 is connected to the seat back.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base 1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ay 160. The mounting base 110 may be specifically welded to the stay 160.

도 2는 도 1의 마운팅 베이스(110), 무빙 기어(130), 및 구동 유닛(170)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base 110, moving gear 130, and drive unit 170 of FIG. 1.

본 도면을 참조하면, 마운팅 베이스(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저면은 스테이(16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에는 무빙 기어(130의 병진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기어(130)의 회전 중심축, 다시 말해 중심 샤프트(135)는 제1 가이드 홈(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mounting base 110 may have a base plate 111.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111 may be welded to the stay 160. A first guide groove 113 may be formed in the base plate 111 to guide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130.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moving gear 130, that is, the central shaft 135, is the first guide. 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113.

제1 가이드 홈(113)은 진퇴 가이드부(114), 그리고 이격 가이드부(115)를 가질 수 있다. 진퇴 가이드부(114)는 스톱핑 유닛(140)을 향한 방향{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격 가이드부(115)는 진퇴 가이드부(114)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S 및 A)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격 가이드부(115)의 일 단부는 진퇴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에 연통될 수 있다. 이격 가이드부(115)는 무빙 기어(130)를 랙 기어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들(114 및 115)은 서로 간에 대체로 수직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guide groove 113 may have an advance/retract guide portion 114 and a separation guide portion 115. The forward/backward guide unit 114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stopping unit 140 (forward/backward direction (F and B)). The spacing guide unit 115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vance/retract guide unit 114, for examp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 and A). One end of the spacing guide part 115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dvance/retract guide part 114. The spacing guide unit 115 may guide the moving gear 13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ck gear unit 121. These 114 and 115 may have a generally vertical relationship to each other.

마운팅 베이스(110)는 또한 커버 플레이트(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16)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함께 랙 브라켓(120)이 삽입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플레이트(116)는 랙 브라켓(120)을 기준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커버 플레이트(116)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결합되거나, 스테이(1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116)는 제1 가이드 홈(113)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 홈(118)을 가질 수 있다. 이들(113 및 118)은 무빙 기어(130)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하도록 안내한다. Mounting base 110 may also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116. The cover plate 116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111 may define a space into which the rack bracket 120 is inserted. To this end, the cover plate 116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plate 111 with respect to the rack bracket 120. The cover plate 116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1 or may be coupled to the stay 160. The cover plate 116 may have a second guide groove 118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groove 113. These (113 and 118) guide the moving gear 130 to make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vements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무빙 기어(130)는 피니언 기어부(131)에 더하여, 추가적인 기어부(133)를 더 가질 수 있다. 기어부(133)는 피니언 기어부(131)와 다른 레벨, 구체적으로 피니언 기어부(1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어부(133)는 피니언 기어부(131)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나, 개별적인 기어이는 피니언 기어부(131)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이들 기어부(131 및 133)의 중심에는 중심 샤프트(135)가 배치될 수 있다. The moving gear 13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gear unit 133 in addition to the pinion gear unit 131. The gear unit 133 may be located at a different level from the pinion gear unit 131, specifically, below the pinion gear unit 131. The gear unit 133 has a larger size than the pinion gear unit 131, but individual gears may be smaller than the pinion gear unit 131. A central shaft 135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se gear units 131 and 133.

스톱핑 유닛(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일체화된 몸체(141)를 가질 수 있다. 몸체(141) 중 무빙 기어(130)를 마주하는 면에는 제1 계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계합부(145)는 무빙 기어(130)의 접근에 따라 기어부(133)(제2 계합부)와 맞물리는 것이다. 제1 계합부(145)가 기어부(제1 기어부)로 형성된 경우에, 2 계합부(133) 역시 기어부(제2 기어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ing unit 140 may have a body 141 integrated with the base plate 111. A first engaging portion 145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141 facing the moving gear 130.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5 engages with the gear portion 133 (second engaging portion) as the moving gear 130 approaches.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5 is formed as a gear portion (first gear porti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3 may also be formed as a gear portion (second gear portion).

무빙 기어(130)를 제1 가이드 홈(113) 내에서 병진운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동 유닛(17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무빙 기어(130)를 진퇴 가이드부(114) 내에서 스톱핑 유닛(140)을 향한 방향을 따라 병진운동시키거나, 이격 가이드부(115) 내에서 랙 기어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병진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A driving unit 17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ranslate the moving gear 130 within the first guide groove 113. The drive unit 170 translates the moving gear 130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stopping unit 140 within the advance/retract guide unit 114, or moves the moving gear 130 within the spacing guide unit 115 to the rack gear unit 121. It is intended to cause translational movement along a direction away from .

구동 유닛(170)은, 예를 들어, 상기 방향을 따라 중심 샤프트(135)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첵킹(checking)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첵킹 스프링의 일 단부(171)는 커버 플레이트(116)에 장착되고, 타 단부(173)은 중심 샤프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양단부(171 및 173) 사이의 중간 영역은 탄성력을 발휘하는 텐션부(175)가 될 수 있다. 텐션부(175)는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려진 부분일 수 있다.The drive unit 170 may be, for example, a checking spring that elastically biases the central shaft 135 along the above direction. One end 171 of the checking spring may be mounted on the cover plate 116, and the other end 173 may be mounted on the central shaft 135. The middle area between both ends 171 and 173 may be a tension portion 175 that exerts elastic force. The tension part 175 may be a part bent to form an arc shape.

이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전후진 방향(F 및 B)을 따라 위치 조정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도 1에서 랙 브라켓(120)과 무빙 기어(130){및 스톱핑 유닛(140)} 간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headrest module 100 is position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 and B). FIGS. 3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ack bracket 120 and the moving gear 130 (and the stopping unit 140) in FIG. 1.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랙 브라켓(120)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랙 브라켓(120)은 랙 기어부(121)가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122)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2)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2)에는 컷아웃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컷아웃부(123)를 한정하는 일 모서리에 랙 기어부(121)가 형성된다. First, the rack bracket 120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rack bracket 120 may have a main plate 122 on which the rack gear portion 121 is formed. The main plate 122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ase plate 111. A cutout portion 123 may be formed in the main plate 122. A rack gear portion 121 is formed at one corner defining the cutout portion 123.

랙 기어부(121)의 일 단부 측에는 무빙 기어(130)를 랙 기어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1 유도 부재(125)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도 부재(125)는 랙 기어부(121)의 연장 방향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유도면(126)을 가질 수 있다. 유도면(126)은 대체로 경사면이고, 평면 혹은 곡면일 수도 있다. A first guiding member 125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rack gear unit 121 to guide the moving gear 13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ck gear unit 121. The first guiding member 125 may have a guiding surface 126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ack gear unit 121. The guiding surface 126 is generally an inclined surface and may be a flat or curved surface.

랙 기어부(121)의 타 단부 측에는 제2 유도 부재(12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도 부재(127)는 구체적으로, 컷아웃부(123)를 한정하는 다른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도 부재(127)는 무빙 기어(130)를 랙 기어부(121)를 향해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유도 부재(127) 역시 유도면(126)을 마주하는 유도면(128)을 가질 수 있다. A second guiding member 127 may b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rack gear unit 121. The second guiding member 127 may be specifically formed at another corner defining the cutout portion 123. The second guiding member 127 is for guiding the moving gear 130 toward the rack gear unit 121. The second guiding member 127 may also have a guiding surface 128 facing the guiding surface 126.

본 도면에서는 제1 유도 부재(125)는 메인 플레이트(122)에 별도로 조립되고 제2 유도 부재(127)는 메인 플레이트(122)에 일체화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는 조립 방식을 고려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들(125 및 127) 모두 메인 플레이트(122)에 일체화되거나, 별도로 조립될 수도 있다. In this drawing, the first guiding member 125 is separately assembled to the main plate 122 and the second guiding member 127 is illustrated as integrated with the main plate 122. However, this is only considering the assembly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at. Both of them 125 and 127 may be integrated into the main plate 122, or may be assembled separately.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후진 방향(B)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이다. 피니언 기어부(131)는 랙 기어부(121)의 일 단부에서 그와 치합된 상태이다. 제2 기어부(133)는 제1 기어부(145)에 치합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랙 브라켓(120)을 전진 방향(F)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headrest module 100 is moved to its maximum in the reverse direction (B). The pinion gear unit 131 is meshed with the rack gear unit 121 at one end. The second gear unit 133 is meshed with the first gear unit 145.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module 100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s (F and B), the user must move the rack bracket 120 in the forward direction (F).

도 4를 참조하면, 랙 브라켓(120)이 전진 방향(F)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니언 기어부(131)는 랙 기어부(121)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이런 이동 과정에서 랙 기어부(121)와 피니언 기어부(131) 간의 위치 관계의 변화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as the rack bracket 12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F), the pinion gear unit 131 is located in another part of the rack gear unit 121, for example, in the central part. During this movement process, changes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ack gear unit 121 and the pinion gear unit 1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랙 브라켓(120)이 전진 방향(F)으로 당겨짐에 따라, 랙 기어부(121)는 피니언 기어부(131)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랙 기어부(121)와 피니언 기어부(131) 간의 작용으로, 무빙 기어(130)는 전진 방향(F)으로 병진운동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중심 샤프트(135)는 진퇴 가이드부(114) 내에서 전진 방향(F)을 따라 이동된다. 그 결과로, 제2 기어부(133)가 제1 기어부(145)에서 이격되면서, 피니언 기어부(131)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도 6 참조).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as the rack bracket 120 is pulled in the forward direction (F), the rack gear unit 121 rotates the pinion gear unit 131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Due to the action between the rack gear unit 121 and the pinion gear unit 131, the moving gear 130 is also transl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F). Specifically, the center shaft 135 moves along the forward direction F within the advance/retract guide unit 114. As a result, as the second gear unit 13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ear unit 145, rotational movement of the pinion gear unit 131 becomes possible (see FIG. 6).

랙 브라켓(120)을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구동 유닛(170)(도 2 참조)의 힘에 의해 무빙 기어(130)는 스톱핑 유닛(140)을 향해 병진운동된다. 제2 기어부(133)가 제1 기어부(145)에 계합됨에 따라, 무빙 기어(130)의 회전운동은 불가능해진다(도 5 참조). 그에 따라, 사용자는 헤드레스트 모듈(100)을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When the force pulling the rack bracket 120 is removed, the moving gear 130 is translated toward the stopping unit 140 by the force of the driving unit 170 (see FIG. 2). As the second gear unit 133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unit 145,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130 becomes impossible (see FIG. 5). Accordingly, the user can fix the headrest module 100 at a desired posi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랙 브라켓(120)을 최대로 당길 수 있다. 그에 따라, 피니언 기어부(131)는 랙 기어부(121)의 단부 영역에 치합된다. 피니언 기어부(131)는 제1 유도 부재(125)에 맞물려서 랙 기어부(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user can pull the rack bracket 120 to the maximum. Accordingly, the pinion gear unit 131 is engaged with the end area of the rack gear unit 121. The pinion gear unit 131 engages with the first guiding member 125 and receives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ck gear unit 121.

도 8을 참조하면, 무빙 기어(130)의 중심 샤프트(135)는 제1 가이드 홈(113)의 이격 가이드부(115)를 따라 랙 기어부(121)에서 이격된 위치로 병진운동된다. 무빙 기어(130)는 이격 방향(S)을 따라 이동된 것이다. 이제 피니언 기어부(131)는 랙 기어부(121)에서 치합된 상태에서 벗어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entral shaft 135 of the moving gear 130 is translat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ack gear portion 121 along the spaced guide portion 115 of the first guide groove 113. The moving gear 130 is moved along the separation direction (S). Now, the pinion gear unit 131 is out of the meshed state with the rack gear unit 121.

도 9를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부(131)가 랙 기어부(12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복귀 유닛(150)의 작용에 의해 랙 브라켓(120)은 후진 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니언 기어부(131)는 제2 유도 부재(128)에 맞물려서 랙 기어부(121)에 접근하는 방향(A)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무빙 기어(130)는 도 3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a state where the pinion gear unit 131 is spaced apart from the rack gear unit 121, the rack bracket 120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B) by the action of the return unit 150. The pinion gear unit 131 engages with the second guiding member 128 and receives force in the direction A approaching the rack gear unit 121. Accordingly, the moving gear 130 may return to the state shown in FIG. 3.

이상을 종합하면, 사용자가 랙 브라켓(120)을 전진 방향(F)으로 당김에 따라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도 3의 상태(위치)에서 도 7의 상태(위치)까지 중의 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랙 브라켓(120), 무빙 기어(130) 및 스톱핑 유닛(140)은 도 5 및 도 6의 상태를 오가면서 랙 브라켓(120)의 전진 및 고정(전진된 일 위치에)이 이루어지게 한다. 사용자가 랙 브라켓(120)을 전진 방향(F)을 최대로 당기면, 피니언 기어부(131)가 랙 기어부(121)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복귀 스프링이 작용하여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자동적으로 최대로 후퇴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In summary, as the user pulls the rack bracket 120 in the forward direction (F), the headrest module 100 is positioned in one of the positions from the state (position) in FIG. 3 to the state (position) in FIG. 7. can do. The rack bracket 120, the moving gear 130, and the stopping unit 140 move the rack bracket 120 back and forth between the states of FIGS. 5 and 6 to advance and fix the rack bracket 120 (at one advanced pos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rack bracket 120 in the forward direction (F) to the maximum, the return spring acts while the pinion gear unit 131 is separated from the rack gear unit 121, and the headrest module 100 automatically You can return to the maximum retreated state.

100: 헤드레스트 모듈 110: 마운팅 베이스
120: 랙 브라켓 130: 무빙 기어
140: 스톱핑 유닛 150: 복구 유닛
160: 스테이 170: 구동 유닛
100: headrest module 110: mounting base
120: Rack bracket 130: Moving gear
140: Stopping unit 150: Recovery unit
160: stay 170: driving unit

Claims (16)

마운팅 베이스;
랙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상기 랙 기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병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브라켓;
상기 랙 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부의 병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가 일 방향으로 병진운동함에 따라 상기 무빙 기어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되는 스톱핑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mounting base;
a rack bracket having a rack gear unit and mounted on the mounting base to enable translational movement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rack gear unit;
a moving gear having a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being installed to enable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A headrest comprising a stopping unit formed to stop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as the pinion gear unit, which rotates due to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rack gear unit, moves in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무빙 기어의 병진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홈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기어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심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unting base is,
It includes a base plate having a first guide groove that guides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The moving gear is,
A headrest module further comprising a center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진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guide groove is,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n advance/retract guide portion extending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stopp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함께 상기 무빙 기어의 병진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홈을 갖고, 상기 랙 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mounting base is,
A cover plate having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groove and guiding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gear together with the first guide groove, and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base plate with respect to the rack bracket. Further comprising a headrest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병진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A headrest module further comprising a drive unit configured to translate the central shaft toward the stopp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도록 형성되는 첵킹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driving unit is,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checking spring configured to elastically bias the central shaft toward the stopp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핑 유닛은,
제1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기어는,
상기 무빙 기어가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계합부에 계합하도록 배치되는 제2 계합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pping unit is,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The moving gear is,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arranged to engage the first engaging portion as the moving gear approaches the stopp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다른 레벨에 위치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In clause 7,
The first engaging portion,
It includes a first gear portion formed on the mounting bas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second gear unit located at a different level from the pinion gea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랙 브라켓은,
상기 랙 기어부의 일 단부 측에 위치하여, 상기 무빙 기어를 상기 랙 기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rack bracket is,
The headrest module further includes a first guiding member located at one end of the rack gear unit and guiding the moving gea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ack gear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부재는,
상기 랙 기어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유도면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The first guiding member is,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guiding surface form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ack gear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랙 브라켓은,
상기 랙 기어부의 타 단부 측에 위치하여, 상기 무빙 기어를 상기 랙 기어부를 향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The rack bracket is,
The headrest module further includes a second guiding member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rack gear unit and guiding the moving gear in a direction toward the rack gear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진퇴 가이드부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유도 부재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무빙 기어를 안내하도록 상기 진퇴 가이드부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이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The first guide groove is,
The headrest module further includes a spacing guide par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dvance and retreat guide part and extends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vance and retreat guide part to guide the moving gear guided by the first guiding me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샤프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한 방향 및 상기 랙 기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병진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상기 하나의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도록 형성되는 첵킹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use 12,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entral shaft, it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translate the central shaft in one of a direction toward the stopping unit and a direction away from the rack gear portion.
The driving unit is,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checking spring configured to elastically bias the central shaft toward the one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기어가 상기 랙 기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된 상태에서, 상기 랙 브라켓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형성되는 복귀 유닛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The headrest module further includes a return unit configured to restore the rack bracket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he moving gear is guided away from the rack gear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유닛은,
상기 랙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연결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use 14,
The return unit is,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return spring connecting the rack bracket and the mounting base.
제1항에 있어서,
시트 백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장착되는 스테이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headrest module formed to be coupled to a seat back and further comprising a stay mounted on the mounting base.
KR1020230161270A 2023-01-19 2023-11-20 Head rest module Pending KR2024011572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4203443.7A EP4556307A1 (en) 2023-11-20 2024-09-30 Headrest module
US18/903,578 US20250162481A1 (en) 2023-11-20 2024-10-01 Headrest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927 2023-01-19
KR20230002927 2023-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5722A true KR20240115722A (en) 2024-07-26

Family

ID=9214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270A Pending KR20240115722A (en) 2023-01-19 2023-11-20 Head rest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157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073B2 (en) Vehicle seat
US8172319B2 (en) Active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and actuator thereof
US11273733B2 (en) Relaxation comfort seat for vehicle
KR20060122725A (en) Vehicle seat and back part support method of crew / passenger by the seat
US20080106135A1 (en) Recliner regulating structure of rear seat for vehicle
US6983989B1 (en) Linear adjustable active head restraint
CN102442232A (en) Movable head restraints for vehicle seats
JP2006088748A (en) Sheet device
CN102442231A (en) Movable head restraints for vehicle seats
US10179530B2 (en) Simultaneously rotatable and translatable vehicle head restraint
KR101391858B1 (en) Crash-active headrest having a locking pushbutton
KR101082768B1 (en) Easy Entry Memory System
KR20240115722A (en) Head rest module
US20250162481A1 (en) Headrest module
KR102419987B1 (en) Head rest module
JP7051239B2 (en) Vehicle seat
KR102333282B1 (en) Head rest module
KR102052387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ack bolster
EP4063188B1 (en) Actuator for recliner
KR102425635B1 (en) Locking device for recliner and recliner actuator including the same
KR100889436B1 (en) Active headrest on the car seat
KR102435907B1 (en) Head rest module
JP2005306322A (en) Seat device for vehicle
KR20250043239A (en) Headrest module
JP4158643B2 (en) Vehicle sea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