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1459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4590A
KR20240114590A KR1020230006907A KR20230006907A KR20240114590A KR 20240114590 A KR20240114590 A KR 20240114590A KR 1020230006907 A KR1020230006907 A KR 1020230006907A KR 20230006907 A KR20230006907 A KR 20230006907A KR 20240114590 A KR20240114590 A KR 2024011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lates
led
plates
rear chassi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민
황용연
김경훈
박철순
박현연
정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4590A/ko
Priority to PCT/KR2023/017940 priority patent/WO2024154912A1/ko
Publication of KR2024011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459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 상기 리어 섀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복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 플레이트와,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판 사이의 광학거리의 편차를 감소시키도록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서버용 컴퓨터 등에 연결된 모니터 장치나, 휴대용 컴퓨터 장치나,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나, 일반 텔레비전 장치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장치나,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셀룰러 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나, 산업 현장에서 광고나 영화 같은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나, 또는 이외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광원 모듈을 포함하며, 광원 모듈은 독립적으로 광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광원들 각각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circuit board 또는 substrate)과 같은 플레이트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되는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배치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가 리어 섀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리어 섀시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와 확산판 사이의 광학거리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기 위해 리어 섀시의 전면에 비딩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기 위해 리어 섀시의 전면에 지지부재가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지지부재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마련되도록 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 상기 리어 섀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 상기 리어 섀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비딩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섀시의 전면에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가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섀시의 전면에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전면에 확산판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섀시 전면에 복수개의 비딩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섀시의 전면에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가 체결되고,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전면에 확산판이 마련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섀시의 전면에 형성된 비딩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딩이 전면 섀시의 전면에서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마다 한 개만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전면 섀시의 전면에 부착되고,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마다 복수개로 마련되어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전면 섀시의 전면에 부착되고,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마다 한 개로 마련되어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섀시의 전면에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가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섀시의 전면에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전면에 확산판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curved display apparatus)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백라이트 유닛(2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인 백라이트 유닛(20)의 후면에 배치되는 리어 섀시(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섀시(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섀시(50)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섀시(50)는 곡률을 갖도록 유선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전면에 마련되는 확산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판(40)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전면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6 참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에는 광원인 복수개의 엘이디(31, 도 6 참조)가 실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가 체결되는 리어 섀시(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는 복수개의 체결부재(B)에 의해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가 8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는 4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가 1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은 4개의 체결부재(B)에 의해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이 4개의 체결부재(B)에 의해 리어 섀시(50)에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개의 체결부재(B)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와 인접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4개의 체결부재(B)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모서리와 인접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4개의 체결부재(B)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로부터 대략 20㎜ ~ 80㎜의 거리를 갖는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와 인접한 위치에서 4개의 체결부재(B)에 의해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부분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리어 섀시(50)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중앙 부분은 테두리 부분과 비교하여 리어 섀시(50)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전면에 마련되는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Optical Distance, D, 도 6 참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D)에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은 4개의 체결부재(B)와 인접한 부분일수록 리어 섀시(50)와 밀착되고, 4개의 체결부재(B)와의 거리가 멀수록 리어 섀시(50)로부터 들뜰 수 있다.
4개 체결부재(B)의 위치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 부분에 인접할수록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 부분은 리어 섀시(50)와 밀착되지만,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중앙 부분은 리어 섀시(5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반대로, 4개의 체결부재(B)의 위치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중앙 부분은 리어 섀시(50)와 가까워질 수 있지만,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각각의 테두리 부분은 리어 섀시(5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50) 사이의 광학거리(D)가 일정하지 않고 편차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화면에는 국부적으로 암부 또는 휘부가 발생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50) 사이의 광학거리(D)가 상대적으로 먼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화면에 암부가 발생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50) 사이의 광학거리(D)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화면에 휘부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화면에는 무라(MURA)가 발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화면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40) 사이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D)의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리어 섀시(5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어 섀시 전면에 복수개의 비딩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섀시의 전면에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가 체결되고,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전면에 확산판이 마련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섀시의 전면에 형성된 비딩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섀시(50)의 전면에는 지지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복수개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에서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확산판(4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확산판(4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중앙 부분은 리어 섀시(50)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00)에 의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중앙 부분은 리어 섀시(50)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D)의 편차는 감소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리어 섀시(50)의 전면에서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비딩(110)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딩(11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비딩(110)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비딩(110)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로 방향이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한 방향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가 8개로 마련되는 경우 비딩(110)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인 3개의 줄로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줄에 형성되는 비딩(110)은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간격(D1)은 대략 0.9 ~ 1.1㎜일 수 있다. 전면 섀시(50)에 형성되는 비딩(110)의 폭(W)은 대략 5 ~ 10㎜일 수 있다. 비딩(110)의 높이(H)는 대략 0.3 ~ 0.5㎜일 수 있다. 여기서, 비딩(110)의 폭(W)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비딩(110)의 높이(H)는 비딩(110)이 전면 섀시(5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일 수 있다. 전면 섀시(50)에 형성되는 비딩(110)의 폭(W)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에 실장된 복수개의 엘이디(31) 중심 사이의 간격(D2)보다 작은 길이일 수 있다. 즉, 전면 섀시(50)에 형성되는 비딩(110)의 폭(W)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간격(D1)보다는 길고, 복수개의 엘이디(31) 중심 사이의 간격(D2)보다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딩(110)은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다. 비딩(110)은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사이마다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딩(110)은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확산판(4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복수개의 비딩(110)에 의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가 지지되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는 중심 부분이 들뜨는 것이 방지되어 전체적으로,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D)가 대략적으로 일정해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와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D)의 편차가 감소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도 1 참조)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딩이 전면 섀시의 전면에서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마다 한 개만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딩(12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비딩(120)은 복수개로 형성되지만,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마다 한 개의 비딩(120)만 형성될 수 있다. 비딩(120)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일자 형상의 바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비딩(120)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복수개가 아닌 한 개의 비딩(120)만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한 개의 비딩(120)이 형성되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 도 1 참조)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전면 섀시의 전면에 부착되고,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마다 복수개로 마련되어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별도로 마련되어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 이외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비딩(110)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3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전면 섀시의 전면에 부착되고,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마다 한 개로 마련되어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4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별도로 마련되어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 이외에는 도 8에 도시된 비딩(120)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4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면 섀시(5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한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일자 형상의 바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50), 상기 리어 섀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엘이디(31)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4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0)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가 리어 섀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리어 섀시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와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D)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마련되도록 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상기 확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와 상기 확산판 사이의 광학거리(D)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상기 리어 섀시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비딩(110, 12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딩(110)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비딩(110)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서만 배치되도록 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비딩(120)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일자 형상의 바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비딩(120)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D1)은 대략 0.9 ~ 1.1㎜이고, 상기 비딩의 폭(W)은 대략 5 ~ 10㎜일 수 있다.
상기 비딩의 폭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중심 사이의 간격(D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비딩의 높이(H)는 대략 0.3 ~ 0.5㎜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 140)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지지부재(130)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마련되도록 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자 형상의 바로 마련되어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지지부재(140)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마다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상기 확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마다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지지부재(100)가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마련되도록 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50), 상기 리어 섀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엘이디(31)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4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비딩(110, 120)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가 리어 섀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리어 섀시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와 확산판(40) 사이의 광학거리(D)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리어 섀시(50)의 전면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무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가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마련되도록 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비딩(110)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마다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비딩(110)이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서만 배치되도록 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비딩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상기 확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가 상기 리어 섀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딩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상기 리어 섀시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딩의 가로 방향으로의 폭(W)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D1)보다는 크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중심 사이의 간격(D2)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개시된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디스플레이 패널
20 : 백라이트 유닛
30 : 엘이디 플레이트 31 : 엘이디
40 : 확산판
50 : 리어 섀시
100 : 지지부재
110, 120 : 비딩 130, 140 : 지지부재
B : 체결부재 D : 광학거리
D1 :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
D2 : 엘이디 중심 사이의 간격
W : 비딩의 폭 H : 비딩의 높이

Claims (20)

  1.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50);
    상기 리어 섀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엘이디(31)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40); 및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0)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상기 확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와 상기 확산판 사이의 광학거리(D)의 편차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상기 리어 섀시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비딩(110, 120)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110)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120)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일자 형상의 바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D1)은 대략 0.9 ~ 1.1㎜이고, 상기 비딩의 폭(W)은 대략 5 ~ 10㎜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의 폭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중심 사이의 간격(D2)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의 높이(H)는 대략 0.3 ~ 0.5㎜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0, 140)는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자 형상의 바로 마련되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마다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상기 확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마다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곡률을 갖는 리어 섀시(50);
    상기 리어 섀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체결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엘이디(31)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30);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에서 입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40); 및
    상기 리어 섀시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비딩(110, 120);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110)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 중에서 세로 방향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마다 복수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상기 확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가 상기 리어 섀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밀어주어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상기 리어 섀시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의 가로 방향으로의 폭(W)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D1)보다는 크고,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중심 사이의 간격(D2)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0006907A 2023-01-17 2023-01-17 디스플레이 장치 Pending KR20240114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907A KR20240114590A (ko) 2023-01-17 2023-01-17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3/017940 WO2024154912A1 (ko) 2023-01-17 2023-11-0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907A KR20240114590A (ko) 2023-01-17 2023-01-1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4590A true KR20240114590A (ko) 2024-07-24

Family

ID=9195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907A Pending KR20240114590A (ko) 2023-01-17 2023-01-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14590A (ko)
WO (1) WO20241549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0932B2 (ja) * 2006-12-19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0146914A1 (ja) * 2009-06-15 2010-12-2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10113283A (ko) * 2010-04-09 2011-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747340B1 (ko) * 2010-10-05 2017-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320143B1 (ko) * 2015-02-13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54912A1 (ko) 202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828B2 (en) Display apparatus
US10001670B2 (en) Supporting member for backlight unit,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16932B1 (ko)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3634B1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복수의 표시 장치들을 포함하는 did 장치
US8446546B2 (en) Backlight module with bent reflector sheet and display panel device
US10261231B2 (en) Display apparatus
US201301071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176273B2 (en) Backlight unit for use in multiple-display device
KR2011001213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9762844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6431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6299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313889A1 (en) Touch Display Apparatus
JP201902147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US10268065B2 (en) Display apparatus
US20080030652A1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
KR202401145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264400B1 (en) Back plate for use in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uch a back plate
JP4648114B2 (ja) 表示装置
US10866460B2 (en) Display apparatus
KR20080069745A (ko) 표시 장치
US20210014983A1 (en) Display device
KR20200060335A (ko)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5018B1 (ko) 들뜸 방지 백 커버 장치
KR10208112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