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2126A - Electrode structure with active layer of vertical direction - Google Patents
Electrode structure with active layer of vertical dir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12126A KR20240112126A KR1020230004319A KR20230004319A KR20240112126A KR 20240112126 A KR20240112126 A KR 20240112126A KR 1020230004319 A KR1020230004319 A KR 1020230004319A KR 20230004319 A KR20230004319 A KR 20230004319A KR 20240112126 A KR20240112126 A KR 202401121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structure
- active layer
- present
- planar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228 NAS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21385 hard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group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group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27 LIS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atom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014 ion exchange membra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41 cat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5—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with 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막, 이온교환막 또는 고체전해질이 적용되는 전지(battery)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using a separator, ion exchange membrane, or solid electrolyte,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apacity per unit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battery)의 전극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막(separator), 이온교환막 또는 고체전해질 등이 적용된 전지에서의 음극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structure for a battery,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thode structure for a battery to which a separator, ion exchange membrane, or solid electrolyte is applied.
해수전지의 해수 양극 혹은 metal-air 전지의 산소 양극과 같이 한쪽의 전극이 충분한 용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 나머지 반대쪽의 전극의 용량에 의해 전체 전지 용량이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는 고체전해질 혹은 membrane을 활용하여 특정 두께를 가지는 분리된 전극 구조를 필요로 하며, 이는 기존 리튬이온전지에서 상용화된 젤리롤 전극과 같은 구조의 전극을 활용할 수 없으므로, 한쪽 전극 자체로 높은 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When one electrode has sufficient capacity, such as the seawater anode of a seawater battery or the oxygen anode of a metal-air battery, the total battery capacity is determined by the capacity of the remaining electrode. These systems require a separate electrode structure with a specific thickness using a solid electrolyte or membrane. Since electrodes with a structure such as the jelly roll electrode commercialized in existing lithium-ion batteries cannot be used, one electrode itself has a high A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capacity is needed.
기존의 높은 면적당 용량을 얻기 위한 전극의 구조는 활물질의 로딩 수준(loading level)을 높이거나, 전극을 지지체에 두껍게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두꺼워진 전극 구조에 따라 전극 내의 낮은 이온 diffusion 및 낮은 전자전도도로 인하여 용량 발현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전극의 면적당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연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20mAh/cm2 이상의 높은 면적 당 용량을 달성하는 경우는 발견하기 어려우며, 전극의 두께를 활용하지 못하고 제작 시의 어려움도 동반한다.The existing electrode structure to obtain high capacity per area can be manufactured by increasing the loading level of the active material or thickly laminating the electrode on the support, but the thickened electrode structure results in low ion diffusion and low electronic conductivity within the electrode. As a result, the capacity development rate is low. In addition, various studies are being developed to increase the capacity per area of the electrode, but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of achieving a high capacity per area of ~20 mAh/cm 2 or more, and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cannot be utilized and is accompanied by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본 발명은 두꺼운 전극에도 효율적인 이온 및 전자의 이동을 통해 용량 발현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pacity development rate to be increased through efficient ion and electron movement even in thick electrod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극 구조체는 양극과 음극을 분리시키는 면상 부재(planar member); 및 상기 면상 부재의 일 면에 대하여 활성층 면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전극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on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ar member that separates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electrode whose active layer surface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planar member.
상기 면상 부재는 고체전해질일 수 있다.The planar member may be a solid electrolyte.
상기 고체전해질은 LISICON 또는 NASICON일 수 있다.The solid electrolyte may be LISICON or NASICON.
상기 전극은 길이부재로서, 상기 길이부재는 상기 활성층 면이 상기 면상 부재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조적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electrode is a long member, and the long member may have a structural shape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active layer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planar member.
상기 전극은 집전체 상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활성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electrode may have the act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상기 전극은 상기 길이부재의 나선형(spiral) 형태 또는 지그재그(zig-zag) 형태인 것일 수 있다.The electrode may have a spiral shape or a zig-zag shape of the length member.
상기 집전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인 것일 수 있다.The current collector may be copper or aluminum.
상기 활성층은 흑연(graphite), 하드카본, 인(phosphorus), 주석(tin) 또는 안티몬(antimony)인 것일 수 있다.The active layer may be graphite, hard carbon, phosphorus, tin, or antimony.
본 발명은 분리막, 이온교환막 또는 고체전해질이 적용되는 전지(battery)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apacity per unit area in batteries using a separator, ion exchange membrane, or solid electrolyt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를 전지에서 음극(anode)로서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전극의 길이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전극 구조체에서 면상 부재 방향 면으로의 전극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3b에 도시된 전극 구조체에서 면상 부재 방향 면으로의 전극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전극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를 적용한 Na metal half-cell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전극 넓이에 따른 용량 발현 결과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전극 길이에 따른 용량 발현 결과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활성층 로딩양에 따른 용량 발현 결과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전극 형태에 따른 용량 발현 결과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극셀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해수전지 full-cell에서의 수명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a shows a cross-section of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as a cathode (anode) in a battery.
Figure 2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an electrode of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how an example of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shows a front view of the electrode in the direction of the planar member in the electrode structure shown in FIG. 3A.
Figure 4b shows a front view of the electrode in the direction of the planar member in the electrode structure shown in Figure 3b.
Figure 5 shows a front view of an electrode of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Na metal half-cell to which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shows capacity development result data depending on the electrode area of 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capacity development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electrode length of 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capacity development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active layer loading amount of 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capacity development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electrode shape of 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de cell manufactured using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the results of a life test in a full-cell seawater battery of 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10)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a shows a cross-section of the
도 1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10)는 면상 부재(100); 및 전극(200)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면상 부재(100); 및 고체전해질(100)의 일 면에 대하여 활성층(220) 면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전극(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A,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는 분리막(separator), 이온교환막(ion-exchange membrane) 또는 고체전해질에 의하여 양극과 음극으로 구분된 전극 구역을 가지는 리튬이온배터리(LIB), 전고체 전지, Li-air 배터리, Na-air 배터리, 해수전지, 담수화 전지 등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thium-ion battery (LIB), an all-solid-state battery, having an electrode area divided into an anode and a cathode by a separator, an ion-exchange membrane, or a solid electrolyte. It may be -air battery, Na-air battery, seawater battery, desalination batter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면상 부재(100)는 전지에 있어서, 전극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면상 부재(1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면(planar)의 부재일 수 있으며, 전극의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것일 수 있다. The
면상 부재(100)는 분리막(separator), 이온교환막(ion-exchange membrane) 또는 고체전해질일 수 있으며, 전극의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부재를 모두 이에 해당될 수 있다.The
상기 고체전해질은 양이온교환막일 수 있으며, 상기 양이온교환막은 리튬(Li) 이온교환막 또는 나트륨(Na) 이온교환막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전해질은 LISICON(Li2+2xZn1-xGeO4, 0<x<1) 또는 NASICON(Na1+xZr2SixP3-xO12, 0<x<3)일 수 있다.The solid electrolyte may be a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may be a lithium (Li) ion exchange membrane or a sodium (Na) ion exchange membrane. More specifically, the solid electrolyte is LISICON (Li 2+2x Zn 1-x GeO 4 , 0<x<1) or NASICON (Na 1+x Zr 2 Si x P 3-x O 12 , 0<x<3) It can be.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10)를 전지에서 음극(anode)로서 적용한 모식도이다.Figure 1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도 1b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10)는 음극 구조체일 수 있으며, 면상 부재(100); 전극(200); 및 반대 전극(3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200)은 음극(anode)이며, 상기 반대 전극(300)은 양극(cathode)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도 1a 및 도 1b은 전극 구조체(10)에 전극(200)을 구성하는 단위 전극(200a, 200b)이 수직으로 적층되는 것이 아닌 후술되는 길이부재의 전극(200)이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구성됨에 따른 전극(2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전극(200)은 단위 전극(200a, 200b)들이 모두 단일의 구성체로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다(후술되는 도 2 내지 도 4b 참조).1A and 1B show that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10)의 전극(200)의 길이단면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전극(200)은 길이부재일 수 있으며, 전극(200)은 길이부재의 집전체(210) 상의 일면(도 2의 (a)) 또는 양면(도 2의 (b))에 대하여 활성층(220, 220a, 220b)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도 1a의 삽도(inset)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극(200)은 길이부재로서, 상기 길이부재는 활성층(220, 220a, 220b) 면이 면상 부재(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조적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면상 부재(100)의 일면에 대하여 전극(200)의 활성층(220) 면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닌 직교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면상 부재(100)의 일면에 대하여 전극(200)의 활성층(220) 면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set of FIG. 1A and FIG. 2, th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나선형(spiral) 형상의 전극을 갖는 전극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지그재그 형상의 전극을 갖는 전극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전극 구조체에서 면상 부재(100) 방향 면으로의 전극(2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도 3b에 도시된 전극 구조체에서 면상 부재(100) 방향 면으로의 전극(2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3A and 3B show an example of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shows an electrode structure having a spiral-shaped electrode, and FIG. 3B shows a zigzag-shaped electrode. It shows an electrode structure having a . FIG. 4A is a front view of th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전극(200)은 나선형(spiral) 형상(도 3a) 또는 지그재그(zig-zag) 형상(도 3b)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부재로부터 나선형(spiral) 형상으로 전극(200)을 구성하거나, 상기 길이부재로부터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전극(200)을 구성하는 것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전극(200)은 나선형(spiral) 형상(도 3a)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길이부재의 전극(200)의 나선형 형상의 전극(200)으로 구성함으로써, 전극 구조체(10)에서 전극(200)의 활성층(220) 면이 면상 부재(100)의 일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4a에서의 나선형 형상을 갖는 전극(200)은 단위 전극(200a, 200b)들이 단일의 길이부재로서 연속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일 단위 전극(200a)과 타 단위 전극(200b)은 단일의 길이부재에 따른 단일의 전극(200)인 것이며, 전극(200)이 일 단위 전극(200a)과 타 단위 전극(200b)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선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일 단위 전극(200a)과 타 단위 전극(200b) 사이의 간격은 길이부재의 전극(200)의 총길이(L, 도 5 참조), 전극(200)을 나선형 형상으로 구성하였을 때의 전체 지름(Ф) 및 나선형 형상의 전극(200)에서 형성된 단위 전극(200a, 200b)의 개수를 통하여 계산되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A, the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전극(200)은 지그재그(zig-zag) 형상(도 3b)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길이부재의 전극(200)의 지그재그 형상의 전극(200)으로 구성함으로써, 전극 구조체(10)에서 전극(200)의 활성층(220) 면이 면상 부재(100)의 일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a에서의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전극(200)은 단위 전극(200a, 200b)들이 단일의 길이부재로서 연속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일 단위 전극(200a)과 타 단위 전극(200b)은 단일의 길이부재에 따른 단일의 전극(200)인 것이며, 전극(200)이 일 단위 전극(200a)과 타 단위 전극(200b)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일 단위 전극(200a)과 타 단위 전극(200b) 사이의 간격은 길이부재의 전극(200)의 총 길이(L, 도 5 참조), 전극(200)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였을 때의 단위 전극(200a, 200b)이 형성된 방향으로의 전극(200)의 총 높이(H) 및 지그재그형 형상의 전극(200)에서 형성된 단위 전극(200a, 200b)의 개수를 통하여 계산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b,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구조체(10)의 전극(2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front view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전극(200)은 길이부재로서, 소정의 길이(L)와 소정의 넓이(W)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길이(L)는 12 내지 60 cm일 수 있으며, 넓이(W)는 2 내지 4 mm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집전체(210)는 길이부재의 전극 기재일 수 있으며, 집전체(21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일 수 있다.The
전극(200)은 음극(anode)인 것일 수 있으며, 활성층(220)은 음극활물질로서 흑연(graphite), 하드카본, 인(phosphorus), 주석(tin) 또는 안티몬(antimony)일 수 있다.The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일 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 길이부재 전극(음극)의 제조Manufacturing example. Manufacturing of long member electrodes (cathode)
본 발명에서의 전극(200)을 제조함에 있어, 하기 표 1의 길이 및 넓이를 갖는 길이부재의 집전체(전극기재)로서 구리(Cu foil)를 이용하여,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활성층의 주요 물질로 하드카본(mPAC Hard carbon, 애경유화, d50 particle size 8 μm)을 이용하였으며, 활성층의 조성으로 하드카본 분말(powder) : PVDF(Polyvinylidene fluoride) : Super P(Carbon black)를 90 wt% : 9 wt% : 1 wt%의 혼합비로 구성한 활성층 혼합물 100g 준비한 후, 준비된 활성층 혼합물에 NMP(N-Methyl-2-pyrrolidone) 용매 100g을 첨가하여 슬러리의 형태로 활성층을 제작한 후 7 mg/cm2의 loading level로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하였으며, 코팅 후 80 ℃에서 12 시간(hr) 건조하여 NMP 용매를 모두 증발시킨 후, 코팅된 활성층을 롤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50 내지 100 ㎛의 두께로 압착하여, 하기 표 1에 따른 길이부재의 전극(200)을 제조하였다.In manufacturing the
실시예 1. 나선형(spiral) 전극 및 전극 구조체(음극 구조체)Example 1. Spiral electrode and electrode structure (cathode structure)
도 3a 및 도 4a에서와 같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길이부재의 전극을 나선형의 형태로 감아 지름 16 Ф(16 mm)의 나선형 전극(나선형 형태의 면적: 2.01 cm2)을 제조하였으며, 고체전해질로서 나시콘(NASICON)을 이용하여, 전극의 활성층이 나시콘의 일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고체 전지의 전극 구조체(음극 구조체)를 적용하였다.As shown in FIGS. 3A and 4A, the electrode of the long member manufactu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was wound in a spiral shape to manufacture a spiral electrode with a diameter of 16 Ф (16 mm) (area of the spiral shape: 2.01 cm 2 ), and the solid Using NASICON as an electrolyte, the electrode structure (cathode structure) of the solid battery was applied so that the active layer of the electrode was oriented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NASICON.
실시예 2. 지그재그(zig-zag) 전극 및 전극 구조체(음극 구조체)Example 2. Zig-zag electrode and electrode structure (cathode structure)
도 3b 및 도 4b에서와 같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길이부재의 전극을 0.5cm/1cm/1.5cm//1cm/0.5cm 길이(단위 전극)로 지그재그 형식으로 접어 지그재그형 전극을 제조하였으며, 고체전해질로서 나시콘(NASICON)을 이용하여, 전극의 활성층이 나시콘의 일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전극 구조체(음극 구조체)를 적용하였다.As shown in FIGS. 3B and 4B, the electrode of the length member manufactur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was folded in a zigzag fashion to a length of 0.5cm/1cm/1.5cm//1cm/0.5cm (unit electrode) to manufacture a zigzag electrode. Using NASICON as a solid electrolyte, an electrode structure (cathode structure) was applied so that the active layer of the electrode was oriented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NASICON.
준비예 1. Na 금속 반전지(Na Metal half-cell) 준비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Na Metal half-cell
상기 제조예 및 실시예 1,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전극 구조체를 도 6에 도시된 모식도에서와 같이 Na metal helf-cell(작동전극(WE): 제조예 및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전극 또는 지그재그형 전극, 기준전극(RE): Na metal, 상대전극(CE): 기준전극과 동일, 고체전해질: NASICON)을 구성하여, 하기의 실험예를 수행하였다. 도 6에서의 모식도는, 하부 셀 캡(Bottom), 스페이서(Spacer), 나선형 전극 또는 지그재그형 전극(200), 고체전해질(NASICON)(100), 세퍼레이터(separator), Na metal, 스페이서(Spacer), 스프링(Spring), 상부 셀 캡(Cell cap)으로 구성하였다.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shown in FIG. 6, the electrode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1 and 2 was formed into a Na metal helf-cell (working electrode (WE): a spiral electrode or zigzag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type electrode, reference electrode (RE): Na metal, counter electrode (CE): same as the reference electrode, solid electrolyte: NASICON) were constructed, and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 was performed. The schematic diagram in FIG. 6 shows a lower cell cap (Bottom), a spacer, a spiral electrode or
실험예 1. 전극의 넓이에 따른 용량 비교Experimental Example 1. Comparison of capacity according to electrode width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극 구조체(나선형 전극)에 대하여 상기 준비예 1에서의 Na metal half-cell로 제작하여 용량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확인 결과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서의 제조예 1의 전극은 "2mm", 제조예 2의 전극은 "3mm", 제조예 3의 전극은 "4mm"로 표시하였다.The electrode structure (spiral electrode) of Example 1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des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3 was manufactured with the Na metal half-cell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capacity development was confirmed, and the confirm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ure 7 It is shown in . In FIG. 7,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1 is indicated by “2mm”,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2 is indicated by “3mm”, and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3 is indicated by “4mm”.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전극의 넓이가 증가할수록 총 하드카본 소재의 함유량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면적 용량(areal capacity)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조예 1 내지 3의 전극 모두 일반적인 하드카본의 비용량(Specific capapcity)인 250 mAh/g과 근접하게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2 mm의 넓이의 전극(제조예 1)에서 3 mm(제조예 2), 4 mm(제조예 3)의 전극 대비 낮은 비용량이 발현되었다.Referring to (a) of FIG. 7, it can be seen that as the area of the electrode increases, the total hard carbon material content increases and the areal capacity increases accordingly. Referring to (b) of FIG. 7, it can be seen that all electrodes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3 are expressed close to 250 mAh/g, which is the specific capacity of general hard carbon, and the electrodes with a width of 2 mm (manufactured In Example 1), a lower specific capacity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electrodes of 3 mm (Preparation Example 2) and 4 mm (Preparation Example 3).
실험예 2. 전극의 길이에 따른 용량 비교Experimental Example 2. Comparison of capacity according to electrode length
제조예 2의 전극(길이: 12 cm) 및 제조예 4의 전극(길이: 36 cm)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극 구조체(나선형 전극)에 대하여 상기 준비예 1에서의 Na metal half-cell로 제작하여, 용량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확인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에서의 제조예 2의 전극은 "12cm", 제조예 4의 전극은 "36cm"로 표시하였다.For the electrode structure (spiral electrode) of Example 1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2 (length: 12 cm) and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4 (length: 36 cm), the Na metal half- Cells were manufactured to confirm capacity development, and the confirm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ure 8. In FIG. 8,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2 is indicated as “12cm”, and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4 is indicated as “36cm”.
도 8을 참조하면, 길이가 증가할수록 총 하드카본 소재의 함유량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면적 용량(areal capacity)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it can be seen that as the length increases, the total hard carbon material content increases and the areal capacity increases accordingly.
실험예 3. 활성층 로딩양(loading)에 따른 용량 비교Experimental Example 3. Comparison of capacity according to active layer loading
제조예 2의 전극(길이: 12 cm, 활성층 일면), 제조예 5의 전극(길이: 12 cm, 활성층 양면), 제조예 6의 전극(길이: 60 cm, 활성층 양면) 및 제조예 7의 전극(길이: 140 cm, 활성층 양면)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극 구조체(나선형 전극)에 대하여 상기 준비예 1에서의 Na metal half-cell로 제작하여, 용량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확인 결과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에서의 제조예 2의 전극은 "12cm", 제조예 5의 전극은 "Double side 12cm", 제조예 6의 전극은 "Double side 60cm", 제조예 7의 전극은 "Double side 140 cm"로 표시하였다.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2 (length: 12 cm, one side of active layer),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5 (length: 12 cm, both sides of active layer),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6 (length: 60 cm, both sides of active layer), and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7. (Length: 140 cm, both sides of active layer) The electrode structure (spiral electrode) of Example 1 was manufactured using the Na metal half-cell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capacity development was confirmed, and the confirmation results were It is shown in Figure 9. In Figure 9,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2 is “12cm”,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5 is “Double side 12cm”,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6 is “Double side 60cm”, and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7 is “Double side 140 cm”. It is indicated as .
도 9를 참조하면, 전극의 길이가 길수록, 두께가 두꺼울수록 더 많은 면적 용량(areal capacity)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조예 6의 전극(활성층 양면) 을 통해 확인하였을 때 약 ~21mAh/cm2의 면적 용량(areal capacity)을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예 7의 전극(활성층 양면) 을 통해 확인하였을 때 약 ~66mAh/cm2의 면적 용량(areal capacity)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FIG. 9,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electrode and the thicker the thickness, the more area capacity was developed. When confirmed through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6 (both sides of the active layer), it was about ~21 mAh/cm. It can be confirmed that an areal capacity of 2 is expressed, and when confirmed through the electrode (both sides of the act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7, it is confirmed that an areal capacity of about ~66 mAh/cm 2 can be expressed. did.
실험예 4. 전극 형태 별 전극 용량 발현 검증Experimental Example 4. Verification of electrode capacity expression by electrode type
상기 제조예 3에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시예 2의 전극 구조체에 대하여 상기 준비예 1에서의 Na metal half-cell로 제작하여 비용량(specific capacitiy)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확인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서 대조군으로 비교예(실시예 2에서의 지그재그형 전극과 동일한 활성면적을 갖는 일반 원판형 전극)와 대비하였다.The electrode structure of Example 2, which was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3, was manufactured with the Na metal half-cell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expression of specific capacitance was confirmed. The confirm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ure 10. It is shown in . In Figure 10, the control example w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a general disk-shaped electrode having the same active area as the zigzag electrode in Example 2).
도 10을 참조하면, 지그재그 전극(실시예 2)를 적용한 음극 구조체에서도 용량 발현이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capacity development is also achieved in the cathode structure using the zigzag electrode (Example 2).
실험예 5. 해수전지 full-cell 평가Experimental Example 5. Seawater battery full-cell evaluation
상기 제조예 2에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시예 1의 전극 구조체에 대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전극셀(하부 캡(Bottom), 스페이서(spacer), 나선형 전극(200), 고체전해질(100))을 제작하고, 실시예 1에서의 나선형 전극을 음극, NASICON을 고체전해질, 해수를 양극으로 구성된 해수전지 full-cell에 대하여 수명 테스트(사이클 횟수: 1st, 2nd, 10th, 20th)를 수행하였으며, 수행 결과를 도 12에 도시하였다.For the electrode structure of Example 1 manufactured using the electrode of Preparation Example 2, an electrode cell (bottom, spacer,
도 12를 참조하면, 20 사이클(20th) 이상 구동에도 용량 저하가 발현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12, there was no decrease in capacity even after driving for more than 20 cycles ( 20th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0 : 전극 구조체
100 : 면상 부재
200 : 전극
300 : 반대 전극10: electrode structure
100: planar member
200: electrode
300: Opposite electrode
Claims (8)
상기 면상 부재의 일 면에 대하여 활성층 면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A planar member separating the anode and cathode; and
Comprising an electrode whose active layer surface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planar member,
Electrode structure.
상기 면상 부재는 고체전해질인 것인,
전극 구조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anar member is a solid electrolyte,
Electrode structure.
상기 고체전해질은 LISICON 또는 NASICON인 것인,
전극 구조체.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olid electrolyte is LISICON or NASICON,
Electrode structure.
상기 전극은 길이부재로서,
상기 길이부재는 상기 활성층 면이 상기 면상 부재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조적 형상을 갖는 것인,
전극 구조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lectrode is a long member,
The long member has a structural shape such that the active layer surface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planar member,
Electrode structure.
상기 전극은 집전체 상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활성층이 형성된 것인,
전극 구조체.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electrode has the act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Electrode structure.
상기 전극은 상기 길이부재의 나선형(spiral) 형태 또는 지그재그(zig-zag) 형태인 것인,
전극 구조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lectrode is in a spiral shape or zig-zag shape of the length member,
Electrode structure.
상기 집전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인 것인,
전극 구조체.
According to clause 5,
The current collector is copper or aluminum,
Electrode structure.
상기 활성층은 흑연(graphite), 하드카본, 인(phosphorus), 주석(tin) 또는 안티몬(antimony)인 것인,
전극 구조체.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ctive layer is graphite, hard carbon, phosphorus, tin, or antimony,
Electrode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4319A KR20240112126A (en) | 2023-01-11 | 2023-01-11 | Electrode structure with active layer of vertical direction |
PCT/KR2023/009010 WO2024150890A1 (en) | 2023-01-11 | 2023-06-28 | Electrode structure having vertical active la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4319A KR20240112126A (en) | 2023-01-11 | 2023-01-11 | Electrode structure with active layer of vertical dir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2126A true KR20240112126A (en) | 2024-07-18 |
Family
ID=9189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4319A Pending KR20240112126A (en) | 2023-01-11 | 2023-01-11 | Electrode structure with active layer of vertical direc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12126A (en) |
WO (1) | WO2024150890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6147A (en) | 2021-03-31 | 2022-10-07 | 도요타 지도샤(주) | All-solid-state batter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2064B1 (en) * | 2014-12-03 | 2017-01-18 | 한국수자원공사 | Microbial Fuel Cell with air cathode perpendicular to separator |
KR102162723B1 (en) * | 2016-12-14 | 2020-10-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Unit Cell Having Folded Single Separator |
US10903527B2 (en) * | 2017-05-08 | 2021-01-26 | Global Graphene Group, Inc. | Rolled 3D alkali metal batteries and production process |
JP7018376B2 (en) * | 2018-11-13 | 2022-02-1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Solid state battery |
JP2020173955A (en) * | 2019-04-10 | 2020-10-2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Battery electrode group, winding type batter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electrode group |
-
2023
- 2023-01-11 KR KR1020230004319A patent/KR20240112126A/en active Pending
- 2023-06-28 WO PCT/KR2023/009010 patent/WO2024150890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6147A (en) | 2021-03-31 | 2022-10-07 | 도요타 지도샤(주) | All-solid-state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50890A1 (en) | 2024-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60397B2 (en) | Aqueous electrolyte energy storage device | |
KR101823873B1 (en) | Metal-free aqueous electrolyte energy storage device | |
US9356276B2 (en) | Profile responsive electrode ensemble | |
US10644324B2 (en) | Electrode material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 |
JP2014512638A5 (en) | Water-based electrolyte energy storage device | |
KR20100075972A (en) | Lithium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5113058B2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compartmented electrolyte | |
KR102496481B1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
KR101211863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CN107819103B (en) | Electrode with increased active material content | |
KR20130043308A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912788B1 (en) | Electrode assembly with excellent pulse discharge characteristics | |
IL284705B2 (en) | Lis battery with low solvating electrolyte | |
KR102640206B1 (en) | Conductive array, Composite membrane including the conductive array,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conductive array | |
KR20240112126A (en) | Electrode structure with active layer of vertical direction | |
US20220263165A1 (en) | Hybrid Energy Storage Device | |
US20240313351A1 (en) | All solid stat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11393640B2 (en) | Water based hybrid lithium ion capacitor battery having a water-in-salt electrolyte | |
CN106921008B (en) | Metal-air batteries and metal-air battery devices | |
US10103381B2 (en) | Trapping dissolved polysulfide for high performance batteries | |
JP7528269B2 (en) | Electrochemical cells and electrochemical systems | |
KR20210034917A (en) | Cathode and Metal-air battery comprising cathod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
KR20200123583A (en) | Electrode assembly | |
KR20210045017A (en) | An all solid state battery comprising electrodes with vertical structure | |
KR102535395B1 (en) | Nanoclustered manganese oxide composite graphite and zinc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