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10455A - 추간 유합 기기 - Google Patents

추간 유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0455A
KR20240110455A KR1020230008079A KR20230008079A KR20240110455A KR 20240110455 A KR20240110455 A KR 20240110455A KR 1020230008079 A KR1020230008079 A KR 1020230008079A KR 20230008079 A KR20230008079 A KR 20230008079A KR 20240110455 A KR20240110455 A KR 2024011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device
intervertebral fusion
lower plate
upp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철
김희동
전민옥
Original Assignee
이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시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1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045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261Three-dimensional shapes parallelepi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a position by translation along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간 유합 기기의 내부에서,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이동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 이동부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세트; 이동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후방 말단,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에 결합되는 후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간 유합 기기{INTERVERTEBRAL FUSION DEVICE}
본 발명은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선천성, 퇴행성 혹은 사고 같은 기타 여러 이유로 안정적인 배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척추체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등 구조학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척추기형, 척추골절, 추간판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후관절 비대증 등이 있다. 이러한 척추질환은 증상이 악화되어 보존적 치료가 어려워지면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수술적 치료 방법 중 척추 유합술(fusion)은, 척추질환이 발생한 추간판을 제거한 후,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 유합 기기(spinal cage)를 삽입하여 유합을 위해 뼈가 성장되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여 주고, 척추체 사이에 간격을 높여주어 통증을 경감시켜주며, 척추의 굴곡(lordosis)을 복원하여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주는 시술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추간체 유합 기기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본칩(bone chip)이 삽입되고, 본칩이 재생됨에 따라 상위척추체와 하위척추체 사이에 골 유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추간체 유합 기기는 시술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인체에 이식 가능하면서도 척추의 생체 역학적 안정성 복원을 위한 형상의 개발도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추간체 유합 기기는 척추체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인체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성질 및 생체적합성을 가진 생체적합성 재료로 주로 형성된다. 추간체 유합 기기는 골 유합이 일어나 안정화되기 전까지 이식부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위척추체와 하위척추체를 고정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 추간체 유합 기기는 단순히 척추체 사이에 삽입만 되어 있으므로 피시술자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추간체 유합 기기가 시술 부위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장 유합율이 좋은 것으로 보고된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기기에서도 후방 이동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척추의 기형화, 신경학적 약화, 비 유합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추간체 유합 기기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톱니치를 형성하여 고정력을 높인 형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 변경 역시 피시술자의 체격이나 자세, 척추체의 마모 등에 따라 척추체 사이의 간격이 달라져 결합력이 느슨해질 수 있고, 추간체 유합 기기가 여전히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추간체 유합 기기를 더욱 빡빡하게 삽입을 하기에는 뼈의 해부학적 구조 상 무리가 가게 되고, 추간체 유합 기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미국 등록특허 제8,062,37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팽창형 유합 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팽창형 유합 기기는 골 사이에 삽입할 때는 높이가 낮지만 삽입 후에 높이를 더 높일 수 있어서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 유합 기기를 빡빡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팽창형 유합 기기들은 대부분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수축/팽창 상태로의 변형이 용이하고, 팽창 상태에서 고정력이 뛰어난 추간 유합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8,062,3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수축/팽창 상태로의 변형이 용이하고, 팽창 상태에서 고정력이 뛰어난 추간 유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간 유합 기기에 있어서,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내부에서,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 상기 이동부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세트; 상기 이동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후방 말단,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에 결합되는 후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intervertebral fusion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할 때,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후방 고정부까지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후방 고정부가 상기 조절부의 후방 말단이 결합되는 개구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을 결합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는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을 결합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는 하부 핀 수용부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상기 하부 핀 수용부 세트 각각을 통하여 핀이 삽입되는 제1 각도에 따라, 상기 추간 유합 기기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하는 정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가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가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이동부와 체결될 수 있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 마련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 말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는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는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 말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에 의하면, 내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수축-팽창 상태로의 변형이 용이하여 추간 유합 기기의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할 때는 높이가 낮지민 삽입 후에는 높이를 높일 수 있어서 수술부위를 적게 절개한 상태에서 수술이 가능하며, 확장 후 기기의 길이가 변하지 않아 고정 후 위치가 가변적이지 않으므로 수술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어서, 환자의 수술 후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에 의하면, 내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팽창 상태에서 고정력이 증가됨에 따라 초기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migration)을 방지할 수 있어, 추간 유합 기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b 각각은, 추간 유합 기기가 수축 상태인 경우에 대한 상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4c 내지 도 4f 각각은, 추간 유합 기기가 팽창 상태인 경우에 대한 상면도, 정면 사시도, 정면도 및 상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b 각각은, 도 4f에 도시된 추간 유합 기기의 A-A' 단면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하부 플레이트 세트와 후방 고정부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 각각은, 후방 고정부의 사시도, 측면도, 후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후방 고정부의 정면에서 바라본 추간 유합 기기의 움직임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추간 유합 기기의 정면에서 바라본 추간 유합 기기의 움직임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후방 고정부의 상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C-C' 단면에 대한 정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추간 유합 기기에 있어서,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내부에서,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 상기 이동부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세트; 상기 이동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후방 말단,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에 결합되는 후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중첩된다"고 할 때, 이는 단면상에서 상하 중첩되거나, 또는 평면상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비스듬하다"고 할 때, 이는 단면 상에서 수평을 기준으로 0° 초과 90°미만인 각도 사이에서 기운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이동부(110), 상부 플레이트 세트(upper plate set, 120), 하부 플레이트 세트(lower plate set, 130), 조절부(140) 및 후방 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부, 전방 및 후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추간 유합 기기(100)의 구현예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서 사용된 용어와 다른 형태로 존재 및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10)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내부에서,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간 유합 기기(100)의 후방 고정부(150)가 위치하는 곳이 추간 유합 기기(100)의 후방, 후방 고정부(150)가 위치하는 곳의 반대쪽이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가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방은 신체의 원위 말단에 더 가까운 곳(160), 후방은 신체의 근위에 더 가까운 곳(165)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후방 및 상부/하부에 관하여, 도 1b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가 x축, y축, z축 상에 도시되어 있다.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이 z축 양의 방향(160)이라고 하면, 후방은 z축 음의 방향(165)이 될 수 있고, 추간 유합 기기(100)의 상부는 y축 양의 방향(170), 하부는 y축 음의 방향(175)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정면, 즉, z축 음의 방향(165)으로 바라본 추간 유합 기기(100)를 기준으로, x축 양의 방향(180) 및 x축 음의 방향(185)도 각각 정의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방향은 추간 유합 기기(100)와 추간 유합 기기(100)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수축 상태 및 팽창/확장 상태를 가진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및 확장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가까운 상태를 의미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가 서로 멀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도 1a에 도시된 추간 유합 기기(100)는 수축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고, 수축 및 팽창 상태에 관하여, 도 4a 내지 도 4e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이동부(110)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내부에서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는 이동부(11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고,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는 이동부(11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 각각은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플레이트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는 생체적합한 재료이면서 척추체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티타늄 합금 또는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 표면에는 척추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된 요철을 구비할 수도 있다. 요철의 패턴 형상은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가 척추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40)는 이동부(110)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이동부(110)와 결합되고, 또한, 조절부(140)는 이동부(110)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 고정부(150)는 조절부(140)의 후방 말단,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의 후방 말단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의 후방 말단에 결합된다.
추간 유합 기기(100)의 움직임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조절부(14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110)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부(110)가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추간 유합 기기(100)에 포함된 각 엘리먼트들의 결합-연결 상태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분해도를 참조하여 도 2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이동부(110),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 조절부(140), 후방 고정부(150) 및 핀(211 내지 2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10)는 개구부(115)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는 제1 상부 플레이트(12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고, 조절부(140)는 나사산(14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핀(211 내지 214)들은 후방 고정부(150)와 제1 상부 플레이트(121), 제2 상부 플레이트(122),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 각각을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동부(110) 및 조절부(140)는 이동부(110)에 마련된 개구부(115)를 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조절부(140)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나사산(145) 및 개구부(115)의 내부에 있는 나사산(미도시)을 이용하여, 이동부(110) 및 조절부(1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10)와 조절부(140)의 결합에 있어서, 조절부(140)가 수나사, 이동부(110)가 암나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절부(14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110)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10)의 이동 방향은 이동부(110)에 마련된 나사산 및 조절부(140)에 마련된 나사산(145)의 방향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는 제1 상부 플레이트(12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b 각각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각각은 제2 상부 플레이트(122)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 상부 플레이트(122)는 전방 말단(1221), 후방 말단(1222), 경사면(1223) 및 고정면(1224)을 포함하고,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하부 플레이트(131)는 전방 말단(1311), 후방 말단(1312), 경사면(1313) 및 고정면(1314)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제2 상부 플레이트(122)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만을 상세하게 도시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상부 플레이트(12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 각각은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2)와 대칭하는 모양, 즉, 전방 말단의 모양은 동일하지만, 상하로 대칭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모양을 가진 각각의 4개 플레이트가 조립되는 다양한 형태 및 각도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인 경우, 제1 상부 플레이트(121)의 전방 말단이 제2 하부 플레이트(132)의 전방 말단을 덮는 형태로 구현되고,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전방 말단(1311)이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전방 말단(1221)을 덮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상부 플레이트(121)가 제2 상부 플레이트(122) 및 하부플레이트(131 및 132)를 모두 덮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추간 유합 기기(110)의 각 엘리먼트들의 결합 및 동작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엘리먼트들의 결합 및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2 상부 플레이트(122)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는 제1 상부 플레이트(12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에도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 각각은 핀들(211 내지 214)을 이용하여 후방 고정부(150)와 결합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후방 말단(1222)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후방 말단(1312) 각각은 핀들(212 및 213)이 결합되기 위한 홀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핀(212)은 후방 고정부(150)에 마련된 핀 수용부(미도시)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후방 말단(1222)에 마련된 홀을 통과하여, 제2 상부 플레이트(122) 및 후방 고정부(150)를 결합한다.
이와 동일한 형식으로, 핀(213)은 후방 고정부(150)에 마련된 핀 수용부(미도시)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후방 말단(1312)에 마련된 홀을 통과하여,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후방 고정부(150)를 결합한다.
이동부(11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경사면(1223) 및 고정면(1224)에 체결될 수 있고, 이동부(11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경사면(1313) 및 고정면(1314)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1223 또는 1313)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비스듬한 면을 나타내고, 고정면(1224 또는 1314)은 경사를 가지지 않는 평평한 면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인 경우에는, 이동부(110)가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고정면(1224)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고정면(1314)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110)가 불필요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이동부(110)는,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경사면(1223)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경사면(1313)에 체결된 상태로,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동부(110)와 경사면(1223 또는 1313)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부(110)가 경사면(1223 또는 1313)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결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일 때, 조절부(140)가 제1 방향,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110)가 경사면(1223 또는 1313)에 체결된 상태로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110)가 경사면(1223 또는 1313)을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전방 말단(1221)은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전방 말단(1311)은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 말단(1221 및 1311)들이 서로 멀어지며, 추간 유합 기기(100)는 팽창 상태가 된다.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 상태일 때, 조절부(140)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 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110)가 경사면(1223 또는 1313)에 체결된 상태로 추간 유합 기기(100)의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110)는 경사면(1223 또는 1313)에서 고정면(1224 또는 13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전방 말단(1221)은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전방 말단(1311)은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 말단(1221 및 1311)들이 서로 가까워지며, 추간 유합 기기(100)의 팽창 상태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이동부(110)가 고정면(1224 또는 1314)에서 멈추게 되면,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전방 말단(1221)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전방 말단(1311)이 서로 맞닿게 되어,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2 상부 플레이트(122)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를 참조하면, 제1 상부 플레이트(12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 각각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결합 방법도 알 수 있기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각각 추간 유합 기기가 수축 상태인 경우에 대한 상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 내지 도 4f는 각각 추간 유합 기기가 팽창 상태인 경우에 대한 상면도, 정면 사시도, 정면도 및 상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들(121 및 122) 및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들(131 및 132)의 내부 면(미도시)이 서로 맞닿아 있고, 도 4c 내지 도 4f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들(121 및 122)과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들(131 및 132)이 서로 떨어져 있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10)가 전방 이동(400)함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100)는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부(110)가 전방 이동(400)함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는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는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이동부(110)의 전방 이동(400)에 따라,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들(121 및 122) 각각은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 이동방향(411 및 412)으로 이동하고,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들(131 및 132) 각각은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 이동방향(421 및 42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된 상태에서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의 높이, 너비 및 경사각(미도시)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은 추간 유합 기기(100)의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 각각의 전방 말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인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플레이트(121)의 전방 말단 및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전방 말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이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후방 고정부(150)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 상태인 경우에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1 및 122)의 전방 말단 및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1 및 132)의 전방 말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이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후방 고정부(150)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인 경우의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를 제1 높이(H1) 및 제1 너비(M1)라고 하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 상태인 경우의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를 제2 높이(H2) 및 제2 너비(M2)라고 하면, 제2 높이(H2)가 제1 높이(H1)보다 더 큰 값을 가지고, 제2 너비(M2)가 제1 너비(M1)보다 더 큰 값을 가진다. 즉,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함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100)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한다.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의 높이, 너비 및 경사각에 관해서는, 도 8a 및 도 8b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변화할 때,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체 길이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즉, 추간 유합 기기(100)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가 변화하더라도,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후방 고정부(150)까지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의 길이를 제1 길이(L1)라고 하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의 길이를 제2 길이(L2)라고 하면, 제1 길이(L1)는 제2 길이(L2)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와 팽창 상태로 변환될 때, 이동부(110)가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 각각의 고정면과 경사면 사이에서만 이동가능도록 구현되었기에,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체 길이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종래에서와 같이,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될 때, 전체 길이가 변화하게 되면, 추간 유합 기기(100)를 삽입할 때,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되었을 경우의 길이를 예측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여야 하고, 예측된 길이에 따른 삽입 위치가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추간 유합 기기(100)를 재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수술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수축 및 팽창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가 항상 동일하기에, 종래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4f는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 상태인 경우에 대한 상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부(110)와 플레이트들(121, 122, 131 및 132) 간의 결합 상태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의 A-A' 단면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f에 도시된 추간 유합 기기의 A-A' 단면에 대한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부(11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상부 플레이트(12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2)가 결합되어 있고, 이동부(11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결합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결합 형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기에,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형태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형태로 이동부(110)와 제1 내지 제2 상부/하부 플레이트들(121, 122, 131 및 132)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상/하부 플레이트 세트와 후방 고정부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이동부 및 조절부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1 및 122) 각각이 핀(211 및 212)를 이용하여 후방 고정부(150)와 결합되어 있고,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1 및 132) 각각이 핀(213 및 214)를 이용하여 후방 고정부(150)와 결합되어 있다. 도 6b는 제1 상부 플레이트(121)가 핀(211)을 이용하여 후방 고정부(150)와 결합된 형태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후방 고정부(150)와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20 및 130)의 결합 및 추간 유합 기기(100)의 움직임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 각각은, 후방 고정부의 사시도, 측면도, 후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후방 고정부(150)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120)의 후방 말단을 결합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는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130)의 후방 말단을 결합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는 하부 핀 수용부 세트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부 핀 수용부 세트는 제1 및 제2 상부 핀 수용부(711 및 712)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 핀 수용부 세트는 제1 및 제2 하부 핀 수용부(721 및 7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 및 하부 플레이트 세트 각각이 2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한 경우에 대응하여,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하부 핀 수용부 세트 각각이 2개의 핀 수용부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핀 수용부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는 후방 고정부(150)의 측면도 및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d는 도 7b에 도시된 후방 고정부(150)의 B-B' 단면에 대한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의 움직임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후방 고정부의 정면에서 바라본 추간 유합 기기의 움직임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추간 유합 기기의 정면에서 바라본, 추간 유합 기기의 움직임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a 및 도 8b는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 및 팽창 상태로 변화할 때, 추간 유합 기기(100) 전방 말단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21 및 122) 각각은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 이동 방향(811 및 812)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1 및 132) 각각은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 이동 방향(821 및 82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변화할 때,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하부 핀 수용부 세트 각각을 통하여 핀이 삽입되는 소정의 각도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하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변화할 때, 상부 플레이트 세트는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플레이트 세트는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듬한 상부 방향 및 상기 비스듬한 하부 방향 각각의 비스듬한 정도, 즉, 경사각은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하부 핀 수용부 세트 각각을 통하여 핀이 삽입되는 소정의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 말단의 높이, 너비 및 경사각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제1 상부 핀 수용부(711)와 관련된 제1 각도(830) 및 제1 상부 플레이트 이동 방향(811)과 관련된 제2 각도(840)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면, 제2 상부 플레이트(122), 제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1 및 132)의 동작에 관하여도 알 수 있기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변화하면, 추간 유합 기기(100) 전방 말단의 높이(H) 및 너비(M)가 증가한다. 이때, 제1 및 제2 상부 핀 수용부(711 및 712), 제1 및 제2 하부 핀 수용부(721 및 722) 각각에 삽입되는 핀의 각도에 따라, 높이(H) 및 너비(M)가 증가하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830)는, 0°내지 90°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각도가 30°이면 상기 높이 및 너비는 1:2의 비율로 증가하고, 상기 제1 각도가 45°이면 상기 높이 및 너비는 1:1의 비율로 증가하고, 상기 제1 각도가 60°이면 상기 높이 및 너비는 2:1의 비율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특정 각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각도(830)가 30°인 경우, 높이(H) 및 너비(860)는 1:2의 비율로 증가할 수 있다. 즉, 높이(H)가 x만큼 증가하면, 너비(M)는 2x만큼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각도(830)가 45°인 경우, 높이(H) 및 너비(M)는 1:1의 비율로 증가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각도(830)가 60°인 경우, 높이(H) 및 너비(M)는 2:1의 비율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각도 30°, 45°및 60°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각도(830)가 0 내지 90°사이의 값을 가짐에 따라 높이 및 너비의 증가 비율은 특정 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a는 후방 고정부(150)의 상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후방 고정부(150)를 C-C' 단면에 대한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각도(8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0°내지 90°사이의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각도(830)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 전방 말단 높이(H) 및 너비(M)의 증가하는 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비는 탄젠트(tangent) 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식 1로 산출할 수 있다.
<식 1>
상기 식 1에서, θ는 핀삽입각도이고, ΔH는 높이증가분이고, ΔM는 너비증가분이다.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변화하면, 추간 유합 기기(100) 전방 말단의 경사각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상부 핀 수용부(711)가 핀이 제1 각도(830)로 삽입되도록 구현되면, 제1 상부 플레이트(121)는 제2 각도(840)만큼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다시 참조하면,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전방이 z축의 양의 방향이라고 하면, 제1 상부 플레이트(121)의 전방 말단은 xy 평면 상에서 x축의 음의 방향 (negative direction, 도 1b의 185)을 기준으로 y축의 양의 방향 (positive direction, 도 1b의 180)으로, 제2 각도(840)를 가지는 방향(811)으로 이동하고, 제2 상부 플레이트(122)의 전방 말단은 xy 평면 상에서 x축의 양의 방향을 기준으로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를 가지는 방향(812)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합이 90°가 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전방 말단은 xy 평면 상에서 x축의 양의 방향을 기준으로 y축의 음의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를 가지는 방향(821)으로 이동하고, 제2 하부 플레이트(132)의 전방 말단은 xy 평면 상에서 x축의 음의 방향을 기준으로 y축의 음의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를 가지는 방향(82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각도와 제2 각도의 합이 9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상기 구술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추간 유합 기기(100)가 상하 비스듬한 방향으로 팽창하고,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하거나 팽창하더라도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100: 추간 유합 기기
110: 이동부 115: 이동부의 개구부
120: 상부 플레이트 세트 121: 제1 상부 플레이트
122: 제2 상부 플레이트 130: 하부 플레이트 세트
131: 제1 하부 플레이트 132: 제2 하부 플레이트
140: 조절부 145: 조절부의 나사산
150: 후방 고정부 160: 전방 방향(z축 양의 방향)
165: 후방 방향(z축 음의 방향) 170: 상부 방향(y축 양의 방향)
175: 하부 방향(y축 음의 방향) 180: 우측 방향(x축 양의 방향)
185: 좌측 방향(x축 음의 방향) 211 내지 214: 핀
411: 제1 상부 플레이트 이동방향
412: 제2 상부 플레이트 이동방향
421: 제1 하부 플레이트 이동방향
422: 제2 하부 플레이트 이동방향
830: 제1 각도 840: 제2 각도
H1: 제1 높이 H2: 제2 높이
M1: 제1 너비 M2: 제2 너비
L1: 제1 길이 L2: 제2 길이
θ: 핀삽입각도 ΔH: 높이증가분
ΔM: 너비증가분

Claims (8)

  1. 추간 유합 기기에 있어서,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내부에서,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 세트;
    상기 이동부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세트;
    상기 이동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후방 말단,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에 결합되는 후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이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전방 말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할 때,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후방 고정부까지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고정부는, 상기 조절부의 후방 말단이 결합되는 개구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을 결합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는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의 후방 말단을 결합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는 하부 핀 수용부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핀 수용부 세트 및 상기 하부 핀 수용부 세트 각각을 통하여 핀이 삽입되는 제1 각도에 따라, 상기 추간 유합 기기 전방 말단의 높이 및 너비가 증가하는 정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는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는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이동부와 체결될 수 있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 마련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 말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세트는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세트는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추간 유합 기기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 말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KR1020230008079A 2023-01-06 2023-01-19 추간 유합 기기 Ceased KR20240110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02333 2023-01-06
KR1020230002333 2023-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0455A true KR20240110455A (ko) 2024-07-15

Family

ID=9194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079A Ceased KR20240110455A (ko) 2023-01-06 2023-01-19 추간 유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104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1411B2 (ja) 統合された拡張及び角度調節機構を有する椎間ケージ
US11752006B2 (en) Angularly adjustable intervertebral cages with integrated ratchet assembly
JP7023877B2 (ja) 拡張可能かつ角度調節可能な関節運動式の椎間ケージ
US8409291B2 (en) Laterally expandable interbody spinal fusion implant
US8673008B2 (en) Posterior spinal arthroplasty system
US7534269B2 (en) C-shaped disc prosthesis
ES2228172T3 (es) Separadores intervertebrales expansibles.
US6648917B2 (en) Adjustable bone fusion implant and method
US7270681B2 (en) Articulating spinal implant
EP1647243A2 (en) Disc prostheses and facet joint prosthesis
JP2019520159A (ja) 拡張可能かつ角度調節可能な椎間ケージ
WO2004039241A2 (en) Artificial vertebral disk replacement implant with crossbar spacer and method
JP2012501236A (ja) 螺旋アンカーを備えたインプラント
AU2005309438A1 (en) Minimally invasive spinal disc stabilizer and insertion tool
US20080249627A1 (en) Prosthetic Disc Device and Method for Intervertebral Disc Replacement
CN111315321B (zh) 脊柱植入物
KR20240110455A (ko) 추간 유합 기기
KR102262993B1 (ko) 팽창 가능한 유합 기기 및 추간 유합 시스템
KR20230118424A (ko) 추간 유합 기기
CN101111205A (zh) 侵害最小的椎间盘稳定装置及插入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