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08923A - 블로어 - Google Patents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8923A
KR20240108923A KR1020230000194A KR20230000194A KR20240108923A KR 20240108923 A KR20240108923 A KR 20240108923A KR 1020230000194 A KR1020230000194 A KR 1020230000194A KR 20230000194 A KR20230000194 A KR 20230000194A KR 20240108923 A KR20240108923 A KR 20240108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ane
blower
towe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오시영
정재혁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8923A/ko
Priority to PCT/KR2023/001610 priority patent/WO2024147396A1/ko
Priority to EP23914861.2A priority patent/EP4530475A1/en
Publication of KR2024010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892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02Mounting i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6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93Details or arrangements of the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53Fan casings with axial entry and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2Balancing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05D2240/121Fluid guiding means, e.g. vanes related to the leading edge of a stator v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로우케이스;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측으로 압송시키는 팬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팬어셈블리는, 둘레를 형성하는 림; 팬; 팬의 상측에 배치되고, 림의 내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이에 팬으로부터 공간(Vp)을 형성하는 허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림과 허브를 연결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인을 포함하고, 공간(Vp)은, 제1 영역과, 제1 영역보다 허브와 림 사이의 반경 방향 이격 거리가 더 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베인은,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베인과,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베인을 포함하고, 제2 베인은, 하측단부가 상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인 입구각이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이에 따라 디퓨져를 형성함에 있어서 토출풍의 유동에 유리한 영역의 유로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고, 유로 폭이 넓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베인의 형상도 유동을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입구각을 증가시킴으로써, 블로어의 풍량을 상승시킬 수 있고, 블로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블로어{Blower}
본 발명은 코안다효과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 유로에 대응되는 디퓨져를 구비한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블로워(Blower)란,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송풍팬을 배치하여,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블로워 내부 공간 (내지 내부 공기 유로)를 적절하게 구성하는 것은 블로워 자체의 송풍 성능은 물론, 블로워의 에너지 효율(진동 및 소음 정도와 전력 효율 등)에 직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블로워는,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토출구측으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송풍팬의 하류 부위에 디퓨져(Diffuser)를 구비한다. 디퓨져란, 유체의 속도를 희생하여 정압을 상승시키는 장치로서, 의도적으로 설계된 유동 저항체인 베인(Vane)을 통해 유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장치이다. 즉, 블로워에서의 디퓨져란,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베인을 통과하여 토출구측으로 유동되도록하는 장치이다.
중국 특허공개공보 제111156623 A 호 및 제107023884 A 호의 종래 블로워는, 팬의 하류에 상술한 디퓨져를 구비될 경우, 디퓨져가 형성하는 공기 유로는 획일적으로 제작되어 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는 환형(ring shape)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블로워의 내부 공간은 팬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대칭될 수 없는 조건에 놓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예를 들어, 블로워의 내부 공간 중 일측에만 배치되는 비대칭적인 구조물이 배치되거나, 블로워의 토출구가 환형의 형상이 아닌 타워 형태의 토출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듯 회전축에 대해 비대칭적인 블로워의 내부 공간에도 불구하고 일률적으로 디퓨져의 형상이 환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종래 블로워는 내부 유동 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블로워의 송풍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회전축에 대해 비대칭적인 블로워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디퓨져의 유로 폭을 변화시킨다 하더라도, 디퓨져 내 구비되는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베인이 일률적으로 방사상 대칭적으로 구비될 경우 여전히 블로워의 내부 유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블로워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디퓨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 경우, 블로워 내부 부품을 업그레이드하거나 블로워 내부에 히터, 스피커 등의 새로운 부품을 추가 설치하는 등의 구조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디퓨져의 형상을 알맞게 대응시킬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블로워는 일반적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부품이 적층되면서 그 사이에 디퓨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음에 따라 디퓨져 상측부의 하중이 디퓨져로 집중되는 구조를 갖음에도, 별도의 하중 분담을 위한 보강 구조 없이, 얇은 베인으로 외둘레와 내둘레를 연결하여 형성할 뿐이어서 디퓨져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중국 특허공개공보 제111156623 A 호 중국 특허공개공보 제107023884 A 호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블로워의 내부 유로의 형태에 대응 가능한 디퓨져를 구비함으로써 송풍 성능을 향상시킨 블로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상부의 하중이 디퓨져로 집중되는 구조에서도 디퓨져가 유동 가이드 기능은 물론 하중 지지 기능까지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블로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간이하게 기존의 디퓨져를 변형시켜 배치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송풍 성능을 갖는 블로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블로워 사용 중 사후적으로 추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물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디퓨져를 구비하여 내부 유로의 변동에도 우수한 송풍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블로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로우케이스; 토출구가 형성되고, 로우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 로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측으로 압송시키는 팬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팬어셈블리는, 상하로 개구되고, 둘레를 형성하는 림; 림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팬; 림의 내부 중 팬의 상측에 배치되고, 림의 내둘레면으로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Vp)을 형성하는 허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림과 허브를 연결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인을 포함하고, 공간(Vp)은, 제1 영역과, 제1 영역보다 허브와 림 사이의 반경 방향 이격 거리가 더 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베인은,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베인과,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베인을 포함하고, 제2 베인은, 하측단부가 상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인 입구각이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퓨져를 형성함에 있어서 토출풍의 유동에 유리한 영역의 유로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고, 유로 폭이 넓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베인의 형상도 유동을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입구각을 증가시킴으로써, 블로어의 풍량을 상승시킬 수 있고, 블로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의 폭은 제1 영역의 폭보다 1.1배 내지 1.3배 넓고, 제2 베인의 입구각은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2도 내지 4도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의 면적은 제1 영역의 면적보다 1% 내지 3% 더 넓고, 제2 베인의 입구각은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2도 내지 4도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의 면적은 제1 영역의 면적보다 2.5% 더 넓고, 제2 베인의 입구각은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3도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어퍼케이스는,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토출공간(Vo1)과 제1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1 타워;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토출공간(Vo2)과 제2 토출구가 형성되고, 제1 타워와 이격되는 제2 타워; 및 제1 타워 및 제2 타워와 로우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1 토출공간과 제2 토출공간으로 분배되는 분배공간(Vd)을 형성하는 타워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은, 공간(Vp) 중 제1 토출공간(Vo1) 및 제2 토출공간(Vo2)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으로부터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고려하여 토출구까지 최적의 경로로 도달하는 공기의 비율을 최대화함으로써, 블로어의 풍량을 더욱 향상시키고 소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타워베이스에는,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관입되어 소정의 제1 구조물이 배치되고, 제2 영역은 공간(Vp) 중 제1 구조물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어에 소정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구조물이 배치됨으로 인해 팬어셈블리 하류에서 공기 유로가 좁아지더라도, 디퓨져 내 유로 중 좁아진 유로와 대응되는 영역에 더욱 많은 공기가 유동하도록함으로써, 구조물이 유로로 관입되더라도 유동의 균일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평단면상 림과 허브는 서로 닮은 꼴의 링 형상이고, 허브는 둘레의 일부가 반경 내측으로 함몰되어 제2 영역을 정의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어 부피에 맞춰 디퓨져의 림과 허브를 구비하되 허브만을 내측으로 함몰시켜 제2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블로어 전체 형상에는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이하게 제2 영역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허브의 함몰부는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제조된 링 형상 허브의 제작 금형에 평탄형 프레스로 제조된 금형을 단순 삽입함으로써 함몰부를 구비한 허브의 제작이 가능해지도록하여, 블로어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복수개의 베인은, 인접한 베인간의 이격 거리가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퓨져의 유로 폭이 차등적으로 넓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베인간의 거리를 조절을 통해 유로 폭이 넓어진 부위에서 베인에 의한 유동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블로어의 풍량을 상승시킬 수 있고, 블로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허브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팬모터가 배치되고, 블로어는 팬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전선케이스는, 림과 허브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인보다 두껍게 형성되면서도 팬모터의 작동을 위해 필연적으로 구비되는 전선을 내부의 습기나 물방울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선케이스를, 제1 영역이 아닌, 유로 폭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제2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전선케이스로 인한 유동 효율 저하를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림에는,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관입되어 소정의 제2 구조물이 배치되고, 제1 영역은, 제1-1 영역과, 제2 구조물이 관입되어 허브와 림 사이의 반경 방향 이격 거리가 제1-1 영역보다 좁은 제1-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베인은, 제1-1 영역에 배치되는 제1-1 베인과, 제1-2 영역에 배치되는 제1-2 베인을 포함하고, 제1-2 베인은, 제1-1 베인보다 입구각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공간측으로 관입되는 구조물에 의해 가압공간의 유로 폭이 좁아질 경우, 해당 영역 베인의 입구각을 작게 함으로써 좁아진 영역으로 유동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제2 베인은 입구각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단부의 길이가 제1 베인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각을 키우면서도 가이드 면적을 증가시켜 유동 가이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제2 베인은 제1 베인보다 입구각이 크도록 제1 베인을 회전시킨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제1 베인의 금형을 단순 회전시켜 제2 베인의 금형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형 제작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퓨져의 소정 영역에서는 유로 폭을 넓게 하여 공기 유로(S)를 확장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디퓨져의 소정 영역에서는 유로 폭을 넓게 하고 베인의 입구각을 차등함으로써, 블로워 내부 유로의 비대칭성(예를 들어, 디퓨져 하류에 배치되는 관입부재, 또는 블로워 토출구의 비-환형의 형상)을 보정하고 토출구의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풍량이 도달하도록 하여, 블로워의 송풍 성능 및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퓨져 내 차등적인 유로 폭에 대응하여 베인의 갯수 및 베인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블로워의 송풍 성능 및 소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워의 상부의 하중을 블로워의 하부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는 구조(특히, 서로 이격된 트윈 타워 형태)의 블로워에서 블로워 상부의 하중을 디퓨져를 통하여 외부 하우징으로 전달함에 있어, 베인의 길이 및/또는 간격을 차등시켜 디퓨져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퓨져 베인의 체결을 위해 홈-끼움 방식을 채택하고 일정 수준의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하여, 베인의 입구각 및/또는 간격 차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블로워 사용자의 옵션 추가등에 의해 블로워의 내부 구조가 변동되더라도 이에 간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XI-XI를 따라 절단하여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IX-IX를 따라 절단하여 바라 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IX-IX를 따라 절단하여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수평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상승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5의 T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용 디퓨져의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용 디퓨져에 구비되는 베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류" 및 "하류"는 블로어(1) 내 공기 유동에 대한 상류와 하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설명 없이, 흡입구(155), 팬(320), 디퓨져(340), 토출구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배치됨을 전제로 기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핵심은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한 상하류 여부를 기준으로 이해되어야하며, 좌우상하 여부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이 제한되는 것으로 보아선 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퓨져(340)의 상측에 흡입구(155)가 배치되고, 디퓨져(340)의 하측에 토출구가 배치될 경우, 디퓨져(340)의 유로 폭은 디퓨져(340)의 하측 공간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퓨져(340)의 허브(344)가 팬모터(310)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으로 기능하는 경우를 전제로 기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은 디퓨져(340)의 공기 유동과 관련된 기술적 사항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팬(320)의 상류단에 팬모터(310)가 연결되고, 팬(320)의 하류단에 디퓨져(340)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서술에서 반경 방향이라함은,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의 둘레로 연장되는 직선 방향뿐만 아니라, 중심과 둘레를 정의할 수 있는 모든 형태에 대하여 중심으로부터 둘레로 연장되는 직선 방향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반경 방향이라 함은, 블로어(1)의 평단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반드시 블로어(1)의 평단면상 형상이 원형이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하, '원주 방향', '회전 방향', '반경 내측 방향', '반경 외측 방향' 등의 용어 또한 이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의 케이스(100)에 대해 살펴본다.
케이스(100)는 블로어(1)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흡입구(155) 및 토출구(117,127)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로우케이스(150)(150), 타워베이스(130), 어퍼케이스(140)(1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우케이스(150)(150)는 블로어(1)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140)(140)는 블로어(1)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로우케이스(150)(150)와 어퍼케이스(140)(140) 사이에 배치되어 블로어(1)의 중부를 구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어퍼케이스(140)(140)의 일부로 이해될 수도 있다.
로우케이스(150)(150)에는 흡입구(155)가 형성된다. 흡입구(155)는 로우케이스(150)(150)의 둘레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55)는 로우케이스(150)(1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로우케이스(150) 주변의 공기를 360도 방위에서 고루 흡입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140)에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토출구(117,127)는, 어퍼케이스(140)(140)의 둘레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40)는 로우케이스(1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어퍼케이스(140)(140) 내부에는 공기가 토출구(117,127)측으로 유동하는 토출공간(Vo)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공간(Vo)는 어퍼케이스(140)(140)의 내부 공간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어퍼케이스(140)(140)는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참조)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는 2개의 기둥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타워(110)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타워(120)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워(110), 제2 타워(120) 및 사이의 블로잉 스페이스(BS)를 포함하는 어퍼케이스(140)(14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워(110)는, 제1 토출구(11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타워(110)는,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 토출구(117)측으로 유동하는 제1 토출공간(Vo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는 제1 타워(110)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Vo1)는 제1 타워(110)의 내부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Vo1)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 토출구(117)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타워(110)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타워(110)는,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타워 형태일 수 있다. 제1 타워(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토출구(117)도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타워(110)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q술적 사상은 제1 타워(110)가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타워(120)는, 제2 토출구(127)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타워(120)는,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2 토출구(127)측으로 유동하는 제2 토출공간(Vo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토출구(127)는 제2 타워(120)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공간(Vo2)는 제2 타워(120)의 내부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토출공간(Vo2)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2 토출구(127)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타워(120)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타워(120)는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타워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제2 타워(120)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2 타워(120)가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타워(120)는 제1 타워(110)와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타워(120)는 제1 타워(110)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블로잉 스페이스(BS)을 형성할 수 있다. 블로잉 스페이스(BS)는 제1 토출구(117)와 제2 토출구(127)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토출구(117)(127)은 블로잉 스페이스(BS)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블로잉 스페이스(BS)은 전방, 후방 및/또는 상방이 개구될 수 있다.
제1 토출공간(Vo1)와 제2 토출공간(Vo2)는 타워베이스(130)의 분배공간(Vd)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토출공간(Vo1)과 제2토출공간은 각각 타워베이스(130)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1 토출공간(Vo1)과 제2 토출공간(Vo2)은 서로 병렬일 수 있다. 디퓨져(34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분배공간(Vd)를 통과하여 각각 제1 토출공간(Vo1)와 제2 토출공간(Vo2)로 분배될 수 있다. (도 6 참조)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는 사이에 형성된 블로잉 스페이스(BS)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로우케이스(150)(150)와 어퍼케이스(140)(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와 로우케이스(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후술할 가압공간(Vp)과 어퍼케이스(140)(140)의 토출공간(Vo)를 연통시키는 분배공간(Vd)를 형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1 토출공간(Vo1)과 제2 토출공간(Vo2)으로 분배되는 분배공간(Vd)을 형성할 수 있다. 배공간(Vd)는 타워베이스(130)의 내부 공간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어퍼케이스(140)의 일부로 이해될 수도 있다. 또는, 타워베이스(130)는 로우케이스(150)의 일부로 이해될 수도 있다.
로우케이스(150)(150)의 하류단은 디퓨져(340)의 가압공간(Vp)의 하류단일 수 있다. 분배공간(Vd)의 상류단은 가압공간(Vp)와 연통될 수 있다. 분배공간(Vd)의 하류단은 토출공간(Vo)와 연통될 수 있다. 가압공간(Vp)와 분배공간(Vd) 및 토출공간(Vo)는 연속적인 공간일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의 하단은 로우케이스(150)(15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의 상단은 어퍼케이스(140)(14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외관상 및 내관상, 로우케이스(150)(150), 타워베이스(130), 및 어퍼케이스(140)(140)는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퓨져(340)(내지 가압공간(Vp))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분배공간(Vd)를 통하여 토출공간(Vo)로 공급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후술할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팬어셈블리(300)는 로우케이스(150)의 내부에 배치된다. 팬어셈블리(300)는 흡입구(155)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측으로 압송시킨다. 팬어셈블리(300)는, 팬(320)과 디퓨져(340)(즉, 림(342), 허브(344), 및 복수개의 베인(348))을 포함한다. 팬어셈블리(300)는 팬모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7, 및 13을 참조하여, 팬(3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팬(320)은 흡입구(155)로 유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토출구(117, 127)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로우케이스(150)(150)에 팬(320)이 배치됨에 따라, 팬(320)의 공기 토출 방향은 상방일 수 있다.
팬(320)은 로우케이스(150)(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320)은 후술할 디퓨져(340)의 림(342) 내부에 배치된다. 팬(320)은 필터(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320)은 필터(200)를 통과한 공기를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로 유동시킬 수 있다. 팬(320)은 팬모터(31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팬모터(310)는 팬(3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팬모터(310)의 모터축(312)은 팬(320)에 결합될 수 있다. 팬모터(310)는 팬(3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터(310)는 후술할 디퓨져(340)의 허브(344)에 수용될 수 있다.
허브(344)는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허브(344)가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와 팬모터(310)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허나, 상술한 바와 같이, 디퓨져(340)의 허브(344)가 팬모터(310)를 수용하는 점은 블로어(1)의 공간 효율성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이 이제 제한되는 것으로 보아선 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팬(320)의 종류는 블로어(1)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송풍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류팬(320)이 사용될 수 있다. 사류팬(320)은 축중심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토출되는 공기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체적인 공기 유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심팬(320)과 같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경우, 유동방향 전환에 따른 유동손실이 크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허나, 팬(320)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서술 편의상 사류팬(320)인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팬(320)은 제1 쉬라우드(322), 제2 쉬라우드(324), 및 다수의 블레이드(3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322)는 하측으로 오목한 보올(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324)는 하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일 수 있다. 제1 쉬라우드(322) 및 제2 쉬라우드(324)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322)의 중앙부에는 팬모터(310)의 모터축(312)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324)의 중앙부는 개구되어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322)와 제2 쉬라우드(324)가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은 공기 유로로 이해될 수 있다.
다수의 블레이드(326)는 제1 쉬라우드(322)와 제2 쉬라우드(3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블레이드(326)은 제1 쉬라우드(322)와 제2 쉬라우드(324)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326)는 상하 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팬모터(310)가 작동함에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326), 제1 쉬라우드(322), 및 제2 쉬라우드(324)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324)가 형성하는 팬(320)의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쉬라우드(322)와 제2 쉬라우드(324) 사이의 유로를 통과하면서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326)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322)의 하류단부와 제2 쉬라우드(324)의 하류단부 사이는 팬(320)의 공기 토출구로 이해될 수 있다. 팬(320)의 공기 토출구는 디퓨져의 가압공간(Vp)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 및 도 13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디퓨져(340)에 관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디퓨져(340)는 공기 유동에서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을 저감하고 상측 방향 속도 성분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디퓨져(340)는,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토출구(117,127)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디퓨져(34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토출구(117,127)측으로 보다 전환하여 유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퓨져(340)는 로우케이스(150)(150)의 하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340)의 내부 공간은 송풍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가압되며 상측으로 가이드되는 공간으로서, 가압공간(Vp)이라 지칭될 수 있다.
디퓨져(340)는, 둘레를 형성하는 림(342); 림(342)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가압공간(Vp)을 형성하는 허브(344); 림(342)과 허브(344)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방으로 전환시키는 복수개의 베인(348)을 포함할 수 있다.
림(342)은 상하로 개구되고, 둘레를 형성한다. 림(342)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허브(344)는 림(342)보다 폭이 좁은 둘레를 형성하고, 림(34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344)는 림(342)의 내둘레면으로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가압공간(Vp)을 형성한다. 허브(344)의 둘레는 림(342)의 둘레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허브(344)는 림(342)의 내부 중 팬(3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허브(344)는 림(342)보다 짧게 형성되고, 림(342)은 내부 중 허브(344)의 상류 부위에는 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림(342) 내부에서 팬(320)과 허브(344)는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팬(320)의 상측에 허브(344)가 배치될 수 있다. 팬(320)과 허브(344)는 각각 림(342)과 마주볼 수 있다. 허브(344)의 상하방향상 길이는 림(342)의 상하방향상 길이에서 팬(320)의 상하방향상 길이를 뺀 것에 가까울 수 있다.
또한, 허브(344)는 팬(3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3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허브(344)의 내부에 수용된 팬모터(310)는, 허브(344)의 일측을 관통하는 모터축(312)을 통해 팬(320)에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310)의 모터축(312)은 팬(32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허브(344)의 내부에 팬모터(310)가 수용됨으로써, 블로어(1)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림(342)은 팬어셈블리(300)(300)의 하우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허브(344)는 상하방향상 평단면적이 일정한 제1 파트(344a)와 평단면적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2 파트(3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44a)는 허브(344)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파트(344b)는 허브(344)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파트(344a)와 제2 파트(344b)는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파트(344a)의 하단과 제2 파트(344b)의 상단은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파트(344b)는 제1 파트(344a)의 둘레의 하단이 반경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파트(344a)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파트(344a)의 둘레는 림(342)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파트(344a)의 외둘레에는 후술할 베인(348)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344a)의 내측에는 팬모터(310)가 제1 파트(344a)의 내둘레로부터 이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2 파트(344b)는 제1 파트(344a)의 하단으로부터 팬(320)의 회전축을 향하여 반경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344b)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콘 형상일 수 있다. 제2 파트(344b)는 내측에서 팬모터(310) 하단의 모서리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제2 파트(344b)는, 하부가 개구되어 팬모터(310)의 모터축(312)이 관통될 수 있다. 제2 파트(344b)의 개구부를 관통한 모터축(312)은, 팬(32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310)와 팬(320)이 모터축(312)으로 연결될 수 있을 정도로 팬(320)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부위에서, 제2 파트(344b)는 반경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수평하게 연장된 부위의 상측에 팬모터(310)가 안착될 수 있다. 수평하게 연장된 부위의 중앙부는 개구되어 모터축(312)이 통과될 수 있다. 허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은 허브(344)의 모터 수용 여부에 제한되지 않으며, 팬모터(310)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과 허브(344)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허브(344)의 형상에 따라, 가압공간(Vp)의 폭은 팬(320)의 토출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다가 일정할 수 있다.
디퓨져(340)의 복수개의 베인(348)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림(342)과 허브(344)를 연결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베인(348)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허브(344)의 외둘레 및 림(342)의 내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340)의 베인(348)은, 송풍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고, 디퓨져(340)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32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베인(348)은, 가압공간(Vp)의 폭이 좁아져 상대적으로 유속이 빨라지는 구간(즉, 허브(344)의 제1 파트(344a)에 대응되는 구간)에 배치되어, 와류를 방지하고, 유동을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공간(Vp)이란, 림(342)과 허브(344) 사이의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압공간(Vp)은 평면도상 대체로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평면도상 링 형상의 토출부를 갖는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가압공간(Vp)을 유동한 뒤 디퓨져(34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가압공간(Vp)은, 이하, '디퓨져(340)의 유로'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디퓨져(340)의 가압공간(Vp)의 입구부(내지 상류단)은 팬(320)의 토출부와 연결되어,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디퓨져(34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디퓨져(340)의 가압공간(Vp)의 출구부(내지 하류단)는 타워베이스(130)의 분배공간(Vd)와 연결되어, 디퓨져(34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타워베이스(13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디퓨져(340)의 출구부는 복수개의 베인(348)이 배치되는 부위로 이해될 수도 있다.
가압공간(Vp)의 유로 폭은 림(342)과 허브(344)간의 반경 방향의 이격거리(Dp)로 이해될 수 있다. 종래 블로어(1)의 디퓨져(340)의 경우, 림(342)과 허브(344)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모든 회전 반경상의 이격거리(Dp)가 동일함이 일반적이다. 또한, 별도로 이격거리(Dp)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지 않는 종래 디퓨져(340)의 허브(344)와 림(342)간의 이격거리(Dp)는 팬(320)의 토출부 폭에 대응됨이 일반적이다.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온전히 디퓨져(3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를 때, 림(342)과 허브(344)는 림(342)과 허브(344) 사이의 반경 방향의 이격거리(Dp)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격거리(Dp)를 소정 영역에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디퓨져(340)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 압력 등의 파라미터를 차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디퓨져(340)의 유로 중 블로어(1) 내 유동 저항이 높은 부위로 공기를 토출하는 영역에서는 림(342)과 허브(344) 사이의 반경 방향 이격거리(Dp)를 넓게 하여 가압공간(Vp)을 확장시킴으로써, 블로어(1) 내부 유로의 비대칭성을 보정하고 토출구의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풍량이 도달하도록 하여 블로어(1)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공간(Vp)은, 제1 영역(Vp1)과, 제1 영역(Vp1)보다 이격 거리(Dp)가 더 큰 제2 영역(Vp2)을 포함한다. 제1 영역(Vp1)은 상대적으로 이격거리가 짧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Vp1)이란, 가압공간(Vp) 내 다른 영역에 비하여 이격거리(Dp)가 확장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Vp2)이란, 가압공간(Vp) 내 다른 영역에 비하여 이격거리(Dp)가 확장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Vp2)은 다른 영역과의 비교를 통해 정해지는 상대적인 개념일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제1 영역(Vp1)의 이격거리(Dp)는 제1 이격거리(Dp1)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영역(Vp2)의 이격거리(Dp)는 제2 이격거리(Dp2)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영역(Vp2)은, 가압공간(Vp) 중 제1 토출공간(Vo1) 및 제2 토출공간(Vo2)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Vp2)이란, 디퓨져(34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제1 토출공간(Vo1) 혹은 제2 토출공간(Vo2)으로 직진(또는 직진에 가깝게) 유동할 공기가 토출되는 디퓨져(340) 가압공간(Vp)상의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Vp2)이란, 제1 토출공간(Vo1) 및 제2 토출공간(Vo2)을 디퓨져(340)의 가압공간(Vp)에 수직으로 투영시켜 정의하는 가상의 영역(즉, 정사영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영역(Vp2)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직진성에 의하여 별도의 저항 없이 분배공간(Vd)를 통과하여 곧바로 제1 토출공간(Vo1) 혹은 제2 토출공간(Vo2)으로 유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구성이 가압공간(Vp)으로 정사영된 영역(Projected Area)이란, 송풍팬(320)으로부터 토출되어 직진성을 갖고 유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공기의 직진성을 전제로, 디퓨져(340)의 가압공간(Vp) 중 특정 구성측으로 유동할 공기가 토출되는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영역(Vp1)에서 토출된 공기는, 토출 유로에 도달하기까지 유동 저항을 받을 수 있다.특히, 제1 영역(Vp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직진에 가깝게 분배공간(Vd)를 유동한 결과 후술할 브릿지면(131)에 일차적으로 부딛힌 다음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제1 토출공간(Vo1)와 제2 토출공간(Vo2)로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Vp2)의 유로 폭을 제1 영역(Vp1)보다 크게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디퓨져(340)가 토출하는 풍량 중 제2 영역(Vp2)으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의 비율을 크게 하여, 유동이 토출구(117,127)까지 도달하는 경로상의 내부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팬(320)으로부터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고려하여 토출구까지 최적의 경로로 도달하는 공기의 비율을 최대화함으로써, 블로어(1) 내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블로어(1)의 풍량을 더욱 향상시키고 소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평단면상 림(342)과 허브(344)는 서로 닮은 꼴의 링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단면상 림(342)과 허브(344)는 원형일 수 있다. 이때, 림(342)과 허브(344) 사이의 반경 방향의 이격거리(Dp)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갖도록, 림(342) 및/또는 허브(344)의 일부분을 반경 방향상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그러나, 림(342)은 디퓨져(34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디퓨져(340)는 한정된 블로어(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야하는 점에서, 림(342)은 블로어(1)의 케이스(100)에 내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이격거리(Dp)를 조절함에 있어 림(342)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시키는 것에 비하여 허브(344)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허브(344)는 둘레의 일부가 반경 내측으로 함몰되어 제2 영역(Vp2)을 정의하는 함몰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Vp2)은 허브(344)가 반경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함몰부(346) 내지 절곡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허브(344)가 반경 내측을 향하여 함몰됨으로써, 림(342)과 허브(344)의 이격거리(Dp)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림(342)은 평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또는, 림(342)은 로우케이스(150)의 내둘레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블로어(1) 부피에 맞춰 림(342)과 허브(344)를 구비하되 허브(344)만을 내측으로 함몰시켜 제2 영역(Vp2)을 형성함으로써, 블로어(1) 전체 형상에는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이하게 제2 영역(Vp2)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져(340)의 유로를 확장하기 위하여 림(342)을 외측으로 절곡시키는 경우 대비 허브(344)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디퓨져(340)의 전체 부피를 유지하면서도 간이하게 디퓨져(340)의 유로를 확장시켜 블로어(1)의 풍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허브(344)의 함몰부(346)는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이때, 함몰부(346) 내지 절곡부는, 허브(344)을 반경 내측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림(342)은 평단면이 원형이고, 허브(344)는 평단면이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호(arc)와 인접한 호를 연결하는 현(chord)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제조된 링 형상 허브(344)의 제작 금형에 평탄형 프레스로 제조된 금형을 단순 삽입함으로써 함몰부(346)를 구비한 허브(344)의 제작이 가능해지도록하여, 블로어(1)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함몰부(346) 내지 절곡부의 제조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함몰부(346) 내지 절곡부는, 열 변형, 사출 형성 등의 방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어퍼케이스(140)의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Vp2)은, 제1 토출공간(Vo1)과 대응되는 제2-1 영역(Vp21)과 제2 토출공간(Vo2)과 대응되는 제2-2 영역(Vp22)이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제2 베인(348b)은, 제2-1 영역(Vp21)에 배치되는 제2-1 베인(348b1)과 제2-2 영역(Vp22)에 배치되는 제2-2 베인(348b2)이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퓨져(340) 하류의 유로 구성과 가압공간(Vp) 및 베인(348)의 구성을 동기화시킴으로써 블로어(1)의 유동 효율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블로어(1)는 적어도 일부가 타워베이스(130) 내부로 관입되어 분배공간(Vd)상에 배치되는 구조물(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7, 및 13 참조) 구조물(362)는 블로어(1)에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조물(362)일 수 있다.
구조물(362)는 분배공간(Vd)의 일부를 점유할 수 있다. 분배공간(Vd) 내 공기 유동은 구조물(362)에 의해 방해될 수 있다. 구조물(362)는 분배공간(Vd) 내 유동에 대하여 저항물이 될 수 있다. 구조물(362)에 의한 분배공간(Vd) 내에서의 유동 저항을 보정하기 위하여, 디퓨져(340) 유로 폭의 이격거리(Dp)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1 구조물(362a)은 타워베이스(130)의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관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조물(362a)는, 사용자가 함몰된 부위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하여 블로어(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핸들일 수 있다. 핸들은 타워베이스(130)의 겉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고, 함몰된 방향의 반대측은 개구되어 외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가 로우케이스(15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상하방향상 핸들의 유로상 위치가 허브(344) 내지 가압공간(Vp)의 상측 내지 하류임은 당연할 수 있다.
이격거리(Dp)가 상대적으로 넓은 제2 영역(Vp2)은 가압공간(Vp) 중 제1 구조물(362a)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1 영역(Vp21) 및 제2-2 영역(Vp22)과의 구분을 위하여, 가압공간(Vp) 중 제1 구조물(362a)이 정사영된 영역을 제2-3 영역(Vp23)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2-3 영역(Vp23)이란, 디퓨져(340)의 가압공간(Vp) 중 제1 구조물(362a)측으로 유동할 공기가 토출되는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어(1)에 소정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구조물(362)이 배치됨으로 인해 팬어셈블리(300) 하류에서 공기 유로가 좁아지더라도, 가압공간(Vp) 중 좁아진 유로와 대응되는 영역에 더욱 많은 공기가 유동하도록 제2-3 영역(Vp23)에서 이격거리(Dp)가 인접한 영역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단위시간당 제2-3 영역(Vp23)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117,127)에 도달하는 양은 제1 구조물(362a)에 의한 국소적인 유동 저항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117,127)에 도달하는 양과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어(1) 내부의 유동 효율이 향상되고 블로어(1)의 토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구조물(362)은 분배공간(Vd)뿐만 아니라 가압공간(Vp)을 함께 점유할 수도 있다. 가압공간(Vp) 중 구조물(362)이 관입된 부위는 구조물(362)에 의해 유로 폭이 좁아질 수 있다. 가압공간(Vp) 내 공기 유동은 구조물(362)에 의해 방해될 수 있다. 구조물(362)는 가압공간(Vp) 내 유동에 대하여 저항물이 될 수 있다. 유동 저항을 보정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인(348)의 입구각(X)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조물(362b)는, 블로어(1)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타워베이스(130)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은 디스플레이로부터 타워베이스(130) 및/또는 림(342)의 내측으로 관입되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용 전자기판회로(PCR)일 수 있다. 즉, 림(342)에는,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관입(즉, 가압공간(Vp)으로 관입)되어 소정의 제2 구조물(362b)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Vp1)은, 제1-1 영역(Vp11)과, 제2 구조물(362b)이 관입되어 허브(344)와 림(342) 사이의 반경 방향 이격 거리(Dp)가 제1-1 영역(Vp11)보다 좁은 제1-2 영역(Vp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영역(Vp11)은 별도의 관입 구조물(362)이 배치되지 않는 제1 영역(Vp1)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2 영역(Vp12)에 배치되는 제1-2 베인(348a2)의 입구각(X)은 제2 구조물(362b)의 관입에 따른 유로 폭의 축소를 보정하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베인(348)의 반경 방향상 길이는 해당 베인(348)이 배치되는 부위의 이격거리(Dp)와 동일할 수 있다. 가압공간(Vp)이 폭이 다른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됨에 따라, 각 영역에 배치되는 베인(348) 역시 구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348)은, 제1 영역(Vp1)에 배치되는 제1 베인(348a)과, 제2 영역(Vp2)에 배치되는 제2 베인(348b)을 포함한다. 제1 베인(348a)의 반경 방향상 길이는 제1 영역(Vp1)의 이격거리(Dp1)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베인(348b)의 반경 방향상 길이는 제2 영역(Vp2)의 이격거리(Dp2)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영역(Vp1)이 제1-1 영역(Vp11) 및 제1-2 영역(Vp12)으로 구분됨에 따라, 제1 베인(348a)은 제1-1 영역(Vp11)에 배치되는 제1-1 베인(348a1)과 제1-2 영역(Vp12)에 배치되는 제1-2 베인(348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영역(Vp2)이 제2-1 영역(Vp21), 제2-2 영역(Vp22), 및/또는 제2-3 영역(Vp23)으로 구분 됨에 따라, 제2 베인(348b)은 제2-1 영역(Vp21)에 배치되는 제2-1 베인(348b1)과, 제2-2 영역(Vp22)에 배치되는 제2-2 베인(348b2)과, 및/또는 제2-3 영역(Vp23)에 배치되는 제2-3 베인(348b3)을 포함할 수 있다.
팬(32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 유동이 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됨에 따라, 베인(348)의 하측단부(L)는 베인(348)의 상류단부(L)로 이해될 수 있고, 베인(348)의 상측단부(U)는 베인(348)의 하류단부(U)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인(348)의 상류단부(L) 및 하류단부(U)가 가상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직선 V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각각 입구각(X) 및 출구각(Y)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6 참조)
종래 디퓨져(340)는 복수개 베인(348)의 입구각이 상호 동일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1)의 경우, 제2 베인(348b)은 입구각(X2)이 제1 베인(348a)의 입구각(X1)보다 크게 형성된다.
베인(348)의 입구각(X)의 차등 정도는 해당 영역의 유로 폭(Dp)이 차등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의 유로 폭(Dp2)이 제1 영역(Vp1)의 폭(Dp1)보다 1.1배 내지 1.3배 넓도록 형성될 때, 제2 베인(348b)의 입구각(X2)은 제1 베인(348a)의 입구각(X1)보다 2도 내지 4도 클 수 있다.
베인(348)의 입구각(X)의 차등 정도는 해당 영역의 유로의 평단면상 면적이 차등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Vp2)의 면적은 제1 영역(Vp1)의 면적보다 1% 내지 3% 더 넓을 수 있다. 제2 베인(348b)의 입구각(X2)은 제1 베인(348a)의 입구각(X1)보다 2도 내지 4도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영역(Vp2)의 면적은 제1 영역(Vp1)의 면적보다 2.5% 더 넓을 수 있다. 제2 베인(348b)의 입구각(X2)은 제1 베인(348a)의 입구각(X1)보다 3도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는 실험적으로 도출된 값으로서, 유동 효율 개선을 최대화하는 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풍의 유동에 유리한 영역(즉, 제2 영역(Vp2))의 유로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고, 유로 폭이 넓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베인(348)의 형상도 유동을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입구각을 증가시킴으로써, 블로어(1)의 풍량을 상승시킬 수 있고, 블로어(1)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영역(Vp12)은 제2 구조물(362b)의 관입으로 인해 유로 폭이 제한되는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제1-2 영역(Vp12)에 배치되는 제1-2 베인(348a2)의 입구각(X12)은, 제1-1 베인(348a1)의 입구각(X11)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공간(Vp)측으로 관입되는 구조물(362)에 의해 가압공간(Vp)의 유로 폭이 좁아질 경우, 해당 영역 베인(348)의 입구각을 작게 함으로써 좁아진 영역으로 유동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인(348)의 입구각(X)을 차등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베인(348)의 하측단부(L)를 절곡하여 더욱 길게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베인(348b)은 입구각(X2)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단부(L)의 길이가 제1 베인(348a)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를 경우, 입구각을 키우면서도 가이드 면적을 증가시켜 유동 가이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베인(348)의 입구각(X)을 차등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베인(348)의 종단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베인(348)을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베인(348b)은 제1 베인(348a)보다 입구각(X)이 크도록 제1 베인(348a)을 회전시킨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를 경우, 기존 제1 베인(348a)의 금형을 단순 회전시켜 제2 베인(348b)의 금형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형 제작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베인(348)의 출구각(Y)은 베인(348)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0도에 가까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인을 회전시켜 베인의 입구각을 차등시킬 경우, 베인의 간이한 회전을 통해 입구각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베인의 결합 방식을 조립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림과 허브에 베인의 체결을 위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홈을 베인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 및 홈의 위치는 종단면상 베인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하고, 돌출부와 홈의 결합은 끼움방식에 의하되,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베인이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이하게 디퓨져 베인의 입구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인의 상하방향상 내지 유동방향상 길이를 연장시켜 (즉, 하측단부를 연장시켜) 베인간의 입구각을 차등할 경우, 유로 폭이 넓어 허브로부터 림측으로 전달되어야할 하중에 대한 부담이 더욱 클 수 있는 제2 영역에서는 베인의 상하방향상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욱 길게 형성되어 디퓨져의 하중 전달에 대한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복수개의 베인(348)은 허브(344)의 외둘레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348)은 림(342)의 내둘레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인(348)간의 이격 거리(w)는, 베인(348)간의 원주상 이격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348)간의 이격 거리(w)는, 어느 한 베인(348)의 하단으로부터 인접한 베인(348)의 하단까지의 원주 방향상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원주 방향상 거리는, 평단면상 디퓨져(340)의 중심을 기준으로한 회전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5 참조)
종래 디퓨져(340)의 경우 복수개의 베인(348)은 허브(344) 또는 림(342)의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베인(348)의 입구단부가 평단면상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면서 연장되어 베인(348)의 입구각(X)을 차등하는 경우, 입구단부가 연장되는 길이의 차이에 의해 베인(348)간의 거리(w) 또한 차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베인(348)은, 인접한 베인(348)간의 이격 거리(w)가 제2 영역(Vp2)에서 제1 영역(Vp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을 따라 차례 대로, 제2-2 영역(Vp22)에 인접한 베인(348)과 이와 가장 가까운 제2-2 베인(348b2)간의 회전각(w21), 두 제2-2 베인(348b2)간의 회전각(w22), 제2-2 영역(Vp22)에 인접한 나머지 베인(348)과 이와 가장 가까운 제2-2 베인(348b2)간의 회전각(w23)은 각각, 20.05도, 20.00도, 19.95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베인(348)의 입구각(X)을 차등하기 위함과는 별개로, 베인(348)간의 거리(w)를 더욱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블로어(1)의 유동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Vp2)에 배치된 베인(348)은 원주 방향상 평행 이동되어 상호간의 거리(w2)가 멀어지도록 배치되고, 제1 영역(Vp1)에 배치된 베인(348)은 원주 방향상 평행 이동되어 상호간의 거리(w1)가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베인(348)은, 인접한 베인(348)간의 이격 거리(w)가 제2 영역(Vp2)에서 제1 영역(Vp1)보다 클 수 있다.
림(342)의 내측면과 허브(344)의 외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의 인접한 홈간의 이격 거리는 등간격일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348)은 복수개의 홈 중 소정의 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베인(348)을 등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게하여, 간이하게 제2 영역(Vp2)의 베인(348)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블로어(1)의 사용시 옵션 추가등에 의한 블로어(1)의 내부 구조 변동에도 간이하게 대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허브(344)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팬모터(310)가 배치될 수 있다. 블로어(1)는 팬모터(3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케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케이스(100)는, 림(342)과 허브(344)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영역(Vp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인(348)보다 두껍게 형성되면서도 팬모터(310)의 작동을 위해 필연적으로 구비되는 전선을 내부의 습기나 물방울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선케이스(100)를, 제1 영역(Vp1)이 아닌, 유로 폭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제2 영역(Vp2)에 배치함으로써, 전선케이스(100)로 인한 유동 효율 저하를 감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3 영역(Vp2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Vp2) 중 상대적으로 토출 성능에 영향이 적은 제2-3 영역(Vp23)에 전선케이스(100)를 배치하여, 전선케이스(100)로 인한 유동 효율 저하를 더욱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로우케이스(150)(150), 타워베이스(130), 어퍼케이스(140)(140)가 적층되는 블로어(1) 구조에서, 블로어(1)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가 서로 측방으로 이격됨에 따라, 양 타워를 벌리거나 좁히는 외력에 대한 블로어(1)의 내성이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브릿지면(131)은, 블로잉 스페이스(BS)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의 측벽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 5 내지 7 참조) 브릿지면(131)은, 상술한 타워베이스(130)의 상면일 수 있다. 브릿지면(131)은, 제1타워의 내측벽(제1 내측벽)과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면(131)은, 제2타워의 내측벽(제2 내측벽)과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면(131)은,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를 고정시키고,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디퓨져(340)로부터 토출되어 분배공간(Vd)를 유동하는 공기 중 브릿지면(131)에 도달한 공기는 브릿지면(131)을 타고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로 분배될 수 있다. 브릿지면(131)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의 분배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서포터(370)는, 하부가 허브(344)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부가 브릿지면(131)의 하면에 연결되어 브릿지면(131)으로부터 허브(344)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서포터(370)는, 디퓨져(340)와 브릿지면(131) 사이에 배치되어 디퓨져(340)와 브릿지면(131)을 연결할 수 있다. (도 5 내지 7, 13 참조)
서포터(370)의 하부가 허브(344)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고 함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이에 다른 구조물을 배치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370)는, 하중을 전달하면서도 블로어(1) 내부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하는 소정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중을 허브(344)에 고루 전달하기 위하여 서포터(370)의 하단의 평단면은 허브(344)의 상단의 평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370)는, 블로어(1) 내부 유동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좁게 형성되는 콘(Corn)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의 내측벽의 하중이 서포터(370)를 통해 허브(344)로 모두 전달됨으로 인해, 허브(344)의 내구성이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복수개의 베인(348)은, 반경 방향 내측단이 허브(344)에 연결되고, 반경 방향 외측단이 림(34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베인(348)이 단순히 가압공간(Vp)을 구획하는 것을 넘어서 허브(344)와 림(342)을 연결시킴으로써, 허브(344)로 가해지는 하중을 림(342)로 분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로어(1)의 상부의 하중을 블로어(1)의 하부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는 구조, 특히, 서로 이격된 트윈 타워 형태의 블로어(1)에서, 블로어(1) 상부의 하중을 디퓨져(340)의 허브(344)로 전달하면서도,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디퓨져(340)의 베인(348)을 통해 허브(344)와 림(342)을 연결하여, 허브(344)의 하중 부담을 림(342)로 분담시킴으로써, 디퓨져(340)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허브(344)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함몰부(346))가 형성됨에 따라, 절곡부로 블로어(1) 상부의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블로어(1)의 무게중심이 위치되는 평단면상 중심부에 가까울수록 더 많은 하중을 부담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블로어(1)의 무게중심에 가까워진 허브(344)의 절곡부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하중을 집중받게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블로어(1)의 형상은 팬(320)의 회전축 내지 팬모터(310)의 모터축(312)을 기준으로 내부가 대칭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블로어(1) 상부로부터 허브(344)로 가해지는 하중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그려지는 가상의 원주상에서 등분포되는 형태로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디퓨져(340)의 유로 폭 확보를 위하여 허브(344)을 내측으로 함몰시킬 경우, 함몰부(346)가 해당 원주상에서 하중을 집중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블로어(1)는, 허브(344)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브칼럼(3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칼럼(345)은, 허브(344)의 중심을 기준으로 함몰부(346)와 동일한 원주(CL)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 참조) 또는, 함몰부(346)는, 서브칼럼(345)이 형성하는 원주(CL)에 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제2 영역(Vp2)의 이격거리(Dp2) 또한 이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 외, 유로폭이 넓어진 정도는 허브(344)에 내장되는 모터의 크기, 블로어(1) 내부의 유로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서브칼럼(345)이 함몰부(346)와 동일한 원주(CL)상에 배치됨으로써, 서브칼럼(345)과 함몰부(346)는 허브(344)의 중심(또는 블로어(1)의 평단면상 무게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칼럼(345)과 함몰부(346)는 블로어(1)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부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허브(344)의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칼럼(345)이 허브(344)의 함몰부(346)와 동일 원주상에서 함몰부(346)와 함께 블로어(1) 상부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허브(344)의 함몰부(346)에 하중이 집중되어 허브(34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로어(1)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브칼럼(345)의 하단은, 상술한 허브(344)의 제2 파트(344b)에 연결될 수 있다. 허브(344)의 제2 파트(344b)는, 서브칼럼(345)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서브칼럼(345)은, 허브(344)의 제1 파트(344a)와 같거나 유사한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서브칼럼(345)의 상단은 서포터(37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칼럼(345)은, 본 서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하중의 분담을 위해 배치되는 동시에, 팬모터(310)의 외둘레를 타이트하게 고정하기 위해 팬모터(310)의 외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팬모터(310)를 고정함에 따라, 블로어(1)의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블로어(1)은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필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는 로우케이스(150)(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우케이스(150)(15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필터의 탈부착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우케이스(150)(150)를 분리하여 필터(200)를 케이스(100)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필터(200)는 내부에 상하 방향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200)의 외측면은 흡입구(155)와 대향될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필터(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유동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유해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팬(320)의 공기 유입구에는 흡입그릴(35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은 필터(200)가 분리되었을 때, 팬(320) 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및 팬(320)(3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흡입그릴(350)의 하측에 필터(2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측에 팬(320)(32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토출구와 토출풍의 유동에 관하여 자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는 블로잉 스페이스(BS)의 높이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로잉 스페이스(BS)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공기 토출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가 좌우에 배치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공기토출방향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로잉 스페이스(BS)를 가로지르는 공기토출방향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공기토출방향(F1)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공기토출방향(F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참조) 제1 공기토출방향(F1)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기류라 할 수 있고, 제2 공기토출방향(F2)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승기류라 할 수 있다.
수평기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만 유동시킨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승기류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만 유동시킨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아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상단 간격과 하단 간격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상단 간격이 하단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좌우 폭을 일정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블로잉 스페이스(BS) 전방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의 폭과 하측의 폭이 다를 경우, 넓은 쪽의 유동속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속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해 공기의 유속편차가 발생될 경우, 공기의 도달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에서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유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유동되게 하지 않고, 제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를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 합류시킨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블로잉 스페이스(BS)는 토출공기들이 합류되어 믹스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로잉 스페이스(BS)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잉 스페이스(BS) 후방의 공기도 블로잉 스페이스(BS)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를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 합류시킴으로써,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 주변의 공기도 공기 토출방향으로 간접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공기토출방향(F1)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공기토출방향(F2)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토출방향(F2)을 형성하기 위해 제1 타워(110)의 상측단(111) 및 제2 타워(120)의 상측단(121)이 이격될 수 있다. 즉,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상방이 개구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방향(F1)을 형성하기 위해 제1 타워(110)의 전단(112) 및 제2 타워(120)의 전단(122)이 이격될 수 있다. 즉,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전방이 개구될 수 있다.
제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2 타워(120)의 후단(123)도 이격될 수 있다. 즉, 블로잉 스페이스(BS)의 후방이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어(1)가 작동할 경우 압력차로 인해 블로어(1) 후방의 기류가 블로잉 스페이스(BS)의 후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에서 블로잉 스페이스(BS)를 향하는 면은 내측벽이라 할 수 있고, 블로잉 스페이스(BS)를 향하지 않는 면을 외측벽이라 할 수 있다.
제1 타워(110)의 외측벽(114) 및 제2 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타워(110)의 내측벽(115) 및 제2 타워(120)의 내측벽(125)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내측벽(115)(125)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1 타워(110)의 내측벽을 제1 내측벽(115)이라 할 수 있고, 제2 타워(120)의 내측벽을 제 2 내측벽(125)이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벽(114)(124)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1 타워(110)의 외측벽을 제1 외측벽(114)이라 할 수 있고, 제2 타워(120)의 외측벽을 제2 외측벽(124)이라 할 수 있다.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측벽(115) 및 제1 외측벽(11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내측벽(125) 및 제2 외측벽(12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는 제1 내측벽(115)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토출구(127)는 제 2 내측벽(12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벽(115) 및 제 2 내측벽(125)의 최단거리를 B0이라 한다. 토출구(117)(127)은 최단거리(B0)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타워(110)의 전단(112) 및 제2 타워(120)의 전단(122)의 이격거리를 제 1 이격거리 B1라 할 수 있고, 제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2 타워(120)의 후단(123)의 이격거리를 제 2 이격거리 B2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B1 및 B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B1 또는 B2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는 B0 및 B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는 B0 보다 제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2 타워(120)의 후단(123)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17)(127)가 후단(113)(123)에 가깝게 배치될 수록 후술하는 코안다효과를 통한 기류제어에 용이하다.
제1 타워(110)의 내측벽(115) 및 제2 타워(120)의 내측벽(125)은 코안다효과를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제1 타워(110)의 외측벽(114) 및 제2 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코안다효과를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내측벽(115)(125)은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를 전단(112)(122)까지 직접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를 수평기류를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의 공기 유동으로 인해 외측벽(114)(124)에서도 간접적인 공기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외측벽(114)(124)은 간접적인 공기유동에 대해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고, 간접 공기유동을 전단(112)(122)으로 안내할 수 있다.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좌측은 제1 내측벽(115)에 의해 막힐 수 있고,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우측은 제2 내측벽(125)에 의해 막힐 수 있만,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기류변환기가 블로잉 스페이스(BS)를 통과하는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고, 상승기류는 블로잉 스페이스(BS)의 개방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승기류는 토출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실내공기를 적극적으로 대류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 합류된 공기의 유량을 통해 토출공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좌우 폭(B0, B1, B2)보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의 상하 길이를 훨씬 길게 형성함으로써, 제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 합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블로어(1)의 전체적인 형상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블로어(1)은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블로어(1)은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우케이스(150)(15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140)(140) 역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블로어(1)은 2개의 타워가 배치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외부 충력에 의한 전도의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하로 길게 형성된 토출구를 갖는 블로어(1) 타입에서, 토출구의 각 부위가 팬(320)으로부터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토출 압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로우케이스(150)(150), 타워베이스(130), 및 어퍼케이스(140)(140)가 일체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로우케이스(150)(150), 타워베이스(130), 및 어퍼케이스(140)(140)가 일체로 제작된 프론트 케이스(100) 및 리어 케이스(100)를 제작한 후 조립할 수도 있다.
로우케이스(150)(150), 타워베이스(130), 및 어퍼케이스(140)(140)의 외측면은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타워베이스(130)의 하단과 로우케이스(150)(150)의 상단이 밀착될 수 있고, 타워베이스(130)의 외측면과 로우케이스(150)(150)의 외측면이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워베이스(130)의 하단 직경은 로우케이스(150)(150) 상단 직경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로우케이스(150)(15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둘레에 흡입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로우케이스(150)(15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우케이스(150)(150)는 측방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필터의 탈부착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55)는 로우케이스(150)(1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360도 전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55)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흡입구(155)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로우케이스(150)(150)에서 공급된 공기를 분배할 수 있고, 분배된 공기를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에 제공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를 연결할 수 있고, 블로잉 스페이스(BS)는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토출구(117)(127)가 배치될 수 있고, 상승기류 및 수평기류는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워베이스(130)의 상측면(13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측면은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측면(131)의 일측(131a)은 제1 내측벽(115)에 연결될 수 있고, 상측면(131)의 타측(131b)은 제 2 내측벽(1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측면(131)은 제1 내측벽(115) 및 제2 내측벽(125)과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의 상측면(131)은, 브릿지면(131)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탑뷰로 볼 때,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는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될 수 있다. 특히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는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중심선 L-L'은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 사이의 가상의 선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측면(131)을 지나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가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수평기류 및 상승기류의 제어에 보다 유리하다.
도 8, 9를 참조하면, 제1 타워(110)의 제1 토출구(117)는 제2 타워(120)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타워(120)의 제2 토출구(127)는 제1 타워(110)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를 통해 제1 타워(110)의 내측벽(115)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제2 토출구(1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를 통해 제2 타워(120)의 내측벽(125)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는 상술한 바와 달리,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의 개구부(118)(128)에 별도의 부재인 후술할 토출파트가 배치됨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토출파트(170)는 제1 토출구(117)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토출구(11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1 토출가이드(172)와, 제1 토출구(117)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토출구(117)의 공기 토출 반대측에 배치된 제2 토출가이드(1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172) 및 제2 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2a)(174a)은 제1 타워(110)의 내측벽(115) 중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172)의 내측은 제1 토출공간(Vo1)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외측은 블로잉 스페이스(BS)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은 제1 토출공간(Vo1)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외측은 블로잉 스페이스(BS)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면(172a)은 제1 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외측면(172a)은 제1 내측벽(115)의 외측면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한다.
제2 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4a)은 제1 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내측면(174b)은 제1 외측벽(115)의 내측면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토출공간(Vo1)의 공기를 제1 토출가이드(172)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172) 및 제2 토출가이드(174) 사이에 제1 토출구(117)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토출공간(Vo1)의 공기는 제1 토출구(117)를 통해 블로잉 스페이스(BS)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토출공간(Vo1)의 공기는 제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및 제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로 토출될 수 있고, 제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및 제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를 토출간격(175)으로 정의한다. 토출간격(175)은 소정의 채널일 수 있다.
토출간격(175)은 입구(175a) 및 출구(175c)에 비해 중간 부분(175b)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분(175b)은 토출간격(175) 중 최단거리로 정의한다.
토출간격(175)의 입구에서 중간부분(175b)까지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고, 중간부분(175b) 부터 출구(175c)까지 단면적이 다시 넓어질 수 있다. 중간부분(175b)은 제1 타워(1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에서 볼 때, 상기 토출간격(175)의 출구(175c)가 토출구(117)로 보일 수 있다.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해, 제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곡률반경보다 제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172) 외측면(172a)의 곡률중심은 외측면(172a)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토출공간(Vo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가이드(174) 내측면(174b)의 곡률중심은 제1 토출가이드(172) 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토출공간(Vo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파트(180)는 제2 토출구(127)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토출구(12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1 토출가이드(182)와, 제2 토출구(127)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토출구(127)의 공기 토출 반대측에 배치된 제2 토출가이드(1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182) 및 제2 토출가이드(184) 사이에 토출간격(18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파트(180)는 제1 토출파트(170)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기류변환기(400)에 대해 설명한다. 블로어(1)은 블로잉 스페이스(BS)의 공기유동방향을 바꾸는 기류변환기(400, air flow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류변환기(400)는, 블로잉 스페이스(BS)를 통해 유동되는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류변환기(400)는, 제1 타워(110)에 배치된 제1 기류변환기(401)와, 제2 타워(120)에 배치된 제2 기류변환기(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류변환기(401) 및 제2 기류변환기(402)는 좌우 대칭이고, 구성이 동일하다.
기류변환기(400)는, 타워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로잉 스페이스(BS)로 돌출되는 가이드보드(410, guide board)와, 가이드보드(410)의 이동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420)와, 가이드모터(420)의 구동력을 가이드보드(41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재(430)와, 타워 내부에 배치되고, 가이드보드(4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드가이더(4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타워 내부에 은닉될 수 있고, 가이드모터(420)의 작동 시 블로잉 스페이스(BS)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보드(410)는 제1 타워(110)에 배치된 제1 가이드보드(411)와, 제2 타워(120)에 배치된 제2 가이드보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타워(110)의 내측벽(115)을 관통하는 보드슬릿(119)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타워(120)의 내측벽(125)을 관통하는 보드슬릿(129)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워(110)에 형성된 보드슬릿(119)을 제1 보드슬릿(119)이라 하고, 제2 타워(120)에 형성된 보드슬릿을 제2 보드슬릿(129)라 한다.
제1 보드슬릿(119) 및 제2 보드슬릿(129)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드슬릿(119) 및 제2 보드슬릿(129)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드슬릿(119) 및 제2 보드슬릿(129)은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워(110)의 전단(112)은 수직방향을 0도로 할 때 제 1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보드슬릿(119)은 제 2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타워(120)의 전단(122)은 역시 제 1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보드슬릿(129)은 제 2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기울기는 수직방향 및 제 2 기울기 사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기울기는 수평방향보다는 클 수 있다. 제 1 기울기 및 제 2 기울기를 동일하거나, 제 2 기울기가 제 1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평면 또는 곡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블로잉 스페이스(BS)로 유동되는 수평기류를 가로막아 상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 및 제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맞닿거나 근접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가이드보드(410)가 반대편 타워에 밀착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기류변환기(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제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이 제1 보드슬릿(119)을 폐쇄할 수 있고, 제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제2 보드슬릿(129)를 폐쇄할 수 있다.
기류변환기(400)가 작동될 경우, 제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이 제1 보드슬릿(119)을 관통하여 블로잉 스페이스(BS)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제2 보드슬릿(129)을 관통하여 블로잉 스페이스(BS)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보드(411) 및 제2 가이드보드(412)는 회전 동작으로 블로잉 스페이스(BS)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가이드보드(411) 및 제2 가이드보드(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이동되어 블로잉 스페이스(BS)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탑뷰로 볼 때, 제1 가이드보드(411) 및 제2 가이드보드(412)은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보드(411) 및 제2 가이드보드(412)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형성할 수 있고, 곡률중심은 블로잉 스페이스(BS)에 위치될 수 있다.
타워 내부에 가이드보드(410)가 은닉된 상태일 때, 가이드보드(410)의 반경방향 내측의 부피가 반경방향 외측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보드(4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에 LED와 같은 발광부재를 배치하고, 발광부재에서 발생된 빛을 통해 가이드보드(410)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다. 발광부재는 타워 내부의 토출공간(Vo)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보드(410)의 외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모터(420)는 제1 가이드보드(41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모터(421)와, 제2 가이드보드(4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모터(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모터(421)는 제1 타워(110) 내에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측 제1 가이드모터(421) 및 하측 제1 가이드모터(421)로 구분할 수 있다. 상측 제1 가이드모터는 제1 타워(110)의 상측단(111) 보다 낮게 배치되고, 하측 제1 가이드모터는 팬(320)(320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모터(422) 역시 제2 타워(120) 내에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측 제2 가이드모터(422a) 및 하측 제2 가이드모터(422b)로 구분할 수 있다. 상측 제2 가이드모터는 제2 타워(120)의 상측단(121)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고, 하측 제2 가이드모터는 팬(320)(320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모터(421) 및 제2 가이드모터(422)의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랙-피니언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430)는 가이드모터(420)의 모터축(312)에 결합된 구동기어(431)와, 가이드보드(410)에 결합된 랙(4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431)는 피니언기어가 사용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랙(432)은 가이드보드(41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랙(432)은 토출공간(Vo)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보드(410)와 함께 선회운동될 수 있다.
보드가이더(440)는 가이드보드(410)의 선회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보드가이더(440)는 가이드보드(410)의 선회 운동 시 가이드보드(4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보드(410)를 기준으로 보드가이더(440)는 랙(432)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보드가이더(440)는 랙(432)에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보드가이더(440)에 가이드보드의 선회반경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고, 홈을 따라 가이드보드가 이동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보드가이더(440)는 타워의 외측벽(114)(124)에 조립될 수 있다. 보드가이더(440)는 가이드보드(410)를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출공간(Vo)을 유동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의 수평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수평기류를 제공할 경우, 제1 가이드보드(411)는 제1 타워(110) 내부에 은닉되고, 제2 가이드보드(412)는 제2 타원(120) 내부에 은닉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와 제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는 블로잉 스페이스(BS)(120)에서 합류되고, 전단(112)(122)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로잉 스페이스(BS) 후방의 공기는 블로잉 스페이스(BS) 내부로 유도된 후,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타워(110) 주변의 공기는 제1 외측벽(114)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2 타워(120) 주변의 공기는 제2 외측벽(124)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 상측에서 유동되는 공기와 하측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보다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구(117) 및 제2 토출구(127)에서 토출된 공기가 블로잉 스페이스(BS)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먼 곳까지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의 상승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상승기류를 제공할 경우, 제1 가이드보드(411) 및 제2 가이드보드(412)가 블로잉 스페이스(BS)로 돌출되고,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전방을 막는다.
제1 가이드보드(411) 및 제2 가이드보드(412)에 의해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전방이 막힘에 따라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1 가이드보드(411) 및 제2 가이드보드(412)의 후면을 따라 상승되고, 블로잉 스페이스(BS)의 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
블로어(1)에서 상승기류를 형성시킴으로서, 토출공기가 사용자에게로 직접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고자할 때, 블로어(1)을 상승기류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와 블로어(1)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블로어(1)을 상승기류로 작동시켜 실내공기의 대류를 촉진시킬 수 있고, 실내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흡입구가 형성되는 로우케이스;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로우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
    상기 로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측으로 압송시키는 팬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어셈블리는,
    상하로 개구되고, 둘레를 형성하는 림;
    상기 림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팬;
    상기 림의 내부 중 상기 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림의 내둘레면으로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Vp)을 형성하는 허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림과 상기 허브를 연결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Vp)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보다 상기 허브와 상기 림 사이의 반경 방향 이격 거리가 더 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베인과,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인은,
    하측단부가 상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인 입구각이 상기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크게 형성되는 블로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토출공간(Vo1)과 제1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1 타워;
    상기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토출공간(Vo2)과 제2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타워와 이격되는 제2 타워; 및
    상기 제1 타워 및 제2 타워와 상기 로우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공간과 제2 토출공간으로 분배되는 분배공간(Vd)을 형성하는 타워베이스를 포함하는 블로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공간(Vp) 중 상기 제1 토출공간(Vo1) 및 제2 토출공간(Vo2)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블로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워 및 제2 타워는 서로 대칭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토출공간(Vo1)과 대응되는 제2-1 영역과 상기 제2 토출공간(Vo2)과 대응되는 제2-2 영역이 서로 대칭되는 블로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인은,
    상기 제2-1 영역에 배치되는 제2-1 베인과 상기 제2-2 영역에 배치되는 제2-2 베인이 서로 대칭되는 블로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베이스에는,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관입되어 소정의 제1 구조물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공간(Vp) 중 상기 제1 구조물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블로어.
  7. 제1항에 있어서,
    평단면상 상기 림과 허브는 서로 닮은 꼴의 링 형상이고,
    상기 허브는 둘레의 일부가 반경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2 영역을 정의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블로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함몰부는 평면 형상인 블로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인접한 베인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보다 큰 블로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팬모터가 배치되고,
    상기 블로어는 상기 팬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케이스는,
    상기 림과 허브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블로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에는,
    둘레의 일부가 내측으로 관입되어 소정의 제2 구조물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1 영역과, 상기 제2 구조물이 관입되어 상기 허브와 상기 림 사이의 반경 방향 이격 거리가 상기 제1-1 영역보다 좁은 제1-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인은,
    상기 제1-1 영역에 배치되는 제1-1 베인과, 상기 제1-2 영역에 배치되는 제1-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베인은,
    상기 제1-1 베인보다 입구각이 더 작게 형성되는 블로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인은 입구각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단부의 길이가 상기 제1 베인보다 긴 블로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인은 상기 제1 베인보다 입구각이 크도록 상기 제1 베인을 회전시킨 형태인 블로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영역의 폭보다 1.1배 내지 1.3배 넓고,
    상기 제2 베인의 입구각은 상기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2도 내지 4도 큰 블로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1% 내지 3% 더 넓고,
    상기 제2 베인의 입구각은 상기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2도 내지 4도 더 큰 블로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2.5% 더 넓고,
    상기 제2 베인의 입구각은 상기 제1 베인의 입구각보다 3도 더 큰 블로어.
KR1020230000194A 2023-01-02 2023-01-02 블로어 Pending KR20240108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94A KR20240108923A (ko) 2023-01-02 2023-01-02 블로어
PCT/KR2023/001610 WO2024147396A1 (ko) 2023-01-02 2023-02-03 블로어
EP23914861.2A EP4530475A1 (en) 2023-01-02 2023-02-03 B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94A KR20240108923A (ko) 2023-01-02 2023-01-02 블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8923A true KR20240108923A (ko) 2024-07-10

Family

ID=9180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194A Pending KR20240108923A (ko) 2023-01-02 2023-01-02 블로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530475A1 (ko)
KR (1) KR20240108923A (ko)
WO (1) WO20241473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1143A (en) * 1989-05-22 1990-11-20 Carrier Corporation Fan stator assembly for heat exchanger
KR200156079Y1 (ko) * 1994-12-30 1999-10-01 윤종용 모터 케이스
KR101769817B1 (ko) 2015-10-30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EP3211346B1 (en) 2016-02-26 2021-10-2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102011035B1 (ko) * 2016-12-14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송풍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848437B1 (ko) * 2017-03-28 2018-04-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축성 가변형 디퓨저 베인이 구비된 원심형 터보 기계
KR102585886B1 (ko) * 2020-09-21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용 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530475A1 (en) 2025-04-02
WO2024147396A1 (ko) 202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2863B1 (en) Blower
KR20240108923A (ko) 블로어
EP4144997A1 (en) Blower
KR20240064283A (ko) 블로워
KR20240131546A (ko) 블로어
JP7654752B2 (ja) ブロア
KR102658127B1 (ko) 에어클린팬
EP4332383A2 (en) Blower
KR102658126B1 (ko) 에어클린팬
KR20220039901A (ko) 공기 조화기용 팬장치
KR102630055B1 (ko) 에어클린팬
KR102622929B1 (ko) 블로워
KR102585887B1 (ko) 블로어
KR20210141860A (ko) 에어클린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