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08365A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8365A
KR20240108365A KR1020240087491A KR20240087491A KR20240108365A KR 20240108365 A KR20240108365 A KR 20240108365A KR 1020240087491 A KR1020240087491 A KR 1020240087491A KR 20240087491 A KR20240087491 A KR 20240087491A KR 20240108365 A KR20240108365 A KR 2024010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87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도영
이봉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8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8365A/en
Publication of KR2024010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836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플렉시블 기판과 기판상에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있는 제1 보호층, 제1 보호층 상에 있는 평탄화층, 평탄화층 상에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뱅크, 뱅크 상에 있는 스페이서,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덮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뱅크는 블랙물질로 구성하고, 제1 보호층 상에 제2 보호층의 외곽부를 이격하여 둘러싸며 배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구조물은 뱅크와 동일한 물질과 평탄화층 및 스페이서중 하나와 동일한 물질이 적층되어 구성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외부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베젤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substrate, a first protective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planarization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covering a bank, a spacer on the bank,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area where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the bank being made of a black material,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It includes structures arranged to surround and spaced apart, and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 stack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and the same material as on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spacer, thereby improving the external visi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reducing the width of the bezel area. there is.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지(Encapsulation) 구조를 개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an improved encapsulation structure.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평판 표시장치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As we enter the full-fledged information age, the field of flat panel displays that visually display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is developing rapidly, and research is continuing to develop performance such as thinner, lighter, and lower power consumption for various flat panel displays. .

대표적인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 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Wetting Display device (EW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이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서,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구현, 응답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Among the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emitting display device, and un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lightweight and thin form. In addi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not only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ue to low voltage operation, but also have excellent color reproduction, response speed,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R), so the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로 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물을 사용한 발광층(Emissive Layer; EML)을 배치하고, 정공(Hole)을 애노드에서 발광층으로 주입시키고, 전자(Electron)를 캐소드에서 발광층으로 주입하면,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서로 재결합하면서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며 광을 발생시킨다. 이때, 발광층에는 호스트(Host) 물질과 도펀트(Dopant)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두 물질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다. 이때, 호스트는 전자와 정공으로부터 여기자를 생성하고 도펀트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도펀트는 소량이 첨가되는 염료성 유기물로, 호스트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서 광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laces an emissive layer (EML) made of organic material between two electrodes, an anode and a cathode, injects holes from the anode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injects electrons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 is injected from the cathode into the light-emitting layer,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with each other to form excitons and generate light.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layer contains a host material and a dopant material, and the interaction of the two materials is used. At this time, the host generates excitons from electrons and holes and plays a role in transferring energy to the dopant, and the dopant is a dye-based organic material added in a small amount and serves to receive energy from the host and convert it into light.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와 발광층 사이와 캐소드와 발광층 사이에 주입층 또는 수송층을 배치하여 애노드와 캐소드에서 발광층으로 정공과 전자가 원활히 이동하도록 한다.General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ranges an injection layer or a transport layer between an anode and a light emitting layer and between a cathode and a light emitting layer to allow holes and electrons to move smoothly from the anode and cathod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이와 같이 유기물을 사용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리(Glass), 금속(Metal) 또는 필름(Film) 등을 이용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덮어서 봉지(Encapsulation) 하여 외부에서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여 발광층 및 전극의 산화를 방지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 또는 물리적 충격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호한다.In this w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ntaining a light emitting layer using an organic material is encapsulated by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glass, metal, or film to prevent moisture or oxygen from the outside. It prevents oxidation of the light-emitting layer and electrode by blocking inflow, and protects th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from external mechanical or physical shock.

[백색 유기 발광 소자] (특허출원번호 제 10-2007-0053472호)[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53472)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 캐소드 및 발광층을 포함하여 실제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유기발광소자에서 각각의 화소영역은 뱅크(Bank)를 통해서 구획되어 정의된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that actually emit light,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and a light emitting layer, and each pixel area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defined by being partitioned through a bank.

종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된 뱅크는 투명한 유기물인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acryl)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계 수지로 구성된다. 하지만,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외부에서 사용할때, 외부광이 투명한 뱅크를 통해서 뱅크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들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Banks included in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made of transparent organic polyimide, acryl, or benzocyclobutene (BCB) resin. However,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used externally, external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s of metals disposed below the bank through the transparent bank,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visi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reduced.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유기발광소자의 상부에 여러 보호층을 적층하여 봉지(Encapsulation) 한다. 최근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광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 전면에 이물로부터 유기발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실리콘옥시카본(SiOCz), 아크릴(Acryl) 또는 에폭시(Epoxy) 계열의 레진(Resin) 등으로 구성되는 이물보상층 (Particle Cover Layer; PCL)을 배치한다. 하지만,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 중에 유기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이물보상층이 표시영역 주위의 외곽영역으로 유동하여 외곽영역이 불필요하게 넓게 설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encapsulated by stacking several protective layers on top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or oxygen from the outside. Recen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use silicon oxycarbon (SiOCz), acryl, or epoxy resin (SiOCz), acryl, or epoxy resin (SiOCz) on the fro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that displays light to protec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rom foreign substances. Place a particle cover layer (PCL) composed of resin, etc. Howev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disposed on the top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lowed to the outer area around the display area, resulting in the outer area being designed to be unnecessarily wide.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뱅크를 개선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외부광 반사를 최소화시킬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d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vent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minimize external light reflec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y improving the banks that make up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봉지 구조를 개선하여 비표시영역인 외곽영역을 최소화 할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In addi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outer non-display area by improving the encapsulation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플렉시블 기판, 기판 상에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있는 제1 보호층, 제1 보호층 상에 있는 평탄화층, 평탄화층 상에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블랙재료로 이루어진 뱅크, 뱅크 상에 있는 스페이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덮는 제2 보호층 및 제1 보호층 상에 있고, 제2 보호층의 외곽부로부터 이격되어 제2 보호층을 둘러싸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구조물은 뱅크와 동일한 물질과 평탄화층 및 스페이서 중 하나와 동일한 물질이 적층되어 구성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substrate, a first protective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planarization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bank made of a black material, a spacer on the bank, a second protective layer covering the area where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e disposed,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It includes a structure surrounding a protective layer, and the structure is made up of a stack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and the same material as on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pac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그 주변을 둘러싸는 외곽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기판의 표시영역 및 외곽영역을 덮는 무기물층, 표시영역에 있으며, 블랙물질로 구성되는 뱅크, 외곽영역의 무기물층 상에 적어도 두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물을 포함하며, 구조물의 두개의 층은 각각 블랙물질과 유기물질로 구성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n outer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n inorganic material layer covering the display area and the outer area of the substrate, and a bank located in the display area and composed of a black material. ,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layers are stacked on an inorganic material layer in the outer area, and the two layers of the structure are composed of black material and organic material,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플렉시블 기판, 기판 상에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있는 제1 보호층, 제1 보호층 상에 있는 평탄화층, 평탄화층 상에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뱅크, 뱅크 상에 있는 스페이서,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덮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뱅크는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블랙물질을 포함하며, 제1 보호층 상에서 제2 보호층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2 보호층의 외곽부로부터 이격되어 제2 보호층을 둘러싸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구조물은 뱅크와 동일한 물질과 평탄화층 및 스페이서중 하나와 동일한 물질이 적층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substrate, a first protective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planarization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covering the bank, a spacer on the bank,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area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the bank including a black material to prevent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2. It includes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and surrounding the second protective lay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tructure is laminat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and the same material as on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pacer.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블랙물질을 사용한 뱅크가 포함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외부에서 사용할 때 외부광이 뱅크 하부의 금속 표면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시인성이 개선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nk using a black material can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visibility by preventing external light from being reflected from the metal surface below the bank when used externally.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이 포함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이물보상층의 유동 및 범람을 방지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베젤(Bezel)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can minimize the bez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y preventing flow and flooding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뱅크의 물질과 평탄화층 및 스페이서 중 하나의 물질로 구성된 구조물이 포함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별도의 공정의 추가없이 마스크의 설계 변경만으로 제조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composed of a bank material, a planarization layer, and a spacer can be manufactured simply by changing the design of the mask without adding a separate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이 하부의 페시베이션층과의 접착력이 개선되어 구조물의 유실 없이 이물보상층의 유동 및 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on of the structure to the lower passivation layer is improved, thereby preventing flow and flooding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without loss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do not specify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 the scope of the claim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포함된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외곽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외곽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partial area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xel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uter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uter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일부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artial area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를 통해서 실제로 광을 발광하는 화소(116)가 배치되는 표시영역(A/A) 및 표시영역(A/A)의 외곽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외곽영역(B/A) 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play area (A/A) and a display area (A/A) in which pixels 116 that actually emit light through thin film transistors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It consists of an outer area (B/A) arranged around the outer part of A).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표시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116)와 외부에서 생성된 데이터신호를 화소(116)에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14) 및 게이트신호를 화소(116)에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112)이 배치된다. 화소(116) 의 상세 구조는 도 2에서 설명한다.The display area (A/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116, a plurality of data lines 114 that transmit externally generated data signals to the pixels 116, and a gate signal that is transmitted to the pixels ( A plurality of gate lines 112 that transmit data to 116) are dispose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ixel 116 is explained in FIG. 2.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외곽영역(B/A)에는 외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라인(112)이나 데이터라인(114)을 통해서 화소(116)로 전달하는 다양한 회로와 관련된 구성요소 및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봉지를 위한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contains components related to various circuits that transmit externally generated signals to the pixel 116 through a plurality of gate lines 112 or data lines 114. And components for a bag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or oxygen from the outside are disposed.

회로와 관련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데이터 드라이버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포함될 수 있다.Components related to the circuit may include, for example, data drivers or gate drivers.

데이터 드라이버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Digital) 영상 신호를, 감마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된 감마 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Analogue)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영상 신호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114)을 통해 복수의 화소(116)에 전달된다. The data driver converts a digital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analog video signal using the gamma voltage generated by the gamma voltage generator. The converted image signal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pixels 116 through a plurality of data lines 114.

게이트 드라이버는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하며, 각각의 쉬프트 레지스터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112)에 연결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및 복수의 클럭(Clock) 신호를 인가받고, 게이트 드라이버의 쉬프트 레지스터가 순차적으로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쉬프트 시키면서 각각의 게이트 라인(112)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116)를 활성화시킨다. The gate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shift registers, and each shift register is connected to each gate line 112. The gate driver receives a gate start pulse (GSP) and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from the data driver, and the shift register of the gate driver sequentially shifts the gate start pulses to each gate line 112. Activates a plurality of connected pixels 116.

외부에서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여 발광층 및 전극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봉지를 위한 구성요소는 표시영역(A/A) 및 외곽영역(B/A) 전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1 구조물(160a) 및 제2 구조물(160b)을 포함하여 외곽영역(B/A)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봉지를 위한 구성요소들의 상세 구조는 도 3 내지 도 4 에서 설명한다.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electrode by blocking the inflow of moisture or oxygen from the outside, the encapsulation components are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display area (A/A) and outer area (B/A). The detailed structures of components for encapsul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disposed in the outer area B/A, including the first structure 160a and the second structure 160b, are explained in FIGS. 3 and 4. d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표시영역(A/A)에 포함된 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표시된 표시영역(A/A)의 선 I-I' 을 상세히 표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line I-I' of the display area (A/A) shown in FIG. 1 to illustrate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A/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2를 참고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200)는 기판(210), 박막 트랜지스터(220) 및 유기발광소자(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substrate 210, a thin film transistor 22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240.

기판(210)은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플렉시블(Flexible) 특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플라스틱 기판을 적용하여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하고 있다. The substrate 210 serves to support and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disposed on the top. Recently, plastic substrates such as polyimide, which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are being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기판(210) 상에는 기판(210)의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버퍼층(212)이 배치된다. 버퍼층(212)은 실리콘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의 단일층이나 복수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발광 표시장치(200)의 구조나 특성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A buffer layer 212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210 to prevent moisture or oxygen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210. The buffer layer 212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f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r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there is.

버퍼층(212) 상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220)는 게이트전극(222), 소스전극(224), 드레인전극(226) 및 반도체층(2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in film transistor 220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212 includes a gate electrode 222, a source electrode 224, a drain electrode 226, and a semiconductor layer 228.

반도체층(228)은 비정질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비정질 실리콘보다 우수한 이동도(Mobility)를 가져서 에너지 소비 전력이 낮고 신뢰성이 우수하여, 화소 내에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용할 수 있는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또는, 이동도와 균일도 특성이 우수한 ZnO(Zinc Oxide) 또는 IGZO(Indium-Gallium-Zinc Oxide)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층(228)은 p형 또는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소스영역(Source Region), 드레인영역(Drain Region) 및 두 영역 사이에 채널(Channel)을 포함할 수 있고, 채널과 인접한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사이에는 저농도 도핑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miconductor layer 228 is made of amorphous silicon or polycrystalline silicon, which has better mobility than amorphous silicon, has low energy consumption and excellent reliability, and can be applied to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within a pixel. ), or it can be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such as ZnO (Zinc Oxide) or IGZO (Indium-Gallium-Zinc Oxide), which has excellent mobility and uniformity characterist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miconductor layer 228 may include a source region containing p-type or n-type impurities, a drain region, and a channel between the two regions, and a source region adjacent to the channel and A low concentration doping region may be included between the drain regions.

게이트절연층(231)은 실리콘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의 단일층이나 복수층으로 구성된 절연막으로, 반도체층(228)에 흐르는 전류가 게이트전극(222)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배치한다. The gate insulating layer 231 is an insulating film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f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and is placed so that the current flowing in the semiconductor layer 228 does not flow to the gate electrode 222.

게이트전극(222)은 게이트라인과 연결되어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통해서 박막 트랜지스터(220)의 스위치 또는 밸브의 역할을 하며, 도전성 금속, 예를 들어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네오디뮴(Nd) 등이나 이에 대한 합금,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gate electrode 222 is connected to the gate line and functions as a switch or valv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through an externally transmitted electrical signal,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copper (Cu), aluminum (Al), and molybdenum. It may be composed of (Mo),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and neodymium (Nd) or alloys there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소스전극(224) 및 드레인전극(226)은 데이터라인과 연결되어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기신호가 박막 트랜지스터(220)에서 유기발광소자(240)로 전달되도록 한다. 소스전극(224) 및 드레인전극(226)은 도전성 금속, 예를 들어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네오디뮴(Nd) 등의 금속 재료나 이에 대한 합금,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ource electrode 224 and the drain electrode 226 are connected to the data line so that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The source electrode 224 and the drain electrode 226 are made of conductive metal, such as copper (Cu), aluminum (Al), molybdenum (Mo),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 It may be composed of metal materials such as Ni), neodymium (Nd), or alloys thereof, or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게이트전극(222)과 소스전극(224) 및 드레인전극(226)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서 층간절연층(233)을 게이트전극(222)과 소스전극(224) 및 드레인전극(226)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In order to insulate the gate electrode 222, the source electrode 224, and the drain electrode 226 from each other,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3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222, the source electrode 224, and the drain electrode 226. You can.

박막 트랜지스터(220)의 상부에 실리콘산화물(SiOx), 실리콘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막으로 구성된 패시베이션층(235)을 배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220)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불필요한 전기적 연결을 막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손상 등을 막을 수 있다.A passivation layer 235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is placed on the top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to prevent unnecessary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It can prevent contamination or damage from the outside.

박막 트랜지스터(2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위치에 따라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와 코플래너(coplanar)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인버티드 스태거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을 기준으로 게이트전극이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코플래너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220)는 반도체층(228)을 기준으로 게이트전극(222)이 소스전극(224) 및 드레인전극(226)과 같은편에 위치한다.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it can be classified into an inverted staggered structure and a coplanar structure. In an inverted staggered thin film transistor, the gate electrod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ource electrode and drain electrode bas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As shown in FIG. 2, in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having a coplanar structure, the gate electrode 222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source electrode 224 and the drain electrode 226 with respect to the semiconductor layer 228.

도 2에서는 코플래너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220)로 도시되었으나, 인버티드 스태거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In Figure 2,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is shown as a coplanar structure, but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thin film transistor with an inverted staggered structure.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으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도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Additional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shown among the various thin film transistor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ut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s, capacitors, etc. may also be inclu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박막 트랜지스터(220)를 보호하고 박막 트랜지스터(220)로 인해서 발생되는 단차를 완화시키며, 박막 트랜지스터(220)와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 라인, 유기발광소자(240) 들간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정전용량(Parasitic-Capacitance)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220)의 상부에 평탄화층(237)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평탄화층(237)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포토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물로 구성할 수 있다.Protects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alleviates the step caused by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and reduces parasitic capacitance ( To reduce parasitic-capacitance, a planarization layer 237 may be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At this time, the planarization layer 237 may b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or photo acryl.

평탄화층(237)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240)는 애노드(242), 발광부(244) 및 캐소드(2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37 includes an anode 242, a light emitting portion 244, and a cathode 246.

애노드(242)는 평탄화층(237)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애노드(242)는 발광부(244)에 정공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극으로, 평탄화층(237)에 있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anode 242 may be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37. The anode 242 is an electrode that supplies holes to the light emitting unit 244,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220 through a contact hole in the planarization layer 237.

애노드(242)는 예를 들어, 투명 도전성 물질인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 Oxide, IZO)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node 242 may be made of, for exampl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200)가 캐소드(246)가 배치된 상부로 광을 발광하는 탑에미션(Top Emission)일 경우 애노드(242)는 발광부(244)로부터 발광된 광이 애노드(242)에서 반사되어 보다 원활하게 캐소드(246)가 배치된 상부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투명 도전층과 반사층이 차례로 적층된 2층 구조이거나, 투명 도전층, 반사층 및 투명 도전층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일 수 있다. 반사층은 은(Ag) 또는 은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is a top emission device that emits light toward the top where the cathode 246 is disposed, the anode 242 is such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44 is transmitted to the anode 242. )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ve layer so that it can be reflected and more smoothly emitted toward the top where the cathode 246 is disposed. Additionally, it may be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a reflective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or it may be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 reflective layer,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reflective layer may be silver (Ag) or an alloy containing silver.

애노드(242)와 평탄화층(237) 상에 배치되는 뱅크(251)는 실제로 광을 발광하는 화소영역을 구획하여 그에 따른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The bank 251 disposed on the anode 242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37 serves to define the corresponding pixel by dividing the pixel area that actually emits light.

유기발광 표시장치(200)에서 광을 발광하는 화소는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Sub Pixel)를 포함하고, 이때 각각의 서브화소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이 발광될 수 있다. A pixel that emits ligh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includes sub-pixels that emit light of one color, and in this case, each sub-pixel may emit light of a different color.

예를 들어, 제1 화소에서는 적색광이 발광되고, 제2 화소에서는 녹색광이 발광되고, 제3 서브 화소에서는 청색광이 발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색의 광이 발광하는 서브화소를 조합하여 하나의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ixel may emit red light, the second pixel may emit green light, and the third sub-pixel may emit blue light. In this way, one pixel can be formed by combining subpixels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종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외부에서 사용할때, 외부광이 투명한 뱅크를 통해서 뱅크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들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When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used externally, external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s of metals disposed below the bank through the transparent bank,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visi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00)는 뱅크(251) 에 사용되는 재료를 기존의 투명한 유기물에서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검정색을 나타내는 블랙물질로 개선하였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used in the bank 251 has been improved from a conventional transparent organic material to a black material that exhibits a black color that can minimiz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이하에서 뱅크(251)은 애노드(242)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형성한 후에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에 의하여 뱅크(251)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Below,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forming the bank 251 by forming a photoresist on the anode 242 and then us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는 광의 작용에 의해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변화하여 패턴을 얻을 수 있는 감광성 수지를 말한다. 포토레지스트는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positive photoresist)와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negative photoresist)로 분류할 수 있다.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는 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증가하여 노광부가 현상 과정에서 제거됨으로써 패턴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는 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크게 저하되어 비노광부가 현상공정에서 제거됨으로써 패턴을 얻을 수 있다. Photoresist refers to a photosensitive resin that can produce patterns by changing its solubility in a developer under the action of light. Photoresist can be classified into positive photoresist and negative photoresist. Positive photoresist increases the solubility of the exposed area in the developing solution, allowing the exposed area to be removed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o obtain a pattern. In addition, the solubility of the negative photoresist in the developer solution of the exposed portion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non-exposed portion is remov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thereby allowing a pattern to be ob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00)에 포함되는 뱅크(251)를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는 외부광의 반사가 최소화되는 물질로 구성되어야 한다.The photoresist for forming the bank 251 inclu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made of a material that minimizes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뱅크(251)를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는 블랙물질인 블랙피그먼트(black pigment)가 포함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는 유기물일 수 있으며, 폴리머(polymer), 모노머(monomer), 및 광개시제(photoiniti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광성 화합물(photosensitive compounds)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otoresist for forming the bank 251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black pigment, a black material. The photoresist may be an organic material and may contain photosensitive compound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olymer, a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반응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노광 전의 포토레지스트는 블랙피그먼트가 감광성 화합물에 분산된 형태를 갖는다. 노광 후에는 감광성 화합물에 포함된 광개시제가 광에 의해 라디칼(radical)을 발생시킨다. 모노머는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광개시제의 라디칼과 반응하여 가교결합(cross-linking)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광 후에는 높은 분자량을 갖는 포토레지스트가 형성되므로 현상액에 의해 용해되지 않게 된다. 그 후 현상액을 사용하여 현상하는 공정에서 현상액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부분은 뱅크(251)가 되고, 현상액에 의해 용해된 부분은 제거된다. 뱅크(251)를 형성하는 포토레지스트는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negative photoresist)라고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reaction mechanism, the photoresist before exposure has black pigment dispersed in a photosensitive compound. After exposure, the photoinitiator contained in the photosensitive compound generates radicals by light. The monomer has a double bond, so it reacts with the radicals of the photoinitiator and becomes cross-linked. Accordingly, after exposure, a photoresist with a high molecular weight is formed and thus is not dissolved by a developer. Afterwards, in the developing process using a developer, the portion that is not dissolved by the developer becomes the bank 251, and the portion that is dissolved by the developer is removed. The photoresist forming the bank 251 may be referred to as a negative photoresist.

노광 후의 가교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개시제는 이민계열(imine-base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민계열은 예를 들어, 옥심(oxime) 또는 옥심 에스테르(oxime ester)일 수 있다. 옥심(oxime) 또는 옥심 에스테르(oxime ester)는 장파장의 광개시제로 가교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장파장은 365nm 이상을 말한다. 그리고, 노광 시 사용되는 광원은 고압수은램프로 여러 개의 파장을 갖는다. 여러 개의 파장은 G-라인인 436nm, H-라인인 405nm, 및 I-라인인 365nm일 수 있다. 이 중에서 I-라인인 365nm 이상을 사용하여 사진식각공정을 수행한다.To improve crosslinking after exposure, the photoinitiator may include an imine-based photoinitiator. The imine series may be, for example, an oxime or an oxime ester. Oximes or oxime esters are long-wavelength photoinitiators that can improve crosslinking. Here, long wavelength refers to 365nm or more. 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used during exposure is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nd has multiple wavelengths. The multiple wavelengths may be 436 nm for the G-line, 405 nm for the H-line, and 365 nm for the I-line. Among these, the photoetc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I-line of 365 nm or higher.

옥심(oxime) 또는 옥심 에스테르(oxime ester)는 노광 후 생성되는 부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가교결합 후의 후속공정인 베이킹 공정 등에서 부산물이 다른 분자와 반응하여 생기는 불순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옥심(oxime) 또는 옥심 에스테르(oxime ester)는 블랙피그먼트와 함께 사용되므로, 차광성이 높은 뱅크(251)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광개시제로 옥심 또는 옥심에스테르에 아세톤페논(acetophenone)이 더 포함되여 구성될 수도 있다.Oximes or oxime esters can minimize by-products generated after exposure, so they can minimize impurities generated when by-products react with other molecules in the baking process,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after cross-linking. Additionally, since oxime or oxime ester is used together with black pigment, a bank 251 with high light blocking properties can be provided. Alternatively, the photoinitiator may be composed of oxime or oxime ester and acetonephenone.

예를 들어, 옥심은 아래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For example, oxime can be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여기서 R, R'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중 하나일 수 있다.Here, R and R' may be either an alkyl group or a phenyl group having 1 to 15 carbon atoms.

예를 들어, 옥심 에스테르는 아래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For example, oxime ester can be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화학식 2][Formula 2]

여기서 R은 아릴기(aryl)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중 하나일 수 있다.Here, R is an aryl group, and R' may be eithe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5 carbon atoms or a phenyl group.

모노머는 6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DPHA는 이중결합이 있으며 가교결합 후에 광에 의해 빠르게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뱅크(251)를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가 단단한 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현상성이 향상되어 현상액의 농도가 높은 현상공정에서도 막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monomer may contain a hexafunctional group, for example, DPHA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This DPHA has double bonds and can be quickly cured by light after crosslinking. Accordingly, the photoresist for forming the bank 251 can be formed as a hard film, and the developing resistance is improved,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ilm from being lost even during a developing proces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developer.

폴리머는 카도계열(cardo-based)을 포함한다. 카도계열의 폴리머는 내열성 및 안료(pigment)와의 혼화성이 우수하며, 용해성(solubility)이 우수하다. 그리고, 폴리머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카도계열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는 블랙피그먼트가 폴리머 내에 잘 분산되도록 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산성은 포토레지스트의 균일성(unitormity)를 말하며, 분산성이 향상될수록 균일한 뱅크(251)를 형성할 수 있다. Polymers include cardo-based. Cardo-based polymers have excellent heat resistance, miscibility with pigments, and solubility. Additionally, the polymer may further include epoxy acrylate. Therefore, polymers containing cardo series and epoxy acrylate serve to improve dispersibility by allowing black pigment to be well dispersed within the polymer. Dispersibility refers to the uniformity of the photoresist, and as dispersibility improves, a more uniform bank 251 can be formed.

예를 들어, 카도계열은 아래 [화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ddo series can be expressed as [Chemical Formula 3] below.

[화학식 3][Formula 3]

현상액은, 예를 들어, TMAH(TetraMethylAmmoniumHydroxide) 또는 KOH(Potassium Hydroxide) 등일 수 있다. The developer may be, for example, TetraMethylAmmoniumHydroxide (TMAH) or Potassium Hydroxide (KOH).

뱅크(251)는 광의 차단정도를 나타내는 광학밀도(Optical Density; OD)가 뱅크(251)의 두께 3μm에서 4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광학밀도(OD)는 OD미터(OD meter)로 측정된다.The bank 251 may have an optical density (OD),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light blocking, of 4 or less at a thickness of 3 μm of the bank 251. Optical density (OD) is measured with an OD meter.

뱅크(251)는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가 높은 물질로 구성하여야 하며,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란 역테이퍼(reverse taper) 등과 같이 트랜치(trench)나 홀(hole)의 바닥과 벽면에도 균일한 두께의 막이 증착될 수 있는 것이다. 뱅크(251)의 테이퍼각(taper anlge)은 45도 이하로 구성하여 뱅크(251) 상에 형성하게 될 애노드(245) 및 발광부(244) 등을 포함하는 층들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ank 251 must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step coverage, and step coverage means uniform coverage on the bottom and walls of a trench or hole, such as a reverse taper. A thick film can be deposited. The taper angle of the bank 251 is set to 45 degrees or less so that the layers including the anode 245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44 to be formed on the bank 251 can be formed uniformly.

뱅크(251)의 체적저항율(volume resistivity)은 1X1015 Ω·cm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체적저항율이 높을수록 누설전류(leakage current)를 감소시킬 수 있다. 누설전류는 발광부(244)를 구성하는 유기층들이 공통층으로 구성됨에 따라 특정 서브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전류를 인가할 때에 정공주입층이나 정공수송층 등의 유기층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서브 화소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다. 이러한 누설전류는 의도하지 않은 다른 서브 화소가 발광하게 되어 서브 화소 간의 혼색을 유발하고, 휘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체적저항율(volume resistivity)이 1X1015 Ω·cm 이상일 경우, 누설전류에 의한 서브 화소 사이의 혼색이나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체적저항율은 Ultra High Resistance Meter R8340A로 측정된다.The volume resistivity of the bank 251 can be configured to be 1X10 15 Ω·cm or more. The higher the volume resistivity, the more likely it is to reduce leakage current. As the organic layers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unit 244 are composed of a common layer, when current is applied to drive a specific sub-pixel, the leakage current flows to other neighboring sub-pixels through organic layers such as the hole injection layer or hole transport layer. It is a flowing phenomenon. This leakage current causes other sub-pixels to unintentionally emit light, causing color mixing between sub-pixels and lowering luminance. Therefore, when the volume resistivity is 1X10 15 Ω·cm or more, color mixing or luminance reduction between sub-pixels due to leakage current can be prevented. Volume resistivity is measured with Ultra High Resistance Meter R8340A.

뱅크(251)를 블랙피그먼트와 감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외부광의 입사각이 45도일 때 반사각 30도에서의 반사휘도는 30nit 이하일 수 있으므로, 외부광에 의한 반사를 개선하여 반사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뱅크(251)의 반사휘도는 DMS803으로 측정된다. 여기서 반사휘도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좌우에서의 반사휘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반사휘도가 외부광의 입사각 45도일 때 반사각 30도에서 30nit 이하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00)의 좌우 방향에서의 시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constructing the bank 251 with a material containing black pigment and a photosensitive compound, when the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is 45 degrees, the reflected luminance at a reflection angle of 30 degrees can be less than 30 nits, thereby improving reflection by external light and increasing the reflected luminance. can be reduced. The reflected luminance of the bank 251 is measured with DMS803. Here, the reflected luminance may include reflected luminan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refore, when the left and right reflected luminance is at an incident angle of external light of 45 degrees, it may be less than 30 nits at a reflection angle of 30 degrees. Accordingly,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improved.

따라서,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뱅크(251)의 광학밀도(OD)는 뱅크(251)의 두께 3μm에서 4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커버리지의 향상을 위해서 테이퍼각은 45도 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고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체적저항율은 1X1015Ω·cm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he optical density (OD) of the bank 251 can be set to 4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bank 251 is 3 μm. And, to improve step coverage, the taper angle can be configured to be 45 degrees or less. And, in order to reduce leakage current and improve brightness, the volume resistivity can be set to 1X10 15 Ω·cm or more.

뱅크(251)를 블랙피그먼트와 감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하여 분산성이 향상된 균일한 막을 구성할 수 있고, 내현상성이 향상되어 현상액의 농도가 높은 현상공정에서도 막이 유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차광성이 향상되고 외부광에 의한 반사가 최소화될 수 있는 뱅크(251)가 형성될 수 있다. By constructing the bank 251 with a material containing black pigment and a photosensitive compound, a uniform film with improved dispersibility can be formed, and development resistance has been improved to prevent the film from being lost ev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developer. Therefore, the bank 251 can be formed in which light blocking properties are improved and reflection by external light can be minimized.

뱅크(251)를 블랙피그먼트와 감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외부광에 의한 반사가 감소하므로, 반사휘도가 개선된 유기발광 표시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다. By composing the bank 251 with a material containing black pigment and a photosensitive compound, reflection by external light is reduced, and thu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with improved reflected luminance can be provided.

뱅크(251)가 실제로 광을 발광하는 화소영역을 구획하여 그에 따른 화소를 정의하고 유기발광소자(240)의 발광부(244)를 형성하기 위해서 증착마스크인 FMM(fine metal mask)이 이용된다. 이때, 뱅크(251)와 증착마스크가 접촉하여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고, 뱅크(251)와 증착마스크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뱅크(251) 상부에 투명 유기물인 폴리이미드(polyimide), 포토아크릴(photo acryl), 및 벤조사이클로뷰텐(BCB; BenzoCycloButene) 중 하나로 구성되는 스페이서(253)가 배치할 수 있다. A fine metal mask (FMM), which is a deposition mask, is used to define the pixel area where the bank 251 actually emits light, define the corresponding pixel, and form the light emitting portion 24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hat may occur due to contact between the bank 251 and the deposition mask and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bank 251 and the deposition mask, polyimide, a transparent organic material, is placed on the top of the bank 251. ), photo acryl, and benzocyclobutene (BCB; BenzoCycloButene) may be disposed.

애노드(242)와 캐소드(246) 사이에는 발광부(244)가 배치된다. 발광부(244)는 광을 발광하는 역할을 하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유기발광 표시장치(200)의 구조나 특성에 따라 일부 구송요소는 생략할 수도 있다.A light emitting unit 244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242 and the cathode 246. The light emitting unit 244 serves to emit light and may be composed of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tc., depending on the structure or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ly, some chanting elements may be omitted.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은 애노드(242)와 발광층 사이에 배치되며, 애노드(242)로부터 발광층으로의 정공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are disposed between the anode 242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facilitate the movement of holes from the anode 242 to the light emitting layer.

정공주입층은 애노드(242) 상에 배치되어 정공의 주입이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주입층은, 예를 들어, HAT-CN(dipyrazino[2,3-f:2’,3’-h]quinoxaline-2,3,6,7,10.11-hexacarbonitrile), CuPc(phthalocyanine), 및 NPD(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le injection layer is disposed on the anode 242 and serves to facilitate hole injection. The hole injection layer is, for example, HAT-CN (dipyrazino[2,3-f:2',3'-h]quinoxaline-2,3,6,7,10.11-hexacarbonitrile), CuPc (phthalocyanine), and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of NPD (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

정공수송층은 정공주입층 상에 배치하여 발광층으로 원할하게 정공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수송층(은, 예를 들어, NPD(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s-TAD(2,2’,7,7’-tetrakis(N,N-dimethylamino)-9,9-spirofluorene) 및 MTDATA(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le transport layer is dispos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serves to smoothly transfer holes to the light emitting layer. Hole transport layer (e.g., NPD(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 TPD(N,N'- 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s-TAD(2,2',7,7'-tetrakis(N,N-dimethylamino)-9,9-spirofluorene ) and MTDATA (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

마이크로캐비티(Micro Cavity)는 빛이 광로길이(Optical length)만큼 떨어져 있는 2개의 층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됨으로써 보강 간섭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이 증폭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200)가 각각의 서브화소 별로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할 때 방출되는 광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마이크로캐비티를 구현하기 위해서 각각의 서브화소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 별로 공진 거리를 설정하여야 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200)에서는 서브화소 별로 공진거리를 상이하게 설정하기 위해, 정공수송층의 두께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Micro cavity means that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s amplified by constructive interference as light is repeatedly reflected between two layers spaced apart by the optical length.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emits different light for each sub-pixel, the wavelength of the emitted light is different.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a microcavity, the resonance distance must be set for each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each sub-pixel. .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can be adjusted differently in order to set the resonance distance differently for each sub-pixel.

발광층은 정공수송층 상에 배치되며 특정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특정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이 때, 발광물질은 인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emit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can emit light of a specific color by including a material that can emit light of a specific color. At this time, the light-emitting material can be formed using a phosphorescent material or a fluorescent material.

발광층이 적색을 발광 하는 경우, CBP(carbazole biphenyl) 또는 mCP(1,3-bis(carbazol-9-yl)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PIQIr(acac)(bis(1-phenylisoquinoline) 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bis(1-phenylquinoline) acetylacetonate iridium), PQIr(tris(1-phenylquinoline) 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PBD:Eu(DBM)3(Phen) 또는 Perylene을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s red, it contains a host material containing CBP (carbazole biphenyl) or mCP (1,3-bis (carbazol-9-yl), PIQIr (acac) (bis (1-phenylisoquinoline) acetylacetonate iridium ), PQIr (acac) (bis (1-phenylquinoline) acetylacetonate iridium), PQIr (tris (1-phenylquinoline) iridium), and PtOEP (octaethylporphyrin platinum). It may be made of a phosph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 dopant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containing PBD:Eu(DBM)3(Phen) or Perylene.

발광층이 녹색을 발광 하는 경우,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Ir(ppy)3(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포함하는 Ir complex와 같은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을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emitting layer emits green color, it contains a host material containing CBP or mCP and is a phosph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 dopant material such as an Ir complex containing Ir(ppy)3 (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 It can be done. Additionally,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lq3 (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발광층이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4,6-F2ppy)2Irpic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1-yl)biphenyl), DSA(1-4-di-[4-(N,N-di-phenyl)amino]styryl-benzene),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s blue light, it may be made of a phosphorescent material including a host material including CBP or mCP and a dopant material including (4,6-F2ppy)2Irpic. In addition,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1-yl)biphenyl), DSA(1-4-di-[4-(N,N-di-phenyl)amino]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ny one of styryl-benzene), PFO-based polymer, and PPV-based polymer.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은 발광층과 캐소드(246) 사이에 배치되며, 캐소드(246)로부터 발광층으로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re disposed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cathode 246, and facilitate the movement of electrons from the cathode 246 to the light-emitting layer.

전자수송층은 발광층 상에 배치되며, 전자주입층으로부터 발광층으로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수송층은, 예를 들어, Liq(8-hydroxyquinolinolato-lithium), PBD(2-(4-biphen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TAZ(3-(4-biphen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spiro-PBD,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및 BAlq(bis(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o)aluminium)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disposed o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serves to transfer electrons from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to the light-emitting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for example, Liq (8-hydroxyquinolinolato-lithium), PBD (2-(4-biphen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TAZ (3-(4 -biphen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spiro-PBD,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and BAlq(bis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of (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o)aluminium).

전자주입층은 전자수송층 상에 배치되어, 캐소드(246)로부터 전자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유기층이다. 전자주입층은 BaF2, LiF, NaCl, CsF, Li2O 및 BaO와 같은 금속 무기 화합물일 수 있고, HAT-CN(dipyrazino[2,3-f:2’,3’-h]quinoxaline-2,3,6,7,10.11-hexacarbonitrile), CuPc(phthalocyanine), 및 NPD(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is an organic layer dispos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to facilitate injection of electrons from the cathode 246.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a metal inorganic compound such as BaF2, LiF, NaCl, CsF, Li2O and BaO, and HAT-CN (dipyrazino[2,3-f:2',3'-h]quinoxaline-2, 3,6,7,10.11-hexacarbonitrile), CuPc (phthalocyanine), and NPD (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 It may be any one or more organic compounds.

캐소드(246)는 발광부(244) 상에 배치되어, 발광부(244)로 전자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캐소드(246)는 전자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인 마그네슘(Mg), 은-마그네슘(Ag:Mg)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athode 246 is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244 and serves to supply electrons to the light emitting unit 244. Since the cathode 246 must supply electrons, it can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magnesium (Mg) or silver-magnesium (Ag:Mg), which is a conductive material with a low work fun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200)가 탑에미션 방식의 경우, 캐소드(246)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i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is a top emission type, the cathode 246 is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or indium tin zinc oxide (Indium Tin). It may be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of the Zinc Oxide (ITZO), Zinc Oxide (ZnO), and Tin Oxide (TiO) series.

캐소드(246) 상에는 유기발광소자(240)를 외부로부터 오염이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층(24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단수층 또는 복수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rotective layer 248 may be disposed on the cathode 246 to prevent contamination or damag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from the outside,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f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외곽영역(B/A)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표시된 외곽영역(B/A)의 선 II-II' 을 상세히 표시한 단면도이다. FIG. 3 shows in detail the line II-II' of the outer area (B/A) shown in FIG. 1 to explain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에서 외곽영역(B/A)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3 shows only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S. 1 and 2, and other components are omitted. Explain.

도 3을 참고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외곽영역(B/A)은 기판(310), 및 봉지부(3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는 표시영역(A/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는 도 3에서는 생략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includes a substrate 310 and an encapsulation portion 370.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A),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omitted in FIG. 3 .

기판(310)은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플렉시블(Flexible) 특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플라스틱을 기판을 적용하여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된다. The substrate 310 serves to support and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disposed on the top. Recently, plastics such as polyimide, which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are used as substrates and are us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기판(310) 상에 절연층(334)이 배치된다. 절연층(334)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버퍼층, 게이트절연층, 및 층간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구조나 특성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할 수도 있다.An insulating layer 334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310. The insulating layer 33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uffer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2 , and may have some component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r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Components may be omitted.

절연층(334) 상에 실리콘산화물(SiOx), 실리콘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막으로 구성된 패시베이션층(335)을 배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손상 등을 막는다.A passivation layer 335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334 to prevent contamination or damage from the outsi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패시베이션층(335)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로 인해서 발생되는 단차를 완화시키고,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 유기발광소자 들간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정전용량(Parasitic-Capacitance)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포토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물로 구성되는 평탄화층(337)을 배치한다.In order to alleviate the step caused by the thin film transistor on the passivation layer 335 and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gate line and data line,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polyimide is used. A planarization layer 337 composed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or photo acryl is disposed.

평탄화층(337) 상에 광을 발광하는 화소영역을 구획하여 화소를 정의할 수 있으며,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랙물질로 구성되는 뱅크(351)를 배치한다.On the planarization layer 337, a pixel area that emits light can be divided to define a pixel, and a bank 351 made of a black material that can minimiz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is placed.

뱅크(351)와 증착마스크인 FMM 마스크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뱅크(251) 상부에 투명 유기물인 폴리이미드(polyimide), 포토아크릴(photo acryl), 및 벤조사이클로뷰텐(BCB; BenzoCycloButene) 중 하나로 구성되는 스페이서(353)가 배치된다.In order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bank 351 and the FMM mask, which is a deposition mask, transparent organic materials such as polyimide, photo acryl, and benzocyclobutene (BCB) are placed on the top of the bank 251. A spacer 353 composed of one is disposed.

패시베이션층(335), 평탄화층(337), 뱅크(351) 및 스페이서(353)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assivation layer 335, planarization layer 337, bank 351, and spacer 353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구성요소인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소자, 패시베이션층(335), 평탄화층(337), 뱅크(351) 및 스페이서(353) 등의 상부에 외부에서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여 발광층 및 전극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봉지를 위한 봉지부(370)가 배치된다.Inflow of moisture or oxygen from the outside onto the top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passivation layer 335, planarization layer 337, bank 351, and spacer 353, etc., which are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An encapsulation unit 370 for encapsulation is disposed to prevent oxid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electrode by blocking the oxidation layer.

봉지부(370)는 제1 봉지층(371), 제2 봉지층(373), 이물보상층(375), 제1 베리어필름(377), 제2 베리어필름(379) 및 제1 구조물(360a), 제2 구조물(36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encapsulation portion 370 includes a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a second encapsulation layer 373, a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a first barrier film 377, a second barrier film 379, and a first structure 360a. ), and includes a second structure 360b.

제1 봉지층(371)은 표시영역(A/A)에 배치되는 박막 트렌지스터, 유기발광소자 및 뱅크(351), 스페이서(353) 등 구성요소의 상부와 외곽영역(B/A) 상부 전면에 배치된다. 제1 봉지층(371)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알루미늄(AlyOz)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is formed on the top of component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banks 351, and spacers 353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an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outer area (B/A). It is placed.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may be made of one of the inorganic materials silicon nitride (SiNx) or aluminum oxide (AlyOz),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375)은 제1 봉지층(371) 상에서 표시영역(A/A)을 포함한 영역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물보상층(375)은 유기물인 실리콘옥시카본(SiOCz), 아크릴(Acryl) 또는 에폭시(Epoxy) 계열의 레진(Resin)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A/A on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may be made of organic silicon oxycarbon (SiOCz), acryl, or epoxy-based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375)이 이물을 효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해서는 이물보상층(375)의 점도가 500(센티 프와즈; cp) 내지 30000cp 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cp 내지 4000cp가 되게 한다.In order for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to effectively compensate for foreign matter, the viscosity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may be 500 (centipoise; cp) to 30,000 cp, and more preferably 2,000 cp to 4,000 cp.

이물보상층(375)이 아크릴 또는 에폭시 계열의 레진으로 형성되는 경우, 슬릿 코팅(Slit Coating) 또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공정으로 이물보상층(37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폭시 계열의 레진은 고점도의 비스페놀-A-에폭시(Bisphenol-A-Epoxy) 또는 저점도의 비스페놀-F-에폭시(Bisphenol-F-Epoxy) 등이 사용 가능하다. Whe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formed of acrylic or epoxy-based resi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may be formed through a slit coating or screen printing process. At this time, epoxy-based resins such as high viscosity Bisphenol-A-Epoxy or low viscosity Bisphenol-F-Epoxy can be used.

이물보상층(375)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진의 균일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레진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습윤제(Wetting agent), 레진의 표면 평탄성을 개선하기 위한 레벨링제(Leveling agent), 및 레진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Defoaming agent)가 첨가제로서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이물보상층(375)은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열에 의해서 연쇄 반응을 개시시킴에 의해 액상 레진을 경화시키는 안티몬(Antimone) 계열의 개시제 또는 무수물(Anhydride)계열의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a wetting agent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resin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resin, a leveling agent to improve the surface flatness of the resin, And a defoaming agent to remov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resin may be further added as an additive.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tor, and it is recommended to use an antimony-based initiator or an anhydride-based initiator that hardens the liquid resin by initiating a chain reaction with heat. possible.

이물보상층(375)의 단면은 표시영역(A/A)에서 평탄하게 형성되고, 외곽영역(B/A) 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물보상층(375)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부분은 슬로프(Slope)를 가지게 되고, 빛의 굴절을 발생시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물보상층(375)은 외곽영역(B/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section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formed to be flat in the display area (A/A) and has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outer area (B/A). The part wher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gradually becomes thinner has a slope, which may cause light refraction and deteriorate image quality, s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located in the outer area (B/A). It is desirable to be placed in .

이물보상층(375)은 공정 상 발생할 수 있는 이물이나 파티클(Particle)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봉지층(371)에는 이물 또는 파티클에 의해서 발생된 크랙에 의한 불량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물보상층(375)에 의해서 이물이나 파티클이 덮힐 수 있고 이물보상층(375)의 상면은 평탄화 된다.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serves to improve problems caused by foreign matter or particle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For example, there may be defects in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due to cracks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or particles, but the foreign substances or particles may be covered by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flattened.

이물보상층(375)은 유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물보상층(375)은 외곽영역(B/A) 으로 유동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외곽영역(B/A) 이 불필요하게 넓게 설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을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외곽영역(B/A)에 이물보상층(375)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한다.Sinc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has excellent fluidity, there are cases wher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flows into the outer area (B/A), resulting in the problem that the outer area (B/A) is designed to be unnecessarily wide. . Accordingly,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lac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n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form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은 외곽영역(B/A)에서 이물보상층(375)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are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n the outer area B/A.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제조공정중에 이물보상층(375)을 형성할 때 이물보상층(375)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로 인해서 이물보상층(375) 물질의 유동이 방지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외곽영역(B/A)의 폭이 줄어 베젤이 최소화될 수 있다.When forming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formed due to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dispos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375) The flow of materials is prevented, and the width of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bezel.

이물보상층(375)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구조물(360a)을 통해서 1차로 이물보상층(375) 물질의 유동을 방지하며, 제1 구조물(360a)을 범람하는 경우에도 제1 구조물(360a)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구조물(360b)을 통해서 이물보상층(375) 물질이 외곽영역(B/A)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유동 및 범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 사이의 이격거리는 외곽영역(B/A)의 폭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조물 사이의 상호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소한 2μm 이상을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격 거리는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의 높이, 이물보상층(375)의 두께, 점도 및 도포 영역에 따라서 이격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low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material is primarily prevented through the first structure 360a dispos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and even when the first structure 360a is flooded, the first structure (360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Through the second structure 360b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360a), unnecessary flow and flooding of the material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occurring in the outer area (B/A) can be prevented.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is preferably placed at least 2 μm apart in order to minimize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structures while minimizing the width of the outer area (B/A). do.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the thickness, viscosity, and application area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and is not limited thereto.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은 각각 제1, 2 하부층(362a, 362b) 및 제1, 2 상부층(364a, 36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2 하부층(362a, 362b)은 평탄화층(337)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며, 제1, 2 상부층(364a, 364b)은 뱅크(351)와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추가공정 없이 마스크 설계 변경만으로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include first and second lower layers 362a and 362b and first and second upper layers 364a and 364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lower layers 362a and 362b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process as the planarization layer 337,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layers 364a and 364b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process as the bank 351. . Accordingly,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can be formed only by changing the mask design without additional processes.

이때,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은 패시베이션층(335) 상에 배치되어 평탄화층(337)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는 제1, 2 하부층(362a, 362b)과 패시베이션층(335) 사이의 접착력(Adhesion)에 의해서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의 유실없이 이물보상층(375) 물질의 유동 및 범람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are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335 and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lower layers 362a and 362b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planarization layer 337 and the passivation layer ( 335), the flow and overflow of the material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can be minimized without loss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due to the adhesion between them.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은 3.7μm~4.0μm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의 높이는 평탄화층(337)과 뱅크(351)의 설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337)과 뱅크(351)가 각각 2.3μm와 1.7μm의 높이로 형성되면,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의 전체 높이는 4.0μm가 된다. 이 높이는 이물보상층(375)의 두께, 점도 및 도포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can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3.7 μm to 4.0 μm.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planarization layer 337 and the bank 351. For example, if the planarization layer 337 and the bank 351 are formed to a height of 2.3 μm and 1.7 μm, respectively, the total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becomes 4.0 μm. This he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viscosity, and application area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and is therefore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375)과 인접한 제1 구조물(360a) 은 최소 50μm 이상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격 거리는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의 높이, 이물보상층(375)의 두께, 점도 및 도포 영역에 따라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ructure 360a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be placed at least 50 μm apart. This separation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the thickness, viscosity, and application area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and is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375)이 아크릴(acryl) 또는 에폭시(epoxy) 계열의 레진으로 형성될 경우, 이물보상층(375)의 높이는 15μm 내지 25μm의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물보상층(375)의 높이는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이물보상층(375)은 표시 영역(A/A)내에서는 평탄하게 형성되고, 외곽영역(B/A)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은 이물보상층(375)이 점진적으로 얇아져서, 제1 구조물(360a) 및 제2 구조물(360b)의 높이가 이물보상층(375)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formed of acrylic or epoxy-based resin, the height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may be in the range of 15 μm to 25 μm.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As previously explained,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formed to be flat within the display area (A/A) and has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lower toward the outer area (B/A).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gradually becomes thinner, so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360a and the second structure 360b increases with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t is desirable to form it in a location that can effectively block it.

제2 봉지층(373)은 이물보상층(375) 및 제1 봉지층(371) 상에 형성되며, 제1 봉지층(371)과 제2 봉지층(373)은 제2 구조물(360b)의 외측부에서 서로 접촉하면서 이물보상층(375)은 제1 봉지층(371) 및 제2 봉지층(373)에 의해서 밀봉되게 되어 이물보상층(375)을 통한 직접적인 수분 침투 경로가 차단될 수 있다. 제2 봉지층(373)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알루미늄(AlyOz)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373 is formed o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and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and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and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373 are of the second structure 360b. While contacting each other on the outer sid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is sealed by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371 and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373, so that a direct moisture penetration path through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5 can be blocked.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373 may be made of one of the inorganic materials silicon nitride (SiNx) or aluminum oxide (AlyOz),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봉지층(373) 상에 제1 베리어필름(377) 및 제2 베리어필름(379)을 배치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300)가 외부에서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더욱 지연시킬 수 있다. By disposing the first barrier film 377 and the second barrier film 379 on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37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can further delay the infiltration of oxygen and moisture from the outside.

제1 베리어필름(377)은 투광성 및 양면 접착성을 띠는 필름 형태로 구성 되며, 올레핀(Olefin) 계열, 아크릴(Acrylic) 계열 및 실리콘(Silicon)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절연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베리어필름(379)는 COP(Copolyester Thermoplastic Elastomer), COC(Cycoolefin Copolymer) 및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베리어필름(377) 및 제2 베리어필름(379)을 통해서 외부에서 수분 및 산소의 침투가 더 지연될 수 있어, 유기발광 표시장치(300)의 수명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first barrier film 377 is composed of a light-transmitting and double-sided adhesive film, and may be made of any one of the following insulating materials: Olefin-based, Acrylic-based, and Silicon-based. , The second barrier film 379 may be made of any one of COP (Copolyester Thermoplastic Elastomer), COC (Cycoolefin Copolymer), and PC (Polycarbon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filtration of moisture and oxygen from the outside can be further delayed through the first barrier film 377 and the second barrier film 379, thereby improving the lifespan and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외곽영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표시된 외곽영역의 선 II-II' 을 상세히 표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line II-II' of the outer area shown in FIG. 1 to explain the outer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에서 외곽영역(B/A)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4 shows only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S. 1 and 2, and other components are omitted. Explain.

도 4를 참고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외곽영역(B/A)은 기판(410), 및 봉지부(4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는 표시영역(A/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는 도 4에서는 생략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includes a substrate 410, an encapsulation portion 470, etc.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A),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omitted in FIG. 4 .

기판(410)은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플렉시블(Flexible) 특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플라스틱을 기판을 적용하여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된다. The substrate 410 serves to support and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disposed on the top. Recently, plastics such as polyimide, which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are used as substrates and are us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기판(410) 상에 절연층(434)이 배치된다. 절연층(434)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버퍼층, 게이트절연층, 및 층간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구조나 특성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할 수도 있다.An insulating layer 434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410. The insulating layer 43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uffer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2 , and may include some of the element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r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Components may be omitted.

절연층(434) 상에 실리콘산화물(SiOx), 실리콘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막으로 구성된 패시베이션층(435)을 배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손상 등을 막는다.A passivation layer 435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434 to prevent contamination or damage from the outsi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패시베이션층(435)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로 인해서 발생되는 단차를 완화시키고,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 유기발광소자 들간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정전용량(Parasitic-Capacitance)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포토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물로 구성되는 평탄화층(437)을 배치한다.In order to alleviate the step caused by the thin film transistor on the passivation layer 435 and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gate line and data line,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polyimide is used. A planarization layer 437 composed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or photo acryl is disposed.

평탄화층(437) 상에 광을 발광하는 화소영역을 구획하여 화소를 정의할 수 있으며,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랙물질로 구성되는 뱅크(451)를 배치한다.On the planarization layer 437, a pixel area that emits light can be divided to define a pixel, and a bank 451 made of a black material that can minimiz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is placed.

뱅크(451)와 증착마스크인 FMM 마스크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뱅크(451) 상부에 투명 유기물인 폴리이미드(polyimide), 포토아크릴(photo acryl), 및 벤조사이클로뷰텐(BCB; BenzoCycloButene) 중 하나로 구성되는 스페이서(453)가 배치된다.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bank 451 and the FMM mask, which is a deposition mask, transparent organic materials such as polyimide, photo acryl, and benzocyclobutene (BCB) are placed on the top of the bank 451. A spacer 453 consisting of one is disposed.

패시베이션층(435), 평탄화층(437), 뱅크(451) 및 스페이서(453)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assivation layer 435, planarization layer 437, bank 451, and spacer 453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구성요소인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소자, 패시베이션층(435), 평탄화층(437), 뱅크(451) 및 스페이서(453) 등의 상부에 외부에서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여 발광층 및 전극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봉지를 위한 봉지부(470)가 배치된다.Inflow of moisture or oxygen from the outside onto the top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passivation layer 435, planarization layer 437, bank 451, and spacer 453, etc., which are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An encapsulation unit 470 for encapsulation is disposed to prevent oxid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electrode by blocking the oxidation layer.

봉지부(470)는 제1 봉지층(471), 제2 봉지층(473), 이물보상층(475), 제1 베리어필름(477), 제2 베리어필름(479) 및 제1 구조물(460a), 제2 구조물(46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encapsulation portion 470 includes a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a second encapsulation layer 473, a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a first barrier film 477, a second barrier film 479, and a first structure 460a. ), and includes a second structure 460b.

제1 봉지층(471)은 표시영역(A/A)에 배치되는 박막 트렌지스터, 유기발광소자 및 뱅크(451), 스페이서(453) 등 구성요소의 상부와 외곽영역(B/A) 상부 전면에 배치된다. 제1 봉지층(471)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알루미늄(AlyOz)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is formed on the top of component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banks 451, and spacers 453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A) an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uter area (B/A). It is placed.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may be made of either silicon nitride (SiNx) or aluminum oxide (AlyOz), which are inorganic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475)은 제1 봉지층(471) 상에서 표시영역(A/A)을 포함한 영역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물보상층(475)은 유기물인 실리콘옥시카본(SiOCz), 아크릴(Acryl) 또는 에폭시(Epoxy) 계열의 레진(Resin)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A/A on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may be made of organic silicon oxycarbon (SiOCz), acryl, or epoxy-based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475)이 이물을 효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해서는 이물보상층(475)의 점도가 500(센티 프와즈; cp) 내지 30000cp 가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cp 내지 4000cp가 되게 한다.In order for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to effectively compensate for foreign matter, the viscosity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may be 500 (centipoise; cp) to 30,000 cp, and more preferably 2,000 cp to 4,000 cp.

이물보상층(475)이 아크릴 또는 에폭시 계열의 레진으로 형성되는 경우, 슬릿 코팅(Slit Coating) 또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공정으로 이물보상층(47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폭시 계열의 레진은 고점도의 비스페놀-A-에폭시(Bisphenol-A-Epoxy) 또는 저점도의 비스페놀-F-에폭시(Bisphenol-F-Epoxy) 등이 사용 가능하다. Whe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formed of acrylic or epoxy-based resi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may be formed through a slit coating or screen printing process. At this time, epoxy-based resins such as high viscosity Bisphenol-A-Epoxy or low viscosity Bisphenol-F-Epoxy can be used.

이물보상층(475)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진의 균일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레진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습윤제(Wetting agent), 레진의 표면 평탄성을 개선하기 위한 레벨링제(Leveling agent), 레진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Defoaming agent)가 첨가제로서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이물보상층(475)은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열에 의해서 연쇄 반응을 개시시킴에 의해 액상 레진을 경화시키는 안티몬(Antimone) 계열의 개시제 또는 무수물(Anhydride)계열의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a wetting agent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resin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resin, a leveling agent to improve the surface flatness of the resin, A defoaming agent to remov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resin may be further added as an additive.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tor, and it is better to use an antimony-based initiator or an anhydride-based initiator that hardens the liquid resin by initiating a chain reaction with heat. possible.

이물보상층(475)의 단면은 표시영역(A/A)에서는 평탄하게 형성되고, 외곽영역(B/A) 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물보상층(475)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부분은 슬로프(Slope)를 가지게 되고, 빛의 굴절을 발생시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외곽영역(B/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section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formed to be flat in the display area (A/A) and has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outer area (B/A). The part wher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gradually becomes thinner has a slope and causes refraction of light, which may deteriorate image quality, so it is preferable to place it in the outer area (B/A).

이물보상층(475)은 공정 상 발생할 수 있는 이물이나 파티클(Particle)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봉지층(471)에는 이물 또는 파티클에 의해서 발생된 크랙에 의한 불량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물보상층(475)에 의해서 이러한 굴곡 및 이물이 덮힐 수 있고 이물보상층(475)의 상면은 평탄화 된다.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serves to improve problems caused by foreign matter or particle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For example, there may be defects in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due to cracks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or particles, but these bends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covered by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and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The upper surface is flattened.

이물보상층(475)은 유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물보상층(475)은외곽영역(B/A) 으로 유동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외곽영역(B/A) 이 불필요하게 넓게 설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을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외곽영역(B/A)에 이물보상층(475) 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한다.Sinc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has excellent fluidity, there are cases wher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flows into the outer area (B/A), resulting in the problem that the outer area (B/A) is designed to be unnecessarily wide. . Accordingly,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n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form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은 외곽영역(B/A)에서 이물보상층(475)와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are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n the outer area B/A.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제조공정중에 이물보상층(475)을 형성할 때 이물보상층(475)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로 인해서 이물보상층(475) 물질의 유동이 방지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외곽영역(B/A)의 폭이 줄어 베젤을 최소화될 수 있다.When forming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formed due to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dispos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475) The flow of material is prevented, and the width of the outer area (B/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bezel.

이물보상층(475)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구조물(460a)을 통해서 1차로 이물보상층(475) 물질의 유동을 방지하며, 제1 구조물(460a) 을 범람하는 경우에도 제1 구조물(460a)과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구조물(460b)을 통해서 이물보상층(475) 물질이 외곽영역(B/A) 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추가 유동 및 범람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 사이의 이격거리는 외곽영역(B/A)의 폭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조물 사이의 상호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소한 2μm 이상을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격 거리는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의 높이, 이물보상층(475)의 두께, 점도 및 도포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low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material is primarily prevented through the first structure 460a dispos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and even when the first structure 460a is flooded, the first structure (460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Through the second structure 460b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460a), the material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prevented from unnecessary additional flow and flooding occurring in the outer area (B/A).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is preferably placed at least 2 μm apart in order to minimize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structures while minimizing the width of the outer area (B/A). do.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the thickness, viscosity, and application area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and is not limited thereto.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은 각각 제1, 2 하부층(464a, 464b) 및 제1, 2 상부층(466a, 46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2 하부층(464a, 464b)은 뱅크(451)와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며, 제1, 2 상부층(466a, 466b)은 스페이서(453)와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추가공정 없이 마스크 설계 변경만으로 통해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 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뱅크(451) 및 제1, 2 하부층(464a, 464b)와 스페이서(453) 및 제1, 2 상부층(466a, 466b)는 차례로 적층한 후에 하나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include first and second lower layers 464a and 464b and first and second upper layers 466a and 466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lower layers 464a and 464b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451 and are formed through the same process,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layers 466a and 466b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pacer 453 and are formed through the same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can be formed by simply changing the mask design without additional processes. In particular, the bank 451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layers 464a and 464b, and the spacer 453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layers 466a and 466b can be formed in one process after sequentially stacking,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 it may be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은 3.7μm~4.0μ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 높이는 뱅크(451)와 스페이서(453)의 설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451)와 스페이서(453)가 각각 1.7μm와 2.0μm의 높이로 형성되면, 복층 구조인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의 높이는 3.7μm가 된다. 이 높이는 이물보상층(475)의 두께, 점도 및 도포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3.7 μm to 4.0 μm.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bank 451 and the spacer 453. For example, if the bank 451 and the spacer 453 are formed to have a height of 1.7 μm and 2.0 μm,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which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s 3.7 μm. This he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viscosity, and application area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and is therefore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475)과 인접한 제1 구조물(460a) 은 최소 50μm 이상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격 거리는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의 높이, 이물보상층(475)의 두께, 점도 및 도포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ructure 460a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be placed at least 50 μm apart. This separation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the thickness, viscosity, and application area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and is not limited thereto.

이물보상층(475)이 아크릴 또는 에폭시 계열의 레진으로 형성될 경우, 이물보상층(475)의 높이는 15μm 내지 25μm의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물보상층(475)의 높이는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이물보상층(475)은 표시 영역(A/A)내에서는 평탄하게 형성되고, 외곽영역(B/A)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은 이물보상층(475)이 점진적으로 얇아져서, 제1 구조물(460a) 및 제2 구조물(460b)의 높이가 이물보상층(475)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formed of acrylic or epoxy-based resin, the height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may be in the range of 15 μm to 25 μm.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As previously explained,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formed to be flat within the display area (A/A) and has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lower toward the outer area (B/A).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of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gradually becomes thinner, so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structure 460a and the second structure 460b increases with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t is desirable to form it in a location that can effectively block it.

제2 봉지층(473)은 이물보상층(475) 및 제1 봉지층(471) 상에 형성되며, 제1 봉지층(471)과 제2 봉지층(473)은 제2 구조물(460b)의 외측부에서 서로 접촉하면서 이물보상층(475)은 제1 봉지층(471) 및 제2 봉지층(473)에 의해서 밀봉되게 되어 이물보상층(475)을 통한 직접적인 수분 침투 경로가 차단된다. 제2 봉지층(473)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알루미늄(AlyOz)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473 is formed on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and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and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and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473 are of the second structure 460b. While contacting each other on the outer side,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is sealed by the first encapsulation layer 471 and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473, thereby blocking a direct moisture penetration path through the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475.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473 may be made of either silicon nitride (SiNx) or aluminum oxide (AlyOz), which are inorganic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봉지층(473) 상에 제1 베리어필름(477) 및 제2 베리어필름(479)을 배치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400)가 외부에서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더욱 지연시킬 수 있다. By disposing the first barrier film 477 and the second barrier film 479 on the second encapsulation layer 47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can further delay the infiltration of oxygen and moisture from the outside.

제1 베리어필름(477)은 투광성 및 양면 접착성을 띠는 필름 형태로 구성 되며, 올레핀(Olefin) 계열, 아크릴(Acrylic) 계열 및 실리콘(Silicon)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절연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베리어필름(479)는 COP(Copolyester Thermoplastic Elastomer), COC(Cycoolefin Copolymer) 및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베리어필름(477) 및 제2 베리어필름(479)을 통해서 외부에서 수분 및 산소의 침투가 더 지연될 수 있어, 유기발광 표시장치(400)의 수명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first barrier film 477 is composed of a light-transmitting and double-sided adhesive film, and can be made of any one of the following insulating materials: Olefin-based, Acrylic-based, and Silicon-based. , The second barrier film 479 may be made of any one of COP (Copolyester Thermoplastic Elastomer), COC (Cycoolefin Copolymer), and PC (Polycarbon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filtration of moisture and oxygen from the outside can be further delayed through the first barrier film 477 and the second barrier film 479, thereby improving the lifespan and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플렉시블 기판, 기판 상에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있는 제1 보호층, 제1 보호층 상에 있는 평탄화층, 평탄화층 상에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블랙재료로 이루어진 뱅크, 뱅크 상에 있는 스페이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덮는 제2 보호층 및 제1 보호층 상에 있고, 제2 보호층의 외곽부로부터 이격되어 제2 보호층을 둘러싸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구조물은 뱅크와 동일한 물질과 평탄화층 및 스페이서 중 하나와 동일한 물질이 적층되어 구성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substrate, a first protective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planarization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bank made of a black material, a spacer on the bank, a second protective layer covering the area where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e disposed,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It includes a structure surrounding a protective layer, and the structure is made up of a stack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and the same material as on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pac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이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es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은 복수의 구조물들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복수의 구조물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2μm 이상일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tructures may be 2 μm or mo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이 제2 보호층의 외곽부와 50μm 이상 이격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by more than 50 μ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그 주변을 둘러싸는 외곽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기판의 표시영역 및 외곽영역을 덮는 무기물층, 표시영역에 있으며, 블랙물질로 구성되는 뱅크, 외곽영역의 무기물층 상에 적어도 두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물을 포함하며, 구조물의 적어도 두개의 층은 각각 블랙물질과 유기물질로 구성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n outer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n inorganic material layer covering the display area and the outer area of the substrate, and a bank located in the display area and composed of a black material. ,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layers are stacked on an inorganic material layer in the outer area, and at least two layers of the structure are composed of a black material and an organic material,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무기물층에 대한 유기물질의 접착력은 블랙물질의 접착력 보다 클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on of the organic material to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black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무기물층 상에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평탄화층은 구조물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anarization layer on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the planarization layer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form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이 외곽영역에서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in the outer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은 복수의 구조물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구조물들은 외곽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structures, and the plurality of structures may be disposed in an outer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복수의 구조물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2μm 이상일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tructures may be 2 μm or mo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플렉시블 기판, 기판 상에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있는 제1 보호층, 제1 보호층 상에 있는 평탄화층, 평탄화층 상에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뱅크, 뱅크 상에 있는 스페이서,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덮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뱅크는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블랙물질을 포함하며, 제1 보호층 상에서 제2 보호층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2 보호층의 외곽부로부터 이격되어 제2 보호층을 둘러싸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구조물은 뱅크와 동일한 물질과 평탄화층 및 스페이서중 하나와 동일한 물질이 적층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substrate, a first protective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planarization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covering the bank, a spacer on the bank,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area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the bank including a black material to prevent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2. It includes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and surrounding the second protective lay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tructure is laminat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and the same material as on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pac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이 제2 보호층의 외곽부로부터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이격되어 제2 보호층을 둘러쌀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may b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spaced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to surrou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은 복수의 구조물들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복수의 구조물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2μm일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tructures may be 2 μ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구조물이 제2 보호층의 외곽부와 50μm 이상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of 50 μm or more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400 : 유기발광 표시장치
110, 210, 310, 410 : 기판
112 : 게이트라인 114 : 데이터라인
116 : 화소
160a, 360a, 460a : 제1 구조물
362a, 464a: 제1 하부층
364a, 466a: 제1 상부층
160b, 360b, 460b : 제2 구조물
362b, 464b: 제2 하부층
364b, 466b: 제2 상부층
212 : 버퍼층 220 : 박막트랜지스터
222 : 게이트전극 224 : 소스전극
226 : 드레인전극 228 : 반도체층
231 : 게이트절연층 233 : 층간절연층
235, 335, 435 : 패시베이션층
237, 337, 437 : 평탄화층
240 : 유기발광소자
242 : 애노드 244 : 발광부
246 : 캐소드 248 : 보호층
251, 351, 451 : 뱅크
253, 353, 453 : 스페이서
334, 434 : 절연층
370, 470 : 봉지부
371, 471 : 제1 봉지층
373, 473 : 제2 봉지층
375, 475 : 이물보상층
377, 477 : 제1 베리어필름
379, 479 : 제2 베리어필름
A/A : 표시영역
B/B : 외곽영역
100, 200, 300, 4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10, 210, 310, 410: substrate
112: gate line 114: data line
116: pixel
160a, 360a, 460a: first structure
362a, 464a: first lower layer
364a, 466a: first upper layer
160b, 360b, 460b: second structure
362b, 464b: second lower layer
364b, 466b: second upper layer
212: buffer layer 220: thin film transistor
222: gate electrode 224: source electrode
226: drain electrode 228: semiconductor layer
231: gate insulating layer 233: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5, 335, 435: Passivation layer
237, 337, 437: Flattening layer
24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2: anode 244: light emitting unit
246: cathode 248: protective layer
251, 351, 451: Bank
253, 353, 453: Spacer
334, 434: insulating layer
370, 470: Encapsulation part
371, 471: first encapsulation layer
373, 473: second encapsulation layer
375, 475: Foreign matter compensation layer
377, 477: first barrier film
379, 479: Second barrier film
A/A: Display area
B/B: Outer area

Claims (13)

플렉시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있는 제1 보호층;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있는 평탄화층;
상기 평탄화층 상에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블랙재료로 이루어진 뱅크;
상기 뱅크 상에 있고, 투명한 유기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영역을 덮는 제2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있고, 상기 제2 보호층의 외곽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보호층을 둘러싸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평탄화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층 및 상기 하부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뱅크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flexible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substrate;
a first protective layer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 planarization layer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 bank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black material on the planarization layer;
A spacer on the bank and made of a transparent organic material;
a second protective layer covering an area where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disposed; and
It is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includes a structure that is spaced apart from an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and surrounds the second protective layer,
The structure includes a low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n upper layer disposed on the lower layer 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tructure is arr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구조물들로 구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structur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조물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2μm 이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3,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tructures is 2μm or mo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제2 보호층의 외곽부와 50μm 이상 이격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structur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by more than 50 μ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는 블랙피그먼트(black pigment) 및 감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nk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black pigment and a photosensitive compou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무기절연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tective layer is compos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The structur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ective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애노드, 발광부, 및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뱅크는 상기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애노드와 이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n anode, a light emitting unit, and a cathode,
The bank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The spacer is spaced apart from the anode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표시영역 및 그 주변을 둘러싸는 외곽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영역 및 외곽영역을 덮는 무기물층;
상기 무기물층 상에 배치되는 평탄화층;
상기 표시영역에 있으며, 블랙물질로 구성되는 뱅크; 및
상기 외곽영역의 무기물층 상에 적어도 두개의 층들이 적층되고,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뱅크와 이격되어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적어도 두개의 층들 중 하부층은 상기 평탄화층을 구성하는 유기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적어도 두개의 층들 중 상부층은 상기 뱅크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n outer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n inorganic material layer covering the display area and the outer area of the substrate;
A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on the inorganic layer;
a bank located in the display area and made of black material; and
At least two layers are stacked on the inorganic layer in the outer area, and include a structure arranged to surround the display area and spaced apart from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bank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a lower layer of the at least two layers of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n organic material constituting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n upper layer of the at least two layers of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nk.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에 대한 상기 유기물질의 접착력은 상기 무기물층에 대한 상기 블랙물질의 접착력 보다 큰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dhesion of the organic material to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is greater than the adhesion of the black material to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외곽영역에서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structur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r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in the outer area.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구조물들로 구성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structur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조물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2μm 이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tructures is 2μm or more.
KR1020240087491A 2016-06-30 2024-07-03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ending KR202401083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7491A KR20240108365A (en) 2016-06-30 2024-07-03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848A KR102682802B1 (en) 2016-06-30 2016-06-3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240087491A KR20240108365A (en) 2016-06-30 2024-07-03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848A Division KR102682802B1 (en) 2016-06-30 2016-06-3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8365A true KR20240108365A (en) 2024-07-09

Family

ID=610007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848A Active KR102682802B1 (en) 2016-06-30 2016-06-3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240087491A Pending KR20240108365A (en) 2016-06-30 2024-07-03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848A Active KR102682802B1 (en) 2016-06-30 2016-06-3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828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9241B1 (en) * 2019-08-02 2025-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12108621B2 (en) 2020-07-15 2024-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103233A (en) 2021-01-14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472A (en) 2005-11-21 2007-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152B2 (en) * 2004-05-20 2011-09-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including intermediate conductive layer having a hole-injection layer with an island-like structure
KR100683791B1 (en) * 2005-07-30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2454664B1 (en) * 2014-06-25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250048B1 (en) * 2014-09-16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472A (en) 2005-11-21 2007-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2802B1 (en) 2024-07-05
KR20180003253A (en)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869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unctional layer with light-emitting layer and hole injection layer
US10367045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10615374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675480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isplay panel and organic EL display panel
US1023646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31037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707446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4010836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8004670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96270A (en) Color filter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N104167508A (en)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nit
KR2024013427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37516A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6439114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5291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069256A (en) Top-emission type organic e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80065386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01004B1 (en)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CN115241235A (en) Display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76122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792328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2328104B1 (en)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8006402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1348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03323976A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70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63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8284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40703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