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07047A - 의료용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7047A
KR20240107047A KR1020230197214A KR20230197214A KR20240107047A KR 20240107047 A KR20240107047 A KR 20240107047A KR 1020230197214 A KR1020230197214 A KR 1020230197214A KR 20230197214 A KR20230197214 A KR 20230197214A KR 20240107047 A KR20240107047 A KR 20240107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dical diagnostic
diagnostic device
rotation axis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영
김연호
정심관
우경구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0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704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2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일 평면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는 연결 암, 상기 연결 암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틸트 회전축,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체결부 및 상기 틸트 회전축이 연결되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체결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회전축 연결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틸트 회전축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1 감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진단 장치{medical diagnosis apparatus}
본 개시는 의료용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의료 장치로서, 초음파 장치,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 CT(computed tomography) 장치, X선(x-ray) 장치 등이 많이 사용된다. 영상의 해상도 또는 장치 자체의 크기 등의 이유로 이들 장치들은 신체의 일부를 촬영할 수도 있고, 신체의 전체를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신체의 전체를 촬영할 때 한번에 촬영할 수도 있고, 신체의 일부분을 여러 번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들을 합성하여 신체 전체에 대한 합성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신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의료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예를 들어 의사에게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 패널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에 배치된 조작 패널 등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본체부에 연결 암을 이용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흔들림이 감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훼손될 수 있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동을 최소화(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미미한 수준의 진동)할 수 있는 의료용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진단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일 평면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는 연결 암, 상기 연결 암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틸트 회전축,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체결부 및 상기 틸트 회전축이 연결되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체결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회전축 연결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틸트 회전축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1 감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높이를 구비하며, 상기 틸트 회전축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높이에 대한 상기 제2 높이는 0.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일 방향를 따라 10도 회전 가능하고, 다른 일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범위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cm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감쇠부의 일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1 감쇠부의 타 단부는 상기 회전축 연결부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1 감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상기 회전축 연결부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쇠부는 볼 플런저 감쇠기(Ball-plunger damper), 점탄성감쇠기(Viscoelastic damper), 점성유체 감쇠기(viscous fluid damper), 소성 변형 감쇠기(Hysteretic dampers), 유압 감쇠기(hydraulic damper), 공압 감쇠기(pneumatic damp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쇠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경도(硬度)는 25도 이상 8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쇠부의 일 단부는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감쇠부의 타 단부는 상기 연결 암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연결 암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제2 감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쇠부는 상기 틸트 회전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쇠부는 일 단부가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타 단부가 연결 암에 지지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암은 복수 개의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틸트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틸트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쇠부의 일 단부는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감쇠부의 타 단부는 상기 연결 암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연결 암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제2 감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쇠부는 상기 틸트 회전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쇠부는 일 단부가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타 단부가 연결 암에 지지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의 타 단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틸트 회전축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떨림, 소음, 등)을 억제하여 장치의 품위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는 사용자가 체감할 수 없는 수준으로 진동을 억제 또는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는 진단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3 암, 브라켓 및 틸트 회전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3 암 및 틸트 회전축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브라켓 및 제1 감쇠부의 부분 측면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브라켓 및 제1 감쇠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틸트 회전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a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18b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0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개시는 본 개시의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부'(unit)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 또는'부'가 하나의 요소(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 또는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측면', '좌측', '우측',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개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유사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영상은 자기 공명 영상(MRI)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CT) 장치, 의료용 진단 장치, 또는 엑스레이 영상 장치 등의 의료 영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대상체(object)'는 촬영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서, 사람, 동물,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신체의 일부(장기 또는 기관 등; organ) 또는 팬텀(phant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의료용 영상'이란 대상체로 송신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 또는 처리된 대상체(object)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의료용 진단 시스템(100)은 프로브(20) 및 의료용 진단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카트형뿐만 아니라 휴대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휴대형 의료용 진단 장치의 예로는 프로브,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프로브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브(2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유선 프로브,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프로브, 및/또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하이브리드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진단 장치(40)가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20)가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프로브(20) 모두가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브(20)는 영상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17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포함된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 영상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170)에 관한 설명은 프로브(20)에 포함된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 영상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17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프로브(20)가 유선 프로브 또는 하이브리드 프로브인 경우의 의료용 진단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프로브(20)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소정의 배열로 나열되어 트랜스듀서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 어레이는 1차원(1D) 어레이 또는 2차원(2D) 어레이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송신 모듈(113)로부터 인가된 송신 신호에 따라 대상체(10)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대상체(10)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2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구현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브(20)가 유선 프로브 또는 하이브리드 프로브인 경우,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커넥터와 연결 가능한 케이블 및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20)는 2차원 프로브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브(20)가 2차원 프로브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브(20)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2차원으로 배열되어 2차원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트랜스듀서 어레이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하는 서브 어레이를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복수 개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20)가 2차원 프로브로 구현되는 경우,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은 아날로그 빔포머 또는 디지털 빔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프로브는 구현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머 또는 디지털 빔포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프로브(20)에 포함되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트랜스듀서(115) 각각에 인가될 송신 신호를 형성하도록 송신 모듈(113)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프로브(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고,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디지털 변환된 수신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수신 모듈(115)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브(20)가 2차원 프로브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2차원 트랜스듀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들 각각에 대하여, 서브 어레이 별로 디지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어레이에 포함된 트랜스듀서들 각각에 대한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 및 디지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들에 따라, 복수의 트랜스듀서들 각각에 인가될 송신 신호를 형성하도록 아날로그 빔포머 및 디지털 빔포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을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에 따라, 서브 어레이 별로 합산하도록 아날로그 빔포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브 어레이 별로 합산된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도록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변환된 신호들을 디지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에 따라 합산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디지털 빔포머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용 영상을 생성 또는 처리한다.
디스플레이(14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 또는 프로브(2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브(20) 또는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구현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다양한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입력 인터페이스(170)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통신 모듈(160)을 포함하며, 통신 모듈(160)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면, 프로브(20), 서버, 의료 장치, 휴대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와 연결되고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60)을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가 통신 모듈(160)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외부 장치를 송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 장치는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거나,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에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의료용 진단 장치(40)를 제어하거나,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또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료용 진단 장치(40), 프로브(2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 또는 다운로드하고,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장치에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40), 프로브(20), 또는 서버는 해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트럭션, 커맨드, 설치 파일, 실행 파일, 또는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15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입/출력되는 초음파 데이터, 의료용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7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은 버튼, 키 패드, 마우스, 트랙볼, 조그 스위치, 놉(knop) 등을 조작하는 입력,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입력, 음성 입력, 모션 입력, 생체 정보 입력(예를 들어,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b는 프로브(20)가 무선 프로브 또는 하이브리드 프로브인 경우의 의료용 진단 시스템(100)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도 1a을 참조하여 설명된 의료용 진단 장치(40)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프로브(20)는 도 1b을 참조하여 설명될 프로브(20)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브(20)는 디스플레이(112), 송신 모듈(113), 배터리(114), 트랜스듀서(115), 충전 모듈(116), 수신 모듈(117), 입력 인터페이스(109), 프로세서(118), 및 통신 모듈(11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프로브(20)가 송신 모듈(113) 및 수신 모듈(117)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 형태에 따라, 프로브(20)는 송신 모듈(113) 및 수신 모듈(117)의 구성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송신 모듈(113) 및 수신 모듈(117)의 구성 중 일부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20)는 영상 프로세서(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스듀서(115)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소정의 배열로 나열되어 트랜스듀서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 어레이는 1차원(1D) 어레이 또는 2차원(2D) 어레이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송신 모듈(113)로부터 인가된 송신 신호에 따라 대상체(10)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대상체(10)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수신 신호를 형성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충전 모듈(116)은 배터리(114)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모듈(116)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116)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116)은 유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충전 모듈(116)은 수신한 전력을 배터리(114)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복수의 트랜스듀서들 각각에 인가될 송신 신호를 생성 또는 형성하도록 송신 모듈(113)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18)는 트랜스듀서(115)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고,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디지털 변환된 수신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수신 모듈(117)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20)가 영상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는 경우, 생성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브(20)가 2차원 프로브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118)는 2차원 트랜스듀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들 각각에 대하여, 서브 어레이 별로 디지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복수의 서브 어레이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어레이에 포함된 트랜스듀서들 각각에 대한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 및 디지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들에 따라, 복수의 트랜스듀서들 각각에 인가될 송신 신호를 형성하도록 아날로그 빔포머 및 디지털 빔포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을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에 따라, 서브 어레이 별로 합산하도록 아날로그 빔포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서브 어레이 별로 합산된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도록 초음파 송수신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디지털 변환된 신호들을 디지털 빔포밍을 위한 시간 지연 값에 따라 합산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디지털 빔포머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프로브(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프로브(2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8)는 메모리(111)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프로브(20)의 다양한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프로브(20)의 입력 인터페이스(109) 또는 외부 장치(예: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브(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입력 인터페이스(109)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브(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09)는, 프로브(2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은 버튼, 키 패드, 마우스, 트랙볼, 조그 스위치, 놉(knop) 등을 조작하는 입력,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입력, 음성 입력, 모션 입력, 생체 정보 입력(예를 들어,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112)는 프로브(20)에 의해 생성된 초음파 데이터,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수신된 의료용 영상, 또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2)는 프로브(20)의 상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프로브(20)의 상태 정보는 프로브(20)의 장치 정보, 프로브(20)의 배터리 상태 정보, 프로브(20)의 주파수 대역 정보, 프로브(20)의 출력 정보, 프로브(20)의 이상 유무 정보, 프로브(20)의 설정 정보, 또는 프로브(20)의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20)는 구현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2)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9)은 생성된 초음파 데이터 또는 의료용 영상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용 진단 장치(4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9)은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프로브(20)로부터 초음파 데이터 또는 의료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20)가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브(2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에게 초음파 데이터 또는 영상 프로세서(130)에 의해 생성된 의료용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20)가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 프로세서(1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프로브(2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에게 초음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초음파 데이터는 초음파 로데이터(raw data)를 포함할 수 있고, 의료용 영상은 의료용 진단 데이터, 예를 들어 초음파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프로세서(120), 영상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메모리(150), 통신 모듈(160) 및 입력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프로세서(130)는 프로브(20)로부터 수신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용 진단 영상을 생성 또는 처리한다.
디스플레이(140)는 프로브(20)로부터 수신한 초음파 데이터, 프로브(20)로부터 수신된 초음파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한 의료용 영상, 또는 의료용 진단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구현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다양한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입력 인터페이스(170)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통신 모듈(160)을 포함하며, 통신 모듈(160)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면, 프로브(20), 서버, 의료 장치, 휴대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와 연결되고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통신 모듈(160)과 프로브(20)의 통신 모듈(119)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통신 모듈(160)과 프로브(20)의 통신 모듈(119)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와이기그(Wireless Gigabit Allicance, WiGig), RF 통신, 또는 60GHz 밀리미터파(mm Wave) 근거리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통신 모듈(160)과 프로브(20)의 통신 모듈(119)은 무선 랜(Wireless LAN)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BLE (Bluetooth LowEnergy)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통신 모듈,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모듈,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통신 모듈, 와이기그(Wireless Gigabit Allicance, WiGig)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또는 60GHz 밀리미터파(mm Wave)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20)는 제1 통신 방법(예: BLE)을 이용하여 프로브(20)의 장치 정보(예: ID 정보)를 의료용 진단 장치(40)로 전송하고,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무선으로 페어링(paring)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20)는 페어링된 의료용 진단 장치(40)에게 초음파 데이터 및/또는 의료용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브(20)의 장치 정보는 프로브(20)의 시리얼 넘버, 모델명, 또는 배터리 상태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제1 통신 방법(예: BLE)을 이용하여 프로브(20)로부터 프로브(20)의 장치 정보(예: ID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브(20)와 무선으로 페어링(paring)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페어링된 프로브(20)에게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고, 프로브(20)로부터 초음파 데이터 및/또는 의료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활성화 신호는 프로브(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20)는 제1 통신 방법(예: BLE)을 이용하여 프로브(20)의 장치 정보(예: ID 정보)를 의료용 진단 장치(40)로 전송하고, 의료용 진단 장치(40)와 무선으로 페어링(paring)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20)는 제2 통신 방법(예: 60GHz 밀리미터파, 와이파이)을 이용하여 제1 통신 방법에 의해 페어링된 의료용 진단 장치(40)에게 초음파 데이터 및/또는 의료용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제1 통신 방법(예: BLE)을 이용하여 프로브(20)로부터 프로브(20)의 장치 정보(예: ID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브(20)와 무선으로 페어링(paring)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페어링된 프로브(20)에게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고, 제2 통신 방법(예: 60GHz 밀리미터파, 와이파이)을 이용하여 프로브(20)로부터 초음파 데이터 및/또는 의료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20)와 의료용 진단 장치(40)가 서로 페어링되는데 이용되는 제1 통신 방법은 프로브(20)가 의료용 진단 장치(40)에게 초음파 데이터 및/또는 의료용 영상을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제2 통신 방법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디스플레이(140)는 프로브(20)의 장치 정보를 나타내는 UI(User Interface)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무선 초음파 프로브(20)의 식별 정보, 프로브(20)와의 페어링 방법을 나타내는 페어링 방법, 프로브(20)와 의료용 진단 장치(40) 간의 데이터 통신 상태, 의료용 진단 장치(4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또는 프로브(20)의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브(20)가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브(20)의 디스플레이(112)는 프로브(20)의 장치 정보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2)는 무선 초음파 프로브(20)의 식별 정보, 프로브(20)와의 페어링 방법을 나타내는 페어링 방법, 프로브(20)와 의료용 진단 장치(40) 간의 데이터 통신 상태, 의료용 진단 장치(4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또는 프로브(20)의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UI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60)을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의료용 진단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가 통신 모듈(160)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외부 장치를 송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 장치는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거나, 의료용 진단 장치(4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료용 진단 장치(40), 프로브(20),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 또는 다운로드하고,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장치에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40), 프로브(20), 또는 서버는 해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트럭션, 커맨드, 설치 파일, 실행 파일, 또는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150)는 의료용 진단 장치(4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입/출력되는 초음파 데이터, 의료용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 시스템(100)의 예시는 도 2를 통해 후술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본체부(200), 연결 암(300)을 이용하여 본체부(200)에 연결되는 메인 디스플레이(140-1) 및 본체부(200)에 배치되는 서브 디스플레이(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본체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케이스(210)는 사용 목적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 케이스(210)가 직육면체 형상임을 기준으로 본체 케이스(210)의 폭 방향을 제1 방향(X 방향), 본체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을 제2 방향(Y 방향) 및 본체 케이스(210)의 두께 방향을 제3 방향(Z 방향)으로 서술한다.
메인 디스플레이(140-1) 및 서브 디스플레이(140-2)는 도 1a 및 도 1b의 디스플레이(140)에 대응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40-1)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140-2)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40-1)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140-2) 중 적어도 하나는 의료용 영상 또는 의료용 진단 장치(4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40-1)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140-2)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고, GUI(Graphic User Interface) 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의료용 진단 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140-1)는 의료용 영상을 표시하고, 서브 디스플레이(140-2)는 의료용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GUI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140-2)는 GUI 형태로 표시된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TGC(Time Gain Compensation) 버튼, LGC(Lateral Gain Compensation) 버튼, 프리즈(Freeze) 버튼, 트랙볼, 조그 스위치, 또는 놉(knop) 등은 서브 디스플레이(140-2)에 GUI로 제공될 수 있다.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입력 받은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40-1)에 표시된 의료용 영상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프로브(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대상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메인 디스플레이(140-1) 및 서브 디스플레이(140-2) 이외에 본체부(200)에 배치되는 입력 인터페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70)는 버튼, 트랙볼, 조그 스위치, 놉(kno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의료용 진단 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70)는 TGC 버튼(171), Freeze 버튼(17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GC 버튼(171)은, 의료용 영상의 깊이 별로 TGC 값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의료용 영상을 스캔하는 도중에 Freeze 버튼(172)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시점의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당 시점의 프레임 영상을 캡쳐하거나, 해당 시점의 프레임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되는 버튼, 트랙볼, 조그 스위치, 놉(knop) 등은, 메인 디스플레이(140-1)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140-2)에 GUI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프로브(20)와 연결되어 대상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스피커, LED, 진동 장치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소리, 또는 진동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40)는 다양한 알림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140-1)의 경우, 연결 암(300)을 이용하여 본체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140-1)는 사용 환경에 따라 상이한 각도 및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메인 디스플레이(140-1)에 직접 사용자가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본체부(200)에 배치된 입력 인터페이스(17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140-2)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인가되는 외부 압력에 따라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암(300)을 이용하여 본체부(200)에 연결된 메인 디스플레이(140-1)의 경우, 외부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40-1)에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40-1)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감소될 수 있다. 외부 압력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40-1)에 인가되는 충격을 사전에 흡수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140-1)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140-1)와 서브 디스플레이(140-2) 중 연결 암(300)을 이용하여 본체부(200)에 연결되는 메인 디스플레이(140-1)를 디스플레이(140)로 통칭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일 평면을 따라 연장된 평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최근 데이터 정보량의 증가 및 이미지의 해상도 향상의 필요성으로 인해 대면적 디스플레이(14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27인치 이상의 대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40)는 곡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7인치 이하의 디스플레이(14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 암(300)은 디스플레이(140)와 본체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와 본체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연결 암(300)은 복수 개의 암(310-330)을 포함하는 다관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 암(300)은 본체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암(310), 제1 암(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암(320) 및 제2 암(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3 암(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310-330)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구비하거나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암(310)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져, 하방에 배치된 본체부(20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320)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140)의 이동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제3 암(330)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져,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4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암의 개수 및 복수 개의 암의 각각의 형상은 디스플레이(140)와 본체부(200) 사이의 배치 환경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복수 개의 암(310-330)은 복수 개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암(310)은 제1 회전축(341)을 이용하여 본체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축(341)은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 암(310)과 본체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암(310)은 본체부(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암(320)은 제2 회전축(342)을 이용하여 제1 암(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축(342)은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 암(310)과 제2 암(3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암(320)은 제1 암(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암(330)은 제3 회전축(343)을 이용하여 제2 암(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회전축(343)은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2 암(320)과 제3 암(3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암(330)은 제2 암(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암(310) 내지 제3 암(330)이 복수 개의 회전축(341-343)을 이용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140)는 일 평면(XY 평면)에서 본체부(200)에 대해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암(320)은 제1 힌지부(351)을 이용하여 제1 암(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힌지부(351)는 일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 암(310)과 제2 암(3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암(320)은 제1 힌지부(351)를 중심으로 제1 암(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암(330)은 제2 힌지부(352)을 이용하여 제2 암(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힌지부(352)은 일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2 암(320)과 제3 암(3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암(330)은 제2 힌지부(352)를 중심으로 제2 암(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암(310) 내지 제3 암(330)이 복수 개의 힌지부(351-352)를 이용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40)는 일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본체부(200)에 대해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암(300)을 이용하여 본체부(2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140)는 일 평면(XY 평면)에서 본체부(200)에 대해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 평면(XY 평면)에 수직한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본체부(200)에 대해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40)는 사용 환경에 따라 본체부(200)에 대해 3차원의 임의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연결 암(300)의 일 단부, 예를 들어 제3 암(330)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에 제3 암(330)의 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브라켓(4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를 제3 암(330)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제3 암(330)의 일 단부에 틸트 회전축(353)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400) 및 틸트 회전축(353)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40)가 연결 암(300)에 연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40)는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3 암, 브라켓 및 틸트 회전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3 암 및 틸트 회전축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40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배면(141)과 제3 암(330)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제3 암(330)을 연결할 수 있다. 틸트 회전축(353)은 제3 암(330)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3 암(330)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몸체부(331)와 몸체부(331)의 일 단부에 배치된 회전축 삽입공(332)을 포함할 수 있다. 틸트 회전축(353)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회전축 삽입공(332)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틸트 회전축(353)은 브라켓(400)에 마련된 회전축 연결부(43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틸트 회전축(353)이 2개로 분리된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틸트 회전축(353)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틸트 회전축(353)이 제3 암(330)의 일 단부에 배치된 회전축 삽입공(332)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브라켓(400)에 마련된 회전축 연결부(43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일 방향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소정의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10도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140)가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가동 범위가 도 9a 내지 도 9b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환경에 따라 상이한 가동 범위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스토퍼(370)는,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디스플레이(140)의 회전 가동 범위를 구속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토퍼(370)는 틸트 회전축(353)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돌출 부재일 수 있다. 이때, 제3 암(330)의 일 단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회전 구속부(33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구속부(333)는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와 같이 디스플레이(140)가 100도의 회전 반경을 구비하는 경우, 100도의 각도로 이격된 제1 회전 구속부(333-1) 및 제2 회전 구속부(3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 이동하는 경우, 스토퍼(370)와 제2 회전 구속부(333-2)가 상호 접촉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회전 범위가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10도 회전 이동하는 경우, 스토퍼(370)와 제1 회전 구속부(333-1)가 상호 접촉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회전 범위가 구속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360)는 제3 암(330)에 대한 디스플레이(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위치 고정부(360)는 하나 이상의 와셔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고정부(360)는 틸트 회전축(353)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360)에 포함된 와셔는 브라켓(400)에 마련된 회전축 연결부(430)와 면접촉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부(360)에 포함된 너트를 이용하여 회전축 연결부(430)와 와셔 사이의 면접촉을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140)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암(330)에 대한 디스플레이(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임의의 위치 고정부(36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브라켓 및 제1 감쇠부의 부분 측면 확대도이다.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40)의 경우,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회전해야 하는 회전 가동 범위가 일반 디스플레이(140)의 회전 가동 범위를 초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의 회전 가동 범위를 구현하기 위해 틸트 회전축(353)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의 중심에서 벗어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40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제1 브라켓(410) 및 틸트 회전축(353)이 배치되는 제2 브라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이 제1 브라켓(4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연결 암(300)에 포함된 제3 암(330)과 디스플레이(14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1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연결 암(300)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브라켓(41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체결부(411) 및 틸트 회전축(353)이 연결되며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체결부(411)의 하방에 배치되는 회전축 연결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체결부(411)는 디스플레이(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영역이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체결부(411)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배치된 제1 체결부(143)에 대응되는 제2 체결부(4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배치된 제1 체결부(143)는 베사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규격을 구비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체결부(4111)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체결 장치, 예를 들어 나사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배치된 제1 체결부(14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제1 브라켓(410)이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제1 브라켓(4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의 체결 부재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체결부(411)는 디스플레이(140)의 중심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체결부(411)는 직사각형 형상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의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체결부(411)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의 중심부에 배치됨에 따라, 제1 브라켓(410)에 의해 공중에 지지되어야 하는 디스플레이(140)의 무게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회전축 연결부(412)는 틸트 회전축(353)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영역이다. 일 예로서, 회전축 연결부(412)의 일면(4121)에는 제2 브라켓(420)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회전축 연결부(412)의 일면(4121)에 대향하는 다른 일면(4122)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브라켓(420)에는 회전축 연결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틸트 회전축(353)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라켓(420)이 회전축 연결부(412)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틸트 회전축(353)이 회전축 연결부(412)의 일면(412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4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연결 암(300), 예를 들어 제3 암(3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회전축 연결부(412)는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체결부(411)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체결부(411)는 디스플레이(140)의 무게 분산을 위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 연결부(412)가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체결부(411)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 회전축 연결부(412)는 디스플레이(14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 연결부(412)가 디스플레이(14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회전축 연결부(412)에 배치되는 틸트 회전축(353) 또한, 디스플레이(14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140)가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제1 높이(h1)를 구비하는 경우, 틸트 회전축(353)은 디스플레이(140)의 하단부(145)로부터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제2 높이(h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높이(h1)에 대한 제2 높이(h2)는 0.5 이하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높이(h1)에 대한 제2 높이(h2)의 비율은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회전축 연결부(412)에 배치되는 틸트 회전축(353)이 디스플레이(14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140)의 회전 각도가 확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 이동하거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는 제3 암(330)에 대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10도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회전축 연결부(412)는 디스플레이(140)의 일면(141)과 소정의 이격 간격(W)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회전축 연결부(412)의 다른 일면(4122)은 디스플레이(140)의 일면(141)과 소정의 이격 간격(W)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회전축 연결부(412)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cm이상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회전축 연결부(412)에 소정의 이격 간격(W)이 마련됨에 따라, 회전축 연결부(412)에 결합된 틸트 회전축(353)을 통해 인가되는 외부 압력이 디스플레이(14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대면적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140)는 종래의 소면적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140) 보다 중량이 증가할 수 있다. 대면적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서, 틸트 회전축(353)이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외부 진동,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70)에 터치 입력 등이 인가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에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감소될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부 압력에 따라 디스플레이(14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감쇠부(500, 6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브라켓 및 제1 감쇠부의 측면도이다.
도 10,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감쇠부(500)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회전축 연결부(412)의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감쇠부(500)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회전축 연결부(412)의 다른 일면(4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감쇠부(500)는,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틸트 회전축(353)의 하방에 배치되는 진동 감쇄 영역(M)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500)의 제1 단부(510)는 회전축 연결부(412)의 다른 일면(4122)에 지지되고, 제1 감쇠부(500)의 제2 단부(520)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가 회전축 연결부(412)에 대해 진동하는 경우, 제1 감쇠부(500)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회전축 연결부(412)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500)가 제1 단부(510)와 제2 단부(520) 사이에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인가 받는 경우, 제1 감쇠부(500)는 인가 받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감쇠부(500)가, 제1 단부(510)와 제2 단부(520) 사이에서 인가받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대항하여 반발력을 생성함에 따라 회전축 연결부(412)에 대한 디스플레이(140)의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감쇠부(500)는 제1 단부(510)와 제2 단부(520) 사이에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인가 받는 경우, 인가 받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감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쇠부(500)는 볼 플런저 감쇠기(Ball-plunger damper), 점탄성감쇠기(Viscoelastic damper), 점성유체 감쇠기(viscous fluid damper), 소성 변형 감쇠기(Hysteretic dampers), 유압 감쇠기(hydraulic damper), 공압 감쇠기(pneumatic damp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쇠부(500)는 회전축 연결부(412)의 다른 일면(4122)과 디스플레이의 일면(14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쇠부(500)에 포함된 탄성 부재는 25도 이상 80도 이하의 경도를 구비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회전축 연결부(412) 사이에 제1 감쇠부(500)가 배치됨에 따라 진동 감쇠 영역(M)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회전축 연결부(412)에 대한 디스플레이(140)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틸트 회전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a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18b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40)에 외부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40)에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200)에 배치된 입력 인터페이스(170)에 터치 입력 등이 인가됨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140)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감쇠부(600)는 디스플레이(140)와 연결 암(300) 사이에 배치되어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140)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감쇠부(600)는 디스플레이(140)와 연결 암(300) 사이에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인가 받는 경우, 인가 받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감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쇠부(600)는 볼 플런저 감쇠기(Ball-plunger damper), 점탄성감쇠기(Viscoelastic damper), 점성유체 감쇠기(viscous fluid damper), 소성 변형 감쇠기(Hysteretic dampers), 유압 감쇠기(hydraulic damper), 공압 감쇠기(pneumatic damp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제2 감쇠부(600)는 틸트 회전축(353)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쇠부(600)에 배치되는 틸트 회전축(353)에 배치되는 포함된 탄성 부재는 틸트 회전축(353)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에 따른,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는 디스플레이(140)에 지지되고, 제2 감쇠부(600)의 제2 단부(620)는 연결 암(30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쇠부(600)가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 제2 감쇠부(600)는 틸트 회전축(353)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는 디스플레이(14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지지된 제2 브라켓(420)에 지지되고, 제2 감쇠부(600)의 제2 단부(620)는 연결 암(300), 예를 들어 제3 암(330)에 지지될 수 있다.
틸트 회전축(353)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형태로 마련된 경우, 제2 감쇠부(600) 또한 분리 형태로 마련되어 각각의 틸트 회전축(35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브라켓(420)에 지지된 제1 단부(610)는 연결부(64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된 틸트 회전축(353)에 각각 배치된 제2 감쇠부(600)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는 분리된 틸트 회전축(353)에 복수 개의 제2 감쇠부(600)가 배치되는 것으로 개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감쇠부(600)는 분리된 틸트 회전축(35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가 디스플레이(140)에 지지되고, 제2 단부(620)가 연결 암(300)에 지지됨에 따라,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140)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제2 감쇠부(600)는 디스플레이(140)와 연결 암(300)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2 감쇠부(600)가 제1 단부(610)와 제2 단부(620) 사이에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인가 받는 경우, 제2 감쇠부(600)는 인가 받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감쇠부(600)가, 제1 단부(610)와 제2 단부(620) 사이에서 인가 받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대항하여 반발력을 생성함에 따라,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디스플레이(140)의 흔들림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8a를 참조하면,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가 디스플레이(140)에 고정된 제2 브라켓(420)에 지지되고, 제2 단부(620)가 제3 암(330)에 지지될 수 있다. 외부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40)는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흔들릴 수 있다. 이때,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는 제2 브라켓(420)에 의해 지지되어 압축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가 제2 브라켓(420)에 의해 지지되어 압축력을 인가 받는 경우,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는, 인가 받는 압축력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을 따라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가 시계 방향을 따라 반발력을 생성함에 따라,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디스플레이(140)의 흔들림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8b를 참조하면, 외부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40)는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흔들릴 수 있다. 이때, 제2 감쇠부(600)의 제2 단부(620)는 제3 암(330)에 의해 지지되어 인장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제2 감쇠부(600)의 제2 단부(620)가 제3 암(330)에 의해 지지되어 인장력을 인가 받는 경우, 제2 감쇠부(600)의 제2 단부(620)는, 인가 받는 인장력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을 따라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반발력을 생성함에 따라,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디스플레이(140)의 흔들림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 제2 감쇠부, 브라켓 및 제3 암의 측면도이다.
도 19 및 도 24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40-1)는 디스플레이(140), 본체부(200), 연결 암(300), 제1 감쇠부(500), 제2 감쇠부(600) 및 브라켓(7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7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디스플레이(140), 본체부(200), 연결 암(300), 제1 감쇠부(500) 및 제2 감쇠부(6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70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연결 암(300)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700)은 도 3에 도시된 브라켓(400)과 달리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연결 암(300)에 고정되는 브라켓이 결합된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70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체결부(711) 및 틸트 회전축(353)이 연결되며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체결부(711)의 하방에 배치되는 회전축 연결부(71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체결부(711)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체결부(4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회전축 연결부(712)는 틸트 회전축(353)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영역이다. 일 예로서, 회전축 연결부(712)의 일면(7121)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 연결부(712)의 일면(7121)에는 회전축 연결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틸트 회전축(353)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40)는 틸트 회전축(353)을 중심으로 연결 암(300), 예를 들어 제3 암(3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회전축 연결부(712)는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체결부(711)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체결부(711)는 디스플레이(140)의 무게 분산을 위해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 연결부(712)가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체결부(711)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 회전축 연결부(712)는 디스플레이(14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회전축 연결부(712)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소정의 이격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140)의 일면(1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회전축 연결부(712)의 일면(7121)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소정의 이격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감쇠부(500)는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회전축 연결부(712)의 일면(7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쇠부(500)의 일 단부는 디스플레이(140)의 일면(141)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감쇠부(500)의 타 단부는 회전축 연결부(712)의 일면(7121)에 배치된 감쇠부 지지부(740)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는 디스플레이(140)에 지지되고, 제2 감쇠부(600)의 제2 단부(620)는 연결 암(30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쇠부(600)가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 제2 감쇠부(600)는 틸트 회전축(353)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감쇠부(600)의 제1 단부(610)는 디스플레이(140), 예를 들어 브라켓(700)에 마련된 감쇠부 지지부(740)에 지지되고, 제2 감쇠부(600)의 제2 단부(620)는 연결 암(300), 예를 들어 제3 암(33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40-2)는 디스플레이(140), 본체부(200), 연결 암(300), 제1 감쇠부(500), 제2 감쇠부(600), 브라켓(700) 및 핸들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8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9 및 도 20에 개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핸들부(8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디스플레이(140)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는 파지 부재이다. 핸들부(800)는 디스플레이(140)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핸들부(800)의 일 단부(810)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에 연결되고, 핸들부(800)의 타 단부(820)는 브라켓(700)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부(800)가 일 단부(810)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800)가 일 단부(810)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800)가 일 단부(810)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에 안착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핸들부(800)의 일 단부(810)를 파지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틸트 각도 및 위치 변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800)의 타 단부(820)는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틸트 회전축(353)의 하방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브라켓(700)에 구비된 회전축 연결부(712)에 핸들부 탈착부(7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 탈착부(750)는 진동 감쇠 영역(M)에 해당하는 틸트 회전축(353)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 체결부(830)는 핸들부(800)의 타 단부(820)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 체결부(830)는 회전축 연결부(712)에 배치된 핸들부 탈착부(750)에 결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800)의 타 단부(820)는 틸트 회전축(353)의 하방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부(800)의 일 단부(810)가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에 연결되고, 핸들부(800)의 타 단부(820)가 틸트 회전축(353)의 하방에 배치된 핸들부 탈착부(750)에 결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40)와 회전축 연결부(712)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감쇠 영역(M)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회전축 연결부(712)에 대한 디스플레이(140)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0는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연결 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40-3)는 디스플레이(140), 본체부(200), 연결 암(300), 브라켓(900), 제1 감쇠부(500) 및 제2 감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9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일 예시에 따른 브라켓(900)은 디스플레이(140)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제1 브라켓(910) 및 틸트 회전축(353)이 배치되는 제2 브라켓(9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920)이 제1 브라켓(9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연결 암(300)에 포함된 제3 암(330)과 디스플레이(14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91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연결 암(300)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브라켓(910)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체결부(911) 및 틸트 회전축(353)이 연결되며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체결부(911)의 하방에 배치되는 회전축 연결부(9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브라켓(9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체결부(911) 및 제2 브라켓(920)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체결부(411) 및 제2 브라켓(4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회전축 연결부(912)는 틸트 회전축(353)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영역이다. 일 예로서, 회전축 연결부(912)의 일면(9121)에는 제2 브라켓(920)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회전축 연결부(912)의 일면(9121)에 대향하는 회전축 연결부(912)의 다른 일면(9122)은 디스플레이의 일면(141)과 소정의 이격 간격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회전축 연결부의 하단부(915)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 연결부의 하단부(915)와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에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체결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 체결부(950)는 체결 영역에 배치되어 회전축 연결부의 하단부(915)와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부(912)의 하단부(915)와 디스플레이의 하단부(145)가 결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40)와 회전축 연결부(912)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감쇠 영역(M)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회전축 연결부(712)에 대한 디스플레이(140)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일 평면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는 연결 암;
    상기 연결 암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틸트 회전축;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체결부 및 상기 틸트 회전축이 연결되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체결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회전축 연결부를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틸트 회전축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1 감쇠부; 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높이를 구비하며, 상기 틸트 회전축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높이에 대한 상기 제2 높이는 0.5이하인,
    의료용 진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쇠부의 일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1 감쇠부의 타 단부는 상기 회전축 연결부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1 감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상기 회전축 연결부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쇠부는 볼 플런저 감쇠기(Ball-plunger damper), 점탄성감쇠기(Viscoelastic damper), 점성유체 감쇠기(viscous fluid damper), 소성 변형 감쇠기(Hysteretic dampers), 유압 감쇠기(hydraulic damper), 공압 감쇠기(pneumatic damp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쇠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경도(硬度)는 25도 이상 80도 이하인,
    의료용 진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사이의 이격 거리는 0.5cm이상인,
    의료용 진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부의 일 단부는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감쇠부의 타 단부는 상기 연결 암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연결 암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제2 감쇠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부는 상기 틸트 회전축에 배치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부는 일 단부가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타 단부가 연결 암에 지지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일 방향를 따라 10도 회전 가능하고, 다른 일 방향을 따라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범위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암은 복수 개의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틸트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틸트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연결부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부의 일 단부는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감쇠부의 타 단부는 상기 연결 암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틸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연결 암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제2 감쇠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부는 상기 틸트 회전축에 배치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쇠부는 일 단부가 디스플레이에 지지되고, 타 단부가 연결 암에 지지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일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타 단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틸트 회전축의 하방에 배치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KR1020230197214A 2022-12-29 2023-12-29 의료용 진단 장치 Pending KR20240107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89927 2022-12-29
KR1020220189927 2022-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7047A true KR20240107047A (ko) 2024-07-08

Family

ID=9171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7214A Pending KR20240107047A (ko) 2022-12-29 2023-12-29 의료용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07047A (ko)
WO (1) WO20241443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98B1 (ko) * 2005-04-21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100012163A (ko) * 2008-07-28 2010-02-08 박병희 모니터 원격제어장치와 브래킷 결합방법
KR20110076304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6360B1 (ko) * 2014-03-11 2021-04-2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기기 및 의료 기기의 동작 방법
KR102615049B1 (ko) * 2018-03-07 2023-12-1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44356A1 (ko) 202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8126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US8514567B2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6808736B2 (ja) マルチモードタッチスクリーンインターフェイスを有する超音波撮像システム
EP3298967B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4150936A (ja) 超音波診断システム
EP3975862A1 (en) Clinical data acquisition system with mobile clinical viewing device
US20140350357A1 (en) Ultrasonic diagnostic system
KR101562210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초음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방법
WO2021018271A1 (en) Mobile ultrasound imaging systems
KR20240107047A (ko) 의료용 진단 장치
EP3485817A1 (en) Vibration canceling motor assembly and ultrasound probe including the same
EP3838616B1 (en) Caster unit and medical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180140283A1 (en) Cooling system for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JP2010051621A (ja) 超音波診断装置
US20190090846A1 (en) Ultrasonic diagnostic system
US20220287681A1 (en) Ultrasound imaging system with a tilt-adjustable secondary display
KR20190102598A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케이블 지지 장치
JP7501331B2 (ja) 超音波探触子ホルダー、超音波診断装置、超音波診断装置用カート及び超音波診断システム
EP4541285A1 (en) Ultrasonic probe
EP4044007B1 (en)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edical apparatus
KR20250104959A (ko) 초음파 프로브
JP2011142939A (ja) 超音波診断装置
KR20240142940A (ko)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KR20250103056A (ko) 초음파 영상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 포함된 프로브
KR20160136204A (ko) 의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