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0892A -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0892A KR20240100892A KR1020220182998A KR20220182998A KR20240100892A KR 20240100892 A KR20240100892 A KR 20240100892A KR 1020220182998 A KR1020220182998 A KR 1020220182998A KR 20220182998 A KR20220182998 A KR 20220182998A KR 20240100892 A KR20240100892 A KR 202401008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source
- sculpture
- light
- battery
- amou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 유닛은,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형물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조형물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형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상기 광원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 광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의 동작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 조형물을 비추는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조명 유닛은 건축물이나 조형물 등을 비추어 운치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경관 조명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경관 조명 유닛은 도시의 야간을 빛으로 장식하고 미화해서 도시의 품위를 높여주고 야경을 아름답게 조성하는 연출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경관 조명 유닛은 도시 경관 재생 사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전기 사용을 위해 한국 전력의 허가를 받기 어렵고, 한국 전력의 허가를 받더라도 전기요금 납부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태양광을 이용하는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유닛은,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형물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조형물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형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상기 광원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 광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의 동작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이 상기 조형물에 포함된 자성체 또는 상기 조형물에 인접하여 배치된 자성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도 센서의 상기 측정 광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광량 이상일 경우 상기 광원을 소등하고, 상기 측정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미만일 경우 상기 광원을 점등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원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일 경우 상기 광원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상기 기준 전량 미만일 경우 상기 광원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관 구조물은,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벽면에 구비되는 조형물 및 상기 조형물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조형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조형물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조형물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형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상기 광원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 광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의 동작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명 유닛은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상기 조명 유닛의 사용할 때 한국 전력의 허가나 전기 요금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야간에 상기 조형물을 비출 수 있으므로, 상기 조형물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유닛은 야간에만 상기 조형물을 비추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따라 상기 광원의 출력을 조절하므로 상기 배터리가 상기 광원으로 전기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경관 구조물(100)은 조형물(110) 및 조명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형물(110)은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벽면(10)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형물(110)은 고정 핀들(111)에 의해 상기 벽면(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형물(110)은 상기 벽면(10)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조형물(110)과 상기 벽면(10) 사이의 공간에 후술하는 광원(12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형물(110)은 별, 달, 하트, 동물 등의 형상이거나 한글, 영어 등의 문자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조형물(110)은 다양한 형상이나 여러 가지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120)은 상기 조형물(110)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조형물(110)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조명 유닛(120)은 상기 광원(121), 태양광 모듈(122), 배터리(123), 조도 센서(125) 및 컨트롤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121)은 상기 조형물(110)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조형물(110)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형물(110)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원(121)의 예로는 소비 전력이 적은 LED 램프를 들 수 있다. 상기 LED 램프의 소비 전력이 적으므로, 상기 배터리(123)의 사용 시간을 늘일 수 있다.
상기 광원(121)은 사람의 시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조형물(110)의 후면, 상기 조형물(110)의 내부, 상기 벽면(10)의 천장, 바닥 등의 틈새에 배치되며, 상기 벽면(10)이나 반사 갓에 상기 광원(121)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켜 간접적으로 조사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121)을 이용하여 상기 조형물(110)을 조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형물(110)의 주위를 아늑하고 은은하게 꾸밀 수 있다.
상기 광원(121)은 자석(121a)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121a)이 상기 조형물(110)에 포함된 자성체 또는 상기 조형물(110)에 인접한 상기 벽면(10)에 배치된 자성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조형물(110)이나 상기 벽면(10)에 자성체가 없는 경우 자성체를 별도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121)을 상기 조형물(110)이나 상기 벽면(10)에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형물(110)이나 상기 벽면(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122)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122)은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집속하기 위해 상기 벽면(10) 또는 상기 건축물이나 상기 시설물의 지붕에 태양광이 가장 많이 집속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 모듈(122)은 주간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태양광 모듈(122)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122)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광원(121)과 연결되며, 상기 광원(121)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광원(121)은 상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한다.
상기 조도 센서(124)는 주변의 광량을 측정한다. 상기 조도 센서(124)는 상기 광원(121)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광원(121)과 이격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벽면(10)의 상단 또는 상기 건축물이나 상기 시설물의 지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조도 센서(124)에서 측정된 측정 광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의 동작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조도 센서(124)의 상기 측정 광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광량 이상일 경우, 즉 주간인 경우,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을 소등한다.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조도 센서(124)의 상기 측정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미만일 경우, 즉 야간인 경우,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전기 에너지가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을 점등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광원(121)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광원(121)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일 경우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전기 에너지가 그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광원(121)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이 상기 기준 전량 미만일 경우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전기 에너지가 감소하여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광원(121)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광원(121)의 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123)가 상기 광원(121)로 전기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이 부족하여 상기 광원(121)이 소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유닛(120)은 상기 조형물(110) 의 고유 구조, 형태적 특성, 주변 빛 환경 등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상기 광원(121)의 조사 방향과 조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 유닛(120)은 밝고 화창한 분위기, 중후하고 엄숙한 분위기, 차분하거나 신비롭고 성스러운 분위기 등 보는 방향에 따라 전혀 다른 분위기를 연출 및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경관 구조물(100)의 작동, 특히 상기 조명 유닛(12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조도 센서(124)를 통해 상기 조형물(110)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 광량을 상기 컨트롤러(125)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조도 센서(124)를 통해 측정된 측정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이상인 주간의 경우,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태양광 모듈(122)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배터리(123)에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차단하여 상기 광원(121)를 소등시킨다.
또한, 상기 조도 센서(124)를 통해 감지된 상기 측정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미만인 야간의 경우,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을 멈추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키도록 상기 배터리(123)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121)이 점등된다.
상기 광원(121)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절하여 상기 광원(121)의 출력을 조절한다.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이 상기 기준 잔량 이상이면,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전기 에너지가 그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 배터리(123)의 충전 잔량이 상기 기준 전량 미만일 경우, 상기 컨트롤러(125)는, 상기 배터리(123)로부터 상기 광원(121)으로 전기 에너지가 감소하여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광원(121)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비나 눈 등의 기상의 영향으로 주간에도 상기 조도 센서(124)의 측정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미만일 경우 상기 조명 유닛(120)이 상기 광원(121)을 점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벽면
100: 경관 구조물
110: 조형물 111: 고정 핀
120: 조명 유닛 121: 광원
121a: 자석 122: 태양광 모듈
123: 배터리 124: 조도 센서
125: 컨트롤러
110: 조형물 111: 고정 핀
120: 조명 유닛 121: 광원
121a: 자석 122: 태양광 모듈
123: 배터리 124: 조도 센서
125: 컨트롤러
Claims (6)
-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형물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조형물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형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상기 광원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 광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의 동작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이 상기 조형물에 포함된 자성체 또는 상기 조형물에 인접하여 배치된 자성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도 센서의 상기 측정 광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광량 이상일 경우 상기 광원을 소등하고,
상기 측정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미만일 경우 상기 광원을 점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원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 이상일 경우 상기 광원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상기 기준 전량 미만일 경우 상기 광원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벽면에 구비되는 조형물; 및
상기 조형물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조형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조형물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조형물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형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상기 광원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주변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 광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의 동작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2998A KR20240100892A (ko) | 2022-12-23 | 2022-12-23 |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 |
PCT/KR2023/019672 WO2024136210A1 (ko) | 2022-12-23 | 2023-12-01 |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2998A KR20240100892A (ko) | 2022-12-23 | 2022-12-23 |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0892A true KR20240100892A (ko) | 2024-07-02 |
Family
ID=9158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2998A Pending KR20240100892A (ko) | 2022-12-23 | 2022-12-23 |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0892A (ko) |
WO (1) | WO202413621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23435A (ko) * | 2010-09-03 | 2012-03-13 | 아이피씨코리아 주식회사 | Led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 |
KR101889513B1 (ko) * | 2016-02-05 | 2018-09-20 | 이그린테크(주) | 조명기능을 갖는 파고라 |
KR102083425B1 (ko) * | 2017-09-19 | 2020-03-02 | (주)코러싱 | 통합 제어보드가 구비된 태양광 조명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
JP7093023B2 (ja) * | 2020-03-27 | 2022-06-29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照明灯具の設置方法、照明セット、及び、取付板 |
KR102323862B1 (ko) * | 2020-05-13 | 2021-11-10 | 에세라이트 주식회사 | 지능형 경관 데크등 및 그 구동방법 |
-
2022
- 2022-12-23 KR KR1020220182998A patent/KR20240100892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12-01 WO PCT/KR2023/019672 patent/WO2024136210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36210A1 (ko) | 2024-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9513B1 (ko) | 조명기능을 갖는 파고라 | |
KR101995634B1 (ko) | 태양광 전지모듈 기판 및 램프의 조명기기가 다층구조로 구비된 독립형 led정원등 | |
CN206091129U (zh) | 自发光玻璃栏板以及建筑走廊 | |
CN201868053U (zh) | 节能看板结构 | |
KR20240100892A (ko) |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 유닛 및 이를 갖는 경관 구조물 | |
CN104482492A (zh) | 一种多能源来源的景观休闲与照明装置 | |
KR101126339B1 (ko) | 태양전지 오염 방지구조 | |
KR200415958Y1 (ko) | 버스 정류장용 부스 | |
KR101306852B1 (ko) | 태양광을 이용한 방향 지시판 | |
CN208670873U (zh) | 一种太阳能路灯 | |
KR100982002B1 (ko) | 태양광 안내판 | |
KR100599820B1 (ko) | 연출 조명을 갖는 가로등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 |
CN205388280U (zh) | 一种微光发电灯笼 | |
CN220962714U (zh) | 一种发光组件及旗面照明系统 | |
JPH1012019A (ja) | 太陽光採光システム | |
KR102752463B1 (ko) | 전자잉크를 이용한 구조물 미화장치 | |
CN221057114U (zh) | 导视装置 | |
CN204285283U (zh) | 一种多能源来源的景观休闲与照明装置 | |
CN211976768U (zh) | 一种太阳能庭院灯 | |
KR200467898Y1 (ko) | 광섬유 표시장치 | |
CN210568080U (zh) | 一种园林景观灯 | |
TWI360031B (en) | Intelligent power saving system | |
JP6168643B2 (ja) | 照明システム | |
CN111149436B (zh) | 照明器的调光系统 | |
CN206600752U (zh) | 太阳能欧式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