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99954A - 침목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침목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9954A
KR20240099954A KR1020220181940A KR20220181940A KR20240099954A KR 20240099954 A KR20240099954 A KR 20240099954A KR 1020220181940 A KR1020220181940 A KR 1020220181940A KR 20220181940 A KR20220181940 A KR 20220181940A KR 20240099954 A KR20240099954 A KR 2024009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girder
height adjustment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복
Original Assignee
(주)엘더스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더스티앤엘 filed Critical (주)엘더스티앤엘
Priority to KR102022018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9954A/ko
Publication of KR2024009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995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E01B29/09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 E01B29/14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for lifting sleepers up to th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3Arrangement of tracks on bridges o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48Distance keepers or tie-rods for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목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목과 거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이 침목과 결합하고 하측이 거더와 결합하는 고정플레이트유닛,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의 상측에 결합하여 침목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의 하측에 결합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목높이조절장치{SLEEPER HEIGHT ADJUSTMENT DEVICE}
개시된 내용은 침목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하천 또는 도로 등을 통과하기 위한 철도의 철교 중에는 철교의 강재 거더 위에 자갈이나 콘크리트 궤도(도상) 없이 침목이 바로 올려져 있는 구조가 있는데, 통상 이를 무도상 교량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무도상 교량은 궤광과 교량이 직접 연결되는 구조적인 면 이외에도 상부구조의 자중이 교량을 통과하는 열차보다 상대적으로 경량인 구조적 특성 등으로 인하여 수평이 맞지 않고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목침목, 교량 받침 손상 등의 단점이 있어, 2000년대 중반부터 상부구조를 개량하여 자갈궤도를 부설하는 유도상화를 위한 교체 또는 목침목을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침목으로 교체하는 등의 상부구조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열차 증속 및 승차감 향상, 소음진동 저감을 위해 일반 구간의 정척레일 구간을 장대레일(200~300m 연속레일)을 적용하고 있으나 무도상 교량 구간은 궤도의 특성상 강성이 작아 장대레일 온도신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종방향력, 횡방향력에 대한 저항성능이 현저하게 부족하다.
또한 레일의 장대화 과정에서 거더와 침목 등의 수평이 맞지 않아 이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와 방진을 위해 침목과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가 단순히 침목과 거더 사이에 개재되어 열차 운행에 따른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문제가 있으며, 받침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침목에 별도의 고정구조를 포함하여 침목 고정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1246호(2022.10.3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목결합부와 거더결합부를 이용하여 고정플레이트유닛을 침목과 거더에 용이하게 고정하고, 복수 개의 높이조절부와 베이스부를 결합하여 무도상 교량 궤도에 설치되는 침목과 거더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침목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는 침목과 거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이 침목과 결합하고 하측이 거더와 결합하는 고정플레이트유닛,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의 상측에 결합하여 침목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의 하측에 결합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은, 상측에 상기 높이조절부가 접촉되고 하측에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되는 평판부, 하측이 상기 평판부와 결합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침목과 결합하는 침목결합부, 및 상측이 상기 평판부와 결합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거더와 결합하는 거더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목결합부는 상기 평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더결합부는 상기 평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목결합부는 거더의 길이방향인 상기 평판부의 전후 방향에서 결합되고 대칭으로 형성된 제1, 제2 침목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침목결합부와 제2 침목결합부 사이에 침목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더결합부는 침목의 길이방향인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서 결합되고 대칭으로 형성된 제1, 제2 거더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더결합부와 제2 거더결합부 사이에 거더가 결합되고, 상기 거더결합부는 상기 침목결합부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평판부와 침목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침목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침목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침목결합부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두께가 서로 다른 소정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평판부와 거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거더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거더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결합부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유닛이 침목과 거더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높이조절부와 베이스부가 침목과 거더 사이에 결합하여 무도상 교량 궤도에 아치 형태로 설치되는 거더의 높이차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침목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침목결합부와 거더결합부가 제1 침목결합부, 제2 거더결합부, 제2 침목결합부, 제1 거더결합부 순서로 위 아래로 교대로 배치되어 침목결합부와 침목의 결합력을 높이고 거더결합부와 거더의 결합력을 높여 기차의 운행에서 오는 충격에도 고정플레이트유닛과 침목 및 거더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는 평판 형태로 두께가 서로 다른 소정의 복수 개로 구성되어 1mm 단위의 미세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의 서로 다른 두께의 높이조절부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의 서로 다른 두께의 베이스부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9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침목높이조절장치(900)에 관한 것으로, 고정플레이트유닛(100)에 복수 개의 높이조절부(200)와 베이스부(300)를 결합하여 무도상 교량 궤도에 설치되는 침목(1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900)는 고정플레이트유닛(100), 높이조절부(200), 및 베이스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900)는 침목(10)과 거더(20)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이 침목(10)과 결합하고 하측이 거더(20)와 결합하는 고정플레이트유닛(100),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의 상측에 결합하여 침목(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0), 및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의 하측에 결합하는 베이스부(300)를 포함하며,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은, 상측에 높이조절부(200)가 접촉되고 하측에 베이스부(300)가 접촉되는 평판부(110), 하측이 평판부(110)와 결합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침목(10)과 결합하는 침목결합부(120), 및 상측이 평판부(110)와 결합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거더(20)와 결합하는 거더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침목결합부(120)는 평판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평판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거더결합부(130)는 평판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평판부(110)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침목결합부(120)는 거더(20)의 길이방향인 평판부(110)의 전후 방향에서 결합되고 대칭으로 형성된 제1, 제2 침목결합부(121, 122)를 포함하며, 제1 침목결합부(121)와 제2 침목결합부(122) 사이에 침목(10)이 결합되며, 거더결합부(130)는 침목(10)의 길이방향인 평판부(110)의 양측에서 결합되고 대칭으로 형성된 제1, 제2 거더결합부(131, 132)를 포함하며, 제1 거더결합부(131)와 제2 거더결합부(132) 사이에 거더(20)가 결합되고, 거더결합부(130)는 침목결합부(120)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은 침목(10)과 거더(20)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이 침목(10)과 결합하고 하측이 거더(20)와 결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높이조절부(200)와 베이스부(300)가 결합하여 거더(20)와 침목(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침목(10)이 수평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평판부(110), 침목결합부(120), 및 거더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판부(110)는 사각 형태의 평평한 판 형태로, 상측에 후술하는 높이조절부(200)가 면접촉되고 하측에 후술하는 베이스부(300)가 면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평판부(110)는 모서리 부분이 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각형태나 타원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침목결합부(120)는 하측이 평판부(110)와 결합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침목(10)과 결합하여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을 침목(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제2 침목결합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제2 침목결합부(121, 122)는 거더(20)의 길이방향인 평판부(110)의 전후 방향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제2 침목결합부(121, 122)는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1 침목결합부(121)와 제2 침목결합부(122) 사이에 침목(10)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침목결합부(121)와 제2 침목결합부(122)는 침목(10)의 양측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을 침목(1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1, 제2 침목결합부(121, 122)는 대칭이 아닐 수 있다.
거더결합부(130)는 상측이 평판부(110)와 결합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거더(20)와 결합하여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을 거더(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제2 거더결합부(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제2 거더결합부(131, 132)는 침목(10)의 길이방향인 평판부(110)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제2 거더결합부(131, 132)는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1 거더결합부(131)와 제2 거더결합부(132) 사이에 거더(2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거더결합부(131)와 제2 거더결합부(132)는 거더(20)의 양측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을 거더(2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1, 제2 거더결합부(131, 132)는 대칭이 아닐 수 있다.
도 1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침목결합부(120)와 거더결합부(130)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침목결합부(121), 제2 거더결합부(132), 제2 침목결합부(122), 제1 거더결합부(131) 순서로 위 아래로 교대로 배치되어 침목결합부(120)와 침목(10)의 결합력을 높이고 거더결합부(130)와 거더(20)의 결합력을 높여 기차의 운행에서 오는 충격에도 고정플레이트유닛(100)과 침목(10) 및 거더(20)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침목결합부(120)는 평판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평판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거더결합부(130)도 평판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평판부(110)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900)의 서로 다른 두께의 높이조절부(200) 사시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900)의 서로 다른 두께의 베이스부(300) 사시도이며,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목높이조절장치(900)의 사용상태도이다.
높이조절부(200)는 평판부(110)와 침목(10) 사이에 배치되며, 침목결합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에 침목결합홈(210)이 형성되어 침목결합부(120)와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200)는 두께가 서로 다른 소정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300)는 평판부(110)와 거더(20) 사이에 배치되며, 거더결합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에 거더결합홈(310)이 형성되어 거더결합부(130)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0)는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의 상측에 결합하는 것으로, 평판부(110)와 침목(10) 사이에 배치되어 침목(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침목결합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높이조절부(200)는 침목결합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에 침목결합부(120)의 형태에 상응하는 홈인 침목결합홈(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침목결합홈(210)을 통해 침목결합부(120)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높이조절부(200)는 평판 형태로 두께가 서로 다른 소정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높이조절부(200)는 두께가 2mm, 3mm, 5mm인 3 종류 만으로 이루어져 1mm 단위로 미세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mm 조절 때는 2mm 높이조절부(200) 2 개, 6mm 조절 때는 3mm 높이조절부(200) 2 개, 7mm 조절 때는 5mm 높이조절부(200)와 2mm 높이조절부(200)를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300)는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의 하측에 결합하는 것으로, 평판부(110)와 거더(20) 사이에 배치되어 침목(10)과 거더(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거더결합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베이스부(300)는 거더결합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에 거더결합부(130)의 형태에 상응하는 홈인 거더결합홈(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거더결합홈(310)을 통해 거더결합부(130)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부(300)는 평판 형태로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부(300)는 두께가 5mm, 10mm인 2 종류로 이루어져 거더(20)와 침목(10)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물론 일례로, 베이스부(300) 두께가 10mm인 복수 개로 거더(20)와 침목(10)의 높이조절을 할 수도 있다.
일례로, 높이조절부(200)와 베이스부(300)는 탄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높이조절부(200)와 베이스부(300)는 탄성을 포함하여 열차가 지나갈 때 고정플레이트유닛(100), 높이조절부(200), 베이스부(300), 레일, 침목(10), 및 거더(20) 등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고정플레이트유닛(100), 높이조절부(200), 베이스부(300), 레일, 침목(10), 및 거더(20) 등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침목높이조절장치(900)에 관한 것으로, 고정플레이트유닛(100)을 침목(10)과 거더(20)에 결합하고 복수 개의 높이조절부(200)와 베이스부(300)를 침목(10)과 거더(20) 사이에 결합하여 무도상 교량 궤도에 아치 형태로 설치되는 거더(20)의 높이차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침목(10)의 수평을 맞추고, 높이조절부(200)와 베이스부(300)가 탄성을 포함하여 열차 도과의 충격을 완화하는 침목높이조절장치(900)에 관한 것이다.
침목결합부(120)와 거더결합부(130)가 제1 침목결합부(121), 제2 거더결합부(132), 제2 침목결합부(122), 제1 거더결합부(131) 순서로 위 아래로 교대로 배치되어 침목결합부(120)와 침목(10)의 결합력을 높이고 거더결합부(130)와 거더(20)의 결합력을 높여 기차의 운행에서 오는 충격에도 고정플레이트유닛(100)과 침목(10) 및 거더(20)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0)는 평판 형태로 두께가 서로 다른 소정의 복수 개로 구성되어 1mm 단위의 미세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침목
20 : 거더
100 : 고정플레이트유닛
110 : 평판부
120 : 침목결합부
121 : 제1 침목결합부
122 : 제2 침목결합부
130 : 거더결합부
131 : 제1 거더결합부
132 : 제2 거더결합부
200 : 높이조절부
300 : 베이스부
900 : 침목높이조절장치

Claims (8)

  1. 침목과 거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이 침목과 결합하고 하측이 거더와 결합하는 고정플레이트유닛;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의 상측에 결합하여 침목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의 하측에 결합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유닛은,
    상측에 상기 높이조절부가 접촉되고 하측에 상기 베이스부가 접촉되는 평판부;
    하측이 상기 평판부와 결합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침목과 결합하는 침목결합부; 및
    상측이 상기 평판부와 결합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거더와 결합하는 거더결합부;를 포함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목결합부는 상기 평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더결합부는 상기 평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목결합부는 거더의 길이방향인 상기 평판부의 전후 방향에서 결합되고 대칭으로 형성된 제1, 제2 침목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침목결합부와 제2 침목결합부 사이에 침목이 결합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더결합부는 침목의 길이방향인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서 결합되고 대칭으로 형성된 제1, 제2 거더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더결합부와 제2 거더결합부 사이에 거더가 결합되고,
    상기 거더결합부는 상기 침목결합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평판부와 침목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침목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침목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침목결합부와 끼움결합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두께가 서로 다른 소정의 복수 개로 구성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평판부와 거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거더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거더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결합부와 끼움결합되는 침목높이조절장치.
KR1020220181940A 2022-12-22 2022-12-22 침목높이조절장치 Pending KR20240099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940A KR20240099954A (ko) 2022-12-22 2022-12-22 침목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940A KR20240099954A (ko) 2022-12-22 2022-12-22 침목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9954A true KR20240099954A (ko) 2024-07-01

Family

ID=9194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940A Pending KR20240099954A (ko) 2022-12-22 2022-12-22 침목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999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246B1 (ko) 2022-07-25 2022-10-31 윤성건설주식회사 무도상 철도교량의 궤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246B1 (ko) 2022-07-25 2022-10-31 윤성건설주식회사 무도상 철도교량의 궤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149B1 (ko) 레일 체결 시스템
KR102236299B1 (ko) 무도상 철도교량 궤도시스템 및 급속시공 방법
EA038080B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и подклад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JP4786665B2 (ja) 平面交差鉄道踏切
KR20080013795A (ko) 철도선로
KR101399839B1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240099954A (ko) 침목높이조절장치
US20100242786A1 (en) Guideway
US20190284765A1 (en) Tension Clamp, Guide Plate and Fastening Point for Securing a Rail to a Ground Surface
JP7132117B2 (ja) 工事桁及びカント調整方法
US3430857A (en) Ballastless railway track structure
KR100448847B1 (ko)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US6581848B1 (en) Sleeper frame for a rail system for rail-mounted vehicles, especially for a ballasted track
CN101285294A (zh) 用于设置供电接触网补偿装置的桥墩结构
KR102433171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침목 고정장치
EP1274901B1 (en) Railway comprising successive sleepers
Hess Rail expansion joints–the underestimated track work material?
DK2339068T3 (en) Skinnevej
JP2001011819A (ja) まくらぎ弾性支持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まくらぎ弾性支持構造
ES2275802T3 (es) Dispositivo de soporte para railes de via ferrea montada sobre balasto.
JP7171461B2 (ja) 鉄まくらぎ
KR102457390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가드레일
RU2817708C1 (ru) Верхнее строени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с непрерывным опиранием рельсов
RU208315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в котором рельс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закреплен на основании
KR102458085B1 (ko) 철도용 분절형침목 및 이와 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