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9190A - 암 치료를 위한 b7-h4 항체 약물 접합체 - Google Patents
암 치료를 위한 b7-h4 항체 약물 접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9190A KR20240099190A KR1020247012988A KR20247012988A KR20240099190A KR 20240099190 A KR20240099190 A KR 20240099190A KR 1020247012988 A KR1020247012988 A KR 1020247012988A KR 20247012988 A KR20247012988 A KR 20247012988A KR 20240099190 A KR20240099190 A KR 20240099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ibody
- adc
- cancer
- antigen
- seq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0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9
- 229940049595 antibody-drug conjugate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239000000611 antibody drug conjug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102100038929 V-set domain-containing T-cell activation inhibitor 1 Human gen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9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0000027455 bi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9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2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82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82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6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4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108010047041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06010061535 Ovarian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06010033128 Ovarian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08000002154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08000006990 cholangio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08000029729 tumor suppressor gene on chromosome 11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06010014759 Endometrial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101001012157 Homo sapiens Receptor tyrosine-protein kinase erbB-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102100030086 Receptor tyrosine-protein kinase erbB-2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06010014733 Endometrial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08000013452 Fallopian tube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1 IFTIT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01000001342 Fallopian tube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01000010175 gallbladder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08000037842 advanced-stage tumo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08000003721 Triple Negative Breast Neoplas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9097 single-agent thera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06010061818 Disease progress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750 disease prog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01000002628 peritoneum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8000022072 Gallbladder Neoplas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4443 dendritic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1272 standard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8000010918 peritoneal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10000001266 CD8-positive T-lymph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2100022297 Integrin alpha-X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1000007487 gallbladder 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ZDXPYRJPNDTMRX-UHFFFAOYSA-N glutam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O ZDXPYRJPNDTMR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827 up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4899 c-terminal regio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1393 cytotoxic chemothera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23965 endometrium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10468 interferon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1000005243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10507 Adenocarcinoma of Lung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2100025248 C-X-C motif chemokine 10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2000004082 Calreticuli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90000549 Calreticul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2100034221 Growth-regulated alpha protei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1000858088 Homo sapiens C-X-C motif chemokine 10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1001069921 Homo sapiens Growth-regulated alpha prote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1000005249 lung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3588 lysine group Chemical group [H]N([H])C([H])([H])C([H])([H])C([H])([H])C([H])([H])C([H])(N([H])[H])C(*)=O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2000019034 Chemokin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010012236 Chemoki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648 combination thera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3595 glycosy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06 glycos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ODHCTXKNWHHXJC-VKHMYHEASA-N 5-oxo-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O)N1 ODHCTXKNWHHXJC-VKHMYHEA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ODHCTXKNWHHXJC-GSVOUGTGSA-N Pyro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H]1CCC(=O)N1 ODHCTXKNWHHXJC-GSVOUGTG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ODHCTXKNWHHXJC-UHFFFAOYSA-N acide pyroglutamique Natural products OC(=O)C1CCC(=O)N1 ODHCTXKNWHHXJ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0404 glutamine group Chemical group N[C@@H](CCC(N)=O)C(=O)*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2000001398 Granzyme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60005986 Granzym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1100179071 Mus musculus Icoslg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975 antitumor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481 post-translational protein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100036170 C-X-C motif chemokine 9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150111331 CCL5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000947172 Homo sapiens C-X-C motif chemokine 9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150030213 Lag3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100407306 Mus musculus Cd274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150002206 Psmb10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150001828 Cmklr1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55113 Breast cancer metastatic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125000003275 alpha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4
- 208000002517 adenoid cystic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56
- 201000007416 salivary gland adenoid cystic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55
- 101000955999 Homo sapiens V-set domain-containing T-cell activation inhibi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54
- 239000012270 PD-1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9
- 239000012668 PD-1-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9
- 229940121655 pd-1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49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7
- 102000055298 human VTC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4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0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34
- NFGXHKASABOEEW-UHFFFAOYSA-N 1-methylethyl 11-methoxy-3,7,11-trimethyl-2,4-dodecadienoate Chemical compound COC(C)(C)CCCC(C)CC=CC(C)=CC(=O)OC(C)C NFGXHKASABOE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3
- 102000015694 estrogen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2
- 108010038795 estrogen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3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1
- 229940076838 Immune checkpoint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12274 immune-checkpoint protein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8
- 102000037984 Inhibitory immune checkpoint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7
- 108091008026 Inhibitory immune checkpoi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IEDXPSOJFSVCKU-HOKPPMCLSA-N [4-[[(2S)-5-(carbamoylamino)-2-[[(2S)-2-[6-(2,5-dioxopyrrolidin-1-yl)hexanoylamino]-3-methylbutanoyl]amino]pentanoyl]amino]phenyl]methyl N-[(2S)-1-[[(2S)-1-[[(3R,4S,5S)-1-[(2S)-2-[(1R,2R)-3-[[(1S,2R)-1-hydroxy-1-phenylpropan-2-yl]amino]-1-methoxy-2-methyl-3-oxopropyl]pyrrolidin-1-yl]-3-methoxy-5-methyl-1-oxoheptan-4-yl]-methylamino]-3-methyl-1-oxobutan-2-yl]amino]-3-methyl-1-oxobutan-2-yl]-N-methylcarbamate Chemical compound CC[C@H](C)[C@@H]([C@@H](CC(=O)N1CCC[C@H]1[C@H](OC)[C@@H](C)C(=O)N[C@H](C)[C@@H](O)c1ccccc1)OC)N(C)C(=O)[C@@H](NC(=O)[C@H](C(C)C)N(C)C(=O)OCc1ccc(NC(=O)[C@H](CCCNC(N)=O)NC(=O)[C@@H](NC(=O)CCCCCN2C(=O)CCC2=O)C(C)C)cc1)C(C)C IEDXPSOJFSVCKU-HOKPPMCLSA-N 0.000 description 23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2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108010093470 monomethyl auristatin E Protein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2611 ovaria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9121 systemic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10056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102100024216 Programmed cell death 1 ligand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108010074708 B7-H1 Anti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2271 PD-L1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5
- 229940121656 pd-l1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102100024952 Protein CBFA2T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29960003301 nivolumab Drugs 0.000 description 14
- 229960002621 pembro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102000009109 Fc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3
- 108010087819 Fc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2636 eff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153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125000000539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108010044540 aurist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01000009030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540 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562 conju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794 hormon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3998 progesterone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90000468 progesterone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08000022679 triple-negative breast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06010041067 Small cell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888 antibody-dependent cellular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08000000587 small cell lung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06010041823 squamous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06010038111 Recurren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29960004316 cisplatin Drugs 0.000 description 8
- DQLATGHUWYMOKM-UHFFFAOYSA-L cisplatin Chemical compound N[Pt](N)(Cl)Cl DQLATGHUWYMOKM-UHFFFAOYSA-L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40127121 immunoconjugate Drug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0321096 Aden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group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559 RNA-seq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534 adenoid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40127089 cytotox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54 cytotox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1100000599 cyto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5647 link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Chemical group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394 metastas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6010061289 metastat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616 mo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Chemical group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5084 adenoid cystic breast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50002916 avelumab Drugs 0.000 description 6
- KLNFSAOEKUDMFA-UHFFFAOYSA-N azanide;2-hydroxyacetic acid;platinum(2+) Chemical compound [NH2-].[NH2-].[Pt+2].OCC(O)=O KLNFSAOEKUDMF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SRXQHXAPYXROS-UHFFFAOYSA-N azanide;cyclobutane-1,1-dicarboxylic acid;platinum(2+) Chemical compound [NH2-].[NH2-].[Pt+2].OC(=O)C1(C(O)=O)CCC1 VSRXQHXAPYXR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4562 carboplatin Drug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7418 cervical adenoid cystic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7370 cutaneous adenocystic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55 immunohistoche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5558 mertansine Drug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819 metastat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1575 metastatic malignan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843 metastatic solid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29950007221 nedaplatin Drug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2988 ovarian serous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1756 oxaliplatin Drugs 0.000 description 6
- DWAFYCQODLXJNR-BNTLRKBRSA-L oxaliplatin Chemical compound O1C(=O)C(=O)O[Pt]11N[C@@H]2CCCC[C@H]2N1 DWAFYCQODLXJNR-BNTLRKBRSA-L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50005566 picoplatin Drugs 0.000 description 6
- IIMIOEBMYPRQGU-UHFFFAOYSA-L picoplatin Chemical compound N.[Cl-].[Cl-].[Pt+2].CC1=CC=CC=N1 IIMIOEBMYPRQGU-UHFFFAOYSA-L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7421 prostate adenoid cystic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5399 satraplatin Drugs 0.000 description 6
- 190014017285 satraplatin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6
- 229950002860 triplatin tetran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6
- 190014017283 triplatin tetranitrat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6
- 108010021064 CTLA-4 Anti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29940045513 CTLA4 antagonist Drugs 0.000 description 5
- 102100039498 Cytotoxic T-lymphocyte protein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1150029707 ERB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01000831007 Homo sapiens T-cell immunoreceptor with Ig and ITIM doma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41000282567 Macaca fascicul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102100024834 T-cell immunoreceptor with Ig and ITIM doma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AYFVYJQAPQTCCC-UHFFFAOYSA-N Threonine Natural products CC(O)C(N)C(O)=O AYFVYJQAPQTC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73 Threo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121420 cemiplimab Drug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0151 cysteine group Chemical group N[C@@H](CS)C(=O)*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24 cyto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6585 gastric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220 glutamic acid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108091008039 hormone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30182817 methionine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870 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521 threo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OUYCCCASQSFEME-UHFFFAOYSA-N tyros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O)C=C1 OUYCCCASQSFE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group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4
- GXAFMKJFWWBYNW-OWHBQTKESA-N 2-[3-[(1r)-1-[(2s)-1-[(2s)-3-cyclopropyl-2-(3,4,5-trimethoxyphenyl)propanoyl]piperidine-2-carbonyl]oxy-3-(3,4-dimethoxyphenyl)propyl]phenoxy]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1=C(OC)C(OC)=CC=C1CC[C@H](C=1C=C(OCC(O)=O)C=CC=1)OC(=O)[C@H]1N(C(=O)[C@@H](CC2CC2)C=2C=C(OC)C(OC)=C(OC)C=2)CCCC1 GXAFMKJFWWBYNW-OWHBQTKESA-N 0.000 description 4
- 208000036832 Adenocarcinoma of ova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DCXYFEDJOCDNAF-UHFFFAOYSA-N Asparagine Chemical group OC(=O)C(N)CC(N)=O DCXYFEDJOCDN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ZUVPPKBWHMQCE-UHFFFAOYSA-N Haematoxylin Chemical compound C12=CC(O)=C(O)C=C2CC2(O)C1C1=CC=C(O)C(O)=C1OC2 WZUVPPKBWHMQ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1001082058 Homo sapiens Interferon-induced protein with tetratricopeptide repeats 2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9786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09817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7303 Interferon-induced protein with tetratricopeptide repeats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Chemical group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2100029204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9185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I-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72 Lysine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101100273740 Mus musculus Cd68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1000956000 Mus musculus V-set domain containing T-cell activation inhibi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61328 Ovarian epitheli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0 TBST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KANXQFJJICGDU-QPLCGJKRSA-N Tamoxifen Chemical compound C=1C=CC=CC=1C(/CC)=C(C=1C=CC(OCCN(C)C)=CC=1)/C1=CC=CC=C1 NKANXQFJJICGDU-QPLCGJKRSA-N 0.000 description 4
- KZSNJWFQEVHDMF-UHFFFAOYSA-N Valine Chemical group CC(C)C(N)C(O)=O KZSNJWFQEVHD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12 antigen-presenting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82 asparag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60001230 asparagine Drugs 0.000 description 4
- CKLJMWTZIZZHCS-REOHCLBHSA-N aspartic acid group Chemical group N[C@@H](CC(=O)O)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75 bio-layer interfe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096 combination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7281 estrogen-receptor positive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84 flow cy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232 gall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AGPKZVBTJJNPAG-UHFFFAOYSA-N iso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AGPKZVBTJJNP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60000310 isoleucine Drug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595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3371 ovarian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6588 ovary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COLNVLDHVKWLRT-QMMMGPOBSA-N phenylalanine group Chemical group N[C@@H](CC1=CC=CC=C1)C(=O)O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600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3701 uterine corpus endometri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74 valine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JFCFGYGEYRIEBE-YVLHJLIDSA-N wob38vs2ni Chemical compound CO[C@@H]([C@@]1(O)C[C@H](OC(=O)N1)[C@@H](C)[C@@H]1O[C@@]1(C)[C@@H](OC(=O)[C@H](C)N(C)C(=O)CCC(C)(C)S)CC(=O)N1C)\C=C\C=C(C)\CC2=CC(OC)=C(Cl)C1=C2 JFCFGYGEYRIEBE-YVLHJLIDSA-N 0.000 description 4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9822 B- and T-lymphocyte attenua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150014003 Batf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WVDDGKGOMKODPV-UHFFFAOYSA-N Benzyl alcohol Chemical compound OCC1=CC=CC=C1 WVDDGKGOMKOD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K Citrate Chemical compound [O-]C(=O)CC(O)(CC([O-])=O)C([O-])=O KRKNYBCHXYNGO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3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100034459 Hepatitis A virus cellular recepto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4458 Hepatitis A virus cellular recepto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710083479 Hepatitis A virus cellular receptor 2 homolog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1000864344 Homo sapiens B- and T-lymphocyte attenua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1137987 Homo sapiens Lymphocyte activation gene 3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666896 Homo sapiens V-type immunoglobulin domain-containing suppressor of T-cell activat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6120 IgG receptor FcRn large subunit p5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710177940 IgG receptor FcRn large subunit p5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4150 Interfero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50904 Interfero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DCXYFEDJOCDNAF-REOHCLBHSA-N L-asparagine Chemical group OC(=O)[C@@H](N)CC(N)=O DCXYFEDJOCDNAF-REOHCLBHSA-N 0.000 description 3
- ZDXPYRJPNDTMRX-VKHMYHEASA-N L-glutamine Chemical group OC(=O)[C@@H](N)CCC(N)=O ZDXPYRJPNDTMRX-VKHMYHEASA-N 0.000 description 3
- AGPKZVBTJJNPAG-WHFBIAKZSA-N L-isoleucine Chemical group CC[C@H](C)[C@H](N)C(O)=O AGPKZVBTJJNPAG-WHFBIAKZSA-N 0.000 description 3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group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3
- AYFVYJQAPQTCCC-GBXIJSLDSA-N L-threonine Chemical group C[C@@H](O)[C@H](N)C(O)=O AYFVYJQAPQTCCC-GBXIJSLDSA-N 0.000 description 3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group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3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group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17578 LAG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100166596 Mus musculus Cd27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019396 Mus musculus Itgax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0155 Oesophag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1534 O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7571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1100341505 Rattus norvegicus Itgad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9491 Sar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0102 Squamous Cell Carcinoma of Head and Neck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6765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052 T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6547 T-cell immunoglobulin mucin-3 Drugs 0.000 description 3
- QIVBCDIJIAJPQS-UHFFFAOYSA-N Tryptophan Chemical group C1=CC=C2C(CC(N)C(O)=O)=CNC2=C1 QIVBCDIJIAJP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100038282 V-type immunoglobulin domain-containing suppressor of T-cell activati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844 advanced solid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91 ana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852 atezo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13 bile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173 citrull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85 cyt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50009791 durvalumab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57 endomet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696 endometriu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7276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43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JJVMEJXYNJXOJ-UHFFFAOYSA-N fluquinconazole Chemical compound C=1C=C(Cl)C=C(Cl)C=1N1C(=O)C2=CC(F)=CC=C2N=C1N1C=NC=N1 IJJVMEJXYNJ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1000007492 gastroesophageal junction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0459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Chemical group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018 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169 immun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47124 interferons Drug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312 invasive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73096 invasive lobular breast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1 malign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360 methionine group Chemical group N[C@@H](CCSC)C(=O)*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440 neutr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871 non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42 pagoc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COLNVLDHVKWLRT-UHFFFAOYSA-N phenylalanine Chemical group OC(=O)C(N)CC1=CC=CC=C1 COLNVLDHVKWL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3
- 229950010773 pidi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70 pro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53 solv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66453 tecentriq Drug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341 threoninyl group Chemical group [H]OC([H])(C([H])([H])[H])C([H])(N([H])[H])C(*)=O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269 treatment regime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493 tyrosinyl group Chemical group [H]OC1=C([H])C([H])=C(C([H])=C1[H])C([H])([H])C([H])(N([H])[H])C(*)=O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34 wash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2747 Adenocarcinoma pancr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3076 Angiosar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897 Carcinoma of esophag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1150087313 Cd8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6574 Complement C3-C5 Conver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7641 Complement C3-C5 Conver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6626 Di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1468 Fc gamma receptor II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1472 Fc gamma receptor IIB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9465 Growth Factor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9202 Growth Factor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47444 H2-A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54472 HER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891 HER2 positive breast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258 Hemangiosar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6122 High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ceptor 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001068136 Homo sapiens Hepatitis A virus cellular recep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13074 Homo sapiens High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ceptor I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17826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17824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b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17858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I-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17839 Homo sapiens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I-B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46889 Homo sapiens Monocyte differentiation antigen CD14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831286 Homo sapiens Protein timeless homolog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752245 Homo sapiens Rho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 5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3807 IgG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8029 Immune checkpoint ligand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7977 Immune checkpoint ligan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2745 Immunoglobulin Subuni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9585 Immunoglobulin Subunit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7060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7727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396 Intraductal Noninfiltrating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group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group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QIVBCDIJIAJPQS-VIFPVBQESA-N L-tryptophane Chemical group C1=CC=C2C(C[C@H](N)C(O)=O)=CNC2=C1 QIVBCDIJIAJPQS-VIFPVBQE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671 Large B-Cell Diffuse Lymph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9205 Low affinity immunoglobulin gamma Fc region receptor II-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5877 Monocyte differentiation antigen CD1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1529936 Mur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191 Osteitis Deforma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868 Page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332 Paraganglion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40127 Phyll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510071 Pyrrhoco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3723 Single-Domain Antibodi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539 Vertebrata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990 adrenal cortex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128 adrenocortic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637 arginyl group Chemical group N[C@@H](CCCNC(N)=N)C(=O)*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86 aromat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6844 aromatase inhibitor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613 asparagine group Chemical group N[C@@H](CC(N)=O)C(=O)*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5084 bladder transitional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528 bladder urotheli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69 bone scinti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455 brentuximab vedo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72 buffe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NCZNSNPXMPCGN-UHFFFAOYSA-N butanediamide Chemical compound NC(=O)CCC(N)=O SNCZNSNPXMPCG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837 carbohydr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04 carcinogenesi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892 carcinosarcoma of the corpus uteri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2131 cell cycl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037 cell 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260 co-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4 complement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109 curativ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818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715 ductal breast carcinoma in situ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3 effector lig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3908 endometrial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3914 endometri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168 endometr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29382 endometrium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700020302 erbB-2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619 esophag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36 esophagogastric junc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06 flow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277 gemcitab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SDUQYLNIPVEERB-QPPQHZFASA-N gemcitabine Chemical compound O=C1N=C(N)C=CN1[C@H]1C(F)(F)[C@H](O)[C@@H](CO)O1 SDUQYLNIPVEERB-QPPQHZFA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5017 glioblast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308 glutamine derivativ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75 halogen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536 head and neck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829 head and neck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2353 hercep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408 hybridom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00 immun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49 immunogen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64 immunohistochemi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69 inflammatory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3 intrathe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741 isoleucyl group Chemical group [H]N([H])C(C(C([H])([H])[H])C([H])([H])C([H])([H])[H])C(=O)O*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47 ki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65 lymph nod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76 lyophiliz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01 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202 mammary Page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82 microtubule inhibitor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513 necitumumab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18 over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2094 pancreatic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198 papillary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312 paragangli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OFFJEBXNKRSPX-ZDUSSCGKSA-N pemetrexe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C1CCC1=CC=C(C(=O)N[C@@H](CCC(O)=O)C(O)=O)C=C1 QOFFJEBXNKRSPX-ZDUSSCGK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79 pemetrexed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9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087 pertuzumab Drug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591 pheochromocyt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50009416 polatuzumab vedo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924 primary amino group Chemical group [H]N([H])*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500 prolyl group Chemical group [H]N1C([H])(C(=O)[*])C([H])([H])C([H])([H])C1([H])[H] 0.000 description 2
- XJMOSONTPMZWPB-UHFFFAOYSA-M propidium iodide Chemical compound [I-].[I-].C12=CC(N)=CC=C2C2=CC=C(N)C=C2[N+](CCC[N+](C)(CC)CC)=C1C1=CC=CC=C1 XJMOSONTPMZWPB-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825 prostate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9 protein binding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59 radi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142 ring open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607 serino group Chemical group [H]N([H])[C@]([H])(C(=O)[*])C(O[H])([H])[H]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4 sulfur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603 tamoxifen Drug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918 testicular germ cell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616 trans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290 uterine carcinosar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24 x-ray crystall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GGWFDNPHKLBBV-YUMQZZPRSA-N (2s)-2-[[(2s)-2-amino-3-methylbutanoyl]amino]-5-(carbamoylamino)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H](N)C(=O)N[C@H](C(O)=O)CCCNC(N)=O AGGWFDNPHKLBBV-YUMQZZPRSA-N 0.000 description 1
- JPSHPWJJSVEEAX-OWPBQMJCSA-N (2s)-2-amino-4-fluoranylpen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18F])C(O)=O JPSHPWJJSVEEAX-OWPBQMJCSA-N 0.000 description 1
- GHOKWGTUZJEAQD-ZETCQYMHSA-N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C)(C)[C@@H](O)C(=O)NCCC(O)=O GHOKWGTUZJEAQD-ZETCQYMHSA-N 0.000 description 1
- WXTMDXOMEHJXQO-UHFFFAOYSA-N 2,5-di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C=C1O WXTMDXOMEHJX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OAVQYSSKOCQP-UHFFFAOYSA-N 4-hydroxynaphthalene-2-carboxylic acid Chemical class C1=CC=CC2=CC(C(=O)O)=CC(O)=C21 NIOAVQYSSKOC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TJTXGBCDNPQIV-UHFFFAOYSA-N 4-oxaldehydo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C=O)C=C1 NTJTXGBCDNPQ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261 Acute myeloid leuk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56002 Anthonomus pom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00339431 Arabidopsis thaliana HMG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4593 Bile duc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506 Blood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7384 Blood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PELXLSAUQHCOX-UHFFFAOYSA-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1150077124 CXCL10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5360 Cerebellar degeneration-related antige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342 Cervix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326 Chemokine CCL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5165 Chemokine CCL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609 Cholangitis scleros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54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808 Clear cell ren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00 Colitis ulcerativ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4753 Complement Membrane Attack Complex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35707 Consensus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7626 Corvus cor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SLZVSRJTYRBFB-LLEIAEIESA-N D-gluc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H](O)[C@@H](O)C(O)=O DSLZVSRJTYRBFB-LLEIAEIESA-N 0.000 description 1
- RGHNJXZEOKUKBD-SQOUGZDYSA-M D-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M 0.000 description 1
- AEMOLEFTQBMNLQ-AQKNRBDQSA-N D-glucopyranur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O[C@H](C(O)=O)[C@@H](O)[C@H](O)[C@H]1O AEMOLEFTQBMNLQ-AQKNRBDQ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20 DNA 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86 Eq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61 Esophage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654 Fib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DAGIHXWWSANSR-UHFFFAOYSA-M Formate Chemical compound [O-]C=O BDAGIHXWWSANSR-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320 Germ cell tumor of tes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915 Glioblastoma multifor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108700010013 HMGB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21904 HMGB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7712 Hepatitis A Virus Cellular Recep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176 Hepatitis 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907 High mobility group protein B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72567 Homin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0934372 Homo sapiens Macrosia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738771 Homo sapiens Receptor-type tyrosine-protein phosphatase C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4484 Homo sapiens T-lymphocyte activation antigen CD80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071 Immunoglobulin Fc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1135 Immunoglobulin Fc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1625 Immunoglobulin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394 Immunoglobulin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05091 Immunoglobulin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496 Immunoglobulin Heavy Cha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9476 Immunoglobulin Heavy Cha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726 Inflammatory Breast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850 Interferon gamm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4328 Interferon-gamm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094 Intraductal proliferative breast le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126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group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P L-argininium(2+) Chemical group NC(=[NH2+])NCCC[C@H]([NH3+])C(O)=O ODKSFYDXXFIFQN-BYPYZUCNSA-P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10 L-tryptophano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2N([H])C([H])=C(C([H])([H])[C@@]([H])(C(O[H])=O)N([H])[*])C2=C1[H]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M Lactate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265 Lobular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099 Lobular breast carcinoma in situ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5136 Macrosia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406 Mesotheli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476 Metasta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1676 Metastases to peritone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AFVFQIVMOAPDHO-UHFFFAOYSA-N M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S(O)(=O)=O AFVFQIVMOAPDH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2255 Microtubul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101100540667 Mus musculus Vtcn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776 Myeloid Acute Leuk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491 NSP3 Papain-like protease doma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461 Nucleic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34117 Oligonucleo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268917 Oryctolagus cuniculus ACOX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61 PARP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77979 Peromyscus spicileg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249 Phagocy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906 Poly ADP ribose polymer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5 Polyoxyl 35Castor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49 Primary periton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8906 Prima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29 RT q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422 Receptor-type tyrosine-protein phosphatase C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265 Renal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220492414 Ribulose-phosphate 3-epimerase_H35A_mutati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WAQJAXMDSEUJJ-UHFFFAOYSA-M Sodiu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Na+].OS([O-])=O DWAQJAXMDSEUJ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254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uter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0804 Streptavid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044 T cell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7222 T-lymphocyte activation antigen CD80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53 Tan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3237 Tax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754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CONUSSAWGCZMV-UHFFFAOYSA-N Tetrahydro-cannabinol-carbonsaeure Natural products O1C(C)(C)C2CCC(C)=CC2C2=C1C=C(CCCCC)C(C(O)=O)=C2O UCONUSSAWGCZ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841 Thrombotic Microangiopath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781 Thyroid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70 Thyroid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0945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3040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80463 Treponema pallidum (strain Nichols) Chaperonin GroE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906 Type I transmembrane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704 Ulcerative Co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105 Uterine Cervic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969 Uveal mela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11 Van der Waals for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33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LMBVBUNULOTNS-HOKPPMCLSA-N [4-[[(2s)-5-(carbamoylamino)-2-[[(2s)-2-[6-(2,5-dioxopyrrol-1-yl)hexanoylamino]-3-methylbutanoyl]amino]pentanoyl]amino]phenyl]methyl n-[(2s)-1-[[(2s)-1-[[(3r,4s,5s)-1-[(2s)-2-[(1r,2r)-3-[[(1s,2r)-1-hydroxy-1-phenylpropan-2-yl]amino]-1-methoxy-2-methyl-3-o Chemical compound C1([C@H](O)[C@@H](C)NC(=O)[C@H](C)[C@@H](OC)[C@@H]2CCCN2C(=O)C[C@H]([C@H]([C@@H](C)CC)N(C)C(=O)[C@@H](NC(=O)[C@H](C(C)C)N(C)C(=O)OCC=2C=CC(NC(=O)[C@H](CCCNC(N)=O)NC(=O)[C@@H](NC(=O)CCCCCN3C(C=CC3=O)=O)C(C)C)=CC=2)C(C)C)OC)=CC=CC=C1 NLMBVBUNULOTNS-HOKPPMCL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70 absorption dela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956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56 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95 alanine group Chemical group N[C@@H](C)C(=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2 alky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961 allergic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USAVCGXMSWMQM-UHFFFAOYSA-N ambucetamide Chemical compound CCCCN(CCCC)C(C(N)=O)C1=CC=C(OC)C=C1 WUSAVCGXMSWMQ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023 anti-tumor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644 antibody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75 antibod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102 antige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exogenous peptide antigen via MHC class I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0 antimito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107 asc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RSXLGNVWSONIS-UHFFFAOYSA-M benze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C1=CC=CC=C1 SRSXLGNVWSONI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77388 benz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5 benz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97 bevac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00 bile duc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983 brain gli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714 breast lobular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30 cancer therapeu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3 cell based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69 cell cycle prog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15 cel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09 cell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1 cell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54 cellular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881 cervic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612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9 chemical elemen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4683 chemotherapy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104 chemotherapy regime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40 chromophobe renal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82 cirrh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5 cirrhosis of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1468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251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01 co-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897 colon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203 complement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295 complement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834 complement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615 conju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96 coordination complex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0 co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39 costim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381 cutaneous mela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513 cy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89 cyt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05 cytoplas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4 cytotoxicity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63 cytotoxicity tes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39 deleter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647 diffuse type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3 ductal carcinoma in situ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683 endocervical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4930 enfortumab ved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911 enzyma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79 eosin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1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101 esophage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871 estr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62 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CIVGXIOQKPBKL-UHFFFAOYSA-M etha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CS([O-])(=O)=O CCIVGXIOQKPBK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3 expression plas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275 fasciol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4 fix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0411 fuma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08 gene overex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02 ger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50410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042 glucur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12 glutamat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672 hepatitis B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071 hepatocellular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44 hepatocellular carcinoma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41 heterogeneous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87 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H])C(C(=O)O*)C([H])([H])C1=C([H])N([H])C([H])=N1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7 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MBWDFGMSWQBCA-UHFFFAOYSA-N hydrogen iodide Chemical compound I XMBWDFGMSWQB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M hydrogen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19 immonomod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3 immu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49 immu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6 immunofluor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8 immuno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47 immunogen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7 immuno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3 inorganic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61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5 intramuscular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7 intramuscula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095 invasive ductal breast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985 invasive duct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TWBYWOBDOCUKOW-UHFFFAOYSA-M isonicotinate Chemical compound [O-]C(=O)C1=CC=NC=C1 TWBYWOBDOCUKO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51 isotonicity adj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09 leucine group Chemical group [H]N(*)C(C(*)=O)C([H])([H])C(C([H])([H])[H])C([H])([H])[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97 liquid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96 lung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0 lymphoid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1 macromolecu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39 maleimidyl group Chemical group C1(C=CC(N1*)=O)=O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44 mal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01 meta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92 methyl p-hydroxybenzo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70 methyl p-hydroxybenzo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16 meth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93 micro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5 monoclonal antibody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97 n-termin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22 natural kille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07 negative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66 negative regulation of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6 non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64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937 ovarian epithelial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302 ovarian serous cyst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UANRIQJNFHVEU-UHFFFAOYSA-N oxirane;propane-1,2,3-triol Chemical compound C1CO1.OCC(O)CO QUANRIQJNFHVE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4662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1 pantoth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3 pantothe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79 papillary renal cel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0 patient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9 peripheral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6 peripheral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524 periton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03 peritone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8 persiste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2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77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31 pharmaceutical excipi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89 polyethoxylated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0430 polynucleotid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33319 polynucleo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7 poly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7 poor pro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742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1580 protein doma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18 protein ev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7 proteolyth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81 rectum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GSDEFSMJLZEOE-UHFFFAOYSA-M salicylate Chemical compound OC1=CC=CC=C1C([O-])=O YGSDEFSMJLZEO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60 salic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57 sclerosing chola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99 semisolid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548 serous cyst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708 skin mela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67 sodium hydrogen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9 solid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6 steril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7 sterile water fo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9 subli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2 subli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UHFFFAOYSA-L succinate(2-)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64 tar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73 th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32 thym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510 thyroid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077 thyroid gland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OXIMZWYDAKGHI-UHFFFAOYSA-N toluene-4-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S(O)(=O)=O)C=C1 JOXIMZWYDAKG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00 topi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30 tryptophan group Chemical group [H]N([H])C(C(=O)O*)C([H])([H])C1=C([H])N([H])C2=C([H])C([H])=C([H])C([H])=C12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14 tumor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91 uter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79 valine derivativ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5 water fo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OOUIPVCVHRTMJ-UHFFFAOYSA-L zinc stearate Chemical compound [Zn+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XOOUIPVCVHRTM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89—Conjugates wherein the antibody being the modifying agent and wherein the linker, binder or spacer confers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conjugates, e.g. peptidic enzyme-labile linkers or acid-labile linkers, providing for an acid-labile immuno conjugate wherein the drug may be released from its antibody conjugated part in an acidic, e.g. tumoural or environ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031—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n aurista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03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maytans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receptor, a cell surface antigen or a cell surface determina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61K2039/507—Compri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parate antibod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4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4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C07K2317/41—Glycosylation, sialylation, or fucosy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2—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4—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CDC]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7—Internalization into the cell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B7-H4 발현 세포와 같은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항-B7-H4 항체, 및 항-B7-H4 항체-약물 접합체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암, 예컨대, B7-H4-관련 고형 종양 및 유방암(예를 들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9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261,949호, 2021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293,625호, 및 2022년 3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317,53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각각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서열 목록
전자 서열 목록(761682007540seqlist.xml; 크기: 92,098바이트; 및 생성일: 2022년 9월 27일)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항체 기반 암 치료제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 예컨대 고형 종양, 예컨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 종양(예를 들어, 난소암, 폐암, 샘낭암종,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 및 유방암(예를 들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 antibody-drug conjugate, B7-H4-ADC]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B7-H4는 다양한 고형 종양, 특히 유방 및 난소 종양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B7 계열의 면역 관문 리간드의 구성원이다(문헌[Leong et al., 2015, Mol Pharm 12, 1717-1729]). B7-H1/PD-L1과 유사하게, B7-H4는 T 세포 기능을 음성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7-H4 발현 종양 세포의 표적화된 사멸은 이러한 억제 신호를 완화할 수 있다(문헌[Dangaj et al., 2013, Cancer Res 73, 4820-4829; Prasad et al., 2003, Immunity 18, 863-873; Sica et al., 2003, Immunity 18, 849-861; Zang et al., 2003, Proc Natl Acad Sci U S A 100, 10388-10392]).
B7-H4(B7X; B7H4; B7S1; B7h.5; VCTN1; PRO1291; 유전자 은행 수탁번호 Q7Z7D3으로도 알려짐)는 PD-L1을 비롯하여 다른 B7 계열 구성원과 상동성을 공유하는 면역 조절 분자이다. 인간 B7-H4는 VTCN1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는 IgV 및 IgC 엑토도메인 둘 다로 이루어진 I형 막관통 단백질이다. 건강한 조직에서는 B7-H4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반면, 유방, 난소 및 자궁내막의 부인과학 암종과 같은 여러 고형 종양에서는 B7-H4가 발현된다. 종양 내 B7-H4의 발현은 불량한 예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경향이 있다. B7-H4에 대한 수용체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T 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B7-H4는 T 세포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암은 인류 건강을 가장 치명적으로 위협하는 원인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미국에서, 매년 거의 130만 명의 환자가 새롭게 암에 걸리며, 암은 심장병 다음으로 두 번째로 주요한 사망 원인으로, 대략 네 명 중 한 명이 암으로 사망한다. 또한 5년 안에 암이 심혈관 질환을 제치고 사망 원인 1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고형 종양이 대부분의 사망에 대한 원인이다. 특정 암의 의학적 치료에 유의미한 진전이 있어 왔지만, 모든 암에 대해 5년 전체 생존율이 지난 20년에 걸쳐 약 10%만 개선된 바 있다. 암, 또는 악성 종양은 전이되고 통제 불가하게 빠른 속도로 자라서, 시의적절한 검출 및 치료를 상당히 어렵게 만든다.
폐암은 여전히 미국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으며, 2017년에는 155,000명 넘게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초기 단계의 질환을 앓는 환자에 대한 치료 목적의 처치에는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또는 병용 접근법이 포함된다. 그러나 대다수의 환자는 일반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 질환으로 진단받는다.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은 전체 폐암의 최대 80%를 차지한다. NSCLC의 아형 내에서 편평세포 암종(SCC/NSCLC)은 NSCLC의 대략 30%를 차지한다. SCC/NSCLC의 전이성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신 치료법은 제한된 이점을 보였고 주로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생존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가능한 한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양이 높은 수준의 PD-L1을 발현하지 않는 SCC/NSCLC 환자를 위한 1차 치료에는 젬시타빈 및 시스플라틴과 병용하는, 페메트렉시드, 항-VEGF 항체 또는 항-EGFR 항체 네시투무맙을 함유하지 않는 백금계 이중 화학요법이 포함된다. PD-L1에 대해 적어도 50%의 종양 세포 염색을 보이는 환자는 항-PD-1 억제제 펨브롤리주맙을 사용하는 1차 치료를 받는다. 초기 병용화학요법에서 질병이 진행된 환자는 항-PD-1 또는 PD-L1 항체를 투여받을 수 있으며, PD-1/L1 억제제 투여 후 질병이 진행된 환자에게는 병용화학요법이 고려된다. SCC/NSCLC 환자에게 유의미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부류의 요법이 시급히 필요하다.
유방암은 세 가지 단백질 발현 마커인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e receptor, PgR], 성장 인자 수용체 HER2/neu의 과발현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타목시펜 및 방향화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호르몬 요법은 호르몬 수용체 ER 및 PgR을 발현하는 종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HER2-지향 요법은 HER2/neu를 발현하는 종양에 유용하다. 이들 종양은 단일클론 항체 요법에 현재 적합한 유일한 부류의 유방암이다. 이들 환자에게는 허셉틴(Herceptin)이나 퍼제타(Perjeta)와 같은 비접합항체를 일반적으로 화학요법과 병용한다.
난소암은 기원 세포 유형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난소 상피 암종은 난소암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난소암의 대략 90%를 차지한다. 여기에는 장액성, 자궁내막모양, 및 투명 세포 종양이 포함된다. 드문 난소 상피 종양은 점액성 및 악성 브레너 종양이다. 상피성 난소암은 난소를 덮고 있는 세포층인 상피에서 발생한다. 저분화 상피성 난소암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종[high grade serous ovarian carcinoma, HGSOC]으로 정의되며, 나팔관과 원발성 복막 상피 장액성 종양을 포함한다. HGSOC는 백금 화학 요법 및 탁세인을 포함한 세포독성 요법에 의해 치료한다. PARP 억제제와 같은 표적 작용제는 치료 및 유지 환경에서 사용된다. 면역요법은 현재 난소암 연구의 주제이다. 일부 경우에, 항체 베바시주맙이 여전히 활발한 연구 주제이지만 화학요법과 함께 진행성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재발성 백금 저항 및 불응성 HGSOC는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영역이다.
담관암으로도 알려진 담관암종은 담관에 악성(암) 세포가 형성되는 질환이다. 담관암은 간내암일 수도 있고 간외암일 수도 있다. 담관암종의 위험 인자로는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궤양성 대장염, 간경변, C형 간염, B형 간염, 특정 간흡충 감염, 및 일부 선천성 간 기형이 포함된다. 담관암종은 전형적으로 진단 시 치료가 불가능하다.
자궁내막암은 자궁내막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신체의 다른 부위로 침입하거나 퍼질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한 결과이다. 자궁내막암은 비만, 과도한 에스트로겐 노출, 고혈압 및 당뇨병과 연관이 있다. 이는 여성에게만 발생하는 암으로 난소암과 자궁경부암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이다.
난관암으로도 알려진 나팔관암은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나팔관에서 발생한다. 암이 실제로 나팔관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난소나 자궁내막과 같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퍼지거나 전이되는 경우가 더 흔하다. 현재까지 나팔관암의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유전적 요인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심된다.
복막암은 장액성 표면 유두 암종, 원발성 복막 암종, 난소외 장액성 암종, 원발성 장액성 유두 암종 및 모래종암종[psammomacarcinoma]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는 상피 세포로 만들어진 복부 내벽 조직의 얇은 층인 복막에서 발생한다. 복막암의 원인은 불분명하다. 복막암은 조기 병기에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원발성 복막 암종의 생존 기간 중간값은 장액성 난소암과 비교 시 일반적으로 2~6개월 더 짧다.
담낭암은 담낭에서 시작되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한 것이다. 충분히 조기에 진단되면 담낭, 간의 일부 및 관련 림프절을 제거하여 치료할 수 있다. 복통, 황달, 구토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이때는 간과 같은 다른 장기로 퍼진 상태이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후에 암을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3%에 가까워 회복 전망이 좋지 않다.
고형 종양, 특히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 종양, 및 유방암, 특히 말기 유방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상당히 필요하다는 점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고도로 특이적이고 효과적인 항-B7-H4-항체-약물 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고형 종양, 예컨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 종양(예를 들어,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 및 유방암의 개선된 치료에 대한 필요를 충족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도로 특이적이고 효과적인 항-B7-H4-항체-약물 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고형 종양, 예컨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 종양(예를 들어, 복막암, 나팔관암, 담낭암)의 개선된 치료에 대한 필요를 충족한다.
특허 출원, 특허 공보 및 과학 문헌을 포함하여,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은, 마치 각각의 개별 참고 문헌이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나타낸 것처럼,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B7-H4 관련 암을 앓고 있거나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되되, 대상에게 치료 유효량의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 antibody-drug conjugate, B7-H4-ADC]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aline-citruline-monomethyl auristatin E, vcMMAE)에 접합된 인간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항-B7-H4 항체는 서열 번호 11의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 번호 12의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되, vcMMAE는 다음 구조를 갖는다.
또한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ADC]가 본원에 제공되되,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 인간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항-B7-H4 항체는 서열 번호 11의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 번호 12의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되, vcMMAE는 다음 구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B7-H4에 대한 vcMMAE 비는 1 내지 8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집단 내 항-B7-H4에 대한 vcMMAE 비의 평균 값은 약 4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관련 암은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strogen receptor positive, ER+]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인간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음성 유방암[progesterone receptor positive/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negative breast, PR+/HER2-]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hormone receptor positive, HR+]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HER2 양성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HR+/HER2 음성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두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경부의 샘낭암종은 침샘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난소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전립선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유방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피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자궁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3기 또는 4기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전이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절제 불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국소 진행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재발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에 반응한 적이 없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 후 재발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 도중 질병의 진행을 겪은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세포 중 적어도 약 0.1%,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적어도 약 4%,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6%, 적어도 약 7%, 적어도 약 8%, 적어도 약 9%,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B7-H4-ADC의 투여 후 기준선 대비 개선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 경로는 정맥내 주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는 단일요법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는 B7-H4-ADC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또한, (a) 약 0.5 mg/kg 내지 약 3.0 mg/kg 범위의 B7-H4-ADC의 투여량; 및 (b)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방법에 따른 B7-H4-ADC 사용을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가 본원에 제공된다.
B7-H4 관련 암을 앓고 있거나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또한 본원에 제공되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및 서열 번호 12에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을 포함하되, 암은 고형 종양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세 개의 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을 포함하고,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의 세 개의 CDR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의 서열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monomethyl auristatin E, MMAE)에 접합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에 반응한 적이 없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니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 후 재발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니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 도중 질병의 진행을 겪은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니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에서 선택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복막암, 나팔관암 및 담낭암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암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고형 종양은 폐암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소세포 폐암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비소세포 폐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두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경부의 샘낭암종은 침샘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난소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전립선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유방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피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자궁경부의 샘낭암종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비소세포 폐암은 비편평세포 암종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비소세포 폐암은 편평세포 암종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3기 또는 4기 암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전이성 암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재발성 암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절제 불가능하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암 세포 중 적어도 약 0.1%,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적어도 약 4%,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6%, 적어도 약 7%, 적어도 약 8%, 적어도 약 9%,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는 B7-H4를 발현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투여 후 기준선 대비 개선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투여 경로는 정맥내 주입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단일요법으로 투여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 ADC의 투여는 대상에서 항종양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 ADC의 투여는 하나 이상의 케모카인 및/또는 하나 이상의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의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CXCL10, CXCL9, CXCL1, IFTIT2, 및/또는 MX1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선천 면역 세포 및/또는 적응 면역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세포는 종양 침윤 세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CD11c+ 수지상 세포, F4/80+ 대식세포, 및/또는 CD86을 발현하는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종양 부위에서 Baft3, Cd68, H2Aa, H2-eb1, CD80, CD86, CD3e, CD4, Cd8a, Pdcd1, Cd27, Cxcr6, Lag3, Nkg7, Ccl5, Cd274, Cmklr1, Cxcl9, Psmb10, Stat1, 및/또는 Icosl 전사물 수준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CD3+ 세포, CD4+ 세포, CD8+ 세포, PD1+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PD-1 요법에 대한 반응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종양 내 Ki67, CD163, CD206, ChiL3, 및/또는 그랜자임 B 양성 세포 수준을 증가시킨다.
또한, (a) B7-H4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약 0.5 mg/kg 내지 약 3.0 mg/kg 범위의 투여량; 및 (b) 본원에 제공된 일부 방법에 따른 B7-H4-ADC를 사용하기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가 본원에 제공된다.
도 1a는 B7H41001 IgG1 단일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b는 B7H41001 mAb 중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1c는 B7H41001 mAb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2는 암 게놈 아틀라스[The Cancer Genome Atlas](2020년 10월 검색)에서 B7-H4를 암호화하는 VTCN1 RNA의 발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유전자 수준 발현 값, 후속 분석 및 시각화 단계는 R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되었다.
도 3은 마우스 B7-H4(mouse B7-H4, mB7-H4) 또는 인간 B7-H4[human B7-H4, hB7-H4]를 암호화하는 발현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한 HEK293T 세포 또는 비형질감염 HEK293T 세포(모)의 B7-H4 IHC 염색을 나타낸다.
도 4는 정량적 유세포 분석법으로 측정된 다양한 B7-H4 복제 수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암 세포주의 B7-H4 IHC 염색을 나타낸다.
도 5는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유방(왼쪽) 및 난소(오른쪽) 종양의 B7-H4 IHC 염색을 나타낸다.
도 6은 mAb 클론 D1M8I(CST)를 사용한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종양의 B7-H4 염색 점수를 나타내는 막대 차트이다. 슬라이드는 다음과 같이 점수를 매겼다. 강도: 0 = 없음, 1 = 약함, 2 = 보통, 3 = 강함; 빈도: 1 = 1~25%, 2 = 26~50%, 3 = 51~75%, 4 = >75%. 유병률 계산을 위해 막(M) 및/또는 정점 막(A) 염색(임의의 강도)이 종양 세포의 25% 초과에서 관찰되는 경우 종양은 양성으로 간주되었다. 강도 '1~2' 또는 '2~3'으로 점수가 매겨진 종양은 더 낮은 강도 점수로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7은 Octet HTX 시스템(ForteBio)상에서 BLI에 의해 측정된 인간 B7-H4 단백질에 대한 SGN-B7H4V 및 B7H41001 mAb 결합의 일가 및 이가 결합을 도시하는 일련의 센서그램이다. 선은 항원(일가) 또는 mAb/ADC(이가)의 농도 범위를 nM 단위로 나타내고, 결합 친화도(KD)는 텍스트로 표시된다.
도 8은 B7-H4 발현 SKBR3 세포에 대한 SGN-B7H4V, B7H41001 mAb, 비결합 대조군 ADC, 및 비결합 mAb의 결합을 도시하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최대 결합 %의 평균 및 범위는 두 번의 반복 실험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9는 세포 기반 검정에서 B7H41001 mAb의 내재화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MX-1 및 SKBR3 세포를 SGN-B7H4V에서와 동일한 vcPAB 링커를 사용하는 ?칭된 형광단(vcQF01) 접합체와 함께 최대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당 정규화된 평균 적색 형광 강도는 삼중 세포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 평균 및 표준 편차와 함께 나타낸다(t = 0시간으로 정규화됨).
도 10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처리한 경우 B7-H4-발현 세포주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도 11은 인간 Fc-수용체(열별로 다양함)에 대한 SGN-B7H4V, B7H41001 mAb 및 양성 대조군 mAb(행별로 다양함)의 결합을 도시하는 일련의 센서그램이다. 평형 해리 상수는 각 센서그램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나열되어 있다.
도 12는 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PerkinElmer)상에서 FcγR 매개 발광 효소 리포터 신호를 측정하여 검정한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한 세포성 FcγR 신호전달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나타낸 데이터는 이중 또는 삼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다.
도 13은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해 매개되는 ADCC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되, 용해 백분율은 CytoTox 96 비방사성 세포독성 검정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나타낸 데이터는 삼중 또는 이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에 대한 최대 세포 용해 %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고, 이상치 값은 제외되었다.
도 14는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해 매개되는 ADCP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되, 포식세포 활성은 CD14+/CD45+ 단핵구/대식세포상에서 PKF26 기하 평균 형광 강도[geometric mean fluorescence intensity, gMFI]를 계산함으로써 측정되었다. 나타낸 데이터는 이중 또는 삼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에 대한 gMFI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다.
도 15는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해 매개되는 CDC의 부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되, SYTOX® 그린 시약은 Envision 플레이트 판독상에서 형광 판독에 의한 세포 사멸의 척도로 사용되었다. 나타낸 데이터는 이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에 대한 최대 세포 용해 %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다.
도 16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MX-1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하거나, B7H41001 mAb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HCC1569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OVCAR3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B7-H4에 대해 염색된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비치료 MX-1(상부) 및 HCC1569(하부) 종양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2는 B7-H4에 대해 염색된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비치료(왼쪽 상단), 비결합 대조군 ADC 치료(오른쪽 상단), SGN-B7H4V 치료(왼쪽 하단), OVCAR3 종양뿐만 아니라 비치료 MDA-MB-468(오른쪽 하단) 종양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3은 OVCAR3 및 MDA-MB-468 종양상에서 B7-H4 염색의 정량화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Halo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지시된 대로 치료한 OVCAR3 및 MDA-MB-468 종양에 대한 B7-H4+ 종양 조직(왼쪽 패널) 및 B7-H4 H-점수(오른쪽 패널)의 백분율을 정량화하였다. 각 개별 종양의 값뿐만 아니라 각 군에 대한 평균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24는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TNBC PDX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비치료 동물(n = 1 또는 2)에 대한 평균 종양 부피 및 비결합 대조군 ADC(n = 1) 및 SGN-B7H4V(n = 3) 치료군의 개별 동물에 대한 종양 부피. 동물을 0일 차, 7일 차, 14일 차에 3 mg/kg의 ADC로 치료하였다.
도 25는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HR+ BC PDX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평균 종양 부피(비치료 및 비결합 대조군 ADC 치료 동물) 및 개별 동물(SGN-B7H4V 치료군, 군당 n = 3)에 대한 종양 부피. 동물을 0일 차, 7일 차, 14일 차에 3 mg/kg의 ADC로 치료하였다.
도 26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난소 PDX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평균 종양 부피(비치료 및 비결합 대조군 ADC 치료 동물) 및 개별 동물(SGN-B7H4V 치료군, 군당 n = 3)에 대한 종양 부피. 동물을 0일 차, 7일 차, 14일 차에 3 mg/kg의 ADC로 치료하였다.
도 27a~d는 이종 B7-H4 염색(도 27a, 하단 패널)을 이용한 TNBC의 TNBC_1 PDX 모델(도 27a, 상단 패널)에서 항종양 활성, 균일하게 높은 B7-H4 염색(도 27b, 하단 패널)을 이용한 난소암의 난소_1 모델(도 27b, 상단 패널)에서 항종양 활성, 및 이종 B7-H4 염색(도 27c, 하단 패널)을 이용한 고도로 전치료된 난소암의 난소_2 모델(도 27c, 상단 패널)에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 및 상응하는 데이터이다. 도 27d는 PDX 모델 분석의 메타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8은 BLUEPRINT(2019년 5월 검색됨)에서 B7-H4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VTCN1 RNA의 발현을 도시하는 그래프을 나타낸다. 유전자 수준 발현 값, 후속 분석 및 시각화 단계는 R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되었다.
도 29는 흐름 분석에 의해 검정된, 인간 말초 혈액 단핵구 및 분화된 대식세포 하위세트에 대한 B7-H4 발현(항-B7-H4 mAbs 클론 B7H41001 및 MIH43; 항-B7-H3 mAb 클론 7-517)을 나타내는 막대 차트이다. 동형 대조군 mAb('동형 FMO')로 염색한 세포 대비 시험 물품으로 염색한 세포의 기하 평균 형광 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막대 그래프는 평균 배수 변화[mean fold change]를 나타낸다.
도 30은 흐름 분석에 의해 검정된 인간 단핵구 유래 미성숙 및 성숙 수지상 세포상에서의 B7-H4 발현(항-B7-H4 mAb 클론 B7H41001; 항-41BBL mAb 클론 5F4)을 나타내는 막대 차트이다. 동형 대조군 mAb('동형 FMO')로 염색한 세포 대비 시험 물품으로 염색한 세포의 기하 평균 형광 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막대 그래프는 평균 배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1은 B7-H4 및 CD163의 검출을 나타내는 일련의 면역형광 이미지이다. 두 개의 TNBC 종양 절편이 B7-H4(왼쪽) 및 CD163(오른쪽)에 대해 동시 염색되었다. CD163+ 대식세포상에서 B7-H4의 동시 염색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32a는 1 μg/mL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 또는 100 nM MMAE 유리 약물으로 치료 48시간 후 SKBR3 세포에 의한 ATP 방출(왼쪽 패널), HMGB1 방출(중간 패널)뿐만 아니라 칼레티쿨린의 세포 표면 노출(오른쪽 패널)에 대한 SGN-B7H4V 및 MMAE의 효과를 나타낸다. 칼레티쿨린의 세포 표면 노출에 대한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 PI) 음성 및 칼레티쿨린(calreticulin, CAR) 양성인 세포의 백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32b는 MDA-MB-468 종양 및 말초 혈액 단핵 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의 공동 배양물로 치료한 후, B7H41001 mAb가 아닌 SGN-B7H4V가 CD14+ 단핵구상에서 CD86의 상향 조절 및 MIP-1β의 방출을 유도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33은 단일 3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접합 B7H41001 mAb, 또는 SGN-B7H4V, 또는 단일 6mg/kg 용량의 B7H41001 mAb-DM1 또는 B7H41001 mAb-DM4 접합체로 치료한 NSG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 종양의 평균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도 34a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또는 SGN-B7H4V로 치료한 MDA-MB-468 이종이식 종양 내 F4/80+ 대식세포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4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접합 B7H41001 mAb, 또는 SGN-B7H4V 또는 단일 6 mg/kg 용량의 B7H41001 mAb-DM1 또는 B7H41001 mAb-DM4 접합체로 치료한 후 MDA-MB-468 이종이식 종양 내 F4/80+ 대식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35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접합 B7H41001 mAb, 또는 SGN-B7H4V 또는 단일 6 mg/kg 용량의 B7H41001 mAb-DM1 또는 B7H41001 mAb-DM4 접합체로 치료한 NSG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 종양 내 사이토카인(CXCL10 및 CXCL1)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IFIT2 및 MX1)를 암호화하는 인간 전사물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일련의 RNAseq 분석이다.
도 36a는 동형 대조군 대비 전장 마우스 B7-H4[murine B7-H4, mB7-H4]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Renca 종양 세포의 B7-H4 발현을 나타내는 FAC 그래프이다. 도 36b는 SGN-B7H4V mIgG2a, 비결합 대조군 ADC mIgG2a, 비접합 mAb B7H41001 mIgG2a, 또는 비푸코실화된 mAb SEA-B7H41001 mIgG2a로 치료한 종양 보유 마우스에서 B7-H4-Renca 종양의 평균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마우스 IgG2a[murine IgG2a, mIgG2a] Fc 골격을 갖는 ADC 및 mAb를 사용하여 면역적격 마우스에서 인간 IgG1[human IgG1, hIgG1] 항체를 반복적으로 치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항약물 항체 반응을 회피하였다.
도 37은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결합 대조군 ADC mIgG2a, 비접합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를 이용하여 6~7일 동안 치료한 mB7H4-발현 Renca 종양의 RNAseq 분석이다. RNAseq 분석에 따르면, 비접합 mAb B7H41001과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후, 사이토카인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전사물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도 38a는 단일 3 mg/kg 용량의 순수한[naked]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6~7일 후 B7-H4-Renca 종양 내 CD11c+ 항원 제시 세포, F4/80+ 대식세포, 및 CD86+ 세포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8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ADC mIgG2a로 치료한 후 B7-H4-Renca 종양 내 CD11c+ 항원 제시 세포, F4/80+ 대식세포, 또는 CD86+ 세포 각각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38c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ADC mIgG2a로 치료한 후 B7-H4-Renca 종양 내 마우스 전사물 (수지상 세포 마커 CD11c를 암호화하는) Itgax, (항원 교차 제시와 관련된 전사 인자, BatF3를 암호화하는) Batf3, (대식세포 마커 CD68을 암호화하는) Cd68, (2형 MHC 분자를 암호화하는) H2-Aa & H2-eb1, 및 (공동자극 분자를 암호화하는) Cd80, Cd86, & Icosl의 상대적 양을 나타내는 RNAseq 분석이다.
도 39a는 단일 3mg/kg 용량의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CD3+ T 세포, CD4+ 세포, CD8+ 세포, 및 PD1+ 세포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9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후 mB7-H4-Renca 종양 내 CD3+ T 세포, CD4+ 세포, CD8+ 세포, 및 PD1+ 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39c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후 mB7-H4-Renca 종양 내 마우스 전사물 Cd3e, Cd4, 및 Cd8a뿐만 아니라 (PD-1을 암호화하는) Pdcd1, Cd27, 및 Icos를 포함한, 초기 T 세포 활성화와 관련된 마커의 상대적 양을 나타내는 RNAseq 분석이다.
도 40a는 단일 3 mg/kg 용량의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PD-L1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왼쪽 패널에 나타낸다. PD-L1+ 세포의 백분율 정량화를 오른쪽 패널에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40b는 단일 3 ㎎/㎏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PD-1 차단에 대한 반응에 임상적으로 관련된 다중 'T 세포 감염된' 유전자 전사물의 상대적 양을 나타내는 RNAseq 분석을 나타낸다.
도 41a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Ki67+ 세포의 백분율의 정량화를 나타낸다. 도 41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CD163+, CD206+, Chi3L3+, 및 그랜자임 B+ 세포의 백분율의 정량화를 나타낸다.
도 42는 비결합 대조군 mIgG2a ADC, SGN-B7H4V mIgG2a, 항-PD-1 mAb, 또는 SGN-B7H4V mIgG2a와 항-PD-1 mAb의 조합, 또는 SGN-B7H4V mIgG2a 및 대조군 mAb의 조합을 표시된 용량으로 치료한 B7-H4-Renca 종양 보유 마우스의 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43은 비결합 대조군 mIgG2a ADC, SGN-B7H4V mIgG2a, 항-PD-1 mAb, 또는 SGN-B7H4V mIgG2a와 항-PD-1 mAb의 조합, 또는 SGN-B7H4V mIgG2a 및 대조군 mAb의 조합을 표시된 용량으로 치료한 종양 보유 마우스의 B7-H4-Renca 종양의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도 2는 암 게놈 아틀라스[The Cancer Genome Atlas](2020년 10월 검색)에서 B7-H4를 암호화하는 VTCN1 RNA의 발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유전자 수준 발현 값, 후속 분석 및 시각화 단계는 R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되었다.
도 3은 마우스 B7-H4(mouse B7-H4, mB7-H4) 또는 인간 B7-H4[human B7-H4, hB7-H4]를 암호화하는 발현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한 HEK293T 세포 또는 비형질감염 HEK293T 세포(모)의 B7-H4 IHC 염색을 나타낸다.
도 4는 정량적 유세포 분석법으로 측정된 다양한 B7-H4 복제 수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암 세포주의 B7-H4 IHC 염색을 나타낸다.
도 5는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유방(왼쪽) 및 난소(오른쪽) 종양의 B7-H4 IHC 염색을 나타낸다.
도 6은 mAb 클론 D1M8I(CST)를 사용한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종양의 B7-H4 염색 점수를 나타내는 막대 차트이다. 슬라이드는 다음과 같이 점수를 매겼다. 강도: 0 = 없음, 1 = 약함, 2 = 보통, 3 = 강함; 빈도: 1 = 1~25%, 2 = 26~50%, 3 = 51~75%, 4 = >75%. 유병률 계산을 위해 막(M) 및/또는 정점 막(A) 염색(임의의 강도)이 종양 세포의 25% 초과에서 관찰되는 경우 종양은 양성으로 간주되었다. 강도 '1~2' 또는 '2~3'으로 점수가 매겨진 종양은 더 낮은 강도 점수로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7은 Octet HTX 시스템(ForteBio)상에서 BLI에 의해 측정된 인간 B7-H4 단백질에 대한 SGN-B7H4V 및 B7H41001 mAb 결합의 일가 및 이가 결합을 도시하는 일련의 센서그램이다. 선은 항원(일가) 또는 mAb/ADC(이가)의 농도 범위를 nM 단위로 나타내고, 결합 친화도(KD)는 텍스트로 표시된다.
도 8은 B7-H4 발현 SKBR3 세포에 대한 SGN-B7H4V, B7H41001 mAb, 비결합 대조군 ADC, 및 비결합 mAb의 결합을 도시하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최대 결합 %의 평균 및 범위는 두 번의 반복 실험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9는 세포 기반 검정에서 B7H41001 mAb의 내재화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MX-1 및 SKBR3 세포를 SGN-B7H4V에서와 동일한 vcPAB 링커를 사용하는 ?칭된 형광단(vcQF01) 접합체와 함께 최대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당 정규화된 평균 적색 형광 강도는 삼중 세포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 평균 및 표준 편차와 함께 나타낸다(t = 0시간으로 정규화됨).
도 10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처리한 경우 B7-H4-발현 세포주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도 11은 인간 Fc-수용체(열별로 다양함)에 대한 SGN-B7H4V, B7H41001 mAb 및 양성 대조군 mAb(행별로 다양함)의 결합을 도시하는 일련의 센서그램이다. 평형 해리 상수는 각 센서그램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나열되어 있다.
도 12는 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PerkinElmer)상에서 FcγR 매개 발광 효소 리포터 신호를 측정하여 검정한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한 세포성 FcγR 신호전달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나타낸 데이터는 이중 또는 삼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다.
도 13은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해 매개되는 ADCC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되, 용해 백분율은 CytoTox 96 비방사성 세포독성 검정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나타낸 데이터는 삼중 또는 이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에 대한 최대 세포 용해 %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고, 이상치 값은 제외되었다.
도 14는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해 매개되는 ADCP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되, 포식세포 활성은 CD14+/CD45+ 단핵구/대식세포상에서 PKF26 기하 평균 형광 강도[geometric mean fluorescence intensity, gMFI]를 계산함으로써 측정되었다. 나타낸 데이터는 이중 또는 삼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에 대한 gMFI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다.
도 15는 SGN-B7H4V 및 B7H41001 mAb에 의해 매개되는 CDC의 부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되, SYTOX® 그린 시약은 Envision 플레이트 판독상에서 형광 판독에 의한 세포 사멸의 척도로 사용되었다. 나타낸 데이터는 이중으로 수행된 각 조건에 대한 최대 세포 용해 %의 평균 및 표준 편차이다.
도 16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MX-1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하거나, B7H41001 mAb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HCC1569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OVCAR3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B7-H4에 대해 염색된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비치료 MX-1(상부) 및 HCC1569(하부) 종양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2는 B7-H4에 대해 염색된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비치료(왼쪽 상단), 비결합 대조군 ADC 치료(오른쪽 상단), SGN-B7H4V 치료(왼쪽 하단), OVCAR3 종양뿐만 아니라 비치료 MDA-MB-468(오른쪽 하단) 종양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3은 OVCAR3 및 MDA-MB-468 종양상에서 B7-H4 염색의 정량화를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Halo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지시된 대로 치료한 OVCAR3 및 MDA-MB-468 종양에 대한 B7-H4+ 종양 조직(왼쪽 패널) 및 B7-H4 H-점수(오른쪽 패널)의 백분율을 정량화하였다. 각 개별 종양의 값뿐만 아니라 각 군에 대한 평균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24는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TNBC PDX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비치료 동물(n = 1 또는 2)에 대한 평균 종양 부피 및 비결합 대조군 ADC(n = 1) 및 SGN-B7H4V(n = 3) 치료군의 개별 동물에 대한 종양 부피. 동물을 0일 차, 7일 차, 14일 차에 3 mg/kg의 ADC로 치료하였다.
도 25는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HR+ BC PDX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평균 종양 부피(비치료 및 비결합 대조군 ADC 치료 동물) 및 개별 동물(SGN-B7H4V 치료군, 군당 n = 3)에 대한 종양 부피. 동물을 0일 차, 7일 차, 14일 차에 3 mg/kg의 ADC로 치료하였다.
도 26은 비결합 대조군 ADC와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마우스에서 난소 PDX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이다. 평균 종양 부피(비치료 및 비결합 대조군 ADC 치료 동물) 및 개별 동물(SGN-B7H4V 치료군, 군당 n = 3)에 대한 종양 부피. 동물을 0일 차, 7일 차, 14일 차에 3 mg/kg의 ADC로 치료하였다.
도 27a~d는 이종 B7-H4 염색(도 27a, 하단 패널)을 이용한 TNBC의 TNBC_1 PDX 모델(도 27a, 상단 패널)에서 항종양 활성, 균일하게 높은 B7-H4 염색(도 27b, 하단 패널)을 이용한 난소암의 난소_1 모델(도 27b, 상단 패널)에서 항종양 활성, 및 이종 B7-H4 염색(도 27c, 하단 패널)을 이용한 고도로 전치료된 난소암의 난소_2 모델(도 27c, 상단 패널)에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그래프 및 상응하는 데이터이다. 도 27d는 PDX 모델 분석의 메타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8은 BLUEPRINT(2019년 5월 검색됨)에서 B7-H4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VTCN1 RNA의 발현을 도시하는 그래프을 나타낸다. 유전자 수준 발현 값, 후속 분석 및 시각화 단계는 R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되었다.
도 29는 흐름 분석에 의해 검정된, 인간 말초 혈액 단핵구 및 분화된 대식세포 하위세트에 대한 B7-H4 발현(항-B7-H4 mAbs 클론 B7H41001 및 MIH43; 항-B7-H3 mAb 클론 7-517)을 나타내는 막대 차트이다. 동형 대조군 mAb('동형 FMO')로 염색한 세포 대비 시험 물품으로 염색한 세포의 기하 평균 형광 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막대 그래프는 평균 배수 변화[mean fold change]를 나타낸다.
도 30은 흐름 분석에 의해 검정된 인간 단핵구 유래 미성숙 및 성숙 수지상 세포상에서의 B7-H4 발현(항-B7-H4 mAb 클론 B7H41001; 항-41BBL mAb 클론 5F4)을 나타내는 막대 차트이다. 동형 대조군 mAb('동형 FMO')로 염색한 세포 대비 시험 물품으로 염색한 세포의 기하 평균 형광 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막대 그래프는 평균 배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1은 B7-H4 및 CD163의 검출을 나타내는 일련의 면역형광 이미지이다. 두 개의 TNBC 종양 절편이 B7-H4(왼쪽) 및 CD163(오른쪽)에 대해 동시 염색되었다. CD163+ 대식세포상에서 B7-H4의 동시 염색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32a는 1 μg/mL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 또는 100 nM MMAE 유리 약물으로 치료 48시간 후 SKBR3 세포에 의한 ATP 방출(왼쪽 패널), HMGB1 방출(중간 패널)뿐만 아니라 칼레티쿨린의 세포 표면 노출(오른쪽 패널)에 대한 SGN-B7H4V 및 MMAE의 효과를 나타낸다. 칼레티쿨린의 세포 표면 노출에 대한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 PI) 음성 및 칼레티쿨린(calreticulin, CAR) 양성인 세포의 백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32b는 MDA-MB-468 종양 및 말초 혈액 단핵 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의 공동 배양물로 치료한 후, B7H41001 mAb가 아닌 SGN-B7H4V가 CD14+ 단핵구상에서 CD86의 상향 조절 및 MIP-1β의 방출을 유도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33은 단일 3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접합 B7H41001 mAb, 또는 SGN-B7H4V, 또는 단일 6mg/kg 용량의 B7H41001 mAb-DM1 또는 B7H41001 mAb-DM4 접합체로 치료한 NSG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 종양의 평균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도 34a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또는 SGN-B7H4V로 치료한 MDA-MB-468 이종이식 종양 내 F4/80+ 대식세포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4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접합 B7H41001 mAb, 또는 SGN-B7H4V 또는 단일 6 mg/kg 용량의 B7H41001 mAb-DM1 또는 B7H41001 mAb-DM4 접합체로 치료한 후 MDA-MB-468 이종이식 종양 내 F4/80+ 대식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35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접합 B7H41001 mAb, 또는 SGN-B7H4V 또는 단일 6 mg/kg 용량의 B7H41001 mAb-DM1 또는 B7H41001 mAb-DM4 접합체로 치료한 NSG 마우스에서 MDA-MB-468 이종이식 종양 내 사이토카인(CXCL10 및 CXCL1)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IFIT2 및 MX1)를 암호화하는 인간 전사물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일련의 RNAseq 분석이다.
도 36a는 동형 대조군 대비 전장 마우스 B7-H4[murine B7-H4, mB7-H4]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Renca 종양 세포의 B7-H4 발현을 나타내는 FAC 그래프이다. 도 36b는 SGN-B7H4V mIgG2a, 비결합 대조군 ADC mIgG2a, 비접합 mAb B7H41001 mIgG2a, 또는 비푸코실화된 mAb SEA-B7H41001 mIgG2a로 치료한 종양 보유 마우스에서 B7-H4-Renca 종양의 평균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마우스 IgG2a[murine IgG2a, mIgG2a] Fc 골격을 갖는 ADC 및 mAb를 사용하여 면역적격 마우스에서 인간 IgG1[human IgG1, hIgG1] 항체를 반복적으로 치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항약물 항체 반응을 회피하였다.
도 37은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결합 대조군 ADC mIgG2a, 비접합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를 이용하여 6~7일 동안 치료한 mB7H4-발현 Renca 종양의 RNAseq 분석이다. RNAseq 분석에 따르면, 비접합 mAb B7H41001과 비교하여 SGN-B7H4V로 치료한 후, 사이토카인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전사물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도 38a는 단일 3 mg/kg 용량의 순수한[naked]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6~7일 후 B7-H4-Renca 종양 내 CD11c+ 항원 제시 세포, F4/80+ 대식세포, 및 CD86+ 세포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8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ADC mIgG2a로 치료한 후 B7-H4-Renca 종양 내 CD11c+ 항원 제시 세포, F4/80+ 대식세포, 또는 CD86+ 세포 각각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38c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ADC mIgG2a로 치료한 후 B7-H4-Renca 종양 내 마우스 전사물 (수지상 세포 마커 CD11c를 암호화하는) Itgax, (항원 교차 제시와 관련된 전사 인자, BatF3를 암호화하는) Batf3, (대식세포 마커 CD68을 암호화하는) Cd68, (2형 MHC 분자를 암호화하는) H2-Aa & H2-eb1, 및 (공동자극 분자를 암호화하는) Cd80, Cd86, & Icosl의 상대적 양을 나타내는 RNAseq 분석이다.
도 39a는 단일 3mg/kg 용량의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CD3+ T 세포, CD4+ 세포, CD8+ 세포, 및 PD1+ 세포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9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후 mB7-H4-Renca 종양 내 CD3+ T 세포, CD4+ 세포, CD8+ 세포, 및 PD1+ 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39c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후 mB7-H4-Renca 종양 내 마우스 전사물 Cd3e, Cd4, 및 Cd8a뿐만 아니라 (PD-1을 암호화하는) Pdcd1, Cd27, 및 Icos를 포함한, 초기 T 세포 활성화와 관련된 마커의 상대적 양을 나타내는 RNAseq 분석이다.
도 40a는 단일 3 mg/kg 용량의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또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PD-L1에 대한 IHC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왼쪽 패널에 나타낸다. PD-L1+ 세포의 백분율 정량화를 오른쪽 패널에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40b는 단일 3 ㎎/㎏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PD-1 차단에 대한 반응에 임상적으로 관련된 다중 'T 세포 감염된' 유전자 전사물의 상대적 양을 나타내는 RNAseq 분석을 나타낸다.
도 41a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Ki67+ 세포의 백분율의 정량화를 나타낸다. 도 41b는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순수한 B7H41001 mIgG2a mAb, SGN-B7H4V mIgG2a, 또는 비결합 mIgG2a ADC로 치료 6~7일 후 mB7-H4-Renca 종양 내 CD163+, CD206+, Chi3L3+, 및 그랜자임 B+ 세포의 백분율의 정량화를 나타낸다.
도 42는 비결합 대조군 mIgG2a ADC, SGN-B7H4V mIgG2a, 항-PD-1 mAb, 또는 SGN-B7H4V mIgG2a와 항-PD-1 mAb의 조합, 또는 SGN-B7H4V mIgG2a 및 대조군 mAb의 조합을 표시된 용량으로 치료한 B7-H4-Renca 종양 보유 마우스의 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43은 비결합 대조군 mIgG2a ADC, SGN-B7H4V mIgG2a, 항-PD-1 mAb, 또는 SGN-B7H4V mIgG2a와 항-PD-1 mAb의 조합, 또는 SGN-B7H4V mIgG2a 및 대조군 mAb의 조합을 표시된 용량으로 치료한 종양 보유 마우스의 B7-H4-Renca 종양의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암(예컨대, 고형 종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vcMMAE에 접합된 B7-H4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B7-H4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 ADC]가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개시의 ADC는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는 면역 세포의 동원을 일으키는 종양 부위에서 면역학적 반응을 유도한다. 본원에 개시된 ADC에 의해 촉발되는 면역학적 반응은 특정 면역 세포(예를 들어, CD4+, CD3+, CD8+ 세포)의 존재/부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인터페론의 방출, 염증 반응과 관련된 특정 전사물의 발현, 종양 세포를 식균할 수 있는 대식세포와 같은 특정 세포 유형의 마커 검출을 포함하여 다수의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ADC는 면역 요법, 예를 들어 PD-1 항체에 대한 반응성과 관련된 면역 특징을 촉발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ADC는 PD-1 항체와의 병용 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본원에 제공된 ADC는 또한 다른 미세소관 억제제와의 B7-H4 ADC 접합체와 비교하여 이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ADC는 DM1 또는 DM4에 접합된 B7-H4 항체와 비교하여 더 강력한 면역학적 반응을 유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vcMMAE 접합체는 DM1 또는 DM4에 접합된 B7-H4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ADC와 비교하여, 염증과 관련된 특정 면역 세포(예를 들어 CD4+, CD3+, CD8+ 세포)의 존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인터페론의 방출, 염증 반응과 관련된 특정 전사물의 발현, 및 예컨대 종양 세포를 식균하는 대식세포와 같은 특정 세포 유형의 마커의 존재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특정 기술 및 과학 용어가 아래 구체적으로 정의된다. 본 문헌에 달리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다른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가진다.
Ⅰ. 정의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단수 형태는 달리 문맥이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는 한 이에 상응하는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항체-약물 접합체' 또는 'ADC'는 세포독성 제제 또는 세포 증식 억제제에 접합된 항체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항체-약물 접합체는 세포 표면상에서 표적 항원(예를 들어, B7-H4)에 결합한 후, 세포 내로 항체-약물 접합체가 내재화되고 세포 내로 약물이 후속 방출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는 B7-H4-ADC이다.
'폴리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 쇄'는 자연적으로 또는 합성적으로 생산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이다. 약 10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의 폴리펩타이드는 흔히 '펩타이드'로 지칭된다.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폴리펩타이드 쇄를 포함하는 거대분자이다. 단백질은 또한 비펩타이드 성분, 예컨대 탄수화물기를 포함할 수 있다. 탄수화물 및 다른 비펩타이드 치환기는 단백질이 생산되는 세포에 의해 단백질에 첨가될 수 있고, 세포 유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단백질은 이의 아미노산 골격 구조의 측면에서 본원에 정의된다. 치환기, 예컨대 탄수화물기는 일반적으로 명시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아미노-말단' 및 '카복시-말단'은 폴리펩타이드 내의 위치를 나타낸다. 문맥에 따라 가능한 경우, 이들 용어는 근접 또는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폴리펩타이드의 특정 서열 또는 부분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펩타이드 내에서 기준 서열에 대해 카복시-말단에 위치된 특정 서열은 기준 서열의 카복시 말단에 대해 근접하게 위치하지만, 완전한 폴리펩타이드의 카복시 말단에 반드시 위치한 것은 아니다.
아미노산 치환을 보존적 또는 비보존적으로 분류할 목적으로, 다음 아미노산 치환은 보존적 치환으로 간주된다. 트레오닌, 알라닌 또는 아스파라긴이 치환된 세린; 프롤린 또는 세린이 치환된 트레오닌; 아스파트산, 히스티딘 또는 세린이 치환된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라긴이 치환된 아스파트산; 글루타민, 라이신, 아스파트산이 치환된 글루탐산; 아르기닌, 라이신 또는 글루탐산이 치환된 글루타민; 타이로신 또는 아스파라긴이 치환된 히스티딘; 라이신 또는 글루타민이 치환된 아르기닌; 아이소류신, 류신 또는 발린이 치환된 메싸이오닌; 류신, 발린 또는 메싸이오닌이 치환된 아이소류신; 발린, 아이소류신 또는 메싸이오닌이 치환된 류신; 타이로신 또는 트립토판이 치환된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 또는 페닐알라닌이 치환된 타이로신; 트레오닌이 치환된 프롤린; 세린이 치환된 알라닌; 글루탐산, 글루타민, 또는 아르기닌이 치환된 라이신; 메싸이오닌, 아이소류신 또는 류신이 치환된 발린; 및 페닐알라닌 또는 타이로신이 치환된 트립토판. 보존적 치환은 동일한 클래스 내의 아미노산 간의 치환도 포함할 수 있다.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 그룹 I(소수성 측쇄): Met, Ala, Val, Leu, Ile; 그룹 II(중성 친수성 측쇄): Cys, Ser, Thr; 그룹 III(산성 측쇄): Asp, Glu; 그룹 IV(염기성 측쇄): Asn, Gln, His, Lys, Arg; 그룹 V(사슬 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 Gly, Pro; 및 그룹 VI(방향족 측쇄): Trp, Tyr, Phe.
최대 대응을 위해 정렬될 때, 두 개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가 동일한 경우 두 개의 아미노산 서열은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서열 비교는 DNASTAR(Madison, Wisconsin)에서 제작한 LASERGENE 생물정보학 컴퓨팅 제품군에 포함된 것과 같은 표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최적의 정렬을 결정함으로써 두 개의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는 다른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문헌[Peruski and Peruski, The Internet and the New Biology: Tools for Genomic and Molecular Research (ASM Press, Inc. 1997); Wu et al. (eds.), 'Information Superhighway and Computer Databases of Nucleic Acids and Proteins,' in Methods in Gene Biotechnology 123-151 (CRC Press, Inc. 1997); Bishop (ed.), Guide to Human Genome Computing (2nd ed., Academic Press, Inc. 1998)] 참조). 두 개의 서열이 서로에 대해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또는 적어도 약 95%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경우, 두 개의 아미노산 서열은 '실질적인 서열 동일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백분율 서열 동일성은 카바트 넘버링 규약에 의해 최대로 정렬된 항체 서열로 결정된다. 정렬 후, 대상 항체 영역(예를 들어, 중쇄 또는 경쇄의 전체 가변 도메인)이 기준 항체의 동일한 영역과 비교되고 있는 경우, 대상 및 기준 항체 영역 간의 백분율 서열 동일성은, 대상 및 기준 항체 영역 모두에서 동일한 아미노산에 의해 점유된 위치의 수를, 갭을 계수하지 않은 두 개의 영역의 정렬된 위치의 총 수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하여 퍼센트로 전환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인용된 요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방법은 구제적으로 인용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체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성분과 병용하여 함유할 수 있다.
값의 범위의 지정은 해당 범위 이내 또는 범위를 한정하는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다른 단백질에서, 서열 번호에 의해 구체화되는 것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언급은 이러한 잔기의 번역후 변형을 포함한다.
용어 '항체'는 항원의 존재에 반응하여 신체에서 생산되고 항원에 결합하는 면역글로불린 단백질뿐만 아니라,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조작된 변이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항체'는 예를 들어 온전한 단일클론 항체(예를 들어,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된 항체) 및 항원 결합 항체 단편, 예컨대 F(ab')2, Fv 단편, 디아바디(diabody), 단일쇄 항체, scFv 단편, 또는 scFv-Fc를 포함한다. 유전적으로 조작된 온전한 항체 및 단편 예컨대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완전 인간 항체, 단일 쇄 Fv 단편, 단일 쇄 항체, 디아바디, 미니바디, 선형 항체, 다가 또는 다중-특이적(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하이브리드 항체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용어 '항체'는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고 이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단백질을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용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접합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ADC]'를 포함하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약학적 제제, 예를 들어 세포증식억제 또는 세포독성 약물에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된다.
용어 '유전자 조작 항체'는 아미노산 서열이 천연 항체 또는 모 항체의 서열과 다른 항체를 지칭한다. 가능한 변형은 많이 있으며, 이의 범위는 예를 들어, 단 하나의 또는 소수의 아미노산의 변화에서 가변 또는 불변 영역의 완전한 재설계까지 해당한다. 불변 영역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상보적 결합 및 다른 효과기 기능과 같은 특성을 개선하거나 변경시키기 위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가변 영역의 변화는 항원 결합 특성을 개선하고, 가변 영역 안정성을 개선하고/하거나 면역원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루어진다.
용어 '키메라 항체'는 중쇄 및/또는 경쇄의 부분이 특정 종(예를 들어, 인간)에서 유래하거나 특정 항체의 클래스 또는 하위클래스에 속하는 항체 내에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인 반면, 쇄(들)의 나머지는 또 다른 종(예를 들어, 마우스)에서 유래하거나 또 다른 항체의 클래스 또는 하위클래스에 속하는 항체 내에 상응하는 서열에 동일하거나 상동인 항체뿐만 아니라,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이러한 항체의 단편을 지칭한다.
용어 '인간'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좌에서 유래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의미하며, 이러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인간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이러한 정의는 온전한 또는 전장 항체 및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는 이의 항원에 결합하기에 충분한 항체의 부분이다. 최소 이러한 영역은 일반적으로 가변 도메인 또는 이의 유전자 조작 변이체이다. 단일 도메인 결합 부위는 낙타류 항체(문헌[Muyldermans and Lauwereys, Mol. Recog. 12: 131-140, 1999; Nguyen et al., EMBO J. 19:921-930, 2000] 참조)에서 생성되거나, 다른 종의 VH 도메인에서 생성되어 단일 도메인 항체([domain antibodies, 'dAbs'], 문헌[Ward et al., Nature 341: 544-546, 1989]; Winter 등의 미국 특허 제6,248,516호 참조)를 생산할 수 있다. 흔히,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는 공통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중쇄 가변[heavy chain variable, VH] 도메인과 경쇄 가변[light chain variable, VL] 도메인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항체는 예를 들어 항원 결합 부위 외에 하나 이상의 성분, 예컨대, (동일하거나 상이한 에피토프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의 제2 항원 결합 부위, 펩타이드 링커,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면역글로불린 힌지, 양친매성 나선(문헌[Pack and Pluckthun, Biochem. 31: 1579- 1584, 1992] 참조), 비펩타이드 링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문헌[Chaudri et al., FEBS Letters 450:23-26, 1999] 참조), 세포증식억제 또는 세포독성 약물 등을 포함하고, 항체는 단량체 또는 다량체 단백질일 수 있다.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분자의 예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Fv, 단일쇄 Fv[single-chain Fv, scFv], Fab, Fab', F(ab')2, F(ab)c, 디아바디, 미니바디, 나노바디(nanobodies), Fab-scFv 융합, 이중특이적(scFv)4-IgG 및 이중특이적(scFv)2-Fa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문헌[Hu et al, Cancer Res. 56:3055-3061, 1996; Atwell et al., Molecular Immunology 33: 1301-1312, 1996; Carter and Merchant, Curr. Op. Biotechnol. 8:449-454, 1997; Zuo et al., Protein Engineering 13:361-367, 2000; and Lu et al. , J. Immunol. Methods 267:213-226, 2002] 참조).
용어 '면역글로불린'은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암호화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타이드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지칭한다. 면역글로불린의 한 형태는 척추동물의 천연(즉, 천연 또는 모) 항체의 기본 구조 단위를 구성한다. 이 형태는 사량체이고, 면역글로불린쇄의 두 개의 동일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쌍은 하나의 경쇄 및 하나의 중쇄를 갖는다. 각각의 쌍에서,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VL 및 VH]은 함께 항원에 결합하는 것을 주로 담당하며, 불변 영역은 항체 효과기 기능을 주로 담당한다. 다섯 가지 유형의 면역글로불린 단백질(IgG, IgA, IgM, IgD 및 IgE)이 고등 척추동물에서 식별되었다. IgG는 주요 클래스를 포함하고, 혈장에서 발견되는 두 번째로 풍부한 단백질로 보통 존재한다. 인간에서 IgG는 IgG1, IgG2, IgG3 및 IgG4로 지정된 네 개의 하위 클래스로 구성된다. 각각의 면역글로불린 중쇄는 종의 주어진 하위 클래스에 대해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불변 영역 단백질 도메인(CH1, 힌지, CH2 및 CH3, IgG3도 CH4 도메인을 함유함)으로 이루어진 불변 영역을 보유한다.
인간 및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쇄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Ellison et al, DNA 1: 11-18, 1981; Ellison et al, Nucleic Acids Res. 10:4071-4079, 1982; Kenten et al., Proc. Natl. Acad. Set USA 79:6661-6665, 1982; Seno et al., Nucl. Acids Res. 11 :719-726, 1983;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7, 1988; Amster et al., Nucl. Acids Res. 8:2055-2065, 1980; Rusconi and Kohler, Nature 314:330-334, 1985; Boss et al., Nucl. Acids Res. 12:3791-3806, 1984; Bothwell et al., Nature 298:380-382, 1982; van der Loo et al., Immunogenetics 42:333-341, 1995; Karlin et al., J. Mol. Evol. 22: 195-208, 1985; Kindsvogel et al., DNA 1 :335-343, 1982; Breiner et al., Gene 18: 165-174, 1982; Kondo et al., Eur. J. Immunol. 23:245-249, 1993; 및 유전자 은행 수탁 번호 J00228] 참조) 면역글로불린 구조 및 기능을 검토하려면, 문헌[Putnam, The Plasma Proteins, Vol V, Academic Press, Inc., 49-140, 1987; and Padlan, Mol. Immunol. 31: 169-217, 1994]을 참조한다. 용어 '면역글로불린'은 문맥에 따라 온전한 항체, 이의 성분 쇄, 또는 쇄의 단편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의미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전장 면역글로불린 '경쇄'(약 25 kDa 또는 214개의 아미노산)는 아미노 말단에서 (약 110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가변 영역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고, 카복실 말단에서 카파 또는 람다 불변 영역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전장 면역글로불린 '중쇄'(약 50 kDa 또는 446개의 아미노산)는 (약 116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가변 영역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고 및 감마, 뮤, 알파, 델타, 또는 엡실론 (약 330개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불변 영역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며, 후자는 항체의 동형을 각각 IgG, IgM, IgA, IgD, 또는 IgE로 정의한다. 경쇄 및 중쇄 내에서, 가변 및 불변 영역은 약 12개 이상의 아미노산의 'J' 영역에 의해 연결되며, 중쇄는 또한 약 10개 이상의 아미노산의 'D' 영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문헌[Fundamental Immunology (Paul, ed., Raven Press, N.Y., 2nd ed. 1989), Ch. 7] 참조).
면역글로불린 경쇄 또는 중쇄 가변 영역(본원에서 각각 '경쇄 가변 도메인'['VL 도메인'] 또는 '중쇄 가변 도메인'['VH 도메인']으로도 지칭됨)은 세 개의 '상보성 결정 영역' 또는 'CDR'에 의해 중단되는 '프레임워크'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워크 영역은 항원의 에피토프에 대한 특이적 결합을 위해 CDR을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용어 'CDR'은 항원 결합을 주로 담당하는 항체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한다. 아미노 말단에서 카복실 말단까지, VL 및 VH 도메인은 모두 다음 프레임워크(framework, FR) 및 CDR 영역 즉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변 영역 도메인에 대한 아미노산 할당은 카바트 정의, 문헌[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87 and 1991)]에 따른 것이다. 카바트는 상이한 중쇄 가변 영역 또는 상이한 경쇄 가변 영역 간의 상응하는 잔기가 동일한 번호에 할당되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넘버링 규약(카바트 넘버링)을 또한 제공한다. VL 도메인의 CDR 1, 2 및 3은 또한 본원에서 각각 CDR-L1, CDR-L2 및 CDR-L3으로 지칭된다. VH 도메인의 CDR 1, 2 및 3은 또한 본원에서 각각 CDR-H1, CDR-H2 및 CDR-H3으로 지칭된다. 그렇게 언급된 경우, CDR의 할당은 카바트 대신 IMGT®(문헌[Lefranc et al., Developmental & Comparative Immunology 27:55-77; 2003])에 따를 수 있다.
중쇄 불변 영역의 넘버링은 카바트(카바트, 문헌[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87 and 1991])에 명시된 EU 지수를 통해 이루어진다.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용어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통해 생산된 항체로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단일클론 항체'는 임의의 진핵생물, 원핵생물 또는 파지 클론을 포함하는 단일 클론에서 유래한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용어 '인간화 VH 도메인' 또는 '인간화 VL 도메인'은 비인간 공여자 면역글로불린(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래트)에서 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일부 또는 모든 CDR 및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에서 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가변 도메인 프레임워크 서열을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VH 또는 VL 도메인을 지칭한다. CDR을 제공하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은 '공여자'로 불리며,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은 '수용자'로 불린다. 어떤 경우에는, 인간화 항체는 적절한 결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 가변 도메인 프레임워크 영역 내에 일부 비인간 잔기를 보유할 것이다(예를 들어, 항체가 인간화될 때 결합 친화도를 보존하기 위해 프레임워크의 돌연변이가 필요할 수 있다).
'인간화 항체'는 인간화 VH 도메인 및 인간화 VL 도메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항체이다.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들)이 존재할 필요는 없지만, 존재할 경우 전체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에서 유래한다.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공여자' 항체에서의 CDR이 인간 '수용체' 항체 서열 내로 접목된 유전자 조작 항체이다(예를 들어, Queen, 미국 특허 5,530,101 및 5,585,089; Winter, 미국 특허 5,225,539; Carter, 미국 특허 6,407,213; Adair, 미국 특허 5,859,205; 및 Foote, 미국 특허 6,881,557 참조). 수용체 항체 서열은 예를 들어, 성숙한 인간 항체 서열, 이러한 서열의 복합체, 인간 항체 서열의 공통 서열, 또는 생식계열 영역 서열일 수 있다.
인간 수용체 서열은 다른 기준 중에서 수용체와 공여자 CDR 간의 정준 형태와 일치하도록 공여자 서열을 갖는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에서 높은 수준의 서열 동일성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간화 항체는 공여자 항체에서 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유래한 CDR 및 만약 존재하는 경우, 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인간 항체 서열에서 유래한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서열 및 불변 영역을 갖는 항체이다. 유사하게, 인간화 중쇄는 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공여자 항체 중쇄에서 유래한 일반적으로 모든 3개의 CDR, 및 만약 존재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인간 중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및 불변 영역 서열에서 유래한 중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서열 및 중쇄 불변 영역을 갖는다. 유사하게, 인간화 경쇄는 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공여자 항체 경쇄에서 유래한 일반적으로 모든 3개의 CDR, 및 만약 존재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인간 경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및 불변 영역 서열에서 유래한 경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서열 및 경쇄 불변 영역을 갖는다.
인간화 항체 내 CDR은 (카바트 넘버링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잔기의 적어도 약 80%, 약 81%, 약 82%, 약 83%, 약 84%, 약 85%, 약 86%, 약 87%, 약 88%, 약 89%, 약 9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또는 약 99%, 또는 (카바트 넘버링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잔기의 약 100%가 각각의 CDR 간에 동일한 경우, 비인간 항체 내 상응하는 CDR에서 실질적으로 유해한다. 항체 쇄의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서열 또는 항체 쇄의 불변 영역은, (가변 영역에 대하여 카바트 넘버링 및 불변 영역에 대하여 EU 넘버링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잔기의 적어도 약 80%, 약 81%, 약 82%, 약 83%, 약 84%, 약 85%, 약 86%, 약 87%, 약 88%, 약 89%, 약 9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또는 약 99%, 또는 (가변 영역에 대하여 카바트 넘버링 및 불변 영역에 대하여 EU 넘버링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잔기의 100%가 동일한 경우, 인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서열 또는 인간 불변 영역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유래한다.
인간화 항체는 종종 마우스 항체에서의 (카바트 또는 IMGT®에 의해 바람직하게 정의된 바와 같은) 6개 CDR 모두를 혼입하지만, 이들은 마우스 항체에서의 모든 6개 CDR 미만의 CDR(예를 들어, 적어도 3, 4 또는 5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예를 들어, 문헌[Pascalis et al., J. Immunol. 169:3076, 2002; Vajdos et al.,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320: 415-428, 2002; Iwahashi et al., Mol. Immunol. 36:1079-1091, 1999; Tamura et al, Journal of Immunology, 164: 1432- 1441, 2000)] 참조).
인간화 항체 내 CDR은, [카바트(또는 IMGT)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상응하는 잔기의 적어도 6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100%가 각각의 CDR 간에 동일한 경우, 비인간 항체 내 상응하는 'CDR에서 실질적으로 유래'한다. CDR이 실질적으로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에서 유래하는 인간화 VH 또는 VL 도메인의 특정 변형에서, 인간화 VH 또는 VL 도메인의 CDR은 상응하는 비인간 VH 또는 VL CDR 대비 3개 CDR 모두에 걸쳐 6개 이하(예를 들어, 5개 이하, 4개 이하, 3개 이하, 2개 이하, 또는 1개 이하)의 아미노산 치환(바람직하게는 보존적 치환)을 갖는다. 항체 VH 또는 VL 도메인의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서열, 또는 존재하는 경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서열은, (불변 영역에 대하여 카바트 넘버링 및 불변 영역에 대하여 EU 넘버링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잔기의 적어도 약 80%, 약 81%, 약 82%, 약 83%, 약 84%, 약 85%, 약 86%, 약 87%, 약 88%, 약 89%, 약 9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또는 약 99%, 또는 (불변 영역에 대하여 카바트 넘버링 및 불변 영역에 대하여 EU 넘버링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잔기의 약 100% 동일한 경우, 인간 VH 또는 VL 프레임워크 서열 또는 인간 불변 영역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유래한다. 따라서, CDR을 제외하고, 인간화 항체의 모든 부분은 일반적으로 천연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상응하는 부분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유래한다.
항체는 일반적으로 단리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항체는 전형적으로 이의 생산 또는 정제에서 생기는 간섭 단백질 및 다른 오염물질이 적어도 약 50% w/w 순수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항체가 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과량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들) 또는 다른 비히클과 조합될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때때로, 항체는 생산 또는 정제에서 얻은 간섭 단백질 및 오염물질의 적어도 60%, 약 70%, 약 80%, 약 90%, 약 95% 또는 약 99% w/w 순수하다. 단리된 항체를 포함한 항체는 세포독성 작용제에 접합되어 항체-약물 접합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표적 항원에 대한 항체의 특이적 결합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106, 약 107, 약 108, 약 109, 또는 약 1010 M-1의 친화도를 의미한다. 특이적 결합은 더 높은 등급으로 검출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비특이적 표적에게 일어나는 비특이적 결합과 구별 가능하다. 특이적 결합은 특정한 작용기 간에 결합의 형성 또는 특정한 공간 적합(예를 들어, 자물쇠와 열쇠 유형)의 결과일 수 있는 반면, 비특이적 결합은 전형적으로 반 데 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의 결과이다.
용어 '에피토프'는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의 부위를 지칭한다. 에피토프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삼차 접힘에 의해 병치된 인접 아미노산 또는 비인접 아미노산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인접 아미노산에서 형성된 에피토프는 변성 작용제로의 노출 시 전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삼차 접힘에 의해 형성된 에피토프는 전형적으로, 변성 작용제, 예를 들어, 용매를 이용한 치료 시 손실된다. 에피토프는 고유의 공간적 형태로 적어도 약 3개, 그리고 더욱 통상적으로, 적어도 약 5개, 적어도 약 6개, 적어도 약 7개, 또는 약 8~10개 아미노산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에피토프의 공간적 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x-선 결정학 및 2차원 핵자기 공명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문헌[Epitope Mapping Protocols,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66, Glenn E. Morris, Ed. (1996)]을 참조한다.
동일하거나 중첩하는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체는, 하나의 항체가 표적 항원에 대한 또 다른 항체의 결합과 경쟁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간단한 면역검정에서 식별될 수 있다. 항체의 에피토프는 접촉 잔기를 식별하는 항원에 결합된 항체의 X-선 결정학에 의하여 또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항원 내 모든 아미노산 돌연변이가 다른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경우(단, 이러한 돌연변이는 항원 구조 내 전반적 변경을 생산하지 않음), 두 개의 항체는 동일한 에피토프를 갖는다. 하나의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일부 아미노산 돌연변이가 다른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경우, 두 개의 항체는 중첩된 에피토프를 갖는다.
항체 간의 경쟁은, 시험 항체가 공통의 항원에 대한 기준 항체의 특이적 결합을 억제하는 검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Junghans et al., Cancer Res. 50: 1495, 1990] 참조). 과량의 시험 항체가 기준 항체의 결합을 억제하는 경우, 시험 항체는 기준 항체와 경쟁한다.
경쟁 검정에 의해 식별된 항체(경쟁 항체)는 기준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 및 입체 방해가 일어나도록 기준 항체에 의해 결합하는 에피토프에 충분히 근위인 인접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경쟁 분석에 의해 식별된 항체에는 표적 단백질의 형태 변화를 유발하여 기준 항체가 시험 항체에 의해 결합된 것과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준 항체와 간접적으로 경쟁하는 항체도 포함된다.
항체 효과기 기능은 Ig의 Fc 영역에 의해 기여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어,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항체-의존성 세포 포식작용[antibody-dependent cellular phagocytosis, ADCP], 또는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CDC]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어, 포식 작용 또는 용해 활성을 갖는 면역 세포상의 Fc 수용체에 대한 Fc 영역의 결합 또는 보체 시스템의 성분에 대한 Fc 영역의 결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Fc-결합 세포 또는 보체 성분에 의해 매개되는 효과(들)는 B7-H4-표적 세포의 억제 및/또는 고갈을 야기한다. 항체의 Fc 영역은 Fc 수용체[Fc receptor, FcR]-발현 세포를 동원하여 항체 코팅된 표적 세포와 병치할 수 있다. FcγRIII(CD16), FcγRII(CD32) 및 FcγRIII(CD64)를 포함하는 IgG에 대해 표면 FcR을 발현하는 세포는 IgG-코팅된 세포의 파괴를 위한 효과기 세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기 세포로는 단핵구, 대식세포, 자연 살해[natural killer, NK] 세포, 호중구 및 호산구가 포함된다. IgG에 의한 FcγR의 결합은 ADCC 또는 ADCP를 활성화한다. ADCC는 막 세공 형성 단백질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분비를 통해 CD16+ 효과기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반면, 포식 작용은 CD32+ 및 CD64+ 효과기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예를 들어, 문헌[Fundamental Immunology, 4th ed., Paul ed., Lippincott-Raven, N.Y., 1997, Chapters 3, 17 and 30; Uchida et al., J. Exp. Med. 199:1659-69, 2004; Akewanlop et al., Cancer Res. 61:4061-65, 2001; Watanabe et al., Breast Cancer Res. Treat. 53: 199-207, 1999] 참조).
ADCC 및 ADCP 외에도 세포 결합 항체의 Fc 영역은 보체의 고전적 경로를 활성화하여 CDC를 유도할 수도 있다. 보체 시스템의 C1q는 항체가 항원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경우 항체의 Fc 영역에 결합한다. 세포 결합된 항체에 대한 C1q의 결합은 C4 및 C2의 단백질분해 활성화를 포함하는 일련의 사건을 개시하여 C3 전환효소를 생성할 수 있다. C3 전환효소에 의한 C3b로의 C3의 절단은 C5b, C6, C7, C8 및 C9를 포함한 말단 보체 성분을 활성화시킨다. 종합적으로, 이들 단백질은 항체 코팅 세포상에서 막 공격 복합체 세공을 형성한다. 이러한 세공은 세포막 완전성을 파괴하여 표적 세포를 사멸시킨다(문헌[Immunobiology, 6th ed., Janeway et al, Garland Science, N. Y., 2005, Chapter 2] 참조).
용어 '항체-의존성 세포성 세포독성' 또는 'ADCC'는 항체-코팅된 표적 세포와 용해 활성을 갖는 면역 세포(효과기 세포로도 지칭됨)의 상호작용에 의존하는 세포 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기 세포로는 자연살해 세포, 단핵구/대식세포, 및 호중구가 포함된다. 효과기 세포는 항원 결합 부위를 통해 표적 세포에 결합된 Ig의 Fc 영역에 부착된다. 항체 코팅된 표적 세포의 사멸은 효과기 세포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항-B7-H4 IgG1 항체는 모 항체 및/또는 항-B7-H4 IgG3 항체 대비 동일하거나 증가된 ADCC를 매개한다.
용어 '항체 의존성 세포 포식 작용' 또는 'ADCP'는 항체 코팅된 세포가 Ig의 Fc 영역에 결합하는 포식 면역 세포(예를 들어, 대식세포, 호중구 및/또는 수지상 세포)에 의해 전체 또는 일부가 내재화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항-B7-H4 IgG1 항체는 모 항체 및/또는 항-B7-H4 IgG3 항체 비 동일하거나 증가된 ADCP를 매개한다.
용어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또는 'CDC'는 표적 결합된 항체의 Fc 영역이 표적 세포막 내의 세공 형성을 정점으로 하는 일련의 효소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항체 코팅된 표적 세포에 있는 것과 같은 항원 항체 복합체는 보체 성분 C1q에 결합하여 이를 활성화하며, 이는 결국 표적 세포를 사멸하게 되는 보체 캐스케이드를 활성화한다. 보체의 활성화는 또한 백혈구상의 보체 수용체(예를 들어, CR3)와 결합하여 ADCC를 촉진하는 보체 성분이 표적 세포 표면에 침착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세포독성 효과'는 표적 세포의 고갈, 제거 및/또는 사멸을 의미한다. '세포독성 작용제'는 세포상에 세포독성 효과를 가짐으로써 표적 세포의 고갈, 제거 및/또는 사멸을 매개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세포독성 작용제는 항체에 접합되거나 항체와 병용하여 투여된다. 적합한 세포독성 작용제는 본원에 더 기재되어 있다.
'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세포 증식의 억제를 지칭한다. '세포 증식 억제 작용제'는 세포상에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짐으로써, 특정 세포 유형 및/또는 세포의 하위집합의 성장 및/또는 확장의 억제를 매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적합한 세포 증식 억제 작용제는 본원에 더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대상' 및 '환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유기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유기체에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예를 들어, 마우스, 유인원, 말, 소, 돼지, 개과, 고양이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 '치료' 및 '치료하는'은 임의의 효과, 예를 들어, 병태, 질환, 장애 등을 개선하는 경감, 감소, 조절, 개선 또는 제거, 또는 이의 증상 호전, 예를 들어, 암 세포의 수 감소, 종양 크기의 감소, 말초 기관으로의 암 세포 침윤의 속도 감소, 또는 종양 전이 또는 종양 성장의 속도 감소를 포함한다.
암(예를 들어, 고형암 또는 유방암)으로 진단되거나 이를 보유한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에 적용되는 '종양'은 임의의 크기의 악성 또는 잠재적 악성 신생물 또는 조직 덩어리를 지칭한다.
'종양 부하'라고도 지칭되는 '종양 부담'은 전신에 분포된 종양 물질의 총량을 지칭한다. 종양 부담은 림프절과 골수를 포함하여 전신에 걸친 암세포의 총 수 또는 종양(들)의 총 크기를 지칭한다. 종양 부담은 예를 들어 캘리퍼를 사용하여 대상에서 제거 시 종양(들)의 치수를 측정하거나, 체내에 있는 동안 영상 기법, 예를 들어, 초음파, 뼈 스캔,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또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스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용어 '종양 크기'는 종양의 길이 및 폭으로 측정될 수 있는 종양의 전체 크기를 의미한다. 종양 크기는 예를 들어 캘리퍼를 사용하여 대상에서 제거 시 종양(들)의 치수를 측정하거나, 체내에 있는 동안 영상 기법, 예를 들어, 뼈 스캔, CT 또는 MRI 스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유익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기에 충분한 화합물(예를 들어,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의 양을 의미한다. 유효량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하나 이상의 투여, 적용 또는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특정 제제 또는 투여 경로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동물 및 더욱 특히 인간에서의 사용에 대하여 연방 또는 주 정부의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되거나 미국 약전 또는 다른 일반적으로 인정된 약전에 열거된 것을 의미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성분'은 항-B7-H4 항체(예를 들어, B7-H4-ADC)가 제형화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보조제, 부형제 또는 비히클을 지칭한다.
어구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또는 무기 염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염으로는 설페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옥살레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나이트레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산 포스페이트, 아이소니코티네이트, 락테이트, 살리실레이트, 산 시트레이트, 타트레이트, 올레이트, 탄네이트, 판토테네이트, 바이타트레이트, 아스코베이트, 석시네이트, 말레이트, 젠티시네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사카레이트, 포메이트, 벤조에이트, 글루타메이트, 메테인설포네이트, 에테인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p 톨루엔설포네이트, 및 파모에이트[즉, 1,1'-메틸렌-비스-(2 하이드록시-3-나프토에이트)] 염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세테이트 이온, 석시네이트 이온 또는 기타 반대이온과 같은 추가 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대이온은 모 화합물상의 전하를 안정화시키는 임의의 유기 또는 무기 모이어티일 수 있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이의 구조에 하나 초과의 하전된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하전된 원자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일부인 경우에는 다수의 반대이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하전된 원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반대이온을 가질 수 있다.
'백금계 요법'은 백금계 작용제를 이용한 치료를 지칭한다. '백금계 작용제'는 화학 원소 백금을 포함하고 화학 요법 약물로서 유용한 배위 복합체를 함유하는 분자 또는 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백금계 작용제는 일반적으로 DNA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하며 일부는 알킬화 활성을 갖는다. 백금계 작용제에는 현재 화학요법 요법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는 작용제, 현재 개발 중인 작용제 및 향후 개발될 수 있는 작용제가 포함된다.
문맥에서 달리 명백하지 않는 한, 값이 '약' X 또는 '대략' X로 표현될 때, 언급된 X의 값은 ±10%까지 정확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매화물은 용매 분자와의 배위를 통해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형태이다. 수화물은 물과 배위결합이 일어나는 특정 형태의 용매화물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매화물은 수화물이다.
Ⅰ. 항-B7-H4 항체, 항원 결합 단편 및 항체-약물 접합체
일부 양태에서,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는 항-B7-H4 항체이다.
일부 양태에서,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 ADC]가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는 B7-H4-ADC이다.
일부 양태에서,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앓고 있거나 암에 걸릴 위험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는 B7-H4-ADC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항-B7-H4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항-B7-H4 단일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완전 인간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화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모이어티 예컨대 세포독성 작용제(예를 들어, 항튜불린 작용제가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에 접합된다.
SGN-B7H4V는 단백질 분해효소 절단 가능 펩타이드 링커를 통해 미세소관 파괴 작용제인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monomethyl auristatin E, MMAE)에 접합된 완전 인간 IgG1 항-B7-H4 단일클론 항체[mAb]로 구성된 항체-약물 접합체[ADC]이다(문헌[Doronina et al., 2003. Nat Biotechnol 21, 778-784]). 이 '베도틴' 약물 링커 시스템은 다수의 ADC 프로그램에 의해 임상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는 브렌툭시맙 베도틴(AdcetrisTM), 엔포투맙 베도틴(PADCEVTM), 및 폴라투주맙 베도틴(POLIVYTM)을 포함한다(문헌[Rosenberg et al., 2019, J Clin Oncol 37, 2592-2600; Senter and Sievers, 2012, Nat Biotechnol 30, 631-637; Tilly et al., 2019, Lancet Oncol 20, 998-1010]). SGN-B7H4V의 항체 성분은 1상 임상 시험에서 유리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B7-H4를 표적으로 하는 탈푸코실화된 mAb인 B7H41001와 유사한 프로파일을 가져야 하는 푸코실화된 mAb이다(문헌[Wainberg, 2019, 'Phase 1 Update in Advanced Solid Tumors: Monotherapy and in Combination with Pembrolizumab,' presented at: ESMO 2019 Congress (Annals of Oncology)]).
본 발명은 단리된 재조합 및/또는 합성 인간, 영장류, 설치류, 포유동물, 키메라, 인간화 및/또는 CDR-이식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뿐만 아니라 하나의 항체 분자의 적어도 일부를 암호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이러한 핵산 및 항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인간화 항-B7-H4 IgG1 항체가 제공된다. 다른 예시적 구현예에서, 인간화 항-B7-H4 IgG1 항체-약물 접합체가 제공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완전 인간 항-B7-H4 IgG1 항체가 제공된다. 다른 예시적 구현예에서, 완전 인간 항-B7-H4 IgG1 항체-약물 접합체가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를 위한 항체-약물 접합체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는 아우리스타틴에 접합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우리스타틴은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은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항-B7-H4-항체-약물 접합체(즉, B7-H4-ADC)는 세포독성 작용제에 접합된 인간 B7-H4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한다.
SGN-B7H4V는 단백질 분해효소 절단 가능 링커(즉, 발린-시트룰린 링커)를 통해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MMAE)에 접합된 완전 인간 항-B7-H4 단일클론 IgG1 항체[mAb]를 포함한다. B7-H4 발현 세포에 결합 시, SGN-B7H4V는 내재화되어 마이크로튜불린을 파괴하고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MMAE를 방출한다.
B7-H4 ADC(예컨대 SGN-B7H4V가 있으나 에 국한되지 않음)는 완전 인간 항-B7-H4 항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항체의 예는 미국 특허 공개 US20190085080에 기재되어 있다. 특정 항-B7-H4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또한 미국 특허 공개 US20190085080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예를 들어, 키메라,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와 같은 단일클론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인간, 시노몰구스 원숭이, 마우스 및 래트 B7-H4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 서열번호 1~4로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에 제공된다.
표 1A: 인간, 시노몰구스 원숭이, 마우스 및 래트 B7-H4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
본원에 기재된 방법, 항체 또는 항체-접합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및 시노몰구스 원숭이 B7-H4에 결합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마우스 및 래트 B7-H4에 결합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시노몰구스 원숭이, 마우스 및 래트 B7-H4 중 하나 이상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B7-H4는 IgC 엑토도메인(서열번호 1의 153~241번 아미노산) 및 IgV 도메인(서열번호 1의 35~146번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의 IgV 도메인에 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의 35~146번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에 결합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1B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1B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1B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서열 번호 5, 6, 7, 8, 9 및 10을 포함하는 6개의 CDR(즉, 서열 번호 5, 6 및 7을 포함하는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서열 번호 8, 9 및 10을 포함하는 3개의 VL CDR)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CDR1, 서열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CDR2, 및 서열 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CDR3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CDR1, 서열 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CDR2, 및 서열 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CDR3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80%인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80%인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0%인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0%인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5%인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5%인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8%인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8%인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9%인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적어도 99%인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서열번호 13의 중쇄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서열번호 14의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표 1B: B7-H41001 mAb에 대한 CDR, 가변 영역, 및 전장 항체 아미노산 서열.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한다.
표 2. VH CDR 아미노산 서열(카바트)
표 3. VL CDR 아미노산 서열(카바트)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4 및 5에 나열된 항체의 VH 및 VL(즉, 표 4에 나열된 항체의 VH 및 표 5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VL)을 포함한다.
표 4. VH 아미노산 서열
표 5. VL 아미노산 서열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6에 나열된 항체의 중쇄 서열을 포함한다.
표 6: 전장 중쇄 아미노산 서열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7에 나열된 항체의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표 7: 전장 경쇄 아미노산 서열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6 및 7에 나열된 항체의 중쇄 서열 및 경쇄 서열(즉, 표 6에 나열된 항체의 중쇄 서열 및 표 7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대해 적어도 80%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대해 적어도 80%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대해 적어도 8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대해 적어도 8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1B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2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대해 적어도 96%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대해 적어도 96%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대해 적어도 97%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대해 적어도 97%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적어도 98%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적어도 98%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B7-H4에 결합하고, 표 2 및 3에 나열된 항체의 6개의 CDR(즉, 표 2에 나열된 항체의 3개의 VH CDR 및 표 3에 나열된 동일한 항체의 3개의 VL CDR)을 포함하고, 표 4의 동일한 항체의 VH 서열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표 5의 동일한 항체의 VL 서열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시노몰구스 원숭이, 래트 및/또는 마우스 B7- H4에 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T 세포 증식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IFN-감마 생산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B7-H4-발현 세포에 대한 ADCC 활성을 매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B7-H4-발현 세포에 대한 ADCC 활성을 매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B7-H4-발현 세포에 대한 CDC 활성을 매개하지 않는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이의 VL 도메인 단독, 또는 이의 VH 도메인 단독, 또는 이의 3개 VL CDR 단독, 또는 이의 3개 VH CDR 단독에 의해 기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경쇄 또는 중쇄 라이브러리에서 각각 상보적 경쇄 또는 중쇄를 식별하여 원래 항체의 친화도만큼 높거나 이보다 높은 친화도를 갖는 인간화 항체 변이체를 생성하는 마우스 항-ανβ3항체의 인간화를 기재하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Rader C et al., (1998) PNAS 95: 8910-8915]을 참조한다. 또한, 특정 VL 도메인(또한 VH 도메인)을 사용하고 상보적 변이체 도메인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함으로써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을 기재하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Clackson T et al., (1991) Nature 352: 624-628]을 참조한다. 이 스크리닝으로 인해 특정 VH 도메인에 대한 14개의 신규 파트너 및 특정 VL 도메인에 대한 13개의 신규 파트너가 생산되었고, 이들은 ELISA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강한 결합제였다. 또한, 특정 VH 도메인을 사용하여 상보적 VL 도메인에 대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인간 VL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함으로써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을 기재하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Kim SJ & Hong HJ, (2007) J Microbiol 45: 572-577]을 참조하고, 그리하여, 선택된 VL 도메인은 추가 상보적(예를 들어, 인간) VH 도메인의 선택을 지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CDR은 면역글로불린 구조 루프의 위치를 나타내는 코티아 넘버링 체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Chothia C & Lesk AM, (1987), J Mol Biol 196: 901- 917; Al-Lazikani B et al., (1997) J Mol Biol 273 : 927-948; Chothia C et al., (1992) J Mol Biol 227: 799-817; Tramontano A et al., (1990) J Mol Biol 215(1): 175-82; 및 미국 특허 제7,709,226호] 참조). 일반적으로, 카바트 넘버링 규약을 이용하는 경우, 코티아 CDR-H1 루프는 26 내지 32번, 33번, 또는 34번 중쇄 아미노산에 존재하고, 코티아 CDR-H2 루프는 52 내지 56번 중쇄 아미노산에 존재하고, 코티아 CDR-H3 루프는 95 내지 102번 중쇄 아미노산에 존재하는 반면, 코티아 CDR-L1 루프는 24 내지 34번 경쇄 아미노산에 존재하고, 코티아 CDR-L2 루프는 50 내지 56번 경쇄 아미노산에 존재하고, 코티아 CDR-L3 루프는 89 내지 97번 경쇄 아미노산에 존재한다. 카바트 넘버링 규약을 사용하여 넘버링된 경우 코티아 CDR-H1의 끝은 루프의 길이에 따라 H32 및 H34 사이로 다양해진다(이는 카바트 넘버링 체계가 H35A 및 H35B에 삽입을 배치하기 때문이고, 35A 또는 35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루프는 32에서 끝나고, 35A만 존재하는 경우, 루프는 33에서 끝나며, 35A 및 35B 둘 다 존재하는 경우, 루프는 34에서 끝난다).
특정 양태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표 4 및 5에 나열된 항체의 코티아 VH 및 VL CDR를 포함하는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코티아 및 카바트 CDR이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하나 이상의 CDR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카바트 CDR 및 코티아 CDR의 조합을 포함하는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특정 양태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CDR은 문헌[Lefranc M-P, (1999) The Immunologist 7: 132-136 and Lefranc M-P et al., (1999) Nucleic Acids Res 27: 209-212]에 기재된 IMGT 넘버링 시스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MGT 넘버링 체계에 따르면, VH-CDR1은 26 내지 35번 위치에 있고, VH-CDR2는 51 내지 57번 위치에 있고, VH-CDR3은 93 내지 102번 위치에 있으며, VL-CDR1은 27 내지 32번 위치에 있고, VL-CDR2은 50 내지 52버 위치에 있고, VL-CDR3은 89 내지 97번 위치에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예를 들어, 위의 문헌[Lefranc M-P (1999) and Lefranc M-P et al., (1999)]에 기재된 표 4 및 5에 나열된 항체의 IMGT VH 및 VL CDR을 포함하는 항원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특정 양태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CDR은 문헌[MacCallum RM et al., (1996) J Mol Biol 262: 732-745]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Martin A. 'Protein Sequence and Structure Analysis of Antibody Variable Domains,' in Antibody Engineering, Kontermann and Diibel, eds., Chapter 31, pp. 422-439, Springer- Verlag, Berlin (2001)]을 또한 참조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문헌[MacCallum RM et al]의 방법에 의해 결정된 표 4 및 5에 나열된 항체의 VH 및 VL CDR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특정 양태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CDR은 AbM 넘버링 체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이는 카바트 CDR 및 코티아 구조 루프 사이의 절충을 나타내고, Oxford Molecular의 AbM 항체 모델링 소프트웨어(Oxford Molecular Group, Inc.)에서 사용되는 AbM 초가변 영역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bM 넘버링 체계에 의해 결정된 표 4 및 5에 나열된 항체의 VH 및 VL CDR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특정 양태에서,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중쇄와 관련하여,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의 중쇄는 알파(a), 델타(δ), 엡실론(ε), 감마(γ) 또는 뮤(μ) 중쇄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기재된 항체의 중쇄는 인간 알파(a), 델타(δ), 엡실론(ε), 감마(γ) 또는 뮤(μ) 중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중쇄를 포함하되, VH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 4에 명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중쇄의 불변 영역은 인간 감마(γ) 중쇄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중쇄를 포함하되, VH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 4에 명시된 서열을 포함하고, 중쇄의 불변영역은 본원에 기재되거나 당업계에 알려진 인간 중쇄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인간 불변 영역 서열의 비제한 예는 당해 분야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93,780호 및 위의 문헌[Kabat EA et al., (1991)]을 참조한다.
경쇄와 관련하여,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의 경쇄는 카파 경쇄이다. 인간 카파 경쇄의 불변 영역은 다음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서열 번호 89).
인간 카파 경쇄의 불변 영역은 다음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CGGACCGTGGCTGCACCATCTGTCTTCATCTTCCCGCCATCTGATGAGCAG TTGAAATCTGGAACTGCCTCTGTTGTGTGCCTGCTGAATAACTTCTATCCCAGAGAG GCCAAAGTACAGTGGAAGGTGGATAACGCCCTCCAATCGGGTAACTCCCAGGAGAG TGTCACAGAGCAGGACAGCAAGGACAGCACCTACAGCCTCAGCAGCACCCTGACGC TGAGCAAAGCAGACTACGAGAAACACAAAGTCTACGCCTGCGAAGTCACCCATCAG GGCCTGAGCTCGCCCGTCACAAAGAGCTTCAACAGGGGAGAGTGT(서열 번호 90).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의 경쇄는 람다 경쇄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의 경쇄는 인간 카파 경쇄 또는 인간 람다 경쇄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 폴리펩타이드(예를 들어, 인간 B7-H4)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경쇄를 포함하되, VL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 5에 명시된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의 불변 영역은 인간 카파 경쇄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경쇄를 포함하되, VL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 5에 명시된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의 불변 영역은 인간 람다 경쇄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경쇄를 포함하되, VL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 5에 명시된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의 불변 영역은 인간 카파 또는 람다 경쇄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인간 불변 영역 서열의 비제한적 예는 당업계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93,780호 및 위의 문헌[Kabat EA et al., (1991)]을 참조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 VL 도메인을 포함하고, 불변 영역은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 면역글로불린 분자 또는 인간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B7-H4(예를 들어, 인간 B7-H4)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 VL 도메인을 포함하고, 불변 영역은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 면역글로불린 분자,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임의의 클래스(예를 들어, IgGl, IgG2, IgG3, IgG4, IgAl, 및 IgA2), 또는 임의의 하위클래스(예를 들어, IgG2a 및 IgG2b)의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불변 영역은 인간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 면역글로불린 분자,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임의의 클래스(예를 들어, IgGl, IgG2, IgG3, IgG4, IgAl, 및 IgA2), 또는 임의의 하위클래스(예를 들어, IgG2a 및 IgG2b)의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인간 IgGl 중쇄의 불변 영역은 다음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AS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 GALTSGVHTFPAVLQSSGYS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KKVEPKSC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 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서열 번호 91).
인간 IgG1 중쇄의 불변 영역은 다음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GCCTCCACCAAGGGCCCATCGGTCTTCCCCCTGGCACCCTCCTCCAAGAGCACCTCTGGGGGCACAGCGGCCCTGGGCTGCCTGGTCAAGGACTACTTCCCCGAACCGGTGACGGTGTCGTGGAACTCAGGCGCCCTGACCAGCGGCGTGCACACCTTCCCGGCTGTCCTACAGTCCTCAGGACTCTACTCCCTCAGCAGCGTGGTGACCGTGCCCTCCAGCAGCTTGGGCACCCAGACCTACATCTGCAACGTGAATCACAAGCCCAGCAACACCAAGGTGGACAAGAAAGTTGAGCCCAAATCTTGTGACAAAACTCACACATGCCCACCGTGCCCAGCACCTGAACTCCTGGGGGGACCGTCAGTCTTCCTCTTCCCCCCAAAACCCAAGGACACCCTCATGATCTCCCGGACCCCTGAGGTCACATGCGTGGTGGTGGACGTGAGCCACGAAGACCCTGAGGTCAAGTTCAACTGGTACGTGGACGGCGTGGAGGTGCATAATGCCAAGACAAAGCCGCGGGAGGAGCAGTACAACAGCACGTACCGGGTGGTCAGCGTCCTCACCGTCCTGCACCAGGACTGGCTGAATGGCAAGGAGTACAAGTGCAAGGTCTCCAACAAAGCCCTCCCAGCCCCCATCGAGAAAACCATCTCCAAAGCCAAAGGGCAGCCCCGAGAACCACAGGTGTACACCCTGCCCCCATCCCGGGATGAGCTGACCAAGAACCAGGTCAGCCTGACCTGCCTGGTCAAAGGCTTCTATCCCAGCGACATCGCCGTGGAGTGGGAGAGCAATGGGCAGCCGGAGAACAACTACAAGACCACGCCTCCCGTGCTGGACTCCGACGGCTCCTTCTTCCTCTACAGCAAGCTCACCGTGGACAAGAGCAGGTGGCAGCAGGGGAACGTCTTCTCATGCTCCGTGATGCATGAGGCTCTGCACAACCACTACACGCAGAAGAGCCTCTCCCTGTCTCCGGGTAAA.(서열 번호 92)
인간 불변 영역의 비제한적인 예는 당업계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위의 문헌[Kabat EA et al, (1991)]을 참조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1개, 2개 이상의 돌연변이(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가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Fc 영역[예를 들어, 카바트 넘버링 시스템(예를 들어, 카바트 내 EU 지수)에 따라 CH2 도메인(인간 IgG1의 231~340번 잔기) 및/또는 CH3 도메인(인간 IgG1의 341~447번 잔기) 및/또는 힌지 영역]으로 도입되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속성, 예컨대 혈청 반감기, 보체 고정, Fc 수용체 결합, 및/또는 항원 의존성 세포독성을 변경시킨다.
특정 구현예에서, 1개, 2개 이상의 돌연변이(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가 Fc 영역(CH1 도메인)의 힌지 영역에 도입되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77,42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의 수가 변경(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된다. CH1의 힌지 영역 내 시스테인 잔기의 수가 변경되어, 예를 들어, 경쇄 및 중쇄의 조립을 촉진시키거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안정성을 변경(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1개, 2개 이상의 돌연변이(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가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Fc 영역[예를 들어, 카바트 넘버링 시스템(예를 들어, 카바트 내 EU 지수)에 따라 CH2 도메인(인간 IgG1의 231~340번 잔기) 및/또는 CH3 도메인(인간 IgG1의 341~447번 잔기) 및/또는 힌지 영역]으로 도입되어, 효과기 세포 표면상에서 Fc 영역(예를 들어, 활성화된 Fc 수용체)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친화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Fc 수용체에 대한 친화도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Fc 영역 내 돌연변이 및 이러한 돌연변이를 Fc 수용체 또는 이의 단편에 도입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Fc 수용체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친화도를 변경하기 위해 만들어질 수 있는 Fc 수용체 내 돌연변이의 예는 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Smith P et al., (2012) PNAS 109: 6181-6186, 미국 특허 제6,737,056호, 및 국제 공개 번호 WO 02/060919; WO 98/23289; 및 WO 97/34631]에 기재되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1개, 2개 이상의 아미노산 돌연변이(즉, 치환, 삽입 또는 결실)가 IgG 불변 도메인 또는 이의 FcRn-결합 단편(바람직하게는 Fc 또는 힌지-Fc 도메인 단편)에 도입되어 생체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반감기를 변경(예를 들어, 감소 또는 증가)시킨다. 생체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반감기를 변경(예를 들어, 감소 또는 증가)시킬 돌연변이의 예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번호 WO 02/060919; WO 98/23289; 및 WO 97/34631; 및 미국 특허 제5,869,046호, 제6,121,022호, 제6,277,375호 및 제6,165,745호를 참조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1개, 2개 이상의 아미노산 돌연변이(즉, 치환, 삽입 또는 결실)가 IgG 불변 도메인 또는 이의 FcRn-결합 단편(바람직하게는 Fc 또는 힌지-Fc 도메인 단편)에 도입되어 생체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반감기를 감소시킨다. 다른 구현예에서, 1개, 2개 이상의 아미노산 돌연변이(즉, 치환, 삽입 또는 결실)가 IgG 불변 도메인 또는 이의 FcRn-결합 단편(바람직하게는 Fc 또는 힌지-Fc 도메인 단편)에 도입되어 생체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반감기를 증가시킨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카바(위의 문헌[Kabat E A et al., (1991)])의 EU 지수에 따른 넘버링을 사용하여 제2 불변(CH2) 도메인(인간 IgG1의 231~340번 잔기) 및/또는 제3 불변(CH3) 도메인(인간 IgG1의 341~447번 잔기) 내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돌연변이(예를 들어, 치환)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IgG1의 불변 영역은 카바트의 EU 지수에 따라 넘버링된, 252번 위치 내 메싸이오닌(M)의 타이로신(Y)으로의 치환, 254번 위치 내 세린(S)의 트레오닌(T)으로의 치환, 및 256번 위치 내 트레오닌(T)의 글루탐산(E)으로의 치환을 포함한다.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7,658,921호를 참조한다. 'YTE 돌연변이체'로 지칭되는 이러한 유형의 돌연변이체 IgG는 동일한 항체의 야생형 버전과 비교하여 4배 증가된 반감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Dall'Acqua W F et al., (2006) J Biol Chem 281: 23514-24] 참조).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카바트의 EU 지수에 따라 넘버링된 251~257, 285~290, 308~314, 385~389, 및 428~436번 위치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1개, 2개, 3개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IgG 불변 도메인을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1개, 2개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은 IgG 불변 도메인 Fc 영역 내로 도입되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효과기 기능(들)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카바트의 EU 지수에 따라 넘버링된 234, 235, 236, 237, 297, 318, 320 및 322번 아미노산 잔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효과기 리간드에 대한 변경된 친화도를 갖지만 모 항체의 항원 결합 능력은 유지하도록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다. 친화도가 변경되는 효과기 리간드는 예를 들어 Fc 수용체 또는 보체의 C1 성분일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미국 특허 제5,624,821호 및 제5,648,260호에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불변 영역 도메인의 결실 또는 비활성화(점 돌연변이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는 순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Fc 수용체 결합을 감소시켜 종양 국소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변 도메인을 결실시키거나 비활성화시켜 종양 국소화를 증가시키는 돌연변이에 대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5,585,097호 및 제8,591,886호를 참조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Fc 영역으로 도입하여 Fc 영역상의 잠재적 글리코실화 부위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Fc 수용체 결합을 감소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Shields R L et al., (2001) J Biol Chem 276: 6591-604] 참조).
특정 구현예에서, 카바트의 EU 지수에 따라 넘버링된 불변 영역의 329, 331 및 322번 아미노산 잔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변경된 C1q 결합을 갖거나/갖고 감소되거나 폐지된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omplement dependent cytotoxicity, CDC]을 갖도록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미국 특허 제6,194,551호(Idusogie et al)에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CH2 도메인의 N-말단 영역의 231 내지 238번의 아미노산 위치 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변경되어 보체를 고정하는 항체의 능력이 변경된다. 이 접근법은 국제 공개 번호 WO 94/29351에 더 기재되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Fc 영역은 변형되어 카바트의 EU 지수에 따라 넘버링된, 다음의 위치, 238, 239, 248, 249, 252, 254, 255, 256, 258, 265, 267, 268, 269, 270, 272, 276, 278, 280, 283, 285, 286, 289, 290, 292, 293, 294, 295, 296, 298, 301, 303, 305, 307, 309, 312, 315, 320, 322, 324, 326, 327, 328, 329, 330, 331, 333, 334, 335, 337, 338, 340, 360, 373, 376, 378, 382, 388, 389, 398, 414, 416, 419, 430, 434, 435, 437, 438, 또는 439번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돌연변이시킴으로써(예를 들어, 아미노산 치환을 도입함으로써)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을 매개하고/하거나 Fey 수용체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친화도를 증가시키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이 접근법은 국제 공개 번호 WO 00/42072에 더 기재되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카바트의 EU 지수에 따라 넘버링된 267, 328번 위치 또는 이의 조합에서 돌연변이(예를 들어, 치환)를 갖는 IgG1의 불변 도메인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S267E, L328F,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돌연변이(예를 들어, 치환)를 갖는 IgG1의 불변 도메인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S267E/L328F 돌연변이(예를 들어, 치환)를 갖는 IgG1의 불변 도메인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S267E/L328F 돌연변이(예를 들어, 치환)를 갖는 IgG1의 불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FcγRIIA, FcγRIIB, 또는 FcγRIIA 및 FcγRIIB에 대해 증가된 결합 친화도를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i) B7H41001 mAb의 CDR 서열(예를 들어, 서열 번호 5~10의 아미노산 서열), 20502의 VH 및 VL 서열(서열 번호 11 및 12 각각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20502의 중쇄 및 경쇄 서열(서열 번호 13 및 14 각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ii) 푸코실화된다.
SGN-B7H4V의 중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본원에서 서열 번호 11로서 제공된다. SGN-B7H4V의 경쇄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본원에서 서열 번호 12로서 제공된다.
Ⅱ. 항체-약물 접합체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항체(예를 들어, 항-B7-H4 항체)는 약물에 접합되어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항-B7-H4-ADC는 SGN-B7H4V이다. 항-B7-H4-ADC 내에 포함된 예시적인 항체는 B7H41001 mAb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약물에 접합되어 항체-약물 접합체[ADC]를 형성할 수 있고 약 1 내지 약 8의 항체당 약물 모이어티의 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예를 들어, 항-B7-H4 항체)은 약물에 접합되어 ADC를 형성할 수 있고, 항체당 약 2 내지 약 5의 약물 모이어티 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당 약물 모이어티의 비는 1, 2, 3, 4, 5, 6, 7, 8, 9 또는 10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약물에 접합되어 ADC를 형성할 수 있고 약 4의 항체당 약물 모이어티 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 집단 중 항체당 약물 모이어티의 평균 수는 약 1 내지 약 8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 집단 중 항체당 약물 모이어티의 평균 수는 약 4이다. ADC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당 약물 모이어티의 비를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쉽게 알려져 있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 따르면, B7-H4-ADC는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monomethyl auristatin E, MMAE)(PubChem CID: 53297465)를 포함한다.
[MMAE]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 따르면, B7-H4-ADC는 이에 접합된 vcMMAE를 포함한다. vcMMAE는 리소좀으로 절단 가능한 디펩타이드 발린-시트룰린(valine-citrulline, vc)을 통해 연결된 항유사분열 작용제인 MMAE를 포함하는 강력한 항종양 활성을 갖는 ADC를 위한 약물-링커 접합체이다.
[vcMMAE]
vcMMAE는 MC-Val-Cit-PABC-MMAE라고도 지칭하되, MC는 말레이미도카프로일기를 지칭하고, Val-Cit는 디펩타이드 발린-시트룰린을 지칭하고, PABC는 파라-아미노벤질카바메이트기를 지칭하며, MMAE는 약물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를 지칭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 따른 vcMMAE-항체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구조는 아래 제시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괄호 안에 나타낸 약물-링커 부분은 일부 경우에 따라 베도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약물-링커는 항체의 시스테인 잔기의 황 원자를 통해 항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래 나타낸 ADC는 vc-MMAE 항체의 시스테인 잔기의 싸이올을 이용한 약물-링커 전구체의 말레이미드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 시스테인 잔기의 황 원자에 결합된 석신아마이드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석신아마이드 모이어티는 개환 가수분해를 거쳐 아래에 나타낸 개환 구조 중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 따라, vcMMAE-항체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되, Ab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예를 들어, B7H41001 mAb)를 포함할 수 있고, p는 약 1 내지 약 8의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vcMMAE-항체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되, Ab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예를 들어, B7H41001 mAb)를 포함할 수 있고, p는 1이며, 이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vcMMAE의 비가 1임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vcMMAE-항체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되, Ab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예를 들어, B7H41001 mAb)을 포함할 수 있고, p는 2, 3, 4, 5, 6, 7, 8, 9, 또는 10이며, 이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vcMMAE의 비(또한 '약물 대 항체 비[Drug-to-Antibody Ratio]' 또는 'DAR'로도 알려져 있음)는 각각 2, 3, 4, 5, 6, 7, 8, 9, 또는 10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vcMMAE-항체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vcMMAE의 비는 1, 2, 3, 4, 5, 6, 7, 8, 9, 또는 10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vcMMAE-항체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되, Ab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예를 들어, B7H41001 mAb)을 포함할 수 있고, p는 4이며, 이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vcMMAE의 비는 4이다. 따라서,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vcMMAE-항체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vcMMAE의 비는 4이다.
SGN-B7H4V는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동시에 대상에게 허용되는 수준으로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로 명시된 HCVR에서의 CDR 및/또는 서열번호 12로 명시된 LCVR에서의 CDR을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로 명시된 HCVR 및/또는 서열번호 12로 명시된 LCVR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HCVR/LCVR 쌍 서열번호 11/서열번호 12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1에 대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적어도 약 80%(예를 들어,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인 HCVR을 포함하고/하거나 서열 번호 12에 대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적어도 약 80%(예를 들어,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인 LCVR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항-B7-H4 항체 또는 B7-H4-ADC)는 변형된 형태로서 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아미노산, 특히 하전된 아미노산의 영역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N-말단에 추가되어, 정제 중에 또는 후속 취급 및 보관 중에 숙주 세포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펩타이드 모이어티가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항체 분자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단편의 최종 제조 전에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다수의 표준 실험실 매뉴얼, 예컨대 위의 문헌[Sambrook; Ausubel, et al., ed.,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NY, N.Y. (1987-2001)]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항-B7-H4 항체 또는 B7-H4-ADC)는 표준 결합 검정, 예를 들어 비아코어-기반 결합 검정을 사용하여 측정된 바와 같이 약 1 μM, 예를 들어 약 100 nM, 약 10 nM, 또는 약 1 nM의 평형 결합 상수를 이용하여 표적 항원(예를 들어, B7-H4)에 일반적으로 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예컨대 B7-H4-ADC)는 T 세포 증식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예컨대 B7-H4-ADC)는 IFNy 생산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예컨대 B7-H4-ADC)는 B7-H4-발현 세포에 대한 ADCC 활성을 매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예컨대 B7-H4-ADC)는 B7-H4-발현 세포에 대한 ADCC 활성을 매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예컨대 B7-H4-ADC)는 B7-H4-발현 세포에 대한 CDC 활성을 매개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에 의해 유도된 T 세포 증식의 증가는 항체 B7-H4 항체에 의해 유도된 것과 1%, 5%, 10%, 15%, 20%, 25%, 또는 30%이하만큼 상이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에 의해 유도된 IFNy 생산의 증가는 항체 B7-H4 항체에 의해 유도된 것과 1%, 5%, 10%, 15%, 20%, 25%, 30%, 또는 50% 중 어느 하나 이하만큼 상이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에 의해 매개된 ADCC 활성의 증가는 항체 B7-H4 항체에 의해 매개된 것과 1%, 5%, 10%, 15%, 20%, 25%, 30%, 또는 50% 중 어느 하나 이하만큼 상이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에 의해 매개된 ADCP 활성의 증가는 항체 B7-H4 항체에 의해 매개된 것과 1%, 5%, 10%, 15%, 20%, 25%, 30%, 또는 50% 중 어느 하나 이하만큼 상이하다.
Ⅲ. 치료적 적용
본 발명은 B7-H4를 발현하는 세포와 관련된 장애, 예를 들어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의 치료를 위한 인간 항-B7-H4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항체-약물 접합체(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인간 항-B7-H4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접합체[예를 들어, B7-H4-항체-약물 접합체(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복막암, 나팔관암, 또는 담낭암의 치료를 위한 인간 항-B7-H4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두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경부의 샘낭암종은 침샘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난소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전립선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유방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피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자궁경부의 샘낭암종이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의 치료를 위한 항-B7-H4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 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의 치료를 위한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는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두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경부의 샘낭암종은 침샘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난소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전립선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유방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피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자궁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되, B7-H4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는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 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되되, 의약은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 시 본원에 기재된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중 어느 하나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면역 관문 억제제는 제한 없이, PD-1, PD-L1, CTLA-4, LAG3, TIM-3, TIGIT, VISTA, TIM1, 또는 BTLA를 표적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 PD-L1, CTLA-4, LAG3, TIM-3, TIGIT, VISTA, TIM1, 또는 BTLA 중 하나 이상을 표적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에 결합하는 항체, PD-L1에 결합하는 항체, CTLA-4에 결합하는 항체, LAG3에 결합하는 항체, TIM-3에 결합하는 항체, TIGIT에 결합하는 항체, VISTA에 결합하는 항체, TIM-1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BTLA에 결합하는 항체 중 하나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 PD-L1, CTLA-4, 또는 TIGIT 중 하나 이상을 표적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을 표적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에 결합하는 항체, PD-L1에 결합하는 항체, CTLA-4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TIGIT에 결합하는 항체 중 하나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에 결합하는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항-PD-1 항체, 예컨대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세미플리맙, 도스타리맙 및 레티판리맙 중 하나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의 치료를 위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는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두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경부의 샘낭암종은 침샘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난소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전립선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유방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피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자궁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는 인간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접합체[예를 들어, B7-H4-항체-약물 접합체(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복막암, 나팔관암, 또는 담낭암의 치료를 위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는 인간 항-B7-H4 항체 및 또는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암, 예컨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의 치료를 위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를 제공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세포, 조직, 장기, 동물 또는 환자의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인간에서 고형 종양, 예를 들어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고형 종양, 예를 들어, 복막암, 나팔관암 또는 담낭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은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두경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경부의 샘낭암종은 침샘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난소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전립선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유방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피부의 샘낭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샘낭암종은 자궁경부의 샘낭암종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고형 종양, 예를 들어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의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유방암 또는 난소암에 대해 치료받은 적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다(예를 들어, 대상은 치료 도중 질병의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치료 후 재발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치료 후에 질병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에게 이전에 투여된 치료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니었다.
특정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은 단백질(예를 들어, 예시된 항체 중 하나를 사용한 면역검정에 의해) 또는 mRNA 수준에서 측정된 검출 가능한 B7-H4 수준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또는 자궁내막암은 동일한 유형의 비암성 조직 또는 세포, 예를 들어 동일한 환자에서 얻은 유방, 난소, 폐, 담관 및 자궁내막 세포 대비 상승된 B7-H4 수준을 나타낸다. 다른 구현예에서,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또는 자궁내막암은 예를 들어 동일한 환자에서 얻은 동일한 유형의 비암성 유방, 난소, 폐, 담관 및 자궁내막 세포 대비 유사한 B7-H4 수준을 나타낸다.
특정 복막암, 나팔관암, 및 담낭암은 단백질(예를 들어, 예시된 항체 중 하나를 사용하는 면역검정에 의해) 또는 mRNA 수준에서 측정된 검출가능한 B7-H4 수준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서, 복막암, 나팔관암 또는 담낭암은 동일한 환자에서 얻은 동일한 유형의 비암성 조직 또는 세포, 예를 들어, 각각 복막, 나팔관, 또는 담낭 세포 대비 상승된 B7-H4 수준을 나타낸다. 다른 구현예에서, 복막암, 나팔관암 또는 담낭암은 동일한 환자에서 얻은 예를 들어 동일한 유형의 비암성 복막, 나팔관, 또는 담낭 세포 대비 유사한 B7-H4 수준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 단백질은 치료에 순응할 수 있는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에서 고도로 발현되지만, 더 높거나 낮은 B7-H4 발현 수준과 관련된 암도 치료될 수 있다. 임의로, 대상에서의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의 B7-H4 수준(예를 들어, B7-H4 단백질 수준)은 치료를 수행하기 전에 측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세포 중 적어도 약 0.1%,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적어도 약 4%,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6%, 적어도 약 7%, 적어도 약 8%, 적어도 약 9%,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의 발현은 단핵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는 골수성 면역 세포 하위세트상에서 낮거나 부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의 발현은 CD163+ 대식세포상에서 낮거나 부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 단백질은 샘낭암종에서 고도로 발현된다. (문헌[Panaccione et al. Clinical Breast Cancer 2017]). 일부 구현예에서, 암 세포 중 적어도 약 0.1%,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적어도 약 4%,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6%, 적어도 약 7%, 적어도 약 8%, 적어도 약 9%,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세포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세포는 B7-H4를 발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A. 폐암
폐암은 여전히 미국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으며, 2017년에는 155,000명 넘게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초기 단계의 질환을 앓는 환자에 대한 치료 목적의 처치에는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또는 병용 접근법이 포함된다. 그러나 대다수의 환자는 일반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 질환으로 진단받는다.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은 전체 폐암의 최대 80%를 차지한다. NSCLC의 아형 내에서 편평세포 암종(SCC/NSCLC)은 NSCLC의 대략 30%를 차지한다. SCC/NSCLC의 전이성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신 치료법은 제한된 이점을 보였고 주로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생존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가능한 한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양이 높은 수준의 PD-L1을 발현하지 않는 SCC/NSCLC 환자를 위한 1차 치료에는 젬시타빈 및 시스플라틴과 병용하는, 페메트렉시드, 항-VEGF 항체 또는 항-EGFR 항체 네시투무맙을 함유하지 않는 백금계 이중 화학요법이 포함된다. PD-L1에 대해 적어도 50%의 종양 세포 염색을 보이는 환자는 항-PD-1 억제제 펨브롤리주맙을 사용하는 1차 치료를 받는다. 초기 병용화학요법에서 질병이 진행된 환자는 항-PD-1 또는 PD-L1 항체를 투여받을 수 있으며, PD-1/L1 억제제 투여 후 질병이 진행된 환자에게는 병용화학요법이 고려된다. SCC/NSCLC 환자에게 유의미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부류의 요법이 시급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하여 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폐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하여 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폐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이용하여 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폐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소세포 폐암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비편평세포 암종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편평세포 암종이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폐선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 세포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 세포는 B7-H4를 발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소세포 폐암에 대한 전신 요법을 받은 적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소세포 폐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 도중 또는 이후에 질병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사용하여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억제제 및/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소세포 폐암에 대한 1차 전신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비소세포 폐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소세포 폐암은 편평세포 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소세포 폐암은 선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소세포 폐암은 우세한 편평 조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85%가 넘는 비소세포 폐암 세포는 편평 조직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소세포 폐암은 비편평세포 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 도중 또는 이후에 질병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백금계 요법 또는 백금계 병용 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네다플라틴, 트라이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 페난트리플라틴, 피코플라틴 및 사트라플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카보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시스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옥살리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네다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트라이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페난트리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피코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사트라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사용하여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억제제 및/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는 니볼루맙(OPDIVO®, BMS-936558, MDX-1106), 펨브롤리주맙(KEYTRUDA®, MK-3475), 피딜리주맙(CT-011)및 세미플리맙(REGN28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L1 억제제는 아테졸리주맙(TECENTRIQ®, MPDL3280A), 아벨루맙(BAVENCIO®), 두르발루맙 및 BMS-93655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1차 사전 전신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3기 또는 4기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재발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B. 유방암
유방암은 세 가지 단백질 발현 마커인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e receptor, PgR], 성장 인자 수용체 HER2/neu의 과발현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타목시펜 및 방향화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호르몬 요법은 호르몬 수용체 ER 및 PgR을 발현하는 종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HER2-지향 요법은 HER2/neu를 발현하는 종양에 유용하고, 이들 종양은 면역 요법에 현재 적합한 유일한 부류의 유방암이다. 이들 환자에게는 허셉틴이나 퍼제타와 같은 비접합항체를 일반적으로 화학요법과 병용한다.
본 발명은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를 사용하여 유방암과 같은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항체-약물 접합체를 사용하여 유방암과 같은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는 아우리스타틴에 접합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우리스타틴은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은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B7-H4를 발현하는 세포와 관련된 장애, 예를 들어 암(예를 들어, 국소 진행성 유방암 또는 전이성 유방암과 같은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항체-약물 접합체를 사용하여 대상, 예를 들어 유방암을 앓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유효량의 항-B7-H4 항체, 또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포함한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전이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절제 불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국소 진행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재발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에 대해 반응한 적이 없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후 재발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동안 질병 진행을 경험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하여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하여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여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유방암은 암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B7-H4를 발현하는 암(즉, B7-H4-발현 암)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암종, 육종, 엽상체, 파제트병 및 혈관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유방암은 상피내(예를 들어, 유관상피내 암종[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소엽상피내암종[lobular carcinoma, LCIS] 등) 또는 침습성/침윤성(예를 들어, 침윤성 유관암[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침습성 소엽상암[invasive lobular carcinoma, ILC], 염증성 유방암[inflammatory breast cancer, IBC] 등)일 수 있다.
유방암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P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PR-);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호르몬 수용체 음성(HR-); HER2 유전자 과발현(HER2+); HER2 유전자 야생형 또는 과소발현(HER2-); 그룹 1(내강형 A), 즉 ER+/PR+/HER2-; 그룹 2(내강형 B), 즉 ER+/PR-/HER2+; 그룹 3(HER2+), 즉 ER-/PR-/HER2+; 및 그룹 4(기저 유사 또는 삼중 음성[triple negative, TN]), 즉 ER-/PR-/HER2-.
유방암은 1등급, 2등급 또는 3등급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1등급 또는 고분화(점수 3, 4 또는 5) 유방암은 느리게 자라는 세포를 포함하며, 더 높은 등급의 유방 조직보다 정상 유방 조직과 더 유사해 보인다. 2등급 또는 중증도 분화(점수 6, 7) 유방암에는 1등급과 3등급 사이의 속도로 성장하고 이 사이에 속한 세포처럼 보이는 세포가 있다. 3등급 또는 저분화(점수 8, 9) 유방암은 정상 세포와 매우 다르게 보이고 일반적으로 1등급 또는 2등급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퍼지는 세포를 갖는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치료 불가능하거나, 절제 불가능하거나,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breast cancer, LA/MBC]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삼중 음성[TN](ER-/PR-/HER2-) 유방암, ER- 및/또는 PR+/HER2- 유방암, 및 LA/MBC 유방암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HER2+ 및 LA/MBC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TN 및 LA/MBC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TN 유방암, 전이성 유방암, 및 전이성, TN 유방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HER2 음성 유방 신생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HER2 양성 유방 신생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 세포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 세포는 B7-H4를 발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인간에서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ER+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ER+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ER+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ER+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ER+/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은 적이 없다. 일부 구현예에서, 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PR+/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ER+/PR+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E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E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E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삼중 음성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삼중 음성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비호르몬 지향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삼중 음성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삼중 음성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HR+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R+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HR+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HR+/ER+/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화학요법에 적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비호르몬 지향 치료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HR+/PR+/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H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화학요법에 적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H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H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비호르몬 지향 치료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HR+/ER+/PR+/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화학요법에 적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HR+/ER+/P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비호르몬 지향 치료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HR+/HER2+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H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화학요법에 적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H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화학요법에 적격이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HR+/HER2+ 유방암을 앓는 대상은 호르몬 요법의 후보자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진행성 병기의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유방암은 전이성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절제 불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국소 진행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재발성 유방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유방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에 대해 반응한 적이 없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후 재발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동안 질병 진행을 경험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유방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을 받은 적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유방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 도중 또는 이후에 질병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이용하여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억제제 및/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유방암에 대한 1차 전신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유방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 도중 또는 이후에 질병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백금계 요법 또는 백금계 병용 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네다플라틴, 트라이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 페난트리플라틴, 피코플라틴 및 사트라플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카보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시스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옥살리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네다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트라이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페난트리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피코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사트라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이용하여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억제제 및/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는 니볼루맙(OPDIVO®, BMS-936558, MDX-1106), 펨브롤리주맙(KEYTRUDA®, MK-3475), 피딜리주맙(CT-011)및 세미플리맙(REGN28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L1 억제제는 아테졸리주맙(TECENTRIQ®, MPDL3280A), 아벨루맙(BAVENCIO®), 두르발루맙 및 BMS-93655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유방암에 대한 1차 사전 전신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3기 또는 4기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방암은 재발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C. 난소암
본 발명은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항체-약물 접합체를 사용하여 난소암과 같은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항체-약물 접합체를 사용하여 난소암과 같은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약물 접합체는 아우리스타틴에 접합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우리스타틴은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은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B7-H4를 발현하는 세포와 관련된 장애, 예를 들어 암(예를 들어, 국소 진행성 유방암 또는 전이성 난소암과 같은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항체-약물 접합체를 사용하여 대상, 예를 들어 난소암을 앓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유효량의 항-B7-H4 항체, 또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포함한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전이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절제 불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국소 진행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재발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에 대해 반응한 적이 없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후 재발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동안 질병 진행을 경험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예시적인 난소암은 암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B7-H4를 발현하는 암(즉, B7-H4-발현 암)이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암종, 육종, 엽상체, 파제트병 및 혈관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난소 신생물이다. 난소암은 제자리에 있거나 침습성/침윤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하여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하여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하여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대상에서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하기 위한 것이다.
난소암은 1등급, 2등급 또는 3등급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1등급 또는 고분화(점수 3, 4 또는 5) 난소암은 느리게 자라는 세포를 포함하며, 더 높은 등급의 난소 조직보다 정상 난소 조직과 더 유사해 보인다. 2등급 또는 중증도 분화(점수 6, 7) 난소암에는 1등급과 3등급 사이의 속도로 성장하고 이 사이에 속한 세포처럼 보이는 세포가 있다. 3등급 또는 저분화(점수 8, 9) 난소암은 정상 세포와 매우 다르게 보이고 일반적으로 1등급 또는 2등급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퍼지는 세포를 갖는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치료 불가능하거나, 절제 불가능하거나,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난소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난소 장액성 샘낭암종(OV)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 세포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 세포는 B7-H4를 발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 세포는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인간에서 난소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을 앓는 대상은 하나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을 앓는 대상은 둘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전이성 난소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절제 불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국소 진행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재발성 난소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난소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에 대해 반응한 적이 없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후 재발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아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이전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치료를 받았고 치료 동안 질병 진행을 경험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난소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을 받은 적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난소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 도중 또는 이후에 질병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이용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억제제 및/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난소암에 대한 1차 전신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난소암에 대한 사전 전신 요법 도중 또는 이후에 질병 진행을 경험하였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백금계 요법 또는 백금계 병용 요법을 이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네다플라틴, 트라이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 페난트리플라틴, 피코플라틴 및 사트라플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카보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시스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옥살리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네다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트라이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페난트리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피코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백금계 요법은 사트라플라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이용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PD-1 억제제 및/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하는 사전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는 니볼루맙(OPDIVO®, BMS-936558, MDX-1106), 펨브롤리주맙(KEYTRUDA®, MK-3475), 피딜리주맙(CT-011)및 세미플리맙(REGN28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L1 억제제는 아테졸리주맙(TECENTRIQ®, MPDL3280A), 아벨루맙(BAVENCIO®), 두르발루맙 및 BMS-93655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난소암에 대한 1차 사전 전신 요법을 받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난소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3기 또는 4기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폐암은 재발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제공되되,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HCVR을 포함하고/하거나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LCVR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B7-H4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제공되되,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HCVR을 포함하고/하거나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LCVR을 포함하고, 항체는 vcMMAE에 접합되며, vcMMAE는 다음 구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가 제공되되,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HCVR을 포함하고/하거나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LCVR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B7-H4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가 제공되되, 항-B7 -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HCVR을 포함하고/하거나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LCVR을 포함하고, 항체는 vcMMAE에 접합되며, vcMMAE는 다음 구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가 제공되되,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HCVR을 포함하고/하거나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LCVR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B7-H4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용도가 제공되되, 항-B7 -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HCVR을 포함하고/하거나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약 95%(예컨대 95%, 97%, 98%, 99% 또는 100%) 상동이거나 동일한 LCVR을 포함하고, 항체는 vcMMAE에 접합되며, vcMMAE는 다음 구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즉, PD-1 억제제)을 표적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는 항-PD-1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는 온전한 단일클론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항-PD-1 항체, 예컨대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세미플리맙, 도스타리맙 및 레티판리맙 중 하나 이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또는 자궁내막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복막암, 나팔관암 또는 담낭암이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암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치료 결과
본원에 제공된 방법, 또는 용도 또는 용도를 위한 생성물의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 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반응은 암(예를 들어,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또는 자궁내막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 또는 용도 또는 용도를 위한 생성물의 일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반응은 암(예를 들어,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또는 자궁내막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복막암, 나팔관암 및 담낭암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암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1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2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3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4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5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6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7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85%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9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95%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98%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약 99%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35%, 적어도 40%, 적어도 45%,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또는 적어도 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1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2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3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4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5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6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70%~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8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85%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9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95%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98%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적어도 99%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100% 감소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자기공명영상[MRI]에 의해 측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컴퓨터 단층촬영[CT]에 의해 측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에 의해 측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초음파에 의해 측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B7-H4를 발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 크기의 감소는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5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큰 것 중 어느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 크기의 감소는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2배, 5배, 10배, 또는 50배 더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 크기의 감소는 B7-H4-ADC의 투여 또는 PD-1 억제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5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큰 것 중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 크기의 감소는 B7-H4-ADC의 투여 또는 PD-1 억제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2배, 5배, 10배, 또는 50배 더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크기의 유사한 감소는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의 투여 농도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낮은 것 중 어느 하나인 농도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크기의 유사한 감소는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의 농도보다 적어도 약 어느 하나인 10배 더 낮은 농도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크기의 유사한 감소는 단일 요법으로서 시행하는 경우 B7-H4-ADC의 농도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낮은 것 중 어느 하나인 B7-H4-ADC의 농도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크기의 유사한 감소는 단일 요법으로서 시행하는 경우 B7-H4-ADC의 농도보다 적어도 약 어느 하나인 10배 더 낮은 B7-H4-ADC의 농도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의 퇴행은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5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큰 것 중 어느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의 퇴행은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50배 또는 약 100배 더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의 퇴행은 B7-H4-ADC의 투여 또는 PD-1 억제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5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큰 것 중 하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종양의 퇴행은 B7-H4-ADC의 투여 또는 PD-1 억제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보다 적어도 약 50배 또는 약 100배 더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의 유사한 퇴행은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의 농도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낮은 것 중 어느 하나인 농도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의 유사한 퇴행은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의 농도보다 적어도 약 어느 하나인 10배 더 낮은 농도에서 항원 결합 단편의 항-B7-H4 항체를 포함하는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의 유사한 퇴행은 단일 요법으로서 시행하는 경우 B7-H4-ADC의 농도보다 적어도 약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배, 3배, 5배, 10배, 15배, 20배, 30배, 100배, 200배, 500배, 1000배 더 낮은 것 중 어느 하나인 B7-H4-ADC의 농도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의 유사한 퇴행은 단일 요법으로서 시행하는 경우 B7-H4-ADC의 농도보다 적어도 약 어느 하나인 10배 더 낮은 B7-H4-ADC의 농도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제공된 방법, 또는 용도 또는 용도를 위한 생성물의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반응은 암(예를 들어,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식도 편평세포암종, 위 및 위식도 접합부 선암종 또는 유방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퇴행을 촉진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 퇴행한다. 본원에 기재된 제공된 방법, 또는 용도 또는 용도를 위한 생성물의 일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와 병용한 B7-H4-ADC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반응은 암(예를 들어,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식도 편평세포암종, 위 및 위식도 접합부 선암종 또는 유방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퇴행을 촉진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B7-H4-ADC 및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1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2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3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4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5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6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7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85%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9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95%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98%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약 99%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35%, 적어도 40%, 적어도 45%,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또는 적어도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B7-H4-ADC 및 PD-1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35%, 적어도 40%, 적어도 45%,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또는 적어도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1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2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3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4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5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6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70% 내지 약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8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85%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9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95%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98%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적어도 99%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은 100% 퇴행한다. 일 구현예에서, 종양의 퇴행은 자기공명영상[MRI]에 의해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종양의 퇴행은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종양의 퇴행은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으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종양의 퇴행은 초음파에 의해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와 병용한 B7H4-ADC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반응은 B7H4-ADC 및 PD-1 억제제의 투여 후 PD-1 억제제와 병용한 B7H4-ADC에 대한 반응의 지속 기간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반응 지속 기간은 B7-H4-ADC의 단독요법 또는 항-PD-1 항체의 단독요법 실시와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증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반응 지속 기간은 B7-H4-ADC 및 항-PD-1 항체의 투여 전과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향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반응 지속 기간은 면역 반응의 지속 기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반응의 지속 기간은 종양 세포의 지속적인 종양 퇴행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B7-H4를 발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 구현예에서, PD-1 억제제와 병용한 B7-H4-ADC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반응은 B7H4-ADC를 PD-1 억제제와 병용하여 투여한 후 전체 생존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전체 생존율은 B7-H4-ADC의 단독요법 또는 항-PD-1 항체의 단독요법 실시와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향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전체 생존율은 B7-H4-ADC 및 항-PD-1 항체의 투여 전과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향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 및/또는 하나 이상의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의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사이토카인은 CXCL10 및/또는 CXCL1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는 IFIT2 및/또는 MX1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CXCL10 및/또는 CXCL1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IFIT2 및/또는 MX1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면역 세포의 종양으로의 동원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면역원성 세포사멸[immunogenic cell death, ICD]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암세포에 의한 ATP 방출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암세포 표면에 칼레티쿨린의 노출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선천 면역 세포 및/또는 적응 면역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선천 면역 세포 및/또는 적응 면역 세포의 종양으로의 동원을 촉진하고, 동원된 면역 세포는 종양 침윤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선천 면역 세포는 대식세포(예컨대 F4/80+ 대식세포) 또는 수지상 세포(예컨대 CD11c+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는 항원 제시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응 면역 세포는 T 세포(예컨대 CD8+ T 세포, CD3+ T 세포 및/또는 CD3+CD8+ T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B7-H4를 발현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는 동일한 세포 유형의 질병에 걸리지 않은 세포보다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B7-H4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 ADC의 투여는 대상에서 항종양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종양 면역 반응은 종양 부위의 국소 염증 마커의 변화에 의해 측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종양 반응은 케모카인의 발현, 인터페론의 발현, 전염증성 면역 세포의 동원, 세포 주기 마커 발현 수준의 변화, 또는 염증과 관련된 전사물 수준의 변화에 의해 측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 ADC의 투여는 하나 이상의 케모카인 및/또는 하나 이상의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의 발현의 상향조절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CXCL10, CXCL9, CXCL1, IFTIT2, 및/또는 MX1 발현의 상향조절을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발현은 qPCR에 의해 측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선천 면역 세포 및/또는 적응 면역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선천 면역 세포 및/또는 적응 면역 세포는 종양 침윤 세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수지상 세포가 종양 부위로 동원되도록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수지상 세포는 CD11c를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대식세포가 종양 부위로 동원되도록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식세포는 F4/80을 발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CD86을 발현하는 세포가 종양 부위로 동원되도록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세포의 존재 또는 부재는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측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CD11c+ 수지상 세포, F4/80+ 대식세포 및/또는 CD86을 발현하는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종양 부위에서 염증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PD-1 작용제에 대한 반응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Cxcl9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Cxcl9, Cxcl10, Ifit2, Ifit3, 및/또는 Mx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수지상 세포 및 대식세포 마커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Itgax, Batf3, 및/또는 Cd68의 구현예를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2형 MHC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H2Aa 및/또는 H2-eb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Cd80, Cd86, 및/또는 Icosl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Itgax, Batf3, Cd68, H2-Aa, H2-eb1, Cd80, Cd86, 및/또는 Icos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종양 부위에서 염증 세포의 존재를 증가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CD3+ 세포의 존재가 증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CD4+ 세포의 존재가 증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CD8+ 세포의 존재가 증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세포의 존재가 증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염증 세포의 존재는 면역조직화학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의 투여는 염증성 유전자 발현 특징을 유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Cd27, Cxcr6, Lag3, Nkg7, Pdcd1Ig2, Ccl5, Cd274, Cmkl31, Cxcl9, Psmb10, 및/또는 Stat1의 발현 수준이 증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표 23에 제공된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의 발현 수준은 ADC 투여 시 증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표 24에 제공된 유전자 온톨로지 용어 설명과 관련된 유전자의 수준이 증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7-H4-ADC의 투여는 세포 분열 및/또는 세포 주기 진행의 마커의 발현을 변화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양 부위에서의 Ki67, CD163, CD206, ChiL3 및/또는 그랜자임 B 양성 세포의 수준.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vcMMAE B7-H4 ADC는 다른 미세소관 억제제 약물을 사용하는 ADC와 비교하여 더 강력한 반응을 촉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제공된 vcMMAE B7-H4 ADC는 DM1 또는 DM4에 접합된 동일한 항체를 포함하는 ADC와 비교하여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촉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더 적은 양의 vcMMAE B7-H4 ADC가 DM1 또는 DM4에 접합된 동일한 항체를 포함하는 ADC와 비교하여 면역 반응을 촉발하는 데 필요하다.
Ⅳ. 약제 조성물 및 제제
치료 용도를 위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병용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B7-H4-ADC 조성물(예를 들어, B7-H4-AD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따른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B7-H4-ADC 조성물(예를 들어, B7-H4-ADC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따른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합리적인 이득/위험 비에 상응하는,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완충제, 담체 및 부형제를 의미한다. 각 담체(들)는 제제의 다른 성분들과 양립 가능하고 환자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의미로 '허용'되어야 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학적 투여와 양립 가능한 완충제, 용매, 분산 매질, 코팅, 등장제 및 흡수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에 대한 이러한 매질 및 작용제의 용도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조성물은 예컨대, 희석제, 결합제, 안정화제, 완충제, 염, 친유성 용매, 보존제, 보존제 등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부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멸균 용액의 비제한적 예 및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문헌[Gennaro,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0]에 기재된 것들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거나 본원에 기재된 항체 분자, 단편 또는 변이체 조성물의 투여 방식, 용해도 및/또는 안정성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관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분자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학적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는,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 The Science & Practice of Pharmacy,' 19th ed., Williams & Williams, (1995), 및 'Physician's Desk Reference,' 52nd ed., Medical Economics, Montvale, N.J. (1998)]에 열거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단위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의도된 투여 경로와 양립하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투여 경로의 예로는 정맥내[intravenous, IV], 피내, 흡입, 경피, 국소, 점막 및 직장 투여가 있다. 단일클론항체의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IV 주입이다. 유용한 제제는 약학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90)]을 참조한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 성분으로는 주사용 물과 같은 멸균 희석제, 식염수 용액, 비휘발성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기타 합성 용매;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과 같은 항균제; 아스코브산 또는 중아황산 소듐과 같은 항산화제; EDTA와 같은 킬레이트제;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와 같은 완충제; 염화 소듐 또는 덱스트로스와 같은 강장성 조절용 작용제가 포함된다.
정맥내 투여를 위해, 적절한 담체로는 생리 식염수, 정균수, 크래모퍼(Cremophor) ELTM(BASF, Parsippany, N.J.) 또는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가 포함된다. 담체는 제조 및 보관 조건하에서 안정해야 하며 미생물을 막도록 보존되어야 한다.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적절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약학적 제제는 멸균인 것이 바람직하다. 멸균은 멸균 여과막을 통한 여과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조성물이 동결건조된 경우, 동결건조 및 재구성 전에 또는 후에 여과 멸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들에는, 예를 들어, 액체, 반고체 및 고체 제형, 예컨대 액체 용액(예를 들어, 주사용 및 주입가능한 용액), 분산제 또는 현탁액, 정제, 리포솜이 포함된다. 특정 형태는 의도된 투여 방식 및 치료 적용에 따라 달라진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제공된 조성물은 주사 가능 또는 주입 가능 용액의 형태이다. 예시적 투여로는 비경구(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안구내, 복강내, 근육내)가 있다. 일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제는 정맥내 주입 또는 주사로 투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제는 근육내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어구 '비경구 투여' 및 '비경구로 투여된'은 보통 주사에 의한 장내 및 국소 투여 이외의 투여방식을 의미하며, 정맥내, 근육내, 피하, 동맥내, 척추 강내, 낭내, 안와내, 유리체강내, 심장내, 진피내, 복강내, 기관지경, 흡입, 피부밑, 표피하, 관절내, 피막하, 지주막하, 척추내, 경외 및 흉골내 주사 및 주입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 ADC)의 치료 유효량은 대상 체중의 약 0.5 mg/kg 내지 약 3.0 mg/kg이다.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 ADC)는 1회 이상 투여된다.
본 발명은 패키징 재료 및 적어도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와 처방된 완충제 및/또는 보존제의 용액을 임의로 수성 희석제 중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알(vial)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제제에 사용되는 보존제의 농도는 항균 효과를 내기에 충분한 농도이다. 이러한 농도는 선택된 보존제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된다.
다양한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를 대상에게 투여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현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투여는 정맥내 주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임의의 제제는 액체 또는 냉동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임의로 보존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술한 제제는 동결건조되며, 즉 동결건조를 거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술한 제제는 보존 공정, 예를 들어 동결건조를 거친 후, 적합한 액체,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하여 재구성된다. 동결건조란, 조성물이 진공하에서 동결건조되었음을 의미한다. 동결건조는 일반적으로 용질이 용매(들)에서 분리되도록 특정 제제를 동결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런 다음, 용매는 승화(즉, 1차 건조)에 의해 제거되고 다음으로 탈착(즉, 2차 건조)에 의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본원에 기재된 방법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제제는 대상에게 투여하기 전에 추가로 희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제는 식염수로 희석되고 대상에게 투여되기 전에 IV 백 또는 주사기에 보관될 것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암, 예컨대 B7-H4-발현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주간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Ⅴ. 제조 물품 및 키트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 또는 키트가 제공된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사용에 대한 지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현예에서, 제조 물품 또는 키트에는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 암(예를 들어,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사용에 대한 지침이 포함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및 면역 관문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 또는 키트가 제공된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및 면역 관문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의 사용에 대한 지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조 물품 또는 키트에는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유효량 및 면역 관문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 암(예를 들어,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 및 면역 관문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의 사용에 대한 지침이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국소 진행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전이성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본원에 기재된 유방암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조 물품 또는 키트에는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 암[예를 들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 종양(예를 들어,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식도 편평세포암종, 및 위 및 위식도 접합부 선암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의 사용에 대한 지침이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국소 진행성 고형 종양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전이성 고형 종양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본원에 기재된 소세포 폐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본원에 기재된 비소세포 폐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본원에 기재된 두경부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본원에 기재된 식도 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본원에 기재된 위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본원에 기재된 위식도 접합부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에서 선택된다. 본원의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복막암, 나팔관암 및 담낭암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암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용기로는 예를 들어 병, 바이알(예를 들어, 이중 챔버 바이알), 주사기(예를 들어, 단일 또는 이중 챔버 주사기) 및 시험관이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기는 바이알이다. 용기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용기는 제제를 담는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용기상에 있거나 용기와 관련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제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을 위한 지침을 나타낼 수 있다.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제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 암(예를 들어,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한 피하, 정맥내(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 또는 다른 투여 방식에 유용하거나 이를 의도함을 더 나타낼 수 있다.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제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 폐암, 두경부암, 식도암, 위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암을 치료하기 위한 피하, 정맥내(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 또는 다른 투여 방식에 유용하거나 이를 의도함을 더 나타낼 수 있다.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제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자궁내막암, 복막암, 나팔관암, 또는 담낭암을 치료하기 위한 피하, 정맥내(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 또는 다른 투여 방식에 유용하거나 이를 의도함을 더 나타낼 수 있다. 제제를 담는 용기는 재구성된 제제의 반복 투여가 가능한 일회용 바이알 또는 다회용 바이알일 수 있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적합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2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로는 다른 완충액, 희석제, 필터, 바늘, 주사기 및 사용 지침서가 있는 패키지 삽입물을 포함하여 상업적, 치료적 및 사용자 관점에서 바람직한 다른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의약은 면역 관문 억제제(예를 들어, 항-PD1 항체)를 포함한다.
본원의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임의로 제2 의약을 포함한 용기를 더 포함하되, 본원에 기재된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제1 의약이고, 이 물품 또는 키트는 대상을 유효량으로 제2 의약을 이용하여 치료하기 위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에 대한 지침을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의약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1 의약은 제2 의약의 투여 전에 투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2 의약은 제1 의약의 투여 전에 투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본원의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임의로 제2 의약을 포함한 용기를 더 포함하되, 제2 의약은 하나 이상의 이상 사례의 중증도를 제거하거나 감소하기 위한 것이고,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제1 의약이고, 이 물품 또는 키트는 대상을 유효량으로 제2의약을 이용하여 치료하기 위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에 대한 지침을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의약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1 의약은 제2 의약의 투여 전에 투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2 의약은 제1 의약의 투여 전에 투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B7-H4-ADC)는 동결건조된 분말로서 용기 내에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동결건조된 분말은 활성 작용제의 양을 나타내는 완전 밀봉 용기, 예컨대 바이알, 앰플 또는 사셰 내에 있다. 약제가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주사용 멸균수 또는 식염수 앰플은 투여 전에 성분이 혼합될 수 있도록 임의로 키트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키트는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담은 용기, 추가 용기,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통상적인 약학적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할 성분의 양, 투여 지침 및/또는 성분 혼합 지침을 나타내는 삽입물 또는 라벨과 같은 인쇄된 지침도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걸쳐, 조성물 및 키트가 특정 성분을 갖거나, 포함[including]하거나, 포함[comprising]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또는 공정 및 방법이 특정 단계를 갖거나, 포함하거나,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인용된 성분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키트가 추가적으로 존재하고, 인용된 처리 단계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및 방법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적절한 균등물을 사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방법의 다른 적절한 변형 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쉽게 명백할 것이다. 이제 특정 구현예를 상세하게 기재하면,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만 포함되고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는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특정 구현예가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참고문헌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구현예
1.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 antibody-drug conjugate, B7-H4-ADC]로서,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aline-citruline-monomethyl auristatin E, 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항-B7-H4 항체는 서열 번호 5~10 각각의 중쇄 가변 영역[heavy chain variable region, VH]-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1, VH-CDR2, VH-CDR3 및 경쇄 가변 영역[light chain variable region, VL]-CDR1, VL-CDR2 및 VL-CDR3 서열을 포함하고,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B7-H4-ADC.
2. 구현예 1에 있어서,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및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을 포함하는, B7-H4-ADC.
3.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ADC]로서,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CVR], 및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CVR]을 포함하고,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B7-H4-ADC.
4. 구현예 3에 있어서, 항-B7-H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어느 하나의 세 개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2의 세 개의 CDR을 포함하는, B7-H4-ADC.
5. 구현예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한, B7-H4-ADC.
6. 구현예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한, B7-H4-ADC.
7. 구현예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의 서열을 포함하는, B7-H4-ADC.
8. 구현예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다음 구조를 포함하는 B7-H4-ADC:
9. 구현예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다음 구조,
(a)
또는 (b)
를 포함하는 B7-H4-ADC.
10. 구현예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vcMMAE의 비는 약 1 내지 약 8인, B7-H4-ADC.
11. 구현예 1~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vcMMAE의 비는 약 4인, B7-H4-ADC.
12. 구현예 1~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B7-H4 항체는 완전 인간 항체인, B7-H4-ADC.
12A. 구현예 1~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B7-H4 항체는 완전 인간 항체인, B7-H4-ADC.
13. 구현예 1~12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B7-H4 항체는 IgG1 단일클론 항체인, B7-H4-ADC.
14. 구현예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있되,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항-B7-H4 항체는 다양한 번역 후 변형을 나타내는, B7-H4-ADC.
15. 구현예 14에 있어서,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항-B7-H4 항체의 적어도 50%, 60%, 70%, 80%, 90%, 또는 95% 내에서,
(i) C-말단 라이신 잔기가 두 중쇄 모두에서 제거되고/되거나,
(ii) 각 중쇄의 N-말단 글루타민이 파이로글루탐산으로 고리화되고/되거나,
(iii) 각 중쇄의 Asn300에 있는 공통 글리코실화 부위가 말단 갈락토스 잔기가 없는 바이안테너리 코어 푸코실화 글리칸으로 주로 채워진, B7-H4-ADC.
16. B7-H4 관련 암을 앓고 있거나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에게 치료 유효량의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ADC]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항-B7-H4 항체는 서열 번호 5~10 각각의 중쇄 가변 영역[VH]-상보성 결정 영역[CDR] 1, VH-CDR2, VH-CDR3 및 경쇄 가변 영역[VL]-CDR1, VL-CDR2 및 VL-CDR3 서열을 포함하고,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방법.
17. 구현예 16 있어서,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CVR], 및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CVR]을 포함하는, 방법.
18. B7-H4 관련 암을 앓고 있거나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에게 치료 유효량의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ADC]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CVR], 및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CVR]을 포함하고,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방법.
19. 구현예 18 있어서, 항-B7-H4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세 개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2의 세 개의 CDR을 포함하는, 방법.
20. 구현예 16~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한, 방법.
21. 구현예 16~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한, 방법.
22. 구현예 16~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의 서열을 포함하는, 방법.
23. 구현예 16~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다음 구조를 포함하는, 방법.
24. 구현예 16~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다음 구조,
(a)
또는 (b)
를 포함하는, 방법.
25. 구현예 16~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vcMMAE의 비는 약 1 내지 약 8인, 방법.
26. 구현예 16~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vcMMAE의 비는 약 4인, 방법.
27. 구현예 16~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B7-H4 항체는 IgG1 단일클론 항체인, 방법.
28. 구현예 16~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B7-H4 항체는 완전 인간 항체인, 방법.
28A. 구현예 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B7-H4 항체는 인간화 항체인, 방법.
29. 구현예 16~28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있되,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항-B7-H4 항체는 다양한 번역 후 변형을 나타내는, 방법.
30. 구현예 29에 있어서,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항-B7-H4 항체의 적어도 50%, 60%, 70%, 80%, 90%, 또는 95% 내에서,
(i) C-말단 라이신 잔기가 두 중쇄 모두에서 제거되고/되거나,
(ii) 각 중쇄의 N-말단 글루타민이 파이로글루탐산으로 고리화되고/되거나,
(iii) 각 중쇄의 Asn300에 있는 공통 글리코실화 부위가 말단 갈락토스 잔기가 없는 바이안테너리 코어 푸코실화 글리칸으로 주로 채워진, 방법.
31. 구현예 16~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에 반응한 적이 없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닌, 방법.
32. 구현예 16~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 후 재발한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B7-H4-ADC,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닌, 방법.
33. 구현예 16~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 도중 질환의 진행을 겪은 적이 있되,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B7-H4-ADC,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닌, 방법.
34. 구현예 16~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34A. 구현예 16~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은 복막암, 나팔관암 및 담낭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34B. 구현예 16~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35. 구현예 34에 있어서, 암은 폐암이되, 임의로 폐암은 폐 편평세포 암종[lung squamous cell carcinoma, LUSC] 또는 폐 선암종인, 방법.
36. 구현예 35에 있어서, 폐암은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인, 방법.
37. 구현예 34에 있어서, 암은 자궁내막암이되, 임의로 자궁내막암은 자궁내막 암종[uterine endometrial carcinoma, UCEC]인, 방법.
38. 구현예 34에 있어서, 암은 난소암인, 방법.
39. 구현예 38에 있어서, 난소암은 난소 장액성 선암종[ovarian serous adenocarcinoma, OV]인, 방법.
40. 구현예 34에 있어서, 암은 유방암인, 방법.
41. 구현예 40에 있어서, 유방암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인간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음성 유방암[progesterone receptor positive/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negative breast, PR+/HER2-] 암인, 방법.
42. 구현예 40에 있어서,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인, 방법.
43. 구현예 40에 있어서, 유방암은 HR+/HER2 음성 유방암인, 방법.
44. 구현예 40에 있어서, 유방암은 HER2 양성 유방암인, 방법.
45. 구현예 40에 있어서, 유방암은 유방 침윤성 암종[breast invasive carcinoma, BRCA]인 방법.
46. 구현예 31~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한 번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요법을 받은, 방법.
47. 구현예 31~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두 번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요법을 받은, 방법.
48. 구현예 46 또는 47에 있어서,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이용한 사전 요법을 받은, 방법.
49. 구현예 46~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백금계 요법 또는 백금계 병용 요법을 통한 사전 요법을 받은, 방법.
50. 구현예 31~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인, 방법.
51. 구현예 50에 있어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3기 또는 4기 암인, 방법.
52. 구현예 50 또는 51에 있어서, 진행성 병기의 암은 전이성 암인, 방법.
53. 구현예 31~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은 재발성 암인, 방법.
54. 구현예 31~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은 절제 불가능한, 방법.
55. 구현예 31~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던, 방법.
56. 구현예 31~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B7-H4-ADC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중에 있는, 방법.
57. 구현예 31~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은 인간인, 방법.
58. 구현예 31~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 세포 중 적어도 약 0.1%,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적어도 약 4%,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6%, 적어도 약 7%, 적어도 약 8%, 적어도 약 9%,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는 B7-H4를 발현하는, 방법.
59. 구현예 31~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B7-H4-ADC의 투여 후 기준선 대비 개선되는, 방법.
60. 구현예 59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를 포함하는, 방법.
61. 구현예 31~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B7-H4-ADC의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 감소되는, 방법.
62. 구현예 31~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단일요법으로 투여되는, 방법.
63. 키트로서,
(a) B7-H4-ADC, 또는 B7-H4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약 0.5 mg/kg 내지 약 3 mg/kg 범위의 투여량; 및
(b) 구현예 31~6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른 B7-H4-ADC를 사용하기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64. 구현예 31~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vcMMAE에 접합되지 않는 상응하는 B7-H4 항체의 투여와 비교하여, B7-H4-ADC의 투여 후 개선되는, 방법.
65. 구현예 6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감소를 포함하는, 방법.
66. 구현예 65에 있어서, B7-H4-ADC의 투여 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감소는 vcMMAE에 접합되지 않은 상응하는 B7-H4 항체의 투여 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감소보다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더 감소한 것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
67. 구현예 31~61 및 64~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의 투여는,
(a) 임의로 케모카인은 CXCL10 및/또는 CXCL1인, 하나 이상의 케모카인; 및/또는
(b) 임의로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는 IFIT2 및/또는 MX1인, 하나 이상의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의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하는, 방법.
68. 구현예 31~61 및 64~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의 투여는 선천 면역 세포 및/또는 적응 면역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하되, 임의로 선천 면역 세포 및 /또는 적응 면역 세포는 종양 침윤성인, 방법.
69. 구현예 68에 있어서,
(a) 선천 면역 세포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및/또는 항원 제시 세포를 포함하되, 임의로 대식세포는 F4/80+ 대식세포이고/이거나 수지상 세포는 CD11c+이고,
(b) 적응 면역 세포는 T 세포를 포함하되, 임의로 T 세포는 CD3+ 및/또는 CD8+인, 방법.
70. 구현예 31~61 및 64~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의 투여는,
(a) 암세포에 의한 ATP 방출; 및/또는
(b) 암세포 표면에서 칼레티큘린의 노출을 유도하는, 방법.
71. 구현예 31~61 및 64~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단일요법으로 투여되는, 방법.
72. 구현예 31~61 및 64~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7-H4-ADC는 항-PD-1 항체와 병용 투여되는, 방법.
73. 구현예 72에 있어서,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B7-H4-ADC의 단독요법 또는 항-PD-1 항체의 단독요법 실시와 비교하여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개선된, 방법.
74. 구현예 73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전체 생존율 향상, 반응 지속 기간 증가 및/또는 암에서 유래한 종양 크기의 감소를 포함하는, 방법.
75. 구현예 74에 있어서, 항-PD-1-항체와 B7-H4-ADC를 병용 투여한 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감소는 B7-H4-ADC 단독요법 또는 항-PD-1 항체의 단독요법 실시 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감소보다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더 감소한 것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방법.
76. 구현예 74 또는 75에 있어서,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는 B7-H4-ADC 및 항-PD-1 항체 투여 전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 대비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 감소되는, 방법.
77. 구현예 74에 있어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전체 생존율은 B7-H4-ADC의 단독요법 또는 항-PD-1 항체의 단독요법 실시와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향상되는, 방법.
78. 구현예 74 또는 77에 있어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전체 생존율은 B7-H4-ADC 및 항-PD-1 항체의 투여 전과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향상되는, 방법.
79. 구현예 74에 있어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반응 지속 기간은 B7-H4-ADC의 단독요법 또는 항-PD-1 항체의 단독요법 실시와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증가되는, 방법.
80. 구현예 74 또는 79에 있어서, 항-PD-1-항체와 B7-H4-ADC의 병용 투여 후 반응 지속 기간은 B7-H4-ADC 및 항-PD-1 항체의 투여 전과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100%, 2배, 5배, 10배, 50배, 100배, 500배 또는 1000배 향상되는, 방법.
81. 키트로서,
(a) B7-H4-ADC, 또는 B7-H4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b) 구현예 31~62 및 64~7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른 B7-H4-ADC를 사용하기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82. 키트로서,
(a) B7-H4-ADC 및 항-PD-1 항체; 및
(b) 구현예 72~8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른 B7-H4-ADC 및 항-PD-1 항체를 사용하기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실시예
실시예 1: 완전 인간 항-B7-H4 IgG1 단일클론 항체의 구조
B7H41001 mAb는 쇄간 이황화 결합에 의해 공유 연결된 두 개의 중쇄(쇄당 450개 잔기) 및 두 개의 경쇄(쇄당 214개 잔기)로 구성된 완전 인간 항-B7-H4 면역글로불린 G1[immunoglobulin G1, IgG1] 단일클론 항체(도 1a)이다. 중쇄는 감마 1(gamma 1, G1) 클래스이며, 일차 서열을 도 1b에 나타내었다. B7H41001의 경쇄는 카파 클래스이며, 일차 서열을 도 1c에 나타내었다.
B7H41001 mAb는 다양한 번역 후 변형이 있는 관련 종의 이종 혼합물이다. 가장 풍부한 형태는 양 중쇄 모두에서 제거된 C-말단 라이신 잔기, 파이로글루탐산에 고리화된 각각의 중쇄의 N-말단 글루타민, 및 말단 갈락토스 잔기가 없는 바이안테나리, 코어 푸코실화 글리칸으로 주로 점유된 각각의 중쇄의 Asn300에서의 공통 글리코실화 부위로 존재한다. 이 공칭 형태의 분자식과 계산된 분자량은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표 8: B7H41001 mAb의 화학적 속성
실시예 2: 인간 종양 샘플상에서의 VTCN1의 RNA 발현
TCGA RNA-seq 데이터는 Toil 정량화 파이프라인(문헌[Vivian et al., 2017])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여, 유전자 수준 정규화된 계수(백만 킬로베이스당 전사물[Transcripts Per Kilobase Million, TPM])를 생성하고, 2020년 10월 19일 UCSC Xena 브라우저(https://xenabrowser.net/datapages/?cohort=TCGA%20TARGET%20GTEx)에서 다운로드하였다. 유전자 수준 발현 값, 후속 분석 및 시각화 단계를 R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하였다. 유전자 발현을 부신피질 암종[Adrenocortical Carcinoma, ACC], 림프성 신생물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Lymphoid Neoplasm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LAML], 크롬친화세포종 및 부신경절종[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PCPG], 가슴샘종[Thymoma, THYM], 포도막 흑색종[Uveal Melanoma, UVM], 중피종[Mesothelioma, MESO], 직장 선암종[Rectum Adenocarcinoma, READ], 피부 흑색종[Skin Cutaneous Melanoma, SKCM], 결장 선암종[Colon Adenocarcinoma, COAD], 간실질세포 암종[Liver Hepatocellular Carcinoma, LIHC], 육종[Sarcoma, SARC], 다형성아교모세포종[Glioblastoma Multiforme, GBM], 혐색소형 신장[Kidney Chromophobe, KICH], 저등급 뇌 신경교종[Brain Lower Grade Glioma, LGG], 고환 생식세포종양[Testicular Germ Cell Tumor, TGCT], 갑상샘암종[Thyroid Carcinoma, THCA], 투명 신세포암종[Kidney Renal Clear Cell Carcinoma, KIRC], 위선암종[Stomach Adenocarcinoma, STAD],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종[Head and Neck Squamous Carcinoma, HNSC], 전립선 선암종[Prostate Adenocarcinoma, PRAD], 폐 선암종[Lung Adenocarcinoma, LUAD], 식도 암종[Esophageal Carcinoma, ESCA], 자궁경부 편평세포암종 및 자궁경부 선암종[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Endocervical Adenocarcinoma, CESC], 방광 요로상피세포암종[Bladder Urothelial Carcinoma, BLCA], 유두상 신세포암종[Kidney Renal Papillary Cell Carcinoma, KIRP], 자궁 암육종[Uterine Carcinosarcoma, UCS], 폐 편평세포암종[Lung Squamous Cell Carcinoma, LUSC], 췌장 선암종[Pancreatic Adenocarcinoma, PAAD], 자궁체 자궁내막 암종[Uterine Corpus Endometrial Carcinoma, UCEC], 담관암종[Cholangiocarcinoma, CHOL], 난소 장액성 낭샘암종[Ovarian Serous Cystadenocarcinoma, OV], 및 유방 침윤성 암종[Breast Invasive Carcinoma, BRCA]에서 분석하였다.
B7-H4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VTCN1 유전자의 발현을 암 게놈 아틀라스[The Cancer Genome Atlas]에서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수의 고형 종양 유형에서 검출하였다(도 2). VTCN1의 발현은 유방 침윤성 암종[BRCA], 난소 장액성 선암종[OV], 담관암종[CHOL], 및 자궁체 자궁내막 암종[UCEC]에서 가장 높았다. VTCN1은 또한 폐 편평세포 암종[LUSC]과, 그 정도는 덜하지만 폐 선암종[LUAD]에서도 발현하였다.
실시예 3: 인간 B7-H4의 IHC 검출을 위한 항-B7-H4 항체 클론 D1M8I의 검증
B7-H4-음성 및 B7-H4-양성 세포 펠렛의 IHC 염색을 수행하여 항-B7-H4 항체 클론 D1M8I가 B7-H4에 민감하고 특이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된 세포 펠렛의 제조
HEK293T 세포를 인간 VTCN1(B7-H4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참조 서열: NM_024626.4) 및 마우스 Vtcn1(참조 서열: NM_178594.3)을 이용하여 형질감염시켰다. 표준 조건하에 각각의 세포 펠렛에 대해 5천만 개의 세포를 성장시키기 위해, HEK293T, HEK293T_hB7-H4, 및 HEK293T_mB7-H4 세포주를 확장하여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된 세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효소 해리 용액(ATCC 카탈로그 번호 30-2130) 또는 베르센(Versene)(Gibco #15040-066)을 사용하여 부착 세포를 들어올렸다. 그런 다음, 세포를 펠렛화하고 저온 PBS로 2회 세척하고 10% 완충 포말린으로 고정시켰다. 세포가 고정액에 잘 혼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피펫팅하여 세포를 부드럽게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를 15 ml 원뿔형 튜브로 옮기고 고정 날짜와 시간을 기록하였다. 24시간 동안 고정한 후,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였다. 히스토겔(Fisher Scientific #22-045381)을 액체 일관성에 도달할 때까지 온수 욕조에서 가온하였다. 다음으로, 300 μL의 히스토겔을 세포 펠렛과 혼합하고 현탁액을 에펜도프 튜브로 옮기고 얼음에 30분간 두었다. 얼음상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펠렛을 제거하고 70% 에탄올이 담긴 바이알에 옮겼다. 그런 다음, 이들 펠렛을 파라핀 블록에 고정하고 IHC 염색을 위해 절편화하였다.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정량적 유세포 분석법
세포를 베르센으로 수확하고 96-웰 둥근 바닥 플레이트에 웰당 200,000개 세포에서 분취하고 BD 염색 완충액(BD #554657)으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를 얼음상에서 10분 동안 1:10으로 희석한 인간 IgG Fc 단편(밀리포어 401104-5MG, 로트 #2951524)의 50 μL로 차단한 후, 최종 농도 10 μg/mL에서 50 μL의 항-B7-H4 mAb(클론 MIH43, Biolegend #358102, 로트 #B245309) 또는 mIgG1 동형 대조군 mAb(클론 MOPC21, BioXCell #BE0083, 로트 #701618J2)를 첨가하였다. 세포를 얼음상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BD 염색 완충제로 2회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DAKO QIFIKIT 키트(Dako #K0078, 로트 #20061434)의 세포, 설정 및 보정 비드를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항-마우스 IgG mAb-FITC로 염색하고 세포를 Attune 유세포 분석기에서 분석하였다.
B7-H4-발현 HEK293T 세포상에서는 염색을 관찰하였으나, B7-H4-음성 모 HEK293T 세포에서는 염색을 관찰하지 못했다(도 3). 더욱이, 세포 표면에서 다양한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종양 세포상에서 분별 염색을 관찰하였는데(표 9), SKBR3, HCC1569, 및 MDA-MB-468 세포상에서는 강한 염색(강도 점수 = 3), HCC1954 세포상에서는 중간 염색(강도 점수 = 2), 및 ZR-75-30 세포상에서는 약한 염색(강도 점수 = 1, 도 4)을 관찰하였다. B7-H4-음성 세포주 MDA-MB-231에서는 염색을 관찰하지 못했다(도 4). 전체적으로, 이 데이터는 항-B7-H4 항체 클론 D1M8I가 B7-H4 발현 세포를 선택적으로 염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9: 정량적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측정된 유방 종양 세포주상에서의 B7-H4 복제 수
표 9는 정량적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측정된 다양한 B7-H4 수준을 내인적으로 발현한 유방 종양 세포주상에서의 B7-H4 복제 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인간 종양 샘플상에서의 B7-H4에 대한 IHC 염색
US Biomax 또는 BioChain에서 수득한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FFPE] 종양 샘플의 면역조직화학적[immunohistochemical, IHC] 염색에 의해 다음의 다섯 가지 적응증에서 B7-H4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자궁암, 담관암종, 폐암(아데노 및 편평 NSCLC).
유방암, 난소암, 담관암종,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및 자궁내막암 조직 미세배열[tissue microarray, TMA]상에서 B7-H4에 대한 IHC 염색을 토끼 IgG mAb 클론 D1M8I(Cell Signaling #1457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새로 절단하고 굽지 않은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FFPE] TMA는 US Biomax Inc(BC11115c, BR1921c, BC09012b, EMC1501, EMC1502, LV1004a, LC706b, LC1923, LC808b, LC704) 또는 BioChain (Z7020063)에서 구입하였다. 슬라이드(Boekel Scientific, 모델 107800)를 IHC 수행 직전에 58 ℃에서 1시간 동안 구웠다.
모든 샘플을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주위 온도에서 Bond-III™ 자동염색기(Leica Microsystems Inc., Buffalo Grove IL.)상에서 처리하였다. Bond™ 탈납 용액(Leica, 카탈로그 번호 AR9222)을 사용하여 58-60 ℃에서 유리 슬라이드상의 FFPE 절편에서 파라핀을 제거하였다. EDTA-기반 pH 9 Bond™ 에피토프 복구 용액 2(Leica, 카탈로그 번호 AR9640)를 사용하여 98~100 ℃에서 20분간 항원 복구를 수행하였다. 과산화물 블록을 10분 동안 적용한 후 비특이적 배경을 단백질 블록(Dako, 카탈로그 번호 X090930)으로 20분 동안 차단하였다. 모든 항체를 BOND 일차 항체 희석제(Leica, 카탈로그 번호 AR9352)에서 작업 농도까지 희석하였다. 동형 일치 토끼 IgG(Abcam, 클론 EPR25a 카탈로그 번호 ab172730)를 배경 염색을 위한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자동화된 IHC 염색을 위해, 본 발명자들은 Bond™ Polymer Refine 검출(DAB) 키트(Leica, 카탈로그 번호 DS9800)를 사용하였다. 슬라이드를 B7-H4에 대한 토끼 단일클론 일차 항체를 이용하여 45분 동안 5 μg/mL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일차 항체를 TMA당 총 300 uL에 대해 2회 분배하였다).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DAB 정제 색원체를 사용하여 HRP를 검출하였다. 절편을 헤마톡실린을 이용하여 7분 동안 대조염색하였다.
자동염색기상에서 프로토콜이 완료되면, 슬라이드를 즉시 제거하고, 탈이온[deionized, DI]수에 넣은 후 Surgipath 봉입 배지(Leica, Surgipath Micromount, 카탈로그 번호 3801731)를 사용하여 커버(Leica, CV5030)를 덮기 위해 일련의 탈수 단계(70% EtOH, 70% EtOH, 95% EtOH, 95% EtOH, 100% EtOH, 100% EtOH, 100% EtOH, 자일렌 3회)를 거치도록 하였다. 각각의 IHC 수행에는 B7-H4 양성 대조군(HEK293T_B7-H4 과발현 세포 펠렛) 및 B7-H4 음성 대조군(HEK293T 모 세포 펠렛)이 포함되었다. 슬라이드 스캐너(Leica, Aperio AT2)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처하고 병리학자가 슬라이드 및/또는 이미지를 평가하고 점수를 매겼다.
B7-H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또한 비치료 PDX 종양상에서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3분 동안 자일렌(2회); 2분 동안 100% EtOH(2회); 2분 동안 90% EtOH; 2분 동안 100% EtOH 중 인큐베이션하여 종양의 파라핀을 제거하였다.
항원 복구를 NxGen Biocare사의 은폐 해제 챔버[Decloaking Chamber] 및 Diva 복구 솔루션이 포함된 110 ℃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다음 프로토콜에 따라 IntelliPath 자동염색기에서 슬라이드를 염색하였다. 은폐 해제 챔버에서 뜨거운 용기를 제거하고 탈이온수로 헹군다; IntelliPath에 첨가하기 전에 TBST에 슬라이드를 배치한다; 자동화 전 염색기상에서 슬라이드를 수화시킨다; 슬라이드당 300 uL 과산화물을 첨가하고 1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TBST에서 슬라이드를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스나이퍼 블록을 첨가하고 1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차단 용액을 닦아낸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일차 항체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슬라이드를 TBS로 2회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HRP 중합체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TBST로 슬라이드를 2회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DAB를 첨가하고 5분간 인큐베이션한다; TBST로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헤마톡실린을 첨가하고 2분간 인큐베이션한다; 탈이온수로 세척한다; 슬라이드를 오븐에 30분간 넣어 탈수시킨다; 슬라이드상에 커버를 놓는다.
Halo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Indica Labs)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H-점수를 다음 수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3 x 강한 신호%) + (2 x 중간 신호%) + (약한 신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B7-H4 발현을 유방 및 난소 종양 코어에서 관찰하였다. 도 6은 다양한 종양 조직상에서의 B7-H4 IHC 점수 요약을 나타내었다. B7-H4 발현을 모든 세 종류의 유방 아형(Her2+, HR+, 및 TNBC)에 걸쳐 관찰하였고, 이는 공개된 데이터(문헌[Leong et al., 2015, Mol Pharm 12, 1717-1729; Sachdev, 2019, "Phase 1a/1b study of first-in-class B7-H4 antibody, B7H41001, as mon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presented at: ASCO (Journal of Clinical Oncology)])와 일치하였다. 또한, 자궁내막 선암종과 담관암종을 제외한 모든 적응증에서 균일한 막염색이 나타났다. 자궁내막 선암종과 담관암종의 경우, 균일한 막 염색 패턴과 정점 막 염색 패턴 모두를 관찰하였다. 표 10 및 11은 각각 TMA 및 편평 NSCLC 종양상에서의 B7-H4 염색 요약을 나타내었다.
표 10: TMA상에서 B7-H4 염색의 요약
TMA의 경우, mAb 클론 D1M8I(CST)를 사용하여 B7-H4에 대해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종양을 염색하였다. 슬라이드는 다음과 같이 점수를 매겼다: 강도: 0 = 없음, 1 = 약함, 2 = 보통, 3 = 강함; 빈도: 1 = 1~25%, 2 = 26~50%, 3 = 51~75%, 4 = > 75%. 유병률 계산을 위해 막(M) 및/또는 정점 막(A) 염색(임의의 강도)이 종양 세포의 25% 초과에서 관찰되는 경우, 종양은 양성으로 간주하였다.
표 11: 편평 NSCLC 종양상에서 B7-H4 염색의 요약
NSCLC의 경우, mAb 클론 D1M8I(CST)를 사용하여 B7-H4에 대해 포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종양을 염색하였다. 슬라이드는 다음과 같이 점수를 매겼다: 강도: 0 = 없음, 1 = 약함, 2 = 보통, 3 = 강함; 빈도: 1 = 1~25%, 2 = 26~50%, 3 = 51~75%, 4 = > 75%; 위치: M = 막, C = 세포질. 토끼 IgG 동형 대조군 mAb(클론 EPR25A, Abcam)로 염색한 일련의 종양 절편상에서 염색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B7-H4는 다양한 고형 종양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면역 관문 리간드의 B7 계열 구성원이다. B7-H4 발현의 존재를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담관암종 및 NSCLC 종양을 포함한 다양한 암종 유래 환자 샘플에서 본 실시예에서 확인하였다.
실시예 5: B7-H4에 대한 SGN-B7H4V 및 B7H41001 mAb의 결합
완전 인간 푸코실화된 항-B7-H4 항체 B7H41001 mAb는 시험관내 효모 디스플레이 플랫폼(Kaplan, 2017)을 사용하여 식별되었고, 단백질 분해효소 절단가능 MMAE/SGD-1006(베도틴) 약물 링커에 접합되어 SGN-B7H4V를 형성하였다. SGN-B7H4V 및 비접합 항체인 B7H41001 mAb를 생물층 간섭법[biolayer interferometry, BLI]에 의해 재조합 인간 B7-H4 단백질(hB7-H4; C-말단 10-His 태그를 갖는 B7-H4 세포외 도메인 Phe29-Ala258)에 대한 결합을 평가하였다.
재조합 B7-H4에 결합하는 SGN-B7H4V 및 B7H41001 mAb의 BLI 평가
일가 결합 시험을 위해, SGN-B7H4V 및 B7H41001 mAb를 동역학 완충액(0.1% BSA, 0.02% 트윈20, 1x PBS pH 7.4)에 희석하고 4 μg/mL에서 300초 동안 AHC(항인간 Fc) 바이오센서(ForteBio 제품)상에 탑재하였다. 동역학 완충액에서 기준선을 만든 후, hB7-H4 His 항원을 동역학 완충액을 사용하여 2.14, 5.96, 16.61, 46.3, 128.9 및 359 nM까지 연속 희석하고 450초 동안 회합시킨 후 동역학 완충액에서 1000초 해리 단계를 수행하였다. 센서그램을 30 ℃에서 Octet HTX 시스템(ForteBio)상에서 생성하고, 항원 탑재 0 nM 분석물 센서의 기준 차감 후 1:1 랭뮤어(Langmuir) 등온선 모델(Rmax 비연결)로 전체적으로 피팅하였다. 고정된 것이 없고 고농도의 hB7-H4 His 항원(1000 nM)이 있는 음성 대조군을 수행하여 AHC 바이오센서 자체에 대한 분석물의 비특이적 결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상호 작용에 대한 해리 시간의 피팅 창을 결과 섹션 내의 친화도 표에 기록하였다.
이가 결합 시험을 위해, NHS-바이오티닐화된 hB7-H4 His 항원을 동역학 완충액에 희석하고 SAX(스트렙타비딘) 바이오센서(ForteBio 제품)상에 300초 동안 0.25 μg/mL에서 탑재하였다. 동역학 완충액에서 기준선을 만든 후, SGN-B7H4V 및 B7H41001 mAb를 동역학 완충액를 사용하여 0.2, 0.51, 1.28, 3.2 및 8.0 nM까지 연속 희석하고, 600초 동안 회합한 후 동역학 완충액에서 2000초 해리 단계를 수행하였다. 센서그램을 37 ℃에서 Octet HTX 시스템(ForteBio)상에서 생성하고, 항원 탑재 0 nM 분석물 센서의 기준 차감 후 1:1 랭뮤어(Langmuir) 등온선 모델(Rmax 비연결)로 전체적으로 피팅하였다.
결과.
hB7-H4에 대한 결합 친화도는 B7H41001 mAb와 SGN-B7H4V 간에 유사하였고(도 7), 이는 접합 과정이 B7H41001 mAb의 결합 친화도를 변경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가 포맷은 일가 포맷과 비교하여, mAb 및 ADC에 대해 각각 231배 및 395배까지 친화도를 향상시켰다.
실시예 6: B7-H4에 대한 SGN-B7H4V 및 B7H41001 mAb의 결합
SGN-B7H4V 및 비접합 항체인 B7H41001 mAb를 인간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SKBR3 세포에 대한 결합에 대해 평가하였다.
SGN-B7H4V 및 B7H41001 mAb의 포화 결합 시험
TrypLE Express로 들어 올리고 세포 수를 계산한 후, B7-H4 발현 SKBR3 세포를 5% 마우스 혈청(Sigma #M5905)이 포함된 1 mL의 FACS 세척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SKBR3 세포를 FACS 세척 완충액을 사용하여 mL당 2백만 개의 세포까지 희석하고 웰당 100,000개 세포를 U-바닥 플레이트(웰당 50 μL)에 플레이팅하였다. 그런 다음, 항체를 700 nM의 출발 농도로 FACS 세척 완충액 중 1:3 희석 농도에서 적정하고 0.004 nM까지 희석하였다(실제 출발 농도는 웰에서 2배 희석을 고려하여 1400 nM임). 항체 적정물을 웰당 50 μL에서 두 번 SKBR3 세포에 대해 플레이팅하였다. 테스트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4 ℃에서 추가로 35~4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약 1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FACS 세척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고, 2차 항체[염소 항인간 IgG (H+L)-PE, Jackson ImmunoResearch, #109-116-170]를 FACS 세척 완충액(웰당 100 μL) 중 1:200 희석 농도에서 세포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실온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FACS 세척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Cytoflex 유세포 분석기에서 세포를 분석하기 전에 세포를 100 μL의 FACS 세척 완충액에 재현탁하였다. 데이터를 FlowJo 소프트웨어로 내보내고 중간 형광 강도[median fluorescent intensity, MFI] 통계를 사용하여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로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결과
포화 결합 시험은 B7H41001 mAb 및 SGN-B7H4V가 각각 약 3 nM 및 약 1.5 nM의 비슷한 Kd 값으로 B7-H4에 결합함을 입증하였다(도 8). B7H41001 mAb 및 SGN-B7H4V의 결합은 비결합 mAb로서 B7-H4에 대해 선택적이었고 대조군 ADC는 SKBR3 세포에 대한 최소 결합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결과는 SGN-B7H4V가 높은 친화도로 B7-H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항원을 발현하는 고형 종양에서의 치료제로서의 추가 평가의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시예 7: 시험관내에서 B7H41001 mAb의 세포 내재화
자동 면역형광법을 사용하여 세포 기반 검정에서 SGN-B7H4V 항체 골격 B7H41001 mAb의 내재화 속성을 시각화하였다.
자동 형광 현미경에 의한 B7H41001 mAb 내재화.
자동 형광 현미경(IncuCyte S3, Essen Bioscience)에 의해 B7-H4 발현 유방암 세포주 SKBR3 및 MX-1상에서 세포내 수송을 수행하였다. 내재화를 평가하기 위해, B7H41001 항체를 SGN-B7H4V에서와 동일한 vc 링커를 사용하여 연결된 Cy5 염료 및 소광제 쌍에 접합하였다. 소광제는 항체가 내부화되고 염료가 항체와 소광제에서 떨어질 때까지 염료가 형광을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특정 항원의 발현이 부재한 상황에서 내재화가 일어나지 않았고, 표지된 항체의 형광 강도는 낮게 유지되었다. 구체적으로, B7H41001 mAb를 SGN-B7H4V에 사용되는 vc-PAB-MMAE 약물 링커 중 절단가능한 링커와 동일한 링커를 사용하여 ?칭된 형광단과 접합시켰다. 소광제는 항체가 내부화되고 염료가 항체와 소광제에서 떨어질 때까지 염료가 형광을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세포를 96-웰 편평 투명 바닥이 있는 검은색 벽의 조직 배양 처리된 마이크로플레이트(Corning #3603) 중 웰당 약 2500개 세포에서 접종하고 37 ℃에서 밤새 부착되도록 두었다. ?칭된 형광단 항체 접합체를 배양 배지에서 희석하고 1 μg/mL(최종 농도)에서 세포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37 ℃ 인큐베이터의 IncuCyte S3에 있는 마이크로플레이트 트레이에 즉시 탑재하였다. Adherent Cell-by-Cel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캔을 수득하였다. 위상 데이터 및 적색 채널 데이터(수득 시간은 400 ms로 설정)를 10배로 설정된 대물렌즈로 2 내지 6시간마다 최대 24시간 동안 웰당 4개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IncuCyte 소프트웨어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칭된 형광 신호 강도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이 분석은 알고리즘의 미리 보기 및 교육을 위한 표지없는 세포 계수와 수동 이미지 선택을 활용하여 세포주별로 개선되고 조정되었다. 분석이 완료되면, 시간 0(%)으로 평균 정규화된 적색 평균 강도 객체로 설정된 그래프 메트릭을 갖는 IncuCyt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계산하여, 시간 0에서 수득한 데이터로 정규화된 주어진 시점에서 세포당 적색(?칭된 형광) 평균 강도의 측정치를 제공하였다. SGN-B7H4V의 내재화 및 엔도리소좀(endolysosomal) 수송을 위한 대용품인 ?칭된 형광단의 활성화에 대한 겉보기 '반감기'(t1/2) 값을 측정하기 위해 Graphpad Prism(San Diego, CA)을 사용하여 단일 지수 '단상 연관' 수식에 세포당 정규화된 평균 적색 강도를 피팅하였다.
결과
B7H41001 mAb ?칭 형광단 접합체를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SKBR3 및 MX-1)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2 내지 6시간마다 세포를 이미징하고 세포당 평균 적색 형광 강도를 계산하여 형광을 정량화하였다. 이 검정에서 형광 신호는 세포주에 따라 대략 3.2 내지 4.9시간 범위의 겉보기 반감기로 증가하였다(도 9). 최대 형광 신호는 MX-1 세포상에서 더 높았으며, 이는 SKBR3 세포와 비교하여 MX-1 세포상에서 B7-H4의 더 높은 표면 발현과 일치하였다(표 9 참조). 중요한 것은 내재화는 B7-H4에 대한 결합에 달려 있고, 세포가 비결합 mAb ?칭 형광단 접합체와 함께 인큐베이션되었을 때 최소한의 형광이 검출되었다는 점이다.
실시예 8: SGN-B7H4V의 시험관내 세포독성
96시간의 시험관내 검정에서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SGN-B7H4V의 능력을 세 개의 B7-H4 발현 세포주(SKBR3, MX1 및 MDA-MB-468)와 하나의 비-B7-H4 발현 세포주(MDA-MB-231)에서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세포가 3D 회전 타원체(둥근 바닥, 초저 부착 플레이트) 조건에서 성장했을 때 평가하였다.
B7-H4를 발현하는 암 세포주(SKBR3, MX-1 및 MDA-MB-468)뿐만 아니라, 비-B7-H4 발현 세포주(MDA-MB-231)를 -210 ℃에서 보관된 냉동바이알에서 완전 성장 배지로 해동하고, Vi-CELL XR(Beckman Coulter, Indianapolis, IN)에 의해 측정한 세포 생존율이 90%를 초과할 때까지 37 ℃ 및 5% CO2에서 해동 후 성장 및 회복시켰다. 그런 다음, 세포를 계수하고 각각 웰당 2000, 2200, 2200, 및 2200 세포에서 플레이팅하였다. 세포를 둥근 바닥, 검은 벽, 초저부착, 96-웰 플레이트(Corning 4520) 중 150 μL의 완전 성장 배지에 플레이팅하였다. 세포가 부착될 수 있도록 세포 플레이트를 37 ℃ 및 5% CO2에서 밤새 두었다. ADC를 해동하고 RPMI 1640 +20% FBS 중 4배 8-포인트 연속 희석액(최종 용량 범위 1000~0.061 ng/mL)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50 μL의 각 희석액을 각각의 세포 플레이트에 3회 첨가하였다. 그 후, 세포를 37 ℃ 및 5% CO2에서 9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도록 두었다. 그런 다음, 세포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서 제거하고, 30분 동안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CellTiter-Glo® 발광 검정(Promega Corporation, Madison, WI)을 Promega의 프로토콜에 따라 준비하였다. 100 uL의 CellTiter-Glo®를 Formulatrix Tempest 액체 처리기(Formulatrix, Inc.)를 사용하여 검정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ALPS300 자동 마이크로플레이트 열 밀봉기(Thermo Scientific)를 사용하여 열 밀봉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빛을 차단하였다. 그런 다음, EnVision Multilabel 플레이트 판독기(Perkin Elmer, Waltham, MA)를 사용하여 각 플레이트의 발광을 측정하였다. 회전 타원체 배양 플레이트의 경우, CellTiter-Glo®를 사용하여 1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다중채널 피펫을 사용하여 웰을 혼합하여 회전 타원체의 완전한 용해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100 uL의 용해된 회전 타원체 현탁액을 검정색 벽의 평평한 바닥 96-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EnVision Multilabel 플레이트 판독기(Perkin Elmer, Waltham, MA)상에서 판독하였다. 그 후, 미가공 데이터는 비선형, 4-파라미터 곡선 적합 모델(Y=하단 + [상단-하단]/[1+10^[[LogEC50-X)x언덕기울기]])을 사용하여 Graphpad Prism(San Diego, CA)에서 분석하였다. 결과는 세포 생존율을 50%까지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ADC의 농도로 정의된 X50 값으로 보고하였다.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B7-H4-발현 세포주 세 가지 모두는 SGN-B7H4V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내었지만, x50 값의 범위가 3 내지 105 ng/mL인 비결합 대조군 ADC는 나타내지 않았다(표 12).
여기에서, 본 발명자들은 SGN-B7H4V의 세포독성 활성뿐만 아니라 비접합 항체 성분의 내재화 속성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B7H41001 mAb가 B7-H4 발현 종양 세포에 결합하여 세포내 구획으로 내재화됨을 발견하였다. SGN-B7H4V는 시험관내의 B7-H4 발현 세포에 강력한 세포독성 활성을 발휘한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SGN-B7H4V가 세포독성 페이로드 MMAE를 B7-H4를 발현하는 세포에 전달할 수 있고 항원을 발현하는 고형 종양의 치료제로서의 추가 평가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표 12: SGN-B7H4V의 시험관내 세포독성(x50 값)
실시예 9: SGN-B7H4V Fc 효과기 기능
인간 활성화 FcγR을 FcγRI(CD64), FcγRIIa(CD32a) 및 FcγRIII(CD16)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단핵구 및 대식세포와 같은 선천 면역 세포상에서 IgG1 항체 골격의 Fc 영역과 활성화 FcγR과 상호 작용 시, 신호전달 연쇄반응이 촉발되어 ADCC, ADCP 및 CDC를 포함한 효과기 기능을 일으킨다. NK 세포는 FcγRIII를 통해 ADCC를 매개하는 반면, 단핵구/대식세포는 주로 FcγRI/IIa를 통해 ADCP를 매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c 효과기 기능을 유도하는 SGN-B7H4V 및 비접합 mAb B7H41001의 능력을 특성화하기 위해, FcγR 결합 및 세포성 FcγR 신호전달을 측정하였다. ADCC, ADCP 및 CDC를 이끌어내는 SGN-B7H4V 및 B7H41001 mAb의 능력도 일차 세포 기반 검정에서 직접 평가하였다.
BLI 결합 검정
hFcγRI, hFcγRIIa H131, hFcγRIIa R131, hFcγRIIIa F158, hFcγRIIIa V158, 및 hscFcRN과의 결합 동역학을 BLI로 평가하였다. 단량체 Fc(Seagen, Inc에서 설계 및 발현됨)와 융합된 바이오티닐화된 avi-태그 인간 Fc 수용체를 (ForteBio사의) 고정밀 스트렙타비딘 바이오센서에 탑재하여 약 1.2 nm에서 반응하는 hFcγR1을 제외한 모든 수용체에 대해 약 0.4 nm에서 반응을 갖도록 하였다. 초기 기준선을 고정화 완충액(0.1% BSA, 0.02% 트윈20, 1x PBS pH 7.4)에서 완료한 후, 동역학 완충액(hFcγRI, IIa, IIIa, 및 IIb 상호작용에 대한 1% 카세인, 0.2% 트윈20, 1x PBS pH 7.4 및 hscFcRN 상호작용에 대한 1% BSA + 0.2% 트윈20, 구연산 인산염 pH 6.0)에서 두 번째 기준선을 완료하였다. 적정된 SGN-B7H4V, B7H41001 mAb, 및 양성 대조군 mAb 샘플을 동역학 완충제 중 hFcγRI에 대해 600초 및 1000초, hFcγRIIa 및 hFcγRIIb에 대해 10초 및 50초, hFcγRIIIa에 대해 60초 및 200초, 및 hscFcRN에 대해 50초 및 200초 동안 회합하고 해리하였다. 센서그램을 30 ℃에서 Octet HTX 시스템(ForteBio)상에서 생성하고, 항원 탑재 0 nM 분석물 센서의 기준 차감 후 1:1 동역학 랭뮤어(Langmuir) 등온선 모델(Rmax 비연결)로 전체적으로 피팅하였다. 고정된 Fc 수용체가 없는 최고 농도의 항체 및 ADC(20 μM)를 사용한 음성 대조군도 수행하여 스트렙타비딘 바이오센서 자체에 대한 분석물의 비특이적 결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스트렙타비딘 센서에 대한 각 수용체의 특정 탑재 농도 및 시간, 적정 분석물의 농도가 나열되어 있다(표 13, 표 14).
표 13: 스트렙타비딘 바이오센서에 대한 고정화 농도 및 시간
표 14: 분석물의 농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 및 B7H41001 mAb는 테스트한 모든 인간 Fc 수용체에 유사하게 결합하였다. hFcγRI는 약 1 nM에서 가장 강한 친화도를 보였고, hFcRN는 평균 17 nM에서 두 번째로 높은 친화도를 보였다. hFcγRIIIa 및 hFcγRIIa 변이체에 대한 친화도의 범위는 2.6~10.9 μM이었고, hFcγRIIb는 가장 약한 친화도를 나타내었다. hFcγRIIb 상호작용에 대한 데이터 품질은 낮았으며, 이는 친화도가 너무 약하기 때문에 20 μM로 설정된 최고 농도에서도 50% 초과 포화도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변동성을 유발하였다. 데이터 품질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센서그램의 유사한 모양은 B7H41001 mAb와 SGN-B7H4V 간의 친화도가 유사함을 추론하였다. 양성 대조군 mAb(항-CD70 mAb h1F6)와 비교하여, SGN-B7H4V 및 B7H41001 mAb는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결합을 보인 hFcγR1을 제외하고는 Fc 수용체에 대해 약간 더 약한 친화성을 가졌다.
FcγR Jurkat 리포터 세포 검정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SKBR3 표적 세포 및 FcγRI, RIIa, 또는 RIII 및 활성화된 T 세포의 핵 인자[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 NFAT] 구동 발광 효소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Jurkat 효과기 세포를 사용하는 세포 기반 검정에서 세포성 FcγR 신호전달을 측정하였다. 표적 세포상에서 B7-H4에 대한 B7H41001 mAb Fab 도메인 및 효과기 세포상에서 FcγR에 대한 Fc 도메인의 결합으로 인해, 발광 효소 신호가 유도된다. 발광 효소는 FcγR-유도 효과기 세포 활성화의 정도에 비례하고, ADCC(FcγRIII) 또는 ADCP(FcγRI/IIa)에 대한 대리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FcγRI, RIIa 또는 RIII 및 활성화된 T 세포의 핵 인자[NFAT] 구동 발광 효소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Jurkat 효과기 세포를 해동하고, NFAT 리포터 세포 배지[4% HyClone™ 우태아 혈청, 초저 IgG(Gibco #A33819-01), 1x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15140-122), 1x MEM 비필수 아미노산(Gibco #11140-050), 1x L-글루타민(Gibco #25030-081), 1x 소듐 피루베이트(Gibco #11360-070), 하이그로마이신(Invitrogen #10687), 항생제 G-418 황산염 용액 (Promega #V8091), HEPES(Gibco #15630)로 보충한 RPMI 1640 배지(Gibco #11875-093)]에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Jurkat FcγR 신호전달 검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검정 전날, 표적 SKBR3 세포를 베르센(Gibco #15040-066)을 사용하여 들어올리고, PBS로 2회 세척하고, 10% 저 IgG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90 μL RPMI 1640에서 웰당 1.2x104 세포로 검정색 벽이 있는 96-웰 플레이트(Corning #3603)에 플레이팅하였다. 다음날, 100 mL의 RPMI 1640에 4 mL 저 IgG 혈청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37 ℃까지 가온하여 NFAT 검정 완충액을 제조하였다. NFAT 검정 완충액을 사용하여 모든 세포와 항체 희석액을 재현탁하였다. 각 항체의 원액 희석 플레이트(10x)는 100, 30, 10, 3, 1, 0.3, 0.1, 0.03, 0.01, 및 0.003 μg/mL에서 제조하였다. 10 μL의 각 희석액을 표적 세포가 있는 플레이트의 적절한 웰에 첨가하였다(1:10 희석). 세포를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동안, 배양된 효과기 세포(Jurkats - FcγRI, FcγRIIa, 또는 FcγRIII NFAT 리포터 세포)를 1x PBS에서 2회 세척하였다. 효과기 세포를 계수하고 PBS에서 2회 세척한 후 NFAT 검정 완충액 중 mL당 1x106개 세포에서 재현탁하였다. 표적 세포상에서 검정 완충액과 항체 희석액을 조심스럽게 흡인하였다. 75 μL의 효과기 세포를 각 웰에 피펫으로 넣었다(웰당 7.5 x 104 세포). 리포터 세포 검정 플레이트를 37 ℃, 5% CO2에서 14~16시간(FcγRI 및 FcγRIIa 리포터 세포) 또는 7시간(FcγRIII 리포터 세포)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15~30분 동안 주위 온도까지 평형화하였다. Bio-Glo(G7941, Promega) 시약을 해동하고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재현탁하였다. 75 μL의 Bio-Glo(Bio-Glo™ 발광 효소 검정 시스템, Promega #G7940)를 배경 대조군용 배지만 포함된 3개의 웰을 포함하여 각 웰에 첨가하였다. 적어도 5분 동안 진탕기(호일로 덮음)에서 혼합한 후 Envision 96 CTG 프로토콜(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 PerkinElmer)을 사용하여 모든 샘플에 대해 발광을 측정하였다. 그래프를 작성하기 전에 미가공 발광 신호에서 배경(세포 없음) 신호를 뺀다.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 및 B7H41001 mAb는 FcγRI 및 FcγRIII에서 용량 의존적 증가를 유도하였지만, FcγRIIa-매개 발광 효소 활성은 유도하지 않았다.
ADCC
세포 표면 항원에 대한 항체는 ADCC 유도를 포함하여 항체 코팅된 세포의 직접적인 사멸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CC를 구동하는 항체의 능력은 항체의 골격에 달려 있고, 인간 IgG1 항체가 가장 활동적이다. SGN-B7H4V, 비접합 B7H41001 mAb뿐만 아니라, 비결합 대조군 ADC 및 mAb에 의한 자연 살해[Natural killer, NK] 세포 매개 ADCC를 인간 B7-H4 발현 세포주 SKBR3, MX-1, 및 293T-B7-H4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인간 PBMC를 미리 가온된 R10+ 배지[10% HI-FBS(Gibco #16140-071), 1x 소듐 피루브레이트(Gibco #11360-070) 및 1x GlutaMax(Gibco #35050-061)를 포함한 RPMI 1640(Gibco #11875-093)]로 해동한 후, EasySep NK 단리 키트(StemCell #17955)를 사용하여 NK 세포를 정제하였다. 표적 종양 세포를 TrypLE Express(Gibco #12604-021)를 사용하여 들어올린 후, MX-1 및 293T-B7-H4(인간 B7-H4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HEK 293T 세포)의 경우 웰당 40,000 세포(웰당 50 μL) 및 SKBR3 세포주의 경우 웰당 20,000 세포(웰당 50 μL)에서 U-바닥 플레이트(Falcon #353077)로 플레이팅하였다. SGN-B7H4V 및 B7H41001 mAb를 2000 ng/mL 내지 0.02 ng/mL 범위의 10배 희석액으로 적정한 후, 웰당 50 uL에서 U-바닥 플레이트로 플레이팅하였다. (참고: 실제 출발 농도는 검정의 고유한 3배 희석을 설명하기 위해 mL당 6000 ng였음.) 그런 다음, 단리된 NK 세포의 웰당 200,000개 세포(웰당 50 μL)을 U-바닥 플레이트로 플레이팅하였다(효과기: 종양 비율은 다음과 같음. NK:SKBR3 세포 10:1; NK:MX1 세포 5:1; NK:293T-B7-H4 세포 5:1). 적절한 대조군은 양성 대조군 mAb 및 ADC 및 음성 비결합 대조군 mAb 및 ADC, NK 세포 단독 대조군, 표적 세포 단독 대조군, 표적 세포 최대 용해 대조군, 및 배지 단독 대조군을 포함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습도 조절 인큐베이터 내 37 ℃에서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45분 전에, (아래 세포독성 키트에서 얻은) 용해 용액을 표적 세포 최대 용해 대조군 웰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분석 플레이트를 스핀 다운하고 각 웰에서 얻은 50 uL의 상층액을 새로운 F-바닥 투명 플레이트(VWR #29442-058/3598)로 옮겼다. CytoTox 96 비방사성 세포독성 검정 키트(Promega #G1780)를 사용하여 신호를 발생시켰고, 이를 SpectraMax 190 기기상에서 490 nm 파장을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결합 대조군 ADC 및 mAb를 제외하고, SGN-B7H4V 및 비접합 항체 B7H41001 mAb 둘 다 유사한 ADCC 반응을 유도하였다.
ADCP
B7-H4 발현 세포주 SKBR3 및 일차 단핵구/대식세포를 사용하여 SGN-B7H4V-매개 ADCP를 평가하였다. SKBR3 세포를 CD47에 대해 증가하는 농도의 SGN-B7H4V, 비접합 B7H41001 mAb, 비결합 대조군 mAb, 또는 양성 대조군 mAb를 이용하여 사전 인큐베이션한 후, 단핵구/대식세포와 공동 배양하였다. 옵소닌화된 세포의 포식작용을 유세포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SKBR3 종양 세포를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PKH26(PKH26 적색 형광 세포막 표지 키트, Sigma-Aldrich #PKH26GL-1KT)을 사용하여 형광 표지하였다. 지침은 다음과 같았다. SKBR3 세포를 베르센(Gibco #15040-066)을 사용하여 10분 동안 수확하고, PBS로 1회 세척한다. 세포를 1 mL의 희석제 C(PKH26 적색 형광 세포막 표지 키트, Sigma-Aldrich #PKH26GL-1KT에 포함됨)에 재현탁하였다. 별도의 튜브에 1 mL의 희석제 C를 위아래로 피펫팅하여 4 μL의 PKH26 염료와 혼합하였다. 염료 용액을 재현탁된 세포에 옮기고 여러 번 위아래로 피펫팅하여 빠르게 혼합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표지 반응을 2 mL의 FBS(0.05~0.2 EU/ml 내독소[Endotoxin], R&D Systems #S1155OH)를 첨가하여 중단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를 10% FBS를 함유한 RPMI 1640(Gibco #11875-093)을 사용하여 1회 세척하였다. 세포를 0.8 x 106 세포/mL 농도에서 PBS에 재현탁하고, 96-웰 U-바닥 플레이트(Falcon #353227)로 옮겼다(웰당 300 μL). 표적 세포를 다음과 같이 시험 물품으로 처리하였다. 시험 물품의 연속 희석액(1:10)을 0.0001~100 μg/mL의 96-웰 U-바닥 플레이트 중 PBS에서 제조하였다(작업 농도는 0.001~10 μg/mL일 것임에 유의함). 시험 물품(웰당 33 μL)을 U-바닥 플레이트 내의 세포의 적절한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10% FBS를 함유한 웰당 200 μL RPMI 1640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를 10% FBS를 함유한 웰당 330 μL RPMI 1640 배지에서 재현탁하였다. 건강한 공여자 둘에서 얻은 PBMC를 해동하고 다음과 같이 플레이팅하였다. 1일차에, 세포를 37 ℃에서 해동하고 10% FBS(.05-0.2 EU/ml 내독소, R&D Systems #S1155OH)를 함유하는 RPMI 1640으로 옮겼다. PBMC를 편평 바닥 48-웰 플레이트(Falcon #353230) 내 웰당 0.7 x 106 세포에서 플레이팅하여 단핵구가 밤새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다음 날, 배지를 흡인하여 대부분의 비부착성 림프구를 제거하고 10% FBS를 함유한 200 uL의 새로운 RPMI 1640으로 교체하였다. 그런 다음, 처리된 표적 세포(100 uL)를 단핵구/대식세포를 함유한 상응하는 웰 48-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37 ℃에서 밤새 14~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4~18시간 후, 세포를 수확하고 유세포 분석을 위해 염색하였다. 모든 세포를 상층액 내 세포를 수집함으로써 각각의 웰에서 수확하고, 세포를 PBS 세척액에 의해 제거하고, 세포를 베르센(Gibco #15040-066)을 이용하여 플레이트에서 들어 올렸다. 그런 다음, 대식세포를 다음과 같이 염색하였다. 표적 세포 및 대식세포를 96-웰 U-바닥 플레이트 내 인간 Fc 단편 차단제(1:20 희석, Millipore #401104)를 함유한 50 μL의 BD 염색 완충제(BD Pharmingen, #554657)에서 재현탁하고, 30분 동안 얼음상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으로, BD 염색 완충제 중 1:50으로 희석된 50 μL의 항-CD14-BV421(clone M5E2, Biolegend #301830) 및 항-CD45-APC-Cy7(clone 2D1, Biolegend #368516) 항체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암실에서 얼음상에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를 BD 염색 완충액을 이용하여 2회 세척하고, Attune NxT 유세포 분석기상에서 후속 유세포 분석을 위해 150 uL의 PBS(Gibco #10010023)에 재현탁하였다. 비염색 웰을 CD14/CD45+ 세포의 통문[gating]을 보조하기 위해 음성 대조군으로 포함하였다. 포식작용은 Flowjo를 사용하여 분석된 통문 CD14+/CD45+ 세포의 PKH26 기하 평균 형광 강도[geometric mean fluorescence intensity, gMFI]로 보고하였다. 추가 분석을 위해 값을 엑셀로 내보내고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 및 B7H41001 mAb 둘 다 양성 대조군으로 관찰했던 것 보다 높은 ADCP를 나타낸 반면, 비접합 대조군 mAb는 독립적 공여자 둘에서 최소의 ADCP 활성을 유도하였다.
CDC
항체에는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CDC]을 유발하는 보체 단백질을 모집하는 능력이 있다. SGN-B7H4V, 비접합 B7H41001 mAb뿐만 아니라 비결합 대조군 ADC 및 mAb의 CDC 매개 능력을 인간 B7-H4를 발현하도록 형질도입된 WIL2S 및 RAJI 세포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종양 표적 세포를 계수하고, 1% HI-FBS(Gibco #16140-071)를 함유한 RPMI(Gibco #11875-093) 중 보체 조절 단백질(항인간 CD46(Biolegend #352404), 항인간 CD55(R&D Systems #MAB2009), 항인간 CD59(BIO-RAD #MCA715G)에 대해 10 μg/mL의 mAb를 사용하여 사전 차단하여 보체 경로의 억제를 방지하였다. 세포를 실온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RPMI로 2회 세척하였다. 표적 세포를 1:1000의 최종 희석 농도에서 Sytox 그린 시약(Life Technologies #S7020)을 함유한 RPMI 중 1 million 세포/mL에서 재현탁하였고, 웰당 100,000 세포(100 μL)를 투명 F-바닥 검정색 플레이트로 플레이팅하였다. 보체 배지[10% 인간 혈청을 함유한 RPMI(Complement Technology, Inc. #NHS)]를 사용하여 시험 항체 및 대조군을 50~0.02 μg/mL 범위의 3배 희석액으로 적정하고 웰당 100 μL의 적정물을 표적 세포에 플레이팅하였다. 총 세포 사멸을 측정하기 위해 2% Triton X(EMD Millipore Corp. #648463-50ML)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험 플레이트를 습도 조절 인큐베이터 내 37 ℃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상에서 Sytox 그린 형광을 판독하였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체(10% 인간 혈청)의 존재하에 SGN-B7H4V 또는 B7H41001 mAb를 이용한 치료는 용해를 유도하지 않았다. 검정에 사용된 보체 공급원의 기능성을 CDC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양성 대조군 mAb(항-CD70 mAb h1F6)로 세포를 처리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비임상 데이터는 SGN-B7H4V의 항종양 활성이 B7-H4-발현 종양 세포에 대한 ADC의 결합, 이어서 면역 관문 리간드 B7-H4의 내재화 및 단백질 분해 절단을 통한 MMAE의 방출에 기인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MMAE는 활발하게 분열하는 세포의 미세소관 네트워크를 파괴하여 면역원성 세포 사멸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세포 주기 정지 및 아포토시스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본 실시예의 전임상 데이터는 SGN-B7H4V 항체가 또한 Fc 수용체를 통해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Fc 효과기 ADCC 및 ADCP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실시예 10: SGN-B7H4V 생체 내 효능
이들 시험의 목적은 두 가지 모델의 삼중 음성 유방암(TNBC; MX-1 및 MDA-MB-468), 한 가지 모델의 Her2+ 유방암(HCC1569) 및 한 가지 모델의 고등급 장액성 난소 선암종(OVCAR3)을 포함하는, B7-H4를 발현하는 다양한 이종이식 모델에서 생체 내 SGN-B7H4V의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생체 내에서 종양은 B7-H4 염색에 대해 이종성인 OVCAR3을 제외하고, 면역조직화학[IHC]에 의해 균일하고 높은 발현의 B7-H4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단일 표준 용량(3 mg/kg, 3주간 용량)에서 모든 모델에서 SGN-B7H4V를 평가하였다. MDA-MB-468 모델에서 본 발명자들은 또한 용량-반응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용량(0.3~3 mg/kg, 3주간 용량)에서 SGN-B7H4V를 평가하였다.
MX1-2 시험
종양이 100 mm3일 때 동물에게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군당 N = 5마리 마우스, 3주간 용량 동안 3 mg/kg)를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를 시험 84일차까지 매주 2회 측정하였다.
암컷 SCID 마우스에 25% 마트리겔(Matrigel) HC(Corning #354248) 중 5 x 105 MX1 종양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일단 종양 부피가 100 mm3에 도달하면, 마우스를 각각 다섯 마리 마우스의 치료군으로 무작위화하고 3회의 총 용량(q7d x 3) 동안 7일마다 3 mg/kg의 ADC를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를 주당 2회 측정하고, 종양 부피가 700~1000 mm3에 도달하면 동물을 안락사하였다. ADC의 원액 농도를 원하는 농도(PBS 중 0.01% 트윈20 포함)까지 희석하고 각 치료군에 i.p. 주사하였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를 이용한 치료는 모든 마우스에서 종양 부피의 퇴행을 일으켰으며, 다섯 마리 마우스 중 네 마리가 지속적인 퇴행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비결합 대조군 ADC는 최소의 항종양 활성을 보였다.
MDAMB468-6 시험
종양이 100 mm3일 때 동물에게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군당 N = 5마리 마우스, 3주간 용량 동안 3 mg/kg)를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를 시험 80일차까지 매주 2회 측정하였다.
암컷 NSG 마우스에 25% 마트리겔 HC(Corning #354248) 중 1 Х 106 MDA-MB-468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일단 종양 부피가 100 mm3에 도달하면, 마우스를 각각 다섯 마리 마우스의 치료군으로 무작위화하고 3회의 총 용량(q7d x 3) 동안 7일마다 0.3, 1, 또는 3 mg/kg를 투여하였다. 각 ADC 용량을 투여받기 24시간 전에, 각 동물을 10mg/kg hIVIG(Grifolds)로 치료하였다. 종양 부피를 주당 2회 측정하고, 종양 부피가 700~1000 mm3에 도달하면 동물을 안락사하였다. ADC의 원액 농도를 원하는 농도(PBS 중 0.01% 트윈20 포함)까지 희석하고 각 치료군에 i.p. 주사하였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를 이용한 치료는 모든 마우스에서 종양 부피의 일시적인 퇴행을 유도하였다. 대조적으로, 비결합 대조군 ADC는 최소의 항종양 활성을 보였다.
MDAMB468-9 시험.
종양이 100 mm3일 때 동물에게 SGN-B7H4V, 비접합 mAb B7H41001,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N= 군당 5마리 마우스, 3주 주간 용량 동안 0.3, 1, 및/또는 3 mg/kg)를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를 시험 85일차까지 매주 2회 측정하였다.
암컷 NSG 마우스에 25% 마트리겔 HC(Corning #354248) 중 1 Х 106 MDA-MB-468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일단 종양 부피가 100 mm3에 도달하면, 마우스를 각각 다섯 마리 마우스의 치료군으로 무작위화하고 3회의 총 용량(q7d x 3) 동안 7일마다 0.3, 1, 또는 3 mg/kg를 투여하였다. 각 ADC 용량을 투여받기 24시간 전에, 각 동물을 10 mg/kg hIVIG(Grifolds)로 치료하였다. 종양 부피를 주당 2회 측정하고, 종양 부피가 700~1000 mm3에 도달하면 동물을 안락사하였다. ADC의 원액 농도를 원하는 농도(PBS 중 0.01% 트윈20 포함)까지 희석하고 각 치료군에 i.p. 주사하였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mg/kg 및 3 mg/kg의 SGN-B7H4V 둘 다를 이용한 치료는 모든 마우스에서 종양 부피의 일시적인 퇴행을 유도하였다. 대조적으로, 0.3 mg/kg SGN-B7H4V, 3 mg/kg B7H41001 mAb, 또는 3 mg/kg 비결합 대조군 ADC를 이용한 치료는 최소 항종양 활성을 보였다.
HCC1569-2 시험.
종양이 100 mm3일 때 동물에게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군당 N = 5마리 마우스, 3주간 용량 동안 3 mg/kg)를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를 시험 71일차까지 매주 1회 또는 2회 측정하였다.
암컷 NSG 마우스에 25% 마트리겔 HC(Corning #354248) 중 1 Х 106 HCC1569 종양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일단 종양 부피가 100 mm3에 도달하면, 마우스를 각각 다섯 마리 마우스의 치료군으로 무작위화하고 3회의 총 용량(q7d x 3) 동안 7일마다 3 mg/kg의 ADC를 투여하였다. 각 ADC 용량을 투여받기 24시간 전에, 각 동물을 10 mg/kg hIVIG(Grifolds)로 치료하였다. 종양 부피를 주당 1~3회 측정하고, 종양 부피가 700~1000 mm3에 도달하면 동물을 안락사하였다. ADC의 원액 농도를 원하는 농도(PBS 중 0.01% 트윈20 포함)까지 희석하고 각 치료군에 i.p. 주사하였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를 이용한 치료는 강력한 종양 성장 지연을 유도하였고, 본 발명자들은 비치료 및 비결합 대조군 ADC 치료군과 비교하여 SGN-B7H4V 치료군에서 평균 종양 부피의 감소를 관찰하였다.
OVCAR3-e314 시험
종양이 150~200 mm3일 때 동물에게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N = 군당 8마리 마우스, 3주간 용량 동안 3 mg/kg)를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를 시험 60일차까지 매주 2회 측정하였다.
암컷 SCID 마우스에게 OVCAR3 종양 단편(약 1 mm3)을 Charles River Discovery Services(NC)에서 피하 이식하였다. 종양 부피가 150~200 mm3에 도달하면, 마우스에게 총 3회 용량(q7d x 3) 동안 7일마다 3 mg/kg의 ADC를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를 주마다 2회 측정하고, 종양 부피가 1000 mm3에 도달하면 동물을 안락사하였다. ADC의 원액 농도를 원하는 농도(PBS 포함)까지 희석하고 각 치료군에 i.v. 주사하였다.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각 치료군에 대한 종양 성장 억제[Tumor growth inhibition, TGI]를 다음과 같이 시험 26일차에 분석하였다. %TGI = [1 - ((MTV 비치료 - MTV치료) / MTV비치료)] * 100, 여기서 MTV는 평균 종양 부피이다. Mann-Whitney U 시험(양측)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비결합 대조군 ADC는 아님)를 이용한 치료는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평균 종양 부피의 감소를 유도하였다. SGN-B7H4V 치료군에 대한 시험 26일차의 종양 성장 억제[TGI]는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48%였다.
실시예 11: 이종이식 종양에 의한 B7-H4 발현의 면역조직화학적 평가
B7-H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비치료 MX-1 및 HCC1569 종양상에서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샘플을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주위 온도에서 Bond-III™ 자동염색기(Leica Microsystems Inc., Buffalo Grove IL.)상에서 처리하였다. Bond™ 탈납 용액(Leica, 카탈로그 번호 AR9222)을 사용하여 58~60 ℃에서 유리 슬라이드상의 FFPE 절편에서 파라핀을 제거하였다. EDTA-기반 pH 9 Bond™ 에피토프 복구 용액 2(Leica, 카탈로그 번호 AR9640)를 사용하여 98~100 ℃에서 20분간 항원 복구를 수행하였다. 과산화물 블록을 10분 동안 적용한 후 비특이적 배경을 단백질 블록(Dako, 카탈로그 번호 X090930)으로 20분 동안 차단하였다. 모든 항체를 BOND 일차 항체 희석제(Leica, 카탈로그 번호 AR9352)에서 작업 농도까지 희석하였다. 동형 일치 토끼 IgG(Abcam, 클론 EPR25a 카탈로그 번호 ab172730)를 배경 염색을 위한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자동화된 IHC 염색을 위해, 본 발명자들은 Bond™ Polymer Refine 검출(DAB) 키트(Leica, 카탈로그 번호 DS9800)를 사용하였다. 슬라이드를 B7-H4에 대한 토끼 단일클론 일차 항체를 이용하여 45분 동안 5 μg/mL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일차 항체를 슬라이드당 총 300 uL에 대해 2회 분배하였다).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DAB 정제 색원체를 사용하여 HRP를 검출하였다. 절편을 헤마톡실린을 이용하여 7분 동안 대조염색하였다.
자동염색기상에서 프로토콜이 완료되면, 슬라이드를 즉시 제거하고, 탈이온[DI]수에 넣은 후 Surgipath 봉입 배지(Leica, Surgipath Micromount, 카탈로그 번호 3801731)를 사용하여 커버(Leica, CV5030)를 덮기 위해 일련의 탈수 단계(70% EtOH, 70% EtOH, 95% EtOH, 95% EtOH, 100% EtOH, 100% EtOH, 100% EtOH, 자일렌 3회)를 거치도록 하였다. 슬라이드 스캐너(Leica, Aperio AT2)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처하였다.
B7-H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또한 비치료 MDA-MB-468 종양(약 500 mm3), 비치료 OVCAR3 종양(150~200 mm3)뿐만 아니라 OVCAR3 종양(약 1000 mm3)상에서 수행하기 전,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를 다음과 같이 치료하였다. 종양을 3분 동안 자일렌(2회), 2분 동안 100% EtOH(2회), 2분 동안 90% EtOH, 2분 동안 700% EtOH에서 인큐베이션하여 종양에서 파라핀을 제거하였다.
항원 복구를 NxGen Biocare사의 은폐 해제 챔버 및 Diva 복구 솔루션이 포함된 110 ℃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슬라이드를 다음 프로토콜에 따라 IntelliPath 자동 염색상에서 염색하였다. 은폐 해제 챔버에서 뜨거운 용기를 제거하고 탈이온수에서 헹군다. IntelliPath에 첨가하기 전에 슬라이드를 TBST에 놓는다. 자동화 전에 염색기상의 슬라이드에 수분을 공급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과산화효소(Biocare #PX968)를 첨가하고 1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슬라이드를 TBST로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스나이퍼 블록(Biocare #BS966)을 첨가하고 1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차단 용액을 닦아낸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일차 항체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슬라이드를 TBST로 2회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HRP 중합체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슬라이드를 TBST로 2회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DAB(Vector #sk-4103)를 첨가하고 5분간 인큐베이션한다. TBST로 세척한다. 슬라이드당 300 uL의 헤마톡실린을 첨가하고 2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탈이온수로 세척한다. 슬라이드를 오븐에 30분 동안 넣어 탈수시킨다. 슬라이드에 커버슬립을 놓는다. Halo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Indica Labs)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H-점수를 다음 수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3 x 강한 신호%) + (2 x 중간 신호%) + (약한 신호%). 해당하는 경우, 생화학적, 세포, 동물(최저에서 최고) 순이다.
결과
비치료 MX-1, MDA-MB-468, 및 HCC1569 종양상에서의 B7-H4 발현을 면역화학적 염색에 의해 평가하였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가지 종양 모두는 균일하고 높은 B7-H4 발현을 나타내었다.
SGN-B7H4V로 치료하기 전과 후에 OVCAR3 종양상에서 B7-H4 발현을 특성화하기 위해, B7-H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다음의 종양에서 수행하였다. 두 개의 비치료 위성 OVCAR3 종양(150~200 mm3); 여섯 개의 SGN-B7H4V-치료 OVCAR3 종양(약 1000 mm3); 및 여덟 개의 비결합 대조군 ADC-치료 OVCAR3 종양(약 1000 mm3).
비치료 OVCAR3 종양상에서의 B7-H4 염색은 이종성이었다. 즉, 종양 조직의 약 25%는 평균 H-점수가 26인 B7-H4+이었다.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를 이용한 치료는 종양 B7-H4 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22 및 23). 대조적으로, B7-H4 염색은 비치료 MDA-MB-468 종양상에서 균일하게 높았다. 즉 종양 조직의 > 90%는 평균 H-점수가 176인 B7-H4+이었다(도 23).
본 실시예에서, 생체내 SGN-B7H4V의 효과를 난소암 및 유방암의 여러 이종이식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생체내에서 종양은 B7-H4 염색에 대해 이종성인 OVCAR3을 제외하고, 면역조직화학[IHC]에 의해 균일하고 높은 발현의 B7-H4를 나타내었다. SGN-B7H4V는 인간 유방암의 세 가지 이종이식 모델(MX-1, MDA-MB-468, 및 HCC1569)에서 3 mg/kg의 용량 수준(3주간 용량)에서 강력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MX-1 모델의 삼중 음성 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에서 지속적 종양 퇴행을 포함한다. 1 mg/kg 및 3 mg/kg의 SGN-B7H4V 둘다로 처리한 후 MDA-MB-468 모델에서 일시적인 종양 퇴행을 관찰하였다. 고등급 장액성 난소 선암종의 OVCAR3 이종이식 모델에서, 3 mg/kg의 SGN-B7H4V(3주간 용량)는 적당한 종양 성장 지연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이들 데이터는 1상 임상 시험에서 SGN-B7H4V의 평가 근거를 제공한다.
실시예 12: PDX 모델에서의 SGN-B7H4V 평가
이들 시험의 목적은 유방암 및 난소암의 다양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patient-derived xenograft, PDX] 모델에서 생체내 SGN-B7H4V의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PDX 모델은 다양한 B7-H4 발현 수준을 이용하여 선택하였고, 비이환 종양 및 고도로 전치료 종양을 모두 포함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단일 표준 용량(3 mg/kg, 3주간 용량)에서 모든 모델에서 SGN-B7H4V를 평가하였다.
11가지 TNBC PDX 모델에서 SGN-B7H4V의 활성
종양이 150~300 mm3일 때 동물에게 hIVIG를 투여한 후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3주간 용량 동안 3 mg/kg)를 투여하였다. 종양 크기 및 체중을 매주 2회 측정하였고, 대조군의 종양이 1500 mm³에 도달하거나 28일까지 둘 중 먼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최대 60일차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험을 종료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축 마우스에게 인간 삼중 음성 유방암을 나타내는 Champions TumorGraft® 모델 중 하나에서 얻은 단편을 양측으로 이식하였다. 종양이 1000~1500 mm³에 도달한 후, 이들을 수확하고, 종양 단편을 암컷 시험 마우스의 왼쪽 옆구리에 피하[subcutaneously, s.c.] 이식하였다. 각 동물에 특정 계대 로트를 이식하고 기록하였다. 종양의 성장은 디지털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주 2회 모니터링하고, 종양 부피[tumor volume, TV]는 식(0.52 x [길이 x 폭²])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TV가 약 150~300 mm³에 도달했을 때, 동물을 종양 크기에 의해 매칭시키고 대조군(비치료) 또는 치료군(n = 군당 1~3마리 동물)에 배정하였다. 치료군의 각 동물에는 10 mg/kg의 hIVIG(Grifolds)를 투여한 후 3회 총 용량(q7d x 3) 동안 7일마다 3 mg/kg의 ADC를 투여하였다. 종양 크기 및 체중은 매주 2회 측정하였고, 대조군의 종양이 1500 mm³에 도달하거나 28일까지 둘 중 먼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최대 60일차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험을 종료하였다.
종양 성장의 억제는 대조군 동물이 종료된 날의 TGI 퍼센트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100% x [1-(최종 MTV - 치료군의 초기 MTV) / (최종 MTV - 대조군의 초기 MTV)]). 0일차에 치료를 시작하였다.
표 15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를 이용한 치료는 모델 TNBC_1에서의 지속적 종양 퇴행 및 모델 TNBC_5, TNBC_10, 및 TNBC_11에서의 일시적 종양 퇴행을 포함하여, TNBC의 9/11 PDX 모델에서 종양 퇴행 또는 종양 성장 지연(예를 들어, TGI > 50%)을 유도하였다.
표 15: 11가지 TNBC PDX 모델에서 SGN-B7H4V의 활성
TNBC 환자 유래 이종이식[PDX] 모델에 대한 설명. VTCN1(B7-H4) 발현 데이터 및 환자 치료 이력을 Champions Oncology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었다. 종양 성장 억제[TGI]%는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SGN-B7H4V-치료군에 대해 표시된 날짜에 계산하였다.
HR+ 유방 PDX 모델 및 난소 PDX 모델에서 SGN-B7H4V의 활성
종양이 150~300 mm3일 때 동물에게 SGN-B7H4V 또는 비결합 대조군 ADC(3주간 용량 동안 3 mg/kg)를 투여하였다. 종양 크기 및 체중은 매주 2회 측정하였고, 대조군의 종양이 1500 mm³에 도달하거나 28일까지 둘 중 먼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최대 60일차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험을 종료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축 마우스에게 인간 HR+ BC 또는 난소암을 나타내는 Champions TumorGraft® 모델 중 하나에서 얻은 단편을 양측으로 이식하였다. 종양이 1000~1500 mm³에 도달한 후, 이들을 수확하고, 종양 단편을 암컷 시험 마우스의 왼쪽 옆구리에 피하[s.c.] 이식하였다. 각 동물에 특정 계대 로트를 이식하고 기록하였다. 종양의 성장은 디지털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주 2회 모니터링하고, 종양 부피[TV]는 식(0.52 x [길이 x 폭²])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TV가 약 150~300 mm³에 도달했을 때, 동물을 종양 크기에 의해 매칭시키고 대조군(비치료) 또는 치료군(n = 군당 3마리 동물)에 배정하였다. 치료군의 각 동물에는 3회 총 용량(q7d x 3) 동안 7일마다 3 mg/kg의 ADC를 투여하였다. 종양 크기 및 체중은 매주 2회 측정하였고, 대조군의 종양이 1500 mm³에 도달하거나 28일까지 둘 중 먼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최대 60일차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험을 종료하였다.
종양 성장의 억제는 대조군 동물이 종료된 날의 TGI 퍼센트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100% x [1-(최종 MTV - 치료군의 초기 MTV) / (최종 MTV - 대조군의 초기 MTV)]). 0일차에 치료를 시작하였다.
표 16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를 이용한 치료는 HR+ BC의 HR_BC_2 PDX 모델에서 종양 성장 지연(예를 들어, TGI > 50%)을 유도하였다. 평가된 다른 5가지 모델에서는 최소한의 항종양 활성을 관찰하였다.
표 16: 6가지 HR+ BC PDX 모델에서의 SGN-B7H4V의 활성
시험 1267-142의 HR+ BC 환자 유래 이종이식[PDX] 모델에 대한 설명. VTCN1(B7-H4) 발현 데이터 및 환자 치료 이력을 Champions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었다. 종양 성장 억제[TGI]%는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SGN-B7H4V-치료군에 대해 표시된 날짜에 계산하였다.
표 17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N-B7H4V를 이용한 치료는 난소_1 모델에서의 지속적 종양 퇴행 및 난소 2 모델 에서의 일시적 종양 퇴행을 포함하여, 고도로 전치료된 전이성 장액성 난소 암종에서 유래된 이종이식 모델인 난소 암종의 4/6 PDX 모델에서 종양 퇴행 또는 종양 성장 지연(예를 들어, TGI > 50%)을 유도하였다.
표 17: 6가지의 난소 암종 PDX 모델에서의 SGN-B7H4V의 활성
시험 1267-142의 난소 암종 환자 유래 이종이식[PDX] 모델에 대한 설명. VTCN1(B7-H4) 발현 데이터 및 환자 치료 이력을 Champions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었다. 종양 성장 억제[TGI]%는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SGN-B7H4V-치료군에 대해 표시된 날짜에 계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내 SGN-B7H4V의 효과를 유방암 및 난소암의 여러 환자 유래 이종이식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다양한 VTCN1(B7-H4) 발현 수준을 갖는 종양 모델을 선택하였다. SGN-B7H4V는 TNBC의 9/11 모델, HR+ BC의 1/6 모델, 및 난소 암종의 4/6 모델에서 3 mg/kg의 용량 수준(3주간 용량)에서 항종양 활성을 입증하였다. 매우 낮은 VTCN1 mRNA(TPM < 20)를 갖는 종양 및 치료 미경험 및 고도로 전치료된 전이성 종양 둘 다를 비롯하여, 다양한 B7-H4 발현 수준에 걸쳐 활성을 관찰하였다(도 27a~d). 전체적으로, 이들 데이터는 1상 임상 시험에서 SGN-B7H4V의 평가 근거를 제공한다.
실시예 13: 조혈 및 면역 세포상에서의 B7-H4 발현
조혈 및 면역 세포에서의 VTCN1(B7-H4)의 유전자 발현
청사진 RNA-seq 데이터는 Qiagen/OmicSoft의 표준화된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여 유전자 수준 정규화된 수(킬로베이스 백만당 전사물, TPM)를 생성하고 2019년 5월 24일에 Qiagen OncoLand client(https://digitalinsights.qiagen.com/products-overview/discovery-insights-portfolio/content-exploration-and-databases/qiagen-oncoland/)에서 추출하였다. 유전자 수준 발현 값, 후속 분석 및 시각화 단계를 R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하였다. B7 계열 구성원의 발현을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 공통 림프구 전구 세포[Common Lymphoid Progenitor, CLP], 공통 골수성 전구 세포[Common Myeloid Progenitor, CMP], 과립구 골수 전구 세포[Granulocyte myeloid progenitor, GMP], 인간 복막 중피세포[Human Peritoneal Mesothelial Cell, HMPC], 조혈 줄기 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 거핵구-적혈구 전구 세포[Megakaryocyte-Erythroid Progenitor, MEP],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MM], 중간엽 줄기 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 T 세포 전림프구성 백혈병[T-cell Prolymphocytic Leukemia, TPLL], 맨틀 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MC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간 조혈 세포에서 또 다른 B7 패밀리 구성원 CD276(B7-H3)과 비교한 VTCN1(B7-H4)의 발현 수준을 도 28a 및 b에 나타내었다. VTCN1의 발현은 극도로 낮은 반면(< 0.5 TPM)(도 29a), CD276은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를 포함한 여러 골수성 세포 유형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였다(> 30 TPM)(도 28b). 이 데이터는 B7-H4의 발현이 조혈 세포 및 면역 세포에서 매우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간 말초 혈액 단핵구 및 분화된 대식세포에서 B7-H4의 발현
B7-H3(또 다른 B7 계열 구성원)과 비교하여 B7-H4의 발현 수준을 말초 혈액 단핵구 및 여섯 공여자에서 분화된 대식세포상에서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B7-H4 발현을 SGN-B7H4V, B7H41001 mAb의 항체 성분뿐만 아니라 시판 중인 B7-H4 mAb 클론 MIH4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PBMC를 해동하고, 완전 '골수' 배지[10% FBS(Atlanta Biologicals # S11550H), 1x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15140-148), 1x 글루타맥스(Gibco #35050-061), 및 10 μg/mL의 시프로플록사신(Corning # MT-61-277-RF)을 포함한 RPMI (Invitrogen #11875-093)]를 6-웰 폴리스타이렌 플레이트(Fisher Scientific, 353046)에 플레이팅하였다. 세포를 37 ℃ 및 5% CO2에서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비부착 세포를 흡인하였다. 대식세포의 분화를 위해, 부착 세포(단핵구)를 100 ng/mL의 M-CSF(R&D #216-MC-025/CF)로 보충한 완전 골수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대식세포(M0)를 5일 후에 수확하였다. TAM-유사 대식세포로의 추가 분화를 위해, 대식세포(M0)를 20 ng/mL의 M-CSF(R&D #216-MC-025/CF) 및 100 ng/mL의 IL-10(R&D #1064-IL-010/CF)으로 보충한 골수 배지에서 추가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염증성(M1) 대식세포로의 추가 분화를 위해, 대식세포(M0)를 30 ng/mL의 IFNg(R&D #285-IF-100/CF)로 보충한 골수 배지에서 추가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수지상 세포의 분화를 위해, 부착 세포(단핵구)를 200 ng/mL의 GM-CSF(R&D #215-GM-010/CF)로 보충한 골수 배지에서 7일 동안 성장시켰다. 수지상 세포를 7일(미성숙)에 수확하고, 100 ng/mL의 TNFα(성숙, R&D #10291-TA-050)로 추가로 2일 동안 배양한 후에 수확하였다.
1x PBS로 배양 플레이트를 헹군 후 모든 세포를 1x 베르센(Gibco #15040-066)으로 수확하였다.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세포를 LIVE/DEAD Aqua 사세포 염색제(Invitrogen # L34957)로 염색한 후 100 ug/mL의 인간 Fc(EMD-Millipore #401104)를 사용하여 얼음상에서 20분간 차단하였다. 이어서, BD FACS 염색 완충제(BD #554656)에 희석된 동일한 부피의 항체를 첨가하고, 세포를 얼음상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AF647 또는 APC-표지 항-B7-H4 mAb[클론 MIH43(BD #562787) 또는 B7H41001 mAb(Seagen)], 항-B7-H3 mAb[클론 7-517(eBioscience #17-2769-42)], 항-4-1BBL mAb[클론 5F4, (Biolegend #311506)]또는 비결합 동형 대조군('동형 FMO' - 형광 마이너스 원[fluorescence minus one] 대조군)을 포함하는, 표 18 및 표 19에 기재된 대식세포 또는 수지상 패널로 염색하였다. 또한 대식세포를 단일 양성 대조군 항체 형광단(예를 들어, 단일 염색 대조군)으로 염색하여 유세포 분석에 대한 보상 값을 설정하였다. 모든 세포를 세척하고, 원심분리하고, 200 uL의 FACS 염색 완충액으로 두 번 흡인한 후 Attune 세포분석기상에서 유세포 분석을 위해 1x PBS 중 1% PFA(Electron Microscopy Sciences #15710)에 고정하였다. 골수 세포와 함께 B7-H4 발현 SKBR3 세포주를 B7-H4 표면 발현에 대해 양성 대조군으로서 염색하였다.
표 18: 대식세포 유동 패널 항체
표 19: 수지상 세포 유동 패널 항체
FlowJo의 FCS 파일을 사용하여 대식세포, 림프구 및 수지상 세포 게이트를 적용하였다. 모든 HLA-DR+CD19-CD3- (단핵구 및 M0 대식세포), HLA-DR+SSC-Ahi 하위세트(TAM-유사 및 M1 대식세포), 또는 HLA-DR+CD19-CD3-CD11c+CD123+ 의 기하 평균 형광 강도[gMFI]를 엑셀로 추출하여 동형 대조군 대비 배수를 계산하고 GraphPad Prism 8로 옮겨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B7-H4의 발현은 모든 단핵구 및 대식세포 하위세트에서 낮았다(동형 FMO에 비해 평균 2배 미만). 대조적으로, B7-H3의 발현은 세 가지의 분화된 대식세포 하위세트 모두에서 높았다(동형 FMO에 비해 평균 약 50배). B7-H4의 발현은 양성 대조군으로서 염색된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SKBR3 세포상에서 높았다.
다섯의 공여자에서의 단핵구 유래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 DC] 하위세트상에서 B7-H4의 발현 수준도 유세포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성숙 DC 및 TNFα-치료된 성숙 DC 둘 다에서 B7-H4의 발현은 동형 FMO와 유사하였다. 대조적으로, DC상에서 발현되는 공동 자극 분자인 4-1BBL의 발현(문헌[Futagawa et al., 2002, nt Immunol 14, 275-286; Hurtado et al., 1995, J Immunol 155, 3360-3367])은 DC 하위세트 둘 다에서 중간 수준(동형 FMO에 비해 약 4~7배)에서 발현되었다.
인간 종양 내 CD163+ 대식세포상에서의 B7-H4 발현을 또한 B7-H4 및 CD163에 대한 이중 면역형광 염색에 의해 검사하였다. 검사된 14개 종양 샘플상에서 B7-H4 및 CD163의 공동 발현을 관찰하지 못했다. 공동 염색의 대표적인 예를 도 31에 나타내었다.
종합하면, 이 데이터는 RNA 발현 데이터와 일치하여, 단핵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는 골수성 면역 세포 하위세트상에서 B7-H4의 발현이 낮거나 없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14: 비인간 영장류[Non-Human Primate, NHP] 및 래트 독소 시험
SGN-B7H4V의 비임상 안전성 프로파일은 제안된 초기 임상 개발 계획의 근거를 제공한다. SGN-B7H4V는 래트 및 사이노몰구스 원숭이 모두에서 최대 비중증 독성 용량[the highest non-severely toxic dose, HNSTD]뿐만 아니라 래트의 10%에서 유의미하게 독성 용량(STD10)을 확립한 투여 요법으로 래트 및 사이노몰구스 원숭이에서 내성이 있었다. 중추적인 GLP 및 비-GLP 연구에서 시험 결과는 SGN-B7H4V-관련 독성의 일차 표적 기관이 혈액계, 고환 및 난소임을 시사한다. 혈액학적 독성은 MMAE에 대한 작용 메커니즘[mechanism of action, MOA]과 일치한다. SGN-B7H4V는 승인된 베도틴 ADC와 일치하는 용량에서 래트 및 비인간 영장류[NHP] 독성 시험에서 내성이 있다.
실시예 15: SGN-B7H4V는 시험관 내에서 ICD의 특징(ATP, HMGB1, 및 칼레티쿨린)을 유도하고, 시험관 내에서 면역 세포 활성화를 일으킨다
베도틴 페이로드 MMAE에 의해 구동되는 튜불린 탈안정화는 ER 스트레스를 유도하고, 이는 선천 및 후속 적응 면역 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면역 자극 분자의 방출을 특성으로 하는 세포 사멸의 형태인 면역원성 세포 사멸[immunogenic cell death, ICD]을 유도한다. 면역원성 세포 사멸의 특징에는 면역자극 분자 ATP 및 HMGB1의 방출뿐만 아니라 칼레티쿨린의 표면 노출이 포함되며, 이는 선천 및 후속 적응 면역 반응을 구동할 수 있다(문헌[Chaput et al., 2007; Kepp et al., 2014]). 여기에서, 본 발명자들은 ICD의 이러한 초기 특징을 이끌어내는 SGN-B7H4V(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또는 이하 'ADC')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방법
SKBR3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P/S]을 함유하는 RPMI에서 배양하고 약 1:5 희석 농도에서 3~4일마다 계대하였다. 0일차에, 세포를 0.05% 트립신-EDTA(Gibco #25300-054)로 수집하고, 완전 배지에 재현탁하고, 1mL 배지 중 약 120,000개의 세포를 12-웰 플레이트(ThermoFisher Scientific #150628)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다음날,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1 μg/mL ADC 또는 mAb 또는 100 nM MMAE를 함유하는 새로운 배지 1 mL로 대체하였다. 처리 48시간 후 3일차에, 12-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서의 배지를 96-웰, 2 ml 플레이트(USA Scientific #18962800)로 옮기고, 5분(분) 동안 1500 rpm에서 회전시켜 세포 파편 및 비부착성 '부유' 세포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200 mL의 상청액을 표준 96-웰, 둥근 바닥 플레이트(ThermoFisher Scientific #163320)로 옮겼다. 이러한 상청액을 (후술한) ATP 검정에 즉시 사용하거나 (후술한) HMGB1 검정에 대해 -20 ℃에서 동결하였다. 마지막으로, 500 μL의 비효소 해리 완충액(ThermoFisher Scientific/Gibco #13151-014)을 각 웰에 첨가하여 나머지 부착 세포를 제거하였다. 수확된 부착 세포를 위에서 수집된 펠렛화된 '부유' 세포와 조합하고, 후술한 바와 같이 유세포 분석을 위해 염색하였다.
ATP 및 HMGB1 방출
ATP 방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층액의 수집 직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CellTiter Glo 시약(Promega #G755A)을 사용 전에 실온[room temperature, RT]으로 옮기고, 50 μL의 상청액을 검정색 벽, 투명한 바닥의 96-웰 플레이트에 이중으로 옮기고, 50 μL의 환원 CellTiter Glo 시약과 조합하였다. 플레이트를 간단히 혼합하고 밀봉하고 CellTiter Glo를 첨가한 후 20분 이내에 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상에서 분석하였다. HMGB1 방출을 제조업체의 프로토콜(Tecan #30164033)에 따라 HMGB1 Express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칼레티쿨린 노출
칼레티쿨린 노출을 다음과 같이 유세포 분석 염색을 통해 평가하였다. Live/Dead[Live/Dead, L/D] 염색 완충액[ThermoFisher Scientific #L10119]을 50 μL의 DMSO 중 염료를 환미가공키고, 50 mL의 PBS를 함유하는 50 mL 원뿔형으로 옮겨 제조하였다. 위에서 수집한 세포를 새로 제조된 L/D 염색 완충액 1 mL에 재현탁하고 실온[RT]에서 2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으로, 세포를 펠렛화하고 FACS 완충액(2% FBS를 함유하는 PBS)으로 2회 세척하였다. Annexin V/칼레티쿨린/PI 염색 용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ㆍFACS 완충액(2% FBS/PBS) - 웰당 90 μL
ㆍ10배 Annexin V 결합 완충액(Fisher Scientific #BDB556454) - 웰당 10 μL
ㆍAnnexin V-FITC(Fisher Scientific #BDB556419) - 웰당 2 μL
ㆍ칼레티쿨린-A647(Abcam #ab196159) - 웰당 2 μL
ㆍ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I, ThermoFisher Scientific #R37169) - 웰당 5 μL
각 웰의 세포를 100 μL의 염색 용액에 재현탁시키고, RT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1 mL의 FACS/Annexin V 결합 완충액(1x)으로 2회 세척하고, 250 μL의 FACS/Annexin V 염색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Attune 유세포 분석기(ThermoFisher Scientific) 상에서 분석하였다.
종양/PBMC 공동 배양 검정
종양 세포를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Incucyte® Cytolight red 렌티바이러스로 형질감염시키고, mKate2(적색 형광 단백질[red fluorescent protein, RFP])를 발현하는 안정한 다중클론 세포 집단을 퓨로마이신 선택하에 생성하였다. 생세포 사멸 검정은 96-웰의 편평 바닥 플레이트(Corning #3603) 내에 RFP+ MDA-MB-468 종양 세포를 다양한 밀도(웰당 3,750~10,000개 세포)에서 접종하고 밤새 성장시켜 수행하였다. 다음날, 건강한 공여자에서 단리된 PBMC를 15:1 또는 25:1의 효과기 대 표적[effector to target, E:T] 비로 첨가하고, 배양물을 표시된 소분자 약물 또는 ADC로 처리하였다. 면역 세포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처리 120 내지 144시간 후에 상청액을 수거하고, MIP-1β 생산을 Milliplex MAP 인간 사이토카인/케모카인/성장 인자 패널 A(12-플렉스) 면역학 다중 검정(Millipore Sigma #HCYTA-60K-12C)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중 플레이트상의 세포는 처리 48 내지 86시간 후 해리시켰고(TrypLE Express, Gibco), 사세포를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LIVE/DEAD Fixable 근적외선 사세포 염색 키트(ThermoFisher, L34994)로 염색하였다. 생존성 염색 후, 인간 TruStain FcX(Biolegend, 422302)를 사용하여 Fc-감마 수용체를 차단하였다. 세포를 세포 염색 완충액(BD, 554657)으로 1회 세척한 후 표면 항원 검출을 위한 항체로 염색하였다(4 ℃에서 30분). 다음 항체를 사용하였다. CD8 eFluor 450(클론 OKT8, ThermoFisher), CD14 BV650(클론 M5E2, Biolegend), HLA-DR BV785(클론 L243, Biolegend), CD19 APC-eFluor 780(클론 HIB19, ThermoFisher), CD3 FITC(클론 OKT3, ThermoFisher), CD56 PerCP-eF710(클론 TULY56, ThermoFisher), CD69 PE-Cy7(클론 FN50, Biolegend), CD86 APC(클론 IT2.2, ThermoFisher), 및 CD45 A700(클론 2D1, Biolegend). 최종 세척 후, 세포 펠렛을 200 μL의 염색 완충액에 재현탁하고, NXT Attune 유세포 분석기(ThermoFisher)상에서 분석하였다. 유세포 분석 데이터를 FlowJ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단핵구 활성화를 RFP-/생존/CD19-/CD3-/CD14+ 게이트 내의 CD14+ 단핵구상에서 CD86 염색의 MFI를 측정하여 정량화하였다.
결과 - SGN-B7H4V는 ATP 및 HMGB1의 방출뿐만 아니라 칼레티쿨린 노출을 유도하고 시험관내에서 면역 세포 활성화를 일으킨다.
B7-H4를 내인적으로 발현하는 SKBR3 유방암 세포를 SGN-B7H4V 또는 MMAE 유리 약물로 처리하여 ATP 및 HMGB1의 방출뿐만 아니라 칼레티쿨린의 표면 노출을 발생시켰다(도 32a). 대조적으로, 이는 비접합 mAb 골격 B7H41001을 사용한 처리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게다가, 종양/면역 세포 공동 배양 실험에서, 비접합 mAb 골격 B7H41001이 아닌 SGN-B7H4V를 이용한 공동 배양물의 처리는 CD14+ 단핵구상에서의 공동자극 분자 CD86의 상향조절을 유도하였다(도 32b, 왼쪽 패널). 또한, 종양/면역 세포 공동배양물의 SGN-B7H4V 처리(종양 세포 단독은 아님, 데이터 미도시)는 화학유인물질 MIP-1β/CCL4를 방출시켰다(도 32b, 오른쪽 패널). 이는 다른 베도틴 ADC와 유사하게 SGN-B7H4V가 면역원성 세포 사멸의 특징을 유도하고(문헌[Klussman K, 2020]) 시험관내에서 선천 면역 세포 활성화를 구동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문헌[Gray et al SITC 2020 poster]).
실시예 16: SGN-B7H4V는 페이로드를 파괴하는 다른 미세소관과 구별되는 삼중 음성 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의 MDA-MB-468 이종이식 종양 모델에서 면역조절 변화를 유도한다.
그런 다음, 삼중 음성 유방암[TNBC]의 MDA-MB-468 이종이식 모델에서 생체내 면역조절 변화를 유도하는 SGN-B7H4V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B7-H4-발현 인간 MDA-MB-468 이종이식편 종양을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대조군, 비접합된 B7H41001 mAb, 또는 SGN-B7H4V(항체-약물 접합체, 또는 이하 'ADC')로 i.p.를 통해 처리하였다. 처리 7일 후 종양을 수확하고, 반으로 자르고, RNA-seq 또는 IHC에 대해 처리하였다. 베도틴 페이로드(SGN-B7H4V)에 접합된 B7H41001 mAb를 이용한 처리와 다른 미세소관 파괴 페이로드를 사용한 치료 후 면역조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MDA-MB-468 이종이식 종양을 DM1/엠탄신(6 mg/kg) 또는 DM4/라브탄신(6 mg/kg)에 접합된 B7H41001 mAb의 단일 용량으로 i.p.를 통해 처리하였다. 처리 7일 후 종양을 수확하고, 반으로 자르고, RNA-seq 또는 IHC에 대해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암컷 NSG 마우스에 25% 마트리겔 HC 중 1 Х 106 MDA-MB-468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종양 부피가 약 250~300 mm3에 도달하면, 마우스를 각각 6마리의 마우스의 처리군으로 무작위화하고 단일 3 mg/kg 용량의 ADC 또는 mAb, 또는 비히클 대조군(20 mM 히스티딘 완충제, pH 6.0)으로 복강내[i.p.] 주사하여 처리하였다. ADC의 원액 농도를 20 mM 히스티딘 완충액(pH 6.0)을 사용하여 원하는 농도까지 희석했고, mAb의 원액 농도를 PBS 중 0.01% 트윈20을 사용하여 원하는 농도까지 희석하였다. 투여 24시간 전에, 각 동물을 10 mg/kg의 hIVIG로 치료하였다. 치료 1주일 후 종양을 수확하고 절반으로 자르고 RNAseq(-80 ℃에서 냉동)에 대해 처리하거나 면역조직화학[IHC] 분석을 위해 포말린으로 고정 및 파라핀 포매하였다.
RNAseq의 경우, RNA를 종양에서 추출하고 PolyA 선택을 이용하여 일루미넥스 시퀀싱을 위한 라이브러리 제조를 수행하였다. 일루미나 HiSeq 플랫폼 2 x 150 bp 구성을 사용하여 RNA를 시퀀싱하였다. RNA 추출, 라이브러리 제조 및 시퀀싱은 GENEWIZ에 의해 수행하였다. 어댑터를 cutadapt 버전 1.16을 사용하여 절사[trimmed]하고, 판독물을 STAR 버전 2.5.2를 사용하여 복합[GRCh38(h38)/GRCm38(mm10)] 게놈에 정렬하였다. 전사물 및 유전자를 RSEM 버전 1.2.31을 통해 정량화하였다. DESeq2 버전 1.28.1을 사용하여 샘플군 간의 정량적 및 통계적 차이를 측정하였다. GO 용어 및 유전자 세트 농축 분석은 clusterProfiler 버전 3.16.1, msigdbr 버전 7.1.1, AnnotationDbi 버전 1.50.3, org.Mm.eg.db 버전 3.11.4 및 org.Hs.eg.db 버전 3.11.4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GO 용어 분석의 경우 비조정 p-값 0.05 이하의 유전자를 선택하였다. 마우스 또는 인간 구성요소에서 상향 및 하향 조절된 유전자를 비히클, 비결합 ADC, B7H41001 mAb, 및/또는 SGN-B7H4V-처리 샘플의 모든 쌍별 비교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 p-값과 q-값이 0.05 이하인 GO 용어만 유지하였다.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도면을 그래프로 다시 표시하였다.미가공 fastq 파일뿐만 아니라 매핑된 BAM 파일을 Seagen linux storage location: /fc1/jobs/research/RNASeq/에 저장한다. 하나의 비히클 대조군 종양은 분해로 인해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IHC의 경우, FFPE 블록을 4 μm에서 절단하고 절편을 하전된 슬라이드에 배치하였다. 슬라이드를 60 ℃에서 1시간 동안 구웠다. 슬라이드를 자일렌 2회 3분, 100% EtOH 2회 2분, 90% EtOH 2분, 70% EtOH 2분 용액에 이어서 탈이온수를 통해 슬라이드를 침지시킴으로써 슬라이드에서 파라핀을 제거하고 재수화하였다. 열 유도 항원 복구[Heat induced antigen retrieval, HIER]를 Nx Gen 은폐 해제 챔버(Biocare)에서 기본 설정을 사용하여 DIVA 은폐 해제 솔루션(Biocare, 카탈로그 번호 DV2004MX)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면역조직화학[IHC] 전에 슬라이드를 탈이온수로 냉각시키고 TBST 세척 완충액에 넣었다. 모든 샘플을 RT에서 IntelliPath 자동염색기상(Biocare, Pacheco, CA)에서 처리하였다. 과산화된 1(Biocare, 카탈로그 번호 PX968)을 모든 슬라이드에 10분 동안 적용하였다. 아비딘 및 바이오틴 차단 시약(Vector labs, 카탈로그번호 SP-2001)을 각각 15분 동안 CD86 및 그랜자임 B 슬라이드에 적용하였다. 배경 Sniper(Biocare, 카탈로그 번호 BS966MM)를 모든 슬라이드에 10분 동안 적용하여 비특이적 배경을 차단하였다. 모든 항체를 DaVinci Green 희석제(Biocare, 카탈로그 번호 PD900M) 중 작업 농도까지 희석하였다. 동형 매칭된 토끼 IgG(Jackson Immunoresearch, 카탈로그 번호 011-000-003), 래트 IgG2a(BD Pharmingen, 카탈로그 번호 555841) 및 래트 IgG(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16-4301-85)를 배경 염색을 위한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슬라이드를 1:500에서 CD3(BioRad, 카탈로그 번호 MCA1477), 1:200에서 CD8(Cell Signaling, #98941), 1:200에서 CD11c(Cell Signaling, 카탈로그 번호 97585), 1:200에서 F4/80(BioRad, 카탈로그 번호 MCA497), 1:100에서 CD163(Abcam, 카탈로그 번호 ab182422), 1:2500에서 CD206(Cell Signaling, 카탈로그 번호 24595S), 1:1000에서 CD86(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MA1-10299), 1:200에서 PD-L1(Cell Signaling, 카탈로그 번호 64988S) , 1:1000에서 CD4(Abcam, 카탈로그 번호 ab183685), 1:40에서 PD-1(Cell Signaling, 카탈로그 번호 84651S), 1:2000에서 Ki-67(Abcam, 카탈로그 번호 ab15580), 1:1500에서 그랜자임 B(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PA1-26616) , 1:100에서 키틴분해효소 3-유사 3(R&D, 카탈로그 번호 MAB2446) 또는 적절한 동형 대조군 항체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슬라이드를 TBST(Biocare, 카탈로그 번호 TWB945M)로 2회 헹구었다. CD8, F4/80, CD11c, CD163, CD206, PD-L1, CD4, PD-1, Ki-67 및 그랜자임 B으로 표지된 슬라이드를 Rabbit Envision HRP 중합체(Dako, 카탈로그 번호 K4001)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CD3, CD86 및 키틴분해효소 3-유사 3으로 표지된 슬라이드를 래트 중합체 HRP(Vector labs, 카탈로그 번호 MP-7404-50)를 이용하여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슬라이드를 TBST로 2회 세척하였다. CD86 및 그랜자임 B로 표지된 슬라이드는 5분 동안 1:100에서 TSA(PerkinElmer, 카탈로그 번호 SAT700001KT)를 적용한 후 30분 동안 1:1000에서 SA-HRP(PerkinElmer, 카탈로그 번호 NEL750001)를 적용하여 신호를 증폭시켰다. HRP의 검출을 ImmPact DAB(Vector labs, 카탈로그 번호 SK-4103)를 사용하여 모든 슬라이드에 대해 5분 동안 수행하였다. 절편을 헤마톡실린으로 대조 염색하고 탈이온수에 1:10로 5분 동안 희석하였다(Surgipath, 카탈로그 번호 3801570). 자동염색기상에서 프로토콜이 완료되면, 슬라이드를 즉시 제거하고, 탈이온[DI]수에 넣은 후 Surgipath 봉입 배지(Leica, 카탈로그 번호 3801731)를 사용하여 커버(Tissue-Tek g2)를 덮기 위해 일련의 탈수 단계(70% EtOH, 70% EtOH, 95% EtOH, 95% EtOH, 100% EtOH, 100% EtOH, 100% EtOH, 자일렌 3회)를 거치도록 하였다. 슬라이드 스캐너(Leica, Aperio AT2 또는 Vectra, Polaris)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처하고 ACVP 위원회 인증 수의 병리학자가 검토하였다.
스캔된 이미지는 CD11c 및 F4/80에 대한 면역 정량화 알고리즘 및 모든 다른 항체에 대한 세포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Halo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버전 3.1.1076(Indica Labs)으로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가 종양, 기질 및 유리를 결정할 수 있도록 분류기를 훈련시켰다. 분류기를 알고리즘에 추가하였다. 알고리즘을 염색 강도와 배경 염색을 기반으로 최적화하였다. 양성 조직, 종양 및 기질의 면적 퍼센트를 측정하였다.
SGN-B7H4V는 TNBC의 MDA-MB-468 이종이식 모델에서 항종양 활성을 나타냈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DA-MB-468 이종이식편 종양을 갖는 NSG 마우스를 비히클 또는 B7H41001 mAb가 아닌 단일 3 mg/kg 용량의 SGN-B7H4V로 치료하여 종양 부피를 감소시켰다. 2배 더 높은 용량(6 mg/kg)의 B7H41001 mAb-DM1 및 B7H41001 mAb-DM4 접합체를 이용한 치료 또한 비히클 및 mAb 단독 치료와 비교하여 종양 부피를 감소시켰지만, DM1 접합체는 SGN-B7H4V와 비교하여 더 적은 항종양 활성을 유도하였다.
SGN-B7H4V는 이종이식 종양에 마우스 대식세포를 동원하였다.
이어서, 종양 부위에 마우스 선천 면역 세포의 동원을 촉진하는 SGN-B7H4V의 능력을 대식세포 마커 F4/80+(BioRad, 카탈로그 번호 MCA497에서 얻은 항 마우스 F4/80 항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의해 평가하였다. 염색된 종양 절편의 정량화는 종양 둥지뿐만 아니라 주변 종양 기질에서 F4/80+ 대식세포의 비율의 증가를 포함한, SGN-B7H4V-처리된 종양에서 F4/80+ 대식세포의 비율의 증가(도 34a 및 34b)를 나타냈고, 이는 SGN-B7H4V가 이종이식 종양에 대한 마우스 선천 면역 세포의 동원을 촉진했음을 시사한다. 이는 전임상 모델(문헌[Gray, 2020; Liu, 2020]) 및 환자(문헌[Pusztai, 2020]) 모두에서 종양으로의 면역 세포의 동원을 유도하는 다른 vedotin ADC의 능력과 일치한다. 대조적으로, B7H41001 mAb-DM1를 이용한 치료는 종양 둥지 또는 기질 내 F4/80+ 대식세포를 증가시키지 않았고, B7H41001 mAb-DM4를 이용한 치료는 종양 둥지 또는 기질 내 F4/80+ 대식세포를 증가시켰으나, SGN-B7H4V를 이용한 치료 후에 비해 더 적은 정도였다.
SGN-B7H4V는 인간 종양 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및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의 상향 조절을 유도하였다.
RNAseq 분석도 수행하였고(일루미나 HiSeq 플랫폼), 전사물 판독을 인간 및 마우스 게놈에 매핑하여 인간 MDA-MB-468 종양 세포 또는 마우스 면역 및 기질 세포 각각에서 SGN-B7H4V에 의해 유도된 유전자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CXCL10 및 CXCL1) 및 1형 인터페론(interferon, IFN) 반응 유전자(IFIT2 및 MX1)를 암호화하는 인간 전사물은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SGN-B7H4V-처리된 종양에서 유의미하게 상향조절(각각 약 2~3배 및 약 1.5배)되었다(도 35).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은 면역 세포 활성화 및 종양으로의 동원을 촉진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B7H41001 mAb-DM1 접합체를 이용한 치료는 CXCL10, CXCL1, IFIT2, 또는 MX1의 증가를 유도하지 않았다(도 35). B7H41001 mAb-DM4 접합체는 SGN-B7H4V(예를 들어, CXCL1 상향조절)와 유사한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지만, B7H41001 mAb-DM4 접합체를 이용한 치료는 CXCL10 또는 IFIT2의 증가를 유도하지 않았고, 놀랍게도 1형 MHC 분자(HLA-A, HLA-B, HLA-C, 및 B2M, 표 20)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 MX1의 감소를 유도하였다(도 35). IFIT1, IFIT3, ISG15, OAS2 및 RSAD2를 포함한 여러 추가 1형 IFN 반응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B7H41001 mAb-DM1 치료에서는 볼 수 없었던 SGN-B7H4V를 이용한 치료 후 증가가 나타났고, 반대로 B7H41001 mAb-DM4를 이용한 치료에서는 감소하였다(표 20). 유사하게, B2M, HLA-A, HLA-B, HLA-C를 포함하는 1형 MHC 항원 제시와 관련된 유전자는 B7H41001 mAb-DM4를 이용한 치료 후에는 감소하였으나, SGN-B7H4V 또는 B7H41001 mAb-DM1을 이용한 치료는 아니었다(표 20). 시험된 미세관 붕괴 ADC 중에서, SGN-B7H4V만이 대식세포를 종양 및 기질 내로 침윤시키고, 염증 및 1형 인터페론 반응을 유도하고, 항원 제시 기구 TAP1 및 TAP2를 상승시켰다(표 20).
표 20: SGN-B7H4V, B7H41001 mAb-DM1, 및 B7H41001 mAb-DM4-처리된 MDA-MB-468 종양에 의한 추가 목적 유전자 발현의 RNAseq 분석
유전자 온톨로지[Gene ontology, GO] 용어 분석을 또한 수행하였고, SGN-B7H4V(표 21)와 비교하여 B7H41001 mAb-DM1 및 SGN-B7H4V(표 22)와 비교하여 B7H41001 mAb-DM4에 대한 결과를, 0.01 미만의 조정된 p-값의 컷오프 및 생물학적 공정[Biological Process, BP] 온톨로지에 기초하여 필터링하였다. 아포토시스/세포예정사 경로(예를 들어, 아포토시스 미토콘드리아 변화, 아포토시스 공정에 관여하는 시스테인 유형 펩타이드내부가수분해효소 활성의 조절, 및 세포예정사의 양성 조절)와 관련된 인간 유전자 범주는 B7H41001 mAb-DM1(표 21)과 비교하여 SGN-B7H4V 치료에 의해 증가하였고, 이는 SGN-B7H4V를 이용한 보다 강력한 종양 수축과 일치한다. 더욱이, 몇몇 마우스 면역 관련 GO 용어는 B7H41001 mAb-DM1과 비교하여 SGN-B7H4V를 이용한 치료 후 증가하였다(예를 들어,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 항원 처리 및 제시, 사이토카인 생산의 양성 조절, 인터페론-베타에 대한 세포 반응, 종양 괴사 상과계열 사이토카인 생산의 조절, 대식세포 활성화, 선천 면역 반응의 양성 조절, 백혈구 화학주성의 조절, 골수성 백혈구 이동)(표 21). 전반적으로, 이들 결과는 SGN-B7H4V가 B7H41001 mAb-DM1에서보다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더 많은 면역조절 변화를 구동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는 B7H41001 mAb-DM1과 비교하여 종양 둥지뿐만 아니라 주변 종양 기질로 F4/80+ 대식세포를 동원하는 SGN-B7H4V의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는 IHC 및 RNAseq 둘 다와 일치한다(표 34). 면역 반응과 관련된 인간 유전자 범주는 또한 B7H41001 mAb-DM4와 비교하여 SGN-B7H4V를 이용한 치료 후 증가하였다(예를 들어,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 반응, 1형 MHC를 통한 내인성 펩타이드 항원의 항원 처리 및 제시, 1형 인터페론 생산의 양성 조절, 1형 인터페론에 대한 반응, 선천 면역 반응의 조절)(표 22). 이는 베도틴계 SGN-B7H4V가 인간 종양 세포에서 보다 강력한 면역 변화를 유도하는 두 가지 메이탄시노이드계 ADC의 면역 조절 효과에 잠재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더욱이, 이는 SGN-B7H4V가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유도한 반면, B7H41001 mAb-DM4는 1형 IFN 반응 유전자 발현에서 변화가 없거나(CXCL10 및 IFIT2) 유의미한 감소(MX-1)를 유도했다는 관찰과 일치한다. 또한, 몇몇 마우스 면역 관련 유전자 범주는 B7H41001 mAb-DM4와 비교하여 SGN-B7H4V를 이용한 치료 후 증가하였다(표 22). 여기에는 백혈구 이동, 사이토카인 생산의 양성 조절, 인터페론 베타에 대한 반응, 골수성 백혈구 이동 및 화학주성의 조절이 포함된다(표 22). 종합적으로, 이는 SGN-B7H4V가 B7H41001 mAb-DM4에 비해 인간 종양 세포 및 마우스 면역 세포 모두에 더 강력한 면역 조절 변화를 구동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이 데이터 본문은 SGN-B7H4V로 치료하면 페이로드를 파괴하는 다른 미세소관과 구별되는 생체내 강력한 면역 조절 변화가 발생함을 시사한다.
표 21: SGN-B7H4V에 대한 B7H41001 mAb-DM1을 이용한 치료 후 유전자 발현 변화를 비교하는 유전자 온톨로지[GO] 분석
표 22: SGN-B7H4V에 대한 B7H41001 mAb-DM4를 이용한 치료 후 유전자 발현 변화를 비교하는 유전자 온톨로지[GO] 분석
실시예 17: SGN-B7H4V mIgG2a가 면역적격 마우스 B7-H4 발현 Renca 종양 모델에서 강력한 활성을 유도한다
이어서, SGN-B7H4V mIgG2a(항체-약물 접합체, 또는 이하 'ADC')의 활성을 마우스 B7-H4(mB7-H4, 도 36a)를 발현시키기 위해 렌티바이러스 형질도입을 통해 조작된 면역적격 마우스 Renca 종양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마우스 B7-H4 발현 Renca 세포를 10% 열 비활성화 우태아 혈청, MEM 비필수 아미노산(1x), 소듐 피루베이트(1 mM) 및 L-글루타민(2 mM)을 이용해 RPMI-1640(ATCC)에서 배양하였다. Renca 암 세포를 Balb/c 암컷 마우스의 피하로 이식하였다(RPMI-1640 배지 내 200 μL 25% 마트리겔 중 2 x 106 세포). 종양 부피가 약 100 mm3에 도달하면, 마우스를 각각 5~10마리 마우스의 치료군으로 무작위화하였다.
mB7-H4-Renca 종양 보유 마우스는 종양 부피가 100 mm3에 도달할 때 3 mg/kg의 비접합 항체 또는 ADC의 3주간 용량으로 치료하였다. 이종발생성 인간 항체에 대한 항 약물 항체 반응의 유도를 회피하기 위해 임상 치료에 사용되는 인간 IgG1[human IgG1, hIgG1] 골격 대신 마우스 IgG2a[murine IgG2a, mIgG2a] 골격을 이용하여 항체 및 ADC를 제조하였다.
SGN-B7H4V mIgG2a는 면역적격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 모델에서 강력한 항종양 반응을 구동하였다.
SGN-B7H4V mIgG2a를 이용한 치료는 모든 마우스에서 지속적인 종양 퇴행을 야기한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비결합 대조군 mIgG2a ADC는 적당한 종양 성장 지연을 유도하였다. 한편, 비접합 B7-H4-표적 항체 B7H41001 mIgG2a(푸코실화된 Fc 골격)뿐만 아니라 SEA-B7H41001 mIgG2a(Fc 효과기 기능 증진된 탈푸코실화된 Fc 골격)를 이용한 치료는 최소 항종양 활성을 유도하였다(도 36b).
이는 항종양 활성 향상이 B7-H4-표적 항체가 베도틴 페이로드로 강화된 표적 ADC 접근법을 이용하여 달성되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18: SGN-B7H4V mIgG2a는 마우스 B7-H4 발현 Renca 종양에 다양한 면역 세포 유형을 동원한다
이어서, 마우스 B7-H4-발현 Renca-종양 보유 마우스를 단일 3 mg/kg 용량의 비히클, 비접합된 B7H41001 mIgG2a mAb, 비결합 대조군 mIgG2a ADC, 또는 SGN-B7H4V mIgG2a로 i.p.를 통해 치료하였다. 치료 6~7일 후 종양을 수확하고, 반으로 자르고, RNA-seq 또는 IHC에 대해 처리하였다. Renca 종양 부위에 대한 면역 세포의 동원을 포함하는 면역조절 변화를 유도하는 SGN-B7H4V mIgG2a의 능력을 RNA-seq에 의한 유전자 발현 변화의 분석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의해 평가하였다.
SGN-B7H4V mIgG2a는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에서 사이토카인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의 상향조절을 유도한다.
SGN-B7H4V mIgG2a-처리 종양의 RNAseq 분석에 따르면, 비접합 mAb B7H41001과 비교하여 SGN-B7H4V mIgG2a로 치료한 후, 사이토카인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도 37)를 암호화하는 전사물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은 면역 세포 활성화 및 종양으로의 동원을 촉진할 수 있다. 비히클과 비교하여 B7H41001 mIgG2a mAb를 이용한 치료 후 이들 전사물 중 일부(예를 들어, Cxcl9)의 증가(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에 대한 경향이 있었지만, 베도틴 페이로드로 강화되는 B7-H4-표적화 항체의 이점을 강조하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후 최대 변화가 발생하였다.
SGN-B7H4V mIgG2a는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으로 항원 제시 세포의 동원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2형 MHC 및 공동자극 분자의 상향조절을 유도하였다
염색된 종양 절편의 정량화는 SGN-B7H4V mIgG2a-치료 종양에서 CD11c+ 수지상 세포, F4/80+ 대식세포, 및 공동 자극 분자 CD86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도 38a 및 38b). 이를 RNAseq 분석에 의해 입증하였으며, 이는 Itgax(CD11c를 암호화함)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SGN-B7H4V mIgG2a로 치료한 후의 Batf3(항원 교차 제시와 관련된 전사 인자인 BatF3을 암호화함), Cd68(대식세포 마커 CD68을 암호화함), H2-Aa & H2-eb1(2형 MHC 분자를 암호화함), 및 Cd80, Cd86, & Icosl (공동자극 분자를 암호화함) 전사물(도 38c). 이는 SGN-B7H4V mIgG2a가 종양으로 선천 항원 제시 세포의 동원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형 MHC 분자 및 다중 공동 자극 분자를 포함하는 T 세포로의 항원 제시와 관련된 유전자의 상향조절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히클과 비교하여 B7H41001 mIgG2a mAb를 이용한 치료 후 이들 전사물 중 일부(예를 들어, H2-Aa 및 H2-eb1)의 증가(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에 대한 경향이 있었지만, 베도틴 페이로드로 강화되는 B7-H4-표적화 항체의 이점을 강조하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후 최대 변화가 발생하였다.
SGN-B7H4V mIgG2a는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으로의 CD4 및 CD8 T 세포의 동원을 유도하였다
염색된 종양 절편의 정량화는 또한 SGN-B7H4V mIgG2a-치료 종양에서 CD3+, CD4+, 및 CD8+ T 세포뿐만 아니라 새로 활성화된 T 세포 상에서 상향조절되는 PD-L1에 대한 수용체인 PD-1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도 39a 및 39b). 이는 SGN-B7H4V mIgG2a를 이용한 치료 후 Cd3e(T 세포 마커 CD3을 암호화함), Cd4(T 세포 마커 CD4를 암호화함), Cd8a(T 세포 마커 CD8을 암호화함), Pdcd1(PD-1을 암호화함), Cd27(CD27을 암호화함), 및 Icos(ICOS를 암호화함) 전사물을 나타낸 RNAseq에 의해 입증하였다(도 39c). 종합적으로, 이는 SGN-B7H4V mIgG2a가 종양으로 적응 T 세포의 동원 및 PD-1, CD27, 및 ICOS와 같은 초기 T 세포 활성화와 관련된 유전자의 상향 조절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히클과 비교하여 B7H41001 mIgG2a mAb를 이용한 치료 후 이들 전사물의 증가(CD8a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에 대한 경향이 있었지만, 베도틴 페이로드로 강화되는 B7-H4-표적화 항체의 이점을 강조하는 SGN-B7H4V mIgG2a로 치료 후 최대 변화가 발생하였다.
SGN-B7H4V mIgG2a는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에서 항-PD(L)1 작용제에 대한 반응과 임상적으로 관련된 유전자의 상향 조절을 구동한다
임상에서 항-PD(L)1 작용제에 대한 반응은 PD-L1의 발현 및/또는 'T 세포-감염된' 유전자 특징의 발현과 관련되었다(문헌[Ayers et al]). 염색된 종양 절편의 정량화는 또한 PD-L1+ 세포 비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도 40a). 또한, RNAseq 분석은 'T 세포-감염된' 유전자 특징과 관련된 다수의 마우스 유전자의 증가를 나타내었다(문헌[Ayers et al], 도 40b) 전체적으로, 이는 SGN-B7H4V가 항-PD(L)1 작용제에 대한 반응성을 촉진할 수 있는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면역조절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GN-B7H4V mIgG2a를 이용한 치료 후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의 추가 면역 조절 변화
종양 절편을 또한 세포 주기 단백질 Ki67, M2-유사 대식세포 마커 CD163, CD206 및 Chi3L3, 및 단백질분해효소 그랜자임 B(세포독성 림프구의 과립에서 발견됨)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염색하였다. SGN-B7H4V mIgG2a-치료된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에서 Ki67+ 세포(도 41a) 및 CD206+ 세포(도 41b)의 백분율의 유의미한 증가를 관찰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SGN-B7H4V mIgG2a-치료된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에서 CD163+ 및 그랜자임 B+ 세포가 증가하는 경향도 있었다. B7H4V mIgG2a로 치료한 후 종양에서 Ki67+ 세포의 증가는 MMAE-유도된 G2/M 종양 세포 주기 정지 및/또는 증식하는 면역 세포의 침윤과 일치한다.
다수의 추가 목적 유전자를 또한 RNAseq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이는 SGN-B7H4V mIgG2a로 치료한 후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에서 변경된 것으로 밝혀졌다(표 23). 예를 들어, SGN-B7H4V mIgG2a로 치료한 후 Vtcn1(B7-H4를 암호화함) 전사물의 감소를 관찰하였으나, 비접합 B7H41001 mAb로 치료한 경우는 관찰하지 못하였다. 또한, SGN-B7H4V mIgG2a로 치료한 후 다수의 추가 사이토카인(예를 들어, CCL20, IFNγ)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TREX1, RSAD2)를 암호화하는 전사물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전자 온톨로지[GO] 용어 분석은 비접합 B7H41001 mIgG2a mAb와 비교하여 SGN-B7H4V mIgG2a로 치료한 후 다수의 면역 관련 유전자 범주의 상향조절을 나타내었다(표 24). 전체적으로, 이는 SGN-B7H4V mIgG2a를 사용한 치료가 종양에 대한 강력한 면역조절 변화를 유도함을 시사한다. SGN-B7H4V mIgG2a 치료는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에서 억제 리간드 B7-H4를 발현하는 종양 세포를 제거하고 사이토카인 및 1형 IFN 반응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선천 및 적응 면역 세포 활성화 및 종양으로의 동원을 촉진할 수 있다.
표 23: SGN-B7H4V mIgG2a-치료된 mB7-H4-발현 Renca 종양에 의한 추가 목적 유전자 발현의 RNAseq 분석
표 24: 상위 50개가 SGN-B7H4V mIgG2a vs. B7H41001 mIgG2a mAb-치료 mB7-H4-발현 Renca 종양에서 GO 용어를 유의미하게 변화시켰다
실시예 19: SGN-B7H4V mIgG2a와 항-PD-1 작용제의 병용은 두 작용제 단독과 비교하여 향상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낸다.
마우스 B7-H4-발현 Renca 종양을 보유한 면역적격 마우스에서 항-PD-1 작용제와 병용한 SGN-B7H4V mIgG2a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종양 보유 마우스를 종양 부피가 100 mm3에 도달했을 때 치료 이하 용량으로 3주간 용량의 SGN-B7H4V mIgG2a(1 mg/kg) 및 비접합 항-PD-1 항체 (0.3 mg/kg)를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치료하였다.
항-PD-1 mAb와 병용한 SGN-B7H4V mIgG2a는 향상된 항종양 활성을 유도하였다
항-PD-1 mAb와 병용한 SGN-B7H4V mIgG2a 치료는 단독 치료 또는 래트 동형 대조군 mAb와 병용한 SGN-B7H4V mIgG2a와 비교하여 생존율 및 항종양 활성을 향상(4/10 완전한 반응이 관찰됨)시켰다(도 42 및 43).
항-PD-1 mAb와 병용한 SGN-B7H4V mIgG2a는 강력한 면역 기억을 유도한다
다음으로, 항-PD-1 작용제와 병용한 SGN-B7H4V mIgG2a의 면역 기억을 지속시키는 능력을 종양 재주입 시험에서 평가하였다. 지속적인 종양 퇴행을 달성한, 실시예 17에서 얻은 마우스(즉, SGN-B7H4V mIgG2a로 치료함, 도 36a, b 참조) 및 위의 마우스(즉, SGN-B7H4V mIgG2a + 항-PD-1 mAb로 치료함, 도 42 및 43 참조)는 모(즉, 비-B7-H4-발현) Renca 종양 세포로 재주입시켰다. 항-PD-1 mAb와 병용하여 SGN-B7H4V mIgG2a로 이전에 치료한 4마리 마우스 모두는 종양 재주입을 방어하였고(표 25), 이는 항-PD-1 작용제와 조합한 SGN-B7H4V의 병용이 상승작용적이고 지속적인 면역 기억을 유도함을 시사한다.
표 25: 항-PD-1 mAb와 병용한 SGN-B7H4V mIgG2a는 강력한 면역 기억을 유도한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63)
-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 antibody-drug conjugate, B7-H4-ADC]로서, 상기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aline-citruline-monomethyl auristatin E, 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상기 항-B7-H4 항체는 서열 번호 5~10 각각의 중쇄 가변 영역[heavy chain variable region, VH]-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1, VH-CDR2, VH-CDR3 및 경쇄 가변 영역[light chain variable region, VL]-CDR1, VL-CDR2 및 VL-CDR3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B7-H4-ADC.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및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을 포함하는, B7-H4-ADC.
-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ADC]로서, 상기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상기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CVR], 및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CVR]을 포함하고,
상기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B7-H4-ADC.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의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어느 하나의 상기 세 개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하고, 상기 항체의 상기 경쇄 가변 영역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2의 상기 세 개의 CDR을 포함하는, B7-H4-ADC.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하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한, B7-H4-ADC.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하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한, B7-H4-ADC.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의 서열을 포함하는, B7-H4-ADC.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다음 구조를 포함하는 B7-H4-ADC.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다음 구조:
(a)
또는 (b)
를 포함하는 B7-H4-ADC.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vcMMAE의 비는 약 1 내지 약 8인, B7-H4-ADC.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상기 vcMMAE의 비는 약 4인, B7-H4-ADC.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는 완전 인간 항체인, B7-H4-ADC.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는 IgG1 단일클론 항체인, B7-H4-ADC.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있되, B7-H4-ADC의 상기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상기 항-B7-H4 항체는 다양한 번역 후 변형을 나타내는, B7-H4-ADC.
- 제14항에 있어서, B7-H4-ADC의 상기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상기 항-B7-H4 항체의 적어도 50%, 60%, 70%, 80%, 90%, 또는 95% 내에서,
(i) C-말단 라이신 잔기가 두 중쇄 모두에서 제거되고/되거나,
(ii) 각 중쇄의 N-말단 글루타민이 파이로글루탐산으로 고리화되고/되거나,
(iii) 각 중쇄의 Asn300에 있는 공통 글리코실화 부위가 말단 갈락토스 잔기가 없는 바이안테너리 코어 푸코실화 글리칸으로 주로 채워진, B7-H4-ADC. - B7-H4 관련 암을 앓고 있거나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게 치료 유효량의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ADC]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상기 항-B7-H4 항체는 서열 번호 5~10 각각의 중쇄 가변 영역[VH]-상보성 결정 영역[CDR] 1, VH-CDR2, VH-CDR3 및 경쇄 가변 영역[VL]-CDR1, VL-CDR2 및 VL-CDR3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CVR], 및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CVR]을 포함하는, 방법.
- B7-H4 관련 암을 앓고 있거나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게 치료 유효량의 B7-H4 항체-약물 접합체[B7-H4-ADC]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7-H4-ADC는 발린-시트룰린-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vcMMAE)에 접합된 항-B7-H4 항체를 포함하되, 상기 항-B7-H4 항체는 서열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중쇄 가변 영역[HCVR], 및 서열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5% 동일한 경쇄 가변 영역[LCVR]을 포함하고,
상기 vcMMAE는 다음 구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의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상기 세 개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하고, 상기 항체의 상기 경쇄 가변 영역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 번호 12의 상기 세 개의 CDR을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하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8% 동일한, 방법.
-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하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에 대해 적어도 99% 동일한, 방법.
-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1의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2의 서열을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다음 구조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다음 구조:
(a)
또는 (b)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vcMMAE의 비는 약 1 내지 약 8인, 방법.
-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에 대한 상기 vcMMAE의 비는 약 4인, 방법.
-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는 IgG1 단일클론 항체인, 방법.
-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는 완전 인간 항체인, 방법.
-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B7-H4 항체는 인간화 항체인, 방법.
- 제1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B7-H4-ADC의 이종 집단 내에 있되, B7-H4-ADC의 상기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상기 항-B7-H4 항체는 다양한 번역 후 변형을 나타내는,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B7-H4-ADC의 상기 이종 집단 내에 포함되는 상기 항-B7-H4 항체의 적어도 50%, 60%, 70%, 80%, 90%, 또는 95% 내에서,
(i) C-말단 라이신 잔기가 두 중쇄 모두에서 제거되고/되거나,
(ii) 각 중쇄의 N-말단 글루타민이 파이로글루탐산으로 고리화되고/되거나,
(iii) 각 중쇄의 Asn300에 있는 공통 글리코실화 부위가 말단 갈락토스 잔기가 없는 바이안테너리 코어 푸코실화 글리칸으로 주로 채워진, 방법. - 제1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고 재발한 적이 있거나, 치료에 반응한 적이 없되, 상기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상기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닌, 방법.
- 제1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치료 도중 질환의 진행을 겪은 적이 있되, 상기 하나 이상의 치료제는 상기 B7-H4-ADC, 상기 항-B7-H4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아닌, 방법.
- 제1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진행성 병기의 암인, 방법.
- 제16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난소암, 폐암, 담관암종 및 자궁내막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복막암, 나팔관암, 폐 편평세포 암종[lung squamous cell carcinoma, LUSC], 폐선암종,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자궁내막암, 난소암 또는 유방암 및 담낭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난소 신생물, 복막 신생물, 나팔관 신생물, HER2 음성 유방 신생물, HER2 양성 유방 신생물, 삼중 음성 유방 신생물, 자궁내막 신생물, 비소세포 폐암종, 담관암종 및 담낭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 제3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한 번 이상의 사전 세포독성요법을 받은,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세포독성 화학요법, 또는 백금계 요법이나 백금계 병용 요법을 사용한 사전 요법을 받았던, 방법.
-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암에 대한 표준 치료 요법을 사용한 사전 치료를 받았고 사전 치료가 실패했던, 방법.
- 제3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상기 B7-H4-ADC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중에 있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인간인, 방법.
- 제16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세포 중 적어도 약 0.1%,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적어도 약 4%,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6%, 적어도 약 7%, 적어도 약 8%, 적어도 약 9%,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또는 적어도 약 80%는 B7-H4를 발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상기 B7-H4-ADC의 투여 후 기준선 대비 개선되는, 방법.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상기 암에서 유래한 종양의 크기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단일요법으로 투여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vcMMAE에 접합되지 않는 상응하는 B7-H4 항체의 투여와 비교하여, 상기 B7-H4-ADC의 투여 후 개선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DM1 또는 DM4에 접합되는 상응하는 B7-H4 항체의 투여와 비교하여, 상기 B7-H4-ADC의 투여 후 개선되는, 방법.
- 제44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치료 효과는 상기 암에서 유래한 종양 크기의 감소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 ADC의 투여는 상기 대상에서 항종양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 ADC의 투여는 하나 이상의 케모카인 및/또는 하나 이상의 1형 인터페론 반응 유전자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의 투여는 CXCL10, CXCL9, CXCL1, IFTIT2, 및/또는 MX1 발현의 상향 조절을 유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의 투여는 선천 면역 세포 및/또는 적응 면역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의 투여는 CD11c+ 수지상 세포, F4/80+ 대식세포 및/또는 CD86을 발현하는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의 투여는 종양 부위에서 Baft3, Cd68, H2Aa, H2-eb1, CD80, CD86, CD3e, CD4, Cd8a, Pdcd1, Cd27, Cxcr6, Lag3, Nkg7, Ccl5, Cd274, Cmklr1, Cxcl9, Psmb10, Stat1, 및/또는 Icosl 전사물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의 투여는 CD3+ 세포, CD4+ 세포, CD8+ 세포, PD1+ 세포의 종양 부위로의 동원을 촉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의 투여는 PD-1 요법에 대한 반응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의 투여는 종양 부위에서 Ki67, CD163, CD206, ChiL3, 및/또는 그랜자임 B 양성 세포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B7-H4-ADC의 투여는,
(a) 암세포에 의한 ATP 방출; 및/또는
(b) 암세포 표면에서 칼레티큘린의 노출을 유도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단일요법으로 투여되는, 방법.
- 제1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7-H4-ADC는 항-PD-1 항체와 병용 투여되는, 방법.
- 키트로서,
(a) B7-H4-ADC, 또는 B7-H4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b) 제16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른 B7-H4-ADC를 사용하기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 키트로서,
(a) B7-H4-ADC 및 항-PD-1 항체; 및
(b) 제16항 내지 제59항 및 제6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른 B7-H4-ADC 및 항-PD-1 항체를 사용하기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163261949P | 2021-09-30 | 2021-09-30 | |
US63/261,949 | 2021-09-30 | ||
US202163293625P | 2021-12-23 | 2021-12-23 | |
US63/293,625 | 2021-12-23 | ||
US202263317536P | 2022-03-07 | 2022-03-07 | |
US63/317,536 | 2022-03-07 | ||
PCT/US2022/077267 WO2023056362A1 (en) | 2021-09-30 | 2022-09-29 | B7-h4 antibody-drug conjugat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9190A true KR20240099190A (ko) | 2024-06-28 |
Family
ID=8404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12988A Pending KR20240099190A (ko) | 2021-09-30 | 2022-09-29 | 암 치료를 위한 b7-h4 항체 약물 접합체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17205A1 (ko) |
EP (1) | EP4408478A1 (ko) |
JP (1) | JP2024536227A (ko) |
KR (1) | KR20240099190A (ko) |
AU (1) | AU2022358522A1 (ko) |
CA (1) | CA3232806A1 (ko) |
IL (1) | IL311655A (ko) |
MX (1) | MX2024003797A (ko) |
TW (1) | TW202330038A (ko) |
WO (1) | WO202305636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27439A1 (zh) * | 2023-05-04 | 2024-11-07 |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 具有靶向作用的偶联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5539A (en) | 1986-03-27 | 1993-07-06 | Medical Research Council | Recombinant altered antibodies and methods of making altered antibodies |
DE3883899T3 (de) | 1987-03-18 | 1999-04-22 | Sb2, Inc., Danville, Calif. | Geänderte antikörper. |
US5677425A (en) | 1987-09-04 | 1997-10-14 | Celltech Therapeutics Limited | Recombinant antibody |
EP0368684B2 (en) | 1988-11-11 | 2004-09-29 | Medical Research Council | Cloning immunoglobulin variable domain sequences. |
US5530101A (en) | 1988-12-28 | 1996-06-25 | Protein Design Labs, Inc. | Humanized immunoglobulins |
US5859205A (en) | 1989-12-21 | 1999-01-12 | Celltech Limited | Humanised antibodies |
US6407213B1 (en) | 1991-06-14 | 2002-06-18 | Genentech, Inc. | Method for making humanized antibodies |
IE922437A1 (en) | 1991-07-25 | 1993-01-27 | Idec Pharma Corp | Recombinant antibodies for human therapy |
GB9206422D0 (en) | 1992-03-24 | 1992-05-06 | Bolt Sarah L | Antibody preparation |
CA2118508A1 (en) | 1992-04-24 | 1993-11-11 | Elizabeth S. Ward | Recombinant production of immunoglobulin-like domains in prokaryotic cells |
EP0714409A1 (en) | 1993-06-16 | 1996-06-05 | Celltech Therapeutics Limited | Antibodies |
US5869046A (en) | 1995-04-14 | 1999-02-09 | Genentech, Inc. | Altered polypeptides with increased half-life |
US6121022A (en) | 1995-04-14 | 2000-09-19 | Genentech, Inc. | Altered polypeptides with increased half-life |
CA2249195A1 (en) | 1996-03-18 | 1997-09-25 |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 Immunoglobin-like domains with increased half lives |
WO1998023289A1 (en) | 1996-11-27 | 1998-06-04 |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 MODULATION OF IgG BINDING TO FcRn |
US6277375B1 (en) | 1997-03-03 | 2001-08-21 |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 Immunoglobulin-like domains with increased half-lives |
US6194551B1 (en) | 1998-04-02 | 2001-02-27 | Genentech, Inc. | Polypeptide variants |
PL220113B1 (pl) | 1999-01-15 | 2015-08-31 | Genentech Inc | Wariant macierzystego polipeptydu zawierającego region Fc, polipeptyd zawierający wariant regionu Fc o zmienionym powinowactwie wiązania receptora Fc gamma (FcγR), polipeptyd zawierający wariant regionu Fc o zmienionym powinowactwie wiązania noworodkowego receptora Fc (FcRn), kompozycja, wyizolowany kwas nukleinowy, wektor, komórka gospodarza, sposób otrzymywania wariantu polipeptydu, zastosowanie wariantu polipeptydu i sposób otrzymywania wariantu regionu Fc |
US6737056B1 (en) | 1999-01-15 | 2004-05-18 | Genentech, Inc. | Polypeptide variants with altered effector function |
US7658921B2 (en) | 2000-12-12 | 2010-02-09 | Medimmune, Llc | Molecules with extended half-liv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
EP3569610A3 (en) | 2000-12-12 | 2020-03-18 | Medlmmune, LLC | Molecules with extended half liv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
WO2004006955A1 (en) | 2001-07-12 | 2004-01-22 | Jefferson Foote | Super humanized antibodies |
DK2175884T3 (en) | 2007-07-12 | 2016-09-26 | Gitr Inc | Combination USING GITR BINDING MOLECULES |
EP3191518B1 (en) * | 2014-09-12 | 2020-01-15 | Genentech, Inc. | Anti-b7-h4 antibodies and immunoconjugates |
CR20200138A (es) | 2017-08-25 | 2020-06-14 | Five Prime Therapeutics Inc | Anticuerpos de b7-h4 y métodos para usarlos |
MX2020009037A (es) * | 2018-03-02 | 2021-01-08 | Five Prime Therapeutics Inc | Anticuerpos de b7-h4 y métodos para usarlos. |
US20230312722A1 (en) * | 2020-06-30 | 2023-10-05 | Nona Biosciences (Suzhou) Co., Ltd. | Anti-b7h4 antibody, and bispecific antibody and use thereof |
IL302402A (en) * | 2020-11-08 | 2023-06-01 | Seagen Inc | Combination therapy |
-
2022
- 2022-09-29 EP EP22797591.9A patent/EP4408478A1/en active Pending
- 2022-09-29 IL IL311655A patent/IL311655A/en unknown
- 2022-09-29 CA CA3232806A patent/CA3232806A1/en active Pending
- 2022-09-29 JP JP2024519608A patent/JP2024536227A/ja active Pending
- 2022-09-29 MX MX2024003797A patent/MX2024003797A/es unknown
- 2022-09-29 WO PCT/US2022/077267 patent/WO202305636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9-29 US US17/936,814 patent/US20230117205A1/en active Pending
- 2022-09-29 KR KR1020247012988A patent/KR20240099190A/ko active Pending
- 2022-09-29 TW TW111137051A patent/TW202330038A/zh unknown
- 2022-09-29 AU AU2022358522A patent/AU2022358522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L311655A (en) | 2024-05-01 |
CA3232806A1 (en) | 2023-04-06 |
EP4408478A1 (en) | 2024-08-07 |
TW202330038A (zh) | 2023-08-01 |
US20230117205A1 (en) | 2023-04-20 |
AU2022358522A1 (en) | 2024-03-28 |
JP2024536227A (ja) | 2024-10-04 |
WO2023056362A1 (en) | 2023-04-06 |
MX2024003797A (es) | 2024-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44050B (zh) | 一种抗b7-h3抗体及其应用 | |
RU2734771C2 (ru) | Нейтрализация ингибиторных путей в лимфоцитах | |
US20200140562A1 (en) | Anti-ox40 antibody and use thereof | |
KR20190088480A (ko) | Pd-1에 대한 항체 및 그의 용도 | |
KR20180085793A (ko) | 글리코실화된 pd-1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 |
US20250043003A1 (en) | Mutant anti-ctla-4 antibodies with improved immunotherapeutic effect but attenuated adverse effects | |
KR20190031299A (ko) | 글리코실화된 pd-l1에 결합하는 항체의 조합을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 | |
JP7384835B2 (ja) | Cd3に特異的な抗体及びその使用 | |
KR20160097336A (ko) | 신규 항-dpep3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 |
US20240352153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 |
US20220313819A1 (en) |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olid and hematological cancers | |
KR20230125774A (ko) | 항-cd73 항체 및 이의 용도 | |
KR20240099190A (ko) | 암 치료를 위한 b7-h4 항체 약물 접합체 | |
KR20220088428A (ko) | 글리코실화된 ctla-4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 |
CN116940595A (zh) | 抗tigit抗体及其用途 | |
US20220372148A1 (e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hematological cancer | |
JP2022554270A (ja) | 抗pd-1抗体による癌を治療する方法 | |
CN118302200A (zh) | 用于治疗癌症的b7-h4抗体-药物缀合物 | |
WO2024146553A1 (en) | Antibodies against cd47,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 |
WO2024146539A1 (en) | Bispecific antibodies against pd-l1 and cd47,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 |
KR20230050378A (ko) | 항-cd73 항체를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 |
TW202448504A (zh) | Btn3a活化抗體及免疫檢查點抑制劑之組合 | |
TW202241511A (zh) | 新穎抗體組合及其用途 | |
JP2024521667A (ja) | 抗-cd205抗体及び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インヒビターを含む組み合わせ医薬 | |
KR20220088438A (ko) | 글리코실화된 lag3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4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