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8832A -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8832A KR20240098832A KR1020220180955A KR20220180955A KR20240098832A KR 20240098832 A KR20240098832 A KR 20240098832A KR 1020220180955 A KR1020220180955 A KR 1020220180955A KR 20220180955 A KR20220180955 A KR 20220180955A KR 20240098832 A KR20240098832 A KR 202400988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cell
- tube
- supply device
- pu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H01M50/77—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with external circulating pa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14—Arrangements for moving electrodes or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셀로 외부에서 전해액을 주입하고 배터리 셀로 공급된 전해액을 회수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전해액을 추가 공급하여 배터리 셀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전해액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는 배터리 셀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펌프, 펌프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저장부, 전해액 저장부와 펌프를 연결하는 제1 튜브 및 펌프와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제2 튜브를 포함하고, 펌프는 제1 튜브로부터 전해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제2 튜브로 전해액을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nd specifically, to supply electrolyte that can inject electrolyte into a battery cell from the outside, recover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battery cell, and improve the lifespan of the battery cell by additionally supplying electrolyte from the outside. It's about devices.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electrolyte to a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for supplying electrolyte to the battery cell, an electrolyte storage unit for supplying electrolyte to the pump, a first tube connecting the electrolyte storage unit and the pump, and the pump and battery cell. It includes a second tub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pump may include a suction part that sucks the electrolyte from the first tube and a discharge part that discharges the electrolyte to the second tu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해액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셀로 외부에서 전해액을 주입하고 배터리 셀로 공급된 전해액을 회수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전해액을 추가 공급하여 배터리 셀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전해액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nd specifically, to supply electrolyte that can inject electrolyte into a battery cell from the outside, recover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battery cell, and improve the lifespan of the battery cell by additionally supplying electrolyte from the outside. It's about devices.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별도의 발전수단이 없는 항공기, 자동차 및 선박의 기계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기로서, 내부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축전 및 방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battery is a device that stores electrical energy internally and supplies electricity to mechanical devices in aircraft, automobiles, and ships without a separate means of power generation, and is designed to store and discharge electricity through internal chemical reactions.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LiCoO2 등의 금속 산화물과 음극 활물질로 탄소 재료를 사용하며, 음 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을 개재하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가진 비수성 전해액을 함침시켜 제조된다. In general,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e metal oxides such as LiCoO2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carbon materials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polyolefin-based porous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is impregnated with a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a lithium salt such as LiPF6. It is manufactured by
충전 시에는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 층으로 삽입되고, 방전 시에는 탄소 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비수성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 역할을 한다.During charging, lithium ions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released and inserted into the carbon layer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during discharging, lithium ions from the carbon layer are released and inserted in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moves lithium ions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It acts as a whip.
그러나, 전해액은 이차전지의 작동 간 음극에서의 부반응 및 양극에서의 산화 현상에 의해 지속적으로 소모되며, 이에 따라, 전해액의 함량이 너무 적어지면, 소망하는 전기화학적 성능을 발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의 수명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전해액 부족에 의한 급격한 용량 저하 및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electrolyte is continuously consumed by side reactions at the cathode and oxidation at the anode during ope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ly, if the content of the electrolyte is too low, not only the desir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cannot be achieved, but also the secondary battery There are problems such as rapid decrease in battery life, rapid decrease in capacity due to lack of electrolyte, and increase in thicknes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터리 셀로 외부에서 전해액을 주입하고 배터리 셀로 공급된 전해액을 회수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전해액을 추가 공급하여 배터리 셀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전해액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lyte solution that can inject an electrolyte from the outside into a battery cell, recover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battery cell, and improve the lifespan of the battery cell by additionally supplying an electrolyte from the outsid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장치는 상기 배터리 셀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저장부, 상기 전해액 저장부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1 튜브 및 상기 펌프와 상기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제2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튜브로부터 전해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제2 튜브로 전해액을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lyt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electrolyte to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for supplying electrolyte to the battery cell, an electrolyte storage unit for supplying electrolyte to the pump, and a device connecting the electrolyte storage unit and the pump. 1 tube and a second tub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battery cell, and the pump may include a suction part that sucks the electrolyte from the first tube and a discharge part that discharges the electrolyte to the second tube. .
상기 배터리 셀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을 회수하는 회수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covery container for recovering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battery cell.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회수용기를 연결하는 제3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tube conn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recovery container.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1 셀 및 상기 회수용기와 연결되는 제2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은 상기 제2 튜브를 통해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셀은 상기 제3 튜브를 통해 상기 회수용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includes a first cell connected to the pump and a second cell connected to the first cell and the recovery container, the first cell is connected to the pump through the second tube, and the first cell is connected to the pump through the second tube. 2 Cell may be connected to the recovery container through the third tube.
상기 제2 튜브는 전해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ube may include a first valve coupled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back.
상기 제3 튜브는 전해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tube may include a second valve coupled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back.
상기 제1 셀 및 제2 셀을 연결하는 제2'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ube connecting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상기 전해액 저장부는 외부로부터 전해액을 공급받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torage unit may include a supply unit that receives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outside.
상기 회수용기는 회수한 전해액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very container may include a filter that filters the recovered electroly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해액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해액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 등을 통하여 배터리 셀로 외부에서 전해액을 주입하고 배터리 셀로 공급된 전해액을 회수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전해액을 추가 공급하여 배터리 셀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ject electrolyte into a battery cell from the outside and recover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battery cell, and to improve the lifespan of the battery cell by additionally supplying electrolyte from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의 펌프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2 셀을 더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1에서 제1 및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전해액 공급 장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1에서 제2 셀, 제1 및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전해액 공급 장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top plan view show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of the pump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further including a second cell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of Example 2 further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valves in Example 1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of Example 2, which further includes a second cell, first and second valves in Example 1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a top plan view show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이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실시예 1Example 1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의 펌프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2 셀을 더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plan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plan of the pump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further including a second cell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전해액 공급 장치(1)는 펌프(11), 전해액 저장부(12), 제1 튜브(14) 및 제2 튜브(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액 공급 장치(1)는 배터리 셀(2)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전해액 공급 장치(1)는 제3 튜브(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해액 공급 장치(1)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해액을 배터리 셀(2)에 공급하여 배터리 셀(2)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전해액 공급 장치(1)는 회수용기(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펌프(11)는 배터리 셀(2)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펌프(11)는 흡입부(111) 및 토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1)는 전해액 저장부(12)로부터 전해액을 공급받아 배터리 셀(2)에 전해액을 공급한다. 이때, 펌프(11)는 일정한 속도로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펌프(11)는 흡입부(111)에서 전해액을 흡입하여 토출부(112)로 전해액을 토출할 수 있다.The
전해액 저장부(12)는 펌프(11)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전해액 저장부(12)는 공급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액 저장부(12)는 공급부(121)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해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해액 저장부(12)와 공급부(121)의 사이에는 전해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전해액 저장부(12)에 필요한 전해액을 주입하여 배터리 셀(2)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전해액 저장부(12)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해액 저장부(12)의 크기는 연결되는 배터리 셀(2)의 개수 및 크기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튜브(14)는 전해액 저장부(12)와 펌프(1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튜브(14)의 일단은 펌프(11)의 흡입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튜브(14)의 타단은 전해액 저장부(12)와 연결될 수 있다.The
제2 튜브(15)는 펌프(11)와 배터리 셀(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튜브(15)의 일단은 펌프(11)의 토출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튜브(15)의 타단은 배터리 셀(2)과 연결되어 배터리 셀(2)에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다.The
제3 튜브(17)는 배터리 셀(2)과 회수용기(13)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튜브(17)의 일단은 배터리 셀(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튜브(17)의 타단은 회수용기(13)와 연결될 수 있다. The
제1 튜브(14), 제2 튜브(15) 및 제3 튜브(17)는 펌프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튜브(14), 제2 튜브(15) 및 제3 튜브(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 셀(2)의 종류 및 내부 형상에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부(111)는 제1 튜브(14)로부터 전해액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111)를 통해 전해액을 흡입하고 흡입부(111)와 제1 튜브(14)의 연결 부분에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 등이 결합될 수 있다.The
토출부(112)는 제2 튜브(15)로 전해액을 배출할 수 있다. 토출부(112)를 통해 전해액을 배터리 셀(2)로 배출하고, 토출부(112)와 제2 튜브(15)의 연결 부분에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 등이 결합될 수 있다.The
회수용기(13)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용기(13)는 배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미도시)는 배터리 셀(2)로부터 회수된 전해액을 필터링할 수 있다. 회수용기(13)에 전해액 저장부(12)에서 펌프(11)를 거쳐 배터리 셀(2)을 통과한 전해액이 회수될 수 있다. 배터리 셀(2)을 통과한 전해액은 다시 배터리 셀(2)로 투입할 수 없으므로 회수용기(13)에 회수되었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회수용기(13)에 회수된 전해액을 재활용 및 재사용하기 위하여 회수용기(13)에 필터(미도시)를 설치하여 전해액을 1차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전해액을 1차로 필터링하더라도 이를 바로 배터리 셀(2)로 다시 투입할 수는 없고 외부로 배출한 후에 전해액의 추가적인 필터 작업이 필요하다. 회수용기(13)는 배출부(132)를 통하여 회수된 전해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회수용기(13)와 배출부(132) 사이는 누출방지를 위하여 가스켓 등이 결합될 수 있다. The
배터리 셀(2)은 제1 셀(21) 및 제2 셀(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터리 셀(2)에 전해액 공급 장치(1)가 적용될 수 있다. 앞서서는 배터리 셀(2)이 단수 개인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였다.The
제1 셀(21)은 펌프(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셀(21)은 제2 튜브(15)를 통해 펌프(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셀(21)에 전해액이 주입되어 제1 셀(21)내의 양극 및 음극 간에 리튬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부반응에 의한 전해액이 소모될 수 있다.The
제2 셀(22)은 제1 셀(21) 및 회수용기(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셀(22)은 제3 튜브(17)를 통해 회수용기(13)와 연결될 수 있다.The
전해액 공급 장치(1)는 제1 셀(21) 및 제2 셀(22)을 연결하는 제2' 튜브(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셀(21)을 거치고 남은 전해액을 제2 셀(22)에 주입하기 위하여 제2' 튜브(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튜브(16)의 일단은 제1 셀(21)에, 제2' 튜브(16)의 타단은 제2 셀(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튜브(16)는 각각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셀(21)과 제2 셀(22)의 연결부에 가스켓 등이 결합될 수 있다.The
제1 튜브(14), 제2 튜브(15), 제2' 튜브(16) 및 제3 튜브(17)는 배터리 셀(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해액 누출 방지를 위한 가스켓은 결합될 필요가 없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전해액 공급 장치(1)는 펌프(11), 전해액 저장부(12) 및 회수용기(13)를 포함하여, 배터리 셀(2)에 전해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고, 사용된 전해액은 회수용기(13)를 통하여 회수하여 외부로 그대로 배출하거나, 회수용기(13)의 필터(미도시)에서 필터링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배터리 셀(2)에서 전해액을 통해 리튬이온이 양극 및 음극 간에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배터리 셀(2)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부반응에 의해 전해액이 소모되고 전해액이 고갈됨에 따라 배터리 셀(2)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이 불가하게 된다. 이때, 전해액 부족에 의한 용량 저하 및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전술하였듯이 지속적으로 전해액을 공급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실시예 2Example 2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1에서 제1 및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전해액 공급 장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1에서 제2 셀, 제1 및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전해액 공급 장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of Example 2 further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valves in Example 1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in Example 1 shown in Figure 3. This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of Example 2, which further includes a second cell, first and second valves.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전해액 공급 장치(1)가 제1 밸브(151) 및 제2 밸브(171)를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과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해액 공급 장치(1)에서 제2 튜브(15)는 제1 밸브(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151)는 제2 튜브(15)에서 전해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튜브(15)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밸브(151)는 전해액이 더 이상 공급될 필요가 없는 경우 전해액이 제2 튜브(15)를 통해 펌프(1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제3 튜브(17)는 제2 밸브(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171)는 제3 튜브(17)에서 전해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3 튜브(17)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밸브(171)는 전해액이 회수용기(13)로 공급되고 배출될 때 회수용기(13)에서 제2 밸브(171)를 타고 다시 배터리 셀(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전해액 공급 장치(1)는 펌프(11), 전해액 저장부(12) 및 회수용기(13)를 포함하여, 배터리 셀(2)에 전해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고, 사용된 전해액은 회수용기(13)를 통하여 회수하여 외부로 그대로 배출하거나, 회수용기(13)의 필터(미도시)에서 필터링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실시예 2에서는 제1 밸브(151) 및 제2 밸브(171)를 포함하여 배터리 셀(2)에서의 전해액 흐름을 조금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많은 양의 전해액을 주입하게 될 경우 배터리 셀(2)이 필요로 하는 전해액보다 많은 양의 전해액으로 인하여 펌프(11)에 전해액이 역류하거나 이미 사용되고 회수되는 전해액이 다시 배터리 셀(2)로 주입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실시예 2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Example 2, the inclusion of the
실시예 3Example 3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해액 공급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전해액 공급 장치(1)가 배터리 모듈(미도시) 및 배터리 팩(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과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ffer from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전해액 공급 장치(1)가 복수의 배터리 셀(2)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미도시) 및 배터리 팩(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배터리 셀(2)은 제1 셀(21), 제2 셀(22), 제3 셀(23), 제4 셀(24) 및 제5 셀(25)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2)을 포함하고 있고 제1 셀(21) 및 제2 셀(22), 제2 셀(22) 및 제3 셀(23), 제3 셀(23) 및 제4 셀(24), 그리고 제4 셀(24) 및 제5 셀(25)은 각각 제2' 튜브(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 배터리 셀(2)이 5개의 배터리 셀(2)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이고, 배터리 모듈(미도시) 및 배터리 팩(미도시)은 도면에 도시된 배터리 셀(2)보다 더 많은 배터리 셀(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2)은 모두 제2' 튜브(16)에 의해 연결되어 전해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연결되는 배터리 셀(2)의 개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더 우수한 성능의 펌프(11)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에 많은 양의 전해액을 주입해야 하므로 용량이 더 큰 전해액 저장부(12)가 필요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전해액 공급 장치(1)는 펌프(11), 전해액 저장부(12) 및 회수용기(13)를 포함하여, 배터리 셀(2)에 전해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고, 사용된 전해액은 회수용기(13)를 통하여 회수하여 외부로 그대로 배출하거나, 회수용기(13)의 필터(미도시)에서 필터링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1 밸브(151) 및 제2 밸브(171)를 포함하여 전해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Examples 1 and 2, the
근래에는 배터리 셀(2)을 각각 사용하기보다는 배터리 셀(2)을 적층하여 배터리 모둘(미도시)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배터리 모듈(미도시)을 복수개 적층하여 배터리 팩(미도시)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사용하여 배터리 모듈(미도시)이나 배터리 팩(미도시)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recent years, rather than us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of the patent claims.
1: 전해액 공급 장치
11: 펌프
111: 흡입부
112: 토출부
12: 전해액 저장부
121: 공급부
13: 회수용기
131: 필터
132: 배출부
14: 제1 튜브
15: 제2 튜브
151: 제1 밸브
16: 제2' 튜브
171: 제2 밸브
17: 제3 튜브
2: 배터리 셀
21: 제1 셀
22: 제2 셀1: Electrolyte supply device
11: pump
111: suction part
112: discharge part
12: Electrolyte storage unit
121: Supply Department
13: Recovery container
131: filter
132: Discharge unit
14: first tube
15: second tube
151: first valve
16: 2nd' tube
171: second valve
17: Third tube
2: Battery cell
21: first cell
22: second cell
Claims (11)
상기 배터리 셀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저장부;
상기 전해액 저장부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1 튜브; 및
상기 펌프와 상기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제2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튜브로부터 전해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제2 튜브로 전해액을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I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electrolyte to battery cells,
a pump supplying electrolyte to the battery cell;
An electrolyte storage unit that supplies electrolyte to the pump;
A first tube connecting the electrolyte storage unit and the pump; and
Includes a second tub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battery cell,
The pump is,
a suction unit that suctions electrolyte from the first tube; and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the electrolyte into the second tube.
상기 배터리 셀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을 회수하는 회수용기를 더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covery container for recovering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battery cell.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회수용기를 연결하는 제3 튜브를 더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2,
Electrolyte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tube conn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recovery container.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1 셀 및 상기 회수용기와 연결되는 제2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은 상기 제2 튜브를 통해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셀은 상기 제3 튜브를 통해 상기 회수용기와 연결되는 전해액 공급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3,
The battery cell is,
A first cell connected to the pump; and
It includes a second cell connected to the first cell and the recovery container,
The first cell is connected to the pump through the second tube,
The second cell is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recovery container through the third tube.
상기 제2 튜브는 전해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econd tube is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including a first valve coupled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back.
상기 제3 튜브는 전해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use 5,
The third tube is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including a second valve coupled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back.
상기 제1 셀 및 제2 셀을 연결하는 제2' 튜브를 더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use 6,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ube connecting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상기 전해액 저장부는 외부로부터 전해액을 공급받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In clause 7,
The electrolyte storage unit is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including a supply unit that receives the electrolyte from the outside.
상기 회수용기는 회수한 전해액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전해액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use 8,
The recovery container is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including a filter for filtering the recovered electrolyte.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0955A KR20240098832A (en) | 2022-12-21 | 2022-12-21 |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0955A KR20240098832A (en) | 2022-12-21 | 2022-12-21 |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8832A true KR20240098832A (en) | 2024-06-28 |
Family
ID=9166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0955A Pending KR20240098832A (en) | 2022-12-21 | 2022-12-21 |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98832A (en) |
-
2022
- 2022-12-21 KR KR1020220180955A patent/KR20240098832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7777B1 (en) | Battery Module | |
US9680172B2 (en) | Flow-type electrochemical cell | |
KR101394255B1 (en) | Redox flow battery and operration method of the same | |
TWI654792B (en) | Battery cell, and redox flow battery | |
JPS6062064A (en) | liquid fuel cell | |
US9972874B2 (en) | Battery with extractible air electrode | |
KR101671414B1 (en) | Device for Electrolyte Injection Comprising Unique Nozzle and Battery Cell Prepared by Using the Same | |
US20240297405A1 (en) | Degassing apparatus,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 apparatus | |
CN116387599A (en) | Reinforced bipolar battery assembly | |
EP3719902B1 (en) | Method of operating a redox flow battery | |
CN105337003A (en) | Metal fuel battery and fuel battery system thereof | |
KR20170132005A (en) | Redox flow battery | |
KR101747491B1 (en) | Electrolyte storage unit for Flow battery and Vanadium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101945529B1 (en) | Flow Battery | |
KR20240098832A (en) |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 |
WO2017186151A1 (en) | Zinc-air battery having equivalent three-electrode structure | |
KR101443209B1 (en) | Redox flow battery | |
US11631903B1 (en) | Zinc bromine electrochemical cell | |
JP7616254B2 (en) | Water electrolysis device, water electrolysis method, and nickel-metal hydride storage battery recycling method | |
US20190109334A1 (en) | Cell plates for redox flow batteries | |
KR20200051377A (en) | Gas remover for manufacturing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5168016A (en) | Zinc-halogen secondary battery with feature of enhanced charge efficiency | |
KR20220048622A (en) | Battery module | |
US20250087788A1 (en) | Zinc-air secondary battery system | |
KR20140109615A (en) | A leakage protection for manifold, combined complex electrode cell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