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8531A - Flash Valve For Toilet Can Save Water - Google Patents
Flash Valve For Toilet Can Save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8531A KR20240098531A KR1020220180376A KR20220180376A KR20240098531A KR 20240098531 A KR20240098531 A KR 20240098531A KR 1020220180376 A KR1020220180376 A KR 1020220180376A KR 20220180376 A KR20220180376 A KR 20220180376A KR 20240098531 A KR20240098531 A KR 202400985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valve
- washing water
- water
- control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D3/04—Self-closing flushing valves with piston valve and pressure chamber for retarding the valve-closing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사용후 물을 내릴 때 스위치를 작동시킬 경우 정해진 양의 용수를 흘려보낼 수 있게끔 하는 변기용 플래쉬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한쪽 측방향에는 세척수유입구가 마련되며 다른쪽 측방향에는 스위치레버가 설치되며 하부에 세척수배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부캡이 결합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레버에 의해 상기 밸브하우징의 관로를 개방하여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피스톤; 상기 상부캡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이 상기 상부캡과 피스톤 사이의 공간인 압력실로 연장되는 유량조절나사; 및 상기 유량조절나사와 함께 상기 압력실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나사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압력실의 부피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부피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valve for a toilet that allows a set amount of water to flow when the switch is activated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use. Its configuration includes a valve housing with a washing water inlet provided on one side, a switch lev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and an upper cap coupled to the upper part; A piston that is seated inside the valve housing and opens the pipe of the valve housing by the switch lever to discharge washing water; A flow control screw that is screwed to the upper cap and whose lower end extends into the pressure chamber,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piston; And a volume control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low rate control screw to rise or fall inside the pressure chamber together with the flow rate control screw, thereby changing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기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 사용후 물을 내릴 때 스위치를 작동시킬 경우 정해진 양의 세척수를 흘려보낼 수 있게끔 하는 변기용 플래쉬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valv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ilet flash valve that allows a set amount of washing water to flow when a switch is activated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use.
화장실에 설치되는 좌변기와 대변기에는 용변 후에 물을 내리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밸브를 보통 플래쉬밸브(또는 세척밸브)라 한다. The toilet seat and toilet installed in the bathroom are equipped with a device to flush water after toileting, and the valve used here is usually called a flash valve (or flush valve).
플래쉬밸브는 버튼 또는 레버 형태로 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일정량의 물을 변기 내부로 흘려보낸다. 즉 일반적인 밸브에서와 같이 사용자자 수동으로 온오프하는 구조와는 다른 구조로 되어 있다. The flash valve flows a certain amount of water into the toilet when a button or lever-shaped switch is activated. In other words, it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structure that the user manually turns on and off like in a general valve.
종래의 플래쉬밸브의 작동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푸시핸들을 가압하게 되면, 푸시로드가 밸브를 가압함과 동시에 밸브가 기울어지면서 밸브시트가 개방되면서 압력실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되고,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면서 압력실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밸브가 밸브몸통의 상부로 상승하여 밸브몸통이 개방되며, 개방된 밸브몸통을 통해 세척수가 변기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밸브는, 푸시핸들의 가압시간에 따라 세척수의 배수량이 결정되는데, 푸시핸들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푸시핸들의 가압력이 해제될 때까지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불필요하게 세척수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a conventional flash valve will be briefly explain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handle, the push rod presses the valve and at the same time, the valve tilts and the valve seat opens,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pressure chamber, and as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drops rapidl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causes the piston valve to rise to the top of the valve body, opening the valve body, and the washing water is drained into the toilet through the open valve body to wash the toile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valve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ressurization time of the push handle. Since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while the push handle is pressed until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handle is released, washing water is unnecessarily discharged. There was a problem of wasting money.
이러한 문제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8792호는 용변자의 선택에 따라 레버를 가압하여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변기로 배수시켜 대·소변을 세척하는 세척밸브로서, 상기 용변자의 대·소변을 세척하도록 가압하는 푸시레버의 가압시,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스톤의 개폐로드가 세척수를 배출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푸시레버의 가압 해제시, 최초상태로 복원되면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Due to this problem,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78792 is a cleaning valve that drains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into the toilet by pressing a lever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toilet user to clean the feces and urine. When the push lever is pressed, the opening and closing rod of the piston moves in the pressed direction so as not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nd when the push lever is released, it returns to its initial state and drains the washing water.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플래쉬밸브도 밸브몸체의 상부와 피스톤의 상부 사이의 공간, 즉 압력실에 물이 채워져야만 물의 배출이 멈추는 원리를 이용하는 결과로 인해 절수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However, the flash valve with this configuration also has a limited water-saving effect as it uses the principle that discharge of water stops only whe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valve body and the upper part of the piston, that is, the pressure chamber, is filled with wate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8792호는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1996-0008222호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문제를 가진다. 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78792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The same problem exists in the case of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tice No. 20-1996-0008222.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방법을 채용하며, 기존의 제품에 대하여 심한 구조변경을 가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절수형 플래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response to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toilets.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conomical water-saving flash valve that employs a simple method and does not require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s to existing products.
위와 같은 목적은, 한쪽 측방향에는 세척수유입구가 마련되며 다른쪽 측방향에는 스위치레버가 설치되며 하부에 세척수배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부캡이 결합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레버에 의해 상기 밸브하우징의 관로를 개방하여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스톤; 상기 상부캡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이 상기 상부캡과 피스톤 사이의 공간인 압력실로 연장되는 유량조절나사; 및 For the above purpose, a valve housing is provided with a washing water inlet on one side, a switch leve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and an upper cap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A piston that is seated inside the valve housing and rises or falls by the switch lever to open the pipe of the valve housing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 flow control screw that is screwed to the upper cap and whose lower end extends into the pressure chamber,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piston; and
상기 유량조절나사와 함께 상기 압력실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나사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압력실의 부피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부피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comprising a volume control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low control screw so as to rise or fall inside the pressure chamber together with the flow control screw, thereby changing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is achieved b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피조절판의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캡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of the volume control plat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p.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피조절판의 가장자리에는 수밀을 위한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ing for watertightness may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volume control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량조절나사의 선단에는 탭공이 마련되고; 상기 탭공에는 체결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부피조절판은 상기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나사의 선단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p hole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flow rate adjustment screw; A fastening screw is fastened to the tap hole; The volume control plate may be fixed to the tip of the flow rate control screw by the fastening screw.
여기서 부피조절판과 체결나사 사이에는 유격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부피조절판은 상기 유량조절나사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Here,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volume control plate and the fastening screw, so that the volume control plate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flow rate control screw.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조절판을 통해 밸브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는 압력실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세척수의 유량을 직접적이면서도 상당한 범위까지 조절할 수 있는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변화를 통해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중에 보급되어 있는 플래쉬밸브에도 어렵지 않게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that can directly and to a considerable extent control the flow rate of washing water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provided in the upper inner part of the valve housing through the volume contro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aving effect can be achieved through a simple change in structure, and it can be easily applied to flash valves available on the market, thereby increasing economic effectiv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의 유량조절밸브와 부피조절판의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in a state in whic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control valve and volume control plate of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먼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겠으며, 이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then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이하, '플래쉬밸브'라 함)는 밸브하우징(1), 스위치레버(3), 피스톤(5), 상부캡(7), 유량조절나사(9), 및 부피조절판(11)을 포함한다. The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lash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housing (1), a switch lever (3), a piston (5), an upper cap (7), and a flow control screw ( 9), and a volume control plate (11).
밸브하우징(1)의 한쪽 측방향에는 세척수유입구(13)가 마련되며 다른 쪽 측방향에는 스위치레버(3)가 설치된다. 밸브하우징(1)의 하부 개구부는 세척수배출구(15)가 된다. 밸브하우징(1)의 상부 개구부에는 상부캡(7)이 나사결합한다. A washing water inlet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alve housing (1), and a switch lever (3)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e lower opening of the valve housing (1) becomes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15). An upper cap (7) is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valve housing (1).
밸브하우징(1)의 내부에는 밸브시트(1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밸브시트(17)에 피스톤(5)이 안착된다. 피스톤(5)의 구조와 작동원리는 주지사항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피스톤(5)의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밸브의 작동원리만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A
피스톤(5)은 위로 떠올라 밸브시트(17)에서 떨어지면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아래로 가라앉음으로써 세척수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피스톤(5) 위의 공간, 즉 상부캡(7)과 피스톤(5) 사이의 공간이 압력실(19)이다. The piston (5) floats upward and falls from the valve seat (17)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nd sinks downwar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he space above the piston (5),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ap (7) and the piston (5) is the pressure chamber (19).
피스톤(5)의 저부에는 트리거(21)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레버(3)를 아래로 누르면 스위치레버(3)에 연결되어 있는 가압핀(23)이 트리거(21)를 건드려 기울어지게 한다(도 3 참조). 트리거(21)가 기울어지면 압력실(19)에 차있던 세척수가 피스톤(5)의 하부로 배출되며, 이에 의해 압력실(19)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진다. 이 압력 차이에 의해 피스톤(5)이 떠오르게 되며 밸브하우징(1) 내부의 관로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세척수배출구(15)로 배출된다. 이러한 동작과 동시에 피스톤(5)의 구조에 의해 압력실(19)에도 조금씩 세척수가 유입되는데, 세척수가 압력실(19)에 가득 차면 피스톤(5)이 다시금 자신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밸브시트(17)에 안착된다. 이렇게 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A
한편 유량조절나사(9)가 상부캡(7)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기존의 유량조절나사(9)는 피스톤(5)이 떠오르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유량조절나사(9)의 상면에는 외부에서 드라이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9a)이 마련된다. Meanwhile, the flow rate control screw (9) is screwed to the upper cap (7). The existing flow rate control screw (9) controls the flow rate of washing water by limiting the degree to which the piston (5) rises. A driver groove (9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trol screw (9) so that it can be rotated with a drive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유량조절나사(9)와 함께 압력실(19)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유량조절나사(9)의 전방에 부피조절판(11)이 더 결합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부피조절판(11)은 피스톤(5)의 상하 기동범위를 조절하기 보다는 압력실(19)의 부피(V)를 변화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부피조절판(11)은 두께가 1 ~3mm 되는 얇은 원판으로 되어 있다. The
부피조절판(11)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부피조절판(11)의 선단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부피조절판(11)은 용접, 접착,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상부캡(7)은 일반적으로 외주면에 수나사가 마련되어 있는 원통형 측벽(25)과, 측벽(25)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유량조절나사체결공(27)이 마련된 상판(29)을 포함하는데, 부피조절판(11)은 상부캡의 측벽(25)에 최대한 근접하게 또는 측벽(25)에 밀착되는 직경을 가진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피스톤(5)은 각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캡(7)의 측벽(25)에 밀착한 상태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밸브하우징(1) 보다는 측벽(25)을 매끄럽게 가공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피조절판의 가장자리(11a)에는 수밀을 위한 패킹(29)이 설치될 수 있다. 패킹(29)은 상부캡(7)의 측벽(25)에 밀착하여 세척수를 차단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acking 29 for watertightness may be installed on the
또한, 유량조절나사(9)의 선단에는 탭공(31)이 마련된다. 이 탭공(31)에는 체결나사(33)가 체결된다. 부피조절판(11)은 체결나사(33)에 의해 유량조절나사(9)의 선단에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tapped
여기서 부피조절판(11)은 유량조절나사(9)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부피조절판(11)과 체결나사(33) 사이에 유격(C)을 마련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부피조절판(11)은 유량조절나사(9)에 의해 상하로만 움직이며 그와 함께 회전되지는 않게 된다. Here, the
또한 부피조절판(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패킹(29)은 도시된 것처럼 블레이드(blade) 형태 또는 막(膜)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acking 29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실의 부피를 직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세척수 배출시 피스톤의 상하부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하는 시간을 얼마든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수의 유량 조절폭을 넓게 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용환경 및 법적규제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time for the pressur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iston to be equal when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control range of washing water can be widened, making it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usage environments and legal regulations.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nothing more than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based on common technical knowledg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above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밸브하우징
3 : 스위치레버
5 : 피스톤
7 : 상부캡
9 : 유량조절나사
11 : 부피조절판
13 : 세척수유입구
15 : 세척수배출구
17 : 밸브시트
19 : 압력실
21 : 트리거(trigger)
23 : 가압핀
29 : 패킹
33 : 체결나사
C : 유격
V : 부피1: Valve housing 3: Switch lever
5: Piston 7: Upper cap
9: Flow control screw 11: Volume control plate
13: Washing water inlet 15: Washing water outlet
17: valve seat 19: pressure chamber
21: trigger 23: pressure pin
29: Packing 33: Fastening screw
C: Clearance V: Volume
Claims (5)
상기 유량조절나사와 함께 상기 압력실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나사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압력실의 부피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부피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
A valve housing with a washing water inlet provided on one side, a switch lev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and an upper cap coupled to the upper part; A piston that is seated inside the valve housing and rises or falls by the switch lever to open the pipe of the valve housing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 flow control screw that is screwed to the upper cap and whose lower end extends into the pressure chamber,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piston; and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comprising a volume control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low control screw so as to rise or fall within the pressure chamber together with the flow control screw, thereby changing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
상기 부피조절판의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캡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of the volume control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p.
상기 부피조절판의 가장자리에는 수밀을 위한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packing for watertightness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volume control plate.
상기 유량조절나사의 선단에는 탭공이 마련되고;
상기 탭공에는 체결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부피조절판은 상기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나사의 선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 tap hole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flow control screw;
A fastening screw is fastened to the tap hole;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control plate is fixed to the tip of the flow control screw by the fastening screw.
상기 부피조절판과 체결나사 사이에는 유격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부피조절판은 상기 유량조절나사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절수형 플래쉬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4,
A water-saving flash valve for a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volume control plate and the fastening screw, so that the volume control plate can rotate relative to the flow control scre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0376A KR20240098531A (en) | 2022-12-21 | 2022-12-21 | Flash Valve For Toilet Can Save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0376A KR20240098531A (en) | 2022-12-21 | 2022-12-21 | Flash Valve For Toilet Can Save 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8531A true KR20240098531A (en) | 2024-06-28 |
Family
ID=9166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0376A Pending KR20240098531A (en) | 2022-12-21 | 2022-12-21 | Flash Valve For Toilet Can Save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98531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8222U (en) | 1994-08-19 | 1996-03-15 | 강재원 | Water-saving double flash valve for toilet |
KR101478792B1 (en) | 2013-12-26 | 2015-01-02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toilet flush valve of saving water |
-
2022
- 2022-12-21 KR KR1020220180376A patent/KR2024009853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8222U (en) | 1994-08-19 | 1996-03-15 | 강재원 | Water-saving double flash valve for toilet |
KR101478792B1 (en) | 2013-12-26 | 2015-01-02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toilet flush valve of saving wa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5276B2 (en) | Pressurized dual flush system | |
US5026021A (en) | Flush control assembly for pressure flush valves | |
US6829787B1 (en) | Water saving dual flush system of valving | |
US4230145A (en) | Fluid control valve | |
US7028975B2 (en) | Flush valve structure | |
JP2006500496A (en) | Water-saving Western-style toilet | |
US3935598A (en) | Flapper flush valve | |
US9151028B2 (en) | Flushing valve | |
KR20240098531A (en) | Flash Valve For Toilet Can Save Water | |
US2971525A (en) | Float-operated valve | |
US6923426B1 (en) | Relief valve for use in a diaphragm flush valve | |
JPH10196837A (en) | Water supply control device | |
KR102769625B1 (en) | Urine and feces distinguishment type flush valves | |
KR200479632Y1 (en) | Flush valve for ultra-water saving | |
JP2006266276A (en) | Self-closing valve | |
RU2250310C2 (en) | Flushing fixture | |
CN212155847U (en) | Manual-automatic urine flushing valve | |
KR200230317Y1 (en) | Faucet for water saving | |
US5984268A (en) | Sealing member and a valve closure member incorporating same | |
CN108505600B (en) | Splash-proof closestool | |
KR200281618Y1 (en) | A fresh valve for adjusting the quantity of fresh water | |
US6834399B1 (en) | Pressure vessel | |
JP2024091068A (en) | Drainage system | |
KR20240076906A (en) | Flow control type non hold piston | |
JPH0634452Y2 (en) | One-piece toilet 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