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7099A - Air Conditioner and Contor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Contor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7099A KR20240097099A KR1020220178862A KR20220178862A KR20240097099A KR 20240097099 A KR20240097099 A KR 20240097099A KR 1020220178862 A KR1020220178862 A KR 1020220178862A KR 20220178862 A KR20220178862 A KR 20220178862A KR 20240097099 A KR20240097099 A KR 202400970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unit
- damper
- fan
- out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3
- 241000238097 Callinectes sapidus Specie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를 절약하며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실시예에서,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팽창밸브,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로 들어온 공기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실내기로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분기부에서 분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와 상기 댐퍼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로 공기 공급시에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that can save energy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In one embodimen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evaporator through which a refrigerant circulates, an expansion valve,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where the condenser is disposed. outdoor unit; an indoor unit where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wherein the outdoor unit includes a branch part through which air entering the outdoor unit branches off into the condenser and the indoor unit, and a sensor that measures the condition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The indoor unit includes a duct through which air branched from the branch flows into the duct and a damper that controls the supply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an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amper to control the air supply to the indoor unit.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hat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기와 냉방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nd specifically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ventilation and cool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공기조화기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정화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maintains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controlling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or ventilating or purifying indoor air according to user needs.
그러나, 실제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며, 실내 공기를 정화까지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없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장치를 구성할 경우, 상기 복수의 장치를 모두 수납할 거대한 기계실이 필요하며, 상기 기능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 높은 소비 전력이 소모되게 되어 공간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However, there is no device that can actually control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ventilate indoor air, and purify indoor air. When a plurality of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are configured, the plurality of devices A huge machine room is required to store all of the above functions, and high power consumption is consumed to perform all of the above functions, resulting in reduced space and energy efficiency.
한편, 온도 조절도 하고 환기를 수행하는 경우에 습도가 높은 외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사용자에게 불만을 줄 우려가 있으며, 습도가 높은 외기의 온도를 낮추는 경우에 응축수가 발생하여 장치 내구도가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emperature control and ventilation are performed, outdoor air with high humidity may be introduced, which may cause dissatisfaction to users. In addition, when lowering the temperature of outdoor air with high humidity, condensation is generated, which reduces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getting wors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과 환기가 가능한 공기조화기로, 에너지를 절약하며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and ventilation that can save energy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팽창밸브,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로 들어온 공기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실내기로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분기부에서 분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와 상기 댐퍼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로 공기 공급시에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n evaporator in which a refrigerant circulates, an expansion valve,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including an outdoor unit in which the condenser is disposed; an indoor unit where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wherein the outdoor unit includes a branch part through which air entering the outdoor unit branches off into the condenser and the indoor unit, and a sensor that measures the condition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The indoor unit includes a duct through which air branched from the branch flows into the duct and a damper that controls the supply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an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amper to control the air supply to the indoor unit.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hat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팽창밸브, 압축기 및 응축기;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며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실내기;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고, 상기 실외기로 들어온 공기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실내기로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실외기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댐퍼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제 1 값을 넘는 경우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or, an expansion valve,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through which a refrigerant circulates; an indoor unit in which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includes a damper that regulates the inflow of air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an outdoor unit in which the condenser is disposed, a branch part through which air entering the outdoor unit branches off into the condenser and the indoor unit, and a sensor that measure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he method comprising: opening the damper when a mode in which air from the outdoor uni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is selected; measuring the relative humidity of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and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when the measured relative humidity exceeds a preset first valu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냉방과 환기가 가능한 공기조화기로, 에너지를 절약하며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and ventilation, which can save energy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실내기에서 공기 흐름이 표현된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에서 냉방 및 제습 모드가 수행될 때의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상태를 보이는 습공기선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공기조화기에서 청정 모드가 수행될 때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air flow in the indoor unit of FIG. 2.
Figure 4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when cooling and dehumidifying modes are per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Figure 6 is a wet air diagram showing the air condi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when a clean mode is per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symbo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top', 'top', 'upper surface', 'bottom', 'bottom', 'bottom', 'side', etc.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are actually elements or components.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laced.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does not only mean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s.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도 1 의 개략도에서는 공기, 물의 이동 및 유로의 선택적 차단/개방을 위한 팬 및 댐퍼는 생략되거나 일부만 표시될 수 있다. 공기 흐름 혹은 물의 흐름이 형성된다는 것을 흐름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그 위치는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면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schematic diagram of FIG. 1, fans and dampers for movement of air and water and selective blocking/opening of flow paths may be omitted or only partially shown. The formation of a flow of air or water includes a means for forming the flow, and the loc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ocation as long as the flow can be formed.
공기조화기(100)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싸이클(R1)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 싸이클(R1)은 냉매를 응축기를 응축시키는 증발식 응축기(110), 팽창 밸브(120), 냉매가 증발하며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30) 및 압축기(140)를 통과한다. 이러한 냉매 싸이클(R1)의 팽창밸브(120), 증발기(130) 및 압축기(140)는 통상의 에어컨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증발식 응축기(110)는 통상의 응축기에 응축기 표면에 물을 뿌려서 물이 증발하면서 냉매의 냉각을 돕는 구조로, 증발식 응축기(110)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각유로; 상기 냉각유로로 물을 제공하는 응축기 주수모듈 및 상기 냉각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는 송풍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풍모듈은 증발식 응축기(110)에 포함되지 않고 증발식 응축기(110)를 통과하는 유로상에 배치되는 다른 팬으로 대체 가능하다. 증발식 응축기(110)는 상술한 특허문헌 1 이나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9-000678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아니더라도 물의 증발을 활용하는 응축기 구조라면 다른 증발식 응축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증발식 응축기(110)의 응축기 주수모듈은 물 공급원(WS)과 유로(W2)로 연결되며, 상기 유로(W2)에는 제 1 제어 밸브(V1)가 배치되어 상기 물 공급원(WS)으로부터 응축기 주수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본 발명에서는 증발식 응축기(110)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물을 사용하지 않는 통상의 공랭식 응축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유로(W2)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 1 제어 밸브(V1)는 유량 조절 없이 on/off 만 동작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서 개방 혹은 폐쇄 동작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 밸브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rol valve (V1) is sufficient to operate on/off without flow control, and is an electronic valve such as a solenoid valve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an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t could be a valve.
냉매 싸이클(R1)에서 압축기(140), 증발식 응축기(110), 팽창 밸브(120)는 실외기(101)에, 증발기(130)는 실내기(15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증발식 응축기(110)를 제외하고는 실내기(150)에 배치되거나, 다른 공조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팽창 밸브(120)는 실내기의 증발기(130) 직전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refrigerant cycle (R1), the
일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150)와 실외기(101)를 포함하며, 실내기(150)와 실외기(101)는 냉매 유로, 공기 유로 및 제어신호와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어신호의 경우에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실외기(101)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A1, A3) 상에 배치되며, 건채널, 습채널 및 상기 습채널로 물을 분사하는 냉각기 주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식 냉각기(170); 상기 유입 유로(A1) 상에 상기 증발식 냉각기(170) 전에 배치되며,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로터(180); 상기 제습 로터(180)를 재생시키기 위한 공기가 지나가는 재생 유로(A12) 상에서 상기 제습 로터(180) 전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185);를 포함한다. The
증발식 냉각기(170)는 냉각이 필요한 공기가 통과하는 건채널과 상기 건채널에 인접하며 상기 냉각기 주수모듈의 물이 공급되어 증발이 발생하여 상기 건채널과 열교환하는 습채널을 포함하며, 통상, 건채널과 습채널을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습채널 상부에는 주수모듈이 배치되어 습채널로 물을 제공하며, 상부 또는 하부에는 송풍모듈이 구비되어 유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건채널로는 유입 유로(A3)의 공기가 통과하며, 상기 습채널로는 외기 유로(A2)가 통과한다. 상기 외기 유로(A2)에는 추기팬(F3)이 배치된다. 상기 외기 유로(A2)는 외부 공기가 공급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환기 유로(A7)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The
상기 증발식 응축기(110)와 유사하게 상기 증발식 냉각기(170)의 송풍모듈은 증발식 냉각기(170)에 포함되지 않고 증발식 냉각기(110)를 통과하는 유로(A3)상에 배치되는 제습팬(F2)으로 대체 가능하다. Similar to the
증발식 냉각기(170)의 냉각기 주수모듈은 물 공급원(WS)과 유로(W3)로 연결된다. 증발식 냉각기(170)는 증발을 활용할 수 있다면 다른 구조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cooler water module of the
상기 제습 로터(180)는 상기 재생 유로(A12)와 상기 유입 유로(A1)에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제습 로터(180)는 회전하는 로터를 통하여 유입 유로(A1)에서는 수분을 흡수하며, 재생 유로(A12)에서는 흡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상기 재생 유로(A12)에는 재생팬(F1)이 배치되어, 재생 유로(A12)에서의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재생팬(F1)의 위치는 제습 로터(13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면 제습 로터(130)의 전후 어느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다. The
상기 유입 유로(A1)는 상기 제습 로터(180)를 통과하기 전에 합류점(P2)에서 실내의 환기(RA)와 연결되는 환기 유로(A1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에 환기 유로(A14)를 통하여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제습 로터(180)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게 하여, 실내 공기를 제습/청정관리 할 수 있다. The inlet flow path (A1) may be connected to a ventilation flow path (A14) connected to the indoor ventilation (RA) at the confluence point (P2) before passing through the
상기 유입 유로(A1, A3)는 상기 증발식 냉각기(170)를 통과한 후, 즉 증발식 냉각기(170)의 건채널 출측에서 분기점(P3)에서 실내와 연결되는 실내 공급 유로(A5), 상기 증발식 응축기(110)와 연결되는 응축기 공급 유로(A4)로 분기되며, 실내 공급 유로(A5) 상에는 제 1 습도 센서(S1)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습도 센서(S1)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분기점(P3) 혹은 상기 분기점(P3)과 증발식 냉각기(170)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nlet flow paths (A1, A3) pass through the
상기 실내 공급 유로(A5)는 상기 실내기(150)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150)에는 상기 실내 공급 유로(A5)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댐퍼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실내 공급 유로(A5)는 합류점(P7)에서 상기 실내 순환 유로(A10)와 합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실내 공급 유로(A5)로 공기는 상기 실내 순환 유로(A10)와 합류한 후 상기 증발기(130)를 통과한다. The indoor supply passage A5 is connected to the
상기 증발식 냉각기(170)의 습채널을 통과하는 외기 유로(A2)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 혹은 전부의 실내 공기가 합류점(P6)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Outdoor air flows into the outdoor air flow path A2 that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of the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에 대응되는 만큼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유로(A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환기 유로(A11)는 분기점(P5)에서 증발식 냉각기(170)의 습채널로 공급되는 외기 유로(A2)와 합류하는 환기 유로(A7)와 상기 유입 유로(A1)와 합류하는 환기 유로(A8)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환기 유로(A7)는 증발식 냉각기(170)의 습채널을 통과하는 외기 유로(A2)와는 합류점(P6)에서 합류한다. Meanwhile, the
수공급원(WS)에 연결되는 수공급 유로(W1)는 분기점(P1)에서 상기 증발식 응축기(110)로 향하는 수공급 유로(W2)와 상기 증발식 냉각기(170)로 향하는 수공급 유로(W3)로 분기되며, 수공급 유로(W2, W3)에 의해서 상기 증발식 응축기(110)를 통과하는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잠열을 제공하는 물 및 상기 증발식 냉각기(170)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잠열을 제공하는 물이 공급된다. 증발식 냉각기(170)를 통과한 물 및 증발식 응축기(110)를 통과한 물은 외부로 배수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증발식 응축기(110)를 통과한 물은 배수되지 않고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The water supply flow path (W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WS) is the water supply flow path (W2) heading from the branch point (P1) to the evaporative condenser (110) and the water supply flow path (W3) heading to the evaporative cooler (170). ), which provides latent heat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0)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입력수단(제어패널), 출력수단(디스플레이), 가동 수단(압축기, 팬), 조절수단(유로전환밸브, 댐퍼) 및 측정수단(센서)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혹은 스스로 판단하여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2, 3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 단면도와 그 단면도에 공기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s 2 and 3 show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ir flow in the cross-sectional view.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실내기(15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며, 일단부에 덕트(156)가 삽입되는 본체(151), 상기 본체(151)의 상기 덕트(156) 내측에 배치되는 댐퍼부(200) 및 상기 본체(15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5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51)는 박스 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30)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152)이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본체(151)는 천장에 매립되는 부분에서 덕트(156)가 연결되며, 하부 케이스(158)에서 상기 덕트(156)가 연결되는 반대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54)가 구비되며, 댐퍼부(200)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53)가 배치된다. The
상기 덕트(156)의 내측에는 댐퍼부(200)가 배치된다. 댐퍼부(200)는 댐퍼 프레임(210)과 상기 댐퍼 프레임(210)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부(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되는 댐퍼(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댐퍼(220)는 댐퍼 프레임(210)의 내면(211)을 막아 공기 흐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내면(211)으로부터 떨어져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동작되게 배치되며, 상기 댐퍼(220)와 구동부(미도시)가 연결되는 회전축(221)은 아래쪽으로 편심되게 위치된다. 즉, 댐퍼(220)의 회전에 의해서 상부가 더 크게 개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댐퍼(220)가 일부 개방된 경우에 열교환기인 증발기(130)의 상부로 공기 흐름이 형성되면서 공기가 증발기(130)를 길게 접촉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
또한, 댐퍼(220)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댐퍼 프레임(210)의 내면(211)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댐퍼(220)는 폐쇄 위치에서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에 따라서, 상기 내면(511)의 경우에 수평 방향에 대하여 동일하게 경사지게 구성된다. Additionally, the
따라서, 상기 댐퍼부(500)를 통과하는 공기는 하향 경사지게 토출되며, 본체(151) 내측에 배치되는 증발기(130)의 중심을 향하여 실내 유입 유로(A5)가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130)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흡입부(153)로부터 유입된 실내 순환 유로(A10)와 합류한다. 이렇게 실내 유입 유로(A5)는 증발기(130)를 통과하기 전에 실내 순환 유로(A10)와 합류하기 때문에, 상기 실내 유입 유로(A5)에서 상대 습도가 높은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증발기(130)를 통과하면서 응축수가 발생하여 제품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실내로 다습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amper unit 500 is discharged at a downward angle, and an indoor inlet flow path A5 is 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습도 센서(S1)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습도 센서(S1)에서 측정된 상대 습도 값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급 유로(A5)에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설정값 초과인 경우에 댐퍼부(20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고, 그 대신에 증발식 응축기(11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냉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키면서 제품 보호 및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에서 증발식 냉각기(170)를 통과한 공기는 실내 공급 유로(A5)와 응축기 공급 유로(A4)로 분기된다. 실내 공급 유로(A5)에서 댐퍼부(200)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경우에 실내 공급 유로(A5)의 유로 저항이 증가되며, 이는 증발식 냉각기(170)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 공급 유로(A5)로 흐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증발식 냉각기(170)를 통과한 공기는 댐퍼부(200)의 개도 조절 전보다 응축기 공급 유로(A4)로 더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르게 된다. 즉, 댐퍼부(200)의 개도 조절로 인하여 분기점(P3)에서 실내 공급 유로(A5)와 응축기 공급 유로(A4)로 나눠지는 공기량의 비율이 변화된다. In the
동일한 공기량이 공급되는 경우에 응축기(110)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증대되어 응축기(110)에서 냉매 응축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응축기(110)에서 필요한 공기량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증발식 냉각기(170)로 공급하는 공기량을 감소(제습팬(F2)의 풍량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서 공기조화기(100)가 사용하는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될 수 있다. When the same amount of air is supplied,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제습팬(F2)의 풍량을 감소시키면 제습 로터(180)의 제습량이 감소되므로, 제습 로터(180)를 재생시키기 위한 공기량, 즉. 재생팬(F1)의 풍량도 함께 감소시킬 수 있으며, 증발식 냉각기(170)에서 유입 공기의 냉각량도 작아지게 되므로 추기팬(F3)의 풍량도 함께 감소시킬 수 있다. When the air volume of the dehumidifying fan (F2) is reduced, the dehumidifying amount of the
따라서, 댐퍼부(200)의 개도를 조절 시, 냉방 부하를 유지하면서도 제습팬(F2), 재생팬(F1) 및 추기팬(F3)의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전체적인 공기조화기(100)의 에너지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도 4 에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제어부(300)의 동작을 도 4 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ince FIG. 4 shows a flowchar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S10),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서 제어부(300)가 사용자 지정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20), 실내기로 공기 유입이 있는 모드인 경우 실내 공급 유로(A5)의 댐퍼부(200)가 닫혀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댐퍼부(200)가 닫혀 있다면 댐퍼부(200)를 개방하는 단계(S40), 댐퍼부(200)가 개방되면 제 1 습도 센서(S1)를 통하여 실내 공급 유로(A5)의 공기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50), 측정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제 1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S60), 상기 측정된 상대 습도가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작은 제 2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S80), 상기 측정된 상대 습도가 상기 제 2 기준값보다 작은 제 3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S100), 상기 측정된 상대 습도가 상기 제 3 기준값보다 작은 제 4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제 4 판단 단계(S120), 상기 제 1 기준값보다 측정된 상대 습도가 큰 경우에 수행되며, 댐퍼부(200)를 폐쇄하고 사용자 지정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2)로 돌아가는 단계(S70), 상기 측정된 상대 습도가 상기 제 1 기준값과 상기 제 2 기준값 사이인 경우에 수행되며, 댐퍼부(200)의 댐퍼(220)의 개도를 제 1 각도로 개방하고 제습팬(F2), 재생팬(F1), 추기팬(F3) 중 적어도 제습팬(F2)의 송풍량을 제 1 비율로 감소시키는 단계(S90), 상기 측정된 상대 습도가 상기 제 2 기준값과 상기 제 3 기준값 사이인 경우에 수행되며, 댐퍼부(200)의 댐퍼(220)의 개도를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로 개방하고 제습팬(F2), 재생팬(F1), 추기팬(F3) 중 적어도 제습팬(F2)의 송풍량을 상기 제 1 비율보다 작은 제 2 비율로 감소시키는 단계(S110) 및 상기 측정된 상대 습도가 상기 제 3 기준값과 상기 제 4 기준값 사이인 경우에 수행되며, 댐퍼부(200)의 댐퍼(220)의 개도를 상기 제 2 각도보다 큰 제 3 각도로 개방하고 제습팬(F2), 재생팬(F1), 추기팬(F3) 중 적어도 제습팬(F2)의 송풍량을 상기 제 2 비율보다 작은 제 3 비율로 감소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includes a setting step (S10) in which the user sets the mode, a step (S20) in which the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S10)와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서 제어부(300)가 사용자 지정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20)는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하여 제어부로 입력을 주는 단계와 그에 따라서 제어부(300)가 입력에 대응되게 구성을 제어하는 단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내 공급 유로(A5)의 공기 습도를 측정하고 그를 통하여 실내기(150)의 댐퍼부(2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실내 공급 유로(A5)로 공기 흐름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가 필요없으므로, 고려하지 않도록 하며, 실내 공급 유로(A5)로 공기 공급이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상기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실내 공급 유로(A5)로 공기를 공급하는 모드를 설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The setting step (S10) in which the user sets the mode and the step (S20) in which the
단계 S30~S40 은 실내 공급 유로(A5)로 공기 공급이 필요한 상황에서 댐퍼부(200)의 댐퍼(220)가 단혀 있는지를 판단(S30)하고, 닫혀 있다면 댐퍼(220)를 개방(S40)시키는 단계이다. Steps S30 to S40 determine whether the
이렇게 댐퍼부(200)의 댐퍼(2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습도 측정 단계(S50)에서는 제 1 습도 센서(S1)을 통하여 실내 공급 유로(A5)의 공기 상태, 즉, 상대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습도 측정 단계(S50)는 제 1 습도 센서(S1)가 상대 습도를 직접 측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온도와 절대 습도 등과 같이 다른 인자로부터 상대 습도를 계산하는 간접 측정 경우도 포함한다. In this state in which the
상대 습도가 측정되면, 제어부(300)는 복수의 판단 단계(S60, S80, S100, S120)를 통하여 상대 습도 범위에 따라서, 댐퍼부(200)의 댐퍼(220)의 개도 및 제습팬(F2), 재생팬(F1), 및 추기팬(F3)의 송풍량을 조절한다.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measured, the
제 1 판단 단계(S60)에서는 상대 습도가 제 1 기준값(제 1 기준값은 다른 기준값보다 크다) 이상인 경우에 실내 공급 유로(A5)를 통하여 실내기(150)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며, 댐퍼부(200)의 댐퍼(220)를 폐쇄하고 모드를 다시 판단하게 한다. In the first judgment step (S60),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ther reference values),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nappropriate to supply air to the
제 2 내지 제 4 판단 단계(S80, S100, S120)에서는 크기별로 설정된 제 2 내지 제 4 기준값을 통하여 상대 습도가 속하는 범위를 판단하게 하며, 해당 범위에서 적절한 댐퍼부(200)의 댐퍼(220)의 개도를 설정하고, 해당 개도에 따른 제습팬(F2), 재생팬(F1), 및 추기팬(F3)의 송풍량을 비율에 따라 감소시킨다. 상기 제 1 기준값, 상기 제 2 기준값, 상기 제 3 기준값 및 상기 제 4 기준값은 제 1 기준값 > 제 2 기준값 > 제 3 기준값 > 제 4 기준값 관계를 만족한다. 실내 공급 유로(A5)에 직접 공기를 송풍하는 제습팬(F2)을 우선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상기 제습팬(F2)에 맞춰서 조절될 수 있다. In the second to fourth determination steps (S80, S100, S120), the range to which the relative humidity falls is determined through the second to fourth reference values set for each size, and the
예를 들면, 제 1 기준값은 80%, 제 2 기준값은 70%, 제 3 기준값은 60%, 제 4 기준값은 50% 일 수 있으며, 제 4 기준값보다 측정된 상대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댐퍼(220)의 개도의 조절은 없는 상태로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가 수행되며, 측정된 상대 습도가 제 1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실내 공급 유로(A5)는 폐쇄되어 실외기(101)를 통과한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80%,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70%, the third reference value may be 60%, and the fourth reference value may be 50%. If the measured relative humidity is lower than the fourth reference value, the damper (220) ) is performed without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and when the measured relative humidity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indoor supply flow path (A5) is closed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unit (101) flows into the room. It doesn't work.
또한, 제 1 기준값과 제 2 기준값 사이, 즉 상대 습도가 70% 이상, 80% 미만인 경우에 개도는 제 1 각도, 예를 들면 25°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때, 제습팬(F2)은 제 1 비율, 예를 들면 74% 만큼 감소될 수 있다. 재생팬(F1) 및 추기팬(F3)의 경우에 상기 제습팬(F2)의 감소비율에 비례하여 감소될 수 있으나, 동일한 값일 필요는 없으며, 재생팬(F1)과 제습팬(F2)의 감소비율을 동일할 수 있으며, 추기팬(F3)의 감소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클수도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at is,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70% or more and less than 80%, the opening degree may be opened at a first angle, for example, 25°. In this case, the dehumidifying fan (F2) may be opened at a first angle, for example, 25°. It can be reduced by 1 percentage, for example 74%. In the case of the regeneration fan (F1) and the exhaust fan (F3), it may be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reduction ratio of the dehumidification fan (F2), but it does not have to be the same value, and the reduction of the regeneration fan (F1) and dehumidification fan (F2) The ratio may be the same, and the reduction ratio of the additional fan (F3) may be relatively larger.
상기 개도의 제 1 각도는 25°, 제 2 각도는 60°, 제 3 각도는 78°일 수 있으나, 제 1 내지 제 3 각도는 상기 값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변경될 수 있으나, 제 1 각도보다는 제 2 각도가 크고, 제 2 각도보다는 제 3 각도가 크다. The first angle of the opening degree may be 25°, the second angle may be 60°, and the third angle may be 78°. However, the first to third angle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values and may be changed, but ar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The second angle is large, and the third angle is larger than the second angle.
유사하게, 송풍량의 조절에서 제 1 비율은 74%, 제 2 비율은 43%, 제 3 비율은 2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제습팬(F2)의 송풍량 조절 비율과 동일하게 재생팬(F1)의 송풍량 조절 비율이 설정될 수 있으며, 추기팬(F3)의 경우에 송풍량 조절 비율이 제습팬(F2)이나, 재생팬(F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220)의 개도를 제 1 각도인 25°개방하는 경우에 제습팬(F2)의 송풍량을 74%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재생팬(F1)의 송풍량도 74%, 추기팬(F3)의 송풍량은 80%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대 습도가 높을수록 실외기(101)를 통하여 실내기(15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서, 실외기(101)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여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면서도 사용되는 에너지는 감소시킬 수 있다. Similarly, in controlling the blowing volume, the first ratio may be 74%, the second ratio may be 43%, and the third ratio may be 25%,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s mentioned before, the air blowing volume control ratio of the regeneration fan (F1) can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air blowing volume control rate of the dehumidifying fan (F2), and in the case of the exhaust fan (F3), the air blowing volume control ratio is set to the same as the blowing volume control rate of the dehumidifying fan (F2). However, it may be larger than the playback fan (F1). For example, when the
풍량이 조절되는 팬은 모드별로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발식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는 모드에서는 추기팬(F3)은 사용되지 않으므로, 추기팬(F3)의 송풍량 조절은 불필요하며, 제습 로터(18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재생팬(F1)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생팬(F1)의 송풍량 조절을 불필요하다. The fan whose air volume is controlled can be changed for each mode. For example, in a mode that does not use an evaporative cooler, the exhaust fan (F3) is not used, so adjusting the ventilation volume of the exhaust fan (F3) is unnecessary, and the dehumidifying rotor ( When 180) is not used, the regeneration fan (F1) is not used, so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airflow volume of the regeneration fan (F1).
도 5 내지 도 7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에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제습 및 환기 모드가 수행될 때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가 수행되기 전과 후의 실내 공기 상태를 보이는 습공기선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에서 청정 모드가 수행될 때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ure 5 shows a schematic diagram when the cooling/dehumidifying and ventilation modes are per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ure 1, and Figure 6 shows indoor air before and after contro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sychrometric diagram showing the state is shown, and FIG. 7 shows a schematic diagram when the clean mode is per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도 5 에서 보이듯이, 냉방/제습 및 환기 모드에서, 냉매싸이클이 동작하며, 환기 유로(A11)가 개방되며, 외기 유로(A2)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된다. 유입 유로(A1)를 통하여 실외기(101)로 유입된 공기는 제습 로터(180)를 거치면서 습도가 낮아진 후 증발식 냉각기(170)의 건채널를 지나면서 온도도 낮아진다. 이렇게 온도/습도가 낮아진 외기 중 일부는 실내기(150)로 공급되며, 나머지는 증발식 응축기(110)로 공급되며, 증발식 응축기(110)에서 냉매를 응축시킨다. 한편, 증발식 냉각기(170)의 습채널로는 환기 유로(A11) 및 외기 유로(A2)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공급되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제습 로터(18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외기가 재생 유로(A12)를 통하여 공급되며 가열부(185)에서 승온된 후 제습 로터(180)를 재생하고 외부로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5, in the cooling/dehumidifying and ventilation mode, the refrigerant cycle operates, the ventilation passage A11 is opened, and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outside air passage A2 is blocked. The air flowing into the
도 6 에서 보이듯이, 실내 공기가 A 지점, 실외 공기가 B 지점이라고 할 때, 댐퍼(220)의 개도를 완전 개방한 경우에 합류점(P7)에서의 공기 상태는 C 지점이 되며, 이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상대 습도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댐퍼(220)의 개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실외 공기의 혼합량이 작아지므로, 공기 상태는 C 지점에서 C' 지점으로 이동되게 되고, 그에 따라서, 공급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낮아진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온도/습도가 상이한 두 공기가 합류점(P7)에서 혼합되면서 대류가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실내기(150) 내부에 습기가 차서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나, 댐퍼(22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제품 손상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6, when indoor air is at point A and outdoor air is at point B,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도 7 에는 청정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청정 모드에서는 냉매싸이클은 동작하지 않으며, 외기는 실외기(101)로 유입되지 않고, 제습 로터(180), 증발식 냉각기(170) 및 증발식 응축기(110)는 동작하지 않으며, 환기 유로(A11, A14)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유입 유로(A3)로 공급된다. 유입 유로(A3)에서 동작하지 않은 제습 로터(180), 증발식 냉각기(170)를 통과한 후 다시 실내 공급 유로(A5)로 공급되며, 실내 공급 유로(A5)에 배치되 필터를 통과하면서 청정해진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실내 공급 유로(A5)의 습도가 높은 경우 실외기(101), 실내기(150)를 순환시키는 공기를 줄여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Figure 7 shows the clean mode. In clean mode, the refrigerant cycle does not operate, outside air does not flow into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above,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100: 공기조화기
101: 실외기
110: 응축기
120: 팽창 밸브
130: 증발기
140: 압축기
150: 실내기
170: 증발식 냉각기
180: 제습 로터
185: 가열부
200: 댐퍼부
210: 댐퍼 프레임
220: 댐퍼
300: 제어부
WS: 수공급원
F1: 재생팬
F2: 제습팬
F3: 추기팬100: Air conditioner 101: Outdoor unit
110: condenser 120: expansion valve
130: Evaporator 140: Compressor
150: indoor unit 170: evaporative cooler
180: dehumidifying rotor 185: heating unit
200: Damper unit 210: Damper frame
220: Damper 300: Control unit
WS: Water supply source F1: Regenerative fan
F2: Dehumidifying fan F3: Suction fan
Claims (12)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로 들어온 공기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실내기로 분기되는 분기부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분기부에서 분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댐퍼 및 상기 댐퍼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와 상기 댐퍼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로 공기 공급시에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n air conditioner that includes an evaporator, expansion valve, compressor, and condenser through which refrigerant circulates,
an outdoor unit where the condenser is disposed;
an indoor unit where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he outdoor unit includes a branch part through which air entering the outdoor unit branches off into the condenser and the indoor unit, and a sensor that measures the condition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The indoor unit includes a damper unit including a duct through which air branched from the branch unit flows in, a damper that regulates the supply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and a drive unit that rotates the damper,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amper unit, and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when supplying air to the indoor unit.
상기 센서는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인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is an air conditioner that is a 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상기 실외기는 습채널과 건채널을 포함하는 증발식 냉각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분기부에서 분기되는 공기조화기.According to claim 2,
The outdoor unit further includes an evaporative cooler including a wet channel and a dry channel,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gun channel branches off at the bran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습도가 클수록 상기 댐퍼의 개도를 작게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n air conditioner that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to decrease as the relative humidity increas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상대 습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실내기로 공기 공급을 차단하는 공기조화기.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blocks air supply to the indoor unit when the relative humidity exceeds a preset relative humidity value.
상기 실외기는 제습 로터, 외기로 상기 제습 로터를 재생하는 재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가 상기 제습 로터로 공급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재생팬, 환기 혹은 외기로 상기 제습 로터를 통과하여 상기 증발식 냉각기의 건채널로 공급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제습팬, 및 상기 증발식 냉각기의 습채널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추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기팬, 상기 제습팬 및 상기 재생팬에 연결되며, 상기 댐퍼의 개도를 작게 조정할 때, 상기 추기팬, 제습팬 및 상기 재생팬 중 적어도 제습팬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4,
The outdoor unit includes a dehumidifying rotor, a regeneration fan installed on a regeneration passage that regenerates the dehumidifying rotor with outdoor air to form an air flow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dehumidifying rotor, and ventilation or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to form the evaporative type. It further includes a dehumidifying fan that forms an air flow supplied to the dry channel of the cooler, and an exhaust fan that forms an air flow that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extraction fan, the dehumidification fan, and the regeneration fan, and reduces the blowing volume of at least the dehumidification fan among the extraction fan, the dehumidification fan, and the regeneration fan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is adjusted to be small.
상기 실외기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댐퍼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제 1 값을 넘는 경우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Evaporator, expansion valve, compressor and condenser through which refrigerant circulates; an indoor unit in which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includes a damper that regulates the inflow of air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an outdoor unit in which the condenser is disposed, a branch part through which air entering the outdoor unit branches off into the condenser and the indoor unit, and a sensor that measures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opening the damper when a mode in which air from the outdoor uni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is selected;
measuring the relative humidity of air supplied to the indoor uni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when the measured relative humidity exceeds a preset first value.
상기 실외기는 습채널과 건채널을 포함하는 증발식 냉각기, 제습 로터, 외기로 상기 제습 로터를 재생하는 재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외기가 상기 제습 로터로 공급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재생팬, 환기 혹은 외기로 상기 제습 로터를 통과하여 상기 증발식 냉각기의 건채널로 공급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제습팬, 및 상기 증발식 냉각기의 습채널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추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제습팬, 상기 재생팬, 및 상기 추기팬 중 적어도 하나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outdoor unit includes an evaporative cooler including a wet channel and a dry channel, a dehumidifying rotor, a regeneration fan installed on a regeneration passage that regenerates the dehumidifying rotor with outdoor air to form an air flow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dehumidifying rotor, a ventilation device, or It further includes a dehumidifying fan that forms an air flow that is supplied to outside air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and a dry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nd an extraction fan that forms an air flow that passes through a wet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reduces the blowing volume of at least one of the dehumidifying fan, the regeneration fan, and the extract fan afte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상기 모드는 외기를 상기 제습 로터, 상기 증발식 냉각기의 건채널을 통과시킨 후 상기 실내기로 공급하며,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제습 냉방 모드이며,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제습팬, 상기 재생팬 및 상기 추기팬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ode is a dehumidifying cooling mode in which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and the dry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nd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reduces the blowing volume of the dehumidifying fan, the regenerative fan, and the exhaust fan afte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상기 모드는 외기를 상기 증발식 냉각기의 건채널을 통과시킨 후 상기 실내기로 공급하는 환기 모드이며,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제습팬 및 상기 추기팬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ode is a ventilation mode in which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dry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reduces the blowing volume of the dehumidifying fan and the exhaust fan afte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상기 모드는 외기를 실내 공기를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를 통과시킨 후 실내로 공급시키는 청점 모드이며,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제습팬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ode is a blue point mode in which outdoor air is supplied indoors after passing indoor air throug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reduces the blowing volume of the dehumidifying fan afte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상기 댐퍼의 개도는 상기 상대 습도의 범위에 따른 설정값으로 변화되되, 설정값은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is changed to a set value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set value is changed in step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8862A KR20240097099A (en) | 2022-12-20 | 2022-12-20 | Air Conditioner and Contor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8862A KR20240097099A (en) | 2022-12-20 | 2022-12-20 | Air Conditioner and Contor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7099A true KR20240097099A (en) | 2024-06-27 |
Family
ID=9171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8862A Pending KR20240097099A (en) | 2022-12-20 | 2022-12-20 | Air Conditioner and Contor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97099A (en) |
-
2022
- 2022-12-20 KR KR1020220178862A patent/KR20240097099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7381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ventilating room | |
WO2016031139A1 (en) | Dehumidifying device | |
JP5799932B2 (en) | Air conditioner | |
JP4169517B2 (en) | Air conditioner | |
JP2000220877A (en) | Ventilation air conditioner | |
JP5425112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JP2019215130A (en) |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102314183B1 (en) | All-in-one heat exchange ventilator that allows air cooling bypass and de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420873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20180078833A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0354132B1 (en) | Air handling unit | |
JP6675057B2 (en) | Heat exchange ventilator | |
JP684732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WO2021054249A1 (en) | Heat exchange-type ventilation appratus equipped with dehumidifying function | |
JP5543002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240097099A (en) | Air Conditioner and Contor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 |
TWI769178B (en) | Dehumidifier | |
KR100487380B1 (en) | structure for draining condensing water in the air conditioner | |
JP5195135B2 (en) | Air conditioner | |
JP2020094771A (en) | Heat exchange ventilator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
JP7285409B2 (en) |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
WO2021039149A1 (en) | Heat exchange-type ventilation device equipped with dehumidifying function | |
JP2021181863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362664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20220092119A (en) | Air Conditioner having ventilation and cooling m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