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96843A -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6843A
KR20240096843A KR1020247019279A KR20247019279A KR20240096843A KR 20240096843 A KR20240096843 A KR 20240096843A KR 1020247019279 A KR1020247019279 A KR 1020247019279A KR 20247019279 A KR20247019279 A KR 20247019279A KR 20240096843 A KR20240096843 A KR 20240096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cutout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지 마루바시
미노루 키타하라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9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684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9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원 유닛(100)은, 표면(201)에 실장되는 배터리 커넥터(20D)를 포함하는 메인 기판(20)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기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또한 이면(202)에 배치되는 전원(ba)과, 전원(ba) 및 배터리 커넥터(20D)에 접속되는 리드선(16)을 구비한다. 메인 기판(20)은 컷아웃(80)을 포함하고, 리드선(16)은 컷아웃(80)을 통과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본 발명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형태인 가열식 담배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원인 배터리와 회로 기판이 FPC 또는 리드선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거나 접속되거나 하는 전자 부품에 공급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일본 특허출원공표 제2020-52705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20-114249호 공보
유저에 의해 일상적으로 휴행(携行)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능한 한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하우징에 내장되는 부품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전지가 고용량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하우징을 크게 하지 않고, FPC 또는 리드선을 적절하게 배책(配策)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을 크게 하지 않고, 배선을 적절하게 배색(配索)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뒤에 위치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에 실장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기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 면 측에 배치되는 전원과,
상기 전원 및 상기 전원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원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컷아웃(절결)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컷아웃을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기판의 폭 방향 또는 긴 방향에서의 에어로졸 장치의 크기를, 컷아웃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내부 유닛(2)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내부 유닛(2)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내부 유닛(2)의 가열부(60) 및 회로부(7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메인 기판(20)의 표면(20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메인 기판(20)의 이면(202)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전원 유닛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하여,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가 부가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생성한 에어로졸을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손 안에 들어오는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둥그스름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막대 형상, 난형(卵型) 형상 등이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직교하는 3방향 중, 길이가 긴 순서부터, 상하 방향, 전후 방향, 좌우 방향이라고 칭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1∼도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방, 후방, 좌방, 우방, 상방, 하방을 정의하고, 전방을 Fr, 후방을 Rr, 좌측을 L, 우측을 R, 상방을 U, 하방을 D로서 나타낸다.
도 3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전원 유닛(100)과, 제1 카트리지(110)와, 제2 카트리지(120)를 구비한다. 제1 카트리지(110) 및 제2 카트리지(120)는, 전원 유닛(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환언하면, 제1 카트리지(110) 및 제2 카트리지(120)는, 각각 교환 가능하다.
(전원 유닛)
전원 유닛(100)은, 내부 유닛(2)과 케이스(3)를 구비하고, 내부 유닛(2)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3)에 수용된다.
케이스(3)는, 좌우 방향(두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제1 케이스(3A) 및 제2 케이스(3B)로부터 구성되고, 이들 제1 케이스(3A)와 제2 케이스(3B)가 좌우 방향(두께 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전원 유닛(100)의 전면, 후면, 좌면, 우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유닛(2)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섀시(50)의 좌측의 면에 제1 케이스(3A)가 지지되고, 섀시(50)의 우측의 면에 제2 케이스(3B)가 지지되어, 내부 유닛(2)이 케이스(3)에 수용된다. 전원 유닛(100)의 상면에는, 전방에 캡슐 홀더(4)가 마련된다. 캡슐 홀더(4)에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a)가 마련된다. 캡슐 홀더(4)는, 개구부(4a)로부터 제2 카트리지(120)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카트리지(120)에는, 마우스피스(13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전원 유닛(100)의 상면은, 개구부(4a)의 후방에 배치된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 커버(5)에 의해 형성되고, 전원 유닛(100)의 하면은, 충전 단자(1)가 마련된 하부 커버(8) 및 회동(回動) 가능한 하부 리드(7)에 의해 형성된다.
전원 유닛(100)의 상면과 후면과의 사이에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마련된다. 경사면에는,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가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작부는, 버튼식의 스위치(BT)이지만, 터치 패널 등으로부터 구성되어도 된다. 조작부는, 유저의 사용 의사를 반영하여 후술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6) 및 각종 센서를 기동/차단/조작할 때 등에 이용된다.
하부 커버(8)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충전 단자(1)는, 배터리 팩(BP)에 포함되는 전원(ba)을 충전하는 전력을 전원 유닛(100)에 공급 가능한 외부 전원(도시 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충전 단자(1)는, 예컨대, 상대 측이 되는 플러그를 삽입 가능한 리셉터클이다. 충전 단자(1)로서는, 각종 USB 단자 등을 삽입 가능한 리셉터클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단자(1)를 USB Type-C 형상의 리셉터클로 한다.
또한, 충전 단자(1)는, 예컨대, 수전(受電) 코일을 구비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송전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수전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의 방식은, 전자(電磁) 유도형이어도 되고, 자기 공명형이어도 되며, 전자 유도형과 자기 공명형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충전 단자(1)는, 각종 USB 단자 등이 접속 가능하고, 또한 상술한 수전 코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내부 유닛(2)은,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팩(BP)과, 섀시(50)와, 가열부(60)와, 회로부(70)와, 통지부와, 각종 센서를 구비한다.
섀시(5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와, 후방에 위치하고 좌측방이 컷아웃된 반원통 형상의 배터리 보유지지부(52)와,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와 배터리 보유지지부(52)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연결부(53)와, 연결부(53)의 하방 또한 우방으로서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 및 배터리 보유지지부(52)에 걸치듯이 마련되는 모터 보유지지부(54)와,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의 좌후방에 마련되는 센서 보유지지부(55)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에는, 하부 리드(7)를 연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제1 카트리지(110)가 삽입된다. 또한, 제1 카트리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리드(7)를 닫음으로써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에는 제1 카트리지(110)가 수용된다.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의 상부에는, 캡슐 홀더(4)가 장착된다.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에는, 전방에 세로로 긴 관통 구멍이 마련되고, 제1 케이스(3A)와 제2 케이스(3B)와의 접합부에 마련된 잔량 확인창(3w)으로부터는, 제1 카트리지(110)의 에어로졸원의 잔량 및 도시하지 않은 LED(Light Emitting Diode)의 광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LED는, 후술하는 퍼프 센서 기판(21)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카트리지(110)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
배터리 보유지지부(52)에는 배터리 팩(BP)이 배치된다. 배터리 팩(BP)은, 전원(ba)과, 전원(ba)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원 서미스터를 포함한다. 전원(ba)은,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다. 전원(ba)의 전해질은, 겔상의 전해질, 전해액, 고체 전해질, 이온 액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모터 보유지지부(54)에는, 진동 모터(13)가 배치된다. 센서 보유지지부(55)에는, 유저의 흡인 동작(퍼프 동작)에 따른 출력을 행하는 후술하는 흡인 센서(15)가 배치된다.
가열부(6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전열 튜브(61)와, 전열 튜브(61)의 외주에 권회된 시트 히터(HTR)를 구비한다. 시트 히터(HTR)의 주위에는 전술한 캡슐 홀더(4)가 이간되어 마련된다. 캡슐 홀더(4)와 시트 히터(HTR)와의 사이의 공기층이 단열재로서 기능한다. 전열 튜브(61)에는, 캡슐 홀더(4)의 개구부(4a)로부터 삽입되는 제2 카트리지(120)의 하부가 수용되고, 제2 카트리지(120)의 하부가 시트 히터(HTR)에 의해 가열된다. 이로 인해, 가열부(60)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카트리지(120)에 저류하는 향미원이 향미를 방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에어로졸에 향미가 부여되기 쉬워진다.
또한, 가열부(60)는, 제2 카트리지(120)를 가열 가능한 소자이면 된다. 소자로서는, 저항 발열체, 세라믹 히터, 및 유도 가열식의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저항 발열체로서는, 예컨대,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저항값도 증가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 대신에,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저하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가열부(60)는, 제2 카트리지(120)로 공급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 및 제2 카트리지(120)를 가열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지부는, 전원(ba)의 충전 상태, 제1 카트리지(110)의 잔량, 제2 카트리지(120)의 잔량 등의 각종 정보를 통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통지부는, LED와, 진동 모터(13)를 포함한다. 통지부는, LED와 같은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진동 모터(13)와 같은 진동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소리 출력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지부는, 발광 소자, 진동 소자, 및 소리 출력 소자 중, 2 이상의 소자의 조합이어도 된다.
각종 센서는, 유저의 퍼프 동작(흡인 동작)을 검출하는 흡인 센서(15), 시트 히터(HTR)의 온도를 검출하는 히터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흡인 센서(15)는, 예컨대, 콘덴서 마이크로폰이나 압력 센서나 유량 센서 등으로부터 구성된다. 복수의 흡인 센서(15)를 이간하여 배치하고, 이들 출력값의 차 등으로부터 퍼프 동작을 검출하여도 된다. 히터 온도 센서는, 제1 서미스터(th1)와 제2 서미스터(th2)를 포함한다. 제1 서미스터(th1) 및 제2 서미스터(th2)는, 시트 히터(HTR)와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히터(HTR)가 PTC 특성이나 NTC 특성을 갖는 경우, 시트 히터(HTR) 자체를 히터 온도 센서에 이용하여도 된다. 히터 온도 센서는, 2개의 서미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1개의 서미스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회로부(70)는, 리지드한 4개의 회로 기판과, 3개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s,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 기판)와, 복수의 IC(Integrated Circuit)와, 복수의 소자를 구비한다. 4개의 회로 기판은, 메인 기판(20), 퍼프 센서 기판(21), 포고핀 기판(22), OLED 기판(26)으로부터 구성된다. 3개의 FPC는, 메인 FPC(23), 히터 FPC(24), OLED FPC(25)로부터 구성된다.
메인 기판(20)은, 소자 탑재면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터리 팩(BP)과 케이스(3)의 후면(전원 유닛(100)의 후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메인 기판(20)은, 복수층(본 실시형태에서는 6층)의 기판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MCU(6), 충전 IC(3) 등의 전자 부품(소자)이 탑재된다.
상세는 도 9 등을 이용하여 후술하지만, MCU(6)는, 흡인 센서(15) 등의 각종 센서 장치, 조작부, 통지부, 및 퍼프 동작의 횟수 또는 부하 및 시트 히터(HTR)로의 통전 시간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등에 접속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MCU(6)는, 프로세서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등의 기억 매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프로세서란, 예컨대, 반도체 소자 등의 회로 소자를 조합한 전기 회로이다. 또한, MCU(6)에 접속되는 요소의 일부(예컨대, 흡인 센서(15)나 메모리)는, MCU(6) 내부에 MCU(6) 자신의 기능으로서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충전 IC(3)는, 충전 단자(1)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에 의한 전원(ba)의 충전 제어를 행하거나, 전원(ba)의 전력을 메인 기판(20)의 전자 부품 등에 대하여 공급하거나 하는 IC이다.
메인 기판(20)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메인 기판(20)의 후방을 향하는 면을 편의상, 표면(201)이라고 칭하고, 메인 기판(2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을 편의상, 이면(202)이라고 칭한다. 도 7은, 메인 기판(20)의 표면(201)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8은, 메인 기판(20)의 이면(202)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CU(6) 및 충전 IC(3)는, 충전 단자(1)와 함께 메인 기판(20)의 이면(202)에 실장된다. 이면(202)에는, 또한, 디버그용 커넥터(20E)가 실장된다. 디버그용 커넥터(20E)는, MCU(6)의 프로그램의 다시쓰기 등을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예컨대 SWD(Serial Wire Debug)의 규격에 준거한 것이 이용된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20)의 표면(201)에는, OLED 커넥터(20C), 히터 커넥터(20B), 메인 커넥터(20A), 및 배터리 팩(BP)에 리드선(16)(도 6 참조)을 통하여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20D)가 실장된다.
퍼프 센서 기판(21)은,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탑재면이 우전방 및 좌후방을 향하도록 섀시(50)의 센서 보유지지부(55)에 배치된다. 퍼프 센서 기판(21)에는, 흡인 센서(15)가 실장된다.
OLED 기판(26)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탑재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터리 팩(BP)과 OLED 커버(5)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OLED 기판(26)에는, OLED 패널(17)이 실장된다.
포고핀 기판(22)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리드(7)가 닫힌 상태에서, 소자 탑재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하부 리드(7)에 배치된다. 포고핀 기판(22)에는, 메인 기판(20)으로부터 메인 FPC(23)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입력 측 접점(P1∼P3)과, 제1 카트리지(110)에 마련된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인 포고핀(p1∼p3)이 마련된다. 입력 측 접점(P1∼P3)은, 하부 리드(7)가 닫힌 상태에서만 메인 FPC(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포고핀(p1∼p3)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 마련되고, 적어도 2개의 포고핀이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에 수용되는 제1 카트리지(110)의 + 단자 및 -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보유지지부(52)에 보유지지된 배터리 팩(BP)은, 반원통 형상의 배터리 보유지지부(52)에 의해 좌측이 배터리 보유지지부(52)로부터 노출된다. 배터리 보유지지부(52)가 컷아웃됨으로써 형성되는 배터리 팩(BP)의 좌방과 제1 케이스(3A)와의 사이의 공간에는, 도 3,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FPC(23), 히터 FPC(24), OLED FPC(25)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3개의 FPC 중, 메인 FPC(23)가 가장 배터리 팩(BP)의 가까이에 배색되고, 메인 FPC(23)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OLED FPC(25)가 배색되며, 또한 OLED FPC(25)에 겹쳐지도록 히터 FPC(24)가 배색된다. 즉, 3개의 FPC 중에서 가장 큰 전력이 공급되는 히터 FPC(24)가 배터리 팩(BP)으로부터 가장 이간되어 배색되어 있다.
OLED FPC(25)는, 일단(一端)이 메인 기판(20)의 OLED 커넥터(20C)에 접속되고, 타단(他端)이 OLED 기판(26)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FPC(23)는, 메인 기판(20)의 메인 커넥터(20A)와, 조작부의 스위치(BT)와, 퍼프 센서 기판(21)의 커넥터(21B)와, 포고핀 기판(22)의 입력 측 접점(P1∼P3)을 접속한다.
히터 FPC(24)는, 일단이 메인 기판(20)의 히터 커넥터(20B)에 접속되고, 타단에 시트 히터(HTR)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1 카트리지)
제1 카트리지(110)는, 원통 형상의 카트리지 케이스(31)의 내부에, 에어로졸원을 저류하는 리저버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전기적인 부하와, 리저버로부터 부하로 에어로졸원을 끌어들이는 윅과, 에어로졸원이 무화됨으로써 발생한 에어로졸이 제2 카트리지(120)를 향하여 흐르는 에어로졸 유로를 구비한다. 에어로졸원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물 등의 액체를 포함한다.
부하(무화기)는, 전원(ba)으로부터 포고핀 기판(22)의 포고핀(p1∼p3)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발열 소자이며, 예컨대 소정 피치로 권회되는 전열선(코일)에 의해 구성된다. 부하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부하로서는, 발열 저항체, 세라믹 히터, 유도 가열식의 히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유로는, 섀시(50)의 카트리지 보유지지부(51)에 수용된 유로 형성체(19)(도 6 참조)를 통하여 제2 카트리지(120)에 접속된다.
(제2 카트리지)
제2 카트리지(120)는, 향미원을 저류한다. 시트 히터(HTR)에 의해 제2 카트리지(120)가 가열됨으로써, 향미원이 가열된다. 제2 카트리지(120)는, 부하에 의해 에어로졸원이 무화됨으로써 발생한 에어로졸을 향미원에 통과시킴으로써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한다. 향미원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서는,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상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향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컨대, 민트, 한방,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원과 향미원에 의해, 향미가 부가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에어로졸원과 향미원은,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원을 구성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의 에어로졸 생성원은, 유저가 교환하여 사용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예컨대, 하나의 제1 카트리지(110)와, 하나 또는 복수(예컨대 5개)의 제2 카트리지(120)가 1 세트로서 유저에게 제공된다. 또한, 배터리 팩(BP)은 전원(ba)이 대폭으로 열화되지 않는 한, 반복 충방전 가능하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는, 전원 유닛(100) 또는 배터리 팩(BP)의 교환 빈도가 가장 낮고, 제1 카트리지(110)의 교환 빈도가 다음으로 낮으며, 제2 카트리지(120)의 교환 빈도가 가장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카트리지(110)와 제2 카트리지(120)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카트리지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향미원 대신에 약제 등이 에어로졸원에 부가된 구성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는, 케이스(3) 또는 내부 유닛(2)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공기 취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1 카트리지(110)의 부하 부근을 통과한다. 부하는, 윅에 의해 리저버로부터 끌어들여진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무화되어 발생한 에어로졸은, 취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함께 에어로졸 유로를 흐르고, 유로 형성체(19)를 통하여 제2 카트리지(120)에 공급된다. 제2 카트리지(120)에 공급된 에어로졸은, 향미원을 통과함으로써 향미가 부여되어, 마우스피스(130)의 흡구(131)에 공급된다.
(메인 기판)
이하에서는, 메인 기판(20)에 대하여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기판(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구성된 다층 기판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메인 기판(20)은, 긴 방향이 상하 방향이되도록 또한 짧은 방향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터리 팩(BP)의 후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팩(BP)과 마주 보는 이면(202)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CU(6) 및 충전 IC(3)가 실장된다. 케이스(3)의 후면(전원 유닛(100)의 후면)과 마주 보는 표면(201)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LED 커넥터(20C), 히터 커넥터(20B), 메인 커넥터(20A), 및 배터리 커넥터(20D)가 실장되어 있다. 표면(201)에서, OLED 커넥터(20C), 히터 커넥터(20B), 메인 커넥터(20A), 및 배터리 커넥터(20D)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6도 참조하여, 배터리 커넥터(20D)는, 상하 방향(긴 방향)에서, 표면(201)의 하부로서, 수평 방향시(方向視)에서 적어도 일부가 배터리 팩(BP)의 하면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커넥터(20D)에는, 배터리 팩(BP)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16)이 접속된다. 환언하면, 리드선(16)은, 배터리 팩(BP)의 전원(ba) 및 배터리 커넥터(20D)에 접속된다. 리드선(16)은, 배터리 팩(BP)의 전원 서미스터에 접속되어도 된다. 따라서, 배터리 커넥터(20D)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시에서 배터리 팩(BP)의 하면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리드선(1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리드선(16)은, 메인 기판(20)의 좌측면을 통하여 배터리 커넥터(20D)에 좌방으로부터 접속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20)의 표면(201)의 좌연(左緣)(203L)에는, 좌측면이 오목 형상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된 컷아웃(80)이 마련되어 있으며, 리드선(16)은 이 컷아웃(80)을 통하여 배터리 커넥터(20D)에 접속된다. 리드선(16)이 컷아웃(80)을 통과하는 것은, 리드선(16)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201) 및 이면(202)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컷아웃(80)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오목 형상 공간에 겹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컷아웃(80)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메인 기판(20)의 폭 방향(좌우 방향)에서의 전원 유닛(10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컷아웃(8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연(203L)의 직선부(204)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단차부(81)와, 단차부(81)와 직선부(204)를 접속하는 상하 한 쌍의 경사부(82)를 구비하고, 표면(201)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단차부(81)와 경사부(82)가 이루는 각인 컷아웃의 각도(α)는, 90°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즉, 상방의 경사부(82)는 단차부(81)를 향하여 경사 하방으로 경사지고, 하방의 경사부(82)는 단차부(81)를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경사진다.
메인 기판(20)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됨과 함께, 복수의 도전(導電) 패턴(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 중의 도전 패턴(210)은, 다층 기판인 메인 기판(20)의 표층(표면(201))이 아닌 중간층에 마련된 도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전 패턴의 전기가 통과하기 어려운 협소부는, 도전 패턴의 기생 저항이 되고, 전기를 흘리면 발열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도전 패턴의 각도가 90° 미만인 각부(角部)는, 도전 패턴의 기생 용량이 되고, 전기를 흘리면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컷아웃의 각도(α)를 90°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하고, 컷아웃(80)의 주변에 인쇄되는 도전 패턴(210)을 둔각의 커브로 함으로써, 보다 많은 도전 패턴(210)을 형성하면서, 이 도전 패턴(210)으로부터 열이나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컷아웃의 각도(α)는, 반드시 90°보다 클 필요는 없고, 90° 이상이면 된다. 컷아웃(80)의 각도(α)를 90° 이상으로 함으로써, 컷아웃(80)에 리드선(16)이 걸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리드선(16)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리드선(16)이나 리드선(16)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에 의도하지 않은 응력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배터리 커넥터(20D)는, 좌우 방향(짧은 방향)에서, 메인 기판(20)의 중심선(CL)과 배터리 커넥터(20D) 사이의 최단 거리가, 컷아웃(80)과 배터리 커넥터(20D) 사이의 최단 거리(L)보다 짧아지도록 배치된다. 메인 기판(20)의 중심선(CL)과 배터리 커넥터(20D) 사이의 최단 거리란, 중심선(CL)과 중심선(CL)에 가장 가까운 배터리 커넥터(20D)의 부분을 가장 짧게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이다. 또한, 배터리 커넥터(20D)는, 표면(201) 및 이면(202)에 수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메인 기판(20)의 중심선(CL)에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커넥터(20D)가 메인 기판(20)의 중심선(CL)에 겹쳐지고, 메인 기판(20)의 중심선(CL)과 배터리 커넥터(20D) 사이의 최단 거리가 0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배터리 커넥터(20D)가 실장되는 메인 기판(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BP)과 케이스(3)의 후면(전원 유닛(100)의 후면)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터리 커넥터(20D)는, 케이스(3)의 후면(전원 유닛(100)의 후면)과 마주 보는 메인 기판(20)의 표면(201)에 실장된다. 또한, 배터리 팩(BP)의 전원(ba)은 대전력(대전류)을 공급하기 때문에, 리드선(16)이 굵어지고, 배터리 커넥터(20D)가 두꺼워진다. 배터리 커넥터(20D)는, 표면(201)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 중에서, 가장 두께가 두꺼운(키가 큰) 전자 부품 중 하나이다.
배터리 커넥터(20D)의 위치는, 메인 기판(20)과 케이스(3)의 후면과의 간극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두께가 두꺼운(키가 큰) 배터리 커넥터(20D)가 메인 기판(20)의 폭 방향(좌우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면, 배터리 커넥터(20D)와 케이스(3)의 후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기판(20)과 케이스(3)의 간극을 크게 확보할 수 밖에 없다. 배터리 커넥터(20D)가 메인 기판(20)의 중앙 근처에 실장됨으로써, 전원 유닛(100)을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케이스(3)가 둥그스름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배터리 커넥터(20D)가 메인 기판(20)의 중앙 근처에 실장됨으로써, 메인 기판(20)의 폭 방향(좌우 방향) 양측과 케이스(3)와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어, 유저가 들기 쉬운 것에 더하여, 전원 유닛(100)을 보다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기판(20)의 표면(201)에서, 컷아웃(80)과 배터리 커넥터(20D)의 사이에는 전자 부품이 실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리드선(16)에 의한 응력을, 표면(201)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이 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전원 유닛(1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메인 기판(20)의 표면(201) 및 이면(202)은, 절연성의 절연막(220)으로 덮여, 도전 패턴끼리가 단락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만, 좌연(203L)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절연막(220)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절연막 비형성부(230)로 되어 있다. 절연막 비형성부(230)는, 표면(201)의 좌연(203L)의 직선부(204)를 따라, 직선부(204)를 포함하여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메인 기판(20)에는, 공통의 기준 전위를 갖는 그라운드와, 그라운드에 접속되거나 또는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도전 패턴인 그라운드 패턴(231)이 마련되어 있고, 절연막 비형성부(230)에서는, 그라운드 패턴(231)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메인 기판(20)의 표면(201) 및 이면(202)의 절연막 비형성부(230)에 의해, 그라운드 패턴(231)이 절연막(220)으로부터 노출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예컨대, 정전 노이즈)가 그라운드 패턴(231)에 침입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그라운드 패턴(231)에 침입한 노이즈는, 그라운드 패턴(231)으로부터 그라운드로 침입한다. 그 때문에, 노이즈 대책으로서 콘덴서 등의 다른 전자 부품이 없어도, 노이즈가, 도전 패턴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노이즈에 의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대책으로서 콘덴서 등의 다른 전자 부품을 간략화하거나 생략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유닛(100)의 소형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컷아웃(80)의 단차부(81)는, 절연막(220)으로 덮여 있다. 환언하면, 절연막 비형성부(230)는, 컷아웃(80)의 단차부(81)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컷아웃(80)에는, 표면이 절연성의 피복재로 절연된 리드선(16)이 통과하기 때문에, 피막재가 외래 노이즈의 전달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 부분의 그라운드 패턴(231)이 노출되어도, 외래 노이즈가 그라운드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컷아웃(80)의 그라운드 패턴(231)을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노출을 위한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원 유닛(100)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 비형성부(230)가 마련되는 메인 기판(20)의 가장자리(緣)는, 좌연(203L)에 한정되지 않고, 우연(右緣), 상연(上緣), 하연(下緣)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20)의 표면(201)에 배치된 다른 커넥터인 OLED 커넥터(20C), 히터 커넥터(20B), 메인 커넥터(20A)에는, OLED FPC(25), 히터 FPC(24), 메인 FPC(23)가, 리드선(16)과 마찬가지로, 모두 좌방으로부터 메인 기판(20)의 좌측면을 통하여 접속된다. 따라서, 이들 FPC(25, 24, 23)를, 리드선(16)과는 메인 기판(20)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통과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전원 유닛(10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FPC(25, 24, 23)와 리드선(16)을 메인 기판(20)의 동일한 측면(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의 측에 집약함으로써, 배선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OLED 커넥터(20C), 히터 커넥터(20B), 메인 커넥터(20A)가 배터리 커넥터(20D)와 동일한 표면(201)에 실장되기 때문에, OLED 커넥터(20C), 히터 커넥터(20B), 메인 커넥터(20A)를 배터리 커넥터(20D)와 메인 기판(20)의 상이한 면에 실장한 경우에 비하여, 메인 기판(2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원 유닛(100)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하여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된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드선(16)이 통과하는 컷아웃(80)은, 메인 기판(20)의 좌연(203L)에 마련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우연, 상연, 또는 하연에 마련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는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괄호 안에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제1 면(표면(201))과, 상기 제1 면의 뒤에 위치하는 제2 면(이면(202))과, 상기 제1 면에 실장되는 전원 커넥터(배터리 커넥터(20D))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메인 기판(20))과,
에어로졸원을 무화화하는 무화기(부하)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 면 측에 배치되는 전원(전원(ba))과,
상기 전원 및 상기 전원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원 배선(리드선(16))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컷아웃(컷아웃(80))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컷아웃을 통과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원 유닛(전원 유닛(100)).
(1)에 따르면, 회로 기판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서의 에어로졸 장치의 전원 유닛의 크기를, 컷아웃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2)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회로 기판의 중심선(중심선(CL))과 상기 전원 커넥터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컷아웃과 상기 전원 커넥터의 사이의 최단 거리(최단 거리(L))보다 짧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전원은 대전력(대전류)을 공급하기 때문에, 전원 배선이 굵어지고, 전원 커넥터는 두꺼워진다. (2)에 따르면, 이와 같은 두께가 두꺼운(키가 큰) 전원 커넥터가 회로 기판의 중앙 근처에 실장된다. 이로 인해, 전원 커넥터의 하우징을 작게 하여도, 이 하우징이 전원 커넥터와 간섭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3)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전원 커넥터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회로 기판의 중심선과 겹쳐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3)에 따르면, 두께가 두꺼운(키가 큰) 전원 커넥터가 회로 기판의 중앙 근처에 실장된다. 이로 인해, 전원 커넥터의 하우징을 작게 하여도, 이 하우징이 전원 커넥터와 간섭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4)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전원을 수용하고, 또한, 둥그스름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케이스(3))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4)에 따르면, 소형화되면서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우징이 둥그스름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소형이고 또한 들기 쉬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5)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컷아웃은,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 중 제1 연(좌연(203L))에 마련되고, 상기 컷아웃은,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직선부(204))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단차부(단차부(81))와, 상기 단차부와 상기 직선부를 접속하는 경사부(경사부(82))를 구비하며,
상기 단차부와 상기 경사부가 이루는 각인 상기 컷아웃의 각도(각도(α))는, 90 ° 이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5)에 따르면, 컷아웃에 전원 배선이 걸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전원 배선이 손상되지 않게 되거나, 전원 배선이나 전원 배선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에 의도하지 않은 응력이 생기지 않게 되거나 한다.
(6) (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컷아웃의 각도는, 90°보다 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6)에 따르면, 컷아웃의 근방을 통과하는 도전 패턴이 둔각의 커브를 갖게 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에 보다 많은 도전 패턴을 형성하면서, 이 도전 패턴으로부터 열이나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컷아웃과 상기 전원 커넥터의 사이에는 전자 부품이 실장되지 않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7)에 따르면, 전원 배선에 의한 응력을, 제1 면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이 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8)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회로 기판은, 그라운드와, 상기 그라운드에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도전 패턴(그라운드 패턴(231))을 포함하고,
상기 컷아웃은,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 중 제1 연(좌연(203L))에 마련되며,
상기 컷아웃에는,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직선부(204))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단차부(단차부(81))에, 절연막(절연막(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도전 패턴이 노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8)에 따르면, 제1 연의 직선부에서는 외부로부터의 노이즈가 도전 패턴을 통하여 그라운드에 침입하기 쉽기 때문에, 노이즈에 의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대책으로서 콘덴서 등의 다른 전자 부품을 간략화하거나 생략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의 소형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컷아웃에는, 표면이 절연성의 피복재로 절연된 전원 배선이 통과한다. 이 부분의 도전 패턴이 노출되어도, 전원 배선의 피막재가 외래 노이즈의 전달을 방지하기 때문에, 외래 노이즈가 그라운드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분의 도전 패턴을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노출을 위한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9)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전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케이스(3))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자 부품(OLED 기판(26), 시트 히터(HTR), 스위치(BT), 퍼프 센서 기판(21), 포고핀 기판(22))과,
상기 전자 부품에, 제1 배선(OLED FPC(25), 히터 FPC(24), 메인 FPC(23))을 통하여 접속되는 제1 커넥터(OLED 커넥터(20C), 히터 커넥터(20B), 메인 커넥터(20A))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면 중 동일한 측면(좌측면)의 측(좌측)을 통과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9)에 따르면, 전원 배선과 제1 배선을 회로 기판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통과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배선과 제1 배선을 회로 기판의 동일한 측면의 측에 집약함으로써, 배선의 관리나 배책이 용이해진다.
(10) (9)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면에 실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10)에 따르면, 전원 커넥터와 제1 커넥터를 상이한 면에 실장한 경우에 비하여, 회로 기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3: 케이스(하우징)
16: 리드선(전원 배선)
20: 메인 기판(회로 기판)
20A: 메인 커넥터(제1 커넥터)
20B: 히터 커넥터(제1 커넥터)
20C: OLED 커넥터(제1 커넥터)
20D: 배터리 커넥터(전원 커넥터)
21: 퍼프 센서 기판(전자 부품)
22: 포고핀 기판(전자 부품)
23: 메인 FPC(제1 배선)
24: 히터 FPC(제1 배선)
25: OLED FPC(제1 배선)
26: OLED 기판(전자 부품)
80: 컷아웃
81: 단차부
82: 경사부
100: 전원 유닛
201: 표면(제1 면)
202: 이면(제2 면)
203L: 좌연(제1 연)
204: 직선부
220: 절연막
231: 그라운드 패턴(도전 패턴)
ba: 전원
BT: 스위치(전자 부품)
CL: 메인 기판의 중심선(회로 기판의 중심선)
L: 컷아웃과 배터리 커넥터의 사이의 최단 거리(컷아웃과 전원 커넥터의 사이의 최단 거리)
α: 컷아웃의 각도
HTR: 시트 히터(전자 부품)

Claims (10)

  1.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뒤에 위치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에 실장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기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 면 측에 배치되는 전원과,
    상기 전원 및 상기 전원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원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컷아웃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컷아웃을 통과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중심선과 상기 전원 커넥터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컷아웃과 상기 전원 커넥터의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짧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회로 기판의 중심선에 겹쳐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전원을 수용하고, 또한, 둥그스름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 중 제1 연에 마련되고,
    상기 컷아웃은,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와 상기 직선부를 접속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와 상기 경사부가 이루는 각인 상기 컷아웃의 각도는, 90° 이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의 각도는 90°보다 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컷아웃과 상기 전원 커넥터의 사이에는 전자 부품이 실장되지 않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그라운드와, 상기 그라운드에 접속되거나 또한 상기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도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컷아웃은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 중 제1 연에 마련되며,
    상기 컷아웃에는,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단차부에,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1 연의 직선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도전 패턴이 노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에, 제1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회로 기판이 포함하는 복수의 측면 중 동일한 측면의 측을 통과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면에 실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KR1020247019279A 2021-12-10 2021-12-10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Pending KR202400968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45592 WO2023105766A1 (ja) 2021-12-10 2021-12-10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6843A true KR20240096843A (ko) 2024-06-26

Family

ID=8672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9279A Pending KR20240096843A (ko) 2021-12-10 2021-12-10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324668A1 (ko)
EP (1) EP4445763A1 (ko)
JP (1) JP7693021B2 (ko)
KR (1) KR20240096843A (ko)
CN (1) CN118369000A (ko)
WO (1) WO202310576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14249A (ja) 2015-12-28 2020-07-30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ウジングおよびカプラを含むエアロゾル送達装置
JP2020527053A (ja) 2017-10-30 2020-09-03 ケイ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0997B (zh) * 2015-03-25 2020-08-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電接點之單片平面
TWI871277B (zh) * 2018-01-18 2025-02-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器總成、氣溶膠產生裝置及氣溶膠產生系統
KR102274248B1 (ko) * 2018-04-24 2021-07-07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장치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장치
AU2019279893A1 (en) * 2018-05-29 2020-12-1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14249A (ja) 2015-12-28 2020-07-30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ウジングおよびカプラを含むエアロゾル送達装置
JP2020527053A (ja) 2017-10-30 2020-09-03 ケイ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369000A (zh) 2024-07-19
EP4445763A1 (en) 2024-10-16
WO2023105766A1 (ja) 2023-06-15
JP7693021B2 (ja) 2025-06-16
US20240324668A1 (en) 2024-10-03
JPWO2023105766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60403B2 (ja)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
JP7621163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6833093B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7637776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US20230086697A1 (en) Power supply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299649B1 (ko) 정품 인증 구조를 구비하는 액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JP7693074B2 (ja) エアロゾル吸引器
KR2024009684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JP2024081781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7717183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フィルムヒータ
JP7611390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3105781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
WO2022033976A2 (en) A battery modul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such battery module
CN118368997A (zh) 气溶胶生成装置的电源单元、气溶胶生成装置以及薄膜加热器
JP761140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7681115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7551925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7602641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CN113054721A (zh) 移动电源及充电组件
CN120302902A (zh) 用于气溶胶产生装置的供电单元和气溶胶产生装置
KR2024010041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KR20250115430A (ko)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용 전력 공급부 및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CN120322168A (zh) 用于气溶胶产生装置的供电单元和气溶胶产生装置
JP2024088750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2024161568A (ja) 非燃焼式吸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