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96177A -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6177A
KR20240096177A KR1020220178581A KR20220178581A KR20240096177A KR 20240096177 A KR20240096177 A KR 20240096177A KR 1020220178581 A KR1020220178581 A KR 1020220178581A KR 20220178581 A KR20220178581 A KR 20220178581A KR 20240096177 A KR20240096177 A KR 2024009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quick
block
male
hydraulic
fema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60067B1 (ko
Inventor
윤승훈
여한수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0067B1/ko
Publication of KR2024009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00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86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using adapters, i.e. additional element to mount between the coupler and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와 퀵 커플러의 커플링 결합시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 퀵 블록이 틸트 로테이터와 퀵 커플러의 결합시 서로 록킹 결합되도록 하고,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퀵 블록에 제1,2전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틸트 로테이터에 배치되는 수 유압퀵 블록과 퀵 커플러에 배치되는 암 유압퀵 블록에 암,수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제1,2전기 커넥터 결합부위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HYDRAULIC QUICK APPARATUS FOR COUPLING BLOCK}
본 발명은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틸트 로테이터와 퀵 커플러의 커플링 결합시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 퀵 블록이 틸트 로테이터와 퀵 커플러의 결합시 서로 록킹 결합되도록 하고,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퀵 블록에 제1,2전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틸트 로테이터에 배치되는 수 유압퀵 블록과 퀵 커플러에 배치되는 암 유압퀵 블록에 암,수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제1,2전기 커넥터 결합부위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67983호(2016년 10월 14일 등록)『멀티 커플러 연결장치』가 제시되어 있고, 다수개의 유압호스가 연결되는 다수개의 암커플러가 내측에 장착되고, 양측으로 회전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주변으로 각각 제1,2이동구멍이 형성된 수고정블럭과, 상기 제1이동구멍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가이드부재가 양측에 형성되고, 각 상기 암커플러가 걸리는 걸림구멍이 내측에 다수개 형성된 제1이동블럭과, 상기 제2이동구멍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가이드부재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암커플러를 마주보는 한쪽에는 다수개의 유압호스가 연결되고 걸림구멍을 통과하는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장착된 제2이동블럭과, 상기 수고정블럭의 양측으로회전부재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멍의 주변으로 각각 제1,2가이드부재를 안내하여 제1,2이동블럭을 각각 승강 해주는 제1,2가이드구멍이 형성된 핸들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재의 정/역회전으로 각각 제1,2이동블럭이 승강하여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동시에 연결 및 분리되며, 상기 수고정블럭은 회전부재의 주변으로 출몰구멍을 더 형성하고, 상기 출몰구멍에는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판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부재의 정회전으로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 연결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출몰구멍에서 걸림판이 돌출되어 핸들부재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핸들부재의 정/역회전으로 각각 제1,2이동블럭이 승강하여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동시에 연결 및 분리되고, 핸들부재의 정회전으로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연결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출몰구멍에서 돌출되는 걸림판에 핸들부재가 걸리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 및 많은 양의 유체 이동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핸들부재가 조금이라도 역회전하는 것을 막아주며, 암커플러의 스틸 볼에 수커플러의 걸림홈이 걸려서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 및 많은 양의 유체 이동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암커플러와 수커플러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고, 스틸 볼이 연결몸체의 내부를 향할수록 안내구멍에 걸리고, 연결몸체의 외부를 향할수록 안내구멍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다수개의 암커플러와 다수개의 수커플러가 신속하게 동시에 연결 및 분리되는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퀵커플러용 오일연결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9153호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등록일자 : 2019.09.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커플러를 갖고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수고정블럭을 구비한 고정블럭부에 복수개의 암커플러를 갖고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암고정블럭을 구비한 착탈블럭부로 구성하여 고정블럭부에서 복수개의 수커플러를 갖는 수고정블럭과 착탈블럭부에서 수개의 암커플러를 갖는 암고정블럭의 갯수를 하나에서 하나이상의 다수개로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확장하여 수커플러들과 암커플러들이 손쉽게 결합 및 이탈하도록 하고, 이 수커플러들과 암커플러들이 서로 결합 및 이탈시 암,수커플러들의 내부에 잔존되어 외부로 유출된 유압오일이 수커플러가 장착되고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설치공의 내부에 공급되어 수용되는 유압오일을 설치공과 수고정블럭에 형성된 유압오일배출부를 통해 설치공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한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는; 하부에 유압호스가 구비된 수커플러를 구비한 수고정블럭이 안착프레임상에 안착된 고정블럭부와, 상기 고정블럭부의 양측에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설치된 회동핸들부재와,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유압호스가 구비된 암커플러가 구비된 암고정블럭이 안착프레임상에 안착된 착탈블럭부로 구성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수커플러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공을 구비한 상기 수고정블럭은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되는 상기 암커플러가 설치되게 복수개의 설치결합공을 구비한 상기 암고정블럭은 상기 안착프레임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고정블럭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 구비된 수커플러와 암커플러가 서로 결합 및 이탈시 누출되어 배출되는 유압오일이 상기 설치공내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유압오일배출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기존 다른 선행기술로는 EP 유럽 특허 01999403 : 멀티 커플링 시스템 및 그에 관련된 방법"(등록일자 : 2014.04.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다수의 커플링 유닛을 포함하는 유압 커플링 장치를 포함한 작업 기계에 있는 기구 체인징을 위한 세미 매뉴얼 또는 자동 멀티 커플링 시스템, 홀더 블록 각각의 커플링 유니트가 홀더 블록에 각각의 커플링 유니트를 부착시키는 홀더 블록에서 배열된 각각의 관통홀 및 각각의 록너트에서 탑재된다.
위의 경우에는 홀더 블록이 이동실린더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어태치먼트 대상물의 수 고정홀더와 유체 커플링 동작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한 홀더 블록의 유체홀을 닫아서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더스트 커버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닫아두다가 사용시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개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런데, 기존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는 전기 접속을 위한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가 유압퀵 블록의 상측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지지를 위해 별도의 연결축이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부품 유지 관리 및 공간 활용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부품 손상의 우려가 있다.
이하의 상기 커플링용 오일퀵장치는 틸트 로테이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9153호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등록일자 : 2019.09.30) EP 유럽 특허 01999403 : 멀티 커플링 시스템 및 그에 관련된 방법"(등록일자 : 2014.04.2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틸트 로테이터와 퀵 커플러의 커플링 결합시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 퀵 블록이 틸트 로테이터와 퀵 커플러의 결합시 서로 록킹 결합되도록 하고,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퀵 블록에 제1,2전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틸트 로테이터에 배치되는 수 유압퀵 블록과 퀵 커플러에 배치되는 암 유압퀵 블록에 암,수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제1,2전기 커넥터 결합부위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유압 퀵이 철(凸)부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수 유압퀵 블록과; 퀵 커플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유압 퀵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요(凹)부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유압 퀵이 마련되는 암 유압퀵 블록과; 상기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퀵 블록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수 유압퀵 블록에 마련되고 상기 제1유압 퀵과 동일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철부 형태로 배치되는 제1전기 커넥터; 및 상기 암 유압퀵 블록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전기 커넥터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전기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 유압퀵 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암 유압퀵 블록과의 결합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범퍼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 유압퀵 블록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암 유압퀵 블록의 좌,우 양측에 요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부가 내측으로 진입되는 가이드홈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퀵 블록의 결합시 상기 제1,2전기 커넥터를 밀폐시키는 기밀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제1전기 커넥터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에 지지되고 상기 제1전기 커넥터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며 자체 탄성을 갖는 패킹부재, 및 상기 암 유압퀵 블록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유압퀵 블록과의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갖는 둘레턱부를 구비한다.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제1전기 커넥터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측으로 틈새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암 유압퀵 블록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유압퀵 블록과의 결합시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끼움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와 퀵 커플러의 연결작업 중에 수 유압퀵 블록과 암 유압퀵 블록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2전기 커넥터를 배치함에 따라, 제1,2전기 커넥터를 위한 별도의 지지구조물없이 수,암 유압퀵 블록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제1,2전기 커넥터의 결합방식도 실린더를 이용한 암 유압퀵 블록의 전진동작시 제1,2유압 퀵의 결합과 같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2유압 퀵과 제1,2전기 커넥터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수단을 이용하여 제1,2전기 커넥터의 결합부위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빗물이나 오일 등의 외부 이물질이 제2전기 커넥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전기적 고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 유압퀵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암 유압퀵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암,수 유압퀵 블록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기밀수단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기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틸트 로테이터(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유압 퀵(110)이 철(凸)부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수 유압퀵 블록(100)과; 퀵 커플러(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유압 퀵(110)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요(凹)부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유압 퀵(210)이 마련되는 암 유압퀵 블록(200)과;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에 마련되고 상기 제1유압 퀵(110)과 동일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철부 형태로 배치되는 제1전기 커넥터(120); 및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전기 커넥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틸트 로테이터(10)는 상부에 퀵 커플러(20)가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건설용 어태치먼트장비(미도시)가 로테이팅 회전 및 틸팅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틸트 로테이터(10)의 좌,우측 측판(11,12) 사이의 내측에 수 유압퀵 블록(100)이 배치된다.
상기 퀵 커플러(20)는 상부에 굴삭기 붐대(미도시)가 연결되어 굴삭기 붐대와 틸트 로테이터(10)를 연결하는 연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유압 퀵(110)이 일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전기 커넥터(120)가 철(凸)부 형태로 상기 복수의 제1유압 퀵(110)과 동일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일측면은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전진동작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 완충시키기 위해 범퍼부재(1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트 로테이터(10)와의 결합시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에 대응되는 위치인 퀵 커플러(2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00)의 전진 동작시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실린더(400)의 전진 동작시 상기 제1유압 퀵(110)이 진입되어 결합되도록 요(凹)부 형태의 제2유압 퀵(210)이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가 진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요부 형태의 제2전기 커넥터(220)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돌부(310)와,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좌,우 양측에 요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부(310)가 내측으로 진입되는 가이드홈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제1,2전기 커넥터(120,220)를 밀폐시키는 기밀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기밀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턱(410)과, 상기 지지턱(410)에 지지되고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며 자체 탄성을 갖는 패킹부재(420), 및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의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42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432)을 갖는 둘레턱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패킹부재(420)는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둘레턱부(430)의 수용홈(432)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고, 외력이 해소될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해 형태가 복원되는 탄성 소재(일 예로 고무)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턱(410)은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42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둘레턱부(430)는 상기 수용홈(432)과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 경계 테두리 부위를 따라 원형 고리 형태로 돌출된 경계턱(43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턱(434)은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측으로 돌출되어 외부 이물질이 쉽게 제1,2전기 커넥터(120,220)의 결합 부위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420)가 상기 수용홈(432) 내에 수용됨에 따라 상호 연결된 제1,2전기 커넥터(120,22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제1,2유압 퀵(110,210)의 연결부위로부터 오일이 누유되거나 외부의 빗물이 제1,2전기 커넥터(120,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둘레턱부(430)는 상기 수용홈(432)이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32)이 형성된 부위의 외측 둘레가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빗물 또는 오일이 수용홈(43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기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측으로 틈새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끼움부(440)와,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의 결합시 상기 끼움부(440)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끼움공(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440)는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가 상기 제2전기 커넥터(22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끼움공(450) 내부로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440)와 끼움공(450)의 결합구조로 인해 외부의 빗물이나 오일이 제1,2전기 커넥터(120,2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공(45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끼움부(440)의 진입시 상기 끼움부(440)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는 O링 형태의 패킹재(46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10)의 상부에 퀵 커플러(20)가 안착되도록 결합시키고, 실린더(400)를 이용하여 암 유압퀵 블록(200)을 수 유압퀵 블록(100)측으로 전진 동작시키면, 수 유압퀵 블록(100)에 배치된 가이드돌부(310)가 암 유압퀵 블록(200)의 가이드홈부(320) 내에 진입되면서 전진 동작되는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전진 동작은 제1유압 퀵(110)을 제2유압 퀵(210)의 내측으로 진입시켜 유압을 연결함과 아울러, 제1전기 커넥터(120)를 제2전기 커넥터(220)의 내측으로 진입시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압 퀵(110)은 복수개가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가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제2유압 퀵(210)과 제2전기 커넥터(220)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2전기 커넥터(120,220)는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결합부위가 기밀수단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빗물이나 누유된 오일이 제2전기 커넥터(2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후에, 굴삭기 붐대와 연결된 퀵 커플러(20)를 이용하여 틸트 로테이터(10)를 상기 굴삭기 붐대에 연결하여 굴삭기 붐대로부터 유압 및 전기적 신호를 틸트 로테이터(10)측으로 전달하여 틸트 로테이터(10)의 로테이팅 동작 및 틸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틸트 로테이터(10)의 하부에 배치된 건설용 어태치먼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기밀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턱(410)에 지지된 패킹부재(420)가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둘레턱부(430)의 수용홈(432) 내에 진입되고, 상기 수용홈(432)과 밀착되는 패킹부재(420)에 의해 외부의 빗물이나 오일이 제1전기 커넥터(120)의 단부가 진입된 제2전기 커넥터(2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의 침투로 인한 전기적인 고장 요인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기밀수단의 다른 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압 퀵(11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부(440)와,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440)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끼움공(45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끼움공(450) 내에 끼움부(440)가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외부의 빗물이나 오일이 제1전기 커넥터(120)의 단부가 진입된 제2전기 커넥터(2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의 침투로 인한 전기적인 고장 요인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10)와 퀵 커플러(20)의 연결작업 중에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2전기 커넥터(120,220)를 배치함에 따라, 제1,2전기 커넥터(120,220)를 위한 별도의 지지구조물없이 수,암 유압퀵 블록(200)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제1,2전기 커넥터(120,220)가 실린더(400)를 이용한 암 유압퀵 블록(200)의 전진동작시 제1,2유압 퀵(110,210)의 결합과 같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2유압 퀵(110,210)과 제1,2전기 커넥터(120,220)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수단을 이용하여 제1,2전기 커넥터(120,220)의 결합부위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빗물이나 오일 등의 외부 이물질이 제2전기 커넥터(2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전기적 고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틸트 로테이터 11,12 : 좌,우측 측판
20 : 퀵 커플러 100 : 수 유압퀵 블록
110 : 제1유압 퀵 120 : 제1전기 커넥터
150 : 범퍼부재 200 : 암 유압퀵 블록
210 : 제2유압 퀵 220 : 제2전기 커넥터
310 : 가이드돌부 320 : 가이드홈부
410 : 지지턱 420 : 패킹부재
430 ; 둘레턱부 432 : 수용홈
434 : 경계턱 440 : 끼움부
450 : 끼움공 460 : 패킹재

Claims (6)

  1. 틸트 로테이터(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유압 퀵(110)이 철(凸)부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수 유압퀵 블록(100)과;
    퀵 커플러(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유압 퀵(110)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요(凹)부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유압 퀵(210)이 마련되며 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측으로 이동 가능한 암 유압퀵 블록(200)과;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에 마련되고 상기 제1유압 퀵(110)과 동일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철부 형태로 배치되는 제1전기 커넥터(120); 및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전기 커넥터(2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에 배치되고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과의 결합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범퍼부재(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돌부(310)와,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좌,우 양측에 요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부(310)가 내측으로 진입되는 가이드홈부(3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 암 유압퀵 블록(200)의 결합시 상기 제1,2전기 커넥터(120,220)를 밀폐시키는 기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턱(410)과,
    상기 지지턱(410)에 지지되고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며 자체 탄성을 갖는 패킹부재(420), 및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의 결합시 상기 패킹부재(42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432)을 갖는 둘레턱부(4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제1전기 커넥터(120)의 단부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측으로 틈새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끼움부(440)와,
    상기 암 유압퀵 블록(2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유압퀵 블록(100)과의 결합시 상기 끼움부(440)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끼움공(4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KR1020220178581A 2022-12-19 2022-12-19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Active KR10276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581A KR102760067B1 (ko) 2022-12-19 2022-12-19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581A KR102760067B1 (ko) 2022-12-19 2022-12-19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6177A true KR20240096177A (ko) 2024-06-26
KR102760067B1 KR102760067B1 (ko) 2025-02-03

Family

ID=9168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581A Active KR102760067B1 (ko) 2022-12-19 2022-12-19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00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584B1 (ko) * 1995-05-08 2002-11-23 베오 하이드라우릭 아베 신속착탈식커플링과,그조립방법및장치
EP1999403A1 (en) 2006-03-16 2008-12-10 Oilquick AB Hydraulic coupling device and components and mehtod related thereto
KR20120000394A (ko) * 2010-06-25 2012-01-02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KR102029153B1 (ko) 2018-02-08 2019-10-07 (주)태성공업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KR102226955B1 (ko) * 2020-09-18 2021-03-11 유제록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 연결 장치용 유압라인 자동 연결장치
KR102237537B1 (ko) * 2020-09-15 2021-04-07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체인지 디바이스
KR20210127331A (ko) * 2020-04-14 2021-10-2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체인지 유압 커플링블록용 덮개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584B1 (ko) * 1995-05-08 2002-11-23 베오 하이드라우릭 아베 신속착탈식커플링과,그조립방법및장치
EP1999403A1 (en) 2006-03-16 2008-12-10 Oilquick AB Hydraulic coupling device and components and mehtod related thereto
KR20120000394A (ko) * 2010-06-25 2012-01-02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KR102029153B1 (ko) 2018-02-08 2019-10-07 (주)태성공업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KR20210127331A (ko) * 2020-04-14 2021-10-2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체인지 유압 커플링블록용 덮개개폐장치
KR102237537B1 (ko) * 2020-09-15 2021-04-07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체인지 디바이스
KR102226955B1 (ko) * 2020-09-18 2021-03-11 유제록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 연결 장치용 유압라인 자동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0067B1 (ko) 202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138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машины с соеди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7686563B2 (en) Coupling apparatus for releasably coupling hydraulically powered work implements to a work vehicle
RU2430215C2 (ru) Безударно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 клином и с-образным зажимом
AU2009320503C1 (en) Improvements to work attachment assemblies
US6428265B1 (en) Power coupling mounting for a quick-disconnect coupling on a heavy-duty machine
US8007197B2 (en) Coupler device to connect bucket or tool to boom arm
KR20130142003A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KR101665663B1 (ko) 퀵 커플러의 2중 안전장치
CA2671240A1 (en) Hydraulic connection
KR20240096177A (ko) 커플링블록용 유압 퀵장치
CN110820820A (zh) 一种挖掘机用附属装置耦合连接器
KR102226955B1 (ko)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 연결 장치용 유압라인 자동 연결장치
ITMI20130236U1 (it) Sistema di lavaggio di martello frantumatore
US3821859A (en) Dredge ladder shock mounting arrangements
KR101119181B1 (ko) 유압호스용 자동 링크 장치
KR102029153B1 (ko)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CA2815032C (en) Coupler-assembly for attaching bucket or the like to articulating arm
KR102597983B1 (ko) 자동 오일퀵 시스템
US9222235B2 (en) Coupler-assembly for attaching bucket or the like to articulating arm
JP4935301B2 (ja) 油圧配管の圧抜き装置及び油圧配管構造
KR101739779B1 (ko) 굴삭기의 스마트 집게용 처짐방지장치
KR101369120B1 (ko) 굴삭기의 부착장비를 위한 유압배관 자동연결 장치
WO2023163672A1 (en) Quick automatic attachment replacement apparatus
EP4266855A1 (en) Quick automatic attachment replacement apparatus
CN211472623U (zh) 一种挖斗快速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