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5076A -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5076A KR20240095076A KR1020230184732A KR20230184732A KR20240095076A KR 20240095076 A KR20240095076 A KR 20240095076A KR 1020230184732 A KR1020230184732 A KR 1020230184732A KR 20230184732 A KR20230184732 A KR 20230184732A KR 20240095076 A KR20240095076 A KR 202400950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stained
- release
- plga
- glp
- microspher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13268 sustained releas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12730 sustained-release for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04005 microsphe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29940089838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3877 glucagon 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29920001606 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3405 delayed action prepar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DLSWIYLPEUIQAV-UHFFFAOYSA-N Semaglutide Chemical group CCC(C)C(NC(=O)C(Cc1ccccc1)NC(=O)C(CCC(O)=O)NC(=O)C(CCCCNC(=O)COCCOCCNC(=O)COCCOCCNC(=O)CCC(NC(=O)CCCCCCCCCCCCCCCCC(O)=O)C(O)=O)NC(=O)C(C)NC(=O)C(C)NC(=O)C(CCC(N)=O)NC(=O)CNC(=O)C(CCC(O)=O)NC(=O)C(CC(C)C)NC(=O)C(Cc1ccc(O)cc1)NC(=O)C(CO)NC(=O)C(CO)NC(=O)C(NC(=O)C(CC(O)=O)NC(=O)C(CO)NC(=O)C(NC(=O)C(Cc1ccccc1)NC(=O)C(NC(=O)CNC(=O)C(CCC(O)=O)NC(=O)C(C)(C)NC(=O)C(N)Cc1cnc[nH]1)C(C)O)C(C)O)C(C)C)C(=O)NC(C)C(=O)NC(Cc1c[nH]c2ccccc12)C(=O)NC(CC(C)C)C(=O)NC(C(C)C)C(=O)NC(CCCNC(N)=N)C(=O)NCC(=O)NC(CCCNC(N)=N)C(=O)NCC(O)=O DLSWIYLPEUIQA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5
- 108010060325 semaglutid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29950011186 semaglut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RKDVKSZUMVYZHH-UHFFFAOYSA-N 1,4-dioxane-2,5-dione Chemical compound O=C1COC(=O)CO1 RKDVKSZUMVYZH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JJTUDXZGHPGLLC-UHFFFAOYSA-N lactide Chemical compound CC1OC(=O)C(C)OC1=O JJTUDXZGHPGLL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8000014644 Brai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60000583 acet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309715 mini pig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362 glacial ace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08338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6010053219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24827 Alzheime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20406 Creutzfeldt Jacob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3407 Creutzfeldt-Jakob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10859 Creutzfeldt-Jakob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23105 Huntingt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18737 Parkins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02026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6417 multiple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BVHLGVCQOALMSV-JEDNCBNOSA-N L-lys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CCCC[C@H](N)C(O)=O BVHLGVCQOALMSV-JEDNCBNOSA-N 0.000 description 6
- -1 genticinat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647 drug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5337 lys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8010011459 Exena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HTQBXNHDCUEHJF-XWLPCZSASA-N Exenat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H](C)CC)C(=O)N[C@@H](CCC(O)=O)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N)C(=O)N[C@@H](CC(N)=O)C(=O)NCC(=O)NCC(=O)N1[C@@H](CCC1)C(=O)N[C@@H](CO)C(=O)N[C@@H](CO)C(=O)NCC(=O)N[C@@H](C)C(=O)N1[C@@H](CCC1)C(=O)N1[C@@H](CCC1)C(=O)N1[C@@H](CCC1)C(=O)N[C@@H](CO)C(N)=O)NC(=O)[C@H](CC(C)C)NC(=O)[C@H](CCCNC(N)=N)NC(=O)[C@@H](NC(=O)[C@H](C)NC(=O)[C@H](CCC(O)=O)NC(=O)[C@H](CCC(O)=O)NC(=O)[C@H](CCC(O)=O)NC(=O)[C@H](CCSC)NC(=O)[C@H](CCC(N)=O)NC(=O)[C@H](CCCCN)NC(=O)[C@H](CO)NC(=O)[C@H](CC(C)C)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HTQBXNHDCUEHJF-XWLPCZSASA-N 0.000 description 3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8010005794 dulaglu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200 high fat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646 lys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977 lys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72 mouse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3016 Hypoglyc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9598 Liraglu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YSDQQAXHVYUZIW-QCIJIYAXSA-N Liraglut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C(O)=O)C(=O)NCC(=O)N[C@@H](CCC(N)=O)C(=O)N[C@@H](C)C(=O)N[C@@H](C)C(=O)N[C@@H](CCCCNC(=O)CC[C@H](NC(=O)CCCCCCCCCCCCCCC)C(O)=O)C(=O)N[C@@H](CCC(O)=O)C(=O)N[C@@H](CC=1C=CC=CC=1)C(=O)N[C@@H]([C@@H](C)CC)C(=O)N[C@@H](C)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O)N[C@@H](CCCNC(N)=N)C(=O)NCC(=O)N[C@@H](CCCNC(N)=N)C(=O)NCC(O)=O)NC(=O)[C@H](CO)NC(=O)[C@H](CO)NC(=O)[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H](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O)C=C1 YSDQQAXHVYUZIW-QCIJIYAX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QWCKQJZIFLGMSD-UHFFFAOYSA-N alpha-amino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N)C(O)=O QWCKQJZIFLGM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579 anti-obes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8 biodegrada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21 biodegradable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175 dulaglut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519 exenat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18 hypoglyca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31 jugular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94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701 liraglut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9 long acting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SPHULWDVZXLIL-UHFFFAOYSA-N (+/-)-Cam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O)=O)CCC1(C)C(O)=O LSPHULWDVZXLI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EKUUBPJRPXMBM-PTCFZACGSA-N (2S)-5-[[(5S)-5-[[(2S)-2-[[(2S)-2-[[(2S,3R)-2-[[(2S)-2-[[(2S,3R)-2-[[2-[[(2S)-5-amino-2-[[(2S)-2-[[(2S)-2-amino-3-(1H-imidazol-4-yl)propanoyl]amino]-3-hydroxypropanoyl]amino]-5-oxopentanoyl]amino]acetyl]amino]-3-hydroxybutanoyl]amino]-3-phenylpropanoyl]amino]-3-hydroxybutanoyl]amino]-3-hydroxypropanoyl]amino]-3-carboxypropanoyl]amino]-6-[[(2S)-1-[[(2S)-1-[[(2S)-1-[[(2S)-1-[[(2S)-1-[[(2S)-1-[[(2S)-1-[[(2S)-5-carbamimidamido-1-[[(2S)-1-[[(2S)-5-carbamimidamido-1-[[(2S)-3-carboxy-1-[[(2S)-1-[[(2S)-1-[[(2S)-1-[[(2S)-1-[[(2S)-1-[[(2S)-4-carboxy-1-[[(2S)-1-[[2-(carboxymethylamino)-2-oxoethyl]amino]-1-oxopropan-2-yl]amino]-1-oxobutan-2-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3-(1H-indol-3-yl)-1-oxopropan-2-yl]amino]-1-oxopropan-2-yl]amino]-3-methyl-1-oxobutan-2-yl]amino]-1-oxo-3-phenylpropan-2-yl]amino]-1-oxopropan-2-yl]amino]-1-oxopentan-2-yl]amino]-1-oxopropan-2-yl]amino]-1-oxopentan-2-yl]amino]-4-carboxy-1-oxobutan-2-yl]amino]-3-hydroxy-1-oxopropan-2-yl]amino]-3-carboxy-1-oxopropan-2-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3-(4-hydroxyphenyl)-1-oxopropan-2-yl]amino]-4-carboxy-1-oxobutan-2-yl]amino]-3-hydroxy-1-oxopropan-2-yl]amino]-6-oxohexyl]amino]-2-(hexadecanoylamino)-5-oxo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N[C@@H](CCC(=O)NCCCC[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N)=O)NC(=O)[C@H](CO)NC(=O)[C@@H](N)Cc1c[nH]cn1)[C@@H](C)O)[C@@H](C)O)C(=O)N[C@@H](CO)C(=O)N[C@@H](CCC(O)=O)C(=O)N[C@@H](Cc1ccc(O)cc1)C(=O)N[C@@H](CC(C)C)C(=O)N[C@@H](CC(O)=O)C(=O)N[C@@H](CO)C(=O)N[C@@H](CCC(O)=O)C(=O)N[C@@H](CCCNC(N)=N)C(=O)N[C@@H](C)C(=O)N[C@@H](CCCNC(N)=N)C(=O)N[C@@H](CC(O)=O)C(=O)N[C@@H](Cc1ccccc1)C(=O)N[C@@H](C(C)C)C(=O)N[C@@H](C)C(=O)N[C@@H](Cc1c[nH]c2ccccc12)C(=O)N[C@@H](CC(C)C)C(=O)N[C@@H](CCC(O)=O)C(=O)N[C@@H](C)C(=O)NCC(=O)NCC(O)=O)C(O)=O YEKUUBPJRPXMBM-PTCFZACGSA-N 0.000 description 1
- PJRSUKFWFKUDTH-JWDJOUOUSA-N (2s)-6-amino-2-[[2-[[(2s)-2-[[(2s,3s)-2-[[(2s)-2-[[2-[[(2s)-2-[[(2s)-6-amino-2-[[(2s)-2-[[(2s)-2-[[(2s)-2-[(2-aminoacetyl)amino]-4-methylsulfanylbutanoyl]amino]propanoyl]amino]-3-hydroxypropanoyl]amino]hexanoyl]amino]propanoyl]amino]acetyl]amino]propanoyl Chemical compound CSCC[C@H](NC(=O)CN)C(=O)N[C@@H](C)C(=O)N[C@@H](CO)C(=O)N[C@@H](CCCCN)C(=O)N[C@@H](C)C(=O)NCC(=O)N[C@@H](C)C(=O)N[C@@H]([C@@H](C)CC)C(=O)N[C@@H](C)C(=O)NCC(=O)N[C@@H](CCCCN)C(=O)N[C@@H]([C@@H](C)CC)C(=O)N[C@@H](C)C(=O)N[C@@H](CCCCN)C(=O)N[C@@H](C(C)C)C(=O)N[C@@H](C)C(=O)N[C@@H](CC(C)C)C(=O)N[C@@H](CCCCN)C(=O)N[C@@H](C)C(=O)N[C@@H](CC(C)C)C(N)=O PJRSUKFWFKUDTH-JWDJOUOUSA-N 0.000 description 1
- GHOKWGTUZJEAQD-ZETCQYMHSA-N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C)(C)[C@@H](O)C(=O)NCCC(O)=O GHOKWGTUZJEAQD-ZETCQYMHSA-N 0.000 description 1
- QKRMFCXDTFLKKT-UHFFFAOYSA-N 2-hydroxy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S(O)(=O)=O.OCCS(O)(=O)=O QKRMFCXDTFLKK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0296 2-naphthal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UHFFFAOYSA-M 3-carboxy-2,3-dihydroxypropanoate Chemical compound OC(=O)C(O)C(O)C([O-])=O FEWJPZIEWOKRB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XMIIGOLPHOKFCH-UHFFFAOYSA-M 3-phenylpropionate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1 XMIIGOLPHOKF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WLAMJPTOQZTAE-UHFFFAOYSA-N 4-[2-[(5-chloro-2-methoxybenzoyl)amino]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C(Cl)C=C1C(=O)NCCC1=CC=C(C(O)=O)C=C1 SWLAMJPTOQZT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648 Body Weight Chang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ERIUCNNQQJTOY-UHFFFAOYSA-M Butyrate Chemical compound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ERIUCNNQQJTOY-UHFFFAOYSA-N Butyric acid Natural products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KRKNYBCHXYNGOX-UHFFFAOYSA-K Citrate Chemical compound [O-]C(=O)CC(O)(CC([O-])=O)C([O-])=O KRKNYBCHXYNGO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170 Congenital Abnormalit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SLZVSRJTYRBFB-LLEIAEIESA-N D-gluc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H](O)[C@@H](O)C(O)=O DSLZVSRJTYRBFB-LLEIAEIESA-N 0.000 description 1
- RGHNJXZEOKUKBD-SQOUGZDYSA-M D-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M 0.000 description 1
- AEMOLEFTQBMNLQ-AQKNRBDQSA-N D-glucopyranur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O[C@H](C(O)=O)[C@@H](O)[C@H](O)[C@H]1O AEMOLEFTQBMNLQ-AQKNRBDQSA-N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55 Er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4675 Er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11 Eye Abnormalit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DAGIHXWWSANSR-UHFFFAOYSA-M Formate Chemical compound [O-]C=O BDAGIHXWWSANSR-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800004266 Glucagon-like peptide 1(7-37)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843 H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500028774 Homo sapiens Glucagon-like peptid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500028773 Homo sapiens Glucagon-like peptide 1(7-37)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PELXLSAUQHCOX-UHFFFAOYSA-N Hydrogen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580 Increased body 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2199 Insulin secretagogue Drug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M Lactate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XVVOERDUTLJJHN-UHFFFAOYSA-N Lixisenatide Chemical compound C=1NC2=CC=CC=C2C=1CC(C(=O)NC(CC(C)C)C(=O)NC(CCCCN)C(=O)NC(CC(N)=O)C(=O)NCC(=O)NCC(=O)N1C(CCC1)C(=O)NC(CO)C(=O)NC(CO)C(=O)NCC(=O)NC(C)C(=O)N1C(CCC1)C(=O)N1C(CCC1)C(=O)NC(CO)C(=O)NC(CCCCN)C(=O)NC(CCCCN)C(=O)NC(CCCCN)C(=O)NC(CCCCN)C(=O)NC(CCCCN)C(=O)NC(CCCCN)C(N)=O)NC(=O)C(CCC(O)=O)NC(=O)C(C(C)CC)NC(=O)C(NC(=O)C(CC(C)C)NC(=O)C(CCCNC(N)=N)NC(=O)C(NC(=O)C(C)NC(=O)C(CCC(O)=O)NC(=O)C(CCC(O)=O)NC(=O)C(CCC(O)=O)NC(=O)C(CCSC)NC(=O)C(CCC(N)=O)NC(=O)C(CCCCN)NC(=O)C(CO)NC(=O)C(CC(C)C)NC(=O)C(CC(O)=O)NC(=O)C(CO)NC(=O)C(NC(=O)C(CC=1C=CC=CC=1)NC(=O)C(NC(=O)CNC(=O)C(CCC(O)=O)NC(=O)CNC(=O)C(N)CC=1NC=NC=1)C(C)O)C(C)O)C(C)C)CC1=CC=CC=C1 XVVOERDUTLJJ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FVFQIVMOAPDHO-UHFFFAOYSA-N M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S(O)(=O)=O AFVFQIVMOAPDH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UBZPKHOEPUJKR-UHFFFAOYSA-N Ox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O MUBZPKHOEPUJ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BDQKXXYIPTUBI-UHFFFAOYSA-M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2 Student's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389 Sulfonylurea Drugs 0.000 description 1
- ZMZDMBWJUHKJPS-UHFFFAOYSA-M Thiocyanate anion Chemical compound [S-]C#N ZMZDMBWJUHKJP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2663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33 albiglut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OGWAVGNOAMXIIM-UHFFFAOYSA-N albiglutide Chemical compound O=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O)C(N)CC=1(N=CNC=1))CCC(=O)O)C(O)C)CC2(=CC=CC=C2))C(O)C)CO)CC(=O)O)C(C)C)CO)CO)CC3(=CC=C(O)C=C3))CC(C)C)CCC(=O)O)CCC(=O)N)C)C)CCCCN)CCC(=O)O)CC4(=CC=CC=C4))C(CC)C)C)CC=6(C5(=C(C=CC=C5)NC=6)))CC(C)C)C(C)C)CCCCN)CCCNC(=N)N OGWAVGNOAMXI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WUCVROLDVIAJX-UHFFFAOYSA-N alpha-glycerophosphate Natural products OCC(O)COP(O)(O)=O AWUCVROLDVIA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107 asc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MIIGOLPHOKFCH-UHFFFAOYSA-N beta-phenylprop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XMIIGOLPHOKF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158 bleed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79 body weight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4891 byetta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700007784 cagrilin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2978 cagrilint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MIOPJNTWMNEORI-UHFFFAOYSA-N camphor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CS(O)(=O)=O)C(=O)CC1C2(C)C MIOPJNTWMNEO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1468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205 cotadu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426 cotadut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CIVGXIOQKPBKL-UHFFFAOYSA-M etha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CS([O-])(=O)=O CCIVGXIOQKPBK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0411 fuma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0410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042 glucur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12 glutamat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MNWFXJYAOYHMED-UHFFFAOYSA-N hep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O)=O MNWFXJYAOYHME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MBWDFGMSWQBCA-UHFFFAOYSA-N hydrogen iodide Chemical compound I XMBWDFGMSWQB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MZDMBWJUHKJPS-UHFFFAOYSA-N hydrogen thiocyanate Natural products SC#N ZMZDMBWJUHKJ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M hydrogen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TWBYWOBDOCUKOW-UHFFFAOYSA-M isonicotinate Chemical compound [O-]C(=O)C1=CC=NC=C1 TWBYWOBDOCUKO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01447 lac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093 lixisenat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4367 lixisena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4994 meglitin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VBGVZZKJNLNJU-UHFFFAOYSA-M naphthalene-2-sulfonate Chemical compound C1=CC=CC2=CC(S(=O)(=O)[O-])=CC=C21 KVBGVZZKJNLN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22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90 normal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4662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1 pantoth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3 pantothe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1753 peptide-Gly-Leu-am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JRKICGRDRMAZLK-UHFFFAOYSA-L peroxydi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OS([O-])(=O)=O JRKICGRDRMAZL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075930 pic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OXNIZHLAWKMVMX-UHFFFAOYSA-M picrate anion Chemical compound [O-]C1=C([N+]([O-])=O)C=C([N+]([O-])=O)C=C1[N+]([O-])=O OXNIZHLAWKMVM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50010765 piva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IUGYQRQAERSCNH-UHFFFAOYSA-N piva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IUGYQRQAERSC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CYXWQUSHADNBF-AAEALURTSA-N preproglucagon 78-108 Chemical compound C([C@@H](C(=O)N[C@@H]([C@@H](C)CC)C(=O)N[C@@H](C)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O)N[C@@H](CCCCN)C(=O)NCC(=O)N[C@@H](CCCNC(N)=N)C(=O)NCC(O)=O)NC(=O)[C@H](CCC(O)=O)NC(=O)[C@H](CCCCN)NC(=O)[C@H](C)NC(=O)[C@H](C)NC(=O)[C@H](CCC(N)=O)NC(=O)CNC(=O)[C@H](CCC(O)=O)NC(=O)[C@H](CC(C)C)NC(=O)[C@H](CC=1C=CC(O)=CC=1)NC(=O)[C@H](CO)NC(=O)[C@H](CO)NC(=O)[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H](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GCYXWQUSHADNBF-AAEALURT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42 quaternary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8700027806 rGLP-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GSDEFSMJLZEOE-UHFFFAOYSA-M salicylate Chemical compound OC1=CC=CC=C1C([O-])=O YGSDEFSMJLZEO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60 salic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AWUCVROLDVIAJX-GSVOUGTGSA-N sn-glycerol 3-phosphate Chemical compound OC[C@@H](O)COP(O)(O)=O AWUCVROLDVIAJX-GSVOUGTG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53 sprague-dawley rat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UHFFFAOYSA-L succinate(2-)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YROXIXLRRCOBKF-UHFFFAOYSA-N sulfonylurea Chemical class OC(=N)N=S(=O)=O YROXIXLRRCOB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3 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64 tar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TSOGEDATSQOAF-SMAAHMJQSA-N tirzepatide Chemical group CC[C@H](C)[C@@H](C(N[C@@H](C)C(N[C@@H](CCC(N)=O)C(N[C@@H](CCCCNC(COCCOCCNC(COCCOCCNC(CC[C@H](C(O)=O)NC(CCCCCCCCCCCCCCCCCCC(O)=O)=O)=O)=O)=O)C(N[C@@H](C)C(N[C@@H](CC1=CC=CC=C1)C(N[C@@H](C(C)C)C(N[C@@H](CCC(N)=O)C(N[C@@H](CC1=CNC2=C1C=CC=C2)C(N[C@@H](CC(C)C)C(N[C@@H]([C@@H](C)CC)C(N[C@@H](C)C(NCC(NCC(N(CCC1)[C@@H]1C(N[C@@H](CO)C(N[C@@H](CO)C(NCC(N[C@@H](C)C(N(CCC1)[C@@H]1C(N(CCC1)[C@@H]1C(N(CCC1)[C@@H]1C(N[C@@H](CO)C(N)=O)=O)=O)=O)=O)=O)=O)=O)=O)=O)=O)=O)=O)=O)=O)=O)=O)=O)=O)=O)=O)=O)=O)NC([C@H](CCCCN)NC([C@H](CC(O)=O)NC([C@H](CC(C)C)NC(C(C)(C)NC([C@H]([C@@H](C)CC)NC([C@H](CO)NC([C@H](CC(C=C1)=CC=C1O)NC([C@H](CC(O)=O)NC([C@H](CO)NC([C@H]([C@@H](C)O)NC([C@H](CC1=CC=CC=C1)NC([C@H]([C@@H](C)O)NC(CNC([C@H](CCC(O)=O)NC(C(C)(C)NC([C@H](CC(C=C1)=CC=C1O)N)=O)=O)=O)=O)=O)=O)=O)=O)=O)=O)=O)=O)=O)=O)=O)=O BTSOGEDATSQOAF-SMAAHMJQ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512 tirzepat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4331 tirzepa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JOXIMZWYDAKGHI-UHFFFAOYSA-N toluene-4-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S(O)(=O)=O)C=C1 JOXIMZWYDAKG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3051 trulicity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72 type 2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서방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저점도 PLGA 1종 및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 dL/g인 고점도 PLGA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를 포함함으로써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 및 방출 지연 문제가 없고 장기간 지속 방출이 가능하며 생체이용률이 우수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들의 제조 방법과 당뇨,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작용제(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GLP-1 RA)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그룹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체중감소 효과, 고혈압, 저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의 경감 효과, 심혈관 보호 효과도 알려지면서 임상적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설포닐우레아 또는 메글리티니드와 같은 오래된 인슐린 분비 촉진제에 비해 저혈당을 유발할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주 주사를 해야하므로 장기간 투여가 필요한 만성질환 환자에게는 편의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약효지속형(long-acting) 의약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투여 주기가 보다 긴 의약품일수록 환자 편의성이 증가되어 시장 경쟁력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최초의 GLP-1 RA 의약품인 바이에타(엑세나타이드)는 1일 2회(twice-a-day) 투여하는 주사제이며, 이후 1일 1회(once-a-day) 투여하는 주사제인 빅토자(리라글루타이드)가 개발되어 시장을 주도하였고, 현재는 1주 1회(once-a-week) 주사제인 오젬픽(세마글루타이드), 트룰리시티(dulaglutide)와 같은 제품들이 대부분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GLP-1 RA 의약품의 큰 성공으로 인해 약효지속시간이 더욱 연장된 1개월 1회(once-a-month)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된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1주 1회 보다 투여 간격이 더 긴 약효지속형 의약품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장기간의 지속 방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한 서방형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제들의 경우 약물 방출 기간(duration) 연장 및 초기 과다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 방출이 더딘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데, 이로 인해 투여 후 상당 기간(짧게는 2-3주, 길게는 1개월 이상) 동안 약물이 거의 나오지 않거나 약물의 누적 방출률이 30% 이하로 저조한, 방출 지연 현상(lag phase)이 상당하게 나타나 약효의 공백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생체이용률이 우수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약물이 초기에 과다 방출(initial burst)되지 않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방출되면서도 방출 지연(lag phase) 문제가 없는 서방형 미립구 및 서방형 제제,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방형 미립구 또는 서방형 제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과 이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를 포함하고,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체 중량%의 3 내지 12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PLGA는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저점도 PLGA 1종 및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 dL/g인 고점도 PLGA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서방형 미립구를 제공한다.
상기 혼합물 내의 상기 저점도 PLGA 1종과 상기 고점도 PLGA 2종 이상의 중량비는 1: 0.2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터제파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고점도 PLGA 2종 이상은 락타이드 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45-55 : 45-55인 PLGA 1종 이상과 락타이드 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60-80 : 20-40인 PLGA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는 상기 서방형 미립구의 88 내지 9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방형 미립구는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를 빙초산에 용해시키고 초음파 분무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한 후 건조 공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휘발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분무 노즐의 주파수는 40 내지 80kHZ일 수 있다. 상기 서방형 미립구는 S.D 랫트에 또는 미니피그에 투여된 후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24시간 이내에 5% 미만으로 방출되고, 1주 이내에 10% 이상 또는 9일 이내에 20% 이상 또는 2주 이내에 50% 이상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서방형 미립구는 1개월 내지 3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서방형 미립구는 평균 입도가 15 내지 25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방형 미립구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방형 미립구 또는 서방형 제제를 포함하는 당뇨,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뇌졸중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내지 12 중량% 및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88 내지 97 중량%를 용매에 용해시켜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초음파 분무 노즐로 분사한 후 건조 공기로 상기 용매를 휘발시켜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는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저점도 PLGA 1종 및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 dL/g인 고점도 PLGA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서방형 미립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빙초산 또는 아세트산 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서방형 미립구를 폴리비닐알콜 및 라이신 염산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분산시킨 후 여과 및 세척한 후 회수하여 서방형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서방형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회수 후 D-만니톨 및 라이신염산염 용액에 현탁한 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는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이 없고 장기간 지속 방출이 가능하다. 또한, 방출 지연 문제가 없으며 생체이용률이 우수하고, 1개월 이상 간격으로 대상에 투여될 수 있어 환자의 투약 편의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10(도 1a, 1b, 1c) 및 비교예 1 내지 4(도 1d)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S.D. 랫트에 피하주사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의 혈중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S.D. 랫트에 피하주사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의 누적방출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미니피그에 피하주사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의 혈중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미니피그에 피하주사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의 누적방출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DIO 마우스 모델에 8주 동안 투여하면서 시간에 따른 체중 측정 결과(도 5a) 및 체중 증가율(도 5b)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DIO 마우스 모델에 8주 동안 투여하면서 시간에 따른 식이섭취량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S.D. 랫트에 피하주사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의 누적방출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미니피그에 피하주사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의 혈중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미니피그에 피하주사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의 누적방출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DIO 마우스 모델에 8주 동안 투여하면서 시간에 따른 체중 측정 결과(도 5a) 및 체중 증가율(도 5b)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DIO 마우스 모델에 8주 동안 투여하면서 시간에 따른 식이섭취량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서방형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저점도 PLGA 1종 및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 dL/g인 고점도 PLGA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를 포함함으로써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 및 방출 지연 문제가 없고 장기간 지속 방출이 가능하며 생체이용률이 우수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를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를 포함하고,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서방형 미립구의 3 내지 12 중량%로 포함되며,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는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저점도 PLGA 1종 및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 dL/g인 고점도 PLGA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서방형 미립구 및 서방형 제제를 제공한다.
GLP-1 수용체 작용제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작용제(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GLP-1 RA)를 의미한다.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엑세나타이드, 릭시세나타이드, 알비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리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터제파타이드, 레타트루타이드, 카그릴린타이드, 코타두타이드, 마즈두타이드 및 카그리세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이다. 세마글루타이드(NN9536)는 2개의 아미노산이 치환된(Ala8이 Aib8[2-아미노부티르산]으로, Lys34 가 Arg34로 치환된)을 갖는 인간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GLP-1(7-37)의 유사체이다. 세마글루타이드의 화학명은 N6,26-{18-[N-(17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L-γ-글루타밀]-10-옥소-3,6,12,15-테트라옥사-9,18-디아자옥타노일}-[8(2-아미노-2-프로판산), 34-L-아르기닌] 인간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7-37)이다. 세마글루타이드는 WO2006/097537의 실시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는 터제파타이드(tirzepatide)이다. 터제파타이드는 미국 특허 제9,474,780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 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임의의 염을 의미하며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일 수 있다.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예컨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질산염, 황산염, 중황산염, 인산염, 산성 인산염, 이소니코틴산염, 아세트산염, 젖산염, 살리실산염, 시트르산염, 주석산염, 판토텐산염, 중주석산염, 아스코르브산염, 숙신산염, 말레산염, 겐티시네이트, 푸마르산염, 글루콘산염, 글루쿠론산염, 당산염, 포름산염, 벤조산염, 글루탐산염, 메탄설폰산염, 에탄설폰산염, 벤젠설폰산염, p-톨루엔설포산염, 부티르산염, 캄포레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푸마르산염,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니코티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옥살레이트, 펙티네이트, 과황산염,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티오시안산염, 또는 중탄산염일 수 있다.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염기 부가염일 수 있다. 예컨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4차 암모늄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는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함께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를 포함한다.
서방형 미립구는 저점도 PLGA 1종과 고점도 PLGA 2종 이상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저점도 PLGA"는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PLGA를 의미한다.
"고점도 PLGA"는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dL/g인 PLGA를 의미한다. 고점도 PLGA는 적어도 2종 포함된다.
저점도 PGLA 및 고점도 PLGA는 1: 0.2 내지 5, 1: 0.2 내지 3, 1: 0.3 내지 5, 1: 0.3 내지 3, 1: 0.5 내지 5, 1: 0.5 내지 3, 1: 0.5 내지 2, 1: 1 내지 5, 1: 1 내지 3, 1: 1 내지 2.5, 1: 1.5 내지 2.5 또는 1: 1.8 내지 2.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점도 PLGA로 점도가 0.32 내지 0.44 dL/g인 PLGA 1종(고점도 PLGA-1)과 점도가 0.45 내지 0.60 dL/g인 PLGA 1종(고점도 PLGA-2)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서방형 미립구의 중량은 20 mg 내지 6,000 mg, 20 mg 내지 4,000 mg, 100 mg 내지 6,000 mg, 100 mg 내지 4,000 mg, 500 mg 내지 6,000 mg, 500 mg 내지 4,000 mg, 1,000 mg 내지 6,000 mg, 1,000 mg 내지 4,000 mg, 1,500 mg 내지 6,000 mg, 1,500 mg 내지 4,000 mg, 2,000 mg 내지 6,000 mg, 2,000 mg 내지 4,000 mg, 2,400 mg 내지 6,000 mg, 2,400 mg 내지 4,000 mg 또는 2,400 mg 내지 3,600 mg일 수 있다.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서방형 미립구의 3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3 중량% 이상 12중량% 미만, 3 중량% 이상 11.8 중량% 이하, 3 중량% 이상 10.8 중량% 이하, 3 중량% 이상 10.5 중량% 이하, 3 중량% 이상 10.2 중량% 이하,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상 9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고, 8 중량% 이상 12 중량% 미만, 8 중량% 이상 11.8 중량% 이하, 8 중량% 이상 10.8 중량% 이하, 8 중량% 이상 10.5 중량% 이하, 8 중량% 이상 10.2 중량% 이하, 8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또는 8 중량% 이상 9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12 중량% 미만, 5 중량% 이상 11.8 중량% 이하, 5 중량% 이상 10.8 중량% 이하, 5 중량% 이상 10.5 중량% 이하, 5 중량% 이상 10.2 중량% 이하,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상 9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미립구 또는 서방형 제제는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함량이 3 내지 12 중량%로 포함되는 경우, 생체이용률이 우수하고 1개월 이상의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초기 방출 억제의 관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서방형 미립구 내에 3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이용률 관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서방형 미립구 내에 5 내지 12 중량%, 또는 7 내지 1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방형 미립구에 고점도 PLGA 2종 이상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초기 방출량이 과도하게 많아질 수 있고, 저점도 PLGA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초기 방출량은 적지만 방출 지연(lag phase)이 길어질 수 있고 총 약물방출량이 적어져 생체이용률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는 저점도 PLGA 및 고점도 PLGA 2종 이상이 혼합된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저점도 PLGA 및 고점도 PLGA 2종 이상이 1: 0.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됨으로써,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점도 PLGA 및 고점도 PLGA 2종 이상이 1: 1.8 내지 2.2의 중량비로 혼합됨으로써,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초기 과다 방출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방출 지연(lag phase) 문제가 없으며 장기간 지속방출이 가능하고 생체이용률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PLGA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는 클로로포름에 0.1%(W/V)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25℃에서 우베로오데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점도이다.
저점도 PLGA는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40-80 : 20-6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은 예컨대 45-70 : 30-55, 55-70 : 30-45 또는 45-55 : 45-55이다.
저점도 PLGA 시판품은 Evonik사의 RG502, RG502H, RG752H 및 RG752S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RG502H를 PLGA50A로도 표기한다.
고점도 PLGA는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40-80 : 20-6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은 예컨대 40-75 : 25-60, 45-70 : 30-55, 55-70 : 30-45 또는 45-55 : 45-55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점도 PLGA로 락타이드 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45-55 : 45-55인 PLGA 1종과 락타이드 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60-80 : 20-40인 PLGA 1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점도 PLGA로 고점도 PLGA-1과 고점도 PLGA-2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점도 PLGA 시판품은 Evonik사의 RG503, RG503H, RG653H, RG753H, RG753S, RG504H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RG503H를 PLGA50B로도, RG504H를 PLGA50C로도, RG653H를 PLGA65B로도, RG753H를 PLGA75B로도 표기한다.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는 서방형 미립구 전체 중량%의 88 내지 9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제제는 유효성분 및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이외에 코팅 물질, 첨가제, 부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방형 제제는 3 내지 12 중량%의 세마글루타이드, 터제파타이드,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8 내지 97 중량%의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및 코팅 물질, 첨가제 또는 부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방형 미립구는 라이신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고, 서방형 미립구에 코팅된 라이신은 코팅전 서방형 미립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0.01 내지 3, 0.01 내지 1, 0.1 내지 1 중량부, 0.2 내지 0.8 또는 0.4 내지 0.6 중량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는 투여 대상에 따라 1회 투여로 1개월 이상 약효가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는 대상에 1개월, 1.5개월, 2개월, 2.5개월 또는 3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는 Sprague Dawley Rat(S.D Rat, S.D 랫트)에 투여된 후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24시간 이내에 5% 이하로 방출되며, 1주 이내에 10% 이상 또는 9일 이내에 20% 이상 또는 2주 이내에 50% 이상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 평균 입도(Mean Diameter)는 5 내지 50μm, 5 내지 40μm, 5 내지 30μm, 10 내지 50μm, 10 내지 40μm, 10 내지 30μm 10 내지 25μm, 15 내지 50μm, 15 내지 40μm, 15 내지 30μm 또는 15 내지 25μm일 수 있다.
서방형 미립구의 스팬 값(Span value)은 2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2, 0.1 내지 1.8, 0.3 내지 2, 0.3 내지 1.8, 0.5 내지 2, 0.5 내지 1.8, 0.8 내지 2, 0.8 내지 1.8, 1 내지 2, 1 내지 1.8 또는 1 내지 1.6 이다.
서방형 미립구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약제의 제형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와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는 폴리비닐알콜, 알부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호콜로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호콜로이드 물질은 GLP-1 수용체 작용제가 포함된 미립구의 간의 응집을 방지하고, 분산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호콜로이드는 서방형 제제 전체 중량 대비 0.02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서방형 미립구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를 포함하는 당뇨,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뇌졸중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서방형 미립구는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를 빙초산에 용해시키고 초음파 분무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한 후 건조 공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휘발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initial burst)이 없고 장기간 지속 방출이 가능하면서도 방출 지연(lag phase) 문제가 없고 생체이용률이 우수한 서방형 미립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의 제조 방법은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를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혼합용액을 건조하여 서방형 미립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방형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함께 용해되는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의 종류는 서방형 미립구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서방형 미립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GLP-1 수용체 작용제와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의 중량비는 제조된 서방형 미립구 내 GLP-1 수용체 작용제의 함량이 3 내지 12 중량%가 되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유기 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메틸에틸케톤, 탄소 수 1 내지 5의 알코올, 빙초산, 개미산, 다이메틸설폭시드, 및 n-메틸피롤리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빙초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혼합용액을 건조하여 미립구를 얻는 방법으로 분무 건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분무 건조법은 상기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가 용해된 혼합용액을 분무 건조기에 5 내지 20 mL/분, 5 내지 15 mL/분 또는 5 내지 10 mL/분의 유속으로 공급하고, 100 내지 200℃ 100 내지 150℃또는 120 내지 150℃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분무건조기의 주파수는 40 내지 80kHZ, 50 내지 70kHZ 또는 55 내지 75kHz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kHZ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용액을 건조하여 미립구를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건조된 미립구를 라이신염산염이 용해된 수용액에 현탁하여 라이신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신염산염이 용해된 수용액은 1%(W/V) 폴리비닐알콜이 더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방형 미립구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를 대상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뇌졸중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미립구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맥 투여, 피하 투여, 근육 투여, 복강내 투여 등과 같은 비경구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방형 미립구 또는 서방형 제제의 유효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질병의 종류 및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예컨대 유효성분양 기준 1 내지 30 mg/week 일 수 있다. 상기 분량을 한 번에 투여하거나, 분량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서방형 미립구의 제조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터제파타이드와 아래 표 1의 PLGA를 준비하였다.
구분 | Poly(D,L-lactide-co-glycolide)(LA:GA) | 고유점도(dL/g) |
저점도 PLGA | PLGA50A (50:50) | 0.16 - 0.24 |
고점도 PLGA-1 | PLGA50B (50:50) | 0.32 - 0.44 |
고점도 PLGA-1 | PLGA65B (65:35) | 0.32 - 0.44 |
고점도 PLGA-1 | PLGA75B (75:25) | 0.32 - 0.44 |
고점도 PLGA-2 | PLGA50C (50:50) | 0.45 - 0.60 |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터제파타이드와 PLGA를 glacial acetic acid에 완전하게 용해하여 혼합 용액을 얻은 후 스프레이 건조(Spray drying) 공정을 수행하여 서방형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스프레이 건조 공정은 제조된 혼합 용액을 액체 연동 펌프(Master flex, Peristaltic pump)를 이용하여 초음파노즐(Sonictopia, 60kHz)이 장착된 분무건조기(EIN System)에 7.5mL/min 유속으로 공급하고, 발진기(Sonictopia, 60kHz) 파워를 50~80% 사이로 조절하며 135℃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수행하였다. 스프레이 건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미립구를 보호콜로이드로서 1%(W/V) 폴리비닐알콜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0.5M L-라이신염산염(Merck)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분산하여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여과 및 증류수 세척 과정을 거쳐 미립구를 회수하고 10% D-만니톨(ROQUETTE), 0.5% L-라이신염산염(Merck) 용액을 첨가하여 현탁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를 얻었다.
서방형 미립구 내 세마글루타이드와 PLGA의 조성은 다음 표 2의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4와 같고, 터제파타이드와 PLGA의 조성은 실시예 10 및 비교예 5와 같다. 실시예 7에서 고점도 PLGA(C)로 PLGA65B 및 PLGA75B를 각각 저점도 PLGA(A)와 같은 양으로 사용하였다.
구분 | PLGA | GLP-1 RA | 약물% (w/w) |
|||
저점도 PLGA(A) |
고점도 PLGA(B) |
고점도 PLGA(C) |
A:B:C | |||
실시예1 | PLGA50A | PLGA50B | PLGA50C | 1:1:1 | 세마글루타이드 | 8.3 |
실시예2 | PLGA50A | PLGA50B | PLGA65B | 1:1:1 | 세마글루타이드 | 8.4 |
실시예3 | PLGA50A | PLGA50B | PLGA65B | 1:1:1 | 세마글루타이드 | 9.3 |
실시예4 | PLGA50A | PLGA50B | PLGA65B | 1:1:1 | 세마글루타이드 | 10.8 |
실시예5 | PLGA50A | PLGA50B | PLGA75B | 1:1:1 | 세마글루타이드 | 9.3 |
실시예6 | PLGA50A | PLGA50B | PLGA65B | 1:1:2 | 세마글루타이드 | 9.2 |
실시예7 | PLGA50A | PLGA50B | PLGA65BPLGA75B | 1:1:2 | 세마글루타이드 | 9.3 |
실시예8 | PLGA50A | PLGA50B | PLGA65B | 1:2:2 | 세마글루타이드 | 9.3 |
실시예9 | PLGA50A | PLGA50B | PLGA65B | 1:4:1 | 세마글루타이드 | 9.6 |
실시예10 | PLGA50A | PLGA50B | PLGA65B | 1:1:1 | 터제파타이드 | 11.3 |
비교예1 | PLGA50A | - | - | 1:0:0 | 세마글루타이드 | 7.9 |
비교예2 | - | PLGA50B | - | 0:1:0 | 세마글루타이드 | 9.3 |
비교예3 | - | PLGA50B | PLGA65B | 0:1:1 | 세마글루타이드 | 9.0 |
비교예4 | - | - | PLGA65B | 0:0:1 | 세마글루타이드 | 9.1 |
비교예5 | - | PLGA50B | PLGA65B | 0:1:2 | 터제파타이드 | 11.5 |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미립구의 고점도 PLGA의 LA 및 GA의 비율 및 PLGA 전체 LA 및 GA의 비율은 다음 표 3과 같다.
구분 | 고점도PLGA의 LA:GA | 전체PLGA의 LA:GA | A:B:C |
실시예1 | 50:50 | 50:50 | 1:1:1 |
실시예2 | 57.5:42.5 | 55:45 | 1:1:1 |
실시예3 | 57.5:42.5 | 55:45 | 1:1:1 |
실시예4 | 57.5:42.5 | 55:45 | 1:1:1 |
실시예5 | 62.5:37.5 | 58:42 | 1:1:1 |
실시예6 | 60:40 | 57.5:42.5 | 1:1:2 |
실시예7 | 63:37 | 60:40 | 1:1:2 |
실시예8 | 57.5:42.5 | 56:44 | 1:2:2 |
실시예9 | 53:47 | 52.5:47.5 | 1:4:1 |
실시예10 | 57.5:42.5 | 55:45 | 1:1:1 |
비교예1 | - | 50:50 | 1:0:0 |
비교예2 | 50:50 | 50:50 | 0:1:0 |
비교예3 | 57.5:42.5 | 57.5:42.5 | 0:1:1 |
비교예4 | 65:35 | 65:35 | 0:0:1 |
비교예5 | 60:40 | 60:40 | 0:1:2 |
2. 서방형 미립구의 입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평균 입도(M.D)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50mL 코니칼 튜브에 미립구 180 mg과 1% PVA 10mL를 투입하여 1분간 초음파발생기에 넣고 분산시킨 후 입도분석장치(CILAS, French)에 넣고 입도를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 입도(㎛) |
실시예1 | 21.3 |
실시예2 | 18.7 |
실시예3 | 19.3 |
실시예4 | 21.8 |
실시예5 | 18.7 |
실시예6 | 22 |
실시예7 | 21.7 |
실시예8 | 22.6 |
실시예9 | 20.6 |
실시예10 | 20 |
비교예1 | 18.5 |
비교예2 | 20.9 |
비교예3 | 21.2 |
비교예4 | 21.3 |
비교예5 | 20.1 |
3. S.D 랫트에서의 서방형 제제에 대한 약동학 프로파일
8주령 S.D 랫트(n=5)에 본 발명에 따른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터제파타이드가 함유된 서방형 제제를 투여하여, 체내에서의 약물 방출 패턴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미립구가 포함된 서방형 제제를 수컷 8주령 S.D. 랫트에 2mpk(Dose, mg/kg)의 약물농도로 피하주사(S.C) 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세마글루타이드 또는 터제파타이드)의 혈중 농도를 관찰하였다. 주사 후 1시간, 3시간, 6시간, 24시간, 3일, 5일, 7일, 9일, 11일, 14일, 16일, 18일, 21일, 24일, 28일, 31일 및 35일차(total 17 point)에 경정맥에서 혈액을 0.5ml씩 채취하여 -80℃에 보관한 다음, 이 후 LC-MS/MS분석을 수행하였다.
표 5는 상대적인 AUC 값과 누적 방출률(총 방출량 대비 시간별 누적 방출량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시간에 따른 혈중 농도 그래프로부터 곡선하 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을 구한 후 약물만 투여한 경우에 대하여 계산한 AUC 값과 비교한 비율로 나타낸 상대적인 AUC 값으로 생체이용률을 평가하였다. 초기 과다 방출(initial burst) 및 방출 지연(lag phase) 현상은 누적 방출률을 사용하여 다음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평가 기준
1) 초기 과다 방출(initial burst) 평가: 1일(24시간) 이내 5% 이하인 경우에 대해 초기 과다 방출이 없다고 평가
2) 방출 지연(lag phase) 평가: 1주(7일)까지 10% 이상이고, 9일까지 20% 이상(또는, 10일까지 25% 이상)이며, 2주(14일)까지 50% 이상인 경우에 대해 방출 지연 문제가 없다고 평가
3) 생체이용률 평가: Relatvie AUC 값이 50% 이상인 경우 생체이용률이 높다고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0의 서방형 제제는 50% 이상의 상대적인 AUC 값을 나타내었고(표 5 및 도 1a, 1b, 1c), 상기 평가 기준에 의해 생체이용률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초기 방출의 경우 5%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초기 과다 방출이 없었으며, 7일까지의 누적 방출률이 10% 이상이고, 9일까지의 누적 방출률이 20% 이상이며, 14일까지의 누적 방출률이 50% 이상을 나타내어 방출 지연 문제가 없는 서방형 제제임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2).
그러나, 비교예 1의 서방형 미립구 제제의 경우에는 생체이용률이 높고 방출 지연 문제가 없었으나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초기 방출이 과도하게 높아 문제가 되었으며, 비교예 2 내지 5의 경우에는 초기 과다 방출은 없었으나 생체이용률이 낮고 투여 후 일주일 이상의 방출 지연 현상이 나타난다는 문제가 있었다(표 5 및 도 1d).
구분 | 누적 방출률 (총 방출량 대비 시간별 누적 방출량) | Relative AUC(%) | |||||
1일 | 7일 | 9일 | 14일 | 21일 | 28일 | ||
실시예1 | 1.8% | 22.9% | 42.9% | 74.2% | 97.3% | 99.9% | 53.5% |
실시예2 | 1.2% | 20.3% | 34.5% | 64.1% | 91.0% | 99.3% | 52.0% |
실시예3 | 0.8% | 25.6% | 37.1% | 69.0% | 95.2% | 99.8% | 60.9% |
실시예4 | 4.6% | 32.8% | 47.7% | 74.3% | 96.3% | 99.8% | 68.4% |
실시예5 | 2.5% | 26.5% | 37.3% | 59.7% | 84.6% | 97.0% | 63.1% |
실시예6 | 1.1% | 13.8% | 26.0% | 53.4% | 87.5% | 99.4% | 51.1% |
실시예7 | 1.6% | 17.8% | 32.9% | 59.9% | 83.0% | 97.2% | 53.0% |
실시예8 | 1.7% | 16.8% | 31.4% | 62.8% | 91.3% | 99.5% | 55.4% |
실시예9 | 1.6% | 15.2% | 27.7% | 61.8% | 95.4% | 99.9% | 55.7% |
실시예10 | 1.5% | 36.8% | 43.9% | 67.1% | 92.1% | 99.7% | 67.4% |
비교예1 | 6.8% | 62.4% | 79.6% | 98.7% | 100.0% | 100.0% | 56.8% |
비교예2 | 1.3% | 7.8% | 16.8% | 56.6% | 94.4% | 99.9% | 32.0% |
비교예3 | 0.7% | 3.7% | 6.6% | 21.5% | 55.6% | 82.6% | 46.4% |
비교예4 | 1.8% | 7.7% | 10.5% | 39.3% | 67.5% | 94.4% | 28.5% |
비교예5 | 0.8% | 5.1% | 12.6% | 25.9% | 61.5% | 86.9% | 45.8% |
또한, 실시예 1 내지 10은 유사한 방출 패턴을 나타냈으므로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을 선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초기 방출이 높지 않으면서도 방출 지연의 문제도 없이 지속적인 방출이 나타내는 반면, 저점도 PLGA 만이 사용된 비교예 1은 실시예에 비하여 과도한 초기 방출과 짧은 방출기간이 나타났고, 고점도 PLGA 만이 사용된 비교예 2 내지 4는 1주일 이상의 방출 지연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후 진행되는 실험 또한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4. 미니피그에서의 서방형 제제에 대한 약동학 프로파일
다음으로, 중대동물에서의 약동학 평가를 위하여 미니피그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서방형 제제를 투여하여, 체내에서의 미립구 내 약물 방출 패턴을 평가하였다.
수컷 20-30kg의 SPF 미니피그에 0.08 mpk(Dose, mg/kg)의 약물농도로 피하주사(S.C) 후 시간에 따른 세마글루타이드의 혈중 농도를 관찰하였다. 주사 후 1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2일, 3일, 5일, 7일, 9일, 11일, 14일, 16일, 18일, 21일, 24일, 28일, 31일, 35일, 42일, 49일, 56일, 63일 및 70일차(total 23 point)에 경정맥에서 혈액을 2.5ml씩 채취하여 -80℃에 보관한 다음, 이 후 LC-MS/MS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은 세마글루타이드의 혈중 농도를, 도 4는 세마글루타이드의 누적 방출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결과를 통해서, 랫트보다 인체와 더 유사한 동물 모델인 미니피그에서도 초기 과다 방출 및 방출 지연 현상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S.D 랫트에 비해 크기가 큰 미니피그에서의 세마글루타이드 방출 지속 기간이 더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서 인체 투여 시 방출 지속 기간은 더욱 증가할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5. 항비만 유효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서방형 제제를 DIO(Diet induced obesity) 마우스 모델에 투여하여 항비만 유효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실험 동물은 16주령 수컷 C57BL/6J, C57BL/6J-DIO(The Jackson Laboratory(JAX), 새론바이오)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반입 후 정상식이(Regular chow diet, 5kcal % of fat, PicoLab, #5053, USA) 또는 고지방식이(high fat diet, 60kcal % of fat, Research diet, D12492, USA)를 물과 함께 충분히 공급하면서 온도 22±2℃, 습도 50±10%로 유지하였고, 12시간 명암(암: pm7~am7)을 자동 조절하며 개별 케이지에서 적응시켰다. 1주 적응 후 준비된 모든 개체에 투여 적응 실시하였고, 일 2회(오전 투여 시, 오후 모니터링 시) 임상 징후(활동성, 변 이상, 출혈, 상처, 기형, 피부, 모질, 안구 이상 등)를 관찰하였다.
체중 및 식이섭취량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 표 6의 조건으로 8주간 약물을 투여하였고, 투여 시작과 함께 체중(FX-2000i, A&D company, 0.01~2200g) 및 식이섭취량(CSG201F, OHAUS, 0.1g~200g)을 매일 측정하였으며, 모든 결과 값은 평균값±표준오차로 표기하였고, 집단의 통계적 유의성은 시험물질 투여군 간의 independent t-test를 통해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냈다.
그룹(N=8) | 식이 | 투여경로 | 약물농도 (mpk) |
투여주기 |
1. 정상 (Normal, vehicle) |
RC(Regular chow) | S.C. | - | QD |
2. 음성대조군 (DIO, Con(-), vehicle) |
60% HFD(High fat diet) | S.C. | - | QD |
3. 양성대조군 (DIO, Con(+), semaglutide) |
60% HFD | S.C. | 0.1 | QD |
4. 실시예3 | 60% HFD | S.C. | 4 | Q3D |
5. 실시예3 | 60% HFD | S.C. | 4 | QW |
6. 실시예3 | 60% HFD | S.C. | 4 | Q2W |
체중 측정 결과는 도 5a에 나타내었으며, 체중 증가율(△Body weight from baseline (vs Con(-)), %)은 도 5b에 나타내었다. 이는 약물 투여에 따른 체중 증체율(body weight change, %)을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도 5로부터 정상대조군과 음성대조군은 체중이 증가한 반면 양성대조군과 실시예 3(Q3D, QW, Q2W)은 음성대조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게 체중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도 5를 참고하면, 양성대조군과 실시예3(Q3D, QW, Q2W)은 음성대조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체중 감소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이섭취량(g)은 도 6에 나타내었다. 약물 투여 기간 동안 측정된 식이섭취량은 양성대조군 및 모든 평가약물 투여군에서 약물투여 직후 급격히 식이섭취량이 감소하였다가 점차 회복하였으나 음성대조군 대비 감소된 식이섭취량을 유지하였고, 음성대조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식이섭취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매일 투여하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를 투여하면 최대 2주 1번 투여(마우스 기준)만으로도 유의미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면, 본 발명 서방형 제제는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 및 방출 지연 문제가 없고 장기간 지속 방출이 가능하며 생체이용률이 높은 제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를 포함하고,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체 중량%의 3 내지 12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PLGA는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저점도 PLGA 1종 및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 dL/g인 고점도 PLGA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내의 상기 저점도 PLGA 1종과 상기 고점도 PLGA 2종 이상의 중량비는 1: 0.2 내지 5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터제파타이드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PLGA 2종 이상은 락타이드 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45-55 : 45-55인 PLGA 1종 이상과 락타이드 대 글라이콜라이드의 몰 비율이 60-80 : 20-40인 PLGA 1종 이상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는 상기 서방형 미립구 전체 중량%의 88 내지 97 중량%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미립구는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를 빙초산에 용해시켜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초음파 분무 노즐로 분사한 후 건조 공기로 상기 빙초산을 휘발시켜 제조된 것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분무 노즐의 주파수는 40 내지 80kHZ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S.D 랫트 또는 미니피그에 투여된 후 상기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24시간 이내에 5% 미만으로 방출되고, 1주 이내에 10% 이상 또는 9일 이내에 20% 이상 또는 2주 이내에 50% 이상 방출되는,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1개월 내지 3개월 간격으로 투여되는,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미립구는 평균 입도가 15 내지 25μm인, 서방형 미립구.
-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서방형 미립구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
-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서방형 미립구를 포함하는, 당뇨,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뇌졸중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 조성물.
-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내지 12 중량% 및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88 내지 97 중량%를 용매에 용해시켜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초음파 분무 노즐로 분사한 후 건조 공기로 상기 용매를 휘발시켜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는 고유점도가 0.14 내지 0.24 dL/g인 저점도 PLGA 1종 및 고유점도가 0.32 내지 0.60 dL/g인 고점도 PLGA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서방형 미립구 또는 서방형 제제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2023397760A AU2023397760A1 (en) | 2022-12-16 | 2023-12-18 | Sustained-release microspheres including glp-1 receptor agonist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use thereof |
PCT/KR2023/020910 WO2024128882A1 (ko) | 2022-12-16 | 2023-12-18 |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7054 | 2022-12-16 | ||
KR20220177054 | 2022-12-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5076A true KR20240095076A (ko) | 2024-06-25 |
Family
ID=9171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84732A Pending KR20240095076A (ko) | 2022-12-16 | 2023-12-18 |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용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9507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94594A (ko) | 2023-12-18 | 2025-06-25 | 주식회사 포스테라헬스사이언스 | 활성형 미립자를 이용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장기 지속형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5940A (ko) | 2018-04-30 | 2019-11-07 | 주식회사 지뉴브 | 약물 함유 plga 미립구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210005700A (ko) | 2018-05-04 | 2021-01-14 |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
2023
- 2023-12-18 KR KR1020230184732A patent/KR20240095076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5940A (ko) | 2018-04-30 | 2019-11-07 | 주식회사 지뉴브 | 약물 함유 plga 미립구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210005700A (ko) | 2018-05-04 | 2021-01-14 |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94594A (ko) | 2023-12-18 | 2025-06-25 | 주식회사 포스테라헬스사이언스 | 활성형 미립자를 이용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장기 지속형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34329B1 (en) | Composition and microsphere for controlled-release of exend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KR102815534B1 (ko) |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 조성물 | |
EP0674506B1 (en) | Controlled release growth hormone containing microspheres | |
EP3576771B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ng term release of ga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tagonists | |
CA2624088A1 (en) | Sustained release small molecule drug formulation | |
AU2016247206B2 (en) |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WO2006065951A2 (en) | Sustained delivery formulations of octreotide compounds | |
KR20240095076A (ko) |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용도 | |
JP4683319B2 (ja) | 徐放性製剤用の分散剤 | |
WO2022003662A1 (en) | Low burst-release liraglutide depot systems | |
US20240374516A1 (en) | Ready to use oral pharmaceutical suspension of dasatinib | |
KR20210147413A (ko) |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작용제 함유 제어방출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10014086A (ko) | 레보도파 유발 이상 운동증의 치료 또는 진행 억제용 약학 조성물 | |
EP1778278B1 (en) |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 |
AU2023397760A1 (en) | Sustained-release microspheres including glp-1 receptor agonist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use thereof | |
Angelucci et al. | The action of caerulein on gastric secretion of the chicken | |
CA3148426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evodopa-induced dyskinesia or for suppressing progression thereof | |
US20240307504A1 (en) | Intranasal formulations and delivery of somatostatin mimetics and uses thereof | |
WO2018139464A1 (ja) | 低身長症治療剤 | |
KR20240173188A (ko) | 카그릴린타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성 미립구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40173155A (ko) | Glp-1 수용체 작용제, gip/glp-1 수용체 작용제 및/또는 glp-1/gip/gcg 수용체 삼중작용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
HK40034039A (en) |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JP2004517141A (ja) | アルフゾシンおよびアポモルフィン含有有効成分の新規組合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