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6561A - 충격을 견디도록 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 Google Patents
충격을 견디도록 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6561A KR20240086561A KR1020230172443A KR20230172443A KR20240086561A KR 20240086561 A KR20240086561 A KR 20240086561A KR 1020230172443 A KR1020230172443 A KR 1020230172443A KR 20230172443 A KR20230172443 A KR 20230172443A KR 20240086561 A KR20240086561 A KR 202400865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push
- piece
- shock absorber
- control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7 microelectroni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75 pho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1—Electromechanical switches for setting or display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1/00—Bearings; Point suspensions or counter-point suspensions; Pivot bearings; Single parts therefor
- G04B31/02—Shock-damping bearing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4—Mounting the clockwork in the case; Shock absorbing mounting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3/00—Protecting clockworks by shields or other means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magnetic field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2—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 요소 (111) 를 포함하는 푸시-피스 (11), 연결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는 스위치 (12)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 (10) 에 관한 것이고,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는 상기 푸시-피스 (11) 가 작용될 때 상기 스위치 (12) 를 상기 연결 상태 또는 상기 아이들 상태로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모듈은,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가 상기 스위치 (12) 를 상기 연결 상태 또는 상기 아이들 상태로 구동할 때 적어도 힘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수반되는 힘의 일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흡수하도록 구성된 충격 흡수기 (116) 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자 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충격을 견디도록 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위한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전자 와치에 특히 되어 있는다.
전자 기기의 제어를 위한 부재는, 예를 들어, 기능 구현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전류의 통과를 허용 또는 방지하기 위해 되어 있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스위치들은 전류 통과를 허용 또는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작용 하에서 구동되는 그 포지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결 포지션 및 아이들 포지션 (idle position) 을 점유하도록 설계된다.
특정 스위치들은 사용자에 의해 작용될 때, 즉 그것이 강제될 때 연결 단자들을 함께 연결하고, 그것이 휴지일 때 단자들 사이의 임의의 연결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탄성 블레이드를 커버하는 가요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전자 기기는 종종 탄성 블레이드를 그 연결 포지션 내에서 변형시키기 위해 스트라이커 (striker) 에 의해 스위치의 가요성 멤브레인과 접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게 되어 있는 푸시-피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 기기가 푸시-피스에서 충격을 받을 때, 탄성 블레이드는 그에 인가되는 힘의 영향 하에서 소성 변형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가역적인 파손을 당할 위험성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최대 정도로 전달되는 힘을 분배시키기 위해 스트라이커의 접촉 표면의 치수를 증가시켜 탄성 블레이드가 받게 되는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예를 들어, 측시 분야 (horology field) 와 같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microelectronic) 또는 마이크로기계 분야에서, 치수가 임계 설계 제약을 구성하는 적용예에 대해 예견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어 제조 제약들 때문에 이 해결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해결책은 가요성 필름에 여분의 두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 필름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으로부터 제조되고, 이 여분의 두께는 힘을 흡수하기 위해 충격 동안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이러한 여분의 두께는 표준 NIHS 91-30 에 명시된 바와 같이 높은 힘, 예를 들어 5000 g 의 감속에 상응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된 힘을 흡수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는 가요성 필름이 이때 받는 힘의 영향 하에서 그러한 정도로 변형되고 힘을 소성 변형되는 탄성 블레이드와 단자에 전달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어 모듈은,
- 스트라이커 요소를 포함하는 푸시-피스,
- 연결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는 스위치로서,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는 푸시-피스가 작용될 때 스위치를 연결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 스트라이커 요소가 스위치를 연결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로 구동할 때, 적어도 상기 힘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수반된 상기 힘들의 일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흡수하도록 구성된 충격 흡수기 (shock absorber)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위치는 따라서, 유리하게는 표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한 구현예들에서,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취해진 다음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격 흡수기는 디스크의 형태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격 흡수기는 푸시-피스의 트레블 방향을 따라, 측시 무브먼트 (horological movement) 의 구조체와 스위치 사이에 배열되도록 의도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가 스트라이커 요소와 상기 충격 흡수기 사이에 개재되도록 충격 흡수기가 맞닿아 배열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스위치는 프레임에 모두 고정되는 탄성 블레이드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탄성 블레이드는 스위치가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단자들 사이의 접촉을 발생시키는 연결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스위치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단자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는 아이들 상태로 이동되며, 충격 흡수기는 상기 연결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열되어 상기 연결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 흡수기와 스트라이커 요소 사이에 개재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푸시-피스는 스트라이커 요소가 고정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고 가이드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푸셔 로드가 연결되는 푸셔 헤드를 포함하고, 푸시-피스는 상기 푸시-피스를 아이들 포지션을 향해 이동하게 강제하도록 푸셔-헤드와 가이드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스트라이커 요소는 푸시-피스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치수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방향 치수는 그것이 배열되는 상기 가이드 튜브의 단부의 외측 직경보다 작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측시 무브먼트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와치에 관한 것이고, 와치는 상기 설명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푸시-피스는 케이스가 제공되는 미들을 통해 맞물리고, 스위치는 측시 무브먼트의 구조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그리고 비제한적인 예로써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정독한다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측시 무브먼트가 수납되는 와치의 미들의 단면의 개략도 및 제어 모듈의 스위치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측시 무브먼트가 수납된 와치의 미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측시 무브먼트가 수납된 와치의 미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이 명확성을 위해 반드시 축척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고 본 텍스트에 기재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측시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여기서 와치의 케이스에 수납된 전자 측시 무브먼트 (electronic horological movement) 에 배열되고, 미들 (20) 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기능을 제어하도록 의도된 제어 모듈 (10) 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모듈 (10) 은 사용자에 의해 작용되도록 의도된 방향 A-A 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푸시-피스 (11) 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푸시-피스 (11) 는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미들 (20) 을 통해 맞물린다. 대안적으로, 푸시-피스는 회전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타입의 무브먼트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 모듈 (10) 은 또한 푸시-피스 (11) 에 작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 스위치 (12) 를 포함한다. 특히, 스위치 (12) 는 연결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고, 푸시-피스 (11) 는, 상기 스위치 (12) 를 작동시킬 때, 스위치를 이들 상태들 중 하나 또는 다른 상태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 의 상세도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12) 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탄성 블레이드 (121) 및 연결 단자들 (122, 및 123) 이 고정되는 프레임 (120)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의 상세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 (12) 는 푸시-피스 (11) 의 트레블 방향, 즉 방향 A-A 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중심 단자" (122) 로서 칭해지는 연결 단자, 및 하나 이상의 주변 단자 (123) 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탄성 블레이드 (121) 는 푸시-피스 (11) 가 사용자에 의해 작용될 때, 중심 단자 (122) 와 주변 단자 또는 단자들 (123) 사이에서 접촉을 발생시키는 연결 포지션을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푸시-피스 (11) 에 작용할 때, 상기 푸시-피스는 상기 탄성 블레이드 (121) 에 압력을 인가하여, 중심 단자 (122) 및 주변 단자 (123) 모두와 접촉하는 불안정한 플랫형 포지션으로 그것을 변형시킨다. 또한, 탄성 블레이드 (121) 는 푸시-피스 (11) 가 사용자에 의해 작용되지 않을 때, 중심 단자 (122) 와 주변 단자 (123)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는 안정된 아이들 포지션을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도 1 의 상세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포지션에 있을 때, 탄성 블레이드 (121) 는 탄성 특성을 갖기 위해 사전 응력을 받도록 만곡될 수 있다.
스위치 (12) 는 또한 푸시-피스 (11) 가 작용될 때 그 위에서 접하게 되도록 의도된 탄성 블레이드 (121) 를 커버하는 가요성 멤브레인 (124)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요성 멤브레인 (124) 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푸시-피스 (11) 는 미들 (20) 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의도된 푸셔 헤드 (110) 를 포함한다. 푸시-피스 (11) 는 또한 미들 (20) 의 관통 개구에 고정된 가이드 튜브 (113) 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 푸셔 로드 (112) 에 의해 푸셔 헤드 (110) 에 연결된 스트라이커 요소 (111)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트라이커 요소 (111) 는 푸셔 로드 (112) 에 스크류결합되거나, 당업자의 능력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가이드 튜브 (113) 는 제 1 단부에서, 미들 (20) 의 관통 개구에 맞물리는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단부에서, 제 1 부분의 외측 직경보다 큰 외측 직경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후자와 견부를 형성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튜브 (113) 는 이 견부에 의해 미들 (20) 에 맞닿게 배열된다. 푸시-피스 (11) 는 푸시-피스 (11) 가 아이들 포지션으로 이동하게 강제하도록 푸셔 헤드 (110) 와 가이드 튜브 (113) 의 견부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으로 작동하는 스프링 (114) 을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요소 (111) 는 푸시-피스 (11) 가 그 아이들 포지션을 점유할 때 가이드 튜브 (113) 의 제 1 단부에 대해 맞닿게 놓인다.
스트라이커 요소 (111) 는 방향 A-A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치수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방향 치수는 유리하게는 가이드 튜브 (113) 의 제 1 부분의 외측 직경보다 작다. 이 특징은 푸셔 로드 (112) 상의 스트라이커 요소 (111) 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푸시-피스 (11) 가 와치의 미들 (20) 에 고정되기 전에, 즉 상기 미들 (20) 의 관통 개구에 맞물리기 전에 그것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 에 도시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 요소 (111) 의 본체에는, 푸시-피스 (11) 가 연결 포지션을 점유할 때까지 그 변형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용될 때 탄성 블레이드 (121) 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압력을 인가하도록 의도된 맞닿음 표면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제어 모듈 (10) 은 적어도 상기 힘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초과일 경우, 푸시-피스 (11) 가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스위치 (12) 를 작동시킬 때 수반되는 힘들의 일부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충격 흡수기 (116) 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 흡수기 (116) 는 엘라스토머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압축 스프링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체를 갖는다.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기 (116) 는 스트라이커가 스위치 (12) 를 연결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로 구동할 때 스위치에 대해 압축 하에서 강제되도록 베어링 표면 상에 배열된다. 특히, 푸시-피스 (11) 가 작용될 때, 충격 흡수기 (116) 는 스위치를 연결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해 스위치 (12) 상에 압력을 인가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기 (116) 는 우선적으로 수반된 힘의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흡수하면서 스위치 (12) 에 이러한 힘의 또 다른 일부를 전달하여 그것을 상태 변화시키기 위한 적절한 두께를 갖는 디스크의 형태이다.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기 (116) 는 방향 A-A 에 따라, 측시 무브먼트의 구조체 (21) 와 스위치 (12) 사이에 배열되고; 따라서 스위치 (12) 는 충격 흡수기 (116) 와 푸시-피스 (11) 사이에 개재된다. 환언하면, 충격 흡수기 (116) 는 스위치 (12) 의 전방이 상기 푸시-피스 (11) 를 향한다고 고려한다면, 그것에 대해 스위치 (12) 의 후방에 배열된다.
따라서, 스위치 (12) 가 과도한 힘을 받게 되면, 충격 흡수기 (116) 에서 국부적으로 이동하거나 약간 변형함으로써 이들 힘의 일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스위치 (12) 에 의해 전달된 힘의 일부를 흡수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은 와치에 의해 형성된 전자 기기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의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하게 휴대가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은 임의의 다른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일반적으로, 상기 고려된 구현예들 및 실시예들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설명되었고, 그 결과 다른 변형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6)
-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 (10) 로서,
스트라이커 요소 (111) 를 포함하는 푸시-피스 (11), 및
연결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점유하도록 되어 있는 스위치 (12)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는 상기 푸시-피스 (11) 가 작용될 때 상기 스위치 (12) 를 상기 연결 상태 또는 상기 아이들 상태로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 (10) 은,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가 상기 스위치 (12) 를 상기 연결 상태 또는 상기 아이들 상태로 구동할 때 적어도 힘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수반되는 상기 힘의 일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흡수하도록 구성된 충격 흡수기 (116)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기 (116) 는 상기 푸시-피스 (11) 의 트레블 방향을 따라 측시 무브먼트의 구조체 (21) 와 상기 스위치 (12) 사이에 배열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스위치 (12) 는 상기 스위치 (12) 가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와 상기 충격 흡수기 (116)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기 (116) 가 맞닿아 배열된 프레임 (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 (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기 (116) 는 디스크 형태인,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 (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12) 는 상기 프레임 (120) 에 모두 고정되는 탄성 블레이드 (121) 및 연결 단자들 (122, 123)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블레이드 (121) 는 상기 스위치 (12) 가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단자들 (122, 123) 사이의 접촉을 발생시키는 연결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위치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단자들 (122, 123)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는 아이들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충격 흡수기 (116) 는 상기 연결 단자들 (122, 12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열되어 상기 연결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격 흡수기 (116) 와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사이에 개재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 (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피스 (11) 는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가 고정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고 가이드 튜브 (113)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푸셔 로드 (112) 가 연결되는 푸셔 헤드 (110) 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피스 (11) 는 상기 푸시-피스 (11) 를 아이들 포지션을 향해 이동하게 강제하도록 상기 푸셔 헤드 (110) 와 상기 가이드 튜브 (113)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114) 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 (10).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요소 (111) 는 상기 푸시-피스 (11) 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치수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방향 치수는 상기 가이드 튜브가 배열되는 상기 가이드 튜브 (113) 의 단부의 외측 직경보다 작은, 전자 기기의 제어 모듈 (10). - 전자 측시 무브먼트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와치로서,
상기 와치는 제 1 항에 따른 제어 모듈 (10) 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피스 (11) 는 상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미들 (middle : 20) 을 통해 맞물리고, 상기 스위치 (12) 는 상기 측시 무브먼트의 구조체 (21)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2212607.0A EP4383018A1 (fr) | 2022-12-09 | 2022-12-09 | Module de commande d'un appareil électronique adapté à résister aux chocs |
EP22212607.0 | 2022-12-0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6561A true KR20240086561A (ko) | 2024-06-18 |
Family
ID=844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2443A Pending KR20240086561A (ko) | 2022-12-09 | 2023-12-01 | 충격을 견디도록 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92643A1 (ko) |
EP (1) | EP4383018A1 (ko) |
JP (1) | JP7586996B2 (ko) |
KR (1) | KR20240086561A (ko) |
CN (2) | CN118169994A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73099A (en) * | 1974-11-11 | 1976-08-03 | American Micro-Systems, Inc. | Push button switch for electronic watch |
JPS5411480A (en) * | 1977-06-29 | 1979-01-27 | Oki Electric Ind Co Ltd | Pushbutton switch |
JP3099165B2 (ja) * | 1993-06-28 | 2000-10-16 |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スイッチ機構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基板の製造方法 |
DE60226405D1 (de) * | 2002-03-14 | 2008-06-19 | Seiko Epson Corp | Struktur eines Druckknopfs |
CH708356A1 (fr) | 2013-07-17 | 2015-01-30 | Société Anonyme De La Manufacture D Horlogerie Audemars Piguet & Cie | Dispositif de commande pour pièce d'horlogerie. |
-
2022
- 2022-12-09 EP EP22212607.0A patent/EP4383018A1/fr active Pending
-
2023
- 2023-10-25 JP JP2023182971A patent/JP7586996B2/ja active Active
- 2023-11-03 US US18/501,485 patent/US20240192643A1/en active Pending
- 2023-12-01 KR KR1020230172443A patent/KR20240086561A/ko active Pending
- 2023-12-08 CN CN202311687026.3A patent/CN118169994A/zh active Pending
- 2023-12-08 CN CN202323367684.2U patent/CN221827200U/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4083244A (ja) | 2024-06-20 |
CN221827200U (zh) | 2024-10-11 |
CN118169994A (zh) | 2024-06-11 |
JP7586996B2 (ja) | 2024-11-19 |
EP4383018A1 (fr) | 2024-06-12 |
US20240192643A1 (en) | 2024-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915294B (zh) | 接点装置及搭载有该接点装置的电磁继电器 | |
US8395463B2 (en) | Contact device | |
US11511665B2 (en) | Vehicle steering wheel comprising a horn control device, vehicle with such a steering wheel,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steering wheel | |
US8766126B2 (en) | Operation switch | |
US10714278B2 (en) | Switch device structure | |
US6774330B2 (en) | Multi-stage push button switch apparatus | |
US20130153799A1 (en) |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 |
KR20240086561A (ko) | 충격을 견디도록 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 |
US20240194431A1 (en) | Control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withstand shocks | |
JP2012528423A (ja) | 角度のついたプランジャを有する電気スイッチアセンブリ | |
CN112189246B (zh) | 推动开关 | |
CN109585192B (zh) | 降低微动开关冲击能量的减速装置 | |
JP2012199095A (ja) | 接点装置 | |
US3691331A (en) | Switch mechanism with s-shaped snap acting spring member | |
US3487184A (en) | Overtravel mechanism for snap-action switch | |
CN110402476B (zh) | 开关装置 | |
US7935905B2 (en) | Contact system | |
KR20170069534A (ko) | 파워 윈도우 스위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JP2022043622A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CN212303467U (zh) | 开关组件和电动工具 | |
JP3102298B2 (ja) | ジョイステイックの衝撃吸収装置 | |
KR102743516B1 (ko) | 촉각 피드백으로 오롤로지컬 무브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특히 시계인 타임피스 | |
CN221508500U (zh) | 连接端子和连接装置 | |
US20220375703A1 (en) | Switch device | |
CN119096320A (zh) | 按压开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