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70166A - 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 Google Patents

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166A
KR20240070166A KR1020220151673A KR20220151673A KR20240070166A KR 20240070166 A KR20240070166 A KR 20240070166A KR 1020220151673 A KR1020220151673 A KR 1020220151673A KR 20220151673 A KR20220151673 A KR 20220151673A KR 20240070166 A KR20240070166 A KR 2024007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edge
cultivation
cultivation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현구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임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구 filed Critical 임현구
Priority to KR102022015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0166A/en
Publication of KR2024007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16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01C23/047Spraying of liquid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6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self-propell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일렬 또는 이열로 실내에 배치되어 하나의 재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상부에 위치하는 LED 조명부 및 상기 LED 조명부의 점멸 상태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는, 상단면이 개방되고 덮개로 닫을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배양토, 씨줄과 날줄이 서로 직교로 교차되어 형성된 그물망을 포함하는 재배망을 포함하고, 상기 재배망은 상기 배양토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망 내부 공간에 복수의 사초과 작물이 재배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wherein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es are arranged indoors in a row or two rows to form one cultivation area,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and an LED lighting unit located on top of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and a light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blinking state of the LED lighting unit.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includes a body that has an open top and can be closed with a cover, culture soil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warp and weft lines intersecting each other at right angles. It relates to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comprising a cultivation network including a net formed by forming a cultivation network, wherein the cultivation network is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lurality of Cyperaceae crops are gr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cultivation network.

Description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본 발명은 실내외에서 사초과 작물을 재배 할 수 있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growing Cyperaceae crops indoors and outdoors.

사초과(莎草科) 작물이란 사초과 식물 중 음식, 약재, 연료 사료 등 인류가 이용할 목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사초과 식물은 벼과와 유사하게 줄기가 지면에서부터 길고 곧게 뻗어 자라고, 입이 얇고 좁게 성장한다. 아울러 사초과 작물은 매우 높은 밀도로 자라난다. 즉, 사초과 식물은 성장을 위한 재배면적이 적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다수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Cyperaceae crops refer to plants in the Cyperaceae family that are cultivated for human use, such as food, medicine, fuel, and feed. Similar to the Poaceae family, Cyperaceae plants grow long and straight from the ground with stems, and their mouths grow thin and narrow. In addition, sedge crops grow at very high densities. In other words, sedge plants require a small cultivation area for growth, so many crops can be grown even in a relatively small space.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343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3997호등 수많은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research on numerous crop cultivation systems is being conducted,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34371 and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053997.

하지만, 통상의 재배 시스템에서는 사초과 작물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하여 사초과 작물의 성장을 위한 최적의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implementing an optimal system for the growth of Cyperaceae crops in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s due to a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yperaceae crops.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345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026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721호 에서는 작물 재배 상자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For this reaso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53454, Korea Open Utility Model No. 20-2013-0003026, and Korea Open Utility Model No. 20-2013-0003721 introduce crop cultivation boxes.

하지만 상기의 방법 모두 관상용 식물, 과일, 야채, 채소 등을 성장시키기에 적합하게 구현되어 있어서, 사초과 식물의 특성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초과 작물 재배에 적합하고, 사초과 작물이 공간 내부 외부에 한정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성장,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However, all of the above methods are suitable for growing ornamental plants, fruits, vegetables, greens, etc., but have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sedge plants.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is suitable for growing Cyperaceae crops and can efficiently grow and harvest Cyperaceae crop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spac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2-0034371호 (2022.03.1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34371 (2022.03.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3997호 (2019.12.03.)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53997 (2019.12.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초과 재배 특성을 고려하여, 사초과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상자와 LED 조명부를 포함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including a cultivation box in which Cyperaceae crops are grown and an LED lighting unit, taking into account the Cyperaceae cultivation characteristic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일렬 또는 이열로 실내에 배치되어 하나의 재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상부에 위치하는 LED 조명부 및 상기 LED 조명부의 점멸 상태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는, 상단면이 개방되고 덮개로 닫을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배양토, 씨줄과 날줄이 서로 직교로 교차되어 형성된 그물망을 포함하는 재배망을 포함하고, 상기 재배망은 상기 배양토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망 내부 공간에 복수의 사초과 작물이 재배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wherein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es are arranged indoors in a row or two rows to form one cultivation area,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the It includes an LED lighting unit located at the top of a sedge crop cultivation box and a light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blinking state of the LED lighting unit, wherein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includes a body that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can be closed with a cover, and is disposed inside the body. It includes a cultivation network that includes a net formed by crossing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the cultivation soil and the warp and weft, wherein the cultivation network is inserted into the cultivation soil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lurality of sedge crops are gr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cultivation network. It is about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는 양액 저장 탱크, 상기 몸체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양액 저장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배양토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양액 공급노즐 및 상기 양액 공급노즐을 제어하는 양액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includes a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 that stores the nutrient solution therein, one or more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ody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 to the culture soil,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nutrient solution supply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재배 영역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이동로 및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수단으로 이루어진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part consisting of a moving path extending parallel to the cultivation area and a moving means moving along the moving path.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is fixed to the moving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extension rods extending in a direction where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is located.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배망은, 상기 그물망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링 및 일 단은 상기 고정링에 고정되고, 타탄은 상기 배양토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재배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ultivation net has a fixing ring for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net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ring, and the tartan is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to a predetermined depth to form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ultivation net. It can be included.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상기 씨줄과 상기 날줄이 소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된 제1 그물망 및 상기 씨줄과 상기 날줄이 소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된 제2 그물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물망의 간격은 상기 제2 그물망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net further includes a first net formed by crossing the weft and the war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econd net formed by intersecting the weft and the war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in the first net is formed by intersecting the weft and the war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pacing of the mesh may be narrower than the spacing of the second mesh.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망의 간격과 상기 제2 그물망의 간격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mesh and the second mesh may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quation 1.

[관계식 1][Relational Expression 1]

0.1 ≤ A/B ≤ 0.50.1 ≤ A/B ≤ 0.5

(상기 관계식 1에서 A는 제1 그물망의 씨줄과 날줄 간격을 의미하고, B는 제2 그물망의 씨줄과 날줄 간격을 의미한다.)(In equation 1 above, A refers to the weft and warp spacing of the first mesh, and B refers to the weft and warp spacing of the second mesh.)

본 발명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사초과 작물이 재배특성을 고려한 재배 상자와 재배망을 포함하여 사초과 작물의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확 시 요구되는 노동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yield of Cyperaceae crops by including a cultivation box and a cultivation network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yperaceae crops,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labor required for harve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그물망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줄기 고정선이 형성된 그물망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양액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연장봉과 고정링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edge crop cultivation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me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mesh in which stem fixing lines are formed.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extension rod and the fixing r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may be exaggerated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ttached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are omitted.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초과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초과(莎草科) 작물이란 사초과 식물 중 음식, 약재, 연료 사료 등 인류가 이용할 목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사초과 작물은 벼과와 유사하게 줄기가 지면에서부터 수직으로 자라는 대신에, 입이 얇고 좁게 성장하여 수평으로는 그 크기가 크지 않다. 아울러 사초과 작물은 매우 높은 밀도로 자라난다. 즉, 사초과 작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재배면적이 적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다수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growing Cyperaceae crops indoors. Cyperaceae (莎草科) crops refer to plants in the Cyperaceae family that are cultivated for human use, such as food, medicine, fuel, and feed. Similar to Poaceae, sedge crops have stems that grow vertically from the ground, but their mouths grow thin and narrow, so their size is not large horizontally. In addition, sedge crops grow at very high densities. In other words, the cultivation area for growing sedge crops is small,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number of crops can be harvested even in a relatively small space.

통상적으로 실내 재배는 과실 또는 잎을 수확하는 엽채류 작물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엽채류 작물은 잎이 크거나 수평 방향으로 성장하여 재배를 위해서는 소정의 공간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부 작물의 경우, 성장을 위하여 다량의 영양분과 에너지가 요구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투자된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Typically, indoor cultivation is applied to leafy vegetable crops that harvest fruit or leaves. However, leafy vegetable crops generally have large leaves or grow horizontally, so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certain amount of space for cultivation. Additionally, in the case of some crops, a large amount of nutrients and energy are required for growth, so there is also the disadvantage of high investment costs.

하지만, 사초과 작물은 수직 방향으로 자라고, 다량의 작물이 매우 좁은 공간에 밀집해서 성장하기 때문에 재배를 위한 공간이 적어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과 에너지가 엽채류 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재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sedge crops grow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dvantageous in space utilization as there is less space for cultivation because a large amount of crops are grown densely in a very narrow space. Additionally, since the nutrients and energy required for growth are relatively less than those of leafy vegetable crops, the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grown at a low cos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에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일렬 또는 이열로 배치하고,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상부에 LED 조명을 위치하여 사초과 작물 재배에 요구되는 빛 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in which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es are arranged in a row or two rows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LED lighting is placed on top of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es to supply light energy required for Cyperaceae crop cultiva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배치된 재배 영역 주변에 이동로 및 이동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작물 재배, 수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동로, 이동부 및 작물 수확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struct a system in which crop cultivation and harvesting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y additionally including a movement path and a movement unit around the cultivation area where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is plac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vement path, movement part, and crop harvesting method will be provid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그물망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줄기 고정선이 형성된 그물망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양액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ypress plant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ypress plant cultivation box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me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net on which the stem fixing line is formed, and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1000)은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100)이 일렬 또는 이열로 실내에 배치되어 하나의 재배 영역(A1, A2, A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재배 영역(A1, A2, A3)에 사초과 작물이 일렬로 형성된 모습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재배 영역(A1, A2, A3)에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100)가 이열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in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es 100 are arranged indoors in a row or two rows to form one cultivation area (A1, A2, A3). can be formed. In Figure 1, only the Cyperaceae crops are formed in a row in one cultivation area (A1, A2, A3) as an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cultivation box of Cyperaceae crops in one cultivation area (A1, A2, A3) 100) can be arranged in two rows.

본 발명에서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100)은 사초과 작물이 재배되는 상자를 의미하며, 몸체(110), 배양토(130) 및 재배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100 refers to a box in which Cyperaceae crops are grown, and may include a body 110, culture soil 130, and a cultivation net 150.

상기 몸체(110)는 상단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side.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10)는 상기 몸체의 상부와 채결되며, 상기 몸체를 덮을 수 있는 덮개(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ody 110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 cover (not shown) that can cover the body may be added.

상기 배양토(130)는 상기 몸체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사초과 작물이 재배될 때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The culture soil 13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can supply nutrients needed when sedge crops are grow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재배망(150)은 상기 배양토(130)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며, 상기 재배망(150) 내부 공간에서 사초과 작물(P)이 성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초과 작물(P)을 수확 시 배양토(130)를 파낼 필요 없이 재배망(150)을 연직 방향으로 인양하여 배양토(1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본 발명은 사초과 작물(P)을 수확하기 위하여 배양토(130)를 파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시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cultivation network 150 is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130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sedge crops (P) can grow in the inner space of the cultivation network 150. Through this, the user can lift the cultivation network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eparate it from the culture soil 130 without the need to dig up the culture soil 130 when harvesting the sedge crop (P). Due to this featu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digging up the culture soil 130 to harvest the sedge crop (P), so it can be harvested easily and the labor required during harvesting can be reduced.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망(150)은 상기 배양토(130)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지지대(151), 상기 지지대(151)와 고정되며, 씨줄과 날줄이 서로 직교로 교차되어 형성된 그물망(153) 및 그물망(153)의 상부를 지지대(151)에 고정하는 고정링(1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재배망(150)은 상기 고정링(155)과 상기 그물망(153)의 측면을 고정하는 결합부(미도시)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ultivation network 150 includes supports 151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130 at a predetermined depth, a net 153 fixed to the supports 151, and formed by crossing warp and weft line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 and a fixing ring 155 that secures the upper part of the net 153 to the support 15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edistribution network 15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upling parts (not shown) that secure the sides of the fixing ring 155 and the net 153.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연결 고리, 끈, 체인 등 통상의 결합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는 그물망(153)과 지지대(151) 사이를 추가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링(155)과 그물망(153) 사이 장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as a conventional coupling device such as a connecting ring, string, or chain. That is, the coupling unit can additionally couple between the net 153 and the support 151 to distribute the tension between the fixing ring 155 and the net 153.

도 3을 참조하면, 사초과 작물, 예를 들어 올방개(P)는 가늘고 길게 자라는 잔뿌리(R) 끝에 전분 성분이 농축된 덩어리 뿌리(R1)가 달린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덩어리 뿌리(R1)를 수확하여 식용, 약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sedge crops, for example, Orbanggae (P), are characterized by having lumpy roots (R1) with concentrated starch components at the ends of fine roots (R) that grow thin and long. The clump root (R1) can be harvested and used as food, medicine, etc.

하지만, 덩어리 뿌리(R1)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땅 속에 가늘고 길게 자란 잔뿌리(R)를 손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하나 하나 수확한 후, 그 중 덩어리 뿌리(R1)만을 분리하여 건조하여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harvest the clump roots (R1), the fine roots (R) that have grown thin and long in the ground must be harvested one by one using hands or tools, and then only the clump roots (R1) must be separated and dried.

즉, 고밀도로 재배된 올방개(P)에서 잔뿌리(R)들을 사람이 하나 하나 캐고 그 끝에 형성된 덩어리 뿌리(R1)를 분류해야 하기 때문에 수확 과정에 상당한 노동력과 시간이 소모된다. In other words, a significant amount of labor and time is consumed in the harvesting process because people have to dig up the fine roots (R) one by one from the high-density cultivated Orbanggae (P) and sort out the lumpy roots (R1) formed at the end.

또한 덩어리 뿌리(R1)가 땅 아래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화, 모듈화 하기 어렵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Additionally, because the mass roots (R1) grow underground, there is also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utomate and modularize them using machines.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배망(150) 내에 복수의 사초과 식물을 고밀도로 재배하고, 수확 시 배양토(130) 내에 삽입된 재배망(150)을 인양하여 손쉽게 사초과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cultivates a plurality of Cyperaceae plants at high density within the cultivation network 150, and allows the Cyperaceae crops to be easily harvested by lifting the cultivation network 150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130 at the time of harvestin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그물망(153)은 상기 씨줄과 상기 날줄이 A 간격으로 교차되는 제1 그물망(153a) 및 상기 씨줄과 상기 날줄이 B 간격으로 교차되는 제2 그물망(153b)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mesh 153 may include a first mesh 153a in which the weft and warp intersect at intervals A and a second net 153b in which the weft and warp intersect at interval B. You can.

상기 제1 그물망(153a)은 재배망(15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그물망(153b)은 상기 제1 그물망(153a)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mesh 153a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ultivation network 150, and the second mesh 153b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mesh 153a.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물망(153a)은 상기 제2 그물망(153b)에 비해 상대적으로 씨줄과 날줄의 간격이 더 좁을 수 있다. 이는 사초과 작물의 잔뿌리와 덩어리 뿌리가 밀집한 부분을 조밀한 그물망을 사용하여 수확량을 상승시키고, 수확 과정에서 덩어리 뿌리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acing between the weft and warp of the first mesh 153a may be relatively narrower than that of the second mesh 153b. This is to increase yield by using dense netting on areas where fine roots and clump roots of sedge crops are dense, and to prevent clump roots from being lost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다만, 그물망(153)의 모든 영역이 제1 그물망(153a)과 같이 조밀하게 형성되면, 수확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배양토가 포함되어, 사초과 작물을 인양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힘이 요구된다. 아울러, 인양 과정에서 그물망(153)이 손상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However, if all areas of the net 153 are formed as densely as the first net 153a, too much culture soil is included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and more force than necessary is required to lift the sedge crop.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net 153 during the lifting process may increas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덩어리 뿌리가 매우 높은 밀도로 군집된 부분만을 제1 그물망(153a)으로 수확하고, 덩어리 뿌리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씨줄과 날줄의 간격이 넓은 제2 그물망(153b)으로 포획하여 수확 과정에서 덩어리 뿌리의 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잔뿌리 등에 얽혀 불가피하게 수확되는 배양토의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덩어리 뿌리의 수확량을 향상하고 수확 과정에서 필요한 노동력을 낮출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invention harvests only the part where the clump roots are clustered at a very high density with the first net (153a), and uses the second net (153b) where the spacing between the warp and warp is wide.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ss of mass roots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weight of culture soil that is inevitably harvested due to entanglement with fine roots. This can improve the yield of clump roots and reduce the labor required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물망(153a)의 간격과 상기 제2 그물망(153b)의 간격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ap between the first mesh 153a and the second mesh 153b may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quation 1.

[관계식 1][Relationship 1]

0.1 ≤ A/B ≤ 0.50.1 ≤ A/B ≤ 0.5

(상기 관계식 1에서 A는 제1 그물망의 씨줄과 날줄 간격을 의미하고, B는 제2 그물망의 씨줄과 날줄 간격을 의미한다.) (In equation 1 above, A refers to the weft and warp spacing of the first mesh, and B refers to the weft and warp spacing of the second mesh.)

상기 A/B가 0.1 미만이면, 배양토가 씨줄과 날줄 사이 간격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뿌리와 같이 수확될 수 있다. 그 결과 수확 과정에서 수확물에 포함된 배양토의 비율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배양토로 인해 수확물의 중량이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에 그물망(153)이 손상될 수 있다. If A/B is less than 0.1, the culture soil cannot escap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ed and warp and can be harvested along with the roots.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culture soil contained in the harvested product increases during the harvesting process, which is not desirable. In addition, the net 153 may be damaged because the weight of the harvested product increases excessively due to the culture soil.

반면에, 상기 A/B가 0.5를 초과하면 재배망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씨줄과 날줄 사이 간격에 의해 일부 덩어리 뿌리가 유실되어 수확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1 그물망(153a)에서 씨줄과 날줄의 간격(A)과 제2 그물망(153b)에서 씨줄과 날줄의 간격(B)은 0.1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B exceeds 0.5, some clump roots may be lost due to the gap between the seed and warp lines during the process of lifting the cultivation network, resulting in a decrease in yield.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A) between the weft and warp in the first mesh (153a) and the spacing (B) between the weft and warp in the second net (153b) are 0.1 to 0.5, more preferably 0.2 to 0.2. It could be 0.4.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그물망은 제2 그물망(153b) 바깥쪽으로 줄기 고정선(153c)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sh may further include a stem fixing line (153c) outside the second mesh (153b).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물망(153)은 줄기 고정선(153c)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그물망(153)과 배양토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초과 작물의 줄기를 고정하여 사초과 작물이 그물망(153) 밖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net 153 additionally includes a stem fixing line 153c to fix the stems of the Cyperaceae crop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net 153 and the culture soil to prevent the Cyperaceae crops from falling out of the net 153. It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1000)의 다른 구성인 LED 조명부(200) 및 조명 제어부(미도시)를 설명한다.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LED lighting unit 200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not shown), which are other components of the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1000,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ED 조명부(200)은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100)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100) 내 성장하고 있는 사초과 작물(P)에게 빛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LED lighting unit 200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100 and can supply light energy to the Cyperaceae crop P growing in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100. there is.

상기 조명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LED 조명부(200)의 점멸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엽채류 작물은 작물이 성장하는데 과량의 빛 에너지가 요구된다. 하지만 사초과 작물은 차광상태에서 최소한의 빛 에너지만 공급하여도 작물이 성장하는데 문제가 없다. 즉, 사초과 작물은 엽채류 작물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공급하여도 충분한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는 LED 조명의 가동시간을 최적화 하여 투자되는 에너지에 비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the blinking state of the LED lighting unit 200. As previously explained, leafy vegetable crops require an excessive amount of light energy to grow. However, there are no problems with the growth of sedge crops even when only minimal light energy is supplied in shaded conditions.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sedge crops can harvest a sufficient amount of crops even if less energy is supplied than leafy vegetable crops. Based on this, users can optimize the operation time of LED lighting and increase production compared to the energy inves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1000)은 양액 저장 탱크(310), 하나 이상의 양액 공급노즐(330) 및 양액 공급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 310, one or more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s 330,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양액 저장 탱크(310)은 내부에 사초과 작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양액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된 양액은 양액 공급노즐(330)을 통해 각각의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100)에 공급될 수 있다.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 310 can store a nutrient solution inside that supplies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sedge crops. In addition, the stored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each sedge crop cultivation box 100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 330.

도 6에서는 하나의 양액 저장 탱크(310)과 하나의 양액 공급노즐(330)만을 표시하였으나, 양액 저장 탱크와 양액 공급노즐(330)을 복수개 장착하여 서로 다른 조성의 양액을 저장 후 동시 또는 별도로 공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Figure 6, only one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 310 and one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 330 are shown. However,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s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s 330, nutrient solutions of different compositions can be stored and then supplied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done.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한다.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연장봉과 고정링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extension rod and the fixing rin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이동로 및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7,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path and a means of movement.

상기 이동로는 상기 재배 영역의 폭 또는 넓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로는 서로 다른 재배 영역(A)을 이동할 수 있는 교차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ovement path may extend parallel to the width or width of the cultivation area. Additionally, the travel path may provide an intersection through which different cultivation areas (A) can be moved.

상기 이동 수단(미도시)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재배 영역(A)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운송수단을 의미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수례, 전동기, 이동모듈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means of transportation (not shown) refers to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an freely move the cultivation area (A) along the pa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eans of movement may be provided as a water transport, an electric motor, a movement module, etc.

도 7에서는 상기 이동로를 레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재배 환경에 따라 적합한 이동로 및 이동 수단을 채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Figure 7, the movement path is expressed as a rail,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bvious that an appropriate movement path and means of movement can be adopted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봉(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fixed to the moving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extension rods (L)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is locat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봉(L)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된 상태로 움직이다가 이동부가 특정 위치, 예를 들어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놓인 위치에 근접하면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의 고정링(155)을 향해 연장하여 고정링(155)과 연장봉(L)을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extension rod (L) moves in a state fixed to the moving part, and when the moving part approaches a specific posi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where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is placed, the fixing ring of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By extending toward (155), the fixing ring (155) and the extension rod (L) can be combined.

실시 예에 다르면, 상기 결합은 둘 이상의 연장봉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이동부가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upl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wo or more extension rods, or may be performed with two or more moving parts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일렬 또는 이열로 실내에 배치되어 하나의 재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 상부에 위치하는 LED 조명부; 및
상기 LED 조명부의 점멸 상태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는,
상단면이 개방되고 덮개로 닫을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배양토;
씨줄과 날줄이 서로 직교로 교차되어 형성된 그물망을 포함하는 재배망;을 포함하고,
상기 재배망은 상기 배양토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망 내부 공간에 복수의 사초과 작물이 재배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
In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es are arranged indoors in a row or two rows to form one cultivation area,
Cyperaceae growing boxes;
An LED lighting unit located at the top of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and
It includes a light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blinking state of the LED lighting unit.
The sedge crop cultivation box is,
A body that has an open top surface and can be closed with a lid;
Culture soil disposed inside the body;
It includes a re-network including a mesh formed by crossing the weft and warp line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yperaceae crops are gr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cultivation network while the cultivation network is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at a predetermined dep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는 양액 저장 탱크;
상기 몸체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양액 저장 탱크에 저장된 양액을 배양토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양액 공급노즐; 및
상기 양액 공급노즐을 제어하는 양액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is,
A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 that stores the nutrient solution inside;
One or more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s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tank to the culture soil; and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nutrient solution supply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재배 영역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이동로; 및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수단으로 이루어진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is,
a travel path extending parallel to the cultivation area; and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art consisting of a moving means moving along the moving pa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사초과 작물 재배 상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봉을 더 포함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is,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system is fixed to the moving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pair of extension rods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yperaceae crop cultivation box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망은,
상기 그물망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링; 및
일 단은 상기 고정링에 고정되고, 타탄은 상기 배양토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재배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distribution network is
A fixing ring that secures the upper part of the mesh;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ring, and the tartan is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at a predetermined depth to support the cultivation network.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상기 씨줄과 상기 날줄이 소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된 제1 그물망; 및
상기 씨줄과 상기 날줄이 소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된 제2 그물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물망의 간격은 상기 제2 그물망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된,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et is,
a first mesh formed by crossing the weft and warp lin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net formed by crossing the weft and the warp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in which the spacing of the first net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spacing of the second n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망의 간격과 상기 제2 그물망의 간격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사초과 작물 재배 시스템.
[관계식 1]
0.1 ≤ A/B ≤ 0.5
(상기 관계식 1에서 A는 제1 그물망의 씨줄과 날줄 간격을 의미하고, B는 제2 그물망의 씨줄과 날줄 간격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clause 6,
A sedge crop cultivation system in which the spacing of the first net and the spacing of the second net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Relationship 1]
0.1 ≤ A/B ≤ 0.5
(In equation 1 above, A refers to the weft and warp spacing of the first mesh, and B refers to the weft and warp spacing of the second mesh.)
KR1020220151673A 2022-11-14 2022-11-14 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Pending KR202400701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673A KR20240070166A (en) 2022-11-14 2022-11-14 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673A KR20240070166A (en) 2022-11-14 2022-11-14 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166A true KR20240070166A (en) 2024-05-21

Family

ID=9132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673A Pending KR20240070166A (en) 2022-11-14 2022-11-14 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016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97B1 (en) 2019-06-07 2019-12-12 코리아휠 주식회사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trolley conveyor
KR20220034371A (en) 2020-09-11 2022-03-18 (주)드림팜솔루션 A plant cultiv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97B1 (en) 2019-06-07 2019-12-12 코리아휠 주식회사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trolley conveyor
KR20220034371A (en) 2020-09-11 2022-03-18 (주)드림팜솔루션 A plant cultiv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6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along a wavy path
KR102654971B1 (en) A device that promotes plant growth
KR101022025B1 (en) Plant growing equipment
NZ196085A (en) Seedling pot:depending converging strips
KR101645458B1 (en) A method for cultivating strawberry seedlings using strawberry seedlings and cultivation
KR101749871B1 (en) Strawberry double layered cultivation equipment that combines strawberry nursery and cultivation
KR101645455B1 (en) Individual ports and strawberry seedling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goseol formal place for a strawberry nursery place.
KR20200015978A (en) Ginseng hydroponics cultivation device
KR20240070166A (en) Cultivation system of Cyperaceae crops
CN108651267B (en) Multifunctional illumination planting unit
US12219907B2 (en) Apparatus for cultivation of long-stem vegetable plants, related method and uses
KR101766591B1 (en) An individual seedling pot used for strawberry seedling and cultivation strawberry high cultivation equipment
CN204518762U (en) Ring type water fog cultivating device assembly
CN213695105U (en) Indoor vegetable and edible fungus symbiotic cultivation group frame
CN107211808A (en) A kind of method of passion fruit cultivation
CN208370564U (en) Multifunctional lighting plants pallet assembly
CN221829575U (en) Stereoscopic vegetable garden planting system
US20240000028A1 (en) Growing tray system, method and farming system
KR20240070163A (en) Cultivation box of Cyperaceae crops
Hampson et al. Tree Density or Training System—What is Important in Apple Orchard Design?
CN216795900U (en) Planting table with built-in substrate grooves for tomatoes
JP3316080B2 (en) Plant cultivation method
CN217284224U (en) Planting table with built-in tomato matrix bags
Huang et al. Air-pruned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for fully automated transplanting
CN210808464U (en) Dragon fruit seedling plant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