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385A -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7385A KR20240067385A KR1020220148151A KR20220148151A KR20240067385A KR 20240067385 A KR20240067385 A KR 20240067385A KR 1020220148151 A KR1020220148151 A KR 1020220148151A KR 20220148151 A KR20220148151 A KR 20220148151A KR 20240067385 A KR20240067385 A KR 202400673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ft
- paper
- information
- prin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은,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생성하는 NFT 생성 단계;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하는 NFT 지급 단계;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NFT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물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지급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캘린더, 카다로그, 포스터, 팜플렛(리플렛), 전단, 메뉴얼(교재), 사보(월간, 계간 등), 명함, 봉투, 특수 인쇄물 등과 같은 인쇄물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쇄물 제작사를 직접 방문하여 원하는 인쇄물을 주문하여 인쇄하였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전자상거래, 전자광고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예전에는 모든 상거래가 오프라인을 통해 물리적으로 수행되던 것을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었다.
또한, 인터넷 사업자들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개발하고 사용자가 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특정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로서, 이와 같은 종래의 온-오프(on-off) 라인 방식의 인쇄물 제작 업체들의 경쟁이 심화되어, 고객 유치를 위하여 인쇄물 제작에 따른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이 인쇄물의 인쇄가 의뢰되면 종이 인쇄물의 인쇄 후에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지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객에게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관심을 통한 마케팅 및 홍보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생성하는 NFT 생성 단계;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하는 NFT 지급 단계;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NFT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일과 배송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FT 생성 단계의 이전에, 인쇄 장치가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는 종이 인쇄물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인쇄물 파일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인 가상 인쇄물을 생성하는 가상 인쇄물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FT 생성 단계는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FT 생성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구매자 단말로부터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의 매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를 통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생성하고,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하고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인쇄물 NFT 발행 서버; 및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일과 배송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인쇄물 파일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인 가상 인쇄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는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의 매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를 통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이 인쇄물의 인쇄가 의뢰되면 종이 인쇄물의 인쇄 후에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지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객에게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관심을 통한 마케팅 및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NFT 발행 서버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NFT 발행 서버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이 인쇄물의 인쇄가 의뢰되면 종이 인쇄물의 인쇄 후에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지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객에게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관심을 통한 마케팅 유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먼저 종이 인쇄물의 인쇄가 의뢰되면 종이 인쇄물이 인쇄된 이후에, 인쇄된 인쇄물에 대한 정보, 소유권 정보 및 제작권 정보 등을 포함하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발행한다.
이와 같이 발행된 NFT는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를 의뢰한 의뢰자(고객)에게 제공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의뢰자(고객)에게 제공된 NFT는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구매를 원하는 구매자에게 대금 지급을 통해 소유권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네트워크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으로서, 인쇄 장치(101),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서비스 제공 서버(130), 사용자 단말(140) 및 구매자 단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101)는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를 위한 종이 인쇄물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는 인쇄가 의뢰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통해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는 상기 NFT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일과 배송일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인쇄물 파일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인 가상 인쇄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상 인쇄물은 종이 인쇄물과는 달리 온라인 상에서만 표시가능한 이미지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NFT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상 인쇄물의 NFT도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인쇄물 파일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인 가상 인쇄물을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는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는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이와 같이 NFT가 생성된 이후에, 구매자 단말(150)로부터 상기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의 매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를 통해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지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으로서, 먼저 종이 인쇄를 위하여 고객이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종이 인쇄물 파일을 인쇄 장치(101)로 제공한다(S210). 이때, 상기 인쇄물 파일은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와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도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 장치(101)가 상기 인쇄물 파일을 수신하여 종이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다(S220).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수신한 상기 인쇄물 파일을 이용하여 가상 인쇄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S225), 이와 같이 생성된 가상 인쇄물의 정보를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로 제공할 수 있다(S226).
이후,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가 상기 인쇄물 파일을 이용해 상기 종이 인쇄물의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을 생성하며(S230), 이때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가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가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하여 고객이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지급된 상기 NFT를 확인할 수 있다(S240).
또한,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가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S250).
이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130)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260).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일과 배송일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아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구매자 단말(150)로부터 상기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의 매수 요청을 수신하면(S270),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30)가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를 통해 고객의 사용자 단말(140)과 상기 구매자 단말(150)간의 구매 계약을 중계하여 체결하고(S280),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지급할 수 있다(S29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이 인쇄물의 인쇄가 의뢰되면 종이 인쇄물의 인쇄 후에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지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객에게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관심을 통한 마케팅 유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NFT 발행 서버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NFT 발행 서버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는 NFT 생성부(111), NFT 지급 처리부(112) 및 NFT 정보 제공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쇄물 서비스 제공부(131), 정보 제공부(132) 및 NFT 구매 처리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FT 생성부(111)는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NFT 생성부(111)는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지급 처리부(112)는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하고, 상기 NFT 정보 제공부(113)는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쇄물 서비스 제공부(131)는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제공부(132)는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일과 배송일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NFT 구매 처리부(133)는 구매자 단말(150)로부터 상기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의 매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110)를 통해 고객의 사용자 단말(140)과 상기 구매자 단말(150)간의 구매 계약을 중계하여 체결하고,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지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인쇄 장치
110: 인쇄물 NFT 발행 서버
111: NFT 생성부
112: NFT 지급 처리부
113: NFT 정보 제공부
120: 블록체인 네트워크
130: 서비스 제공 서버
131: 인쇄물 서비스 제공부
132: 정보 제공부
133: NFT 구매 처리부
140: 사용자 단말
150: 구매자 단말
110: 인쇄물 NFT 발행 서버
111: NFT 생성부
112: NFT 지급 처리부
113: NFT 정보 제공부
120: 블록체인 네트워크
130: 서비스 제공 서버
131: 인쇄물 서비스 제공부
132: 정보 제공부
133: NFT 구매 처리부
140: 사용자 단말
150: 구매자 단말
Claims (10)
-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에 있어서,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생성하는 NFT 생성 단계;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하는 NFT 지급 단계;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NFT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일과 배송일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T 생성 단계의 이전에,
인쇄 장치가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는 종이 인쇄물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인쇄물 파일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인 가상 인쇄물을 생성하는 가상 인쇄물 생성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NFT 생성 단계는,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가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NFT 생성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구매자 단말로부터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의 매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를 통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생성하고, 상기 종이 인쇄물을 의뢰한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에 상기 NFT를 지급하고 상기 NFT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인쇄물 NFT 발행 서버; 및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NFT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종이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종이 인쇄물의 인쇄일과 배송일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종이 인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인쇄물 파일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인 가상 인쇄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는,
인쇄가 의뢰된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의 자산 정보, 창작자, 소유자 및 제작일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종이 인쇄물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의 매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물 NFT 발행 서버를 통해 상기 고객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가상 인쇄물 NFT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구매 계약에 상응하는 판매 금액을 상기 고객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8151A KR20240067385A (ko) | 2022-11-08 | 2022-11-08 |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8151A KR20240067385A (ko) | 2022-11-08 | 2022-11-08 |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7385A true KR20240067385A (ko) | 2024-05-17 |
Family
ID=9133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8151A Pending KR20240067385A (ko) | 2022-11-08 | 2022-11-08 |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7385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4630A (ko) | 2020-06-12 | 2021-12-21 | 김혜영 | 디지털 출판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및 그 시스템 |
-
2022
- 2022-11-08 KR KR1020220148151A patent/KR20240067385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4630A (ko) | 2020-06-12 | 2021-12-21 | 김혜영 | 디지털 출판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및 그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01873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created advertisements | |
US2015035649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s from multiple websites | |
JP2003524261A (ja) | プリンタサービス拒否 | |
US20070094075A1 (en) | Coupon Book and Methods of Design and Use Thereof | |
KR20210000150A (ko) | 출판예정 전자책의 유통방법 및 장치 | |
KR101165804B1 (ko) | 큐알코드를 매개로 소비자의 사용용품을 광고매체화하여 큐알코드 노출자와 인식자가 광고수익을 얻는 방법 | |
KR102309740B1 (ko) | 전자문서 콘텐츠 관리 방법 | |
KR20240067385A (ko) | 인쇄물의 저작권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
KR20010103537A (ko) | 전자서적을 이용한 인터넷 광고 방법 | |
KR20180022413A (ko) | 인터넷을 통한 인쇄물 제작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
JP6004952B2 (ja) | ポイント交換処理装置、ポイント交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0831096B1 (ko) | 온라인 전자출판 서비스 방법 | |
Mwende et al. | Integrated Paperless Receipts for Shoppers. | |
KR100707508B1 (ko) | 인터넷을 통한 출판예정 서적의 유통방법 및 그 장치 | |
WO200007246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otherwise unavailable works over the internet | |
KR20030042230A (ko) | 맞춤광고를 이용한 인터넷 출판 시스템 및 출판 방법 | |
JP2002342600A (ja) | 単一レベル市場取引方法 | |
JP2002279292A (ja) | 商用印刷支援システム | |
JP2002007744A (ja) | 著作物の製作販売システム | |
KR20140012249A (ko) | 통합 결제 서비스 연동 쿠폰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
JP4864648B2 (ja) | 利用代金明細書発行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20020018445A (ko) | 인터넷을 이용한 포토샵 서비스 방법 | |
JP2008072445A (ja) |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03044712A (ja) | 画廊商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 |
KR20150104545A (ko) | 통합 결제 서비스 연동 쿠폰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