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64951A -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951A
KR20240064951A KR1020220145126A KR20220145126A KR20240064951A KR 20240064951 A KR20240064951 A KR 20240064951A KR 1020220145126 A KR1020220145126 A KR 1020220145126A KR 20220145126 A KR20220145126 A KR 20220145126A KR 20240064951 A KR20240064951 A KR 2024006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evice
controller
chemical injection
wireless communication
chem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22014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4951A/en
Priority to PCT/KR2023/011277 priority patent/WO2024096264A1/en
Publication of KR2024006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951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09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matching patient with his treatment, e.g. to improve transfusion secur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 A61M2205/6072Ba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대상체에 부착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장치가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 연결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약액 주입 장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코드를 외면에 표시하고, 컨트롤러는 정보 코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와 페어링 하고, 정보 코드는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컨트롤러와 약액 주입 장치가 페어링을 시작하기 전에 컨트롤러가 정보 코드를 사용하여 대상 약액 주입 장치의 적합성을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약액 주입 장치들이 컨트롤러 주변에 위치하더라도 대상 약액 주입 장치에만 페어링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약액이나 약액 주입 장치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isclosed is a method in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that is attached to an object and injects a chemical solution connects to a controll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displays an information code including an identifier on its outer surface, and the controller uses the information code to target a user's desired target. Pairing with a chemical injection device, and the information code further includes status information, so that the controller uses the information code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before the controller and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begin pairing, so that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Even if it is located near the controller, pairing is possible only with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chemical liquid or waste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Description

정보 코드를 활용한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chemical injection device using information cod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본 개시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당뇨병 환자가 이용하는 인슐린 주입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펜 또는 인슐린 펌프를 통해 인슐린을 체내에 주입하나, 일상 생활 시 활동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Development of insulin injectors used by diabetic patients is actively underway. Diabetic patients inject insulin into their bodies through an insulin pen or insulin pump, but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very less active in daily life.

이에 따라 스마트 인슐린 패치가 개발되었으나, 인슐린 패치 독립적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스마트 인슐린 패치에 전용 컨트롤러를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하고, 전용 컨트롤러에서 스마트 인슐린 패치를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양 장치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식은 복수개의 스마트 인슐린 패치가 전용 컨트롤러 주변에 위치 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스마트 인슐린 패치와 전용 컨트롤러를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a smart insulin patch was developed, but because there is a possible risk when controlling blood sugar independently of the insulin patch, a dedicated controller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smart insulin patch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mart insulin patch is controlled by the dedicated controller. The method used is: However, the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both devices has a problem in that when a plurality of smart insulin patches are located around a dedicated controller, the smart insulin patch desired by the user is not connected to the dedicated controller.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정보 코드를 활용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various embodiment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using an information code. The technical challenges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 코드가 외면에 표시된 약액 주입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preparing a chemical injection device with an information code including an identifier displayed on its outer surface;

컨트롤러가 상기 정보 코드를 읽어들여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장치에 약액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정보 코드를 통해 인식한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일치하는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약액 주입 장치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A controller reading the information code and recognizing the identifier; When a dru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drug injection device, the drug injection device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r to surroundings; The controller receiving the pairing request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er included in the pairing request signal matches the identifier recognized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And if they match, the controller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rug injection device that has transmitted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matching identifier;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including.

여기서 상기 정보 코드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하우징 외면에 표시된다. Here,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정보 코드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부착부의 보호 테이프 상에 표시된다. Here,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protective tape of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정보 코드는 QR 코드로 표시된다. Here,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as a QR code.

여기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고유 이름, 시리얼 번호 및 무선 통신 고유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Here, the identifi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nique name, serial numb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que address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정보 코드는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정보 코드를 읽어들이는 단계 이후에,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상태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정보 코드가 표시된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제어가 불가능하면, 상기 약액 주입 장치에 약액 주입 시작의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Here, the information code further includes status information, and after the controller reads the information code,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on which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possible; and if control is not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equesting the drug injection device to stop starting the drug injection; It further includes.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장치인지 외에도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될 수 있는 장치인지, 또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을 포함한다. Here, the status information indicates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s well as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the controller, or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It includes conditions under which recognition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model, version, or regional restrictions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정보 코드를 활용하여 컨트롤러 주변에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와 컨트롤러를 페어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함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와 컨트롤러가 페어링되어 발생하는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pair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desired by the user with the controller even when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exist around the controller by using an information cod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 problems that occur when a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and controller are paired against the user's inten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에 약액이 주입되기 이전에 컨트롤러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로부터 읽어들인 정보 코드를 통해, 대상 약액 주입 장치가 컨트롤러에 연결되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부적격 상태의 약액 주입 장치와는 페어링하지 않도록 하여, 약액의 낭비 및 약액 주입 장치의 불필요한 폐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before the drug is injected into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desir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read from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By determining ,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asting of the chemical solution and unnecessary disposal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by preventing pairing wit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in an ineligible stat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컨트롤러 근처에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의 외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 및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물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읠 약물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의 일부 단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 및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약물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emical inje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ituation where a plurality of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s exist near the controll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and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some step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ure 5.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and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lowchart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e presence of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part of a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part, but also when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ar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형태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hap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e three axes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s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also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cases where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관리 시스템(1)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emical injection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약액 주입 관리 시스템(1)은 약액 주입 장치(10), 컨트롤러(20) 및 통합 관리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emical injection management system 1 may include a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 controller 20,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

약액 주입 장치(10)는 약액 주입 대상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혈당값, 혈압, 심박수 등의 생체값을 측정하고,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대상체에게 설정된 정량으로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의 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동물에도 장착되어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is attached to a drug injection target, measures the user's biometric values such as blood sugar leve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nd can inject the drug stored inside into the target in a set amount. 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may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Additionally, in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be mounted on an animal to inject the drug.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주입되어야 하는 약액을 보관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20)에 의해 발생된 주입 신호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사용자에게 약액이 주입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약액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인슐린 계열 약액을 포함할 수 있고, 글루카곤, 마취제, 진통제, 도파민, 성장 호르몬, 금연 보조제, 심장용 약액 등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The med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may inclu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a medical solution to be periodically injected into the user, and may be controlled to inject the medical solution from the storage unit to the user according to an inj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0. . For example, the drug solution may include an insulin-based drug solution for diabetic patients, and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glucagon, anesthetic, analgesic, dopamine, growth hormone, smoking cessation aid, and heart drug solution.

약액 주입 장치(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컨트롤러(20)와 1대 1(point to point)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그비(ZigBee), 무선랜 (Wi-Fi), WFD(Wi-Fi Direct), UWB(Ultra-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may be connected one-to-one (point to point) with the controller 2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Bluetooth or Bluetooth low energy,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based on thi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ZigBee, wireless LAN (Wi-Fi), WFD (Wi-Fi Direct), UWB (Ultra-Wideban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an also be used.

컨트롤러(20)는 약액 주입 장치(1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약액 주입 장치(10)의 부적격 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약액 주입 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약액 주입 장치(10)로 약액의 주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혈당 등 생체값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약액 주입 장치(10)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는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주입되는 약액의 양, 약액의 주입 횟수,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의 양,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컨트롤러(20)를 통해 약액 주입 장치(10)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2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in an ineligible stat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injection of a drug solution,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asurement of biological values such as blood sugar from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and monitor the usage status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 can monitor the amount of the drug injected from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the number of times the drug is injected, the amount of the drug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user's bio information, etc., and based on this, the user can control the controll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can be driven through (20).

컨트롤러(20)는 통신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컨트롤러(2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컨트롤러는 스마트 리모컨의 형태, 스마트폰의 임의의 형태,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사용자의 몸에 부착 혹은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ler 20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an application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Here, the controller 20 may be a user's portable terminal.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may be in the form of a smart remote control, any form of smartphone, computer (e.g., desktop, laptop, tablet, etc.), handheld computing device (e.g., PDA, email client, etc.), It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attached or mounted on the user's body, or any other type of computing or communication platfor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컨트롤러(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망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무선 랜(Wireless Local Anrea Network), 와이파이(Wi-Fi) 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a network. Here, the network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i-Fi.

통합 관리 서버(30)는 컨트롤러(20)의 펌웨어 정보 및 컨트롤러(20)와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약액 주입 장치(10)의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컨트롤러(20)에 제공하며, 컨트롤러(20)로부터 약액 주입 장치(10)로 제공된 제어 신호의 이력을 비롯하여, 혈당 등 생체값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 컨트롤러(20)가 모니터링한 약액 주입 장치(10)의 약액의 양, 약액의 주입 횟수,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의 양,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모두 통합하여 저장,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병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firmwar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20 and the model, version, or regional restrictions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which can be controlled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20. Stor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20, including the history of control signals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20 to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information related to measurement of biological values such as blood sugar, and the drug injection device monitored by the controller 20 (10) The amount of the drug solution, the number of injections of the drug solution, the amount of the drug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user's bio information are all integrated, stored, and managed, and based on this, the user's pathology data can be created.

한편,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는 오직 1대1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야 한다. 하나의 컨트롤러(20)가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10)들을 제어하거나, 복수개의 컨트롤러(20)들이 하나의 약액 주입 장치(10)를 제어하는 경우, 복수의 제어 신호에 의해 혼란이 발생할 수 있고, 보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생명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0)와 약액 주입 장치(10)가 상술한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통신하기 위해 서로 페어링(pairing) 할 때, 컨트롤러(20)는 페어링 요청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근거리의 약액 주입 장치(10) 하나와만 자동으로 페어링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자동 페어링의 조건은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의 거리 및 약액 주입 장치(10)의 페어링 요청 신호의 세기로부터 결정된다. Meanwhile,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must be connected only one-to-on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hen one controller 20 controls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10 or a plurality of controllers 20 controls on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confusion may occur due to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 security problems may arise, which may pose a serious threat to the user's life. Therefore, when the controller 20 and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pair with each other to communicate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0 is connected to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at a short distance with the strongest pairing request signal. (10) Use a method of automatically pairing with only one person. That is, the conditions for automatic pairing are determined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and the strength of the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도 2는 컨트롤러(20) 근처에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들(10, 10a)이 존재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FIG. 2 shows a situation where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10 and 10a exist near the controller 20.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의 주변에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들(10, 10a)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이란,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가 도달하기 위한 최장 거리 이하로, 약 1m 이하 일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는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들(10, 10a)로부터의 매우 유사한 세기의 페어링 요청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복수개의 페어링 요청 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페어링 요청 신호의 세기가 강한 약액 주입 장치 하나와 자동으로 페어링을 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10 and 10a may exist around the controller 20. Here, the surroundings are less than the longest distance for a signa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reach, and may be about 1 m or les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 may receive pairing request signals of very similar intensity from the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10 and 10a. The controller 20 will compare the strengths of a plurality of pairing request signals and automatically pair with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with the strongest pairing request signal strength.

그러나, 이렇게 장치의 거리 및 신호의 세기만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페어링하는 방법은, 컨트롤러(20)가 사용자가 페어링을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가 아닌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가 페어링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수로 또는 의도하지 않고 페어링을 원하지 않는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를 컨트롤러(20) 주변에 놓아두었을 경우,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 대신에 자동으로 컨트롤러(20)와 페어링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를 폐기하고 다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 간의 페어링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와 컨트롤러(20)가 페어링된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자가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를 몸에 부착함으로써 약액 주입을 제 때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However, in this method of automatic pairing using only the distance and signal strength of the device, the controller 20 is paired with the non-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a, not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 with which the user wants to pair. there is a problem. For example, if the user accidentally or unintentionally places a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that does not want to be paired near the controller 20,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is connected to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 10) Alternatively, it can be automatically paired with the controller 20. In this case, the user incur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iscard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and perform pairing between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again. In addition, the problem of not receiving the medication injection in time may occur because the user attaches the target medication injection device 10 to the body without the user being aware that the non-target medication injection device 10a and the controller 20 are paired. It may be possible.

한편, 컨트롤러(20)가 장치의 거리 및 신호의 세기만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가 부적격 상태인지 미리 확인하는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부적격 상태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와 연동이 불가능한, 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가 불가능한, 또는 컨트롤러(20)와 무선 통신 연결이 불가능한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이 적용된 것일 경우일 수 있다.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가 부적격 상태인데 자동으로 컨트롤러(20)와 페어링이 수행되어 버린다면, 컨트롤러(20)를 통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를 강제로 폐기해야 하는 손실이 발생하며, 이미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에 주입된 약액의 불필요한 낭비도 발생한다. Meanwhile, when the controller 20 automatically performs pairing using only the distance and signal strength of the device, there is no process to check in advance whether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in an ineligible state. Here, the ineligible state refers to a model, version, or region limitation in which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cannot be linked with the controller 20, cannot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 or cannot be connec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20. This may be the case when applied. I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in an ineligible state and pairing with the controller 20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cannot be used through the controller 20. Therefore, a loss occurs as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must be forcibly discarded, and unnecessary waste of the chemical solution already injected into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also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코드를 통해, 컨트롤러(20) 주변에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들(10, 10a)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를 페어링하기 위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정보 코드를 통해, 컨트롤러(20)가 약액 주입 장치(10)와 페어링 하기 전에 약액 주입 장치(10)의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부적격 상태의 약액 주입 장치(10)와는 페어링하지 않도록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개시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ir the controller 20 with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desired by the user even when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10 and 10a exist around the controller 20 through an information code. Discloses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or.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before the controller 20 pairs with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rough an information code, thereby preventing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from being in an unqualified state. Discloses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that prevents pairing with.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10)의 외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며,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11), 하우징의 하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부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ior and includes a housing 11 covering the outside, an attachmen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located adjacent to the user's skin. It may be provided with unit 12.

하우징(11)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우징(11)의 상면은 약액 주입 장치(10)가 사용자에게 부착되었을 때 사용자 몸의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된다. The housing 11 is made of plastic,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 fac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ser's body when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attached to the user.

부착부(12)는 접착부(미도시) 및 보호 테이프(12t)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할 수 있도록 접착 테이프, 접착제 등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 테이프(12t)의 일면은 매끄러운 코팅이 되어 있어 접착부와 직접 접촉하며 접착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되지 전까지 접착부의 접착 능력을 유지 및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보호 테이프(12t)의 타면은 약액 주입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약액 주입 장치의 저장부에 주사기로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약액 주입구(화살표)가 표시되고, 니들 커버 조립체(700)가 배치된다. 니들 커버 조립체(700) 아래에는 니들 조립체(미도시)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700)는 니들 조립체를 보호하고, 약액을 주입하기 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에어를 프라이밍(Priming) 할 수 있다. The attachment portion 12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not shown) and a protective tape 12t. The adhesive portion may have adhesive tape, adhesive, etc. applied to it so that it can adhere to the user's skin. One side of the protective tape 12t is coated with a smooth coating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dhesive portion, and serves to maintain and protect the adhesive ability of the adhesive portion until the adhesive portion is adhered to the user's skin.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ve tape 12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on the other side, a chemical injection port (arrow) for injecting the chemical solution with a syringe into the storage part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is displayed, and the needle cover assembly ( 700) is deployed. A needle assembly (not shown) may be installed below the needle cover assembly 700. The needle cover assembly 700 protects the needle assembly and can prime the air stored in the storage unit before injecting the chemical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약액 주입 장치(10)의 외면에 정보 코드(19)가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ormation code 19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

여기서 정보 코드(19)는 2차원의 픽셀들이 배열되어 정보를 저장하고, 리더에 의해 정보를 읽을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 등의 2D코드 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보 코드(19)는 핀(PIN) 번호 또는 키(KEY) 정보의 형태일 수도 있다. Here, the information code 19 stores information by arranging two-dimensional pixels, and the information can be read by a reader.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form of a 2D code such as a QR code or data matrix code. However, the information code 19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in the form of a PIN number or key information.

또한, 정보 코드(19)는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 간에 무선 통신 연결시 약액 주입 장치(10)의 식별이 가능한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컨대 약액 주입 장치(10)의 고유 이름, 시리얼 번호 및 무선 통신 고유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code 19 may include a unique identifier that can identify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when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Here, the identifier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unique name, serial numb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que address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도 3(a)의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코드(19)가 부착되는 위치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하우징(11)의 상면일 수 있다. 도 3(b)의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코드(19)가 부착되는 위치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부착부(12)의 보호 테이프(12t)의 타면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a), the location where the information code 19 is attached may b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b), the location where the information code 19 is attached may be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ve tape 12t of the attachment portion 12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약액 주입 장치(10)는 제품 보호 및 위생을 위하여 보호 케이스(미도시)에 담겨 사용자에게까지 유통된다. 정보 코드(19)는 보호 케이스 내부의 약액 주입 장치(10)에 표시되므로, 보호 케이스를 개봉하기 전까지 정보 코드(19)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 코드(19)가 약액 주입 장치(10)의 외면에 직접 표시됨으로써 보안 유지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게다가 도 3(b)의 실시예와 같이 정보 코드(19)가 보호 테이프(12t)의 타면에 표시되는 경우, 보호 테이프(12t)의 제거에 의해 정보 코드(19)도 함께 버려지므로, 이미 사용한 약액 주입 장치(10)를 다시 컨트롤러(20)에 연동하여 사용할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폐기된 약액 주입 장치(10)의 재사용 우려를 없애는 효과가 있다.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distributed to users in a protective case (not shown) for product protection and hygiene. Since the information code 19 is displayed on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nside the protective case, the information code 19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until the protective case is open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maintain security by directly displaying the information code 19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Moreover, when the information code 19 is display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ve tape 12t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b), the information code 19 is also discarded by removing the protective tape 12t, so that the information code 19 has already been used. There is no possibility of using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ler 20 agai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concerns about reuse of the discarded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10) 및 컨트롤러(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10)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약액 주입 장치(10)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의 일부 단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컨트롤러(20) 주변에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들(10, 10a)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를 페어링하기 위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some step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of FIG. 5.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even if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10 and 10a exist around the controller 20, the user can pair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as desired.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or this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101에서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 코드가 외면에 표시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를 준비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컨트롤러(20)와 연결하고자 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라 지칭하고, 사용자가 컨트롤러(20)와 연결하지 않고자 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라 지칭한다. 여기서 정보 코드, 식별자 및 정보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101, a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with an information code including an identifier displayed on its outer surface is prepared. Hereinaft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that the user wishes to connect with the controller 20 is referred to as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connect with the controller 20 is referred to as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 is referred to as. Here, the information code, identifier, and location where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have been explained in FIG. 3, so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단계 102에서 컨트롤러(20)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정보 코드를 읽어들인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정보 코드 리더(201)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계 102는 정보 코드 리더(20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코드 리더(201)는 카메라, QR 코드 리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 리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약액 주입 장치(10)의 외면에 표시된 정보 코드(19)를 촬영하고, 정보 코드 리더(201)의 코드 리딩 알고리즘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정보 코드로부터 내용을 읽어들일 수 있다. In step 102, the controller 20 reads the information code o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an information code reader 201, and step 102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reader 201. Here, the information code reader 20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amera, QR code reader, and data matrix code reade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ler 20 photographs the information code 19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rough a built-in camera, and photographs the information code 19 through the code reading algorithm of the information code reader 201. You can read the content from the information code of the image.

단계 103에서 컨트롤러(20)는 읽어들인 정보 코드 내의 식별자를 인식하여 저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정보 인식부(20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계 103은 정보 인식부(20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정보 인식부(202)는 식별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읽어드린 정보 코드의 내용 중 식별자를 인식하여 추출 및 저장한다. 여기서, 식별자는 정보 코드가 표시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컨대 약액 주입 장치(10)의 고유 이름, 시리얼 번호 및 무선 통신 고유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103, the controller 20 recognizes and stores the identifier in the read information code. 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a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02, and step 103 may be performed i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02.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02 can store an identification algorithm, and recognizes, extracts, and stores an identifier from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code read through the identification algorithm. Here, the identifier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for which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and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unique name, serial numb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que address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You can.

단계 104에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에 약액이 주입된다. 사용자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 외면에 표시된 약액 주입구로 주사기를 통해 약액을 주입한다. In step 104, a chemical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e user injects the drug solution through a syringe into the drug injection port indi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

단계 105에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는 약액 주입을 트리거로 하여, 식별자가 포함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한다. 약액이 주입되면, 컨트롤러(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부터 양 장치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이 완료되는 과정은 별도의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In step 105,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 triggers drug injection and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n identifier to surroundings. When the chemical solution is injected, the controller 20 displays a screen as shown in FIG. 7, an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airing request signal to comple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two devices is automatic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user intervention. It can proceed as follows.

여기서 페어링 요청 신호란, 제1장치가 주변의 제2장치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애드벌타이징(advertising)을 수행하기 위해 전송하는 신호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페어링 요청 신호에는 제1장치에 대한 많은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며, 최소의 정보만이 포함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페어링 요청 신호에는 정보 코드(19)에 포함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약액 주입 장치(10)는 페어링 요청 신호 생성부(10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계 105는 페어링 요청 신호 생성부(101)가 식별자를 포함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02)에서 생성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애드벌타이징할 수 있다. Here, the pairing request signal is a type of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to perform advertising to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device nearby. Generally, the pairing request signal does not contain much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evice and only minimal information is included.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the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es an identifier included in the information code 19. do. Referring to FIG. 4,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may include a pairing request signal generator 10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102. In step 105, the pairing request signal generator 101 generates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n identifier. It can be performed by generating a request signal, and the pairing request signal genera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102 can be advertised.

한편, 사용자가 페어링을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 외에도 사용자가 페어링을 원하지 않는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가 컨트롤러(20) 주변에 위치한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105a에서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도 식별자a를 포함한 페어링 요청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Meanwhile, it can be assumed that in addition to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with which the user wants to pair, a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with which the user does not want to pair is located around the controller 20. Accordingly, in step 105a, the non-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a may also generate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r a.

단계 106에서 컨트롤러(20)는 주변의 약액 주입 장치들로부터의 페어링 요청 신호들을 스캐닝(scanning)한다. 컨트롤러(20)의 스캐닝은 정보 코드(19)를 인식했을 때부터 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스캐닝을 요청했을 때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 스캐닝 동작은 도 4의 컨트롤러(20) 내의 무선 통신 연결부(20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step 106, the controller 20 scans pairing request signals from surrounding chemical injection devices. Scanning by the controller 20 may begin when the information code 19 is recogniz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gin when the user requests scanning. The scann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204 within the controller 20 of FIG. 4.

단계 107에서 컨트롤러(20)가 스캐닝 중, 하나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20)는 수신한 페어링 요청 신호 내에 포함된 식별자와 이미 인식한 정보 코드 내의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식별자 일치 판단부(203)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계 107은 식별자 일치 판단부(2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식별자 일치 판단부(203)는 페어링 요청 신호 내의 식별자를 추출한 후, 저장된 식별자와 대조하는 대조 알고리즘을 통해, 양 식별자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In step 107, when the controller 20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while scanning,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r included in the received pairing request signal matches the identifier in the already recognized information code. 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an identifier match determination unit 203, and step 107 may be performed by the identifier match determination unit 203. The identifier match determination unit 203 extracts the identifier in the pairing request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both identifiers are the same through a comparison algorithm that compares the identifier with the stored identifier.

예를 들어,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의 페어링 요청 신호의 세기가 좀더 강하게 컨트롤러(20)에 수신된 경우, 컨트롤러(20)는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a를 추출한 후, 저장된 식별자와 대조한다. 이 경우 양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이 시점부터 컨트롤러(20)는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로부터 전송되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무시하며, 페어링 요청 신호의 스캐닝을 재개한다. For example, when the strength of the pairing request signal of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is received by the controller 20, the controller 20 may determine the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ed in the pairing request signal of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After extracting identifier a, it is compared with the stored identifier. In this case, since both identifiers do not match, from this point on, the controller 20 ignores the pair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and resumes scanning of the pairing request signal.

예를 들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페어링 요청 신호의 세기가 좀더 강하게 컨트롤러(20)에 수신된 경우 또는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의 페어링 요청 신호가 무시된 상태에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페어링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컨트롤러(20)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페어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를 추출한 후, 저장된 식별자와 대조한다. 이 경우 양 식별자가 일치하므로, 도 5의 단계 108처럼 컨트롤러(20)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로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이처럼, 컨트롤러(20)는 양 식별자가 일치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찾을 때까지 스캐닝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trength of the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received by the controller 20, or when the pairing request signal from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is ignored,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When the pairing request signal of (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20 extracts the identifier included in the pairing request signal o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compares it with the stored identifier. In this case, since both identifiers match, the controller 20 requests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s shown in step 108 of FIG. 5. In this way, the controller 20 repeats the scanning process until it finds a chemical injection device with both identifiers matching.

단계 109에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는 컨트롤러(20)의 무선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한다. 단계 110에서 무선 통신 연결이 시작되고 양 장치는 연결 파라미터를 교환한다. 단계 111에서 양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이 완료된다. 이후부터 양 장치는 무선 통신의 통하여 데이터의 자유로운 송수신이 가능하다. 단계 109 내지 단계 111은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도 4의 102) 및 컨트롤러(20)의 무선 통신 연결부(도 4의 204)의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 109에서 단계 111의 무선 통신의 연결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에서 채용하는 방식과 유사하고, 해당 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step 109,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respond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ontroller 20. At step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initiated and both devices exchange connection parameters. In step 1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both devices is completed. From then on, both devices can free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teps 109 to 111 ar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102 in FIG. 4)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04 in FIG. 4) of the controller 20. Since the specific details rela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n steps 109 to 111 are similar to those employed in general Bluetooth or low-energy Bluetooth and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fiel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단계 112에서 무선 통신이 연결되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는 버저음을 통해 페어링을 확인하게 된다. 단계 113에서 사용자는 컨트롤러(20)와 페어링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를 몸에 부착하고 캐듈러를 몸에 삽입하여 약액이 주입될 수 있는 준비를 한다. 단계 114에서 컨트롤러(20)에 의해 주입 신호가 생성되어 무선 통신이 연결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로 전달되면, 단계 115에서 전달된 주입 신호에 따라 약액 주입 장치(10)의 약액 주입 제어부(도 4의 103)는 펌프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몸에 약액을 주입한다. When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in step 112,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confirms pairing through a buzzer sound. In step 113, the user attaches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paired with the controller 20 to the body and inserts the candula into the body to prepare for injec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When an inj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0 in step 114 and transmitted to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 connec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the drug injection control unit (FIG. 4, 103) controls the pump and injects the medicinal solution into the user's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코드를 활용하여 컨트롤러(20) 주변에 복수개의 약액 주입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를 페어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함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와 컨트롤러(20)가 페어링되어 발생하는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air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desired by the user with the controller 20 by using the information code ev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around the controller 20. ,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and problems that occur when the non-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a and the controller 20 are paired contrary to the user's intention can be prevent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10) 및 컨트롤러(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약액 주입 장치(10)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lowchart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약액 주입 장치(10)에 약액이 주입되어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생성하기 전에, 정보 코드(19)를 통해 컨트롤러(20)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부적격 상태의 약액 주입 장치(10)와는 페어링하지 않도록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개시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정보 코드(19)를 통해 컨트롤러(20)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들이 추가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단계의 설명은 제외하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and 9, before the chemical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and a pairing request signal for pairing is generated, the controller 20 transmits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 Disclosed is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that prevents pairing with a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at is in an ineligible state by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device 10). Therefore,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and 9 adds steps in which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19 i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4 to 8. Since 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4 to 8 except that, description of overlapping steps will be omitted below.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101에서 식별자외에도 상태 정보가 포함된 정보 코드(19)가 외면에 표시된 약액 주입 장치(10)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란,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장치인지,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와 연동될 수 있는 장치인지, 또는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정보 코드, 식별자 및 정보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등에 대해서는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9, in step 101, a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with an information code 19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in addition to an identifier displayed on the outside is prepared. Here, the status information refers to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a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the controller 20, o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t may include conditio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20. For example,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model, version, or regional restrictions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Other information codes, identifiers, and positions where information codes are displayed have already been explained previously, so redundant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단계 102에서 컨트롤러(20)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정보 코드를 읽어들인다. In step 102, the controller 20 reads the information code o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단계 103에서 컨트롤러(20)는 읽어들인 정보 코드 내의 식별자 인식하여 저장하는 외에도 상태 정보도 함께 인식하여 저장한다. 도 8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정보 인식부(20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계 103은 정보 인식부(20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정보 인식부(202)는 식별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읽어드린 정보 코드의 내용 중 식별자 및 상태 정보를 인식하여 추출, 저장한다. In step 103, the controller 20 not only recognizes and stores the identifier in the read information code, but also recognizes and stores status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a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02, and step 103 may be performed i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02.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02 can store an identification algorithm, and recognizes, extracts, and stores the identifier and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code read through the identification algorithm.

단계 1031에서 컨트롤러(20)는 저장된 상태 정보를 통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장치인지 판단한다. 즉, 컨트롤러(20)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적격성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적격성 여부이란,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 설정 유무인지,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와 연동될 수 있는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 설정 유무인지, 또는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 설정 유무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적격성 판단부(205)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계 1031은 적격성 판단부(205)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격성 판단부(205)는 통합 관리 서버(도 1의 30)로부터 해당 컨트롤러(20)와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약액 주입 장치(10)의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 등에 관한 적격성 정보를 제공 받아 저장한다. 적격성 판단부(205)는 저장된 적격성 정보와 정보 코드에서 읽어드린 상태 정보를 대조하여,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적격성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1031,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 through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That is,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eligible. Here, eligibility refers to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a model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 a version, or whether there is a regional restriction setting, a model in which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can be linked with the controller 20, It is to determine whether the version or regional restriction is set, or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20.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20 may include an eligibility determination unit 205, and step 1031 may be performed in the eligibility determination unit 205. Specifically, the eligibility determination unit 205 determines the model, version, or region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20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 in FIG. 1). Eligibility information regarding restrictions, etc. is provided and stored. The eligibility determination unit 205 determines the eligibility o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by comparing the stored eligibility information with the status information read from the information code.

예를 들면, 컨트롤러(20)가 특정 버전 이상의 약액 주입 장치와만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하나 정보 코드를 인식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는 특징 버전 미만인 경우, 또는 컨트롤러(20)가 해당 국가에서 생산한 약액 주입 장치와만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하나 정보 코드를 인식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는 타국가 생산품인 경우, 적격성 판단부(205)는 부적격 판단을 내린다. 이처럼, 컨트롤러(20)에 의해 대상 약액 주입 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면, 컨트롤러(20)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사용을 중단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한다. 컨트롤러(20)는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이나 불빛을 발생하거나, 경고 팝업을 표시함으로써, 정보 코드를 인식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에 약액을 주입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한다. 이를 통해 약액의 낭비를 막고, 약액 주입 장치를 불필요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For example, if the controller 20 can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nly with a chemical injection device of a certain version or higher, but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for which the information code is recognized is a version lower than the feature, or if the controller 20 is in the country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ossible only with the manufactured chemical injection device, but if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for which the information code is recognized is a product produced in another country, the eligibility determination unit 205 determines the device to be ineligible. In this way, if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by the controller 20, the controller 20 requests the user to stop using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e controller 20 generates a warning sound or light through an output unit (not shown), or displays a warning pop-up to request the user not to inject the chemical solution into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for which the information code has been recognized. This prevents waste of chemical solutions and prevents unnecessary use of chemical injection devices.

반면에,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모델, 버전이며, 지역 제한과 관계가 없다면, 적격성 판단부(205)는 적격 판단을 내린다. 이처럼, 컨트롤러(20)에 의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의 제어가 가능하면, 컨트롤러(20)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와 컨트롤러(20)가 무선 통신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에 약액 주입을 요청한다. 컨트롤러(20)는 출력부를 통해 약액 주입 요청 팝업을 표시함으로써, 정보 코드를 인식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에 약액을 주입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is a model or version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 and is not related to regional restrictions, the eligibility determination unit 205 makes an eligibility determination. In this way, if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 the controller 20 injects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so that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20 can be connec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Request injection of a chemical solution into the device 10. The controller 20 may request the user to inject the chemical solution into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for which the information code has been recognized by displaying a chemical injection request pop-up through the output unit.

단계 104에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에 약액이 주입된다. 사용자는 약액 주입 장치 외면에 표시된 약액 주입구로 주사기를 통해 약액을 주입한다. In step 104, a chemical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The user injects the drug solution through a syringe into the drug injection port marked on the outside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단계 105에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는 약액 주입을 트리거로 하여, 식별자가 포함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한다. In step 105,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 triggers drug injection and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n identifier to surroundings.

단계 106에서 컨트롤러(20)는 주변 약액 주입 장치들로부터의 페어링 요청 신호들을 스캐닝(scanning)한다. In step 106, the controller 20 scans pairing request signals from surrounding chemical injection devices.

단계 107에서 컨트롤러(20)가 스캐닝 중, 하나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20)는 수신한 페어링 요청 신호 내에 포함된 식별자와 이미 인식한 정보 코드 내의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In step 107, when the controller 20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while scanning,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r included in the received pairing request signal matches the identifier in the already recognized information code.

만약, 수신한 페어링 요청이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로부터 전송된 것이기 때문에 양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20)는 비대상 약액 주입 장치(10a)로부터 전송되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무시하며, 페어링 요청 신호의 스캐닝을 재개한다. If both identifiers do not match because the received pairing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non-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a, the controller 20 ignores the pair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on-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a and , resume scanning of the pairing request signal.

만약, 수신한 페어링 요청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전송된 것이기 때문에 양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단계 108처럼 컨트롤러(20)는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로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If both identifiers match because the received pairing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 the controller 20 requests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target drug injection device 10 as in step 108.

단계 109에서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는 컨트롤러(20)의 무선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한다. In step 109, the target chemical injection device 10 respond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ontroller 20.

단계 110에서 무선 통신 연결이 시작되고 양 장치는 연결 파라미터를 교환한다. 단계 111에서 무선 통신 연결이 완료된다. At step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initiated and both devices exchange connection parameters. In step 1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ompleted.

단계 105 내지 단계 115의 내용은 도 5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ontents of steps 105 to 115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5, overlapping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에 약액이 주입되기 이전에 컨트롤러(20)가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읽어들인 정보 코드를 통해, 대상 약액 주입 장치(10)가 컨트롤러에 연결되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부적격 상태의 약액 주입 장치와는 페어링하지 않도록 하여, 약액의 낭비 및 약액 주입 장치의 불필요한 폐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hemical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the controller 20 reads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through an information code read from the target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10. By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is suitable for connection to the controller, it prevents pairing with an unsuitable chemical injection device, thereby preventing waste of chemical liquid and unnecessary disposal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도 4의 단계 103 내지 단계 108 및 도 9의 단계 103 내지 단계 108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103 to 108 of FIG. 4 and steps 103 to 108 of FIG. 9 performed by the controller are stored i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containing one or more instructions.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processor of the device may call at least one instruction amo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allow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alle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n interpreter.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This term refers to cases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in the storage medium.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한편,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의 단계 103 내지 단계 108 및 도 9의 단계 103 내지 단계 108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103 to 108 of FIG. 4 and steps 103 to 108 of FIG. 9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between two user devices. It may be distributed in person or online (e.g., downloaded or uploaded).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unit” may b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or circuit, and/or a software component executed by the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본 실시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is embodiment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10: 약액 주입 장치
20: 컨트롤러
30: 통합 관리 서버
10: Chemical injection device
20: controller
30: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Claims (8)

식별자가 포함된 정보 코드가 외면에 표시된 약액 주입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컨트롤러가 상기 정보 코드를 읽어들여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장치에 약액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주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정보 코드를 통해 인식한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일치하는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약액 주입 장치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Preparing a chemical injection device with an information code including an identifier displayed on its outer surface;
A controller reading the information code and recognizing the identifier;
When a dru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drug injection device, the drug injection device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r to surroundings;
The controller receiving the pairing request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er included in the pairing request signal matches the identifier recognized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s match, the controller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rug injection device that transmitted a pai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matching identifier;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including a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코드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하우징 외면에 표시된,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코드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부착부의 보호 테이프 상에 표시된,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protective tape of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코드는 QR 코드로 표시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information code is displayed as a QR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고유 이름, 시리얼 번호 및 무선 통신 고유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dentifi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unique name, a serial numb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que address of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코드는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정보 코드를 읽어들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상태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정보 코드가 표시된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약액 주입 장치에 약액 주입 시작의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formation code further includes status information,
After the controller reads the information code,
The controller recogniz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displayed with the information cod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If control is not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equesting the drug injection device to stop starting the drug injec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장치인지 외에도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될 수 있는 장치인지, 또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가 상기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status informa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linked with the controller, or whether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chemical injection device, including conditions that can be determin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모델, 버전, 또는 지역 제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model, version, or regional restrictions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KR1020220145126A 2022-11-03 2022-11-03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Pending KR202400649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126A KR20240064951A (en) 2022-11-03 2022-11-03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PCT/KR2023/011277 WO2024096264A1 (en) 2022-11-03 2023-08-02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medicinal fluid injection device by using information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126A KR20240064951A (en) 2022-11-03 2022-11-03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951A true KR20240064951A (en) 2024-05-14

Family

ID=9093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126A Pending KR20240064951A (en) 2022-11-03 2022-11-03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4951A (en)
WO (1) WO2024096264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7693A1 (en) * 2013-09-30 2015-04-02 Animas Corporation Methods for secure communication and pairing of a medical infusion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US20190378603A1 (en) * 2017-02-02 2019-12-12 West Pharma. Services IL, Ltd. Communication with drug delivery device
CA3145869A1 (en) * 2019-07-05 2021-01-14 Norton (Waterford) Limited Drug delivery device with electronics and power management
KR20210047711A (en)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JP2022072902A (en) * 2020-10-30 2022-05-17 株式会社サーキュラス Solution inj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264A1 (en)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020B2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treatment parameters on a medical device during a medical treatment
US9886550B2 (en) Medical pump with operator-authorization awareness
KR102246742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KR102476581B1 (en) Method and appratus for adaptively managing power
US20160173492A1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31627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information
US201702447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ing authentica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JP2017522075A5 (en)
KR102401932B1 (en) Electronic device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3510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in electronic device
US200801910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Administration and Documentation of Drug Usage
CN110491471A (en) Utilize the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ed medical device management
KR20170105569A (en) Medical Device Control
EP3349145A1 (en) Electronic device for iris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201524543A (en) Methods for secure communication and pairing of a medical infusion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such medical device
US20170032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curity of electronic device
KR20180014627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artion of an iris sensor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394620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20170359762A1 (en) Method for coupl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5206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by capturing eye
US20230051295A1 (en) Medical device with safety verification and safety verification method thereof
CN114999606A (en) Method for generating surveillance signals using supervisory entities or security modules
KR1023411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mmonly thereof
KR20180029365A (en)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40064951A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using data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