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62581A - 흡입기 - Google Patents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581A
KR20240062581A KR1020220144267A KR20220144267A KR20240062581A KR 20240062581 A KR20240062581 A KR 20240062581A KR 1020220144267 A KR1020220144267 A KR 1020220144267A KR 20220144267 A KR20220144267 A KR 20220144267A KR 20240062581 A KR20240062581 A KR 2024006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ain body
cartridge
paragraph
inha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31206B1 (ko
Inventor
김문원
정용미
신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2014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31206B1/ko
Priority to PCT/KR2023/017134 priority patent/WO2024096520A1/ko
Publication of KR2024006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3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312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2Particle size control by flow deviation causing inertial separation of transported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고 마우스피스가 구비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을 향하는 종방향의 채널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면에 결합되어 상기 채널과 연통되고 흡입 가능한 분말을 함유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채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흡입력이 가해질 때, 상기 배플은 상기 마우스피스로 이행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기{Inhaler}
흡입기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흡입기는 흡입을 하는 과정에서 약물 및 다른 물질 등의 조성물을 액체 또는 가스로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흡입시키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흡입기는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구비하고, 조성물은 용기에 연결된 관을 따라 용기로부터 최종적으로 흡입구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또는 비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기는 액체흡입기나 증기흡입기 외에도 조성물의 미세한 분말을 미립자로 하여 분사시키는 분말흡입기, 조성물을 에어로졸화하여 공급하는 에어로졸 흡입기 등이 존재한다.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는 1회 분으로 정량 주입된 약리 물질을 체내에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천식, 만성 폐쇠성 폐질환 (COPD) 환자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왔으며, 물질의 효율적인 체내 흡수를 위해 5 ~ 10 μm 이하의 미세하게 건조된 분말을 사용한다. 또한, 정량 전달을 위해 경질의 캡슐 내에 약물을 일정량 충진하게 된다. 최근에는, 건조 분말 흡입기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으며, 1회용 또는 다회용 분말 흡입기뿐만 아니라, 약리물질, 기능성 물질, 니코틴 등 기호 제품을 흡입하는 분말 흡입기까지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9972호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별도의 캡슐 파쇄 장치 없이, 건조 분말 카트리지의 체결을 통해 즉시 흡입이 가능하고, 관성 집진 원리를 통해 불순물 또는 응집되어 기침을 유발할 수 있는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고 마우스피스가 구비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을 향하는 종방향의 채널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면에 결합되어 상기 채널과 연통되고 흡입 가능한 분말을 함유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채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흡입력이 가해질 때, 상기 배플은 상기 마우스피스로 이행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배플은, 일단이 상기 채널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채널의 상기 종방향의 중심선을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배플부재; 및 상기 제1배플부재의 타단과 각을 이루면서 상기 중심선을 향해 더 연장되는 제2배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플부재는 상기 흡입 가능한 분말 중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입자가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배플부재는 상기 채널의 상기 중심선을 초과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배플은, 상기 본체의 상기 종방향의 길이의 20 내지 70% 범위 내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채널은 상기 제2면에 인접한 일부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채널은 단면적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채널은 상기 제2면에 인접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배치되는 메쉬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망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채널로 유입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면 및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는 각각 자성을 띄는 복수의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 각각의 체결부재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면에 인접한 단부의 형상과 정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본체의 단부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에 의하면, 별도의 캡슐 파쇄 장치 없이, 건조 분말 카트리지의 체결을 통해 즉시 흡입이 가능하고, 관성 집진 원리를 통해 불순물 또는 응집되어 기침을 유발할 수 있는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다른 형상의 채널이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흡입기를 도시한다.
도 3은 자석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본체 및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본체 및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10)를 도시한다.
도 2는 다른 형상의 채널이 형성된 본체(100’)를 구비하는 흡입기(10’)를 도시한다.
도 3은 자석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 4는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10)는 본체(100), 카트리지(200) 및 배플(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제1면,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 및 제1면과 제2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에는 카트리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면에는 마우스피스(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관통하는 채널(110)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110)은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흡입 가능한 분말이 마우스피스(120)로 이행되는 통로이다. 이때, 흡입 가능한 분말은 상기 제1면에서 제2면을 향하는 종방향을 따라 마우스피스(120)로 이행될 수 있다.
채널(110)은 제2면에 인접한 단부가 나사선 모양을 갖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가능한 분말의 흐름에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채널(110)은 단면적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채널(110’)은 제2면에 인접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110, 110’)의 단면적 또는 절단 직경(cut-off size)은 예를 들어, 흡입 가능한 분말의 유량이 1.67 lpm에서 20 ~ 50 μm, 또는 50 ~ 100 μm 내외로 이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제2면에 인접한 단부에 흡입 가능한 분말의 흡입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량 분배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PLA, ABS, PC, PP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타 생분해성 (친환경성) 소재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200)는 상기 본체(100)의 제1면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흡입 가능한 분말을 함유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채널(110)과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1회 또는 다회분의 흡입 가능한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흡입 가능한 분말은 예를 들어 니코틴, 니코틴염, 카페인, 타우린, 비타민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 가능한 분말은 천연 향 입자, 멘솔 등의 향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가능한 분말은 예를 들어 건조 분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흡입기(10)에 사용되는 건조 분말은 담체가 있거나 없을 수 있다. 흡입 가능한 분말의 크기는 5 ~ 10 μm 내외이며, 20 μm 이상의 멘솔 입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가능한 분말은 채널(110)을 통해 이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흡입 가능한 분말을 체내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는 제1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00) 내에 수용된 흡입 가능한 분말이 소진되면, 새 카트리지(200)로 교체하여 본체(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200)는 자석 체결되거나 끼워 맞춤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체결 방식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10)는 입자의 관성력을 이용하여 흡입 가능한 분말을 이행하는 장치로, 이행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가 일정 크기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입자간 응집 또는 뭉침 등으로 인해 특정 크기 이상의 입자 또는 불순물이 체내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 구조로써, 복수의 배플(300)이 지그재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배플(300)은 채널(110)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120)에 흡입력이 가해질 때, 카트리지(200)에 수용된 흡입 가능한 분말은 채널(110)을 통과하여 마우스피스(120)를 향해 이행될 수 있다. 이때, 배플(300)은 마우스피스(120)로 이행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플(300)은 채널(110)을 통과하는 흡입 가능한 분말 중 소정의 크기 이상인 입자를 제거하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배플(300)은 복수 개가 마련되며, 각각의 배플(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을 따라 채널(110)의 내벽에 교번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배플(300)은 제1배플부재(310) 및 제2배플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플부재(310)는 일단이 채널(110)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채널(110)의 종방향 중심선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배플부재(310)의 길이는 채널(110)의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길이의 30, 40, 50, 60, 70, 80, 90% 수준일 수 있다.
제2배플부재(320)는 제1배플부재(310)의 타단과 각을 이루면서 중심선을 향해 더 연장될 수 있다. 제2배플부재(320)가 제1배플부재(310)의 타단과 이루는 각도는 30 내지 120도 사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제2배플부재(320)는 채널(110)의 중심선을 초과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배플부재(320)는 흡입 가능한 분말 중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입자가 채널(110)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플(300)에 의해 필터링되는 소정의 입자 크기는 제1배플부재(310) 및 제2배플부재(320)의 길이나 형상 또는 제1배플부재(310)의 배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채널(110) 내에서 복수 개의 배플(300)이 배치되는 영역은, 채널(110)의 종방향 전체 길이의 20, 30, 40, 50, 60, 70% 수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가능한 분말이 통과하는 채널(110)에 복수의 배플을 배치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10)는 특정 크기 이상의 입자 또는 불순물이 체내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다시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10)는 메쉬망(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망(400)은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쉬망(400)은 카트리지(200)로부터 채널(110)로 유입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메쉬망(400)은 흡입 가능한 분말이 배플(300)에 의해 필터링되기 전에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을 사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메쉬망은 예를 들어, PLA 등과 같은 본체(100)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쉬망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흡입 독성이 없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10)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에 각각 복수의 체결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220)는 본체(100)의 제1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00)는 본체(100)에 배치된 체결부재(220)와 대응하는 위치로 카트리지(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220)는 예를 들어 자석과 같이 자성을 띄는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의 체결부재(220) 및 카트리지(200)의 체결부재(220)는 상이한 극성의 자석으로 마련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카트리지(200’)는 일측에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홈(220’)은 본체(100)의 제1면에 인접한 단부와 정합하도록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00’)의 홈(220’)에는 본체(100)의 단부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10)는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된 배플(300)을 이용하여 특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면서 흡입 가능한 분말을 이행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흡입 가능한 분말을 다회 또는 1회 흡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흡입기
100: 본체
110: 채널
120: 마우스피스
200: 카트리지
210: 공기유입구
220: 체결부재
220’ 홈
240: 공기유입구
300: 배플
310: 제1배플부재
320: 제2배플부재
400: 메쉬망

Claims (10)

  1. 제1면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고 마우스피스가 구비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을 향하는 종방향의 채널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면에 결합되어 상기 채널과 연통되고 흡입 가능한 분말을 함유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채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플;
    을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에 흡입력이 가해질 때, 상기 배플은 상기 마우스피스로 이행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제한하는,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일단이 상기 채널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채널의 상기 종방향의 중심선을을 향해 연장되는 제1배플부재; 및
    상기 제1배플부재의 타단과 각을 이루면서 상기 중심선을 향해 더 연장되는 제2배플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플부재는 상기 흡입 가능한 분말 중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입자가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흡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부재는 상기 채널의 상기 중심선을 초과하여 더 연장되는, 흡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플은, 상기 본체의 상기 종방향의 길이의 20 내지 70% 범위 내에서 이격 배치되는, 흡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제2면에 인접한 일부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단면적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제2면에 인접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배치되는 메쉬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망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채널로 유입되는 흡입 가능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제한하는, 흡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제1면 및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는 각각 자성을 띄는 복수의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 각각의 체결부재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면에 인접한 단부의 형상과 정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본체의 단부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흡입기.
KR1020220144267A 2022-11-02 2022-11-02 흡입기 Active KR102831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267A KR102831206B1 (ko) 2022-11-02 2022-11-02 흡입기
PCT/KR2023/017134 WO2024096520A1 (ko) 2022-11-02 2023-10-31 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267A KR102831206B1 (ko) 2022-11-02 2022-11-02 흡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581A true KR20240062581A (ko) 2024-05-09
KR102831206B1 KR102831206B1 (ko) 2025-07-09

Family

ID=9093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267A Active KR102831206B1 (ko) 2022-11-02 2022-11-02 흡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831206B1 (ko)
WO (1) WO202409652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2701B1 (en) * 1996-05-02 2002-08-07 Euro-Celtique S.A. Device for separating a particle fraction in an inspired air flow
KR101432877B1 (ko) * 2009-03-17 2014-09-2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담배-기초 니코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1759972B1 (ko) 2012-09-13 2017-07-20 하펠라 오와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KR20200126610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덮는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8880A1 (de) * 1992-03-19 1993-09-23 Boehringer Ingelheim Kg Separator fuer pulverinhalatoren
RU2674537C2 (ru) * 2014-02-10 2018-12-11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и картридж, в которой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ет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нтакт с картриджем
GB201700845D0 (en) * 2017-01-18 2017-03-01 Turbinate Tech Ltd Apparatus for removal of particulates from air
PL234586B1 (pl) * 2017-08-31 2020-03-31 Pulinno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Inhalator pojedynczej dawki suchego proszku
JP7360392B2 (ja) * 2018-03-26 2023-10-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渦カプセル空洞を備えた吸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2701B1 (en) * 1996-05-02 2002-08-07 Euro-Celtique S.A. Device for separating a particle fraction in an inspired air flow
KR101432877B1 (ko) * 2009-03-17 2014-09-2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담배-기초 니코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1759972B1 (ko) 2012-09-13 2017-07-20 하펠라 오와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KR20200126610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덮는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520A1 (ko) 2024-05-10
KR102831206B1 (ko) 202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8114B2 (en) Nicotine powder inhaler
US6073629A (en) Inhaler spacer
US6394085B1 (en) Inhaler spacer
CN101977647B (zh) 吸入器
EP1137452B1 (en) Spacer device for inhaler
CA2972826C (en) Powder dispersion methods and devices
GB2375310A (en) Inhalers
JP2006507876A (ja) 吸入用粉末の解凝集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200030554A1 (en)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dry powder inhalation medicine with detachable heads for adjusting the resistance
AU734730B2 (en) Inhaler spacer
KR102831206B1 (ko) 흡입기
KR102824241B1 (ko) 흡입기
KR102824247B1 (ko) 흡입기
KR102824242B1 (ko) 흡입기
US20240139442A1 (en) Nicotine powder inhaler
HK1149517B (en) Inhaler
HK1228691B (en) Nicotine powder inh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