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972A -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2972A KR20240052972A KR1020247011059A KR20247011059A KR20240052972A KR 20240052972 A KR20240052972 A KR 20240052972A KR 1020247011059 A KR1020247011059 A KR 1020247011059A KR 20247011059 A KR20247011059 A KR 20247011059A KR 20240052972 A KR20240052972 A KR 202400529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pawl
- locks
- output pulley
- la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2—C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2—Cams
- E05B81/44—Cams in the form of groo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잠금 장치 및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식 구동장치(3, 4, 5)와, 구동장치(3, 4, 5)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회전 래치(1) 및 폴(2)로 구성되는 잠금 메커니즘(1, 2)이 장착된다. 구동장치(3, 4, 5)는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4a, 5a)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로 잠금 메커니즘 평면에서 피봇 가능하도록 회전 래치(1) 및/또는 폴(2)에 장착된 래칭 요소(11)가 회전 래치(1)와 폴(2) 사이의 맞물림 영역(10)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회전 래치 및 폴로 구성되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잠금 메커니즘을 구비하며, 여기서 구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를 구비한다.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잠금 장치는 특히 편리한 작동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자동차 잠금 장치에서 회전 래치와 폴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은 (더 이상) 기계적으로 열리지 않고, 오히려 전기 모터에 의해 열리기 때문에, 편안함이 증가되고 작동력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특히 조용한 작동도 관찰된다. 예를 들어 외부 도어 핸들 영역의 센서 또는 "키리스 엔트리 액세스(keyless entry access)" 중에도 개방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외부 도어 핸들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기역학적으로 최적화된 자동차 외부 도어가 이러한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전기식 잠금 장치 또는 자동차 잠금 장치는 회전 래치와 폴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을 위한 전동 구동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식 잠금 장치의 예는 DE 101 00 008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식 잠금 장치에서는 전동 구동장치에서 잠금 메커니즘으로 완벽한 동력 전달을 보장하는 것이 사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전동 구동장치는 폴이 회전 래치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소 큰 개방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앞서 언급한 DE 101 00 008 A1에 따른 선행 기술은 폴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폴 레버뿐만 아니라 전동 구동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감속 기어도 함께 작동한다. 이는 현재 전동 구동장치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전기 모터는 공간과 비용의 이유로 출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DE 10 2019 126 570 A1에 따른 일반 종래 기술에서는, 잠금 메커니즘을 트리거하기 위한 작동 레버 메커니즘 및 작동 레버 메커니즘 상에서 작동하는 메인 구동장치를 갖는 자동차 잠금 장치용 구동 어셈블리와 함께, 잠금 메커니즘의 비상 잠금 해제/비상 개방을 위한 추가 보조 구동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접근이 이미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보조 구동장치에는 높은 기어비를 제공하는 기어박스가 장착되어 있다. 기어박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 스테이지는 에볼로이드 스테이지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는 컴팩트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큰 기어비 스프레드가 특징이다. 실제로 컴팩트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큰 기어비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는 여전히 전기 모터의 크기와 무게 및 비용과 관련하여 전기 모터를 줄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개선의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더욱 최적화된 전동 구동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를 전반적으로, 작동력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최적화가 관찰되는 방식으로 더욱 개발하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결과로서 비용 및 중량 이점이 추가로 주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에서, 주로 잠금 메커니즘 평면에서 회전 래치 및/또는 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래칭 요소가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맞물림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가 장착된, 소형화 및 달성 가능한 기어비와 관련하여 이미 최적화된 전동 구동장치와 함께 초기에 작동한다. 이 외에도,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맞물림 영역은 주로 잠금 메커니즘 평면에서 특히 전기적 개방 시 필요한 개방력과 관련하여 더욱 최적화된다.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접촉 영역은, 특히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맞물림 영역에 존재하는 래칭 요소와 회전 래치 및/또는 폴의 피벗 가능한 장착으로 인해 잠금 메커니즘을 여는 데 필요한 개방력과 관련하여 최적화된다. 사실, 이 지점에서 그리고 종래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방 과정에서 폴과 회전 래치의 서로에 대한 마찰 운동이 (더 이상)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마찰 운동은 회전 래치와 폴이 일반적으로 고강도 강철로 만들어진 스탬핑된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큰 마찰력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맞물림 영역에 제공되고, 또한 주로 잠금 평면에서 회전 래치 또는 로킹 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 요소를 제공한다. 그 결과, 잠금 메커니즘의 개방 과정 및 그와 연관된 폴의 회전 래치와의 결합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과정에서 폴과 회전 래치 사이의 마찰 이동 대신에 롤링 이동이 발생한다. 이는 이 과정에서 맞물림 영역에 구비된 래칭 요소가 피벗됨으로써 기존 선행기술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힘으로 폴이 회전 래치와의 결합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의 마찰-최적화된 개방 프로세스가 관찰된다.
이제, 잠금 메커니즘의 마찰-최적화된 개방 프로세스는, 전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를 갖는 특별히 설계된 전동 구동장치와 연계하여, 전기 모터가 이전의 실시예들에 비해 이용가능한 전기 전력 측면에서 더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설계는 이전의 절차들에 비해 더 소형화되고 더 적은 무게 및 감소된 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사실, 상기 절차는 일반적으로 전동 구동장치가 정확히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동 구동장치는 전형적으로 전기 모터 및 출력 풀리를 구비하고, 여기서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는 전동 모터의 출력 샤프트 상의 웜과 출력 풀리 사이에서 실현된다. 즉, 오직 단일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만이 유리하게 이 지점, 즉, 한편으로는 전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 상의 웜과 다른 한편으로는 출력 풀리의 외측 둘레 상의 에볼로이드 치형 사이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의 도움으로, 10:1 또는 그 이상의 감속비(reduction ratios)가 어렵지 않게 실현될 수 있다. 즉, 전기 모터 또는 그의 출력 샤프트에 배치된 웜의 10 회전 또는 그 이상의 회전이 출력 풀리의 단 1 회전으로 변환된다. 대부분의 경우, 20:1, 30:1 또는 그 이상의 훨씬 더 큰 감속비도 어렵지 않게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고 컴팩트하며 무게가 적은 저전력 전기 모터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높은 토크가 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력 풀리는 일반적으로 그 회전축에 대해 경사진 에볼로이드 치형을 갖는 외측 둘레 상에 장착된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출력 풀리는 작동 레버를 향하는 그 단부 면 상에 관련 작동 레버에 대한 작동 윤곽(actuating contour)을 갖는다. 즉, 출력 풀리는 그 회전축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 운동을 수행하고, 이들은 작동 윤곽을 통해 작동 레버로 전달된다. 작동 레버는 일반적으로 캠을 가지고 출력 풀리의 작동 윤곽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작동 레버는 그에 따라 피벗 운동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작동 윤곽은 유리하게도 나선형 축을 갖는 나선형으로 설계된다. 작동 윤곽의 나선형 축이 출력 풀리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경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윤곽의 나선형 축과 출력 풀리의 회전축은 작동 레버를 향하는 출력 풀리의 단부 면 상에서 일치한다. 이에 의해 출력 풀리의 회전축에 대한 나선형의 작동 윤곽이 3차원 나선형 라인을 만들도록 디자인된다. 작동 레버의 전방측 캠이 작동 윤곽에 대해 놓여 있기 때문에, 캠이 전술한 3차원 나선형 라인을 따라 이동할 때 작동 레버는 점점 더 회전된다.
작동 레버는 통상적으로 폴을 작동시키는 해제 레버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야기된 작동 레버의 피벗 이동은 결과적으로 해제 레버로 전달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폴을 회전 래치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벗 가능한 래칭 요소가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맞물림 영역에 제공되기 때문에, 개시된 개방 프로세스는 특히 저마찰이다.
이와 관련하여, 작동 레버와 해제 레버가 동일한 축 상에 장착되는 것이 유용함이 입증되었다. 원칙적으로, 작동 레버와 해제 레버는 일치하며 레버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는 전체적으로 실현된 콤팩트한 디자인을 뒷받침한다. 전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있는 웜이 보통 복수의 에볼로이드 치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이에 기여한다. 출력 샤프트의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치형이 항상 출력 풀리의 외측 둘레 상의 에볼로이드 치형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에볼로이드 치형은 경사진다. 이 지점에서, 출력 샤프트에 있는 웜이 최대 3개의 에볼로이드 치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유용함이 입증되다. 물론, 이는 단지 예시로서 적용될 뿐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것처럼,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에서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맞물림 영역에 래칭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비해 최적화된 개방 비율을 갖는 자동차 잠금 장치 및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가 제공되고 구현된다. 실제로, 전동 구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와 함께 작동하며, 추가적으로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맞물림 영역에서 피벗 가능한 래칭 요소를 실현된다. 그 결과, 전동 구동장치는 높은 감속비(reduction ratios)로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동시에 회전 래치와 폴 사이의 마찰-최적화된 맞물림 영역으로 가능해진다.
이점에서, 전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있는 웜, 출력 풀리 전체 및 작동 레버와 해제 레버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보완적이고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것은 작동 레버의 헤드 측 캠과 작동 윤곽 사이에서 "플라스틱-플라스틱"의 마찰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출력 샤프트에 있는 웜의 에볼로이드 치형과 출력 풀리 외측 둘레에 있는 에볼로이드 치형 사이에서, 추가적인 마찰 최적화가 관찰된다. 이것들이 주요한 이점이다.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잠금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잠금 메커니즘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잠금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잠금 메커니즘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자동차 잠금 장치 및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회전 래치(1)와 폴(2)로 구성된 관련된 잠금 장치(1, 2)가 전기적으로 개방되는, 소위 전동식 잠금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전동 구동장치(3, 4, 5)가 구현된다. 전동 구동장치(3, 4, 5)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을 이용하여 폴(2)을 도 1에 도시된 회전 래치(1)와의 래칭 결합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 상에서 작동하는데, 이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동 구동장치(3, 4, 5)는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4a, 5a)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맥락에서, 단일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4a, 5a)가 실현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전동 구동장치(3, 4, 5)의 구성 요소로서 전동 모터(3)의 출력 샤프트 상의 웜(4)과, 다른 한편으로는 전동 구동장치(3, 4, 5)의 추가 구성 요소로서 출력 풀리(5) 사이에서 발견된다. 실제로, 상기 웜(4)과 출력 풀리(5)는 모두 에볼로이드 치형(4a, 5a)이 장착되고, 이들은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단일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4a, 5a)를 함께 정의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에볼로이드 치형(4a)들은 전기 모터(3)의 출력 샤프트 상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그리고 웜(4)의 전체 외측 둘레를 따라 위치된다. 대조적으로, 에볼로이드 치형(5a)들은 출력 풀리(5) 상의 외측 둘레 상에, 특히 출력 풀리(5)의 회전축(8)에 대해 경사지게 제공되고 배열된다. 출력 풀리(5)는 또한,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을 향하는 그 단부 면 상에 작동 윤곽(5b)이 장착된다. 작동 윤곽(5b)은 본질적으로 나선형이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출력 풀리(5)의 회전축(8)과 일치하는 관련된 나선형 축(8)을 갖는다. 실제로, 출력 풀리(5)의 나선형 축 또는 회전축(8)과 관련된 나선형의 작동 윤곽(5b)이 전체적으로 3차원 나선형 라인을 만들도록 설계된다.
작동 레버 메커니즘(6, 7)은 실질적으로 작동 레버(6)와, 폴(2)과 상호 작용하고 폴에 작용하는 해제 레버(7)로 구성된다. 작동 레버(6)는 나선형의 작동 윤곽(5b)을 따라 슬라이딩하거나 나선형의 작동 윤곽(5b)에 의해 작용하는 전방측 캠(6a)을 구비한다. 이것의 결과로서, 그리고 출력 풀리(5)가 도 1에 표시된 회전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캠(6a)은 결과적으로 3차원 나선형 라인 또는 작동 윤곽(5b)을 따라 이동하고, 따라서 작동 레버(6)는 그 축(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벗된다. 작동 레버(6)와 해제 레버(7)가 서로 동축으로 그리고 공통축(9)을 중심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작동 레버(7)는 작동 레버(6)의 시계방향 이동을 따르고, 전체적으로 폴(2)이 또한 도 1에 지시된 시계 방향으로 피벗되도록 보장한다. 이는 해제 레버(7)가 작동 레버(6)에 회전 불가능하게(non-rotatably) 결합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잠금 메커니즘(1, 2)의 폐쇄 상태에서 폴(2)은 도 1에 도시된 자신의 래칭 결합으로부터 회전 래치(1)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폴(2)은 해제 레버(7) 및 작동 레버(6)와 함께 공통축(9)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회전 래치(1)는 스프링 보조 방식으로 열리고, 이전에 걸림된 잠금핀(미도시)을 해제한다. 관련된 자동차 도어가 개방된다.
전기 모터(3)의 출력 샤프트 상의 웜(4)은 그 외측 둘레 상에 그리고 그 연장을 따라 복수의 에볼로이드 치형(4a)을 구비한다. 에볼로이드 치형(4a)은 이러한 에볼로이드 치형(4a) 중 적어도 하나가 항상 출력 풀리(5)의 외측 둘레 에볼로이드 치형(5a) 또는 거기의 에볼로이드 치형(5a)에 맞물리도록 경사진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웜(4)은 전기 모터(3)의 출력 샤프트 상에 최대 3개의 에볼로이드 치형(4a)을 구비한다. 물론, 이는 단지 예시로서 적용되는 것이다. 이점에서 달성되는 감속비는 일반적으로 10:1 초과, 특히 심지어 20:1 또는 심지어 바람직하게는 30:1 이상의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요소(11)가 회전 래치(1)와 폴(2) 사이의 맞물림 영역(10)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칭 요소(11)는 회전 래치(1)에, 즉 회전 래치(1)와 폴(2)에 의해 대부분 스팬딩되는 잠금 메커니즘 평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의 묘사로부터 보이듯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래칭 요소(11)가 피벗 베어링 헤드(11a)와 함께 회전 래치(1)의 리세스(1a) 안으로 플런지(plunge)되고, 따라서 대응하는 피벗 이동을 수행한다. 그 결과, 만일 폴(2)이 회전 래치(1)와 자신의 맞물림 결합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면, 이것은 래칭 요소(11)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벗 이동을 수행함으로써, 폴(2)이 회전 래치(1)와의 맞물림 결합으로부터 특히 낮은 마찰 방식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래칭 요소(11)는 잠금 메커니즘 평면에 대해 돌출되고 래칭 요소(11)의 추가적인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안내를 보장하는 가이드 연장부(11b)를 가질 수 있다. 관련 가이드 연장부(11b)는 예를 들어 엠보싱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게다가, 회전 래치(1)의 케이싱 또는 구성요소는 피봇 가능 래칭 요소(11)의 축방향 고정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1, 2: 잠금 메커니즘
1: 회전 래치
1a: 리세스
2: 폴
3, 4, 5: 구동장치
3: 전기모터
4: 웜
5: 구동 풀리
4a, 5a: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
5b: 작동 윤곽
6, 7: 작동 레버 메커니즘
6: 작동 레버
6a: 캠
7: 해제 레버
8: 회전축
9: 축
10: 맞물림 영역
11: 디텐트 요소
11a: 피봇 베어링 헤드
11b: 가이드 연장부
1: 회전 래치
1a: 리세스
2: 폴
3, 4, 5: 구동장치
3: 전기모터
4: 웜
5: 구동 풀리
4a, 5a: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
5b: 작동 윤곽
6, 7: 작동 레버 메커니즘
6: 작동 레버
6a: 캠
7: 해제 레버
8: 회전축
9: 축
10: 맞물림 영역
11: 디텐트 요소
11a: 피봇 베어링 헤드
11b: 가이드 연장부
Claims (10)
-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잠금 장치로서,
전동 구동장치(3, 4, 5)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장치(3, 4, 5)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회전 래치(1) 및 폴(2)로 구성되는 잠금 메커니즘(1, 2)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장치(3, 4, 5)는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4a, 5a)가 장착되며,
래칭 요소(11)가 회전 래치(1)와 폴(2) 사이의 맞물림 영역(10)에 배치되고, 래칭 요소(11)가 회전 래치(1) 및/또는 폴(2) 상에 주로 잠금 메커니즘 평면에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동 구동장치(3, 4, 5)는 전기 모터(3) 및 출력 풀리(5)를 구비하고, 상기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4a, 5a)는 전기 모터(3)의 출력 샤프트 상의 웜(4)과 출력 풀리(5) 사이에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출력 풀리(5)는 출력 풀리(5)의 회전축(8)에 대하여 경사진 에볼로이드 치형(5a)을 외측 둘레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력 풀리(5)는 작동 레버(6)를 향하는 그의 단부 면 상에 작동 레버(6)를 위한 작동 윤곽(5b)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작동 윤곽(5b)은 나선형 축(8)을 구비하는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작동 윤곽(5b)의 나선형 축(8)은 출력 풀리(5)의 회전축(8)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웜(4)은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치형(4a)이 출력 풀리(5)의 외측 둘레 에볼로이드 치형에 맞물리도록 경사지는, 전기 모터(3)의 출력 샤프트 상의 복수의 에볼로이드 치형(4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레버(6)와 상호 작용하며 폴(2)에 작용하는 해제 레버(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작동 레버(6) 및 해제 레버(7)는 공통축(9) 상에 동축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 전동 구동장치(3, 4, 5)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장치(3, 4, 5)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회전 래치(1) 및 폴(2)로 구성되는 잠금 메커니즘(1, 2)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장치(3, 4, 5)는 적어도 하나의 에볼로이드 기어 스테이지(4a, 5a)가 장착되며, 래칭 요소(11)가 회전 래치(1) 및/또는 폴(2) 상에 주로 잠금 메커니즘 평면에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잠금 장치에서, 회전 래치(1)와 폴(2) 사이의 맞물림 영역(10)에서 래칭 요소(11)의 사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21123329.1 | 2021-09-09 | ||
DE102021123329.1A DE102021123329A1 (de) | 2021-09-09 | 2021-09-09 |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
PCT/DE2022/100620 WO2023036364A1 (de) | 2021-09-09 | 2022-08-19 |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2972A true KR20240052972A (ko) | 2024-04-23 |
Family
ID=8314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11059A Pending KR20240052972A (ko) | 2021-09-09 | 2022-08-19 |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376754A1 (ko) |
EP (1) | EP4399383A1 (ko) |
JP (1) | JP2024531632A (ko) |
KR (1) | KR20240052972A (ko) |
CN (1) | CN117957356A (ko) |
DE (1) | DE102021123329A1 (ko) |
WO (1) | WO202303636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50043599A1 (en) * | 2023-08-02 | 2025-02-06 | Kiekert Ag | Motor vehicle lock,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ide door lock |
US20250043601A1 (en) * | 2023-08-02 | 2025-02-06 | Kiekert Ag | Lock for a mot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100008B4 (de) | 2001-01-02 | 2004-12-16 |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 Kraftfahrzeug-Türschloß, ausgeführt als Elektroschloß |
DE10140957A1 (de) * | 2001-08-27 | 2003-03-20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DE102014003106A1 (de) | 2014-03-11 | 2015-09-17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DE102017124525A1 (de) | 2017-10-20 | 2019-04-25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schloss |
DE102017125819A1 (de) | 2017-11-06 | 2019-05-09 | Kiekert Ag | Stellantrieb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
WO2020083435A1 (de) * | 2018-10-22 | 2020-04-30 | Kiekert Ag | Kraftfahrzeugschloss |
DE102019123837A1 (de) * | 2018-10-22 | 2020-04-23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schloss |
CN109972939B (zh) | 2019-04-01 | 2021-03-23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减弱碰撞减少磨损具有主辅棘爪的新型棘轮棘爪机构 |
DE102019109488A1 (de) * | 2019-04-10 | 2020-10-15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SCHLIEß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
DE102019116441A1 (de) * | 2019-06-18 | 2020-12-24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Schließ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DE102019123825A1 (de) | 2019-09-05 | 2021-03-11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
DE102019126570A1 (de) | 2019-10-02 | 2021-04-08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Antrieb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
DE102019128637A1 (de) | 2019-10-23 | 2021-04-29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schloss |
DE102020101362A1 (de) * | 2020-01-21 | 2021-07-22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Stellantrieb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
-
2021
- 2021-09-09 DE DE102021123329.1A patent/DE102021123329A1/de active Pending
-
2022
- 2022-08-19 JP JP2024515361A patent/JP2024531632A/ja active Pending
- 2022-08-19 EP EP22761390.8A patent/EP4399383A1/de active Pending
- 2022-08-19 US US18/293,041 patent/US20240376754A1/en active Pending
- 2022-08-19 KR KR1020247011059A patent/KR20240052972A/ko active Pending
- 2022-08-19 CN CN202280061070.0A patent/CN117957356A/zh active Pending
- 2022-08-19 WO PCT/DE2022/100620 patent/WO2023036364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376754A1 (en) | 2024-11-14 |
CN117957356A (zh) | 2024-04-30 |
JP2024531632A (ja) | 2024-08-29 |
WO2023036364A1 (de) | 2023-03-16 |
DE102021123329A1 (de) | 2023-03-09 |
EP4399383A1 (de) | 2024-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86599B1 (en) | Latch arrangement for automotive door | |
KR20240052972A (ko) | 자동차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 |
US7234736B2 (en) | Motor vehicle door lock | |
US5639130A (en) | Rotary door cinching mechanism with manual override | |
KR101222794B1 (ko) | 자동차 도어록 | |
US20030079413A1 (en)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vehicle opening | |
US20020119861A1 (en) | Motor device for actuating vehicle door operation device | |
JP4511930B2 (ja) | ドア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 |
JP4048392B2 (ja) | ドアロックシステム | |
KR102655160B1 (ko) | 도어 구동 시스템 및 이를 갖춘 냉장고 | |
US6826869B2 (en) | Powered sliding panel with secondary articulation for a motor vehicle | |
KR20170119280A (ko) |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 |
KR20150125965A (ko) | 차량 도어 폐쇄 장치 | |
EP1788170A2 (en) | Driving mechanism and door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H05163869A (ja) | ボーデンワイヤ式ウインドリフター用の電動式の駆動装置 | |
JP3160554B2 (ja) | 扉体の施解錠装置 | |
JP2884464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US20240376753A1 (en) | Drive unit for motor-vehicle applications | |
CN214996861U (zh) | 一种防误锁结构及车门锁 | |
US20230366244A1 (en) |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a latch for a motor vehicle door leaf | |
JP2513398Y2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施解錠操作装置 | |
JPH116341A (ja) | 扉体の施解錠装置 | |
KR200325781Y1 (ko) | 디지털 도어록 | |
KR20040106789A (ko) | 디지털 도어록 | |
JP4718810B2 (ja) | アクチュエ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4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