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850A - Lamination system for mono cell - Google Patents
Lamination system for mono ce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5850A KR20240045850A KR1020220125687A KR20220125687A KR20240045850A KR 20240045850 A KR20240045850 A KR 20240045850A KR 1020220125687 A KR1020220125687 A KR 1020220125687A KR 20220125687 A KR20220125687 A KR 20220125687A KR 20240045850 A KR20240045850 A KR 202400458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er
- information
- separator
- lamination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4 electrolyte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모노셀을 제조하는 라미네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양극을 공급하는 양극 공급롤러; 음극을 공급하는 음극 공급롤러; 바인더가 도포된 상, 하부 분리막을 각각 공급하는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각 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된 양극과 상부 분리막과 음극 및 하부 분리막이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 조립체를 히터와 가압롤러로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입력장치에 입력된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invention provides a lamina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a monocell, comprising: an anode supply roller for supplying an anode; A cathode supply roller that supplies a cathode; Upper and lower separator supply rollers that respectively supply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to which the binder is applied;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binders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 transport roller that transports th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anode, upper separator, cathode, and lower separator supplied through each supply roller; A lamination device that laminates the electrode assembly transferred through a transfer roller with a heater and a pressure roll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laminating conditions through binder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input to the input device. Includ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보다 상세하게는, 모노셀의 음극과 양극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각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모노셀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that can control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monocells through binder information of each separator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cathode and anode of the monocell.
최근, 전자산업 발전의 중요한 경향은 디바이스의 와이어리스와 모바일 추세, 및 아날로그의 디지털로의 전환으로 요약될 수 있다. 무선 전화기(일명, 휴대폰)와 노트북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 및 아날로그 카메라에서 디지털 카메라로의 전환 등을 그러한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Recently, important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can be summarized as the trend of wireless and mobile devices and the transition from analog to digital.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rapid spread of cordless phones (aka cell phones) and laptop computers, and the transition from analog cameras to digital cameras.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Along with this tre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econdary batteries are actively progressing, and the types of applications that use secondary batteries are becoming very diverse due to the advantages of secondary batteries. In the future, secondary batteries will be used in many more fields and products than now. is expected to be applied
여기서, 이차전지는 핸드폰, 노트북, 캠코더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Here,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not only in portab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laptops, camcorders, etc., but also in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tc.,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air pollution from existing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s. It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원통형과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전지 셀로 분류된다.Generally,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into cylindrical cells and square cell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square metal can, and pouch-type battery cell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
그리고,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각각의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 형태, 및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스택형으로 분류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built into the battery case is a power generating element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is formed between the long sheet-shaped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each active material. It is classified into a jelly roll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anodes and cathod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며, 통상, 이들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lithium-ion batteries,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and lithium polymer batter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de and electrolyte. Typically, the electrodes of 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aluminum or copper sheets, mesh, It is formed by applying a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a current collector such as a film or foil and then drying it.
한편, 스태킹을 위한 라미네이션 공정은, 빠른 시간 내에 요구하는 형태 및 용량으로 전지셀의 제조가 가능하다.Meanwhile, the lamination process for stacking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battery cells with the required shape and capacity in a short time.
즉,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을 통하여 강한 열과 압력으로 전극과 분리막을 접착하여 모노셀(Mono Cell)을 제조하고, 제조된 복수의 모노셀을 스태킹한 후 상부에 하프셀(Half Cell)을 적층한 후 테이핑하여 전지셀을 제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 mono cell is manufactured by bonding an electrode and a separator using strong heat and pressure through a lamination process, and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manufactured mono cells, a half cell is stacked on top. Afterwards, battery cells can be manufactured by taping.
여기서, 모노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분리막과 전극의 접착은 바인더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바인더는 분리막에 도포되어 고형물로 존재하다가 강한 열과 압력에 의해 활성되어 분리막과 전극을 부착하게 된다.Her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nocell, the adhesion of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is performed using a binder. The binder is applied to the separator and exists as a solid, and then is activated by strong heat and pressure to attach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여기서, 분리막 공정에서 공급되는 분리막에 도포된 바인더의 양에 편차가 크게 발생된다.Here, there is a large variation in the amount of binder applied to the separator supplied in the separator process.
만약, 바인더 양이 적은 경우에 적합하도록 열과 압력 등의 라미네이션 조건 설정 후 라미네이션 공정 수행 시 바인더 양이 많은 경우, 과도한 접착력으로 인해 전해질 함침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여 제품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f the amount of binder is large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after setting the lamination conditions such as heat and pressure to suit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binder is small, the electrolyte impregnation is not sufficiently achieved due to excessive adhesion, and product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the inability to spray evenly. There was this.
또한, 바인더 양이 많은 경우에 적합하도록 열과 압력 등의 라미네이션 조건 설정 후 라미네이션 공정 수행 시 바인더 양이 적은 경우, 분리막과 전극 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분리막과 전극간의 박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binder is small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after setting lamination conditions such as heat and pressure to suit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binder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may decrease, which may cause peeling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이렇게, 분리막과 전극을 접착하는 라미네이션 조건은 바인더의 양에 따라 달라지며, 바인더의 양에 따라 열과 압력 등의 라미네이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제품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way, the lamination conditions for bonding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binder, and if the lamination conditions such as heat and pressure are not met depending on the amount of binder,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 quality may deteriorat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노셀의 제작 시 비전장치를 통해 모노셀의 불량 유무를 검출하였다. 이때 불량 유무의 검출은 용이하나, 모노셀에 대한 라미네이팅 조건의 실시간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when manufacturing a monocell,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he monocell was detected using a vision device. At this time, it is easy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real-time control of laminating conditions for monocells is difficult.
따라서, 분리막의 바인더 양에 따라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라미네이션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quickly change lamination conditions in real time depending on the amount of binder in the separato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노셀의 음극과 양극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각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모노셀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that can control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monocells through binder information of each separator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cathode and anode of the monocell. The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과 각 분리막이 순차 적층된 전극 조립체에서 각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에 대응되도록 가열 온도 및 압력을 최적화하여 라미네팅함으로써 제품 품질 향상 및 모노셀의 접착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product quality and consistently maintain the adhesion of the monocell by laminating by optimiz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pressure to correspond to the binder information of each separator in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 anode, a cathode, and each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노셀을 제조하는 라미네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양극을 공급하는 양극 공급롤러; 음극을 공급하는 음극 공급롤러; 바인더가 도포된 상, 하부 분리막을 각각 공급하는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각 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된 양극과 상부 분리막과 음극 및 하부 분리막이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 조립체를 히터와 가압롤러로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입력장치에 입력된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a monocell, comprising: an anode supply roller for supplying an anode; A cathode supply roller that supplies a cathode; Upper and lower separator supply rollers that respectively supply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to which the binder is applied;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binders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 transport roller that transports th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anode, upper separator, cathode, and lower separator supplied through each supply roller; A lamination device that laminates the electrode assembly transferred through a transfer roller with a heater and a pressure roll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laminating conditions through binder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input to the input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제어부는, 바인더에 대한 물성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about the binder and data about laminating conditions corresponding thereto.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데이터베이스는, 상, 하부 분리막의 원단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database may further store data on fabric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nd laminating conditions corresponding thereto.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제어부는, 입력장치에 입력된 바인더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이를 통해 라미네이션 장치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search a database for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binder corresponding to the binder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device and control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the lamination device through the search.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바인더 정보는, 바인더의 종류, 바인더의 함량, 및 바인더에 첨가된 첨가제의 종류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접착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As a specific embodiment, the bind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ncluding the type of binder, the content of the binder, and the type of additive added to the binder.
다른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바인더 정보는, 상, 하부 분리막의 원단 정보, 분리막 원단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binder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fabric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nd the standard adhesive force of the binder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fabric information.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제어부는, 바인더의 물성 정보에 포함된 바인더의 접착력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션 장치의 히터의 출력 및 가압롤러의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분리막에 작용하는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by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output of the heater of the lamination device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roller through the adhesive force information of the binder included in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binder. It can be corrected.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제어부는,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히터의 출력 및 가압롤러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리막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증가시키고,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히터의 출력 및 가압롤러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리막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s less than the range of the preset referenc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reset heater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roller, and increases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If the adhesive strength exceeds the range of the preset standard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reset heater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roller.
또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입력장치는 리더기이고, 상, 하부 분리막의 표면에는 바인더에 대한 정보가 코드로 제공되며, 리더기를 통해 상, 하부 분리막의 코드를 리딩하여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nput device is a reader, and information about the binder is provided as a code on th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nd the binder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is obtained by reading the code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through the reader. can be obtained.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코드는, 바 코드, QR 코드, 데이터매트릭스 코드 또는 데이터 프레임 형태의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 specific embodiment, the code may be any of a bar code, QR code, data matrix code, or code in the form of a data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모노셀의 음극과 양극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각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모노셀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고, 양극과 음극과 각 분리막이 순차 적층된 전극 조립체에서 각 분리막의 정보 및 바인더의 정보에 대응되도록 가열 온도 및 압력을 최적화하여 라미네팅함으로써 제품 품질 향상 및 모노셀의 접착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the monocell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binder information of each separator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cathode and anode of the monocell, and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each separator can be controlled in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anode, cathode, and each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By optimiz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pressure to correspond to the information of the binder and laminating, product quality can be improved and the adhesion of the monocell can be consistently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읕 통한 각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모노셀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통해 제작된 모노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에서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unit of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a monocell through the binder information of each separator through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nocell manufactured through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in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he term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clearly.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being "right underneath" that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Additionally,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placed “on” may include being placed not only at the top but also at the botto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읕 통한 각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모노셀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통해 제작된 모노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에서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unit of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a monocell through the binder information of each separator through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nocell manufactured through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in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1)은 열과 압력을 통해 전극(11, 21)과 분리막(31, 33)을 바인더로 접착하여 모노셀(Mono Cell)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구체적으로는, 양극(11)을 공급하는 양극 공급롤러(10)와 음극(21)을 공급하는 음극 공급롤러(20)와 바인더가 도포된 분리막(31, 33)을 각각 공급하는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a, 30b)와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각 바인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40)와 각 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된 양극(11)과 상부 분리막(31)과 음극(21) 및 하부 분리막(33)이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50)와 이송롤러(50)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 조립체를 히터(61)와 가압롤러(63a, 63b)로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션 장치(60), 및 입력장치(40)에 입력된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각 바인더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양극 공급롤러(10)와 음극 공급롤러(20)는 롤 형태로 권취된 양극(11) 및 음극(21)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롤러(50)의 일측에 구비된다.The
여기서, 상기 양극 공급롤러(10)와 음극 공급롤러(20)를 통해 공급되는 양극(11)과 음극(21)은 커팅장치(도번 미도시)를 통해 일정 길이로 각각 커팅된 후 분리되어 공급된다.Here, the
상기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a, 30b)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부 분리막(31) 및 하부 분리막(33)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분리막 공급롤러(30a)는 양극(11)과 음극(21) 사이에 상부 분리막(31)을 공급하고,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b)는 음극(21)의 하측에 하부 분리막(33)을 공급한다.The upper and lower
이때, 상기 상, 하부 분리막(31, 33)은 양극(11)과 음극(21)이 적층된 후 분리막 커팅장치(도번 미도시)를 통해 커팅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여기서, 상기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a, 30b)를 통해 공급되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표면에는 전극과의 각 분리막(31, 33)을 접착하기 위한 바인더가 각각 도포된다.Here, a binder for adhering each
상기 입력장치(40)는 상부 분리막(31)에 도포된 바인더에 대한 정보 및 하부 분리막(33)에 도포된 바인더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The
여기서, 상기 입력장치(40)는 상부 분리막 공급롤러(30a) 또는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b)에 설치되거나, 상부 분리막 공급롤러(30a)와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한편, 상기 입력장치(40)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에 도포된 각 바인더의 정보를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장치(40)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터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조작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형태일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입력장치(40)에 작업자가 각 바인더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입력된 바인더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어부(70)는 라미네이션 장치(60)의 라미네이션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With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directly inputs information about each binder into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입력장치(40)는 작업자가 직접 바인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40)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입력장치(40)는 리더기(41)이거나, 스캐너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표면에 바인더에 대한 정보가 코드(43)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a, 30b)에서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권출 시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표면에 제공된 코드(43)를 리더기(41)가 자동으로 리딩하고, 상기 상, 하부 분리막(31, 33)에 코드(43) 형태로 제공되는 바인더의 정보를 통해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바인더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and
여기서, 상기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표면에 제공되는 코드(43)는 바 코드, QR 코드, 데이터매트릭스 코드 또는 데이터 프레임 형태의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리더기(41)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표면에 제공되는 상기한 코드(43)를 리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상기 이송롤러(50)는 각 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된 양극(11)과 상부 분리막(31)과 음극(21) 및 하부 분리막(3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순차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후공정으로 이송한다.The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50)는 전극 조립체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공급롤러에서 공급되어 순차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를 라미네이팅 공정 및 분리막 커팅 공정으로 이송한다.Here, the
상기 라미네이션 장치(60)는 이송롤러(50)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 조립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전극 조립체를 일정 두께로 라미네이팅한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라미네이션 장치(60)는 전극 조립체에 일정 온도의 열을 가하는 히터(61) 및 상기 히터(61)에 의해 가열된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는 가압롤러(63a, 6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상기 히터(61)는 발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전극 조립체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가압롤러(63a, 63b)는 히터(6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61)를 통해 가열된 전극 조립체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롤러(63a, 63b)는 상, 하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이송되는 전극 조립체가 한 쌍의 가압롤러(63a, 63b)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일정 두께로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상기한 바와 같이, 히터(61) 및 가압롤러(63a, 63b)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60)를 통해 전극 조립체에 열과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상, 하부 분리막(31, 33)에 도포된 고형물 형태의 바인더가 활성화되면서 각 분리막(31, 33)과 전극이 접착되어 합지된다.As described above,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through the
상기 제어부(70)는 입력장치(40)로 입력된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한다.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70)는 작업자를 통해 입력장치(40)에 입력된 상부 분리막(31)의 바인더 정보 및 하부 분리막(33)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각 표면에 코드(43) 형태로 제공되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바인더 정보를 리더기(41)로 자동 리딩하고, 리딩된 바인더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70)는 입력장치(40) 및 리더기(41)와 PCL(Printer Command Language)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이더넷 통신(Ethernet Communication)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능하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 등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능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To this end, the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바인더에 대한 물성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 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라는 의미는 바인더에 대한 물성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는 의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바인더의 물성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 정보와 대응하는 라미네팅 조건으로 라미네이션 장치(60)를 제어할 수 있다.With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71)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원단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된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원단 정보, 상기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원단 대비 바인더의 접착력 정보 등을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is, laminating conditions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fabric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한편, 상기 바인더 정보는 바인더의 종류, 바인더의 함량, 및 바인더에 첨가된 첨가제의 종류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접착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바인더 정보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에 도포된 바인더의 종류, 상, 하부 분리막(31, 33)에 도포된 바인더의 함량, 및 바인더에 첨가된 첨가제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바인더의 접착력 정보일 수 있다.Meanwhile, the bind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ncluding the type of binder, the content of the binder, and the type of additives added to the binder. That is, the binder information includes the type of binder applied to the upper and
이때, 상기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바인더 정보 또는/및 데이터 베이스(71)에 기 저장된 데이터는 수치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inder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바인더 정보가 바인더의 종류, 바인더의 함량, 및 바인더에 첨가된 첨가제의 종류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접착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바인더 정보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원단 정보, 분리막(31, 33)의 원단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ncluding the type of binder, the content of the binder, and the type of additives added to the binder. However, the bind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upper and
이때에도,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원단 정보, 분리막(31, 33)의 원단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에 대한 정보는 수치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Even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the fabric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검색부(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검색부(73)는 데이터베이스(71)를 통해 입력장치(40)로 입력되는 바인더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색부(73)는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1)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검색하고, 이를 통해 라미네이션 장치(60)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는,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바인더의 데이터에 적합한 온도 및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binder corresponding to the bind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이렇게 상기 검색부(73)를 통해 입력된 바인더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한 후 선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으로 라미네이션 장치(60)를 제어할 수 있다.After selec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bind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이때, 바인더의 물성 정보에 포함된 바인더의 접착력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션 장치(60)의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여 보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of the output of the
이를 통해,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바인더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온도 및 압력으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가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binder corresponding to the binder information input to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70)는 검색부(73)를 통해 검색된 후 선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으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여기서, 검색된 바인더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및 압력 범위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가압력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Here, it is possible to set the output of the
따라서, 현재 설정된 라이네이팅 조건에서 새로운 라미네이팅 조건으로 실시간 변경하여 전극 조립체를 라미네이팅할 수 있다.Therefore,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laminated by changing the currently set laminating conditions to new laminating conditions in real time.
한편, 상기 제어부(70)에 기준 접착력의 범위가 기 설정되고, 기준 접착력에 대응하는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70)는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 미만이면, 기 설정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 및 압력을 증가시키고,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기준 접착력의 범위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range of the standard adhesive force is preset i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1)에 기 설정된 바인더의 데이터의 비교하고, 비교된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높게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 및 압력을 증가시키고, 비교된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낮게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 및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binder information input to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70)는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1)에 기 설정된 바인더의 데이터의 비교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통한 모노셀의 라미네이션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amination process of a monocell using the lamination system for a mono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양극 공급롤러(10)와 음극 공급롤러(20) 및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30a, 30b)를 통해 양극(11)과 음극(21)과 상부 분리막(31) 및 하부 분리막(33)이 공급된다.First, the
여기서, 양극(11)과 음극(21)은 각각의 커팅장치를 통해 일정 길이로 커팅된 후 공급되고, 상부 분리막(31)은 양극(11)과 음극(21) 사이로 공급되며, 하부 분리막(33)은 음극(21)의 하측으로 공급된다.Here, the
이렇게 공급된 양극(11)과 상부 분리막(31)과 음극(21) 및 하부 분리막(33)이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는 이송롤러(50)를 통해 라미네이션 장치(60)로 이송된다.Th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supplied
여기서, 작업자가 입력장치(40)를 통해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바인더 정보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71)를 통해 바인더의 종류, 바인더의 함량, 바인더에 첨가된 첨가제의 종류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접착력에 대한 바인더 정보 및/또는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원단 정보, 상, 하부 분리막(31, 33) 원단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에 대한 바인더 정보와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Here, when the operator inputs the binder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그리고, 검색된 바인더 데이터에 대응하는 온도 및 압력 등의 라미네이션 조건에 대응하도록 라미네이션 장치(60)의 히터(61)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가압력을 조절 및 보정한다.Then, the output of the
예를 들어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71)에 바인더의 각 물성 정보에 따른 접착력이 수치화하여 저장되고, 수치화된 접착력에 대해 온도 및 압력 등의 라미네이팅 조건이 설정되어 저장된 경우, 상, 하부 분리막(31, 33)에 도포된 바인더의 정보가 입력장치(40)로 입력되면, 제어부(70)는 데이터베이스(71)를 통해 입력된 바인더의 정보와 대응하는 기 설정된 바인더의 물성 정보를 검색한다.For example, when the adhesion strength according to each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binder is quantified and stored in the
그리고, 검색된 물성 정보를 포함하는 바인더 데이터에서 바인더의 접착력에 따른 히터(61)의 가열온도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설정하되, 현재 상태의 라미네이팅 조건에서 입력된 바인더 정보에 따라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제어하는 등 새로운 라미네이팅 조건으로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구체적으로, 데이터 베이스(71)에 바인더의 물성 정보에 따른 바인더의 종류, 바인더의 함량, 바인더에 첨가된 첨가제 종류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접착력 정보 등을 통하여 바인더의 접착력을 60 내지 90으로 수치화하여 기 저장되고, 현재 라미네이팅 장치의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이 60의 바인더 접착력으로 설정되어 라미네이팅 작업 중일 경우,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 정보를 통해 90의 바인더 접착력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히터(61)의 가열온도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낮게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s quantified to 60 to 90 through the binder adhe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binder, the content of the binder, and the type of additive added to the binder in the
이와 반대로, 현재 라미네이팅 장치의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이 90의 바인더 접착력으로 설정되어 라미네이팅 작업 중일 경우,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 정보를 통해 60의 바인더 접착력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히터(61)의 가열온도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높게 제어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output of the
이렇게, 입력장치(40)로 입력되는 바인더의 정보에 대응되게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을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aminating conditions, including the output of the
여기서, 입력장치(40)가 리더기(41)이고,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표면에는 바인더에 대한 정보가 코드(43)로 제공될 경우에도, 상, 하부 분리막(31, 33)의 표면에 제공되는 코드(43)를 리더기(41)가 리딩한 후 리딩된 바인더의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으로 라미네이션 장치(60)의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Here, even when the
한편, 상기 제어부(70)에 기준 접착력의 범위가 기 설정되고, 기준 접착력에 대응하는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70)는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인지 여부에 따라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range of the standard adhesive force is preset in the
즉, 데이터베이스(71)에 바인더의 접착력을 60 내지 90으로 수치화하여 저장되고, 현재 라미네이팅 조건이 70 내지 80의 바인더 기준 접착력에 대응되게 설정되어 라미네이션 공정의 수행 시,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의 정보가 기준 접착력의 범위 미만인 60의 바인더 접착력일 경우, 기 설정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높게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증가시키고, 입력장치(40)로 입력된 바인더 정보가 기준 접착력을 초과하는 90의 바인더 접착력일 경우, 기 설정된 히터(61)의 출력 및 가압롤러(63a, 63b)의 압력을 낮게 제어하여 분리막(31, 33)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s quantified and stored as 60 to 90 in the
이렇게 라미네이션 장치(60)를 통해 접착되어 합지된 전극 조립체는 분리막 커팅장치를 통해 커팅공정을 수행한 후 모노셀(3)로 제조된다.The electrode assembly bonded and laminated through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 하부 분리막(31, 33)에 도포된 바인더의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라미네이션 공정 시 라미네이션 조건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인더의 접착력에 최적화된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ion conditions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by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binder applied to the upper and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has it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it.
1 :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3 : 모노셀
10 : 양극 공급롤러
11 : 양극
20 : 음극 공급롤러
21 : 음극
30a : 상부 분리막 공급롤러
30b :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
31 : 상부 분리막
33 : 하부 분리막
40 : 입력장치
41 : 리더기
43 : 코드
50 : 이송롤러
60 : 라미네이션 장치
61 : 히터
63a, 63b : 가압롤러
70 : 제어부
71 : 데이터베이스
73 : 검색부
75 : 설정부
77 : 비교부1: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
3: Monocell
10: Anode supply roller
11: anode
20: cathode supply roller
21: cathode
30a: Upper separator supply roller
30b: Lower separator supply roller
31: upper separator
33: lower separator
40: input device
41: Reader
43: code
50: transfer roller
60: Lamination device
61: heater
63a, 63b: Pressure roller
70: control unit
71: database
73: Search section
75: Setting section
77: Comparison part
Claims (10)
양극을 공급하는 양극 공급롤러;
음극을 공급하는 음극 공급롤러;
바인더가 도포된 상, 하부 분리막을 각각 공급하는 상, 하부 분리막 공급롤러;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각 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된 양극과 상부 분리막과 음극 및 하부 분리막이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 조립체를 히터와 가압롤러로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입력장치에 입력된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In the lamina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monocells,
An anode supply roller that supplies an anode;
A cathode supply roller that supplies a cathode;
Upper and lower separator supply rollers that respectively supply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to which the binder is applied;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binders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 transport roller that transports th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anode, upper separator, cathode, and lower separator supplied through each supply roller;
A lamination device that laminates the electrode assembly transferred through a transfer roller with a heater and a pressure roll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laminating conditions through binder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input to the input device;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는,
바인더에 대한 물성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comprising a database storing data on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nder and corresponding laminating conditions.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 하부 분리막의 원단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라미네이팅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atabase is,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characterized in that data on the fabric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nd the corresponding laminating conditions are further stored.
상기 제어부는,
입력장치에 입력된 바인더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물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이를 통해 라미네이션 장치의 라미네이팅 조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ntrol unit,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binder corresponding to the binder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device is searched in the database and the laminating conditions of the lamination device are controlled through this.
상기 바인더 정보는,
바인더의 종류, 바인더의 함량, 및 바인더에 첨가된 첨가제의 종류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접착력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binder information is,
A lamination system for a monoce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ncluding the type of binder, the content of the binder, and the type of additives added to the binder.
상기 바인더 정보는,
상, 하부 분리막의 원단 정보, 분리막 원단 정보에 대응하는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According to clause 5,
The binder information is,
Lamination for monocel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fabric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nd the standard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fabric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인더의 물성 정보에 포함된 바인더의 접착력 정보를 통해 라미네이션 장치의 히터의 출력 및 가압롤러의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분리막에 작용하는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For monoc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are adjusted and corrected by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output of the heater of the lamination device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roller through the adhesive force information of the binder included in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binder. Lamination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히터의 출력 및 가압롤러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리막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바인더의 접착력이 기 설정된 바인더의 기준 접착력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히터의 출력 및 가압롤러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리막에 작용하는 온도와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In clause 7,
The control unit,
I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is less than the range of the preset referenc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are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reset heater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roller,
When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exceeds the range of the preset standard adhesive strength of the binder, the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reset heater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roller.
상기 입력장치는 리더기이고,
상, 하부 분리막의 표면에는 바인더에 대한 정보가 코드로 제공되며,
상기 리더기를 통해 상, 하부 분리막의 코드를 리딩하여 상, 하부 분리막의 바인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put device is a reader,
Information about the binder is provided as a code on th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characterized in that binder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is obtained by reading the codes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ors through the reader.
상기 코드는,
바 코드, QR 코드, 데이터매트릭스 코드 또는 데이터 프레임 형태의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9,
The above code is:
A lamination system for monocel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one of a bar code, QR code, data matrix code, or data frame type c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687A KR20240045850A (en) | 2022-09-30 | 2022-09-30 | Lamination system for mono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687A KR20240045850A (en) | 2022-09-30 | 2022-09-30 | Lamination system for mono ce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5850A true KR20240045850A (en) | 2024-04-08 |
Family
ID=9071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5687A Pending KR20240045850A (en) | 2022-09-30 | 2022-09-30 | Lamination system for mono ce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5850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118B1 (en) | 2017-04-26 | 2020-10-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Lamina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
-
2022
- 2022-09-30 KR KR1020220125687A patent/KR2024004585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118B1 (en) | 2017-04-26 | 2020-10-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Lamina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142362A1 (en) | Cell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20200125024A (en)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equipment,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from thereof and rechargeable battery | |
KR20170053892A (en) | Electrode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ing Improved Productivity by Simultaneous Performance of Slitting and Coating | |
CN217009271U (en) | Lamina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 |
CN118176621A (en) | Method and device for laminating components of battery cells | |
JP6902731B2 (en) |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 |
US6997228B2 (en) | Lamination apparatus for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2496215B1 (en) | Secondary Cell Rotary Mult Distech Stacking Apparatus | |
CN110911761B (en) |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laminated battery cell | |
KR20240045850A (en) | Lamination system for mono cell | |
KR20200126767A (en)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from thereof and rechargeable battery | |
KR102063583B1 (en) | Secondary batter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200031347A (en) | Stacker for secondary battery | |
JP7593559B2 (en) | Zigzag stacking device | |
KR102654140B1 (en) | Device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 |
US2022001380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 |
KR20220112515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line compression and surface compressio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
US20230134414A1 (en) | Laminator for Manufacture of Unit Structural Bodies with Increased Force of Adhesion | |
KR20210076769A (en) | The Unit Cell,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KR102715880B1 (en)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ame | |
KR20200031348A (en) | Stacker for secondary battery | |
KR102770561B1 (en)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ame | |
KR20250002872A (en) | Electrode supply devic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device using same, electrode supply method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 |
CN216831082U (en) | Cutting device | |
KR2020003760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of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