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250A - Grapper for dog feces treatment - Google Patents
Grapper for dog feces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4250A KR20240044250A KR1020220123797A KR20220123797A KR20240044250A KR 20240044250 A KR20240044250 A KR 20240044250A KR 1020220123797 A KR1020220123797 A KR 1020220123797A KR 20220123797 A KR20220123797 A KR 20220123797A KR 20240044250 A KR20240044250 A KR 202400442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s
- dog
- feces
- button
- hand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E01H1/1206—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for picking up excr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과 집게에 반려견의 대변이 묻지 않도록 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반려견의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nd more specifically to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nd more specifically to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which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and easily dispose of dog feces while preventing the hands and tongs from being exposed to dog feces. It's about handling tongs.
반려견을 산책시키는 경우, 반려견의 목줄은 리드줄을 통하여 견주와 연결되어 있어서 견주는 반려견을 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반려견의 목줄과 연결되는 리드줄은 견주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등에 연결되어 있고, 견주는 이러한 손잡이를 잡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려견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When walking a dog, the dog's leash is connected to the dog owner through a leash, so the dog owner can control the dog. The leash that is connected to the dog's leash is connected to a handle that the dog owner can hold, and the dog owner can control the dog while maintaining his grip on the handle.
일반적인 리드줄 어셈블리는 이러한 전통적인 기능 이외에는 견주 또는 반려견을 위한 다른 기능은 찾아보기 힘들다.Other than these traditional functions, it is difficult to find other functions for dog owners or dogs in general leash assemblies.
선행 특허 문헌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 특허 공개 2005-95091에 의하면, 반려견용 휴대용 화장실이라는 명칭으로 산책 중인 반려견의 배변을 받을 수 있는 도구가 제안된 바 있다.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5-95091, which can be considered a prior patent document, a tool for catching the excrement of a walking dog under the name of a portable toilet for dogs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하면, 안테나 방식으로 신장 가능한 막대 본체의 단부에 원형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러한 원형 프레임에 배변 봉투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변 봉투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배변을 채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se prior patent documents, a circular fram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d body that can be extended in an antenna manner, and a defecation bag is installed on this circular frame. And it is proposed to collect the dog's feces using these feces bags.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하면, 배변 채취를 위한 프레임이 항상 막대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을 제외한 경우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prior patent documents, since the frame for collecting feces is always fixed to one side of the bar, discomfort may be felt when not in use.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과 집게에 반려견의 대변이 묻지 않도록 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반려견의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enabling the user to quickly and easily dispose of dog feces while preventing the dog feces from staining the hands and tongs. The goal is to provid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that can improve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는, 관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하며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 버튼이 설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게 버튼의 인입출 운동과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어 반려견의 대변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집게부를; 포함한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 a body portion tha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s a certain length; a handle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with his or her hand, and equipped with a tong button that can be withdrawn and withdrawn from the inside and outside; A to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and selectively opened or retrac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and-out movement of the tong button to pick up the dog's fec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여기서, 상기 집게 버튼은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집게부는 상기 집게 버튼이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로 인입되면 벌어지고 상기 집게 버튼이 인출되면 오므라들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tongs butt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tongs are opened when the tongs butt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tongs button is You can make it retract when it is withdrawn.
그리고,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길이조절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안테나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인출이 가능하며 상기 길이조절버튼이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인출된 길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ength adjustment butt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n antenna structure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while the length adjustment button is pressed, and the pulled out length of the body por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adjustment button is restored.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집게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수거봉투가 상기 집게부의 외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씌어지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수거봉투가 씌어진 상태에서 반려견의 대변을 집도록 하여 상기 집게부가 대변을 집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수거봉투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llection bags are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ngs to shield the outer surface of the tongs from the outside, and the tongs pick up the dog's feces in a state where the collection bags are covered, so that the tongs only pick up the feces. I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llection bag.
아울러, 상기 집게부는 한 쌍의 부재가 상호 맞물릴 경우에 상기 집게부의 내부에 반려견의 대변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도록 상기 집게부의 내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ngs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ward so that when a pair of membe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tongs have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og's feces inside the tong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는 손과 집게에 반려견의 대변이 묻지 않도록 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반려견의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seen above,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dog's feces to be handled quickly and easily while preventing the dog's feces from getting on the hands and tongs.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of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Figure 3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of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 Figure 3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는, 관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하며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 버튼(210)이 설치된 손잡이부(200)와; 상기 바디부(1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게 버튼(210)의 인입출 운동과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어 반려견의 대변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집게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바디부(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관상으로 형성되며, 안테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바디부(100)의 일단부에는 손잡이부(20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집게부(300)가 구비되어 있다. The
바디부(100)의 일측에는 길이조절버튼(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디부(100)는 안테나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조절버튼(110)이 눌려진 상태에서 인출이 가능하며 길이조절버튼(110)이 복원된 상태에서 바디부(100)의 인출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를 그립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200)의 내측에는 집게 버튼(210)이 구비되어 있다. The
그리고, 집게 버튼(210)은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손잡이부(200)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집게부(300)는 집게 버튼(210)이 손잡이부(200)의 내부로 인입되면 벌어지고 집게 버튼(210)이 인출되면 오므라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즉, 반려견의 대변을 처리하기 위하여 집게부(300)를 벌릴 경우에 집게 버튼(210)을 누르면 집게부(300)가 벌어지게 되고, 집게부(300)가 대변을 집은 상태에서는 집게 버튼(210)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집게부(300)가 오므로들어서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집게부(300)가 대변을 집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when opening the
집게부(300)는 바디부(1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게 버튼(210)의 인입출 운동과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어 반려견의 대변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러한 집게부(300)는 한 쌍의 부재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로들면서 반려견의 대변을 집을 수 있도록 하고, 집은 반려견의 대변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쌍의 부재가 상호 맞물릴 경우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is
그리고, 집게부(300)의 외면에는 복수의 수거봉투(310)가 집게부(300)의 외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씌어지고, 집게부(300)는 수거봉투(310)가 씌어진 상태에서 반려견의 대변을 집도록 하여 상기 집게부(300)가 대변을 집는 동작만으로도 수거봉투(3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집게부(300)에 의하여 반려견의 대변이 수거봉투(3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거봉투(310)를 집게부(300)의 외면에서 벗져지도록 하여 뒤집으면 반려견의 대변이 전혀 손과 집게부(300)에 묻지 않도록 하면서 편리하게 수거 완료하게 된다. When the dog's feces are accommodated inside the
수거봉투(310)는 복수로 겹쳐진 상태에서 집게부(3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반려견 대변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o allow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대변을 수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method of collecting dog feces using the dog feces disposal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반려견 보호자가 반려견을 데리고 산책을 하거나 혹은 전동 스쿠터를 타고 이동하다가 반려견이 대변을 보게 되면, 반려견 보호자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를 집어들고 스쿠터에 앉은 상태에서도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의 바디부(100) 길이를 조절하여 집게부(300)가 변려견의 대변과 닿을 수 있도록 한다. If the dog defecates while the dog guardian is taking the dog for a walk or riding an electric scooter, the dog guardian picks up the tongs for disposing of dog feces and uses the body part (100) of the tongs for disposing of dog feces even while sitting on the scooter. The length is adjusted so that the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00)의 일측에 구비된 집게 버튼(210)을 누르면 수거봉투(310)에 씌어진 상태의 집게부(300)가 벌어지게 되고, 집게부(300)가 벌어진 상태에서 반려견의 대면을 집고 집게 버튼(210)을 누르고 있는 힘을 해제하면 집게부(300)가 상호 맞물리게 오므라들게 되어 반려견의 대변이 집게부(300)의 수용공간으로 수용된 상태가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그 후, 바디부(100)의 길이를 원래의 짧은 상태로 복귀시켜 집게부(300) 외면을 감싸고 있는 수거봉투(310)를 뒤집으면 수거봉투(310)의 내부로 반려견의 대변이 수용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집게 버튼(210)을 눌러 집게부(300)가 벌어지도록 하여 수거봉투(310)를 이탈 시킬 후에 수거봉투(310)의 단부를 묶어서 편리하게 반려견의 대변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length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는 손과 집게에 반려견의 대변이 묻지 않도록 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반려견의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and easily dispose of dog feces while preventing the dog's feces from staining the hands and tongs. You can do it.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is only a description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underlying it will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바디부
110 : 길이조절버튼
200 : 손잡이부
210 : 집게 버튼
300 : 집게부
310 : 수거봉투100: body part 110: length adjustment button
200: Handle 210: Clamp button
300: Clamp 310: Collection bag
Claims (5)
상기 바디부(1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하며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 버튼(210)이 설치된 손잡이부(200)와;
상기 바디부(1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게 버튼(210)의 인입출 운동과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어 반려견의 대변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집게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A body portion 100 tha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s a certain length;
A handle portion 200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0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with the hand and equipped with a tong button 210 that can be withdrawn and withdrawn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A tong part 30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100 and selectively opened or retrac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and-out movement of the tong button 210 to pick up the dog's feces;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contain:
상기 집게 버튼(210)은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집게부(300)는 상기 집게 버튼(210)이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로 인입되면 벌어지고 상기 집게 버튼(210)이 인출되면 오므라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lamp button 2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andle portion 200. The clamp button 300 is A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which opens when introduced into the handle portion 200 and retracts when the tongs button 210 is withdrawn.
상기 바디부(100)의 일측에는 길이조절버튼(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100)는 안테나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버튼(110)이 눌려진 상태에서 인출이 가능하며 상기 길이조절버튼(110)이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100)의 인출된 길이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gth adjustment button 1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in an antenna structure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while the length adjustment button 110 is pressed.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n-out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0 is maintained while the button 110 is restored.
상기 집게부(300)의 외면에는 복수의 수거봉투(310)가 상기 집게부(300)의 외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씌어지고, 상기 집게부(300)는 상기 수거봉투(310)가 씌어진 상태에서 반려견의 대변을 집도록 하여 상기 집게부(300)가 대변을 집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수거봉투(3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According to paragraph 1,
A plurality of collection bags 310 are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ngs 300 to shield the outer surface of the tongs 300 from the outside, and the tongs 300 are covered with the collection bags 310. A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ngs 30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llection bag 310 by simply picking up the feces.
상기 집게부(300)는 한 쌍의 부재가 상호 맞물릴 경우에 상기 집게부(300)의 내부에 반려견의 대변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도록 상기 집게부(300)의 내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대변처리용 집게.According to clause 4,
The inner surface of the tongs 300 is so that when a pair of membe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og's feces is provided inside the tongs 300. Tongs for handling dog fec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cavely formed on the in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3797A KR20240044250A (en) | 2022-09-28 | 2022-09-28 | Grapper for dog feces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3797A KR20240044250A (en) | 2022-09-28 | 2022-09-28 | Grapper for dog feces treat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4250A true KR20240044250A (en) | 2024-04-04 |
Family
ID=9063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3797A Pending KR20240044250A (en) | 2022-09-28 | 2022-09-28 | Grapper for dog feces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4250A (en) |
-
2022
- 2022-09-28 KR KR1020220123797A patent/KR20240044250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00445B1 (en) | Pet leash and waste pick-up device | |
US7841303B2 (en) | Extendible lead with an integrated excrement collector | |
US20170191235A1 (en) | Pet Waste Collection System | |
US6058882A (en) | Petpotty-pickup | |
US20090261604A1 (en) | Pet Waste Collection Tool with Integrated Leash | |
US20100072765A1 (en) | Portable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pet feces | |
US10738428B2 (en) | Pooper scooper device and dog leash housing with a holder for a pooper scooper device | |
US20150102618A1 (en) | Monopod mounted solid pet waste collecting and disposing system | |
US9332732B2 (en) | System for hands-free pet waste receptacle | |
KR102563444B1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Excreta Of Pet | |
KR20240044250A (en) | Grapper for dog feces treatment | |
KR20110009154U (en) | Dog collar with dung tongs | |
US20070284898A1 (en) | Animal waste receptacle | |
JP3225462B2 (en) | Defecation collection equipment for pets | |
KR20230161581A (en) | Pet excretion sealing device | |
US10697142B1 (en) | Waste catching device | |
KR101959809B1 (en) | The integrated excretion cleanig sack dog leash | |
KR20090046624A (en) | Defecation bag for pets | |
JP2005176768A (en) | Excrement picking tool | |
JP2014073085A (en) | Dog pooper-scooper | |
JPH0510606Y2 (en) | ||
JP2023056446A (en) | Dog dung scooping tool | |
JP3619641B2 (en) | Pet feces disposal tool | |
JPH08172963A (en) | Tool for recovering excreta for pet | |
JP3093465U (en) | Pet dropp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