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708A - 전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전류 검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3708A KR20240043708A KR1020230128318A KR20230128318A KR20240043708A KR 20240043708 A KR20240043708 A KR 20240043708A KR 1020230128318 A KR1020230128318 A KR 1020230128318A KR 20230128318 A KR20230128318 A KR 20230128318A KR 20240043708 A KR20240043708 A KR 202400437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conductor
- current detection
- substrate
- resis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6—Measuring arrangements for current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of G01R15/14, e.g. using current dividers, shunts, or measuring a voltage drop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과제] 전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전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류 검출 장치(1)는, 제 1 방향(X)을 따라 전류가 흐르는 저항체(20)와, 저항체에 있어서의 제 1 방향의 일단에 접속된 제 1 도체(21)와, 저항체에 있어서의 제 1 방향의 타단에 접속된 제 2 도체(22)를 가지는 션트 저항(2)과, 션트 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31)를 가지는 기판(3)과,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1 도체 및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1 도체와 전류 검출부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버스바(4A)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2 도체 및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2 도체와 전류 검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버스바(4B)를 구비한다.
[해결 수단] 전류 검출 장치(1)는, 제 1 방향(X)을 따라 전류가 흐르는 저항체(20)와, 저항체에 있어서의 제 1 방향의 일단에 접속된 제 1 도체(21)와, 저항체에 있어서의 제 1 방향의 타단에 접속된 제 2 도체(22)를 가지는 션트 저항(2)과, 션트 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31)를 가지는 기판(3)과,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1 도체 및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1 도체와 전류 검출부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버스바(4A)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2 도체 및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2 도체와 전류 검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버스바(4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션트 저항기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적어도 일부에, 미리 저항값이 설정된 저항체를 가지고, 2개의 전극의 사이를 가교하여, 저항체에 의한 전압 강하를 검출함으로써 전극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션트 저항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션트 저항기는, 도전성 접착재를 개재하여 각각의 전극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부와, 일방의 접속부로부터, 타방의 접속부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접속부의 사이를 가교하는 가교부와, 저항체의 전압 강하를 검출하기 위한 한 쌍의 본딩 와이어를 구비하고, 본딩 와이어는, 가교부에 본딩된다.
션트 저항식의 전류 검출 장치에 있어서,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류 검출부를 가지는 기판과 션트 저항을 한 쌍의 도체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에, 션트 저항에 대한 도체의 접속 각도가 불균일하면,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전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류 검출 장치는, 제 1 방향을 따라 전류가 흐르는 저항체와, 상기 저항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에 접속된 제 1 도체와, 상기 저항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방향의 타단에 접속된 제 2 도체를 가지는 션트 저항과, 상기 션트 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 1 도체와 상기 전류 검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 도체 및 상기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 2 도체와 상기 전류 검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버스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에서는, 전류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버스바가 제 1 도체 및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고,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버스바가 제 2 도체 및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에 의하면,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가 션트 저항 및 기판에 대하여 리지드하게 고정됨으로써, 접속 각도의 편차에 기인하는 전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단자대 및 제 2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단자대 및 제 2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단자대 및 제 2 단자대의 사시도, 도 4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의 평면도, 도 5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의 사시도, 도 6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류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에는, 도 6의 VII-VII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류 검출 장치(1)는, 션트 저항(2), 기판(3),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를 가진다. 전류 검출 장치(1)는, 예를 들면, 차량의 배터리에 배치되며,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검출 장치(1)는, 이른바 션트식의 전류 센서이다. 즉, 전류 검출 장치(1)는, 션트 저항(2)에 전류를 흘리고, 통전하였을 때의 전압 강하와 션트 저항(2)의 저항값으로부터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류값을 계측한다. 전류 검출 장치(1)는, 배터리를 감시하는 감시 유닛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션트 저항(2)은, 저항체(20)와, 제 1 도체(21)와, 제 2 도체(22)를 가진다. 저항체(20)는,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진다. 전류 검출 장치(1)는, 저항체(20)의 저항값에 의거하여 전류값을 산출한다. 예시된 저항체(20)의 형상은,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이다.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는, 구리 등의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된 도체이다. 예시된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의 형상은, 평판 형상이다.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는, 이른바 버스바이며, 강성을 가지는 도체이다.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는, 저항체(20)를 사이에 두도록 저항체(20)에 대하여 양측에 배치된다.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는, 저항체(20)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 중 일방의 도체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부극에 접속된다.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 중 타방의 도체는, 예를 들면, 차량의 바디 등의 접지부에 접속된다. 전류 검출 장치(1)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에 의거하여, 배터리의 감시 및 제어가 이루어진다.
저항체(20)에는, 제 1 방향(X)을 따라 전류가 흐른다. 제 1 방향(X)은,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이다. 제 1 도체(21)는, 제 1 방향(X)에 있어서의 저항체(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도체(22)는, 제 1 방향(X)에 있어서의 저항체(20)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션트 저항(2)의 폭 방향을 「제 2 방향(Y)」이라고 칭하고, 션트 저항(2)의 판 두께 방향을 「제 3 방향(Z)」이라고 칭한다. 제 2 방향(Y)은, 제 1 방향(X)과 직교한다. 제 3 방향(Z)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의 양방과 직교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체(21)는 제 1 관통 구멍(21a) 및 제 2 관통 구멍(21b)을 가진다. 제 2 도체(22)는, 제 1 관통 구멍(22a) 및 제 2 관통 구멍(22b)을 가진다. 제 1 관통 구멍(21a, 22a)은, 저항체(2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 1 관통 구멍(21a, 22a)은, 저항체(20)에 관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관통 구멍(21a)에는, 제 1 버스바(4A)를 제 1 도체(21)에 고정하는 나사(61)가 삽입된다. 제 1 도체(21)에는, 나사(61)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66)가 고정되어 있다. 너트(66)는, 제 1 도체(21)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관통 구멍(21a)에 대하여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관통 구멍(22a)에는, 제 2 버스바(4B)를 제 2 도체(22)에 고정하는 나사(62)가 삽입된다. 제 2 도체(22)에는, 나사(62)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67)가 고정되어 있다. 너트(67)는, 제 2 도체(22)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관통 구멍(22a)에 대하여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관통 구멍(21b, 22b)은, 제 1 관통 구멍(21a, 22a)보다 저항체(2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관통 구멍(21b, 22b)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삽입된다. 제 2 관통 구멍(21b, 22b)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가 상대방의 버스바 등에 대하여 체결된다.
기판(3)은, 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 기판(PCB)이다. 예시된 기판(3)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기판(3)은, 전류 검출부(31)를 가진다. 전류 검출부(31)는, 예를 들면, 전류 검출 회로이다. 기판(3)은, 배터리의 감시 및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회로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기판(3)에는, 제 1 단자대(7A) 및 제 2 단자대(7B)가 고정되어 있다. 단자대(7A, 7B)는, 구리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대(7A) 및 제 2 단자대(7B)는, 각각 전류 검출부(3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단자대(7A) 및 제 2 단자대(7B)는, 기판(3)의 단부(3a)에 배치되어 있다. 단부(3a)는, 제 2 방향(Y)에 있어서 션트 저항(2)과 인접하는 단부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대(7A) 및 제 2 단자대(7B)는, 접속부(71) 및 2개의 다리부(72)를 가진다. 접속부(71)는,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에 대하여 접속되고, 또한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접속부(71)의 형상은, 평판 형상이다. 접속부(71)에는, 암 나사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암 나사부(71a)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암 나사부(71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72)는, 접속부(7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다리부(72)는, 접속부(71)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부(71)를 지지한다. 다리부(72)는, 기판(3)에 맞닿아 있으며, 땜납 등에 의해 기판(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접속부(71)는, 다리부(72)를 개재하여 전류 검출부(31)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형상의 버스바(4)가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로서 사용된다. 버스바(4)는, 구리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4)는, 제 1 단자부(41), 제 2 단자부(42), 및 저강성부(低剛性部)(43)를 가진다. 제 1 단자부(41)는, 버스바(4)의 하나의 단부이며, 션트 저항(2)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이다. 제 2 단자부(42)는, 버스바(4)의 또 하나의 단부이며, 단자대(7A, 7B)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이다. 저강성부(43)는, 제 1 단자부(41)와 제 2 단자부(42)와의 사이의 부분이다.
제 1 단자부(41)는, 나사(61, 62)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41a)을 가진다. 관통 구멍(41a)은, 제 1 단자부(41)에 있어서의 제 1 방향(X)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관통 구멍(41a)은, 제 1 단자부(4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예시된 관통 구멍(41a)의 형상은, 제 2 방향(Y)이 장축의 장원(長圓) 형상이다. 버스바(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부(44)를 가진다. 제 1 규제부(44)는, 버스바(4)에 있어서의 제 1 단자부(41)의 측의 선단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규제부(44)는, 제 1 단자부(41)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제 1 규제부(44)는, 제 2 단자부(42)의 측을 향하는 규제면(44a)을 가진다. 규제면(44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4)의 연장 방향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단자부(42)는, 도 2에 나타내는 나사(63, 64)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42a)을 가진다. 관통 구멍(42a)은, 제 2 단자부(42)에 있어서의 제 1 방향(X)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예시된 관통 구멍(42a)의 형상은, 제 1 방향(X)이 장축의 장원 형상이다. 버스바(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규제부(46)를 가진다. 제 2 규제부(46)는, 버스바(4)에 있어서의 제 2 단자부(42)의 측의 선단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규제부(46)는, 제 2 단자부(42)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저강성부(43)는, 제 2 방향(Y)에 있어서의 버스바(4)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저강성부(43)의 강성은, 제 1 단자부(41)의 강성 및 제 2 단자부(42)의 강성과 비교해 작다. 저강성부(43)에는, 제 2 방향(Y)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저감시키는 라이트닝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시된 저강성부(43)에서는, 관통 구멍(43a)을 가짐으로써, 단면적이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43a)은, 버스바(4)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예시된 관통 구멍(43a)의 형상은, 제 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이다.
저강성부(43)는 굴곡부(45)를 가진다. 굴곡부(45)는, 버스바(4)를 2개소에서 절곡하여 형성된다. 굴곡부(45)는, 제 1 굴곡부(45a) 및 제 2 굴곡부(45b)를 가진다. 버스바(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1 굴곡부(45a)의 위치와, 제 2 굴곡부(45b)의 위치는 상이하다. 제 1 굴곡부(45a)는, 제 2굴곡부(45b)보다 제 1 단자부(41)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버스바(4)는, 제 1 굴곡부(45a) 및 제 2굴곡부(45b)에 있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1 굴곡부(45a)와 제 2굴곡부(45b)와의 사이에는, 제 3 방향(Z)으로 연장되는 부분(45c)이 마련되어 있다. 굴곡부(45)가 마련됨으로써, 제 1 단자부(41)와 제 2 단자부(42)와의 사이에 제 3 방향(Z)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저강성부(43)는, 버스바(4)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강성부(43)는, 단면적이 작음으로써, 버스바(4)에 제 3 방향(Z)의 힘이 가해진 경우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강성부(43)는, 굴곡부(45)를 가짐으로써, 버스바(4)에 제 1 방향(X)이나 제 2 방향(Y)의 힘이 가해진 경우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4)는, 양단이 리지드하게 고정되는 것에 의한 응력을 저강성부(43)에서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Y)으로 연장하도록 션트 저항(2) 및 기판(3)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버스바(4)의 중심선(CL)이 제 1 방향(X)과 직교하도록 고정된다. 제 1 버스바(4A)의 중심선(CL)과 제 2 버스바(4B)의 중심선(CL)이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버스바(4A)의 제 1 단자부(41)는, 나사(61)에 의해 션트 저항(2)의 제 1 도체(21)에 대하여 고정된다. 나사(61)는, 제 1 단자부(41)의 관통 구멍(41a) 및 제 1 도체(21)의 제 1 관통 구멍(21a)에 삽입되어, 너트(66)와 나사 결합한다. 즉, 제 1 도체(21) 및 제 1 버스바(4A)는, 나사(61) 및 너트(66)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제 1 버스바(4A)의 제 2 단자부(42)는, 나사(63)에 의해 제 1 단자대(7A)에 대하여 고정된다. 나사(63)는, 제 2 단자부(42)의 관통 구멍(42a)에 삽입되어, 제 1 단자대(7A)의 암 나사부(71a)와 나사 결합한다. 즉, 제 2 단자부(42)는, 나사(63)에 의해 제 1 단자대(7A)에 대하여 체결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버스바(4A)의 제 1 규제부(44)는, 제 1 도체(21)의 측면(21c)과 대향한다. 제 1 도체(21)의 측면(21c)은, 제 2 방향(Y)과 직교하는 측면이며, 기판(3)의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제 1 규제부(44)의 규제면(44a)은, 측면(21c)과 대향하고, 또한 측면(21c)과 근접하고 있다. 제 1 규제부(44)는, 버스바(4)가 션트 저항(2)에 장착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제 1 규제부(44)는, 제 1 버스바(4A)가 제 1 도체(21)에 재치될 때에, 제 1 버스바(4A)를 제 1 도체(21)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규제부(44)는, 제 1 버스바(4A)의 연장 방향을 제 1 방향(X)에 대하여 직교시키도록 측면(21c)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제 1 규제부(44)는, 나사(61)가 나사 결합될 때의 회전 토크에 대하여 버스바(4)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즉, 나사(61)로부터 전해지는 회전 토크에 의해 제 1 버스바(4A)가 회전하려고 한 경우에, 규제면(44a)이 측면(21c)에 맞닿아 제 1 버스바(4A)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제 1 규제부(44)는, 제 1 버스바(4A)가 제 2 방향(Y)에 대하여 경사져 버리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제 1 버스바(4A)의 제 2 규제부(46)는, 제 1 단자대(7A)의 단면(端面)(72a)과 대향한다. 제 1 단자대(7A)의 단면(72a)은 제 2 방향(Y)과 직교하는 단면이며, 션트 저항(2)의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제 2 규제부(46)는, 단면(72a)과 대향하는 규제면(46a)을 가진다. 제 2 규제부(46)는, 버스바(4)가 제 1 단자대(7A)에 재치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제 2 규제부(46)는, 제 1 버스바(4A)의 연장 방향을 제 1 방향(X)에 대하여 직교시키도록 단면(72a)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제 2 규제부(46)는, 나사(63)가 나사 결합될 때의 회전 토크에 대하여 버스바(4)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나사(63)로부터 전해지는 회전 토크에 의해 제 1 버스바(4A)가 회전하려고 한 경우에, 규제면(46a)이 단면(72a)에 맞닿아 제 1 버스바(4A)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제 2 규제부(46)는, 제 1 버스바(4A)가 제 2 방향(Y)에 대하여 경사져 버리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버스바(4B)의 제 1 단자부(41)는, 나사(62)에 의해 션트 저항(2)의 제 2 도체(22)에 대하여 고정된다. 나사(62)는, 제 1 단자부(41)의 관통 구멍(41a) 및 제 2 도체(22)의 제 1 관통 구멍(22a)에 삽입되어, 너트(67)와 나사 결합한다. 제 2 버스바(4B)의 제 2 단자부(42)는, 나사(64)에 의해 제 2 단자대(7B)에 대하여 고정된다. 나사(64)는, 제 2 단자부(42)의 관통 구멍(42a)에 삽입되어, 제 2 단자대(7B)의 암 나사부(71a)와 나사 결합한다.
제 2 버스바(4B)의 제 1 규제부(44)는, 제 2 버스바(4B)가 제 2 방향(Y)에 대하여 경사져 버리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도체(22)는, 측면(21c)과 마찬가지의 측면(22c)을 가진다. 측면(22c)은, 제 2 방향(Y)과 직교하고 있고, 또한 기판(3)의 측과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제 2 버스바(4B)의 제 1 규제부(44)는, 제 2 도체(22)의 측면(22c)과 대향하고, 제 2 버스바(4B)를 제 2 방향(Y)으로 연장시킨다.
제 2 버스바(4B)의 제 2 규제부(46)는, 제 2 버스바(4B)가 제 2 방향(Y)에 대하여 경사져 버리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버스바(4B)의 제 2 규제부(46)는, 제 2 단자대(7B)의 단면(72a)과 대향하고, 제 2 버스바(4B)를 제 2 방향(Y)으로 연장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전류 검출 장치(1)에서는,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의 양방을 제 2 방향(Y)으로 연장시키면서,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를 리지드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가 전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전압 측정 거리의 변동이 억제된다. 비교예로서, 션트 저항(2)과 기판(3)과의 사이를 전선에 의해 접속되는 구성에 대하여 검토한다. 비교예에서는, 예를 들면, 전선에 장착된 단자가 션트 저항(2)에 나사 고정된다. 이 경우, 전선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 2 방향(Y)으로 연장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면, 나사 고정 시의 회전 토크에 의해 단자가 회전해 버리기 쉽다. 단자가 정규의 위치에 대하여 회전해 버리면, 단자간의 저항값에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의 저항 성분이 포함되어 버린다. 그 결과, 전류 계측의 정밀도가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전류 검출 장치(1)에서는,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의 연장 방향이 불균일해지기 어렵다. 예를 들면, 션트 저항(2) 및 기판(3)이 미리 고정되어 있으면, 션트 저항(2)과 단자대(7A, 7B)와의 상대 위치에 의해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의 연장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를 정밀도 좋게 제 2 방향(Y)으로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버스바(4)는, 버스바(4)를 제 1 방향(X)에 대하여 직교시키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부(41)의 관통 구멍(41a)은, 버스바(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장원이다. 한편, 제 2 단자부(42)의 관통 구멍(42a)은, 버스바(4)의 폭 방향을 따른 장원이다.
관통 구멍(41a)이 제 2 방향(Y)을 따른 장원인 점에서, 제 1 단자부(41)가 션트 저항(2)에 대하여 고정될 때에 버스바(4)가 션트 저항(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어렵다. 또한, 관통 구멍(41a)이 제 2 방향(Y)을 따른 장원인 점에서, 제 1 단자부(41)를 션트 저항(2)에 고정할 때에, 제 1 규제부(44)의 규제면(44a)을 측면(21c, 22c)에 맞닿게 해 두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관통 구멍(41a)이 제 2 방향(Y)을 따른 장원인 점에서, 제 1 방향(X)에 있어서의 제 1 단자부(41)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다. 즉,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에 대한 제 1 단자부(41)의 접촉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다. 따라서,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에 대한 제 1 단자부(41)의 접촉 위치를 저항체(20)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의 저항 성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관통 구멍(42a)이 제 1 방향(X)을 따른 장원인 점에서, 버스바(4)를 제 2 방향(Y)으로 연장시킨 채로 제 2 단자부(42)를 기판(3)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버스바(4)는, 션트 저항(2)에 대하여 고정된 후에 기판(3)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류 검출 장치(1)는, 도 8에 나타내는 케이스(1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케이스(10)는,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성형된다. 케이스(10)는, 기판(3)을 수용하는 수용실(11), 및 션트 저항(2)을 보지(保持)하는 보지부(12)를 가진다. 수용실(11)은,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기판(3)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지한다.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수용실(11)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보지부(12)는, 수용실(11)의 외측면으로부터 제 2 방향(Y)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예시된 보지부(12)의 형상은, 직사각형의 판상(板狀)이다. 수용실(11)의 측벽은, 보지부(12)에 대응하는 컷아웃(11a)을 가진다. 컷아웃(11a)은, 수용실(11)의 내부 공간과, 보지부(12)의 측의 외부 공간을 연통한다. 컷아웃(11a)은, 수용실(11)이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와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션트 저항(2)은, 볼트(68, 69)에 의해 보지부(12)에 대하여 고정된다. 보지부(12)는, 볼트(68, 69)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지부(12)는, 제 1 단자대(7A)의 암 나사부(71a)에 대하여 제 1 도체(21)의 제 1 관통 구멍(21a)을 제 2 방향(Y)에 대향시킨다. 바꿔 말하면, 케이스(10)는, 제 1 단자대(7A)의 암 나사부(71a)와 제 1 관통 구멍(21a)을 연결하는 가상선(13A)이 제 1 방향(X)과 직교하도록 기판(3) 및 션트 저항(2)을 보지한다. 또한, 보지부(12)는, 제 2 단자대(7B)의 암 나사부(71a)에 대하여 제 2 도체(22)의 제 1 관통 구멍(22a)을 제 2 방향(Y)에 대향시킨다. 즉, 케이스(10)는, 제 2 단자대(7B)의 암 나사부(71a)와 제 1 관통 구멍(22a)을 연결하는 가상선(13B)이 제 1 방향(X)과 직교하도록 기판(3) 및 션트 저항(2)을 보지한다.
하나의 케이스(10)에 기판(3) 및 션트 저항(2)이 보지되어 있음으로써,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의 연장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를 전류의 흐름 방향에 직교시켜 션트 저항(2)에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류 검출 장치(1)는, 션트 저항(2)과, 기판(3)과, 제 1 버스바(4A)와, 제 2 버스바(4B)를 가진다. 션트 저항(2)은, 제 1 방향(X)을 따라 전류가 흐르는 저항체(20)와, 제 1 도체(21)와, 제 2 도체(22)를 가진다. 제 1 도체(21)는, 저항체(20)에 있어서의 제 1 방향(X)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체(22)는, 저항체(20)에 있어서의 제 1 방향(X)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3)은, 션트 저항(2)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31)를 가진다.
제 1 버스바(4A)는, 제 1 방향(X)과 직교하는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1 도체(21) 및 기판(3)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1 도체(21)와 전류 검출부(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 2 버스바(4B)는,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 2 도체(22) 및 기판(3)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2 도체(22)와 전류 검출부(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전류 검출 장치(1)에서는,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가 션트 저항(2) 및 기판(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의 연장 방향을 제 1 방향(X)에 대하여 직교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제 1 버스바(4A)와 제 2 버스바(4B)를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전류 검출 장치(1)는, 전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 1 도체(21) 및 제 2 도체(22)는, 제 2 방향(Y)과 직교하는 측면(21c, 22c)을 가진다.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는, 션트 저항(2)의 측의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된 제 1 규제부(44)를 가진다. 제 1 규제부(44)는, 제 2 방향(Y)에 있어서 측면(21c, 22c)과 대향하고,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가 제 2 방향(Y)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전류 검출 장치(1)는, 전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는, 션트 저항(2)에 대한 고정부와 기판(3)에 대한 고정부와의 사이에 저강성부(43)를 가진다. 저강성부(43)에서는,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에 관통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저강성부(43)는,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에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저강성부(43)는, 관통 구멍(43a) 대신에, 또는 관통 구멍(43a)에 추가해, 컷아웃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저강성부(43)는, 굴곡부(45)를 가진다. 굴곡부(45)는,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를 길이 방향이 상이한 2개소에서 절곡하여 형성된다. 굴곡부(45)는,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중 어느 것과도 직교하는 제 3 방향(Z)으로 연장되는 부분(45c)을 포함한다. 또한, 저강성부(43)는, 3개소 이상으로 절곡되어도 된다.
전류 검출 장치(1)는, 케이스(10), 제 1 단자대(7A), 및 제 2 단자대(7B)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케이스(10)는, 기판(3)을 수용하는 수용실(11) 및 션트 저항(2)을 보지하는 보지부(12)를 가진다. 제 1 단자대(7A) 및 제 2 단자대(7B)는, 기판(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 경우, 제 1 버스바(4A)는, 제 1 단자대(7A)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1 단자대(7A)를 개재하여 전류 검출부(31)에 접속된다. 제 2 버스바(4B)는, 제 2 단자대(7B)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2 단자대(7B)를 개재하여 전류 검출부(31)에 접속된다. 션트 저항(2) 및 기판(3)이 케이스(10)에 배치됨으로써, 션트 저항(2)과 기판(3)과의 적절한 상대 위치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케이스(10), 션트 저항(2), 기판(3), 제 1 버스바(4A), 및 제 2 버스바(4B)가 장착된 감시 유닛으로서 구성된다. 감시 유닛이 구성된 단계에서 버스바(4A, 4B)간의 저항값이 원하는 값인지 검사를 할 수 있다. 원하는 저항값을 가지는 것이 확인된 감시 유닛이 배터리에 대하여 장착됨으로써, 전류 검출의 정밀도가 저하되기 어렵다.
또한, 케이스(10)에 대한 션트 저항(2)의 고정 수단은, 볼트(68, 69)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10)의 보지부(12)가 션트 저항(2)을 보지하는 보지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보지 구조는, 션트 저항(2)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션트 저항(2)은 보지부(12)의 오목부에 압입되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개시된 내용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행할 수 있다.
1: 전류 검출 장치
2: 션트 저항, 3: 기판, 4A: 제 1 버스바, 4B: 제 2 버스바
7A: 제 1 단자대, 7B: 제 2 단자대
20: 저항체, 21: 제 1 도체, 21a: 제 1 관통 구멍, 21b: 제 2 관통 구멍
21c: 측면
22: 제 2 도체, 22a: 제 1 관통 구멍, 22b: 제 2관통 구멍, 22c: 측면
31: 전류 검출부
41: 제 1 단자부, 42: 제 2 단자부, 43: 저강성부, 44: 제 1 규제부
45: 굴곡부, 46: 제 2 규제부
61, 62, 63, 64: 나사, 66, 67: 너트, 68, 69: 볼트
71: 접속부, 71a: 암 나사부, 72: 다리부, 72a: 단면
X: 제 1 방향, Y: 제 2 방향, Z: 제 3 방향
2: 션트 저항, 3: 기판, 4A: 제 1 버스바, 4B: 제 2 버스바
7A: 제 1 단자대, 7B: 제 2 단자대
20: 저항체, 21: 제 1 도체, 21a: 제 1 관통 구멍, 21b: 제 2 관통 구멍
21c: 측면
22: 제 2 도체, 22a: 제 1 관통 구멍, 22b: 제 2관통 구멍, 22c: 측면
31: 전류 검출부
41: 제 1 단자부, 42: 제 2 단자부, 43: 저강성부, 44: 제 1 규제부
45: 굴곡부, 46: 제 2 규제부
61, 62, 63, 64: 나사, 66, 67: 너트, 68, 69: 볼트
71: 접속부, 71a: 암 나사부, 72: 다리부, 72a: 단면
X: 제 1 방향, Y: 제 2 방향, Z: 제 3 방향
Claims (5)
- 제 1 방향을 따라 전류가 흐르는 저항체와, 상기 저항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에 접속된 제 1 도체와, 상기 저항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방향의 타단에 접속된 제 2 도체를 가지는 션트 저항과,
상기 션트 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 1 도체와 상기 전류 검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버스바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 도체 및 상기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 2 도체와 상기 전류 검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버스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검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는, 상기 제 2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션트 저항의 측의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된 제 1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규제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규제하는 전류 검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션트 저항에 대한 고정부와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부와의 사이에 저강성부를 가지고,
상기 저강성부에서는,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에 관통 구멍 또는 컷아웃이 형성되어 있는 전류 검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부는, 굴곡부를 가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2 버스바를 복수의 개소에서 절곡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 중 어느 것과도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류 검출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수용실 및 상기 션트 저항을 보지하는 보지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는 도전성의 제 1 단자대 및 제 2 단자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버스바는, 상기 제 1 단자대에 대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 1 단자대를 개재하여 상기 전류 검출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제 2 단자대에 대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 2 단자대를 개재하여 상기 전류 검출부에 접속되는 전류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2153450A JP7633976B2 (ja) | 2022-09-27 | 2022-09-27 | 電流検出装置 |
JPJP-P-2022-153450 | 2022-09-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3708A true KR20240043708A (ko) | 2024-04-03 |
KR102837171B1 KR102837171B1 (ko) | 2025-07-22 |
Family
ID=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53521A (ja) | 2014-09-03 | 2016-04-14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シャント抵抗器 |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53521A (ja) | 2014-09-03 | 2016-04-14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シャント抵抗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633976B2 (ja) | 2025-02-20 |
JP2024047775A (ja) | 2024-04-08 |
DE102023126046A1 (de) | 2024-03-28 |
CN117783631A (zh) | 2024-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14099B (zh) | 具有彈簧接觸元件之用於儲存電能的電池單體的機構 | |
US10985357B2 (en) | Battery wiring module | |
US11313885B2 (en) | Integrated current-measuring apparatus | |
HK1052554A1 (en) | Battery sensor device | |
CA3037935A1 (en) | Unified connection array for battery module | |
CN106252573A (zh) | 布线模块 | |
JP7022167B2 (ja) | 電流測定モジュール | |
JP2010003466A (ja) | 電池モジュール | |
KR20180011136A (ko) | 전류 검출 장치 | |
KR20180025855A (ko) |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230104134A (ko) | 배터리 셀 접촉 디바이스, 및 이러한 배터리 셀 접촉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
CN110799845B (zh) | 电流测定装置 | |
JP2015215167A (ja) | 電流検出構造 | |
US11458913B2 (en) | Wiring module including a power supply branch part | |
KR20240043708A (ko) | 전류 검출 장치 | |
JP5614806B2 (ja) | シャント抵抗装置 | |
KR102837171B1 (ko) | 전류 검출 장치 | |
JP4632353B2 (ja) | 蓄電素子の接続構造および蓄電素子モジュール | |
WO2020017309A1 (ja) | シャント抵抗器およびシャント抵抗器の実装構造 | |
JP7155191B2 (ja) | 電流センサ | |
JP7485721B2 (ja) | 電流検出装置 | |
JP7348237B2 (ja) | 電流センサ | |
JP7087751B2 (ja) | 電池監視装置 | |
CN115047228A (zh) | 电流传感器 | |
EP4231023B1 (en) | Current sensor for motor vehicles,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the current sensor and assembly method of the current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