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398A - Push clip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Push clip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3398A KR20240043398A KR1020220122439A KR20220122439A KR20240043398A KR 20240043398 A KR20240043398 A KR 20240043398A KR 1020220122439 A KR1020220122439 A KR 1020220122439A KR 20220122439 A KR20220122439 A KR 20220122439A KR 20240043398 A KR20240043398 A KR 20240043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split pin
- push
- split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 핀이 제2 클립의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꼬인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 구멍에 분할 핀이 맞닿게 해서 제2 클립을 돌려서 조립함에 따라 분할 핀의 끝 부분이 중심으로 몰리면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푸시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할 핀의 꼬임 방향이 상기 제2 클립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푸시 클립을 잡고 쉽고 편한 자세로 조립할 수 있는 자동차용 푸시 클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할 핀의 끝 부분을 쐐기 형태로 제작함으로, 이 쐐기 부분을 조립 구멍에 쉽게 맞춰 분할 핀을 한층 더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자동차용 푸시 클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lit pin is manufactured in a twisted shape as it goes along the length of the second clip, so that when the split pin is in contact with the assembly hole and the second clip is turned and assembled, the end of the split pin is centered, making it easy and conveni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push clips for automobiles that can be assemble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sh clip for an automobile that allows the worker to hold the push clip with his hand and assemble it in an easy and comfortable position by configuring the twisting direction of the split pin to enable assembly by turning the second clip clockwise. There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 clip for automobiles that allows the split pin to be assembl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by manufacturing the end of the split pin in a wedge shape by easily fitting the wedge portion into the assembly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푸시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푸시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할 핀이 나사 형태로 휘어지게 형성함으로써, 푸시 클립을 조립할 때 클립을 잡고 돌리면 분할 핀 부분이 나사처럼 휘면서 이웃한 다른 분할 핀과 간격이 좁아지게 하여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분할 핀은 밖으로 돌출한 부분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착 위치에 쉽게 맞춰서 조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clip for an automobi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ush clip for an automobile. More specifically, the split pin is bent into a screw shape, so that when assembling the push clip, holding the clip and turning it causes the split pin to part. It bends like a screw and narrows the gap between it and other neighboring split pins, making assembly easy and convenient. At this time, the part that protrudes out of the split pin is formed in a wedge shape, so that cooking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mounting posi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내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트림은 클립을 사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한다. 이러한 클립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In general, trim, which is widely used as interior material in automobiles, is quickly and conveniently assembled using clips. These clips ar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3) below.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8695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8695
차량용 프런트 필러 트림의 클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프런트 필러 트림에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이너 클립과; 상기 이너 클립 외주 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프런트 필러 패널에 외측단이 고정 장착되는 아우터 클립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프런트 필러 트림과 프런트 필러 패널의 마운팅 성능 향상으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에어백 전개 시 상기 프런트 필러 트림과 프런트 필러 패널이 용이하게 분리되게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relates to a clip structure of a front pillar trim for a vehicle, particularly an inner clip with one end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pillar trim of a vehicle; The inner clip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lip to be able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and consists of an outer clip whose outer end is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pillar panel, thereby increasing marketability by improving the mounting performance of the front pillar trim and front pillar panel of the vehicle. This is effective in improving safety by allowing the front pillar trim and front pillar panel to be easily separated when the airbag is deployed.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595316호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1595316
차량용 필러 트림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에어백 전개 시 필러 트림로부터 필러 트림의 이탈을 방지하는 필러 트림 고정클립에서,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서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며, 일측에만 탄성이 부여되어 필러 트림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구비된 클립 몸체; 클립 몸체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된 형상의 연이어진 구조로 구비되되,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편;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클립 몸체를 필러 트림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탄성이 부여된 클립 몸체의 고정편이 탄성이 부여되지 않은 클립 몸체의 고정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결합함에 따라 결합편이 필러 트림의 고정리브측에 고정되고, 결합편이 필러 트림의 고정리브측에 고정된 후 탄성이 부여된 클립 몸체의 고정편이 외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필러 트림의 체결공에 밀접된 구조로 필러 트림에 고정될 수 있다.This relates to a pillar trim fixing clip for a vehicle. The filler trim fixing clip prevents separation of the pillar trim from the pillar trim when the vehicle airbag is deployed, and has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shape of the top and bottom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has elasticity on only one side. A clip body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fixed to the filler trim; A connecting piece provided in a continuous structure of symmetrical shapes at both ends of the clip body and having engaging protrusions and engag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clip body to the filler trim, the fixing piece of the clip body to which elasticity is given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fixing part of the clip body that is not elastic, and as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are combined, the coupling piece becomes the filler trim. It is fixed to the fixed rib side of the clip body, and after the connecting piece is fixed to the fixed rib side of the filler trim, the fixed piece of the elastic clip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and can be fixed to the filler trim in a structure that is close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iller trim. there is.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2202540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2202540
자동차의 도어 트림 체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트림을 도어내측패널에 고정 및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클립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 구성은 도어 트림에 끼워지는 머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는 심플레이트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연장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핀과, 상기 핀의 연장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삽입공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몸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 외측부에는 도어 내측 패널의 체결공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패여 형성된 그로밋으로 클립이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This relates to a clip for fastening the door trim of a car, which prevents the clip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even when the door trim is fixed to or separated from the inner door panel. Its configuration includes a head that fits into the door trim formed at the top, a simple plate protruding outward at the bottom of the head, a pin with an extension protruding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simple plate, and an extension of the pin. This is achieved by dividing the clip into a grommet formed by inserting an insertion hol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body and penetrating the body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manner,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 the upper outer portion of the body into which the fastening hole of the door inner panel is inserted. do.
이러한 여러 종류의 클립 중에서,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에 플랜지(11)를 갖추고 다른 한쪽에 분할 핀(12)을 갖춘 제1 클립(10)과, 상기 플랜지(11)를 관통하게 압착 돌기(21)가 강제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분할 핀(12)이 강제로 벌어지게 해서 걸림 작용을 하게 하는 제2 클립(20)을 포함하는 푸시 클립이 많이 사용된다.Among these various types of clips,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to [FIG. 4], a
하지만, 이러한 분할 핀 방식의 푸시 클립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is split pin type push clip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분할 핀이 조립 구멍에 마주하게 한 상태에서 푸시 클립을 눌러서 트림 등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분할 핀이 조립 구멍에 맞지 않아 조립하는데 불편함이 있다.(1) Trims, etc. are assembled by pressing the push clip with the split pin facing the assembly hole. However, at this time, the split pin does not fit into the assembly hole, making assembly inconvenient.
(2) 특히, 푸시 클립을 제조할 때 분할 핀이 제조 과정에서 약간 바깥으로 벌어지게 제작될 때가 있다. 이처럼 벌어진 분할 핀은 조립 구멍에 맞춰 푸시 클립을 조립할 때 조립 구멍 안으로 쉽게 끼워지지 않아 조립에 어려움이 발생한다.(2) In particular, when manufacturing push clips, the split pins are sometimes manufactured to be slightly spread outwar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hen assembling the push clip according to the assembly hole, such a widened split pin does not fit easily into the assembly hole, causing difficulty in assembly.
(3) 또한, 조립 구멍의 지름이 분할 핀이 벌어질 수 있는 간격과 맞지 않을 때는 푸시 클립으로 트림 등을 고정할 수는 있으나,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소음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트림 등이 분리될 수도 있다.(3)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assembly hole does not match the gap between the split pins, the trim, etc. can be fixed with push clips, but it is not firmly fixed, causing noise due to vibrations generated during driving. In severe cases, the trim, etc. may become separated.
(4) 이러한 문제는 때에 따라 부품을 조립/분해를 자주 함에 따라, 푸시 클립에 반복해서 힘이 가해지고, 조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무리한 결합으로 푸시 클립이 파손되고 이에 따라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수리 비용이 많아진다.(4) This problem occurs as parts are frequently assembled/disassembled, force is applied repeatedly to the push clip, and as assembly is not done properly, the push clip is damaged due to excessive coupling and cannot be used again. This increases repair costs.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분할 핀이 제2 클립의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꼬인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 구멍에 분할 핀이 맞닿게 해서 제2 클립을 돌려서 조립함에 따라 분할 핀의 끝 부분이 중심으로 몰리면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푸시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is into consideration, and the split pin is manufactured in a twisted shape as it goes along the length of the second clip, so that the split pin is in contact with the assembly hole and the second clip is turned and assembled so that the end of the split pin is centered. The purpose is to provide push clips for automobiles that can be assembled easily and conveniently.
특히, 본 발명은 분할 핀의 꼬임 방향이 상기 제2 클립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푸시 클립을 잡고 쉽고 편한 자세로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푸시 클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sh clip for an automobile in which the twisting direction of the split pin allows the second clip to be assembled by turning it clockwise, allowing the worker to hold the push clip with his hand and assemble it in an easy and comfortable position. There is a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은 분할 핀의 끝 부분을 쐐기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이 쐐기 부분을 조립 구멍에 쉽게 맞춰 분할 핀을 한층 더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푸시 클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 clip for automobiles that makes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assemble the split pin by manufacturing the end of the split pin into a wedge shape, so that the wedge can easily fit into the assembly ho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푸시 클립은,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110)가 형성되고, 한쪽 면에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분할 핀(120)이 돌출 형성된 제1 클립(100), 및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지는 작동 돌기(210)가 상기 분할 핀(120)을 강제로 벌려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작동 돌기(210)의 한쪽에 압착판(220)이 형성된 제2 클립(200)을 포함하되; 상기 분할 핀(120)은 상기 플랜지(110)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을 따라 꼬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cli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purpose has a
특히, 상기 분할 핀(120)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한 상기 제2 클립(2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에 꼬이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분할 핀(120)은, 상기 관통 구멍에서 밖으로 돌출한 끝 부분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푸시 클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ush clip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걸림 작용하는 분할 핀이 꼬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분할 핀을 조립 구멍에 맞춘 다음, 제1 클립을 돌리면 분할 핀이 중심으로 모이게 되어 푸시 클립을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1) As the split pins that engage are formed in a twisted shape, when the split pins are aligned with the assembly holes and then the first clip is turned, the split pins are brought together to the center, making it possible to assemble the push clip easily and quickly.
(2) 이에, 조립 구멍이 조금 작게 형성되더라도 이처럼 분할 핀이 중심으로 모이게 해서 쉽게 조립하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2) Therefore, even if the assembly hole is formed a little small, assembly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easily assembling the split pins by gathering them in the center.
(3) 이는, 분할 핀 방식의 푸시 클립을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하는 과정에서 분할 핀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할 핀을 재사용함에 따라 분할 핀이 벌어지더라도 원래 기능대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3) This not only makes it easier to assemble the split pin type push clip, but also solves the problem of the split pin being damag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refore, by reusing the split pin, even if the split pin is spread, it can be used again in its original function.
(4) 특히, 상기 분할 핀은 푸시 클립을 시계방향으로 돌림에 따라 중심 쪽으로 모이게 제작함으로써, 작업자가 오른손으로 쉽게 푸시 클립을 돌려서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4) In particular, the split pins are manufactured to come together toward the center as the push clip is turned clockwise, so the worker can conveniently assemble the push clip by easily turning it with his right hand.
(5) 그리고 상기 분할 핀에는 끝 부분을 쐐기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렇게 중심 쪽에 모인 끝 부분이 조립 구멍의 지름이 조금 작더라도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5) By forming the end portion of the split pin into a wedge shape, the ends gathered toward the center can be easily assembled even if the diameter of the assembly hole is slightly small, and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6) 또한, 푸시 클립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분할 핀이 다소 벌어지더라도 푸시 클립을 회전하게 해서 분할 핀이 중심 쪽에 모이게 해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6) In addition, even if the split pins are slightly spread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ush clip, the push clip can be rotated to bring the split pins to the center for assembly,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defect rate.
[도 1]은 자동차의 트림 등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자동차용 푸시 클립을 보여주는 사진으로, 왼쪽은 정면 사시도이고, 오른쪽은 옆으로 숙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푸시 클립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자동차용 푸시 클립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종래 자동차용 푸시 클립으로 트림 등을 조립할 때 분할 핀이 벌어지는 불량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푸시 클립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푸시 클립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푸시 클립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용 푸시 클립에서 분할 핀의 방향이 다르게 형성된 변형예를 보여주는 제1 클립의 정면도이다.[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automotive push clip used when assembling trim, etc. of a car. The left side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the right side is a perspective view in a sideways stat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ush clip for automobiles.
[Figure 3] is an exploded front view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push clip.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defective state in which split pins are spread when assembling trim, etc. with a conventional automobile push clip.
[Figure 5]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push cli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ush cli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push cli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top view, and (b) is a front view.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clip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plit pin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push clip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자동차용 [For automobiles 푸시push 클립의 구성] Composition of clip]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푸시 클립에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제1 클립(100)과 제2 클립(200)이 포함된다.The push cli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특히, 상기 제1 클립(100)에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걸림 작용을 하는 분할 핀(120)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꼬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클립(100)을 조립 구멍에 끼워서 조립할 때, 제1 클립(100)을 돌림에 따라 분할 핀(120)이 쉽게 변형하면서 그 끝이 중심으로 모이게 해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이때, 상기 분할 핀(120)은 제1 클립(1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분할 핀(120)의 끝이 중심으로 모일 수 있도록 꼬인 형태가 되게 제작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제1 클립(100)을 회전하게 해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분할 핀(120)은 끝 부분을 쐐기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립 구멍의 지름이 작더라도 정해진 위치에 쉽고 정확하게 찾아서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가. 제1 클립go. 1st clip
제1 클립(10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플랜지(110)와 여러 개의 분할 핀(120)이 형성된다.The
1. 플랜지1. Flange
플랜지(110)는 트림과 같이 장착하려고 하는 부재에 밀착하게 해서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중앙 부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후술할 작동 돌기(210)가 강제로 끼워지게 한다.The
2. 분할 핀2. Split pin
분할 핀(12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플랜지(110)의 한쪽 면에 여러 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할 핀(120)은 상술한 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4개의 분할 핀(120)이 같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준다.
이때, 상기 분할 핀(12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바깥으로 갈수록 꼬인 형태가 되게 형성된다. 이는, 분할 핀(120)의 끝을 푸시 클립을 장착하려고 하는 조립 구멍에 대고 상기 제1 클립(100)을 누르면서 돌리면 분할 핀(120)이 쉽게 변형하면서 그 끝 부분이 중심으로 모이면서 쉽게 조립 구멍에 관통하게 끼워져서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핀(120)은 조립 구멍에 댄 상태에서 푸시 클립을 시계 방향으로 돌림에 따라, 이 분할 핀(120)의 끝 부분이 중심으로 모이도록 꼬인 형상이 되게 구성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오른손으로 제1 클립(100)을 돌림에 따라 분할 핀(120)의 끝이 중심으로 모여 쉽게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기 분할 핀(120)은 제1 클립(100)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꼬이거나 왼쪽으로 꼬이게 제작하더라도 조립하는 방향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핀(120)은 끝 부분을 쐐기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분할 핀(120)이 트림이나 차체 프레임 등에 형성된 조립 구멍에 쉽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처럼 이루어진 제1 클립(100)에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제2 클립(200)이 조립된다.To the
나. 제2 클립me. 2nd clip
제2 클립(20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제1 클립(100)에 장착되고, 특히 트림 등을 고정할 때 상기 분할 핀(120)의 끝 부분이 밖으로 벌어지게 해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2 클립(200)은 작동 돌기(210)와 압착판(220)으로 이루어진다.The
1. 작동 돌기1. Working protrusion
작동 돌기(21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상술한 분할 핀(120) 사이로 강제로 끼워지는 돌기이다. 이때, 상기 작동 돌기(210)는 분할 핀(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작동 돌기(210)가 분할 핀(120) 밖으로 돌출하게 끼워지면, 분할 핀(120)이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The operating
2. 압착판2. Press plate
압착판(22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작동 돌기(210)의 한쪽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 판(220)은 작동 돌기(210)가 제1 클립(100)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고, 동시에 상술한 플랜지(110) 면에 닿게 해서 클립의 장착 위치를 마감하게 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이러한 압착판(220)은 공구 등을 사용하여 플랜지(110)에서 떨어지게 하면 분할 핀(120)의 벌어짐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해서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한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분할 핀이 꼬인 형상이 되게 구성함으로써, 분할 핀을 조립 구멍에 대고 제1 클립을 돌리면 분할 핀의 끝 부분이 중심으로 모이게 해서 정해진 위치에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split pins to have a twisted shape, so that when the split pins are placed against the assembly holes and the first clip is turned, the ends of the split pins are brought together at the center,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assemble them at a designated location.
100: 제1 클립
110: 플랜지
120: 분할 핀
200: 제1 클립
210: 작동 돌기
220: 압착판100: first clip
110: Flange
120: split pin
200: first clip
210: operating protrusion
220: Press plate
Claims (3)
상기 분할 핀(120)은 상기 플랜지(110)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을 따라 꼬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푸시 클립.
A first clip 100 is formed with a flange 110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and has several split pins 120 protruding from one si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operating protrusion 210 forces the split pin 120 to spread to achieve a locking action, and includes a second clip 200 with a pressing plate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protrusion 210,
The split pin 120 is a push clip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lit pin 120 has a twist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it goes outward from the flange 110.
상기 분할 핀(120)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한 상기 제2 클립(2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에 꼬이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푸시 클립.
In paragraph 1:
The split pin 120 is,
A push clip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wisted when the second clip (20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s rotated clockwise.
상기 분할 핀(120)은,
상기 관통 구멍에서 밖으로 돌출한 끝 부분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푸시 클립.In paragraph 1 or 2:
The split pin 120 is,
A push clip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wedge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2439A KR20240043398A (en) | 2022-09-27 | 2022-09-27 | Push clip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2439A KR20240043398A (en) | 2022-09-27 | 2022-09-27 | Push clip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3398A true KR20240043398A (en) | 2024-04-03 |
Family
ID=9066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2439A Ceased KR20240043398A (en) | 2022-09-27 | 2022-09-27 | Push clip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3398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8695A (en) | 2011-12-16 | 2013-06-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lip structure of vehicle front pillar trim |
KR101595316B1 (en) | 2014-09-18 | 2016-02-18 |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 Pillar trim fixing clip for vehicle |
KR102202540B1 (en) | 2019-08-14 | 2021-01-13 |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 Door trim clip for automobile |
-
2022
- 2022-09-27 KR KR1020220122439A patent/KR20240043398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8695A (en) | 2011-12-16 | 2013-06-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lip structure of vehicle front pillar trim |
KR101595316B1 (en) | 2014-09-18 | 2016-02-18 |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 Pillar trim fixing clip for vehicle |
KR102202540B1 (en) | 2019-08-14 | 2021-01-13 |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 Door trim clip for automobi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20971B2 (en) | Low insertion effort u-base retainer | |
US7725991B2 (en) | Low insertion effort fastener with offset for wing | |
KR100808846B1 (en) | Car interior parts fixing clip | |
US6857168B2 (en) | Resilient clip fastener | |
JP4299471B2 (en) | Resin clip | |
US20010032377A1 (en) | Resilient clip fastener | |
US20010046426A1 (en) | Resilient clip fastener | |
KR20240079395A (en) | Module clip for vehicles | |
JP5862874B2 (en) | Fastener | |
KR100953996B1 (en) | Car interior parts fixing clip | |
KR20240043398A (en) | Push clip for vehicles | |
KR102261764B1 (en) | Multi-stage fasteners for vehicles | |
JP5097490B2 (en) | Exterior parts for vehicles | |
KR20240079406A (en) | Module clip for vehicles | |
JP3237167B2 (en) | How to attach the end of the vehicle bumper to the vehicle | |
JPH08169283A (en) | Mounting fixture for vehicular dash silencer | |
JP6597152B2 (en) | Vehicle door opening structure | |
KR100928282B1 (en) | Automotive module clips | |
JP7504814B2 (en) | clip | |
KR20240079409A (en) | Module clip for vehicles | |
KR20240079403A (en) | Module clip for vehicles | |
KR101131269B1 (en) | Interior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s | |
KR20240079412A (en) | Module clip for vehicles | |
KR100405342B1 (en) | Hook structure for fixing the trim in a vehicle | |
JP2003106317A (en) | Cl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4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