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42588A - 릴리프 구조를 갖는 전사박 - Google Patents

릴리프 구조를 갖는 전사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588A
KR20240042588A KR1020237045097A KR20237045097A KR20240042588A KR 20240042588 A KR20240042588 A KR 20240042588A KR 1020237045097 A KR1020237045097 A KR 1020237045097A KR 20237045097 A KR20237045097 A KR 20237045097A KR 20240042588 A KR20240042588 A KR 20240042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transfer
transfer foil
resin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미나미카와
Original Assignee
도판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58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 전사박은, 지지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과, 릴리프 형성층을 갖는다. 제 1 수지층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이상인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다. 제 2 수지층 및 릴리프 형성층은,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제 2 수지층의 융점은, 릴리프 형성층의 융점보다 높다.

Description

릴리프 구조를 갖는 전사박
본 발명은 전사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회절 등의 광학 효과를 발현하는 릴리프 구조를 갖고, 고도의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전사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8월 1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21-133833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홀로그램이나 회절 격자 등의 릴리프 구조를 물품에 이행 접착시키는 수단으로서, 전사박의 형태로 첩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지지체 상에, 박리층, 홀로그램이나 회절 격자 등의 릴리프 구조를 갖는 릴리프 형성층, 반사층, 접착층이 순차 적층되어, 릴리프 구조를 갖는 전사박이 구성되어 있다. 전사박을 첩부하는 방법으로는, 핫 스탬프에 의한 열압 전사, 또는 서멀 헤드롤에 의한 열전사가 일반적이다.
먼저, 열압 전사나 열전사는, 금속의 가열된 각인이나 서멀 헤드롤과 피전사체 사이에 전사박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열압 전사나 열전사는, 각인 또는 롤에 의한 순간적 (0.1 초 ∼ 1 초 정도) 인 가압이나 가열을 실시한 후에, 지지체로부터 전사박을 박리한다. 일반적으로, 열압 전사는 압력을 주로 하는 전사 방법이고, 가열 온도 100 ℃ ∼ 120 ℃, 인가 압력 300 Kg/㎠ 정도이다. 열전사는 열을 주로 하는 전사 방법이고, 가열 온도 100 ℃ ∼ 120 ℃, 인가 압력 100 Kg/㎠ 정도이다. 열압 전사는 열전사에 비해 인가 압력이 높고, 종이 등의 피전사 매체의 표면이 평활하지 않은 경우에 적절한 전사 방법이다.
따라서, 전사 첩부시의 열이나 압력 충격을 기인으로 한 전사박 자체의 파괴가 없도록, 혹은 첩부된 전사박이 외부의 열이나 충격에 의해 파괴되는 경우가 없도록, 전사박은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특히, 광학 효과의 발현 기능을 갖는 릴리프 구조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재료에 요구되는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은 중요하다. 릴리프 구조 형성층의 재료에 관한 문제점으로서, 릴리프 구조의 요철을 부형할 때, 매우 고온 또한 고압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부형 가공이 곤란해져, 릴리프 구조의 부형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을 전사박에 부여하는 것은, 버나 칩 등의 전사성의 악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릴리프 구조 부형 정밀도와, 열이나 압력에 대한 내구성, 전사성 전부를 높은 수준으로 실현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전사박의 내열성이나 내압성을 높이기 위해,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특허문헌 1 에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서멀 헤드에 의한 열전사에 의해 발생하는 릴리프 구조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박리층에 융점이 높은 셀룰로오스계 재료를 함유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높은 압력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핫 스탬프 열압 전사의 경우에 대해서는, 상기 방법을 사용한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6004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사박에 있어서의, 릴리프 구조 부형 정밀도와, 열이나 압력에 대한 내구성, 전사성의 3 가지를 높은 수준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 전사박이다.
이 전사박은, 지지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과, 릴리프 형성층을 갖는다.
제 1 수지층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이상인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다.
제 2 수지층 및 릴리프 형성층은,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1 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제 2 수지층의 융점은, 릴리프 형성층의 융점보다 높다.
본 발명은, 전사박에 있어서의, 릴리프 구조 부형 정밀도와, 열이나 압력에 대한 내구성, 전사성의 3 가지를 높은 수준으로 실현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수지층이나 릴리프 형성층의, 온도와 탄성률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수지층의 아크릴 수지의 Tg 와 우레탄 가교의 유무를 변경한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 는, 제 2 수지층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혼합 비율을 변경한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 는, 릴리프 형성층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혼합 비율을 변경한 경우의 평가 결과이다.
도 6 은, 제 2 수지층과 릴리프 형성층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혼합 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각 영역의 문제 상세라고 추측되는 원인의 일람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재료 구성은, 릴리프 구조 부형 정밀도와, 열이나 압력에 대한 내구성, 전사성의 3 가지에 있어서, 개선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전사박에 있어서의, 릴리프 구조 부형 정밀도와, 열이나 압력에 대한 내구성, 전사성이라는, 상반되는 물성을 양립시키는 과제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혼합시킨 층을 고안하고, 그 혼합 비율을 변경한 층의 복수 배치에 주목하여, 과제의 해결에 이른다.
제 1 수지층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이상인 것을 선택한다. 이 이유는, 전사박에 대하여, 전사시에 제 1 수지층이 의도하지 않게 열 용해되어 버려, 지지체면측에 대한 접착성이 높아지는 것에 의한 전사 불량을 방지하는 정도의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이고, 다음에 적층하는 제 2 수지층과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MMA) 의 중합에 의해 제작되는 아크릴 수지 중에서도, 특히 그 관능기 구조에 있어서 메타크릴산부틸 (BMA) 이나 스티렌 혹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이나 첨가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현저하게 적은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특히 우수한 투명성이나 치수 안정성을 갖고, 매우 단단하고, 고융점이고, 전사박 내에 형성된 릴리프 구조를 외적 물리 요소로부터 보호한다.
또, 상기와 같이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이 없는 아크릴 수지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아크릴 수지 (굴절률 약 1.49) 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굴절률 약 1.46 ∼ 1.50) 는, 굴절률이 매우 가깝다. 따라서, 제 1 수지층에 접하는 제 2 수지층과의 계면 반사나, 제 2 수지층의 내부에 있어서의, 층 내 산란에 의한 광 강도 감쇠를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또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와 아크릴 수지의 혼합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복굴절에 의한 악영향을 저감시킨다. 상기의 계면 반사, 광 강도 감쇠 혹은 복굴절의 저감은, 릴리프 구조에 의해서도 초래되는 광학 효과를 감쇠시키지 않고 외부로 발현 가능하게 하는 의미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
제 2 수지층과 릴리프 형성층은, 모두, 상기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이고, 제 2 수지층의 융점이 릴리프 형성층의 융점보다 높은 층 구성이다. 이와 같은 층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하 두 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첫째로, 이와 같은 층 구성은, 릴리프 구조의 가공 부형 정밀도를 양호하게 하고, 또한, 매우 높은 내열성이나 내압성을 전사박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인, 릴리프 형성층보다 고융점인 제 2 수지층의 존재는, 매우 유효한 내구성 효과를 가져온다. 융점이 높은 제 2 수지층이 릴리프 형성층과 접하고, 또한, 릴리프 형성층과 제 1 수지층 사이에 위치한다. 릴리프 형성층에 가해지는 외적인 열이나 압력의 일부는 융점이 높은 제 2 수지층으로 확산됨으로써 릴리프 형성층의 열적인 부담이 경감되고, 외적인 열이나 압력에 의해 요철 릴리프 구조가 파괴되기 어려워지는 효과를 부여한다. 그 결과, 전사박의, 열압 전사시나 첩부 후의 외적인 요소에 대한 내열성은, 현저하게 향상된다.
이것을 이용하면, 제 2 수지층의 융점을 높임으로써, 릴리프 형성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을 낮춰도 전사박으로서의 내열성을 충분히 유지 가능한 효과가 얻어진다. 융점이 낮은 재료를 사용한 릴리프 형성층은, 릴리프 구조 형성에 필요한 가공 온도의 저감 요컨대 릴리프 부형 가공의 용이함으로 이어지고, 릴리프 구조의 정밀도를 안정적으로 또한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두번째로, 이와 같은 층 구성은, 전사 적성의 악화를 수반하지 않고 전사박의 내열성이나 내압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 2 효과는,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특히 실현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반복 단위인 글루코오스 유닛이 갖는 수산기의 일부를 에스테르화한 것이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없는 수산기를 1 ∼ 5 % 정도 갖는다. 또,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일반적으로, 분자 사슬 내나 분자 사슬 사이에서 강고한 수소 결합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아크릴 수지 (Tg : 95 ℃ ∼ 105 ℃)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 : 약 130 ℃ ∼ 160 ℃) 를 갖고,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한편, 전사 온도 조건 부근 (100 ℃ ∼ 150 ℃ 0.1 초 ∼ 1 초 정도) 에 있어서의 열가소성이 부족하다. 이 열가소성의 부족은, 전사박의 전사와 같은 열과 압력을 순간적으로 부여하는 가공에 있어서, 전사면의 균열이나 전사 버에 의한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만으로 구성된 층을 갖는 전사박을 열압 전사한 경우, 전사시의 온도 영역 (100 ℃ ∼ 120 ℃) 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Tg (약 130 ℃ ∼ 160 ℃) 에 대해 낮다. 요컨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층은, 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융해되어 분단되는 것이 아니라, 압력에 의해 수지층이 균열되어 분단됨으로써 박의 전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전사면의 균열이나 전사 버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와의 혼합과, 수산기의 우레탄 가교에 의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Tg : 약 130 ℃ ∼ 160 ℃) 에, 전사 온도 100 ℃ ∼ 120 ℃ 부근에 있어서의 열가소성을 부여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사 온도 부근에 있어서의 열가소성의 부여는, 열압 전사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이나, 전사 버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사성을 개선한다.
수산기의 우레탄화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가 갖는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키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우레탄으로 가교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낙합하기 어렵고, 연화되기 쉽다. 한편, 우레탄으로 가교하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가 필요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우레탄 가교의 이점으로서 상기와 같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전사 온도 영역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개선에 의한 전사시의 균열 방지 효과를 부여함과 함께, 우레탄 가교에 의해 발생하는 수지 수축에 의한 첩부 전사시의 버나 칩의 저감 효과를 부여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가 갖는 수산기를 적당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우레탄 가교시키면,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강직한 분자 네트워크의 내부에 존재하는 1 ∼ 5 질량% 정도의 수산기에 의한 우레탄 가교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이 우레탄 가교 반응에 의한 가교 밀도나 체적 수축 등의 변화가, 경화 후의 재료 내부 잔류 응력이나 잔류 변형이 된다. 그 결과, 열압 전사시에 지지체로부터 전사박이 각인 형상대로 분리하기 쉽게 하는 효과를 발생한다. 이 효과는 특히 전사 버의 저감에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벤젠 고리 구조를 갖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TDI) 계를 들 수 있다. TDI 계는, 경화 후의 재료 내부 잔류 응력이나 잔류 변형을 발생시키기 쉽다. 또, 형성되는 우레탄기는, 전사 온도 100 ℃ ∼ 120 ℃ 부근에 있어서 열가소성 (굽힘 탄성률의 감소 피크)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모든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사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전사박 (2) 은, 지지체 (1) 의 편면에, 박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사박 (2) 은, 지지체 (1) 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수지층 (3) 과,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과 접착층 (7) 을 구비한다. 또한 릴리프 형성층 (5) 과 접착층 (7) 사이에, 릴리프 구조 (6) 와 반사층 (8) 을 갖는다.
[지지체]
지지체 (1) 는, 피전사체에 전사될 때까지의 동안, 전사박 (2) 을 지지한다. 지지체 (1) 에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의 형성 재료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및 폴리프로필렌 (P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형성 재료는, 전사박 (2) 을 형성할 때에 지지체 (1) 에 가해지는 열이나 압력 등에 의해 변형되거나 변질되기 어려운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 (1) 에는, 플라스틱 필름 외에, 종이, 합성지, 플라스틱 복층지, 및 수지 함침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수지층]
제 1 수지층 (3) 은, 피전사체에 전사될 때까지의 동안은, 지지체 (1) 로부터 전사박 (2) 이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그리고 전사시는, 열이나 압력, 혹은, 접착층 (7) 이 피전사체와 접착했을 때에 발생하는 지지체 (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이 제 1 수지층 (3) 에 가해진다. 이로써 지지체 (1) 로부터 전사박 (2) 을 분리하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전사 후에는, 전사박 (2) 이 외부의 열이나 충격에 의해 파괴되는 경우가 없도록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수지층 (3) 을 구성하는 재료는,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이상인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아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MMA) 의 중합에 의해 제작되는 아크릴 수지 중에서도, 특히 그 관능기 구조에 있어서 메타크릴산부틸 (BMA) 이나 스티렌 혹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이나 첨가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현저하게 적은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특히 우수한 투명성을 갖고, 매우 단단하고, 고융점이기 때문에, 릴리프 구조에 의한 광학 효과를 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전사박 (2) 에 외적 물리 요소에 대한 내구성을 부여한다. 구체적인 재료의 예로서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의 다이아날 BR-84 (다이아날은 등록상표) (유리 전이 온도 105 ℃, 중량 평균 분자량 Mw 120000) 를 들 수 있다.
제 1 수지층 (3) 에는, 활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활제에는, 폴리에틸렌 파우더, 파라핀 왁스, 실리콘, 및 카르나우바납 등의 왁스, 혹은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나 재료 열화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양은, 제 1 수지층 (3) 을 구성하는 재료 전체의 중량 고형분을 100 으로 한 경우, 0.1 ∼ 1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제 1 수지층 (3) 과 지지체 (1) 는 반드시 직접 접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이들 사이에, 제 1 수지층 (3) 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새로운 층을 추가하여 형성해도 상관없다. 추가하는 층의 구체예로는, 왁스나 수지 혹은 무기 입자에 의한 해도상 구조를 사용한 전사성 개선층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수지층 (3) 의 두께는, 0.2 ㎛ ∼ 3 ㎛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 2 수지층]
제 2 수지층 (4) 은, 제 1 수지층 (3) 과 릴리프 형성층 (5) 사이에 위치하고, 전사박 (2) 에 높은 내열성이나 내압성을 부여한다. 제 2 수지층 (4) 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이상인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또한 제 2 수지층 (4) 의 융점이 릴리프 형성층 (5) 의 융점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한다. 즉,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에 동일한 유리 전이 온도 Tg 를 갖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제 2 수지층 (4) 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비율이 릴리프 형성층 (5) 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한다고도 바꿔 말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 약 130 ℃ ∼ 160 ℃) 는, 아크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 95 ℃ ∼ 105 ℃) 보다 높다. 그 때문에, 제 2 수지층 (4) 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제 2 수지층 (4) 의 재료 구성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에 가깝게 되어, 융점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제 2 수지층 (4) 에 사용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로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질산셀룰로오스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중량비 1 ∼ 5 % 의 비율로 수산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수산기를 우레탄 가교시키는 것에 의해, 전사성의 개선 효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우레탄 가교 반응에 의한 층 내 수지 밀도나 체적 수축 등의 변화가, 층 내의 재료 내부 잔류 응력이나 잔류 변형이 되어, 열압 전사시에 지지체로부터 전사박이 각인 형상대로 분리되기 쉽게 하는 효과를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수산기가 많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전사성의 개선 효과가 높지만, 동시에, 유기 용제에 대한 전사박 (2) 의 내성 악화를 수반한다. 그 때문에, 적당한 수산기의 비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의 비율은 1 ∼ 3 % 정도이다. 구체적인 재료의 예로서 이스트만 케미컬 (주) 제조의 CAB-381-2 (유리 전이 온도 133 ℃, 중량 평균 분자량 Mw 40000, 수산기 함유율 1.3 %) 를 들 수 있다.
상기의 수산기 함유율이란, 그 수지의 평균 분자량에 대한 수산기량의 비율로서, 단위는 질량% 이다.
수산기의 우레탄 가교에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를 들 수 있다.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품은,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제조의 코로네이트 2030 (코로네이트는 등록상표) 을 예시할 수 있다.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품은, 미츠이 화학 (주) 제조의 타케네이트 D-160N (타케네이트는 등록상표) 을 예시할 수 있다.
가교 반응 후의 층 내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이나 잔류 변형을 발생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벤젠 고리 구조를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벤젠 고리 구조를 갖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해도 된다. 제 2 수지층 (4) 내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은, 함유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중량비 5 % 이하로 매우 적기 때문에, 실제로는 목적으로 하는 수산기와 반응하기 전에 타관능기와 반응해 버려 실활하는 이소시아네이트가 많다. 이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충분히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우레탄 가교에 필요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은, 수산기와의 몰비 (NCO/OH 비) 가 1.5 (이소시아네이트량이 수산기량보다 1.5 배 과잉) 가 되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이 몰비는 1.0 이상 3.0 이하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의 예로서 니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제조의 코로네이트 2030 (코로네이트는 등록상표) (속건 타입 NCO 함량 8 % 고형분 50 %) 을 들 수 있다.
또한, 우레탄의 관능기의 수는, 2 ∼ 10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5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이다.
[릴리프 형성층]
릴리프 형성층 (5) 은, 제 2 수지층 (4) 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의 재료는 동종이고, 릴리프 형성층 (5) 의 융점은 제 2 수지층 (4) 의 융점보다 낮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사박 (2) 의 내열성을 유지하고, 또한, 후술하는 릴리프 구조 (6) 의 형성에 필요한 가공 온도의 저감, 요컨대 릴리프 부형 가공이 용이해진다. 이로써, 릴리프 구조 (6) 의 정밀도를 안정적으로 또한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릴리프 형성층 (5) 및 제 2 수지층 (4) 에 사용하는 아크릴 수지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본 발명의 조건, 즉 아크릴 수지의 Tg 가 95 ℃ 이상이다.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고 또한 릴리프 형성층 (5) 의 융점이 제 2 수지층 (4) 의 융점보다 낮아지도록 형성하는 점에 합치하면 되며, 완전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으로 유리 전이점이나 분자량 또는 수산기량이 상이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각각의 수지의 혼합에 의한 백탁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용성에 주의하여 재료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릴리프 형성층 (5) 에는, 릴리프 구조 (6) 의 부형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활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활제는, 실리콘계 첨가제나 불소계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양은, 릴리프 형성층 (5) 을 구성하는 재료 전체의 중량 고형분을 100 으로 한 경우, 0.1 ∼ 10 정도가 바람직하다.
[릴리프 구조]
릴리프 구조 (6) 는, 미세한 요철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광학 회절 효과, 선택 반사 효과 혹은 무반사 효과, 등방성 또는 이방성 산란 효과, 집광 효과, 편광 반사 효과 등의 광학 효과를 갖는다. 그 결과, 육안이나 기계 검지 등에 의해, 위조 흠집 방지나 의장성 향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릴리프 구조 (6) 는, 1 개 혹은 복수의 광학 효과를 갖는 릴리프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릴리프 구조 (6) 는, 통상적으로 두께 방향 요철차 0.01 ㎛ ∼ 10 ㎛, 면 확대 방향 주기 0.01 ㎛ ∼ 10 ㎛ 이고, 특정한 주기 혹은 랜덤 패턴으로 형성된다.
[반사층]
반사층 (8) 은, 릴리프 구조 (6) 에 의한 광학 효과를 용이하게 관찰 가능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층이다. 반사층 (8) 의 재료로는, 알루미늄이나, 황화아연이나 이산화티탄과 같은 투명 세라믹 재료를 들 수 있다. 알루미늄은, 저렴하고 고광택이고 또한 불투명한 막이 얻어지고, 취급이 용이하다. 투명 세라믹 재료는, 가시광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높고, 가공이 용이하다. 반사층 (8) 의 막두께는, 100 ∼ 800 ㎚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 (8) 은,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
접착층 (7) 은, 전사박 (2) 을 피전사체에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접착층 (7) 은, 실온에 있어서는 불활성 상태에 있지만, 열이나 압력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활성화되어, 피전사체에 대한 접착 효과를 발현한다. 접착층 (7)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및 전자선 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우레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접착층 (7), 제 1 수지층 (3),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공지된 인쇄 수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시한 수법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각 층의 막두께는, 모두 0.2 ∼ 5 ㎛ 정도로 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의, 온도와 탄성률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세로축을 굽힘 탄성률 (Kgf/㎠), 가로축을 온도 (℃) 로 하고,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단층과 아크릴 수지 단층,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의 굽힘 탄성률의 온도 의존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사 조건 영역 (전사성이 양호한 조건 영역) 과 전사박 (2) 에 필요한 내열성 영역을, 온도 범위와 굽힘 탄성률의 범위로 특정되는 장방형의 영역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2 개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굽힘 탄성률 온도 의존성을 갖는 전사박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 2 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전사박 (2) 의 각 층에 있어서 가장 융점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의 굽힘 탄성률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단층이나 아크릴 수지 단층의 굽힘 탄성률은,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Tg 에 가까워진 후, 열연화에 의해 급격하게 저하된다. 양자의 비교에 있어서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아크릴 수지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굽힘 탄성률이 높다. 또한 아크릴 수지보다 Tg 가 높기 때문에, 아크릴 수지보다 고온 영역에 있어서 굽힘 탄성률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단층의 거동은, 필요한 내열성 영역의 일부과 중첩되는 점에서,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다. 한편, 전사 조건 영역에는 중첩되지 않는다. 이것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전사 조건 온도에 있어서 탄성률이 거의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전사시에 층이 분단되기 어렵다. 즉, 전사박이 형상대로 전사되기 어려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아크릴 수지 단층의 거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단층과는 반대로, 전사 조건 영역에는 중첩되지만, 필요한 내열성 영역에는 중첩되지 않는다. 이것은, 전사성이 양호하지만, 전사박으로서 필요한 내열성을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발명자는, 얻어진 상기 지견을 기초로,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을,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가 혼합된 구성으로 하였다. 그 결과,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의 거동을, 아크릴 수지 단층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단층의 각각의 이점을 겸비하는 양태로 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의 거동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사 조건 영역 및 필요한 내열성 영역의 양방과 중첩하는 것을 실현하였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은, 전사 온도 영역에 있어서, 층 내에 포함되는 아크릴 수지가 열연화되어 탄성률의 저하를 초래함으로써, 양호한 전사성이 얻어진다. 또한, 고온에 있어서는, 층 내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가 과도하게 연화되지 않고 일정한 탄성률을 유지함으로써 양호한 내열성을 갖는 전사박을 실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부」는, 질량부를 의미하고,「비」는, 질량비를 의미한다.
제 1 수지층 (3), 제 2 수지층 (4), 및 릴리프 형성층 (5) 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부를 변경하면서, 전사박 (2) 과 동일한 층 구성을 갖는 복수 종류의 샘플을 제작하고, 그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 3 내지 5 에, 제작한 샘플의 내용을 표로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전사박 (2) 에 상당하는 샘플에 대해서는, 샘플 번호에 더하여「실시예」라고 표기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샘플 번호 1 의 재료 및 제작 순서의 상세를 나타낸다.
(재료)
<지지체 (1)>
루미러 25T60 (도레이 주식회사)
<제 1 수지층 (3) 에 사용한 아크릴 수지>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 다이아날 BR-84 (Tg = 105 ℃)
MMA 공중합 (복수 종류의 MMA 모노머가 공중합하고 있다)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에 사용한 아크릴 수지>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 다이아날 BR-84 (Tg = 105 ℃)
MMA 공중합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에 사용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이스트만 케미컬 (주) 제조 CAB-381-2 (Tg = 133 ℃)
<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 가교에 사용한 이소시아네이트>
니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제조 코로네이트 2030
<반사층 (8)>
알루미늄
<접착층 (7)>
변성 올레핀 수지 30 부
우레탄 수지 60 부
실리카 입자 (최장 직경 10 ㎛) 10 부
유기 용제 900 부
(제작 순서)
<제 1 수지층 (3), 제 2 수지층 (4), 릴리프 형성층 (5), 접착층 (7) 을 형성하는 방법>
각각의 재료를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잉크로 하고, 그라비어 인쇄법으로 코팅하였다.
<릴리프 구조 (6) 를 형성하는 방법>
소정의 높이 및 피치를 갖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 구조가 형성된 금속 원통판에서, 프레스 압력을 2 Kgf/㎠, 프레스 온도를 220 ℃, 프레스 스피드를 10 m/min 로 릴리프 형성층 (5) 에 가압하여 부형 가공을 실시하여, 릴리프 구조 (6) 를 형성하였다.
<반사층 (8) 을 형성하는 방법>
진공 증착법으로 릴리프 구조 (6) 상에 반사층 (8) 을 형성하였다.
<제 2 수지층 (4), 릴리프 형성층 (5) 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를 우레탄 가교하는 방법>
각 층을 코팅 후, 60 ℃ 오븐 내에 10 일간 보관하고, 우레탄 가교 반응의 촉진을 실시하였다.
도 3 에 나타내는 샘플 번호 2 내지 5 는, 샘플 번호 1 에 대하여, 제 1 수지층 (3) 의 아크릴 수지의 Tg 를 변경하고 있다. 사용한 아크릴 수지를 이하에 나타낸다.
<샘플 번호 2>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 다이아날 BR-82 (Tg = 95 ℃)
MMA 공중합
<샘플 번호 3>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 다이아날 BR-95 (Tg = 80 ℃)
MMA 와 다른 모노머 공중합
<샘플 번호 4>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 다이아날 BR-101 (Tg = 50 ℃)
MMA 와 다른 모노머 공중합
<샘플 번호 5>
미츠비시 레이욘 (주) 제조 다이아날 BR-1122 (Tg = 20 ℃)
MMA 와 다른 모노머 공중합
샘플 번호 6 은,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즉, 우레탄 가교 없음) 점을 제외하고, 샘플 번호 1 과 동일하게 제작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샘플 번호 7 내지 14 는, 샘플 번호 1 에 대하여, 제 2 수지층 (4) 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을 변경하였다.
도 5 에 나타내는 샘플 번호 15 내지 22 는, 샘플 번호 1 에 대하여, 릴리프 형성층 (5) 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을 변경한 것이다.
각 샘플에 대해 실시한 평가 항목 및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낸다.
<외관>
육안으로 전사박 (2) 의 외관을 지지체 (1) 측으로부터 관찰하고, 제 1 수지층 (3), 제 2 수지층 (4), 릴리프 형성층 (5) 의 적층이 투명한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투명하면 ○ (양호) 로 하고, 백탁 등이 있으면 × (불량) 로 하였다.
<내압성>
핫 스탬프 전사기를 사용하여, 전사박 (2) 을 피전사체 (종이) 에 전사하여 평가 샘플을 제작하였다. 전사된 전사박 (2) 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균열의 발생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전사 조건은, 전사 온도 110 ℃, 압력 300 Kg/㎠, 전사 시간 1 초간이다.
균열의 발생이 없는 경우를 ○ (양호) 로 하고, 균열의 발생을 확인한 경우를 × (불량) 로 하였다.
<내열성>
전사된 전사박 (2) 에 대하여, 170 ℃ 로 가열한 아이론을 전사박 (2) 의 표면에 10 초간 가압한 후, 육안으로 전사박 (2) 을 관찰하였다. 전사박의 표면 상태 (제 1 수지층 (3) 의 표면) 혹은 릴리프 구조 (6) 의 파괴가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아이론을 가압하기 전과 비교하여, 변화가 없는 경우를 ○ (양호) 로 하였다. 불량예 (×) 에 대해서는, 구체적 내용을 표 내에 기재하였다. 또한, 아이론을 170 ℃ 에서 10 초 정도 가열했을 때, 박의 온도는, 130 ℃ 전후로 가열된다. 즉, 박의 온도는 박의 엠보스 온도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사박의 표면 상태의 파괴, 혹은 릴리프 구조 (6) 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릴리프 구조 정밀도>
가공에 사용한 금속 원통의 릴리프 구조와 릴리프 형성층 (5) 에 부형된 릴리프 구조 (6) 의 요철 높이, 피치, 형상을 비교하여, 90 % 이상 (금속 원통을 기준으로 하는 차분이 10 % 미만) 을 ○ (양호) 로 하였다.
<전사성>
원형의 각인 형상을 갖는 핫 스탬프 전사기를 사용하여, 전사박 (2) 을 피전사체 (종이) 에 전사하여 평가 샘플을 제작하였다. 전사된 전사박 (2) 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원형 형상과는 상이한 부분 (전사 버) 의 최대 길이를 평가하였다. 측정은 원형 형상 윤곽의 접점으로부터 전사 버의 가장 먼 점까지를 측정하였다. 수직 전사 조건은, 전사 온도 110 ℃, 압력 300 Kg/㎠, 전사 시간 1 초간이다. 각 샘플 번호에 대해 5 개의 샘플을 평가하고, 이하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 (good) : 모든 샘플에 있어서 전사 버의 최대 길이가 1 ㎜ 미만 △ (fair) : 일부의 샘플에 1 ㎜ 이상의 전사 버를 확인한다 × (bad) : 모든 샘플에서 1 ㎜ 이상의 전사 버를 확인한다
도 3 에 있어서, 샘플 번호 1 ∼ 2 에서는, 모든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 데에 반하여, 샘플 번호 3 ∼ 5 에서는, 외관과 내열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외관에 관해서는, 아크릴 수지에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상용성이 악화되어, 백탁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내열성의 악화는, 아크릴 수지의 Tg 가 지나치게 낮은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샘플 번호 4 ∼ 5 에서는, 전사 버가 커져 버렸다. 아크릴 수지의 Tg 가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전사시의 열로 제 1 수지층 (3) 이 용해된 것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도 3 에 있어서, 샘플 번호 1 과 6 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면, 샘플 번호 6 에서는, 내압성 평가에 있어서 전사 균열이 발생하였다. 또, 샘플 번호 6 에서는, 전사성 평가의 결과가 좋지 않았다.
도 4 에 있어서, 샘플 번호 11 ∼ 13 이외에는, 내압성 또는 내열성, 릴리프 구조 정밀도, 전사성 중 모든 항목에서 나쁜 결과가 얻어졌다. 제 2 수지층 (4) 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혼합 비율이 작은 경우 (샘플 번호 7 ∼ 9) 에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작은 것에 의한 제 2 수지층 (4) 의 내열성 부족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샘플 번호 10 의 경우에는,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동일하기 때문에, 2 개의 층에서 융점의 차이 (혹은 탄성률의 온도 의존성의 차이) 가 없어진다. 이들 2 개의 층이 실질적으로 1 개의 두꺼운 층이 되어 버린 것이, 전사 버의 사이즈가 커진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샘플 번호 14 의 경우에는 제 2 수지층 (4) 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혼합 비율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내압성이나 전사성의 악화를 초래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도 5 에 있어서, 샘플 번호 16 ∼ 19 이외에는, 내열성 또는 릴리프 구조 정밀도나 전사성 중 어느 항목에서 나쁜 결과가 얻어졌다. 릴리프 형성층 (5) 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혼합 비율이 작은 경우 (샘플 번호 15) 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작은 것에 의한 릴리프 형성층 (5) 의 내열성 부족으로 생각된다. 샘플 번호 20 ∼ 22 의 경우에는,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동일한 점 (샘플 번호 20), 또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점 (샘플 번호 21 ∼ 22) 이 원인이 되어, 릴리프 구조 정밀도나 전사성의 악화를 초래했다고 생각된다.
도 6 은,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낸 결과를, 제 2 수지층 (4) 과 릴리프 형성층 (5) 각각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 혼합 비율에 기초하여 매트릭스상으로 정리한 표이다. 평가 결과가 나빴던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영역을 A ∼ F 로 정리하고, 각 영역에서 추정되는 원인을 도 7 에 정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의하면, 제 2 수지층 (4) 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이 40 % 이상 ∼ 90 % 이하이고, 릴리프 형성층 (5) 에 있어서의 혼합 비율이 10 % 이상 ∼ 60 % 이하이다. 그리고, 제 2 수지층 (4) 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이, 릴리프 형성층 (5) 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보다 큰 것. 상기가, 가장 양호한 평가 결과가 얻어지는 조건이라고 생각된다.
(발명 1)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 전사박으로서,
상기 전사박은, 상기 지지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과, 릴리프 형성층을 갖고,
상기 제 1 수지층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이상인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수지층 및 상기 릴리프 형성층은, 상기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융점은, 상기 릴리프 형성층의 융점보다 높은, 전사박.
(발명 2)
상기 아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MMA) 의 모노머만이 중합된 중합체인, 발명 1 에 기재된 전사박.
(발명 3)
상기 제 2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이, 상기 릴리프 형성층에 있어서의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보다 큰, 발명 1 또는 발명 2 에 기재된 전사박.
(발명 4)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질산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1 개를 포함하는, 발명 1 내지 발명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사박.
(발명 5)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이, 상기 제 2 수지층에 있어서 40 % 이상 90 % 이하이고, 상기 릴리프 형성층에 있어서 10 % 이상 60 % 이하인,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사박.
(발명 6)
상기 우레탄 가교가 벤젠 고리를 갖는, 발명 1 내지 발명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사박.
본 발명에 관련된 전사박은, 그 특징을 살려, 특히 유가 증권이나 지폐, ID 카드나 여권 등과 같은, 릴리프 구조를 갖고, 또한 고도의 내구성이 필요한 전사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지지체
2 : 전사박
3 : 제 1 수지층
4 : 제 2 수지층
5 : 릴리프 형성층

Claims (6)

  1.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 전사박으로서,
    상기 전사박은, 상기 지지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과, 릴리프 형성층을 갖고,
    상기 제 1 수지층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이상인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수지층 및 상기 릴리프 형성층은, 상기 아크릴 수지와, 수산기의 일부를 우레탄 가교시킨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융점은, 상기 릴리프 형성층의 융점보다 높은, 전사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MMA) 의 모노머만이 중합된 중합체인, 전사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이, 상기 릴리프 형성층에 있어서의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보다 큰, 전사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질산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1 개를 포함하는, 전사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비율이, 상기 제 2 수지층에 있어서 40 % 이상 90 % 이하이고, 상기 릴리프 형성층에 있어서 10 % 이상 60 % 이하인, 전사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가교가 벤젠 고리를 갖는, 전사박.
KR1020237045097A 2021-08-19 2022-08-18 릴리프 구조를 갖는 전사박 Pending KR20240042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33833 2021-08-19
JP2021133833 2021-08-19
PCT/JP2022/031240 WO2023022201A1 (ja) 2021-08-19 2022-08-18 レリーフ構造を有する転写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588A true KR20240042588A (ko) 2024-04-02

Family

ID=8524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097A Pending KR20240042588A (ko) 2021-08-19 2022-08-18 릴리프 구조를 갖는 전사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90473A4 (ko)
JP (1) JPWO2023022201A1 (ko)
KR (1) KR20240042588A (ko)
WO (1) WO20230222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0046A (ja) 2014-09-12 2016-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印画物及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0429B2 (ja) * 2000-12-27 2003-04-28 株式会社ニッカテクノ 電磁波透過性金属蒸着ホログラム転写材とその製造方法
US7927711B2 (en) * 2003-12-22 2011-04-19 Sipix Chemical Inc. Durable layer composition for in-mold decoration
EP1752307B1 (en) * 2004-04-06 2014-04-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Coloring material receptor sheet with relief layer,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it
JP2006309205A (ja) * 2005-03-30 2006-1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着色層転写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物
JP2008162260A (ja) * 2006-12-04 2008-07-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構造
JP2010005888A (ja) * 2008-06-26 2010-01-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ッチ転写媒体の製造方法、パッチ転写媒体及びパッチ転写繊維質素材
JP7400539B2 (ja) 2020-02-27 2023-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0046A (ja) 2014-09-12 2016-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印画物及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90473A1 (en) 2024-06-26
WO2023022201A1 (ja) 2023-02-23
EP4390473A4 (en) 2024-12-18
JPWO2023022201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2824B2 (ja) 転写箔およびovd部付印刷体
KR100344086B1 (ko) 홀로그램을갖는내구성이있는보안성적층물
US5080463A (en) Retroreflective security laminates with protective cover sheets
RU2587072C1 (ru) Неизометрический отражательный отображающий элемент,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использующий неизометрический отражательный отображающий элемент
KR102508581B1 (ko) 위조 방지 구조체
US20090310195A1 (en) Medium for preventing forgery
KR102414809B1 (ko) 전사박, 시큐리티 적층체, 및 시큐리티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H10508549A (ja) 光学的セキュリティ物品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2011201212A (ja) 熱転写用インクリボン及び画像形成物の製造方法
EP0404539B1 (en) Retroreflective security laminates with protective cover sheets
KR20240042588A (ko) 릴리프 구조를 갖는 전사박
JP4487521B2 (ja) 偽造防止媒体および偽造防止シール
JP2007225639A (ja) 複数ホログラム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複数ホログラム形成物。
JP4564381B2 (ja) ホログラム転写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67566B2 (ja) 転写シート
JP4967567B2 (ja) 転写シート
JP5088086B2 (ja) ホログラム画像形成方法
JP2007069472A (ja) ホログラム転写箔、ホログラム付き収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4043A (ja) 熱転写シート
JP2016114853A (ja) 貼り替え対策シール及び貼り替え対策シール付き物品
JP2024013894A (ja) 転写箔
JP2024027328A (ja) ホットスタンピング箔
JP5407922B2 (ja) ホログラムラベル
JP4543921B2 (ja) 貼り替え防止シール
JP2006306064A (ja) 画像形成方法、中間転写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