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841A -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8841A KR20240038841A KR1020220116791A KR20220116791A KR20240038841A KR 20240038841 A KR20240038841 A KR 20240038841A KR 1020220116791 A KR1020220116791 A KR 1020220116791A KR 20220116791 A KR20220116791 A KR 20220116791A KR 20240038841 A KR20240038841 A KR 202400388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ibody
- nanobody
- antigen
- binding fragment
- dise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101001033312 Homo sapiens Interleukin-4 receptor subunit alpha Proteins 0.000 title 1
- 102000054663 human IL4R Human genes 0.000 title 1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08000023275 Autoimmun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01000009890 sinusiti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08000027157 chronic rhinosinus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25000003275 alpha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00592 Nasal Polyp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6010009137 Chronic sinus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363 autoimmun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16366 nasal cavity polyp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04760 Tenosynov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11231 Croh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26872 Addis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02556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3343 Antiphospholipid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64539 Autoimmune myocard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3328 Basedow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5943 Coeliac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10741 Conjunctiv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3556 Dry Eye Syndrom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13774 Dry ey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0975 Dystrophic epidermolysis bullos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1640 Fibromyalg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16654 Fib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7882 Gast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18364 Glomerulonep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9329 Graft vs Host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5023 Graves'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35895 Guillain-Barré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1204 Hashimoto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30836 Hashimoto thyroid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2559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9906 Mening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9567 Miller Fisher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2481 Myos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28665 Myxoede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29240 Neu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33078 Otitis med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33661 Pancytopen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34038 Paro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11152 Pemphig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34464 Peri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31845 Pernicious ana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7100 Pharyng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4681 Psoria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1263 Psoriatic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36824 Psoriatic arthropat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39710 Scleroder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1386 Sjogren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1591 Spinal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7107 Stomach Ul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0491 Tendinopat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3255 Tendon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67584 Type 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6851 Uve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7115 Vascul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7642 Vitiligo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02026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5302 chronic primary adrenal insufficienc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882 cirrho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9425 cirrhosis of liv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3146 cys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4389 cytopen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1981 dermatomyos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4298 epidermolysis bullosa dystrophic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10063 epididym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5917 gastric ul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4908 graft versus host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4617 hemorrhoid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25135 lupus erythematos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6417 multiple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28417 myasthenia grav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3786 myxede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8383 nep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1119 neuropat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8482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1976 pemphigus vulgar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5987 polymyos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3068 rheumatic fev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0306 sarcoid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4415 tendin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3778 thyroid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44008 tonsill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claims 1
- 206010009887 colitis Diseases 0.000 claims 1
- 208000007475 hemolytic anemia Diseases 0.000 claims 1
- 102000010787 Interleukin-4 Receptor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108010038486 Interleukin-4 Receptor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108010003723 Single-Domain Antibodi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102000004388 Interleukin-4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108090000978 Interleukin-4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37976 chronic inflamma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37893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40124691 antibody therapeutics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922 nasal spra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40097496 nasal spray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50003468 dupilumab Drugs 0.000 description 27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8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108010047041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8010021625 Immunoglobulin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8394 Immunoglobulin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823 phage display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1150063416 add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02100041006 Forkhead box protein J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01000892910 Homo sapiens Forkhead box protein J1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612 plas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702 ribosome displa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529 RT qPC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60000723 amp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6
- AVKUERGKIZMTKX-NJBDSQKTSA-N ampicill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C=C1 AVKUERGKIZMTKX-NJBDSQKT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RAXXELZNTBOGNW-UHFFFAOYSA-N imidazole Natural products C1=CNC=N1 RAXXELZNTBOG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3412 L-alanyl group Chemical group [H]N([H])[C@@](C([H])([H])[H])(C(=O)[*])[H]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20 electro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476 gene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5091 chloramphenicol Drugs 0.000 description 4
- WIIZWVCIJKGZOK-RKDXNWHRSA-N chloramphenicol Chemical compound ClC(Cl)C(=O)N[C@H](CO)[C@H](O)C1=CC=C([N+]([O-])=O)C=C1 WIIZWVCIJKGZOK-RKDXNWHR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672609 Escherichia coli BL21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570 L-alpha-aspartyl group Chemical group [H]OC(=O)C([H])([H])[C@]([H])(N([H])[H])C(*)=O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89 Lucifer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PYMYPHUHKUWMLA-UHFFFAOYSA-N arabinose Natural products OCC(O)C(O)C(O)C=O PYMYPHUHKUWML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367 cl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9 elution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850 nas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08010087904 neutravid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LENZDBCJOHFCAS-UHFFFAOYSA-N tris Chemical compound OCC(N)(CO)CO LENZDBCJOHFC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2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198 Annona divers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832 Camel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53602 DN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3070 Glutathione Disulf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3816 Interleukin-1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176 Interleukin-13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0791 Interleukin-13 receptor subunit alpha-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710112663 Interleukin-13 receptor subunit alpha-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5696 Interleuk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3738 Interleuk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2
- ODKSFYDXXFIFQN-BYPYZUCNSA-P L-argininium(2+) Chemical compound NC(=[NH2+])NCCC[C@H]([NH3+])C(O)=O ODKSFYDXXFIFQN-BYPYZUCNSA-P 0.000 description 2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440 L-leucyl group Chemical group O=C([*])[C@](N([H])[H])([H])C([H])([H])C(C([H])([H])[H])([H])C([H])([H])[H] 0.000 description 2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COLNVLDHVKWLRT-QMMMGPOBSA-N L-phenylal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C1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842 L-seryl group Chemical group O=C([*])[C@](N([H])[H])([H])C([H])([H])O[H]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769 L-threonyl group Chemical group [H]N([H])[C@]([H])(C(=O)[*])[C@](O[H])(C([H])([H])[H])[H] 0.000 description 2
- QIVBCDIJIAJPQS-VIFPVBQESA-N L-tryptopha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O)=CNC2=C1 QIVBCDIJIAJPQS-VIFPVBQESA-N 0.000 description 2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838 Lam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60001084 Lucif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511 Recombinant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3968 STAT6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1005 STAT6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QIVBCDIJIAJPQS-UHFFFAOYSA-N Tryptophan Natural products C1=CC=C2C(CC(N)C(O)=O)=CNC2=C1 QIVBCDIJIAJP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416177 Vicugna paco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WDCZJNDASA-N arabin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WDCZJNDASA-N 0.000 description 2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SRBFZHDQGSBBOR-UHFFFAOYSA-N beta-D-Pyranose-Lyxose Natural products OC1COC(O)C(O)C1O SRBFZHDQGSBB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151 cysteine group Chemical group N[C@@H](CS)C(=O)*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71 di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36 extraction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PZRWBKMTBYPTK-BJDJZHNGSA-N glutathione disulfid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O)NCC(O)=O)CSSC[C@@H](C(=O)NCC(O)=O)NC(=O)CC[C@H](N)C(O)=O YPZRWBKMTBYPTK-BJDJZHNG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25 immunofluorescent lab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95 paranasal sin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COLNVLDHVKWLRT-UHFFFAOYSA-N phenylalan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C=C1 COLNVLDHVKWL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XWNCPJZOCPEPQ-NVWDDTSBSA-N puromycin Chemical compound C1=CC(OC)=CC=C1C[C@H](N)C(=O)N[C@H]1[C@@H](O)[C@H](N2C3=NC=NC(=C3N=C2)N(C)C)O[C@@H]1CO RXWNCPJZOCPEPQ-NVWDDTSB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9491 signal trans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CSJYZPVAKXKNQ-HZYVHMACSA-N streptomycin Chemical compound CN[C@H]1[C@H](O)[C@@H](O)[C@H](CO)O[C@H]1O[C@@H]1[C@](C=O)(O)[C@H](C)O[C@H]1O[C@@H]1[C@@H](NC(N)=N)[C@H](O)[C@@H](NC(N)=N)[C@H](O)[C@H]1O UCSJYZPVAKXKNQ-HZYVHMAC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61 trans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6683 trans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IEPQKCYPFFYMG-UHFFFAOYSA-N tris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OCC(N)(CO)CO PIEPQKCYPFFY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UYCCCASQSFEME-UHFFFAOYSA-N tyros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O)C=C1 OUYCCCASQSFE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BZBAMXERPYTFS-SECBINFHSA-N (4S)-2-(6,7-dihydro-5H-pyrrolo[3,2-f][1,3]benzothiazol-2-yl)-4,5-dihydro-1,3-thiazol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1CSC(=N1)c1nc2cc3CCNc3cc2s1 HBZBAMXERPYTFS-SECBINFH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5065 3' Flanking Reg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UAIUNKRWKOVEES-UHFFFAOYSA-N 3,3',5,5'-tetramethylbenzidine Chemical compound CC1=C(N)C(C)=CC(C=2C=C(C)C(N)=C(C)C=2)=C1 UAIUNKRWKOVE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WMNVWWHGCHHJJ-SKKKGAJSSA-N 4-amino-1-[(2r)-6-amino-2-[[(2r)-2-[[(2r)-2-[[(2r)-2-amino-3-phenylpropanoyl]amino]-3-phenylpropanoyl]amino]-4-methylpentanoyl]amino]hexanoyl]piperidi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CCN)C(=O)N1CCC(N)(CC1)C(O)=O)NC(=O)[C@H](N)CC=1C=CC=CC=1)C1=CC=CC=C1 FWMNVWWHGCHHJJ-SKKKGAJS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5029 5' Flanking Reg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SYNRYMUTXBXSQ-UHFFFAOYSA-N Aspirin Chemical compound CC(=O)OC1=CC=CC=C1C(O)=O BSYNRYMUTXBX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4 Benzylated hydro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997 Crohn co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WGNESOTFCXPMA-UHFFFAOYSA-N Dihydrogen disulfide Chemical compound SS BWGNESOTFCX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52 Forkhead Transcription Fac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315 Forkhead Transcription Fac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92584 G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HTTJABKRGRZYRN-UHFFFAOYSA-N Heparin Chemical compound OC1C(NC(=O)C)C(O)OC(COS(O)(=O)=O)C1OC1C(OS(O)(=O)=O)C(O)C(OC2C(C(OS(O)(=O)=O)C(OC3C(C(O)C(O)C(O3)C(O)=O)OS(O)(=O)=O)C(CO)O2)NS(O)(=O)=O)C(C(O)=O)O1 HTTJABKRGRZYR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000826387 Homo sapiens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6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4477 Immunoglobulin Fab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706 Immunoglobulin Fab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7060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7727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016 Immunosuppre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343 Integ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5 Isom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69 Isom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76 L-lysyl group Chemical group [H]N([H])[C@]([H])(C(=O)[*])C([H])([H])C([H])([H])C([H])([H])C(N([H])[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580 L-valyl group Chemical group [H]N([H])[C@]([H])(C(=O)[*])C(C([H])([H])[H])(C([H])([H])[H])[H] 0.000 description 1
- 241000713666 Lenti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2 Luria-Bertani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943 Muram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4251 Muram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2010 N-Acetylmuramoyl-L-alanine Am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491 NSP3 Papain-like protease doma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7152 Oral herp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8 PEG 6000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526 Papa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57297 Pepsin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4 Pepsin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84 Polyethylene Glycol 600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048 Polymyalgia Rheumatic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6504 Protein Sorting Signal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799 RNA-directed DNA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382 Ribonucle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3644 Ribonucle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8 Tetracyc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1 Th2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091023040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0945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38 acetylsalicy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1 adaptive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GSKVZWGBWPBTF-UHFFFAOYSA-N aebsf Chemical compound NCCC1=CC=C(S(F)(=O)=O)C=C1 MGSKVZWGBWPB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0 agonis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2 antagnos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02 anti-idioty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KLVWXMOXSA-N beta-L-arabin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H](O)[C@H](O)[C@H]1O SRBFZHDQGSBBOR-KLVWXMOX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27 biologic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287 biotin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13 biotiny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9065 blasticid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17 blepha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037 cell 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9 chromoso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02 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1 dupiluma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7 edemat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29 endoscopic sinus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04 expression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54 faci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MHMNJMPURVTYEJ-UHFFFAOYSA-N fluorescein-5-iso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O1C(=O)C2=CC(N=C=S)=CC=C2C21C1=CC=C(O)C=C1OC1=CC(O)=CC=C21 MHMNJMPURVTY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8 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481 glucose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43 helper t 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9 hem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97 hep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9 hep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4044 human STAT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7 humoral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8 hybridom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10 hyper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0 immun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6 immunosuppr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8885 interleukin-4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27917 kanamyc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18 kana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SBUJHOSQTJFQJX-NOAMYHISSA-N kanamyc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N)O[C@@H]1O[C@H]1[C@H](O)[C@@H](O[C@@H]2[C@@H]([C@@H](N)[C@H](O)[C@@H](CO)O2)O)[C@H](N)C[C@@H]1N SBUJHOSQTJFQJX-NOAMYHIS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23 kanamycin A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332 ker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6 lig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74 lysozy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5 lysozy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35 lysozy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534 mechanism of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60 med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YWUZJCMWCOHBA-VIFPVBQESA-N methamphetamine Chemical compound CN[C@@H](C)CC1=CC=CC=C1 MYWUZJCMWCOHBA-VIFPVBQE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3 ni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YPZRWBKMTBYPTK-UHFFFAOYSA-N oxidized gamma-L-glutamyl-L-cysteinylglycine Natural products OC(=O)C(N)CCC(=O)NC(C(=O)NCC(O)=O)CSSCC(C(=O)NCC(O)=O)NC(=O)CCC(N)C(O)=O YPZRWBKMTBYP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729 papa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34 pap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66 par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1202 peps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0 plasm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999 proteolytic enzymes for treatment of wounds and ulcer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10131 pur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8 recombina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76 repl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9 reverse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05 rib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11 spectroscop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80 tetra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01283 tetracycl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4 tetracycl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22 tetracycl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03 transcrip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90 trans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03 viral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34 wash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9—Single domain, e.g. dAb, sdAb, VHH, VNAR or nano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L-4 수용체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 구체적으로는 나노바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바디는 상용화된 항체 치료제보다 현저히 우수한 IL-4 수용체 결합 친화도를 보이면서도 단순한 구조와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구조적 안정성, 생산성 및 투과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비강 분무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한 없이 제형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나노바디는 부비동염 등의 염증 질환의 원인이 되는 IL-4 신호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뿐 아니라, 정맥 투여에 의한 전신적인 면역 저하 없이 병변 특이적으로 약리효과를 집중시킴으로서 만성 염증 질환에 대한 장기 투여에 보다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L-4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나노바디 및 이를 약리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IL-4 매개-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만성 부비동염(Chronic Rhinosinusitis, CRS)은 비강(sinonasal) 점막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질환 중 하나로서, 세계적으로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고, 환자의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함으로서 사회경제적인 부담을 초래하는 질병이다. 만성 비부비동염(CRS)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특수 형태인 비강 용종이 없는 CRS(CRSsNP)와 비강 용종이 있는 CRS(CRSwNP)로 분류되는데, 비록 CRSsNP가 우세한 형태이나, CRSwNP 또한 모든 CRS 사례의 약 20% 내지 33%를 차지하여 중요한 질환 형태에 해당한다. CRSwNP는 종종 천식, 진균성 비부비동염 및 아스피린 과민성 호흡기 질환을 동반하며 표준 의료 요법 및 내시경 부비동 수술 후에 치료 결과가 좋지 않다.
인터류킨(IL)-4R-α에 대한 단일클론항체(mAb)인 두필루맙(Dupilumab)의 경우, 기존에 중등도 내지 중증의 호산구성 천식에서 치료 효과와 안정성을 보였는데, 최근 임상시험에서 만성 비부비동염(CRSwNP)에서 치료 효과 또한 확인되었다. 다만, 두필루맙은 현재 주사제의 형태로 투여되어 안검염(conjunctivitis), 각막염(keratitis) 및 구강 헤르페스(oral herpes) 등 전신적인 부작용을 수반하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특정 표적 항원과의 결합이 가능한 항체만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혼성세포기술(hybridoma technology) 및 이를 이용한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제조 방법이 1970년대에 개발된 이후 항체 의약품 분야는 급성장하였으나, 일반적인 전장(full length) 항체는 큰 분자량으로 인해 막 투과가 어려워 세포 표면 항원 또는 수용성 항원들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로 활용이 제한되기 쉽고, 보다 진보된 형태의 항체 제형인 항체 단편(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scFv 등) 역시 여전히 낮은 안정성으로 상용화에 난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치료제 및 진단영역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나노바디(Nanobody)는 낙타과 동물(낙타, 라마, 알파카 등)에서 발견되는 중쇄 전용 항체의 항원인식 가변부(variable region)로서, 작은 크기와 높은 안정성에 기반하여 기존 항체 치료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부분의 항체는 항원과 상호작용하는 CDRs(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영역이 편평하거나 약간의 홈이 파져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활성부위(active site)가 오목한 형태를 가지는 효소 등의 단백질에 대하여 결합 효율이 낮은 반면, CDR 영역이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나노바디(Nanobody)는 결합 효율이 보다 높다. 아울러 나노바디의 경우 CDR-H3 부위가 평균 1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인간의 CDR-H3이 평균 1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과 비교하여 더 긴 CDR 부위를 가짐으로서 볼록한 루프의 형성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항체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며 크기가 작아 구조적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두필루맙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IL-4 수용체 억제 효과를 보이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작은 분자량으로 인해 다양한 투여 루트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IL-4R 억제용 항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매개자이자 치료 타겟으로 활발하게 연구 중인 IL-4 수용체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항체 기반 치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1 내지 4의 CDR 서열을 항원 인식부위로 이용할 경우 상용화된 항체 치료제인 두필루맙(DUPIXENT®) 보다도 IL-4 수용체에 대한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가지면서 구조가 단순하고 분자량이 낮아 구조적 안정성, 생산성 및 투과성이 현저히 개선된 항체 단편, 구체적으로는 나노바디(Nanobody)로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L-4 수용체(IL-4R)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과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증 질환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2, 3 및 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IL-4R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매개자이자 치료 타겟으로 활발하게 연구 중인 IL-4 수용체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항체 기반 치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1 내지 4의 CDR 서열을 항원 인식부위로 이용할 경우 상용화된 항체 치료제인 두필루맙(DUPIXENT®) 보다도 IL-4 수용체에 대한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가지면서 구조가 단순하고 분자량이 낮아 구조적 안정성, 생산성 및 투과성이 현저히 개선된 항체 단편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항체 단편은 예를 들어 비강 점막을 통하여 병변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나노바디(Nanobody) 형태로 적용됨으로써 전신적인 면역 억제 없이도 비강에서 발병하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한 효율적인 국소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항체(antibody)”는 IL-4-R에 대한 항체로서, 이의 특정 에피토프를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의미하며, 완전한 항체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완전한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쇄 불변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및 엡실론(ε) 타입을 가지고 서브클래스로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및 알파2(α2)를 가진다. 경쇄의 불변영역은 카파(κ) 및 람다(λ) 타입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전체 항체 분자 내에서 유의한 항원-항체 결합 기능을 가지는 단편을 의미하며, Fab, F(ab'), F(ab')2, Fv 및 나노바디(nanobody 또는 sybody) 등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WO88/10649, WO88/106630, WO88/07085, WO88/07086 및 WO88/09344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 가변영역과 경쇄 가변영역이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영역과 단쇄의 가변영역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항체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고(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중쇄”는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영역 도메인 VH 및 3개의 불변영역 도메인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전체길이 중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경쇄”는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영역 도메인 VL 및 불변영역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전체길이 경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은 면역글로블린 중쇄 및 경쇄의 고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4th 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87)). 중쇄(HCDR1, HCDR2 및 HCDR3) 및 경쇄(LCDR1, LCDR2 및 LCDR3)에는 각각 3개의 CDR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CDR은 항체가 항원 또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접촉 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범위에는 CDR 영역에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변이체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은, IL-4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첨부한 서열목록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보다 더 개선시키기 위하여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추가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미노산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크기, 모양 및 종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갖으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 그리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H. 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r/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및 Asp/Gly 간의 교환이다.
상술한 생물학적 균등 활성을 갖는 변이를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항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목록에 기재된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 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 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61%의 상동성, 일특정예에 따르면 70%의 상동성, 다른 특정예에 따르면 80%의 상동성, 또 다른 특정예에 따르면 90%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을 의미한다. 서열비교를 위한 얼라인먼트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얼라인먼트에 대한 다양한 방법 및 알고리즘은 Huang et al. Comp. Appl. BioSci. (1992) 8:155-65 및 Pearson et al. Meth. Mol. Biol. (1994) 24:307-31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IL-4”는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의 헬퍼 T 세포(naive T cell, Th0 cell)에서 Th2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을 지칭한다. IL-4는 활성화된 B 세포와 T 세포를 자극하거나 B 세포를 형질세포로 분화시키는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며, 체액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의 중요한 조절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IL-4R”은 IL-4의 수용체를 의미하며, 리간드인 IL-4와 결합함으로서 IgE 항체 생성과 관련된 신호전달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IL-4의 수용체는 IL-4Rα로 알려져 있으며, 신체에서 2가지 형태의 복합체로 존재한다. 1형(Type 1) 수용체는 일반적으로 γ사슬(γc) 및 IL-4Rα의 복합체로 존재하며, IL-4에 특이적이다. 2형(Type2) 수용체는 일반적으로 IL-4Rα 및 IL-13Rα1의 복합체로 존재하며, IL-4 및 IL13 모두에 특이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두필루맙”은 IL-4Rα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로서, 제품명 DUPIXENT®으로 상용화된 항체 치료제이다. 두필루맙의 작용기전은 1형 IL-4 수용체에서 IL-4와 IL-4Rα의 결합을 차단하거나 IL-4α과 γ사슬의 이합체화 반응(dimerization)을 차단함으로써 신호전달을 억제하고, 2형 IL-4 수용체에서는 IL-4Rα 및 IL-13Rα1의 이합체화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원 결합 단편은 F(ab')2, Fab', Fab, Fv, scFv 및 나노바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 인간 항체,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단쇄 Fvs(scFV), 단쇄항체, Fab 단편, F(ab')단편, 다이설파이드-결합 Fvs(sdFV) 및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그리고 상기 항체들의 에피토프-결합 단편 및 나노바디(Nanobody 또는 sybody)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단일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체 집단에서 수득한 단일 분자 조성의 항체분자를 의미하며, 단일클론 항체는 특정 에피토프에 대해 단일 결합 특이성 및 친화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나노바디(Nanobody)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IL-4R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은 서열번호 5, 6, 7 및 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열번호 5, 6, 7 및 8은 각각 서열번호 1, 2, 3 및 4의 CDR 서열을 포함하는 전장(full-length) 나노바디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나노바디”는 하나의 중쇄 가변영역만으로 구성된 단일 도메인의 항체 유사체를 의미하며,“단일 도메인 항체(VHH antibody)”또는“합성나노항체(sybody)”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노바디는 완전한 기능을 가진 가장 작은 항원 결합 단편이며, 통상적으로 경쇄 및 중쇄 불변영역1(CH1)이 자연적으로 결여된 항체를 먼저 수득한 후 항체 중쇄의 가변영역을 클로닝하여 하나의 중쇄 가변영역만으로 구성된 단일 도메인 항체(Variable Domain of Heavy-chain Antibodies, VHH)를 구축할 수 있다. 나노바디는 낙타, 라마, 알파카 등의 낙타과 동물에서 추출한 항체 조각을 인공적으로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일반 항체 크기의 10분의 1수준의 크기를 가져 온도 변화 등 외부 환경에 강하고, 투여가 용이하며, 생산수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바디는 볼록 스캐폴드(convex scaffold)구조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볼록 스캐폴드(convex scaffold)”란, 나노바디가 가지는 볼록한 모양의 형태를 의미한다. 나노바디의 CDR-H3는 평균 1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평균 1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CDR-H3보다 길어, 볼록한 모양의 루프를 형성하여 오목한 형태의 효소나 프로테아제 등의 활성부위에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원 결합 단편 중 하나인 scFv의 경우, 평평한 선형 에피토프와 잘 결합하지만 이에 반해 나노바디의 경우 오목한 활성 부위에도 잘 결합할 수 있다. 다만, 나노바디의 경우 평평한 활성 부위에도 높은 특이도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은 친화도는 나노바디의 유연한 스캐폴드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나노바디의 경우 scFv와 비교하여 비특이적 배경 결합(nonspecific backgound binding) 정도가 낮은 장점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바디는 10 내지 18k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1 내지 17kDa이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17kDa이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13 내지 15kDa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인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핵산 분자”는 DNA(gDNA 및 cDNA) 그리고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며, 핵산 분자에서 기본 구성단위인 뉴클레오타이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타이드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Scheit, Nucleotide Analogs, John Wiley, New York(1980); Uhlman er al., Chemical Reviews (1990)90:543-584). 본 발명의 중쇄, 경쇄 가변영역 및 나노바디를 코딩하는 핵산 분자의 서열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뉴클레오타이드의 추가, 결실, 또는 비보존적 치환 또는 보존적 치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핵산 분자는 상기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대하여 실질적인 동일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 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80%의 상동성, 일 특정예에서는 최소 90%의 상동성, 다른 특정예에서는 최소 95%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킴으로서 재조합적으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발현시키다”는 대상 세포가 외래(exogenous) 유전자를 발현하게 하거나 또는 내인성(endogenous) 유전자의 자연적 발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이를 도입함으로써 유전자가 대상 세포 내에서 염색체외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 완성에 의해 복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발현”은“형질전환(transformation)”, "형질감염(transfection)" 또는 "형질도입(transduction)"과 동일한 의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발현시키다”는 대상 세포가 외래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발현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유전자 전달체”또는“유전자 전달 시스템(gene delivery system)”은 유전자를 세포 내로 운반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하며, 유전자 전달은 유전자의 세포내 침투(transduction)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조직 또는 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전달은 유전자의 확산(spread)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 시스템은 유전자 침투 시스템 및 유전자 확산 시스템으로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적합한 발현 컨스트럭트(expression construct) 내에 존재하며, 상기 발현 컨스트럭트 내에서 본 발명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발현조절서열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작동적으로 결합된”은 프로모터, 시그널 서열, 또는 전사조절인자 결합 위치의 어레이와 같은 핵산 발현 조절서열과 다른 핵산 서열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발현조절서열은 상기 다른 핵산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데, 이는 (ⅰ) 내이키드(naked) 재조합 DNA 분자, (ⅱ) 플라스미드, (ⅲ) 바이러스 벡터, 그리고, (ⅳ) 상기 내이키드 재조합 DNA 분자 또는 플라스미드를 내포하는 리포좀 또는 니오좀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치료”는 (a)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경감; 또는 (c)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면 IL-4 매개 신호전달이 차단되면서 염증 질환 또는 자가 면역 질환에 의한 증상의 발전을 억제하거나, 이를 제거하거나 또는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이들 질환 치료의 조성물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약리성분과 함께 투여되어 상기 질환에 대한 치료 보조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용어“치료”또는“치료제”는“치료 보조”또는“치료 보조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염증성 질환”은 염증 반응을 주 병인으로 하는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자가면역질환”이란, 과도하거나 원치 않는 면역반응을 병인으로 하는 모든 질환을 총칭하는 의미로서, 구체적으로는 자기관용의 유도 또는 계속적 유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자기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자신의 조직이 손상받는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은 비염, 결막염, 치주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루프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성 관절염, 골관절염, 견관절 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다발성 근육염, 피부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천식, 제1형 당뇨병, 건선, 습진, 피부경화증, 백반증, 말초성 신경염, 포도막염, 자가면역 혈구감소증, 자가면역 심근염, 아토피피부염, 일차성간경변, 안구건조증, 굿파이처 증후군, 자가면역 뇌수막염, 애디슨병, 자가면역성 이하선염,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부고환염, 사구체 신염, 그레이브스병, 셀리악병, 길랑바레 증후군, 하시모토병, 용혈성 빈혈, 중증 근무력증,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심상천포창, 유육종증, 척추관절증, 갑상선염, 혈관염, 점액수종, 악성빈혈, 항인지질증후군, 고형장기 이식 후기 및 만성 거부증, 및 이식편대숙주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염은 비용종(nasal polyps) 또는 부비동염(Sinusitis)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비용종”이란, 일반적으로 중비도(중간 콧길)에서 유래된 포도송이 모양의 양성 부종성 점막이 비강 내로 돌출된 병적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부비동염”이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부비동이라는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이 제대로 환기 및 배설되지 않아 이차적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염증이 심해지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비동염은 만성 부비동염(Chronic Sinusitis, CRS)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만성 부비동염”이란, 일반적으로 부비동염의 증상이 약 3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를 의미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해당 질환의 보통의 회복기간을 넘어 지속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만성 부비동염은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CRS with nasal polyp, CRSwNP)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CRS with nasal polyp, CRSwNP)”란, 만성적인 부비동염과 함께 비용종(비강용종)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하며, 이와 비교하여 비용종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는 “비용종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 부비동염(CRS without nasal polyp, CRSsNP)”라고 지칭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강 투여용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비강 투여”란, 비강 또는 비강의 점막을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전술한 투여 방식은 비침습적(non-invasive)인 경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IL-4 수용체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 구체적으로는 나노바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나노바디는 상용화된 항체 치료제보다 현저히 우수한 IL-4 수용체 결합 친화도를 보이면서도 단순한 구조와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구조적 안정성, 생산성 및 투과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비강 분무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한 없이 제형화될 수 있다.
(c) 본 발명의 나노바디는 부비동염 등의 염증 질환의 원인이 되는 IL-4 신호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뿐 아니라, 정맥 투여에 의한 전신적인 면역 저하 없이 병변 특이적으로 약리효과를 집중시킴으로서 만성 염증 질환에 대한 장기 투여에 보다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항-IL-4R 나노바디 스크리닝의 최종적인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 Y축은 IL-4R과 MBP에 대한 OD값의 배수 변화(fold-change)를 나타내며, 이는 각 나노바디 클론의 IL-4R 특이성을 의미하고, 붉은색 상자로 표시된 클론은 임계값(1.7)보다 폴드 변경 값이 더 높은 최종적으로 선택된 나노바디를 나타낸다.
도 2는 4개의 최종 나노바디 후보에 대하여, IL-4R 분자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나노바디를 정제하고, 동일한 농도의 나노바디를 ELISA를 통해 조사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H5 나노바디가 동일한 농도의 4가지 후보 중 IL-4R 분자에 대한 결합 친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 3은 3개의 나노바디 후보를 ELISA 결과에 따라 선택하여, 결합 친화도가 IL-4 신호 차단 기능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으로, 각 나노바디의 신호 차단 정도를 3가지 다른 농도에서 두필루맙의 신호 차단 정도와 비교하였다. 리포터 세포를 83pM의 IL-4 및 각 나노바디(또는 항체)와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그 결과 두필루맙과 H5 나노바디가 후보 중 가장 효과적인 IL-4 신호 차단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최종 IL-4R 차단 나노바디로 선택된 H5 나노바디의 신호 차단 효과를 3가지 다른 농도에서 두필루맙의 신호 차단과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두필루맙과 H5 나노바디의 HEK293 세포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플레이트 판독기를 통해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6a 내지 도6d는 IL-4, 두필루맙 및 나노바디에 의한 FOXJ1 발현의 조절을 면역형광 염색 및 이미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4개의 최종 나노바디 후보에 대하여, IL-4R 분자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나노바디를 정제하고, 동일한 농도의 나노바디를 ELISA를 통해 조사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H5 나노바디가 동일한 농도의 4가지 후보 중 IL-4R 분자에 대한 결합 친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 3은 3개의 나노바디 후보를 ELISA 결과에 따라 선택하여, 결합 친화도가 IL-4 신호 차단 기능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으로, 각 나노바디의 신호 차단 정도를 3가지 다른 농도에서 두필루맙의 신호 차단 정도와 비교하였다. 리포터 세포를 83pM의 IL-4 및 각 나노바디(또는 항체)와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그 결과 두필루맙과 H5 나노바디가 후보 중 가장 효과적인 IL-4 신호 차단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최종 IL-4R 차단 나노바디로 선택된 H5 나노바디의 신호 차단 효과를 3가지 다른 농도에서 두필루맙의 신호 차단과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두필루맙과 H5 나노바디의 HEK293 세포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플레이트 판독기를 통해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6a 내지 도6d는 IL-4, 두필루맙 및 나노바디에 의한 FOXJ1 발현의 조절을 면역형광 염색 및 이미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및 분석방법
세포
HEK293T 및 HEK293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다. 이러한 세포들을 10% FBS(Gibco, 26140-079)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15140-122)이 보충된 DMEM 고 포도당 배지(Gibco, 11995-065)에서 37℃, 5% CO2으로 배양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
프라이머 정보는 합성 나노바디 생성에 관한 논문에서 참고하였다(Zimmermann et al., 2018)1.
FW_c_for : CAA GTC CAG CTG GTG GAA TCG (서열번호 9)
FW_c_rev : GCC GCT AGC CGC ACA G (서열번호 10)
Link2_c_for : ATA TAT GAA GAC CTC TGC GCG GC (서열번호 11)
Link2_c_rev : ATG CAT GGT CTC AGC AGT AAT ACA AAG CAG TAT CTT CCG G (서열번호 12)
CDR3_c : GAA GAC CTC TGC GCG GCA GCC 111 111 GGC 111 111 111 CCG CTG 111 111 111 111 TAT 222 TAC TGG GGT CAG GGC ACC CAA GTT ACC GTT TCT (서열번호 13)
5’_flank_for : CGA AAT TAA TAC GAC TCA CTA TAG GGA GAC (서열번호 14)
5’_flank_rev : TAT AGC TCT TCA ACT ACC CAT GGA TAT ATC TCC (서열번호 15)
3’_flank_for : TAT AGC TCT TCT GCA AAG CTT TAT ATG GCC TC (서열번호 16)
tolAK_rev : CCG CAC ACC AGT AAG GTG TGC GGT TTC AGT TGC CGC TTT CTT TCT (서열번호 17)
RT primer : CTT CAG TTG CCG CTT TCT TTC TTG (서열번호 18)
Long_FX_for : ATA TGC TCT TCT AGT CAA GTC CAG CTG GTG GAA TCG (서열번호 19)
Long_FX_rev : TAT AGC TCT TCA TGC AGA AAC GGT AAC TTG GGT GCC C (서열번호 20)
qPCR_RD_5’_for : GGG AGA CCA CAA CGG TTT CCC (서열번호 21)
qPCR_ RD_L_5_rev : GCC GCT AGC CGC ACA GCT C (서열번호 22)
무작위 볼록 스캐폴드(Convex Scaffold) DNA 라이브러리 구축
Sb-convex를 포함하는 pRDV(Addgene, 132696)가 PCR을 위한 주형으로 선택하였다. FW_c_for 및 Link2_c_rev 프라이머는 CDR1 및 CDR2 영역을 포함하는 볼록 스캐폴드의 전자 영역(former region)을 증폭하는 데 사용하였다. Link2_c_for, FW_c_rev 및 CDR3_c 프라이머는 CDR3 영역의 무작위화로 볼록 스캐폴드의 후자 영역(latter region)을 증폭하는 데 사용하였다. 무작위 프라이머 CDR3_c는 10개의 서로 다른 트리뉴클레오티드 잔기를 포함하며, 그 중 9개(111)는 A, S, T, N, Y(각각 10.6%)가 풍부하고, D, E, Q, R, K, H, W(각각 5%)를 포함하며, 무극성 아미노산 F, M, V, I, L, G가 거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각각 2%)1. 또 다른 트리뉴클레오타이드 잔기(222)에는 아미노산 D와 A가 없는데, 그 이유는 전술한 두 가지의 아미노산이 β-시트의 말단에서 과소 대표되기 때문이다2. BbsI 제한 부위는 전자(뼈대 부위, scaffold) 및 후자(무작위화 부위, randomized) 볼록 단편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데, 이들은 제한되었고(restricted), 연결(ligated)되어 3.17×1012의 다양성을 갖는 볼록 라이브러리(convex library)를 형성하였다.
인-비트로 전사
CDR3 무작위 볼록 라이브러리(CD3-randomized convex library)의 5' 및 3' 영역은 모두 전사되기 전에 플랭킹되게(flanked) 하였다. 5' 측면 영역 및 3' 측면 영역은 각각 5'_flank_for와 5'_flank_rev 프라이머; 및 3'_flank_for 와 tolAK_rev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Sb-convex(Addgene, 132696)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pRDV5로부터 증폭시켰다. 측면 영역(flanking regions)은 BspQI로 제한한 다음 라이브러리의 각 끝에 연결시켰다. 측면 영역이 있는 라이브러리는 매뉴얼에 따라 T7 Ribomax™ RNA 생산 시스템(Promega, P1320)을 사용하여 전사하였다.
리보솜 디스플레이
리보솜 디스플레이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약 1012개의 서로 다른 라이브러리 구성원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1. 그러나 이 방법은 시약 및 불리한 RNase 활성에 관한 몇 가지 이유로 인해 널리 적용되지 않았다3. 기술적인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체외 번역 키트(in vitro translation kit) PUREfrex2.1(GeneFrontier, PF213-0.25-EX)을 채택하였다1. 키트는 산화 글루타티온(GSSG)과 이황화 다리 이성질화 효소(DsbC)가 결여되어 있으며, 이들은 이황화 결합 폴딩(disulfide bond folding)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로 지지(supported)되었다. 70ng의 RNA 라이브러리(약 1.7×1012 분자)를 입력(input)으로 사용하였으며, 실험 과정은 매뉴얼을 따랐다. 리보솜 복합체 형성을 위해 시험관 내 번역 반응을 37℃에서 1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리보솜 디스플레이 전에 Dynabeads™MyOne™StreptavidinT1 비드(Invitrogen, 65601) 12ul를 WTB-BSA 완충액(50mM Tris/acetate pH7.4, 150mM NaCl, 50mM MgAc2, BSA 보충)으로 0.5%로 두 번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자기 비드(magnetic bead)를 WTB-BSA 버퍼로 20분 이상 차단하였다. 리보솜 복합체(ribosomal complex)를 100ul의 패닝 용액(500ug의 heparin과 1ul의 RNaseIn(Promega N2611)이 첨가된 WTB-D-BSA(0.1% tween20이 첨가된 WTB-BSA))에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20,000x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비오틴화된 IL-4R(Acro Biosystems, ILR-H82E9)과 혼합하고 얼음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자기 비드(magnetic bead)를 WTB-B-BSA로 3회 세척하고 패닝-IL-4R 혼합물을 비드에 첨가한 다음 얼음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전체 혼합물을 WTB-D(50mM Tris/아세테이트 pH7.4, 150mM NaCl, 50mM MgAc2, 0.1% Tween20이 보충됨)로 3회 세척하였다. 상층액은 15ul 용출량의 RNeasy 키트(Qiagen, 74004)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역전사
리보솜 디스플레이에서 용출된 RNA는 매뉴얼에 따라 총 부피 30ul의 SuperiorScript III 역전사효소(Enzynomics, RT006M)를 사용하여 역전사하였다. 생성된 cDNA를 30ul 용출량의 PCR 정제 미니 키트(Favorgen, FAGCK 001-1)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된 cDNA를 30ul 용출량의 PCR 정제 미니 키트(Favorgen, FAGCK 001-1)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1ul의 용출액을 qPCR 분석의 주형로 사용하고 29ul의 elution을 증폭에 사용하였다. 생성된 cDNA 형태의 DNA 정제는 Long_FX_for 및 Long_FX_rev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에 의해 증폭하였다. 총 반응 부피는 100ul이었고 반응이 끝나면 두 개의 튜브로 나누었다.
qPCR
qPCR 분석은 리보솜 디스플레이 및 파지 디스플레이 선택으로 인한 cDNA의 품질을 평가하여 선택 단계 동안 라이브러리의 농축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하였다4. 실험을 위해 AccuPower® 2X Greenstar qPCR 마스터 믹스(Bioneer, K-6251)와 함께 QuantStudio 3 Real-time PCR 기기(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였다. PCR 프로그램 조건은 다음과 같다: 95℃, 2분 (초기 변성) / 95℃, 10초 ; 63℃, 30초(변성, 어닐링, 연장, 측정) / 용융 곡선 단계는 기계 설명서의 기본 설정을 따랐다.
전기천공
FX 클로닝5을 사용하여 농축된(enriched) 나노바디(sybody) 라이브러리를 파지미드 벡터 pDXinit(Addgene, 110101)에 도입하였다. E. coli SS320(Lucigen, 60512-1) 350ul를 얼음 위에서 해동하고, 농축 라이브러리(enriched library)를 포함하는 파지미드(phagemid)의 ligation mix 50ul를 SS320이 있는 전기천공 큐벳(Biorad, 1652086)에 넣고 부드럽게 피펫팅하여 혼합하였다. 세포 혼합물은 2.4kV, 25uF 및 300Ω을 사용하는 Biorad Gene Pulser II 전기천공 시스템으로 펄스화(pulsed)하였다. 전기천공된 세포를 즉시 25ml의 SOC 배지로 옮기고 37℃, 160rpm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회수 배양물을 200ug/ml 암피실린 및 2% 글루코스가 보충된 2TY 배지 225ml로 옮기고, 37℃, 160rpm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파지의 생산 및 정제
1ml의 전기천공 전배양물을 50ml의 2YT 배지(200ug/ml 암피실린 및 2% 포도당 보충)에 첨가한 다음 OD600 = 0.6이 될 때까지 37℃, 160rpm에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액 10ml를 M13KO7 헬퍼 파지(NEB, N0315S) 30ul와 혼합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진탕하지 않고 배양하였다. 인큐베이션된 배양물을 5,000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펠렛을 50ml의 2YT 배지(200ug/ml 암피실린 및 25ug/ml 카나마이신 보충)로 재현탁하고 37℃, 160rpm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밤새 인큐베이션된 배양물을 6,000xg, 4℃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40ml의 상등액을 새로운 50ml 튜브에 옮기고, 10ml의 PEG6000/NaCl을 첨가하고 튜브를 약 5회 뒤집었다. 혼합물을 얼음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다음, 10,000xg, 4℃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튜브를 PBS 40ml로 부드럽게 세척하고, 이어서 PBS 1ml로 재현탁시켰다. 재현탁된 파지를 20,000xg,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새 튜브에 수집하였다. 수집된 파지의 역가는 269nm 및 320nm에서 UV 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파지 디스플레이
E. coli SS320을 50ml의 2YT 배지(10ug/ml 테트라사이클린 보충)에서 배양하고 파지 디스플레이 하루 전에 4℃에서 96웰 플레이트의 절반을 100ul의 67nM 뉴트라비딘으로 코팅하였다.
- 파지 디스플레이의 첫 번째 라운드
뉴트라비딘 코팅된 플레이트를 각 웰에 대해 250ul의 TBS로 세척하고, 250ul의 TBS-BSA(0.5% BSA가 보충된 TBS)로 차단하였다. Biotinylated IL-4R을 4.9ml의 정제된 파지(1012 phages/ml)에 첨가하여 단백질 농도가 50nM이 되도록 한 후 얼음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뉴트라비딘 코팅된 플레이트를 250ul TBS-BSA-D(0.5% BSA 및 0.1% 트윈 20으로 보충된 TBS)로 세척하였다. 100ul의 파지-IL-4R 혼합물을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고, 얼음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의 각 웰을 150ul의 TBS-D(0.1% 트윈 20이 첨가된 TBS)로 3회 세척하고, 플레이트를 각 세척 단계 후 2분 동안 페이퍼 타월 상에서 건조시켰다. 100ul의 PD 용출 완충액(분말로 첨가된 0.25ml/ml 트립신이 첨가된 TBS)을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용출된 용액을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튜브에 AEBSF 용액(Merck, A8456) 40ul를 첨가하였다. 1ul의 샘플을 qPCR을 통해 분석하고, 나머지 샘플을 50ml의 배양된 SS320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7℃에서 1.5시간 동안 진탕하지 않고 배양한 후, 혼합물 50ml를 2YT 배지(200ug/ml 암피실린 및 2% 포도당 보충) 200ml에 옮기고 37℃, 160rpm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 파지 디스플레이의 두 번째 라운드
1차 파지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파지를 TBS-BSA-D(5×1012 phages/ml)에서 수확하고 정제하였다. 50nM 농도의 파지 용액 100ul에 Biotinylated IL-4R을 첨가하고 얼음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ynabeads™MyOne™StreptavidinC1 비드(Invitrogen, 65001) 12ul를 TBS-WTB-BSA 500ul로 두 번 세척한 다음, 얼음에서 WTB-BSA 500ul로 20분 이상 동안 차단하였다. 마그네틱 비드를 500ul의 TBS-BSA-D로 3회 세척한 다음, 재현탁하고 얼음에서 파지-IL-4R 복합체 용액과 함께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혼합물을 500ul의 TBS-BSA-D로 세척한 다음, 비-바이오티닐화(non-biotinylated) IL-4R(Sino Biological, 10402-H08H) 5uM로 보충한 TBS-BSA-D인 ‘경쟁 완충제(competition buffer)’100ul로 재현탁하였고, 얼음에서 3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경쟁적인 비-바이오티닐화(non-biotinylated) IL-4R은 TBS-D 500ul로 2회 세척하여 세척하였다. 비드를 PD 용출 완충액 100ul로 재현탁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0.8ul의 ABESF를 첨가하여 피펫팅하여 혼합하고, 1ul의 용액을 qPCR 분석에 사용하고, 나머지 용액은 SS320의 감염에 사용하였다. E. coli SS320을 200ug/ml 암피실린 및 2% 글루코스가 보충된 2YT 배지에서 37℃, 160rpm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비오틴화된 MBP의 생산 및 정제
플라스미드 pBXNH3CA_MBP(addgene, 132700)를 발현을 위해 E.coli BL21로 형질전환시켰다. 이를 37℃, 160rpm에서 4시간 동안 100ug/ml 암피실린이 보충된 TB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발현 및 비오틴화(biotinylation)를 위해 아라비노스(arabinose) 및 비오틴(biotin)을 각각 0.02% 및 100uM 농도로 첨가하였다. 그 후 발현을 위해 22℃, 160 rpm에서 밤새 배양을 진행하였다. 밤새 배양물을 초음파 처리한 후 MBP MiniExcellose® (Takara, AEx-MC-M03)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 (ELISA)
FX 클로닝 방법을 사용하여, 파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2회에 걸쳐 농축된 라이브러리(enriched library)를 pSBinit 벡터(addgene, 110100)에 클로닝하였다5. 클로닝된 플라스미드를 전기천공법을 통해 E. coli SS320에 형질전환시킨 후, 37℃, 160rpm에서 밤새 배양한 다음,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플라스미드를 E. coli BL21(Enzynomics, CP110)로 형질전환하고 25ug/ml 클로람페니콜이 보충된 LB-한천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한 다음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25ug/ml 클로람페니콜이 보충된 1.2ml의 TB 배지를 '전배양'이라고 표시된 96-웰 딥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준비하였다. 인큐베이션된 플레이트에서 95개의 콜로니를 선택하고 각 콜로니를 각 웰에 접종하고 첫 번째 웰을 MBP 나노바디 Sb_MBP#1(addgene, 132699)을 포함하는 양성 대조군 pSb_init로 채웠다. 딥 웰 플레이트는 기체 투과성으로 밀봉되었고 37℃, 300rpm에서 4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25ug/ml 클로람페니콜이 보충된 미리 데운 TB 배지 1ml로 채워진 새로운 96웰 딥웰 플레이트는 '발현 배양'으로 표시되었다. 50ul의 '전배양'을 발현 배양물의 해당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OD600 = 0.4~0.8이 될 때까지 37℃, 300rpm에서 2시간, 22℃, 300rpm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충분히 성장시킨 후, 0.02%(wt/vol)의 L-(+)-아라비노스를 첨가하여 발현을 유도하고, 22℃, 150rpm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다음날, 세포를 5,000xg,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집하였다. '전배양'의 팔레트는 DNA 정제를 위해 -20℃에 보관되었고, '발현 배양'의 팔레트는 100ul의 주변세포질 추출 완충액(20% sucrose, 50mM Tris pH8.0, 0.5mM EDTA 및 0.5ug/ml의 리소자임(DW로 표시))으로 강한 소용돌이(intensive vortex)로 재현탁하였다. 얼음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1mM MgCl2가 첨가된 TBS 900ul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5,000xg,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ELISA를 위한 주변 세포질 추출액(periplasmic extraction)으로 사용하였다. 2개의 96-웰 면역 플레이트를 100ul의 5ug/ml 단백질 A(protein A) 용액으로 코팅하고 접착제 밀봉과 함께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웰당 250ul의 TBS로 세척한 다음, 웰당 150ul의 TBS-BSA로 차단하였다. 그 다음, TBS-BSA-D에 1:2,000으로 희석된 항-c-Myc 항체(Biolegend, 626802) 100ul를 웰당 첨가하고,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250ul의 TBS-D로 3회 세척한 후, IL-4R 간의 나노바디 결합을 비교하기 위해 각 웰에 TBS-BSA-D 80ul를 첨가하고 나노바디의 IL-4R 및 MBP와의 결합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주변 세포질 추출액 20ul를 나란히 첨가하였으며,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웰당 250ul의 TBS-D로 세척하고, 처음 두 개의 웰에 100ul의 50nM MBP를 첨가하고, 각각의 웰에 100ul의 50nM 비오틴화된 IL-4R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250ul TBS-D로 3회 세척한 후, TBS-BSA-D에 희석된 1:5,000 streptavidin-peroxidase(Invitrogen, 434323) 100ul를 각 웰에 첨가하고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다시 TBS-D로 3회 세척하고, 100ul의 TMB 기질(biolegend, 421101)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반응은 개별 웰이 파란색으로 변할 때까지 약 15분이 소요되었다. 흡광도는 플레이트 판독기로 650nm에서 측정하였다.
나노바디의 생산 및 정제
발현 벡터(pSBinit) 내의 나노바디 클론을 E. coli BL21에 형질전환시키고, 37℃, 160 rpm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밤새 배양한 배양액 2ml를 클로람페니콜 25ug/ml가 첨가된 TB 배지 200ml에 접종하고 OD600 = 0.6이 될 때까지 37℃, 200rpm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22℃, 150rpm으로 1시간 동안 이동시켰다. 발현 유도를 위해 아라비노스 0.02%를 첨가하고 37℃, 150rpm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밤새 배양한 배양물을 5,000xg,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팔레트를 얼음에서 20ml의 주변 세포질 추출 완충액으로 30분 동안 재현탁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1mM MgCl2가 첨가된 TBS 180ml를 첨가하고, 5,000xg,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1ml의 TALON®Superflow™(Cytiva, 28957502) 슬러리를 TBS pH 8.0으로 미리 평형화(pre-equilibrated)하였다. 결합 후 비드를 세척 완충액(50mM Tris pH 8.0, 300mM NaCl, 5mM 이미다졸)으로 3회 세척한 후, 나노바디를 용출 완충액(50nM Tris pH 8.0, 300mM NaCl, 200mM 이미다졸)으로 용출시켰다. 용출된 나노바디는 Slide-A-Lyzer® Dialysis Cassette(Thermo, 66330)을 사용하여 밤새 완충액을 교환하였다.
IL-4R 억제 측정을 위한 STAT6-루시페라제 리포터 시스템
HEK293 세포주는 퓨로마이신(puromycin) 내성 렌티바이러스 시스템(lentivirus system)에 의해 human STAT6(addgene, 81950)을, blasticidin 내성 system에 의해 pSTAT6에 의해 유도된 luciferase(addgene, 35554)를 안정적으로 발현시켜 IL-4 신호의 STAT6 응답에 의한 조절하에 luciferase가 안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6,7. 5 x 104개의 리포터 세포를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시딩하고 hIL-4 및 무혈청 RMPI 배지에서 두필루맙 또는 나노바디 중 하나와 함께 37℃ 및 5% CO2 환경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용해(cell lysis)를 백색 96-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50ul의 루시퍼라제 기질(Promega, E1501)을 첨가하였다. 랜덤 발광 단위(Random luminescence unit)는 SpectraMax®M5 발광계(Molecular Devices)로 측정하였다.
면역형광 염색 및 이미지 분석
트랜스웰의 HNE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500ul의 4% 파라포름알데히드(Biosesang, P2031)로 실온에서 30분 동안 고정하였다. 그런 다음 HNE 세포를 100ul(1:200)의 FOXJ1 1차 항체(GeneTex, GTX114408)와 함께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고, 그 다음 100ul(1:1000)의 마우스 항-토끼 FITC와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PBS로 세 번 세척하였다. 세포들은 405, 488nm 레이저의 매개변수(parameter) 설정을 사용하여 Zeiss LSM 700에서 사진을 촬영했으며 Z-stack 다차원 획득 기능을 적용하였다. Z-stack 슬라이스의 이미지는 간격을 8um로 설정하여 얻었다.
나노바디 후보들의 서열
H5 CDR 서열 (서열번호 1) : DKGREYTLARAKYWYW
E9 CDR 서열 (서열번호 2) : AYGIWEPLRYRNYSYW
B3 CDR 서열 (서열번호 3) : AQRGKYRPLYAAKYSYW
G5 CDR 서열 (서열번호 4) : RTGIWEPLAHRNYNYW
H5 전장서열 (서열번호 5) :
QVQLVESGGGSVQAGGSLRLSCAASGSISSITYLGWFRQAPGKEREGVAALSTSSGTTYYADSVKGRFTVSLDNAKNTVYLQMNSLKPEDTALYYCAAADKGREYTLARAKYWYWGQGTQVTVSAGRAGEQKLISEEDLNSAVDHHHHHH
E9 전장서열 (서열번호 6) :
QVQLVESGGGSVQAGGSLRLSCAASGSISSITYLGWFRQAPGKEREGVAALSTSSGTTYYADSVKGRFTVSLDNAKNTVYLQLNSLKPEDTALYYCAAAAYGIWEPLRYRNYSYWGQGTQVTVSAGRAGEQKLISEEDLNSAVDHHHHHH
B3 전체서열 (서열번호 7) :
QVQLVESGGGSVQAGGSLRLSCAASGSISSITYLGWFRQAPGKEREGVAALSTSSGTTYYADSVKGRFTVSLDNAKNTVYLQMNSLKPEDTALYYCAAAQRGKYRPLYAAKYSYWGQGTQVTVSAGRAGEQKLISEEDLNSAVDHHHHHH
G5 전체서열 (서열번호 8) :
QVQLVESGGGSVQAGGSLRLSCAASGSISSITYLGWFRQAPGKEREGVAALSTSSGTTYYADSVKGRFTVSLDNAKNTVYLQMNSLKPEDTALYYCAAARTGIWEPLAHRNYNYWGQGTQVTVSAGRAGEQKLISEEDLNSAVDHHHHHH
실험결과
항IL-4R 나노바디 스크리닝의 최종 과정
리보솜 디스플레이 및 2회의 파지 디스플레이 후, 약 102개의 나노바디 클론을 스크리닝하였다. 이 나노바디들의 풀을 풍부(enrich)하게 하기 위해 IL-4R 및 MBP에 대해 ELISA를 수행하였다. 그래프의 y축은 IL-4R과 MBP에 대한 OD 값의 배수변화도(fold-change) 나타내며, 이는 각 나노바디 클론의 IL-4R에 대한 특이성을 의미한다. 붉은색 박스로 표시된 클론은 임계값(1.7)보다 폴드 변경 값이 더 높은, 최종적으로 선택된 나노바디들이다. 겹치는 시퀀스를 제외하고 발명자들은 최종적으로 4개의 다른 나노바디 시퀀스인 H5, G5, E9 및 B3을 얻었다(도 1).
IL-4R에 대한 나노바디 후보들의 결합 친화도
IL-4R에 대한 4개의 최종 나노바디 후보를 리보솜 디스플레이, 파지 디스플레이 및 ELISA를 통해 선별하였다. 각각의 나노바디를 정제하고, 동일한 농도의 나노바디의 IL-4R 분자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확인하기 위해 ELISA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H5 나노바디가 동일한 농도의 4가지 후보 중에서 IL-4R 분자에 대한 결합 친화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2).
나노바디 후보의 IL-4 신호 차단 활성
3개의 나노바디 후보를 이전 ELISA 결과에 따라 선택하여 결합 친화도가 IL-4 신호 차단 기능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3가지 다른 농도의 각 나노바디의 신호 차단 기능을 두필루맙(Dupilumab)의 신호 차단 기능과 비교하였다. 리포터 세포를 83pM의 IL-4 및 각 나노바디(또는 항체)와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결과 두필루맙과 H5 나노바디가 후보 중 가장 효과적인 IL-4 신호 차단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두필루맙(Dupilumab)과 H5의 IL-4 신호 차단 활성의 비교
이전 결과에 따라, H5 나노바디를 최종 IL-4R 차단 나노바디로 선택하였다. 3가지 다른 농도에서 각 나노바디의 신호 차단 활성을 두필루맙과 비교하였다. 리포터 세포를 667pM의 IL-4 및 나노바디(또는 항체)와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H5 나노바디는 약 2배 농도에서 두필루맙과 유사한 차단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도 4).
두필루맙(Dupilumab)과 H5의 세포 결합 친화도의 비교
HEK293 세포에 대한 두필루맙과 H5 나노바디의 결합 친화도를 플레이트 판독기를 통해 평가하였다. 항-인간 IgG-FITC를 두필루맙의 2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항-Myc-FITC를 H5 나노바디의 2차 항체로 사용하였다. 각 항체(나노바디)의 형광 단위를 각 2차 항체의 형광 단위로 표준화하였다. 도 4 및 도 5의 결과는 신호 차단 활성이 항체(나노바디)와 세포의 결합에 의존함을 시사한다.
IL-4, 두필루맙(Dupilumab) 및 나노바디에 의한 FOXJ1 발현 조절 (도 6)
FOXJ1은 forkhead box family 전사인자 중 하나로 IL-4/IL-13 신호전달에 의해 발현이 억제되고 STAT6이 인산화된다. 도 6a는 IL-4, 두필루맙 및 H5 나노바디로 처리된 인간 비강 상피 세포(HNE)의 정사 이미지(ortho image)이다. 두필루맙 및 H5의 투여는 IL-4 신호전달을 차단하고 후속적으로 FOXJ1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c는 두필루맙과 H5를 IL-4 없이 처리했을 때 FOXJ1 발현이 유도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항체와 나노바디가 IL-4R에 대한 어떤 작용제(agonistic) 활성을 가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FOXJ1의 발현은 IL-4 및 항-MBP 나노바디를 모두 처리했을 때 억제되는데, 이는 나노바디 스캐폴드 자체가 IL-4R에 대한 길항 효과가 없음을 시사한다. 도 6b 및 6c는 해당 HNE 샘플의 3D 이미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Zimmermann, I. et al. Synthetic single domain antibodies for the conformational trapping of membrane proteins. eLife 7, e34317 (2018).
2. Bhattacharjee, N. & Biswas, P. Position-specific propensities of amino acids in the b-strand. 10 (2010).
3. Zahnd, C., Amstutz, P. & Plckthun, A. Ribosome display: selecting and evolving proteins in vitro that specifically bind to a target. Nat. Methods 4, 269-279 (2007).
4. Zimmermann, I. et al. Generation of synthetic nanobodies against delicate proteins. Nat. Protoc. 15, 1707-1741 (2020).
5. Geertsma, E. R. & Dutzler, R. A Versatile and Efficient High-Throughput Cloning Tool for Structural Biology. Biochemistry 50, 3272-3278 (2011).
6. Mikita, T., Campbell, D., Wu, P., Williamson, K. & Schindler, U. Requirements for interleukin-4-induced gene express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Stat6. Mol. Cell. Biol. 16, 5811-5820 (1996).
7. Yu, X. et al. A robust reporter assa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bioactivity of IL-4R-targeted therapeutic antibodies. J. Pharm. Biomed. Anal. 199, 114033 (2021).
Claims (13)
- 서열번호 1, 2, 3 및 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IL-4R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IL-4R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은 서열번호 5, 6, 7 및 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단편은 F(ab')2, Fab', Fab, Fv, scFv 및 나노바디(Nanobod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단편은 나노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바디는 볼록 스캐폴드(convex scaffold)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바디는 10 내지 18k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인코딩하는 핵산 분자.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제 7 항의 핵산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은 비염, 결막염, 치주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루프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성 관절염, 골관절염, 견관절 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다발성 근육염, 피부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천식, 제1형 당뇨병, 건선, 습진, 피부경화증, 백반증, 말초성 신경염, 포도막염, 자가면역 혈구감소증, 자가면역 심근염, 아토피피부염, 일차성간경변, 안구건조증, 굿파이처 증후군, 자가면역 뇌수막염, 애디슨병, 자가면역성 이하선염,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부고환염, 사구체 신염, 그레이브스병, 셀리악병, 길랑바레 증후군, 하시모토병, 용혈성 빈혈, 중증 근무력증,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심상천포창, 유육종증, 척추관절증, 갑상선염, 혈관염, 점액수종, 악성빈혈, 항인지질증후군 및 이식편대숙주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염은 비용종(nasal polyps) 또는 부비동염(Sinusit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비동염은 만성 부비동염(Chronic Sinusitis, C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부비동염은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CRS with nasal polyp, CRSwN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강 투여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6791A KR20240038841A (ko) | 2022-09-16 | 2022-09-16 |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의 용도 |
PCT/KR2023/013874 WO2024058590A1 (ko) | 2022-09-16 | 2023-09-15 |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의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6791A KR20240038841A (ko) | 2022-09-16 | 2022-09-16 |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의 용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8841A true KR20240038841A (ko) | 2024-03-26 |
Family
ID=9027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6791A Pending KR20240038841A (ko) | 2022-09-16 | 2022-09-16 |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의 용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38841A (ko) |
WO (1) | WO2024058590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9706B1 (ko) | 2008-10-29 | 2016-03-04 |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 사람 il-4 수용체에 대한 고 친화성 사람 항체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15310879A1 (en) * | 2014-09-03 | 2017-03-02 | Medimmune Limited | Stable anti-IL-4R-alpha antibody formulation |
WO2016077675A1 (en) * | 2014-11-14 | 2016-05-19 | Sanofi Biotechnology | Methods for treating chronic sinusitis with nasal polyps by administering an il-4r antagonist |
KR20220147642A (ko) * | 2020-02-27 | 2022-11-03 |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 Il4r에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
CN114957472B (zh) * | 2020-06-22 | 2023-10-31 | 南京融捷康生物科技有限公司 | 抗IL-4Rα的单域抗体以及应用和药物 |
-
2022
- 2022-09-16 KR KR1020220116791A patent/KR20240038841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09-15 WO PCT/KR2023/013874 patent/WO2024058590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9706B1 (ko) | 2008-10-29 | 2016-03-04 |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 사람 il-4 수용체에 대한 고 친화성 사람 항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58590A1 (ko) | 2024-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583707B2 (ja) | 抗cd47抗体及びその応用 | |
JP6244301B2 (ja) | 可溶性ポリペプチド | |
WO2017049452A1 (zh) | 抗人cd137的完全人抗体及其应用 | |
EP3023437A1 (en) | Bispecific antibodies against CD3epsilon and BCMA | |
CN108064236A (zh) | 新颖的il33形式、il33的突变形式、抗体、测定及其使用方法 | |
CN113101364B (zh) | 一种自免疫抑制剂的开发和应用 | |
US10472411B2 (en) | Recombinant antibody and uses thereof | |
EP3928790A1 (en) | Cd3 antigen binding fragment and application thereof | |
US10336816B2 (en) | Phage-displayed 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library | |
CN113321734A (zh) | 抗cd47/抗pd-l1抗体及其应用 | |
CN116217731A (zh) | Alk7结合蛋白及其用途 | |
US20250002574A1 (en) | Il-11 humanized antibody and application thereof | |
CN113603775A (zh) | 抗人白介素-33单克隆抗体及其应用 | |
WO2022078344A1 (zh) | 一种结合cd70的抗体、嵌合抗原受体(car)及其应用 | |
EP3105247B1 (en) | Scfv antibody library | |
CN114573702A (zh) | 一种新型肿瘤衔接器治疗药物的开发和应用 | |
KR102709785B1 (ko) | Il-5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이의 의학적 적용 | |
CN114685657B (zh) | 一种功能增强型抗体阻断剂的开发及其应用 | |
TWI833761B (zh) | 抗人類tlr7抗體以及其製造方法及用途 | |
KR20240038841A (ko) |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의 용도 | |
KR20240170605A (ko) | 신규한 인간 인터류킨-4 수용체 결합 나노바디 및 이를 포함하는 비강 분무 제형 | |
CN116769729A (zh) | 靶向cd150的抗体或抗原结合片段及其应用 | |
JP2024520873A (ja) | 操作された二重結合抗体およびその使用 | |
CN112851807B (zh) | 抗cd123抗体及其应用 | |
CN117279944A (zh) | 干细胞因子抗体及其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