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799A -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holograph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holograph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7799A KR20240037799A KR1020220157506A KR20220157506A KR20240037799A KR 20240037799 A KR20240037799 A KR 20240037799A KR 1020220157506 A KR1020220157506 A KR 1020220157506A KR 20220157506 A KR20220157506 A KR 20220157506A KR 20240037799 A KR20240037799 A KR 202400377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image
- area
- display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4—Reflector;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는 홀로그램 가이드로 제공되는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 holographic image implemented by reflecting an image provided as a holographic guid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기술의 발전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As technology advances,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are emerging to provide 3D stereoscopic images.
좌안과 우안이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고려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도 하고,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한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도 한다. In some cases, 3D stereoscopic images are provid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and in other cases, 3D stereoscopic images are provided using multiple displays. In addition, 3D stereoscopic images are provided using hologram technology that utilizes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반투명의 홀로그램 장치로 투영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플로팅 이미지(floating image) 방식을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3D stereoscopic image using holographic technology includes a display that outputs an image and a floating image method that provides a 3D stereoscopic image by project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onto a translucent hologram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에 기초한 베이스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에 의해 제공되게 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영상의 구현함에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입력 영상 및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 중 베이스 영상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display,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t least one processor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At least one processor may acquire an input image. At least one processor is a guide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sub-guide areas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 implementing the holographic image so that a holographic image implemented by reflecting the base image based on the input image is provided by the holographic guide. You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area. At least one processor may determine a display area among the guide areas in which the base image can be displayed with a weight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input image and the guide area. At least on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to convert the input image into a base image and display it in the display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에 기초한 베이스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에 의해 제공되게 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영상의 구현함에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 및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 중 베이스 영상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베이스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cquiring an input imag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ub-guide areas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 implementing a holographic image so that a holographic image implemented by reflecting a base image based on an input image is provided by a holographic guide. It may include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guide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determining, based on information about an input image and a guide area, a display area among the guide areas in which a base image can be displayed with a weight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converting an input image into a base image based on a determined display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displaying a base image in a display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개시된 동작 방법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t least one method among the disclosed operating method embodiments is recorded on a computer may be provided.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와 홀로그램 가이드의 연결을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가이드 및 가이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가이드 및 가이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가이드 및 가이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 일부인 메인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상이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일부인 메인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상이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결정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결정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홀로그램 영상의 다른 면으로 구현되는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홀로그램 영상의 서로 동일한 면으로 구현되는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understood in combination wit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her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tructural elements.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a display and a hologram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logram guide and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logram guide and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logram guide and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a holographic image amo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implementing a target image as a holograph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a holographic image in a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implementing a target image as a holograph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video that is part of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displaying a main image in a first sub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image that is par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displaying a main image in a first sub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determined such that the weighted arithmetic mean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of content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in which the weighted arithmetic mean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base images implemented as different sides of a holographic image in front of each of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base images implemented as the same side of a holographic image in front of each of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there i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herein.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re is.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라는 표현은, 그 시스템이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eans,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situations, the expression “system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system is “able to” work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refers to a processor dedicated to performing the operations (e.g., an embedded processor),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memory. It may refer to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that can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또한, 본 개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 base material exists,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개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m. Howev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TV,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 탑,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 상에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12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영상을 반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은 반투명(Translucent)한 반사 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 상에 배치된 홀로그램 가이드(12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영상을 반사하여 사용자(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홀로그램 가이드(12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된 홀로그램 영상(140)을 사용자(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영상 중, 홀로그램 가이드(120)에 의하여 반사되어 홀로그램 영상(140)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이용되는 영상을 베이스 영상(130)이라 지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베이스 영상(130)은, 홀로그램 가이드(120)에 의하여 반사되어 구현된 홀로그램 영상(140)으로 사용자(15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150)는 반투명한 반사 면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가이드(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반사된 베이스 영상(130)을 통하여, 홀로그램 영상(140)이 구현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_1, 100_2)는 디스플레이(210)가 홀로그램 가이드(22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 간의 연결은 도 5 및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onic devices 100_1 and 100_2 may operat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_1)는,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가 입력 영상(24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0_1)이다. 전자 장치(100_1)는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210)가 입력 영상(24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영상(240)은 디스플레이(210)를 통하여 사용자(270)에게 콘텐츠(Content)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도록 전자 장치(100_1)에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_1 shown in FIG. 2 displays the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_2)는,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가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 도 7 참조)에 표시하라고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0_2)이다. 전자 장치(100_2)는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210)가 표시 영역(705, 도 7 참조)에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_2)는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의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사용자(270)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영역(705)에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705)은 디스플레이(210) 중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의하여 반사되기 위해 기초가 되는 베이스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베이스 영상(250)은 홀로그램 가이드(220)를 통하여 원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_2)는 입력 영상(240)을 변환하여 베이스 영상(250)을 획득하고,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영역(705) 및 베이스 영상(250)은 도 7 내지 도 16b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_1)는 디스플레이(210)와 디스플레이(210)가 배치된 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도 조절 장치(230)는 힌지(Hinge), 스프링(Spring), 기어(Gea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_1 may include an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_1)가 사용자(270)에게 디스플레이(210)를 통하여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270)의 시인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210)의 정면이 사용자(27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210)와 디스플레이(210)가 배치된 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_1)는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10)와 디스플레이(210)가 배치된 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210)의 정면이 사용자(270)를 향하도록 각도 조절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_1 provides th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270)에게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의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이 제공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_2)는 사용자(270)의 시인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210)의 정면과 디스플레이(210)가 배치된 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_2)는 디스플레이(210)와 디스플레이(210)가 배치된 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의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이 사용자의 정면으로 제공되도록 각도 조절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 and 2.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310), 사용자 추적 센서(320), 메모리(33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 및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0), 사용자 추적 센서(320), 메모리(33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 및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각각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0)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plasma)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무기 발광 다이오드(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31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추적 센서(320)는 사용자(270, 도 2 참조)의 위치, 시선 방향 등을 추적할 수 있다. 사용자 추적 센서(320)는 사용자(270)의 눈동자나 동공의 이미지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용자의 머리 위치 등을 추적할 수 있다. 사용자 추적 센서(320)는 RGB 카메라, RGB-Depth 카메라 또는 IR 카메라(Infrared Camera)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27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에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33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 알고리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코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30)에는 입력 영상 획득 모듈(331), 연결 확인 모듈(332), 가이드 영역 정보 획득 모듈(333), 표시 영역 결정 모듈(334), 영상 변환 모듈(335) 및 영상 표시 모듈(336)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모듈 모두가 필수 모듈인 것은 아니다. 메모리(330)에는 도 3에 도시된 모듈보다 더 많은 모듈들이 저장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모듈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메모리(330)에 포함되는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30)에 포함되는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 알고리즘,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A 'module' included in th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 획득 모듈(331)은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하기 위한 입력 영상(240)을 획득하는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 획득 모듈(331)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310)를 통하여 사용자(200, 도 2 참조)에게 제공하기 위한 입력 영상(240)을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put
일 실시예에서, 연결 확인 모듈(332)은 디스플레이(3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 도 2 참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연결 확인 모듈(332)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3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연결 확인 모듈에 구성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3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도 5 및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 정보 획득 모듈(333)은 홀로그램 가이드(220)를 통하여 홀로그램 영상(260, 도 2 참조)을 구현하는데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700, 도 7 참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연결 정보 획득 모듈(333)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700, 도 7 참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uide area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연결 정보 획득 모듈(333)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대한 정보는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 및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개수,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이 디스플레이와 이루는 각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연결 정보 획득 모듈(333)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수신한 홀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 결정 모듈(334)은, 입력 영상(240, 도 2 참조)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 중 베이스 영상(250, 도 2 참조)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 결정 모듈(334)은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 중 베이스 영상(250)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도록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표시 영역 결정 모듈(334)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 중 베이스 영상(250)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표시 영역 결정 모듈(334)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 중 베이스 영상(250)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도록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기-설정된 임계값 및 표시 영역(705)은 도 10 내지 도 16b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영상 변환 모듈(335)은 결정된 표시 영역(705)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할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변환 모듈(335)은 입력 영상(24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240)을 리사이즈(resize), 크롭(crop), 로테이트(rotate) 또는 오버레이(overlay)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 변환 모듈(335)은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는 다른 이미지 변환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영상 변환 모듈(335)의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결정된 표시 영역(705)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것은 도 10 내지 도 16b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및 뉴럴 프로세서(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인공지능 모델(Artificial Intelligence, AI)의 학습 및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된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홀로그램 가이드(220)와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예를 들어, 유선 랜,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와이기그(Wireless Gigabit Allicance, WiGig) 및 RF 통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버 또는 다른 주변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입력 영상(240)을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신한 입력 영상(24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거나,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여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디스플레이(210)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연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입력 영상(24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연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된 것이 확인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conn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따라,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대한 정보는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 홀로그램 가이드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개수,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이 디스플레이와 이루는 각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신한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한 결과로서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따라,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대한 정보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신한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700)을 결정하고,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따라,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게 홀로그램 가이드(200)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송신한 홀로그램 가이드(200)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게 수신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수신한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한 결과로서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따라,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하는 입력 영상(1100, 도 11a 참조) 중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1110, 도 11a 참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1100),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영상(1110)을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1160)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표시 영역에 베이스 영상(116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타겟 영상(116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 12b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따라,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하는 입력 영상(1300, 도 11a 참조) 중 일부가 메인 영상(1310)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1300),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영상(1310)이 복수의 가이드 영역들 중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표시 영역에 베이스 영상(1360)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메인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은 도 10 및 도 13a 내지 도 14b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240)을 획득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상(240)을 획득하는 단계(S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입력 영상(240)을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3, and 4, in one embodiment, a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240)에 기초한 베이스 영상(250)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이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의하여 제공되게 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함에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700, 도 7 참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대한 정보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guide area 700 (S200), at least one
이하, 가이드 영역(700)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 중 베이스 영상(250)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도록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705, 도 7 참조)를 결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240)에 포함된 콘텐츠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용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의 면적, 형상, 배치 등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 중 베이스 영상(1160)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도록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705 (S300),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표시 영역(705)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240)을 리사이즈(resize), 크롭(crop), 로테이트(rotate) 또는 오버레이(overlay) 하여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변환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여,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의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이 사용자(270)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와 홀로그램 가이드의 연결을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ig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a display and a hologram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step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4 will be omitted.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5, and 6,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도 6에는, 디스플레이의 일부(610)와 홀로그램 가이드의 일부(620)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일부(6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와 홀로그램 가이드의 일부(6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62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는 각각 수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621)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621)가 수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in Figure 6, a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는 디스플레이의 일부(610)의 안쪽으로 형성된 오목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621)는 홀로그램 가이드의 일부(620)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볼록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의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와 볼록부의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621)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621)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오목부의 형상을 갖는 제1 센서(611)와 볼록부의 형상을 갖는 제2 센서(621)가 서로 결합되어,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기 전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일부(6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에 각각 포함된 수광 다이오드의 출력이 달라지게 된다.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에 따라 홀로그램 가이드의 일부(6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621)의 개수 또는 배치를 다르게 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일부(6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에 각각 포함된 수광 다이오드의 출력도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In one embodiment, compared to before the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의 일부(6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611)에 각각 포함된 수광 다이오드의 출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연결 여부 및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t least one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센서(611) 및 제2 센서(621)는 각각 평평하고,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된 경우, 제1 센서(611)에 각각 포함된 수광 다이오드의 출력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연결 여부 및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종류를 확인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e
또한, 전자 장치(100)가 외부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전자 펜 등의 외부 입력을 센싱하고, 디스플레이(210) 상에 배치되는 터치 센싱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터치 센싱 패널을 통하여,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디스플레이(210) 상에 배치된 터치 센싱 패널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210)에서 표시되는 베이스 영상을 반사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1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또한,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IR 센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0)에 제공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210)의 베젤 부분에 배치되는 IR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IR 센서를 통하여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디스플레이(210)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210)에서 표시되는 베이스 영상을 반사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1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홀로그램 가이드(2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일부(610)가 복수의 제1 센서들을 포함하고, 홀로그램 가이드의 일부(620)가 복수의 제2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복수의 제1 센서들에 각각 포함된 수광 다이오드의 출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연결 여부, 홀로그램 가이드(220)의 종류, 홀로그램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10) 및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220)에 포함된 RFID 칩을 통하여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는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 홀로그램 가이드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개수,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이 디스플레이와 이루는 각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the holographic guide includes the type of holographic guide, the shape of the holographic guide, the number of at least one reflective surface included in the holographic guide, the angle between the at least one reflective surface and the display, or the angle of at least one reflective surface. It may contai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S200)하고, 가이드 영역 중 표시 영역을 결정(S300)하고,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S400)한 후,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S500)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0)에서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24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22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 영상(24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여, 입력 영상(240)을 사용자(270)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210)와 홀로그램 가이드(220)는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가이드 및 가이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logram guide and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710) 및 디스플레이(710) 상에 배치된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도시되어 있다.2 and 7, a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역-피라미드 형상을 갖고, 역-피라미드 형상 중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디스플레이(710) 상에 배치되며, 총 네 개의 반사 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도 7에는 디스플레이(710)의 크기와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크기가 대응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홀로그램 가이드의 크기보다 크고, 홀로그램 가이드는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 도 3 참조)는 홀로그램 가이드(7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종류가 역-피라미드라는 것,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네 개의 반사 면들을 포함한다는 것, 각각의 반사 면이 디스플레이(710)와 이루는 각도 또는 각각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processor 340 (see FIG. 3 )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획득한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영역(700)은, 디스플레이(710) 중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어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될 수 있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영역(700)에 표시된 영상은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어,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가이드 영역(700)을 벗어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은,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이 분절선(701)으로 구분되는 네 개의 구분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구분 가이드 영역들 각각은 대응되는 네 개의 반사 면들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정보에 기초하여, 네 개의 구분 가이드 영역들 각각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제1 가중치(first weight)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 및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second weight)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이때, 가중치(weight)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에 표시되는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어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영역(700) 중,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어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이 높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의 가중치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가이드 영역(700) 중,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어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이 낮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의 가중치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igh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은, 홀로그램 영상(260)의 화질, 밝기, 해상도, 깊이감, 계조 또는 시야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획득한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정보에 기초하여,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해 구현되는 사용자(270)가 인식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을 시뮬레이션 한 후, 가이드 영역(700)을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로 구분하여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quality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기-설정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제1 가중치로 정의하고, 가이드 영역(700) 중 기-설정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을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기-설정된 가중치와 같거나, 작은 가중치를 제2 가중치로 정의하고, 가이드 영역(700) 중 기-설정된 가중치와 같거나, 작은 가중치를 갖는 영역을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이때, 기-설정된 가중치의 크기는 사용자(270)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해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270)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이 높을수록, 기-설정된 가중치는 커지고,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의 면적은 작아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pre-set weight may be determined by the quality of the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가중치의 값은, 홀로그램 가이드(720)로부터 제공받거나, 혹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사용자(270)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을 반영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t weight value is provided by the
일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구분하기 위한 가중치를 제1 기-설정 가중치라고 할 때, 제1 기-설정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제1 가중치로 정의하고, 가이드 영역(700) 중 기-설정된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을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제1 기-설정 가중치와 같거나 작고, 제1 기-설정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기-설정 가중치보다 큰 가중치를 제2 가중치로 정의하고, 가이드 영역(700) 중 제2 가중치를 갖는 영역을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제2 기-설정 가중치와 같거나 작은 가중치를 제3 가중치로 정의하고, 가이드 영역(700) 중 제3 가중치를 갖는 영역을 제3 서브 가이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weight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reset weigh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제3 서브 가이드 영역간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가이드 영역(700) 중,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어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이 높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해당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반사되어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임계값의 크기를 낮추어,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되는 정보의 양을 증가시키는 경우, 베이스 영상(250)을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으로부터 가까운 영역에서부터,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으로부터 먼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second sub guide area may be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third sub guide area. Among th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 영역(70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 및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 각각의 구분 가이드 영역 중 모서리에 대응되지 않은, 중앙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은 각각의 구분 가이드 영역 중 모서리에 대응되는 모서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영상(260)을 보는 사용자(270)의 시선 방향은 각각의 반사 면의 중간 이상의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각각의 반사 면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은 사용자(270)의 시선 방향이 향하는 영역에 대응되지 않으므로,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은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반사 면과 디스플레이(710)가 이루는 각도, 홀로그램 영상(260)을 제공받는 사용자(270)의 위치, 시선 방향, 눈높이 등에 따라 가이드 영역(700) 내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의 크기 및 배치 등은 달라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700) 중 베이스 영상(250)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것에 대하여는 도 11 내지 도 16b에서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가이드 및 가이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logram guide and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described in FIG. 7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평면의 형상을 갖고, 디스플레이(810)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홀로그램 가이드(820)가 도시되어 있다. 홀로그램 가이드(820)의 네 변 중 하나의 변이 디스플레이(810) 상에 배치되고, 홀로그램 가이드(820)는 하나의 반사 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8 , in one embodiment, a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 도 3 참조)는 홀로그램 가이드(8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820)의 종류가 평면이라는 것,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디스플레이(810)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형상을 갖는다는 것, 홀로그램 가이드(820)가 하나의 반사 면을 포함한다는 것, 하나의 반사 면이 디스플레이(810)와 이루는 각도 또는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가이드(82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processor 340 (see FIG. 3) determines from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획득한 홀로그램 가이드(8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8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8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800)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801) 및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802)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홀로그램 영상(260)을 보는 사용자(270)의 눈높이는, 반사 면의 높이 중 중간 이상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반사 면 중 디스플레이(810)와 홀로그램 가이드(820)가 맞닿은 변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은 사용자(270)의 눈높이와 상이하므로,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가이드 영역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802)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eye level of the
일 실시예로, 사용자(270)의 눈높이에 대응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반사 면에 대응되는 가이드 영역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8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810)와 홀로그램 가이드(820)가 맞닿은 변과 제1 서브 가이드 영역(801)까지의 거리는, 디스플레이(810)와 홀로그램 가이드(820)가 맞닿은 변의 반대 변과 제1 서브 가이드 영역(801)까지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uid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surface that provides the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eye level of the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홀로그램 가이드(820)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820)의 반사 면과 디스플레이(810)가 이루는 각도, 홀로그램 영상(260)을 제공받는 사용자(270)의 위치, 눈높이 등에 따라 가이드 영역(800) 내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801)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802)의 크기 및 배치 등은 달라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8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800) 중 베이스 영상(250)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803)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가이드 및 가이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logram guide and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described in FIG. 7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9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디스플레이(810) 상에 배치된 홀로그램 가이드(920)가 도시되어 있다. 홀로그램 가이드(920)는 원기둥의 옆면 형상의 하나의 반사 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9 , in one embodiment, a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 도 3 참조)는 홀로그램 가이드(9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종류가 원기둥이라는 것,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높이 및 원기둥의 둘레, 홀로그램 가이드(920)가 하나의 반사 면을 포함한다는 것 또는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processor 340 (see FIG. 3) determines from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획득한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9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900)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901) 및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902)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홀로그램 영상(260)을 보는 사용자(270)의 눈높이는, 반사 면의 높이 중 중간 이상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반사 면 중 디스플레이(910)와 홀로그램 가이드(920)가 면과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은 사용자(270)의 눈높이와 상이하므로,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가이드 영역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8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원기둥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특성 상, 가이드 영역(900)의 외곽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은 홀로그램 가이드(920)에 의하여 반사되는 정도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영역(900)의 외곽 영역도 제2 서브 가이드 영역(802)로 구분될 수 있다.The eye level of the
일 실시예로, 사용자(270)의 눈높이에 대응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반사 면에 대응되는 가이드 영역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802)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surface that provides the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eye level of the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높이 및 홀로그램 가이드(920)의 둘레, 홀로그램 영상(260)을 제공받는 사용자(270)의 위치, 눈높이 등에 따라 가이드 영역(900) 내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901)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902)의 크기 및 배치 등은 달라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일 실시예로, 가이드 영역(900)은 비-반사 영역(9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반사 영역(903)은 디스플레이(910) 중 홀로그램 가이드(920)가 배치된 영역으로, 해당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은 홀로그램 가이드(920)에 의하여 반사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9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900) 중 베이스 영상(250)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903)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903)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여 표시 영역(903)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실런더 변형 공식 실린더 변형 공식(Cylinder Anamorphosis Formulas)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일 예로서 역-피라미드, 평면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가이드(720, 820, 920) 및 홀로그램 가이드(720, 820, 920)에 대응되는 가이드 영역(700, 800, 900)을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홀로그램 가이드는 삼각뿔 등을 포함한 다각형의 형상,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이드 영역은 홀로그램 가이드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홀로그램 가이드(720)는 역-피라미드 형상을 갖고, 가이드 영역(700)은 역-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가이드(70)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설명한다.7 to 9, as an example, hologram guides 720, 820, 920 having any of the shapes of an inverted pyramid, a plane, or a cylinder, and a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redundant descriptions of steps tha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4 will be omitted.
도 2,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 이후에,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240) 중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7, and 10,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240) 중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_1)에서는, 입력 영상(240),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250)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receiving instru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a
일 실시예에서,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5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240) 및 지시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step S250 of checking whether instru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image is received,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_1)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240),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750)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705 (S300_1),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1)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1)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표시 영역(705)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step S400_1 of converting the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는 단계(S500)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할 수 있다.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는 단계(S5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S500 of displaying the
이하,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240) 중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은 도 11a 내지 도 12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area and base image when receiving instru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th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240)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의 획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instru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image is not received from a server providing th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획득한 경우,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_2)에서는 입력 영상(240),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a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that a part of the
일 실시예에서, 태그 정보의 획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6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입력 영상(240)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태그 정보를 획득하였는지 여부 혹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입력 영상(240) 중 메인 영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메인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step S260 of checking whether tag information has been acquired,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_2)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240),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705 (S300_2),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2)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2)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step S400_2 of converting the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는 단계(S500)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할 수 있다.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는 단계(S5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step S500 of displaying the
이하, 입력 영상(240)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획득한 경우의 결정된 표시 영역 및 변환된 베이스 영상은 도 13a 내지 14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converted base image when ta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that a part of th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_3)에서는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ta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that some of the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 및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이드 영역(700) 내에 포함되는 베이스 영상(250) 중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1 베이스 영상이라 지칭하고, 베이스 영상(250)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4)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2 베이스 영상이라 지칭할 수 있다.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_3)에서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Weighted Average)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705)을 결정하는 단계(S300_3)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240) 및 가이드 영역(7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을 계산하고, 계산된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표시 영역(705)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703) 및 제2 서브 가이드 영역(703) 각각이 표시 영역(705)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조절함에 따라, 제1 베이스 영상과 제2 베이스 영상을 포함하는 베이스 영상(250)의 가중 산술 평균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705 (S300_3),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3)에서는, 표시 영역(705)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240)을 베이스 영상(25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S400_3 of converting the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는 단계(S500)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705)에 기초하여 변환된 베이스 영상(250)을 표시 영역(705)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S500 of displaying the
이하, 가중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은 도 15 내지 도 16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splay area and base image determined using the weighted arithmetic mea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6B.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1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a holographic image amo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implementing a target image as a holograph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 11a 및 도 11b에는, 입력 영상이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한다. 입력 영상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은 타겟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한다. 타겟 콘텐츠를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베이스 영상은 베이스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FIGS. 11A and 11B,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input video is content. The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a hologram image among the input images is explained as target content. In order to implement target content as a holographic image, the base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s explained as base content.
도 7, 도 10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도 11a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획득한 콘텐츠(1100)가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1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1100) 중, 홀로그램 영상(260, 도 2 참조)으로 구현할 타겟 콘텐츠(11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10, and 11A, in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서, 타겟 콘텐츠(1110)는, 콘텐츠(1100)를 변환한 베이스 영상(1160, 도 11b 참조)을 홀로그램 가이드(720)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는 경우, 콘텐츠(1100)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가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되기를 원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도 11a에는 타겟 콘텐츠(1110)가 콘텐츠(1100)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콘텐츠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겟 콘텐츠(1110)는 콘텐츠(1100)에 포함된 내용을 일부 변형한 콘텐츠일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11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된 경우에는, 타겟 콘텐츠(111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160, 도 11b 참조)를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1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12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 가이드 영역(1120)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을 구분하는 분절선(11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영역(11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B,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100), 가이드 영역(1120)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1120) 중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160)가 표시될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에 표시되는 베이스 콘텐츠를 제1 베이스 콘텐츠,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에 표시되는 베이스 콘텐츠를 제2 베이스 콘텐츠이라 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제1 베이스 콘텐츠 및 제2 베이스 콘텐츠 각각이 베이스 콘텐츠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베이스 콘텐츠의 가중 산술 평균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수학식 1:Equation 1:
이때, 는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이고, 는 제1 베이스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이고, 는 제2 베이스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이고, 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의 제1 가중치이고, 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의 제2 가중치이다. At this time, is the weighted arithmetic mean of the base image, is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first base image is displayed, is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se image is displayed, is the first weight of the first sub-guide area, is the second weight of the second sub-guide area.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학식 1을 통하여 계산된 베이스 콘텐츠의 가중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가이드 영역(1120) 중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베이스 콘텐츠의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가중치는 '1'이고, 제2 가중치는 '0'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베이스 콘텐츠의 가중 산술 평균은 0 내지 1 사이의 정수의 값을 갖는다.At least one
이때, 임계값은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 및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하는 정보의 양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이 '1'에 가까워지도록 설정하는 경우, 베이스 영상에 대한 제1 베이스 영상의 비율은 높아지고, 제2 베이스 영상의 비율은 낮아진다. 즉, 임계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가이드 영역(1110) 중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에 베이스 영상이 표시되고,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에는 베이스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하므로,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reshold may be se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이 '0'에 가까워지도록 설정하는 경우, 베이스 콘텐츠에 대한 제1 베이스 콘텐츠의 비율은 낮아지고, 제2 베이스 콘텐츠의 비율은 높아지므로,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된 정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임계값이 '0'에 가까워질수록 가이드 영역(1110) 중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뿐만 아니라,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에도 베이스 영상이 표시되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하므로,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된 정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720)를 통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 및 정보의 양에 따라 설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임계값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 영역에 대한 제 서브 가이드 영역(11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의 비율을 변경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100)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츠(1110)의 크기 및 모양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에는 콘텐츠(1100) 중 타겟 콘텐츠(1110)에 대응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1100)에 포함된 타겟 콘텐츠(1110)의 크기 및 모양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시 정보에는 타겟 콘텐츠(1110)의 좌표 정보, 크기 및 모양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120)에 대한 정보,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의 비율 및 식별된 타겟 콘텐츠(1110)의 크기 및 모양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120)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 및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 각각의 크기 및 모양과 식별된 타겟 콘텐츠(1110)의 크기 및 모양을 비교하여, 타겟 콘텐츠(111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160)가 가이드 영역(1120) 내에 포함되도록 베이스 콘텐츠(1160)의 크기 및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의 비율에 따라, 타겟 콘텐츠(111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160)에 대한 제1 베이스 콘텐츠 및 제2 베이스 콘텐츠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베이스 콘텐츠(1160)의 크기 및 모양과, 결정된 베이스 콘텐츠(1160)의 제1 베이스 콘텐츠 및 제2 베이스 콘텐츠에 기초하여, 베이스 콘텐츠(1160)가 표시될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1100)를 베이스 콘텐츠(1160)로 변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타겟 콘텐츠(1110)을 리사이즈(resize), 크롭(crop), 로테이트(rotate) 또는 오버레이(overlay)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베이스 콘텐츠(116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도 11b에는 임계값이 '1'로 설정된 경우에, 결정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베이스 콘텐츠(1160)가 도시되어 있다. 임계값이 '1'로 설정된 경우, 표시 영역은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만을 포함하고, 식별된 타겟 콘텐츠(1110)을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160)가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에 표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식별된 타겟 콘텐츠(1110)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표시 영역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결정되고, 베이스 콘텐츠(1160)도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변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FIG. 11B shows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the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의 크기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해 구현할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ize of the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네 개의 반사 면들을 포함하므로, 표시 영역도 네 개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네 개의 서브 표시 영역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베이스 콘텐츠(1160)를 네 개의 서브 표시 영역들 각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서브 표시 영역들 각각에 표시되는 베이스 콘텐츠(1160)는, 역-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중심을 향하도록 로테이트되어 디스플레이(710)에 표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since the
도 1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12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a holographic image in a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implementing a target image as a holograph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1A and 11B will be omitted.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입력 영상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 입력 영상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은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 타겟 콘텐츠를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베이스 영상은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Additionally, in FIGS. 12A and 12B, it is explained that the input image is a graphic user interface. The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a holographic image among the input images is explained as a target graphical user interface. In order to implement target content as a holographic image, the base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s explained as a base graphic user interface.
도 7, 도 10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도 12a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획득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가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 중, 홀로그램 영상(260, 도 2 참조)으로 구현할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10, and 12A, in one embodiment, FIG. 12A illustrates a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12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콘(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가 하나의 제1 아이콘(1210) 및 열 개의 제2 아이콘들(122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제1 아이콘(12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콘(1220) 각각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Aspect ratio) 및 배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를 변환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 도 12b 참조)을 홀로그램 가이드(720)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가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되기를 원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arget
도 12a에는,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하나의 제1 아이콘(1210_1)과 세 개의 제2 아이콘(1220_1)이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하나의 제1 아이콘(1210_1)의 크기 및 가로세로비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에 포함된 하나의 제1 아이콘(1200)의 크기 및 가로세로비는 상이할 수 있다.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제2 아이콘(1220_1)의 크기 및 개수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에 포함된 제2 아이콘(1220)의 크기 및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제1 아이콘(1210_1) 및 제2 아이콘(1220_1)의 배치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에 포함된 제1 아이콘(1210) 및 제2 아이콘(1220)의 배치는 상이할 수 있다.In FIG. 12A, the target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의 크기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의 크기와 상이하고,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아이콘들 각각의 개수, 가로세로비, 배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아이콘들 각각의 개수, 가로세로비, 배치와 동일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ly the size of the target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를 표시 영역(70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1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 가이드 영역(1240)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1240) 중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가 표시될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24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250),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260) 및 분절선(127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250)에 표시되는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60)에 표시되는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se graphic user interface displayed in the first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의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중 산술 평균을 결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수학식 2:Equation 2:
이때, 는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중 산술 평균이고, 는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이고, 는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이고, 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의 제1 가중치이고, 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의 제2 가중치이다. At this time, is the weighted arithmetic mean of the 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is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first 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is displayed, is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is displayed, is the first weight of the first sub-guide area, is the second weight of the second sub-guide area.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학식 2를 통하여 계산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중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가이드 영역(1240) 중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배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 중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대응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에 포함된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배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시 정보에는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배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tr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size, aspect ratio, and arrangement of icons included in the target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240)에 대한 정보,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25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260)의 비율 및 식별된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의 크기 및 모양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00)를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로 변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를 리사이즈(resize), 크롭(crop), 로테이트(rotate) 또는 오버레이(overlay)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도 12b에는 임계값이 '1'로 설정된 경우에, 결정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식별된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표시 영역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결정되고,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도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변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A and 12B, when the threshold is set to '1', FIG. 12B shows a determined display area and a base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네 개의 반사 면들을 포함하므로, 표시 영역도 네 개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네 개의 서브 표시 영역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를 네 개의 서브 표시 영역들 각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서브 표시 영역들 각각에 표시되는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80)는, 역-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의 중심을 향하도록 로테이트되어 디스플레이(710)에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since the
도 1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 일부인 메인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상이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video that is part of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displaying a main image in a first sub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는, 입력 영상이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한다. 입력 영상 중 일부인 메인 영상은 메인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한다.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베이스 영상은 베이스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FIGS. 11A and 11B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FIGS. 13A and 13B, it is explained that the input video is content. The main video, which is part of the input video, is explained as main content. The base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s explained as base content.
도 7, 도 10 및 도 1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도 13a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획득한 콘텐츠(1300)가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3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1300) 중 일부가 메인 콘텐츠(1310)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10, and 13A, in one embodiment,
이때, 메인 콘텐츠(1310)는 콘텐츠(13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가 콘텐츠(1300)에 포함된 정보 중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한 콘텐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1300)가 사람의 상반신을 정면에 표시하고, 사람의 상반신의 배경으로 사람이 위치한 장소의 배경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13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는 콘텐츠(1300)의 일부인 사람의 상반신이 메인 콘텐츠(1310)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13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된 경우에는,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이 메인 영상(1310)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콘텐츠(1300)를 변환한 베이스 콘텐츠(1360, 도 13b 참조)를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13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가 콘텐츠(1300) 중 일부가 메인 콘텐츠(1310)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300)에 기초하여 메인 콘텐츠(1310)를 식별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300)에서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콘텐츠(예를 들어, 사람의 상반신 등)을 메인 콘텐츠로 식별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식별한 콘텐츠와 주변 콘텐츠의 경계를 검출하고, 식별한 콘텐츠를 크롭한 후, 검은색 배경 등에 오버레이한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로 식별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erver or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d the
도 1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32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330),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340) 및 가이드 영역(1320)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을 구분하는 분절선(13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B,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300), 가이드 영역(1320)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1320) 중 베이스 콘텐츠(1360)가 표시될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콘텐츠(1360)는 메인 콘텐츠(131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 및 콘텐츠(1300) 중 메인 콘텐츠(1310)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베이스 콘텐츠(1360_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메인 영상(1310)을 구현하기 위한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가 가이드 영역(132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 중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330)에 표시되고, 제2 베이스 콘텐츠(1360_2)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330)에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학식 1에 따라,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 및 제2 베이스 콘텐츠(1360_2) 각각의 베이스 콘텐츠(1360)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베이스 콘텐츠(1360)의 가중 산술 평균을 결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학식 1을 통하여 계산된 베이스 콘텐츠(1360)의 가중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가이드 영역(1120) 중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300)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콘텐츠(1310)의 크기 및 모양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 정보에는 콘텐츠(1300) 중 일부인 메인 콘텐츠(1310)에 대응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1300)에 포함된 메인 콘텐츠(1310)의 크기 및 모양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태그 정보에는 메인 콘텐츠(1310)의 좌표 정보, 크기 및 모양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320)에 대한 정보,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3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340)의 비율 및 식별된 메인 콘텐츠(1310)의 크기 및 모양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120)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330)의 크기 및 모양과 식별된 메인 콘텐츠(1310)의 크기 및 모양을 비교하여, 메인 콘텐츠(1310)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360)가 가이드 영역(1320) 내에 포함되도록 베이스 콘텐츠(1360)의 크기 및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1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140)의 비율에 따라, 베이스 콘텐츠(1360)에 대한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의 비율과 제2 베이스 콘텐츠(1360_2)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베이스 콘텐츠(1360)의 크기 및 모양과, 결정된 베이스 콘텐츠(1360)에 대한 제1 베이스 콘텐츠의 비율과 제2 베이스 콘텐츠의 비율에 기초하여, 베이스 콘텐츠(1360)가 표시될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1100)를 베이스 콘텐츠(1360)로 변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1300)을 크롭(crop), 리사이즈(resize), 로테이트(rotate) 또는 오버레이(overlay)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베이스 콘텐츠(136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도 13b에는 임계값이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결정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베이스 콘텐츠(1360)를 도시되어 있다. 콘텐츠(1300)는 서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콘텐츠인 메인 콘텐츠(1310)와, 서있는 사람을 제외한 배경(예를 들어, 지면(ground), 돌, 달 등) 등의 나머지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A and 13B , FIG. 13B shows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the
베이스 콘텐츠(1360)는 메인 콘텐츠(131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와 나머지 콘텐츠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베이스 콘텐츠(1360_2)를 포함할 수 있다.The
표시 영역은,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과, 제2 베이스 콘텐츠(1360_2)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은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330)에 포함된다. 제2 베이스 콘텐츠(1360_2)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은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340)에 포함될 수 있다.The display area may include an area for displaying the first base content 1360_1 and an area for displaying the second base content 1360_2. An area for displaying the first base content 1360_1 is included in the first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을 1로 설정할 경우, 베이스 콘텐츠(1360)는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만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은 제1 베이스 콘텐츠(1360_1)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330)에 포함되는 영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when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을 '1'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해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은, 메인 콘텐츠(1310)를 구현한 품질이 높은 홀로그램 영상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을 '0'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은, 메인 콘텐츠(1310)를 구현한 홀로그램 영상 외에도, 나머지 콘텐츠를 구현한 홀로그램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r the at least one
도 1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일부인 메인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영상이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3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1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image that is par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for displaying a main image in a first sub guid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1A to 13B will be omitted.
또한,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입력 영상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 입력 영상 중 일부인 메인 영상은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베이스 영상은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Additionally, in FIGS. 14A and 14B, it is explained that the input image is a graphic user interface. The main video, which is part of the input video, is explained as the main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base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s explained as a base graphic user interface.
도 7, 도 10 및 도 1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도 14a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획득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가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중 일부가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10, and 14A, in one embodiment, FIG. 14A illustrates a
이때,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에 포함된 정보 중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in graphical user interface 1430 may be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the server or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d the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는 하나의 제1 아이콘(1410) 및 열 개의 제2 아이콘들(1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아이콘(1410)은 열 개의 제2 아이콘들(14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2 아이콘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아이콘일 수 있다. 제1 아이콘(1410)의 크기는 어느 하나의 제2 아이콘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태그 정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를 제공한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중 제1 아이콘(1410)을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로 판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되지 않은 것을 확인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710)와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결합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를 변환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1480_2, 도 14b 참조)를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7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1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44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450),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 가이드 영역(1440)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을 구분하는 분절선(14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B,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가이드 영역(1440)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1440) 중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1480_2)가 표시될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1480_2)는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1)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중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를 제외한 나머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2, 1483)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를 구현하기 위한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1)가 가이드 영역(144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 중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1)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481)에 표시되고,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2, 1483)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학식 2에 따라,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1) 및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2, 1483) 각각의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1480_2)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1480_2)의 가중 산술 평균을 결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학식 2을 통하여 계산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1480_2)의 가중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가이드 영역(1440) 중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및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배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 정보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중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에 대응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에 포함된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배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시 정보에는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배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440)에 대한 정보,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45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의 비율 및 식별된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의 크기 및 모양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를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1480_2)로 변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목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를 리사이즈(resize), 크롭(crop), 로테이트(rotate) 또는 오버레이(overlay)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하여, 표시 영역 중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450) 내의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1)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 중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를 제외한 나머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리사이즈(resize), 크롭(crop), 로테이트(rotate) 또는 오버레이(overlay)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하여,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 내의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2, 1483)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도 14b에는 임계값이 '1'보다 작은 제1 임계값으로 설정된 경우의,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1) 및 임계값이 제1 임계값보다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0_2)가 도시되어 있다. 14B shows a 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1480_1 when the threshold is set to a first threshold value less than '1' and a 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1480_2 where the threshold value is set to a value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It is done.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임계값이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으로 설정된 경우 각각, 표시 영역 중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450)에 포함되는 영역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결정되고,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1)도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변환된다.In one embodiment, since the identified main graphical user interface 1430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the threshold is set to the first threshold and the second threshold, respectively, 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임계값이 '0'에 가까워질수록,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 중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가 늘어나게 된다. 임계값이 '0'에 가까워질수록, 표시 영역 중,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45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는 일정하고,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the threshold approaches '0', the size of the area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갖는 가이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포함되는 영역은,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 중 가중치가 큰 값을 갖는 가이드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econd
일 실시예에서, 임계값이 '0'에 가까워질수록,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되는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에 대응되는 홀로그램 영상은 일정하고, 나머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증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the threshold approaches '0', the hologram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in graphic user interface 1430 included in the
따라서, 임계값이 제1 임계값으로 설정된 경우의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는, 임계값이 제2 임계값으로 설정된 경우의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임계값이 제1 임계값으로 설정된 경우의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2)는, 임계값이 제2 임계값으로 설정된 경우의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3)보다 작을 수 있다.Therefore, the size of the area included in the secon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임계값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의 크기를 '1'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2)를 작게 하여, 홀로그램 영상(260) 중 나머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270)에게 제공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품질(예를 들어,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되는 홀로그램 영상의 품질이 높은 하나의 제1 아이콘(1410))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r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의 크기를 '0'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46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82)를 크게 하여, 홀로그램 영상(260) 중 나머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270)에게 제공하는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된 정보의 양(예를 들어, 열 개의 제2 아이콘들(1420) 중 홀로그램 영상(26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콘들의 수)을 늘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r the at least one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결정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determined such that the weighted arithmetic mean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of content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 11a 내지 도 14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에는 입력 영상이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하고,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베이스 영상은 베이스 콘텐츠인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1A to 14B will be omitted. In Figure 15, the input image is explained as content, and the base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s explained as base content.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52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530),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540) 및 가이드 영역(1520)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을 구분하는 분절선(155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150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560)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530)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콘텐츠(1560_1)와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540)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콘텐츠(1560_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7, 도 10, 도 11a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 도 3 참조)는 콘텐츠(1100)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1100) 중 타겟 콘텐츠(11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100)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콘텐츠(1100) 중 메인 콘텐츠(1310, 도 13a 참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 콘텐츠(1100) 중 메인 콘텐츠를 식별하지 않을 수 있다.7, 10, 11A, and 15, at least one processor 340 (see FIG. 3) receives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콘텐츠(1100) 중 타겟 콘텐츠(1110)나 메인 콘텐츠(131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 수학식 1을 통하여 베이스 콘텐츠(1560)의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520)에 대한 정보,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5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540)의 비율 및 콘텐츠(1500)의 크기 및 모양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520)의 크기 및 모양과 콘텐츠(1500)의 크기 및 모양을 비교하여, 콘텐츠(150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콘텐츠(1560)가 가이드 영역(1520) 내에 포함되도록 베이스 콘텐츠(1560)의 크기 및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베이스 콘텐츠(1560)의 크기 및 모양과,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530)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540)의 비율에 기초하여, 베이스 콘텐츠(1560)가 표시될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콘텐츠(1500)를 베이스 콘텐츠(1560)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도 15에는, 임계값이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결정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베이스 콘텐츠(1560)가 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을 '1'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54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는 작아지고, 표시 영역 중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530)에 포함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베이스 콘텐츠(1560)를 구현한 품질이 높은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In Figure 15, the display area determined when the threshold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1' and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임계값을 '0'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표시 영역에 포함된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540)의 크기는 커지고, 표시 영역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530) 및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540)에 표시되는 베이크 콘텐츠(1560)를 구현한, 정보의 양이 많은 홀로그램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the at least one
도 1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결정된 표시 영역 및 베이스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area and a base image in which the weighted arithmetic mean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이하, 도 11a 내지 도 15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입력 영상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베이스 영상은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1A to 15 will be omitted. In FIGS. 16A and 16B, it is explained that the input image is a graphic user interface. The base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s explained as a base graphic user interface.
도 7, 도 10 및 도 16a를 참조하면, 도 16a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획득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7, 10, and 16A, FIG. 16A shows a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는 복수의 아이콘들(16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가 스물 네 개의 아이콘들(161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물 네 개 미만 혹은 스물 다섯 개 이상의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는 스물 네 개의 아이콘들(1610)이 모두 동일한 크기 및 가로세로비를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에 포함되는 아이콘들 각각의 크기, 배치, 및 가로세로비는 상이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도 1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620)은 제1 가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630),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640), 가이드 영역(1620)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을 구분하는 분절선(16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B,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를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60_1, 1660_2)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630)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61)와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640)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6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graphic user interfaces 1660_1 and 1660_2 for implementing th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 도 3 참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 중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 도 12a 참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 중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 도 14a 참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 중 메인 콘텐츠를 식별하지 않을 수 있다.At least one processor 340 (see FIG. 3)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graphic user interface 1230 (see FIG. 12A)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 중 타겟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나 메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4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 수학식 2를 통하여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의 가중 산술 평균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1610)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배치 등을 식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영역(1620)에 대한 정보, 결정된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630)의 비율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640)의 비율 및 식별된 복수의 아이콘들(1610)의 개수, 크기, 가로세로비 또는 배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00)를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60_1, 1660_2)로 변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도 16b에는 임계값이 '1'인 제1 임계값으로 설정된 경우의,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60_1) 및 임계값이 제1 임계값보다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된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60_2)가 도시되어 있다.16B shows a 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1660_1) when the threshold is set to a first threshold of '1' and a 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1660_2) where the threshold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임계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표시 영역 중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640)에 포함되는 영역의 크기가 작아진다. 임계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표시 영역 중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630)에 포함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베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660_1, 1660_2)를 구현한, 품질이 높은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the threshold approaches '1', the size of the area included in the second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홀로그램 영상의 동일한 면으로 구현되는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도 7a 및 도 11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base images implemented as the same side of a holographic image in front of each of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2, 7A, and 11B will be omitted.
도 2, 도 7, 도 11a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에는 역-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디스플레이(710)에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영역(1700)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영역(170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710),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720) 및 가이드 영역(1700)에 포함된 네 개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을 구분하는 분절선(17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7, 11A, and 17, FIG. 17 shows a
도 17에는, 임계값이 '1'로 설정되어, 표시 영역이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71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네 개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에 각각 포함된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베이스 영상(1740)은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FIG. 17 , the threshold is set to '1' and the display area is shown to be included in 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네 개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710)을 제1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710_1), 제2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710_2), 제3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710_3) 및 제4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710_4)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들(1710_1, 1710_2, 1710_3, 1710_4)에 각각 포함된 표시 영역을 제1 서브 표시 영역, 제2 서브 표시 영역, 제3 서브 표시 영역 및 제4 서브 표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베이스 영상(1740)은 제1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영상(1740_1), 제2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영상(1740_2), 제3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3 베이스 영상(1740_3) 및 제4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4 베이스 영상(1740_4)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바라보는 사용자(27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270)에게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형상이 달라지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174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네 개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네 개의 반사 면들 정면에서 서로 다른 면으로 사용자(270)에게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174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720)는 네 개의 반사 면들을 갖고,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영역들은 각각 네 개의 반사 면들에 대응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서로 다른 면을 구현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베이스 영상들(1740_1, 1740_2, 1740_3, 1740_4)을 각각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영역들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이 3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및 배경을 전면(front side)에서 본 장면을 표시하는 영상이라고 하면, 제1 내지 제4 베이스 영상들(1740_1, 1740_2, 1740_3, 1740_4)는 3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및 배경을 전면(front side), 우측 면(right side), 좌측 면(left side) 및 후면(back side)에서 본 장면을 표시하는 영상들 각각을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들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the input image is an image displaying a scene with an object containing 3D information and a background viewed from the front side, the first to fourth base images 1740_1, 1740_2, 1740_3, and 1740_4 Each of the images displaying the scene viewed from the front side, right side, left side, and back side of the object and background contain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is a holographic image (260). ) may be base images for implementation.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가 물체 및 배경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을 획득한 경우, 입력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전면 영상을 획득한 후, 획득한 전면 영상을 입력 영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t least one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바라보는 사용자(27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270)에게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달라지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4 베이스 영상들(1740_1, 1740_2, 1740_3, 1740_4)을 획득하기 위하여,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전면 영상, 우측 면 영상, 좌측 면 영상, 후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들을 제1 내지 제4 베이스 영상들(1740_1, 1740_2, 1740_3, 1740_4)로 변환할 수 있다.At least one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영역들에 각각 표시된 제1 내지 제4 베이스 영상들(1740_1, 1740_2, 1740_3, 1740_4)을 홀로그램 가이드(720)를 이용하여 구현한 홀로그램 영상(260)은, 네 개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홀로그램 영상(260)의 서로 다른 면의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 도 1 참조)에 의하여 구현된 홀로그램 영상(260)을 바라보는 사용자(270)는, 사용자(270)의 위치에 따라 홀로그램 영상(260)의 다른 면을 볼 수 있어, 사용자(270)가 느끼는 입체감이 향상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영역들 중 전면 영상을 변환한 제1 베이스 영상(1740_1)을 표시할 서브 표시 영역은, 홀로그램 영상(260)을 바라보는 사용자(270)의 위치 정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사용자 추적 센서(320, 도 3 참조)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영상(260)을 바라보는 사용자(270)의 최초 위치에 홀로그램 영상(260)의 전면이 표시되도록 제1 베이스 영상(1740_1)을 표시할 서브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mong the first to fourth sub-display areas, the sub-display area to display the first base image 1740_1 converted from the front imag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홀로그램 영상의 서로 동일한 면으로 구현되는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base images implemented as the same side of a holographic image in front of each of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 17 will be omitted.
도 2, 도 7, 도 11a 및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에는 역-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디스플레이(710)에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영역(1800)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영역(1800)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810),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1820) 및 가이드 영역(1800)에 포함된 네 개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을 구분하는 분절선(18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7, 11A, and 18, FIG. 18 shows a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네 개의 구역 가이드 영역들에 포함된 제1 서브 가이드 영역(1810)을 제1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810_1), 제2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810_2), 제3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810_3) 및 제4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1810_4)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구역 가이드 영역들(1810_1, 1810_2, 1810_3, 1810_4)에 각각 포함된 표시 영역을 제1 서브 표시 영역, 제2 서브 표시 영역, 제3 서브 표시 영역 및 제4 서브 표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베이스 영상(1840)은 제1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영상(1840_1), 제2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영상(1840_2), 제3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3 베이스 영상(1840_3) 및 제4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4 베이스 영상(1840_4)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720)에 의하여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바라보는 사용자(270)의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270)에게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의 형상이 일정한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184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홀로그램 가이드(720)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네 개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네 개의 반사 면들 정면에서 동일한 면으로 사용자(270)에게 제공되는 홀로그램 영상(260)을 구현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1840)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이 3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및 배경을 전면(front side)에서 본 장면을 표시하는 영상이라고 하면, 제1 내지 제4 베이스 영상들(1840_1, 1840_2, 1840_3, 1840_4)는 3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및 배경을 전면(front side), 우측 면(right side), 좌측 면(left side) 및 후면(back side) 중 어느 하나의 면에서 본 장면을 표시하는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260)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들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the input image is an image displaying a scene with an object containing 3D information and a background viewed from the front side, the first to fourth base images 1840_1, 1840_2, 1840_3, and 1840_4 A hologram is an image that displays an object and background contain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s seen from any one of the front side, right side, left side, and back side. These may be base images to be implemented as an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영역들에 각각 표시된 제1 내지 제4 베이스 영상들(1840_1, 1840_2, 1840_3, 1840_4)을 홀로그램 가이드(720)를 이용하여 구현한 홀로그램 영상(260)은, 네 개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홀로그램 영상(260)의 동일한 면의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 도 1 참조)에 의하여 구현된 홀로그램 영상(260)을 바라보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의 위치가 서로 다르더라도, 홀로그램 영상(260)의 동일한 면을 볼 수 있다.Th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에 기초한 베이스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120)에 의해 제공되게 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영상의 구현함에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 및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 중 베이스 영상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in one embodiment, it includes a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11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11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베이스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11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입력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홀로그램 가이드(1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수신한 홀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는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 홀로그램 가이드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개수,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이 디스플레이와 이루는 각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보다 작은 제3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제3 가중치를 갖는 제3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제3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may include a first weight, a secon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and a thir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second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may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a first weight, a second sub-guide area with a second weight, and a third sub-guide area with a third we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second sub guide area may be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third sub guide area.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입력 영상,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태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입력 영상,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이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 중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및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영상은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Weighted Average)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임계값이 클수록, 베이스 영상에 대한 제2 베이스 영상의 비율이 낮아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may include a first weight and a secon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may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a first weight and a second sub-guide area with a second weight. The base image may include a first bas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sub-guide area and a second base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ub-guide area.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은, 콘텐츠(content)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put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ntent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복수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표시 영역은 복수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동일한 면으로 구현되도록 입력 영상을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 각각을 복수의 표시 면들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복수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표시 영역은 복수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서로 다른 면으로 구현되도록, 입력 영상을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로 변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 각각을 복수의 표시 면들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에 기초한 베이스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120)에 의해 제공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홀로그램 영상의 구현함에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 및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 중 베이스 영상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베이스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12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1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베이스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10)와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홀로그램 가이드(120)로부터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수신한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는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 홀로그램 가이드의 형상, 홀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개수,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이 디스플레이와 이루는 각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보다 작은 제3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제3 가중치를 갖는 제3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제3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may include a first weight, a secon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and a thir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second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may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a first weight, a second sub-guide area with a second weight, and a third sub-guide area with a third we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second sub guide area may be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third sub guide area.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 중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_1)에서는 입력 영상,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영상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1)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_2)에서는 입력 영상,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이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 중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2)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 및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of operating the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및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영상은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_3)에서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제1 베이스 영상 및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Weighted Average)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표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임계값이 클수록, 베이스 영상에 대한 상기 제2 베이스 영상의 비율이 낮아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may include a first weight and a secon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may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a first weight and a second sub-guide area with a second weight. The base image may include a first bas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sub-guide area and a second base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ub-guide area.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S300_3), the weighted arithmetic average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calculated using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is displayed so that it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area can be determined. The larger the preset threshold, the lower the ratio of the second base image to the base image.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복수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표시 영역은 복수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상을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에서는,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동일한 면으로 구현되도록, 입력 영상을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로 변환할 수 있다. 베이스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S500)에서는,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 각각을 복수의 표시 면들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개시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t least one method of the disclose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on a computer may be provided.
본 개시에서 설명된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Programs executed by the electronic device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A program can be executed by any system that can execut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Software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stored o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for example, magnetic storage media (e.g.,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 media (e.g., CD-ROM). (CD-ROM), DVD (Digital Versatile Disc), etc.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among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recording medium can be read by a computer, stored in memory, and executed by a processor.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non-transitory storage media. Her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only means that it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This term refers to cases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temporary storage media.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it is stored as . For example,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buffer where data is temporarily stor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Additionally, programs according to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자 장치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downloadabl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전자 장치의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include a software program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on which the software program is stored.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es a product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e.g., a downloadable application) that is distributed electronically by the manufacturer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rough an electronic marketplace (e.g., Samsung Galaxy Store). can do. For electronic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oftware program may be stored on a storage medium or created temporarily. In this case, the storage medium may be a storage medium of a server of an electronic device manufacturer, a server of an electronic market, or a relay server that temporarily stores a software program.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컴퓨터 시스템 또는 모듈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described computer system or modul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may b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replaced or replaced by .
Claims (20)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330); 및
상기 메모리(330)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입력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영상에 기초한 베이스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120)에 의해 제공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홀로그램 영상의 구현함에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영상 및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 영역 중 상기 베이스 영상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100).display 110;
a memory 330 that stores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t least one processor 340 that executes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330,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Acquire the input image,
In order to provide a holographic image implemented by reflecting the base image based on the input image by the holographic guide 120, a guid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guide areas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 implementing the holographic image.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area,
Based on the input image and information about the guide area, determine a display area among the guide areas in which the base image can be displayed with a weight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the display 110 to convert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display it in the display are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영상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Check whether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connected,
As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confirmed to be connected, the display 11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base image in the display area,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not conn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the display 110 to display the input imag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로부터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홀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는,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형상,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개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루는 각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 and 2,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hologram guide from the hologram guide 120,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guide area based on the received hologram guid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hologram guide may include the type of the hologram guide, the shape of the hologram guide, the number of at least one reflective surface included in the hologram guide, the angle formed by the at least one reflective surface with the display, or the at least one An electronic device 100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of the reflective surface.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상기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보다 작은 제3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상기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상기 제3 가중치를 갖는 제3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는, 상기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보다 가까운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clude a first weight, a second weight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and a third weight smaller than the second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the first weight, a second sub-guide area with the second weight, and a third sub-guide area with the third we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second sub guide area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third sub guide are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상기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중 상기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입력 영상,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영상을 상기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When instru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the holographic image among the input images is received from a server or a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the input image,
Based on the input image, information on the guide area, and the instruction information, determine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base image for implementing the target image as the holographic image can be displayed,
An electronic device (100) that converts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the instruc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input image in the display are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상기 입력 영상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입력 영상,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이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 중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When tag information containing information that some of the input videos is the main video is received,
Based on the input image, information on the guide area, and the tag information, the display area allows a base image for implementing the main image to be displayed in an area with the great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Decide,
An electronic device (100) that converts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the tag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input image in the display area.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영상은,
상기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영상 및 상기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상기 제1 베이스 영상 및 상기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Weighted Average)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이 클수록, 상기 베이스 영상에 대한 상기 제2 베이스 영상의 비율이 낮아지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clude a first weight and a secon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the first weight and a second sub-guide area with the second weight,
The base video is,
Comprising a first bas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sub-guide area and a second base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ub-guide area,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such that a weighted arithmetic average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calculated using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greater the preset threshold, the lower the ratio of the second base image to the base image.
상기 입력 영상은,
콘텐츠(content)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input video is,
An electronic device 100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tent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복수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복수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상기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동일한 면으로 구현되도록,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표시 면들에 각각 표시하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n the hologram guid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the display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so that the hologram image, which is implemented by reflecting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is implemented on the same surface in fro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An electronic device (100) that displays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on the plurality of display surfaces.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복수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복수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40)는,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상기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서로 다른 면으로 구현되도록,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표시 면들에 각각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n the hologram guid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the display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The at least one processor 340,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so that the holographic image, which is implemented by reflecting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is implemented in different faces in fro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
An electronic device (100) that displays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on the plurality of display surfaces.
상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입력 영상에 기초한 베이스 영상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홀로그램 가이드(120)에 의해 제공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홀로그램 영상의 구현함에 있어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
상기 입력 영상 및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 영역 중 상기 베이스 영상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가중치를 갖고 표시될 수 있는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 및
상기 베이스 영상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100 including a display 110,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Obtaining an input image (S100);
In order to provide a holographic image implemented by reflecting the base image based on the input image by the holographic guide 120, a guid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guide areas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 implementing the holographic image.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S200);
Based on the input image and information about the guide area, determining a display area among the guide areas in which the base image can be displayed with a weight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300);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S400);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ing displaying the base image in the display area (S500).
상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영상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10)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claim 11,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mprising a step (S150) of checking whether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connected,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connected, as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confirmed to be connected, the base image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Control the display 110 to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connected, as it is confirmed that the display 110 and the hologram guide 120 are not connected, the input image is displaye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100 that controls a display 110.
상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로부터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정보는,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종류,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의 형상,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개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루는 각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 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claim 12,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hologram guide from the hologram guide 120,
In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guide area,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guide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hologram guide,
The information on the hologram guide may include the type of the hologram guide, the shape of the hologram guide, the number of at least one reflective surface included in the hologram guide, the angle formed by the at least one reflective surface with the display, or the at least on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100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material of a reflective surface.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상기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보다 작은 제3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상기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상기 제3 가중치를 갖는 제3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2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는, 상기 제1 서브 가이드 영역과 상기 제3 서브 가이드 영역 간의 거리보다 가까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clude a first weight, a second weight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and a third weight smaller than the second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the first weight, a second sub-guide area with the second weight, and a third sub-guide area with the third weight,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second sub guide area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b guide area and the third sub guide area.
상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주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중 상기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할 타겟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_1)에서는,
상기 입력 영상,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영상을 상기 홀로그램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1)에서는,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eceiving instruc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target image to be implemented as the holographic image among the input images from a server or a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providing the input imag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S300_1),
Based on the input image, information on the guide area, and the instruction information, determine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base image for implementing the target image as the holographic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S400_1),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the instruction information.
상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 중 일부가 메인 영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_2)에서는,
상기 입력 영상, 상기 가이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영상이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 중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_2)에서는,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ta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that some of the input images are main images,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S300_2),
Based on the input image, information on the guide area, and the tag information, the display area allows a base image for implementing the main image to be displayed in an area with the great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Decide,
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S400_2),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and the tag information.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가중치는,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1 가중치보다 작은 제2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 영역들은, 상기 제1 가중치를 갖는 제1 서브 가이드 영역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갖는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영상은,
상기 제1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베이스 영상 및 상기 제2 서브 가이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베이스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300_3)에서는,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상기 제1 베이스 영상 및 상기 제2 베이스 영상의 가중 산술 평균(Weighted Average)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이 클수록, 상기 베이스 영상에 대한 상기 제2 베이스 영상의 비율이 낮아지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The plurality of different weights include a first weight and a second weight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eight,
The plurality of sub-guide areas include a first sub-guide area with the first weight and a second sub-guide area with the second weight,
The base video is,
Comprising a first bas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sub-guide area and a second base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ub-guide area,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S300_3),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such that a weighted arithmetic average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calculated using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which the larger the preset threshold, the lower the ratio of the second base image to the base image.
상기 입력 영상은,
콘텐츠(content)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at least one of claims 11 to 17,
The input video i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100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tent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상기 홀로그램 가이드(120)가 복수의 반사 면들을 포함할 때,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복수의 반사 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 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베이스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S400)에서는,
상기 결정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을 반사하여 구현되는 상기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복수의 반사 면들 각각의 정면에서 동일한 면으로 구현되도록,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S500)에서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영상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표시 면들 각각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8,
When the hologram guid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the display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base image (S400),
Based on the determined display area, converting the input image into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so that the hologram image, which is implemented by reflecting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is implemented on the same surface in fro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In the step (S500) of displaying the base image in the display area,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displa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image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surface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2036 WO2024058438A1 (en) | 2022-09-15 | 2023-08-14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holograph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US19/068,134 US20250199471A1 (en) | 2022-09-15 | 2025-03-03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holograph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6683 | 2022-09-15 | ||
KR20220116683 | 2022-09-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7799A true KR20240037799A (en) | 2024-03-22 |
Family
ID=9048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7506A Pending KR20240037799A (en) | 2022-09-15 | 2022-11-22 |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holograph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37799A (en) |
-
2022
- 2022-11-22 KR KR1020220157506A patent/KR20240037799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72203B2 (en) | Gaze-controlled user interface with multimodal input | |
KR101350526B1 (en) | Image manipulation based on tracked eye movement | |
US9224237B2 (en) |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planes of content | |
JP5693966B2 (en) | Projecting graphic objects on interactive uneven displays | |
US9299183B2 (en) | Detection of partially obscured objects in three dimensional stereoscopic scenes | |
US20150085076A1 (en) | Approaches for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 |
US10127711B2 (en) | Method and apparatus rendering caustics | |
US9875075B1 (en) | Presentation of content on a video display and a headset display | |
KR20170076471A (en) | Deform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the same | |
US20190113970A1 (en) | Gaze and saccade based graphical manipulation | |
US20130215045A1 (en) | Stroke display method of handwrit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 |
CN114747200A (en) | Click-to-lock zoom camera user interface | |
CN109716265A (en) | Based on the graphical manipulation watched attentively and swept | |
US2018003320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device augmented surface | |
KR20240112853A (en) | Anchoring virtual content to physical surfaces | |
EP4582921A1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con,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240037799A (en) |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holograph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US20250199471A1 (en)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holograph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US20170178283A1 (en) | Deformation controllable display based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 |
KR101592977B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404228A1 (en) | Techniques for managing computer-generated experiences | |
US20250173026A1 (en) | Augmented realit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virtual keyboar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20250209720A1 (en) | Techniques for rendering content | |
KR20250054552A (en) | Display device providing mirror image and content through mirror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40035281A (en) | An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prov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which controls an object in the real world spa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