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37796A -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796A
KR20240037796A KR1020220156686A KR20220156686A KR20240037796A KR 20240037796 A KR20240037796 A KR 20240037796A KR 1020220156686 A KR1020220156686 A KR 1020220156686A KR 20220156686 A KR20220156686 A KR 20220156686A KR 20240037796 A KR20240037796 A KR 20240037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rol signal
output
electronic devi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05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58400A1/en
Publication of KR2024003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7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출력부,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를 통해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부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고, 출력부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고, 제어 신호는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1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It includes an out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 memory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is a first type of content, the content output is controlled in the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the content output is controlled in the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content output is controlled in a mode, and the control signal is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nd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Various disclosed embodiments relate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control content output in various mod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사용자는 리모컨 등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등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모컨에 포함된 복수 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리모컨은 선택된 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A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using a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When a user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nput and transmit it to the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s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

기술의 발달로, 전자 장치는 방송용 콘텐츠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lectronic devices can output various types of content in addition to broadcast conten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control various contents using a single remote control.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출력부,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ut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memory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is a first type of content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1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nd a second control signal depending on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can do.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입력부,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n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 memory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자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제1 방향 키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는 다른 제2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first direction key and a second direction key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방향 키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 키는 상기 제어 장치의 상기 전면, 배면, 후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key may be plac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may be plac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back, rear, and side positions of the control device.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n the output content is a first type of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n the output conten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1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nd a second control signal depending on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can do.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at allows a computer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is recorded.

실시 예에서, 기록 매체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recording medium is a program that can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by a computer, including controlling output of the content in a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ent is a first type of content. This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실시 예에서, 기록 매체는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recording medium may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by a computer, including controlling output of content in a secon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ent to be outpu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It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실시 예에서, 기록 매체는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1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recording medium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rol signal is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nd a second control signal depending on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It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ne, is recorded by a computer.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장치에 세 개 이상의 방향 키가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content output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rocessor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llustrates a case where a control device includes three or more direction ke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how an electronic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개시에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표현은 " a", " b", " c", "a 및 b", "a 및 c", "b 및 c", "a, b 및 c 모두", 혹은 그 변형들을 지칭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or c” refers to “a”, “b”, “c”, “a and b”, “a and c”, “b and c”, “a, b and c", or variations thereof.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described as general terms current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is disclosure, but may mean various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You can. Accordingly,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by the name of the term,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disclosure.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particularly in the patent claims, “the” and similar indicator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dditionally,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clearly designating the order of steps describ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described.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Phrases such as “in some embodiments” or “in one embodiment” that appear in various places in this specification do not necessarily all refer to the same embodiment.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of hardware and/or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may be implemented by circuit configurations for certain functions. Additionally, for exampl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Additionally,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ologi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up,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may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mponent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Additionally, connection lines or connection member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erely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an actual device,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replaceable or additional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소비자, 평가자,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erm “user”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person who uses an electronic device and may include a consumer, evaluator, viewer, administrator, or insta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images.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displa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digital TV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데스크톱,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 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톱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캠코더,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 와치(smart watch), 홈 네트워크 시스템, 보안 시스템, 의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desktop, a smart 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or a laptop PC. personal computer, netbook computer, digital camer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camcorder, navigation, wearable device, smart watch, home network syste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urity system and a medical device.

전자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 등과 같이 다양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not only as a flat display device, but also as a curved display device, which is a screen with a curvature, or a flexible display device whose curvature can be adjusted. The output resolu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have various resolutions, such as High Definition (HD), Full HD, Ultra HD, or a resolution clearer than Ultra HD.

전자 장치(100)는 콘텐츠 프로바이더들(contents providers)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는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비디오, 오디오, 자막, 기타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프로바이더는 소비자에게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지상파 방송국이나 케이블 방송국, 위성 방송국, 또는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 제공자나 OTT (Over the Top)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output various types of content provided by content providers. Content may include video such as still images and moving pictures, audio, subtitles, and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A content provider may refer to a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 cable broadcasting station, satellite broadcasting statio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provider, or OTT (Over the Top)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to consumers.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미도시)를 통해 콘텐츠 프로바이더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기기는 PC, 셋톱 박스,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휴대폰, 게임기, 홈 씨어터, 오디오 플레이어, USB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소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HDMI와 같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셋톱 박스를 통해 IPTV 서비스 제공자나 OTT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VOD (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VOD 서비스는 통신망 연결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원하는 시간에 제공하는 서비스로, OTT 서비스 제공자나 IPTV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IPTV 서비스 제공자나 OTT 서비스 제공자는 VOD 콘텐츠 뿐 아니라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nd output various contents generated by a content provider throug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external devices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source devices such as PCs, set-top boxes, Blu-ray disc players, mobile phones, game consoles, home theaters, audio players, USB, etc. An external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HDMI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e various contents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VOD (Video On Demand) content provided by an IPTV service provider or an OTT service provider through a set-top box and output it. VOD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the video the user wants at the desired tim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and can refer to various types of content provided by OTT service providers or IPTV service providers. IPTV service providers or OTT service providers can provide not only VOD content but also real-time broadcast programs.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TV(smart TV)일 수 있다. 스마트 TV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인터넷 접속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TV를 의미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인터넷 TV, 커넥티드 TV(connected TV), 또는 하이브리드 TV(hybrid TV)로도 호칭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smart TV. Smart TV may refer to a digital TV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OS) and an Internet access function. Smart TV may also be called Internet TV, connected TV, or hybrid TV.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외에도 내부에 탑재된 운영 체제를 이용하여 유튜브나 넷플릭스 등의 OTT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VOD 콘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addition to real-time broadcasting program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tream and output various types of VOD content generated by OTT service providers such as YouTube or Netflix using an internally mounted operating system.

이하, 방송 프로그램이나 VOD 콘텐츠 등과 같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콘텐츠를 시청용 콘텐츠로 호칭하기로 한다. Hereinafter, content that users can watch, such as broadcast programs or VOD content, will be referred to as viewing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핑 서비스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뉴스, 날씨, 이메일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센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cess the Internet to provide web surfing services, social network services, etc.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function as a communication center that can check news, weather, e-mail, etc. in real tim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는 디폴트로 다양한 종류의 앱(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앱을 검색하여, 이를 설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앱을 실행시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하여, 원격에 있는 다른 사용자와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xecut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have various types of apps (applications) installed by default.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cess the Internet, search for the app requested by the user, and install it under the user's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un an app to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un an app that provides a video call service and provide a video call service with another remote user.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리모컨(remote controller)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a device used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 user can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에 포함된 입력부는 복수개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사용자의 푸쉬(push) 조작을 수신하는 물리적 버튼이나, 조그 셔틀(Jog & shuttle),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touchpad) 상에 표시되는 터치 버튼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복수개의 키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include an input unit. The input unit may receive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input unit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s. Keys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physical button that receives a user's push operation, a jog & shuttle, or a touch button displayed on a touchpad that detects touch. A user can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150.

제어 장치(150)에 포함된 복수개의 키는 전자 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 예컨대,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하거나, 채널이 변경되도록 하거나, 음량이 조절되도록 하거나,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방송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거나, 화면에서 특정 아이템이나 콘텐츠 등의 오브젝트가 선택되도록 하거나, 환경 설정(setting)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can be used to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can use the control device 15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turning the power on/off, changing channels, adjusting the volume,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broadcasting, satellite broadcasting, One of various broadcasts such as Internet broadcasting can be selected, an object such as a specific item or content can be selected on the screen, or environment settings, etc. can be performed.

과거에는 리모컨이, 숫자 키, 채널 조절 키, 음량 조절 키, 방향 선택 키, 메뉴 선택 키 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키들을 모두 전면에 노출시킨 형태였다. 즉, 기존 리모컨은 TV 기능에 다이렉트(direct)로 매칭되는 키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었다. 리모컨에 포함된 버튼 종류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을 찾는 것이 어려웠고, 전자 장치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보는 대신 리모컨을 보면서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을 선택해야 했다. In the past, the remote control had various types of keys used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number keys, channel control keys, volume control keys, direction selection keys, menu selection keys, etc., exposed on the front. In other words, existing remote controls mostly included keys that directly matched TV functions. Because there are many types of buttons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it was difficult for users to find the button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and they had to look at the remote control and select the button to execute the function instead of looking 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이에, 최근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 버튼들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 위주의 버튼만을 포함한 단순한 형태의 리모컨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을 보면서 일일이 원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키를 찾을 필요 없이, 전자 장치(100)의 화면을 보면서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Accordingly, recently, simple remote contro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hat minimize rarely used buttons and include only buttons for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users. Users can now operate buttons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while looking at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out having to look at the remote control to find keys corresponding to desired functions one by one.

TV가 스마트 TV로 진화하면서 TV 기능이 복잡해지고 새로운 기능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원, 음량 조절, 채널 변경과 같은 간단한 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앱 검색, 웹 서핑, SNS, VOD, 영상 통화,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TV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TV가 실행하는 모든 기능들을 리모컨의 소수의 키로 매칭하여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리모컨에 구비된 소수의 버튼들로 TV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리모컨의 버튼을 여러 단계(steps)나 뎁쓰(depth)에 걸쳐 선택해야 했다. As TVs have evolved into smart TVs, TV functions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many new functions have appeared. Users need to use the remote control not only to perform simple operations such as power, volume control, and channel change, but also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or services such as app search, web surfing, SNS, VOD, video calls, games, etc. . As TVs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there is a limit to matching and using all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TV with a small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Accordingly, in order to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TV with a small number of buttons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the user had to select the buttons on the remote control in several steps or depths.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통신망(130)을 통해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소수의 버튼만을 포함하는 단순한 형태의 리모컨의 일 예이다. 도 1에는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과 후면(150-2)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FIG. 1 illustrat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n embodiment, control device 150 is an example of a simple remote control that includes only a few buttons. 1 shows the front 150-1 and the rear 150-2 of the control device 150, respectively.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복수개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는 복수개의 방향 키(151, 15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s.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rection keys 151 and 155.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전면(150-1)에 제1 방향 키(151)를 구비하고, 배면(150-2)에 제2 방향 키(155)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제어 장치(150)는 전면(150-1)에 제1 방향 키(151)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150)의 배면(150-2)이 아닌, 전면이나 후면, 또는 측면에 제2 방향 키(151)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 장치(150)는 전면(150-1)에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 장치(150)는 전면(150-1)에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를 모두 구비하고, 배면(150-2)에 또 다른 제3 방향 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device 150 has a first direction key 151 on the front side 150-1 and a second direction key 155 on the back side 150-2. can do. However,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control device 150 is provided with a first direction key 151 on the front side 150-1, not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control device 150. , Alternatively, a second direction key 151 may be provided on the side. Alternatively,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provided with both a first direction key 151 and a second direction key 155 on the front surface 150-1. Alternatively, the control device 150 is provided with both a first direction key 151 and a second direction key 155 on the front side 150-1 and another third direction key on the back side 150-2. You may.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가능한 한 편한 자세에서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시청하고자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통상 상체를 뒤로 젖힌 ‘린백(lean back) 상태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경향이 크다. 리모컨 또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중에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므로, 최대한 단순하고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는 형태일 것이 요구된다. 이에, 리모컨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Most users who use a television want to watch content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s comfortable a position as possible. For example, users tend to watch television in a ‘lean back’ state, with their upper body tilted back. The remote control is also a user interface used while the user is watching television in a comfortable position, so it is required to be in a form that can be operated as simply and conveniently as possible. Accordingly, remote controls have been developed into a form that users can operate with one hand.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방향 키(151, 155)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향 키(151)가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배치되고, 제2 방향 키(151)가 제어 장치(150)의 배면(150-2)에 배치된 경우, 제1 방향 키(151)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고, 동시에, 제2 방향 키(155)는 사용자의 검지나 중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rection keys 151 and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operate them with one ha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placed on the front side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1 is placed on the back side 150-2 of the control device 150. , the first direction key 151 may be operated by the user's thumb,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s index or middle finger.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방향 키(151, 155)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향 키(151, 155)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신호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와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direction keys 151 and 155 are selected,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rection keys 151 and 155.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rol signal depending on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and a control signal depending on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1 제어 신호라 하고,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2 제어 신호로 호칭하기로 한다.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키(151)의 4 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 키(155)의 4 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is called a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is called a second control signal. It will be called a control signal.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dditionally,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key code comman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방향 키(151, 155)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향 키(151, 155)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direction keys 151 and 155 are selected,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rection keys 151 and 155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nd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 중인 콘텐츠의 유형이 무엇인지에 따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서 동일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다른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perate differentl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That is,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a different mode in response to the same control signal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콘텐츠의 유형은, 콘텐츠의 타입이나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콘텐츠가 메타버스 콘텐츠인지, 시청용 콘텐츠인지, 또는 영상 통화용 콘텐츠인지 등에 따라 제1 유형, 제2 유형, 제3 유형 등과 같이 다른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콘텐츠의 유형은 인터넷 브라우저 접속을 위한 콘텐츠, 웹 서핑을 위한 콘텐츠, 실시간 채팅 방과 같은 SNS 서비스 제공 콘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The type of content refers to the type or type of content.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ent is metaverse content, viewing content, or video call content, there are different types such as the first type, the second type, and the third type. It can be classified a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ype of content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content for accessing an Internet browser, content for web surfing, content provided by SNS services such as a real-time chat room, etc.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가이드 UI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복수의 방향 키(151, 155) 선택 시 수행되는 동작이나 기능을 안내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The guide UI may be an interface that guides actions or functions performed when a plurality of direction keys 151 and 155 are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방향 키(151, 155) 선택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이 달라질 경우, 사용자는 콘텐츠를 제어할 때 어떤 키를 선택해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출력하는 콘텐츠 유형에 맞는 가이드 UI를 생성하고, 이를 콘텐츠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If the operation performed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direction keys 151 and 155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the user may be confused about which key to select when controlling the content.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a guide UI suitable for the type of content being output and output it together with the content.

실시 예에서, 가이드 UI는, 제1 방향 키(151)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1 가이드 UI 및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guide UI includes a first guide UI displaying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a second guide displaying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I.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벤트는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이 변경되는 이벤트, 및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변경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at preset time intervals or whenever an event occurs. In an embodiment, the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the type of content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changes and an event in which a function controlled based on a control signal changes.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 화면에 출력된 가이드 UI를 이용하여 방향 키(151, 155) 선택 시 수행되는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라 방향 키(151, 155)를 조작함으로써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can use the guide UI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identify the function performed when selecting the direction keys 151 and 155, and control the content by manipulating the direction keys 151 and 155 accordingly. .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the first type of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실시 예에서, 제1 유형의 콘텐츠는 메타버스(Metaverse) 콘텐츠일 수 있다. 메타버스는 아바타(avatar)를 통해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 경제, 교육, 문화, 과학 기술 활동을 할 수 있는 3차원 공간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시켜 메타버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메타버스 콘텐츠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을 나타내는 콘텐츠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type of content may be metaverse content. Metaverse can refer to a three-dimensional space platform that allows social, economic, educational, cultural,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similar to actual reality through avatar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output metaverse content by running an app that provides metaverse content. Metaverse content may be content representing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Metaverse platform.

메타버스 콘텐츠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아바타가 등장한다. 사용자는 아바타를 조작하여 아바타가 다른 아바타와 상호 작용을 하게 하거나, 주변을 탐색하게 하거나, 다양한 상황에 맞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아바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아바타의 이동 방향과 시선 방향을 각각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Metaverse content features avatars that users can manipulate. Users can manipulate the avatar to make the avatar interact with other avatars, explore the surroundings, or perform actions appropriate for various situations. In order to control the avatar's movement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vatar's movement direction and gaze direction, respectively.

통상 리모컨은 하나의 방향 키 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존 리모컨을 이용하여서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메타버스 콘텐츠 내의 아바타를 제어할 수 없다. Since a remote control usually includes only one direction key, the user cannot control the avatar in the metaverse conten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an existing remote control.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어 장치(150)에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키를 이용하여 아바타의 이동 방향과 시선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As in th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device 150 includ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user us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The avatar's movement direction and gaze can be controlled using the and second direction keys 155, respectively.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메타버스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output of metaverse content in the first mod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예컨대,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방향 키(151) 입력에 따른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콘텐츠 내의 아바타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방향 키(155) 입력에 따른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콘텐츠 내의 아바타의 시선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vatar in the metaverse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in the metaverse content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메타버스 콘텐츠를 출력하면서, 메타버스 콘텐츠에 맞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방향 키(151)가 선택될 경우에 아바타의 이동 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1 가이드 UI와, 제2 방향 키(155)키가 선택될 경우에 아바타의 시선 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2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suitable for the metaverse content while outputting the metaverse content.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first guide UI indicating that the avatar's movement direction is controlled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selected, and a first guide UI indicating that the avatar's movement direction is controlled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selected. A second guide UI indicating that the gaze direction is controlled may be outpu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실시 예에서, 제2 유형의 콘텐츠는 시청용 콘텐츠일 수 있다. 시청용 콘텐츠는 영화나 드라마 등과 같이 시청이 가능한 비디오나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시청용 콘텐츠는 방송용 프로그램, OTT 서비스를 통한 VOD 콘텐츠, 또는 USB나 PC 등의 외부 기기를 통해 획득한 동영상이나, 사진이나 그림 등의 콘텐츠일 수 있다. In embodiments, the second type of content may be viewing content. Content for viewing may refer to content such as videos or videos that can be viewed, such as movies or dramas. For example, content for viewing may be a broadcast program, VOD content through an OTT service, or content such as a video, photo, or picture acquir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B or PC.

실시 예에서, 시청용 콘텐츠는 전자 장치(100)가 켜지면 기본적으로 출력하는 기본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홈(home) 화면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다양한 VOD나 실행 가능한 앱 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content for viewing may include a basic screen that is basically display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urned on. The basic screen may also be called a home screen. The main screen can include a list of various VODs or executable apps.

실시 예에서, 시청용 콘텐츠에는 다양한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오브젝트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이용하여 선택 할 수 있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본 화면에 포함된 다양한 VDO 콘텐츠나 앱들은 각각 하나의 오브젝트일 수 있다. In embodiments, content for viewing may include various objects. In the present disclosure, an object may mean an item that a user can select using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various VDO contents or apps included in the basic screen may each be one object.

실시 예에서, 시청용 콘텐츠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프리뷰(preview)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뷰 콘텐츠는 영화나 드라마 등의 콘텐츠가 재생되기 전에 그 콘텐츠를 소개하기 위한 콘텐츠로, 해당 콘텐츠의 줄거리나 배우, 감독, 제작년도, 콘텐츠가 시리즈물인 경우 그 콘텐츠가 어떤 시즌의 몇 번째 콘텐츠인지에 대한 정보, 해당 콘텐츠에 대한 동영상 등의 예고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리뷰 콘텐츠는, 재생 선택, 해당 콘텐츠를 관심 목록에 넣기, 해당 콘텐츠에 대한 호감도 선택 등과 같은, 선택 가능한 다양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content for viewing may include preview content for specific content. Preview content is content to introduce content such as a movie or drama before it is played. It includes the synopsis of the content, the actors, the director, the year of production, and, if the content is a series, which season the content is fro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railers, such a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a video about the content. In embodiments, preview content may include various objects that can be selected, such as selecting to play, adding the content to a watch list, selecting a preference for the content, etc.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시청용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두 개 이상의 방향 키를 이용하여 시청용 콘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ile watching content for viewing, a user may control the content for viewing in various ways using two or more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시청용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output of content for viewing in the second mod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예컨대,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시청용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른 방향으로 커서나 포커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새로운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irection of focus movement for selecting an object included in content for viewing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lect a new object by moving the cursor or focus in a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또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출력하는 시청용 콘텐츠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현재 출력하는 시청용 콘텐츠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은,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urrently output viewing content scree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urrently output viewing content scree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screen being output.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에 제2 방향 키(155)가 구비함에 따라, 제어 장치(150)는 기존에 리모컨에 포함되어 있던 다른 버튼의 기능을 제2 방향 키(155)의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the control device 150 is equipped with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control device 150 changes the function of other buttons previously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to the fun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t can be replaced.

예컨대, 도 1에서, 제1 방향 키(151) 위의 좌측에 배치된 멀티 키(152)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는 멀티 키(152)를 선택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멀티 키(152)를 누를 때마다 전자 장치(100)에는 컬러 버튼 창과 가상 숫자 패드 창이 교대로 출력될 수 있다. 컬러 버튼 창이 전자 장치(100)에 출력된 경우, 사용자는 제1 방향 키(151)를 이용하여 특정 컬러 버튼을 선택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컬러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선택된 컬러에 대응하는 기능은, 현재의 콘텐츠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는 기능별 부가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숫자 패드 창이 전자 장치(100)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해당 창에서 제1 방향 키(151)를 이용하여 원하는 숫자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채널 변경이나 PIN 입력, 우편 번호 입력 등을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ure 1, the multi-key 152 disposed on the left above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a button for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he user can select the multi-key 152 to call the setting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dditionally,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multi-key 152, a color button window and a virtual number pad window may b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a color button window is output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color button us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lor.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lor may mean an additional function for each function that is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urrent content. In addition, when the virtual number pad window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can change channels, enter a PIN, enter a zip code, etc. by selecting and entering a desired number us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n the window. You can.

또한, 도 1에서, 제1 방향 키(151) 위의 우측에 배치된 멀티 뷰 버튼(153)은 전자 장치(100)를 멀티 뷰로 시청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멀티 뷰 버튼(153)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멀티 뷰로 출력할 콘텐츠를 선택 받고, 선택된 두 개 이상의 화면을 부분 화면으로 포함하는 멀티 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FIG. 1, the multi-view button 153 disposed on the right above the first direction key 151 can be used to view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multi-view. When the multi-view button 153 is sel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select content to be output in multi-view and output a multi-view screen including two or more selected screens as partial screens.

실시 예에서, 제2 방향 키(155)는 멀티 키(152)의 기능이나 멀티 뷰 버튼(153)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대신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멀티 키(152)나 멀티 뷰 버튼(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instead provide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the multi-key 152 or the function of the multi-view button 153.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not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ulti-key 152 or the multi-view button 153.

실시 예에서, 제2 방향 키(152) 입력에 따른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멀티 키(152)나 멀티 뷰 버튼(153)이 선택되었을 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제2 유형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5)의 오른쪽 방향이 선택되면, 설정(setting) 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을 바로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2,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the operation when the multi-key 152 or multi-view button 153 described above is selected. It can be done. For example, when the right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is selected while outputting the second type of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immediately displays a screen showing a setting function. Can be printed.

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5)의 왼쪽 방향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가상 숫자 패드 창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left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is sel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virtual number pad window on the screen.

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5)의 위쪽 버튼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멀티 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upper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is sel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multi-view screen.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양한 기능들이 한번에 바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여러 번 멀티 키(152)를 조작하여, 즉, 여러 단계나 여러 뎁쓰(depth)에 걸쳐 키를 입력해야 수행되던 동작이, 제2 방향 키(155)를 한 번만 선택해도 바로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while outputting content for viewing, various functions can be immediately executed at once. . In this case, an operation that was performed by manipulating the multi-key 152 several times, that is, by entering keys at several stages or at several depths, is performed immediately by select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only once. It can provide user convenienc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를 출력하면서, 시청용 콘텐츠에 맞는 가이드 UI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방향 키 선택에 따른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방향 키(155)키가 선택될 경우에 어떤 동작이 수행될지를 나타내는 제2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UI는 현재 출력되는 시청용 콘텐츠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ile outputting content for view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appropriate for the content for viewing and guide the user in an operation according to direction key selection.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econd guide UI indicating what operation will be performed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selected. The second guide UI may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ly displayed viewing content.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2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제2 가이드 UI는 제2 방향 키(155)가 선택될 경우,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각각에 따라 콘텐츠 재생이나 앞으로 빨리 가기, 뒤로 빨리 가기, 일시 정지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second guide UI while the preview screen is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selected, the second guide UI output plays content, fast forwards, fast backwards, pauses, etc. according to each of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t can indicate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컬러가 제2 방향 키(155)의 방향과 매칭된 제2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방향 키(155) 중 특정 컬러, 예컨대, 파란 컬러에 매칭된 방향, 예컨대, 우측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파란 컬러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the basic scr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econd guide UI whose color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blue color by selecting a direction, for example, the right button, that matches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a blue color, among the second direction keys 155.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3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a third type of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실시 예에서, 제3 유형의 콘텐츠는 영상 통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the third type of content may include video call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3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통화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a third type of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screens included in the video call content based on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You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focus movement for selection.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나머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선택된 하나의 화면의 크기, 위치, 화각, 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size, position, angle of view, and zoom function of one selected screen based on the remaining control signal amo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영상 통화 콘텐츠를 출력하면서, 영상 통화 콘텐츠에 맞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 통화 콘텐츠에 맞는 가이드 UI는 제2 방향 키(155)의 4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 예컨대, 화면의 확대나 축소, 화면의 위치 조절, 화각 이동 등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suitable for the video call content while outputting the video call content. The guide UI suitable for video call content can guide the user to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directions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such as enlarging or reducing the screen, adjusting the screen position, or changing the angle of view.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동일한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다른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same control device 15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a different mode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방향 키(151, 155)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각각의 방향 키(151, 155)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콘텐츠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key 151 and 155 from the control device 150 including two or more direction keys 151 and 155, Accordingly, the content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방향 키(151, 155) 선택 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indicating the operation performed when the direction keys 151 and 155 are selected.

사용자는 가이드 UI를 보면서 하나의 제어 장치(150)에 포함된 복수개의 방향 키(151, 155)를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다른 모드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A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various types of content in different modes by manipulating a plurality of direction keys 151 and 155 included in one control device 150 while viewing the guide UI.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및 제어 장치(150)의 내부 블록도이다.Figure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제어 장치(210)는 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210 may be connecte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130.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출력부(107), 통신부(105),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03) 및 메모리(103)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n output unit 107, a communication unit 105, a memory 103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device that executes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3. It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101.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03)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프로세서(101)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3)는 전자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The memory 103 may store at least one program that the processor 101 executes. Additionally, the memory 103 may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메모리(10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03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and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optical disks.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출력부(107)가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content output by the output unit 107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에 대응하는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identifying a m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그에 대응하는 콘텐츠 출력 모드가 제1 모드임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a first type of cont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identifying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output mode is the first m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그에 대응하는 콘텐츠 출력 모드가 제2 모드임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identifying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output mode is the second m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3 유형의 콘텐츠이면 그에 대응하는 콘텐츠 출력 모드가 제3 모드임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a third type of cont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identifying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output mode is the third m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출력 모드에 따라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depending on the output m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출력 모드가 제1 모드이면,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output mode is the first mode,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콘텐츠 내의 아바타(avatar)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includ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an avatar in the metaverse content based on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include.

실시 예에서,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나머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의 시선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based on the remaining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 신호가 수신되면 센성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의 제스쳐(gesture)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a sensing signal for movement of the control devic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50,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n avatar's gestur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출력 모드가 제2 모드이면,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output mode is the second mode,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시청용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include focus for select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viewing content based on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t may contain one or more instructions to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실시 예에서,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ausing a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performed based on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re is.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출력 모드가 제3 모드이면,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f the output mode is the third mode,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통화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include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creens included in video call content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t may contain one or more instructions to control the direction of focus movement.

실시 예에서,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나머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선택된 하나의 화면의 크기, 위치, 화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include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position, and angle of view of the selected screen based on the remaining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t may contain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콘텐츠 유형에 따라, 제1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1 가이드 UI 및 제2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emory 103 includes, depending on the content type, a first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and a second guide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UI may be stored.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가이드 UI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outputting a guide UI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시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when to output the guide UI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부(105)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를 제어 장치(150), 또는 기타, 주변 기기나 외부 기기, 서버, 이동 단말기 등과 연결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control device 150 or other peripheral devices, external devices, servers, mobile terminals, etc. through control of the processor 101.

통신부(105)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 모듈, 블루투스 모듈, 유선 이더넷(Ethern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a wired Ethernet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an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통신부(105)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RFID,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 또는 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include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Wi-Fi, BLE (Bluetooth Low Energy), NFC/RFID, Wifi Direct, UWB, or ZIGBEE. You can.

또한, 통신부(105)는 원거리 통신 규격에 따라서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05)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05)는 3G, 4G, 및/또는 5G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further includ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to support long-distance communication according to long-distance communication standards.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includ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for Internet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include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mplies with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3G, 4G, and/or 5G.

실시 예에서, 통신부(105)는 적외선(infrared), RF 통신, 와이 파이 통신, 또는 BLE 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1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제어 장치(150)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device 150 using infrared, RF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or BL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01)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메모리(103)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가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101)가 포함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processor 101 may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function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3.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101.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05)를 통해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07)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107 is a first type of content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there is.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07)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107 is a second type of content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there is.

실시 예에서, 제1 유형의 콘텐츠는 메타버스(Metaverse) 콘텐츠이고, 제2 유형의 콘텐츠는 시청용 콘텐츠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type of content may be metaverse content, and the second type of content may be viewing content.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07)를 통해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output a guide UI through the output unit 107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실시 예에서, 가이드 UI는, 제1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1 가이드 UI 및 제2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guide UI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and a second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can do.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1)는 콘텐츠의 유형이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콘텐츠 유형에 맞는 가이드 UI를 새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새로운 기능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새로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output a guide UI at preset time intervals or whenever an event occurs. For example, the processor 101 may newly output a guide UI suitable for the content type whenever an event that changes the type of content occurs. Additionally, the processor 101 may newly output a guide UI to guide new functions whenever an event that changes a function controlled based on a control signal occurs.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즉, 메타버스 콘텐츠이면,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콘텐츠 내의 아바타(avatar)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나머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의 시선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1 execute one or more instructions, so that if the content to be output is a first type of content, that is, metaverse content, the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seco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vatar within the metaverse content can be controlled based on one of the control signals.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control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based on the remaining control signals amo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05)를 통해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의 제스처(gesture)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receive a sensing signal for movement of the control device 150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control an avatar's gestures based on a sensing signal.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즉, 시청용 콘텐츠이면,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시청용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나 포커스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출력하는 시청용 콘텐츠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화면에 따라, 또, 실행 가능한 기능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현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1 execute one or more instructions, so that if the content to be outpu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that is, if it is content for view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for viewing is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You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ursor or focus for selection.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urrently output viewing content scree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creen and executable functions. That i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07)를 통해 제2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를 출력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추가적인 제어 신호 수신 없이,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바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제2 가이드 UI로 안내된 동작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1 execute one or more instructions to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07, a second guide UI displaying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and perform the second control. Upon receiving the signal,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can be immediately performed without receiving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Here,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n operation guided by the second guide UI.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07)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3 유형의 콘텐츠이면,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콘텐츠 유형은 영상 통화 콘텐츠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통화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나머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선택된 하나의 화면의 크기, 위치, 화각, 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107 is a third type of content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there is. In an embodiment, the third content type may be video call content.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1 execute one or more instructions to select a focus among a plurality of screens included in the video call content based on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You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101 may adjust at least one of the size, position, angle of view, and zoom function of one selected screen based on the remaining control signal amo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50)는 프로세서(151), 메모리(153), 통신부(155), 및 입력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ocessor 151, a memory 153, a communication unit 155, and an input unit 157.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150)는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리모컨, 키보드, 마우스, 조이 패드, 또는 이들 중 두 개 이상의 기기가 통합된 형태의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used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types of user input, such as touch, press, touch gesture, voice, or motion.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50 is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laptop, netbook, or tablet PC,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a remote control, a keyboard, a mouse, a joy pad, or a terminal in which two or more of these devices are integrated.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etc.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53)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3)는 프로세서(151)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메모리(153)에는 기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3)는 제어 장치(150)로 입력되거나 제어 장치(15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5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The memory 153 may store at least one program that the processor 151 executes. Predefined operation rules or program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53. Additionally, the memory 153 may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메모리(153)는 키 코드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키 코드 명령어는 입력부(157)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명령에 매칭되어 정의된 키 스캔 코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는 입력부(157)에 포함된 복수개의 키 각각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memory 153 may store key code instructions. The key code command may include a key scan code value defined by matching the data and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157. The memory 153 may include key code command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input unit 157.

메모리(15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53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and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optical disks.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57)는 제어 장치(15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57)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57)는 키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는 버튼이나 터치 패드(touchpa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57)는 키보드(key boar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57)는 사용자의 음성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5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150. The input unit 157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input unit 157 may include a key pad. The keypad may include buttons, a touchpad, etc. The touch pa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ontact capacitive type, a pressure-type resistive type, an infrared detection type, a surface ultrasonic conduction type, an integral tension measurement type, a piezo effect type, etc. The input unit 157 may include a keyboard, dome switch, jog wheel, jog switch, etc. The input unit 157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capable of receiving the user's voice.

실시 예에서, 입력부(157)는 복수개의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157)는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방향 키(151)는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배치되고, 제2 방향 키(155)는 제어 장치(150)의 전면, 배면(150-2), 후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57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rection keys. 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57 may include a first direction key 151 and a second direction key 155. In an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dispos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150-2 of the control device 150. , may be placed in at least one of the rear and side positions.

실시 예에서,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동시에 조작 가능한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향 키(151)가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배치되고, 제2 방향 키(155)가 제어 장치(150)의 배면(150-2)에 배치된 경우, 제1 방향 키(151)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고, 제2 방향 키(155)는 사용자의 검지나 중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be arranged within a range that the user can simultaneously operate with one ha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placed on the front side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placed on the back side 150-2 of the control device 150. , the first direction key 151 may be operated by the user's thumb,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s index or middle finger.

실시 예에서, 입력부(157)는 제3 방향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가 모두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배치되고, 제3 방향 키가 제어 장치(150)의 배면(150-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타버스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150)를 가로 방향으로 돌려서,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를 이용하여 아바타의 이동 방향과 시선 방향을 제어하고, 시청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150)를 세로 방향으로 돌려서, 제1 방향 키(151)와 배면에 위치한 제3 방향 키를 한 손으로 조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57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rection key. For example, both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are disposed on the front side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third direction key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2) can be placed. In this case, when using metaverse content, the user turns the control device 150 horizontally and controls the avatar's movement direction and gaze direction us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When using content for viewing, the control device 150 can be turned vertically and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third direction key located on the back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실시 예에서, 입력부(157)는 제어 장치(15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157)에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가 포함된 경우, 입력부(157)는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50)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제어 장치(150)의 방향을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57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mo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when the input unit 157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motion recognition, the input unit 157 may detect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using this sensor.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51)는 제어 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1)는 메모리(153)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150)가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The processor 151 may control the control device 150 to function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53.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51)는 예컨대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51 may be, for exampl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5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57)를 통해 키 입력을 받으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151 receives a key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57, the processor 151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55)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5)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51)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150)를 전자 장치(100)와 연결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unit 155 may connect the control device 15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under control of the processor 151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부(155)는 입력부(157)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는,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는 통신부(155)에 포함된 통신 모듈의 종류에 따라 블루투스 타입, IR 신호 타입, RF 신호 타입, 와이파이 타입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5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7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key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may be implemented as a Bluetooth type, IR signal type, RF signal type, Wi-Fi type,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55.

실시 예에서, 통신망(130)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미도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 IR(Infrared)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유선 이더넷(Ethernet) 중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includes Bluetooth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not show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ot shown)), IR (Infrared) communicatio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Wi-Fi (Wi-Fi). -Fi) communic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networks among wired Etherne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와 제어 장치(150)가 IR 통신을 수행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제어 장치(150)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IR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150)는 입력된 키의 키 코드 명령어에 할당된 고유 주파수를 갖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적외선 신호를 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15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y performing IR communication,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as an IR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n infrared signal having a unique frequency assigned to the key code command of the input key.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n infrared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와 제어 장치(150)가 BLE 통신을 수행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으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BLE 신호로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50)는 통신망(130)을 통하여 BLE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15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y performing BLE communication, the control device 150 receives a key input from the user and sends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he included control signal can also be generated as a BLE signal.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BLE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통신망(130)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망일 수도 있다. However,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Wi-Fi communication method.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01)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processor 101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01)는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 및 콘텐츠 출력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rocessor 101 may include a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and a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30.

실시 예에서,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may identify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셋톱 박스나 외부의 게임기 등과 같이 외부 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를 통해 획득한 콘텐츠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식별하기 어렵다.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nd outputs content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et-top box or an external game console, it is difficult for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identify the type of content acquir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

실시 예에서,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는 외부 기기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획득하고,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서,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는 수신된 콘텐츠 화면을 캡쳐하여, 콘텐츠 화면에 출력된 문자나 로고 등을 식별함으로써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유형이 무엇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may obtain metadata for content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and identify the content type using the metadata. Alternatively,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may capture the received content screen and identify the text or logo displayed on the content screen to identify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 TV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내부에 장착된 운영 체제 및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앱을 실행시키므로, 현재 실행하고 있는 앱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전자 장치(100)가 넷플릭스(Netflix)라는 OTT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VOD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는 현재 실행 중인 앱이 넷플릭스 앱이고, 넷플릭스 앱이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 앱임을 식별함으로써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시청용 콘텐츠임을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smart TV, the electronic device 100 executes an app using the operating system and Internet function install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reby identifying the type of app currently running. can do.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currently outputs VOD content provided by an OTT service provider called Netflix, th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determines that the currently running app is the Netflix app and that the Netflix app provides VOD content. By identifying the app provid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content for viewing.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100)가 현재 메타버스 콘텐츠 앱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는 현재 실행 중인 앱이 메타버스 콘텐츠에 대한 앱임을 식별함으로써,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메타버스 콘텐츠임을 식별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urrently running a metaverse content app, th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identifies the currently running app as an app for metaverse content, thereby determining that the currently output content is metaverse content can be identified.

실시 예에서,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의 유형을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may transmit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to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20.

실시 예에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는 콘텐츠 유형 식별부(310)로부터 콘텐츠 유형을 전달받고, 콘텐츠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20 may receive a content type from th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unit 310 and identify an output mod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ype.

실시 예에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출력 모드로 제1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20 may identify the first mode as the output mode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content of the first type.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출력 모드로 제2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20 may identify the second mode as the output mode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content of the second type.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utput controller 32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제3 유형의 콘텐츠이면 출력 모드로 제3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32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20 may identify the third mode as the output mode i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a third type of content.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출력할 수 있다. 메타버스 콘텐츠(410)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기반한 가상 세계를 나타내는 콘텐츠일 수 있다. 메타버스 콘텐츠(410)는 아바타(4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metaverse content 410. Metaverse content 410 may be content representing a virtual world based on the Metaverse platform. Metaverse content 410 may include an avatar 411.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메타버스 콘텐츠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현재 실행중인 앱이 메타버스 콘텐츠 앱임을 식별하고, 그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의 유형이 메타버스 콘텐츠임을 식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metaverse content.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currently running app is a metaverse content app, and accordingly, identify that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metaverse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메타버스 콘텐츠인 것에 상응하여, 메타버스 콘텐츠에 맞는 가이드 UI(420)를 출력할 수 있다. 가이드 UI(420)는 사용자에게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방향 키(151, 155)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420 suitable for metaver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act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metaverse content. The guide UI 420 may be an interface screen for guiding the user in manipulating the direction keys 151 and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가이드 UI(420)를 메타버스 콘텐츠(410)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가이드 UI(420)를 메타버스 콘텐츠(410)의 일 부분 영역 상에, 메타버스 콘텐츠(410) 위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이드 UI(420)의 크기, 출력 위치, 투명도, 및/또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guide UI 420 together with the metaverse content 4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the guide UI 420 by overlaying it on a partial area of the metaverse content 410 . The size, output position, transparency, and/or shape of the guide UI 42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실시 예에서, 가이드 UI(420)는 제1 방향 키(151)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1 가이드 UI(420-1)와,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42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guide UI 420 includes a first guide UI 420-1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guide UIs 420-2 that display the operation being performed.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UI(420-1)와 제2 가이드 UI(420-2)는 해당 UI가 어떤 방향 키에 대한 UI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UI(420-1)는 제1 방향 키(153)의 형상을 모방한 큰 원을 포함하고, 제1 방향 키(153)가 배치된 위치인 '전면' 이라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2 가이드 UI(420-2)는 제2 방향 키(155)의 형상을 모방한 작은 원을 포함하고, 제2 방향 키(155)가 배치된 위치인 '배면'이라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guide UI 420-1 and the second guide UI 420-2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ndicating which direction key the corresponding UI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guide UI 420-1 includes a large circle imitating the shape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3, and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direction key 153 is placed. May contain the word 'fron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uide UI 420-2 includes a small circle imitating the shape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and may include the word 'back', which is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placed. You can.

사용자는 제1 가이드 UI(420-1)에 포함된 커다란 원과, '전면' 이라는 단어 등을 이용하여 제1 가이드 UI(420-1)가 제1 방향 키(151)의 기능을 안내하는 UI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420-2)에 포함된 작은 원과 '배면' 이라는 단어를 이용하여 제2 가이드 UI(420-2)가 제2 방향 키(155)에 대한 가이드 UI임을 식별할 수 있다. The user uses the large circle included in the first guide UI (420-1) and the word 'front' to guide the user to the fun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can be identified. Additionally, the user identifies the second guide UI (420-2) as a guide UI for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using the small circle and the word 'back'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420-2). can do.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UI(420-1)와 제2 가이드 UI(420-2)는 특정 방향 키가 선택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UI(420-1)는 '이동'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제2 가이드 UI(420-2)는 '시선 조작'이라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guide UI 420-1 and the second guide UI 420-2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when a specific direction key is selec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guide UI 420-1 may include the word 'movement', and the second guide UI 420-2 may include the word 'gaze manipulation'. .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가이드 UI(420)를 이용함으로써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를 조작할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을 예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가이드 UI(420-1)에 포함된 '이동'이라는 단어를 이용하여 제1 방향 키(151)가 아바타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됨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420-2)에 포함된 '시선 조작' 이라는 단어를 이용하여 제2 방향 키(155)가 아바타의 시선을 제어하는 데 이용됨을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can predict the operation performed when manipulat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 keys 151 and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by using the guide UI 420. The user can use the word 'move' included in the first guide UI 420-1 to identify that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used to move the avatar. Additionally, the user can use the word 'gaze manipul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420-2 to identify that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used to control the avatar's gaze.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메타버스 콘텐츠(410)와 가이드 UI(420)를 함께 보면서,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방향 키(151, 155)를 한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배치된 제1 방향 키(151)를 조작하고, 동시에, 검지 손가락이나 중지 손가락으로 제어 장치(150)의 배면(150-2)에 배치된 제2 방향 키(155)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plurality of direction keys 151 and 155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150 with one hand while viewing the metaverse content 410 and the guide UI 420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You can. For example, the user operat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disposed on the front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with the thumb, and at the same time, uses the index or middle finger to control the back 151 of the control device 150.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laced at -2)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제어 장치(150)는 제1 방향 키(151) 및 제2 방향 키(155)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것에 상응하여 제1 방향 키(151) 및 제2 방향 키(155) 중 선택된 방향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150 corresponds to the selected direction key amo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being selected. A control signal containing a key code command can be generated.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1 방향 키(151)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1 방향 키(151)에서 선택된,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나타내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indicating one of four directions selected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151.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2 방향 키(151)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2 방향 키(155)에서 선택된,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나타내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key 151.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indicating one of four directions selected from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제어 장치(15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망(130)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1 방향 키(151)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411)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1 방향 키(151)의 우측, 좌측, 위쪽, 아래쪽 중 하나의 방향을 선택한 것에 상응하여, 아바타(411)가 우측, 좌측, 위쪽, 아래쪽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first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key 151 from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vatar 411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electronic device 100 moves the avatar 411 in one direction of right, left,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one of right, left,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You can control it to mov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2 방향 키(155)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411)의 시선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2 방향 키(151)의 우측, 좌측, 위쪽, 아래쪽 중 하나의 방향을 선택한 것에 상응하여, 아바타(411)의 시선이 우측, 좌측, 위쪽, 아래쪽 중 하나의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아바타(411)의 시선이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아바타(411)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가상 세계를 나타내는 메타버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second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from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411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electronic device 100 changes the gaze of the avatar 411 to one of right, left, top, and bottom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one of right, left, top, and bottom directions us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1. You can control the direction it face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gaze of the avatar 41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metaverse content representing the virtual world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ze of the avatar 411 is directed.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배치된 제1 방향 키(151)와 제어 장치(150)의 배면(150-2)에 배치된 제2 방향 키(155)를 동시에 조작하면, 전자 장치(100)는 그에 상응하여, 아바타(411)의 이동 방향과 시선 방향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us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disposed on the front side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disposed on the rear side 150-2 of the control device 150. )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simultaneously change the movement direction and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411 correspondingly.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방향 키를 이용하여 아바타(411)의 이동 방향과 시선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즐길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can enjoy the metaverse content 410 by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411 using different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센서(160)는 지자기 센서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센서(160)는 제어 장치(15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160 capable of motion recognition. In an embodiment, sensor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eomagnetic sensor and/or a gyroscope sensor. In an embodiment, the sensor 16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control device 1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센서(160)는 제어 장치(150)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160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may detect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센서(160)가 지자기 센서인 경우, 지자기 센서는 제어 장치(150)에 대한 지자기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160)가 자이로스코프 센서인 경우,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제어 장치(150)의 회전 속도인 각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각속도 센서로도 불릴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제어 장치(150)가 회전할 때 생기는 코리올리 힘(Coriolis Forc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장치(150)의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When the sensor 160 is a geomagnetic sensor, the geomagnetic sensor can detect the direction of geomagnetism with respect to the control device 150. When the sensor 160 is a gyroscope sensor, the gyroscope sensor can detect the angular velocity, which is the rotation speed of the control device 150. Gyroscope sensors can also be called angular velocity sensors. The gyroscope sensor can calculate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by converting the Coriolis Force generated when the control device 150 rotates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어 장치(150)는 지자기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자북극에 대한 상대적인 기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150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device relative to the magnetic north pole by using at least one of a geomagnetic 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또한, 제어 장치(150)는 센서(160)를 사용해 전자 장치(100)와의 상대적인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를 향한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기준 시간 이내에 갑자기 위쪽이나 아래쪽, 또는 좌측이나 우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지자기 센서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제어 장치(150)의 방향이 기준 시간 이내에 갑자기 변경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device 150 may detect the relative dir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the sensor 160. For example, if the user suddenly moves the control device 150 upward or downward, or to the left or right within a reference time based on the direction toward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geomagnetic sensor and/or gyroscope sensor may detect the control device 150. ) can be detected that the direction has suddenly changed within a reference time.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센서(160)를 통해 획득한 센싱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sensing signal obtained through the sensor 16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4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센서(160)를 통해 획득한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메타버스 콘텐츠 앱의 종류나, 메타버스 콘텐츠의 내용이나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vatar 411 based on the sensing signal. The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through the sensor 160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taverse content app, the content or situation of the metaverse content, etc.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아바타(411)가 의사 표현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위 아래로 움직이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아바타(411)의 머리가 앞뒤로 끄덕거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아바타(411)가 특정 동작이나 상황에서 긍정의 의사표시를 하는 것으로 매칭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avatar 411 to express an opinion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control device 150 up and dow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head of the avatar 411 to nod back and forth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50. . This can be matched with the avatar 411 expressing positive intention in a specific action or situation.

또한,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좌 우로 움직이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아바타(411)가 머리를 좌 우로 흔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바타(411)가 특정 동작이나 상황에서 부정의 의사표시를 하는 것으로 매칭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로,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을 좌 우로 움직일 때, 아바타(411)가 고개를 좌 우로 흔드는 것을 도시한다. Additionally, when the user moves the control device 150 left and righ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ntrol the avatar 411 to shake its hea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50. In this case, the avatar 411 may be matched by expressing a negative intention in a specific action or situation. Figure 5 shows, as an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control device 150 left and right, the avatar 411 shakes its head left and right.

다른 예에서, 메타버스 콘텐츠가 전쟁에 대한 콘텐츠이고, 아바타가 전쟁터에서 싸우는 용사인 경우에,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위 아래로 움직이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용사가 칼을 위아래로 내려치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좌 우로 움직이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용사가 칼을 좌우로 휘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if the metaverse content is content about war and the avatar is a warrior fighting on the battlefield, when the user moves the control device 150 up and down,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signal, the warrior can be controlled to strike the sword up and down. Additionally, when the user moves the control device 150 left and righ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ntrol the warrior to swing the swor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50.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제어 장치(150)는 센서(160)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50)의 방향을 식별하고, 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using the sensor 160 and transmit this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로 아바타(4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vatar 411 in various forms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50.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610)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610 for viewing.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시청용 콘텐츠임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시청용 콘텐츠인 것에 상응하여, 시청용 콘텐츠에 맞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content for viewing.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suitable for the view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act that the currently output content is viewing content.

도 6은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시청용 콘텐츠(610) 중에 프리뷰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다. FIG. 6 illustrates, as an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preview content among content 610 for viewing.

통상, 사용자는 제1 방향 키(151)가 조작되면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것을 알고 있다. 이에,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시청용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제1 방향 키(151) 조작에 따른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제1 가이드 UI는 출력하지 않고, 제2 방향 키(155) 조작에 따른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 UI(620)만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2 가이드 UI(620)와 함께, 제1 방향 키(151) 조작에 따른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제1 가이드 UI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Typically, the user knows that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operated, an object included in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content for view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does not output the first guide UI for gui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 only the second guide UI 620 for gui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can be output. However,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first guide UI for gui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long with the second guide UI 62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가이드 UI(620)를 시청용 콘텐츠(610)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2 가이드 UI(620)를 시청용 콘텐츠(610) 위의 일 부분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UI(620)의 크기, 출력 위치, 투명도, 및/또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second guide UI 620 together with the viewing content 6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the second guide UI 620 on a portion of the content 610 for viewing. The size, output position, transparency, and/or shape of the second guide UI 62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UI(620)는 제2 방향 키(155)가 배치된 제어 장치(150)의 위치를 나타내거나, 해당 UI가 제2 방향 키(155)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UI(620)는 제2 방향 키(155)의 형상을 모방한 작은 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가이드 UI(620)는 제2 방향 키(155)가 제어 장치(150)의 배면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배면' 이라는 글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어 장치(150)의 배면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guide UI 620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control device 150 where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placed, or has various forms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UI is for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contain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guide UI 620 may include a small circle imitating the shape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guide UI 620 includes the word 'back' to indicate that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control device 150, or It may also include various shapes representing the back of the device 150.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620)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가이드 UI(620)가 제2 방향 키(155)에 대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620)에 포함된 제2 방향 키(155) 형상을 모방한 작은 원을 보고, 제2 가이드 UI(620)가 제2 방향 키(155)에 대한 가이드 UI임을 식별할 수 있다. The user can us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620 to identify that the second guide UI 620 is for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For example, in FIG. 6, the user sees a small circle imitating the shape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620, and the second guide UI 6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t can be identified as a guide UI.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UI(620)는 특정 방향 키가 선택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UI(620)는 작은 원을 중심으로 4 방향 위치에 각각, 일시 정지, 재생, 앞으로 빨리 가기, 뒤로 빨리 가기를 나타내는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guide UI 620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when a specific direction key is selec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guide UI 620 may include symbols representing pause, play, fast forward, and fast backward, respectively, at four directions centered on a small circle.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620)에 포함된 기호를 이용하여, 제2 방향 키(155)가 일시 정지나 재생, 앞으로 빨리 가기나 뒤로 빨리 가기를 선택하는 데 이용됨을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can use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620 to identify that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used to select pause or play, fast forward or fast backward. there is.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시청용 콘텐츠(610)와 제2 가이드 UI(620)를 함께 보면서, 제2 방향 키(155)를 조작함으로써, 제2 가이드 UI(620)에 표시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views the viewing content 610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second guide UI 620 together, and operates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o perform the function displayed on the second guide UI 620. You can make it run.

또한, 사용자는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제1 방향 키(151)를 조작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may operate the first direction key 151 to select an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제어 장치(150)는 제1 방향 키(151) 및 제2 방향 키(155)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것에 상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제1 방향 키(151)에서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제2 방향 키(155)에서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selected by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dditionally,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selected by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610)를 출력하는 중에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시청용 콘텐츠(61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the viewing content 610 in the second mode based on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while outputting the viewing content 610. Output can be controlled.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제2 모드로 시청용 콘텐츠(6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화면에 출력된 시청용 콘텐츠(6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제2 모드로 시청용 콘텐츠(610)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가이드 UI(620)로 안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the output of the viewing content 610 in the second mode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received,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content 610.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the output of the viewing content 610 in the second mode when receiv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using the second guide UI. The operation guided by (620) can be performed.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2 방향 키(155)에 대한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제2 가이드 UI(620)로 안내한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 프리뷰 콘텐츠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리뷰 콘텐츠에서 소개하는 콘텐츠를 중간 이후부터 시청하고자 할 경우, 보통,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재생 버튼(157)을 선택하여, 프리뷰 콘텐츠가 표시하는 콘텐츠로 들어간 후, 다시 재생 버튼(157)이나 기타 다른, 앞으로 가기 버튼 등을 선택하여, 전자 장치(100)가 콘텐츠의 중간 지점부터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receives the second control signal for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from the control device 150 may immediately perform the operation guided by the second guide UI 620. For example, when preview content is output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shown in FIG. 6, when a user wants to watch content introduced in the preview content from the middle, the user usually uses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Select the play button 157 to enter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preview content, and then select the play button 157 or any other forward button to have the electronic device 100 play the content from the middle point. You can do it.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620)에서 안내된 대로, 제2 방향 키(155)의 우측 버튼만을 선택함으로써 바로 콘텐츠가 앞으로 가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버튼을 여러 번 누르지 않고, 제2 방향 키(155)를 한 번만 누르는 것 만으로 바로 전자 장치(100)가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control the content to move forward immediately by selecting only the right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as instructed in the second guide UI 620.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immediately executes a specific operation by simply press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once, rather than pressing the button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150 multiple times. You can control it to do so.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5)를 이용하여 시청용 콘텐츠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viewing content us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710 for viewing.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시청용 콘텐츠(710)임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시청용 콘텐츠(710)인 것에 상응하여, 시청용 콘텐츠(710)에 맞는 가이드 UI(720)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content 710 for viewing.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720 suitable for the viewing content 710, corresponding to the fact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the viewing content 710.

도 7은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시청용 콘텐츠(710)로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다. 실시 예에서, 기본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켜졌을 때 처음으로 표시되는 홈(home) 화면일 수 있다. 기본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제조사에 따라, 또는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 TV인지 여부에 따라, 또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셋톱 박스 종류가 무엇인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본 화면은 시청용 콘텐츠(710)의 하나일 수 있다. FIG. 7 illustrates, as an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a basic screen as content 710 for viewing. In an embodiment, the basic screen may be a home screen that is first display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urned on. The basic screen may vary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smart TV, or the type of set-top box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basic screen may be one of the content 710 for viewing.

도 7은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 TV이고, 전자 장치(100)가 켜졌을 때 처음으로 표시되는 기본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7 shows an example of a basic screen that is displaye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smart TV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urned on.

도 7을 참조하면, 기본 화면은 앱 타일(7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앱 타일(711)은 실행 가능한 앱을 타일(tile)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각종 앱, 예컨대, OTT 서비스 제공자나 IPTV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앱, 쇼핑 앱, 음악 앱, 메타버스 콘텐츠 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앱 타일(711) 중에 원하는 앱을 선택하여, 해당 앱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basic screen may include an app tile 711. In an embodiment, the app tile 711 represents an executable app in the form of a tile, and includes various apps, such as apps provided by OTT service providers or IPTV service providers, shopping apps, music apps, and metaverse content app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app from among the app tiles 711 and run the app.

또한, 기본 화면은 다양한 VOD 콘텐츠(713)를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VOD 콘텐츠(713)는 시청용 콘텐츠(710)의 하나일 수 있다. 기본 화면은 현재 시청 가능한 콘텐츠, 인기 있는 콘텐츠, 과거에 사용자가 시청한 이력이 있는 콘텐츠, 전자 장치(100)가 추천하는 추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썸네일이나, 콘텐츠 타이틀 등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asic screen may include various VOD contents 713 in the form of thumbnails. VOD content 713 may be one of the viewing content 710. The basic scree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urrently viewable content, popular content, content that the user has viewed in the past, and recommended content recommend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form of a thumbnail, content title, etc. .

실시 예에서, 시청용 콘텐츠(710)에는 다양한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기본 화면에 포함된 앱 타일(711)이나 VOD 콘텐츠(713)는 모두 제어 장치(150)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를 이용하여 커서(cursor)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커서는 화면에서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방향 키(151)를 이용하여 시청용 콘텐츠(7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에 원하는 앱이나 VOD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viewing content 710 may include various objects. For example, the app tile 711 or the VOD content 713 included in the basic screen may all be objects that can be selected using the control device 150.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cursor us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A cursor may be a marker indicating an input location on the screen. The user can use the first direction key 151 to select a desired app or VOD cont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iewing content 71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하는 중에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based on receiving a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while outputting content 710 for viewing.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커서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현재 화면에 출력된 시청용 콘텐츠(7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iewing content 710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2 방향 키(155)를 이용하여 특정 동작이 바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방향 키(155)의 4 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이나 기능은 앱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또한, 현재 화면에 출력되는 시청용 콘텐츠(710)의 내용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may use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o immediately execute a specific action. The operation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app and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viewing content 710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하는 중에, 제2 방향 키(155) 조작에 따른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 UI(720)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된 제2 가이드 UI(720)를 보고, 제2 방향 키(155)를 선택했을 때 어떤 기능이 실행될지를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ile outputting content for viewing 71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econd guide UI 720 to guide operations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user can view the second guide UI 720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dentify what function will be executed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selected.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가이드 UI(720)를 시청용 콘텐츠(710)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2 가이드 UI(720)를 시청용 콘텐츠(710) 위의 일 영역 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UI(720)의 크기, 출력 위치, 투명도, 및/또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second guide UI 720 together with the viewing content 710. As shown in FIG. 7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the second guide UI 720 by overlaying it on one area on the viewing content 710 . The size, output position, transparency, and/or shape of the second guide UI 72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UI(720)는 제2 방향 키(155)의 형상이나, 제2 방향 키(155)가 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2 방향 키(155)에 대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guide UI 720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hape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or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placed, so that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t can indicate that it is about.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UI(720)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5)의 4 방향이 각각 선택될 때 실행되는 동작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 UI(720)는 컬러로 표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UI(720)는 제2 방향 키(155)를 모방한 형상(721)을 중심으로 4 방향 위치에 각각, 파란색 원(722), 노란색 원(723), 초록색 원(724), 및 빨강색 원(725)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guide UI 720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n action or function performed when each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is selected.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UI 720 may be expressed in color.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guide UI 720 has a blue circle 722 and a yellow circle 723 at four directional positions, respectively, centered on a shape 721 that mimics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 a green circle 724, and a red circle 725.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UI(720)는 4 방향 위치에 특정 색상과 함께 4 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이나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UI(720)는 4 방향 위치에 색상과 함께, '이전 콘텐츠 시청', '검색', '메뉴', '녹화'와 같이 각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파란색 원(722)에 대응하는 기능이, 바로 이전에 시청하던 콘텐츠를 다시 불러오는 기능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노란색 원(723)에 대응하는 기능은 검색 창 기능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초록색 원(724)에 대응하는 기능은 메뉴 항목 선택 기능이고, 빨간색 원(725)에 대응하는 기능은 녹화 기능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4 방향에 위치한 컬러에 대응하는 기능이나 동작은, 현재 화면에 출력되는 시청용 콘텐츠(710)의 종류나, 전자 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guide UI 720 may further include actions or fun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directions along with specific colors at positions in the four directio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guide UI 720 has colors at four direction positions and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such as 'watch previous content', 'search', 'menu', and 'recording'. It may contain information indicating function. This may mean that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blue circle 722 is a function to reload the content that was previously viewed, and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yellow circle 723 is a search window function. Additionally,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green circle 724 may mean a menu item selection function, and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d circle 725 may mean a recording function. However,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functions or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colors located in the four direction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viewing content 710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functions support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etc. It can be.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720)에 포함된 방향 별 색상 및/또는 색상에 대응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색상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selects one of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using the color for each direction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720 and/or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lor. By doing so,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lor can be executed.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2 방향 키(155)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하는 중에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from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based on receiving a second control signal while outputting content 710 for viewing.

예컨대, 사용자가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오른쪽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제2 가이드 UI(720)에 포함된 4가지 색상 중 파란색 원(722)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바로 이전에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던 콘텐츠를 다시 불러와 바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right direction among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and the blue circle 722 is selected among the four colors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720,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ntent that was previously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reloaded and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screen.

일반적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 기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이전에 시청하던 콘텐츠를 다시 시청하려면, 사용자는 제1 방향 키(151)를 이용하여 기본 화면에서 시청 중이던 콘텐츠의 오브젝트를 찾아 이를 선택하고, 다시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재생 버튼(157)을 선택하여, 선택된 오브젝트가 재생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기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오른쪽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바로 이전에 시청하던 콘텐츠를 바로 시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를 여러 번 조작할 필요 없이 제2 방향 키(155)를 한 번만 조작하는 것 만으로 원하는 기능이 바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basic screen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shown in FIG. 7, to re-watch the content that was previously viewed, the user us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to select the content that was being viewed on the basic screen. You must find and select the object, and select the play button 157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150 again to play the selected object.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can immediately watch the content that was previously viewed by selecting the right direction among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while the basic screen is displayed. That is, the user can immediately execute the desired function by simply operat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once, without having to manipulate the control device 150 multiple times.

도 8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통화 기능이 수행되기 위해서, 전자 장치(100)에는 카메라(801)가 구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video call function. In order to perform a video call func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801.

실시 예에서, 카메라(801)는 전자 장치(100)에 일체형으로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와 별개의 기기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801)는 전자 장치(1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810)는 전자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amera 801 may be integrally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may be a separate device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amera 801 may be placed in one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camera 81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photograph the user and obtain a real-time image of the user.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여 영상 통화 앱을 실행시키면, 전자 장치(100)는 화면에 영상 통화 앱 실행에 따른 영상 통화 콘텐츠(810)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run a video call app,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video call content 81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video call app on the screen.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영상 통화 앱이 실행되는 것에 상응하여,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810)로 촬영한 동영상을 상대방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고, 또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oth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video call app being execu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transmit a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810 to the other terminal in real time and also receive the video from the other terminal in real tim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810)로 획득한 사용자 화면과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화면을 부분 화면을 통해 멀티 뷰로 출력할 수 있다. 부분 화면의 수는 상대방 단말기의 수에 따라 한 개 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 개 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통화 콘텐츠(810)에는 카메라(810)로 획득한 사용자 화면(811)과 제1 상대방을 보여주는 제1 상대방 화면(813), 제2 상대방을 보여주는 제2 상대방 화면(81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화면(811)과 제1 상대방 화면(813), 제2 상대방 화면(815)은 각각 하나의 오브젝트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user's screen acquired with the camera 810 and the other party's screen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s terminal in a multi-view through a partial screen. The number of partial screens may be one or multiple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unterpart termin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video call content 810 includes a user screen 811 acquired by the camera 810, a first party screen 813 showing the first party, and a second party screen 813 showing the second party. It may include the other party's screen 815. The user screen 811, the first counterpart screen 813, and the second counterpart screen 815 may each be one object.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콘텐츠(81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영상 통화 콘텐츠(810)를 출력하는 중에 제어 장치(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may control the video call content 810 using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based o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while outputting video call content 810.

실시 예에서,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제1 방향 키(151)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통화 콘텐츠(810)에 포함된 멀티 뷰 중 하나의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를 이용하여 커서 내지 포커스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영상 통화 콘텐츠(8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오브젝트, 즉, 복수개의 화면 중에 원하는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방향 키(151)를 조작하여 복수개의 화면 중 제2 상대방 화면(815)을 선택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대방 화면(815) 테두리를 두꺼운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제2 상대방 화면(815)이 포커싱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includes selecting one screen among the multi-views included in the video call content 810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focus movement. In an embodiment,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ursor or focus us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to control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ideo call content 810, that is, a plurality of screens. You can select the screen you want. 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selects the second counterpart's screen 815 among a plurality of screens,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the second counterpart's screen 815, as shown in FIG. 8. By displaying the border in a thick color, it can be indicated that the second counterpart's screen 815 is focused.

실시 예에서,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선택된 하나의 화면의 크기, 위치, 화각, 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includes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position, angle of view, and zoom function of one selected screen based on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t may includ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영상 통화 콘텐츠(810)인 것에 상응하여, 영상 통화 콘텐츠(810)에 맞는 가이드 UI(820)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and output a guide UI 820 suitable for the video call content 810, corresponding to the fact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the video call content 81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영상 통화 콘텐츠(810)와 함께 제2 가이드 UI(820)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2 가이드 UI(820)를 화면의 일 부분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UI(620)의 크기, 출력 위치, 투명도, 및/또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second guide UI 820 along with the video call content 8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the second guide UI 820 on a partial area of the screen. The size, output position, transparency, and/or shape of the second guide UI 62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UI(820)는 제2 가이드 UI(820)가 제2 방향 키(155)의 제어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UI(820)는 제2 방향 키(155)의 형상을 모방한 작은 원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guide UI 820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cond guide UI 820 is for controll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guide UI 820 may include a small circle imitating the shape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UI(820)는 특정 방향 키가 선택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UI(820)는 작은 원을 중심으로 4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함께, 각 방향 주변에, '크기', '위치', '화각', '줌' 이라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4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이나 동작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guide UI 820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on when a specific direction key is selec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guide UI 820 has arrows indicating four directions centered on a small circle, and 'size', 'position', 'angle of view', and 'zoom' around each direction. It may contain the word '. However, this is just one embodiment, and the functions or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direc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820)에 포함된 기호나 문자를 이용하여, 제2 방향 키(155)가 화면의 크기나 위치, 화각, 줌을 조절하는 데 이용됨을 식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can use symbols or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cond guide UI 820 to identify that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used to adjust the screen size, position, angle of view, and zoom. .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영상 통화 콘텐츠(810)와 제2 가이드 UI(820)를 함께 보면서, 제2 가이드 UI(820)에 표시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제2 방향 키(155)를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views the video call content 810 and the second guide UI 820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together, and uses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o execute the function displayed on the second guide UI 820. can be manipulated.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이 선택된 것에 기반하여, 선택된 화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 방향 키(155)의 왼쪽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방향 키(151)로 선택한 화면의 위치를 다른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방향 키(155)의 왼쪽 버튼을 한 번 선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화면, 즉, 위 예에서, 제2 상대방 화면(815)의 위치를 왼쪽으로 조절하여 왼쪽에 있던 제1 상대방 화면(813)와 제2 상대방 화면(815)의 위치가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방향 키(155)의 왼쪽 버튼을 또 다시 선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상대방 화면(815)과 사용자 화면(811)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된 화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screen based on one of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being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left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location of the screen selected with the first direction key 151 to another loc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left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once, the electronic device 10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screen, that is, the second opponent's screen 815 in the above example, to the left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counterpart screen 813 and the second counterpart screen 815 can be changed. When the user selects the left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again,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hange the positions of the second counterpart's screen 815 and the user's screen 811.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screen in various ways.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이 선택된 것에 기반하여, 선택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 방향 키(155)의 위쪽 버튼을 선택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2 상대방 화면(815)의 크기를 점차 확대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등의 UI(830-1, 830-2, 830-3, 830-4)를 출력함으로써, 선택된 화면의 크기가 커지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된 화면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까지 커진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계속하여 제2 방향 키(155)의 위쪽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화면의 크기를 점차 축소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화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표시하는 UI, 예컨대, 선택된 화면 주변에서 화면 안쪽을 향하는 화살표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the size of the selected screen based on one of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being selected. For example, based on the user selecting the upper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radually enlarge the size of the second counterpart's screen 815.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that the size of the selected screen is increasing by outputting UIs 830-1, 830-2, 830-3, and 830-4 such as arrows shown in FIG. 8. there is. Even when the size of the selected screen has increased to a certain size, if the user continues to select the up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radually reduce the size of the selected scr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UI indicating that the size of the selected screen is decreasing, for example, an arrow pointing inward around the selected screen.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화면(811)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이 선택되면, 사용자 화면(811)의 위치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줌 기능이나 광각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화면(811)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2 방향 키(155)에 포함된 4 방향 중 아래쪽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801)에 포함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줌 인(zoom in)하거나 줌 아웃(zoom out)하여 사용자에 대한 촬영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one of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selected while the user screen 811 is sel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hanges the position or size of the user screen 811.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 adjustment function, it can also perform the zoom function or wide-angle functio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user may select the down button among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while the user screen 811 is selecte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djust the shooting area for the user by zooming in or out by adjusting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included in the camera 801.

또는,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화면(811)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2 방향 키(155)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화면(811)의 화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801)의 렌즈 위치를 조절하여, 렌즈로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현재 화면보다 왼쪽이나 오른쪽 영역이 사용자 화면(811)에 보이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selects the right butt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while the user screen 811 is sel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screen 811.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djust the lens position of the camera 801 to adjust the range that can be captured with the lens, so that an area to the left or right of the current screen is visible on the user screen 811.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2 가이드 UI(820)에서 안내된 대로 제2 방향 키(155)를 조작함으로써, 영상 통화 콘텐츠(810) 내의 화면의 크기나 위치, 화각이나 줌 등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operates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as instructed in the second guide UI 820 to adjust the size, position, angle of view, zoom, etc. of the screen in the video call content 810. It can be adjusted conveniently.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장치(150)에 세 개 이상의 방향 키가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다. FIG. 9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ontrol device 150 includes three or more direction ke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50)에는 제1 방향 키(151), 제2 방향 키(155) 외에, 제3 방향 키(15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control device 15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rection key 157 in addition to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실시 예에서, 제3 방향 키(157)는 제1 방향 키(151)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방향 키(151)와 제3 방향 키(157)는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가로로 눕혀서 사용할 때, 사용자의 두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hird direction key 157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like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n an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third direction key 157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so that when the user lays the control device 150 horizontally and uses it,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third direction key 157 are used with the thumbs of both hands of the user. It can be placed in a convenient location for operation.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metaverse content 41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출력하는 것에 상응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corresponding to outputting the metaverse content 41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출력하는 동안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와 제3 방향 키(157) 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150)를 가로로 회전시켜,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와 제3 방향 키(157)를 두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메타버스 콘텐츠(410)에 등장하는 아바타(411)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outputting the metaverse content 410, only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third direction key 157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activated. In order to control the metaverse content 410,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device 150 horizontally and us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and the third direction key 151 provided on the front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By manipulating the direction keys 157 with both thumbs, the avatar 411 that appears in the metaverse content 410 can be controlled.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출력하면서, 사용자에게 제1 방향 키(151)와 제3 방향 키(157)를 조작했을 때의 기능을 나타내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metaverse content 410 and outputs a guide UI indicating functions when manipulating the first and third direction keys 151 and 157 to the user. You can.

사용자는 가이드 UI를 보면서, 제1 방향 키(151)를 조작하여, 아바타(411)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 키(151)의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아바타(411)가 4 방향 중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can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vatar 411 by manipulat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while viewing the guide UI.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one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from the user, and accordingly control the avatar 411 to move in the selected direction among the four directions. there is.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3 방향 키(157)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3 방향 키(157)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411)의 시선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3 방향 키(157)의 우측, 좌측, 위쪽, 아래쪽 중 하나의 방향을 선택한 것에 상응하여, 아바타(411)의 시선이 우측, 좌측, 위쪽, 아래쪽 중 하나의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아바타(411)의 시선에 대응하여, 아바타(411)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가상 세계를 보여주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rection key 157 from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411 based on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rection key 157. The electronic device 100 changes the gaze of the avatar 411 to one of right, left, top, and bottom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one of right, left, top, and bottom directions of the third direction key 157. You can control the direction it fac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showing a virtual world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vatar 411's gaze is directed, in response to the gaze of the avatar 411.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710 for viewing.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하는 것에 상응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corresponding to outputting content 710 for viewing.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하는 동안에는,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와, 제어 장치(150)의 배면(150-2)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7) 만이 활성화 되고, 제3 방향 키(157)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outputting content 710 for view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on the front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control device 150 Only the second direction key 157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50-2 may be activated, and the third direction key 157 may be deactivated.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출력하면서, 사용자에게 제1 방향 키(151)와 제2 방향 키(155)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했을 때의 기능을 나타내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viewing content 710 and provides a guide UI that indicates to the user a function when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 keys 151 and 155. can be output.

사용자는, 시청용 콘텐츠(710)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150)를 세로 방향으로 세우고, 제어 장치(150)의 전면(150-1)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와 배면(150-2)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5)를 한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viewing content 710, the user stands up the control device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uses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on the front 150-1 of the control device 150 and the back (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rovided in 150-2) can be held and operated with one hand.

예컨대, 사용자는 제1 방향 키(151)를 조작하여, 포커스 이동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시청용 콘텐츠(710)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방향 키(155)를 조작하여 현재 출력되는 시청용 콘텐츠(710)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viewing content 710 by manipulat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to adjust the focus movement direc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by manipulat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urrently displayed viewing content 710 screen. .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제어 장치(150)는 세 개 이상의 방향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로 메타버스 콘텐츠(410)를 이용할 때와 시청용 콘텐츠(710)를 이용할 때,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복수의 방향 키를 다른 용도로 조작함으로써, 다른 유형의 콘텐츠를 하나의 제어 장치(150)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be provided with three or more direction keys. When using the metaverse content 410 and the viewing content 710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operates the plurality of direction keys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150 for different purposes, Content can be conveniently controlled with one control device 150.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내부 블록도이다.Figure 10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의 전자 장치(100)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일 예일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onic device 100 of FIG. 10 may be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FIG. 2 .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in FIG. 2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동일 도면 부호를 이용하였다. Referring to FIG. 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rocessor 101 and a memory 103. Since the processor 101 and memory 103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the processor 101 and memory 103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FIG. 2,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did.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 외에, 튜너부(1010), 통신부(1020), 감지부(1030), 입/출력부(1040), 비디오 처리부(1050), 디스플레이(1060), 오디오 처리부(1070), 오디오 출력부(1080) 및 사용자 입력부(10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in addition to the processor 101 and the memory 103, a tuner unit 1010, a communication unit 1020, a detection unit 1030, an input/output unit 1040, and a video processing unit 1050. ), a display 1060, an audio processing unit 1070, an audio output unit 1080, and a user input unit 1090.

튜너부(10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 등을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0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는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0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tuner unit 1010 amplifies, mixes, resonates, etc. broadcast content received by wire or wirelessly, and selects only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desired to be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among many radio wave components. You can select it by tuning.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tuner unit 1010 is decoded and separated into audio, video, and/or additional information. Separated audio, video and/or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3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1.

실시 예에서, 통신부(1020)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를 주변 기기나 외부 장치, 서버, 이동 단말기 등과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20)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 모듈(1021), 블루투스 모듈(1022), 유선 이더넷(Ethernet)(10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020 ma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a peripheral device, an external device, a server, a mobile terminal,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1. The communication unit 102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021, a Bluetooth module 1022, and a wired Ethernet 1023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an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블루투스 모듈(1022)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서 주변 기기로부터 전송된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022)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이 될 수 있으며,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022)은 BLE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시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BLE 신호를 스캔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021)은 와이파이(Wi-Fi) 통신 규격에 따라서 주변 기기와 와이파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1022 can receive a Bluetooth signal transmitted from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The Bluetooth module 1022 can be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receive BLE signals. The Bluetooth module 1022 may continuously or temporarily scan the BLE signal to detect whether the BLE signal is being received. The wireless LAN module 1021 can transmit and receive Wi-Fi signals with surrounding devices according to Wi-Fi communication standards.

감지부(10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1031), 카메라부(1032), 광 수신부(1033), 센싱부(103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0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이나 노이즈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01)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030 detects the user's voice, the user's image, or the user's interaction, and may include a microphone 1031, a camera unit 1032, a light receiving unit 1033, and a sensing unit 1034. The microphone 1031 can receive an audio signal including the user's utterance or noise, and can convert the received audio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 it to the processor 101.

카메라부(1032)는 센서(미도시) 및 렌즈(미도시)를 포함하고, 화면에 맺힌 이미지를 촬영하여 캡쳐하고 이를 프로세서(10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1032 includes a sensor (not shown) and a lens (not shown), and can photograph and capture images on the screen and transmit them to the processor 101.

실시 예에서, 카메라부(1032)는 영상 통화 앱이 실행되는 것에 상응하여,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부(1032)는 사용자로부터의 제2 방향 키(155) 제어에 따른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화각을 조절하거나 줌 인, 줌 아웃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amera unit 1032 may capture a pictur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video call app being executed. In an embodiment, the camera unit 1032 may adjust the angle of view for photographing the user or perform zoom-in and zoom-out based on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광 수신부(1033)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1033)는 리모컨이나 핸드폰 등과 같은 제어 장치(15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optical receiver 1033 can receive optical signals (including control signals). The light receiver 1033 may receive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eg, touch, press, touch gesture, voice, or motion) from the control device 150,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mobile phone.

입/출력부(1040)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의해 외부 기기(120) 등으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적 이미지 신호나 정지 이미지 신호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신호나, 음악 신호 등) 및 부가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unit 1040 receives video (e.g., a dynamic image signal or a still image signal, etc.), audio (e.g., a voice signal, or music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120,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1. signals, etc.) and additional information, etc. can be received.

입/출력부(104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04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042), PC 포트(PC port, 1043), 및 USB 포트(USB port, 104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40)는 HDMI 포트(1041), 컴포넌트 잭(1042), PC 포트(1043), 및 USB 포트(104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1040 is one of an HDMI port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041), a component jack (1042), a PC port (PC port, 1043), and a USB port (USB port, 1044). may include. The input/output unit 104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n HDMI port 1041, a component jack 1042, a PC port 1043, and a USB port 1044.

비디오 처리부(1050)는, 디스플레이(1060)에 의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video processing unit 1050 processes image data to be displayed by the display 1060 and performs various image 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decoding, rendering, scaling, noise filtering, frame rate conversion, and resolution conversion on the image data. You can.

디스플레이(1060)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저장 매체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다양한 앱, 예컨대, OTT 서비스 제공자나 메타버스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는 미디어 신호로, 비디오 신호, 이미지, 텍스트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1060 can output on the screen content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or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xternal server or external storage medium, or provided by various apps, such as an OTT service provider or a metaverse content provider. Content is a media signal and may include video signals, images, text signals, etc.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060)는 제1 방향 키(151) 또는 제2 방향 키(155)가 선택될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060)는 제1 방향 키(151)가 선택될 경우의 대응 동작을 나타내는 제1 가이드 UI나, 제2 방향 키(155)가 선택될 경우의 대응 동작을 나타내는 제2 가이드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1060 may output a guide UI indicating an action or function performed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151 or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selected.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1060 may display a first guide UI indicating a corresponding ac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s selected or a second guide indicating a corresponding action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is selected. At least one of the UI can be output.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에 제3 방향 키(157)가 더 구비된 경우, 디스플레이(1060)는 제3 방향 키(157)가 선택될 경우의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control device 150 is further equipped with a third direction key 157, the display 1060 may output a guide UI to guide the operation when the third direction key 157 is selected. there is.

오디오 처리부(10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0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The audio processing unit 1070 performs processing on audio data. The audio processing unit 1070 may perform various processing such as decoding, amplification, noise filtering, etc. on audio data.

오디오 출력부(1080)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0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통신부(1020) 또는 입/출력부(10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메모리(103)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80)는 스피커(1081), 헤드폰(1082)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0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080 outputs audio included in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tuner unit 101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1, audio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20 or the input/output unit 1040, and memory ( 103) can be output. The audio output unit 108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1081, headphones 1082, or S/PDIF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output terminal) 1083.

실시 예에서, 오디오 출력부(1080)는 원격 제어 장치(110) 또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udio output unit 1080 may adjust the volume of audio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10 or the processor 101.

사용자 입력부(109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9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로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09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090 may receive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input unit 1090 includes a touch panel that detects the user's touch, a button that receives the user's push operation, a wheel that receives the user's rotation operation, a keyboard, and a dome switch, and voice recognition.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various types of user input devices including a microphone for detecting motion,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motion, etc. In an embodiment, when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control device 150, the user input unit 109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50.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how the electronic device 100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1110).Referring to FIG. 1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step 111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복수의 키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including command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from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제어 신호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제1 방향 키(151)와 다른,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s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and a second direction key 155,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151.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rol signals.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단계 1120). 제1 유형의 콘텐츠는, 예컨대, 메타버스 콘텐츠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현재 실행하고 있는 앱이 메타버스 앱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가 메타버스 콘텐츠임을 식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content being output is the first type of content (step 1120). The first type of content may be, for example, metaverse content. For example, if the app currently being executed is a metaverse app,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is metaverse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130).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he first type of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step 113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단계 1140). 제2 유형의 콘텐츠는, 예컨대, 시청용 콘텐츠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content being output is the second type of content (step 1140). The second type of content may be, for example, viewing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150). In an embodiment, if the content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second type of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step 1150).

도 12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유형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1210). 제1 유형의 콘텐츠는, 메타버스 콘텐츠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first type of content (step 1210). The first type of content may be metaverse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유형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while outputting the first type of content, it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유형의 콘텐츠와 함께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UI를 이용하여 방향 키를 조작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direction key selection along with the first type of content. Users can operate the direction keys using the guide UI.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1 방향 키(151)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1220). 제어 장치는(150)는 제1 방향 키(151)가 선택된 것에 상응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230).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키(151)의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direction key 151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receive a first direction key input from the user (step 1220).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step 1230).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1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240).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first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tep 124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25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1 방향 키(151)를 이용하여 선택한 방향에 따라, 아바타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vatar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step 125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vatar according to the direction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first direction key 151.

사용자는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제2 방향 키(155)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1260). 제어 장치는(150)는 제2 방향 키(155)가 선택된 것에 상응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270).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 키(155)의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The user can select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150.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receive a second direction key input from the user (step 1260).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step 1270).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280).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tep 128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아바타의 시선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29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2 방향 키(155)를 이용하여 선택한 방향에 따라, 아바타의 시선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아바타의 시선이 향하는 가상 현실을 나타내는 메타버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step 129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according to the direction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thereby outputting metaverse content representing the virtual reality toward which the avatar's gaze is directed. You can.

도 13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secon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device 15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유형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1310). 실시 예에서, 제2 유형의 콘텐츠는 시청용 콘텐츠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econd type of content (step 1310). In embodiments, the second type of content may be viewing content.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유형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while outputting the second type of content, it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유형의 콘텐츠와 함께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UI를 이용하여 방향 키를 조작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direction key selection along with the second type of content. Users can operate the direction keys using the guide UI.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1320).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는(150)는 제1 방향 키(151)가 선택된 것에 상응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330).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키(151)의 각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receive a first direction key input from the user (step 1320).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step 1330).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1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340).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first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tep 134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포커스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시청용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 내지 커서를 상, 하, 좌, 우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focus movement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That is,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move the focus or cursor for selecting an object included in viewing content in one of the following directions: up, down, left, or right.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1360). 제어 장치는(150)는 제2 방향 키(155)가 선택된 것에 상응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370).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 키(155)의 각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receive a second direction key input from the user (step 1360).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step 1370).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380).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tep 138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1390). 제2 방향 키(155)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동작은 화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step 1390). The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may vary depending on the screen.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방향 키(155)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가이드 UI에 표시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n operation displayed on a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5,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도 14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어 장치(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rols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3 유형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1410). 실시 예에서, 제3 유형의 콘텐츠는 영상 통화 콘텐츠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3 유형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third type of content (step 1410). In an embodiment, the third type of content may be video call content. In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while outputting third type of content, it may control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3 유형의 콘텐츠와 함께, 방향 키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출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guide UI that guides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key input along with the third type of content.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1420). 제어 장치는(150)는 제1 방향 키(151)가 선택된 것에 상응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430).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방향 키(151)에 포함된 4 방향 중 하나의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receive a first direction key input from the user (step 1420). The control device 150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151 (step 1430).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key code comma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four directions included in the first direction key 151.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1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440).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first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tep 144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포커스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45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focus movement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step 1450).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단계 1460), 그에 상응하여 제2 방향 키(151)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470).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방향 키(151)의 각 방향에 대응하는 키 코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receive a second direction key input from the user (step 1460) and correspondingl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key 151 (step 1460). Step 1470).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include key code commands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151.

실시 예에서, 제어 장치(150)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480).In an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50 may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tep 1480).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선택된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490).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화면의 위치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화각을 조절하거나 줌 인이나 줌 아웃이 되도록 함으로써 선택된 화면을 조절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selected screen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step 1490).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djust the position or size of the selected screen.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selected screen by controlling the camera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adjust the angle of view or zoom in or out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Methods and device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um.

또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1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and if the content to be output is a first type of content, the content is set to a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Controlling the output, and if the output conten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content in a secon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ype of content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 computer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selection of a direction key and a second control signal depending on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a readable recording medium/storage medium.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imply means that it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This term is used to refer to cases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temporary storage media.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it is stored as . For example,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buffer where data is temporarily sto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and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or between two user devices (e.g. smartphones). It may be distributed in person or online (e.g., downloaded or uploaded).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e.g., a downloadable app) is stored o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It can be temporarily stored or created temporarily.

Claims (20)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출력부(107);
통신부(105);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03);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1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 unit 107;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05);
a memory 103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Comprising one or more processors (101)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is a first type of content, control the content output in a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control the output of the content in a secon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nd a second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콘텐츠는 메타버스(Metaverse) 콘텐츠이고, 상기 제2 유형의 콘텐츠는 시청용 콘텐츠인, 전자 장치.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ype of content is metaverse content, and the second type of content is viewing content.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출력부를 통해 가이드 UI를 출력하고,
상기 가이드 UI는, 상기 제1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1 가이드 UI 및 상기 제2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Outputs a guide UI through the output unit,
The guide UI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and a second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 electronic devic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상기 가이드 UI를 출력하고,
상기 이벤트는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이 변경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변경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Output the guide UI at preset time intervals or whenever an event occurs,
The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the type of content to be output is changed, and an event in which a function controll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s changed.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콘텐츠가 상기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메타버스 콘텐츠 내의 아바타(avatar)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나머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의 시선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if the output content is the first type of cont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an avatar in the metaverse content based on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remaining control signal amo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s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by controll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based on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의 제스처(gesture)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Receiving a sensing signal about the movement of the control device from th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s the gestures of the avatar based on the sensing signal.
제2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콘텐츠가 상기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시청용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출력하는 시청용 콘텐츠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if the output content is the second type of cont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Controlling a focus movement direction for select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viewing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performing the control on the currently output viewing content scree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s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by allow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rol signal to be performe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2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추가적인 제어 신호 수신 없이,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바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상기 제2 가이드 UI로 안내된 동작인, 전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Outputting a second guide UI displaying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through the output unit,
Upon receiv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mmediately performed without receiving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n operation guided by the second guide UI.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3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콘텐츠 유형은 영상 통화 콘텐츠이고,
상기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통화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의 화면의 크기, 위치, 화각, 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If the content output to the output unit is a third type of content, control the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third content type is video call content,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includes:
Controls the direction of focus movemen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creens included in the video call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elected scree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djusting at least one of a view angle and a zoom function.
제어 장치(150)에 있어서,
입력부(157);
통신부(155);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53);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1)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는 제1 방향 키(151)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는 다른 제2 방향 키(15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키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 키는 상기 제어 장치의 상기 전면, 배면, 후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어 장치.
In the control device 150,
input unit 157;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55);
a memory 153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Comprising one or more processors 151 that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input unit includes a first direction key 151 and a second direction key 155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The first direction key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back, rear, and side positions of the control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키와 상기 제2 방향 키는 사용자의 한 손으로 동시에 조작 가능한 범위 내에 배치되는, 제어 장치.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irst direction key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are dispos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by a user with one hand.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1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2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제1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방향 키와 다른, 제2 방향 키 선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device;
If the content to be output is a first type of content, controlling output of the content in a first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If the content to be output is a second type of content, controlling output of the content in a secon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first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nd a second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second direction ke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key. How it work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콘텐츠는 메타버스(Metaverse) 콘텐츠이고, 상기 제2 유형의 콘텐츠는 시청용 콘텐츠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type of content is metaverse content, and the second type of content is viewing content.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UI는, 상기 제1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1 가이드 UI 및 상기 제2 방향 키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제2 가이드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or 13,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a guide UI,
The guide UI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key and a second guide UI that displays an operation performed based on sel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key. , how electronic devices work.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상기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출력하는 콘텐츠의 유형이 변경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변경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guide UI is
Includ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guide UI at preset time intervals or whenever an event occurs,
The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the type of content to be output is changed and an event in which a function controll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s changed.
제13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메타버스 콘텐츠 내의 아바타(avatar)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나머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의 시선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 to 15, wherein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comprises:
Controlling a movement direction of an avatar in the metaverse content based on one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ntroll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based on the remaining control signal amo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의 제스처(gesture)를 제어하는 단게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sensing signal for movement of the control device from the control device,
The step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first mode i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a gesture of the avatar based on the sensing signal.
제13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시청용 콘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출력하는 시청용 콘텐츠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 to 17, wherein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second mode comprises:
controlling a focus movement direction for select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viewing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that can be performed on a currently output viewing content scree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제12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력하는 콘텐츠가 제3 유형의 콘텐츠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모드로 콘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통화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focus)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의 화면의 크기, 위치, 화각, 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8,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a third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ent to be output is a third type of content,
The step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the third mode is
controlling a focus movement direction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screens included in the video call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position, angle of view, and zoom function of the selected screen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제12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2 to 19 is recorded by a computer.
KR1020220156686A 2022-09-15 2022-11-21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KR202400377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515 WO2024058400A1 (en) 2022-09-15 2023-07-20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684 2022-09-15
KR20220116684 2022-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796A true KR20240037796A (en) 2024-03-22

Family

ID=9048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686A KR20240037796A (en) 2022-09-15 2022-11-21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7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519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45324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75230B1 (en)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66901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EP33246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6021685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8886634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8738374B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3002036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105341A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80057473A (en) Rotat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US11917329B2 (en) Display device and video communication data processing method
KR20240010068A (en) Display device
CN116097655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80016805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37796A (en)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KR102267194B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68340B1 (en) Video display device
KR20170111787A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EP4498682A1 (en) Display device
KR20130124816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irtual touch screen
EP423633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20641B1 (en) Video confenrece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