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281A - 핸드헬드 세척기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7281A KR20240037281A KR1020247005205A KR20247005205A KR20240037281A KR 20240037281 A KR20240037281 A KR 20240037281A KR 1020247005205 A KR1020247005205 A KR 1020247005205A KR 20247005205 A KR20247005205 A KR 20247005205A KR 20240037281 A KR20240037281 A KR 202400372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leeve
- guide
- handheld
- reciproc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74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9/00—Machines or 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17/00
- F04B19/04—Pumps for special u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9/00—Machines or 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17/00
- F04B19/20—Other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B19/22—Other positive-displacement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2—Disc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05—Bypass pressure relief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7—Pump 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6—Mobile combin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5/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with reciproca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e.g. gearings with helical grooves and automatic rever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왕복기구, 구동 조립체 및 워터펌프 조립체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왕복기구는 왕복축, 슬리브 및 제1 가이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왕복축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리브가 왕복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하며; 상기 워터펌프 조립체는 물유입부재, 펌프 본체 및 물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슬리브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물유입부재와 물배출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펌프 본체는 왕복축의 축선을 따라 운동할 때 상기 물유입부재로부터 물을 유입하고 상기 물배출부재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핸드헬드 세척기는 왕복축의 축방향 회전을 슬리브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전동용 편심구조에 따른 미끄럼마찰이 제1 가이드 조립체의 정마찰(statical friction)로 전환되어, 편향력을 감소하고 전력손실을 감소하며 전동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므로, 핸드헬드 세척기가 배출하는 물의 수압과 유량을 향상시켜 핸드헬드 세척기의 사용 경험의 향상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척도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헬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세척도구 기술의 발전과 함께 핸드헬드(Handheld) 세척기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핸드헬드 세척기는 수류의 압력을 이용하여 물체 표면의 오물때, 기름때 및 침전물 등의 오물을 세척하는 세척기기로서, 핸드헬드 사용으로 휴대가 편리하고 야외 활동의 청결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핸드헬드 세척기는 모터를 채택하여 감속박스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편심기구를 구동시켜 왕복운동을 형성하여, 단일 플런저가 펌프 본체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동함으로써, 물에 대한 일을 수행하여 물의 흡입과 배출을 형성하고, 물을 고압으로 분출시켜 오물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의 핸드헬드 세척기는 편심기구에 의해 단일 플런저가 구동되고, 펌프 본체 내에서 왕복운동할 때 거대한 편심력이 발생하므로, 압착 플런저가 펌프 본체 내에서 미끄럼마찰을 일으키게 되어, 전동효율이 높지 못하고,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낮으며, 손실이 비교적 큰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감안하여, 전동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펌프 본체의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세척기의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헬드 세척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세척기는, 장착 캐비티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왕복기구;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구동 조립체; 및 워터펌프 조립체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세척기로서, 상기 왕복기구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왕복축, 상기 왕복축 외측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는 슬리브, 및 제1 가이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와 가이딩 결합되며;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왕복축과 구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왕복축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리브가 상기 왕복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하며; 상기 워터펌프 조립체는 물유입부재, 펌프 본체 및 물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슬리브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물유입부재와 물배출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왕복축의 축선을 따라 운동할 때 상기 물유입부재로부터 물을 유입하고 상기 물배출부재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핸드헬드 세척기는 사용과정에서, 먼저 급수관 또는 물탱크를 물유입부재와 연통시킨 후, 구동 조립체를 작동하여 왕복축이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제1 가이드 조립체가 왕복축 상의 가이드부와 가이딩 결합되고 슬리브가 제1 가이드 조립체와 연결되므로, 슬리브는 왕복축의 회전에 의해 왕복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한다. 펌프 본체가 슬리브와 연결되므로, 펌프 본체는 워터펌프 조립체 내에서 피스톤 왕복운동을 하고, 물유입부재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물배출부재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핸드헬드 세척기는 왕복축의 축방향 회전을 슬리브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종래의 편심기구에 따른 미끄럼마찰이 제1 가이드 조립체의 구름마찰로 전환되어, 편향력을 감소하고 전력손실을 감소하며 전동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므로, 핸드헬드 세척기가 배출하는 물의 수압과 유량을 향상시켜 핸드헬드 세척기의 사용 경험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제1 구름부재와 연결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름부재는 상기 연결 홀더를 통해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와 롤링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홈이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왕복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왕복축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연장되며, 상기 제1 구름부재는 상기 가이드홈과 롤링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왕복기구는 상기 장착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슬리브와 가이딩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장착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연결되는 가이드판, 및 제2 구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왕복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 구름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판과 가이딩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왕복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모두 상기 가이드부와 롤링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슬리브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모두 상기 슬리브와 롤링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유입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1 체크밸브,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배출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2 체크밸브, 및 펌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왕복운동할 때 물을 상기 물유입부재로부터 상기 제1 체크밸브와 상기 제2 체크밸브를 통과시켜 상기 물배출부재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유입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3 체크밸브, 및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배출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4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체크밸브는 상기 제1 체크밸브와 반대되는 방향을 갖고, 상기 제4 체크밸브는 상기 제2 체크밸브와 반대되는 방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감속박스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감속박스와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감속박스는 상기 왕복축과 전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전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박스는 상기 전동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와 전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동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펌프 본체의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세척기의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헬드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당업자는 창조적인 작업 없이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제시하는 일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제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당업자는 창조적인 작업 없이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제시하는 일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제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포함된 특징들은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 후, 위, 아래” 등과 같은 방향 용어는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의 부품의 위치 및 다른 부품에 대한 위치에 기반하여 정의된다. 상기 방향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절단 생검 니들 키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절단 생검 니들 키트의 분해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철저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유사한 수정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위", "저", "내", “외",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 용어가 나타내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한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을 쉽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 또는 수식된 구성요소의 개수를 암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성요소를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는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2개, 3개 등과 같은 적어도 2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되어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중간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두 구성 요소의 내부가 연통되거나 두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 관계가 될 수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갖는 구체적인 의미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 요소가 제2 요소 “상” 또는 “하”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제1 요소와 제2 요소는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중간에 다른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요소가 제2 요소 “상”, “상단” 및 “상면”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제1 요소는 제2 요소의 바로 위쪽 또는 비스듬한 위쪽에 있거나, 단지 제1 요소의 수평 고도가 제2 요소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요소가 제2 요소 “하”, “하단” 및 “하면”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제1 요소는 제2 요소의 바로 아래쪽 또는 비스듬한 아래쪽에 있거나, 단지 제1 요소의 수평 고도가 제2 요소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 위에 직접 존재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직”, “수평”, "상", "하”, "좌", "우”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유일한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핸드헬드 세척기(100)는 하우징(110), 왕복기구(120), 구동 조립체(130) 및 워터펌프 조립체(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에는 장착 캐비티(111)가 구비된다. 왕복기구(120)는 장착 캐비티(111) 내에 배치되며, 왕복기구(120)는 왕복축(121), 슬리브(122) 및 제1 가이드 조립체(123)를 포함한다. 슬리브(122)는 왕복축(121) 외측에 슬리빙되어 배치된다. 왕복축(121)에는 가이드부(1211)가 구비되고, 슬리브(122)는 제1 가이드 조립체(123)를 통해 가이드부(1211)와 가이딩 결합된다. 구동 조립체(130)는 장착 캐비티(111) 내에 배치되며, 구동 조립체(130)는 왕복축(121)과 구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조립체(130)는 왕복축(121)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리브(122)가 왕복축(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한다. 워터펌프 조립체(140)는 물유입부재(141), 펌프 본체(142) 및 물배출부재(143)를 포함한다. 펌프 본체(142)는 슬리브(122)와 연결되며, 펌프 본체(142)는 물유입부재(141)와 물배출부재(143) 사이에 연통되어 있다. 펌프 본체(142)는 왕복축(121)의 축선을 따라 이동할 때 물유입부재(141)로부터 물을 유입하고 물배출부재(143)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핸드헬드 세척기(100)는 사용과정에서, 먼저 급수관 또는 물탱크를 물유입부재(141)와 연통시킨 후, 구동 조립체(130)를 작동하여 왕복축(121)이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제1 가이드 조립체(123)가 왕복축(121) 상의 가이드부(1211)와 가이딩 결합되고 슬리브(122)가 제1 가이드 조립체(123)와 연결되므로, 슬리브(122)는 왕복축(121)의 회전에 의해 왕복축(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한다. 펌프 본체(142)가 슬리브(122)와 연결되므로, 펌프 본체(142)는 워터펌프 조립체(140) 내에서 피스톤 왕복운동을 하고, 물유입부재(141)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물배출부재(143)로 배출한다. 본 출원의 핸드헬드 세척기(100)는 왕복축(121)의 축방향 회전을 슬리브(122)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종래의 편심기구에 따른 미끄럼마찰(sliding friction)이 제1 가이드 조립체(123)의 구름마찰(rolling friction)로 전환되어, 편향력을 감소하고 전력손실을 감소하며 전동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므로, 핸드헬드 세척기(100)가 배출하는 물의 수압과 유량을 향상시켜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경험의 향상에 유리하다.
여기서, 구동 조립체(130)와 왕복축(121)이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은, 구동 조립체(130)가 왕복축(121)과 연결되며 구동 조립체(130)가 왕복축(121)의 회전을 구동하는 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참고로, 가이드부(1211)가 제1 가이드 조립체(123)를 통해 슬리브(122)와 가이딩 결합된다는 것은, 슬리브(122)가 제1 가이드 조립체(123)를 통해 가이드부(1211)와 예를 들어 롤링 결합, 슬라이딩 결합 등과 같이 맞닿아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1211)가 제1 가이드 조립체(123)에 대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제1 가이드 조립체(123)가 가이드부(1211)의 윤곽 궤적을 따라 운동하도록 하며, 슬리브(122)는 제1 가이드 조립체(12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슬리브(122)가 가이드부(12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가이드부(1211)는 왕복축 상에 둘레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왕복축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122)가 왕복운동을 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왕복축(121)의 축선방향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을 예로 들면, 왕복축(121)의 축선방향은 도 1에 도시된 직선(S1) 상의 임의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제1 구름부재(1231)와 연결 홀더(1232)를 포함하고, 제1 구름부재(1231)는 연결 홀더(1232)를 통해 슬리브(122)에 연결되며, 제1 구름부재(1231)는 가이드부(1211)와 롤링 결합된다. 이와 같이, 롤링 결합을 통해 마찰을 감소하여, 전력손실을 감소하고, 왕복기구(120) 전동효율을 향상시키므로,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품질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름부재(1231)는 볼이다. 연결 홀더(1232)는 고정된 스틸볼 홀더이다. 연결 홀더(1232)는 슬리브와 나사산으로 연결된다. 또는, 연결 홀더(1232)는 서클립(circlip)에 의해 슬리브(122) 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구름부재(1231)의 구름 원활성의 향상에 유리하고, 전력손실을 더욱 감소하며 전동기구의 전동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므로, 동일한 전력에서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수압과 유량의 향상에 유리하다.
또는, 제1 구름부재(1231)와 연결 홀더(1232)는 일체형의 유니버셜 볼 베어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조립체(123)의 구조적 안정성의 향상에 유리하고, 하중을 확보하는 동시에 유니버설 볼 베어링과 왕복축(121)이 구름마찰을 형성하여, 전력손실의 감소 및 전동효율의 향상에 유리하므로, 동일한 전력에서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수압과 유량의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왕복축(1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모두 가이드부(1211)와 롤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2개이고, 2개의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왕복축(121)의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2개의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모두 가이드부(1211)와 롤링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조립체(123)의 가이드 역할을 향상시키고 왕복기구(120)의 전동효율을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제1 가이드 조립체(123)는 왕복축(121)에 대한 가이드 조립체의 둘레방향 지지 역할을 향상시켜, 왕복축(121)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편향력을 서로 상쇄시키며, 전력손실을 보다 감소시켜, 슬리브의 운동이 더욱 원활하도록 하고 마모를 감소시킴으로써,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품질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가이드부(1211)는 가이드판(1241), 가이드홈, 가이드관 또는 다른 가이드 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211)는 가이드홈이고, 가이드홈은 왕복축(1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며 왕복축(121)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연장되고, 제1 구름부재(1231)는 가이드홈과 롤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구름부재(1231)가 가이드홈의 윤곽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슬리브(122)의 왕복운동을 구동함으로써, 왕복기구(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왕복기구(120)의 전동효율을 향상시키고, 손실을 감소하여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신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211)에 대해 하나의 구체적인 구현예만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기구(120)는 장착 캐비티(111)의 캐비티 벽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 조립체(124)를 더 포함하며,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슬리브(122)와 가이딩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슬리브(122)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여, 장착 캐비티(111) 내에서 슬리브(122)의 왕복운동이 궤적을 심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며, 편향력을 줄이고 전동기구의 전동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운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므로,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품질을 보다 향상시킨다.
또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가이드판(1241)과 제2 구름부재(1242)를 포함하고, 가이드판(1241)은 장착 캐비티(111)의 캐비티 벽에 연결되며, 가이드판(1241)은 왕복축(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고, 슬리브(122)는 제2 구름부재(1242)를 통해 가이드판(1241)과 가이딩 결합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122)와 가이드판(1241)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고, 슬리브(122)의 왕복운동의 원활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작업 안정성 및 신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름부재(1242)는 스틸볼이다. 이와 같이, 롤링 방식은 마찰 감소에 유리하여, 전력손실을 감소하고, 왕복기구(120)와 구동 조립체(130)의 전동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손실을 감소함으로써,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가이드판(1241)에는 볼홈이 배치되고, 제2 구름부재(1242)는 볼홈을 통해 가이드판(1241)과 롤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2 구름부재(1242)의 가이드판(1241) 내 원활성과 가이드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2 구름부재(1242)의 이탈을 방지하여, 제2 가이드 조립체(124)의 작업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작업 안정성 및 신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슬리브(122)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모두 슬리브(122)와 롤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2개이고, 2개의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슬리브(122)의 둘레방향을 따른 대향하는 양측에 슬리브(122)의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2개의 제2 가이드 조립체(124)는 모두 슬리브(122)와 롤링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슬리브(122)의 왕복운동에 대한 제2 가이드 조립체(124)의 가이드 역할과 지지 역할을 보다 향상시켜, 슬리브(122)의 왕복운동이 궤적을 심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왕복기구(120)의 전동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작업 안정성 및 신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본체(142)는 플런저(1421), 제1 체크밸브(1422), 제2 체크밸브(1423) 및 펌프 바디(1424)를 포함하고, 플런저(1421)는 슬리브(122)와 연결되고, 제1 체크밸브(1422)는 플런저(1421)와 물유입부재(141) 사이에 연통되어 있으며, 제2 체크밸브(1423)는 플런저(1421)와 물배출부재(143) 사이에 연통되어 있고, 플런저(1421)는 왕복운동할 때 물을 물유입부재(141)로부터 제1 체크밸브(1422)와 제2 체크밸브(1423)를 통과시켜 물배출부재(143)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의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역할로 인해, 플런저(1421)가 운동할 때, 물은 오직 제1 체크밸브(1422)를 통해 물유입부재(141)로부터 펌프 바디(1424)에 유입되고 제2 체크밸브(1423)를 통해 물배출부재(143)로 배출될 수 있어, 물의 역류를 피하고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작업 신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본체(142)는 제3 체크밸브(1425)와 제4 체크밸브(1426)를 더 포함하고, 제3 체크밸브(1425)는 플런저(1421)와 물유입부재(141) 사이에 연통되어 있으며, 제3 체크밸브(1425)는 제1 체크밸브(1422)와 반대되는 방향을 갖는다. 제4 체크밸브(1426)는 플런저(1421)와 물배출부재(143) 사이에 연통되어 있으며, 제4 체크밸브(1426)는 제2 체크밸브(1423)와 반대되는 방향을 갖는다. 이와 같이, 플런저(1421)는 펌프 바디(1424) 내에서 왕복운동할 때 전진 또는 후진 모두에서 일(work)을 할 수 있게 된다. 플런저(1421)가 전진할 경우, 제1 체크밸브(1422), 제2 체크밸브(1423)를 통해 물의 흡입 및 배출을 구현하고, 플런저(1421)가 후진할 경우, 제3 체크밸브(1425)와 제4 체크밸브(1426)를 통해 물의 흡입 및 배출을 구현하며, 따라서 플런저(1421)가 왕복운동할 때 물을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물배출 품질 및 사용 경험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130)는 감속박스(131) 및 구동부재(132)를 포함하고, 구동부재(132)는 감속박스(131)와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감속박스(131)는 왕복축(121)과 전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부재(132)는 감속박스(131)가 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왕복축(121)이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이는 왕복축(121)의 회전 속도 조절에 유리하므로, 플런저(1421)의 운동 속도를 조절하여, 워터펌프 조립체(140)의 수압 및 유량을 조절하면,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안정성 및 사용 품질의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구동부재(132)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공압모터, 또는 다른 구동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132)는 전기모터이다. 이는 구동부재(132)의 휴대성의 향상에 유리하고, 배터리 구동을 통해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충전과 휴대를 용이하게 하여,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재(132)에 대해 하나의 구체적인 구현예만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조립체(130)는 전동부재(1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박스(131)는 상기 전동부재(133)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132)와 전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재(132)가 전동부재(133)를 운동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감속박스(131)를 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이는 구동부재(132)의 구동효과와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이한 전동 방식은 장착 캐비티(111) 내부 구조의 콤팩트성을 향상시켜, 부피와 무게를 감소시키므로,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품질의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전동부재(133)의 전동방식은 기어전동방식, 벨트전동방식, 체인전동방식, 링크전동방식, 또는 다른 전동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부재(133)는 기어이다. 이와 같이, 왕복기구(120)의 전동효율을 확보하여 왕복축(121)의 운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착 캐비티(111) 내부 구조의 콤팩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부피와 무게를 감소시키고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여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경험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부재(133)에 대해 하나의 구체적인 구현예만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물유입부재(141)에는 안전 릴리프 밸브(미도시)가 배치되고, 안전 릴리프 밸브는 물유입부재(141)와 플런저(1421) 사이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워터펌프 조립체(140)에서 안전보호 역할을 수행하여, 펌프 본체(142) 내의 압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경우, 안전 릴리프 밸브가 개방되어 펌프 본체(142)로부터 배출될 물을 부분적으로 다시 물유입부재(141)로 되돌려주어, 펌프 본체(142) 내의 압력이 안전값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워터펌프 조립체(140)가 과압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고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안전성 및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유입부재(141)에는 물 저장장치와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위한 물유입 퀵커플러(141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물유입부재(141)와 물유입 퀵 연결관, 물탱크 등과 같은 물 저장장치 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탈착이 용이하여, 물 저장장치의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핸드헬드 세척기(100)의 사용 편의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구성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구성에 대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기술적 구성의 조합에 모순이 존재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명세서의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개선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100 - 핸드헬드 세척기;
110 - 하우징;
111 - 장착 캐비티; 120 - 왕복기구;
121 - 왕복축; 1211 - 가이드부;
122 - 슬리브; 123 - 제1 가이드 조립체;
1231 - 제1 구름부재; 1232 - 연결 홀더;
124 - 제2 가이드 조립체; 1241 - 가이드판;
1242 - 제2 구름부재; 130 - 구동 조립체;
131 - 감속박스; 132 - 구동부재;
133 - 전동부재; 140 - 워터펌프 조립체;
141 - 물유입부재; 1411 - 물유입 퀵커플러;
142 - 펌프 본체; 1421 - 플런저;
1422 - 제1 체크밸브; 1423 - 제2 체크밸브;
1424 - 펌프 바디; 1425 - 제3 체크밸브;
1426 - 제4 체크밸브; 143 - 물배출부재
111 - 장착 캐비티; 120 - 왕복기구;
121 - 왕복축; 1211 - 가이드부;
122 - 슬리브; 123 - 제1 가이드 조립체;
1231 - 제1 구름부재; 1232 - 연결 홀더;
124 - 제2 가이드 조립체; 1241 - 가이드판;
1242 - 제2 구름부재; 130 - 구동 조립체;
131 - 감속박스; 132 - 구동부재;
133 - 전동부재; 140 - 워터펌프 조립체;
141 - 물유입부재; 1411 - 물유입 퀵커플러;
142 - 펌프 본체; 1421 - 플런저;
1422 - 제1 체크밸브; 1423 - 제2 체크밸브;
1424 - 펌프 바디; 1425 - 제3 체크밸브;
1426 - 제4 체크밸브; 143 - 물배출부재
Claims (10)
- 장착 캐비티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왕복기구;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구동 조립체; 및
워터펌프 조립체
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세척기로서,
상기 왕복기구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왕복축, 상기 왕복축 외측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는 슬리브, 및 제1 가이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와 가이딩 결합되며;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왕복축과 구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왕복축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리브가 상기 왕복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하며;
상기 워터펌프 조립체는 물유입부재, 펌프 본체 및 물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슬리브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물유입부재와 물배출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왕복축의 축선을 따라 운동할 때 상기 물유입부재로부터 물을 유입하고 상기 물배출부재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제1 구름부재와 연결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름부재는 상기 연결 홀더를 통해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와 롤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홈이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왕복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왕복축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연장되며, 상기 제1 구름부재는 상기 가이드홈과 롤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기구는 상기 장착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슬리브와 가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장착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연결되는 가이드판, 및 제2 구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왕복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 구름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판과 가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왕복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가이드 조립체는 모두 상기 가이드부와 롤링 결합되고; 및/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상기 슬리브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가이드 조립체는 모두 상기 슬리브와 롤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유입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1 체크밸브,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배출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2 체크밸브, 및 펌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왕복운동할 때 물을 상기 물유입부재로부터 상기 제1 체크밸브와 상기 제2 체크밸브를 통과시켜 상기 물배출부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본체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유입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3 체크밸브, 및 상기 플런저와 상기 물배출부재 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제4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체크밸브는 상기 제1 체크밸브와 반대되는 방향을 갖고, 상기 제4 체크밸브는 상기 제2 체크밸브와 반대되는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감속박스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감속박스와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감속박스는 상기 왕복축과 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전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박스는 상기 전동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와 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10814890.XA CN113374683A (zh) | 2021-07-19 | 2021-07-19 | 手持式清洗机 |
CN202110814890.X | 2021-07-19 | ||
PCT/CN2022/106012 WO2023001074A1 (zh) | 2021-07-19 | 2022-07-15 | 手持式清洗机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7281A true KR20240037281A (ko) | 2024-03-21 |
Family
ID=7758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05205A Pending KR20240037281A (ko) | 2021-07-19 | 2022-07-15 | 핸드헬드 세척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50073759A1 (ko) |
EP (1) | EP4374974A4 (ko) |
JP (1) | JP2024528699A (ko) |
KR (1) | KR20240037281A (ko) |
CN (1) | CN113374683A (ko) |
WO (1) | WO202300107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26748A (zh) * | 2021-07-19 | 2021-09-24 | 永康市光逸科技有限公司 | 清洗机往复结构及手持式清洗机 |
CN113374683A (zh) * | 2021-07-19 | 2021-09-10 | 永康市光逸科技有限公司 | 手持式清洗机 |
CN113719439A (zh) * | 2021-08-24 | 2021-11-30 | 浙江千机智能科技有限公司 | 传动结构、传动连接机构及空压机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701B1 (ko) * | 2005-05-19 | 2007-09-20 | 생동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회전왕복 피스톤 및 이를 이용한 펌프 |
BG112149A (bg) * | 2015-11-16 | 2016-03-31 | "Ксиметро - Татяна Николова" Ет | Устройство за преобразуване на възвратно-постъпателно движение във въртеливо движение и обратно при аксиално-бутални механични системи |
CN205570600U (zh) * | 2016-03-21 | 2016-09-14 |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 手持式清洗机 |
CN106593801A (zh) * | 2017-01-16 | 2017-04-26 | 黄增 | 液压泵往复旋转式钢球传动机构 |
KR20180120944A (ko) * | 2017-04-28 | 2018-11-07 | 한국원자력연구원 | 회전식 왕복 펌프 |
CN110905750A (zh) * | 2019-11-27 | 2020-03-24 | 丹阳新工五金有限公司 | 一种手持式清洗机 |
CN211160307U (zh) * | 2019-11-28 | 2020-08-04 | 永康市光逸科技有限公司 | 一种手持式清洗机 |
CN215927742U (zh) * | 2021-07-19 | 2022-03-01 | 永康市光逸科技有限公司 | 手持式清洗机 |
CN113374683A (zh) * | 2021-07-19 | 2021-09-10 | 永康市光逸科技有限公司 | 手持式清洗机 |
-
2021
- 2021-07-19 CN CN202110814890.XA patent/CN113374683A/zh active Pending
-
2022
- 2022-07-15 JP JP2024503853A patent/JP2024528699A/ja active Pending
- 2022-07-15 EP EP22845239.7A patent/EP4374974A4/en active Pending
- 2022-07-15 KR KR1020247005205A patent/KR20240037281A/ko active Pending
- 2022-07-15 US US18/580,484 patent/US20250073759A1/en active Pending
- 2022-07-15 WO PCT/CN2022/106012 patent/WO2023001074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374974A4 (en) | 2025-03-26 |
WO2023001074A1 (zh) | 2023-01-26 |
EP4374974A1 (en) | 2024-05-29 |
CN113374683A (zh) | 2021-09-10 |
JP2024528699A (ja) | 2024-07-30 |
US20250073759A1 (en) | 2025-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037281A (ko) | 핸드헬드 세척기 | |
KR20240036046A (ko) | 세척기용 왕복 구조물 및 핸드헬드 세척기 | |
CN215918369U (zh) | 清洗机往复结构及手持式清洗机 | |
CN215927742U (zh) | 手持式清洗机 | |
WO2023011590A1 (zh) | 一种柱塞泵及手持式高压清洗机 | |
CN110159549B (zh) | 泵组件及高压清洗设备 | |
CN110594121B (zh) | 一种泵单元及手持式高压清洗机 | |
CN212360076U (zh) | 一种微型清洗机泵单元 | |
CN115026153B (zh) | 一种降低钢板损耗的高强钢精密矫平机及其工作方法 | |
CN111577570A (zh) | 一种微型清洗机泵单元 | |
JP2015033684A (ja) | 洗浄機 | |
CN221044899U (zh) | 切割机构、滚刷装置及清洁设备 | |
CN210660460U (zh) | 单柱塞清洗机泵以及清洗机 | |
CN218981969U (zh) | 一种手持式高压清洗机 | |
CN215902848U (zh) | 往复锯 | |
CN218664070U (zh) | 一种移动装置及清洗设备 | |
CN202645909U (zh) | 一种计量泵结构 | |
CN113757208B (zh) | 一种便携式液压站 | |
CN215927687U (zh) | 一种高压清洗机的柱塞泵 | |
CN220780829U (zh) | 手持式清洗机 | |
CN219541143U (zh) | 便携式清洗机 | |
CN223018902U (zh) | 一种洁牙器机芯传动件耐用结构 | |
CN115773216A (zh) | 柱塞泵及手持式清洗机 | |
CN213162154U (zh) | 一种手持高压清洗机泵体出水结构 | |
CN217747563U (zh) | 手持式高压无气喷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