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540A - Hand rai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 Google Patents
Hand rai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4540A KR20240034540A KR1020220113684A KR20220113684A KR20240034540A KR 20240034540 A KR20240034540 A KR 20240034540A KR 1020220113684 A KR1020220113684 A KR 1020220113684A KR 20220113684 A KR20220113684 A KR 20220113684A KR 20240034540 A KR20240034540 A KR 202400345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trance
- bar
- handrail
- rail device
- hand ra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드 레일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rail device and a ship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선박 등 대형 구조물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행로에는 추락 방지를 위해 핸드레일이 설치되며, 핸드레일이 설치된 구역 중 작업자가 통행로에서 벗어나 계단, 사다리 등으로 이동하기 위한 위치에는 핸드레일 일부가 제거되어 출입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Generally, handrails are installed in the passageways where workers move in large structures such as ships to prevent falls, and in areas where handrails are installed, part of the handrails is removed in areas where workers need to leave the passageways and move to stairs, ladders, etc. It also forms an entran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1)에 형성된 출입구(2)를 개폐하기 위해 출입바(3)(이하; 드롭 바)가 핸드레일(1)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entrance bar 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op bar)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예를 들어, 드롭 바(3)는 핸드레일(1)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면 출입구(2)를 폐쇄하고 핸드레일(1)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고, 상 방향으로 회전되면 출입구(2)를 개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op bar (3) is fixed to the handrail (1)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can close the entrance (2) and function as part of the handrail (1), and when rotated upward, it can close the entrance (2) can be opened.
그러나 상기한 드롭 바(3)는 출입구(2)의 회전반경에 해당하는 회전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게 되고, 출입구의 회전과정에서 다른 구조물이나 보행자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또한, 드롭 바(3)는 힌지구조 및 출입구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멈춤장치 등이 필요하므로, 출입구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특히, 작업자가 수직 사다리를 사용하면서 한손으로는 핸드레일을 잡은 상태에서 나머지 한손으로 드롭 바를 들어준 상태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드롭 바의 길이가 긴 경우 통행을 위해 충분히 열리는 위치까지 손이 닿지 않는 경우가 있어 데크 상부로 이동시 드롭 바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a vertical ladder, workers have to move while holding the handrail with one hand and lifting the drop bar with the other hand. If the drop bar is long, the hand must be moved to a position that is sufficiently open for passage. In some cases, it may not reach, so a collision with the drop bar may occur when moving to the top of the deck.
이는 작업자의 불편함 뿐만 아니라 한손이 자유롭지 못함으로 인한 균형 상실에 따른 추락 및 미끄럼 등의 안전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This can not only cause discomfort to the worker, but also cause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and slips due to loss of balance due to one hand not being fre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출입구의 개폐가 용이한 핸드 레일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rail device that facilitates opening and closing of an entrance and a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바의 개폐 동작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핸드 레일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rail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n access bar that opens and closes an entrance, and a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작업자가 통행에 필요한 폭만큼 개방할 수 있는 핸드 레일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rail device that can be opened to a width required for passage by an operator, and a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her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난간과 제2난간 그리고 그 사이에 형성된 출입구를 갖는 난간 부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바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바는 단위 블럭이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핸드 레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rail member having a first handrail, a second handrail, and an entrance formed between them; Includes an entrance bar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and exit; The entrance bar may be provided with a hand rail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unit block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olded.
또한, 상기 출입바는 펼쳐졌을 때 수평한 상태를 유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ntry/exit bar may be provid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hen unfolded.
또한, 상기 출입바는 상방향으로만 접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entry/exit bar can be folded only in the up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출입바의 일단에 위치한 제1단위 블럭은 상기 제1난간에 고정되고, 타단에 위치한 제2단위 블럭은 상기 제2난간에 안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unit block located at one end of the access bar may be fixed to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unit block located at the other end may be seated on the second handrail.
또한, 상기 제2난간은 상기 제2단위 블럭이 안착되는 홀드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railing may include a hold on which the second unit block is seated.
또한, 상기 출입바는 상기 단위 블럭들을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핀과, 상기 핀이 끼워지도록 상기 단위 블럭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ntry/exit bar may include a pin that connects the unit blocks to each other in a hinged manner, and a hinge pip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nit block so that the pin is inserted.
또한, 상기 출입바는 상기 제1난간과 상기 제2난간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ccess bar may be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이식 출입바는 작업 상 필요에 따라서는 핸드레일을 출입구(통행로) 안쪽으로 접어 통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펼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able entrance bar folds the handrail inside the entrance (passageway) as needed for work to avoid inconvenience in passing, and after work is completed, it can be unfolded to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accident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이식 출입바는 작업자가 수월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able entry/exit bar can be easily folded or unfolded by an op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바의 개폐 동작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required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access ba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통행에 필요한 폭만큼 개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can open the door to the width required for passage.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종래 선박의 핸드 레일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출입바가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출입바가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출입바의 단위 블럭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출입바의 힌지 방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출입바의 힌지 방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출입바의 개폐 동작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홀드가 생략된 핸드 레일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출입바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hip hand rail device.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hip's hand rai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entrance bar in a closed state.
Figures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access bar in an open state.
Figures 5a and 5b are an enlarged side view and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unit block of the entrance and exit bar.
Figures 6a and 6b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inge method of the entrance/exit bar.
Figures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inge method of the entrance/exit bar.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step by step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ntry/exit bar.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hand rail device with the hold omitted.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ntry/exit bar.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s thereof will be provided. Any necessary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hip's hand rai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핸드 레일 장치(100)는 난간 부재(101)와 출입바(130)를 포함할 수있다. 난간 부재(101)는 제1난간(101-1)과 제2난간(101-2)을 포함하며, 제1난간(101-1)과 제2난간(101-2) 사이에는 출입구(104)가 제공될 수 있다. 제1난간(101-1)과 제2난간(101-2)은 수직 지주(110)와 수평바(120)들을 포함하며, 제1난간(101-1)과 제2난간(101-2) 사이의 출입구(104)에는 출입바(130)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제1,2난간(101-1,101-2)의 수직 지주(110)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데크(12) 상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직 지주(110)들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데크(12)라 함은 사람이 통행하는 이동통로(walkway) 또는 오픈데크(open deck)와 같이 외부환경에 상시로 노출된 선체의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수직 지주(110)들은 수평 바(120)에 이해 서로 연결된다. The
수평 바(120)는 수직 지주(110)들을 따라 길게 연장 설치될 수 있다. 수평 바(120)는 내부가 빈 중공형태의 둥근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수평 바(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이 진 다각형의 파이프 형상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The
수직 지주(110)의 배치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과 같이 핸드레일 장치(100)가 데크에 설치된다면 데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핸드 레일 장치(100)이 수직 통로(사다리 통로) 측에 설치된다면 수직 통로를 둘러싸도록 수직 지주(110)들이 배열될 수 있다.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도 3a 및 도 3b는 출입바가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출입바가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FIGS.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entrance bar in a closed state, and FIGS.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entrance bar in an open state.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출입바(130)는 출입구(104)에 설치된다. 출입바(130)는 출입구(104)를 통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출입바(130)는 단위 블럭(132)이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다. 출입바(130)는 펼쳐졌을 때 수평한 상태를 유지도록 제공된다. 출입바(130)는 상방향으로만 접혀지는 힌지 구조를 갖는다. 출입바(130)는 강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전레일에서 요구되는 횡방향 및 종방향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3A to 4B, the
출입바(130)의 일단에 위치한 제1단위 블럭은 제1난간(101-1)에 고정되고, 타단에 위치한 제2단위 블럭은 제2난간(101-2)에 안착된다. 제2난간(101-2)에는 제2단위 블럭이 안착되는 홀드(112)를 포함한다. 도 9에서와 같이, 홀드를 삭제하여 통행에 필요한 공간을 추가확보할 수 있다. The first unit block located at one end of the
도 5a 및 도 5b는 출입바의 단위 블럭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Figures 5a and 5b are an enlarged side view and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unit block of the entrance and exit bar.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출입바(130)는 단위 블럭(132)들을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핀(136)과, 핀(136)이 끼워지도록 단위 블럭(132)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관(134)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핀(136)이 단위 블럭(132)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형 회전 핀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힌지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입바에 적용되는 힌지 부분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entry/
도 6a 및 도 6b는 출입바의 힌지 방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Figures 6a and 6b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inge method of the entrance/exit bar.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단위 블럭(132)에 힌지관(1340이 양측에 형성되고, 핀(136)은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A and 6B, hinge pipes 134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도 7a 및 도 7b는 출입바의 힌지 방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Figures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inge method of the entrance/exit bar.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또 다른 힌지 방식으로 단위 블럭(132)들은 양단에 힌지관이 형성되고, 핀 대신에 볼트(138)와 너트(137)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another hinge method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unit blocks 132 have hinge pipes formed at both ends and are fastened with
도 8은 출입바의 개폐 동작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step by step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ntry/exit bar.
도 8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수직 사다리(도 2 참고)에 매달린 상태에서 양발과 한손을 고정한 채로 나머지 한손으로 출입바(130)를 접어서 열고 놓아둘 수 있게 함으로써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출입바(130)를 접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 the worker can freely use both hands by folding and opening the
도 10은 출입바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ntry/exit bar.
도 10에서와 같이, 출입바(130-1,130-2)를 제1난간(101-1)과 제2난간(101-2)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하여 출입구(104)의 중앙 부분에서 양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 10, the entrance bars 130-1 and 130-2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handrail 101-1 and the second handrail 101-2, respectively, so that they open in both directions at the center of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핸드 레일 장치
101 : 난간 부재
130 : 출입바
132 : 단위 블럭
100: hand rail device 101: handrail member
130: Entry bar 132: Unit block
Claims (8)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바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바는 단위 블럭이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핸드 레일 장치.A railing member having a first railing, a second railing, and an entrance formed between them;
Includes an entrance bar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and exit;
The entrance bar is a hand rail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unit block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olded.
상기 출입바는 펼쳐졌을 때 수평한 상태를 유지도록 제공되는 핸드 레일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bar is a hand rail device provid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hen unfolded.
상기 출입바는
상방향으로만 접혀지는 핸드 레일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entrance bar is
A hand rail device that folds upward only.
상기 출입바의 일단에 위치한 제1단위 블럭은 상기 제1난간에 고정되고, 타단에 위치한 제2단위 블럭은 상기 제2난간에 안착되는 핸드 레일 장치.According to claim 2,
A hand rail device in which a first unit block located at one end of the access bar is fixed to the first handrail, and a second unit block located at the other end is seated on the second handrail.
상기 제2난간은
상기 제2단위 블럭이 안착되는 홀드를 포함하는 핸드 레일 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railing is
A hand rail device including a hold on which the second unit block is seated.
상기 출입바는
상기 단위 블럭들을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핀과, 상기 핀이 끼워지도록 상기 단위 블럭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관을 포함하는 핸드 레일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entrance bar is
A hand rail device comprising a pin connecting the unit blocks to each other in a hinged manner, and a hinge pip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nit block so that the pin is inserted.
상기 출입바는 상기 제1난간과 상기 제2난간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핸드 레일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bar is a hand rail device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3684A KR20240034540A (en) | 2022-09-07 | 2022-09-07 | Hand rai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3684A KR20240034540A (en) | 2022-09-07 | 2022-09-07 | Hand rai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4540A true KR20240034540A (en) | 2024-03-14 |
Family
ID=9024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3684A Pending KR20240034540A (en) | 2022-09-07 | 2022-09-07 | Hand rai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34540A (en) |
-
2022
- 2022-09-07 KR KR1020220113684A patent/KR20240034540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928876T3 (en) | Elevator car comprising a work platform and method for moving a work platform | |
JP4839566B2 (en) | Elevator cage and elevator device | |
CN104818943A (en) | Elevator pit ladder | |
JP5217073B2 (en) | Car and elevator equipment | |
KR20240034540A (en) | Hand rai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 |
KR101182207B1 (en) | Bridge inspection ladder of safe structure | |
KR102178186B1 (en) | Expandable bucket safety handrail structure with foldable structure | |
US9682750B2 (en) | Passenger bridges for connection to a door in the side of a ship | |
KR101704755B1 (en) | Platform for passing to a side-opening on the ship building | |
JP2021031990A (en) | Ascending/descending type safety fence for manhole | |
ES2884777T3 (en) | Supplementary platform for a work platform | |
KR101756054B1 (en) | A foldable danger mark apparatus for preventing worker fallng from at lifting gang form | |
JP7350535B2 (en) | Scaffolding for bridge inspection | |
KR100828576B1 (en) | Portable frame scaffolding handrail | |
RU2193006C2 (en) | Telescopic ladder and tower crane member moving up and down the ladder | |
KR101912178B1 (en) | Safety handrail with foldable two-stage structure | |
KR101922174B1 (en) | Deployable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 |
KR101762586B1 (en) | Emergency escape system for vessel | |
KR101995334B1 (en) | Device for setting up a scaffolding on the block of a hull | |
KR200361424Y1 (en) | Auxiliary ladder for going in and out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 |
JP5676550B2 (en) | Elevator rescue equipment | |
KR20180001379U (en) | Integrated platform for pilot door of ship | |
KR100798228B1 (en) | Safety device for underground structure provided at entrance door of underground structure | |
KR20170132597A (en) | Foldable work stage for suspension scaffold | |
JP2004293176A (en) | Protective scaffold unit for bridge and protectiv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