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33665A -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attac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 Google Patents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attac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665A
KR20240033665A KR1020230116598A KR20230116598A KR20240033665A KR 20240033665 A KR20240033665 A KR 20240033665A KR 1020230116598 A KR1020230116598 A KR 1020230116598A KR 20230116598 A KR20230116598 A KR 20230116598A KR 20240033665 A KR20240033665 A KR 2024003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electronic device
clothing
holde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은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트
Publication of KR2024003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66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는, 의류에 수직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는 상기 봉제 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은 안착 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전기/전자 장치와 결합되는 결합 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부는 상기 안착 부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전기/전자 장치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의류 내 전기/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를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for attach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clothing, whe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othing is considered an up-down direction, the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ower housing including the sewing portion; The lower housing includes a seating portion,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he coupl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upper housing limit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within the clothing. It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that allows information to be check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secure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the upper housing.

Description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attac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attac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본 발명은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기/전자 장치의 부착공간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방법으로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봉제 기능을 갖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and more specifically, to minimize the attachment space of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nd provide a sewing function to attach them to clothing in an optimal manner. It relates to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최근에는 정보기술(IT)의 발달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러한 정보기술과 섬유기술이 융합된 첨단 의복으로 스마트 의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의류는, 주변 환경이나 상황, 그리고 인체의 자극을 스스로 감지해 착용자의 몸을 안전하게 보호해줌은 물론, 신체의 생체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심장박동, 체온, 호흡, 혈압 같은 신체 정보가 전자기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의류는 전자기기와 연결되기 위해 전기/전자 장치를 구비해야하며, 이러한 전기/전자 장치를 최소화하고, 최적화된 방법으로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홀더 구조가 창작되었다.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become more active, smart clothing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cutting-edge clothing that combin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xtile technology. These smart clothes not only protect the wearer's body safely by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ituations, and human body stimulation, but are also configured to monitor the body'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the heartbeat, body temperature, an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wearing the smart clothing. It is being configured so that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breathing and blood pressure can be measured through electronic devices. Therefore, smart clothing must be equipped wit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b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s, and a holder structure has been created to minimize these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nd attach them to clothing in an optimized manner.

본 발명은 스마트 의류 내 전기/전자 장치의 부착공간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방법으로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봉제 기능을 갖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inimize the attachment space for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in smart clothing and provide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with a sewing function for optimal attachment to cloth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는, 의류에 결합되는 봉제 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에 수직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는 상기 봉제 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은 안착 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전기/전자 장치와 결합되는 결합 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부는 상기 안착 부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전기/전자 장치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의류 내 전기/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를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for attach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wing portion coupled to the clothing, and whe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othing is referred to as the up-down direction, The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ower housing including the sewing portion, the lower housing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he coupl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upper housing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capable of confirm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within the clothing by limit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The protrusion secures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the upper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전원 연결선을 포함하는 전극 봉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전극 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using includes an electrode including a power connection line to supply current from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the clothing. The rod is coupled, and a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so that the electrode rod can be se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은 상기 봉제 부가 구비되어 상기 의류와 결합될 수 있는 외부 하우징, 상기 안착 홈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using includes an outer housing provided with the sewing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clothing, and the seating groove. It may include a formed internal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는, 상하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내부 하우징의 최외부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부 봉제부의 최내부가 맞닿으며,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2중 사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for attach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utermost part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innermost part of the outer sewing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may have a double inj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전원 연결선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의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한 일 부가 이격될 수 있다.In the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for attach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are configured so that the power connection line can be mounted. At least one part of them may be separ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상하 축을 기준으로 상부 하우징은 상기 의류와 평행하되, 상기 결합 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축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for attach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using is parallel to the cloth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and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from th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wel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In the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for attach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결합 돌기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와 커플러 결합될 수 있다.In the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for attach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coupler-coupled with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 및 외부 하우징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for attach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의류 내 전기/전자 장치의 부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의류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전기/전자 장치 배치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for attach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in smart clothing can be minimized, and it can be securely fixed to clothing to provide stability to the arrangement of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웨어러블 장치가 의류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하부 하우징을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극 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전극 봉을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identical or functionally similar elements.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wearable devic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clothing.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wearable devic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upper housing of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lower housing of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lower housing of Figure 6.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d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electrode rod of Figure 8.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assembled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referenced above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and should be understood as presenting rather simplified representations of various preferred features illustrat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pecific design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for example, specific dimensions, orientation, location and shape, will be determined in part by the particular intended application and usage environment.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 중 하나 이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또한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re intended to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but may also include other features.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ield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thereof.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or all combinations of the associated listed ite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의류는 사용자의 상체에 대응되는 상의와 하체에 대응되는 하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clo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top corresponding to the user's upper body and bottoms corresponding to the lower body, and can also be formed as an integrated piece.

이하, 하기와 같은 발명의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웨어러블 장치가 의류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wearable devic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clothing,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wearable devic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10)는 사용자가 착복 시 사용자의 근육에 밀착되는 성질을 가지며, 이에 따라 근육 메모리 효과를 증대시킨다. 따라서 탄성 재질을 가진 원단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근육은 가슴 근육, 등 근육, 하체 근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인체를 이루는 주요 대근육(가슴 근육, 등 근육, 하체 근육)에 밀착될 것을 조건으로 한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clothin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roperty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muscles when the user puts it on, thereby increasing the muscle memory effect. Therefore, it can be implemented using fabrics with elastic materials. The muscles are characterized a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chest muscles, back muscles, and lower body muscle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Preferably, it is provided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jor large muscles (chest muscles, back muscles, lower body muscles) that make up the human body.

상기 의류가 근육에 밀착되는 경우 밀착되는 부위에는 전기 근육 자극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 근육 자극은 그 자체 자체만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을 보조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근육에 자극을 주어 저항 운동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동일한 일반 운동을 수행할 때 보다 20~30% 정도 효과를 높여 주는 것이다. 전기 근육 자극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은 의류(10)에 패드 형태로 부착되어 사용자의 근육에 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기 근육 자극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을 주기 위해서는 의류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웨어러블 장치(1)가 필요하다.When the clothing is in close contact with a muscl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may be performed on the area in close contact.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does not play any role in itself, but rather assists exercise by stimulating the muscles that perform the movement, thereby providing a resistance exercise effect, increasing the effect by 20 to 30% compared to performing the same general exercise. will b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can be formed in a way that it is attached to the clothing 10 in the form of a pad and stimulates the user's muscles. 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a wearable device 1 that transmits electrical signals to clothing is required.

웨어러블 장치(1)는 의류의 임의의 부분에 부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1)는 하나의 예로 의류(10)가 홀복인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가 부착되며, 상의와 하의로 나누어진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가 상의와 하의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 must be attached to any part of the clothing. Accordingly, the wearable device 1 is, for example, when the clothing 10 is worn alone, at least one wearable device 1 is attached, and when the clothing 10 is divided into tops and bottoms, at least two or more wearable devices 1 are attached to the tops and bottoms. Can be attached to each.

특히, 도 2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웨어러블 장치(1)는 전기/전자 장치(20)와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가 의류(10)의 임의의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에 상기 전기/전자 장치(20)가 결합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전기/전자 장치(20)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으로 상기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는 의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상기 전기/전자 장치(20)에 따른 전류 자극 등을 의류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근육에 전기 근육 자극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을 부여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wearable device 1 may include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and a holder 30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A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is attached to any part of the clothing 10, and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is coupled to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s one example,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may be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clothing, so it transmits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o the clothing to provid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o the user's muscles. Muscle Stimulation (EMS) can be given.

이하, 설명을 통해 전기/전자 장치(20)에 대해 설명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핵심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를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will be described through explanation, and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which corresponds to the cor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의 분해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20)는 제1 부재(201)와 제2 부재(202)가 하나의 하우징을 형성하고, 제3 부재(206)가 다른 하나의 하우징을 형성하여, 해당 복수의 하우징이 결합하여 전기/전자 장치(2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전기/전자 장치(20)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203), 배터리(204), 제1 단자(211), 제2 단자(212), 및 씰(seal)(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자 들은 추후 설명할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전자 신호를 주고받기 위함이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member 201 and the second member 202 form one housing, and the third member 206 forms another housing, and the plurality of housings are combined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may include a substrate 203, a battery 204, a first terminal 211, a second terminal 212, and a seal 205 disposed therein. .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exchange electrical/electronic signals.

기판(203)은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04)는 기판(203)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기/전자 장치(20)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씰(205)은 전기/전자 장치(20)의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실(205)은 상기 복수의 하우징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substrate 203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The battery 20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203 and can store power necessary for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20 to operate. The seal 205 is configur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housing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he seal 20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us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upper housing of the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상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는 크게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31)은 전기/전자 장치(20)와 직접 접촉하여 연결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32)은 의류(10)에 직접 부착된다. 단, 상기 상부 하우징(31)에는 하부 하우징(32)에 부착된 전극봉(50)이 직접 전기/전자 장치(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동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의 구조를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upper housing 31 and a lower housing 32, and the upper housing 31 and the lower housing 32 are divided up and down. It can be formed by vertically combining in one direction. The upper housing 31 is connect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and the lower housing 32 is directly attached to the clothing 10. However, at least two or more caviti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31 so that the electrode 50 attached to the lower housing 32 can directly contact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의류(10)에 수직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할 때,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는 의류(10)에 결합되는 봉제 부(322)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3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32)은 상부 하우징(31)이 안착되는 안착 부(321)를 포함한다. 즉,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부 하우징(31)은 홀더 커버의 형태로, 하부 하우징(32)은 홀더 하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othing 10 is referred to as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includes a lower housing 32 including a sewing portion 322 coupled to the clothing 10, , the lower housing 32 includes a seating portion 321 on which the upper housing 31 is seated. That is, the upper housing 31 and the lower housing 32 can be combined. As another example, the upper housing 3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older cover, and the lower housing 3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ower holder.

상기 상부 하우징(31)은 전기/전자 장치(20)와 결합되는 결합 부(311)를 포함하는데, 상기 결합 부(311)는 상기 안착 부(321)에 수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부 하우징(31)은 하부 하우징(32)의 안착 부(321)에 안착되어, 결합 부(311)로 전기/전자 장치(2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31 includes a coupling portion 311 coupled to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and the coupling portion 311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321. As one example, the upper housing 31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321 of the lower housing 32 and coupled to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311.

하나의 예로 결합부(311)는 지지부(31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의 결합부(311)는 의류(10)를 관통할 수 있다. 결합부(311)는 하부 하우징(32)의 안착부(3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안착부(321)에 수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2)은 상부 하우징(31)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의 결합부(311)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11)의 리세스에는 전기/전자 장치(20)가 수용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31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upport portion 312. The coupling portion 311 of the upper housing 31 may penetrate the clothing 10. The coupling portion 311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321 of the lower housing 32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321. The lower housing 32 may support the upper housing 31. A recess that is depressed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311 of the upper housing 31.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of the coupling portion 311.

지지부(312)는 결합부(311)의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12)는 의류(10)를 마주보도록 결합부(31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312)는 의류(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12)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봉제부(32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지지부(312)와 봉제부(322) 사이에는 의복(10)이 개재될 수 있다. 지지부(312)는 상부 하우징(31)을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312 may b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portion 311. 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312 may extend from the top edge of the engaging portion 311 to face the clothing 10 . The support portion 31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othing 10 . The support portion 312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sewing portion 3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lothing 1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312 and the sewing portion 322. The support portion 312 may support the upper housing 31.

하나의 예로, 도면상의 상하 축을 기준으로 상부 하우징(31)은 상기 의류(10)와 평행하되, 상기 결합 부(3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축에 수직하게 연장되는지 지 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312)는 의류(10)와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pper housing 31 is parallel to the clothing 10 based on the vertical axis in the draw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312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from the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311. You can. The support portion 312 may be combined with clothing 10.

하나의 예로, 상부 하우징(31)은 전기/전자 장치(20)와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여 의류(10) 내 전기/전자 장치(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60)가 전기/전자 장치(20)를 상부 하우징(31)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의류(10) 내 전기/전자 장치(20)의 위치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결합 돌기(60)를 통해 전기/전자 장치(20)의 위치를 제한하고,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에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의 크기를 확장시킬 필요가 없다. 즉, 최소 및 최적의 크기로 의류(10)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As an example, the upper housing 31 has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60 that limits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20 and allow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20 within the clothing 10 to be confirmed. ) may include.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60 fixes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o the upper housing 31, the position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within the clothing 10 can be detected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can be limited and accurately fixed to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60, it is unnecessary to connect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here is no need to expand the size of the holder 30. That is, it can be attached to clothing 10 at the minimum and optimal size.

상기 결합 돌기(60)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결합 돌기(60)를 통해 전기/전자 장치(20)와 전기적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돌기(60)가 후술할 전극 봉(50)과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의류(10)로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60 may b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As an example, electrical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6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60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de rod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form clothing 10. ) can help to send current through.

하나의 예로 상기 결합 돌기(60)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20)와 커플러 결합될 수 있다. 암수 결합의 형태를 가지며 암 볼트(미 도시)에 해당하는 구성이 전기/전자 장치(20)에, 수 볼트에 해당하는 구성이 결합 돌기(60)의 하나의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60 may be coupler-coupled with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female bolt (not shown), which has the form of a male-female combin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and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male bolt may be implemented as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6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하부 하우징을 분해한 분해도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lower housing of a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lower housing of FIG. 6 .

도 6 내지 7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하부 하우징(32)은 의류(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2)은 안착부(321)와 봉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21)는 봉제부(322)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리세스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에는 상부 하우징(31)이 수용될 수 있다. 봉제부(322)는 안착부(321)의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제부(322)는 의류(10)를 마주보도록 안착부(32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봉제부(322)는 의류(10)에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봉제부(322)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the lower housing 3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lothing 10. The lower housing 32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321 and a sewing portion 322. The seating portion 321 may define a recess recessed downward from the sewing portion 322. The upper housing 31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The sewing portion 322 may be formed around the seating portion 321. For example, the sewing portion 322 may extend from the upper edge of the seating portion 321 to face the clothing 10 . The sewing portion 322 may be sewn and coupled to the clothing 10 . The sewing portion 322 may include a silicon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나의 예로, 하부 하우징(32)에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20)로부터 상기 의류(1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전원 연결선(530)을 포함하는 전극 봉(50)이 결합되며, 상기 전극 봉(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하부 하우징(32)에는 상기 전극 봉(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n electrode rod 50 including a power connection line 530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32 to supply current from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o the clothing 10, and the electrode rod ( A detailed explanation of 50) will be provided later. As an example, a seating groove 333 may b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32 so that the electrode rod 50 can be seated.

하나의 예로, 하부 하우징(32)은 봉제 부(322)가 구비되어 의류(10)와 결합될 수 있는 외부 하우징(34)과 안착 홈(333)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중 사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7을 참고하면, 전후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33)의 최외부와 외부 하우징(34)의 최내부가 맞닿으며, 상기 내부 하우징(33)이 상기 외부 하우징(34)으로 인입되는 2중 사출 구조가 형성된다. As an example, the lower housing 32 includes an outer housing 34 that is provided with a sewing portion 322 and can be combined with clothing 10, and an inner housing 33 in which a seating groove 333 is formed. It can be formed with a heavy injection structure.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7, the outermost part of the inner housing 33 and the innermost part of the outer housing 3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inner housing 33 is drawn into the outer housing 34. A double injection structure is formed.

상기 내부 하우징(33)과 외부 하우징(34)에는 전극 봉(50)에 연결된 전원 연결선(530)이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한 일부가 이격될 수 있다. 일부가 이격됨에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전원 연결선(530)이 거치된다. 외부 하우징(34)의 경우 의류(10)의 용이한 봉제를 하기 위해 내부 하우징(33)과 구별되어 직접 의류(1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2중 사출 구조에 의해 내부 하우징(33)에 상부 하우징(31)이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고, 따라서 간접적으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 내 전기/전자 장치(20)의 고정화를 도울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내부 하우징(33) 및 외부 하우징(34)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part of the structur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housing 33 and the outer housing 34 so that the power connection line 530 connected to the electrode rod 50 can be easily mounted. As the parts are spaced apart, a groove is formed, and the power connection line 530 is placed in the groove. In the case of the outer housing 34,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inner housing 33 and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lothing 10 in order to easily sew the clothing 10. Due to the double inj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housing 31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inner housing 33, and thus indirectly connects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within the holder 30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an help with the immobilization of As an example, the inner housing 33 and the outer housing 34 may be formed of silicon materia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극 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전극 봉을 분해한 분해도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d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electrode of Figure 8.

전술한 전기/전자 장치(20)의 제1 단자(211)에 상기 전극 봉(50)이 전기/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 봉(50)은 제1 단자(211)와 연통되어 직접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는 마그넷(510) 및 상기 마그넷(510)이 인입된 캡(cap)(5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마그넷(510)은 전기/전자 장치(20)에 의해 전류를 공급 받을 수 있다. 상기 캡(520) 내부에는, 상기 마그넷(510)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패킹(5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rod 50 may be electrically/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11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rod 50 may include a magnet 510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erminal 211 to directly exchange electrical signals, and a cap 520 into which the magnet 510 is inserted. As an example, the magnet 510 may be supplied with current by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Inside the cap 520, packing 540 may be included to surround and secure the magnet 510.

전극봉(50)은 의류에 전기/전자 신호를 전달하도록 전류를 흘려보내는 전원 연결선(5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 연결선(530)은 의류에서 전기적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임의적 부분과 전기/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electrode 50 further includes a power connection line 530 that flows current to transmit electrical/electronic signals to clothing. The power connection line 530 is electrically/electronically connected to an arbitrary part of the clothing that can receive electrical signal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ed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합적으로 의류(10)에 결합되는 봉제 부(322)를 포함하는 2중 사출 구조의 하부 하우징(32)과 상기 하부 하우징(32)의 안착 부(321)를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32)과 결합하는 상부 하우징(31),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전기/전자 장치(20)와 결합되되, 전기/전자 장치(2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의류 내 전기/전자 장치(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60)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30)가 개시될 수 있다.A lower housing 32 of a double injection structure including a sewing portion 322 that is comprehensively coupled to the clothing 10 and a seating portion 321 of the lower housing 32 are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32. The upper housing 31 is coupled to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but limit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20 in the clothing. A holder 30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60 may be disclos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form,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는 다양한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이용할 수 있다.The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ttach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can be used for various holders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1: 웨어러블 장치 10: 의류
20: 전기/전자 장치
201: 제1 부재 202: 제2 부재
203: 기판 204: 배터리
205: 씰 206: 제3 부재
211: 제1 단자 212: 제2 단자
30: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30-1: 제1 홀더 30-2: 제2 홀더
31: 상부 하우징
31-1: 제1 상부 하우징 31-2: 제2 상부 하우징
311: 결합 부 312:지지 부
32: 하부 하우징
321: 안착 부 322: 봉제 부
33: 내부 하우징 34: 외부 하우징
331: 내부 안착 부 333: 안착 홈
341: 외부 안착 부 342: 외부 봉제 부
50: 전극 봉
510: 마그넷 520: 캡
530: 전원 연결선 540: 패킹
60: 결합 돌기
60-1: 제1 돌기 60-2: 제2 돌기
A: 평면
1: Wearable device 10: Clothing
20: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201: first member 202: second member
203: substrate 204: battery
205: seal 206: third member
211: first terminal 212: second terminal
30: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30-1: first holder 30-2: second holder
31: upper housing
31-1: first upper housing 31-2: second upper housing
311: coupling part 312: support part
32: lower housing
321: Seating part 322: Sewing part
33: inner housing 34: outer housing
331: internal seating portion 333: seating groove
341: external seating part 342: external sewing part
50: electrode rod
510: Magnet 520: Cap
530: Power connection line 540: Packing
60: Combined protrusion
60-1: first protrusion 60-2: second protrusion
A: Flat

Claims (9)

의류에 결합되는 봉제 부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의류에 수직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는 상기 봉제 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은 안착 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전기/전자 장치와 결합되는 결합 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부는 상기 안착 부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전기/전자 장치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의류 내 전기/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를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In the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sewing part coupled to clothing,
Whe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othing is referred to as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includes a lower housing including the sewing portion;
The lower housing includes a seating portion,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and the coupl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The upper housing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that limit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and allow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in the clothing to be confirmed,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connects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to the clothing.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uppe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의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전원 연결선을 포함하는 전극 봉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전극 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ode rod including a power connection line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o supply current from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to the clothing,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to allow the electrode rod to be se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봉제 부가 구비되어 상기 의류와 결합될 수 있는 외부 하우징;
상기 안착 홈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lower housing includes an outer housing provided with the sewing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the clothing;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an inner housing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전후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최외부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부 봉제부의 최내부가 맞닿으며,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2중 사출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According to paragraph 3,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ouble inj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outermost part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innermost part of the outer sewn part of the outer housing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ront-back, left-right direction, and the inner housing is retracted into the outer housing. Holder for conn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전원 연결선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의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한 일 부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According to clause 4,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wherein at least one part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is spaced apart so that the power connection line can be mounted.
제5항에 있어서,
상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의류와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결합 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축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According to clause 5,
The upper housing is formed parallel to the clothing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axis,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axis from an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According to paragraph 1,
A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electronic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전기/전자 장치와 커플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In clause 7,
A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r-coupled with the electrical/electronic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외부 하우징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장치 연결용 홀더.
According to clause 4,
A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wherei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are made of silicone material.
KR1020230116598A 2022-09-05 2023-09-03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attac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Pending KR2024003366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2448 2022-09-05
KR1020220112448 2022-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665A true KR20240033665A (en) 2024-03-12

Family

ID=9030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598A Pending KR20240033665A (en) 2022-09-05 2023-09-03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attac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6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4182B1 (en) Electronic housing and sensor connection arrangement
US6854988B2 (en) Mechanis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a garment
ES2914683T3 (en) Electronic Button for Smart Garments
US11259580B2 (en) Health monitoring garment and system
CN214706283U (en) Bonding structure for forming wearable device
WO2018140633A1 (en) Sensor connection assembly for integration with garment
KR101897216B1 (en) Clothe having Physiological signal sensing system
US11943863B2 (en) Electronics-to-textile interconnection method and system
US12149034B2 (en) Wearable device for sensing motion parameter of user having motion
KR20240033665A (en) Holder for connecting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attach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to clothing
JP2020512095A (en) Electronic clothing with multiple layers
US11937942B2 (en) Wearabl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854305B1 (en) Functional wear for electrical stimulation
CN117545426A (en) Size adjustable EEG headset
WO2021165677A1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KR102786578B1 (en) Wearable device with clothes function
US103105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ing node and seat connection for conductive fabric
KR20240033664A (en) Wearable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ttachment position
CN217067428U (en) Wiring system and wearable external defibrillator
US20240356258A1 (en) Connector assembly, garment, and electrical device with pad
KR200409147Y1 (en) Low frequency chute
GB2595494A (en) Wearabl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14478163U (en) Main machine connector of electrocardio workstation
EP4400049A1 (en) Assembly of a flexible electrode and a conductive yarn and wearable article including the assembly
US2024022289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