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24544A -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544A
KR20240024544A KR1020220102659A KR20220102659A KR20240024544A KR 20240024544 A KR20240024544 A KR 20240024544A KR 1020220102659 A KR1020220102659 A KR 1020220102659A KR 20220102659 A KR20220102659 A KR 20220102659A KR 20240024544 A KR20240024544 A KR 20240024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nformation
path
word
search wo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주
Original Assignee
(주)어센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어센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어센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0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544A/ko
Priority to US18/227,873 priority patent/US20240061894A1/en
Priority to JP2023129992A priority patent/JP7624247B2/ja
Publication of KR2024002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54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62Approximate or statistic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6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8Query expa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7Query execution using vector based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다른 검색어들과 검색어 사이의 관계를 거리로서 파악할 수 있는 검색 경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에 도달하는데 까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연관 검색어를 용이하게 선별하여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검색어들 중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으면서 광고 효율이 높은 연관 검색어를 용이하게 선별하여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path}
본 발명은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검색어와 연관된 다른 검색어들과 검색어 사이의 관계를 거리로서 파악할 수 있는 검색 경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에 도달하는데 까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연관 검색어를 용이하게 선별하여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개발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이러한 전략 중 키워드 검색은 디지털 광고/마케팅 전략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상거래에서 광고에 효율적인 키워드를 하나 발견하는 것이 마케팅 전반에 대한 성과를 좌우할 만큼 큰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검색 사용자는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검색할 때 탐색과 평가 과정을 반복해서 진행한 후 최종적으로 행위(가입, 구매 등)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구매를 위한 검색은 종종 포괄적인 키워드에서 시작하여 세부적인 브랜드나 제품 키워드로 이동하며 리뷰나 순위를 보거나 제품군 내 경쟁사를 비교하는 등의 여정을 거쳐 구매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전환에 최종적으로 기여하는 검색어는 그 자체가 비교적 높은 검색량이나 전환율을 가지므로 발견하기 용이하지만 광고 단가가 높으므로 광고 효율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전환 단계 주변의 탐색과 평가 과정에 있는 검색어는 비교적 검색량이 낮거나 광고 경쟁이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광고 단가가 저렴하며, 이에 따라 광고 효율 측면에서 더욱 적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효율을 고려하여 광고 및 마케팅에 적합한 검색어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전환 단계 주변의 탐색과 평가 과정에 있는 검색어는 비교적 발견하기 힘든 롱테일 키워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거나 광고를 최적화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기존에 다양한 검색 엔진에서 광고 단가가 높은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 검색어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단순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그쳐, 연관 검색어가 너무나 다양하고 마케터나 판매자들이 원하는 검색어까지 이르는데까지 효율이 높은 연관 검색어를 구분하기 어려워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검색어를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사용자의 검색 여정 중 전환 단계(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 제품군 내 비교 항목, 구매 전후에 필요로 하는 정보) 주변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거나 광고 최적화에 필요한 키워드들이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일반 기업이나 사용자가 이를 발견하여 활용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4296호
본 발명은 키워드에 대해 서로 다른 글자를 추가하면서 기본 검색어를 생성한 후 해당 기본 검색어에 대해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연관 검색어를 추가하여 검색어를 확장하고, 상기 연관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한 검색 결과를 기초로 얻어진 후속 검색어와 연관 검색어 사이의 관계를 상기 검색 결과를 기초로 거리로서 표시한 경로를 생성하며, 이러한 경로를 다양한 검색어별로 생성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검색어와 관련된 경로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에 도달하는데 까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연관 검색어를 용이하게 선별하여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하 서비스 제공 장치는, 키워드에 일련의 문자를 상이하게 추가하면서 상기 키워드와 문자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본 검색어를 자동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기본 검색어와 연관된 연관 검색어를 하나 이상 획득하는 검색어 확장부와, 상기 연관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를 추출한 후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는 거리 산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하는 검색 정보 추출부와, 상기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된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검색어 각각을 노드로 설정하여 노드 간 거리를 설정한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한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별로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평균한 통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에 저장하는 검색 경로 추출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을 포함하는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검색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상기 랭킹 조건 및 통계 정보를 기초로 정렬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최적 경로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연관 검색어는 상기 기본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생성하는 자동 완성 검색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는,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기능 종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한 노출 순위를 곱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중치를 상기 후속 검색어와 상기 입력 검색어 사이의 상기 거리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는, 상기 후속 검색어를 다른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리 산출 방식에 따라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텍스트를 각각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추가 후속 검색어로 추출한 후 상기 추가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추가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추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후속 검색어인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는, 상기 시작 노드를 변경하면서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시작 노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종료 노드를 확인하고, 상기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를 연결하는 검색 경로 중 검색 경로의 거리가 짧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K개의 검색 경로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검색 경로별로 상기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는, 페이지랭크(Pagerank) 알고리즘 기초로 상기 시작 노드와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료 노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는,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검색량, 광고 단가 및 경쟁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별 통계량의 평균값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검색 경로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검색 경로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랭킹 조건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점수 산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여 점수 순으로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순위 이상인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를 하나 이상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는,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각각에 대응되도록 검색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 각각에 대한 항목별 통계량을 포함하는 검색량 정보 및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각각 대응하는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대한 기능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킨 후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를 UI 또는 API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키워드에 일련의 문자를 상이하게 추가하면서 상기 키워드와 문자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본 검색어를 자동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기본 검색어와 연관된 연관 검색어를 하나 이상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연관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를 추출한 후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는 거리 산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된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검색어 각각을 노드로 설정하여 노드 간 거리를 설정한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한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별로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평균한 통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을 포함하는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검색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상기 랭킹 조건 및 통계 정보를 기초로 정렬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키워드에 대해 서로 다른 문자를 추가하면서 얻어지는 기본 검색어마다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기본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 검색어를 획득하여 검색어를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한 검색 결과를 기초로 얻어진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와 입력 검색어 사이의 관련도를 검색 엔진에서 파악한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 및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에 따라 거리로서 획득하며, 이러한 검색어들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거리가 존재하는 검색어들을 상호 연결하여 검색 경로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요청하는 요청 검색어 및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광고 속성과 관련된 추천 검색 경로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추천 검색 경로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검색어들 중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으면서 광고 효율이 높은 연관 검색어를 용이하게 선별하여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는 최적의 검색 경로를 UI 또는 API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마케팅에 적합한 검색어 목록과, 검색어에 대한 검색 정보(검색량, 광고 단가, 광고 경쟁도 등) 및 기능 종류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검색 경로를 기반으로 생성한 단어 네트워크 UI를 통해 단순히 관련 검색어를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검색어 간 연결관계를 표현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들의 주요 검색 여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무엇과 비교하는지 등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연관 검색어 획득 과정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SERP Feature(기능 종류) 타입 정의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후속 검색어 검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어 관계 그래프 생성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 경로 생성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추천 검색 경로를 포함하는 API 기반 추천 리스트 정보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추천 검색 경로 단어 네트워크 UI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추천 검색 경로 단어 네트워크 UI에서 노드 하이라이트 기능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통신부(120)는,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각종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LoRa(Long Rang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30)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복수의 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로 다른 키워드가 저장되는 키워드 DB(101), 검색어간 관계에 대한 관계 정보가 저장되는 검색어 관계 DB(102), 검색어에 대응하는 기능 종류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기능 종류 DB(103),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및 통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검색 경로 DB(104), 검색어별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포함하는 검색량 정보가 저장되는 검색량 DB(105) 등과 같은 다양한 DB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DB는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면서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 및 저장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 및 상기 제어부(11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한 통신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검색어 확장부(111), 검색 정보 추출부(112), 검색 경로 추출부(113) 및 최적 경로 추천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부는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이 분리되어 상이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상세 동작 구성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상세 동작 구성도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실질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1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 확장부(111)는, 기업, 브랜드, 상품, 서비스, 카테고리 등에 대한 복수의 서로 다른 키워드가 저장된 키워드 DB(101)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키워드에 일련의 문자를 상이하게 추가하면서 상기 키워드와 문자가 결합된 상기 키워드와 하나 이상의 문자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각각 기본 검색어로서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는, 온라인 전자 사전을 제공하는 외부 지식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지식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지식 서버의 일례로서, DBPEDIA나 위키백과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는, 상기 외부 지식 서버에 접속하여 페이지명 또는 지식패널의 제목을 상기 키워드로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는, 미리 설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기본 검색어와 연관된 연관 검색어를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는 키워드 DB(101)에 저장된 키워드인 '국민은행'을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에 '가'를 추가하여 '국민은행 가'와 같은 기본 검색어를 생성하고, 상기 키워드에 '나'를 추가하여 '국민은행 나'와 같은 기본 검색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는 '국민은행' 키워드에 '다' 부터 '하'까지의 글자(또는 문자)를 순서대로 추가하여 추가된 각 글자에 대응되는 기본 검색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상기 키워드에 '강'과 같은 받침이 있는 글자를 추가하거나, 'A'와 같은 외국어를 추가하거나, '가가', 'AA' 등과 같은 복수의 글자를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가 키워드에 추가 가능한 글자는 공백 문자나 특수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검색어인 '국민은행 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검색 엔진이나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에서 제공하는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상기 검색 엔진으로부터 상기 '국민은행 가'와 연관된 연관 검색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엔진의 일례로서, 'NAVER'나 'GOOGLE'의 검색 엔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100)에 포함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130)에 상기 검색 엔진 관련 실행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검색어는 상기 검색 엔진이 기본 검색어를 입력받아 의미 있는 검색어(또는 질의어)로 자동 완성한 자동 완성 검색어(또는 자동 완성 질의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검색 엔진은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로부터 기본 검색어로 상기 '국민은행 가'를 입력받으면 '국민은행 가'로 시작하거나 상기 기본 검색어를 포함하는 자동 완성 검색어인 '국민은행 가상계좌', '국민은행 가계부' 등과 같은 연관 검색어를 자동 생성하며, 검색어 확장부(111)는 검색 엔진으로부터 하나의 기본 검색어에 대해 하나 이상의 연관 검색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검색 엔진은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로부터 기본 검색어로 '아이폰 가'를 입력받으면 '아이폰 가'로 시작하거나 상기 기본 검색어를 포함하는 자동 완성 검색어인 '아이폰 가격', '아이폰 강제 종료' 등과 같은 연관 검색어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 엔진은 상기 기본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포함하는) 외부 서버에 포함되며 다양한 검색어가 저장되는 DB를 검색하여 상기 기본 검색어로 시작하거나 해당 기본 검색어가 포함된 연관 검색어를 획득한 후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엔진은 기본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에 포함되며 다양한 검색어가 저장된 상기 DB를 검색하여 문장으로 연관 검색어를 생성하거나 상기 DB로부터 상기 기본 검색어가 포함된 상기 문장을 추출하여 연관 검색어로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는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획득한 상기 연관 검색어를 키워드로서 상기 키워드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검색어 확장부(111)와 연동하여 상기 기본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연관 검색어를 각각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입력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검색 결과는 상기 검색 엔진이 생성하는 검색 결과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검색 결과 정보는 검색 언어, 검색 지역, 검색엔진 이름, 검색결과 포지션(순위), 도메인, 기능 종류(SERP Feature), 타이틀, 본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텍스트 기반의 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엔진은 입력 검색어에 대해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에 대한 문서 기반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검색 엔진에서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고유 응답 기능 중 상기 파악된 검색 의도에 대응되는 응답 기능을 이용하여 직접 응답 결과를 생성한 후 상기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엔진은 SERP(Search Engine Result Page)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응답 결과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며, SERP를 통해 제공되는 응답 결과 중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검색 의도에 대응되어 키워드 광고(AD), 광고 캐러셀(AD Carousel),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추천 스니펫(Featured Snippets), 이미지(Image), 채용 검색(Job Search), 지식 패널(Knowledge panel), 함께 검색한 항목(People also search for), 관련 검색어(Related Searches) 등과 같은 상기 검색 엔진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 중 검색 의도에 대응되는 기능 종류(SERP feature)에 따른 응답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엔진은 입력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해당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검색어와 함께 검색된 다른 검색어들의 모음에 대한 응답 기능인 '함께 검색한 항목(People also search for)', 검색어와 연관된 다른 검색어들의 모음에 대한 응답 기능인 '관련 검색어' 등과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응답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답 결과에는 응답 결과에 대응되는 기능 종류(응답 기능)의 식별자, 상기 응답 기능을 통해 얻어진 응답 처리 결과(또는 응답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색 엔진은 '여자 향수 추천'에 대한 입력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파악된 검색 의도에 따라 '함께 검색한 항목(People also search for)'의 응답 기능을 이용하여 '여자향수 순위 2021', '20대 여자 향수 순위 2021'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가 포함된 응답 결과를 산출하거나, 상기 '관련 검색어'의 응답 기능을 이용하여 '올리브영 여자 향수 추천', '여자 향수 선물'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가 포함된 응답 결과를 산출하고, 해당 응답 결과를 검색 결과로서 반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아무것도 검색되지 않는 연관 검색어를 삭제하거나 제외시켜 상기 키워드 DB(101)(102)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검색 볼륨(search volume)이 0인 연관 검색어를 상기 키워드 DB(101)에 저장하지 않고 제외 또는 삭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기본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연관 검색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 각각에 대해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에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가 포함된 경우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기능 종류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기능 종류 및 상기 식별된 기능 종류별 출현 빈도 수를 포함하는 기능 종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기능 종류 정보와 대응하는 연관 검색어와 매칭하여 상기 생성된 기능 종류 정보를 기능 종류 DB(10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입력 검색어에 대해 검색 엔진이 반환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텍스트를 각각 후속 검색어로 추출하고, 특정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특정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특정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는 거리 산출 방식으로(거리 산출 방식에 따라)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기능 종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한 노출 순위(또는 배치 순위)를 곱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중치를 상기 후속 검색어와 상기 입력 검색어 사이의 상기 거리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입력 검색어인 '여자 향수 추천'의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결과(검색 결과)와 각각 대응하는 기능 종류인 '함께 검색한 항목' 및 '관련 검색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에는, 상기 검색 엔진이 제공하는 복수의 기능 종류 중 후속 검색어의 추출 대상인 하나 이상의 기능 종류가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후속 검색어의 추출 대상인 기능 종류에 대해서만 후속 검색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에는 상기 후속 검색어의 추출 대상인 하나 이상의 기능 종류 상호 간 서로 다른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 검색어 '여자 향수 추천'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 리스트 정보에서 식별된 복수의 기능 종류인 '함께 검색한 항목' 및 '관련 검색어' 각각의 우선순위 값을 각각 1과 2로 부여하고, 상기 기능 종류 내 후속 검색어의 순위에 따라 노출순위(또는 노출 순위 가중치)를 부여하여, ['여자향수 순위 2021', 우선순위 1, 노출순위 1, 거리 1], ['20대 여자 향수 순위 2021', 우선순위 1, 노출순위 2, 거리 2], ['올리브영 여자 향수 추천', 우선순위 2, 노출순위 1, 거리 2], ['여자향수 선물', 우선순위 2, 노출순위 2, 거리 4] 등과 같이 복수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별로 우선 순위와 노출 순위를 곱한 값인 가중치를 연산한 후 해당 가중치를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거리 가중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응답 결과에서 후속 검색어별로 후속 검색어의 배치 순위를 식별(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 순위에 따라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순위는 우선 순위 가중치로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노출 순위는 노출 순위 가중치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우선 순위 가중치와 노출 순위 가중치를 곱한 값으로서 산출되는 상기 거리는 거리 가중치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입력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 각각에 대해 입력 검색어를 기준으로 후속 검색어에 대해 산출한 거리와 후속 검색어 및 입력 검색어를 포함하는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계 정보를 검색어 관계 DB(102)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후속 검색어를 다른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속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리 산출 방식에 따라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텍스트를 각각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추가 후속 검색어로 추출한 후 상기 추가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추가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추가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추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후속 검색어인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검색어 관계 DB(102)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112)는, 상기 입력 검색어에 대응하는 후속 검색어 추출시마다 상기 후속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다시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상기 거리 산출 방식에 따라 후속 검색어와 연관된 다른 후속 검색어를 반복하여 추출하고, 상기 다른 후속 검색어와 연관된 입력 검색어와 상기 다른 후속 검색어 사이의 거리 관계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검색어 관계 DB(102)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검색어 관계 DB(102)에 저장된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관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검색어 각각을 노드로 설정하여 노드 간 거리를 설정한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한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경로별로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평균한 통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관계 정보를 기초로 거리값이 존재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검색어 상호 간 연결 관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거리값이 존재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검색어 상호 간을 연결선으로 연결한 후 해당 연결선에 거리값을 설정하여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는 상기 시작 노드로부터 상기 종료 노드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선과 각각 대응하는 노드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기 경로를 검색 경로로서 지칭하고,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경로 정보를 검색 경로 정보로서 지칭한다.
이에 대한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검색어 관계 DB(102)에 저장된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관계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 간 연결 관계 및 거리 정보(가중치 정보)를 추출하고, 각 검색어를 노드로 설정하여 서로 다른 노드 사이의 거리(또는 서로 다른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검색 경로)에 상기 관계 정보에 따른 거리(거리값 또는 거리 가중치)를 부여한 순방향 관계를 엣지로 하는 방향 가중 그래프(Directed weighted graph)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는,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를 각각 노드로 포함하고,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간 관계를 순방향 엣지로 포함하며, 상기 엣지에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간 거리 가중치가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상기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임의의 검색어를 시작 노드로 선택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시작 노드로부터 L 홉 이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노드 중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N개의 노드를 종료 노드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시작 노드를 기준으로 하는 서로 다른 타 노드 간의 상대적 중요도는 웹 문서의 중요도를 구하는 페이지랭크(Pagerank)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시작 노드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종료 노드에 각각에 대해 상기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별로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시작 노드를 변경하면서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시작 노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종료 노드를 확인하고, 상기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를 연결하는 검색 경로 중 검색 경로의 거리(또는 검색 경로의 전체 거리)가 짧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K개의 검색 경로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검색 경로별로 상기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시작 노드 및 종료 노드가 동일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리스트 정보(검색 경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시작 노드가 제 1 검색어이고 종료 노드가 제 2 검색어인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상호 간을 그룹핑하여 경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 생성시 상기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별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검색어별로 수집된(수신된) 항목별 통계량을 기초로 통계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은 검색량, 광고단가, 경쟁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복수의 검색어별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이 포함된 검색량 정보 수신시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검색량 DB(105)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검색 엔진과 연동하여 상기 검색량 정보를 생성하는 검색량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량 생성부는 검색 엔진과 연동하여 복수의 검색어별로 검색량 정보 생성시마다 상기 검색량 정보를 상기 검색량 DB(10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량 리스트 정보 및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호 간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가 동일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중에서 종료 노드에 대응하는 검색어의 검색량을 확인하여, 검색량이 0인 종료 노드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를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통계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각각에 대해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어 각각의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확인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로 상기 확인된 검색어별 통계량을 평균하여 항목별 통계량 평균값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계 정보에는, 특정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검색량 평균값, 특정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광고단가 평균값, 특정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경쟁지수 평균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통계 정보 생성시 상기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검색 경로 정보 생성시 고유 식별자를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되는 통계 정보에도 해당 고유 식별자를 설정하여 검색 경로 정보와 통계 정보를 상호 매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통계 정보를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례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시작 노드(시작 검색어)로 '여자 향수 추천'을 선택한 경우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종료 노드(종료 검색어)로 '은은한 여자향수'를 선택하여,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를 기초로 상기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를 연결하는 제 1 검색 경로('여자향수' → '여자 향수 추천순위 2021' → '은은한 여자향수') 및 제 2 검색 경로('여자향수' → '20대 여자 향수 순위 2021' → '은은한 여자향수')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복수의 검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기초로 경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색어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검색어 각각에 대한 항목별 통계량을 수집하여 통계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제 1 검색 경로에 대응하는 제 1 검색 경로 정보 및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여자향수', '여자 향수 추천순위 2021' 및 '은은한 여자향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색어 각각의 미리 설정된 복수의 항목별 통계량을 확인하여 검색량 평균값(347), 광고단가 평균값(0.44) 및 경쟁지수 평균값(0.95)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검색량 평균값, 광고단가 평균값 및 경쟁지수 평균값을 포함하는 제 1 통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통계 정보를 상기 제 1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113)는, 상기 경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제 2 검색 경로에 대응하는 제 2 검색 경로 정보 및 통계량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검색량 평균값(373), 광고단가 평균값(0.34) 및 경쟁지수 평균값(0.91)을 포함하는 제 2 통계 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제 2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을 포함하는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검색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상기 랭킹 조건 및 통계 정보를 기초로 정렬한 추천 리스트 정보(추천 경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에 포함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랭킹 조건은, 검색량, 광고 단가, 경쟁 지수, 기능 종류 존재 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검색 경로 DB(104)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랭킹 조건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점수 산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여 점수 순으로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순위 이상인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를 하나 이상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검색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에 대해 산출된 점수를 다른 통계 정보(들)의 점수와 비교하여 통계 정보의 순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순위를 상기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의 순위로 결정하는 순위 결정 방식으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마다 순위를 결정하여 정렬하고,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순위 이상인 검색 경로 정보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요청 검색어를 종료 노드로 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만을 상기 검색 경로 DB(104)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대상으로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요청 검색어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검색어만으로 구성된 검색 경로를 추천 검색 경로로 선별하여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각각에 대응되도록 검색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 각각에 대한 항목별 통계량을 포함하는 검색량 정보 및 상기 추천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각각 대응하는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대한 기능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킨 후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를 UI 또는 API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각각에 대해 검색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 각각에 대한 항목별 통계량을 포함하는 검색량 정보 및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각각 대응하는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대한 기능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석 결과 정보를 UI 또는 API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검색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통계 정보가 상기 특정 검색 경로 정보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별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검색어별로 수집된(수신된) 상기 항목별 통계량을 기초로 통계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은 검색량, 광고단가, 경쟁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검색량 DB(105)로부터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별 검색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복수의 검색별 검색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계량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 수신시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검색 경로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특정 검색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해당 특정 검색어와 관련된 상기 항목별 통계량(또는 검색량 정보)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대한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정보에 따른 요청 검색어인 '안방그릴'과 상기 요청 정보에 따른 랭킹 조건인 '광고단가(CPC) 순' 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 검색어 '안방그릴'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각각 추천 검색 경로 정보로서 검색 경로 DB(104)에서 획득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검색 경로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각각 관심 통계 정보로 상기 검색 경로 DB(104)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검색 경로 정보를 랭킹 조건인 광고단가 순으로 정렬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로 생성하여 반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서 가장 순위가 높은 제 1 추천 검색 경로인 'grill' → '그릴' → '그릴 추천' '안방그릴' → '안방그릴 501' → '안방그릴 ab301mf' → '생선그릴'에서 각 검색어 'grill', '그릴', '그릴 추천', '안방그릴', '안방그릴 501', '안방그릴 ab301mf', '생선그릴'의 CPC 값이 2.503594, 0.119853, 0.127498, 0.248646, 0, 0.118544, 0.28일 때, 상기 제 1 추천 검색 경로에 포함된 검색어들의 CPC 값의 평균인 0.4854를 상기 제 1 추천 검색 경로의 점수로 산출(반환)할 수 있으며,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추천 검색 경로 각각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추천 검색 경로의 점수 산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하여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추천 검색 경로들을 점수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제 1 추천 검색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관심 통계 정보)에서 상기 제 1 추천 검색 경로에 포함된 검색어들의 CPC 값의 평균값을 확인하여, 이를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각각 추천 후보 경로 정보로서 검색 경로 DB(104)에서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후보 경로 정보 각각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산출되는 하나 이상의 추천 후보 경로 정보 각각을 추천 검색 경로 정보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추천 검색 경로 정보만을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켜 해당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최종 결과(최종 결과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과의 관련성이 높은 검색 경로만을 상기 최종 결과에 포함시켜 제공하고, 상기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과의 관련성이 낮은 검색 경로가 최종 결과에서 배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요청 검색어인 '안방그릴'과 랭킹 조건인 '광고단가(CPC) 순'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여 획득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단어 네트워크 UI를 도식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획득한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제 1 추천 검색 경로 정보가 'grill' → '그릴' → '그릴 추천' → '안방그릴' → '안방그릴 501' → '안방그릴 ab301mf' → '생선그릴'이고,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제 2 추천 검색 경로 정보가 '기름 안튀는 그릴' → '안방그릴' → '안방그릴 단점' → '전기그릴 단점'일 때, 각 검색어가 박스로 표현되고 경로 상의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는 특정 노드인 '안방 그릴'에 대한 이전 검색어를 상기 특정 노드의 좌측에 배치하고 상기 특정 노드의 후속 검색어를 상기 특정 노드의 우측에 배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추천 검색 경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노드(검색어) 상호 간을 간선으로 상호 연결한 순서도(Flow diagram)형태의 UI(User Interface)로 구성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각 검색어의 들어오는 간선(incoming edge) 혹은 나가는 간선(outgoing edge)의 크기(또는 개수)로 박스의 높이를 표현하거나, 경로 상 검색어의 정보(검색량, 광고 단가, 경쟁지수 등)로 박스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114)는,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별로 검색어와 대응하는 기능 종류 정보를 상기 기능 종류 DB(103)로부터 추출한 후 검색어와 매칭하여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추가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따른 UI를 표시할 때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기능 종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특정 기능 종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제외한 나머지 검색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박스가 필터링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워드에 대해 서로 다른 문자를 추가하면서 얻어지는 기본 검색어마다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기본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 검색어를 획득하여 검색어를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한 검색 결과를 기초로 얻어진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와 입력 검색어 사이의 관련도를 검색 엔진에서 파악한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 및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에 따라 거리로서 획득하며, 이러한 검색어들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거리가 존재하는 검색어들을 상호 연결하여 검색 경로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요청하는 요청 검색어 및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광고 속성과 관련된 추천 검색 경로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추천 검색 경로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검색어들 중 사용자의 요청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으면서 광고 효율이 높은 연관 검색어를 용이하게 선별하여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는 최적의 검색 경로를 UI 또는 API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마케팅에 적합한 검색어 목록과, 검색어에 대한 검색 정보(검색량, 광고 단가, 광고 경쟁도 등) 및 기능 종류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검색 경로를 기반으로 생성한 단어 네트워크 UI를 통해 단순히 관련 검색어를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검색어 간 연결관계를 표현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들의 주요 검색 여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무엇과 비교하는지 등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키워드에 일련의 문자를 상이하게 추가하면서 상기 키워드와 문자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본 검색어를 자동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기본 검색어와 연관된 연관 검색어를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연관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를 추출한 후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는 거리 산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검색어 관계 DB(102)에 저장할 수 있다(S2).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 관계 DB(102)에 저장된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검색어 각각을 노드로 설정하여 노드 간 거리를 설정한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한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별로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평균한 통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104)에 저장할 수 있다(S3).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을 포함하는 요청 정보 수신시(S4) 상기 요청 검색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상기 랭킹 조건 및 통계 정보를 기초로 정렬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5).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메모리 등의 저장부,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 명령어 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내지 이들의 조합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01: 키워드 DB
102: 검색어 관계 DB 103: 기능 종류 DB
104: 검색 경로 DB 105: 검색량 DB
110: 제어부 111: 검색어 확장부
112: 검색 정보 추출부 113: 검색 경로 추출부
114: 최적 경로 추천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Claims (10)

  1. 키워드에 일련의 문자를 상이하게 추가하면서 상기 키워드와 문자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본 검색어를 자동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기본 검색어와 연관된 연관 검색어를 하나 이상 획득하는 검색어 확장부;
    상기 연관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를 추출한 후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는 거리 산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하는 검색 정보 추출부;
    상기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된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검색어 각각을 노드로 설정하여 노드 간 거리를 설정한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한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별로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평균한 통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에 저장하는 검색 경로 추출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을 포함하는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검색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상기 랭킹 조건 및 통계 정보를 기초로 정렬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최적 경로 추천부
    를 포함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관 검색어는 상기 기본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생성하는 자동 완성 검색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는,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기능 종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한 노출 순위를 곱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중치를 상기 후속 검색어와 상기 입력 검색어 사이의 상기 거리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 추출부는,
    상기 후속 검색어를 다른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리 산출 방식에 따라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텍스트를 각각 상기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추가 후속 검색어로 추출한 후 상기 추가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추가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추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후속 검색어인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는,
    상기 시작 노드를 변경하면서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시작 노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종료 노드를 확인하고, 상기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를 연결하는 검색 경로 중 검색 경로의 거리가 짧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K개의 검색 경로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검색 경로별로 상기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는,
    페이지랭크(Pagerank) 알고리즘 기초로 상기 시작 노드와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종료 노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경로 추출부는,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검색량, 광고 단가 및 경쟁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별 통계량의 평균값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산출한 후 상기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검색 경로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요청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검색 경로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랭킹 조건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점수 산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여 점수 순으로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순위 이상인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경로 정보를 하나 이상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적 경로 추천부는,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 각각에 대응되도록 검색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 각각에 대한 항목별 통계량을 포함하는 검색량 정보 및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각각 대응하는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대한 기능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 리스트 정보에 포함시킨 후 상기 추천 리스트 정보를 UI 또는 API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10.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키워드에 일련의 문자를 상이하게 추가하면서 상기 키워드와 문자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기본 검색어를 자동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기본 검색어와 연관된 연관 검색어를 하나 이상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연관 검색어를 입력 검색어로 상기 검색 엔진에 적용하여 반환된 검색 결과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 엔진이 상기 입력 검색어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여 이용한 하나 이상의 응답 기능별 기능 종류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결과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를 추출한 후 후속 검색어에 대응하는 응답 결과 내 후속 검색어의 노출 순위 및 응답 결과의 기능 종류에 따른 상기 입력 검색어와 후속 검색어 사이의 연결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로서 산출하는 거리 산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후속 검색어별로 상기 입력 검색어와의 거리에 대한 관계 정보를 생성하여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관계 DB에 저장된 복수의 관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검색어 각각을 노드로 설정하여 노드 간 거리를 설정한 방향 가중 그래프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 가중 그래프에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한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별로 검색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경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미리 설정된 항목별 통계량을 평균한 통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검색 경로 정보와 매칭하여 검색 경로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검색어 및 랭킹 조건을 포함하는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검색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경로 정보를 상기 랭킹 조건 및 통계 정보를 기초로 정렬한 추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102659A 2022-08-17 2022-08-17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ending KR20240024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659A KR20240024544A (ko) 2022-08-17 2022-08-17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8/227,873 US20240061894A1 (en) 2022-08-17 2023-07-28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path
JP2023129992A JP7624247B2 (ja) 2022-08-17 2023-08-09 検索パス提供のための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検索パスを提供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659A KR20240024544A (ko) 2022-08-17 2022-08-17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544A true KR20240024544A (ko) 2024-02-26

Family

ID=8990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659A Pending KR20240024544A (ko) 2022-08-17 2022-08-17 검색 경로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61894A1 (ko)
JP (1) JP7624247B2 (ko)
KR (1) KR202400245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56179B2 (en) * 2018-09-26 2024-08-0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query sugges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296B1 (ko) 2010-09-01 2012-10-2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관련 검색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06203A1 (en) * 2000-04-18 2001-10-25 Korea Telecom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information based on meaningful core word
US7590626B2 (en) * 2006-10-30 2009-09-15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ional similarity-based models for query correction
US8190601B2 (en) * 2009-05-22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Identifying task groups for organizing search results
US8402018B2 (en) * 2010-02-12 2013-03-1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mantic search system using semantic ranking scheme
US8577911B1 (en) * 2010-03-23 2013-11-05 Google Inc. Presenting search term refinements
JP5296745B2 (ja) * 2010-06-17 2013-09-25 ヤフー株式会社 クエリサジェスチョン提供装置及び方法
WO2012160693A1 (ja) 2011-05-26 2012-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装置及び記憶媒体
US10198497B2 (en) * 2013-06-11 2019-02-05 [24]7.ai, Inc. Search term clustering
US9286396B2 (en) * 2013-07-26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Query expansion and query-document matching using path-constrained random walks
CN104462084B (zh) * 2013-09-13 2019-08-16 Sap欧洲公司 基于多个查询提供搜索细化建议
CN105426537A (zh) * 2015-12-21 2016-03-2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导航页搜索关键词的推荐方法及终端设备
CN106294618A (zh) * 2016-08-01 2017-01-0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搜索方法及装置
US10546026B2 (en) 2017-03-31 2020-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vanced search-term disambiguation
US11586654B2 (en) * 2017-09-08 2023-02-21 Open Text Sa Ulc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 of terms, including recommendation of search terms in a search system
US10803059B2 (en) * 2018-01-30 2020-10-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arching using query graphs
JP6435467B1 (ja) * 2018-03-05 2018-12-12 株式会社テンクー 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11386157B2 (en) * 2019-06-28 2022-07-1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generation of database queries
CN112818092B (zh) * 2020-04-20 2023-08-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知识图谱查询语句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15088B1 (ko) 2020-07-03 2021-02-10 (주)어센트코리아 검색 의도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2175482B2 (en) * 2020-10-01 2024-12-24 Maplebear Inc. Providing search suggestions based on previous searches and conversions
CN112559693B (zh) * 2020-12-25 2024-11-12 鼎易创展咨询(北京)有限公司 文本词语的相似词搜索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20220374141A1 (en) * 2021-05-20 2022-11-24 ThingThing LTD Performance-oriented gesture type decoding for keyboards
CN113609379B (zh) * 2021-07-12 2022-07-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标签体系构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312523B (zh) * 2021-07-30 2021-12-1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字典生成、搜索关键字推荐方法、装置和服务器
CN114896377B (zh) * 2022-04-07 2024-11-08 东南大学 一种基于知识图谱的答案获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296B1 (ko) 2010-09-01 2012-10-2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관련 검색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624247B2 (ja) 2025-01-30
JP2024028172A (ja) 2024-03-01
US20240061894A1 (en)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967B2 (en) Performing application searches
CN107590174B (zh) 页面访问方法及装置
JP539653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用のプログラム
CN111400507B (zh) 实体匹配方法及其装置
US20220004589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intent
US2023021489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t discovery in user generated content
CN102999560A (zh) 用社交网络特征提高姓名和其它搜索查询的搜索引擎结果页面的相关性
CN101364239A (zh) 一种分类目录自动构建方法及相关系统
CN106970991B (zh) 相似应用的识别方法、装置和应用搜索推荐方法、服务器
US933013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 search using extension keywords
JP20190748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26932A (ko) 사용자 성향 분석을 통한 맞춤형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224554A (zh) 推荐搜索词进行搜索的方法、系统、服务器和智能终端
CN105069077A (zh) 搜索方法及装置
KR102328934B1 (ko) 댓글 크롤링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온라인 광고 시스템
CN113761345A (zh) 搜索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647087B1 (ko) 자연어 처리에 기반한 재화 제공 서버 및 방법
CN111428007A (zh) 基于跨平台的同步推送反馈方法
US20240127287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term network based on search path
US20240061894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path
WO2022262632A1 (zh) 网页搜索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20180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atching search advertisement based on product
KR101596370B1 (ko) 사용자 검색어 기반 광고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33694A (ko) 컨셉 키워드 확장 데이터 셋 생성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708865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