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18847A -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 Google Patents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847A
KR20240018847A KR1020220096667A KR20220096667A KR20240018847A KR 20240018847 A KR20240018847 A KR 20240018847A KR 1020220096667 A KR1020220096667 A KR 1020220096667A KR 20220096667 A KR20220096667 A KR 20220096667A KR 20240018847 A KR20240018847 A KR 2024001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pipe
heat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07241B1 (ko
Inventor
조형동
김민기
임정훈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7241B1/ko
Publication of KR2024001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72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05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7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the system uses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공급관으로 공급되며, 난방환수관으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저하된 열에너지를 태양광 및 태양열의 복합적 활용으로 보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 상향장치에 있어서, 외부 열원으로부터 공급받으며, 제1온도로 가열된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공급관(110); 난방공급관과 연통되며, 난방수의 열을 활용하며, 제2온도로 열을 저하시키는 사용처(210); 사용처와 연통되며, 난방수를 배출하는 난방환수관(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An apparatus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on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난방공급관으로 공급되며, 난방환수관으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저하된 열에너지를 태양광 및 태양열의 복합적 활용으로 보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001 및 특허발명 002는 본 발명과 기술적 관련성이 존재하는 발명이며, 특허발명 001은 히트 펌프식 급탕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을 제시하며, 특허발명 002는 냉 난방 급탕을 위한 새로운 히트펌프 장치에 대한 발명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1 및 특허발명 002는 급탕 및 환탕으로 공급되며, 난방환수관이 형성되며, 태양광을 이용한 점이 유사하나, 태양광 및 태양열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에 대하여 본 발명과 차이가 존재한다.
KR 10-0904363 B1 (등록일자 2009년06월16일) KR 10-2013-0016841 A (공개일자 2013년02월19일)
본 발명은 난방공급관으로 공급되며, 난방환수관으로 배출되는 난방수의 저하된 열에너지를 태양광 및 태양열의 복합적 활용으로 보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 난방수의 온도 상향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외부 열원으로부터 공급받으며, 제1온도로 가열된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공급관(110); 상기 난방공급관과 연통되며, 난방수의 열을 활용하며, 제2온도로 열을 저하시키는 사용처(210); 상기 사용처와 연통되며, 난방수를 배출하는 난방환수관(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 난방수의 온도 상향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에서 상기 난방환수관으로 난방수를 연통하는 제1환수연통관(3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 난방수의 온도 상향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에서 상기 난방환수관으로 난방수를 연통하는 제2환수연통관(320); 난방수를 저장하는 축열챔버(410); 상기 제2환수연통관에서 분지되며, 축열챔버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축열공급관(420); 상기 축열챔버에서 상기 제2환수연통관으로 난방수를 배출하는 축열배출관(4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 난방수의 온도 상향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내부에 난방수가 유동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이며, 태양열을 공급받는 집열체(510); 상기 집열체 및 상기 축열챔버를 연통하며, 집열체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집열공급관(520); 상기 집열체 및 상기 축열챔버를 연통하며, 집열체로 난방수를 배출하는 집열배출관(5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 난방수의 온도 상향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열챔버 및/또는 환수연통관에 형성되며, 난방수를 전기로 가열하는 가열체(6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방공급관에서 공급받으며 난방환수관으로 배출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태양광 및 태양열로 보충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온도센서에 의해 제어기를 구동하며, 제어기에 의해 축열챔버순환, 집열체순환을 선택적으로 자동 선택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집열관은 태양광의 열흡수를 지그재그관, 복수관, 유량선택, 개폐선택의 선택적 사항을 센서와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환수관, 급수관 설비 및 난방공급관 및 태양열 에너지 시스템이 적용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및 태영열을 이용하여 난방환수관의 온도상승을 위한 개념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축열챔버를 이용하여 난방환수관에 난방수를 공급하는 계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외부 열원으로부터 공급받으며, 제1온도로 가열된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공급관(110); 상기 난방공급관과 연통되며, 난방수의 열을 활용하며, 제2온도로 열을 저하시키는 사용처(210); 상기 사용처와 연통되며, 난방수를 배출하는 난방환수관(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는 각각의 방에 배치되는 난방배관(211);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는 열교환기(212);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난방공급관, 및 난방환수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단열층(130);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난방공급관에 배치되는 제1열유량계(141); 상기 난방환수관에 배치되는 제2열유량계(142); 상기 제1열유량계 및 제2열유량계의 신호를 계측하며 열유량을 환산하는 열유량환산기(143);를 포함한다.
종래의 공동주택은 급수관, 난방공급관, 난방환수관을 가진다. 급수관은 상온의 상수가 공급되며, 난방공급관은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가열된 열매체(물 또는 증기)가 공급되며, 난방환수관은 난방공급관에서 공급받은 열이 사용처에서 소모된 후 낮아진 온도로 배출되는 난방수를 배출한다. 상기 급수관은 2개로 분지되며, 하나는 상온 상태의 상수를 그대로 공급하며, 다른 하나는 상온 상태의 상수가 열교환기(난방공급관과 결합)거쳐 온수로 변환된다. 즉, 난방공급관의 온도를 이용하여, 급탕온수를 생성한다. 종래의 태양열 발전은 솔라셀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하거나, 태양광과 접촉되는 매체를 통해 매체를 가열한 후, 매체를 축열챔버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가열되어 매체로부터 열원을 활용한다.
본 발명(실시예 1-1 내지 1-5)은 난방환수관 온도를 높여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으며, 구체적으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중복적으로 활용하여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를 상승시킨다. 난방공급관 및 난방환수관을 유동하는 난방수 온도가 외부기온에 의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단열재가 난방공급관 및 난방환수관은 도포한다. 세대별 열사용량 계량을 위해, 난방공급관에는 제1열유량계를 설치하며, 난방환수관에는 제2열유량계를 설치한다. 제1, 2열유량계의 수치차이를 계산하여, 열사용량을 환산할 수 있다. 이는 열유량환산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에서 상기 난방환수관으로 난방수를 연통하는 제1환수연통관(310);을 포함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에서 상기 난방환수관으로 난방수를 연통하는 제2환수연통관(320); 난방수를 저장하는 축열챔버(410); 상기 제2환수연통관에서 분지되며, 축열챔버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축열공급관(420); 상기 축열챔버에서 상기 제2환수연통관으로 난방수를 배출하는 축열배출관(430);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축열공급관 및 제2환수연통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밸브(441); 상기 축열배출관 및 제2환수연통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밸브(442); 축열챔버에 형성된 축열온도센서(443); 난방환수관에 형성된 난방환수관온도센서(444); 상기 축열온도센서 및 난방환수관온도센서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축열공급제어기(4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1, 3-1, 3-2)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처와 난방환수관 사이에는 2개의 제1, 2화수연통관을 연결한다. 제1환수연통관은 사용처와 난방환수관을 직접 연결하며, 제2환수연통관은 사용처와 난방환수관 사이에 축열챔버를 연결한다. 상기 축열챔버는 축열공급관 및 축열배출관을 이용하여 제2환수연통관에 결합된다.
축열기에는 축열온도센서를 장착하며, 난방환수관에는 난방환수관온도센서를 장착한다. 난방환수관 온도가 축열챔버 온도보다 높을 경우, 제1환수연통관으로 난방수를 유동하며, 난방환수관 온도가 축열챔버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2환수연통관으로 난방수를 유동한다. 즉, 축열챔버의 높은 온도를 난방환수관으로 공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축열공급제어기에 의해 작동된다. 축열공급제어기는 축열온도센서 및 난방환수관온도센서 신호를 입력받으며, 제1, 2밸브를 작동한다. 축열챔버는 태양광 및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내부에 난방수가 유동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이며, 태양열을 공급받는 집열체(510); 상기 집열체 및 상기 축열챔버를 연통하며, 집열체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집열공급관(520); 상기 집열체 및 상기 축열챔버를 연통하며, 집열체로 난방수를 배출하는 집열배출관(53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집열체는 직선관 또는 곡선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집열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집열체는 재질이 동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집열공급관에 형성되는 유량제어밸브(541); 상기 집열체에 형성되는 집열온도센서(542); 상기 집열체 외부에 형성된 외부온도센서(543);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를 계측하며,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량제어기(544);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집열공급관 및 상기 집열배출관에 분지되어 연결하는 바이패스관(551); 상기 분지점에 위치하는 방향제어밸브(552); 난방환수관 및 집열체의 온도를 온도센서에 의해 계측하며,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동방향제어기(5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 내지 4-6)은 축열챔버 난방수의 온도상승을 목적으로 한다. 즉, 축열챔버 난방수는 태양열장치에 장착된 집열체를 통해 가열된다. 또한 태양열장치에서 얻어진 전기를 이용하여 축열챔버 등을 가열한다. 따라서 태양광 및 태양열을 복수로 활용하는 장점을 가진다. 전력을 이용한 가열장치는 이후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축열챔버에 저장된 난방수는 태양열장치에 설치된 집열체로 유동되며, 상기 난방수는 집열체에서 태양광으로 가열되어 다시 축열챔버로 유동된다. 따라서, 축열챔버의 난방수는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는 효과를 가진다. 집열체는 관형태를 취하며, 태양광에 직접 노출된다. 상기 집열체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동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집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집열체는 작사각형 형태가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열체는 집열공급관 및 집열배출관 사이에 복수로 나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집열체는 집열공급관 및 집열배출관 사이에 하나의 관이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열체는 직선 또는 뭄결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결문양으로 형성될 경우, 태양광 노출시간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집열체가 복수의 관으로 나란히 배치될 경우, 열전달핀에 의해 복수의 관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가 집열체의 난방수 온도보다 높으면, 난방수는 사용처에서 난방환수관으로 직접 유동됨이 좋다. 그러나, 그 반대의 경우, 난방수가 집열체를 유동해야 된다. 집열공급관 및 집열배출관 사이에는 집열체와 달리 외부와 차열되며, 난방수가 순환되는 바이패스관을 형성한다. 즉, 바이패스관은 집열공급관과 집열배출관을 직접 연통시킨다.
이는 방향제어밸브를 작동하는 유동방향제어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방향 제어기는 난방환수관에 장착된 온도센서와 집열체에 장착된 온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된다. 즉, 난방환수관 및 집열체의 온도차이에 의해 선택적 작동을 한다.
태양광의 조도에 따라 집열체를 순환하는 난방수의 유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온도센서를 계측한 후, 유량제어기가 유량제어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태양광의 광도가 높을 경우, 유량을 높게 설정하여, 집열체를 유동하는 난방수의 순환 시간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 태양광의 광도가 낮을 경우, 유량을 낮게 설정하여, 집열체를 유동하는 난방수의 유동시간을 느리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축열챔버 및/또는 환수연통관에 형성되며, 난방수를 전기로 가열하는 가열체(61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는 상기 환수연통관, 집열배출관, 축열챔버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6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며,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옥외전류(631), 태양광패널(632), 풍력발전기(633);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집열체 및 상기 태양공패널은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은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유연 판재형태이며, 상기 축열챔버 외부 및 환수연통관 외주면에 부착되는 발열패드(641); 상기 발열패드 일면에 부착되는 차열판(642); 상기 환수연통관의 온도를 계측하는 난방환수관온도센서(444); 상기 온도센서를 계측하며, 상기 발열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열제어기(6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내지 5-6)은 축열챔버, 환수연통관, 난방환수관 가열을 구체화한다. 상기 가열은 전기에너지로 얻어진 열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에너지는 태양광패널에서 얻어진다. 상기 축열챔버, 환수연통관, 난방환수관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가열될 수 있다. 이는 발열제어기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가열체는 면상발열체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전기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면상발열체를 사용할 경우, 축열챔버, 환수연통관 및 난방환수관의 외부면에 접촉되며, 전기히터를 사용할 경우, 축열챔버, 환수연통관 및 난방환수관의 내부에 위치한다. 가열체에 안정적이며, 신속한 전기량을 공급하기 위해, 충분한 예비전력이 요구되며, 상기 예비전력은 축전지로부터 공급된다. 축전지는 일정한 전력량을 보유해야 된다. 태양광 패널에서 얻어진 전기를 축전기에 충전함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풍력발전에너지 및 옥외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
110 : 난방공급관 120 : 난방환수관
130 : 단열층 141 : 제1열유량계
142 : 제2열유량계 143 : 열유량환산기
210 : 사용처 211 : 난방배관
212 : 열교환기
310 : 제1환수연통관 320 : 제2환수연통관
410 : 축열챔버 420 : 축열공급관
430 : 축열배출관 441 : 제1밸브
442 : 제2밸브 443 : 축열온도센서
444 : 난방환수관온도센서 445 : 축열공급제어기
510 : 집열체 520 : 집열공급관
530 : 집열배출관 541 : 유량제어밸브
542 : 집열온도센서 543 : 외부온도센서
544 : 유량제어기 551 : 바이패스관
552 : 방향제어밸브 553 : 유동방향제어기
610 : 가열체 620 : 축전지
631 : 옥외전류 632 : 태양광패널
633 : 풍력발전기 641 : 발열패드
642 : 차열판 652 : 발열제어기

Claims (5)

  1.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 상향장치에 있어서,
    외부 열원으로부터 공급받으며, 제1온도로 가열된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공급관(110);
    상기 난방공급관과 연통되며, 난방수의 열을 활용하며, 제2온도로 열을 저하시키는 사용처(210);
    상기 사용처와 연통되며, 난방수를 배출하는 난방환수관(120);
    을 포함하는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 상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에서 상기 난방환수관으로 난방수를 연통하는 제1환수연통관(310);
    을 포함하는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 상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에서 상기 난방환수관으로 난방수를 연통하는 제2환수연통관(320);
    난방수를 저장하는 축열챔버(410);
    상기 제2환수연통관에서 분지되며, 축열챔버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축열공급관(420);
    상기 축열챔버에서 상기 제2환수연통관으로 난방수를 배출하는 축열배출관(430);
    상기 축열공급관 및 제2환수연통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밸브(441);
    상기 축열배출관 및 제2환수연통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밸브(442);
    축열챔버에 형성된 축열온도센서(443); 난방환수관에 형성된 난방환수관온도센서(444);
    상기 축열온도센서 및 난방환수관온도센서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축열공급제어기(445);
    을 포함하는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 상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내부에 난방수가 유동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이며, 태양열을 공급받는 집열체(510);
    상기 집열체 및 상기 축열챔버를 연통하며, 집열체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집열공급관(520);
    상기 집열체 및 상기 축열챔버를 연통하며, 집열체로 난방수를 배출하는 집열배출관(530);
    을 포함하는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 상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열챔버 및/또는 환수연통관에 형성되며, 난방수를 전기로 가열하는 가열체(610);
    를 포함하는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 상향장치.
KR1020220096667A 2022-08-03 2022-08-03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Active KR10280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667A KR102807241B1 (ko) 2022-08-03 2022-08-03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667A KR102807241B1 (ko) 2022-08-03 2022-08-03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847A true KR20240018847A (ko) 2024-02-14
KR102807241B1 KR102807241B1 (ko) 2025-05-13

Family

ID=8989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667A Active KR102807241B1 (ko) 2022-08-03 2022-08-03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072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63B1 (ko) 2008-02-11 2009-06-23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히트 펌프식 급탕 공급장치
KR101105495B1 (ko) * 2011-08-01 2012-01-13 이희곤 태양열을 이용한 다줄 순환 방식의 조립식 온돌 난방 시스템
KR20120121486A (ko) * 2011-04-27 2012-1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열 난방시스템 통합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30016841A (ko) 2011-08-09 2013-02-19 신길현 냉 난방 급탕을 위한 새로운 히트펌프 장치
KR20140042841A (ko) * 2014-03-17 2014-04-07 윤종식 태양열발전을 이용한 태양열 난방 시스템
KR20150014010A (ko) * 2013-07-26 2015-0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국소 난방이 가능한 강제 순환형 태양열 온수시스템
KR20200031952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63B1 (ko) 2008-02-11 2009-06-23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히트 펌프식 급탕 공급장치
KR20120121486A (ko) * 2011-04-27 2012-1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열 난방시스템 통합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105495B1 (ko) * 2011-08-01 2012-01-13 이희곤 태양열을 이용한 다줄 순환 방식의 조립식 온돌 난방 시스템
KR20130016841A (ko) 2011-08-09 2013-02-19 신길현 냉 난방 급탕을 위한 새로운 히트펌프 장치
KR20150014010A (ko) * 2013-07-26 2015-0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국소 난방이 가능한 강제 순환형 태양열 온수시스템
KR20140042841A (ko) * 2014-03-17 2014-04-07 윤종식 태양열발전을 이용한 태양열 난방 시스템
KR20200031952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07241B1 (ko) 202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062B1 (en) Solar collector system
CN103925629A (zh) 风力发电机调峰相变蓄能供热系统
CN110762664B (zh) 一种基于pvt结合跨季节蓄热和露点蒸发冷却的装置、空调
CN201926135U (zh) 以太阳能为主要热源的热水供给系统
CN109724269A (zh) 太阳能全光谱热电联供系统及储能配置方法
CN108224537A (zh) 风光互补型智能供热供电系统
CN206517335U (zh) 一种利用太阳能和温差发电的系统
CN111416549A (zh) 基于微热管的太阳能腔体式温差发电装置
CN104879953B (zh) 一种光能、风能和地热能综合利用装置
KR20240018847A (ko) 난방환수관의 난방수 온도상향 장치
CN113595107A (zh) 太阳能发电系统及其储能装置
CN105737408B (zh) 一种太阳能集热器系统及其发声五线谱
CN217402896U (zh) 基于地源热系统的土壤补热组件和地源热系统
CN102842632A (zh) 太阳能光伏光热一体化装置
RU2491482C2 (ru) Система солнечного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CN109869789A (zh) 一种储热、光伏、空气源热泵清洁能源供暖系统
CN214148127U (zh) 太阳能加热和变频电磁感应加热结合的双联供机组
CN108488873A (zh) 一种多模式多用途光热补偿型电加热供能系统及方法
CN211667943U (zh) 一种pvt结合跨季节蓄热和露点蒸发冷却的装置、空调
KR102716367B1 (ko) 순환수 온도보상장치
CN202855786U (zh) 太阳能光伏光热一体化装置
CN201159526Y (zh) 氮化硅加热式热水器
CN216557755U (zh) 一种带太阳能加热结构的室内控温冷热循环装置
CN220689172U (zh) 太阳能互补取暖系统
CN217715483U (zh) 一种太阳能级联供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