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692A -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 Google Patents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2692A KR20240012692A KR1020220090006A KR20220090006A KR20240012692A KR 20240012692 A KR20240012692 A KR 20240012692A KR 1020220090006 A KR1020220090006 A KR 1020220090006A KR 20220090006 A KR20220090006 A KR 20220090006A KR 20240012692 A KR20240012692 A KR 202400126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belt
- hole
- frame
- driving roller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물품의 크기별로 물품을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간편하게 물품을 구분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한편, 진동자로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하여 효과적인 분류가 이뤄지도록 한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belt having through-holes of different sizes stacked in multiple layers to sort and store goods according to their siz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sort and store goods. This relates to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items that enables effective sorting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conveyor belt.
택배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점차 택배로 배송되는 물품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As courier services become more active, the amount of goods delivered by courier is increasing exponentially.
택배로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서는 우선 물품의 크기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물품 분류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으면 배송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In order to deliver goods by courier, the goods must first be sorted by size. If items are not properly classified, delivery efficiency decreases.
종래 물품 분류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크기를 파악하여 분류하였다. 이로 인해 물품 분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오랜 작업시간으로 인한 주의력 저하로 오분류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product sorting process, workers directly visually identified the size and classified it. As a result, it took a lot of time to classify items, and there was a problem of misclassification due to decreased attention due to long working hours.
따라서 물품을 크기에 따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물품 분류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accurately and efficiently classify products according to size is urgently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물품의 크기별로 물품을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물품의 분류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of goods by stacking conveyor belts with through holes of different sizes in multiple layers to classify and store goods according to their size.
또한 본 발명은 진동자로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하여 물품이 관통공에 원할하게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vibration to the conveyor belt with a vibrator to induce products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은, 골조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100);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formed so that the frame forms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롤러(210);A first driving roller 21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 종동롤러(220);A first driven roller 220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2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rame 100;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제1 종동롤러(2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소정 크기의 제1 관통공(232)이 형성된 제1 컨베이어벨트(230);A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1 가이드판(2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제1 분류용기(240);A first sorting container ( 240);
상기 프레임(100)의 최저층에 배치되어 물품을 저장하는 물품 저장조(500);an article storage tank 500 disposed on the lowest level of the frame 100 to store articles;
일단은 지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인접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설치되되, 일단에 배치되는 공급용 구동롤러(150)와 타단에 배치되는 공급용 종동롤러(160)와 상기 공급용 구동롤러(150)와 공급용 종동롤러(160)를 둘러싸도록 결합된 공급용 컨베이어벨트(170)를 포함하는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One end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adjacent to the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control unit 700 that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로부터 공급되는 물품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작은 크기의 물품은 제1 관통공(232)을 통과하고,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큰 크기의 물품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남겨져 상기 제1 분류용기(240)에 분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을 제공한다.When the goods supplied from the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fall from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0 to the lower part, the goods smaller than the first throug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구동롤러(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컨베이어벨트(3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롤러(310);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riving roller 310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roller 210,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 구동롤러(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종동롤러(320);a second driven roller 320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제2 구동롤러(310)와 제2 종동롤러(3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1 관통공(232)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관통공(332)이 형성된 제2 컨베이어벨트(330);A second conveyor is coupled and transported to surround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and the second driven roller 320, and has a second through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3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2 가이드판(3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밸트(3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제2 분류용기(340);A second sorting container ( 340);
상기 제2 구동롤러(3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롤러(410);A third driving roller 410 disposed lower than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3 구동롤러(4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3 종동롤러(420);a third driven roller 420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third driving roller 4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3 구동롤러(410)와 제3 종동롤러(4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2 관통공(332)보다 작은 크기의 제3 관통공(432)이 형성된 제3 컨베이어벨트(430);A third conveyor is coupled and transported to surround the third driving roller 410 and the third driven roller 420, and has a third through
상기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3 가이드판(4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밸트(4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제3 분류용기(440);를 더 포함하며,A third sorting container ( 440); and further includes,
상기 제1 관통공(232), 제2 관통공(332), 제3 관통공(432)은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물품이 크기별로 구분되어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hrough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throug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자(600);를 더 포함하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ibrator 6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100 to apply vibration to the
상기 진동자(600)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상부에 위치된 물품이 상기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or 600 applies vibration to the
본 발명은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물품의 크기별로 물품을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물품의 분류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rting efficiency of goods by stacking conveyor belts with through holes of different sizes in multiple layers to classify and store goods according to their size.
또한 본 발명은 진동자로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하여 물품이 관통공에 원활하게 투입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conveyor belt with a vibrator, so that the goods ar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벨트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의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first to third conveyor be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to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t is only used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first part' and 'second part' may refer to different par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component.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벨트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first to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본 발명에서는 물품을 택배로 배송하기 전에 물품을 크기별로 정확히 구분하여 분류효율을 높이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accurately classifying the goods by size before delivering them by courier.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은 프레임(100), 물품 저장조(500),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 제1 구동롤러(210), 제1 종동롤러(220), 제1 컨베이어벨트(230), 제2 구동롤러(310), 제2 종동롤러(320), 제2 컨베이어벨트(330), 제3 구동롤러(410), 제3 종동롤러(420), 제3 컨베이어벨트(430), 제어부(700), 진동자(600)를 포함한다.The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 goods storage tank 500, a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a first driving roller 210, a first driven roller 220, and a first conveyor belt. (230), second driving roller 310, second driven roller 320,
프레임(100)은 골조 구조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The frame 100 has a frame structure an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물품 저장조(500)는 프레임(100)의 최저층에 배치되어 물품을 저장한다.The product storage tank 500 is disposed on the lowest floor of the frame 100 to store products.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는 지상에서 프레임(100)으로 물품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지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인접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설치된다.The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goods from the ground to the frame 100. One end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는 공급용 구동롤러(150), 공급용 종동롤러(160), 그리고 공급용 컨베이어벨트(170)를 포함한다.The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includes a supply drive roller 150, a supply driven roller 160, and a supply conveyor belt 170.
공급용 구동롤러(150)는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의 일단에 배치되며, 공급용 종동롤러(160)는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의 타단에 배치된다.The supply driving roller 15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and the supply driven roller 16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공급용 컨베이어벨트(170)는 공급용 구동롤러(150)와 공급용 종동롤러(160)를 둘러싸도록 결합된다.The supply conveyor belt 170 is coupled to surround the supply drive roller 150 and the supply driven roller 160.
제1 구동롤러(21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 벨트(2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The first driving roller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제1 종동롤러(22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The first driven roller 2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 컨베이어벨트(230)는 제1 구동롤러(210)와 제1 종동롤러(2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소정 크기의 제1 관통공(232)이 형성된다.The
제1 분류용기(240)는 제1 컨베이어벨트(2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구성이다.The first sorting container 240 is configured to store goods transported from the
제1 컨베이어벨트(2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1 가이드판(231)이 제1 분류용기(24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A first guide plate 231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one side of the
제1 컨베이어벨트(230)로부터 이송된 물품이 제1 가이드판(231)을 타고 미끄러져 제1 분류용기(240)로 들어가게 된다.The goods transferred from the
공급용 컨베이어벨트(170)로부터 공급되는 물품이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 제1 관통공(232) 보다 작은 크기의 물품은 제1 관통공(232)을 통과하고, 제1 관통공(232) 보다 큰 크기의 물품은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남겨져 제1 가이드판(231)을 타고 제1 분류용기(240)에 분류된다.When the goods supplied from the supply conveyor belt 170 fall from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0 to the lower part, the goods smaller than the first through
제2 구동롤러(310)는 제1 구동롤러(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컨베이어벨트(33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is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roller 2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제2 종동롤러(32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제2 구동롤러(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The second driven roller 320 is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 컨베이어벨트(330)는 제2 구동롤러(310)와 제2 종동롤러(3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제1 관통공(232)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관통공(332)이 형성된다.The
제2 분류용기(340)는 제2 컨베이어벨트(3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2 가이드판(3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밸트(3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구성이다.The second sorting container 34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plate 331 disposed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one side of the
제3 구동롤러(410)는 제2 구동롤러(3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The third driving roller 410 is disposed lower than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제3 종동롤러(42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제3 구동롤러(4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The third driven roller 420 is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third driving roller 4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3 컨베이어벨트(430)는 제3 구동롤러(410)와 제3 종동롤러(4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제2 관통공(332)보다 작은 크기의 제3 관통공(432)이 형성된다.The
제3 분류용기(440)는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3 가이드판(4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밸트(4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구성이다.The third sorting container 44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hird guide plate 431 disposed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one side of the
결과적으로, 크기가 상이한 물품이 프레임(100)의 상부로 공급되면 제1 분류용기(240)에는 가장 큰 물품이 저장되고, 제3 분류용기(440)에는 가장 작은 물품이 저장된다.As a result, when items of different sizes are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0, the largest items are stored in the first sorting container 240, and the smallest items are stored in the third sorting container 440.
이와 같이 크기에 따라 물품이 자동으로 분류되어 분류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tems are automatically sorted according to size, improving sorting efficiency.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은 편의상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o third through
종종 물품의 일부분이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걸려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Often, part of the article gets caught o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can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에서는 물품이 관통공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자(600)를 구비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ibrator 600 is provided to allow the product to easil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진동자(60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한다.The vibrator 6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100 and applies vibration to the
이를 통해 컨베이어벨트와 물품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인해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물품이 관통공을 원활히 통과하게 된다.Through this, items that can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product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smoothly.
본 발명은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물품의 크기별로 물품을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간편하게 물품을 구분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한편, 진동자로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하여 효과적인 분류가 이뤄지도록 한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belt having through-holes of different sizes stacked in multiple layers to sort and store goods according to their siz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sort and store goods. This relates to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items that enables effective sorting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conveyor bel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프레임
150 : 공급용 구동롤러
160 : 공급용 종동롤러
170 :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180 :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
210 : 제1 구동롤러
220 : 제1 종동롤러
230 : 제1 컨베이어벨트
231 : 제1 가이드판
232 : 제1 관통공
240 : 제1 분류용기
310 : 제2 구동롤러
320 : 제2 종동롤러
330 : 제2 컨베이어벨트
331 : 제2 가이드판
332 : 제2 관통공
340 : 제2 분류용기
410 : 제3 구동롤러
420 : 제3 종동롤러
430 : 제3 컨베이어벨트
431 : 제3 가이드판
432 : 제3 관통공
440 : 제3 분류용기
500 : 물품 저장조
600 : 진동자
700 : 제어부100: frame
150: Drive roller for supply
160: Driven roller for supply
170: Supply conveyor belt
180: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210: first driving roller
220: 1st driven roller
230: 1st conveyor belt
231: first guide plate
232: 1st through hole
240: First sorting container
310: second driving roller
320: 2nd driven roller
330: 2nd conveyor belt
331: second guide plate
332: second through hole
340: Second sorting container
410: Third driving roller
420: Third driven roller
430: Third conveyor belt
431: Third guide plate
432: Third through hole
440: Third sorting container
500: Goods storage tank
600: Vibrator
700: Control unit
Claims (4)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롤러(21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 종동롤러(220);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제1 종동롤러(2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소정 크기의 제1 관통공(232)이 형성된 제1 컨베이어벨트(230);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1 가이드판(2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제1 분류용기(240);
상기 프레임(100)의 최저층에 배치되어 물품을 저장하는 물품 저장조(500);
일단은 지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인접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설치되되, 일단에 배치되는 공급용 구동롤러(150)와 타단에 배치되는 공급용 종동롤러(160)와 상기 공급용 구동롤러(150)와 공급용 종동롤러(160)를 둘러싸도록 결합된 공급용 컨베이어벨트(170)를 포함하는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용 컨베이어벨트 조립체(180)로부터 공급되는 물품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작은 크기의 물품은 제1 관통공(232)을 통과하고,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큰 크기의 물품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남겨져 상기 제1 분류용기(240)에 분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A frame 100 formed so that the frame forms a plurality of layers;
A first driving roller 21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conveyor belt 230;
A first driven roller 220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2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rame 100;
A first conveyor belt 230 coupled and transported to sur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210 and the first driven roller 220,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232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the surface;
A first sorting container ( 240);
an article storage tank 500 disposed on the lowest level of the frame 100 to store articles;
One end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adjacent to the first conveyor belt 230, and includes a supply drive roller 150 disposed at one end and a supply driven roller 160 disposed at the other end. A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including a supply conveyor belt 170 coupled to surround the supply drive roller 150 and the supply driven roller 160;
It includes a control unit 700 that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When the goods supplied from the supply conveyor belt assembly 180 fall from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0 to the lower part, the goods small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32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32. ,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items, characterized in that items larg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32 are left on the first conveyor belt 230 and sorted into the first sorting container 240.
상기 제1 구동롤러(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컨베이어벨트(3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롤러(31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 구동롤러(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종동롤러(320);
상기 제2 구동롤러(310)와 제2 종동롤러(3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1 관통공(232)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관통공(332)이 형성된 제2 컨베이어벨트(330);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3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2 가이드판(3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밸트(3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제2 분류용기(340);
상기 제2 구동롤러(3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롤러(41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3 구동롤러(4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3 종동롤러(420);
상기 제3 구동롤러(410)와 제3 종동롤러(4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2 관통공(332)보다 작은 크기의 제3 관통공(432)이 형성된 제3 컨베이어벨트(430);
상기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3 가이드판(43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밸트(430)로부터 이송되는 물품이 저장되는 제3 분류용기(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공(232), 제2 관통공(332), 제3 관통공(432)은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물품이 크기별로 구분되어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second driving roller 310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roller 21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conveyor belt 330;
a second driven roller 320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so as to be rotatable;
A second conveyor is coupled and transported to surround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and the second driven roller 320, and has a second through hole 332 of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32 formed on the surface. belt 330;
A second sorting container ( 340);
A third driving roller 410 disposed lower than the second driving roller 31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third conveyor belt 430;
a third driven roller 420 coupled to th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third driving roller 4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conveyor is coupled and transported to surround the third driving roller 410 and the third driven roller 420, and has a third through hole 432 of a smaller size than the second through hole 332 formed on the surface. belt (430);
A third sorting container ( 440); and further includes,
The first through hole 232, the second through hole 332, and the third through hole 432 have different sizes, so that the products are sorted by size.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products.
상기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through hole 232 to the third through hole 432 is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자(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600)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상부에 위치된 물품이 상기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It further includes a vibrator 6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100 to apply vibration to the first conveyor belt 230 to the third conveyor belt 430,
The vibrator 600 applies vibration to the first conveyor belt 230 to the third conveyor belt 430, so that the good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veyor belt 230 to the third conveyor belt 430 A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uided to be input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32 to the third through hole 43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0006A KR20240012692A (en) | 2022-07-21 | 2022-07-21 |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0006A KR20240012692A (en) | 2022-07-21 | 2022-07-21 |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2692A true KR20240012692A (en) | 2024-01-30 |
Family
ID=8971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0006A Ceased KR20240012692A (en) | 2022-07-21 | 2022-07-21 |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12692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56945A1 (en) | 2016-01-29 | 2018-03-01 | Takao Tsuruta | Wiper system |
-
2022
- 2022-07-21 KR KR1020220090006A patent/KR20240012692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56945A1 (en) | 2016-01-29 | 2018-03-01 | Takao Tsuruta | Wiper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83814B2 (en) | Conveyor systems and methods | |
EP3476777B1 (en) | Feeding system | |
JP6384047B2 (en) | Automatic warehouse | |
US10640302B2 (en) | Article sorter with active discharge | |
US11453556B2 (en) | Stepped accumulation chute | |
KR20240012692A (en) | Conveyor system for sorting goods | |
US10227179B2 (en) | Conveyor chute comprising a width adjusting mechanism | |
CN111069058A (en) | Goods sort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US20190225432A1 (en) | Singulator conveyor assembly for separating parcels | |
CN213921709U (en) | Material arranging and conveying device for bulk materials | |
JP2008509812A (en) | Mail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 |
CN111063102A (en) | Vending machine stocking sorting device | |
JP4941162B2 (en) | Article transfer device | |
CN211577975U (en) | Stock sort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 |
JP2579006Y2 (en) | Crop sorting equipment | |
US20050072654A1 (en) | Conveyor assembly | |
KR102426881B1 (en) | Conveyor for logistics transport | |
JP2001080733A (en) | Chute in sorting equipment | |
JP2581028Y2 (en) | Coin sorter | |
US20030173733A1 (en) | Signature hopper loader | |
JP7327337B2 (en) | Article conveying device | |
KR102502705B1 (en) | singulator conveyor | |
JP7158812B2 (en) | Sorting device and sorting system | |
KR20130088398A (en) | Method for preventing leaned loading on blet conve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4328159A1 (en) | Convey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