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12476A - 지카 바이러스 저해제로서의 펜타사이클릭 유도체 - Google Patents

지카 바이러스 저해제로서의 펜타사이클릭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476A
KR20240012476A KR1020237043933A KR20237043933A KR20240012476A KR 20240012476 A KR20240012476 A KR 20240012476A KR 1020237043933 A KR1020237043933 A KR 1020237043933A KR 20237043933 A KR20237043933 A KR 20237043933A KR 20240012476 A KR20240012476 A KR 2024001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imidazol
methylpyrrolidin
naphtho
methoxycarbon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버트 친
존 오. 링크
제임스 지. 테일러
정-유 양
Original Assignee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47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07D491/052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the oxygen-containing ring being six-memb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81,3-Diazoles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biotin, sorbin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다양한 치환기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카 바이러스 저해제로서의 펜타사이클릭 유도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21년 5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191,678호의 35 U.S.C. §119(e) 하에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는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단일 가닥의 양극성 RNA 플라비바이러스로, 상대적으로 모호하여 공중 보건에 대한 우려가 큰 전염병을 일으킨다. 지카 바이러스 질병의 발병은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및 태평양에 기록되어 왔다. 지카 바이러스의 서반구 유입은 2014~2015년 아이티와 브라질에서 발생하여 33개국 이상으로 빠르게 확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역사적으로, 인간의 지카 바이러스 감염 증상은 발진, 관절통, 결막염과 관련된 자가 제한적인 경증 열성 질환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지카 바이러스 감염은 길랭-바레 증후군()과 뇌수막염을 포함한 신경학적 합병증과도 관련이 있다. 중요한 관심사로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이 현재 임신 중 바이러스에 감염된 여성의 태아에서 소두증 및 자궁 내 성장 지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임신 중 지카 감염은 유산, 사산, 조산과 같은 임신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지카 바이러스 질병을 예방하는 백신은 현재 없다. 따라서, 특히 가임기 여성에게, 지카 바이러스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치료적 또는 예방적 개입이 필요하다.
지카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것이며,
여기서,
R1a 및 R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C1-6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고;
P1a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P1b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V1a 및 V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E1a 및 E1b는 각각 독립적으로 -N(H)(C1-6 알콕시카르보닐), N(H)(C3-12 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 N(H)(C1-6 알킬카르보닐), 또는 -N(H)(C3-12 사이클로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용매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R1은 할로, C1-10 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이고;
P1a 및 P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V1a 및 V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 및
E1a 및 E1b는 각각 독립적으로 -N(H)(C1-6 알콕시카르보닐), N(H)(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 N(H)(알킬카르보닐), 또는 -N(H)(사이클로알콕시카르보닐)이고;
단, P1a, V1a 및 V1b는 둘 모두 라면, R1는 할로, C1-6 알킬, C4-7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용매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R1은 할로, C1-10 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이고;
P1a 및 P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V1a 및 V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E1a 및 E1b는 각각 독립적으로 -N(H)(C1-6 알콕시카르보닐), N(H)(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 N(H)(알킬카르보닐), 또는 -N(H)(사이클로알콕시카르보닐)이고;
단, P1a, V1a 및 V1b는 둘 모두 라면, R1는 할로, C1-6 알킬, C4-7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용매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가임기의 여성 대상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임신한 여성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 조성물에 혼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R1은 할로, C1-10 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이고;
P1a 및 P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V1a 및 V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부터 선택되고,
E1a 및 E1b는 각각 독립적으로 -N(H)(C1-6 알콕시카르보닐), N(H)(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 N(H)(알킬카르보닐), 또는 -N(H)(사이클로알콕시카르보닐)이고;
단, P1a, V1a 및 V1b는 둘 모두 라면, R1는 할로, C1-6 알킬, C4-7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용매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가임기의 여성 대상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임신한 여성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 조성물에 혼합된다. 다른 구현예 및 추가의 구현예는 당업자에게 발생할 것이며, 사소한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된다.
이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을 상세히 참조할 것이며, 이 예들은 첨부된 설명, 구조 및 화학식에 나타난다. 본 발명은 열거된 구현예와 함께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을 이들 구현예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구현예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괄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이 하나 초과의 동일한 지정된 기, 예를 들어 "R1" 또는 "A3"로 치환될 때마다, 기들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것, 즉 각각의 기는 독립적으로 선택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부재"-일부 기는 부재할 수 있도록 정의된다. 기가 부재할 때, 그것은 접합 커넥터가 된다. 그렇지 않으면 부재하는 기에 연결될 2개의 기는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W가 부재할 때, M은 M에 결합된다.
"알킬"은 노르말, 2차, 3차 또는 고리형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C1-C18 탄화수소이다. 예시는 메틸(Me, -CH3), 에틸(Et, -CH2CH3), 1-프로필(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i-Pr, i-프로필, -CH(CH3)2), 1-부틸(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i-Bu, i-부틸, -CH2CH(CH3)2), 2-부틸(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t-Bu, t-부틸, -C(CH3)3), 1-펜틸(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CH(CH3)CH2CH2CH3), 3-펜틸(-CH(CH2CH3)2), 2-메틸-2-부틸(-C(CH3)2CH2CH3), 3-메틸-2-부틸(-CH(CH3)CH(CH3)2), 3-메틸-1-부틸(-CH2CH2CH(CH3)2), 2-메틸-1-부틸(-CH2CH(CH3)CH2CH3), 1-헥실(-CH2CH2CH2CH2CH2CH3), 2-헥실(-CH(CH3)CH2CH2CH2CH3), 3-헥실(-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C(CH3)2CH2CH2CH3), 3-메틸-2-펜틸(-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CH(CH3)CH2CH(CH3)2), 3-메틸-3-펜틸(-C(CH3)(CH2CH3)2), 2-메틸-3-펜틸(-CH(CH2CH3)CH(CH3)2), 및 2,3-다이메틸-2-부틸(-C(CH3)2CH(CH3)2), 3,3-다이메틸-2-부틸(-CH(CH3)C(CH3)3 및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이다.
"알케닐"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체 부위, 즉, 탄소-탄소, sp 2 이중 결합을 갖는 노르말, 2차, 3차 또는 고리형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C2~C18 탄화수소이다. 예시로는 에틸렌 또는 비닐(-CH=CH2), 알릴(-CH2CH=CH2), 사이클로펜테닐(-C5H7) 및 5-헥세닐(-CH2CH2CH2CH2CH=CH2)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키닐"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체 부위, 즉, 탄소-탄소, sp 삼중 결합을 갖는 노르말, 2차, 3차 또는 고리형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C2~C18 탄화수소이다. 예시로는 아세틸렌(-C≡CH) 및 프로파르길(-CH2C≡CH)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킬렌"은 모(parent) 알케인의 동일한 탄소 원자 또는 2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되는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탄소수 1~18개의 포화된, 분지형 또는 직쇄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전형적인 알킬렌 라디칼은 메틸렌(-CH2-), 1,2-에틸(-CH2CH2-), 1,3-프로필(-CH2CH2CH2-), 1,4-부틸(-CH2CH2CH2CH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케닐렌"은 모 알켄의 동일한 탄소 원자 또는 2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되는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탄소수 2~18개의 불포화, 분지형 또는 직쇄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전형적인 알케닐렌 라디칼은 1,2-에틸렌(-CH=CH-)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알키닐렌"은 모 알킨의 동일한 탄소 원자 또는 2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되는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탄소수 2~18개의 불포화, 분지형 또는 직쇄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전형적인 알키닐렌 라디칼은 아세틸렌(-C≡C-), 프로파르길(-CH2C≡C-), 및 4-펜티닐(-CH2CH2CH2C≡CH)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아릴"은 모 방향족 고리 시스템의 단일 탄소 원자에서 하나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된 탄소수 6~20개의 1가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아릴기는 벤젠, 치환된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바이페닐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라디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릴알킬"은 탄소 원자, 전형적으로는 말단 또는 sp 3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들 중 하나가 아릴 라디칼로 치환된 비환형 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전형적인 아릴알킬기는 벤질, 2-페닐에탄-1-일, 나프틸메틸, 2-나프틸에탄-1-일, 나프토벤질, 2-나프토페닐에탄-1-일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아릴알킬기는 6개 내지 20개의 탄소수, 예를 들면, 아릴알킬기의 알카닐,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를 포함하는 알킬부분은 1개 내지 6개의 탄소수이고, 아릴부분은 5개 내지 14개의 탄소수이다.
용어 "폴리카르보사이클"은 약 6개 내지 약 25개의 탄소수를 갖고 2개 이상의 고리(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고리)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다환형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고리는 융합 및/또는 가교되어 다환형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어는 이환형 [4,5], [5,5], [5,6] 또는 [6,6] 고리 시스템뿐만 아니라 하기 가교된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즉, [2.1.1], [2.2.1], [3.3.3], [4.3.1], [2.2.2], [4.2.2], [4.2.1], [4.3.2], [3.1.1], [3.2.1], [4.3.3], [3.3.2], [3.2.2] 및 [3.3.1] 다환형 고리, 각각) 이는 임의의 합성 가능한 위치를 통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나머지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폴리카르보사이클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대표적인 이환형 및 융합 고리 시스템은 고리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폴리헤테로사이클"은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가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O, S, S(O), S(O)2, N+(O-)Rx, 또는 NRx)로 대체된,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폴리카르보사이클을 지칭하며; 여기서 각각의 Rx는 독립적으로 (C1-10)알킬, (C2-10)알케닐, (C2-10)알키닐, (C1-10)알카노일, S(O)2NRnRp, S(O)2Rx-, 또는 (C1-10)알콕시이고, 각각의 (C1-10)알킬, (C2-10)알케닐, (C2-10)알키닐, (C1-10)알카노일 및 (C1-10)알콕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로 치환된다.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아릴", 및"치환된 아릴알킬"은 각각 알킬, 아릴, 및 아릴알킬을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수소 치환체로 대체된다. 전형적인 치환체는: 할로(예를 들어, F, Cl, Br, I), -R, -OR, -SR, -NR2, -CF3, -CCl3, -OCF3, -CN, -NO2, -N(R)C(=O)R, -C(=O)R, -OC(=O)R, -C(O)OR, -C(=O)NRR, -S(=O)R, -S(=O)2OR, -S(=O)2R, -OS(=O)2OR, -S(=O)2NRR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H, 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이다. 알킬렌, 알케닐렌, 및 알키닐렌기가 또한 유사하게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선택적 치환"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특정 부분(예를 들어, 임의로 치환된 아릴기)에 관해 치환기를 0개, 1개, 2개 이상 가지는 부분을 지칭한다.
고리 구조에서 기호 ""는 결합이 단일 또는 이중 결합임을 의미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또는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예를 들어, F, Cl, Br, 또는 I)으로 치환된 알킬기를 포함한다. 할로알킬의 대표적인 예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틸, 2,2,2-트라이플루오로에틸, 및 2,2,2-트라이플루오로-1-(트라이플루오로메틸)에틸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사이클"은 하기 문헌에 나타난 예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헌[Paquette, Leo A.; Principles of Modern Heterocyclic Chemistry (W.A. Benjamin, New York, 1968), particularly Chapters 1, 3, 4, 6, 7, and 9; 문헌[The 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A Series of Monograph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50 to present), in particular Volumes 13, 14, 16, 19, and 28; and J. Am. Chem. Soc. (1960) 82:5566].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 "헤테로사이클"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보사이클"에서, 하나 이상(예를 들어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탄소 원자가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O, N, 또는 S)로 대체된 것을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의 예에는,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피리딜, 다이하이드로피리딜,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피페리딜), 티아졸릴,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황산화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피리미디닐,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테트라졸릴, 벤조푸라닐, 티아나프탈레닐, 인돌릴, 인돌레닐, 퀴놀리닐, 아이소퀴놀리닐, 벤즈이미다졸릴, 피페리디닐, 4-피페리도닐, 피롤리디닐, 2-피롤리도닐, 피롤리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아이소퀴놀리닐, 데카하이드로퀴놀리닐, 옥타하이드로아이소퀴놀리닐, 아조시닐, 트라이아지닐, 6H-1,2,5-티아다이아지닐, 2H,6H-1,5,2-다이티아지닐, 티에닐, 티아안트레닐, 피라닐, 아이소벤조푸라닐, 크로메닐, 잔테닐, 페녹사티닐, 2H-피롤릴, 아이소티아졸릴, 아이소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인돌리지닐, 아이소인돌릴, 3H-인돌릴, 1H-인다졸릴, 푸리닐, 4H-퀴놀리지닐,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프테리디닐, 4H-카르바졸릴, 카르바졸릴, β-카르볼리닐, 페난트리디닐, 아크리디닐, 피리미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푸라자닐, 페녹사지닐, 아이소크로마닐, 크로마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페라지닐, 인돌리닐, 아이소인돌리닐, 퀴누클리디닐, 모르폴리닐, 옥사졸리디닐, 벤조트라이아졸릴, 벤즈아이소옥사졸릴, 옥스인돌릴, 벤조옥사졸리닐, 이사티노일, 및 비스-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이 포함된다: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탄소 결합된 헤테로사이클은 피리딘의 위치 2, 3, 4, 5, 또는 6, 피리다진의 위치 3, 4, 5, 또는 6, 피리미딘의 위치 2, 4, 5, 또는 6, 피라진의 위치 2, 3, 5, 또는 6, 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티오푸란, 티오펜, 피롤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롤의 위치 2, 3, 4, 또는 5, 옥사졸, 이미다졸 또는 티아졸의 위치 2, 4, 또는 5, 아이소옥사졸, 피라졸, 또는 아이소티아졸의 위치 3, 4, 또는 5, 아지리딘의 위치 2 또는 3, 아제티딘의 위치 2, 3, 또는 4, 퀴놀린의 위치 2, 3, 4, 5, 6, 7, 또는 8, 또는 아이소퀴놀린의 위치 1, 3, 4, 5, 6, 7, 또는 8에서 결합된다. 훨씬 더 전형적으로, 탄소 결합된 헤테로사이클은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5-피리딜, 6-피리딜,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5-피리다지닐, 6-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6-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3-피라지닐, 5-피라지닐, 6-피라지닐, 2-티아졸릴, 4-티아졸릴, 또는 5-티아졸릴을 포함한다.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질소 결합된 헤테로사이클은 아지리딘, 아제티딘, 피롤, 피롤리딘, 2-피롤린, 3-피롤린, 이미다졸, 이미다졸리딘, 2-이미다졸린, 3-이미다졸린, 피라졸, 피라졸린, 2-피라졸린, 3-피라졸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인돌, 인돌린, 1H-인다졸의 위치 1, 아이소인돌 또는 아이소인돌린의 위치 2, 모르폴린의 위치 4, 및 카르바졸 또는 β-카르볼린의 위치 9에서 결합된다. 훨씬 더 전형적으로, 질소 결합된 헤테로사이클은 1-아지리딜, 1-아제테딜, 1-피롤릴, 1-이미다졸릴 1-피라졸릴, 및 1-피페리디닐을 포함한다.
"카르보사이클"은 최대 약 2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고리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카르보사이클은 모노사이클로서 약 3개 내지 7개의 탄소 원자, 바이사이클로서 약 7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폴리사이클로서 최대 약 2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모노사이클릭 카르보사이클은 3개 내지 6개의 고리 원자, 훨씬 더 전형적으로는 5개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바이사이클릭 카르보사이클은, 예를 들어 바이사이클로 [4,5], [5,5], [5,6] 또는 [6,6] 시스템으로서 배열된 7개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 또는 바이사이클로 [5,6] 또는 [6,6] 시스템으로서 배열된 9개 또는 1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용어 카르보사이클은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보사이클인"사이클로알킬"을 포함한다. 모노사이클릭 카르보사이클의 예에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1-사이클로펜트-1-에닐, 1-사이클로펜트-2-에닐, 1-사이클로펜트-3-에닐, 사이클로헥실, 1-사이클로헥스-1-에닐, 1-사이클로헥스-2-에닐, 1-사이클로헥스-3-에닐, 페닐, 스파이릴 및 나프틸이 포함된다.
용어 "카이랄"은 거울상 파트너가 서로 겹쳐질 수 없는 특성을 갖는 분자를 지칭하는 반면, 용어 "비카이랄"은 그들의 거울상 파트너 위에 겹쳐질 수 있는 분자를 지칭한다.
용어 "입체 이성질체"는, 동일한 화학 구성을 갖지만 공간에서의 원자들 또는 기들의 배열에 관하여 상이한 화합물들을 지칭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2개 이상의 카이랄성 중심을 갖고 분자들이 서로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질체들을 지칭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상이한 물성, 예를 들어, 녹는점, 끓는점, 스펙트럼 특성 및 반응성을 갖는다.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전기영동 및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고분해능 분석 절차 하에서 분리될 수 있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서로 겹쳐질 수 없는 거울상인 화합물의 2개의 입체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질환 또는 병태와 관련되어 있는 범위에서, 질환 또는 병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 질환 또는 병태를 억제하는 것, 질환 또는 병태를 제거하는 것 및/또는 질환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입체화학적 정의 및 규약은 일반적으로 문헌[S. P. Parker, Ed., McGraw-Hill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1984)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및 문헌[Eliel, E. and Wilen, S.,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1994)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을 따른다. 많은 유기 화합물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형태로 존재하며, 즉, 이들은 평면 편광의 평면을 회전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접두사 (D 및 L) 또는 (R 및 S)는 이의 카이랄 중심(들) 주위 분자의 절대 배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접두사 d 및 l 또는 (+) 및 (-)는 화합물에 의한 평면 편광의 회전의 부호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 또는 1은 화합물이 좌선성(levorotatory)임을 의미한다. (+) 또는 d의 접두사를 갖는 화합물은 우선성(dextrorotatory)이다. 소정의 화학 구조에 대해, 이들 입체 이성질체는 서로 거울상이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특정 입체 이성질체가 또한 거울상 이성질체로 지칭될 수 있으며, 상기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종종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로 불린다. 거울상 이성질체들의 50:50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로 지칭되며, 이는 화학 반응 또는 공정에서 입체선택 또는 입체 특이성이 없었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용어 "라세미 혼합물"및 "라세미체"는 광학 활성이 없는 2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종의 등몰 혼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케닐"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2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 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케닐옥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케닐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케닐옥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케닐옥시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콕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콕시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콕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콕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콕시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콕시카르보닐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카르보닐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알킬카르보닐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카르보닐옥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킬카르보닐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설파닐"은 황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설포닐"은 설포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릴"은 페닐기, 또는 고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페닐기인 바이사이클릭 융합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바이사이클릭 융합 고리 시스템은 4원 내지 6원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탄소환식 고리에 융합된 페닐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아릴기는 기의 임의의 치환가능한 탄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아릴기의 대표적인 예는 인다닐, 인데닐, 페닐, 나프틸, 페틸, 및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아릴기는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제2 아릴기, 아릴알콕시, 아릴알킬, 아릴카르보닐,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니트로, -NRXRY, -(NRXRY)알킬, 옥소, 및 -P(O)OR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여기서 각각의 R은 수소 및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아릴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의 알킬부는 비치환되고, 2차 아릴기, 아릴알킬의 아릴부, 아릴카르보닐의 아릴부,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의 헤테로사이클릴부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니트로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알케닐"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아릴기로 치환된 알케닐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알콕시"는 알콕시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알콕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아릴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알콕시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알콕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알콕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알콕시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아릴알킬의 알킬부는 알콕시, 알킬카르보닐옥시,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하이드록시, 및 -NRcRd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추가적인 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은 알콕시, 알킬, 비치환된 아릴, 비치환된 아릴알콕시, 비치환된 아릴알콕시카르보닐,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하이드록시, 및 -NRXRY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옥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옥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아릴옥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옥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옥시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설파닐"은 황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설포닐"은 설포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아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캡(Cap)"및"캡(cap)"은 말단 질소-함유 고리의 질소 원자 상에 배치된 기를 지칭한다. "캡(Cap)" 또는 "캡(cap)"은 기를 말단 질소-함유 고리 또는 최종 생성물 내의 단편에 부가하는 데 사용되는 시약을 지칭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보닐"은 -C(=O)-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복시"는 -CO2H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아노"는 -CN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아노알킬"은 적어도 하나의 -CN 치환체를 갖는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탄소수 3 내지 7 및 헤테로 원자 0을 갖는 포화된 모노사이클릭, 탄화수소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기의 대표적인 예에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이클로알킬기는 알콕시, 알킬, 아릴,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니트로, 및 -NRxRy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여기서 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하이드록시, 및 니트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알케닐"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사이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케닐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사이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알킬의 알킬부는 하이드록시 및 -NRcRd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옥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사이클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옥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사이클로알킬옥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설포닐"은 설포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사이클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르밀"은 -CHO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할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알콕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할로알콕시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알킬"은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알킬설파닐"은 황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할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원, 5원, 6원 또는 7원 고리를 지칭한다. 4원 고리는 0개의 이중 결합을 갖고, 5원 고리는 0개 내지 2개의 이중 결합을 갖고, 6원 및 7원 고리는 0개 내지 3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또한 헤테로사이클릴 고리가 다른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릴기, 또는 4원 내지 6원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탄소환식 고리에 융합되는 바이사이클릭기; 및 브릿지된 바이사이클릭기, 예컨대 7-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트-7-일, 2-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2-틸, 및 2-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소-3-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헤테로사이클릴기는 기의 임의의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릴기의 예에는 벤조티에닐, 푸릴, 이미다졸릴, 인돌리닐, 인돌릴, 아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모르폴리닐, 옥사졸릴,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피롤리디닐, 피롤로피리디닐, 피롤릴, 티아졸릴, 티에닐, 티오모르폴리닐, 7-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트-7-일, 2-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2-틸, 및 2-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3-틸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헤테로사이클릴기는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아릴, 아릴알킬, 아릴카르보닐,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2차 헤테로사이클릴기, 헤테로사이클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니트로, -NRXRY, -(NRXRY)알킬, 및 옥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여기서 아릴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의 알킬부는 비치환되고, 아릴, 아릴알킬의 아릴부, 아릴카르보닐의 아릴부, 2차 헤테로사이클릴기,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의 헤테로사이클릴부는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니트로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케닐"은 1개, 2개 또는 3개의 헤테로사이클릴기로 치환된 알케닐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콕시"는 알콕시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헤테로사이클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콕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헤테로사이클릴알콕시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헤테로사이클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의 알킬부는 알콕시, 알킬카르보닐옥시, 아릴,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하이드록시, 및 -NRcRd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추가적인 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여기서 아릴은 알콕시, 알킬, 비치환된 아릴, 비치환된 아릴알콕시, 비치환된 아릴알콕시카르보닐,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하이드록시, 및 -NRXRY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헤테로사이클릴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헤테로사이클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옥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헤테로사이클릴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옥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헤테로사이클릴옥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옥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록시"는 -OH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록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록시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하이드록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니트로"는 -NO2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aRb"는 2개의 기, 즉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되는 Ra 및 Rb를 지칭한다.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케닐, 및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aRb)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NRaRb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aRb)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NRaRb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cRd"는 2개의 기, 즉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Rc 및 Rd를 지칭한다. Rc 및 Rd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케닐옥시카르보닐, 알콕시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알킬설포닐, 아릴, 아릴알콕시카르보닐, 아릴알킬, 아릴알킬카르보닐, 아릴카르보닐, 아릴옥시카르보닐, 아릴설포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설포닐, 포르밀, 할로알콕시카르보닐,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콕시카르보닐, 헤테로사이클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카르보닐,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 헤테로사이클릴옥시카르보닐, 하이드록시알킬카르보닐, (NReRf)알킬, (NReRf)알킬카르보닐, (NReRf)카르보닐 (NReRf)설포닐, -C(NCN)OR', 및-C(NCN)NRXRY이며, 여기서 R'는 알킬 및 비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아릴알킬, 아릴알킬카르보닐,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카르보닐의 알킬부는 하나의 -NReRf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여기서 아릴과 아릴알콕시카르보닐, 아릴알킬, 아릴알킬카르보닐, 아릴카르보닐, 아릴옥시카르보닐의 아릴부, 및 아릴설포닐,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사이클릴알콕시카르보닐, 헤테로사이클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카르보닐,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의 헤테로사이클릴부, 및 헤테로사이클릴옥시카르보닐은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니트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cRd)알케닐"은 1개, 2개 또는 3개의 -NRcRd기로 치환된 알케닐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cRd)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NRcRd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NRcRd)알킬의 알킬부는 알콕시, 알콕시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알킬설파닐, 아릴알콕시알킬카르보닐, 카르복시,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카르보닐, 하이드록시, 및 (NReRf)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추가적인 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며,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은 알콕시, 알킬, 시아노, 할로,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및 니트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치환기로 추가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cRd)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NRcRd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eRf"는 2개의 기, 즉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Re 및 Rf를 지칭한다. Re 및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비치환된 아릴, 비치환된 아릴알킬,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사이클로알킬)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알킬, -(NRXRY)알킬, 및 -(NRXRY)카르보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eRf)알킬"은1개, 2개 또는 3개의 -NReRf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eRf)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NReRf)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eRf)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NReRf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eRf)설포닐"은 설포닐기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NReRf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XRY"는 2개의 기, 즉 질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RX 및 RY를 지칭한다. RX 및 RY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콕시카르보닐, 알킬, 알킬카르보닐, 비치환된 아릴, 비치환된 아릴알콕시카르보닐, 비치환된 아릴알킬,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및 (NRX'RY')카르보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서 RX' 및 RY'는 수소 및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NRXRY)알킬"은1개, 2개 또는 3개의 -NRXRY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옥소"는 =O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설포닐"은 -SO2-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라이알킬실릴"은 -SiR3을 지칭하며, 여기서 R은 알킬이다. R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라이알킬실릴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트라이알킬실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라이알킬실릴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모 분자 부분에 부착된 트라이알킬실릴알킬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라이알킬실릴알콕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의 트라이알킬실릴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전구약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구약물"은 생물학적 시스템에 투여될 때 지카 바이러스 활성("활성 억제성 화합물")을 억제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화합물은 (i) 자발적 화학 반응(들), (ii) 효소 촉매화된 화학 반응(들), (iii) 광분해, 및/또는 (iv) 대사 화학 반응(들)의 결과로서 전구약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전구약물 부분"은 대사 중, 조직적으로, 세포 내부에서, 가수분해, 효소적 절단 또는 일부 다른 과정에 의해 활성 억제 화합물로부터 분리되는 불안정한 작용기를 지칭한다(문헌[Bundgaard, Hans,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in 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1991), P. Krogsgaard-Larsen and H. Bundgaard, Ed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pp. 113-191]). 본 발명의 전구약물 화합물과 함께 효소 활성화 메커니즘이 가능한 효소는 아미데이스, 에스터레이스, 미생물 효소, 포스포라이페이스, 콜린에스터레이스, 및 포스페이스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구약물 부분은 약물 전달, 생체이용률 및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용해도, 흡수 및 친유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구약물 부분은 활성 대사물 또는 약물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전구약물 부분은 가수분해적으로 민감하거나 불안정한 아실옥시메틸 에스테르 -CH2OC(=O)R99 및 아실옥시메틸 카르보네이트 -CH2OC(=O)OR99를 포함하며, 여기서 R99는 C1-C6 알킬, C1-C6 치환된 알킬, C6-C20 아릴 또는 C6-C20 치환된 아릴이다.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는 카르복실산에 대한 전구약물 전략으로 처음 사용된 후, 하기 문헌에 의해 포스페이트 및 포스포네이트에 적용되었다(문헌[Farquhar et al. (1983) J. Pharm. Sci., 72(324)]: 또한 미국 특허 제4816570호, 제4968788호, 제5663159호 및 제5792756호). 이어서,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세포막을 가로질러 포스폰산을 전달하고 경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 알콕시카르보닐옥시알킬 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가까운 변이체는 또한 본 발명의 조합의 화합물에서 전구약물 부분으로서 경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아실옥시메틸 에스테르는 피발로일옥시메톡시, (POM) -CH2OC(=O)C(CH3)3이다. 예시적인 아실옥시메틸 카르보네이트 전구약물 부분은 피발로일옥시메틸카르보네이트 (POC) -CH2OC(=O)OC(CH3)3이다.
인기의 아릴 에스테르, 특히 페닐 에스테르는 경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다(문헌[De Lombaert et al. (1994) J. Med. Chem. 37: 498]). 인산염에 카르복실 에스테르 오르토를 함유하는 페닐 에스테르 또한 기재되어 있다(문헌[Khamnei and Torrence, (1996) J. Med. Chem. 39:4109-4115]) 벤질 에스테르는 모 포스폰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일부 경우에, 오르토- 또는파라 - 위치의 치환기는 가수분해를 가속화할 수 있다. 아실화 페놀 또는 알킬화 페놀을 갖는 벤질 유사체는 효소, 예를 들어 에스터레이스, 산화효소 등의 작용을 통해 페놀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벤질계 C-O 결합에서 절단되어 인산 및 퀴논 메티드 중간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전구약물 부류의 예는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문헌[Mitchell et al. (1992) J. Chem. Soc. Perkin Trans. II 2345]; 문헌[Glazier WO 91/19721]). 벤질계 메틸렌에 부착된 카르복실계 에스테르-함유 기를 함유하는 또 다른 벤질계 전구약물이 기재되어 있다(문헌[Glazier WO 91/19721]). 티오-함유 전구약물은 포스포네이트 약물의 세포내 전달에 유용한 것으로 보고된다. 이러한 프로에스테르는 티올기가 아실기로 에스테르화되거나 다른 티올기와 조합되어 디설파이드를 형성하는 에틸티오기를 함유한다. 디설파이드의 탈에스테르화 또는 환원은 유리 티오 중간체를 생성하고, 이후 인산 및 에피설파이드로 분해된다(문헌[Puech et al. (1993) Antiviral Res., 22: 155-174; Benzaria et al. (1996) J. Med. Chem. 39: 4958]).
보호기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보호기는 전구약물 부분 및 화학적 보호기를 포함한다.
"보호기"는 작용기의 특성 또는 전체로서의 화합물의 특성을 차폐하거나 변경시키는 화합물의 부분을 지칭한다. 화학 보호기 및 보호/탈보호를 위한 전략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Theodora W. Green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1]을 참조한다. 보호기는, 예를 들어 순서화되고 계획된 방식으로 화학 결합을 형성하고 파괴하는 원하는 화학 반응의 효율을 돕기 위해 소정의 작용기의 반응성을 차폐하는 데 종종 이용된다. 화합물의 작용기의 보호는 보호된 작용기의 반응성 외에도 다른 물리적 특성, 예컨대 극성, 친유성(소수성), 및 일반적인 분석 도구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다른 특성을 변경시킨다. 화학적으로 보호된 중간체는 그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활성이거나 불활성일 수 있다.
보호된 화합물은 또한 시험관내(in vitro) 및 생체내(in vivo)에서 변경된, 그리고 일부 경우에는, 최적화된 특성, 예컨대 세포막을 통한 통과 및 효소 분해 또는 격리에 대한 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역할에서, 의도된 치료 효과를 갖는 보호된 화합물이 전구약물로 지칭될 수 있다. 보호기의 다른 기능은 모 약물을 전구약물로 전환시키는 것이며, 이에 의해 모 약물은 생체내에서 전구약물의 전환 시에 방출된다. 활성 전구약물은 모 약물보다 더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전구약물은 모 약물보다 생체내에서 더 큰 효력(potency)을 가질 수 있다. 보호기는, 화학 중간체의 경우에는 시험관내에서, 또는 전구약물의 경우에는 생체내에서 제거된다. 화학 중간체의 경우, 탈보호 후에 발생되는 생성물, 예를 들어 알코올이 생리학적으로 허용된다는 것이 특별히 중요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생성물이 약리학적으로 무해하다면 더 바람직하다.
보호기가 이용가능하며,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사용되며, 선택적으로 합성 절차, 즉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로 또는 방법 동안 보호기와의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렇게 할 때, 보호할 기에 대한 결정과 화학적 보호기"PG"의 특성은 대부분 보호할 반응의 화학적 성질(예를 들어, 산성, 염기성, 산화성, 환원성 또는 다른 조건)과 합성의 의도된 방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PG는 상기 화합물이 다수의 PG로 치환된 경우에는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동일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PG는 카르복실, 하이드록실, 티오 또는 아미노기와 같은 작용기를 보호하고 이에 따라 부반응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 외에 합성 효율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유리 탈보호된 기를 수득하기 위한 탈보호의 순서는 합성 방향 및 직면하는 반응 조건에 따라 좌우되며, 당업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순서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다양한 작용기가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H기에 대한 보호기(하이드록실, 카르복실산, 포스폰산, 또는 다른 기능이든)는"에테르- 또는 에스테르-형성기"를 포함한다. 에테르-또는 에스테르-형성기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합성 반응식에서 화학적 보호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하이드록실 및 티오 보호기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형성기가 아니며, 하기에 논의된 아미드와 함께 포함된다.
매우 많은 수의 하이드록실 보호기 및 아미드-형성기 및 상응하는 화학적 절단 반응은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eodora W. Green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1, ISBN 0-471-62301-6) ("Greene")]. 또한 문헌[Kocienski, Philip J.; Protecting Groups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New York, 1994)]을 참조하며, 이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히 [Chapter 1, Protecting Groups: An Overview, pages 1-20, Chapter 2, Hydroxyl Protecting Groups, pages 21-94, Chapter 3, Diol Protecting Groups, pages 95-117, Chapter 4, Carboxyl Protecting Groups, pages 118-154, Chapter 5, Carbonyl Protecting Groups, pages 155-184.]을 참조한다. 카르복실산, 포스폰산, 포스포네이트, 설폰산 및 산에 대한 다른 보호기를 위한 보호기의 경우,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Greene을 참조한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R1, R3, RA1, RA3, 및 XA는 특정 구현예에서 재귀적 치환체이다. 전형적으로, 이들 각각은 소정의 구현예에서 독립적으로 20회, 19회, 18회, 17회, 16회, 15회, 14회, 13회, 12회, 11회, 10회, 9회, 8회, 7회, 6회, 5회, 4회, 3회, 2회, 1회, 또는 0회 발생할 수 있다. 더 전형적으로는, 이들 각각은 주어진 구현예에서 독립적으로 12회 이하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이 하나 초과의 동일한 지정된 기, 예를 들어 "R1" 또는 "R3"로 치환될 때마다, 기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을, 즉 각 기는 독립적으로 선택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물결선은 인접한 그룹, 부분, 또는 원자에 대한 공유 결합 부착 부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단리되고 정제된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단리 및 정제"란 화합물이 생물학적 물질(예를 들어, 혈액, 조직, 세포 등)로부터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특정 구현예에서,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결합체가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적어도 약 50wt.%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결합체가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적어도 약 75wt.%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결합체가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적어도 약 90wt.%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결합체가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적어도 약 98wt.%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결합체가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적어도 약 99wt.%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합성적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결합체를 제공한다(예를 들어, 생체외).
입체이성질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카이랄 중심, 예를 들어 카이랄 탄소 또는 인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회전장애 이성질체를 포함한 모든 입체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의 또는 모든 비대칭 카이랄 원자에서 풍부화되거나 분할된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도식으로부터 명백한 카이랄 중심은 카이랄 이성질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로서 제공된다. 라세미 혼합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둘 모두뿐만 아니라, 이의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 파트너가 실질적으로 없는 단리되거나 합성된 개별 광학 이성질체 모두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라세미 혼합물은,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활성인 보조제,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활성인 물질로 다시 전환시키는 것에 뒤따르는 산 또는 염기로 형성된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들을 분리하는 것과 같은 잘 알려진 기법을 통해 그들의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순수한 개별 이성질체로 분리된다. 대부분의 경우, 원하는 광학 이성질체는 원하는 개시 물질의 적절한 입체 이성질체로 시작하여 입체특이적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소정의 경우에 호변 이성질체성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비편재화된 공명 구조만이 도시되어 있을 수 있지만, 모든 이러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퓨린, 피리미딘, 이미다졸, 구아니딘, 아미딘, 및 테트라졸 시스템에 대해 엔-아민 호변 이성질체가 존재할 수 있고, 이의 모든 가능한 호변 이성질체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염 및 수화물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에는 적절한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알칼리 토금속(예를 들면, 마그네슘), 암모늄 및 NX4 +(여기서, X는 C1-C4 알킬임)로부터 유도되는 염이 포함된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수소 원자 또는 아미노기의 염은 아세트산, 벤조산, 젖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말론산, 말산, 이세티온산, 젖산 및 숙신산과 같은 유기 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고;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및 p-톨루엔설폰산과 같은 유기 설폰산의 염을 포함하고; 염산, 황산, 인산 및 설팜산과 같은 무기산의 염을 포함한다. 하이드록시기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Na+ 및 NX4 +(여기서, X는 H 또는 C1-C4 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됨)와 같은 적합한 양이온과 조합된 상기 화합물의 음이온을 포함한다.
치료적 용도를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 성분들의 염은 전형적으로 생리학적으로 허용될 것이며, 즉, 이들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되는 염일 것이다. 그러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산 또는 염기의 염이, 예를 들어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화합물의 제조 또는 정제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되든 그렇지 않든 간에 모든 염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금속염은 전형적으로 금속 수산화물과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조된 금속염의 예는 Li+, Na+ 및 K+를 함유하는 염이다. 용해도가 낮은 금속염은 적합한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여 용해도가 높은 염 용액으로부터 침전될 수 있다.
또한, 염은 특정 유기 및 무기산, 예를 들어, HCl, HBr, H2SO4, H3PO4 또는 유기 설폰산의 산 부가물로부터 염기성 중심, 통상적으로 아민 또는 산성기로 생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이온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쯔비터이온성 형태, 및 수화물로서의 화학량론적 양의 물과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갖는 모 화합물의 염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또한 포함된다. 아미노산은 전형적으로 라이신, 아르기닌 또는 글루탐산같은 염기성 또는 산성기, 또는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알라닌, 이소류신, 또는 류신같은 중성기를 갖는 측쇄를 갖지만,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중 임의의 것이 적합하며, 특히 단백질 성분으로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아미노산이 적합하다.
지카 바이러스의 억제 방법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 지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시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의 활성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지카 바이러스의 억제제로서, 이러한 억제제의 중간체로서 작용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른 유용성을 가질 수 있다.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간의 표면 또는 공동 내의 위치에 결합할 것이다. 간에서 결합하는 화합물은 다양한 정도의 가역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비가역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이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이상적인 후보이다. 일단 표지가 되면, 실질적으로 비가역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은 지카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프로브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카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시료에서 NS3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표지에 결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지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시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시료가 표지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합한 표지는 진단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안정한 자유 라디칼, 형광단, 방사성 동위원소, 효소, 화학발광기 및 색원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화합물은 하이드록실 또는 아미노와 같은 작용기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표지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검출 가능한 표지를 포함하거나 이에 결합되거나 연결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지카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시료는 천연 또는 인조 물질, 예컨대 살아있는 유기체; 조직 또는 세포 배양; 생물학적 시료, 예컨대 생물학적 물질 시료(혈액, 혈청, 소변, 뇌척수액, 눈물, 가래, 타액, 조직 시료 등); 실험실 시료; 식품, 물, 또는 공기 시료; 부산물 시료, 예컨대 세포, 특히 원하는 당단백질을 합성하는 재조합 세포의 추출물 등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시료는 지카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것으로 의심될 것이다. 시료는 물 및 유기 용매/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배지 중에 함유될 수 있다. 시료는 살아있는 유기체, 예컨대 인간, 및 인조 물질, 예컨대 세포 배양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처리 단계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시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조성물의 전구체를 시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가 단계는 전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투여 방법을 포함한다.
원한다면, 화합물의 적용 후 지카 바이러스의 활성은 지카 바이러스 활성을 검출하는 직접적 및 간접적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지카 바이러스 활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정량적, 정성적 및 반정량적 방법이 모두 고려된다. 전형적으로, 전술된 스크리닝 방법들 중 하나가 적용되지만, 살아있는 유기체의 생리학적 특성의 관찰과 같은 임의의 다른 방법 또한 적용할 수 있다.
많은 유기체는 지카 바이러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동물에서 또는 인간에서 지카 바이러스 활성화와 관련된 조건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그러나, 지카 바이러스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선별할 때 효소 분석 결과가 세포 배양 분석 결과와 항상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세포 기반 검정이 전형적으로 1차 스크리닝 도구여야 한다.
약제학적 제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관행에 따라 선택될 통상적인 담체 및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형화된다. 정제는 부형제, 활택제(glidant), 충전제, 결합제 등을 함유할 것이다. 수성 제제는 멸균 형태로 제조되고, 경구 투여 이외의 것에 의해 전달되도록 의도된 경우 일반적으로 등장성일 것이다. 모든 제형은 선택적으로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1986)]에 제시된 것들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것이다. 부형제는 아스코르브산 및 다른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예컨대 EDTA, 탄수화물, 예컨대 덱스트란,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메틸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한다. 제형의 pH는 약 3 내지 약 11의 범위이지만, 통상적으로 약 7 내지 10이다.
활성 성분이 단독으로 투여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것을 약제학적 제형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사용 및 인간 사용 둘 다를 위한 제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선택적으로 다른 치료 성분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다. 담체(들)는 제제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고, 이의 수용자에게 생리학적으로 무해하다는 의미에서 "허용 가능"해야 한다.
제제는 전술한 투여 경로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다. 제형은 편의상 단위 투여 형태(unit dosage form)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기법 및 제제는 전반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방법은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을 구성하는 담체와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제는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둘 모두와 균일하게 그리고 친밀하게 회합되게 하고, 이어서 필요하다면, 생성물을 형상화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제는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각각 함유하는 캡슐, 카세제 또는 정제와 같은 별개의 단위로서;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또는 수중유형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형 액체 에멀젼으로서 제시된다. 활성 성분은 또한 볼루스(bolus), 연약(electuary) 또는 페이스트로서 투여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압축 정제는, 선택적으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방부제, 표면 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 형태의 활성 성분을 적합한 기계에서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성형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적신 분말형 활성 성분의 혼합물을 적절한 기계에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코팅되거나 스코어링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그로부터의 활성 성분의 지속 방출 또는 제어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된다.
눈 또는 다른 외부 조직, 예를 들어, 입 및 피부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0.075% w/w 내지 20% w/w 양의 활성 성분(들)(0.6% w/w, 0.7% w/w 등과 같은 0.1% w/w의 증분의 0.1% 내지 20%의 범위의 활성 성분(들)을 포함함), 바람직하게는 0.2% w/w 내지 15%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w/w 내지 10% w/w의 양의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국소 연고 또는 크림으로서 적용된다. 연고 형태로 제형화되는 경우, 활성 성분은 파라핀계 또는 수혼화성 연고 베이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은 수중유 크림 베이스를 사용하여 크림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크림 베이스의 수성 상은 예를 들어, 적어도 30% w/w의 다가 알코올, 즉,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알코올,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1,3-다이올,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400을 포함함)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또는 다른 이환된 영역을 통한 활성 성분의 흡수 또는 침투를 향상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진피 침투 향상제의 예에는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및 관련 유사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에멀젼의 유성 상은 알려진 방식으로 알려진 성분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은 단지 에멀젼화제(달리 에멀젼트(emulgent)로 알려짐)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에멀젼화제와 지방 또는 오일의 또는 지방 및 오일 둘 모두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에멀젼화제가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친유성 에멀젼화제와 함께 포함된다. 오일 및 지방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종합하면, 안정화제(들)와 함께 또는 이것 없이 에멀젼화제(들)는 이른바 에멀젼화 왁스를 구성하고, 오일 및 지방과 함께 왁스는 크림 제제의 유성 분산상을 형성하는 이른바 에멀젼화 연고 베이스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멀젼트 및 에멀젼화 안정화제는 Tween® 60, Span® 8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벤질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제제에 적합한 오일 또는 지방의 선택은 원하는 미용 특성의 달성에 기초한다. 크림은 바람직하게는 튜브나 다른 용기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농도를 유지하며, 기름기가 없고 얼룩이 지지 않으며 세척가능한 제품이어야 한다. 직쇄 또는 분지쇄, 일염기성 또는 이염기성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디-이소아디페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코코넛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Crodamol CAP로 알려진 분지쇄 에스테르의 블렌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마지막 3개가 바람직한 에스테르이다. 이들은 필요한 특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융점 지질, 예컨대 백색 연질 파라핀 및/또는 액체 파라핀 또는 다른 광유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치료제와 함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는 의도된 투여 방법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경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 로젠지, 수성 또는 오일 현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가 제조될 수 있다. 경구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그러한 조성물은 맛좋은 제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방부제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가 허용된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 락토스, 락토스 일수화물,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포비돈,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컨대 셀룰로오스, 미결정성 셀룰로오스,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탤크일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거나, 위장관에서의 붕해 및 흡착을 지연시킴으로써 더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된 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미세캡슐화를 포함한 알려진 기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지연 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가 단독으로 또는 왁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제제는 또한 활성 성분이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어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된 경질 젤라틴 캡슐로서, 또는 활성 성분이 물 또는 오일 매질, 예컨대 땅콩유,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혼합된 연질 젤라틴 캡슐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현탁액은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된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현탁제,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검 트래거캔스 및 검 아카시아,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컨대 자연 발생 포스파티드(예를 들어, 레시틴), 알킬렌 옥사이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와 장쇄 지방족 알코올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방부제, 예컨대 에틸 또는 n-프로필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향미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또는 코코넛유에, 또는 경유, 예컨대 액체 파라핀에 활성 성분을 현탁시킴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현탁액은 증점제, 예컨대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 예컨대 상기에 기재된 것들, 및 향미제가 첨가되어 맛좋은 경구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의 첨가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물의 첨가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분산성 분말 및 과립은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화제, 및 하나 이상의 방부제와 혼합된 활성 성분을 제공한다.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는 상기에 개시된 것들에 의해 예시된다. 추가의 부형제, 예를 들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유성 상은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또는 땅콩유, 또는 경유, 예컨대 액체 파라핀,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에멀젼화제는 천연 발생 검, 예컨대 아카시아 검 및 트래거캔스 검, 천연 발생 포스파티드, 예컨대 대두 레시틴, 지방산과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되는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이들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및 향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컨대 글리세롤,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오스를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또한 점활제(demulcent), 방부제, 향미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제제, 예컨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지성(oleaginous)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상기에 언급된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알려진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1,3-부탄-다이올 중의 용액과 같은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거나, 동결건조된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불휘발유가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합성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다이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자극성 불휘발유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이 마찬가지로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단회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 및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변동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인간 경구 투여용 서방성 제제는 전체 조성물 중 약 5 내지 약 95%(중량:중량)로 변할 수 있는 적절하고 편리한 양의 담체 물질과 배합되는 약 1 내지 1000mg의 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 용이하게 측정가능한 양을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용 수용액은 약 30mL/hr의 속도로 적합한 부피의 주입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액 1밀리리터당 약 3 내지 500 ㎍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눈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제는 활성 성분이 적절한 담체, 특히 활성 성분용 수성 용매에 용해되거나 현탁된 점안제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유리하게는 0.5% 내지 10% 특히 약 1.5% w/w의 농도로 이러한 제제에 존재한다.
입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제는 착향 베이스, 통상적으로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 중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로젠지; 불활성 베이스,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 중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향정; 및 적절한 액체 담체 중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를 포함한다.
직장 투여용 제제는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절한 베이스를 함유하는 좌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폐내 또는 비강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예를 들어 0.1미크론 내지 500미크론(0.5미크론, 1미크론, 30미크론, 35미크론 등과 같이 0.1미크론 내지 500미크론의 증분 미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를 포함)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이는 폐포낭(alveolar sac)에 도달하도록 비도(nasal passage)를 통한 신속한 흡입에 의해 또는 입을 통한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적절한 제제는 활성 성분의 수용액 또는 유성 용액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또는 건조 분말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른 치료제, 예컨대 지금까지 지카 바이러스 활성과 관련된 병태의 치료 또는 예방에 지금까지 사용된 화합물과 같은 다른 치료제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질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활성 성분에 더불어 당업계에서 적절한 것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담체를 함유하는 페서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폼 또는 스프레이 제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및 제제를 의도된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으로 만드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 용액; 및 현탁화제와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탁액을 포함한다.
제제는 단위-용량 또는 다회-용량 용기, 예를 들어 밀봉 앰플 및 바이알로 제공되며, 냉동-건조된(동결건조된) 상태로 저장되어, 사용 직전에 단지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 증류수의 첨가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상기 기재된 종류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된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제제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활성 성분의 일일 용량 또는 단위 일일 하위용량, 또는 이의 적절한 분율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상기에 특별히 언급된 성분들에 더불어 본 발명의 제제는 대상이 되는 제제의 유형과 관련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다른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투여에 적합한 것들은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 성분을 이를 위한 수의학적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수의학적 담체는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해 유용한 물질이며, 그렇지 않으면 수의학 분야에서 불활성이거나 허용가능하고, 활성 성분과 상용성인 고체, 액체 또는 가스상 물질일 수 있다. 이들 수의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되거나, 임의의 다른 원하는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활성 성분의 제어된 방출을 제공하여 덜 빈번한 투약을 허용하도록 또는 활성 성분의 약동학적 또는 독성 프로파일을 개선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지속 또는 제어된 방출을 위해 제형화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활성 성분의 유효 용량은 적어도 치료 중인 병태의 성질, 독성, 화합물이 예방적으로(더 적은 용량)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전달 방법, 및 약학적 제제에 의존하며, 통상적인 용량 점증 연구를 사용하여 임상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투여 경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본 명세서에서는 활성 성분으로 지칭됨)은 치료하려는 질환에 적절한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된다. 적합한 경로는 경구, 직장, 비강, 국소(협측 및 설하 포함), 경피, 질 및 비경구(피하, 근육내, 정맥내, 피내, 경막내 및 경막외 포함)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경로는 예를 들어 수용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이점은 이들이 경구로 생체이용가능하고 경구 투여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약어 및 두문자어 목록
실시예 절차 및 화합물 실시예
절차 1 실시예 24
메틸 ((S)-1-((2S,5S)-2-(4-클로로-5-(2-((2S,5S)-5-메틸-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4,4,4-트라이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2-(2-(9-((( 2S,4S )-1-( tert - 부톡시카르보닐 )-4- 메틸피롤리딘 -2-카르보닐) 옥시 )-8-옥소-8,9,10,11-테트라하이드로-5H-다이벤조[c,g]크로멘-3-일)-2-옥소에틸) 1-(tert-부틸) (2S,5S)-5-메틸피롤리딘-1,2-다이카르복실레이트
THF(100mL) 중 9-브로모-3-(2-브로모아세틸)-10,11-다이하이드로-5H-다이벤조[c,g]크로멘-8(9H)-온(5g, 11.11mmol), (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6.37g, 27.77mmol), 및 탄산세슘(4.52g, 13.89mmol)의 현탁액을 40도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75mL의 EtOAc 및 60mL의 물로 하였다. 갈색 용액을 분할하였다. 50mL의 1N HCl을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EtOAc 2x 40mL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ES/MS: 746.7 (M+).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4,5,11-테트라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톨루엔(100mL) 및 아이소프로판올(10mL) 중 2-(2-(9-(((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메틸피롤리딘-2-카르보닐)옥시)-8-옥소-8,9,10,11-테트라하이드로-5H-다이벤조[c,g]크로멘-3-일)-2-옥소에틸) 1-(tert-부틸) (2s,5s)-5-메틸피롤리딘-1,2-다이카르복실레이트(8.3g, 11.11mmol) 및 암모늄 아세테이트(17.12g, 222.16mmol)의 현탁액을 90도 o/n으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분할하였다. 수성층을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30mL의 MeOH로 500mL rb로 옮겼다. 5g의 셀라이트(Celite), 25mL의 염수를 첨가하고, 13mL의 6N NaOH(~6eq)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였다. 톨루엔 및 IPA(50mL)로 헹구었다. 분리된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정상 SiO-2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DCM)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한다.
ES/MS: 707.3 (M+).
1H NMR(400 ㎒, 클로로포름-d) δ 10.57(d, J = 106.4 ㎐, 2H), 7.88 - 7.39(m, 5H), 6.75(s, 1H), 5.13(d, J = 10.6 ㎐, 3H), 5.07 - 4.80(m, 3H), 3.96(s, 4H), 3.02(s, 3H), 2.86(s, 6H), 2.03(s, 12H), 1.99 - 1.73(m, 4H), 1.50(d, J = 5.3 ㎐, 31H), 1.30 - 1.04(m, 15H).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DCM(60mL) 중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4,5,11-테트라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4.51g, 6.38mmol)의 용액에, 이산화망간(16.63g, 191.32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4일 동안, 공기에 개방된 상태에서 교반하였다. 150mL의 DCM 및 30g의 셀라이트를 첨가하였다.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였다. 농축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ES/MS: 705.3 (M+).
1H NMR(400 ㎒, 클로로포름-d) δ 8.24(s, 1H), 7.74(d, J = 90.6 ㎐, 8H), 5.25(d, J = 35.1 ㎐, 5H), 4.99(d, J = 7.4 ㎐, 2H), 4.00(s, 4H), 2.42 - 2.09(m, 7H), 1.89(s, 3H), 1.52(d, J = 10.1 ㎐, 38H), 1.14(d, J = 68.3 ㎐, 17H).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클로로-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MeOH(40mL) 중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999.3mg, 1.418mmol)의 현탁액에, AcOH(0.05ml, 0.873mmol) 및 n-클로로석신이미드(208.9mg, 1.564mmol)를 첨가하였다. 오렌지색 용액을 실온 o/n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정상 SiO-2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DCM)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한다.
ES/MS: 739.2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43(s, 1H), 7.79(d, J = 8.4 ㎐, 1H), 7.72(d, J = 8.9 ㎐, 1H), 7.60(s, 1H), 5.48(s, 4H), 5.23(s, 2H), 5.10(s, 3H), 4.09(q, J = 7.1 ㎐, 1H), 4.02(s, 1H), 2.68(s, 1H), 2.38(s, 2H), 2.24(s, 4H), 2.00(s, 1H), 1.77(s, 2H), 1.48(d, J = 5.5 ㎐, 5H), 1.41(d, J = 6.4 ㎐, 4H), 1.32(s, 16H), 1.23(t, J = 7.1 ㎐, 1H).
메틸 ((S)-1-((2S,5S)-2-(4-클로로-5-(2-((2S,5S)-5-메틸-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4,4,4-트라이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DCM(4mL) 및 MeOH(1mL) 중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클로로-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50.1mg, 0.068mmol)의 용액에, 4M 염산(다이옥산 중 4M)(0.475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동안 40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농축 건조시켰다.
DMF(1.5mL) 중 염산 염(41.47mg, 0.068mmol), moc-트라이플루오로-L-tert-류신(34.6mg, 0.142mmol), 및 HATU(55.5mg, 0.146mmol)의 용액에,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120μl, 0.689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 o/n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도까지 냉각하고, 0.2mL의 TFA를 첨가하였다.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비스-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989.4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58(d, J = 2.4 ㎐, 1H), 8.11(t, J = 7.8 ㎐, 1H), 8.02 - 7.80(m, 3H), 7.69 - 7.57(m, 3H), 7.48(dd, J = 26.1, 11.1 ㎐, 1H), 5.33 - 5.20(m, 4H), 5.01 - 4.92(m, 1H), 4.78 - 4.57(m, 2H), 3.68(d, J = 8.1 ㎐, 5H), 3.57(s, 1H), 3.28(s, 1H), 2.61 - 2.24(m, 5H), 2.20 - 1.98(m, 2H), 1.92(dd, J = 12.4, 6.4 ㎐, 1H), 1.66(d, J = 6.6 ㎐, 3H), 1.56(d, J = 6.6 ㎐, 3H), 1.51 - 1.35(m, 1H), 1.40 - 1.27(m, 5H), 1.24(q, J = 7.7, 7.3 ㎐, 7H), 1.08(d, J = 7.3 ㎐, 5H).
절차 2 실시예 10
메틸 ((S)-2-((2S,5S)-2-(4-브로모-5-(2-((2S,5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탄올(1mL) 중 메틸 ((S)-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80.0mg, 0.0834mmol), n-브로모석신이미드(18.0mg, 0.101mmol), 및 아세트산(2.5mg, 0.0417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1038.9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59(dd, J = 8.4, 3.5 ㎐, 1H), 8.16 - 7.97(m, 2H), 7.94 - 7.76(m, 2H), 7.70 - 7.57(m, 2H), 5.29(dt, J = 11.1, 5.3 ㎐, 3H), 5.00(dd, J = 9.9, 7.6 ㎐, 1H), 4.81 - 4.67(m, 1H), 4.42 - 4.02(m, 4H), 3.79(d, J = 8.9 ㎐, 0H), 3.71 - 3.58(m, 5H), 3.52(q, J = 14.0, 10.4 ㎐, 1H), 2.90 - 2.74(m, 1H), 2.68 - 1.84(m, 7H), 1.80 - 1.34(m, 8H), 1.33 - 1.02(m, 13H), 1.00 - 0.82(m, 3H).
절차 3 실시예 33
메틸 ((S)-1-((2S,5S)-2-(4-플루오로-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DCM(8mL) 및 MeOH(2mL) 중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100.1mg, 0.142mmol)의 용액에, 4M 염산(다이옥산 중 4M)(1.0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40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농축 건조시켰다.
DMF(2.0mL) 중 염산 염(82.02mg, 0.142mmol), Moc-L-발린(52.8mg, 0.301mmol), 및 HATU(113.4mg, 0.298mmol)의 용액에,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250μl, 1.435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 o/n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도까지 냉각하고 0.2mL의 TFA를 첨가하였다.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비스-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ES/MS: 819.5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33(t, J = 14.8 ㎐, 2H), 8.10(s, 1H), 8.00 - 7.86(m, 2H), 7.74 - 7.55(m, 4H), 7.51(s, 2H), 7.34(d, J = 7.0 ㎐, 1H), 5.60(s, 1H), 5.37(s, 2H), 5.29 - 5.04(m, 7H), 4.74(dt, J = 13.7, 6.9 ㎐, 1H), 4.24(dq, J = 20.0, 7.1 ㎐, 2H), 4.16 - 4.02(m, 3H), 3.88(s, 2H), 3.73 - 3.60(m, 8H), 2.33(dt, J = 13.6, 7.3 ㎐, 1H), 2.19 - 1.99(m, 2H), 2.00(s, 2H), 1.97(s, 2H), 1.56(d, J = 6.6 ㎐, 3H), 1.48(d, J = 6.6 ㎐, 4H), 1.32 - 1.18(m, 4H), 1.10(s, 19H), 1.08 - 0.90(m, 13H), 0.86(s, 1H), 0.84(s, 8H).
메틸 ((S)-1-((2S,5S)-2-(4-플루오로-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DCM/아세톤(각각 1mL) 중 메틸 ((S)-1-((2S,5S)-2-(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61.8mg, 0.075mmol) 및 NaHCO3(9.9mg, 0.228mmol)의 슬러리(slurry)에, N-플루오로벤젠설폰이미드(26.18mg, 0.083mmol)를 첨가하였다. 1.5시간 동안 40도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도까지 냉각하고, 10 액적의 TFA를 첨가하였다.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비스-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837.4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58(d, J = 9.8 ㎐, 1H), 8.21(d, J = 4.8 ㎐, 0H), 8.06(dd, J = 19.4, 8.2 ㎐, 2H), 7.90(d, J = 12.6 ㎐, 1H), 7.70 - 7.58(m, 2H), 7.47(s, 1H), 5.87(s, 0H), 5.39(d, J = 6.8 ㎐, 0H), 5.28(d, J = 6.1 ㎐, 3H), 4.32(s, 0H), 4.22(d, J = 8.0 ㎐, 1H), 4.14(d, J = 8.9 ㎐, 1H), 4.05(d, J = 9.4 ㎐, 1H), 3.79(s, 2H), 3.66(d, J = 6.4 ㎐, 4H), 2.81(s, 0H), 2.69(d, J = 9.4 ㎐, 0H), 2.65 - 2.55(m, 1H), 2.40(s, 3H), 2.39 - 2.24(m, 1H), 2.17 - 2.07(m, 0H), 2.08 - 1.88(m, 2H), 1.63(d, J = 6.8 ㎐, 3H), 1.50(d, J = 6.6 ㎐, 2H), 1.27(d, J = 6.4 ㎐, 1H), 1.19(d, J = 6.3 ㎐, 1H), 1.05(dd, J = 26.3, 6.7 ㎐, 4H), 0.95(t, J = 7.2 ㎐, 4H), 0.85(dd, J = 6.8, 3.3 ㎐, 4H), 0.09(d, J = 2.2 ㎐, 0H).
절차 4 실시예 31
메틸 ((S)-1-((2S,5S)-2-(4-브로모-5-(2-((2S,5S)-5-메틸-1-(프로피오닐-L-발릴)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tert-부틸 (2S,5S)-2-(9-(4-브로모-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도에서 DCM(20mL) 중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500.3mg, 0.710mmol)의 슬러리에, N-브로모석신이미드(138.9mg, 0.780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정상 SiO-2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한다.
ES/MS: 785.2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43(s, 0H), 8.06(d, J = 8.3 ㎐, 0H), 7.96(s, 1H), 7.79(d, J = 8.2 ㎐, 0H), 7.72(d, J = 8.9 ㎐, 0H), 7.58(d, J = 15.7 ㎐, 1H), 5.23(s, 1H), 5.09(s, 1H), 4.09(q, J = 7.1 ㎐, 3H), 3.34(s, 2H), 2.67(s, 1H), 2.38(s, 0H), 2.24(s, 1H), 2.25 - 2.17(m, 0H), 2.00(s, 4H), 1.76(s, 1H), 1.44(dd, J = 29.0, 6.4 ㎐, 3H), 1.36 - 1.19(m, 16H), 0.93 - 0.82(m, 2H).
메틸 ((S)-1-((2S,5S)-2-(4-브로모-5-(2-((2S,5S)-5-메틸-1-(프로피오닐-L-발릴)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DCM(4mL) 및 MeOH(1mL) 중 tert-부틸 (2S,5S)-2-(9-(4-브로모-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32.6mg, 0.042mmol)의 용액에, 4M 염산(다이옥산 중 4M)(0.300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시간 동안 40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농축 건조시켰다. 하기 단계에 넘어가면 100% 수율을 가정한다.
DMF(1.5mL) 중 염산 염(27.30mg, 0.045mmol), Moc-L-발린(17.9mg, 0.095mmol), 및 HATU(36.4mg, 0.096mmol)의 용액에,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80μl, 0.459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 o/n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도까지 냉각하고, 0.2mL의 TFA를 첨가하였다.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비스-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899.3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62(d, J = 6.0 ㎐, 1H), 8.15 - 7.96(m, 3H), 7.92 - 7.83(m, 1H), 7.67(s, 1H), 7.71 - 7.59(m, 1H), 5.31(d, J = 4.3 ㎐, 3H), 5.05 - 4.96(m, 1H), 4.23(dd, J = 12.8, 5.7 ㎐, 1H), 4.21 - 4.11(m, 1H), 4.07(d, J = 9.4 ㎐, 1H), 3.79(d, J = 4.4 ㎐, 1H), 3.72 - 3.63(m, 6H), 2.79(s, 1H), 2.68 - 2.55(m, 1H), 2.45(s, 3H), 2.34(dtt, J = 20.5, 13.0, 6.2 ㎐, 2H), 2.20 - 2.04(m, 1H), 2.04(s, 3H), 1.94(ddd, J = 18.5, 11.3, 4.9 ㎐, 2H), 1.63(d, J = 6.7 ㎐, 3H), 1.51(d, J = 6.7 ㎐, 2H), 1.28(d, J = 6.2 ㎐, 1H), 1.20(d, J = 6.2 ㎐, 2H), 1.12 - 0.91(m, 10H), 0.89 - 0.82(m, 5H).
절차 5 실시예 43
메틸 ((S)-1-((2S,5S)-2-(4-아이소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프로프-1-엔-2-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다이옥산(12.8mL) 및 물(6.4mL) 중 tert-부틸 (2S,5S)-2-(9-(4-브로모-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323.1mg, 0.412mmol), 아이소프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 95%(310μl, 1.649mmol), 팔라듐 아세테이트(9.5mg, 0.042mmol), 부틸다이-1-아다만틸포스핀 최소 95%(29.8mg, 0.083mmol) 및 탄산칼륨(228.9mg, 1.656mmol)의 용액을 10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한 다음 100도 o/n으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정상 SiO-2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DCM)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한다.
ES/MS: 745.5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39(s, 1H), 7.97(d, J = 8.1 ㎐, 1H), 7.84(s, 1H), 7.69(d, J = 8.8 ㎐, 1H), 7.62 - 7.52(m, 2H), 7.42(s, 1H), 5.19(s, 2H), 4.87(s, 5H), 4.80(s, 1H), 4.09(q, J = 7.1 ㎐, 2H), 4.01(s, 1H), 2.37(s, 1H), 2.25(s, 4H), 2.26 - 2.09(m, 1H), 2.01(d, J = 7.2 ㎐, 4H), 1.78 - 1.69(m, 2H), 1.44(dd, J = 27.3, 6.2 ㎐, 6H), 1.37 - 1.30(m, 17H), 1.29 - 1.16(m, 2H).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아이소프로필-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EtOH(15mL) 중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프로프-1-엔-2-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266.1mg, 344μmol)의 용액을 Ar/Vac 3x로 탈기하였다. Pd/C(10%, 19mg, 17.85μmol)를 첨가하여 수소 풍선으로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 플러그로 여과하고, DCM으로 헹구었다. 농축하여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넘어간다
ES/MS: 747.3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40(s, 1H), 8.01(d, J = 8.2 ㎐, 1H), 7.92(s, 1H), 7.70(d, J = 8.9 ㎐, 1H), 7.60 - 7.51(m, 2H), 7.36(d, J = 1.5 ㎐, 1H), 5.21(s, 2H), 5.07(s, 1H), 4.09(s, 1H), 4.02(s, 1H), 3.60(q, J = 7.0 ㎐, 5H), 3.27(t, J = 6.8 ㎐, 0H), 2.37(d, J = 7.8 ㎐, 1H), 2.29(s, 2H), 2.21(s, 2H), 2.26 - 2.05(m, 1H), 1.45(dd, J = 23.7, 6.3 ㎐, 6H), 1.36 - 1.22(m, 7H), 1.17(t, J = 7.1 ㎐, 10H).
메틸 ((S)-1-((2S,5S)-2-(4-아이소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DCM(4mL) 및 MeOH(1mL) 중 tert-부틸 (2S,5S)-2-(5-(2-((2S,5S)-1-(tert-부톡시카르보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아이소프로필-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50.6mg, 0.068mmol)의 용액에, 4M 염산(다이옥산 중 4M)(0.5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시간 동안 40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농축 건조하였다.
DMF(1.5mL) 중 염산 염(41.98mg, 0.068mmol), Moc-L-발린(25.2mg, 0.144mmol), 및 HATU(54.4 mg, 0.143 mmol)의 용액에,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120μl, 0.684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 o/n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도까지 냉각하고, 0.2mL의 TFA를 첨가하였다.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비스-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861.5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62(d, J = 11.4 ㎐, 1H), 8.26 - 8.18(m, 1H), 8.04 - 7.91(m, 2H), 7.67(d, J = 8.8 ㎐, 1H), 7.66 - 7.54(m, 1H), 7.42(d, J = 5.5 ㎐, 1H), 5.36 - 5.24(m, 3H), 5.08(dd, J = 10.9, 6.8 ㎐, 1H), 4.28(dd, J = 22.6, 8.0 ㎐, 1H), 4.17 - 4.05(m, 2H), 3.79(s, 1H), 3.73 - 3.63(m, 5H), 2.86(d, J = 12.5 ㎐, 0H), 2.54(ddt, J = 32.9, 11.8, 6.3 ㎐, 2H), 2.41 - 2.31(m, 1H), 2.32(s, 3H), 2.09 - 1.89(m, 3H), 1.59(dd, J = 23.3, 6.6 ㎐, 5H), 1.48 - 1.32(m, 6H), 1.24(dd, J = 8.5, 6.3 ㎐, 2H), 1.13 - 0.81(m, 13H).
절차 6 실시예 9
메틸 ((S)-2-((2S,5S)-2-(4-클로로-5-(2-((2S,5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탄올(1mL) 중 메틸 ((S)-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2S,5S)-2-(5-(2-((2S,5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40.0mg, 0.0417mmol), n-클로로석신이미드(6.1mg, 0.0459mmol), 및 아세트산(1.25mg, 0.0209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993.6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65 - 8.47(m, 1H), 8.12 - 7.93(m, 2H), 7.88 - 7.71(m, 2H), 7.69 - 7.55(m, 2H), 5.42(d, J = 6.4 ㎐, 0H), 5.36 - 5.18(m, 3H), 5.06 - 4.91(m, 1H), 4.38 - 4.05(m, 4H), 3.86 - 3.73(m, 1H), 3.67(dd, J = 15.4, 9.2 ㎐, 6H), 3.59 - 3.39(m, 1H), 2.71 - 1.99(m, 5H), 1.90(dd, J = 12.4, 6.3 ㎐, 1H), 1.83 - 1.49(m, 7H), 1.43(td, J = 13.3, 6.2 ㎐, 1H), 1.28(d, J = 6.1 ㎐, 2H), 1.19(dd, J = 6.6, 4.1 ㎐, 3H), 1.14 - 1.04(m, 6H), 1.00 - 0.81(m, 3H).
절차 7 실시예 18
메틸 ((2S,3S)-1-((2S,4S)-2-(4-사이클로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알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4-(메톡시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톨루엔/물(20/1v/v, 2mL) 중 메틸 ((2S,3S)-1-((2S,4S)-2-(4-브로모-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4-(메톡시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40mg, 0.0425mmol), 사이클로프로필보론산(5.5mg, 0.0637mmol), 팔라듐 아세테이트 (0.667mg, 0.0030mmol), 트라이사이클로헥실포스핀(2.38mg, 0.0085mmol) 및 인산칼륨(27mg, 0.127mmol)의 혼합물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물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잔여물을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903.5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64(d, J = 5.9 ㎐, 1H), 8.30 - 8.18(m, 1H), 8.01(dd, J = 12.4, 9.0 ㎐, 1H), 7.92(s, 1H), 7.84 - 7.76(m, 1H), 7.75 - 7.57(m, 2H), 5.38 - 5.25(m, 3H), 5.15(dd, J = 10.8, 7.2 ㎐, 1H), 4.45 - 4.07(m, 3H), 3.80(s, 1H), 3.72 - 3.45(m, 8H), 3.40(s, 3H), 3.30 - 3.24(m, 10H), 2.85 - 2.72(m, 1H), 2.61(dd, J = 12.9, 6.9 ㎐, 2H), 2.51 - 2.26(m, 2H), 2.24 - 1.87(m, 2H), 1.77(s, 1H), 1.62(d, J = 6.6 ㎐, 2H), 1.48(d, J = 11.7 ㎐, 1H), 1.31 - 1.01(m, 6H), 1.01 - 0.79(m, 10H), 0.82 - 0.69(m, 2H).
절차 8 실시예 16
메틸 ((2S,3S)-1-((2S,4S)-2-(4-시아노-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4-(메톡시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다이메틸아세트아미드(0.3mL) 중 메틸 ((2S,3S)-1-((2S,4S)-2-(4-브로모-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4-(메톡시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15mg, 0.0159mmol), Pd(dppf)Cl2(1.17mg, 0.00159mmol), Zn 분말(0.521mg, 0.00796mmol), 및 Zn(CN)2(5.61mg, 0.0478mmol)의 혼합물을 2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파로 180도에서 15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RP-HPLC(용리액: 물/MeCN *0.1% TFA)로 정제하여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ES/MS: 889.4 (M+).
1H NMR(400 ㎒, 메탄올-d4) δ 8.58(s, 1H), 8.35 - 8.07(m, 2H), 8.07 - 7.79(m, 3H), 7.77 - 7.49(m, 2H), 5.28(d, J = 11.9 ㎐, 3H), 5.07(t, J = 8.7 ㎐, 1H), 4.46 - 4.03(m, 4H), 3.79(s, 1H), 3.72 - 3.35(m, 12H), 2.93 - 2.22(m, 4H), 2.16 - 1.89(m, 3H), 1.86 - 1.37(m, 4H), 1.32 - 0.63(m, 16H).
화합물 표
하기 화합물을 적절한 출발 물질(들) 및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호기 화학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그리고 [표 1]에 나타난 실시예 및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1]
1HNMR
양성자 NMR 데이터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표 3]
생물학적 검정
Huh7 세포에 대한 ZIKV 리포터 바이러스-기반 항바이러스 스크리닝에 대한 프로토콜
1. 세포
인간 간세포-유래 암종 세포주(Huh7)
2. 시약
ViviRen™ 생존 셀 기질(Promega, Cat# E6492) 또는 Nano Glo 검정 시스템(Progema: N1130)
백색 불투명 96-웰 TC 처리 마이크로플레이트(Corning, Cat# 3916)
96-웰 투명 V-하부 TC 처리 마이크로플레이트(Corning, Cat# 3894)
완전 세포 배양 배지: 10% FBS(HyClone, Cat# SH30071.03IH25-40)로 보충한 DMEM(Gibco, Cat# 10569) + 1% MEM 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100x(Gibco, Cat# 11140050) +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00U/mL)(Gibco, Cat# 15140122).
검정 배지: 2% FBS, 2% GlutaMAX™ 보충물(Gibco Cat# 35050061), 1% 피루브산나트륨 용액(Gibco Cat# 11360070), 1% MEM 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100x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00U/mL)으로 보충한 DMEM 배지(Gibco, Cat# 31053028).
트립신-EDTA 용액(Gibco, Cat# 25200056)
3. 바이러스
Renilla 루시퍼라제 유전자(FSS-Rlu 균주) 또는 Nano 루시퍼라제 유전자(PRV-Nano, Dakar-Nano 균주)를 갖는 재조합 ZIKV 균주
4. 기구
BioTek Cytation 5 또는 화학발광 검출 모델을 위한 다른 플레이트-판독기.
Eppendorf 플레이트 원심분리기
플레이트 진탕기
Eppendorf 다중 채널 피펫
절차
1일: 세포의 제조
인간 간세포-유래 암종 세포주(Huh7) 세포를 트립신-EDTA 용액을 사용하여 T-175 플라스크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멸균 50-ml 원추형 튜브에서 완전 배양 배지에 현탁하였다.
50-ml 원추형 튜브를 실온에서 3분 동안 1200x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세포를 검정 배지에 재현탁하였다. 세포수를 계수하고 세포를 3×105세포/ml의 밀도로 희석하였다.
세포를 백색 불투명 96-웰 플레이트(검정 플레이트)에 웰당 50μl 세포씩 도말하였다. 세포가 플레이트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부드럽게 진탕한다.
도말된 세포를 가습된 인큐베이터(5% CO2와 함께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2일: 감염
1) 9번(2배 또는 3배) 농축 화합물을 투명 V-바닥 96-웰 플레이트(화합물 플레이트)에서 90% DMSO 용액 및 DMSO 대조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4일: 루시퍼라제 신호를 판독함
7) ViviRen™ 생존 세포 기질을 검정 배지에서 3000x 배수 희석하였다. 25μl의 희석된 기질을 검정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Nano-Glo 검정 시스템의 경우, 50μl의 희석된 기질(검정 완충액에서 스톡으로부터 50× 배수 희석)을 첨가하였다.
8)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9) 최적으로, 세포 생존율은 Promega Cell-titer Glo 키트(ZIKV-Rlu가 감염에 사용된 경우에만 사용됨)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10) 루시퍼라제 신호를 120 내지 150의 이득값(gain value)으로 Cytation 5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데이터 분석
a. DMSO-처리군(미처리 대조군)으로부터의 루시퍼라제 신호를 100%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희석 처리군으로부터 대조군의 것으로 루시퍼라제 신호를 정규화함으로써 상대 루시퍼라제 신호를 얻었다.
b. 상대 루시퍼라제 신호(Y축)를 소프트웨어 GraphPad Prism 8에서 화합물 농도(X축)의 log10 값으로 플롯팅하고, 곡선을 비선형 회귀 모델(log(억제제) vs. 반응 -- 가변 기울기(4개의 파라미터)로 하단 0 및 상단 100으로 제약됨)을 사용하여 적합하게 하였다.
c. EC50 값은 하기에 보고되어 있다.
ZIKV에 대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생물학적 검정을 수행하였다. [표 3]에 요약된 바와 같이, 시험 화합물은 ZIKV의 억제제이다.
ZIKV에 대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생물학적 검정을 수행하였다. [표 4]에 요약된 바와 같이, 시험 화합물은 ZIKV의 억제제이다.
[표 4]
전술한 특정 구현예의 설명은 당업자의 기술 내의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과도한 실험 없이, 다른 사람들이 이러한 특정 실시 형태를 쉽게 수정 및/또는 조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성을 완전히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조정 및 수정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교시 및 안내에 기초하여 개시된 구현예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어법 또는 용어는 제한이 아닌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용어 또는 어법은 교시 및 안내에 비추어 숙련자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I)로서,
    여기서,
    R1은 할로, C1-10 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이고;
    P1a 및 P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V1a 및 V1b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 및
    E1a 및 E1b는 각각 독립적으로 -N(H)(C1-6 알콕시카르보닐), N(H)(C3-12 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 N(H)(C1-6 알킬카르보닐), 또는 -N(H)(C3-12 사이클로알콕시카르보닐)이고;
    P1a이고 V1a 및 V1b가 모두 일 때, R1은 할로, C1-10 알킬, C4-7 사이클로알킬, 또는 시아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인,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할로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은 클로로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1a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1a 및 V1b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1a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1a, 그리고 P1b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1a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P1a 및 P1b는 둘 모두 인, 화합물.
  10.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메틸 ((S)-1-((2S,5S)-2-(5-(2-((2S,5S)-1-(O-(tert-부틸)-N-(메톡시카르보닐)-L-트레오닐)-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클로로-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S)-6-(4-클로로-5-(2-((S)-5-((메톡시카르보닐)-L-발릴)-5-아자스피로[2.4]헵탄-6-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아자스피로[2.4]헵탄-5-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S)-1-((S)-6-(4-클로로-5-(2-((S)-5-((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5-아자스피로[2.4]헵탄-6-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아자스피로[2.4]헵탄-5-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S)-6-(4-클로로-5-(2-((S)-5-((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5-아자스피로[2.4]헵탄-6-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아자스피로[2.4]헵탄-5-일)-4,4,4-트라이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클로로-2-((2S,4S)-1-(N-(메톡시카르보닐)-O-메틸-L-트레오닐)-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클로로-2-((2S,4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아세틸)-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클로로-2-((2S,4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브로모-2-((2S,4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2-((2S,5S)-2-(9-(4-클로로-2-((2S,5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S)-2-((2S,5S)-2-(9-(4-브로모-2-((2S,5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S)-2-((2S,5S)-2-(9-(4-사이클로프로필-2-((2S,5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S)-2-((2S,5S)-2-(9-(4-클로로-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에틸피롤리딘-1-일)-2-옥소-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시아노-2-((2S,4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클로로-2-((2S,4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2-((2S,5S)-2-(9-(4-클로로-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2-옥소-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시아노-2-((2S,4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브로모-2-((2S,4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사이클로프로필-2-((2S,4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클로로-2-((2S,4S)-1-((메톡시카르보닐)-L-알로아이소류실)-4-(메톡시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클로로-2-((2S,4S)-4-(메톡시메틸)-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클로로-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S)-1-((2S,5S)-2-(4-클로로-5-(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클로로-5-(2-((2S,5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클로로-5-(2-((2S,5S)-5-메틸-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4,4,4-트라이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R)-1-((2S,5S)-2-(4-클로로-5-(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알로아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S)-2-(4-클로로-5-(2-((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S)-1-((S)-2-(4-클로로-5-(2-((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R)-1-((S)-2-(4-클로로-5-(2-((S)-1-((메톡시카르보닐)-L-알로아이소류실)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S)-2-(4-클로로-5-(2-((S)-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4,4,4-트라이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S)-2-(4-클로로-5-(2-((S)-1-((S)-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피롤리딘-1-일)-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브로모-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클로로-5-(2-((2S,5S)-1-((S)-4-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4-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9-(4-플루오로-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H-이미다졸-5-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3aS,6aS)-2-(4-클로로-5-(2-((2S,3aS,6a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옥타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S)-1-((2S,3aS,6aS)-2-(4-클로로-5-(2-((2S,3aS,6a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옥타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1(2H)-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2-((2S,3aS,6aS)-2-(4-클로로-5-(2-((2S,3aS,6aS)-1-((S)-2-((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옥타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1(2H)-일)-1-((2R,6R)-2,6-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3aS,6aS)-2-(4-클로로-5-(2-((2S,3aS,6aS)-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옥타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헥사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피롤-1(2H)-일)-4,4,4-트라이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사이클로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S)-1-((2S,5S)-2-(4-사이클로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R)-1-((2S,5S)-2-(4-사이클로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알로아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사이클로프로필-5-(2-((2S,5S)-5-메틸-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4,4,4-트라이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사이클로프로필-5-(2-((2S,5S)-1-((S)-4-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4-플루오로-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1-((2S,5S)-2-(4-아이소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발릴)-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S)-1-((2S,5S)-2-(4-아이소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아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S)-4,4,4-트라이플루오로-1-((2S,5S)-2-(4-아이소프로필-5-(2-((2S,5S)-5-메틸-1-((S)-4,4,4-트라이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메틸 ((2S,3R)-1-((2S,5S)-2-(4-아이소프로필-5-(2-((2S,5S)-1-((메톡시카르보닐)-L-알로아이소류실)-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메틸-1-옥소펜탄-2-일)카르바메이트; 및
    메틸 ((S)-4-플루오로-1-((2S,5S)-2-(5-(2-((2S,5S)-1-((S)-4-플루오로-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다이메틸부타노일)-5-메틸피롤리딘-2-일)-1,11-다이하이드로이소크로멘노[4',3':6,7]나프토[1,2-d]이미다졸-9-일)-4-아이소프로필-1H-이미다졸-2-일)-5-메틸피롤리딘-1-일)-3,3-다이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1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지카 바이러스로 감염된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제1항 내지 제11항의 화합물 또는 제12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제1항 내지 제11항의 화합물, 또는 제12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11항의 화합물 또는 제12항의 조성물의 용도.
  16. 지카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제12항의 조성물의 용도.
KR1020237043933A 2021-05-21 2022-05-19 지카 바이러스 저해제로서의 펜타사이클릭 유도체 Pending KR20240012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91678P 2021-05-21 2021-05-21
US63/191,678 2021-05-21
PCT/US2022/030104 WO2022246109A1 (en) 2021-05-21 2022-05-19 Pentacyclic derivatives as zika virus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476A true KR20240012476A (ko) 2024-01-29

Family

ID=8230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933A Pending KR20240012476A (ko) 2021-05-21 2022-05-19 지카 바이러스 저해제로서의 펜타사이클릭 유도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2037340B2 (ko)
EP (1) EP4341266A1 (ko)
JP (1) JP2024519910A (ko)
KR (1) KR20240012476A (ko)
CN (1) CN117460734A (ko)
AU (1) AU2022279234A1 (ko)
CA (1) CA3220903A1 (ko)
WO (1) WO20222461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570A (en) 1982-11-30 1989-03-28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Biologically reversible phosphate and phosphonate protective groups
US4968788A (en) 1986-04-04 1990-11-0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Biologically reversible phosphate and phosphonate protective gruops
ATE131825T1 (de) 1990-06-13 1996-01-15 Arnold Glazier Phosphorylierte prodrugs
DE69129650T2 (de) 1990-09-14 1999-03-25 Institute Of Organic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The Academy Of Sciences Of The Czech Republic, Prag/Praha Wirkstoffvorläufer von Phosphonaten
US8143288B2 (en) 2005-06-06 2012-03-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US7659270B2 (en) 2006-08-11 2010-02-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03944B2 (en) 2006-08-11 2012-11-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29159B2 (en) 2006-08-11 2012-12-1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759495B2 (en) 2006-08-11 2010-07-2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964580B2 (en) 2007-03-30 2011-06-21 Pharmasset, Inc. Nucleoside phosphoramidate prodrugs
US7741347B2 (en) 2007-05-17 2010-06-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JPWO2008156094A1 (ja) 2007-06-19 2010-08-26 杏林製薬株式会社 ピリダジノ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pde阻害剤
US7728027B2 (en) 2007-08-08 2010-06-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synthesizing compounds useful for treating hepatitis C
US8629171B2 (en) 2007-08-08 2014-01-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rystalline form of methyl ((1S)-1-((25)-2-(5-(4'-(2-((25)-1((2S)-2-((methoxycarbonyl)amino)-3-methylbutanoyl)-2-pyrrolidinyl)-1H-imidazol-2-yl)-1-pyrrolidinyl)carbonyl)-2-methylpropyl)carbamate dihydrochloride salt
AU2008350327B2 (en) 2008-02-12 2013-09-1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147818B2 (en) 2008-02-13 2012-04-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MX2010008863A (es) 2008-02-13 2010-09-07 Bristol Myers Squibb Co Imidazolil-bifenil-imidazoles como inhibidores del virus de la hepatisis c.
US7704992B2 (en) 2008-02-13 2010-04-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MX2011000060A (es) 2008-07-10 2011-02-22 Prosidion Ltd Agonistas del receptor acoplado a la proteina g piperidinilo.
US7906655B2 (en) 2008-08-07 2011-03-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83094B2 (en) 2008-10-01 2013-02-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0062821A1 (en) 2008-11-28 2010-06-03 Glaxosmithkline Llc Anti-viral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2373168A4 (en) 2008-12-03 2012-08-01 Presidio Pharmaceuticals Inc HCV NS5A SHEMMER
AU2009322393B2 (en) 2008-12-03 2017-02-02 Presidio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HCV NS5A
EP2393359A4 (en) 2009-02-09 2012-10-03 Enanta Pharm Inc COMPOUND DIBENZIMIDAZOLE DERIVATIVES
TWI438200B (zh) 2009-02-17 2014-05-21 必治妥美雅史谷比公司 C型肝炎病毒抑制劑
WO2010096462A1 (en) 2009-02-17 2010-08-26 Enanta Pharmaceuticals, Inc Linked diimidazole derivatives
WO2010094977A1 (en) 2009-02-23 2010-08-26 Arrow Therapeutics Limited Novel biphenyl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EP2398474A4 (en) 2009-02-23 2012-12-05 Presidio Pharmaceuticals Inc HCV NS5A SHEMMER
CA2753382C (en) 2009-02-27 2014-12-23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0108140A1 (en) 2009-03-20 2010-09-23 Alios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 and nucleotide analogs
KR20110131312A (ko) 2009-03-27 2011-12-06 프레시디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융합된 고리 c형 간염 억제제
US8709999B2 (en) 2009-03-27 2014-04-29 Presidio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icyclic HCV inhibitors
ES2573088T3 (es) 2009-03-27 2016-06-06 Merck Sharp & Dohme Corp. Inhibidores de la replicación del virus de la hepatitis C
US8796466B2 (en) 2009-03-30 2014-08-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TWI476190B (zh) 2009-03-30 2015-03-11 必治妥美雅史谷比公司 C型肝炎病毒抑制劑
TW201038559A (en) 2009-04-09 2010-11-01 Bristol Myers Squibb Co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143414B2 (en) 2009-04-13 2012-03-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0120935A1 (en) 2009-04-15 2010-10-21 Abbott Laboratories Anti-viral compounds
US8436036B2 (en) 2009-04-24 2013-05-07 Janssen R&D Ireland Diaryl ethers
EP2430015B1 (en) 2009-05-12 2015-06-17 Merck Sharp & Dohme Corp. Fused tricyclic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viral diseases
SG10201402280QA (en) 2009-05-13 2014-08-28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JP2012528194A (ja) 2009-05-29 2012-11-12 メルク・シャープ・アンド・ドーム・コーポレーション C型肝炎などの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3つの整列型アリール部分で構成された抗菌性化合物
AU2010253791A1 (en) 2009-05-29 2011-11-24 Merck Sharp & Dohme Corp. Antiviral compounds composed of three linked Aryl moieties to treat diseases such as Hepatitis C
US8211928B2 (en) 2009-05-29 2012-07-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138215B2 (en) 2009-05-29 2012-03-2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MY186633A (en) 2009-06-11 2021-07-31 Abbvie Bahamas Ltd Heterocyclic compounds as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hcv)
WO2010148006A1 (en) 2009-06-16 2010-12-23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221737B2 (en) 2009-06-16 2012-07-17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004276A1 (en) 2009-07-06 2011-01-13 Pfizer Limited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IN2012DN00999A (ko) 2009-07-16 2015-04-10 Vertex Pharma
AU2010280712B2 (en) 2009-08-07 2015-10-22 Janssen Sciences Ireland Uc Bis-benzimidazole derivatives as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9045463B2 (en) 2009-08-07 2015-06-02 Janssen R&D Ireland Phenyl ethynyl derivatives as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FR2949465B1 (fr) 2009-09-01 2011-08-12 Pf Medicament Derives chromo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therapeutiques
CA2772484A1 (en) 2009-09-03 2011-03-10 Tibotec Pharmaceuticals Bis-benzimidazole derivatives
CN102480971B (zh) 2009-09-04 2014-11-26 杨森制药公司 化合物
WO2011031934A1 (en) 2009-09-11 2011-03-17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031904A1 (en) 2009-09-11 2011-03-17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415374B2 (en) 2009-10-12 2013-04-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s of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050146A1 (en) 2009-10-23 2011-04-28 Glaxosmithkline Llc Chemical compounds
UA108211C2 (uk) 2009-11-04 2015-04-10 Янссен Рід Айрленд Бензімідазолімідазольні похідні
US20110274648A1 (en) 2009-11-11 2011-11-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10269956A1 (en) 2009-11-11 2011-11-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10281910A1 (en) 2009-11-12 2011-1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JP2013512246A (ja) 2009-11-25 2013-04-11 メルク・シャープ・アンド・ドーム・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イルス疾患治療に有用な縮合型三環式化合物およびその誘導体
US20110137633A1 (en) 2009-12-03 2011-06-09 Abbott Laboratories Anti-viral compounds and methods of identifying the same
WO2011081918A1 (en) 2009-12-14 2011-07-07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77980B2 (en) 2009-12-16 2013-02-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62068B2 (en) 2009-12-18 2013-01-29 Idenix Pharmaceuticals, Inc. 5,5-fused arylene or heteroarylene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075607A1 (en) 2009-12-18 2011-06-23 Intermune, Inc. Novel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CA2785488A1 (en) 2009-12-22 2011-07-21 Merck Sharp & Dohme Corp. Fused tricycl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viral diseases
KR20120130173A (ko) 2009-12-24 2012-11-29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유사체들
US8362020B2 (en) 2009-12-30 2013-01-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091446A1 (en) 2010-01-22 2011-07-28 Glaxosmithkline Llc Chemical compounds
PE20130062A1 (es) 2010-03-09 2013-02-28 Merck Sharp & Dohme Compuestos de sililo triciclicos fusionad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virales
US20110312996A1 (en) 2010-05-17 2011-12-22 Intermune, Inc. Novel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WO2011146817A1 (en) 2010-05-21 2011-11-24 Gilead Sciences, Inc. Heterocyclic flaviviridae virus inhibitors
UY33445A (es) 2010-06-10 2012-01-31 Gilead Sciences Inc Un régimen de dosificación, métodos para tratar el virus de la hepatitis c, composición farmacéutica, compuesta, compuestos anti-hcv y kit
US8859595B2 (en) 2010-08-26 2014-10-14 Rfs Pharma, Llc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JP2013538831A (ja) 2010-09-29 2013-10-17 メルク・シャープ・エンド・ドーム・コーポレイション C型肝炎ウィルス感染治療のための四環式インドール誘導体
WO2012048421A1 (en) 2010-10-14 2012-04-1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compounds
ES2634095T3 (es) * 2010-11-17 2017-09-26 Gilead Sciences, Inc. Compuestos antivíricos
EP2654900A1 (en) 2010-12-20 2013-10-30 Gilead Sciences, Inc. Combinations for treating hcv
WO2012087976A2 (en) 2010-12-21 2012-06-28 Intermune, Inc. Novel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HUE036588T2 (hu) 2011-09-16 2018-07-30 Gilead Pharmasset Llc Eljárások HCV kezelésére
SI3431477T1 (sl) 2011-11-16 2021-01-29 Gilead Pharmasset Llc Kondenzirani imidazolilimidazoli kot protivirusne spojine
US20130309196A1 (en) 2012-05-16 2013-11-21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US8969588B2 (en) 2012-06-05 2015-03-03 Gilead Pharmasset Llc Solid forms of an antiviral compound
US8841340B2 (en) 2012-08-17 2014-09-23 Gilead Sciences, Inc. Solid forms of an antiviral compound
US9233974B2 (en) * 2012-12-21 2016-01-12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CA2951147A1 (en) 2014-06-12 2015-12-17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US20180015153A1 (en) * 2016-07-16 2018-01-18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flavivirus infection
US11466020B2 (en) 2017-03-17 2022-10-11 Cornell University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on and elimination of Zika infection and uses for same
WO2020210428A1 (en) * 2019-04-09 2020-10-15 Baylor College Of Medicine Novel inhibitors of flavivirus proteas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zika, dengue and other flavivirus infections
CN117321059A (zh) 2021-05-21 2023-12-29 吉利德科学公司 用于治疗寨卡病毒感染的四环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037340B2 (en) 2024-07-16
AU2022279234A1 (en) 2023-12-07
CA3220903A1 (en) 2022-11-24
CN117460734A (zh) 2024-01-26
EP4341266A1 (en) 2024-03-27
WO2022246109A1 (en) 2022-11-24
US20220411434A1 (en) 2022-12-29
JP2024519910A (ja) 202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2751B2 (ja) Aza−ペプチドプロテアーゼ阻害剤
JP6408656B2 (ja) 抗ウイルス化合物、hcv ns5bの阻害剤
ES2646131T3 (es) Compuestos antivirales
JP5878171B2 (ja) 抗ウイルス剤としてのピラゾロ[1,5−a]ピリミジン
JP5465667B2 (ja) 抗ウイルス化合物
DK2094702T3 (en) viral inhibitors
JP5599611B2 (ja) 抗ウイルス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
EA030941B1 (ru) Противовирусные соединения
JP2013541519A (ja) 抗ウイルス治療用の2’−フルオロ置換カルバヌクレオシド類似体
WO2012027712A2 (en)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JP2016520537A (ja) 新規のウイルス複製阻害剤
KR20100041798A (ko) 신규 hiv 역전사효소 억제제
JP2007515495A (ja) 4’−置換カルボビル誘導体およびアバカビル誘導体ならびにhivおよびhcv抗ウイルス活性を有する関連化合物
US11453688B2 (en) Phosphorus imidazoquinoline amine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rapeutic methods thereof
KR20240012476A (ko) 지카 바이러스 저해제로서의 펜타사이클릭 유도체
JP2024519086A (ja) ジカウイルス感染症の治療のための四環系化合物
WO2017076201A1 (zh) Hcv抑制剂、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5059245A1 (en) Substituted oxoisoindolinyl piperidine-2,6-dione compounds
AU2015243078A1 (en) Antiviral compounds
AU2013202666A1 (en) Antiviral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