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09105A -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105A
KR20240009105A KR1020220086209A KR20220086209A KR20240009105A KR 20240009105 A KR20240009105 A KR 20240009105A KR 1020220086209 A KR1020220086209 A KR 1020220086209A KR 20220086209 A KR20220086209 A KR 20220086209A KR 20240009105 A KR20240009105 A KR 2024000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loor
building
panel unit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섭
Original Assignee
이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섭 filed Critical 이한섭
Priority to KR102022008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105A/ko
Publication of KR2024000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10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 바닥들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의 바닥 매입형 설치를 가능케 하고, 이 과정에서 해당 건축물의 층고 저하 현상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비용 소모가 저비용으로 경제적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은 상면의 중심에서 직교되는 한 쌍의 수평배선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사각 패널의 형태이고, 상기 수평배선홈들은 각각 길이 방향의 양단이 배선용 패널유닛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배선홈 및 상기 수평배선홈에 배선된 케이블을 가리도록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Panel unit for cable wiring of building floor and floor structure for cable wiring of buil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 내 바닥들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의 바닥 매입형 설치를 가능케 하고, 이 과정에서 해당 건축물의 층고 저하 현상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비용 소모가 저비용으로 경제적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건축물의 바닥들은 각종 사무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선 및 통신선의 보다 용이한 배선을 위해 이중 바닥구조가 적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러한 이중 바닥구조에 대해 “액세스 플로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즉, 액세스 플로어는 정보화 시대에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사무공간 확보를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 바닥의 상부에 낮게는 20㎝에서부터 높게는 50~60㎝까지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띄워 다른 바닥재를 얹은 뒤 그 사이에 전기선, 통신선 등 케이블들을 몰아 넣는 이중 바닥재 마감 방식이다.
부연 설명하면, 액세스 플로어는 건축물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바닥층 상부에 별도의 바닥패널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구를 통해 소정의 높이로 지지시켜 배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콘크리트 바닥층 및 별도의 바닥패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전선 및 통신선 등 케이블들이 배선됨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이 완료된 바닥면 상부로 배선이 노출되는 데 따른 여러 난점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액세스 플로어는 그 바닥패널이 콘크리트 바닥층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사무기기, 사람의 하중을 지탱해야 하므로 일정 수준의 두께, 부피 및 무게를 지녀야 하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바닥패널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구 역시 비교적 무게가 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해당 바닥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었고, 이는 해당 건축물의 전체 하중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액세스 플로어는 그 바닥패널이 일정 수준의 두께, 부피 및 무게를 갖도록 제조하는데 따른 제조 원가의 상승 및 그 지지구를 금속 소재로 제조하는데 따른 제조 원가의 상승으로 인해서, 그 설치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또한, 액세스 플로어는 기존의 건축물 바닥에 추가로 설치 시 해당 건축물의 층고가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져 여러 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플로어는 콘크리트 바닥층 및 바닥패널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임의대로 배선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종 케이블의 배선 작업자 내지 배선 업체마다 최단 거리의 배선 등을 위해 마구잡이식의 배선 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케이블들이 쌓이고 얽히는 데 따른 케이블 정리상의 난점 및 각 케이블의 배선 경로를 확인하기 어려운 데 따른 케이블 용도 확인의 어려움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55329호(2013.04.16.공고), “건축물의 이중바닥재용 패널” 한국 등록특허 제10-1857858호(2018.05.14.공고), “배선처리구조를 갖는 억세스 플로어” 한국 등록특허 제10-1277289호(2013.06.20.공고), “액세스 플로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의 액세스 플로어처럼 건축물의 바닥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는 동시에 그에 따른 해당 건축물의 전체 하중이 크게 증가됨 없이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을 건축물의 바닥에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해당 건축물의 층고 저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FRP 소재의 성형물 내지 합성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단일 품목의 배선용 패널유닛을 통해 건축물의 바닥에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을 바닥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어, 이의 구현이 비교적 저비용으로서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배선용 패널유닛의 바둑판식 배열에 따라 해당 배선용 패널유닛들의 수평배선홈들이 격자형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배선 라인을 형성함에 따라, 이러한 격자형 배선 라인에 의해서 케이블들은 어느 정도 예상되는 배선용 루트 중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는 배선용 루트를 따라 배선 작업이 진행될 수 있어, 기존의 액세스 플로어 방식에서 발생되는 케이블들의 혼란스러운 배선 및 그에 따른 케이블 정리 및 배선 경로 확인상의 난점들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층간 소음 감소 및 진동 감쇄 기능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품목의 배선용 패널유닛을 통해 건축물의 바닥에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을 바닥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어, 해당 배선용 패널유닛이 설치된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이 크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은, 상면의 중심에서 직교되는 한 쌍의 수평배선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사각 패널 형태이며, 상기 수평배선홈들은 각각 길이 방향의 양단이 패널유닛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 패널 형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층을 기준으로 상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패널유닛에는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홀이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홀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은, 상기 수평배선홈 및 상기 수평배선홈에 배선된 케이블을 가리도록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은, 상면의 중심에서 직교되는 한 쌍의 수평배선홈들이 상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수평배선홈들은 각각 길이 방향의 양단이 측면까지 연장되는 형태인 사각의 배선용 패널유닛이 이웃하는 다른 배선용 패널유닛들과 상기 수평배선홈들을 행방향 및 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플로어 구조물 본체와,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과 개별 대응되거나 복수의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상기 그룹별 대응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수평배선홈들 및 상기 수평배선홈들을 따라 배선된 케이블을 가리도록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 또는 그룹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플로어 구조물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은 다른 배선용 패널유닛들과 전후좌우의 방향 구분없이 모든 방향에서 상기 수평배선홈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배치가 가능하도록 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의 액세스 플로어처럼 건축물의 바닥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는 동시에 그에 따른 해당 건축물의 전체 하중이 크게 증가됨 없이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을 건축물의 바닥에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해당 건축물의 층고 저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FRP 소재의 성형물 내지 합성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단일 품목의 배선용 패널유닛을 통해 건축물의 바닥에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을 바닥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그 구현을 위한 비용 소요가 비교적 저비용으로서 달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선용 패널유닛의 바둑판식 배열에 따라 해당 배선용 패널유닛들의 수평배선홈들이 격자형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배선 라인을 형성함에 따라, 이러한 격자형 배선 라인에 의해서 케이블들은 어느 정도 예상되는 배선용 루트 중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는 배선용 루트를 따라 배선 작업이 진행되고, 따라서 기존의 액세스 플로어 방식에서 발생되는 케이블들의 혼란스러운 배선 및 그에 따른 케이블 정리 및 배선 경로 확인상의 난점들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층간 소음 감소 및 진동 감쇄 기능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품목의 배선용 패널유닛을 통해 건축물의 바닥에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을 바닥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배선용 패널유닛이 설치된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이 크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을 커버 플레이트의 분리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을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플로어 구조물 덮개가 분리된 상태로 예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플로어 구조물 덮개가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평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을 커버 플레이트의 분리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을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10, 이하 “배선용 패널유닛”이라 약칭함)은 상면의 중심에서 직교되는 한 쌍의 수평배선홈(11)이 상부에 형성되는 사각 패널의 형태이며, 수평배선홈(11)들은 각각 길이 방향의 양단이 배선용 패널유닛(10)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배선용 패널유닛(10)의 상술한 사각 패널의 형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일 수 있다.
또한, 건축물(B)의 콘크리트 바닥층(F)을 기준으로 배선용 패널유닛(10)의 상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12)가 배선용 패널유닛(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높이 조절부(12)는, 배선용 패널유닛(10)에는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홀(12a)이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나선홀(12a)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강볼트(12b)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 조절부(12)는 배선용 패널유닛(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승강볼트(12b)는 통상의 무두 렌치 볼트의 구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선용 패널유닛(10)은 수평배선홈(11) 및 수평배선홈(11)에 배선된 케이블(C)을 가리도록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배선용 패널유닛(10)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13)의 탈착 가능한 결합 구성이 결합돌기(13a) 및 결합홈(14)에 의한 억지끼움의 방식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배선용 패널유닛(10)의 본체 부분 및 커버 플레이트(13)는 FRP(Fiber-reinforced plastic) 소재의 성형물이거나 합성수지 성형물일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배선용 패널유닛(10) 및 그 커버 플레이트(13)가 FRP(Fiber-reinforced plastic) 소재의 성형물인 것을 예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배선용 패널유닛(10)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층(F) 넓이에 따라 적정 수로 제공되며, 각각의 배선용 패널유닛(10)이 인접한 다른 배선용 패널유닛(10)들과 측면을 접하며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면서 해당 콘크리트 바닥층(F)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고, 이때 각 배선용 패널유닛(10)의 수평배선홈(11)들은 인접한 다른 배선용 패넛유닛(10)들의 수평배선홈(11)들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렇게 연결되는 수평배선홈(11)들을 따라 전기선, 통신선 등의 각종 케이블(C)이 배선된다.
부연 설명하면, 배선용 패넛유닛(10)들이 그 커버 플레이트(13)들의 분리 상태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층(F)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음, 배선용 패널유닛(10)들 간의 서로 연결된 수평배선홈(11)들을 따라 케이블(C)들의 배선이 이루어진 후, 배선용 패널유닛(10)들에 각각 커버 플레이트(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의 커버 플레이트(13)들 상면을 따라 사무기기가 놓여지고 사람들의 통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바닥층(F)을 기준으로 해당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이 일정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필요한 배선용 패널유닛(10)들에 대해 해당 높이 조절부(12)를 통한 높이 조절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층(F)을 따라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작업 간에, 배선용 패널유닛(10)들 간의 연결 방향에 관계없이 전후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연결하여도 서로 연결되는 배선용 패널유닛(10)들 간 수평배선홈(11)들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선용 패널유닛(10)은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배선용 패널유닛(10)의 커버 플레이트(13)에는 수평배선홈(11)을 따라 배선된 케이블(C)의 인출을 위한 케이블 인출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 인출홀은 커버 플레이트(13)의 제조 시 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달리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층(F)에 배선용 패널유닛(10) 및 이를 통한 케이블(C) 배선 작업 간에 작업자가 커버 플레이트(13)에 임의로 구멍을 뚫거나 커버 플레이트(13)의 일부를 절개 내지 절취하여 케이블 인출홀을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조되는 모든 커버 플레이트를 케이블 인출홀을 갖는 형태로 만들거나, 케이블 인출홀이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를 별도로 제조하거나, 제조되는 모든 커버 플레이트를 케이블 인출홀이 없는 형태로 제조 후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필요 시 직접 케이블 인출홀을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동시에 FRP 소재의 성형물 내지 합성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져 무게가 가벼운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이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층(F) 상면을 따라 직접 얹혀지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의 수평배선홈(11)들 간 연결을 통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매입형 배선라인들을 이용하여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C)들을 건축물 바닥에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액세스 플로어처럼 건축물의 바닥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는 동시에 그에 따른 해당 건축물의 전체 하중이 크게 증가됨 없이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들을 건축물의 바닥에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해당 건축물의 층고 저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FRP 소재의 성형물 내지 합성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단일 품목의 배선용 패널유닛(10)을 통해 건축물의 바닥에 전기선,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C)들을 바닥 매입형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이의 구현이 비교적 저비용으로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선용 패널유닛(10)의 바둑판식 배열에 따라 해당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의 수평배선홈(11)들이 격자형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배선 라인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러한 격자형 배선 라인에 의해서 케이블(C)들은 어느 정도 예상되는 배선용 루트 중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는 배선용 루트를 따라 배선 작업이 진행될 것이고, 따라서 기존의 액세스 플로어 방식에서 발생되는 케이블들의 혼란스러운 배선 및 그에 따른 케이블 정리 및 배선 경로 확인상의 난점들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선용 패널유닛(10)의 본체 부분은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커버 플레이트(13)도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선용 패널유닛(10)이 상술한 기능들 외에도 최근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층간소음의 난점을 보다 해소시킬 수 있는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플로어 구조물 덮개가 분리된 상태로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을 플로어 구조물 덮개가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은 플로어 구조물 본체(100) 및 플로어 구조물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로어 구조물 본체(100)는, 상면의 중심에서 직교되는 한 쌍의 수평배선홈(11)들이 상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수평배선홈(11)들은 각각 길이 방향의 양단이 측면까지 연장되는 형태인 사각의 배선용 패널유닛(10)이 이웃하는 다른 배선용 패널유닛(10)들과 그 수평배선홈(11)들을 행방향 및 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배선용 패널유닛(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선용 패널유닛(10)에서 커버 플레이트(13)를 제외한 배선용 패널유닛(10)의 본체 부분과 동일한 구성이며,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 배선용 패널유닛(10) 및 그 수평배선홈(11)의 부호를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 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배선용 패널유닛(10)은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선용 패널유닛(10)과 마찬가지로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포함한다.
플로어 구조물 덮개(200)는 플로어 구조물 본체(100)의 배선용 패널유닛(10)과 개별 대응되거나, 복수의 배선용 패널유닛(10)들을 하나의 그룹(110)으로 이러한 그룹(110)별 대응되도록 제공되어 수평배선홈(11)들 및 수평배선홈(11)들을 따라 배선된 케이블을 가리도록 배선용 패널유닛(10) 또는 그룹(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배선용 패널유닛(10)별 플로어 구조물 덮개(200)가 설치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네 개의 배선용 패널유닛(10)을 하나의 그룹(110)으로 이러한 그룹(110) 별로 플로어 구조물 덮개(200)가 설치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플로어 구조물 덮개(200)의 배선용 패널유닛(10) 내지 배선용 패널유닛(10)의 그룹(110)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구성은 결합돌기 및 결합홈 간의 억지끼움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 예에서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 간의 억지끼움 결합 방식이 사용되었고, 도면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배선용 패널유닛(10)은 다른 배선용 패널유닛(10)들과 전후좌우의 방향 구분없이 모든 방향에서 수평배선홈(11)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배치가 가능하도록 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배선용 패널유닛(10)의 설명에서 언급한바, 해당 내용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선용 패널유닛과 동일한 구성의 배선용 패널유닛을 기본 구성으로 하는바, 그 작용 면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선용 패널유닛과 대동소이하고,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의 주요 작용들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선용 패널유닛의 해당 설명들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배선용 패널유닛 11 : 수평배선홈
12 : 높이 조절부 12a : 나선홀
12b : 승강볼트 13 : 커버 플레이트
13a : 결합돌기 14 : 결합홈
100 : 플로어 구조물 본체 11a : 그룹
200 : 플로어 구조물 덮개 F : 콘크리트 바닥층
C : 케이블

Claims (7)

  1. 상면의 중심에서 직교되는 한 쌍의 수평배선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사각 패널 형태이며, 상기 수평배선홈들은 각각 길이 방향의 양단이 패널유닛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패널 형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층을 기준으로 상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패널유닛에는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홀이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홀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배선홈 및 상기 수평배선홈에 배선된 케이블을 가리도록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6. 상면의 중심에서 직교되는 한 쌍의 수평배선홈들이 상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수평배선홈들은 각각 길이 방향의 양단이 측면까지 연장되는 형태인 사각의 배선용 패널유닛이 이웃하는 다른 배선용 패널유닛들과 상기 수평배선홈들을 행방향 및 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플로어 구조물 본체; 및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과 개별 대응되거나, 복수의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상기 그룹별 대응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수평배선홈들 및 상기 수평배선홈들을 따라 배선된 케이블을 가리도록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 또는 그룹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플로어 구조물 덮개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패널유닛은 다른 배선용 패널유닛들과 전후좌우의 방향 구분없이 모든 방향에서 상기 수평배선홈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배치가 가능하도록 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KR1020220086209A 2022-07-13 2022-07-13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Pending KR20240009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09A KR20240009105A (ko) 2022-07-13 2022-07-13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209A KR20240009105A (ko) 2022-07-13 2022-07-13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105A true KR20240009105A (ko) 2024-01-22

Family

ID=8971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209A Pending KR20240009105A (ko) 2022-07-13 2022-07-13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10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329B1 (ko) 2012-07-17 2013-04-16 (주)민예 건축물의 이중바닥재용 패널
KR101277289B1 (ko) 2011-04-25 2013-06-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세스 플로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7858B1 (ko) 2016-02-26 2018-05-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선처리구조를 갖는 억세스 플로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89B1 (ko) 2011-04-25 2013-06-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세스 플로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5329B1 (ko) 2012-07-17 2013-04-16 (주)민예 건축물의 이중바닥재용 패널
KR101857858B1 (ko) 2016-02-26 2018-05-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선처리구조를 갖는 억세스 플로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447B1 (ko) 일체식 덕트구조를 가진 모듈형 중공 플로어 패널
US5768840A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and panel system
WO2001012913A1 (en) Workspace partition system
US6310294B1 (en) Vertical separation rack for cable management
KR20240009105A (ko) 건축물 바닥의 케이블 배선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케이블 배선용 플로어 구조물
US5943833A (en) In-floor utility outlet
KR100928908B1 (ko) 강도 및 시공성이 향상된 악세스 플로어 어셈블리
KR100505433B1 (ko) 트레이 배선장치
JP2012077573A (ja) ケーブル床配線用oa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その配置構造
CN213717582U (zh) 电缆工井
KR200201254Y1 (ko) 건축용 패널
CN211556428U (zh) 一种二次设备预制舱内防静电装置
HUT68418A (en) Living space arrangement particularly in multistorey buildings
JPH0711234Y2 (ja) 配線用床パネル
JPS62107161A (ja) 配線用フロアパネル
AU707034B2 (en) Utility distribution system for open office plans and the like
KR100407038B1 (ko) 건축물의 이중바닥 구조
CA1311899C (en) Modular hollow floor panels with integral ducting
JPH09137587A (ja) アクセスフロア
GB2271587A (en) Floor panel unit for sound-proofing double floor assembly
WO1997042692A1 (en) Cable management systems
JPH05295881A (ja) 2重床の構造
JP2640961B2 (ja) オフィスオートメーション用二重床
JPH0622435A (ja) コンクリート床壁材
JP2020112012A (ja) 床配線用構造、その形成方法、及び床配線構造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