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964A - 능동 수술용 액세스 포트 여과 피팅 - Google Patents
능동 수술용 액세스 포트 여과 피팅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4964A KR20240004964A KR1020237041867A KR20237041867A KR20240004964A KR 20240004964 A KR20240004964 A KR 20240004964A KR 1020237041867 A KR1020237041867 A KR 1020237041867A KR 20237041867 A KR20237041867 A KR 20237041867A KR 20240004964 A KR20240004964 A KR 202400049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car
- cap
- access port
- housing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05646 Pneumoperitoneu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7—Cannulas with means for removing or absorbing fluid, e.g. wicks or absorbent 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투관침 조립체용 캡은 투관침의 근위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수술 기구가 액세스 포트 개구를 통해 상기 투관침의 주 액세스 포트 내로 통과하도록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포트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은 여과를 위해 상기 투관침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입자를 사이펀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펀 개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5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7/308,25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문헌의 개시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분야
본 개시는 능동 여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입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것과 같은 수술용 액세스 포트를 위한 능동 여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수술용 액세스 포트는 기복(pneumoperitoneum)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 압력 장벽을 갖는 개방형 밸브리스 투관침으로 설계된다. 뉴욕주 유티카 소재의 ConMed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AirSeal® iFS 주입 관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AirSeal® 액세스 포트는 주입 절차 동안 환자의 수술 부위에 도입될 수 있다. 때때로 외과의사는 AirSeal® 액세스 포트가 수술 부위에 대한 액세스에 사용되지 않는 절차에서, 예를 들어 이 절차 도중 AirSeal® 액세스 포트의 투관침을 통해 수술 기구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 AirSeal® iFS 주입 관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AirSeal® iFS 주입 관리 시스템은 절차를 위한 주입을 제공한다. AirSeal® 시스템은 안정적인 기복을 제공하며 연기 배출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수술용 액세스 포트의 유형에 관계없이, 일부 액세스 포트 설계의 개방형 성질로 인해, 액세스 포트를 통과하는 기구가 없을 경우, 입자가 환자 내부로부터 액세스 포트 개구를 통해 수술실 공기 내로 방출될 기회가 있다. 이는 원하지 않거나 유해한 입자가 복강 내 또는 다른 수술 부위로부터 수술 스탭/직원이 있는 수술실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보호를 위해 PPE(개인 보호 장비)에 의존해야 하는 수술 스탭/직원에게 해로운 가스 또는 병원균도 포함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의도된 목적에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원하지 않거나 유해한 입자가 수술용 액세스 포트를 통해 수술실 공기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항상 존재한다.
본 개시는 이러한 요구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투관침 조립체용 캡은 투관침의 근위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수술 기구가 액세스 포트 개구를 통해 투관침의 주 액세스 포트 내로 통과하도록 정렬되도록 구성된 액세스 포트 개구를 정의한다. 하우징은 여과를 위해 투관침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입자를 사이펀화하기 위한 사이펀 개구를 정의한다.
플레넘은 액세스 포트 개구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캡 내에 정의될 수 있으며, 플레넘 벽은 플레넘과 액세스 포트 개구 사이를 분리한다. 사이펀 개구는 플레넘과 유체 연통하여 플레넘 밖으로 입자를 사이펀화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포트는 액세스 포트 개구로부터 플레넘 내로 유체 연통하기 위해 플레넘 벽을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사이펀 개구에 연결된 사이펀 튜브를 갖는 튜브 세트가 포함될 수 있다.
사이펀 튜브는 하우징과 외부 필터 유닛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필터 유닛은, 유동 통로를 통한 유동의 여과를 위해 외부 필터 유닛을 통한 유동 통로에 걸쳐 있는 필터 매체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필터 유닛은 능동 여과를 위해 주입기에 연결하기 위한 유출구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튜브 세트는 주입 라인 및 연기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카트리지와 멀티포트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카트리지는 튜브 세트를 주입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멀티포트 커넥터는 주입 라인 및 연기 배출 라인을 주입 및 연기 배출을 위해 투관침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이펀 튜브는, 필터 매체에 의해 투관침으로부터 입자를 능동적으로 여과하기 위해 연기 배출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투관침으로부터 입자를 여과하기 위해 사이펀 라인과 유체 연통하는 초저 미립자 공기(ULPA) 필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액세스 포트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구 개구를 정의할 수 있으며, 유입구 개구는 투관침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밀봉부는 유입구 개구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밀봉부는, 투관침의 근위 부분과 체결되어 유입구 개구를 통해 투관침의 주 루멘 내외로의 모든 유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봉 시트는 하우징의 유입구 개구 주위에 정의될 수 있다. 밀봉부는 밀봉 시트에 안착될 수 있다.
하우징의 원위 단부는, 투관침에 대한 하우징의 체결을 유지하기 위해 투관침의 각각의 림 또는 디텐트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장 래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원위 단부는, 투관침에 대한 하우징의 체결을 유지하기 위해 투관침의 각각의 림 또는 디텐트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내측 연장 래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투관침 조립체는 투관침을 포함한다. 투관침은, 수술 부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와 관형 부재 내로 수술 기구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투관침 하우징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의 관형 부재를 포함한다. 투관침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래치 수용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캡이 포함되며, 캡의 하우징은 투관침의 근위 부분에 부착된다. 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투관침,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캡을 포함하며, 여기서 투관침 및 캡은 키트에서 서로 부착되거나 분리된다.
방법은 수술 부위 내로 도입된 투관침으로 수술 부위의 주입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투관침을 통해 수술 부위로부터 튜브 세트 내로 분출되는 유체를 사이펀화하여, 유체가 수술 부위의 외부 공간에 도달하는 것으로부터 방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유체의 유동 경로에서 필터 매체 내의 유체로부터 액적, 고체 미립자, 및/또는 가스를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매체는 투관침과 투관침으로의 주입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투관침을 통해 연기 배출을 수행하는 주입기 사이에 연결되는 유체 회로 내에 있을 수 있다. 필터 매체는 투관침으로의 주입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투관침을 통해 연기 배출을 수행하는 주입기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수술 부위로부터 투관침을 통해 연기를 배출하는 단계 및/또는 투관침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기복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관침은 제1 액세스 포트일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제2 액세스 포트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트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트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지 않고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시스템 및 방법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도면과 관련하여 작성된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가 속한 분야의 당업자가 과도한 실험 없이 장치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 및 본 개시의 방법을 쉽게 이해하도록,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라 구성된 투관침 조립체의 일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주입을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절차 동안 원 위치에서의 투관침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투관침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투관침 상의 제 위치에 있는 수동 여과 캡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투관침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투관침으로부터 제거된 캡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캡의 횡단 측면도로서, 플레넘을 통해 연통하는 액세스 포트 개구 및 사이펀 개구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캡의 횡단 사시도로서, 액세스 포트 개구와 플레넘 사이를 분리하는 플레넘 벽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라 구성된 투관침 조립체의 다른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주입을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절차 동안, 사이폰 개구로부터 미립자를 포획하기 위한 외부 필터를 갖는 원 위치에서의 투관침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투관침 조립체용 부품을 포함하는 키트의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라 구성된 투관침 조립체의 일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주입을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절차 동안 원 위치에서의 투관침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투관침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투관침 상의 제 위치에 있는 수동 여과 캡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투관침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투관침으로부터 제거된 캡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캡의 횡단 측면도로서, 플레넘을 통해 연통하는 액세스 포트 개구 및 사이펀 개구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캡의 횡단 사시도로서, 액세스 포트 개구와 플레넘 사이를 분리하는 플레넘 벽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라 구성된 투관침 조립체의 다른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주입을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절차 동안, 사이폰 개구로부터 미립자를 포획하기 위한 외부 필터를 갖는 원 위치에서의 투관침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투관침 조립체용 부품을 포함하는 키트의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이제부터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며, 여기서, 비슷한 참조부호는 본 개시의 유사한 구조적 특징 또는 양태를 나타낸다. 제한이 아닌 설명 및 예시의 목적을 위해, 본 개시에 따른 투관침 조립체의 구현예의 부분도가 도 1에 도시되고, 전체적으로는 참조부호(100)로 지정된다.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구현예, 또는 이의 양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7에 제공된다. 본원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은, 주입 또는 안정적인 기복의 성능 또는 효과를 방해하지 않고서 입자가 기복 내에서 수술실 공기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능동 여과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투관침 조립체(100)는 투관침(102)을 포함한다. 투관침은, 수술 부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106)와 관형 부재(104) 내로 수술 기구, 예를 들어, 수술 기구(11)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투관침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108)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의 관형 부재(104)를 포함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체(100)는 캡(112)을 포함한다. 캡(112)은, 투관침(102)의 근위 부분(108)에, 예를 들어 투관침 하우징(110)의 근위 단부(116)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캡 하우징(114)을 포함한다. 하우징(114)은, 액세스 포트 개구(118)를 통해 도 3에 표지된 투관침(102)의 주 액세스 포트(120) 내로 수술 기구, 예를 들어 도 1의 수술 기구(11)의 통과를 위해 정렬되도록 구성된 액세스 포트 개구(118)를 정의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투관침 하우징(110)은 림 또는 디텐트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래치 수용부(122)를 포함한다. 하우징(114)의 원위 단부는 캡(112)과 투관침(102)의 체결을 유지하기 위해 투관침(102)의 래치 수용부(122)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내측 연장 래치 부재(124)를 포함한다. 하우징(114)은 여과를 위해 투관침(102)의 근위 부분(108)으로부터 입자를 사이펀화하기 위한 사이펀 개구(126)를 정의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플레넘(128)은 액세스 포트 개구(118)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캡(112) 내에 정의되고, 플레넘 벽(130)은 플레넘(128)과 액세스 포트 개구(118) 사이를 분리한다. 플레넘 벽은 도 5의 횡단면에 도시되어 있다. 사이펀 개구(126)는 플레넘(128)과 유체 연통하여 플레넘(128) 밖으로, 궁극적으로는 액세스 포트 개구(118)로부터 입자를 사이펀화한다. 적어도 하나의 포트(132)는 액세스 포트 개구(118)로부터 플레넘(128)으로 유체 연통하기 위해 플레넘 벽(130)을 관통하여 정의된다. 도 4 내지 도 5에는, 플레넘 벽(130)을 관통하여 세 개의 포트(132)가 있지만, 임의의 적절한 수의 포트가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시 사이펀 개구(12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사이펀 튜브(136)를 갖는 튜브 세트(134)(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음)가 포함된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캡 하우징(114)은 액세스 포트 개구(118)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구 개구(156)를 정의하며, 유입구 개구(156)는 도 1 내지 도 3의 투관침(102)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밀봉부(158)는 유입구 개구(156)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밀봉부(158)는, (도 3에 표지된 바와 같이) 투관침(102)의 근위 부분(108)의 근위 단부(116)와 체결되어 유입구 개구(156)를 통해 투관침(102)의 주 루멘 내외로의 모든 유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밀봉 시트(160)는 유입구 개구(156) 주위에 정의되고, 밀봉부(158)는 밀봉 시트(160)에 안착된다. 또한, 밀봉부(158) 및 밀봉 시트(160)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중합체 접착제가 유입구 개구(156) 주위에 도포되어 투관침(102)으로 밀봉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이펀 튜브(136)는 캡 하우징(114)과 외부 필터 유닛(138)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필터 유닛(138)은, 유동 통로(142)를 통한 유동의 여과를 위해 외부 필터 유닛(138)을 통한 유동 통로(142)에 걸쳐 있는 필터 매체(140), 예를 들어, 초저 미립자 공기(ULPA) 필터 매체를 수용한다. 외부 필터 유닛(138)은, 하우징(114)으로부터 입자를 능동적으로 여과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이들 입자가 수술실 내로 빠져나가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주입기(12)에 연결하기 위한 유출구 튜브(144)를 포함한다. 유출구 튜브(144)는 주입기(12) 내의 연기 배출 시스템, 중앙 수술용 진공 시스템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흡입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필터 유닛(138)은 포함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고려되며, 여기서 튜브 세트(134)는 한 쌍의 주입 라인(146) 및 연기 배출 라인(148)을 포함하고, 각각은 카트리지(150)와 멀티포트 커넥터(152) 사이에 연결된다. 카트리지(150)는 튜브 세트(134)를 주입기(1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멀티포트 커넥터(152)는 주입 및 연기 배출을 위해 주입 라인(146) 및 연기 배출 라인(148)을 투관침(102)의 투관침 하우징(1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사이펀 튜브(136)는 예를 들어 y- 또는 t-커넥터(154)로 연기 배출 라인(148)에 연결되어 필터 매체에 의해 투관침(102)으로부터 입자를 능동 여과하며, 이 경우 필터 매체는 카트리지(150) 내에 또는 주입기(12) 내에 있을 수 있다. 사이펀 라인(136)은 대신에 임의의 적절한 흡입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키트(162)는 전술한 바와 같은 투관침(102),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캡(112)을 포함하며, 여기서 투관침(102) 및 캡(112)은 키트에서 서로 부착되거나 분리된다. 또한, 키트는 튜브 세트(134),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외부 필터 유닛(138)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방법은 수술 부위 내로 도입된 투관침, 예를 들어 투관침(102)으로 수술 부위의 주입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투관침을 통해 수술 부위로부터 튜브 세트, 예를 들어 튜브 세트(134) 내로 분출되는 유체를 사이펀화하여, 유체가 수술 부위의 외부 공간에 도달하는 것으로부터 방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유체의 유동 경로, 예를 들어 유동 통로(142)에서 필터 매체, 예를 들어 필터 매체(140) 내의 유체로부터 액적, 고체 미립자, 및/또는 가스를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매체는 투관침과 투관침으로의 주입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투관침을 통해 연기 배출을 수행하는 주입기, 예를 들어 주입기(112) 사이에 연결되는 유체 회로 내에 있다. 필터 매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으로의 주입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투관침을 통해 연기 배출을 수행하는 주입기 내에 있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세트 내의 외부 필터 하우징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수술 부위로부터 투관침을 통해 연기를 배출하는 단계 및/또는 투관침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기복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관침(102)은 제1 액세스 포트일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제2 액세스 포트, 예를 들어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액세스 포트(114)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트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트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지 않고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6의 수술 기구(10, 11)와 같은 수술 기구는 투관침(102) 및 캡(112)을 통해, 또는 별도의 액세스 포트(14)를 통해, 또는 둘 다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트(14)는 주입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및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또는 안정적인 기복의 성능 또는 효과를 방해하지 않고서 입자가 기복 내에서 수술실 공기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능동 여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장치 및 방법은 바람직한 구현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 개시에 대한 변경 및/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22)
- 투관침 조립체용 캡으로서,
투관침의 근위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수술 기구가 액세스 포트 개구를 통해 상기 투관침의 주 액세스 포트 내로 통과하도록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포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여과를 위해 상기 투관침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입자를 사이펀화하기 위한 사이펀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인 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레넘은 상기 액세스 포트 개구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캡 내에 형성되고, 플레넘 벽은 상기 플레넘과 상기 액세스 포트 개구 사이를 분리하고, 상기 사이펀 개구는 상기 플레넘과 유체 연통하여 상기 플레넘 밖으로 입자를 사이펀화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는 상기 액세스 포트 개구로부터 상기 플레넘 내로 유체 연통하기 위해 상기 플레넘 벽을 관통하여 정의되는 것인 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개구에 연결된 사이펀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캡.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튜브는 상기 하우징과 외부 필터 유닛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해 연결되고, 상기 외부 필터 유닛은 유동 통로를 통한 유동의 여과를 위해 상기 외부 필터 유닛을 통한 상기 유동 통로에 걸쳐 있는 필터 매체를 수용하는 것인 캡.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터 유닛은 능동 여과를 위해 주입기에 연결하기 위한 유출구 튜브를 포함하는 것인 캡.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튜브 세트는 각각 카트리지와 멀티포트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주입 라인 및 연기 배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튜브 세트를 주입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멀티포트 커넥터는 상기 주입 라인 및 상기 연기 배출 라인을 주입 및 연기 배출을 위한 투관침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펀 튜브는 필터 매체에 의해 상기 투관침으로부터 입자를 능동적으로 여과하기 위해 상기 연기 배출 라인에 연결되는 것인 캡.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투관침으로부터 입자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펀 라인과 유체 연통하는 초저 미립자 공기(ULPA) 필터 매체를 포함하는 것인 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세스 포트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구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 개구는 상기 투관침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캡.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개구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봉부는 상기 투관침의 근위 부분과 체결되어 상기 유입구 개구를 통해 상기 투관침의 주 루멘 내외로의 모든 유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캡.
- 청구항 9에 있어서, 밀봉 시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 개구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밀봉 시트에 안착되는 것인 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원위 단부는, 상기 투관침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체결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투관침의 각각의 림 또는 디텐트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장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캡.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장 래치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내측 연장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캡.
- 투관침 조립체로서,
수술 부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원위 단부와 관형 부재 내로 수술 기구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투관침 하우징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의 관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관침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투관침; 및
상기 투관침의 근위 부분에 부착된 캡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수술 기구가 액세스 포트 개구를 통해 상기 투관침의 상기 관형 부재 내로 통과하도록 정렬되는 액세스 포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여과를 위해 상기 투관침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입자를 사이펀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펀 개구를 형성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인 투관침 조립체. - 키트로서,
수술 부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원위 단부와 관형 부재 내로 수술 기구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투관침 하우징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의 관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관침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투관침; 및
상기 투관침의 근위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캡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수술 기구가 액세스 포트 개구를 통해 상기 투관침의 상기 관형 부재 내로 통과하도록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포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여과를 위해 상기 투관침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입자를 사이펀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펀 개구를 형성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인 키트. - 방법으로서,
수술 부위 내로 도입되는 투관침으로 상기 수술 부위의 주입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투관침을 통해 상기 수술 부위로부터 튜브 세트 내로 분출되는 유체를 사이펀화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펀화된 유체를 상기 수술 부위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멀리 방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유동 경로에서 필터 매체 내의 상기 유체로부터 액적, 고체 미립자, 및/또는 가스를 포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상기 투관침과 상기 투관침으로의 주입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상기 투관침을 통해 연기 배출을 수행하는 주입기 사이에 연결되는 유체 회로 내에 있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상기 투관침으로의 주입을 조절하고/조절하거나 상기 투관침을 통해 연기 배출을 수행하는 주입기 내에 있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은 제1 액세스 포트이고,
제2 액세스 포트를 통해 상기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포트를 통해 상기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트를 통해 상기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지 않고 상기 수술 부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술 부위로부터 상기 투관침을 통해 연기를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기복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7/308,255 | 2021-05-05 | ||
US17/308,255 US11903611B2 (en) | 2021-05-05 | 2021-05-05 | Active surgical access port filtration fittings |
PCT/US2022/016467 WO2022235317A1 (en) | 2021-05-05 | 2022-02-15 | Active surgical access port filtration fitting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4964A true KR20240004964A (ko) | 2024-01-11 |
Family
ID=8390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1867A Pending KR20240004964A (ko) | 2021-05-05 | 2022-02-15 | 능동 수술용 액세스 포트 여과 피팅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903611B2 (ko) |
EP (1) | EP4333745A4 (ko) |
JP (1) | JP7596561B2 (ko) |
KR (1) | KR20240004964A (ko) |
CN (1) | CN117177715A (ko) |
AU (1) | AU2022270565B2 (ko) |
CA (1) | CA3209283A1 (ko) |
WO (1) | WO202223531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22962A (en) | 1995-12-29 | 1998-03-03 | Garcia; Joxel | Trocar port filter |
US6685665B2 (en) | 2000-09-08 | 2004-02-03 | Pall Corporation | Cannula assembly |
WO2008077080A2 (en) | 2006-12-18 | 2008-06-26 | Surgiquest, Incorporated | System for surgical insufflation and gas recirculation |
KR101649505B1 (ko) * | 2008-10-10 | 2016-08-19 | 서지퀘스트, 인코포레이티드 | 공압 밀봉을 이용한 수술용 투관침에서의 개선된 가스 재순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EP2704650A2 (en) * | 2011-05-02 | 2014-03-12 |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 Low-profile surgical universal access port |
KR101704903B1 (ko) | 2015-05-26 | 2017-02-08 | 이병갑 | 수술용 투관침세트의 유해가스필터장치 |
US10874426B2 (en) * | 2017-02-10 | 2020-12-29 | Covidien Lp | Seal assembly with integral filter and evacuation port |
US10736657B2 (en) * | 2017-03-08 | 2020-08-11 | Conmed Corporation | Multi-lumen tube set for gas circulation system with single lumen gas sealed access port and single lumen valve sealed access port |
US11167096B2 (en) * | 2018-06-25 | 2021-11-09 | Conmed Corporation | Filter cartridge assemblies for managing fluid and humidity in endoscopic surgery |
US10492827B1 (en) | 2018-08-08 | 2019-12-03 | Alex Joel Velez-Cruz | Device for orthopedic and general surgeries |
TWI865458B (zh) | 2018-08-17 | 2024-12-11 | 紐西蘭商費雪派克保健有限公司 | 用於向患者提供氣體之通氣外科手術插管及系統 |
US11065035B2 (en) * | 2018-12-14 | 2021-07-20 | Conmed Corporation | Multi-modal surgical gas circul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network of gas sealed access devices |
EP3946527B1 (en) * | 2019-03-26 | 2024-05-29 | ConMed Corporation | Gas circulation system with gas sealed access cap and valve sealed access cap for robotically assisted surgical procedures |
CN211433579U (zh) | 2019-12-04 | 2020-09-08 | 李小玲 | 一种神经外科气管切开术后护理设备 |
WO2021191885A2 (en) | 2020-03-26 | 2021-09-30 | Palliare Limited | "a device, apparatus and a method for minimising the dispersal of pathogens into the environment during insufflating of a cavity in a subject" |
-
2021
- 2021-05-05 US US17/308,255 patent/US11903611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2-15 AU AU2022270565A patent/AU2022270565B2/en active Active
- 2022-02-15 CA CA3209283A patent/CA3209283A1/en active Pending
- 2022-02-15 WO PCT/US2022/016467 patent/WO202223531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2-15 JP JP2023565587A patent/JP7596561B2/ja active Active
- 2022-02-15 CN CN202280029900.1A patent/CN117177715A/zh active Pending
- 2022-02-15 EP EP22799249.2A patent/EP4333745A4/en active Pending
- 2022-02-15 KR KR1020237041867A patent/KR20240004964A/ko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177715A (zh) | 2023-12-05 |
AU2022270565A1 (en) | 2023-09-14 |
EP4333745A1 (en) | 2024-03-13 |
US11903611B2 (en) | 2024-02-20 |
CA3209283A1 (en) | 2022-11-10 |
JP2024515960A (ja) | 2024-04-11 |
EP4333745A4 (en) | 2025-03-12 |
JP7596561B2 (ja) | 2024-12-09 |
US20220354536A1 (en) | 2022-11-10 |
WO2022235317A1 (en) | 2022-11-10 |
AU2022270565B2 (en) | 2024-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3769B1 (ko) | 내시경 수술에서 유체 및 습기를 관리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 어셈블리 | |
US9011366B2 (en) | Wick and relief valve for disposable laparoscopic smoke evacuation system | |
AU2016285420B2 (en) | Multipath filter assembly with integrated gaseous seal for multimodal surgical gas delivery system | |
KR102395006B1 (ko) | 필터 카트리지 조립체 | |
JP2024534658A (ja) | 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組立品 | |
KR20240004964A (ko) | 능동 수술용 액세스 포트 여과 피팅 | |
CN112218571B (zh) | 用于过滤的设备和方法 | |
US20220257877A1 (en) | Passive surgical access port filtration fittings | |
KR102570258B1 (ko) | 수술 공동에 액세스하기 위한 원격 가스 밀봉 모듈 및 가스 밀봉 슬리브를 갖는 수술 가스 전달 시스템 | |
WO2023192053A1 (en) | Filtered tube s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