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03151A -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151A
KR20240003151A KR1020220080284A KR20220080284A KR20240003151A KR 20240003151 A KR20240003151 A KR 20240003151A KR 1020220080284 A KR1020220080284 A KR 1020220080284A KR 20220080284 A KR20220080284 A KR 20220080284A KR 20240003151 A KR20240003151 A KR 2024000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nf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성
Original Assignee
김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성 filed Critical 김효성
Priority to KR102022008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151A/ko
Publication of KR2024000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15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인 및 기업, 단체 등 발행 문서의 최초 권리를 갖고 있는 발행자가 인증 서버에 문서의 원본정보를 등록하면서 해당 문서의 추후 진위 여부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발행 문서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과정에서 최초 등록한 문서에 대하여 NFT를 발급 받아 발행 문서의 진위 여부뿐만 아니라 등록 시점에서의 NFT를 기초로 외부에 판매 또는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발행자에 의한 문서 최초 발행 시 문서이미지파일 및 문서발행정보를 포함한 문서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등록하는 문서 등록부; 상기 문서정보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NFT와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발급하되, 해당 문서의 원본 인쇄물에 부착 가능하거나 상기 문서이미지파일에 첨부 가능한 형태로 발급하는 고유식별정보 발급부;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시 상기 NFT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웹 페이지 상에서 상기 문서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SYSTEM FOR NOTARIZATING DOCUMENTS USING UNIQUE IDENTIFICATION IMFORMATION AND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기업이 근로자에게 표창장 또는 감사장 등을 발행하는 경우, 발행 시점으로부터 수 년 또는 수십 년 이후 해당 문서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제3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인이 문서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발행 기업에 별도로 연락하여 진위 여부 판독을 요청하게 된다. 이후 해당 기업은 기존의 발행 관련 기록을 검토하고 발행 관련 담당 직원의 확인 및 검증을 거친 후 진위 여부를 확인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해당 문서를 발행한 기업이 폐업하거나 기존 발행 데이터가 유실되는 등 여러 사유로 인해 진위 여부에 대한 확인을 제공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제3자는 해당 문서의 진위 여부 확인이 불가능하며, 실제 해당 문서가 진품임에도 불구하고 발행 기관의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발행사실 부인 및 발행사실 은폐 등에 대한 환경적 한계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발행 기관만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의지해야 증빙이 가능한 현실은 발행 기관과 해당 문서를 이용하는 사용자 간에 온전한 신뢰를 구축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은 기업뿐만 아니라 기관 및 관공서, 협회 등 특정 문서를 발행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발생 가능한 것으로, 최초 발행 문서에 대한 진위 여부를 제3자가 발행 기관을 통하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는 인증 서비스와 관련 기술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40588호(등록일자: 2021년12월14일) 등록특허공보 제10-1039390호(등록일자: 2011년05월31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 및 기업, 단체 등 발행 문서의 최초 권리를 갖고 있는 발행자가 인증 서버에 문서의 원본정보를 등록하면서 해당 문서의 추후 진위 여부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발행 문서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과정에서 최초 등록한 문서에 대하여 NFT를 발급 받아 발행 문서의 진위 여부뿐만 아니라 등록 시점에서의 NFT를 기초로 외부에 판매 또는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은, 발행자에 의한 문서 최초 발행 시 문서이미지파일 및 문서발행정보를 포함한 문서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등록하는 문서 등록부; 상기 문서정보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NFT와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발급하되, 해당 문서의 원본 인쇄물에 부착 가능하거나 상기 문서이미지파일에 첨부 가능한 형태로 발급하는 고유식별정보 발급부;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시 상기 NFT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웹 페이지 상에서 상기 문서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QR 코드, 바코드 및 고유일련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발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는,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QR 코드 및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2차원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2차원코드가 스캔을 통해 인식되면, 상기 2차원코드에 포함된 URL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2차원코드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NFT를 이용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문서정보를 반환 받아 해당 웹 페이지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는,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고유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홈 페이지를 통해 상기 고유일련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고유일련번호와 매칭된 NFT를 이용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문서정보를 반환 받아 해당 홈 페이지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발행정보는, 해당 문서의 내용, 발행자의 정보 및 해당 문서의 발행일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자를 대상으로 상기 NFT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의 소유권 판매, 위탁 및 증여 중 적어도 하나의 양도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문서의 소유권 판매 및 위탁 시 미리 책정된 금액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결제 서비스에 의한 수익의 일부를 상기 발행자에게 지급하는 문서 소유권 양도 중개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 등록부는, 문서원본소유자의 홍채정보 및 지문정보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추가 등록 받고, 상기 문서발행정보를 상기 생체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생성하고, 메타데이터를 갖는 생체인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문서 공증 시스템은, 생체정보 업로드용 웹 페이지를 통해 문서원본소유자의 홍채인식정보 및 지문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인식정보, 및 증빙대상문서의 발행일시정보를 각각 업로드 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인증정보 중 웹 페이지를 통해 업로드 된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인증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프로세스가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는 생체인증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프로세스가 실행 불가하도록 제어하는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및 기업, 단체 등 발행 문서의 최초 권리를 갖고 있는 발행자가 인증 서버에 문서의 원본정보를 등록하면서 해당 문서의 추후 진위 여부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발행 문서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과정에서 최초 등록한 문서에 대하여 NFT를 발급 받아 발행 문서의 진위 여부뿐만 아니라 등록 시점에서의 NFT를 기초로 외부에 판매 또는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의 전체 구현 및 동작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등록부와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의 전체 구현 및 동작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등록부와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1000)은, 문서 등록부(100), NFT 발행부(200), 고유식별정보 발급부(300),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400), 문서 소유권 양도 중개 서비스 제공부(500) 및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6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서 등록부(100)는, 발행자(또는 발행기관)에 의한 문서 최초 발행 시 문서이미지파일 및 문서발행정보를 포함한 문서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등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발행자(또는 발행기관)에서 자격증, 졸업장, 표창장, 감사패, 인증서, 계약서 등의 문서를 최초 발행하는 경우, 해당 문서의 스캔이미지파일 또는 사진이미지파일을 포함하는 문서이미지파일과, 문서발행정보를 포함한 문서정보를 홈 페이지 또는 전용 어플레케이션을 이용하여 업로드 하면, 업로드 된 문서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등록되어, 이에 따라 제3자에 의한 임의 변조와 정보 삭제 등이 불가능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문서발행정보는, 공증(또는 발행)하고자 하는 해당 문서의 내용, 발행자(또는 발행기관)의 정보 및 해당 문서의 발행일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문서발행정보를 상기와 같이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증(또는 발행)하는 문서를 진위 여부, 소유권 등을 입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문서 등록부(100)는, 문서원본소유자의 홍채정보 및 지문정보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추가 등록 받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등록되기 이전에 문서발행정보를 별도로 복제한 후, 복제된 문서발행정보를 생체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해당 메타데이터를 갖는 생체인증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문서원본소유자는 발행자(또는 발행기관)과 달리 자격증, 졸업장, 표창장, 감사패, 인증서, 계약서 등의 문서원본을 실질적으로 받아 최초 소유한 자, 현재 소유하고 있는 자(매수 또는 양수 받은 경우), 또는 소유권이 있는 사람, 기관 또는 단체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추가 인증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600)에 대한 부분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NFT 발행부(200)는, 문서정보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문서정보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컴퓨터 암호화 기술인 해시함수를 적용해 고유의 해시값을 추출하고 이를 NFT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발행될 수 있다.
상기 NFT 발행부(200)에서 발생된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하고, NFT를 이용하여 원본문서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 또는 증명할 수 있다. NFT 발행부(200)는 발행된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함으로써 NFT에 의해 발생된 원본문서의 소유권을 인증 또는 증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방법뿐만 아니라 별도의 웹 사이트 서버에 NFT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추후에 모델 영상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 또는 증명할 수도 있다. NFT 발행부(200)에서 NFT 인증 또는 증명은 NFT 발행에 이용되는 해시함수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해시함수는 부가역적인 일 방향 함수로, 하나의 원본 대상물에 단 하나의 해시값만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NFT에 기록된 고유의 해시값을 역추적하여 그 해시값에 연결된 원본문서에 대한 이미지와 해당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진위를 검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FT 발행부(200)는, 원본문서가 등록됨과 동시에 업로드 된 해당 문서의 이미지파일과 발행정보 등을 NFT로 발급 후, 해당 NFT의 소유권을 최초 문서 발행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유식별정보 발급부(300)는, NFT와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발급하되, 해당 문서의 원본 인쇄물에 부착 가능하거나 상기 문서이미지파일에 첨부 가능한 형태로 발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정보는, QR 코드, 바코드 및 고유일련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발급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와 바코드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되어 해당 문서에 부착되거나, 해당 문서를 인쇄하여 발급할 때 해당 문서 상에 QR 코드나 바코드를 함께 인쇄되어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인쇄된 원본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유일련번호는 해당 문서를 인쇄하여 발급할 때 해당 문서 상에 함께 인쇄되어 해당 고유일련번호가 인쇄된 원본문서를 제공하거나, 스티커 형태로 출력되어 해당 문서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유식별정보 발급부(300)는 원본문서에 QR 코드, 바코드 등의 2차원코드를 부착 또는 인쇄한 형태로 배포 또는 유통하거나, 고유일련번호를 해당 문서 내용에 포함시켜 인쇄되거나 별도의 스티커 커 등으로 부착된 형태로 배포 또는 유통할 수 있다.
상기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400)는,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시 NFT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웹 페이지 상에서 문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400)는, 고유식별정보가 원본문서에 QR 코드 및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2차원코드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해당 2차원코드가 스캔을 통해 인식되면, 2차원코드에 포함된 URL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후, 해당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20)를 통해 2차원코드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NFT를 추출하고, 추출된 NFT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정보를 반환 받아 해당 웹 페이지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T 인증 또는 증명은 NFT 발행에 이용되는 해시함수를 이용하며, 이러한 해시함수는 부가역적인 일 방향 함수로, 하나의 원본 대상물에 단 하나의 해시값만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NFT에 기록된 고유의 해시값을 역추적하여 그 해시값에 연결된 원본문서에 대한 문서이미지파일과 문서발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진위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400)는, 고유식별정보가 원본문서에 고유일련번호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해당 2차원코드가 해당 웹 페이지의 입력 창에 입력되면, 통합 관리 서버(20)를 통해 해당 고유일련번호 고유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NFT를 추출하고, 추출된 NFT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정보를 반환 받아 해당 웹 페이지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T 인증 또는 증명은 NFT 발행에 이용되는 해시함수를 이용하며, 이러한 해시함수는 부가역적인 일 방향 함수로, 하나의 원본 대상물에 단 하나의 해시값만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NFT에 기록된 고유의 해시값을 역추적하여 그 해시값에 연결된 원본문서에 대한 문서이미지파일과 문서발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진위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400)는,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이 원본문서의 발행 당시의 문서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해당 문서의 동일 여부와 진위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존재하지 않는 코드(즉, 고유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위조 문서로 리턴 되어 문서가 진품이 아님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문서 소유권 양도 중개 서비스 제공부(500)는, 제3자를 대상으로 NFT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의 소유권 판매, 위탁 및 증여 중 적어도 하나의 양도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되, 문서의 소유권 판매 및 위탁 시 미리 책정된 금액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결제 서비스에 의한 수익의 일부를 상기 발행자(또는 발행기관)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행자에게 전달된 NFT는 발행 시 등록된 문서 정보를 기반으로 발행된 것이므로, 온라인 상에서 해당 문서를 배포 또는 유통하는 과정에서 소유권을 입증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온라인 상에서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NFT를 소유하고 있는 발행자는 해당 NFT의 소유권을 제3자에게 판매 또는 위탁, 전달(증여)이 가능함으로써 최초 문서의 발행자에게 별도의 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600)는, 생체정보 업로드용 웹 페이지를 통해 문서원본소유자의 홍채인식정보 및 지문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인식정보, 및 증빙대상문서의 발행일시정보를 각각 업로드 받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인증정보 중 웹 페이지를 통해 업로드 된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인증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프로세스가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는 생체인증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프로세스가 실행 불가하도록 제어 또는 통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문서원본 소유자(발행자 또는 발행기관에서 원본문서를 수여 받은 자)의 통신단말(10)을 통해 해당 소유자의 지문이나 홍채 등의 생체정보를 웹 사이트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①)하면, 통합 관리 서버(20)는 해당 소유자가 소유하는 원본문서에 대한 문서발행정보 즉 발행자정보와 발행일시정보를 업로드 된 해당 생체정보의 메타데이터로 입력하여 생체인증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생체인증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②).
이후, 문서원본 소유자가 자신이 소유한 문서에 대하여 제3자에게 진위 여부를 확인시켜주거나, 판매하기 위하여 해당 문서에 존재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생체인증 프로세스부터 수행해야 한다. 이때, 생체인증 프로세스를 수행을 통해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고유식별정보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못하므로, 생체인증 프로세스부터 수행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문서원본 소유자가 자신의 생체정보를 제3자의 통신단말(30)을 통해 입력하면 웹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 관리 서버(20)의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600)에 업로드 되며, 이와 동시에 해당 문서에 대한 문서정보 즉 발행자정보 및 발행일시정보를 입력 받아 해당 생체정보와 함께 통합 관리 서버(20)의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6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600)는 업로드 된 생체정보 및 문서정보와 일치하는 생체인증정보가 데이터베이스(40)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생체인증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④)되면, 제3자에게 생체정보에 대한 존재확인 즉 생체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는 사실을 알린 후, 증빙하고자 하는 문서에 존재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입력하여 후속의 문서 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프로세스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40)에 해당 생체인증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3자의 통신단말(30)을 통해 고유식별정보의 코드 값을 입력하더라도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한 인증 프로세스의 실행이 불가하도록 통제되어 있으므로, 고유식별정보와 NFT를 이용한 해당 문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원본문서의 도난, 도용과 원본 소유자의 신분위조 등을 통해서도 문서의 진위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격증, 졸업장, 표창장, 감사패, 인증서, 계약서 등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는 다양한 발행 문서에 대한 진위 여부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증명할 수 있으며, 발행자 또는 발행 기관이 문서의 진위 여부에 대한 협조가 불가능하거나 진위 여부에 대해 발행 사실을 부정하거나, 또는 발행 기록 폐기 및 발행 사실에 대한 위/변조를 할 수 없도록 제3기관에 의한 확실한 인증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문서 정보가 존재하는 한 제3자에 의한 문서 위조 및 폐기 등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행자가 발행 당시 전달받은 NFT는 외부에 판매 및 전달 등이 가능하므로 발행 문서에 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상자가 과거에 받았던 최초 논문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문서정보가 등록된 경우 해당 논문은 누구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초의 발행 기관(대학교)은 해당 문서의 NFT를 소유함으로써 이후 유통 및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100: 문서 등록부
200: NFT 발행부
300: 고유식별정보 발급부
400: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
500: 문서 소유권 양도 중개 서비스 제공부
600: 생체정보 인증 제어부

Claims (6)

  1. 발행자에 의한 문서 최초 발행 시 문서이미지파일 및 문서발행정보를 포함한 문서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등록하는 문서 등록부;
    상기 문서정보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상기 NFT와 매칭된 고유식별정보를 발급하되, 해당 문서의 원본 인쇄물에 부착 가능하거나 상기 문서이미지파일에 첨부 가능한 형태로 발급하는 고유식별정보 발급부;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인식 시 상기 NFT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웹 페이지 상에서 상기 문서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QR 코드, 바코드 및 고유일련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발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는,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QR 코드 및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2차원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2차원코드가 스캔을 통해 인식되면, 상기 2차원코드에 포함된 URL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2차원코드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NFT를 이용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문서정보를 반환 받아 해당 웹 페이지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공증정보 제공부는,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고유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홈 페이지를 통해 상기 고유일련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고유일련번호와 매칭된 NFT를 이용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문서정보를 반환 받아 해당 홈 페이지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발행정보는,
    해당 문서의 내용, 발행자의 정보 및 해당 문서의 발행일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제3자를 대상으로 상기 NFT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의 소유권 판매, 위탁 및 증여 중 적어도 하나의 양도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문서의 소유권 판매 및 위탁 시 미리 책정된 금액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결제 서비스에 의한 수익의 일부를 상기 발행자에게 지급하는 문서 소유권 양도 중개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KR1020220080284A 2022-06-30 2022-06-30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Pending KR20240003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84A KR20240003151A (ko) 2022-06-30 2022-06-30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84A KR20240003151A (ko) 2022-06-30 2022-06-30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151A true KR20240003151A (ko) 2024-01-08

Family

ID=8953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84A Pending KR20240003151A (ko) 2022-06-30 2022-06-30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1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90B1 (ko) 2010-10-22 2011-06-17 (주) 아이앤텍 바코드를 이용한 발급문서 진위확인 방법 및 장치
KR102340588B1 (ko)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90B1 (ko) 2010-10-22 2011-06-17 (주) 아이앤텍 바코드를 이용한 발급문서 진위확인 방법 및 장치
KR102340588B1 (ko) 2021-05-11 2021-12-21 주식회사 와이콘즈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객체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객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1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validating certified electronic credentials
US6904416B2 (en) Signature verification using a third party authenticator via a paperless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JP202151948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内でコード及びイメージを用い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7762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storage and retrieval of authenticated original documents
JP3754565B2 (ja) 電子印鑑マーク認証システム
US20160217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Controlled Authentication
EA003620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электронной передачи, хранения и извлечения аутентифицирова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US20090182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Transaction Validation
US20030051144A1 (en) Dynamic electronic chain-of-trust document with audit trail
EP0983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permits
US20240388457A1 (en) System and method with cryptography for transferring recordation and management authority over a real property title to a blockchain ledger
Hsu et al. Design of an e-diploma system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and facial recognition
WO2008070335A2 (en) Notary document processing and storage system and methods
US20170352039A1 (en) Counterfeit Prevention and Detection of University and Academic Institutions Documents Using Unique Codes
WO20200212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hains of custody
WO2009098706A2 (en) Electronically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and sharing of document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US20240403403A1 (en) Identity verification and associated platform
Shakila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digital certificat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using blockchain-based technology
WO20000573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lectronic documents
KR20240003151A (ko) 고유식별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문서 공증 시스템
KR102271647B1 (ko) 데이터 상호 공유 오브젝트 검증을 통한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WO1999017255A1 (fr) Procede et appareil d'authentification d'une carte a circuit integre
JP2005284327A (ja) 領収書発行システム
Christensen Electronic land dealings in Canada, New Zealand and the United Kingdom: lessons for Australia
KR101876671B1 (ko) 서버 사이의 통신을 통한 전자 서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