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925U -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Google Patents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1925U KR20240001925U KR2020230001022U KR20230001022U KR20240001925U KR 20240001925 U KR20240001925 U KR 20240001925U KR 2020230001022 U KR2020230001022 U KR 2020230001022U KR 20230001022 U KR20230001022 U KR 20230001022U KR 20240001925 U KR20240001925 U KR 2024000192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wallet
- outer pocket
- transpor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45C2001/065—Wallets; Notecases combined with card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된 카드들이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요금지불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성의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우 양측이 중첩도록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되며, 내부에는 전자파차단층(14)이 형성된 지갑본체(10);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포켓(20); 및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된 외부포켓(30);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포켓(30)에 수납된 카드(2)만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우 양측이 중첩도록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되며, 내부에는 전자파차단층(14)이 형성된 지갑본체(10);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포켓(20); 및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된 외부포켓(30);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포켓(30)에 수납된 카드(2)만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카드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카드가 보관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요금지불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카드만 인식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에 관한 것이다.
교통카드는 버스나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 이용 시 현금을 대신하여 교통 요금을 결제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교통카드 사용자는 버스나 지하철 게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카드 단말기에 자신이 소유한 교통카드를 접촉하거나 근접시켜서 해당 교통카드가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교통 요금을 결제한다.
이때, 교통카드 단말기는 사용자의 교통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파를 해당 교통카드로 전파하고, 이 전자파에 의해 해당 교통카드 안에 설치된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교통카드의 정보를 인식한다.
한편, 사용자의 지갑에 복수의 교통카드가 들어 있거나 교통카드와 더불어 신용카드들이 들어 있는 경우, 교통카드 단말기에서 하나의 교통카드를 인식하지 못하고 다른 신용카드를 다중 인식하여 정상적인 결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마다 지갑에서 교통카드를 꺼내서 단말기에 인식시켜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수납된 카드들이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요금지불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성의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좌우 양측이 중첩도록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되며, 내부에는 전자파차단층(14)이 형성된 지갑본체(10);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포켓(20); 및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된 외부포켓(30);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포켓(30)에 수납된 카드(2)만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포켓(30)은 투입구의 코너부위가 절취되어, 외부포켓(30)에 수납된 카드(2)의 코너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내부포켓(20)에 수납된 카드는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되지 않고 외부포켓(30)에 수납된 카드만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된다. 따라서 카드지갑에 여러 장의 카드가 수납되어 있더라도 카드가 다중으로 인식되지 않으므로 교통수단 이용시에 지갑에서 카드를 꺼내서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시킬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절첩된 상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지갑본체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상기 실시예의 외부포켓에 수용된 카드의 인출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6b과 도 6c는 상기 실시예의 외부포켓에 수용된 카드의 인출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지갑본체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상기 실시예의 외부포켓에 수용된 카드의 인출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6b과 도 6c는 상기 실시예의 외부포켓에 수용된 카드의 인출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이 중첩되도록 접히는 지갑본체(10), 지갑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포켓(20), 지갑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포켓(30)을 포함한다.
상기 지갑본체(10)는 좌우로 긴 직사각형태로 되어 좌우 양측이 중첩되도록 중앙부가 절첩된다. 이러한 지갑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피(12) 사이에 전자파차단층(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전자파차단층(14)은 도전성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외피(12) 사이에 알루미늄, 금, 은, 동 등의 금속박막을 개재시키거나 또는 이들 금속을 증착시키거나 이들 금속분말이 함유된 코팅제를 코팅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전자파차단층(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포켓(20)에 보관된 카드와 교통카드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교환과 유도전류 발생이 방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부포켓(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갑본체(10)의 내측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지갑본체(10)를 절첩시키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전자파차단층(14) 내측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외부포켓(30)은 지갑본체(10)의 일측 외측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포켓(30)의 투입구 코너부위가 일부 절취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포켓(30)에 카드(2)를 수납시키면 카드(2)의 코너부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를 꺼낼 때 카드(2)의 외부포켓(30) 외부로 노출된 부위를 손으로 잡고 빼낼 수 있으므로, 카드(2)를 좀 더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내부포켓(20)과 외부포켓(30)에 카드를 수납하여 사용하는데, 외부포켓(30)에는 교통요금지불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수납시킨다. 이와 같이 내부포켓(20)과 외부포켓(30)에 카드를 수납시키고 교통카드 단말기에 본 고안을 근접시키면 전자파차단층(14)에 의해 교통카드 단말기와 내부포켓(20)에 수납된 카드 사이에는 데이터 교환과 유도전류 발생이 방해되어 내부포켓(20)에 수납된 카드는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되지 않는다. 반면,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만 교통카드 단말기와 데이터 교환과 유도전류 현상이 발생되어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에서 교통요금이 지불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여러 장의 카드가 지갑에 수납되어 있더라도 외부포켓(30)에 수납된 하나의 카드만 교통가드 단말기에 인식되므로, 사용자가 교통수단 이용시에 지갑에서 카드를 꺼내서 단말기에 인식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포켓(30)의 투입구에 대향되는 부위, 즉, 외부포켓(30)의 하단부에는 외부포켓(30)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32)에 의해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는 카드(2)의 표면이 외부포켓(30) 내측면에 밀착되어 잘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외부포켓(30)에서 카드(2)를 꺼내야 하는 경우에 카드(2)를 꺼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상기 개구부(32)를 통해 카드(2)의 단부를 외부포켓(30)의 투입구 측으로 밀면 카드(2)를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포켓(30)의 투입구에 대향되는 하단부에는 절개선(33)에 의해 플랩(34)이 형성되어, 이 플랩(34)을 들어 올리면 외부포켓(30)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구부(35)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5)에 의해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카드(2)를 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랩(34)을 들어 올려서 상기 개구부(35)를 통해 카드(2) 일단이 노출되도록 한 다음, 카드(2)를 외부포켓(30)의 투입구 측으로 밀어서 카드(2)를 꺼낸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플랩(34)에 의해 개구부(35)가 커버되므로 개구부(35)를 통해 외부포켓(3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개구부(35)가 형성된 것이 외관상 티 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랩(34)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랩(34) 내측면에는 점착층(미도시)이 형성되어, 플랩이(34)이 임의로 개방되어 덜렁거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플랩(34)을 들어 올리는 경우에만 개구부(35)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2. 카드
10. 카드본체
12. 외피 14. 전자파차단층
20. 내부포켓
30. 후면커버 32, 35. 개구부
33. 절개선 34. 플랩
10. 카드본체
12. 외피 14. 전자파차단층
20. 내부포켓
30. 후면커버 32, 35. 개구부
33. 절개선 34. 플랩
Claims (4)
- 좌우 양측이 중첩도록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되며, 내부에는 전자파차단층(14)이 형성된 지갑본체(10);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포켓(20); 및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지갑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된 외부포켓(30);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포켓(30)에 수납된 카드(2)만 교통카드 단말기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포켓(30)은 투입구의 코너부위가 절개되어, 외부포켓(30)에 수납된 카드(2)의 코너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포켓(30)의 투입구에 대향되는 하단부에는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의 하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32)를 통해 상기 카드(2)를 외부포켓(30)의 투입구 측으로 밀어서 카드(2)를 외부포켓(30)에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포켓(30)의 투입구에 대향되는 하단부에는 절개선(33)에 의해 플랩(34)이 형성되어, 상기 플랩(34)을 들어 올리면 외부포켓(30)에 수용된 카드(2)의 하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35)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34)의 내측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5)를 통해 상기 카드(2)를 외부포켓(30)의 투입구 측으로 밀어서 카드(2)를 외부포켓(30)에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1022U KR20240001925U (ko) | 2023-05-22 | 2023-05-22 |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1022U KR20240001925U (ko) | 2023-05-22 | 2023-05-22 |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925U true KR20240001925U (ko) | 2024-11-29 |
Family
ID=9366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0001022U Ceased KR20240001925U (ko) | 2023-05-22 | 2023-05-22 |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1925U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17019U (ko) | 1988-02-03 | 1989-09-06 | 이호성 | 지 갑 |
KR200442451Y1 (ko) | 2008-04-29 | 2008-11-10 | 유운곤 | 휴대용 카드지갑 |
KR101596741B1 (ko) | 2014-12-16 | 2016-02-24 | 주식회사 에스티아이모바일 | 히든 포켓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
2023
- 2023-05-22 KR KR2020230001022U patent/KR20240001925U/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17019U (ko) | 1988-02-03 | 1989-09-06 | 이호성 | 지 갑 |
KR200442451Y1 (ko) | 2008-04-29 | 2008-11-10 | 유운곤 | 휴대용 카드지갑 |
KR101596741B1 (ko) | 2014-12-16 | 2016-02-24 | 주식회사 에스티아이모바일 | 히든 포켓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5332555B2 (en) | Carrying devices for RF tokens | |
US7482925B2 (en) | Apparatus and method to electromagnetically shield portable consumer devices | |
JP3327560B2 (ja) | カード特にチップカードの読み取り装置 | |
JPH10503979A (ja) | 表面積を拡大されたクレジット/サービスカード | |
US11922245B2 (en) | Smart card system for holding multiple smart cards | |
US7395972B2 (en) | Data carrier or document carrier | |
JP2004188215A (ja) | 収納ケース | |
JP2003300579A (ja) | 非接触型記録媒体の収納容器 | |
GB2528316A (en) | RFID card wallet | |
KR102078333B1 (ko) | 전자파차폐필름 및 이를 이용한 양면형 전자파차폐 카드케이스 | |
KR200414158Y1 (ko) | 복수의 전파식별카드에 대한 다중인식 방지 가능한 케이스구조 | |
KR20240001925U (ko) | 카드다중인식방지 카드지갑 | |
KR20010000575U (ko) | 카드 케이스를 구비한 핸드폰 | |
JP2004527026A (ja) | 非接触式電子カード | |
US20130099005A1 (en) | Creditcard shield | |
US20250031818A1 (en) | Protective portable information-bearing card sleeve | |
JP7016970B2 (ja) | Icカードスリーブケース | |
JP2006110032A (ja) | 携帯用カード収納具 | |
KR200401714Y1 (ko) | 카드 주머니를 갖는 가방 | |
JP2007189628A (ja) |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通信波遮断具 | |
KR19990011250A (ko) | 복합 겸용 카드 | |
JP2007199888A (ja) | カードのスキミング防止構造 | |
KR200389190Y1 (ko) | Ic 카드용 전자파 차폐 시트 | |
JP2006313482A (ja) | 電磁波遮蔽体及び電磁波遮蔽方法 | |
JP3162735U (ja) | スキミングガード付き財布保持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305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41022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