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01457A -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457A
KR20240001457A KR1020220078122A KR20220078122A KR20240001457A KR 20240001457 A KR20240001457 A KR 20240001457A KR 1020220078122 A KR1020220078122 A KR 1020220078122A KR 20220078122 A KR20220078122 A KR 20220078122A KR 20240001457 A KR20240001457 A KR 20240001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ny
housing
waste vinyl
coupled
hous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희덕
곽상기
Original Assignee
곽희덕
곽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희덕, 곽상기 filed Critical 곽희덕
Priority to KR102022007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457A/ko
Publication of KR2024000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45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57Fluid-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27Particular press method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판부(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지판부(10)의 상면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상단부위에는 제1마대걸이단(22)이 마련되고 정면부위는 개방되는 격벽(21), 제2마대걸이단(26)이 마련되는 상단부위가 격벽(21)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격벽(21)의 정면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도어(25)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부(20); 개구된 하단부위가 격벽(21)의 제1마대걸이단(22) 및 배출도어(25)의 제2마대걸이단(26) 각각의 상단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하우징부(20)의 상측부위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부(30); 제2하우징부(30)의 하부 정면부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도어부(40);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에 마련되는 실린더(51), 일단부위는 실린더(51)와 연결되고 타측부위는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를 관통하며 제2하우징부(30)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로드(53), 가압로드(53)의 타단부위에 결합되는 가압판(55), 가압판(55)의 하면 중앙부위에 마련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돌출되는 가압단(57)이 구비되는 가압부(50);를 포함하는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Apparatus for compressing waste vinyl capable of readily processable each gunny bag}
본 발명은 폐비닐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대자루를 장치에 안치한 상태에서 마대자루 내부에 투입되어 적층된 폐비닐만을 압축한 다음, 마대자루의 개구부를 매우 용이하게 묶음 처리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의 일종인 비닐은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용도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산업현장은 물론이고 일반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은 땅에 매립하더라도 썩지 않을 뿐 아니라 소각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용도가 다한 폐비닐들은 분리 수거한 다음 재생과정을 거쳐 재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페비닐은 무게에 비해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분리 수거된 폐비닐을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압축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로 압축한 다음 재생 공장으로 반입하게 된다. 종래 일반적인 폐비닐 압축장치는, 호퍼(13)를 통해 폐비닐을 투입실(11)로 투입하면, 압축판(21)이 투입된 폐비닐을 압축실(12) 내부로 밀어 넣어 가압한 다음, 도어(14)를 통해 일정크기로 압축된 더미를 배출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일정 부피를 가지는 폐비닐을 압축판(21)에 의해 일정크기의 더미로 압축시킨다 할지라도, 더미가 도어(14)를 통해 배출되면 비닐은 그 특유의 물성으로 인해 부풀어 오르면서 부피가 커지게 된다. 때문에, 압축장치에 의해 폐비닐이 일정크기의 더미로 압축되면, 작업자들이 끈을 이용하여 더미들을 일일이 묶거나 또는 더미들을 일일이 마대자루에 넣는 후작업이 이어지는데, 이러한 후작업으로 인해 작업 능률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72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572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비닐에 대한 압축을 마대자루 단위로 수행하고, 압축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마대자루에 대한 간단한 묶음 처리를 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폐비닐 압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판부(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지판부(10)의 상면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상단부위에는 제1마대걸이단(22)이 마련되고 정면부위는 개방되는 격벽(21), 제2마대걸이단(26)이 마련되는 상단부위가 격벽(21)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격벽(21)의 정면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도어(25)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부(20); 개구된 하단부위가 격벽(21)의 제1마대걸이단(22) 및 배출도어(25)의 제2마대걸이단(26) 각각의 상단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하우징부(20)의 상측부위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부(30); 제2하우징부(30)의 하부 정면부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도어부(40);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에 마련되는 실린더(51), 일단부위는 실린더(51)와 연결되고 타측부위는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를 관통하며 제2하우징부(30)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로드(53), 가압로드(53)의 타단부위에 결합되는 가압판(55), 가압판(55)의 하면 중앙부위에 마련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돌출되는 가압단(57)이 구비되는 가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21) 및 배출도어(25) 각각의 상단 내면부위에는 제1, 2마대걸림단(23, 27) 각각이 제1하우징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투입도어부(40)는, 하단부위가 제2하우징부(30)의 하부 정면부위에서 힌지 회동하며 제2하우징부(3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투입도어(41), 전방부위에는 제2하우징부(30)의 일측면부위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걸이핀(42)과 체결되는 걸림고리(44)가 마련되고 후방부위는 제2하우징부(30)의 일측면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4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폐비닐만을 압축하여 더미로 배출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장치 내부에 마대자루를 안치한 상태에서 페비닐을 마대자루 내부에 투입되어 적층되는 폐비닐만을 압축한 다음 마대자루를 장치 내부에서 묶음 처리하여 마대자루별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생을 위한 폐비닐 압축 작업 과정에서의 작업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한 경제성을 역시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비닐에 대한 압축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 마대자루에 대한 묶음 작업 과정에서 압축된 폐비닐이 부풀어 올라 부피가 증대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력을 가하여 마대자루의 조임끈을 당기게 되면 마대자루의 개구부가 자연스럽게 폐쇄되면서 묶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마대자루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압축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압축장치에 있어 제1하우징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압축장치에 있어 투입도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e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압축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5는 종래 폐비닐 압축장치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마대자루의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지지판부(10), 제1, 2하우징부(20, 30), 투입도어부(40), 가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지지판부(10)는 본 발명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일정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부(10)의 하면은 지면에 밀착되고, 상면은 후술할 제1하우징부(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제1하우징부(20)는 도 4a와 같이, 마대자루(A)가 거치되는 부분이며, 거치된 마대자루(A)에 폐비닐이 투입되면, 폐비닐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 공간을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상측부위가 개구되는 격벽(21) 및 배출도어(25)로 이루어진다.
격벽(21)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개별 격판이 결합되어 정면 부위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격벽(21)을 이루는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지판부(10)의 상면부위에 결합되고, 격벽(21)을 이루는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 수직 높이로 연장된다. 도면에는 ㄷ 자 구조의 격벽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일 뿐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격벽(21) 각각의 상단부위에는 제1마대걸이단(22)이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1마대걸이단(22)이 격벽(21) 각각의 상단부위에서 단순 돌출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마대자루의 용이한 걸이를 위해 제1마대걸이단(22)이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배출도어(25)는 제2하우징부(2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부분으로, 상단부위가 격벽(21)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격벽(21)의 정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과 같이, 배출도어(25)는 그 일측부위가 제1하우징부(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출도어(25)의 상단부위에는 제2마대걸이단(26)이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2마대걸이단(26)이 배출도어(25)의 상단부위를 이루는 단순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제1마대걸이단(22)과 유사하게 마대자루의 용이한 걸이를 위해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각각과 같이, 격벽(21) 및 배출도어(25) 각각의 상단 내면부위에 제1, 2마대걸림단(23, 27) 각각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때, 제1, 2마대걸림단(23, 27) 각각은 격벽(21) 및 배출도어(25) 각각의 상단 내면부위에서 제1하우징부(2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20)는 폐비닐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폐비닐의 경우 그 특성상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압축이 되나,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압축 상태 역시 쉽게 해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폐비닐의 압축 상태가 일정부분 유지될 수 있도록, 마대자루가 안치되어 밀착되는 격벽(21) 및 배출도어(25)의 상단 내면부위에 제1, 2마대걸림단(23, 27)를 돌출 형성시키고 있는 것이다.
도면에는 제1, 2마대걸림단(23, 27)이 도어(25) 및 도어(25)와 대향하는 격벽(21)에만 형성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격벽(21) 모두에 제1마대걸림단(23)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1, 2마대걸림단(23, 27) 각각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면과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제2하우징부(30)는 폐비닐이 투입되고, 후술할 가압부(5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하측부위가 개구되어 제1하우징부(20)의 상측부위에 위치한다. 이때, 도 1과 같이, 제2하우징부(30)의 개구된 하단부위는 격벽(21)의 제1마대걸이단(22) 및 배출도어(23)의 제2마대걸이단(24) 각각의 상단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제1, 2마대걸이단(22, 26)이 마련되는 제1하우징부(10)의 상단부위와 제2하우징부(30)의 개구된 하단부위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게 되면, 제1하우징부(20) 내부공간에 마대자루를 용이하게 안치하고, 마대자루 내부에 폐비닐이 투입되어 압축되면, 그 상태에서 마대자루의 개구부를 묶음 처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투입도어부(40)는 제2하우징부(3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부분으로, 제2하우징부(30)의 하부 정면부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투입도어부(40)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투입도어(41) 및 고정바(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입도어(41)는 그 하단부위가 제2하우징부(30)의 하부 정면부위에서 힌지 회동하며 제2하우징부(3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한다. 고정바(43)는 그 후방부위가 제2하우징부(30)의 일측면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전방부위에는 제2하우징부(30)의 일측면 하측부위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걸이핀(42)과 체결되는 걸림고리(44)가 마련된다. 도면부호 45는 고정바(43)의 손잡이다.
가압부(50)는 폐비닐을 압축시키는 부분으로, 실린더(51), 가압로드(53), 가압판(55), 가압단(5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51)는 통상적인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에 마련된다. 가압로드(53)는 그 일단부위가 실린더(51)와 연결되고, 그 타측부위는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를 관통하며 도 3과 같이 제2하우징부(30)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연장된다.
가압판(55)은 폐비닐을 압축하기 위한 부분으로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가압로드(53)의 타단부위에 결합된다. 가압단(57)은 가압판(55)과 함께 폐비닐을 압축하는 부분으로, 가압판(55)의 하면 중앙부위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가압단(57)은 도면과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페비닐에 대한 압축이 완료된 다음 마대자루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묶음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한다. 도면에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단의 형상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감소하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부호 1은 공압 조절게이지이며, 도면부호 3은 공압 튜브이다. 공압 튜브(3)의 타단부위는 미도시된 펌프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설명부분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배출도어(25)를 개방하고(도 2의 ① 참조), 마대자루(A)를 제1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삽입한 다음, 마대자루(A)의 개구부를 제1하우징부(20)의 상단부위를 통해 노출시킨 상태로 배출도어(25)를 폐쇄한다(도 2의 ② 참조). 마대자루(A)가 제1하우징부(2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면, 마대자루(A)의 개구부를 펼쳐 제1, 2마대자루걸이단(22, 26)에 건다(도 4a 참조).
이 상태에서, 제2하우징부(30)의 투입도어(41)를 개방한 다음, 개방된 제2하우징부(30)의 내부공간으로 폐비닐(V)을 투입한다(도 3 및 도 4b 각각의 ④ 참조). 폐비닐(V)이 투입되면, 투입되는 폐비닐(V)은 마대자루(A) 내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폐비닐(V)이 일정량 이상 마대자루(A) 내부로 적층되면, 투입도어(41)를 폐쇄하고 실린더(51)를 일방향으로 작동시킨다(도 3의 ⑤ 참조).
실린더(51)가 일방향으로 작동하면, 가압로드(53)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가압로드(53)의 하단부위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판(55) 및 가압단(57)이 마대자루(A)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폐비닐(V)을 압축한다(도 4c의 ⑥ 참조). 이러한, 폐비닐(V) 투입 및 가압판(55) 및 가압단(57)에 의한 압축 작업은 마대자루(A) 내부에 폐비닐(V)이 충전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대자루(A) 내부에 적층된 폐비닐(V)에 대한 압축 작업이 완료되면, 실린더(51)를 타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실린더(51)가 타방향으로 작동되면, 가압로드(53)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대자루(A) 내부에 적층된 폐비닐(V)을 압축하고 있던 가압판(55) 및 가압단(57) 역시 서서히 원위치로 복귀한다(도 4d의 ⑦ 참조).
이때, 실린더(51)의 타방향 작동은 가압판(55) 및 가압단(57)이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계속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가압판(55) 및 가압단(57)이 제1하우징부(20)의 상단부위와 제2하우징부(30)의 하단부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 공간에 위치할 때까지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동은 사전에 미리 설계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판(55) 및 가압단(57)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가압력이 해제되면, 마대자루(A) 내부에 압축되어 있던 폐비닐(V)의 압력 상태가 일부 해소되면서 압축된 폐비닐(V)의 부피가 팽창하게 되나, 마대자루(A)의 상측부위가 격벽(21) 및 배출도어(25)에 마련된 제1, 2마대걸림단(23, 27) 각각에 밀착되면서 폐비닐(V)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며 압축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4d의 화살표 참조).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마대자루(A)의 개구부에 마련되어 있는 조임끈(a)을 당긴다. 마대자루(A)의 조임끈(a)이 당겨지면, 마대자루(A)의 개구부는 서서히 좁혀지면서 가압단(57)의 외면부위와 밀착된다(도 4e의 ⑧ 참조). 마대자루(A)의 개구부가 가압단(57)의 외면부위와 밀착된 상태에서 조임끈(a)을 더 당기면, 마대자루(A)의 개구부는 가압단(57)의 외면부위를 따라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완전히 폐쇄되어 묶이게 된다.
마대자루(A)에 대한 묶임 작업이 완료되면, 배출도어(25)를 개방하여 묶임 작업이 완료된 마대자루(A)를 외부로 반출하고(도 2의 ⑨ 참조), 실린더(51)를 다시 타방향으로 작동시켜, 가압판(55) 및 가압단(57)을 도 3과 같은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면서 다음 작업을 준비하고, 이로서 본 발명에 작동은 종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폐비닐만을 압축하여 더미로 배출시키지 않고, 마대자루 자체를 장치에 안치한 다음, 마대자루 내부에 폐비닐을 투입한 다음 압축 작업을 수행하고, 압축이 완료되면 가압단을 이용하여 마대자루의 개구부를 묶음 처리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와 달리 작업의 능률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장치가 수직으로 설치된 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작동 구성 역시 이러한 수직 설치 예를 기준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특징이 훼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장치는 도 5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설치되는 압축장치 역시 전술한 작동 구성과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지지판부 20 : 제1하우징부
21 : 격벽 22 : 제1마대걸이단
23 : 제1마대걸림단 25 : 배출도어
26 : 제2마대걸이단 27 : 제2마대걸림단
30 : 제2하우징부 40 : 투입도어부
41 : 투입도어 42 : 걸이핀
43 : 고정바 44 : 걸림고리
50 : 가압부 51 : 실린더
53 : 가압로드 55 : 가압판
57 : 가압단 A : 마대자루
a : 조임끈

Claims (3)

  1. 지지판부(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지판부(10)의 상면부위에 결합되고 각각의 상단부위에는 제1마대걸이단(22)이 마련되고 정면부위는 개방되는 격벽(21), 제2마대걸이단(26)이 마련되는 상단부위가 격벽(21)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격벽(21)의 정면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도어(25)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부(20);
    개구된 하단부위가 격벽(21)의 제1마대걸이단(22) 및 배출도어(25)의 제2마대걸이단(26) 각각의 상단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하우징부(20)의 상측부위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부(30);
    제2하우징부(30)의 하부 정면부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도어부(40);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에 마련되는 실린더(51), 일단부위는 실린더(51)와 연결되고 타측부위는 제2하우징부(30)의 상면부위를 관통하며 제2하우징부(30)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로드(53), 가압로드(53)의 타단부위에 결합되는 가압판(55), 가압판(55)의 하면 중앙부위에 마련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돌출되는 가압단(57)이 구비되는 가압부(50);를
    포함하는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1) 및 배출도어(25) 각각의 상단 내면부위에는 제1, 2마대걸림단(23, 27) 각각이 제1하우징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도어부(40)는, 하단부위가 제2하우징부(30)의 하부 정면부위에서 힌지 회동하며 제2하우징부(3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투입도어(41), 전방부위에는 제2하우징부(30)의 일측면부위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걸이핀(42)과 체결되는 걸림고리(44)가 마련되고 후방부위는 제2하우징부(30)의 일측면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KR1020220078122A 2022-06-27 2022-06-27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Ceased KR20240001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22A KR20240001457A (ko) 2022-06-27 2022-06-27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22A KR20240001457A (ko) 2022-06-27 2022-06-27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457A true KR20240001457A (ko) 2024-01-03

Family

ID=8953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22A Ceased KR20240001457A (ko) 2022-06-27 2022-06-27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4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204B1 (ko) 2002-08-22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5722B1 (ko) 2018-02-19 2019-08-28 최종율 폐비닐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204B1 (ko) 2002-08-22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5722B1 (ko) 2018-02-19 2019-08-28 최종율 폐비닐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1752A (en) Packaging of compressible goods
CN205221647U (zh) 气压式便捷垃圾桶
CN204977536U (zh) 一种可连续喂料的打包机
CN102173315B (zh) 智能型一体化全自动茶叶真空包装机
KR20240001457A (ko)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US7322286B2 (en) Device for compacting waste in a container, especially a household bin
CN112110086B (zh) 一种垃圾回收装置中的开袋机构
CN104139896A (zh) 一种垃圾包装机包装装置的包装方法
CN207842129U (zh) 一种化工废料回收装置
CN212333619U (zh) 一种具有抽真空打包功能的垃圾收集系统
CN111605777B (zh) 具有抽真空打包功能的垃圾收集系统及其控制方法
CN207716997U (zh) 一种垃圾气力输送系统的垃圾投放箱用垃圾高度探测器
CN204310084U (zh) 一种松散物料的压缩打包装置
CN1189409A (zh) 纺织纤维打包机及其包箱
KR101098663B1 (ko) 쓰레기 압축 장치
CN106809427A (zh) 一种棉絮专用打包机
CN208469123U (zh) 一种羊绒边角料回收压缩机
CN220975205U (zh) 方便封箱的木制打包箱
CN211139784U (zh) 一种方便收置过滤纸的装置
CN204844931U (zh) 微型打包机
KR200206856Y1 (ko) 압축포장기
CN217575707U (zh) 压箱打捆机
CN213109922U (zh) 一种棉被封装存放机
CN209905633U (zh) 一种新型挂桶式垃圾压缩箱
RU2058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аковк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