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898U - 퓨즈 홀더 - Google Patents
퓨즈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0898U KR20240000898U KR2020220002712U KR20220002712U KR20240000898U KR 20240000898 U KR20240000898 U KR 20240000898U KR 2020220002712 U KR2020220002712 U KR 2020220002712U KR 20220002712 U KR20220002712 U KR 20220002712U KR 20240000898 U KR20240000898 U KR 2024000089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e
- lower case
- connector
- led substrate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조립 공정을 감소시키고 작업 공정이 개선되며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퓨즈 홀더가 개시된다. 퓨즈 홀더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퓨즈컨넥터; 상기 한 쌍의 퓨즈컨넥터 사이에 고정되는 퓨즈; 상기 퓨즈컨넥터 사이를 연결하며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끊어지면 켜지는 LED 기판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퓨즈컨넥터, 퓨즈 및 LED 기판부를 덮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퓨즈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구조를 최적화 변경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개선되고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는 퓨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자제품들은 많은 전장품들을 함께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전압변동 등의 외부요인이나 전장품의 쇼트 등에 의한 과전류가 인입되면, 전장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혀 고장을 유발할 뿐 아니라 화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로에 퓨즈를 구비함으로써, 과전류의 인입시 퓨즈가 오픈되도록 하여 과전류에 의한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퓨즈 홀더는 DIP LED 컷팅, 밴딩, 납땜, 볼트체결과 같이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고, 인로 인해 인건비가 증가하며 제작 효율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조립 공정을 감소시키고 작업 공정이 개선되며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퓨즈 홀더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퓨즈 홀더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퓨즈컨넥터; 상기 한 쌍의 퓨즈컨넥터 사이에 고정되는 퓨즈; 상기 퓨즈컨넥터 사이를 연결하며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끊어지면 켜지는 LED 기판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퓨즈컨넥터, 퓨즈 및 LED 기판부를 덮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LED 기판부는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퓨즈컨넥터에 상기 LED 기판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압착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퓨즈컨넥터는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볼트의 체결을 통해 퓨즈컨넥터의 압착연결부가 LED 기판부에 압착되어 퓨즈컨넥터와 LED 기판부 사이가 연결된다.
상기 퓨즈컨넥터는, 일측에 전선과 연결되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퓨즈를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연결부는 전선 연결부위의 반대측 평판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LED 기판부를 향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양측에 하부케이스를 향해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에 홈이 형성되어 LED 작동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LED 기판부는 퓨즈컨넥터에 연결되어 일체화 됨으로써, 퓨즈연결, 저항, 조명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찬넬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면에 후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찬넬에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텐션부가 구비되어, 상기 텐션부가 후크부에 걸려 하부케이스가 찬넬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퓨즈 홀더는 조립 공정을 감소시키고 작업 공정이 개선되며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제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컨넥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 예에 따른 퓨즈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컨넥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의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 예에 따른 퓨즈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퓨즈 홀더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 홀더(1)는 하부케이스(20)와, 퓨즈컨넥터(40)와, 퓨즈(30)와, LED 기판부(50) 및 상부케이스(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은 찬넬(7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하며, 폭 방향은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도 6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하부케이스(20)는 찬넬(70)의 상부에 고정된다. 찬넬(70)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찬넬(70)의 폭 방향 양측에 텐션부(71)가 구비된다. 텐션부(71)는 찬넬(70)에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하부케이스(20)의 하면에 후크부(71)가 구비된다. 찬넬(70)의 텐션부(71)는 하부케이스(20)의 후크부(29)에 걸려 하부케이스(20)가 찬넬(70)에 고정된다. 찬넬(70)의 텐션부(71)는 하부케이스(20)의 후크부(29)에 텐션으로 조립되어, 후크부(29)가 텐션부(7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을 유지한다.
퓨즈컨넥터(40)는 하부케이스(2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퓨즈컨넥터(40)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퓨즈(30)가 3개 구비된 3P타입을 도시하였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2P타입 또는 1P타입 또는 그 밖의 다양한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퓨즈컨넥터(40)는 3쌍이 구비된다.
퓨즈(30)는 한 쌍의 퓨즈컨넥터(40) 사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퓨즈컨넥터(40)는 평판부(48)와, 지지부(41) 및 압착연결부(42)를 구비한다. 평판부(48)는 일측에 전선과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홀(43)이 형성된다. 지지부(41)는 평판부(48)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퓨즈(30)를 탄력적으로 고정한다.
아울러, 지지부(41)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퓨즈(3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유선형의 내측면을 갖는 한 쌍의 클립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클립부재 사이에 퓨즈(30)가 삽입되어 퓨즈(30)는 퓨즈컨넥터(40)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며 연결된다.
압착연결부(42)는 퓨즈컨넥터(4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LED 기판부(50)의 상면에 접촉된다. 압착연결부(42)는 전선 연결부위의 반대측 평판부(48)에서 일체로 연장된다. 즉, 압착연결부(42)는 폭 방향으로 케이블홀(43)의 반대측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압착연결부(42)의 연장 부위가 LED 기판부(50)의 연결부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압착연결부(42)는 굴곡부를 갖는다. 굴곡부는 LED 기판부(50)를 향해 하부 방향으로 대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퓨즈컨넥터(40)는 하부케이스(20)의 바닥면에 볼트(46)로 체결된다. 즉, 볼트(46)는 퓨즈컨넥터(40)의 평판부(48)에 형성된 홀과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하부케이스(20)에 스크류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볼트(46)의 체결을 통해 퓨즈컨넥터(40)의 압착연결부(42)가 LED 기판부(50)에 압착되어 퓨즈컨넥터(40)와 LED 기판부(50) 사이가 연결된다. 퓨즈(30)는 과전류가 흐르면 녹아서 끊어짐으로써 전기회로를 차단시키는 장치이다. 아울러, 퓨즈 홀더(1)는 퓨즈컨넥터(40)에 의해 퓨즈(30)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만들어진다.
LED 기판부(50)는 마주하는 한 쌍의 퓨즈컨넥터(40) 사이를 연결하며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끊어지면 켜지도록 이루어진다. LED 기판부(50)는 길이 방향으로 매우 짧고 폭 방향으로도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폭 방향 길이는 한 쌍의 퓨즈컨넥터(40) 사이의 이격 거리만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기판부(50)는 하부케이스(20)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LED 기판부(50)는 퓨즈컨넥터(40)에 연결되어 일체화 됨으로써, 퓨즈연결, 저항, 조명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모듈화 된다. LED 기판부(50)의 LED는 과전류가 퓨즈(30)에 흘러 끊어지면 발광함으로써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부케이스(10)는 하부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퓨즈컨넥터(40), 퓨즈(30) 및 LED 기판부(50)를 덮는 커버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케이스(10)의 양측에는 측벽부(11)가 구비된다. 측벽부(11)는 하부케이스(20)를 향해 하부로 연장된다. 측벽부(11)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요입된 홈(16)이 형성된다.
퓨즈(30)가 끊어져 LED 기판부(50)의 LED가 동작하면 빛이 케이스의 기둥을 타고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해진다. 결국, 측벽부(11)에 형성된 홈(16)을 통해 LED 작동시 시인성을 향상킬 수 있다. 상부케이스(10)의 상단에는 기둥(16)이 돌출 형성되고, 기둥(16)의 측면이 R형상으로 이루어져 퓨즈(30)의 탈부착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퓨즈 홀더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퓨즈 홀더
10: 상부케이스 11: 측벽부
15: 기둥 16: 홈
20: 하부케이스 29: 후크
30: 퓨즈 40: 퓨즈컨넥터
41: 지지부 42: 압착연결부
43: 케이블홀 46: 볼트
48: 평판부 50: LED 기판부
70: 찬넬 71: 텐션부
10: 상부케이스 11: 측벽부
15: 기둥 16: 홈
20: 하부케이스 29: 후크
30: 퓨즈 40: 퓨즈컨넥터
41: 지지부 42: 압착연결부
43: 케이블홀 46: 볼트
48: 평판부 50: LED 기판부
70: 찬넬 71: 텐션부
Claims (7)
-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퓨즈컨넥터;
상기 한 쌍의 퓨즈컨넥터 사이에 고정되는 퓨즈;
상기 퓨즈컨넥터 사이를 연결하며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끊어지면 켜지는 LED 기판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퓨즈컨넥터, 퓨즈 및 LED 기판부를 덮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부는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퓨즈컨넥터에 상기 LED 기판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압착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컨넥터는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볼트의 체결을 통해 퓨즈컨넥터의 압착연결부가 LED 기판부에 압착되어 퓨즈컨넥터와 LED 기판부 사이가 연결되는 퓨즈 홀더.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컨넥터는, 일측에 전선과 연결되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퓨즈를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연결부는 전선 연결부위의 반대측 평판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LED 기판부를 향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양측에 하부케이스를 향해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에 홈이 형성되어 LED 작동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부는 퓨즈컨넥터에 연결되어 일체화 됨으로써, 퓨즈연결, 저항, 조명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찬넬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면에 후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찬넬에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텐션부가 구비되어, 상기 텐션부가 후크부에 걸려 하부케이스가 찬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2712U KR200498925Y1 (ko) | 2022-11-18 | 퓨즈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2712U KR200498925Y1 (ko) | 2022-11-18 | 퓨즈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898U true KR20240000898U (ko) | 2024-05-27 |
KR200498925Y1 KR200498925Y1 (ko) | 2025-03-19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03611C (zh) | 电气配线盒以及组装该电气配线盒的方法 | |
KR101461300B1 (ko) | 퓨즈 유닛 | |
EP0810122B1 (en) | Flat cable connection structure | |
US8564964B2 (en) | Busbar-block mounting structure | |
US6905348B2 (en) | Circuit-connecting structure including a terminal piece | |
US20070145050A1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7905732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20130125162A (ko) |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 |
CN100514780C (zh) | 接线片和配电盒 | |
US20160204555A1 (en) | Battery direct-mounted fusible link | |
EP1649570B1 (en) | Junction block | |
US8641430B2 (en) | Bus bar edge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 |
US6916184B2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 |
US20050258764A1 (en) |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 |
KR20240000898U (ko) | 퓨즈 홀더 | |
KR200498925Y1 (ko) | 퓨즈 홀더 | |
CN100533892C (zh) | 电路组件和包括该组件的电气连接盒 | |
CN211502389U (zh) | 灯模块 | |
US679351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lead lines therefor | |
CN101651315B (zh) | 接线块 | |
CN100546139C (zh) | 接线块 | |
KR20100084891A (ko) | 퓨즈박스 | |
KR102324875B1 (ko) |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 |
KR200445701Y1 (ko) |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 |
EP1577977A1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11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4052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5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