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72504A -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504A
KR20230172504A KR1020237037539A KR20237037539A KR20230172504A KR 20230172504 A KR20230172504 A KR 20230172504A KR 1020237037539 A KR1020237037539 A KR 1020237037539A KR 20237037539 A KR20237037539 A KR 20237037539A KR 20230172504 A KR20230172504 A KR 20230172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retardation layer
laminate
based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스케 사이토
겐지 마츠노
마사히로 신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79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67759A/en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50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32B37/06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resulting in the laminate being partially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체를 구성하는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경우에도,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사이의 밀착성이 양호한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선 편광판과, 수계 접착제층과, 위상차층이 이 순서로 접합되고,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며,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적층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e with good adhesion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using a water-based adhesive even whe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near polarizer,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in this order,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ve a wavelength of 380 nm. A laminate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is provided.

Description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적층체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and further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aminate.

특허문헌 1에는, 편광자와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제안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proposes a polarizing plate with a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8-01799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8-017996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경우가 많다.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광선 투과율이 낮은 경우, 층 사이의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In a laminate including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are often bonded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Whe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d low light transmittance, there were cases where sufficient adhesion between the layers was not obtaine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자외선 파장 영역의 광으로 경화 반응이 진행되는 타입의 접착제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접합하는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자외선 파장 영역의 광선 투과율이 낮을 때에는, 층 사이의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A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 type of adhesive in which the curing reaction proceeds with light in the ultraviolet wavelength range is often used. Whe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to be joined have low light transmittances in the ultraviolet wavelength range, there are cases where sufficient adhesion between the layers cannot be obtained.

또한,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의 광선 투과율이 높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광으로 경화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가 의도하지 않게 경화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산 설비측에서의 대응이 필요해져, 적용이 곤란하였다.In addition, when using an adhesive that cures with light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where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near polarizer and retardation layer is high, response from the production facility is necessary to prevent the adhesive from curing unintentionally, making application difficult. It was difficult.

본 발명은 적층체를 구성하는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경우에도,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사이의 밀착성이 양호한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laminate with good adhesion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ven whe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Do it as

본 발명은 이하의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lamin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aminate.

[1] 직선 편광판과, 수계 접착제층과, 위상차층이 이 순서로 접합되고,[1] A linear polarizer,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in this order,

상기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며,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상기 직선 편광판 및 상기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적층체.A laminate wherei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2] 상기 수계 접착제층과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이 접하여 접합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적층체.[2] The lamin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re in contact and bonded.

[3] 상기 직선 편광판은, 편광자의 한쪽 또는 양쪽에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3] The linear polarizer has a protective film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상기 보호 필름의 투습도가 200 g/㎡·24 hr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protective film has a moisture permeability of 200 g/m2·24 hr or less.

[4] 상기 위상차층은, 1/4 파장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4]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5] 상기 위상차층은, 1/2 파장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5]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6]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1층만 구비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6]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comprising only one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7] 직선 편광판과, 수계 접착제층과, 위상차층이 이 순서로 접합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 in which a linear polarizer,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in this order,

상기 직선 편광판 상에,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A first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of a water-based adhesive on the linear polarizer,

상기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건조시켜, 수계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A second step of drying the water-based adhesive film to form a water-based adhesive layer;

상기 수계 접착제층의 상기 직선 편광판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및 상기 위상차층의 상기 수계 접착제층측의 표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한 후, 상기 직선 편광판과 상기 위상차층을 상기 수계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하는 제3 공정After performing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opposite to the linear polarizer side and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o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side,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through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3 process

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Provided in this order,

상기 직선 편광판 및 상기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erei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8] 상기 제3 공정 후에, 상기 적층체를 가열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7]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8]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7],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heating the laminate after the third step.

[9] 상기 제2 공정은,[9] The second process is,

상기 수계 접착제의 도막 상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는 공정과,A step of laminating a release film on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상기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건조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A process of peeling off the release film after drying the coating film of the water-based adhesive.

을 더 구비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7] or [8],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체를 구성하는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경우에도,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사이의 밀착성이 양호한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a laminate having good adhesion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purpose is to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축척을 적절히 조정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 요소의 축척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ll drawings below, the scale of each component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scal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e scale of the actual component.

본 발명의 적층체는, 직선 편광판과, 수계 접착제층과, 위상차층이 이 순서로 접합되고,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며,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란, 2개의 층이 서로 접촉하여, 접착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In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near polarizer,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in this order,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are ,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is 10% or less. In this specification, “joined” means a state in which two lay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adher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적층체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적층체(10)는, 직선 편광판(11)과, 수계 접착제층(12)과, 위상차층(13)을 구비한다. 직선 편광판(11)은, 보호 필름(14)과 편광자(15)를 구비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적층체(10)는, 도 1에 도시된 층 이외의 층, 예컨대 접합층, 프로텍트 필름, 전면판 및 터치 패널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편광자(15)와 수계 접착제층(12)은 서로 접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수계 접착제층(12)과 위상차층(13)은 서로 접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laminate 10 shown in FIG. 1 includes a linear polarizing plate 11, a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and a retardation layer 13.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includes a protective film 14 and a polarizer 15. Although not shown, the laminate 10 may have layer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1, such as a bonding layer, a protect film, a front plate, and a touch panel. The polarizer 15 and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may be bond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be joined by contacting each other.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10)에서는, 직선 편광판(11) 및 위상차층(13)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다.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의 접착에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수계 접착제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열에 의해, 위상차층의 열 열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의 접착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충분히 경화하지 않아,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적층체(10)에서는,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층 사이의 밀착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In the laminate 10 of this embodiment, both the linear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When a water-based adhesive is used to bond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there are cases where thermal deteriora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occurs due to heating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ater-based adhesive. Therefore, conventionally,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has been used to bond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However,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for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is 10% or less,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does not harden sufficiently, and the adhesion of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sometimes becomes insufficient. In the lamin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for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is 10% or less, the adhesion between the layers tends to be excellent.

직선 편광판(11) 및 위상차층(13)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예컨대 10% 이하여도 좋고, 5% 이하일 수 있다. 직선 편광판(11) 및 위상차층(13)의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은, 모두 예컨대 0%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직선 편광판(11) 및 위상차층(13)은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Both the linear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for example,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or 5% or less.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near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at a wavelength of 380 nm may both be, for example, 0% or more, and are preferably 3% or more. The linear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적층체(10)는, 직선 편광판(11)과 수계 접착제층(12) 사이의 밀착력이 예컨대 1.0 N/25 ㎜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5 N/2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N/25 ㎜ 이상이다. 적층체(10)는, 직선 편광판(11)과 수계 접착제층(12) 사이의 밀착력이 통상 20 N/25 ㎜ 이하이고, 예컨대 15 N/25 ㎜ 이하 또는 10 N/25 ㎜ 이하여도 좋다. 밀착력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있어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The laminate 10 may have an adhesion force betwee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and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of, for example, 1.0 N/25 mm or more, preferably 1.5 N/25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 N/25 mm or more. It is more than 25 mm. In the laminate 10, the adhesion betwee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and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is usually 20 N/25 mm or less, and may be, for example, 15 N/25 mm or less or 10 N/25 mm or less. Adhesion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below.

적층체(10)는, 위상차층(13)과 수계 접착제층(12) 사이의 밀착력이 예컨대 1.0 N/25 ㎜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5 N/2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N/25 ㎜ 이상이다. 적층체(10)는, 위상차층(13)과 수계 접착제층(12) 사이의 밀착력이 통상 20 N/25 ㎜ 이하이고, 예컨대 15 N/25 ㎜ 이하 또는 10 N/25 ㎜ 이하여도 좋다. 밀착력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있어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The laminate 10 may have an adhesion force between the retardation layer 13 and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for example, 1.0 N/25 mm or more, preferably 1.5 N/25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 N/2. It is more than 25 mm. In the laminate 10, the adhesion between the retardation layer 13 and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is usually 20 N/25 mm or less, and may be, for example, 15 N/25 mm or less or 10 N/25 mm or less. Adhesion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below.

(직선 편광판)(Linear polarizer)

직선 편광판(11)은 통상, 보호 필름(14)과 편광자(15)를 구비할 수 있다. 보호 필름(14)과 편광자(15)는 후술하는 접합층을 통해 접합되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수계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된다. 직선 편광판(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15)의 한쪽에만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편광자(15)의 양쪽에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linear polarizer 11 may usually include a protective film 14 and a polarizer 15. The protective film 14 and the polarizer 15 may be bonded through a bonding layer described later, and are preferably bonded through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s shown in FIG. 1 ,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on only one side of the polarizer 15 or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15 .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보호 필름(14)은, 편광자(15)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14)은, 투광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상(鎖狀)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環狀)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14 may have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polarizer 15 and the like. The protective film 14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chain polyolefin-based resin (polypropylene-based resin, etc.),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norbor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nene-based resins, etc.;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cellulose and diacetylcellulos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meth)acrylic resin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and styrene-based resin; Acrylonitrile/styrene resin;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acetal resin; Modified polyphenylene ether-based resin; polysulfone-based resin; polyethersulfone-based resin; polyarylate-based resin; polyamideimide-based resin; It may be a film containing a polyimide-based resin or the like.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수지(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에,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linear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resin (polyethylene resin, which is a homopolymer of ethylene, or copolymer mainly based on ethylene), polyprop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a homopolymer of propylene, or copolymer mainly based on propylene), and In addition to homopolymers of the same chain olefin, copolymers containing two or more types of chain olefins can be mentioned.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며,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2405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3-148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3-122137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올레핀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래프트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이다. 그중에서도, 환상 올레핀으로서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같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s a general term for resins polymerized using cyclic olefins as polymerization units,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24051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3-14882,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3 -Resins described in Publication No. 122137, etc. may be mentioned. Specific examples of cyclic polyolefin resins include ring-opening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nd chain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typically random copolymers), and unsaturated polymers thereof. These are graft polymers modified with carboxyl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and hydrides thereof. Among them, norbornene-based resins using norbornene-based monomers such as norbornene or polycyclic norbornene-based monomers as cyclic olefins are preferably used.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하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외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지이고,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의 중축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2가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2가의 디올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대표예로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축합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Polyester-based resin is a resin having an ester bond, excluding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below, and generally contains a polycondensate of polyhydric 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and polyhydric alcohol. As the polyhydric 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a divalent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can be used, and examples includ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ate, and dimethyl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s the polyhydric alcohol, a diol can be used, and examples include ethylene glycol, propanediol, butanediol, neopentyl glycol, and cyclohexanedimethanol. Representative examples of polyester resins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ch is a polycondensate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된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가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meth)acrylic resin is a resin whose main constituent monomer is a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Specific examples of (meth)acrylic resin include poly(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acrylic acid ester-(meth)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ate methyl-styrene copolymer (MS resin, etc.); It includes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and compounds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norbornyl (meth)acrylate copolymer, etc.). Preferably, a polymer containing poly(meth)acrylic acid C 1-6 alkyl ester, such as methyl poly(meth)acrylate, as the main component is used, and more preferably, a polymer containing methyl methacrylate as the main component (not less than 50% by mass or more than 100% by mass) is used. % or less, preferably 70 mass% or more and 100 mass% or less), is used.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물이나,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것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Cellulose ester-based resin is an ester of cellulose and fatty acids. Specific examples of cellulose ester resin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propionate, and cellulose dipropionate. Additionally, copolymers thereof and those in which part of the hydroxyl group has been modified with another substituent can also be mentioned. Among these, cellulose triacetate (triacetylcellulose) is particularly preferabl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보네이트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Polycarbonate-based resin is an engineering plastic containing a polymer in which monomer units are bonded through carbonate groups.

보호 필름(14)의 두께는 통상, 1 ㎛ 이상 100 ㎛ 이하이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5 ㎛ 이상 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 4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14 is usually 1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but from the viewpoint of strength, handling, etc., it is preferably 5 μm or more and 6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5 μm or more and 40 μm or less, and 10 μm or m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 μm or less.

보호 필름(14)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예컨대 200 g/㎡·24 hr 이하여도 좋고, 150 g/㎡·24 hr 이하 또는 100 g/㎡·24 hr 이하일 수 있다. 보호 필름(14)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예컨대 1 g/㎡·24 hr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0 g/㎡·24 hr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g/㎡·24 hr 이상이다. 직선 편광판(11)이 보호 필름을 편광자의 양쪽에 구비하는 경우, 보호 필름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있어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otective film 14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may be, for example, 200 g/m2·24 hr or less, 150 g/m2·24 hr or less, or 100 g/m2·24 hr or less. there is.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otective film 14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may be, for example, 1 g/m2·24 hr or more, preferably 10 g/m2·24 hr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0 g/m2. g/㎡·24 hr or more. Whe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is provided with protective films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rotective films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moisture permeability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below.

보호 필름(14)으로서는, 시야각 보상 등의 목적으로 위상차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그 경우, 필름 자신이 위상차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위상차층을 별도로 갖고 있어도 좋고, 양자의 조합이어도 좋다.The protective film 14 may have a phase difference function for purposes such as viewing angle compensation. In that case, the film itself may have a phase difference function, it may have a separate phase difference layer, or it may be a combination of both.

보호 필름(14)은, 편광판의 내광성 향상을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필름 자신이 자외선 흡수능을 갖고 있어도 좋고, 자외선 흡수층을 별도로 갖고 있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이어도 좋다.The protective film 14 may have the ability to absorb ultraviolet ray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ight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at case, the film itself may have ultraviolet absorbing ability, may have a separate ultraviolet absorbing layer, or may be a combination of both.

직선 편광판(11)이 편광자의 양쪽에 보호 필름을 갖는 경우, 보호 필름은 동종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종(異種)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두께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또한, 동일한 위상차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상이한 위상차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Whe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has a protective fil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the protective film may be composed of the same type of thermoplastic resin or may be composed of a different type of thermoplastic resin. Additionally, the thicknes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Moreover, they may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characteristics or may have different phase difference characteristics.

보호 필름(14)은, 그 외면(편광자와는 반대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 방현층, 광 확산층, 반사 방지층, 저굴절률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防汚層)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보호 필름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것이다.The protective film 14 has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 light diffusion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 anti-static layer, and an anti-fouling layer on its outer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er). It may be provided with a layer (coating layer).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ncludes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편광자)(polarizer)

편광자(15)로서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 이색성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가 후술하는 기재(基材) 필름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을 포함하여 편광자라고 한다.Examples of the polarizer 15 include a stretched film or stretched layer to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a polarizer layer formed by applying a dichroic dye and curing it. When a polarizer includes a base film and an alignment fil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referred to as a polarizer including these.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로서는, 예컨대 아조계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 색소에는, 예컨대 C.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As a dichroic dye, specifically, iodine and a dichroic organic dye are used. Examples of dichroic organic dyes include azo dyes. Azo pigments include, for example, C.I. These include dichroic direct dyes containing disazo compounds such as DIRECT RED 39, and dichroic direct dyes containing compounds such as trisazo and tetrakisazo.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Stretched film or stretched layer with dichroic dye adsorbed)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水洗)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Stretched films to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re usually prepar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dsorbing the dichroic dye. I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treating the temporarily adsorb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a process of washing with water after the treatment with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2 ㎛ 이상 40 ㎛ 이하여도 좋고, 5 ㎛ 이상이어도 좋으며, 20 ㎛ 이하, 나아가서는 15 ㎛ 이하, 더 나아가서는 10 ㎛ 이하여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stretched film to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may be, for example, 2 μm or more and 40 μm or less, 5 μm or more, 20 μm or less, further 15 μm or less, and further 10 μm or les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As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in addition to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it is used. Other monomers that can be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include, for exampl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meth)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85 mol% or more and 100 mol% or less, and is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modified, an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can also be use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1,000 or more and 10,000 or less, and preferably 1,500 or more and 5,000 or less.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은, 통상,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일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편광자층으로 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The stretched layer to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is usually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 base film,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obtained laminated film, and polyvinyl alcohol of the uniaxially stretched laminated film. A step of dyeing the base resin layer with a dichroic dye to adsorb the dichroic dye to form a polarizer layer, a step of treating the film with the dichroic dye adsorbed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a step of washing with water after treatment with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I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필요에 따라,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동일해도 좋다.If necessary, you may peel and remove the base film from the stretched layer which adsorbed the dichroic dye.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base film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described later.

(이색성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Polarizer layer made by applying and curing a dichroic dye)

이색성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으로서는, 액정성을 갖는 중합성의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여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층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한쪽 면에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향막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상 1 ㎛ 이하여도 좋다.As a polarizer layer formed by applying and curing a dichroic dye, a layer obtained by apply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dichroic dye having liquid crystallinity or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chroic dye to a base film and curing it, etc. A polarizer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mentioned. The base film may have an alignment film formed on one side.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may be, for example, 5 nm or more and 1 μm or less.

편광자(15)는, 기재 필름과 함께 직선 편광판(11)에 편입되어도 좋고, 이색성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하여 직선 편광판(11)에 편입되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전술한 보호 필름(14)의 재료 및 두께와 동일해도 좋다. 기재 필름은, 적어도 한쪽 면에 보호층으로서 하드 코트층(HC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polarizer 15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together with the base film, or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by peeling and removing the base film from the polarizer layer formed by applying and curing a dichroic dye.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base film may be the same as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14 described above. The base film may have a hard coat layer (HC layer) formed as a protective layer on at least one side.

이색성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의 두께는, 통상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formed by applying and curing a dichroic dye is usually 10 μm or less, preferably 8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μm or less.

(수계 접착제층)(Water-based adhesive layer)

수계 접착제층(12)은, 직선 편광판(11)과 위상차층(13)을 접합하기 위해서 양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계 접착제층(12)은, 단층이어도 좋고 다층이어도 좋다.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to bond them.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may be a single layer or may be a multilayer.

수계 접착제층(12)은, 수계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을 포함하는 접착제, 수계 이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을 포함하는 수계 접착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 호모폴리머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산기를 부분적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는, 알데히드 화합물(글리옥살 등),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민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may be formed of a water-based adhesive. Examples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an adhesive containing an aqueou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lution, a water-based two-component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 and the like. Among them, 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an aqueou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lution is suitably us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include vinyl alcohol homopolymers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polyvinyl alcohol-based copolymers obtained by saponifying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 or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s in which their hydroxyl groups are partially modified can be used. The water-based adhesive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aldehyde compound (glyoxal, etc.), an epoxy compound, a melamine-based compound, a methylol compound, an isocyanate compound, an amine compound, and a polyvalent metal salt.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중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에 대해, 예컨대 1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이다.The conten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may be, for example, 1 part by mass or more and 50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1.5 parts by mass or more and 1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00 parts by mass of water. is 2.5 parts by mass or more and 5 parts by mass or less.

수계 접착제층(12)은, 직선 편광판(11) 상에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형성한 후, 그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가 건조함으로써 수계 접착제층(12)이 형성된다. 수계 접착제층(12)을 통해, 직선 편광판(11)과 위상차층(13)이 접합된다. 수계 접착제층(12)을 형성한 후, 위상차층(13)을 접합하기 전에, 수계 접착제층(12)에 후술하는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위상차층(13)의 표면에도, 후술하는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위상차층(13)을 접합한 후, 예컨대 후술하는 편광판을 양생하는 양생 공정을 마련해도 좋다.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can be formed by forming a coating film of a water-based adhesive o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11 and then drying the coating film. When the water-based adhesive dries,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is formed. Through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the linear polarizer 11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are bonded. After forming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and before bonding the retardation layer 13, th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described later can be performed o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13 can also be subjected to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bonding the retardation layer 13, for example, a curing process for curing the polarizing plat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수계 접착제층(12)의 두께는, 0.1 ㎛ 이상 1 ㎛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is preferably 0.1 μm or more and 1 μm or less.

(위상차층)(Phase difference layer)

위상차층(13)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이하, 간략화하여 경화층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경화층은, 위상차 특성을 갖는 층이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 상태로 중합 경화하여, 위상차 특성을 발현하는 층이다. 위상차층(13)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을 1층만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을 2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retardation layer 13 includes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ured layer for simplification). The cured layer is a layer that has retardation characteristics and is a layer in which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polymerized and cured in an aligned state to develop retardation characteristics.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have only one layer of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r may have two or more layers of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위상차층(13)은, 경화층이 직접, 수계 접착제층(12)과 접하여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rdation layer 13 is bonded by the cured layer directly contacting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위상차층(13)은, 예컨대 1/2 파장 위상차층, 1/4 파장 위상차층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4 파장 위상차층 및 1/2 파장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위상차층(13)은, 예컨대 1/2 파장 위상차층, 1/4 파장 위상차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또는 이들이 적층된 위상차층 적층체일 수 있다. 2 이상의 위상차층이 적층되는 경우, 위상차층끼리는 후술하는 접합층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1/4 파장 위상차층은,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tardation layer 13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nd a positive C plate, and preferably includes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nd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I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wo-wavelength retardation layers.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be, for example, a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 positive C plate, or a retardation layer laminate in which these are laminated. When two or more retardation layers are stacked, the retardation layer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a bonding layer described later.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preferably has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역파장 분산성이란, 단파장에서의 액정 배향 면내 위상차값 쪽이 장파장에서의 액정 배향 면내 위상차값보다 작아지는 광학 특성이고, 바람직하게는, 광학 필름이 하기 식 (ⅰ) 및 식 (ⅱ)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Re(λ)는 파장 λ ㎚의 광에 대한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낸다.Inverse wavelength dispersion is an optical characteristic in which the liquid crystal orientation in-plane retardation value at a short wavelength is smaller than the liquid crystal orientation in-plane retardation value at a long wavelength, and preferably, the optical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s (i) and (ii). It is ordered. Additionally, Re(λ) represents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λ nm.

Re(450)/Re(550)≤1 (ⅰ)Re(450)/Re(550)≤1 (i)

1≤Re(630)/Re(550) (ⅱ)1≤Re(630)/Re(550) (ii)

1/2 파장 위상차층은, Re(λ)가 Re(λ)=λ/2를 만족하는 층이며, 가시광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파장에 있어서 달성되고 있으면 되고, 그중에서도 파장 550 ㎚ 부근에서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파장 위상차층은, Re(550)이, 200 ㎚≤Re(550)≤330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0 ㎚≤Re(550)≤300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4 파장 위상차층은, Re(λ)가 Re(λ)=λ/4를 만족하는 층이며, 가시광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파장에 있어서 달성되고 있으면 되고, 그중에서도 파장 550 ㎚ 부근에서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파장 위상차층은, Re(550)이, 100 ㎚≤Re(550)≤160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 ㎚≤Re(550)≤150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is a layer whose Re(λ) satisfies Re(λ)=λ/2, and can be achieved at any wavelength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in particular, it can be achieved around the wavelength of 550 nm. desirable. For the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Re(550) satisfies 200 nm≤Re(550)≤330 nm, and more preferably satisfies 220 nm≤Re(550)≤300 nm.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is a layer whose Re(λ) satisfies Re(λ)=λ/4, and can be achieved at any wavelength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in particular, it can be achieved around the wavelength of 550 nm. desirable. For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Re(550) satisfies 100 nm≤Re(550)≤160 nm, and more preferably satisfies 110 nm≤Re(550)≤150 nm.

필름 면내의 지상축(遲相軸) 방향(면내에서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의 지상축과 면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로 했을 때, 포지티브 C 플레이트는 하기 식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Assume that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in the film pla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is maximum in the plane) is nx,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in the plane and the plane is ny,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nz. When, positive C plate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equation.

nz>nx≒nynz>nx≒ny

또한, 상기 「≒」는, 양자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양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bove “≒”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both are completely the same, but also the case where the two are substantially the same.

위상차층(13)이 위상차층 적층체인 경우,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 적층체를 구성하는 위상차층 중 한쪽이 1/4 파장 위상차층이고, 다른쪽이 1/2 파장 위상차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은, 각각 1/4 파장 위상차층, 1/2 파장 위상차층일 수 있다. 위상차층 적층체를 구성하는 위상차층 중 한쪽이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이고, 다른쪽이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은, 각각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이다.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은 모두 역파장 분산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When the retardation layer 13 is a retardation layer stack, it may include a first retardation layer and a second retardation layer. One of the retardation layers constituting the retardation layer laminate may be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nd the other may be a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For example,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may be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nd a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respectively. One of the retardation layers constituting the retardation layer laminate may be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with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and the other may be a positive C plate. For example, the first retardation layer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are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with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and a positive C plate, respectively. Both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봉상(棒狀)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원반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한쪽을 이용해도 좋고, 이들의 양쪽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봉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 필름에 대해 수평 배향 또는 수직 배향된 경우에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 방향과 일치한다. 원반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된 경우에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원반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한다. 봉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11-513019호 공보(청구항 1 등)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8732호 공보(단락 [0020]∼[0067] 등),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4038호 공보(단락 [0013]∼[0108] 등)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clude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and disc-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One of these may be used, or a mixture containing both of these may be used. When the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base film,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incides with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hen the disc-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oriented,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exis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 surfac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the rod-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sei 11-513019 (Claim 1, etc.) can be suitably used. Disk-shap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ar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08732 (paragraphs [0020] to [0067], etc.)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44038 (paragraphs [0013] to [0108], etc.). Those described can be suitably use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경화층이 면내 위상차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적합한 방향으로 배향시키면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봉상인 경우에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후술하는 기재 필름 평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되고, 이 경우, 광축 방향과 지상축 방향은 일치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원반상인 경우에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후술하는 기재 필름 평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되고, 이 경우, 광축과 지상축은 직교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배향막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cured layer formed by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o exhibit an in-plane retardatio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oriented in an appropriate direction.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rod-shaped, in-plane retardation is expressed by aligning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base fil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slow axis direction coincide.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disk-shaped, in-plane retardation is expressed by aligning the optical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base film described later, and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and the slow axis are orthogonal. The alignment stat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adjusted by combining an alignment film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기를 갖고, 또한, 액정성을 갖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2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적어도 1종류가 분자 내에 2 이상의 중합성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기란,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고, 광중합성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중합성 기란, 후술하는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 기로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액정성은 서모트로픽성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좋고, 서모트로픽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어도 스멕틱 액정이어도 좋다.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compound that has at least one polymerizable group and has liquid crystallinity. When two or more type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are used togeth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type has two or more polymerizable groups in the molecule. A polymerizable group means a group involved in a polymerization reaction, and is preferably a photopolymerizable group. Here, the photopolymerizable group refers to a group that can particip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by active radicals or acids generated from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described later. Polymerizable groups include vinyl group, vinyloxy group, 1-chlorovinyl group, isopropenyl group, 4-vinylphenyl group, acryloyloxy group, methacryloyloxy group, oxiranyl group, oxetanyl group, styryl group, and allyl group. etc. can be mentioned. Among them, acryloyloxy group, methacryloyloxy group, vinyloxy group, oxiranyl group and oxetanyl group are preferable, and acryloyloxy group is more preferable. The liquid crystallinity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either thermotropic liquid crystal or lyotropic liquid crystal. If thermotropic liquid crystals are classified by degree of order, they may be nematic liquid crystal or smectic liquid crystal.

위상차층(13)은 배향막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배향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다. 배향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 필름에 대해 수직 배향한 수직 배향막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 필름에 대해 수평 배향한 수평 배향막이어도 좋으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기재 필름에 대해 경사 배향시키는 경사 배향막이어도 좋다. 위상차층(13)이 2 이상의 배향막을 포함하는 경우, 배향막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서로 상이해도 좋다.The phase contrast layer 13 may include an alignment film. The alignment film has an orientation regulating force that orients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desired direction. The alignment film may be a vertical alignment film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base film, or may be a horizontal alignment film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base film, and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alig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base film. It may be an inclined alignment film that is obliquely oriented with respect to . When the phase contrast layer 13 includes two or more alignment films, the alignment film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배향막으로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용매 내성을 갖고, 용매의 제거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으로서는,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 광배향 폴리머로 형성된 광배향성 폴리머층, 층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그루브(홈)를 갖는 그루브 배향막을 들 수 있다.The alignment film preferably has solvent resistance that does not dissolve whe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pplied, and has heat resistance to heat treatment for removing the solvent or align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Examples of the alignment film include an orientation polymer layer formed of an orientation polymer, a photo-alignment polymer layer formed of a photo-alignment polymer, and a groove alignment film having a concavo-convex pattern or a plurality of grooves (grooves) on the layer surface.

위상차층(13)이 구비하는 경화층의 두께는, 0.1 ㎛ 이상이어도 좋고, 0.5 ㎛ 이상이어도 좋으며, 1 ㎛ 이상이어도 좋고, 2 ㎛ 이상이어도 좋으며, 또한,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 이하여도 좋으며, 5 ㎛ 이하여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cured layer included in the retardation layer 13 may be 0.1 μm or more, 0.5 μm or more, 1 μm or more, 2 μm or more, and preferably 10 μm or less, and 8 μm or less. It may be 5 ㎛ or less.

경화층은, 후술하는 기재 필름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건조시키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배향막 상에 도포해도 좋다. 기재 필름은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The cured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nto a base fil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rying the composition, and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may be applied on an alignment film formed on a base film. The base film may be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described above.

위상차층(13) 또는 그것에 포함되는 배향막 중, 수계 접착제(12)와 접하는 면은, 밀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예컨대 물에 대한 접촉각을 들 수 있다. 이때의 물에 대한 접촉각으로서는, 후술하는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한 후의 값을 지표로서 이용한다.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물에 대한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물에 대한 접촉각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난에 있어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13 or the alignment film included therei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based adhesive 12 is preferably hydrophilic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adhesion. An example of an index showing hydrophilicity is 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As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at this time, the value after performing th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described later is used as an index.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is preferably 7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0° or less. 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described later.

(접합층)(bonding layer)

접합층은, 점착제층이어도 좋고, 접착제층이어도 좋다. 접합층은, 예컨대 위상차층 적층체를 구성하는 제1 위상차층과 제2 위상차층을 접합하거나, 적층체(10)에 후술하는 프로텍트 필름, 전면판 및 터치 패널을 접합하거나, 적층체(10)를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하거나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적층체(10)의 한쪽에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The bonding layer may be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The bonding layer, for example, bonds the first phase contrast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constituting the retardation layer laminate, bonds the protection film, front plate, and touch panel described later to the laminate 10, or bonds the laminate 10 It may have the function of bonding to an image display element. An adhesive layer can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aminate 10 to form a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3 ㎛ 이상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25 ㎛ 이하이다.The adhesive layer can be compos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s a main component a resin such as (meth)acrylic resin, rubber-based resin, urethane-based resin, ester-based resin, silicone-based resin, and polyvinyl ether-based resin. Among them, an adhesive composition using a (meth)acrylic resin as a base polymer, which has excellent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etc., is suitabl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of an active energy ray curing type or a thermosetting typ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usually 3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and is preferably 3 μm or more and 25 μm or less.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acrylic resin (base polymer) us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 (meth)acrylate, such as but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meth)acrylate. A polymer or copolymer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types of acrylic acid ester as a monomer is suitably used. It is preferable to copolymerize a polar monomer with the base polymer. Polar monomers include, for example, (meth)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acrylamide,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glycyrrhizate.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 amide group,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etc., such as dil (meth)acrylate, can be mentioned.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으나,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only the base polymer, but usually further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metal ions of divalence or higher, which form a metal carboxylic acid salt between carboxyl groups; A polyamine compound that forms an amide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A polyepoxy compound or polyol that forms an ester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As a polyisocyanate compound, one that forms an amide bond between carboxyl groups is exemplified. Among them, polyisocyanate compounds are preferable.

점착제층의 두께는, 1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 ㎛ 이상 1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 ㎛ 이상 8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 이상 5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2 μm or more and 80 μm or less, and especially preferably 3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can be any suitable adhesive. As the adhesive, a water-based adhesive,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etc. can be used.

접착제의 도포 시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경화 후 또는 가열(건조) 후에,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이 얻어지도록 설정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7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5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2 ㎛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1 ㎛ 이하이다.The thickness when applying the adhesive can be set to any appropriate value. For example, after curing or heating (drying), it is set so that an adhesive layer with a desired thickness is obtain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7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further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2 μm or less, and most preferably 0.01 μm or more and 1 μm. It is as follows.

수계 접착제로서는, 전술한 수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As the water-based adhesive, the water-based adhesive described above can be used.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제이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다.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an adhesive containing a curable compound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rays, and is preferably an ultraviolet ray-curable adhesive.

상기 경화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세탄환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그 외의 비닐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병용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통상,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양이온 중합 개시제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한다.The curable compound may be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or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Cationic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s include, for example, epoxy-based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oxetane-based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oxetane rings in the molecule), or these. There can be combinations. Examples of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s include (meth)acrylic compounds (compounds having one or two or more (meth)acryloyloxy groups in the molecule), other vinyl compounds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double bond, or A combination of these can be mentioned.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nd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may be used together.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usuall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a curing reaction of the curable compound.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접착제층 및 접착제층에 접합하는 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표면 활성화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방전 처리(글로우 방전 처리 등), 오존 처리, UV 오존 처리, 전리 활성선 처리(자외선 처리, 전자선 처리 등)와 같은 건식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표면 활성화 처리는, 단독으로 행해도 좋고, 2개 이상을 조합해도 좋다. 그중에서도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는, 예컨대 1 kJ/㎡ 이상 50 kJ/㎡ 이하의 출력으로 행할 수 있다. 코로나 처리를 행하는 시간은, 예컨대 1초간 이상 1분 이하여도 좋다.In order to increase adhesion,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bonding surfaces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layer bonded to the adhesive layer. Surface activation treatments include dry treatments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discharge treatment (glow discharge treatment, etc.), ozone treatment, UV ozone treatment, and ionizing active ray treatment (ultraviolet treatment, electron beam treatment, etc.). Thes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s may be performed individually, or two or more may be combined. Among them, corona treatment is preferable. Corona treatment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ith an output of 1 kJ/m2 or more and 50 kJ/m2 or less. The time for performing the corona treatment may b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nd 1 minute or less.

(프로텍트 필름)(Protect film)

적층체(10)는, 그 표면(전형적으로는, 하드 코트층 또는 보호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트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프로텍트 필름 부착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 부재에 적층체(10)가 접합된 후,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과 함께 박리 제거된다.The laminate 10 can be used as a polarizing plate with a protection film by laminating a protection film to protect its surface (typically, the surface of a hard coat layer or a protective film).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and removed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it has after the laminate 10 is bonded to, for example, an image display element or another optical member.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전술한 기술이 인용된다.The protective film is comprised, for example, of a base film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thereon. For the adhesive layer,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is cited.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Resins constituting the base film include, for example, polyethylene-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based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It may be a thermoplastic resin of polycarbonate-based resin. Preferably, it is a polyest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프로텍트 필름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가 20 ㎛ 이상이면, 적층체(10)에 강도가 부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µm or more and 200 µ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20 μm or more, strength tends to be easily imparted to the laminate 10.

(전면판)(front panel)

전면판으로서는, 적절한 기계 강도 및 두께를 갖는 전면판이 이용된다. 이러한 전면판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같은 투명 수지판, 혹은 유리판 등을 들 수 있다. 전면판의 시인측에는 반사 방지층 등의 기능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전면판이 투명 수지판인 경우에는, 물리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하드 코트층이나, 투습도를 낮추기 위해서 저투습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전면판은, 적층체(10)가 화상 표시 장치에 접합될 때에 적층체(10)의 시인측에 접합될 수 있다.As the front plate, a front plate with appropriate mechanical strength and thickness is used. Examples of such a front plate include a transparent resin plate such as polyimide resin, acrylic resin, or polycarbonate resin, or a glass plate. A functional layer such as an antireflection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front plate. Additionally, when the front plate is a transparent resin plate, a hard coat layer may be laminated to increase physical strength or a low moisture permeability layer may be laminated to reduce moisture permeability. The front plate can be bonded to the viewing side of the laminate 10 when the laminate 10 is bond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패널로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의 각종 터치 패널이나, 터치 센서 기능을 구비하는 유리판이나 투명 수지판 등이 이용된다. 투명 부재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이용되는 경우, 터치 패널보다 더욱 시인측에, 유리나 투명 수지판을 포함하는 전면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touch panel, various touch panels such as resistive type, capacitive type, optical type, and ultrasonic type, as well as glass plates and transparent resin plates with a touch sensor function, are used. When a capacitive touch panel is used as a transparen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plate made of glass or a transparent resin plate be installed closer to the viewing side than the touch panel.

(적층체의 용도)(Use of laminate)

적층체(10)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무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터치 패널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적층체(10)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전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배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laminate 10 can be us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The image displa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organic EL) display device, an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inorganic EL)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tc. I can hear it. The laminate 10 may be placed on the viewing side (front si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r may be placed on the back side.

<적층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직선 편광판과, 수계 접착제층과, 위상차층이 이 순서로 접합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직선 편광판 상에,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건조시켜, 수계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수계 접착제층의 직선 편광판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및 상기 위상차층의 상기 수계 접착제층측의 표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한 후,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층을 수계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하는 제3 공정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이다. 직선 편광판, 수계 접착제층 및 위상차층에 대해, 각각, 전술한 적층체(10)에 있어서의 직선 편광판(11), 수계 접착제층(12) 및 위상차층(13)의 설명이 적용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 in which a linear polarizing plate,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in this order, and includes a first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of a water-based adhesive o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 a second step of drying the water-based adhesive film to form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performing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opposite to the linear polarizer side and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o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side. , a third step of bonding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through a water-based adhesive layer is provided in this order, and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Regarding the linear polarizer,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the retardation layer, respectively, the description of the linear polarizer 11,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12, and the retardation layer 13 in the above-described laminate 10 applies.

종래,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의 접착에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수계 접착제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열에 의해, 위상차층의 열 열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의 접착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충분히 경화하지 않아,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층 사이의 밀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Conventionally, when a water-based adhesive is used to bond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thermal deterioration of the retardation layer sometimes occurs due to heating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ater-based adhesive. Therefore, conventionally,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has been used to bond a linear polarizer and a retardation layer. However,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for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is 10% or less,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does not harden sufficiently, and the adhesion of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sometimes becomes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aminate having excellent adhesion between layers, even though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공정에 있어서, 보호 필름(24) 및 편광자(25)를 구비하는 직선 편광판(21)의 편광자(25) 상에 수계 접착제의 도막(26)을 형성한다[도 2의 (a)]. 수계 접착제를 편광자(25)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first step, a coating film 26 of a water-based adhesive is formed on the polarizer 25 of the linear polarizing plate 21 provided with the protective film 24 and the polarizer 25 (FIG. 2(a)). The method of applying the water-based adhesive on the polarizer 25 can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편광자(25)가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경우, 편광자(25)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의 설명에 있어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polarizer 25 is a stretched film or stretched layer to which a dye having absorption anisotropy is adsorb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25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etched film or stretched layer to which the dye having the above-mentioned absorption anisotropy is adsorbed. It can b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편광자(25)가 전술한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필름인 경우, 편광자(25)는, 기재 필름 상에 배향막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편광자(25)는,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중합 개시제, 레벨링제, 용제를 더 포함하고, 광증감제, 중합 금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olarizer 25 is a film obtained by applying and curing a dye having the above-described absorption anisotropy, the polarizer 25 can be formed on a base film through an alignment film. The polarizer 25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er containing a dichroic dye and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curing it. In addition to the dichroic dye an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described abov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er preferably further contain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leveling agent, and a solv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photosensitiz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etc.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건조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은, 종래 공지된 도포 방법, 건조 방법 및 중합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컨대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와이어 바 코팅법,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법, 및 다이 코팅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er, drying, and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performed by conventionally known application methods, drying methods, and polymerization methods. For example, as a method of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er, a wire bar coating method, an extrusion coating method, a direct gravure coating method, a reverse gravure coating method, and a die coating method can be adopte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방법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성 기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중합성 기가 광중합성 기이면 광중합법에 의해 중합할 수 있다. 중합성 기가 열중합성 기이면 열중합법에 의해 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중합법이 바람직하다. 광중합법은, 반드시 기재 필름을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은 기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법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막에 가시광, 또는 자외광을 조사함으로써 행한다. 취급하기 쉬운 점에서, 자외광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method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merizable group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f the polymerizable group is a photopolymerizable group, it can be polymerized by a photopolymerization method. If the polymerizable group is a thermally polymerizable group, it can be polymerized by thermal polymeriz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photopolymerization is preferred. Since the photopolymerization method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heating the base film to a high temperature, a base film with low heat resistance can be used. The photopolymerization method is performed by irradiating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to a film contain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handling, ultraviolet light is preferable.

제2 공정에 있어서, 수계 접착제의 도막(26)을 건조시켜 수계 접착제층(22)을 형성한다[도 2의 (b)]. 제2 공정은, 수계 접착제의 도막(26) 상에 이형 필름(27)을 적층하는 공정[도 2의 (b1)]과, 수계 접착제의 도막(26)을 건조시켜 수계 접착제층(22)을 형성한 후에 이형 필름(27)을 박리하는 공정[도 2의 (b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의 도막(26)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의 도막(26)의 건조 온도로서는, 예컨대 20℃ 이상 90℃ 이하여도 좋다. 수계 접착제의 도막(26)의 건조 시간은, 예컨대 1분 이상 60분 이하여도 좋다.In the second step,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26 is dried to form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22 (Figure 2(b)). The second step is a step of laminating the release film 27 on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26 (Figure 2(b1)), and drying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26 to form a water-based adhesive layer 22. A step of peeling the release film 27 after formation ((b2) in FIG. 2)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method of drying the coating film 26 of the water-based adhesive, for example,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can be used. 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26 may be, for example, 20°C or higher and 90°C or lower. The drying time of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26 may be, for example, 1 minute or more and 60 minutes or less.

박리 필름(27)은, 플라스틱 필름과 박리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공정에서, 수계 접착제를 건조시킬 때에, 접착제로부터 충분히 수분을 제거시키는 관점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투습도가 200 g/㎡·24 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TAC)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층은, 예컨대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주된 성분(수지)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장쇄 알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release film 27 is preferably comprised of a plastic film and a release layer. When drying the water-based adhesive in the third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stic film used has a moisture permeability of 200 g/m2·24 hr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removing moisture from the adhesive. Examples of plastic films include triacetylcellulose resin (TAC) films. Additionally, the peeling layer can be formed, for example, from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eeling layer. The main component (resin)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releas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silicone resin, alkyd resin, acrylic resin, and long-chain alkyl resin.

제3 공정에 있어서, 수계 접착제층(22)의 직선 편광판(21)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및 위상차층(23)의 수계 접착제층(22)측의 표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한 후, 직선 편광판(21)과 위상차층(23)을 수계 접착제층(22)을 통해 접합하여 적층체(20)를 얻는다[도 2의 (c)].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적층체(20)의 접착제층(22)과 위상차층(23)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표면 활성화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방전 처리(글로우 방전 처리 등), 오존 처리, UV 오존 처리, 전리 활성선 처리(자외선 처리, 전자선 처리 등)와 같은 건식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표면 활성화 처리는, 단독으로 행해도 좋고, 2개 이상을 조합해도 좋다. 그중에서도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는, 예컨대 1 kJ/㎡ 이상 50 kJ/㎡ 이하의 출력으로 행할 수 있다. 코로나 처리를 행하는 시간은, 예컨대 1초간 이상 1분 이하여도 좋다.In the third process, after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22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near polarizer 21 side and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23 o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22 side, the linear polarizer (21) and the retardation layer 23 are bonded through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22 to obtain the laminate 20 (Figure 2(c)). By performing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 and the retardation layer 23 of the laminate 20. Surface activation treatments include dry treatments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discharge treatment (glow discharge treatment, etc.), ozone treatment, UV ozone treatment, and ionizing active ray treatment (ultraviolet treatment, electron beam treatment, etc.). Thes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s may be performed individually, or two or more may be combined. Among them, corona treatment is preferable. Corona treatment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ith an output of 1 kJ/m2 or more and 50 kJ/m2 or less. The time for performing the corona treatment may b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nd 1 minute or less.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적층체(20)의 접착제층(22)과 위상차층(23)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3 공정 후에, 적층체(20)를 양생하는 양생 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양생 공정에서는, 적층체를 가열해도 좋다. 양생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20)를 가열하는 온도는, 예컨대 20℃ 이상 90℃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9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90℃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85℃ 이하이다. 양생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20)를 양생하는 시간은, 예컨대 1분 이상 2시간 이하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layer 22 and the retardation layer 23 of the laminate 20, after the third process, the laminate ( A curing process for curing 2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curing process, the laminate may be heated. In the curing proces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laminate 20 is heated may be, for example, 20°C or higher and 90°C or lower, preferably 40°C or higher and 90°C or lower, more preferably 60°C or higher and 90°C or lower, and is particularly preferred. Typically, it is above 75℃ and below 85℃. In the curing process, the time for curing the laminate 20 may be, for example, 1 minute or more and 2 hours or les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 and “part” in the examples are mass% and mass part, unless otherwise specified.

(투습도의 측정)(Measurement of moisture permeability)

항온 항습조를 이용하여,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 측정 시간 24시간의 측정 조건으로,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 JIS Z 0208에 준함)에 의해 수증기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증기 투과율을,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로 하였다.Us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as measured by the moisture permeability test method (cup method, according to JIS Z 0208) under the measurement conditions of temperature 40°C, relative humidity 90% RH, and measurement time of 24 hours. The measure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as taken as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광선 투과율의 측정)(Measurement of light transmittance)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층을 30 ㎜×30 ㎜의 크기로 재단하고, 파장 200∼510 ㎚ 사이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UV-2450」을 이용하였다.The linear polarizer and retardation layer were cut to a size of 30 mm x 30 mm, and the transmittance [%] was measured between wavelengths of 200 and 510 nm. For the measurement, an ultraviolet-visible spectrophotometer "UV-2450" manufactured by Shimazu Seisakusho Co., Ltd. was used.

(두께의 측정)(Measurement of thickness)

층의 두께는, 접촉식 막 두께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 「MS-5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계 접착제층 및 편광자의 두께는,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OLS3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layer was measured using a contact-type film thickness measuring device (“MS-5C”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The thickness of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er were measured using a laser microscope (“OLS3000” manufactured by Olympus Corporation).

(밀착성의 평가)(Evaluation of adhesion)

적층체를 25 ㎜ 폭으로 커트하여 측정 샘플을 취득하였다.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정밀 만능 시험기 「오토그래프 AGS-50NX」를 이용하여, 측정 샘플의 위상차층측을, 점착제를 통해 유리판에 접착하였다. 측정 샘플의 보호 필름으로부터 수계 접착제층까지를 잡아, 180° 방향으로 박리할 때의 힘을 측정함으로써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박리 속도 300 ㎜/min으로 온도 23±2℃, 상대 습도 50±5%의 환경하에서 행하였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The laminate was cut to a width of 25 mm to obtain a measurement sample. Using a precisi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utograph AGS-50NX" manufactured by Shimazu Seisakusho Co., Ltd., the retardation layer side of the measurement sample was adhered to a glass plate through an adhesive. Adhesion was measured by hold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measurement sample and measuring the force at the time of peeling in the 180° direction.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an environment with a peeling speed of 300 mm/min, a temperature of 23 ± 2°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 5%. The evaluation criteria are shown below.

A: 밀착성이 양호하고, 측정 시에 잡은 층의 부분이 재료 파괴되었다.A: Adhesion was good, and the portion of the layer captured during measurement was damaged.

B: 측정 시에 필름을 박리하여, 밀착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B: It was possible to measure the adhesion by peeling off the film during measurement.

C: 측정 전에 샘플의 박리가 발생하여, 밀착성의 평가를 할 수 없었다.C: The sample peeled off before measurement, and adhesion could not be evaluated.

(물에 대한 접촉각의 측정)(Measurement of contact angle for water)

적층체를 제작할 때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 처리를 한 후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측정 대상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다. 즉, 위상차층의 표면에 대해 14 kJ/㎡로 코로나 처리를 행한 후, 코로나 처리를 행한 표면이 상면이 되도록, 접촉각계(교와 가이멘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화상 처리식 접촉각계 「FACE CA-X형」)에 수평으로 세트하고, 측정 위치에 1 μL의 순수(純水)를 적하하여, θ/2법에 의해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였다.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after surface 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when producing the laminate is 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of the measurement object. That is, after 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at 14 kJ/m2, a contact angle meter (Kyowa Kaimen Chemical Co., Ltd., image processing contact angle meter “FACE”) was used so that the corona-treated surface became the upper surface. It was set horizontally on a "CA-

(편광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이며 두께 3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칼륨:물의 질량비가 0.02:2:100인 30℃의 수용액에 침지하여 요오드 염색을 행하였다(이하, 요오드 염색 공정이라고도 한다.). 요오드 염색 공정을 거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12:5:100인 56.5℃의 수용액에 침지하여 붕산 처리를 행하였다(이하, 붕산 처리 공정이라고도 한다.). 붕산 처리 공정을 거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8℃의 순수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자(연신 후의 두께 12 ㎛)를 얻었다. 이때, 요오드 염색 공정과 붕산 처리 공정에 있어서 연신을 행하였다. 이러한 연신에 있어서의 총 연신 배율은 5.3배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and a thickness of 30 ㎛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30°C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30°C with a mass ratio of iodine:potassium iodine:water of 0.02:2:100. Iodine staining was performed by immers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iodine dyeing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at had gone through the iodine dyeing process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potassium iodide: boric acid: water at a mass ratio of 12:5:100 at 56.5°C to perform boric acid treatm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boric acid treatment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at had undergone the boric acid treatment step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8°C and then dried at 65°C to obtain a polarizer (thickness after stretching: 12 μm)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in polyvinyl alcohol. At this time, stretching was performed in the iodine dyeing process and boric acid treatment process. The total stretching ratio in this stretching was 5.3 times.

(수계 접착제의 제작)(Production of water-based adhesive)

물 100 질량부에 대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3 질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수계 접착제를 얻었다.A water-based adhesive was obtained by adding 3 parts by mass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100 parts by mass of water and mixing with stirring.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조제)(Preparation of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하기 성분을 배합하여 혼합한 후, 탈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조제하였다.The following ingredients were combined and mixed, and then defoamed to prepare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상품명: EX-211L, 나가세 켐텍스(주) 제조) 30 질량부・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Product name: EX-211L,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Co., Ltd.) 30 parts by mass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상품명: OXT-221, 도아 고세이(주) 제조) 13 질량부·3-Ethyl-3{[(3-ethyloxetan-3-yl)methoxy]methyl}oxetane (Product name: OXT-221,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13 parts by mass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상품명: EP-4100E, (주)ADEKA, 점도 13 ㎩·s(온도 25℃)) 12 질량부Bisphenol A type epoxy resin (Product name: EP-4100E, ADEKA Co., Ltd., viscosity 13 Pa·s (temperature 25°C)) 12 parts by mass

·방향족 함유 옥세탄 화합물(상품명: TCM-104, TRONLY 제조) 45 질량부·Aromatic-containing oxetane compound (Product name: TCM-104, manufactured by TRONLY) 45 parts by mass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CPI-100P, 산아프로(주) 제조, 50%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 2.25 질량부(고형분량)·CPI-100P, manufactured by San-Apro Co., Ltd., 50% propylene carbonate solution 2.25 parts by mass (solid content)

[광증감 조제][Photosensitization preparation]

·1,4-디에톡시나프탈렌  1 질량부·1,4-diethoxynaphthalene 1 part by mass

(1/4 파장 위상차층 1의 제작)(Fabrication of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필름(두께 100 ㎛,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 13 g/㎡·24 hr)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을 준비하였다. 기재 필름 상에 러빙 처리를 하여 배향막(두께 1 ㎛)을 형성하였다. 배향막 상에, 봉상의 네마틱 중합성 액정 화합물(액정 모노머)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굴절률 이방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화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필름의 배향막 상에, 두께 1 ㎛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으로서의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 1을 형성하였다.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 1의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은 1%이고, 물에 대한 접촉각은 58°였다.A base film containing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film (thickness 100 ㎛, temperature 40°C, moisture permeability 13 g/m2·24 hr at 90% RH relative humidity) was prepared. A rubbing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base film to form an alignment film (1 ㎛ thick). On the alignment film,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a rod-shaped nematic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liquid crystal monomer) was applied and solidifi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while maintaining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n this way,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with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as a cured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ith a thickness of 1 μm was formed on the alignment layer of the base film.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at a wavelength of 380 nm was 1%, and 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was 58°.

(1/4 파장 위상차층 2의 제작)(Fabrication of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2)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TAC) 필름(두께 40 ㎛,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 950 g/㎡·24 hr)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을 준비하였다. 기재 필름 상에 러빙 처리를 하여 배향막(두께 1 ㎛)을 형성하였다. 배향막 상에, 봉상의 네마틱 중합성 액정 화합물(액정 모노머)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굴절률 이방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화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필름의 배향막 상에, 두께 1 ㎛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으로서의 정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 2를 형성하였다. 정파장 분산성의 1/4 파장 위상차층 2의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은 1%이고, 물에 대한 접촉각은 76°였다.A base film containing a triacetylcellulose resin (TAC) film (thickness 40 ㎛, temperature 40°C, moisture permeability 950 g/m2·24 hr at relative humidity 90% RH) was prepared. A rubbing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base film to form an alignment film (1 ㎛ thick). On the alignment film,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a rod-shaped nematic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liquid crystal monomer) was applied and solidifi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while maintaining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n this way,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2 with constant wavelength dispersion as a cured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ith a thickness of 1 μm was formed on the alignment layer of the base film.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2 with constant wavelength dispersion at a wavelength of 380 nm was 1%, and 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was 76°.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제작)(Production of positive C p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필름(두께 38 ㎛,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 16 g/㎡·24 hr)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을 준비하였다. 기재 필름의 편면에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막 두께 3 ㎛가 되도록 도포하고, 2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직 배향막을 제작하였다. 수직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고, 건조 후, 도막에 자외선(UV) 조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을 형성함으로써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얻었다. 경화층의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은 85%이고, 물에 대한 접촉각은 63°였다.A base film containing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film (thickness 38 ㎛, temperature 40°C, moisture permeability 16 g/m2·24 hr at 90% RH relative humidity) was prepare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vertical alignment film was applied to one side of the base film to a film thickness of 3 μm,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f 200 mJ/cm 2 to produce a vertical alignment film.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ositive C plate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pplied onto the vertical alignment film, and after drying, the coating film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UV) to polymerize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o form a cured layer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By doing so, a positive C plate was obtaine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cured layer at a wavelength of 380 nm was 85%, and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was 63°.

(기재 필름 부착 위상차층 적층체의 제작)(Production of phase contrast layer laminate with base film)

기재 필름 상의 1/4 파장 위상차층 1의 표면, 및 기재 필름 상의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표면의 각각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코로나 처리면끼리를, 상기에서 조제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그 후, 포지티브 C 플레이트측으로부터,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즈(주) 제조〕를 이용하여, 적산 광량 400 mJ/㎠(UV-B)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접합은,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행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가 3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에 의해, 기재 필름, 배향막, 1/4 파장 위상차층 1,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 수직 배향막, 및 기재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기재 필름 부착 위상차층 적층체를 얻었다.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on the base film and the surface of the positive C plate on the base film. Each corona-treated surface was bonded us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prepared above. Afterwards, from the positive C plate side, using a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manufactured by Fusion UV Systems Co., Lt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with an integrated light amount of 400 mJ/cm2 (UV-B) to cure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An adhesive layer was formed. Bonding was performed using a laminator, an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was appli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fter curing was 3 μm. As a result, a retardation layer laminate with a base film was obtained, comprising the base film, alignment film,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layer, positive C plate, vertical alignment film, and base film in this order.

<실시예 1><Example 1>

편광자의 편면에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편광자의 편면에 제1 보호 필름[투습도 13 g/㎡·24 hr,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 6%, 닛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자외선 흡수제가 들어간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 필름 「제오노아 ZF12」, 두께 13 ㎛]을 접합시켜, 제1 보호 필름/접착제층(두께 0.1 ㎛)/편광자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A water-based adhesiv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first protective film (water vapor permeability of 13 g/m2·24 hr, light transmittance of 6% at a wavelength of 380 nm,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containing an ultraviolet absorber)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Cyclic polyolefin resin (COP) film “Zeonoa ZF12”, thickness 13 μm] was bonded to obtain a laminate having the layer structure of first protective film/adhesive layer (thickness 0.1 μm)/polarizer.

다음으로, 편광자의 제1 보호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형성하였다.Next, a water-based adhesive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opposite to the first protective film side, and a coating film of the water-based adhesive was formed.

그 후, 수계 접착제의 도막 상에 이형 필름[이형 처리가 실시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TAC) 필름, 두께 25 ㎛]을 적층하여, 온도 80℃의 대기 분위기하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두께 0.1 ㎛의 수계 접착제층을 얻었다.After that, a release film (triacetylcellulose resin (TAC) film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thickness 25 ㎛) was laminated on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and dried in an air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80°C for 5 minutes, then the release film. was peeled off to obtain a water-based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0.1 μm.

수계 접착제층 및 1/4 파장 위상차층 1에 대해, 14 kJ/㎡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1/4 파장 위상차층 1의 경화층측을 접합시켰다. 1/4 파장 위상차층 1의 형성에 이용한 기재 필름을 박리하였다. 제1 보호 필름/접착제층/편광자/수계 접착제층/경화층/배향막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fter 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at 14 kJ/m 2, the cured layer side of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was bonded. The base film used to form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was peeled. A laminate having a layer structure of first protective film/adhesive layer/polarizer/water-based adhesive layer/cured layer/alignment film was obtain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에 있어서, 1/4 파장 위상차층 1을 대신하여 1/4 파장 위상차층 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2 was used instead of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에 있어서, 1/4 파장 위상차층 1을 대신하여 기재 필름 부착 위상차층 적층체를 이용한 것, 및 기재 필름 부착 위상차층 적층체로부터 1/4 파장 위상차층측의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배향막과 수계 접착제층을 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In Example 1, a retardation layer laminate with a base film was used instead of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1, and the base film on the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side was peeled and exposed from the retardation layer laminate with a base film. 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lignment film and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were bond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에 있어서, 수계 접착제층 및 위상차층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orona treatment was not performed on either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or the retardation lay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10: 적층체 11, 21: 편광판
12, 22: 수계 접착제층 13, 23: 위상차층
14: 보호 필름 15: 편광자
24: 보호 필름 25: 편광자
26: 수계 접착제의 도막 27: 이형 필름
10: Laminate 11, 21: Polarizer
12, 22: water-based adhesive layer 13, 23: phase difference layer
14: protective film 15: polarizer
24: protective film 25: polarizer
26: Coating film of water-based adhesive 27: Release film

Claims (9)

직선 편광판과, 수계 접착제층과, 위상차층이 이 순서로 접합되고,
상기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 편광판 및 상기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적층체.
A linear polarizer,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in this order,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laminate in which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접착제층과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이 접하여 접합되어 있는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join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편광판은, 편광자의 한쪽 또는 양쪽에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온도 40℃, 상대 습도 90%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200 g/㎡·24 hr 이하인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inear polarizer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 laminate wherein the protective film has a moisture permeability of 200 g/m2·24 hr or less at a temperature of 4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RH.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1/4 파장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1/2 파장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a 1/2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1층만 구비하는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retardation layer includes only one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직선 편광판과, 수계 접착제층과, 위상차층이 이 순서로 접합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직선 편광판 상에,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건조시켜, 수계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수계 접착제층의 상기 직선 편광판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및 상기 위상차층의 상기 수계 접착제층측의 표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한 후, 상기 직선 편광판과 상기 위상차층을 상기 수계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하는 제3 공정
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직선 편광판 및 상기 위상차층 모두, 파장 380 ㎚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이 10% 이하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in which a linear polarizer,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a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in this order,
A first step of forming a coating film of a water-based adhesive on the linear polarizer,
A second step of drying the water-based adhesive film to form a water-based adhesive layer;
After performing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opposite to the linear polarizer side and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layer on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side,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through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3 process
Provided in this order,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erein both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layer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 후에, 상기 적층체를 가열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body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heating the laminated body after the third step.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수계 접착제의 도막 상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수계 접착제의 도막을 건조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을 더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second process is,
A step of laminating a release film on the water-based adhesive coating film;
A process of peeling off the release film after drying the coating film of the water-based adhesiv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 further comprising:

KR1020237037539A 2021-04-22 2022-04-18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ending KR2023017250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72470 2021-04-22
JP2021072470 2021-04-22
JP2021179581A JP2022167759A (en) 2021-04-22 2021-11-02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JP-P-2021-179581 2021-11-02
PCT/JP2022/017998 WO2022224921A1 (en) 2021-04-22 2022-04-18 Stack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504A true KR20230172504A (en) 2023-12-22

Family

ID=8372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539A Pending KR20230172504A (en) 2021-04-22 2022-04-18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72504A (en)
TW (1) TW202304697A (en)
WO (1) WO2022224921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7996A (en) 2016-07-29 2018-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303A (en) * 1999-01-18 2000-07-28 Sekisui Chem Co Ltd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2007127892A (en) * 2005-11-04 2007-05-24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JP4895290B2 (en) * 2006-12-25 2012-03-14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488135B2 (en) * 2015-01-27 2019-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6937169B2 (en) * 2017-06-09 2021-09-22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WO2019124439A1 (en) * 2017-12-19 2020-1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085414B2 (en) * 2018-06-14 2022-06-16 住友化学株式会社 Liquid cryst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optical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KR102522253B1 (en) * 2019-02-19 2023-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paration Method for Polarizing P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7996A (en) 2016-07-29 2018-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4697A (en) 2023-02-01
WO2022224921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0347B2 (en) Laminate
CN108474891B (en) polarizing plate
KR20160037758A (en) Polarizing plate
JP7469889B2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TW201930063A (en) Laminate
TW202234099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0101815A (en) Polarizing plate set
KR20160038742A (en) Polarizing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5842903A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9806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N108020950B (en) Polarizing plate group and liquid crystal panel
KR102759130B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ducing the same
JP2022167759A (en)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775551B2 (en) Polarizing plate set and liquid crystal panel
JP6887222B2 (en) Polarizing plate set
KR20230172504A (en)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8200413A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liquid crystal panel
TWI776899B (en)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JP2023068427A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7178213A (en) Laminat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64564A (en)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148826A (en) Set of polarizing plates and liquid crystal panel
JP7374744B2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JP2023037967A (en) Adhesive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3037965A (en) Adhesive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4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