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68074A -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74A
KR20230168074A KR1020220068556A KR20220068556A KR20230168074A KR 20230168074 A KR20230168074 A KR 20230168074A KR 1020220068556 A KR1020220068556 A KR 1020220068556A KR 20220068556 A KR20220068556 A KR 20220068556A KR 20230168074 A KR20230168074 A KR 20230168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me
substrate
module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주
이현강
이종환
오유원
김현구
정다운
정희도
박찬정
오동민
예병효
박성민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74A/ko
Priority to PCT/KR2023/006535 priority patent/WO2023234592A1/ko
Publication of KR2023016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7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 내의 물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유로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조립체는, 상기 밸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ASSEMBLY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정수기는 사용자에게 정수를 바로 제공할 수도 있으나, 냉각기로 정수를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냉수로 제공하거나 또는 히터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온수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수기의 케이스는, 앞서 서술한 필터, 냉각기, 히터 등의 정수기 구성요소들의 무게로 인하여 하중을 받고 있게 된다. 정수기는 제조되어 소비자에게 운송되는 과정에서 정수기의 낙하, 대기 등에 의해 더 많은 하중을 받게 되고, 이러한 하중으로 인하여 케이스의 형상이 유지되지 못하거나 파손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정수기 케이스의 변형과, 구성요소들의 이탈 위험성이라는 문제 자체가 인식되지 못했던 실정이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공개특허공보 10-2022-0046953 "정수기"(특허문헌 1)와 같이 필터, 히터, 파이프 등의 정수기 구성요소들이 정수기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경우에는 정수기의 케이스가 받는 하중은 더욱 커지게 되어, 상술한 케이스의 변형과 손상의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더 나아가, 이처럼 정수기가 운송하는 과정에서와 같이 큰 하중을 받게 될 경우에는 정수기의 구성요소들이 정위치에 배치되지 못하고 이탈하게 될 위험도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2-0046953 (2022.04.15.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이 정수기 내부 구성요소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정수기 구성요소가 하중을 받더라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 내의 물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유로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조립체는, 상기 밸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워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모듈, 상기 밸브모듈 및 상기 기판조립체는 상기 워터몸체 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필터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필터프레임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안착될 수 있는 프레임바디; 및 상기 프레임바디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기판지지체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필터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결합구가 상기 필터프레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구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판지지체와 맞물리기 위한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지지체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기판지지체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걸림구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 및 상기 맞물림구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후크 및 홈 형상으로 제공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판은 상기 밸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기판; 및 상기 가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조립체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기판조립체의 전후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는, 상기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 내의 물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유로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조립체는, 상기 밸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필터프레임을 지지하는,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이 정수기 내부 구성요소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정수기 구성요소가 하중을 받더라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수기의 워터몸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수기를 A-A'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수기의 필터프레임과 기판조립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필터프레임과 기판조립체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수기의 기판조립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베이스프레임과 기판조립체가 맞물린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 '지지',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 지지,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 조립체(1)는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 조립체(1)는 정수기(10), 및 원수를 여과하하여 정수를 제공하도록 정수기(10)에 장착되는 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10)는 필터(20)가 장착되었을 때,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0)는 유로모듈(200), 워터몸체(300), 냉각부(400), 방열부(500), 팬유닛(600), 전력공급장치(700), 밸브모듈(800) 및 기판조립체(9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유로모듈(200), 워터몸체(300), 냉각부(400), 방열부(500), 팬유닛(600), 전력공급장치(700), 밸브모듈(800) 및 기판조립체(900)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메인프레임(110), 필터프레임(120) 및 베이스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하측이 개방되어 유로모듈(200), 워터몸체(300), 냉각부(400), 방열부(500), 팬유닛(600), 전력공급장치(700), 밸브모듈(800) 및 기판조립체(90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0)은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필터프레임(120)은 일측이 개방되어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0)은 정수기(10)의 후방부이면서도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프레임(120)은 팬유닛(600)보다 전방측이면서도 유로모듈(200)보다 후방측에 놓이도록 메인프레임(110)에 배치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프레임(120)에는 프레임바디(121), 서포터(122) 및 고정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바디(121)는 내부에 필터(20)가 수용됨으로써 필터(20)가 안착될 수 있는 필터수용부(필터수용공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바디(121)의 측면에는 프레임바디(12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연통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 공기가 필터프레임(120)을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필터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프레임(120)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히트싱크(520)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서포터(122)는 유로모듈(200) 및 밸브모듈(800)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터(122)는 프레임바디(12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바디(121)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포터(122)는 유로모듈(200) 및 밸브모듈(8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구(123)는 기판조립체(9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123)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판조립체(900)에 구비된 후술할 결합구(914)가 삽입되어 기판조립체(90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23)는 후술할 결합구(914)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구(123)는 프레임바디(121)의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터(122)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23)에는 기판조립체(9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123)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와 같이 필터프레임(120)이 2개의 필터를 수용 가능하도록 2개의 필터수용부가 제공될 경우, \가 수용되는 제1 필터수용부와 제2 필터가 수용되는 제2 필터수용부에 고정구(123)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은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30)은 워터몸체(300)에 의해 발생된 응결수를 수용하기 위한 응결수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은 워터몸체(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30)의 전방측에는, 기판조립체(900)와 맞물리기 위한 걸림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구(131)는 후크 또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로모듈(200)은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프레임(10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모듈(200)은 메인프레임(110)의 전면부에서 워터몸체(300)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모듈(200)은 기판지지체(910)와 하나 이상의 기판(9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모듈(200)은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모듈(200)은 출수부(210) 및 유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부(210)는 유로부(220)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외부로 출수할 수 있다. 이러한 출수부(210)는 메인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10)는 유로부(220)와 연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출수부(210)는 유로부(220)와 하나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출수부(210)는 유로부(220)와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로부(220)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220)는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출수부(21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유로부(220)는 메인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출수부(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워터몸체(300)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몸체(300)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직수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워터몸체(300)에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는 복수 개의 격벽(310)이 구비되며, 복수 개의 격벽(310)에 의해 물이 유동하기 위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워터몸체(300)의 상부로부터 유입된 물은 워터몸체(300)의 하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워터몸체(300) 내부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 방향은 복수 개의 격벽(310)에 의해 복수 차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워터몸체(300)로 유입된 물은 복수 개의 격벽(310)을 따라 유동하는 동안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시로 워터몸체(300)는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식 물탱크일 수 있다. 이 경우 워터몸체(300)는 유입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된 냉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몸체(300)에 수용된 물은 워터몸체(300)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워터몸체(30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차오를 수 있다. 이러한 워터몸체(3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차오르는 동안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워터몸체(300)는 워터몸체(300)에 선입된 물이 선출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워터몸체(300)의 파이프로 유입된 물은 파이프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저온으로 냉각되어 파이프로부터 출수될 수 있다.
냉각부(400)는 워터몸체(3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400)는 일면이 워터몸체(30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워터몸체(3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00)는 워터몸체(300)의 후방측에 지지될 수 있따. 예를 들어, 냉각부(400)는 전면이 워터몸체(300)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워터몸체(3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00)는 전력공급장치(7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냉각부(400)에 전달되는 전력은 전력공급장치(700)에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00)는 전자식 냉각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증발기나 압축기 등의 냉각시스템이 생략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부피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400)는 열전모듈(410) 및 콜드블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모듈(410)은 전류가 흐르면, 일면이 냉각되고 타면이 발열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410)은 전면이 콜드블럭(42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모듈(410)의 전면이 냉각되면, 열전모듈(410)에서 발생한 냉기는 콜드블럭(420)을 통하여 워터몸체(300)의 후면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열전모듈(410)의 후면은 후술할 히트파이프(51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된 열은 히트파이프(510)로 전달될 수 있다.
콜드블럭(420)은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된 냉기를 워터몸체(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콜드블럭(420)은 전면이 워터몸체(300)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워터몸체(3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콜드블럭(420)은 후면이 열전모듈(410)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열전모듈(4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410)에서 발생한 냉기는 콜드블럭(420)에 의해 워터몸체(300) 내부의 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드블럭(420)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콜드블럭(420)은 워터몸체(300)에 직접 접착될 수도 있으며, 스크류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워터몸체(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방열부(500)는 열전모듈(410)의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500)는 히트파이프(510) 및 히트싱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510)는 열전모듈(410)의 후면에 배치되며,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히트싱크(5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파이프(510)는 열매를 통하여 열전모듈(4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열을 히트싱크(5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히트파이프(510)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히트싱크(520)는 히트파이프(510)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히트싱크(520)는 워터몸체(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워터몸체(30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히트싱크(520)는 히트파이프(510)의 상측에 놓인 채로 히트파이프(510)와 연결되며, 히트파이프(5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팬유닛(600)은 프레임(100) 외부 공기가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고,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프레임(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유닛(60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유입구(111)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고,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112)를 통해 프레임(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팬유닛(600)은 히트싱크(520)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팬유닛(600)은 히트싱크(520)에서 열이 발생되면, 히트싱크(520)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히트싱크(520)를 식힐 수 있다. 또한, 팬유닛(600)은 히트싱크(52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유닛(600)은 열전모듈(410)의 작동에 따라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전력공급장치(700)는 열전모듈(410) 및 팬유닛(6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장치(700)는 열전모듈(410) 및 팬유닛(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장치(700)는 스위칭 방식 전력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전력공급장치(700)는 열전모듈(410) 및 팬유닛(6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전력공급장치(700)는 워터몸체(300)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열전모듈(4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장치(700)는 히트싱크(520) 보다 하측에 놓인 채로 히트파이프(5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장치(700)는 팬유닛(6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력공급장치(700)는 전력공급장치(700)에서 발생된 열이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물로 전달되지 않도록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장치(700)는 출수부(210)와 이격되도록 프레임(100)의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공급장치(700)에서 발생된 열이 출수부(21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장치(700)는 유로부(220)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공급장치(700)에서 발생된 열이 유로부(220)를 따라 유동하는 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장치(700)는 필터프레임(120)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전력공급장치(70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워터몸체(300)의 후단부 보다 필터프레임(120)의 후단부로부터 더 멀리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공급장치(700)에서 발생된 열이 필터프레임(120)에 안착된 필터(2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밸브모듈(800)은 정수, 냉수 및 온수 중 하나 이상이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800)은 복수 개의 입수 커넥터 및 출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800)의 작동에 의해 정수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밸브모듈(800)은 워터몸체(300)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기판조립체(900)는 워터몸체(300), 방열부(500), 팬유닛(600), 밸브모듈(800)의 개폐, 전력공급장치(700) 및 가열장치(10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기판조립체(900)는 워터몸체(300)보다 전방측에 배치되고, 유로모듈(200)의 무게중심과 밸브모듈(800)의 무게중심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조립체(900)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좌우방향으로의 길이)은 기판조립체(900)의 전후방향으로의 폭(전후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기판조립체(900)의 상하방향으로의 길이는 좌우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기판조립체(900)는 넓은 면에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고,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향될 수 있고, 전방측의 메인프레임(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조립체(900)는 기판지지체(910)와 하나 이상의 기판(9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지지체(910)는 하나 이상의 기판(920)을 지지한다. 기판지지체(910)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중 하나의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기판(920)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지지체(910)는 기판(92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판지지체(910)는 기판(920)의 전방측 면, 후방측 면, 기판의 상면, 하면, 양측면 중 하나 이상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지지체(910)는 기판(920)의 모든 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지지체(910)는 기판(920)을 수용하는 케이스 또는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지지체(910)는 필터프레임(120)을 지지하며 필터프레임(12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지지체(910)는 유로모듈(200) 및 밸브모듈(80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유로모듈(200)과 밸브모듈(800)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지지체(91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글래스 함유 플라스틱과 같이 강성이 강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지지체(910)는 기판지지체부(911, 912), 맞물림구(913) 및 결합구(914)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지지체부(911, 912)는 기판(920)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기판지지체부(911, 912)는 기판(920)이 복수 개로 제공될 경우 기판(9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920)이 제1 기판(921)과 제2 기판(922)으로 제공될 경우, 기판지지체부는 제1 기판지지체부(911) 및 제2 기판지지체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지지체부(911)는 제1 기판(921)을 지지하는 부분이고, 제2 기판지지체부(91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지지체부(911)는 제2 기판지지체부(912)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판지지체부(911)는 주면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기판(921)을 둘러싸는 둘레벽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기판지지체부(912)는 제2 기판(922)을 지지하는 부분이고, 제1 기판지지체부(91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지지체부(912)는 제1 기판지지체부(911)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제2 기판지지체부(912)의 배면은 제1 기판지지체부(911)의 배면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기판지지체부(912)는 주면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기판(921)을 둘러싸는 둘레벽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기판지지체부(911)와 제2 기판지지체부(912)의 사이에는 제1 기판지지체부(911)와 제2 기판지지체부(912)를 구획하기 위한 간벽부가 마련될 수 있다.
맞물림구(913)는 베이스프레임(130)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구(913)는 기판지지체(91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기판지지체(9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구(913)와 걸림구(131)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후크 및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구(913)의 하면은 홈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홈의 배면은 베이스프레임(130)의 걸림구(131)와 맞물릴 수 있다. 걸림구(131)는 맞물림구(913)의 홈의 배면과 맞물리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맞물림구(913)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보강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결합구(914)는 기판지지체부(911, 912)의 상측에 구비되어 필터프레임(120)의 하측의 고정구(12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914)는 고정구(123)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914)에는 고정구(123)와 함께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920)은 워터몸체(300), 방열부(500), 팬유닛(600), 밸브모듈(800)의 개폐, 전력공급장치(700) 및 가열장치(10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판(92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기판(920)은 제1 기판(921)과 제2 기판(9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921)은 밸브모듈(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기판(922)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기판(922)은 가열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열장치(1000)는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장치(1000)는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100℃에 가까운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장치(1000) 내부는 가열된 수증기에 의해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는 기판조립체(900)가 정수기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어 정수기(10) 상측의 전방에 배치된 구성요소로 인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조립체(900)는 중간 프레임 역할을 하여 정수기(10)의 하중,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정수기(10)가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정수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전방부가 후방으로 요입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도 4와 같이 정수기(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알파벳 r(소문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기판조립체(900)가 정수기(10)의 하부 전방측에 배치되어 출수부(210)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별도의 프레임이나 케이스의 강성을 강화시키지 않더라도, 케이스가 변형되거나 구성요소가 정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정수기 조립체
10: 정수기 20: 필터
100: 프레임 110: 메인프레임
120: 필터프레임 121: 프레임바디
122: 서포터 123: 고정구
130: 베이스프레임 131: 걸림구
200: 유로모듈 300: 워터몸체
310: 격벽
400: 냉각부 410: 열전모듈
420: 콜드블럭
700: 전력공급장치 800: 밸브모듈
900: 기판조립체 910: 기판지지체
911: 제1 기판지지체부 912: 제2 기판지지체부
913: 맞물림구 914: 결합구
920: 기판 921: 제1 기판
922: 제2 기판

Claims (10)

  1.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 내의 물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유로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조립체는,
    상기 밸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워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모듈, 상기 밸브모듈 및 상기 기판조립체는 상기 워터몸체 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필터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필터프레임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안착될 수 있는 프레임바디; 및
    상기 프레임바디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기판지지체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필터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결합구가 상기 필터프레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구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판지지체와 맞물리기 위한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지지체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기판지지체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걸림구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 및 상기 맞물림구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후크 및 홈 형상으로 제공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판은 상기 밸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기판; 및 상기 가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조립체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기판조립체의 전후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정수기.
  9.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는,
    상기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모듈;
    상기 유로모듈 내의 물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유로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조립체는,
    상기 밸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정수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지지체는 상기 필터프레임을 지지하는,
    정수기 조립체.
KR1020220068556A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Pending KR20230168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556A KR20230168074A (ko)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PCT/KR2023/006535 WO2023234592A1 (ko) 2022-06-03 2023-05-15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556A KR20230168074A (ko)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74A true KR20230168074A (ko) 2023-12-12

Family

ID=8902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556A Pending KR20230168074A (ko)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74A (ko)
WO (1) WO20232345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53A (ko) 2020-10-08 2022-04-1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0442A (en) * 1991-09-24 1994-03-01 Clack Corporation Self-contained, purified drinking water refrigerator storage apparatus
JP2010063595A (ja) * 2008-09-10 2010-03-2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供給装置
ITUA20163311A1 (it) * 2016-05-10 2017-11-10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da caffè con telaio modulare e relativo metodo di assemblaggio
KR20200124136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586A (ko) * 2019-04-24 2020-11-03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53A (ko) 2020-10-08 2022-04-1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592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5750C2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температурного режима
US6952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heat-generating structure
CN110072368B (zh) 被冷却的电子系统
US9837789B2 (en) Air-cooled laser device having L-shaped heat-transfer member with radiating fins
US20070119574A1 (en) Flow distributing unit and cooling unit having bypass flow
US9670886B2 (en) Integra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er
TW201510463A (zh) 液冷模組及使用其之電子裝置
US9848515B1 (en) Multi-compartment computing device with shared cooling device
CN220140012U (zh) 液冷数据中心
CN113366930B (zh) 逆变器装置以及包括其的逆变器面板
JP4201814B2 (ja) エンクロージャのための冷却装置
EP3349556B1 (en) Air inlet channel with thermoelectric cooling element
US6169658B1 (en) Plenumless air cooled avionics rack
US11022341B2 (en) Storage type electric water heater with hot air generating function
KR20050025050A (ko) 전자 기기 장치
KR20230168074A (ko)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160106842A (ko) 차량용 가열 난방장치
CN216795552U (zh) 吸油烟机控制板散热装置及应用其的吸油烟机
KR20230164391A (ko)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CN110848818A (zh) 散热器和具有其的电控组件、空调器
JP7113978B2 (ja) チリングユニット
KR20230166253A (ko)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CN119095336A (zh) 电子功率设备和冷却回路
JP2000165076A (ja) 屋外用表示装置の筺体
CN220422165U (zh) 域控制器的外壳及具有其的域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