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67898A - 수축라벨 - Google Patents

수축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898A
KR20230167898A KR1020220068111A KR20220068111A KR20230167898A KR 20230167898 A KR20230167898 A KR 20230167898A KR 1020220068111 A KR1020220068111 A KR 1020220068111A KR 20220068111 A KR20220068111 A KR 20220068111A KR 20230167898 A KR20230167898 A KR 2023016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perforation line
notch
perforation
shrink lab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1444B1 (ko
Inventor
최영조
최서훈
장수진
Original Assignee
최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조 filed Critical 최영조
Priority to KR102022006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1444B1/ko
Publication of KR2023016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14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라벨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제1파트, 일정 면적을 가지는 제2파트 및 상기 제1파트 및 상기 제2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트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절취부 및 상기 제2파트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절취부를 포함하는 절취파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축라벨{Shrinkage Labels}
본 발명은 용기에서 라벨을 제거하는 경우 용이하게 제거가 가능하도록 라벨의 일부를 분리하기 위한 절취구조를 사선 형태로 형성하는 수축라벨에 관한 것이다.
물이나 주스 같은 음료수, 화장품 및 샴푸와 같은 생황용품, 세정액, 표백제 등과 같은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 상품명 및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용기 표면에 라벨을 부착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용기의 재활용시 라벨을 용기에서 분리를 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라벨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작과정에서 절취선을 형성한 라벨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라벨은 상, 하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용기에 끼워진 상태에서 열에 의하여 수축되면서 용기에 접합이 되게 된다. 그리고 절취선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PET(Polyethylene ter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으로 라벨에 사용되는 필름은 압출기계에서 일정두께로 압출한 다음 연신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분자의 결정화 배향이 달라지게 되어 횡방향으로의 결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라벨을 절취하는 경우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결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절취가 다 이루어지지 않고, 절취 과정에서 횡방향으로의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절개선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수축라벨의 경우 제작된 다음 양단을 접합시켜 원통을 이룬 다음 용기에 끼운 상태에서 가열에 의하여 수축되면서 용기에 고정이 되게 된다.
그리고 수축라벨에 형성된 절개선의 경우 가열에 의한 라벨의 수축과정에서 벌어지면서 개구된 홀을 형성하게 된다.
도1은 상용화되어 사용되는 수축라벨의 절취선의 형상 및 수축을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절개선을 형성하는 경우 수축과정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절개선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 하 방향에 위치하는 개구홀의 가장 가까운 지점이 원의 중앙지점여서 절취를 위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설명한 것 및 도2의 사진에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절취파트가 분리가 되다가 완전하게 분리가 되지 않고, 횡방향으로 절취가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51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벨에 종방향으로형성되는 절취선을 따라 라벨을 절취하는 경우 횡방향으로의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축라벨을 제공하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축라벨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제1파트, 일정 면적을 가지는 제2파트 및 상기 제1파트 및 상기 제2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트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절취부 및 상기 제2파트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절취부를 포함하는 절취파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절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절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취선의 상단에는 상기 제1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상부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취선의 하단에는 상기 제1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하부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절취선의 상단에는 상기 제2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상부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취선의 하단에는 상기 제2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하부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절취선은 상기 절취파트에서 상기 제1파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절취선은 상기 절취파트에서 상기 제2파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절취선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제1절취선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절취선의 제1하부노치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1상부노치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노치 및 상기 제2상부노치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노치 및 상기 제2하부노치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절취선 중 인접하는 제1절취선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절취선 중 인접하는 제2절취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노치 및 상기 제2상부노치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노치 및 상기 제2하부노치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취선, 상기 제2절취선, 제1상부노치, 제1하부노치, 제2상부노치 및 제2하부노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노치, 상기 제2상부노치는 두께 방향으로 전부 절개가 되고, 상기 제1절취선, 상기 제2절취선, 제1하부노치 및 제2하부노치는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만 절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라벨은 절취선을 경사지도록 배치하고, 상부 및 하부에 노치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만 두께 방향으로 전부 절개를 하여 용기에 밀착을 위한 수축과정에서 절취선이 벌어지면서 형성되는 개구홀들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축라벨의 제작과정에서 형성되는 결정방향에 따라 전체가 분리되지 않고, 횡방향으로 뜯겨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절취파트를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수축라벨의 절취선의 형태 및 수축하는 경우 형성되는 개구홀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에 형성되는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의 절취파트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절취선 및 제1절취선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한 사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열을 인가하여 절취선이 벌어지면서 개구홀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사진;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한 사진;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열을 인가하여 절취선이 벌어지면서 개구홀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의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에 형성되는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축라벨의 절취파트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축라벨(1)은 병 등의 용기(2)를 둘러쌀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파트(10), 제2파트(20) 및 절취파트(30)을 포함한다.
일정 면적을 가진다면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수축라벨(1)은 양단이 접착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음, 용기(2)에 끼워지고 인가되는 열에 의하여 수축이 되는 방식으로 용기(20)에 고정이 되게 된다. 따라서 인가되는 열에 의하여 수축이 될 수 있는 PET(Polyethylene ter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파트(10), 제2파트(20)는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절취파트(30)는 상기 제1파트(10) 및 제2파트(20) 사이에 배치된다.
절취파트(30)는 용기(2)의 재활용을 위하여 수축라벨(1)를 용기(2)에서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축라벨(1)에서 분리를 하는 부분이고, 절취파트(30)가 수축라벨(1)에서 분리가 되면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수축라벨(1)를 용기에서 분리를 할 수 있다.
제1파트(10), 제2파트(20) 및 절취파트(30)는 제1파트(10)와 절취파트(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절취부(40) 및 제2파트(20)와 절취파트(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절취부(50)을 통하여 구획이 되게 된다.
제1절취부(40)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절취선(4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절취부(50)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절취선(51)을 포함한다.
제1절취선(41) 및 제2절취선(51)는 다양한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1절취선(41)는 절취파트(30)에서 제1파트(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2절취선(42)는 절취파트(30)에서 제2파트(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1절취선(41)의 상단에는 제1상부노치(41a)가 형성되고, 제1절취선(41)의 하단에는 제1하부노치(4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절취선(51)의 상단에는 제2상부노치(51a)가 형성되고, 제2절취선(51)의 하단에는 제2하부노치(51b)가 형성된다
제1상부노치(41b) 및 제1하부노치(41b)는 제1절취선(41)와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의 제1상부노치(41a) 및 제1하부노치(41b)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상부노치(51b) 및 제2하부노치(51b)는 제2절취선(51)와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의 제2상부노치(51a) 및 제2하부노치(51b)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1절취선(41)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제1절취선(41)은 어느 하나의 제1절취선(41)의 제1하부노치(41b) 및 다른 하나의 제1절취선(41)의 제1상부노치(41a)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2절취선(51)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제2절취선(51)은 어느 하나의 제2절취선(51)의 제2하부노치(51b) 및 다른 하나의 제1절취선(51)의 제2상부노치(51a)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라벨에 사용되는 필름은 압출기계에서 일정 두께로 압출한 다음 연신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분자의 결정화 배향이 달라지게 되어 횡방향으로의 결이 형성되게 된다.
즉 인접하는 한 쌍의 제1절취선(41) 중 어느 하나의 제1하부노치(41b) 및 다른 하나의 제1절취선(41)의 제1상부노치(41a)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수축라벨에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 방향 결을 따라 제1하부노치(41b) 및 제1상부노치(41a)가 배치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절취파트(30)을 분리하기 위하여 절취파트(3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하 방향 외력을 가하는 경우 보다 적은 힘으로 효과적으로 수축라벨(1)에서 절취파트(3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취파트(30)가 분리되는 경우 마주보는 제1상부노치(41a) 및 제1하부노치(41b) 사이의 결을 따라 절취가 되어 절취파트(30)의 측면의 형태가 톱니 형태로 형성되게 될 것이다.
한편, 인접하는 한 쌍의 제2절취선(51) 중 어느 하나의 제2하부노치(51b) 및 다른 하나의 제2상부노치(51a)의 절취 과정은 상기 설명한 제1절취선(41)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절취선 및 제1절취선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절취선이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되는 제1절취선이 일부만 절개가 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제1절취선(14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제2절취선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수축라벨에 제1절취선(4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수축라벨을 관통하도록 제1절취선(41')를 형성할 수 있고,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되도록 형성을 할 수 있다.
한편, 절개가 되는 정도는 제1절취선(41')을 형성하기 위한 칼날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기타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되는 경우 작업과정 또는 유통과정에서 절취파트가 분리가 될 가능성은 낮고, 수축라벨에 수축되면서 용기에 밀착되는 경우 전체가 절개된 경우보다 형성되는 개구홀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가 수축라벨을 용기에서 분리시 전체가 절개되는 경우에 비하여 힘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한편, 두께 방향으로 전부가 절개가 되는 경우 수축라벨을 용기에서 분리하는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소요되지만, 작업과정 또는 유통과정에서 절취파트의 일부가 분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수축라벨에 열을 가하여 용기에 밀착시키는 경우 개구홀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이 되고, 이에 따라 수축과정에서 인접하는 개구홀이 연통이 되어 불량이 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가 절개되는 경우와 일부만 절개되는 경우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하여, 제1절취선(41')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되도록 형성한다.
즉 제1절취선(14'), 제1상부노치(41a'), 제1하부노치(41b') 중 적어도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상부노치(41a')가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부 절개가 되고, 제1절취선(41') 및 제1하부노치(41b')는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되게 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수축라벨의 결정구조에 따라 종방향보다는 횡방향으로의 절취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절취를 하는 과정에서 상, 하 방향의 절취선(10a)는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절취가 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는 절취과정에서 상부의 절취선이 절개가 되고, 제1절취선(41')의 제1상부노치(41a')는 두께 방향으로 전부 절개가 되어 있으므로 제1ㅅ아부상부노치(41a')가 일부만 절개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절취가 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일부만 절개가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설명한 전부 절개가 되는 경우와 일부만 절개가 되는 경우의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한 사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열을 인가하여 절취선이 벌어지면서 개구홀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사진이다.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1절취선(141)의 제1상부노치(141a)는 제1절취선(141)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되고, 제1하부노치(141b)는 제1절취선(141)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된다.
그리고 제2절취선(151)의 제2상부노치(151a)는 제2절취선(151)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되고, 제2하부노치(151b)는 제2절취선(151)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수축라벨에 열이 인가되어 수축되는 과정에서 제1절취선(141) 및 제2절취선(151)이 벌어지면서 개구가 되는 경우 원형이 아닌 경사지면서 타원형의 개구홀이 형성되게 된다(도10 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경우 수축에 의하여 원형의 개구홀이 형성되는 것과 다른 형태의 개구홀이 형성이 되게 된다.
따라서 타원형으로 경사진 형태의 개구홀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절취를 하는 경우 개구홀이 원형으로 형성이 되는 것보다 보다 부드럽고 용이하게 절취파트의 분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제1절취선 및 제2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를 확대한 사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수축라벨에 열을 인가하여 절취선이 벌어지면서 개구홀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사진이다.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1절취선(241) 중 인접하는 제1절취선(24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2절취선(251) 중 인접하는 제2절취선(25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절취선(241)의 제1상부노치(241a)는 제1절취선(241)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되고, 제1하부노치(241b)는 제1절취선(241)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된다.
그리고 제2절취선(251)의 제2상부노치(251a)는 제2절취선(251)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되고, 제2하부노치(251b)는 제2절취선(251)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이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축라벨에 열이 인가되어 수축되는 과정에서 제1절취선(141) 및 제2절취선(151)이 벌어지면서 개구가 되는 경우 원형이 아닌 경사지면서 타원형의 개구홀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3실시예와 달리 인접하는 제1절취선(241) 및 제2절취선(251)의 경사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됨에 따라 인접하는 타원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이 되게 된다(도13 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경우 수축에 의하여 원형의 개구홀이 형성되는 것과 다른 형태의 개구홀이 형성이 되게 된다.
따라서 타원형으로 경사진 형태의 개구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절취를 하는 경우 개구홀이 원형으로 형성이 되는 것보다 보다 부드럽고 용이하게 절취파트의 분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제1파트 20: 제2파트
30: 절취파트 40: 제1절취부
41: 제1절취선 50: 제2절취부
51: 제2절취선

Claims (10)

  1. 일정 면적을 가지는 제1파트;
    일정 면적을 가지는 제2파트; 및
    상기 제1파트 및 상기 제2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트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절취부 및 상기 제2파트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절취부를 포함하는 절취파트;
    를 포함하는 수축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절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절취선을 포함하는 수축라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선의 상단에는 상기 제1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상부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취선의 하단에는 상기 제1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하부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절취선의 상단에는 상기 제2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상부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취선의 하단에는 상기 제2절취선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하부노치가 형성되는 수축라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절취선은 상기 절취파트에서 상기 제1파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절취선은 상기 절취파트에서 상기 제2파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수축라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절취선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제1절취선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절취선의 제1하부노치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1상부노치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축라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노치 및 상기 제2상부노치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노치 및 상기 제2하부노치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축라벨.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절취선 중 인접하는 제1절취선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절취선 중 인접하는 제2절취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수축라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노치 및 상기 제2상부노치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노치 및 상기 제2하부노치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축라벨.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선, 상기 제2절취선, 제1상부노치, 제1하부노치, 제2상부노치 및 제2하부노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절개가 되는 수축라벨.
  10.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노치, 상기 제2상부노치는 두께 방향으로 전부 절개가 되고,
    상기 제1절취선, 상기 제2절취선, 제1하부노치 및 제2하부노치는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만 절개가 되는 수축라벨.
KR1020220068111A 2022-06-03 2022-06-03 수축라벨 Active KR10270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111A KR102701444B1 (ko) 2022-06-03 2022-06-03 수축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111A KR102701444B1 (ko) 2022-06-03 2022-06-03 수축라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98A true KR20230167898A (ko) 2023-12-12
KR102701444B1 KR102701444B1 (ko) 2024-08-30

Family

ID=8915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111A Active KR102701444B1 (ko) 2022-06-03 2022-06-03 수축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14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100B1 (ko) 1999-04-21 2001-07-03 신영수 탈거가 용이한 라벨 및 그 제조장치
JP2005250046A (ja) * 2004-03-03 2005-09-15 Asahi Printing Co Ltd シーリングラベル
JP2007304454A (ja) * 2006-05-15 2007-11-22 Daiko Insatsu Kk 分割ラベル、分割ラベル付きシート
JP2015081104A (ja) * 2013-10-21 2015-04-27 キリン株式会社 ラベル付き容器及び飲料製品
KR20190001733U (ko) * 2017-12-28 2019-07-08 한국폼텍 주식회사 라벨지(Label 紙)
KR20210115775A (ko) * 2020-03-16 2021-09-27 주선례 절취를 위한 파지 수단을 갖는 분리 수거형 페트병 라벨지와 상기 라벨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100B1 (ko) 1999-04-21 2001-07-03 신영수 탈거가 용이한 라벨 및 그 제조장치
JP2005250046A (ja) * 2004-03-03 2005-09-15 Asahi Printing Co Ltd シーリングラベル
JP2007304454A (ja) * 2006-05-15 2007-11-22 Daiko Insatsu Kk 分割ラベル、分割ラベル付きシート
JP2015081104A (ja) * 2013-10-21 2015-04-27 キリン株式会社 ラベル付き容器及び飲料製品
KR20190001733U (ko) * 2017-12-28 2019-07-08 한국폼텍 주식회사 라벨지(Label 紙)
KR20210115775A (ko) * 2020-03-16 2021-09-27 주선례 절취를 위한 파지 수단을 갖는 분리 수거형 페트병 라벨지와 상기 라벨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1444B1 (ko) 202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44351B (en) A method for producing a detachably connected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ies
CN1043209C (zh) 带整体式手柄的搬运器坯件
CN1059869C (zh) 容器承载器
EP2119558A1 (en) Method for producing pouch container with spout
KR20160031525A (ko) 박리할 수 있는 패널을 가진 용기 내부 씰
JPS61501842A (ja) 容易に開封及び再閉可能なパッケ−ジとその製造装置
US20180361718A1 (en) Package Material Blank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4934576B2 (ja) 熱収縮性筒状ラベル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に充填された製品
US6746744B1 (en) Sealing label
US10358260B2 (en) Multipack container
JP2009128753A (ja) 熱収縮性筒状ラベル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に充填された製品
KR101045594B1 (ko) 용기 캐리어와 그 용기 캐리어 제조방법
KR20230167898A (ko) 수축라벨
JP3065932B2 (ja) 熱収縮包装体
JP4224412B2 (ja) シーリングラベル
JPH08268423A (ja) 保持具
JP6411842B2 (ja) ラベル付き容器及びタックラベル付き筒状ラベル並びに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CN110422479A (zh) 收缩包装封装的打开配置
JP2002337880A (ja) 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JP5059426B2 (ja) 液体包装袋
JP3898125B2 (ja) 易開封性薄膜フィルム巻着体
US200701781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stacks of food products slices
JP2008179393A (ja) 連続包装袋
JPH02219749A (ja) 易開封性包装袋
JP7498045B2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