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62206A -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 Google Patents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206A
KR20230162206A KR1020220061799A KR20220061799A KR20230162206A KR 20230162206 A KR20230162206 A KR 20230162206A KR 1020220061799 A KR1020220061799 A KR 1020220061799A KR 20220061799 A KR20220061799 A KR 20220061799A KR 20230162206 A KR20230162206 A KR 2023016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nft
terminal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22006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206A/ko
Publication of KR2023016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20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T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어정보를 포함한 NFT를 통해 단말 컴퓨팅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동작을 실행시키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와 이에 대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CONTROL METHOD FOR NON-FUNGIBLE TOKEN (NFT) AND COMPUT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NFT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어정보를 포함한 NFT를 통해 단말 컴퓨팅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컴퓨팅장치들을 포함한 전자기기들이 개인 생활의 거의 모든 장소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기기들의 보안이 더욱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사적인 공간인 집이나 사무실 등에 구비된 전자기기를 포함한 단말 컴퓨팅장치들이 인터넷이나 사물 인터넷(IoT) 등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일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들 단말 컴퓨팅장치들은 해킹 등에 취약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을 통해 대체불가능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통해 직접 제작한 디지털 작품 등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없었지만 이 NFT는 디지털 콘텐츠의 원본과 복사본을 구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 컴퓨팅장치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FT에 제어정보를 포함시켜서 단말 컴퓨팅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어정보를 포함한 NFT를 통해 단말 컴퓨팅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 컴퓨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한 NFT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어 정보를 포함한 NFT를 통해서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후술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동작을 실행시키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의 복사본을 전송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사본은, 복사본 정보로서 복사본 번호 또는 발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 컴퓨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 컴퓨팅장치가 사용자 컴퓨팅장치로부터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전송 받는 단계; 단말 컴퓨팅장치는 상기 전송 받은 NFT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NFT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팅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 NFT를 보관하는 저장부; 및 상기 NFT를 통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동작을 실행시키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정보를 포함한 NFT를 통해 단말 컴퓨팅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말 컴퓨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한 NFT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어 정보를 포함한 NFT를 통해서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및 단말 컴퓨팅 장치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이동 상황을 보여주는 여러가지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T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여러가지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단말 컴퓨팅장치의 구성도(50)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51)는 제어부(51a), 저장부(51b), 통신부(51c)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51c)는 임의의 네트워트(53)에 의해 단말 컴퓨팅 장치(52)에 연결되어 데이터나 NFT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팅장치(51)는 도시된 구성요소들(51a~51c) 이외에 터치가 가능한 입력부 및 출력을 표시하는 출력부 등을 더 포함하고 휴대 가능한 컴퓨팅장치일 수 있다. 단말 컴퓨팅 장치(52)는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구성요소들(51a~51c)을 포함할 수 있다. 핵심사항을 전달하기 위해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 컴퓨팅장치(52)는 도 4내지 7의 예시들과 같이 도어락, 웹카메라, 공유기, 냉장고 또는 스피커 등의 전자기기를 말한다. 이런 전자기기는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같은 구성요소(51a ~ 51c)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단말 컴퓨팅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및 단말 컴퓨팅 장치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구동에 의하여 해당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팅 장치(51)는 제어 동작이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컴퓨팅 장치이고, 저장부(51b)는 NFT를 보관할 수 있다. 단말 컴퓨팅 장치(52)는 도5와 같이 전자기기일 수 있고, 도 7과 같이 다른 컴퓨팅장치(143a, 143b), 즉 다른 전자기기들과 연결되고 상기 다른 컴퓨팅장치(143a, 143b)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는 가상 자산 네트워크(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분산 컴퓨팅 네트워크를 말함)에 연결되어 해당하는 NFT를 발행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서도를 도시한다.
S71단계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제어부(51a)는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NFT에 기록된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제어 정보는 특정 컴퓨팅장치에 대한 '제어 동작에 대한 정보'와 '소유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동작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7에서 한다. 이 소유권 정보를 통해서, 단말 컴퓨팅장치나 다른 컴퓨팅장치가 이 NFT가 유효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소유권 정보는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S72단계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제어부(51a)는 상기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 동작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단말 컴퓨팅장치 또는 다른 컴퓨팅장치는 도 4 내지 7과 같이 도어락, 공유기 또는 웹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컴퓨팅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 NFT를 보관하는 저장부; 및 상기 NFT를 통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동작을 실행시키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데이터는 종이에 기록된 물리적인 정보와 달리, 쉽게 복제가 가능하고 원본과 복사본을 구분할 수 없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이런 특성을 이중 지불(double spending) 문제라고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 방법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등의 복제 방지 기술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것들은 관리 서버에 의존했기 때문에 완전히 독립된 개인의 소유가 아니다. 왜냐면 관리 서버가 해킹당하거나 제공 회사가 서비스를 종료하면 디지털 데이터는 가치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최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불가능토큰(NFT, Non-Fungible Token, 이하 'NFT'라 칭함)이 새로 개발되었다. NFT는 블록 체인 기술 등과 같은 분산 컴퓨팅 기술을 이용해 누구의 통제도 받지 않으면서 복제 불가능한 고유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종 디지털 작품이나 게임의 아이템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NFT로 발행하고 거래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콘텐츠는 텍스트, 그림 또는 영상 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를 말한다. 이런 NFT는 블록체인 기술인 이더리움 네트워크 (Ethereum network)의 ERC-721 표준을 통해 처음 제작되기 시작했다.
기존 NFT는 일반적으로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서 블록 체인 기술 등으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단 하나의 '소유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디지털 데이터의 '원본 증명서', 또는 '소유권 증명서'라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NFT에서 '소유권 정보'는 '디지털 콘텐츠'와 '소유자 정보'를 함께 기록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단 하나의 소유권을 기록하는 기술이다.
이런 소유권 정보는 공개키 암호(public-key cryptography)를 통해 소유자 정보를 포함한다. 이런 공개키 암호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NFT의 소유권을 입증하거나 상대방에게 이를 이전할 수 있다.
공개키 암호는 암호학적으로 연관된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를 사용한 암호화 방법이다. 이는 비대칭키 암호(asymmetric cryptography)로 부르기도 한다. 개인키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관하고 다른 하나인 공개키는 상대방에게 공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A가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를 생성한다. 그가 메시지 또는 디지털 콘텐츠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면, 그의 개인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A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메시지는 사용자 A의 공개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사용자 B도 자신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여 강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공개키 암호는 RSA(Rivest Shamir Adleman), 전자서명에 사용하는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 등이 있다.
본 발명의 NFT는 디지털 무기명 인증서(DBC, Digital Bearer Certificates, 이하 'DBC'라 칭함) 기술 등의 다른 기술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DBC 기술을 통해서 발행된 NFT뿐 아니라 개인키를 모두 자신의 지갑에 보유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NFT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노드들(nodes)이 관리하고 소유권을 나타내는 개인키만 사용자가 보유한다. 본 발명은 이런 두가지 종류의 NFT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NFT는 반드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분산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기존 NFT는 '소유권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기존 NFT는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하는 목적으로 한다. 소유권 정보는 소정의 디지털 콘텐츠에 사용자의 소유권을 입증하는 공개키 정보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NFT는 기존 NFT는 '소유권 정보' 대신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어 정보는 단말 컴퓨팅장치나 이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에 대한 제어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정보는 단말 컴퓨팅장치나 이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에 대한 다양한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NFT는 유효한 사용기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기간 동안 무한대로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컴퓨팅장치는 이런 NFT를 한번 발행 받은 후 이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NFT가 보관된 사용자 컴퓨팅장치를 분실할 경우, 사용자는 기존 NFT와 같이 새로운 사용자 컴퓨팅장치에서 새로 NFT를 재발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이동 상황을 보여주는 구성도(100)이다.
이 예시는 도 1과 같이, 사용자 컴퓨팅장치(51), 단말 컴퓨팅장치(52)와 이 두 장치들(51, 52)을 연결하는 네트워크(53)로 이루어진다. 이 예시는 두 컴퓨팅장치(51, 52) 사이의 네트워크(53)를 통해서 'NFT전송'(102)와 '답변 정보'(103)가 전송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 예시는 사용자 컴퓨팅장치(51)가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자체적으로 발행(101)받는다. 이 제어 정보는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도 5 내지 도7에서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51)는 발행된 NFT(101)를 보관하는 단계(S7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컴퓨팅장치(51)는 단말 컴퓨팅장치(51)에게 이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S72)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컴퓨팅장치(51)는 상기 전송 받은 NFT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된 NFT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51)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NFT의 제어 정보는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 컴퓨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 컴퓨팅장치가 사용자 컴퓨팅장치로부터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전송 받는 단계; 단말 컴퓨팅장치는 상기 전송 받은 NFT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NFT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 발행(101)은 이 예시(100)에 표시되지 않은 가상 자산 네트워크에서 발행될 수 있다. 또한 'NFT 전송'(102)과 '답변 정보'(103)도 이 가상 자산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이런 정보들(101 ~ 103)이 가상 자산 네트워크 (또는 암호화폐 네트워크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다른 분산 컴퓨팅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음)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이런 정보들(101 ~ 103)이 인터넷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 등의 다른 네트워크에서 발행 또는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NFT가 발행(101)되면, 이 NFT는 사용자 컴퓨팅장치에 구비된 지갑에서 보관할 수 있다. 이 지갑은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NFT들을 보관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NFT를 전송할 때, 이 지갑은 자신의 개인키(private key)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에 사인하고 단말 컴퓨팅장치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NFT는 단말 컴퓨팅장치 또는 다른 컴퓨팅장치의 공개키를 포함하여 목적지인 컴퓨팅장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컴퓨팅장치는 전송 받은 NFT를 사용자 컴퓨팅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공개키(public key)로 검증을 하여 유효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컴퓨팅장치는 도 7에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컴퓨팅장치는 모두 NFT 지갑을 포함하여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다.
기존의 NFT를 전송을 하면, 이 NFT의 소유권이 전송 받은 상대방의 지갑으로 이전된다. 이는 사용자가 NFT를 전송을 하면, 이 NFT는 전송 받는 상대방의 공개키를 포함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이 NFT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의 복사본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사본은, 복사본 정보로서 복사본 번호 또는 발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NFT전송'(102)은 기존의 NFT의 전송과 같이, 사용자 컴퓨팅장치에 보관하던 NFT를 단말 컴퓨팅장치로 소유권을 이전시킬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이 NFT의 복사본을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의 'NFT전송'(102)은 이 NFT의 복사본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복사본은 복사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을 위하여, NFT의 복사본은 사용자 컴퓨팅장치가 보관하는 NFT의 제어 정보에 더하여 복사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복사본은 복사본의 번호와 발행 시간 등을 전송되는 NFT에 새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복사본을 전송 받은 컴퓨팅장치는 복사본 정보와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NFT가 유효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로 복사본 정보는 몇 번째 복사본인지에 대한 번호 등을 포함하여 전송된 NFT의 복사본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NFT는 'NFT전송'(102) 단계(S72)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가 보관하는 NFT를 실제로 단말 컴퓨팅장치로 이전시키지 않고 발행된 NFT(101)의 복사본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면 사용자 컴퓨팅장치는 발행된 NFT(101)를 자신의 지갑에 그대로 보관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컴퓨팅장치에 답변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상기 답변 정보(103)은 단말 컴퓨팅장치나 다른 컴퓨팅장치가 전송된 NFT(102)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한 후 사용자 컴퓨팅장치(51)에 전송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답변 정보는 구현 방법에 따라 사용자 컴퓨팅장치가 제공받을 수도 있고 제공받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이동 상황을 보여주는 다른 구성도(110)이다.
이 예시는 도 3의 구성에서 발행자 컴퓨팅장치(111)를 추가한 것이다. 이 발행자 컴퓨팅장치(111)이 사용자 컴퓨팅장치(52)에게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101)를 발행해줄 수 있다. 이 예시는 도 3에서 발행자 컴퓨팅장치(111)이 새로 추가된 경우 정보의 이동상황(101 ~ 103, 112)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도 3에서 전송되는 정보들(102, 103)은 이 예시에서도 동일하다.
하지만 이 예시는 도 3과 달리, 발행자 컴퓨팅장치(111)가 단말 컴퓨팅장치(52)에 NFT에 대한 정보(112)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런 정보(112)는 구현 방법에 따라 단말 컴퓨팅장치(52)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제공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T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120)이다.
이 예시는 사용자(123)가 사용자 컴퓨팅장치(121)를 단말 컴퓨팅장치(122)에 물리적으로 근접 접촉시키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 예시의 단말 컴퓨팅장치(122)는 자동차나 사무실이나 집 등에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이하 '도어락'이라 칭함)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팅장치(121)를 도어락(12)에 접촉시켜서 이 도어락(122)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NFT에 포함된 제어 정보는 도어락(122)을 열거나 닫기 위한 제어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121)는 이미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발행을 받아 자신의 지갑에 보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단말 컴퓨팅장치 (또는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음)인 디지털 도어락(122)을 열기 위해, 사용자 컴퓨팅 장치(121)를 디지털 도어락(122)에 접촉시키면 이 디지털 도어락(122)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도어락(122)에 접촉하여 NFT를 전송하는 것은 기존의 근접 접촉에 의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컴퓨팅장치(121)가 도어락(122)의 무선 태그 접촉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 컴퓨팅장치(121)의 지갑의 NFT의 복사본이 디지털 도어락(12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도어락(122)은 이 전송된 NFT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 이 전송된 NFT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제어 동작은 도어락(122)을 열거나 닫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어 동작은 전자기기의 물리적인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T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다른 예시(130)이다.
 이 예시는 사용자가(133)가 사용자 컴퓨팅장치(131)를 통해 집(134)에 설치된 웹카메라(132)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팅장치(131)에 보관된 NFT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나 인터넷 네트워크 등에 연결된 웹카메라(132)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컴퓨팅장치(131)에 웹카메라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 NFT를 미리 발행 받아 보관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이 NFT를 이용하여 웹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NFT에 포함된 제어 정보는 웹카메라의 이동, 동영상의 실시간 저장의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NFT의 전송은 NFT의 복사본일 수 있다.
이런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가 웹카메라로 전송될 경우 웹카메라는 이 NFT가 유효한지를 공개키 암호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NFT가 유효한 경우 전송된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T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또다른 예시(140)이다.
이 예시는 사용자 컴퓨팅장치(141), 공유기(142) 및 이 공유기(142)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46, 147)로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들(143a, 143b)를 보여준다. 다른 컴퓨팅장치는 각각 냉장고(143a)와 스피커(143b)이다.
예시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141)는 공유기(142)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포함한 임의의 네트워크(14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시는 공유기(142)와 다른 컴퓨팅장치들(143a, 143b)은 공유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146, 147)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예시의 컴퓨팅장치들(141, 143a, 143b)은 모두 공유기(142)를 통해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141)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 NFT를 보관하고, 이 NFT의 복사본을 단말 컴퓨팅장치(142)인 공유기(142)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송된 NFT의 복사본은 해당하는 다른 컴퓨팅장치에 재전송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본 발명은 NFT의 복사본이 아니라 원본인 NFT 가 직접 이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유기(142)가 전송된 NFT에서 해당하는 다른 컴퓨팅장치를 분별하여 해당하는 다른 컴퓨팅장치에만 이 전송된 NFT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전송된 NFT를 모든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들에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 예시는 도 5와 도6과 달리, 사용자 컴퓨팅장치에서 전송된 NFT를 단말 컴퓨팅장치(142)에서 다른 컴퓨팅장치(143a, 143b)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재전송된 NFT는 해당하는 다른 컴퓨팅장치에서 유효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이 전송된 NFT가 유효하면, 이 전송된NFT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예시의 제어 동작은 스피커(143b)를 키거나 끄고, 그리고 음량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냉장고(143a)의 제어 동작은 냉장실과 냉장실의 온도의 조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 방법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동작을 실행시키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의 복사본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본은,
    복사본 정보로서 복사본 번호 또는 발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의 제어방법.
  4. 단말 컴퓨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 컴퓨팅장치가 사용자 컴퓨팅장치로부터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전송 받는 단계;
    단말 컴퓨팅장치는 상기 전송 받은 NFT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NFT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의 제어방법.
  5. 사용자 컴퓨팅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
    NFT를 보관하는 저장부; 및
    상기 NFT를 통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어 정보가 포함된 NFT를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NFT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나 상기 단말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다른 컴퓨팅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동작을 실행시키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KR1020220061799A 2022-05-20 2022-05-20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Pending KR20230162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99A KR20230162206A (ko) 2022-05-20 2022-05-20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99A KR20230162206A (ko) 2022-05-20 2022-05-20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206A true KR20230162206A (ko) 2023-11-28

Family

ID=8895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99A Pending KR20230162206A (ko) 2022-05-20 2022-05-20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2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netti et al. Analysis of key-exchange protocols and their use for building secure channels
EP2182671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 cryptographic key
Abadi Security protocols and their properties
CN106464496B (zh) 用于创建对用户身份鉴权的证书的方法和系统
Esposito et al. On security in publish/subscribe services: A survey
CN112003889A (zh) 分布式跨链系统及跨链信息交互与系统访问控制机制
Babu et al. A distributed identity‐based authentication scheme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ing permissioned blockchain system
Benantar The Internet public key infrastructure
Haböck et al. Breaking and fixing anonymous credentials for the cloud
US7971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ine cryptographic key establishment
Mir et al. Threshold delegatable anonymous credentials with controlled and fine-grained delegation
Aura et al. Towards a survivable security architecture for ad-hoc networks
Kim et al. A novel elliptical curve ID cryptography protocol for multi‐hop ZigBee sensor networks
Ok et al. SIMSec: A key exchange protocol between SIM card and service provider
Badertscher et al. On composable security for digital signatures
Kim et al. Secure and efficient anonymous authentication scheme in global mobility networks
KR20230162206A (ko) Nft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팅장치
US8699710B2 (en) Controlled security domains
Chen et al. How to bind a TPM’s attestation keys with its endorsement key
Beguinet et al. Formal Verification of a Post-Quantum Signal Protocol with Tamarin
Ouda et al. Security protocols i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JP5643251B2 (ja) 秘密情報通知システム、秘密情報通知方法、プログラム
Lee et al. The efficient security architecture fo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 the home network
Coulouris et al. Secure Communication in Non-uniform Trust Environments.
Hiller Improving functionality, efficiency, and trustworthiness of secure communication on an internet diversified by mobile devic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