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59441A - 핀을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시스템 및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핀을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시스템 및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441A
KR20230159441A KR1020237032547A KR20237032547A KR20230159441A KR 20230159441 A KR20230159441 A KR 20230159441A KR 1020237032547 A KR1020237032547 A KR 1020237032547A KR 20237032547 A KR20237032547 A KR 20237032547A KR 20230159441 A KR20230159441 A KR 2023015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opening
flange
retainer
n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레도르 하비에르 롤
망혼 프란세스크 피콘
마네 앙헬 마르티네즈
이나스 호르디 마르케스
소리아 프란시스코 페레즈
Original Assignee
메탈로제니아 리서치 앤드 테크놀러지스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탈로제니아 리서치 앤드 테크놀러지스 에스.엘. filed Critical 메탈로제니아 리서치 앤드 테크놀러지스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23015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44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 요소의 개구 및 마모 요소의 개구와 동축인 노즈의 개구(25)에 수용되는 핀(7)에 의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의 노즈(19)에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리테이너(1)를 포함하며, 리테이너(1)는, 핀이 개구에 도입될 때, 핀의 경로를 향해 연장되어 경로를 차단하는 가요성 플랜지(3)를 갖는 시트 재료이다. 상기 리테이너는 마모 요소 또는 노즈에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는 핀이 개구들에 삽입될 때 핀의 방향을 향해구부러진다. 핀에는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13)가 있고 그의 라이저(15)는 핀을 제거하려고 시도할 때 플랜지가 라이저에 맞닿도록 배향되어 있다. 그를 제거하기 위해, 핀은 플랜지가 단차부로부터 나올 때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야 하며 핀의 측면이 그의 최종 단부(10)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세그먼트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핀을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시스템 및 리테이너
본 발명은 핀을 차단하기에 적합한 리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핀은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서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가 측벽들의 하나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 는, 조립된 위치에서,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된 노즈 개구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핀이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이 종축은, 상기 핀이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서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서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가 측벽들의 하나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된 노즈 개구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핀이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이 종축은, 상기 핀이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이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핀의 종축에 따라 상기 핀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서로 정렬되고,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배치된 관통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2개의 개구들이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 중 2개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들 및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이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핀이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로 불리는 개구들의 하나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출구 개구로 불리는 개구들의 다른 하나에 수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마모 요소 및 핀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서로 정렬되고,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배치된 관통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2개의 개구들이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 중 2개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들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이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핀이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로 불리는 개구들의 하나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출구 개구로 불리는 광통 개구들의 다른 하나에 수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핀에 의해 마모 요소가 그 위에 조립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노즈를 갖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토목 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가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가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가진 측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은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노즈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유사하게,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에 배치된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측벽들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핀이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이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그의 종축에 따라 핀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입구 개구로 지칭되는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노즈 개구의 내측에 수용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마모 요소와 핀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에 배치된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측벽들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핀이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이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그의 종축에 따라 핀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입구 개구로 지칭되는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노즈 개구의 내측에 수용된다.
본 설명 및 청구항들은, 독립적인 부품이지만 상호 연결된 기능을 나타내는 일련의 부품들(리테이너, 핀, 마모 요소, 지지 요소)을 기술한다. 이들 각 요소가 조립체의 일부가 될 것임을 고려할 때, 그 중 하나의 특성(특히 물리적 치수)은, 나머지 요소를 설계하기 위한 시작 데이터를 구성할 정도로 나머지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특허 및, 히 특허의 독립 청구항들에서, 두 요소들이 모두 사용에 의해 서로 관련된 경우, 제1 요소의 치수 및/또는 형상은 독립적인 청구항에 의해 보호되는 제품의 일부가 아닌 제2 요소의 치수 또는 대응하는 형상에 대한 일반적인 참조를 통해 규정될 수 있다. 이들 조립체의 설계자는 일련의 정의된 요소, 특히 높이를 가지며, 이들 높이는, 조립체의 구성요소가 가까를 갖는지 또는 조립체의 다른 요소의 높이인지 또는 조립체의 일반적인 높이인지에 관계없이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를 설계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 시, 마모 요소, 지지 요소, 핀 및 리테이너가 이와 같이 사용되는 조립체를 형성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마모 요소는 사용 중에 훨씬 더 많은 문제를 겪기 때문에 평균 수명이 지지 요소나 핀보다 짧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어댑터(공통 지지 요소)의 평균 수명은 토목 기계의 셔블 부분(공통 마모 요소)의 치형 부분(공통 마모 요소)의 평균 수명보다 3-5배(또는 그 이상) 더 긴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마모 요소는 일반적으로 핀을 사용하여 쉽게 분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어댑터에 고정되며, 이들 세 요소(마모 요소, 어댑터 및 핀)는 세 구성 요소들(또는 어댑터-마모 요소 쌍)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로 판매될 뿐만 아니라 별도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사용한 마모 요소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은, 핀이 크게 변형되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등 가능한 한 신속하고 단순하며 문제가 없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지 요소, 마모 요소 및 핀을 개별적으로 보호하는 청구항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이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사용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는, 마모 요소 및 지지 요소 제조 기술(일반적으로 금속 주조 부품)과는 매우 다른 제조 기술(금속 또는 고분자 시트 재료)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리테이너는 마모 요소 및 지지 요소를 제조하는 것과 다른 기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는 미리 조립되어 판매되어 마모 요소와 조립을 형성하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리테이너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등 별도로 판매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와 관련된 독립적인 청구항들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 전술한 바에 의한 다수의 독립 청구항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독립 청구항들 모두 동일한 발명적 개념을 공유하기 때문에 필요한 발명의 통일성을 제시한다.
최첨단 기술
토목 기계는, 굴착, 철거, 건설, 채광, 준설, 적재 작업 및 이와 유사한 활동들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재료를 모으는 셔블(shovel) 또는 버킷(bucket)을 갖는다. 셔블 또는 버킷은 특히 립(블레이드라고도 함)의 영역에서 높은 응력과 상당한 부식이 일어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셔블 또는 버킷은, 예컨대, 치형 부분, 지지부, 또는 (어댑터라고도 하는) 치형 바아 및/또는 (전면 및 측면) 가드와 같이, 마모와 충격 및/또는 지면 침투를 개선하는 복수의 마모 요소들을 갖는다.
이들 모든 마모 또는 보호 요소들, 특히 치형 부분은 높은 기계적 응력, 소성 변형 및 과도한 마모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파손이나 마모가 필요할 때마다 교체해야 한다. 이들 요소는 사용 수명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가능한 한 이들 요소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있다. 또한, 이들 기계는 버킷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형 부분의 설계를 변경해야 하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마모 요소는 다른 마모 요소(예컨대, 어댑터에 부착된 치형 부분) 및/또는 버킷 또는 셔블의 립 또는 블레이드(예컨대, 립에 부착된 치형 부분 또는 립에 부착된 어댑터)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지지 요소"라는 표현은 이러한 대안들 중 하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댑터 + 마모 요소" 쌍을 참조하는 경우에는 어댑터를 나타내지만, "립 + 마모 요소" 또는 "립 + 어댑터" 쌍을 참조하는 경우 셔블의 립을 나타낸다.
마모 또는 보호 요소는 접지 연마 정도 및 기계 치수에 따라, 기계적 방식(보다 쉽고 빠르게 교체하기 위해) 또는 용접 방식(보다 비용 효율적이지만 교체가 어렵고 용접으로 블레이드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대형 토목 기계, 특히 채석장과 광산에서 작동하는 기계가 해당 현장에서의 생산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계의 가동 중단 시간은 생산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수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계나 버킷을 작업장에 가져오지 않고도 현장에서 빠르고 안전한 방식으로 마모 요소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마모 요소를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이를 위해 가역적 차단 또는 리테이너(예컨대, 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모 요소는 일반적으로 마모 요소가 조립될 지지 요소(예컨대, 어댑터)에 배치된 노즈가 수용되는 캐비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기하학적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다양한 대안들이 존재한다:
1. 상기 지지 요소는, 그의 노즈에 관통 노즈 개구를 가지며, 마모 요소는 캐비티의 측벽에, 2개의 개구들(입구 개구 개구 및 출구 개구)을 갖는다. 마모 요소를 지지 요소의 노즈에 고정하는 핀이 이들 세 개의 개구들에 수용된다. 출구 개구는, 핀의 최종 단부(본 설명 및 청구항에서 "제2 단부"로 지칭)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관통 개구일 수 있다.
2. 상기 지지 요소는, 그의 노즈에 노즈 개구(일반적으로 블라인드 개구)를 갖고, 마모 요소는, 캐비티의 측벽들 중 하나에 개구(입구 개구 개구)를 갖는다. 핀은 마모 요소를 지지 요소의 노즈에 고정하는 이들 2개의 개구에 수용된다. 이 경우, 핀의 제2 단부는 노즈 개구의 내측에 있다.
3. 노즈는 2개의 노즈 개구들(이는 하나의 관통 개구일 수 있음)을 갖고, 마모 요소는, 그의 캐비티의 측벽들에, 2개의 입구 개구들을 갖는다. 이 경우, 고정은 2개의 핀에 의해 수행되며, 두 핀들의 제2 단부는 각각의 노즈 개구(또는 관통 노즈 개구) 내측에 있다. 2개의 핀들(및 대응하는 개구들)은 서로 정렬되거나 2개의 불일치 축들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세 가지 경우 중 어느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어떤 경우에, 캐비티와 노즈는 전환되며, 즉, 노즈는 마모 요소에 있고 캐비티은 지지 요소에 있다. 이를 제외하고, 상기 모든 관찰은 유효하며, 실제로, 본 발명에 완벽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반대의 경우는 본 발명의 목적이기도 하며, 청구항들도 이 반대의 경우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청구항들에 적시된 것과 완전히 동등한 경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어떤 경우에, 핀은 마모 요소를 노즈에 배치하기 전에 노즈 개구 내측에 수용된다. 그 다음, 핀은 캐비티의 측벽에 존재하는 개구에 수용될 때까지 연장(또는 이동)된다. 다른 경우에는, 마모 요소가 먼저 노즈에 위치된 다음, 핀(또는 핀들)이 노즈 개구(상기 언급된 세 가지 대안에 따라, 반대쪽 또는 그렇지 않은 쪽)를 관통하도록 캐비티의 측벽에 존재하는 입구 개구를 통해 삽입된다. 본 발명은 이 제2 경우의 그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핀 및 리테이너를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서 마모 요소의 신규한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신규한 시스템은 여러 요소들 및 부조립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형태의 리테이너로서,
상기 리테이너는,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플랜지를 구비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형태의 핀으로,
상기 핀은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은, 종축의 방향으로, 조립된 위치에서의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의 시작 부분과 일치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를 갖고, 단차부의 라이저는 제1 단부을 향해 배향되고 리테이너의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리테이너가 일 단부에서 주변 세그먼트와 결합된 가요성 플랜지 및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주변 세그먼트는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고, 가요성 플랜지는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머무르며, 이에 따라,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핀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제1 단부에 대해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언블로킹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상기 핀의 종축 방향의 회전에 따라, 블로킹 세그먼트에 대해 각지게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어떤 단차부도 갖디 않고 오히려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이때 상기 핀의 측면은 상기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실제로, 상기 신규한 시스템은 핀을 축 방향으로 상당한 고정 상태로 최종 위치에 고정한다. 핀은 조립될 때 가요성 플랜지에 맞닿는다.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삽입 방향에 따라, 핀은 높은 힘을 가하지 않고,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구부려 전방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핀이 최종 조립된 위치에 달하면, 플랜지는 단차부와 일치하고 자유단이 단차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있는 상태에서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딸깍" 소리가 나며, 이 는 핀이 최종 위치에 도달했고 플랜지를 통한 차단이 발생했음을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대로, 핀은 플랜지를 소성 변형시키지 않고는 뒤로 이동할 수 없으며, 이는 매우 높은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핀의 신뢰성이 높은 고정이 달성된다. 그러나, 핀을 분해해야 하는 경우, 플랜지가 고정 영역의 블로킹 세그먼트로부터 나와(즉, 더 이상 단차부에 대면하지 않음) 고정 영역의 블로킹 세그먼트에 위치될 때까지 작동 수단의 결과로서 그의 종축을 중심으로 핀을 회전시키기에 충분하다. 이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라이저가 제1 단부를 향하도록 하는 단차부를 갖는 것이 아니라, 핀의 측면이 제2 단부로 항시 연속적으로 연장(즉, 범프, 단차부 또는 방해물 없이)되는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즉, 이 언블로킹 세그먼트에서, 핀은 핀 측면의 나머지 부분과 제2 단부까지 항상 연속적 및/또는 동일 평면인 표면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랜지의 자유단이 높은 저항 없이 핀 표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시트 재료인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가 (다른 치수보다 훨씬 작은 두께를 갖는) 실질적으로 층상 구조을 갖는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리테이너는 고온과 응력에 더 잘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금속성이 바람직한되는 옵션이기는 하지만, 리테이너가 기본적으로 금속성 요소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다른 바람직한 옵션은 리테이너가 고분자 재료라는 것이며, 이는 기계적 및 열 요구 사항이 거의 없는 시스템의 경우 특히 비용 효율적인 대안을 구성할 수 있다. 리테이너가 금속인 경우, 기계적 특성을 잃지 않고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럽 표준 EN 10132-4:2000 C67S에 따른 스프링용 강철을 예로 들 수 있다.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는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예컨대, 이들 개구의 주변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에서,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에 가깝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주변 세그먼트와 관통 개구(또는 노즈 개구) 사이의 정확한 거리는 본 발명과 관련이 없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요건에 따라 각 경우에 가장 적합한 거리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신규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복수의 추가적인 이점들을 갖는다:
- 리테이너는 기하학적으로 매우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며, 금속인 경우에는 금속 재료 시트에서 다이 커팅을 통해 리테이너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 핀은 특수한 공구들 없이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수단은 핀의 종축과 동축이고 제1 단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비원형 단면(바람직하게는 다각형, 매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을 갖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핀을 회전시키기 위해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의 헤드를 갖는 렌치만 있으면 된다. 핀을 분해하는 공정은 해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행될 수 있다.
- 기하학적 구조, 마모 요소 또는 노즈를 바람직하지 않게 위치시키지 않는 해법이다. 다른 현재 대안은 항상 부피가 커지므로 마모 요소 및/또는 노즈의 재료를 희생하여 핀 및 대응 고정 수단을 위한 공간을 남겨야 하거나, 핀 및/또는 고정 요소를 보호해야 하며, 이는 또한 마모 요소 및/또는 노즈의 설계를 부정적으로 조건화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플랜지가 프레임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 경우, 조립된 위치에서 주변 프레임은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를 둘러싸게 된다. 플랜지는 프레임 내측을 향해 연장되지만, 동시에 이미 표시된 대로, 삽입 방향에 따라 전방으로 연장(또는 이동)된다. 즉, 종축의 방향에 따라 프레임에서 벗어나 관통 개구의 소위 종축을 향해 움직인다. 폐쇄 주변 프레임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주변 세그먼트가 스냅 피팅 수단(후술)을 갖는 경우, 스냅 피팅 수단이 리테이너를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보장하기 때문에, 둥글지 않은 기하학적 구조 또는 심지어 둥근 기하학적 구조 등 모든 기하학적 구조가 가능한다.
주변 세그먼트가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우, 2개의 플랜지들이 폐쇄 주변 프레임의 서로 반대되는 영역에 배열되고, 플랜지가 폐쇄 주변 프레임에 결합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폐쇄 주변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유지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추가 비용 없이 이중 고정 및 핀에 대한 응력의 대칭 분포가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변 세그먼트는 상기 개구의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제2 스냅 피팅 수단 상에 조립되기에 적합한 제1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주변 영역에 고정한다. 실제로, 하기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스냅 피팅 수단은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으며 조립이 매우 쉽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냅 피팅 수단은 상기 리테이너를 종축 방향 뿐만 아니라 2개의 횡방향으로도 고정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완전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이 해법은, 주변 세그먼트가 폐쇄 주변 프레임일 때 특히 유용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냅 피팅 수단은, 상기 리테이너를 종축 방향으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가 다음과 같이 규정되는, 하나의 횡방향으로만, 구체적으로 플랜지 방향으로 고정한다: 플랜지는, 그를 통해 이 플랜지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와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플랜지 축의 돌기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한다. 본 대안은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이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는 보강 수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보강 수단은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제조되는 보강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는, 그를 통해 플랜지가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 축에 평행하고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인 플랜지 섹션은, 그를 통해 플랜지가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단부에 가깝고,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 볼록한 곡률을 갖는 제1 영역, 및 자유단에 가깝고,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 오목한 곡률을 갖는 곡률을 갖는 제2 영역을 가진다.
요컨대, 상기 핀은, 바람직하게는,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블로킹 세그먼트를 갖는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각 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는 제1 단부을 향해 배향되고 리테이너의 가요성 플랜지들 중 하나의 자유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리테이너가,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는 주변 세그먼트 및 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 영역에 배치된 2개의 플랜지들을 갖는 경우, 플랜지들은 폐쇄 주변 프레임에 결합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은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며,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폐쇄된 주변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제2 단부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핀의 종축 방향으로, 제1 단부에 대해 블로킹 세그먼트들과 동일한 거리에 배열된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들은, 핀의 종축의 회전에 따라, 블로킹 세그먼트와 관련하여 각도상으로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지 않고 대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이때 핀의 측면이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 핀은, 리테이너가 폐쇄 주변 프레임 및 2개의 플랜지들을 가질 때 특히 바람직한 데, 그 이유는 각 플랜지가 블로킹 및 언블로킹 세그먼트들 중 하나와 상호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핀은 2개의 독립적인 리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리테이너는 플랜지를 갖고, 두 리테이너들은 대응 개구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는 0도보다 큰 각도로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있어서, 상기 라이저의 하단보다 핀의 종축으로부터 더 이격된 라이저의 상단이 하단보다 핀의 제1 단부에 더 가깝다. 이 각도는 2도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4도보다 더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저는, 특히, 상기 라이저의 하단보다 핀의 종축으로부터 더 이격된 상단을 가지며,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는 상기 라이저에 대향하는 램프와, 상기 라이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램프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하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는, 이 하부가 램프의 하단보다 라이저의 하단에서 핀의 종축에 더 가깝도록, 핀의 종축을 향해 기울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는 플랜지의 자유단을 수용하기 위해 램프보다 라이저에 더 가까운 오목한 부분을 갖는다.
상기 핀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에서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세 가지 대안들 중 어느 것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지에 따라,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구성된다:
- 제2 단부에 가까운 고정 영역을 갖는 핀.
- 제1 단부에 가까운 고정 영역을 갖는 핀.
고정 영역이 제2 단부에 가깝다는 것은 (핀의 종축에 따라) 제1 단부보다 제2 단부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하게는, 핀은 그의 제1 단부에 정지부를 갖는다. 이 정지부는 핀이 너무 멀리 도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또한 핀을 도입하는 동안 핀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어, 핀이 적절히 배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지 요소에서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제1 대안예에 적용되는 경우, 즉 지지 요소가 노즈에 관통 노즈 개구를 갖고 마모 요소가. 그의 캐비티의 측벽에, 2개의 개구들(입구 개구 개구 및 출구 개구)를 갖는 경우이며, 이때, 마모 요소를 지지 요소의 노즈에 고정하는 이 세 개의 개구들에 단일 핀이 수용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이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조립된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고 노즈에 배치된 관통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벽들에 배치된 측벽들 중 2개에 배치된 2개의 개구들을 갖는 측벽들로 구획되고, 상기 개구들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핀이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제1 단부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로 불리는 개구 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제2 단부는, 출구 개구로 불리는 개구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는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출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출구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이 출구 개구의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장점 외에도, 마모 요소를 리테이너와 함께 제공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갖는다:
- 리테이너가 출구 개구에 위치한다는 것은 가요성 플랜지에 의해 마찰을 받기 전에 핀이 거의 전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리테이너의 수명은 마모 요소의 수명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두 요소들을 하나의 유닛으로 공급함으로써, 물류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미 조립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 출구 개구가 관통 개구인 경우, 핀이 올바르게 조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시각적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 최신 기술의 다양한 해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핀의 헤드에 위치된다. 핀의 헤드는 작동 수단의 존재로 인해 이미 약해진 영역이다. 본 해법에서, 상기 지지 수단(또는 고정 영역, 특히 블로킹 세그먼트)은 상기 제2 단부에 가깝다.
이 기본적 해법은 위에 이미 제시된(단일 또는 조합된) 기본 해법과 호환되며, 이 경우에 특정한 독립적인 요소로 리테이너가 사용할 수 있다. 특히,
-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연장되어 출구 개구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한다.
- 리테이너는, 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쪽 영역에 배치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과 결합되어 출구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들을 가지며,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출구 개구의 내측에 있다.
- 리테이너는 금속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다.
- 리테이너는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된다.
- 리테이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 주변 세그먼트는 제1 스냅 피팅 수단을 갖고, 측벽의 내면은 제2의 대응하는 스냅 피팅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에 조립되기에 적합하여,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내면에 고정한다. 이는 리테이너가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된다.
다른 바람직한 해결책은, 측벽의 내면에 주변 세그먼트 내측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오목한 부을 갖는 경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테이너의 두께가 캐비티의 노즈 진입을 방해할 수 없도록 된다. 특히 마모 요소와 지지 요소가 측면으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체에 가해지는 측면 응력으로부터 리테이너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해결책은, 입구 개구를 갖는 측벽은, 그의 외면에, 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입구 개구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 측벽들 중 2개에 배치되고, 조립된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고 노즈에 관통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2개의 개구들을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개구들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서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핀이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로 지칭되는 개구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출구 개구로 지칭되는 개구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출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는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는 출구 개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출구 개구의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리테이너가 통합된 마모 요소와 대응 핀이 함께 그룹화되는 경우이다. 그 의미에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모 요소와 핀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이며, 마모 요소는 캐비티을 포함하고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조립된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고 노즈에 배치된 관통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2개의 개구들을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개구들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의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핀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핀이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제1 단부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로 지칭되는 개구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제2 단부는, 출구 개구로 지칭되는, 관통 개구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는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출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출구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출구 개구의 내측에 있고, 또한
상기 핀은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은, 종축 방향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출구 개구와 일치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는 제1 단부을 향해 배향되고,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을 수용하며, 이에 의해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핀의 축 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언블로킹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상기 핀의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에 대해 각도적으로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대신 평활 세그먼트를 갖고, 이때, 상기 핀의 측면은 상기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직한 해법은 다시, (홀로 또는 조합하여) 위에서 이 소정 예에 특정한 독립 요소들로서의 리테이너와 핀은 물론 리테이너가 포함된 마모 요소에 대해 이미 기술된 바람직한 해법과 호환된다. 특히:
-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출구 개구에 완전히 인접한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 상기 리테이너는 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쪽 영역에 배치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과 결합되고 출구 개구 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들을 가지며,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출구 개구 내측에 있고, 상기 핀의 고정 영역은,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동일한 거리로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대향 측들에 배치된 2개의 블로킹 세그먼트들을 갖고, 각 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가 제1 단부를 향해 향해 배향되고 리테이너의 가요성 플랜지들 중 하나의 자유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이에 의해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제2 단부의 축 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들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들은 단차부를 갖지 않고 대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이때 핀의 측면은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 상기 리테이너는 금속성이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리테이너는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된다.
- 상기 리테이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 주변 세그먼트는 제1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고, 측벽의 내면은 제2의 대응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에 조립되기에 적합하며, 이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내면에 고정한다. 이는 리테이너가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된다.
- 측벽의 내면에는 주변 세그먼트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있다.
- 입구 개구를 갖는 측벽은, 그의 외면에, 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 내측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입구 개구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마모 요소 및 본 발명에 따른 핀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영역은, 종축 방향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출구 개구와 일치하고, 단차부의 라이저는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핀의 축 방향 이동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지 요소에서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제2 또는 제3 대안, 즉 일반적으로, 핀의 제2 단부가 노즈 개구 내측에 있는 경우이다. 이들의 경우에, 조립된 위치에서, 리테이너는 (지지 요소에서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제1 대안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해법에서와 같이) 핀의 제2 단에 가까운 영역에 있지 않고, 오히려 리테이너는 핀의 제1 단에 가까운 영역에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해법은 지지 요소의 노즈에 고정되어 있는지 또는 마모 요소에 고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2개의 큰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블록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핀에 의해 그 위에 조립되는 마모 요소를 갖기 위한 적합한 노즈를 갖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토목 기계이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가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는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으로 구획되고, 상기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핀은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노즈 개구는 종축을 정의하고, 상기 종축은 핀이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가지며,
상기 토목 기계는, 상기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단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노즈 개구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바람직한 해법은, 이 소정 예에 특정한 독립적인 요소들로서, 리테이너 및 핀에 대해 (홀로 또는 조합하여) 이미 위에 기술된 바람직한 해법과 호환가능하다. 특히,
-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노즈 개구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어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한다.
- 리테이너는 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쪽 영역에 배치된 2개의 가요성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들은 폐쇄 주변 프레임과 결합되고 두 플랜지 모두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며,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노즈 개구 내측에 있다.
- 리테이너는 금속성이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리테이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제2 스냅 피팅 수단에 조립되기에 적합한 제1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리테이너를 주변 영역에 고정한다.
- 노즈 개구 주변 영역은 주변 세그먼트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갖는다.
- 노즈는 (정렬되거나 정렬되지 않을 수 있는) 2개의 노즈 개구들을 갖거나 또는 관통 노즈 개구를 갖고, 마모 요소는 2개의 입구 개구들을 갖고, 각 노즈 개구에 대해(또는 관통 노즈 개구의 각 단부에 대해) 하나씩 2개의 리테이너들이 있다. 다시 말해, 본 개념은 하나의 개구의 경우와 정확히 동일하지만, 부언하면, 마모 요소를 노즈에 고정하기 위해 2개의 들이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은 핀을 포함하고, 이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의 종축에 따라 핀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제1 단부는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제2 단부는 노즈 개구에 수용되며, 상기 핀은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은, 종축 방향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 개구의 시작점과 일치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는 제1 단부을 향해 배향되고 리테이너의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핀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핀의 종축 방향으로, 제1 단부에 대해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언블로킹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핀의 종축 회전에 따라, 블로킹 세그먼트에 대해 각도적으로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지 않고 오히려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이때 상기 핀의 측면은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앞서 언급한 점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으로, 리테이너는 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 영역에 배치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에 결합되고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들을 갖고,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노즈 개구의 내측에 있으며, 또한, 상기 핀의 고정 영역은,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동일한 거리로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블로킹 세그먼트들을 갖고, 각 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는 제1 단부를 향해 배향되고 리테이너의 가요성 플랜지들 중 하나의 자유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이에 의해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제2 단부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핀의 종축 회전에 따라, 블로킹 세그먼트에 대해 각도적으로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지 않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이때 핀의 측면은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마모 요소의 측벽의 내면 또는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이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경우, 바람직한 해법은 다음을 고려하여 구성된다: [a] 플랜지는, 그를 통해 플랜지가 주변 세그먼트와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b]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플랜지 축의 돌출부가 플랜지 방향을 정의하고, [c] 주변 세그먼트는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를 갖고, [d] 오목부는 오목 에지를 가지며, 플랜지 방향으로,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와 오목 에지 사이에 갭이 존재하며, 이에 의해 오목부 내에서 플랜지 방향에 따라 플랜지가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해결책을 (위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대안과 결합할 경우, 스냅 피팅 수단이 리테이너를, 종축 방향으로, 또한 하나의 가로 방향으로만, 특히 플랜지 방향으로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핀에 의해 마모 요소가 조립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노즈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토목 기계이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가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가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가진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은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노즈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핀이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가지며,
상기 토목 기계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주변 세그먼트가 상기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는 상기 노즈 개구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목 기계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종축 방향으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 개구의 시작부와 일치한다.
(마모 요소에 고정된 리테이너를 갖는) 제2 블록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이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된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배치된 노즈개구와 정렬되는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에 핀이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의 종축에 따라 핀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대향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입구 개구로 지칭되는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노즈 개구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는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입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단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이, 삽입 방향에 따라,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의 경우들과 마찬가지로, 이 바람직한 해법은, 이 소정 경우에 특정한 독립적인 요소로서 리테이너에 대해 위에 이미 (홀로 또는 조합으로) 기술된 바람직한 해법과 호환가능하다. 특히,
-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연장되어 입구 개구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한다.
- 리테이너는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쪽 영역에 배치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과 결합되어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들을 갖고,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상태를 유지한다.
- 리테이너는 금속성이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리테이너는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된다.
- 리테이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 주변 세그먼트는 제1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고, 측벽의 내면은 제2의 대응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에 조립되기에 적합하며, 이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내면에 고정한다. 이는 리테이너가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된다.
- 측벽의 내면에는 주변 세그먼트 내에 하우징하기에 적합한 오목부가 있다.
- 입구 개구가 형성된 측벽은, 그의 외면에, 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 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입구 개구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가진다.
- 마모 요소는 2개의 입구 개구들을 갖고, 각 입구 개구마다 1개씩 2개의 리테이너들이 있으며, 이에 따라 마모 요소는 (정렬되거나 정렬되지 않을 수 있는) 2개의 노즈 개구들 또는 2개의 핀들을 갖는 관통 노즈 개구에 고정될 수 있다. 요컨대, 이 개념은 하나의 입구 개구의 경우와 정확히 동일하지만, 부언하면, 마모 요소를 노즈에 고정하기 위해 2개의 핀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이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배치된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와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에 핀이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의 종축에 따라 핀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입구 개구로 지칭되는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노즈 개구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주변 세그먼트가 상기 입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가요성 플랜지가 상기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바와 유사하게, 마모 요소 및 대응 핀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는 상기 제2 블록 내에서 규정될 수 있다. 그 의미에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모 요소와 핀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이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배치된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와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에 핀이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핀의 종축에 따라 핀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입구 개구로 지칭되는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노즈 개구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는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입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핀은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은, 종축 방향으로, 조립된 위치의 입구 개구와 일치하고, 상기 고정 영역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는 제1 단부을 향해 배향되고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핀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언블로킹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지 않고 대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핀의 측면은 상기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한 번, 이 바람직한 해법은, 이 주어진 경우에 특정한, 독립적인 요소로 서 리테이너 및 핀에 대해 (홀로 또는 조합하여) 위에서 이미 기술된 바람직한 해법과 호환가능하다. 특히,
- 상기 리테이너의 주변 세그먼트는 출구 개구와 완전히 경계를 이룬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리테이너는 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쪽 영역에 배치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에 결합되어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들을 갖고,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에 따라,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유지되며, 또한, 상기 핀의 고정 영역은,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대향 측들상에 배치되는 2개의 블로킹 세그먼트들을 갖고, 각 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는 제1 단부 를 향해 향해 배향되고 리테이너의 가요성 플랜지들 중 하나의 자유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제2 단부의 축 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또한, 상기 핀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는, 핀의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에 대해 각도적으로 변위되고,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는 단차부를 갖지 않고 대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핀의 측면은 제2 단부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 상기 리테이너는 금속성이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리테이너는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된다.
- 상기 리테이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 상기 주변 세그먼트는 제1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고, 측벽의 내면은 제2 대응 스냅 피팅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에 조립되기에 적합하며, 그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내면에 고정한다. 이는 리테이너가 용접에 의해 마모 요소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 측벽의 내면에는 주변 세그먼트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있다.
- 입구 개구가 형성된 측벽은, 그의 외면에, 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입구 개구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 요소,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해법을 위한 마모 요소, 및 본 발명에 따른 핀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이며, 고정 영역이, 종축 방향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입구 개구와 일치하고, 단차부의 라이저는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핀의 축 방향 이동을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서로 위에 적층된 복수의 리테이너들(바람직하게는 2개)을 조립하기 위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마치 두 배 두꺼운 리테이너인 것과 같이) 리테이너가 나올 가능성에 대한 큰 기계적 저항이 달성되지만, 조립체가 가요성을 유지되고 핀을 삽입하는 데 필요한 탄성 특성을 잃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리테이너가, 캐비티 내측을 향해 배향되는 면에 배치된 탄성재, 바람직하게는 탄성 고분자 재료의 시트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탄성재의 시트를 사용하면 마모 요소와 노즈 사이의 맞춤(피팅)을 측면으로 안정화하여 둘 사이의 작용을 제거(또는 최소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핀 및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마모 조립체이다. 상기 두 구성요소(핀 및 리테이너)들 중 어느 하나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플랜지가 전술한 바와 같은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가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는 것을 고려하여,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자유단과 핀 사이의 거리는,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핀과 주변 세그먼트에 존재하는 접촉점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이에 따라, 플랜지 방향에 따른 핀과 리테이너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서, 핀은 자유단에 접촉하기 전에 접촉점에 접촉하는 경우이다. 바람직하게는, 조립된 위치에서, 주변 세그먼트와 핀은 적어도 두 쌍의 차단점들을 통해 접촉하고, 차단점들 쌍의 하나는 어떤 의미에서 주변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플랜지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방향에 따라 리테이너와 핀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하고, 차단점의 다른 쌍은 반대의 의미로 리테이너와 핀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핀을 차단하기 위한 리테이너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핀은 마모 요소를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고정하고,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은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핀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는,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이,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본 발명에 따른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핀의 용도이며,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상기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은 상기 관통 개구 및 상기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핀 및 상기 핀을 차단하기에 적합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마모 조립체의 용도로서, 상기 리테이너는,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마모 요소를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고정하기 위해, 삽입 방향에 따라,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유지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상기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가진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는, 조립된 위치에서, 마모 요소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를 갖고,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은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이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의 마모 요소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상기 마모 요소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고 또한 상기 노즈에 배치된 관통 노즈 개구와 정렬되는,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에 배치된 2개의 개구들을 갖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개구들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에 상기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을 그 안에 수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은 상기 핀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핀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을 갖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로 불리는 상기 개구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출구 개구로 불리는, 상기 개구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고,
[a] 상기 마모 요소는 상기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출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상기 출구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상기 출구 개구의 내측에 있고, 또는
[b] 상기 마모 요소는 상기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입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의 자유단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또는
[c] 상기 노즈는, 상기 노즈 개구의 주변 영역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 및, 일 단부에서 상기 노즈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의 내측을 행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리테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i]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에 대면할 때까지 상기 제1 단부에 존재하는 작동 수단을 통해 상기 핀의 종축을 따라 상기 핀(7)을 회전시키는 단계,
[ii]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를 통해 상기 핀을 추출하는 단계, 및
[iii] 지지부로부터 상기 마모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서, 주변 세그먼트는 플랜지가 프레임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폐쇄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폐쇄 주변 프레임의 반대쪽 영역에 배치된, 2개의 플랜지들을 갖고, 이 플랜지들은 폐쇄 주변 프레임에 결합되고 폐쇄 주변 프레임의 내측을 행해 연장되며, 두 가요성 플랜지들의 자유단이, 삽입 방향에 따라, 폐쇄 주변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본 발명에 따른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비제한적으로 설명하는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평면도 및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정면 입면도, 측면 입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의 제3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 입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조립 전 마모 요소 및 리테이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조립된 도 13의 마모 요소 및 리테이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은, 핀 삽입 단계(도 15 내지 17)의 3분 동안 및 지지 요소의 마모 요소를 분해하는 핀 추출 단계(도 18) 동안 핀이 그의 종축 주위로 90°회전한 후. 지지 요소의 노즈에 조립된 리테이너와 핀을 포함하는 마모 요소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마모 요소, 지지 요소, 핀 및 리테이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조립된 도 19의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마모 요소의 출구 개구 영역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22는, 조립된 리테이너를 갖는 지지 요소의 노즈(nose) 및 그의 노즈 개구에 수용된 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조립된 2개의 리테이너들 및 두 입구 개구들에 수용된 2개의 핀들을 갖는 마모 요소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지지 요소의 노즈에 조립된 2개의 리테이너들 및 2개의 대응하는 핀들을 갖는 마모 요소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5는, 탄성재의 시트를 포함하는 리테이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18과 동일하지만 도 25의 리테이너를 갖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7은, 도 26의 리테이너 영역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마모 요소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은, 핀에 조립된 리테이너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9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핀에 조립된 리테이너의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도 31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도 29 내지 32의 조립체의 부분적인 종 단면을 도시한다.
도 34,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리테이너의 3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리테이너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핀에 조립된 도 37의 리테이너의 부분적인 종 단면을 도시한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의 부분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핀의 부분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1)를 도시한다. 이는 주변 세그먼트(2) 및 상기 주변 세그먼트(2)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이동되는 그의 자유단(4)을 갖도록, 시트 재료, 구체적으로 다이컷 및 절곡된 금속재의 시트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고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을 가지며, 상기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은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들에 배치되고, 둘 다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에 대해 이동되는 그의 자유단(4)을 갖는다. 이는 또한, 폐쇄 주변 프레임(5)에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갖는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핀(7)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핀(7)은 정지부(9)를 갖는 제1 단부(8) 및 제2 단부(10)를 갖는 실질적으로 약간 원뿔 모양의 세장형 실린더이다. 이는 또한, 제1 단부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핀(7)의 종축과 동축의 개구로 구성되는 작동 수단(11)을 갖는다. 상기 핀(7)은 제2 단부(10)에 가까운 고정 영역(12)를 갖는다. 상기 고정 영역(12)은 2개의 블로킹 세그먼트(13)들 및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을 갖는다. 각 블로킹 세그먼트(13)는 단ㅈ차부를 갖고, 이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이 라이저(15)의 외면이 제1 단부(8)를 향하도록 배향된다.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은 핀(7)의 나머지 외면과 동일 평면의 표면을 갖고, 특히 라이저가 제1 단부(8)를 향하여 배향된 상태에서, 리테이너(1)의 자유단(4)이 핀(7)의 제2 단부(10)로의 슬라이딩을 막거나 복잡하게 할 수 있는 불연속부 또는 단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마모 요소(16)(구체적으로는 치형 부분)에 조립되도록 설계된 다른 리테이너(1)을 도시한다. 상기 마모 요소(16)는 측벽(18)들로 구획된 캐비티(17)를 구비한다. 이 마모 요소(16)는 단일 관통 핀(7)(위에서 언급한 대안 1)에 의해 노즈(19)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측벽(18)에는 2개의 개구들, 서로 정렬되어 있는 입구 개구(20)와 출구 개구(21)가 있고, 이 경우에, 개구들 모두 관통 개구들이다. 출구 개구(21)을 갖는 측벽(18)의 내면에는, 리테이너(1)의 제1 스냅 피팅 수단(6)에 대응하는 제2 스냅 피팅 수단(22)이 있다. 이 내면에는 또한, 리테이너(1)의 폐쇄 주변 프레임(5)이 수용되는 오목부(23)가 있다.
상기 측벽(18)은 통상적으로 서로 평행하지 않고 핀(7)의 종축에 수직하지 않다. 따라서, 리테이너(1)의 주변 세그먼트(2)도 핀(7)의 종축에 대해 수직이 아니다. 그러나,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은 핀(7)의 종축에 대해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요성 플랜지(3)의 벤딩 라인(24)은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과 평행하지 않은 것이 핀(7)의 종축에 대한 주변 세그먼트(2)의 비직각도를 보상하기 위한 이점을 갖는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3 및 도 14의 마모 요소(16)의 경우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다. 마모 요소(16)는, 출구 개구(21)을 갖는 측벽(18)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1)를 갖는다. 마모 요소(16)는 지지 요소의 노즈(19)에 조립된다. 도 15에서, 핀(7)은 삽입 단계에 있다. 이는, 단차부들이 가요성 플랜지(3)들에 면하도록 각지게 배향된다. 리테이너(1)가 출구 개구(21)에 가깝기 때문에, 핀(7)은 힘들이지 않고 노즈 개구(25)에 도입될 수 있다. 도 16에서, 핀(7)은 이미 거의 완전히 도입되어 있고, 제2 단부(10)는 가요성 플랜지(3)에 맞닿아 있다. 이 순간부터, 일정한 힘을 인가하여 가요성 플랜지(3)의 탄성 굽힘이 발생한다. 도 17에서, 핀(7)은 이미 조립된 위치에 도달했고,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은 이미 각 블로킹 세그먼트(13)의 단계에 도달해 있다. 이때부터, 핀(7)은 자유단(4)이 단차부의 라이저 (15)에 맞닿아 더 이상 뒤로 이동할 수 없다. 핀(7)을 제거하려면, 핀(7)을 종축 주위로 90°회전시키면 된다(도 18). 이와 같이, 자유단(4)은 각각의 단차부로부터 나와서 언블로킹 세그먼트(14)에 위치되며, 이때 핀(7)의 표면은 (특히, 라이저가 제1 단부(8)를 향해 배향된 어떤 단차부 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핀(7)의 추출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더 이상 없다.
도 19는, 도 13 내지 도 18의 마모 요소(16), 도 9 내지 도 12의 리테이너(1) 및 지지 요소(구체적인 경우,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조립된 도 19의 조립체를 도시하고, 출구 개구(21)가 나타나 있으며, 이때 핀(7)의 제2 단부(10)와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이 블로킹 세그먼트(13)에 수용되며, 구체적으로는 단차부들의 라이저(15)에 맞닿아 있다.
도 22는, 관통핀이 아닌 핀(7)이 마모 요소(16)을 노즈(19)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구체적으로 리테이너(1)가 노즈(19)에 고정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테이너(1)의 위치를 관찰할 수 있도록, 도 22는 마모 요소(16)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예에서, 핀(7)의 고정 영역(12)는 제1 단부(8)에 가깝고, 조립된 위치에서, 노즈 개구(25)의 입구에 있는 영역에 있다. 리테이너(1)는 노즈 개구(25)의 주위에 배치된 제2 스냅 피팅 수단(22)에 조립되는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갖는다.
도 23 및 24는, 2개의 핀(7)이 마모 요소(16)을 노즈(19)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마모 요소(16)는, 예를 들어 셔블의 립에 용접될 수 있는 지지 요소의 노즈(19)에 조립될 중간 어댑터이다. 이 경우, 리테이너(1)는 마모 요소(16)에 고정된다. 도 23은, 마모 요소(16)의 측벽(18)의 내면에서 리테이너(1)의 위치를 관찰할 수 있도록 노즈(19)가 없는 조립된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24는 모든 구성 요소들(마모 요소 16, 노즈 19, 2개의 리테이너들 1 및 2개의 핀들 7)을 도시한다.
도 25 내지 도 27은, 리테이너(1)가 탄성재 시트(26)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리테이너(1)는 마모 요소(16)의 출구 개구(21)에 가깝게 고정되고, 탄성재 시트(26)는 리테이너(1)와 노즈(19) 사이에 있다.
도 28은 조립된 리테이너(1)을 갖는 마모 요소(16)를 도시한다. 측벽의 내면에는 주변 세그먼트(2)가 수용되는 오목부(23)가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3)는, 그를 통해 플랜지(3)가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단부로부터서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한다.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한다. 추가적으로, 주변 세그먼트(2)는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를 갖고, 오목부(23)는 오목부 에지를 갖는다. 플랜지 방향으로, 외측 세그먼트 에지와 오목부 에지 사이에는 갭이 있으며, 이에 의해 플랜지(3)가 오목부(23) 내에서 플랜지 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중에 자유단(4)이 (핀 7과 직접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돌이나 미세한 조각의 누적으로되 인해) 압축되는 경우, 전체 리테이너(1)는 플랜지(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도 29 및 30은 핀에 조립된 리테이너(1)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3)는, 그를 통해 플랜지(3)가 주변 세그먼트(2)와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한다.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한다. 조립된 위치에서, 플랜지의 방향으로, 자유단(4)과 핀(7) 사이의 거리는, 플랜지의 방향으로, 주변 세그먼트(2)에 존재하는 접촉점(27)과 핀(7)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도 33 참조), 이에 따라, 플랜지 방향에 따른 핀(7)과 리테이너(1)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서, 핀(7)은 자유단(4)과 접촉하기 전에 접촉점(27)과 접촉한다. 따라서, 작동 시에, 상기 핀(7)이 상기 핀(7)이 그 전에 상기 접촉점(27)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자유단(4)이 상기 핀(7)에 의해 충격을 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해법을 도 28에 도시된 개선 사항과 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주변 세그먼트(2)와 핀(7)은 적어도 두 쌍의 차단점(28)들을 통해 접촉하며, 상기 차단점(28)들 쌍의 하나는 어떤 의미에서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고 플랜지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방향에 따라 리테이너(1)와 핀(7)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차단하고, 차단점(28)들의 다른 쌍은 반대의 의미로 리테이너(1)와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향에 따라 자유단(4)과 핀(7) 사이에 상대적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는 이러한 상대적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31 및 도 32는, 도 29 및 도 30의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은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은, 플랜지(3)에 보강 수단(29)을 갖는 리테이너(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예에서, 보강 수단(29)은 딥 드로잉에 의해 제조된 보강 영역이다.
도 37 및 도 38에서, 플랜지(3)는, 그를 통해 플랜지(3)가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8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이고 플랜지(3)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을 갖는 플랜지(3)의 구간이, 그를 통해 플랜지가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단부에 가깝고,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 볼록한 곡률을 갖는 갖는 제1 영역, 및 자유단(4)에 가깝고,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 오목한 곡률을 갖는 제2 영역을 갖는다. 이 기하학적 구조는, 플랜지(3)와 핀(7) 간 접촉의 경우, 플랜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즉, 단차부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플랜지는 블로킹 세그먼트(13)의 내측을 향해 휘어질 것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라이저(15)는, 라이저(15)의 하단보다 핀(7)의 종축으로부터 더 이격된 상단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블로킹 세그먼트는, 라이저(15)에 대향하는 (즉, 라이저 15보다 핀 7의 제1 단부 8에 근접한) 램프(30) 및, 라이저(15)의 하단부로부터 램프(30)의 하단부로 연장되는 하부(31)를 갖는다. 이 경우, 하부(31)는 핀(7)의 종축에 평행하다.
도 40은 실제로 두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하나는 도면의 상부에 있고 다른 하나는 도면의 하부에 있다. 도 1의 상부에서, 하부(31)가 램프(30)의 하단보다 라이저(15)의 하단에서 핀(7)의 종축에 더 가깝게 되도록 하부(31)가 핀(7)의 종축을 향해 경사져 있는 핀(7)을 볼 수 있다. 도면의 하부에서, 하부(31)가 플랜지(3)의 자유단(4)을 수용하기 위해, 램프(30)보다 라이저(15)에 더 가까운, 오목부(32)를 갖는 핀을 볼 수 있다. 두 대안들 모두 플랜지가 "상방으로" (즉, 단차부로부터 "탈출하는") 휘어질 위험을 감소시킨다. 실제로, 도 33과 38은 이 두 가지 대안들을 도시한다.
도 40은 플랜지가 "상방으로" (즉, 단차부로부터 "탈출하는") 휘어질 위험도 감소시키지만 이전의 개선과는 독립적인 다른 개선을 도시한다.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15)는 0도보다 큰 각도(α)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라이저(15)의 하단보다 핀(7)의 종축으로부터 더 이격된 라이저(15)의 상단이 하단보다 핀의 제1 단부(8)에 더 가깝다. 각도α는 2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4도보다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laims (96)

  1. 마모 요소(16) 및 핀(7)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구비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17)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2개의 개구들이 서로 대향하는 상기 측벽(18)들 중 2개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정렬되는 상태로, 또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관통 노즈 개구(25)가 상기 노즈(19)에 배치된 상태로 정렬되는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개구와 상기 노즈 개구(25)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서 상기 마모 요소(16)를 고정하는 상기 핀(7)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7)은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그의 종축에 따라 상기 핀(7)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와, 상기 제1 단부(8)에 대향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8)는, 입구 개구(20)로서 지칭되는, 관통 개구인 상기 개구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10)는, 출구 개구(21)로서 지칭되는, 상기 관통 개구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16)는 상기 출구 개구(21)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1)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1)는 출구 개구(21)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가요성 플랜지(3)가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출구 개구(21)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이 상기 출구 개구(21) 내측에 있고, 또한,
    상기 핀(7)은 고정 영역(12)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종축의 방향으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출구 개구(21)와 일치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13)를 갖고,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15)가 상기 제1 단부(8)를 향해 배향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상기 자유단(4)을 수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핀(7)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 영역(12)은 또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핀(7)의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4)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언블로킹 세그먼트(14)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핀(7)의 상기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에 대해, 각지게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는 대신 상기 핀(7)의 측면이 상기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평활 세그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의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연장되어 상기 출구 개구(21)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과 결합되며 상기 출구 개구(21)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을 갖고,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은 상기 출구 개구(21)의 내측에 있고, 또한, 상기 핀(7)의 고정 영역(12)은,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대향 측들상에 배치되며, 각 블로킹 세그먼트(13)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제1 단부(8)를 향하고 상기 리테이너(1)의 상기 가요성 플랜지(3)들 중 하나의 상기 자유단(4)을 수용하기에 적합하여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제2 단부(10)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 영역(12)은 또한,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을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은, 상기 핀(7)의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들에 대해 각지게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은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대신, 상기 핀(7)의 측면이 상기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평활 세그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금속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용접에 의해 상기 마모 요소(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갖고, 상기 측벽의 내면은 제2 대응 스냅 피팅 수단(22)을 가지며,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6)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22) 상에서 조립되기에 적합하여, 상기 리테이너(1)를 상기 내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면은, 상기 주변 세그먼트(2)가 수용되는 오목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자유단(4)로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23)는 오목부 에지를 갖고,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상기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와 오목부 에지 사이에 갭이 존재하며, 이에 의해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오목부(23) 내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20)를 갖는 측벽은, 그의 외면에, 상기 핀(7)의 제1 단부(8)에 배치되는 정지부(9)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입구 개구(20)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상기 플랜지(3)가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자유단(4)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상기 자유단(4)과 핀(7) 사이의 의 거리는 상기 핀(7)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존재하는 접촉점(27)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서, 상기 핀(7)은 상기 자유단(4)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접촉점(27)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와 핀(7)은 적어도 두 쌍의 차단점(28)들을 통해 접촉되고, 상기 차단점(28)의 한 쌍은,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방향에 따라, 어떤 의미로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점(28)의 다른 쌍은, 반대의 의미로 상기 리테이너(1)와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13. 핀(7)에 의해 그 위에 마모 요소(16)가 조립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노즈(19)를 갖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토목 기계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상기 지지 요소 상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는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노즈(19)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16)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25)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7)은 상기 관통 개구및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토목 기계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리테이너(1) 및 일 단부에서 상기 노즈 개구(2)에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의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연장되어 상기 노즈 개구(25)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들에 배치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을 갖고,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에 결합되고, 두 플랜지들 모두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이 상기 노즈 개구(25)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금속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의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상기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제2 스냅 피팅 수단(22)에 조립되기에 적합한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1)를 상기 주변 영역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 개구(25)의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주변 세그먼트(2)가 수용되는 오목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로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를 갖고, 상기 오목부(23)는 오목부 에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상기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와 오목부 에지 사이에 갭이 존재함으로써,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오목부(23) 내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는, 토목 기계.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7)을 포함하고, 상기 핀(7)은 이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그의 종축에 따라 상기 핀(7)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 및 상기 제1 단부(8)와 대향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8)는 상기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10)는 상기 노즈 개구(25)에 수용되고, 상기 핀(25)은 고정 영역(12)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 개구(25)의 시작부와 일치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13)를 갖고,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제1 단부(8)를 향해 배향되고 상기 리테이너(1)의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핀(7)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또한,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언블로킹 세그먼트(14)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핀(7)의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에 대해 각지게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핀(7)의 측면이 상기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과 결합되며 상기 노즈 개구(25)를 g야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을 갖고,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은 상기 노즈 개구(25)의 내측에 있고, 또한, 상기 핀(7)의 상기 고정 영역(12)은,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대향 측들에 배치되며, 각 블로킹 세그먼트(13)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제1 단부(8)를 향해 배향되고 상기 리테이너(1)의 가요성 플랜지(3)들 중 하나의 자유단(4)를 수용하기에 적합하여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제2 단부(10)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고정 영역(12)은 또한, 상기 핀(7)의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을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은, 상기 핀(7)의 상기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에 대해 각지게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은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핀(7)의 측면이 상기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상기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로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상기 자유단(4)과 핀(7)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 방향의 배향으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존재하는 접촉점(27)과 상기 핀(7)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있어서, 상기 핀(7)은 상기 자유단(4)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접촉점(27)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 및 핀(7)은 적어도 두 쌍의 차단점(28)들을 통해 접촉하고, 상기 차단점(28)들의 쌍의 하나는, 어떤 의미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방향에 수직인 상기 평면에서의 방향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점(28)들의 다른 쌍은, 반대의 의미로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25.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16)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16)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며, 이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 배치된 노즈 개구(25)와 정렬되고,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25)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 상기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7)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7)은 이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핀(7)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 및 상기 제1 단부(8)에 대향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8)는, 입구 개구(20)로서 지칭되는 상기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10)는 상기 노즈 개구(25)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16)는, 상기 입구 개구(20)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입구 개구(20)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리테이너(1)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 단(4)이,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의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상기 입구 개구(20)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들에 배치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과 결합되며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을 갖고,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금속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7)는 용접에 의해 상기 마모 요소(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30.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31. 제25항 내지 제28항 또는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갖고, 상기 측벽의 내면은 제2 대응 스냅 피팅 수단(22)을 갖고, 상기 리테이너(1)를 상기 내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6)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22)에 조립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32. 제25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면은 상기 주변 세그먼트(2) 내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오목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이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를 갖고, 상기 오목부(23)는 오목부 에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상기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와 오목부 에지 사이에 갭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오목부(23) 내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34. 제2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20)를 갖는 측벽은, 그의 외면에, 상기 핀(7)의 제1 단부(8)에 배치된 상기 정지부(9)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입구 개구(20)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35. 마모 요소(16) 및 핀(7)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가 지지 요소상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17)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이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 배치된 노즈 개구(25)와 정렬되고,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25)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 상기 마모 요소(16)를 고정하는 상기 핀(7)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7)은 이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핀(7)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및 상기 제1 단부(8)와 대향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8)는, 입구 개구(20)로 지칭되는, 상기 관통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10)는 상기 노즈 개구(25)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16)는 상기 입구 개구(20)를 포함하는 측벽(18)의 내면에 고정되고, 입구 개구(20)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리테이너(1)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이,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핀(7)은 고정 영역(12)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종축의 방향으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입구 개구(20)와 일치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13)를 갖고,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15)가 상기 제1 단부(8)를 향해 배향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핀(7)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또한,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언블로킹 세그먼트(14)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핀(7)의 상기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에 대해 각지게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핀(7)의 측면이 상기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힙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의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상기 출구 개구(21)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들에 배치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과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을 갖고,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상기 핀(7)의 고정 영역(12)은, 상기 핀(7)의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대향 측들에 배치된 2개의 블로킹 세그먼트(13)들을 갖고, 각 블로킹 세그먼트(13)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제1 단부(8)을 향해 배향되고 상기 리테이너(1)의 가요성 플랜지(3)들 중 하나의 자유단(4)을 수용하기에 적합하여,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제2 단부(10)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또한,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들과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을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들은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핀(7)의 측면이 상기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금속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용접에 의해 상기 마모 요소(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0.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1. 제35항 내지 제38항 또는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18)의 내면은 제2 대응 스냅 피팅 수단(22)을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1)를 상기 내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6)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22)에 조립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2. 제3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8)의 내면은 상기 주변 세그먼트(2)가 수용되는 오목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이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를 갖고, 상기 오목부(23)는 오목부 에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상기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와 오목부 에지 사이에 갭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오목부(23) 내에서 플랜지 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4. 제35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20)를 갖는 측벽(18)은, 그의 외면에, 상기 핀(7)의 제1 단부(8)에 배치된 정지부(9)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입구 개구(20)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5. 제35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상기 자유단(4)과 상기 핀(7)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상기 핀(7)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존재하는 접촉점(27)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있어서, 상기 핀(7)은 상기 자유단(4)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접촉점(27)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와 핀(7)은 적어도 두 쌍의 차단점(28)들을 통해 접촉하고, 상기 차단점(28)들의 쌍 중 하나는, 어떤 의미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방향에 수직인 상기 평면에서의 방향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하고, 차단점(28)들의 다른 한 쌍은, 다른 의미로 상기 리테이너(1)와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47. 핀(7)을 차단하기에 적합한 리테이너(1)로서, 상기 핀(7)은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상기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19)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16)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25)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7)은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25)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주변 세그먼트(2), 및, 일단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기에 적합한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상기 개구의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제2 스냅 피팅 수단(22)에 조립되기에 적합한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구비하여, 상기 리테이너(1)를 상기 주변 영역에 고정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는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들에 배치된 2개의 플랜지들을 갖고,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에 결합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들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50.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금속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1)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51.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52. 제47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보강 수단(2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수단(29)은 딥 드로잉에 의해 제조되는 보강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54. 제47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이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와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플랜지 축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을 갖는 상기 플랜지(3)의 구간이, 그를 통해 상기 플랜지(3)가,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서 볼 때 볼록한 곡률을 갖는, 주변 세그먼트(2)와 결합되는 상기 단부에 가까운 제1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오목한 곡률을 갖는, 상기 자유단(4)에 가까운 제2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1).
  55.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16)에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7)으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16)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19)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16)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25)를 갖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7)은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25)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7)은 상기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핀(7)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와, 상기 제1 단부(8)에 대향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핀(7)은 고정 영역(12)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상기 종축의 방향으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25)의 시작부와 일치하며, 상기 고정 영역(12)은 단차부를 갖는 블로킹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제1 단부(8)를 향해 배향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1)의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리테이너(1)가 주변 세그먼트(2)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된 상기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상기 주변 세그먼트(2)가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는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핀(7)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또한 상기 핀(7)의 상기 종축의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7)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언블로킹 세그먼트(14)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평활 세그먼트를 가지며, 이때 핀(7)의 측면은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영역(12)은,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대향 측들에 배치된 2개의 블로킹 세그먼트(13)들을 갖고, 각 블로킹 세그먼트(13)는 단차부를 갖고), 각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제1 단부(8)를 향해 배향되고 또한 리테이너(1)의 가요성 플랜지(3)들 중 하나의 자유단(4)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리테이너(1)가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주변 세그먼트(2) 및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에 배치된 2개의 플랜지를 갖는 경우,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에 결합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은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들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기에 적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단부(10)의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또한, 상기 핀(7)의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8)에 대해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와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2개의 언블로킹 세그먼트(14)를 포함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핀(7)의 상기 종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13)에 대해 각도지게 변위되고,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는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고 평활 세그먼트를 갖가지며, 상기 핀(7)의 측면이 제2 단부(10)의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57. 제55항 또는 제56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영역(12)은 상기 제2 단부(10)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58. 제55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0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저(15)의 하단보다 상기 핀(7)의 종축으로부터 더 분리된, 상기 라이저(15)의 상단이 상기 하단보다 핀의 상기 제1 단부(8)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2도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4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60. 제55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15)는 라이저(15)의 하단보다 상기 핀(7)의 종축으로부터 더 이격된 상단을 갖고, 상기 블로킹 세그먼트는 상기 라이저(15)에 대향하는 램프(30) 및 상기 라이저(15)의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램프(30)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하단부(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31)는, 상기 하단부(31)가 상기 램프(30)의 하단보다 상기 라이저(15)의 하단에서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에 더 근접하도록, 상기 핀(7)의 종축 방향을 행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62.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31)는 상기 플랜지(3)의 상기 자유단(4)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램프(30)보다 상기 라이저(15)에 더 가까운 오목부(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7).
  63.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16)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17)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2개의 개구들이 서로 대향하는 측벽(18)들 중 2개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벽들에 의해 구획되고, 이는 서로 정렬되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 배치된 관통 노즈 개구(25)와 정렬되며,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25)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 상기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7)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7)은 이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이 핀(7)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와, 상기 제1 단부(8)와 대향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8)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20)로 불리는 상기 개구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10)는, 출구 개구(21)로 불리는 상기 개구(21)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며,
    상기 마모 요소(16)는 상기 출구 개구(21)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1)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출구 개구(21)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출구 개구(21)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이 상기 출구 개구(21)의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의 주변 세그먼트(2)는 상기 출구 개구(21)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반대되는 영역들에 배치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과 결합되며 상기 출구 개구(21)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를 갖고,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이 상기 출구 개구(21)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66. 제63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금속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67. 제63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용접에 의해 상기 마모 요소(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68. 제63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69. 제63항 내지 제66항 또는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제1 스냅 피팅 수단(6)을 갖고, 상기 측벽의 내면은 제2 대응 스냅 피팅 수단(22)을 갖고, 상기 제1 스냅 피팅 수단(6)은 상기 제2 스냅 피팅 수단(22)에 조립되기에 적합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1)를 상기 내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70. 제63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면은 상기 주변 세그먼트(2) 내측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오목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를 갖고, 상기 오목부(23)는 오목부 에지를 갖고, 또한, 상기 플랜지 방향으로, 상기 외측 주변 세그먼트 에지와 오목부 에지 사이에 갭이 존재하여,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오목부(23) 내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72. 제63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20)를 갖는 측벽은, 그의 외면에, 상기 핀(7)의 제1 단부(8)에 배치된 정지부(9)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입구 개구(20)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73. 제63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7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테이너(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74. 제63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모 요소(16) 및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핀(7)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로서,
    고정 영역(12)이, 종축의 방향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출구 개구(21)와 일치하고, 단차부의 라이저(15)는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을 수용하여,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핀(7)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75. 핀(7)에 의해 마모 요소(16)가 조립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노즈(19)를 갖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토목 기계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17)에서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들(18)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19)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16)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25)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7)은 상기 관통 개구 및 상기 노즈 개구에 수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토목 기계는 제47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테이너(1)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76. 제75항에 있어서,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핀(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영역(12)은, 상기 종축(7)의 방향으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 개구(25)의 시작부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77. 제75항 또는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와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상기 자유단(4)과 핀(7)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상기 핀(7)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존재하는 접촉점(27)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1)와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있어서, 상기 핀(7)은 상기 자유단(4)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접촉점(27)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와 상기 핀(7)은 적어도 두 쌍의 차단점(28)을 통해 접촉하고, 상기 차단점(28)들 쌍의 하나는, 어떤 의미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방향에 수직인 상기 평면에서의 방향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1)와 핀(7)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차단하고, 차단점(28)들의 다른 쌍은, 반대의 의미로 상기 리테이너(1)와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79. 토목 기계의 마모 요소(16)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17)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에 배치된 노즈 개구(25)와 정렬되는, 상기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관통 개구와 노즈 개구(25)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노즈(19)에 상기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핀(7)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7)은 이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핀(7)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와,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입구 개구(20)로 지칭되는 상기 관통 개구에 수용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제2 단부(10)는 상기 노즈 개구(25) 내측에 수용되며,
    제47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테이너(1)를 포함하고, 주변 세그먼트(2)가 상기 입구 개구(20)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입구 개구(20)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가요성 플랜지(3)가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요소(16).
  80. 제63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모 요소(16) 및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핀(7)을 포함하는 토목 기계의 마모 조립체로서, 상기 고정 영역(12)은,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의 상기 입구 개구(20)와 일치하고, 상기 단차부의 라이저(15)는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을 수용하여,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핀(7)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1.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핀(7) 및 상기 핀(7)을 차단하기에 적합한 리테이너(1)를 포함하는 마모 조립체로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관통 개구 또는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주변 세그먼트(2)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기에 적합한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상기 자유 단(4)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의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상기 출구 개구(21)와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들에 배치되고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과 결합되며 상기 출구 개구(21)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플랜지(3)들을 갖고,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이 상기 출구 개구(21)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4. 제81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금속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5. 제81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6. 제81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가 제47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7. 제81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는, 그를 통해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4)까지 연장되는 플랜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플랜지 축의 돌출부는 플랜지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상기 자유단(4)과 상기 핀(7)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 방향의 방향으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존재하는 접촉점(27)과 상기 핀(7)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 방향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있어서, 상기 핀(7)은 상기 자유단(4)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접촉점(27)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와 상기 핀(7)은 적어도 두 쌍의 차단점(28)들을 통해 접촉하고, 상기 차단점(28)들 쌍의 하나는, 어떤 한 의미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방향에 수직인 상기 평면에서의 방향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점(28)들의 다른 쌍은, 반대의 의미로 상기 리테이너(1)와 상기 핀(7)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조립체.
  89. 핀(7)을 차단하기 위한 리테이너(1)의 용도로서, 상기 핀(7)은 마모 요소(16)를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고정하고,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19)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16)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25)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7)은 상기 관통 개구 및 상기 노즈 개구(25)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되는, 주변 세그먼트(2)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 개구 또는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 단(4)이,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제47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1.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 위한,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핀(7)의 용도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상기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19)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16)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25)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7)은 상기 관통 개구 및 상기 노즈 개구(25)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2.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16)를 고정하기 위한, 제81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의 용도로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상기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측벽(18)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노즈(19)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요소(16)의 관통 개구와 정렬되는 노즈 개구(25)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핀(7)은 상기 관통 개구 및 상기 노즈 개구(25)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 개구는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관통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3.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16)의 마모 요소(16)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상기 마모 요소(16)는 캐비티(17)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요소(16)가 지지 요소에 조립되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존재하는 노즈(19)가 상기 캐비티(17)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티(17)는,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고 또한 상기 노즈(19)에 배치된 관통 노즈 개구(25)와 정렬되는,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18)에 배치된 2개의 개구들을 갖는 측벽(18)들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개구들 및 노즈 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노즈(19_에 상기 마모 요소(16)를 고정하는,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핀(7)을 그 안에 수용하고, 상기 개구들은 종축을 규정하고, 상기 종축은, 상기 핀(7)이 상기 조립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도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삽입 방향을 갖고, 상기 핀(7)은 상기 핀(7)의 종축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핀(7)을 그의 종축에 따라 회전시키기에 적합한 작동 수단(11)을 갖는 제1 단부(8)와, 상기 제1 단부(8)와 대향하는 제2 단부(10)를 갖고, 상기 조립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부(8)는, 관통 개구인, 입구 개구(20)로 불리는 상기 개구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10)는, 출구 개구(21)로 불리는, 상기 개구(21)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고,
    [a] 상기 마모 요소(16)는 상기 출구 개구(21)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1)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출구 개구(21)의 주변 영역에서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출구 개구(21)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시스재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은 상기 출구 개구(21) 내측에 있으며, 또는
    [b] 상기 마모 요소(16)는 상기 입구 개구(20)를 포함하는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리테이너(1)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입구 개구(20)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 및, 일 단부에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를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플랜지(3)의 자유단(4)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세그먼트(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고, 또는
    [c] 상기 노즈는, 상기 노즈 개구(25)의 주변 영역에 고정된 주변 세그먼트(2) 및, 일 단부에서 상기 노즈 개구(2)에 결합되고, 상기 노즈 개구(25)의 내측을 행해 연장되는 가요성 플랜지(3)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 리테이너(1)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i] 상기 플랜지(3)가 상기 언블로킹 세그먼트(14)에 대면할 때까지 상기 제1 단부(8)에 존재하는 작동 수단(11)을 통해 상기 핀(7)의 종축을 따라 상기 핀(7)을 회전시키는 단계,
    [ii] 상기 관통 개구 및 노즈 개구(25)를 통해 상기 핀을 추출하는 단계, 및
    [iii] 지지부로부터 상기 마모 요소(16)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세그먼트(2)는 폐쇄 주변 프레임(5)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는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대향 영역들에 배치된 2개의 플랜지들을 갖고,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과 결합되고 또한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두 가요성 플랜지(3)들의 자유단(4)은, 상기 삽입 방향에 따라, 상기 폐쇄 주변 프레임(5)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기 위해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6. 제93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제47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7032547A 2021-03-22 2022-03-22 핀을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시스템 및 리테이너 Pending KR20230159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382226.5 2021-03-22
EP21382226.5A EP4063573A1 (en) 2021-03-22 2021-03-22 Fixing system of a wear element in a support element of an earth moving machine through a pin and a retainer
PCT/EP2022/057545 WO2022200383A1 (en) 2021-03-22 2022-03-22 Fixing system of a wear element in a support element of an earth moving machine through a pin, and a re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441A true KR20230159441A (ko) 2023-11-21

Family

ID=7552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547A Pending KR20230159441A (ko) 2021-03-22 2022-03-22 핀을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시스템 및 리테이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240295099A1 (ko)
EP (2) EP4063573A1 (ko)
KR (1) KR20230159441A (ko)
CN (1) CN117043424A (ko)
AR (1) AR127091A1 (ko)
AU (1) AU2022244102A1 (ko)
BR (1) BR112023016004A2 (ko)
CA (1) CA3212412A1 (ko)
CL (1) CL2023002376A1 (ko)
CO (1) CO2023010469A2 (ko)
ES (1) ES3022864T3 (ko)
MX (1) MX2023011148A (ko)
PE (1) PE20240753A1 (ko)
PL (1) PL4314421T3 (ko)
WO (1) WO2022200383A1 (ko)
ZA (1) ZA2023072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7543B1 (en) * 2022-10-21 2025-07-23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Pin assembly, pin positioning body, coupling system for earth moving machines, and assembly method
CN116439834B (zh) * 2023-06-14 2024-06-18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可叠加快拆装置及手术导航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7989A (en) * 1974-10-02 1976-12-21 Caterpillar Tractor Co. Tip retaining means with rotative locking tendencies
JP4446837B2 (ja) * 2004-08-26 2010-04-0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43424A (zh) 2023-11-10
AR127091A1 (es) 2023-12-20
CA3212412A1 (en) 2022-09-29
PL4314421T3 (pl) 2025-04-28
EP4314421C0 (en) 2024-12-25
EP4063573A1 (en) 2022-09-28
EP4314421B1 (en) 2024-12-25
US20240295099A1 (en) 2024-09-05
WO2022200383A1 (en) 2022-09-29
CO2023010469A2 (es) 2023-11-20
CL2023002376A1 (es) 2024-03-01
MX2023011148A (es) 2023-10-05
AU2022244102A1 (en) 2023-08-17
ES3022864T3 (en) 2025-05-29
ZA202307222B (en) 2024-11-27
EP4314421A1 (en) 2024-02-07
PE20240753A1 (es) 2024-04-16
BR112023016004A2 (pt)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890B1 (ko) 굴삭기 및 유사한 장비용 어댑터에 장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구성부품
KR20230159441A (ko) 핀을 통해 토목 기계의 지지 요소에 마모 요소를 고정하는 시스템 및 리테이너
CN113529846B (zh) 用于工具适配器的改进加强系统
EP3149249B1 (en) Locking device for securing a wear member
CN114753434B (zh) 具有带有锥形固位通道的尖端的器具地面接合尖端组件
US20120311896A1 (en) Excavation tooth assembly
CN110073063A (zh) 具有带有支承肋部的末端的器具末端组件
EP3121340A1 (en) Replaceable tip for a demolition tool
AU2014203302A1 (en) Wear collar for tool retention system
KR102279468B1 (ko) 댐퍼 구조물
EP3933124A1 (en) System for attaching wear elements to earthmoving machines
US20230272601A1 (en) Adapter and wear element with a pin arranged at a low stress point
EP4324989B1 (en) Pin for coupling between a wear element and a support of an earth-moving machine and coupling system
EP4116507A1 (en) Retaining device and wear element for excavators and the like
RU2705632C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изнашиваемого или защ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к ковшу землеройной машин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и способ
RU2780631C2 (ru) Кожух кромки для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и способ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имеющего кожух
CN1867738B (zh) 带翼的挖掘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