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59054A -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054A
KR20230159054A KR1020220058943A KR20220058943A KR20230159054A KR 20230159054 A KR20230159054 A KR 20230159054A KR 1020220058943 A KR1020220058943 A KR 1020220058943A KR 20220058943 A KR20220058943 A KR 20220058943A KR 20230159054 A KR20230159054 A KR 2023015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secondary battery
temperature
control pack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원필
이진규
윤두한
손창근
이용호
김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5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054A/en
Publication of KR2023015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05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ghly absorbent mat which is inserted into a pouch, and in whic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control agent having a negative enthalpy of solution is impregnated in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f around 100℃ or higher, a large amount of heat from the surroundings is absorbed, and even in low temperature conditions of below -10℃, a large amount of heat energy can be released to the surroundings. Therefore, when a secondary battery is equipp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rapid change in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prevented, and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모듈 내부의 온도 안정성이 개선된 이차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Secondary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inside the module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모듈 내부의 온도 변화가 크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및 이를 포함하여 모듈 내부의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that can control the temperature chang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is not large,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with improved stability against temperature change inside the module.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 또는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전지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applied not only to small device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to medium-to-large devices such as battery packs of hybrid vehicles or electric vehicles or power storage devices.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포함하고, 이들을 보호하는 다층 외장재를 몸체로 포함하고, 이러한 이차전지는 복수의 셀을 장착한 전지 모듈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n electrolyte, and a multilayer exterior material that protects them as a body. This secondary battery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ells.

그러나, 이러한 이차전지는 주변의 온도 변화에 민감하여 전기적 성능과 안전성이 많이 좌우될 수 있다.However,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sensitive to changes in surrounding temperature, so their electrical performance and safety may be greatly affected.

하나의 예로서, 이차전지에 구비된 전극 조립체는 충전 및 방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은 이차전지 셀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이러한 이차전지 셀의 온도 상승과 같은 배터리 모듈의 내부적인 요인으로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 셀이 폭발하거나,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 셀이 폭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 셀의 폭발이 주변의 다른 이차전지 셀에 고온, 고압을 작용하여 연쇄적인 이차전지 셀의 폭발로 이어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provided in a secondary battery generates heat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temperature rise due to this heat generation not only reduce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but also reduce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one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explodes due to internal factors of the battery module, such as an increase in temperature, or one secondary battery cell explodes due to an external shock. Moreover, the explosion of one secondary battery cell may cause a problem in which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re applied to other secondary battery cells around it, leading to a series of explosions of secondary battery cells.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의 열 폭주 상황에서 인접 셀로의 열전도를 억제하기 위하여 종래 열 폭주 방지시트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일부의 종래 기술들은 열 발생 시 냉각 배터리 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각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열 전도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배터리 모듈 내에 구비함으로써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지 구동 시에 발생되는 열의 냉각을 위한 것으로서, 셀 폭발과 같은 열 폭주 상황에서는 기능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uppress heat conduction to adjacent cells in the above-described thermal runaway situation of secondary batteries, technology for thermal runaway prevention sheets has been developed. Some prior technologies include a cooling member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when heat is generated, or provide a cartridge containing a heat conductive additive within the battery module, thereby improving heat transfer efficiency. However, this prior art is intended to cool the heat generated during battery operation, and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not function in thermal runaway situations such as cell explosion.

다른 하나의 예로서, 액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경우 주변 온도가 -20℃ 내지 -10℃로 떨어지면 구비된 액체 전해질의 결빙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지의 특성이 급격히 저하될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액체 전해질에 동결 방지 첨가제 등을 사용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으나, 액체 전해질에 별도에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저온 특성을 개선되나 전극 조립체에 대한 젖음성이 낮고, 상온 및/또는 고온에서의 전지 성능이 좋지 않은 한계가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liquid electrolyte, if the surrounding temperature drops to -20°C to -10°C, freezing of the liquid electrolyte may occur, which has the limit of rapidly deteri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there is.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using anti-freezing additives in the liquid electrolyte has been developed. However, when additional additives are used in the liquid electrolyte, the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but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low, and the wettability at room temperature and/or There is a limitation in battery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s.

따라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 있어서, 모듈 내부의 온도, 즉 이차전지의 주변 온도가 전지의 열 폭주를 유도하는 고온/발열 조건일 때는 주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10℃ 이하와 같은 저온 조건일 때는 전지에 구비된 액체 전해질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a secondary battery module containing a secondary battery,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dule, that is,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a high temperature/heat generation condition that induces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a rapid increase i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is suppressed, and -10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prevent freezing of the liquid electrolyte included in the battery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 or lower.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018-6594435호Japanes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2018-659443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916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9161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 모듈 내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억제하여, 전지의 열 폭주와 같은 발열이나 고온 조건에서 이차전지의 발화나 폭발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고, -10℃ 이하의 저온 환경 노출 시에는 이차전지의 결빙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rapid temperature changes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thereby suppressing or delaying ignition or explo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under heat generation o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and preventing or delaying ignition or explo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at low temperatures below -10°C. The goal is to provide technology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freezing of secondary batteries when exposed to the environment.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삽입된 고흡수성 매트릭스를 포함하고,pouch; And a highly absorbent matrix inserted into the pouch,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용해 엔탈피가 음수값을 갖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이 내부에 함침된 상태이며,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 temperature regulator having a negative melting enthalpy is dissolved,

상기 수용액은 파우치 외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수용액 내의 물이 기화되면서 흡열 반응을 유도하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을 제공한다.The aqueous solution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that induces an endothermic reaction as the water in the aqueous solution evaporate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pouch increases.

여기서, 상기 온도 조절제는 -150 kJ/mol 내지 -10 kJ/mol의 용해 엔탈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 조절제로는 염화칼슘(CaCl2), 산화칼슘(CaO), 염화칼륨(KCl), 수산화칼륨(KOH) 및 염화마그네슘(MgCl2)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emperature regulator may have a dissolution enthalpy of -150 kJ/mol to -10 kJ/mol, and these temperature regulators include calcium chloride (CaCl 2 ), calcium oxide (CaO), potassium chloride (KCl), and potassium hydroxide (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KOH) and magnesium chloride (MgCl 2 ).

또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고흡수성 수지(SAP) 또는 고흡수성 섬유(SAF)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erabsorbent matrix may be in the form of superabsorbent polymer (SAP) or superabsorbent fiber (SAF).

아울러,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 전분, 가교된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전분-아크릴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비누화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술폰산, 폴리비닐포스폰산, 폴리비닐인산, 폴리비닐황산, 술폰화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민, 폴리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폴리알릴구아니딘,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 히드록시드, 4차화 폴리스티렌 유도체, 구아니딘-변성 폴리스티렌, 4차화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구아니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수지와 함께 내부에 열 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ncludes polyacrylic acid, polyacrylate, polyacrylate graft polymer, starch, cross-linked carboxymethylated cellulose, acrylic acid copolymer, hydrolyzed starch-acrylnitrile graft copolymer, starch-acrylic acid graft copolymer, Saponified vinyl acetate-acrylic acid ester copolymer, hydrolyzed acrylonitrile copolymer, hydrolyzed acrylamide copolymer, ethyl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isobutyl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polyvinylsulfonic acid, polyvinyl Phosphonic acid, polyvinyl phosphoric acid, polyvinyl sulfate, sulfonated polystyrene, polyvinylamine, polydialkylaminoalkyl (meth)acrylamide, polyethyleneimine, polyallylamine, polyallylguanidine, polydimethyldiallylammonium hydroxide, It may contain one or more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quaternized polystyrene derivatives, guanidine-modified polystyrene, quaternized poly(meth)acrylamide, polyvinylguanidine, and mixtures thereof, and in some cases, the resin may be added to the interior together with the resin. It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filler.

이러한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10 g/g 내지 500 g/g의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This highly absorbent matrix may contain 10 g/g to 500 g/g of an aqueous solution.

한편, 상기 온도 조절팩은 0.1 mm 내지 5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may have a thickness of 0.1 mm to 50 mm.

나아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Furtherm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우징 부재;no housing;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전지 셀; 및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and

상기 복수의 전지 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한다.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a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absorbs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은 n열(단, n≥2)로 정렬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온도 조절팩은 배치된 전지 셀들이 이루는 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배치된 전지 셀들이 구성하는 열의 외측면과 하우징 부재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arranged in n rows (where n ≥ 2), and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may be placed between the rows formed by the arranged battery cells, and/or the arranged It may be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ow of battery cells and the hous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은 파우치 내부에 용해 엔탈피가 음수값을 갖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이 내부에 함침된 고흡수성 매트가 삽입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100℃ 부근 또는 그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는 주변의 많은 열량을 흡수하고, -10℃ 미만의 저온 조건에서도 주변에 다량의 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차전지 모듈에 구비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주변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변 온도에 따른 이차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secondary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gh-absorbency mat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control agent having a negative melting enthalpy is inserted into the pouch, thereby maintaining high temperatures around 100°C or higher. Under certain conditions, it can absorb a large amount of heat from the surroundings and emit a large amount of heat energy to the surroundings eve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below -10℃, so when equipped with a secondary battery module, it prevents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from rapidly changing. Thi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described as being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 Converse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described as being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being “immediately below” the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Additionally, in this application, being placed “on” may include being placed not only at the top but also at the bottom.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차전지용 온도 조절팩Temperature control pack for secondary batteries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삽입된 고흡수성 매트릭스를 포함하고,pouch; And a highly absorbent matrix inserted into the pouch,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용해 엔탈피가 음수값을 갖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이 내부에 함침된 상태이며,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 temperature regulator having a negative melting enthalpy is dissolved,

상기 수용액은 파우치 외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수용액 내의 물이 기화되면서 흡열 반응을 유도하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을 제공한다.The aqueous solution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that induces an endothermic reaction as the water in the aqueous solution evaporate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pouch increases.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은 이차전지 모듈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품으로써 수용액이 내부에 함침된 고흡수 매트릭스가 파우치 내부에 삽입된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수용액은 용해 엔탈피가 음수값을 갖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gh-absorbency matrix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is inserted inside a pouch, where the aqueous solution is a temperature control having a negative enthalpy of dissolu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issolved aqueous solution.

'용해 엔탈피'란 1몰의 용질이 용매인 물에 용해될 때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열량을 나타내고, 용해 엔탈피가 음수값이라는 것은 용질이 용매인 물에 용해될 때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Enthalpy of dissolution' refers to the amount of heat released or absorbed when 1 mole of solute is dissolved in water, a solvent. A negative value of enthalpy of dissolution means that an exothermic reaction occurs that releases heat when the solute is dissolved in water, a solvent. means that

즉, 본 발명은 물에 용해 시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이 고흡수성 매트릭스에 함침된 구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수용액에 포함된 물의 상변화 온도 및/또는 열량이 조절되어 온도 조절팩 주변의 온도 조건에 따라 다량의 열 에너지를 흡수 및/또는 방출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regulator that causes an exothermic reaction when dissolved in water is impregnated into a highly absorbent matrix, and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and/or amount of hea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are adjusted accordingly to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conditions, a large amount of heat energy can be absorbed and/or releas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조절팩은 파우치 외부 온도가 상승하면 수용액에 포함된 물이 기화하기 위하여 주변의 열 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고, 동시에 온도 조절제와 물의 분리를 위하여 열 에너지를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의 물이 물의 상변화 및 온도 조절제와의 분리를 위하여 필요한 열 에너지(또는 기화열)가 순수한 물이 기화하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 보다 많은 열량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은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을 포함함으로써, 순수한 물을 사용한 경우와 대비하여 보다 많은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우치 주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모듈의 내부 온도가 100℃ 부근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는데 보다 오랜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primarily absorbs surrounding heat energy to vapor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pouch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secondarily absorbs heat energy to separate the temperature control agent and water. can do. This means that the heat energy (or heat of vaporization) required for the phase change of water and separation from the temperature regulator in the water of th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regulator is dissolved may have more heat than the heat energy required to vaporize pure water. Therefore,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agent is dissolved, so that it can absorb more heat energy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pure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uch from rising rapidly. Therefore, a longer time may be required f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odule to reach or exceed 100°C.

또한, 상기 온도 조절팩은 파우치 외부 온도가 하강하면 수용액에 포함된 물이 얼기 위하여 주변에 열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를 통해 주변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액에 포함된 물이 어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또는 응고열)는 순수한 물이 어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 보다 많은 열량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도 조절팩이 열 에너지를 방출하는 온도는 순수한 물이 어는 0℃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은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을 포함하므로, 순수한 물을 사용한 경우와 대비하여 보다 많은 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우치 주변의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듈 내부에 구비된 이차전지들의 액체 전해액들이 -10℃ 미만, 구체적으로는 -30~-15℃의 저온 조건에서 결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emits heat energy to the surroundings to free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pouch decreases, thereby suppressing a rapid decrease i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Here, the heat energy (or heat of solidification) required to free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may have more heat than the heat energy required to freeze pure water,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emits heat energy is that of pure water. Freezing can be lower than 0℃. In other words,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agent is dissolved, it can emit more heat energy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pure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pouch from falling rapid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electrolyte solutions of the secondary batteries provided inside the module from freezing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of less than -10°C, specifically -30 to -15°C.

이를 위하여, 상기 온도 조절제는 특정 범위의 용해 엔탈피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조절제는 일정 범위의 음수값을 갖는 용해 엔탈피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50 kJ/mol 내지 -10 kJ/mol; -120 kJ/mol 내지 -10 kJ/mol; -100 kJ/mol 내지 -10 kJ/mol; -120 kJ/mol 내지 -20 kJ/mol; -100 kJ/mol 내지 -30 kJ/mol; -50 kJ/mol 내지 -10 kJ/mol; -90 kJ/mol 내지 -60 kJ/mol; 또는 -85 kJ/mol 내지 -30 kJ/mol의 용해 엔탈피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mperature regulator may satisfy a certain range of enthalpy of dissolution.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regulator may have a melting enthalpy having a negative value in a certain range, more specifically -150 kJ/mol to -10 kJ/mol; -120 kJ/mol to -10 kJ/mol; -100 kJ/mol to -10 kJ/mol; -120 kJ/mol to -20 kJ/mol; -100 kJ/mol to -30 kJ/mol; -50 kJ/mol to -10 kJ/mol; -90 kJ/mol to -60 kJ/mol;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substance having a dissolution enthalpy of -85 kJ/mol to -30 kJ/mol.

이러한 용해 엔탈피를 갖는 온도 조절제로는 염화칼슘(CaCl2, 용해 엔탈피: -81±0.5 kJ/mol), 산화칼슘(CaO, 용해 엔탈피: -82.5±0.5 kJ/mol), 염화칼륨(KCl, 용해 엔탈피: -74±0.5 kJ/mol), 염화마그네슘(MgCl2), 황산 마그네슘(MgSO4, 용해 엔탈피: -91±0.5 kJ/mol), 수산화칼륨(KOH, 용해 엔탈피: -46±0.5 kJ/mol), 수산화나트륨(NaOH, 용해 엔탈피: -42±0.5 kJ/mol)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병용할 수 있다.Temperature regulators with such melting enthalpy include calcium chloride (CaCl 2 , melting enthalpy: -81±0.5 kJ/mol), calcium oxide (CaO, melting enthalpy: -82.5±0.5 kJ/mol), and potassium chloride (KCl, melting enthalpy: -82.5±0.5 kJ/mol). -74±0.5 kJ/mol), magnesium chloride (MgCl 2 ), magnesium sulfate (MgSO 4 , enthalpy of dissolution: -91±0.5 kJ/mol), potassium hydroxide (KOH, enthalpy of dissolution: -46±0.5 kJ/mol) , sodium hydroxide (NaOH, enthalpy of dissolution: -42±0.5 kJ/mol), etc.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하나의 예로서, 상기 온도 조절제로는 염화칼슘(CaCl2), 산화칼슘(CaO), 염화칼륨(KCl), 수산화칼륨(KOH) 및 염화마그네슘(MgCl2)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emperature regulator may include one or more of calcium chloride (CaCl 2 ), calcium oxide (CaO), potassium chloride (KCl), potassium hydroxide (KOH), and magnesium chloride (MgCl 2 ).

한편, 상기 수용액이 함침되는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온도 조절팩이 고온 조건에 노출되는 경우 함침된 수용액의 물이 방출되고 온도 조절제가 내부에 잔류하여 담지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온도 조절팩이 저온에 노출되는 경우 수용액이 함침된 상태로 언 형태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mpregnated with the aqueous solution may have a form in which water from the impregnated aqueous solution is released and the temperature regulator remains inside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is exposed to low temperature conditions. When exposed, it may take a frozen form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또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을 높은 효율로 흡수하기 위해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 또는 고흡수성 섬유(super absorbent fiber, SA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SAP)와 고흡수성 섬유(SAF)는 그 형태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고흡수성 수지(SAP)는 분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흡수성 섬유(SAF)는 선형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er absorbent matrix may include a super absorbent polymer (SAP) or super absorbent fiber (SAF) to absorb th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regulator is dissolved with high efficiency. Here, the super absorbent polymer (SAP) and super absorbent fiber (SAF) can be distinguished by their shape. For example, superabsorbent polymer (SAP) may have a powder shape, and the superabsorbent fiber (SAF) may have a linear shape.

아울러, 상기 고흡수성 수지(SAP)와 고흡수성 섬유(SAF)는 이들을 구성하는 성분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 전분, 가교된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전분-아크릴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비누화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술폰산, 폴리비닐포스폰산, 폴리비닐인산, 폴리비닐황산, 술폰화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민, 폴리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폴리알릴구아니딘,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 히드록시드, 4차화 폴리스티렌 유도체, 구아니딘-변성 폴리스티렌, 4차화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구아니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uperabsorbent polymer (SAP) and superabsorbent fiber (SAF)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Specifically,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polyacrylic acid, polyacrylate, polyacrylate graft polymer, starch, cross-linked carboxymethylated cellulose, acrylic acid copolymer, hydrolyzed starch-acrylnitrile graft copolymer, starch-acrylic acid graft copolymer. , saponified vinyl acetate-acrylic acid ester copolymer, hydrolyzed acrylonitrile copolymer, hydrolyzed acrylamide copolymer, ethyl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isobutyl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polyvinylsulfonic acid, poly Vinylphosphonic acid, polyvinyl phosphoric acid, polyvinyl sulfate, sulfonated polystyrene, polyvinylamine, polydialkylaminoalkyl (meth)acrylamide, polyethyleneimine, polyallylamine, polyallylguanidine, polydimethyldiallylammonium hydroxide. , quaternized polystyrene derivatives, guanidine-modified polystyrene, quaternized poly(meth)acrylamide, polyvinylguanidine, and mixtures thereof.

하나의 예로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가교화된 폴리아크릴산 염, 가교화된 폴리아크릴산 및 가교화된 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 example, the superabsorbent matrix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salts,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and crosslinked acrylic acid copolymers.

본 발명에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단량체와 말레산, 이타콘산, 아크릴아미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The type of acrylic acid copolymer used as the superabsorbent matrix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crylic acid monomer and maleic acid, itaconic acid, acrylamide, 2-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2-( It may be a copolymer containing one or more comono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a)acryloylethanesulfon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styrenesulfonic acid.

상기 성분은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망상 구조를 갖는 물질들로서 수용액을 높은 효율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액 내에 해리된 온도 조절제들을 구조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온도 조절팩이 흡열 또는 발열하는 효과가 균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 ingredients are substances that have a network structure with a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and can not only absorb aqueous solutions with high efficiency, but also uniformly disperse the temperature control agents dissociated in the aqueous solution within the structure, so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has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ffect. can be implemented uniformly.

아울러,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대한 흡수력이 일정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수용액에 대한 흡수량이 10 g/g 내지 500 g/g, 구체적으로는 50 g/g 내지 200 g/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 1 g당 수용액 10 g 내지 500 g, 바람직하게는 50 g 내지 200 g을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대한 흡수량이 많을수록 냉각 효과의 지속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500 g/g을 초과하면, 고흡수성 매트릭스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효과적인 냉각을 발휘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의 수용액에 대한 흡수량이 10 g/g 미만이면, 파우치 외부 온도에 따라 흡수 또는 방출하는 열량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모듈 내부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아 비효율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ly absorbent matrix can satisfy a certain range of absorption capacity for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 temperature regulator is dissolved. Specifically, the highly absorbent matrix may have an absorption amount in an aqueous solution of 10 g/g to 500 g/g, specifically 50 g/g to 200 g/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is means that 10 g to 500 g of aqueous solution, preferably 50 g to 200 g, can be absorbed per 1 g of the superabsorbent matrix. The more the superabsorbent matrix absorbs th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regulator is dissolved, the more it absorbs. The duration of the cooling effect can be improved, but if it exceeds 500 g/g, the fluidity of the superabsorbent matrix in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ts shape, making effective cooling impossible. In addition, if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n an aqueous solution is less than 10 g/g, the amount of heat absorbed or released depending o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pouch is significantly lowered, so the effect of suppressing rapid changes 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odule is low and may be inefficient. .

이와 더불어,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매트릭스 내부에 함침된 수용액에 열을 보다 잘 전달하기 위하여 내부에 열 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ly absorbent matrix may further include a heat conductive filler therein to better transfer heat to the aqueous solution impregnated within the matrix.

상기 열 전도성 필러는 열 전달 특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무기 산화물 필러, 금속 수산화물 필러, 무기 탄화물 필러, 질화물 필러, 금속 필러 및 탄소 필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excellent heat transfer properties, but specificall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organic oxide filler, metal hydroxide filler, inorganic carbide filler, nitride filler, metal filler, and carbon filler may be used. You can.

여기서, 상기 무기 산화물 필러의 예로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또는 산화 규소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금속 수산화물 필러의 예로는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무기 탄화물 필러의 예로는 탄화 규소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질화물 필러의 예로는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또는 질화규소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금속 필러의 예로는 은, 구리, 아연, 철, 알루미늄, 니켈, 주석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소 필러의 예로는 카본 또는 그라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Here, examples of the inorganic oxide filler include aluminum oxide, magnesium oxide, zinc oxide, or silicon oxide; Examples of the metal hydroxide filler include aluminum hydroxide or magnesium hydroxide; Examples of the inorganic carbide filler include silicon carbide; Examples of the nitride filler include aluminum nitride, boron nitride, or silicon nitride; Examples of the metal filler include silver, copper, zinc, iron, aluminum, nickel, tin, and alloys thereof; Examples of the carbon filler include carbon or graphite.

아울러,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그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고흡수성 매트릭스 내부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비표면적이 높은 구상의 형태를 갖거나, 인접한 열 전도성 필러들과 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침상 또는 섬유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hape, but has a spherical shape with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to effectively transfer heat inside the highly absorbent matrix, or to form a thermal network with adjacent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It may have a needle-like or fibrous form.

나아가, 상기 파우치는 내부에 삽입된 고흡수성 매트릭스로 외부 열을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우치는 금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금속층 내측면에는 가교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내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ouch can be applied without particular restrictions as long as it can well transfer external heat to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nserted inside. For example, the pouch may be composed of a metal lay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may include an inner layer containing a crosslinked polyolefin-based resin.

상기 금속층은 온도 조절팩 외부의 열을 내부로 잘 전달할 수 있으면서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져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는 알루미늄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layer may include an aluminum layer that can effectively transfer heat from the out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to the inside and has a strength above a certain level to resist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내부층은 금속층 내측면에 위치하여 고흡수성 매트릭스에 함침된 수용액과 금속층이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층은 가교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낮은 흡습성을 가져 고흡수성 매트릭스에 함침된 수용액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내부층의 팽창이나 침식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0~70%의 가교도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0~50%의 가교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가교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구체적으로 가교된 폴리에틸렌, 가교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교된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layer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etal layer and can function to prevent the metal layer from reacting with the aqueous solution impregnated in the highly absorbent matrix. To this end, the inner layer may include a crosslinked polyolefin-based resin. The cross-linked polyolefin resin has low hygroscopicity and can suppress the intrusion of the aqueous solution impregnated into the highly absorbent matrix, thereby preventing expansion or erosion of the inner layer. Here, the polyolefin-based resin may have a crosslinking degree of 10 to 70%, and specifically, may have a crosslinking degree of 30 to 50%. In addition, the polyolefin-based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and the cross-linked polyolefin-based resin is specifically cross-linked polyethylene, cross-linked polypropylene, Or it may include a mixture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rosslinked polypropylene.

나아가, 상기 온도 조절팩은 모듈 내부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조절팩은 0.1 mm 내지 5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mm 내지 30 mm; 0.1 mm 내지 15 mm; 0.1 mm 내지 10 mm; 1 mm 내지 20 mm; 5 mm 내지 10 mm; 10 mm 내지 20 mm; 또는 1 mm 내지 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can satisfy certain thickness condi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changes in module internal temperatu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may have a thickness of 0.1 mm to 50 mm, more specifically 0.1 mm to 30 mm; 0.1 mm to 15 mm; 0.1 mm to 10 mm; 1 mm to 20 mm; 5 mm to 10 mm; 10 mm to 20 mm; Alternatively, it may have a thickness of 1 mm to 5 mm.

본 발명은 온도 조절팩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0.1mm 미만인 경우에는 지나치게 얇은 온도 조절팩의 두께로 인해 온도 조절팩 주변의 열 에너지 출입이 충분하지 않아 모듈 내부 온도가 급격히 변화될 수 있으며, 50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지 모듈의 두께가 증가하여 에너지 밀도가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thickness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to the above range, so that if it is less than 0.1 mm,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dule may change rapidly due to insufficient heat energy entering and exiting around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due to the excessively thin thickness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If it exceeds 50 mm,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module increases and the energy density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은 상술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100℃ 부근 또는 그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는 많은 열량의 주변 열을 흡수하고, -10℃ 미만의 저온 조건에서도 주변에 다량의 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차전지 모듈에 구비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주변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변 온도에 따른 이차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o that it can absorb a large amount of ambient heat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around 100℃ or higher, and can emit a large amount of heat energy to the surroundings eve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below -10℃. Therefore, when this is provided 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prevented from rapidly changing, and through this,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temperature can be improved.

이차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나아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Furtherm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차전지와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온도 조절팩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한다.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and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1)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3.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1)은 하우징 부재(10);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전지 셀(20); 및 상기 복수의 전지 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온도 조절팩(30)을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member 10;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and a temperature control pack 30 that absorbs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1)은 복수의 전지 셀(20)을 포함하고, 이들 전지 셀과 함께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온도 조절팩(30)을 구비하여, 모듈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 셀(20)의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is equipp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3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ong with these battery cells,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dule rapidly increas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mperature stability of the battery cell 20 is excellent since it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or falling.

여기서, 상기 하우징 부재(10)는 복수의 상기 이차전지 셀(20)이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바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 부재(10)는 복수의 전지 셀(20)이 수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전지 셀(20)을 보호하면서도 전지 셀(20)이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한다.Here, the housing member 10 serves as the body of the battery module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20 are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housing member 10 is a member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protects the battery cells 20 while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battery cells 20 to the outside.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 부재(10)는 바닥부재(11) 및 측벽부재(1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1)는 상기 복수의 전지 셀(20)이 안착되며, 이렇게 안착된 상기 복수의 전지 셀(2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11)와 전지 셀(20) 사이에는 히트 싱크(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히트 싱크(40)는 전지 셀(20)에서 발생한 열을 바닥부재(11)로 전달하고, 바닥부재(11)는 히트 싱크(40)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전달하여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housing member 10 may be composed of a bottom member 11 and a side wall member 12. The bottom member 11 supports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on which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re seated. Additionally, a heat sink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member 11 and the battery cell 20, and the heat sink 40 transfers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20 to the bottom member 11. In addition, the floor member 11 may be configured to cool the heat received from the heat sink 40 by transferring it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측벽부재(12)는 상기 하우징 부재(10)의 측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지 셀(2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ide wall member 12 forms a side part of the housing member 10 and may discharge heat generated in the battery cell 20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 부재(10)는 추가로 상기 측벽부재(12)의 상단에 구비되는 커버부재(13)를 포함하여 전지 셀(20)의 상단부를 보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3)와 전지 셀(20) 상단부 사이에는 가스 벤팅 부재(17)를 포함하여 충방전 시 전지 셀(20)로부터 발생된 가스들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housing member 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3 provided on the top of the side wall member 12 to protec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ell 20. In addition, a gas venting member 17 is included between the cover member 13 and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ell 20, so that gases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20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더불어, 상기 하우징 부재(10)는 상기 측벽부재(12)와 이웃한 전방부재(14) 및 후방부재(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지 셀(2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ember 10 may include a front member 14 and a rear member 15 adjacent to the side wall member 12, thereby surrounding the sid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나아가, 상기 하우징 부재(10)는 전지 셀(20)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부재(미도시) 등의 부가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housing member 10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bus bar member (not shown)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cell 20 to the outside.

한편, 전지 셀(20)은 리튬 이차전지로서 적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각형, 파우치형, 원통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전지 셀(20)은 각형 또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Meanwhile, the type of the battery cell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a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but specifically, it may have a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a pouch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As an example, the battery cell 20 may be a prismatic or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또한, 상기 전지 셀(20)은 하우징 부재(10) 내에 삽입되되, 하우징 부재(10)의 측변 부재(12)와 대향하도록 n열(단, n≥2)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 셀(20)은 측변 부재(12)와 대향하도록 2열 이상, 3열 이상 또는 2~4열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ttery cells 2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10 and arranged in n rows (where n≥2) to face the side members 12 of the housing member 10. Specifically, the battery cells 20 may be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three or more rows, or two to four rows to face the side members 12.

이렇게 정렬 배치된 전지 셀(20)은 인접한 위치에 온도 조절팩(30)이 배칭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온도 조절팩(30a)은 정렬 배치된 전지 셀(20)들의 외측면, 즉 하우징 부재(10)와 전지 셀(2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s 20 arranged in this way can be arrang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pack 30 adjacent to them. As one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30a may be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ligned battery cells 20, that is, in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member 10 and the battery cells 20.

다른 하나의 예로서, 전지 셀(20)들 사이에는 온도 조절팩(30b)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조절팩(30b)은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개별 전지 셀(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된 전지 셀로 구성된 제1열(21a)과 제2열(2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temperature control pack 30b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attery cells 20.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30b may be disposed between individual battery cells 20 constituting one row, and in some cases, a first row composed of battery cells aligned as shown in FIG. 1 ( It can be placed between 21a) and the second row 21b.

이와 같이, 전지 셀(20)에 인접한 위치에 온도 조절팩(30)이 배치됨으로써, 전지 셀(20)에 열이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열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모듈 내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placing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30 adjacent to the battery cell 20, when heat is generated in the battery cell 20, it can immediately absorb the heat, thereby preventing rapid temperature changes inside the module. can do.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on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및 비교예. 온도 조절팩의 제조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Manufacturing of temperature control packs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4℃에서 온도 조절제가 포화된 수용액을 고흡수성 섬유(성분: 아크릴산 공중합체) 1g 당 10g씩 함침시켰다. 이와 별도로, 알루미늄층 및 내측에 가교도 40±2%의 폴리에틸렌(PE)층을 포함하는 가로 10㎝ 및 세로 35㎝인 알루미늄 파우치를 준비하고, 준비된 알루미늄 파우치에 앞서 수용액이 함침된 고흡수성 매트릭스를 삽입하고, 내부를 진공 상태로 바꾼 후 파우치의 투입구를 실링하여 평균 두께가 약 3 mm인 온도 조절팩을 제작하였다.As shown in Table 1, 10 g per 1 g of superabsorbent fiber (ingredient: acrylic acid copolymer) was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saturated with a temperature regulator at 24°C. Separately, an aluminum pouch with a width of 10 cm and a length of 35 cm containing an aluminum layer and a polyethylene (PE) layer with a cross-linking degree of 40 ± 2% on the inside was prepared, and a highly absorbent matrix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prepared aluminum pouch. It was inserted, the inside was changed to a vacuum state, and the pouch's inlet was sealed to produce a temperature control pack with an average thickness of about 3 mm.

이때, 비교예 1은 온도 조절제가 용해되지 않은 증류수를 고흡수성 섬유에 함침시켰으며, 비교예 2는 온도 조절제로서 질산 암모늄(NH4NO3, 용해 엔탈피: 25.5±0.5 kJ/mol)을 사용하였다.At this time,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superabsorbent fiber was impregnated with distilled water in which the temperature regulator was not dissolved, and in Comparative Example 2, ammonium nitrate (NH 4 NO 3 , enthalpy of dissolution: 25.5 ± 0.5 kJ/mol) was used as the temperature regulator. .

고흡수성 매트릭스 종류Highly absorbent matrix types 온도 조절제 성분thermostat component 실시예 1Example 1 고흡수성 섬유super absorbent fiber KOHKOH 실시예 2Example 2 고흡수성 섬유super absorbent fiber CaClCaCl 실시예 3Example 3 고흡수성 섬유super absorbent fiber CaOCaO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고흡수성 섬유super absorbent fiber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고흡수성 섬유super absorbent fiber NH4NO3 NH 4 NO 3

실험예.Experiment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 내부의 온도 조절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emperature control effect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가) 이차전지 모듈의 제작A) Production of secondary battery module

이때,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열당 10개의 이차전지 셀이 2열로 하우징 부재에 삽입하고, 전지 셀의 외측면과 각 열들 사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 온도 조절팩을 배치하였다.At this tim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in two rows, 10 secondary battery cells per row, as shown in FIG. 1, and the temperature is adjus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nd each row, respectively,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pack was placed.

또한, 모듈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지 셀 하부에 히트 싱크 대신에 ① 가열 수단인 히팅 패드나 ② 냉각 수단인 초저온 냉매를 이용한 냉각기를 도입하였다.Additionally,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dule, instead of a heat sink, ① a heating pad as a heating means or ② a cooler using a cryogenic refrigerant as a cooling means was introduced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cell.

아울러, 모듈에 삽입되는 전지 셀은 양극 및 음극을 각각 40개씩 준비하고, 분리막으로서 상기 양극 및 음극보다 넓은 다공성 폴리에틸렌 분리막(가로 9.5㎝ Х 세로 34.5㎝, 평균 두께: 약 20㎛)을 120개 준비한 다음, 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의 스택용 단위셀을 40개 적층하여 가로 10㎝ Х 세로 35㎝ Х 두께 1.6㎝의 각형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때, 각 전지 셀에 주입된 전해액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와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가 3:7의 부피비로 혼합된 유기 용매에 리튬 염으로서 LiPF6가 1M 농도로 첨가된 액상 전해질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각 전지 셀은 만충된 상태로 하우징 부재에 삽입되었다.In addition, for the battery cells inserted into the module, 40 anodes and 40 cathodes were prepared, and 120 porous polyethylene separators (width 9.5 cm Х length 34.5 cm, average thickness: about 20 ㎛) wider than the anode and cathode were prepared as separators. Next, 40 unit cells for the separator-cathode-separator-anode-separator stack were stacked and manufactured into a square shape with a width of 10 cm, a length of 35 cm, and a thickness of 1.6 cm.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injected into each battery cell is an organic solvent in which ethylene carbonate (EC) and ethyl methyl carbonate (EMC) are mixed in a volume ratio of 3:7, and LiPF6 as a lithium salt i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M. A liquid electrolyte was used, and each manufactured battery cell wa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in a fully charged state.

나) 고온 조건에서의 안전성 평가B) Safety evaluation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고온 조건에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차전지 모듈에 장착된 히팅 패드를 이용하여 5℃/min의 속도로 150℃까지 내부 온도를 30분 동안 상승시키고 30분 동안 이를 유지하면서, 모듈에 삽입된 전지 셀이 발화되는데 걸리는 최초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o evaluate safety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e internal temperature was raised to 150°C at a rate of 5°C/min for 30 minutes using a heating pad mounted o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aintained for 30 minutes while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module was heated. The initial time taken for the battery cell to ignite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나) 저온 조건에서의 평가B) Evaluatio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저온 조건에서의 전해액 결빙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 모듈에 장착된 냉각기를 이용하여 상온(25℃)에서 저온(-20℃)으로 온도를 5℃씩 낮추면서 이차전지 모듈의 충방전 시 저항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충방전은 2.6V 충전전압, 400㎃h 전류밀도로 CC-CV(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로 충전 후, 10분의 휴지기 간을 가지고 방전용량 1000㎃h로 1.8V까지 방전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 electrolyte was froze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s was measured. Specifically, the resistanc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was measured while lowering the temperature by 5°C from room temperature (25°C) to low temperature (-20°C) using a cooler mounted o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t this time,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was performed at CC-CV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with a charging voltage of 2.6V and a current density of 400 mAh, and then discharged to 1.8V with a discharge capacity of 1000 mAh with a rest period of 10 minutes.

측정된 결과로부터 상온(25℃) 충방전 시 모듈의 저항값 기준 저온(-20℃) 충방전 시 모듈의 저항 변화율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From the measured results, the resistance change rate of the module when charged and discharged at low temperature (-20°C)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module when charged and discharged at room temperature (25°C),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전지 셀의 최초 발화 소요 시간Time required for initial ignition of a battery cell 저온에서의 저항 증가율Resistance increase rate at low temperature 실시예 1Example 1 37분37 minutes 480%480% 실시예 2Example 2 44분44 minutes 425%425% 실시예 3Example 3 45분45 minutes 380%38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3분23 minutes 1180%118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8분18 minutes 1090%109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은 고온 조건에서 모듈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저온 조건에서 모듈 내부의 온도가 -10℃ 미만으로 낮아져 전지 셀이 결빙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dule from rapidly rising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while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dule falls below -10°C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preventing the battery cells from freezing. It can be seen that this is suppress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이차전지 모듈들은 고온 조건에서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어 모듈에 삽입된 전지 셀이 발화하는데 35분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저온에서 셀의 결빙이 억제되어 저항이 증가하는 비율이 500% 이하로 낮게 확인되었다.Specifically, 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pid rise in internal temperature is suppress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o it takes more than 35 minutes for the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module to ignite, and freezing of the cell is suppressed at low temperature, reducing resistance. This increasing rate was confirmed to be low, below 500%.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팩은 파우치 내부에 용해 엔탈피가 음수값을 갖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이 내부에 함침된 고흡수성 매트가 삽입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100℃ 부근 또는 그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는 주변의 많은 열량을 흡수하고, -10℃ 미만의 저온 조건에서도 주변에 다량의 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차전지 모듈에 구비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주변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변 온도에 따른 이차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rom these results,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ghly absorbent mat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control agent having a negative melting enthalpy is inserted into the pouch, thereby maintaining high temperatures around 100°C or higher. Under certain conditions, it can absorb a large amount of heat from the surroundings and emit a large amount of heat energy to the surroundings eve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below -10℃, so when equipped with a secondary battery module, it prevents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from rapidly changing. It can be seen that through this,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temperature.

이상에서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or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will understand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 이차전지 모듈
10: 하우징 부재 11: 바닥부재
12: 측벽부재 13: 커버부재
14: 전방부재 15: 후방부재
16: 격벽부재 17: 가스 벤팅 부재
20: 전지 셀 21: 전지셀이 정렬된 열
21a: 전지 셀이 정렬된 제1열
21b: 전지 셀이 정렬된 제2열
30: 온도 조절팩
30a: 전지 셀의 외측면에 배치된 온도 조절팩
30b: 전지 셀이 정렬된 복수의 열 사이에 배치된 온도 조절팩
40: 히트 싱크
1: Secondary battery module
10: Housing member 11: Floor member
12: side wall member 13: cover member
14: front member 15: rear member
16: partition member 17: gas venting member
20: Battery cell 21: Column with battery cells sorted
21a: First row in which battery cells are aligned
21b: Second row in which battery cells are aligned
30: Temperature control pack
30a: Temperature control pack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ttery cell
30b: Temperature control pack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rows in which battery cells are aligned
40: heat sink

Claims (11)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삽입된 고흡수성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용해 엔탈피가 음수값을 갖는 온도 조절제가 용해된 수용액이 내부에 함침된 상태이며,
상기 수용액은 파우치 외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수용액 내의 물이 기화되면서 흡열 반응을 유도하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pouch; And a highly absorbent matrix inserted into the pouch,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impregn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 temperature regulator having a negative melting enthalpy is dissolved,
The aqueous solution i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that induces an endothermic reaction as the water in the aqueous solution evaporate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pouch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온도 조절제는 -150 kJ/mol 내지 -10 kJ/mol의 용해 엔탈피를 갖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emperature control agent i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a dissolution enthalpy of -150 kJ/mol to -10 kJ/mol.
제1항에 있어서,
온도 조절제는 염화칼슘(CaCl2), 산화칼슘(CaO), 염화칼륨(KCl), 수산화칼륨(KOH) 및 염화마그네슘(MgCl2)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emperature control agent i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containing one or more of calcium chloride (CaCl 2 ), calcium oxide (CaO), potassium chloride (KCl), potassium hydroxide (KOH), and magnesium chloride (MgCl 2 ).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고흡수성 수지(SAP) 또는 고흡수성 섬유(SAF)인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secondary battery modules made of superabsorbent polymer (SAP) or superabsorbent fiber (SAF).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 전분, 가교된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전분-아크릴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비누화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술폰산, 폴리비닐포스폰산, 폴리비닐인산, 폴리비닐황산, 술폰화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민, 폴리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폴리알릴구아니딘,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 히드록시드, 4차화 폴리스티렌 유도체, 구아니딘-변성 폴리스티렌, 4차화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구아니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polyacrylic acid, polyacrylate, polyacrylate graft polymer, starch, cross-linked carboxymethylated cellulose, acrylic acid copolymer, hydrolyzed starch-acrylnitrile graft copolymer, starch-acrylic acid graft copolymer, saponified vinyl acetate.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hydrolyzed acrylonitrile copolymer, hydrolyzed acrylamide copolymer, ethyl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isobutyl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polyvinylsulfonic acid, polyvinylphosphonic acid, Polyvinyl phosphoric acid, polyvinyl sulfate, sulfonated polystyrene, polyvinylamine, polydialkylaminoalkyl (meth)acrylamide, polyethyleneimine, polyallylamine, polyallylguanidine, polydimethyldiallylammonium hydroxide, quaternized polystyrene.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rivatives, guanidine-modified polystyrene, quaternized poly(meth)acrylamide, polyvinylguanidine, and mixtur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내부에 열 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secondary battery modules that further contains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nside.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매트릭스는 10 g/g 내지 500 g/g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ighly absorbent matrix i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secondary battery modules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of 10 g/g to 500 g/g.
제1항에 있어서,
온도 조절팩은 0.1 mm 내지 50 mm의 두께를 갖는 이차전지 모듈용 온도 조절팩.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is a temperature control pack for secondary battery modules with a thickness of 0.1 mm to 50 mm.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전지 셀; 및
상기 복수의 전지 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제1항에 따른 온도 조절팩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no hou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temperature control pack according to claim 1, which absorbs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지 셀은 n열(단, n≥2)로 정렬 배치되고, 배치된 전지 셀들이 이루는 열들 사이에 온도 조절팩이 배치되는 이차전지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n rows (where n≥2), and a temperature control pack is placed between the rows formed by the arranged battery cells.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지 셀은 n열(단, n≥2)로 정렬 배치되고, 배치된 전지 셀들이 구성하는 열의 외측면과 하우징 부재 사이 공간에 온도 조절팩이 배치되는 이차전지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n rows (where n≥2), and a temperature control pack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ow formed by the arranged battery cells and the housing member.
KR1020220058943A 2022-05-13 2022-05-13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Pending KR202301590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943A KR20230159054A (en) 2022-05-13 2022-05-13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943A KR20230159054A (en) 2022-05-13 2022-05-13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054A true KR20230159054A (en) 2023-11-21

Family

ID=8898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943A Pending KR20230159054A (en) 2022-05-13 2022-05-13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05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161A (en) 2017-07-18 2019-01-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queous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low-temperature operation using anti-freezing additive
JP6594435B2 (en) 2015-12-18 2019-10-2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4435B2 (en) 2015-12-18 2019-10-2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Battery module
KR20190009161A (en) 2017-07-18 2019-01-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queous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low-temperature operation using anti-freezing addi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3187C (en) Aromatic monomer gassing agents for protecting non-aqueous lithium batteries against overcharge
CN101145623B (en) Electrochemical device with high safety at over-voltage and high temperature
US20040086782A1 (en) Explosion-proof separator for Li-ion secondary batteries
JPH09106835A (en) Polymeric aromatic additive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JP2000067825A (en) Battery pack
KR101640889B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ell and module comprising phase change material
KR20230159054A (en)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with satability of temperature in battery module
KR20130042920A (en)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KR100449758B1 (en) Lithium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US20240250345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CN112018390A (en) Sandwich electrodes and batteries
EP4447201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tability of temperature inside module
KR100446660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uxiliary binder
KR20070080776A (en) Non-aqueous electrolyte with excellent safet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4489185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module interior temperature stability
EP4325635A1 (en) Battery pack with enhanced cooling performance
CN113921949A (en) High-capacity battery shell structure
CN116759672B (en) Battery shell, battery and electric equipment
EP4401205A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CN221041166U (en) Battery cell, battery cell cascading structure and power battery
JP2025511625A (en) Secondary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inside the module
EP4322288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with heat absorber embedded therein
KR20240031611A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EP4336626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US20250118812A1 (en) Endothermic phase-change material coated separators for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